KR102518310B1 -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310B1
KR102518310B1 KR1020190178127A KR20190178127A KR102518310B1 KR 102518310 B1 KR102518310 B1 KR 102518310B1 KR 1020190178127 A KR1020190178127 A KR 1020190178127A KR 20190178127 A KR20190178127 A KR 20190178127A KR 102518310 B1 KR102518310 B1 KR 102518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utism spectrum
spectrum disorder
picture
diagn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1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85264A (en
Inventor
장재윤
김호원
유장희
윤호섭
한병옥
곽찬웅
이태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7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310B1/en
Publication of KR20210085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2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3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8Evaluat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장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위한 정보를 입력 받는 영상 입출력부; 사용자에게 그림을 그리는 영역을 출력하고, 사용자에게 상기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위해 기정의된 그림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그림 객체에 대해 상기 사용자 그린 사용자 그림 객체를 입력 받는 평가 시험 진행부; 기설정된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그림을 평가하는 입력 정보 진단부 및 상기 그림을 평가한 최종 결과를 진단하는 최종 평가 진단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are disclosed. An apparatus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input/output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n evaluation test progressing unit that outputs a drawing area to a user, outputs a predefined picture object for diagnosing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to the user, and receives an input of the user picture object drawn by the user for the picture object; It includes an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that evaluates the pictur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valuation criterion and a final evaluation diagnosis unit that diagnoses a final result of evaluating the picture.

Description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본 발명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진단 및 평가 자동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automating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of autism spectrum disorder.

최근 자폐 아동의 수가 급증하여 최대 34명 중 1명 꼴로 발생하여 심각한 사회 문제 중 하나도 대두되고 있다. 자폐의 경우 빠른 시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받을수록 보편적인 아동의 발달 수준과 근사하게 발달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래서 자폐 아동의 조기 선별 및 진단은 빠른 치료시기를 통해 해당 아동의 사회성 및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Recently, the number of children with autism has increased rapidly, resulting in up to 1 in 34 cases, which is one of the serious social problems. In the case of autism, the earlier it is detected and treated, the more likely it is to develop close to the general developmental level of children. Therefore, early screening and diagnosis of autistic children is a factor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the child's social and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early treatment.

하지만 아직까지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관련한 시설 및 시스템이 충분히 확립되지 않아서 전문가를 통한 선별/진단 평가를 받기 위해서 상당히 오랜 기간을 대기할 필요가 있고, 또 이로 인해서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자가진단을 하려 해도 전문적인 평가 방법은 정확한 자가 진단이 어렵거나 비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However, facilities and systems related to autism spectrum disorder have not yet been sufficiently established, so it is necessary to wait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to undergo screening/diagnosis evaluation by experts, and due to this, there are cases in which appropriate treatment timing is missed. Even if you try to self-diagnose, it is difficult or expensive to perform accurate self-diagnosis with professional evaluation methods.

자폐 선별 평가 방법 중 Interactive Drawing Test 는 검사자와 아동이 상호작용을 하면서 하나의 그림을 같이 그려나가는 과정에서 아동의 반응을 통해 발달 정도를 평가하는 시험 방식이다. 감사자가 하나의 객체를 그렸을 때 아동이 이 객체와 관련된 요소를 그리거나 검사자가 다른 객체를 그리면서 관심 영역이 옮겨졌을 때 아동의 반응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하지만 이 평가 방식 또한 평가 자체를 이해하고 있는 전문가의 진행과 진단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이러한 평가의 진행 및 진단을 자동적으로 진행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여 가정에서 손쉽게 사전 선별 시험 중 하나로 활용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Among the autism screening evaluation methods, Interactive Drawing Test is a test method that evaluates the developmental level through the child's reaction in the process of drawing a picture together while the tester interacts with the child. When the inspector draws one object, the child draws elements related to the object, or when the area of interest is moved while the examiner draws another object, the child's reaction is comprehensively evaluated. However, this evaluation method also requires progress and diagnosis by an expert who understands the evaluation itself. Therefore, we propose a method to automatically proceed with the evaluation and diagnosis, and develop a system that can be easily used as one of the pre-screening tests at home.

이와 관련하여 완성된 그림을 스캔하여 사용자의 성격을 분석하는 연구는 존재하지만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며 사용자의 사회성 및 상호작용능력을 평가하는 그림 테스트를 진행 및 진단하는 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In this regard, there are studies that analyze the user's personality by scanning completed pictures, but there is no study that conducts and diagnoses picture tests that evaluate users' sociability and interaction ability while interacting in real time.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 10-1684424“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사회적 언어 사용 능력 평가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지는 아동의 사회적 언어 사용 능력을 평가하는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Meanwhi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84424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Social Language Ability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iscloses a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social language ability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re starting

본 발명은 간편하고 신속하게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자동적으로 선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and quickly screen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장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위한 정보를 입력 받는 영상 입출력부; 사용자에게 상기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위해 기정의된 그림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그림 객체에 대해 상기 사용자 그린 사용자 그림 객체를 입력 받는 평가 시험 진행부; 기설정된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그림을 평가하는 입력 정보 진단부 및 상기 그림을 평가한 최종 결과를 진단하는 최종 평가 진단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image input/output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n evaluation test progressing unit that outputs a predefined picture object for diagnosing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to a user and receives an input of the user picture object drawn by the user for the picture object; It includes an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that evaluates the pictur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valuation criterion and a final evaluation diagnosis unit that diagnoses a final result of evaluating the picture.

본 발명은 간편하고 신속하게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자동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and quickly screen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그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객체 그리기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utism spectrum disorder diagno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active pi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the results of an object drawing exper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al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repeated descriptions, well-known func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ar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그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객체 그리기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utism spectrum disorder diagno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active pi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the results of an object drawing exper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장치는 영상 입출력부(110), 평가 시험 진행부(200), 입력 정보 진단부(300) 및 최종 평가 진단부(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n apparatus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input/output unit 110, an evaluation test progress unit 200, an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300, and a final evaluation diagnosis unit 400. includes

영상 입출력부(110)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위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있다.The image input/output unit 110 may receive information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이 때, 영상 입출력부(110)는 평가를 진행하기 위한 정보와 최종 진단 정보를 출력하고, 아동의 그리는 행위를 입력 받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age input/output unit 110 may output information for evaluation and final diagnosis information, and may receive an input of a child's drawing behavior.

이 때, 영상 입출력부(110)는 태블릿PC, 일반 모니터, 마우스 등 정보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상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ideo input/output unit 110 may correspond to various interface devices capable of inputting/outputting information such as a tablet PC, a general monitor, and a mouse.

평가 시험 진행부(200)는 사용자에게 상기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위해 기정의된 그림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그림 객체에 대해 상기 사용자 그린 사용자 그림 객체를 입력 받을 수 있다.The evaluation test progressing unit 200 may output a predefined picture object for diagnosing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to the user and receive an input of the user picture object drawn by the user for the picture object.

평가 시험 진행부(200)는 자폐 스펙트럼 진단을 위한 실제 평가 진행을 담당할 수 있다.The evaluation test progressing unit 200 may be in charge of actual evaluation for autism spectrum diagnosis.

이 때, 평가 시험 진행부(200)는 평가용 객체 출력부(210) 및 아동이 그린 객체 입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valuation test progress unit 200 may include an object output unit 210 for evaluation and an object input unit 220 drawn by a child.

평가용 객체 출력부(210)는 사전에 정의된 시나리오에 따라 그림 객체를 출력하고, 이와 관련된 음성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The evaluation object output unit 210 may output a picture object according to a predefined scenario and output a related voice guide.

아동이 그린 객체 입력부(220)는 출력한 객체에 따라 아동(사용자)이 추가적으로 그린 사용자 그림 객체(사용자가 그린 그림 영역)를 별도의 데이터로 입력 받아 그림 영역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The object input unit 220 drawn by the child may receive a user drawing object (a drawing area drawn by the user) additionally drawn by the child (user) as separate data and store it as drawing area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object.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시나리오에 따라 출력한 그림 객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 그림 객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it can be seen that an example of a picture object output according to the scenario and a user picture object received from the user is shown.

평가 시험 진행부(200)는 상기 시나리오에 따라 검정색의 그림 객체를 출력하고, 아동이 그린 사용자 그림 객체는 빨간색으로 그림을 입력 받은 것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evaluation test progress unit 200 outputs a black picture object according to the above scenario, and the user picture object drawn by the child receives a picture in red.

이 때, 기정의된 그림 객체는 검사과정 전반에 거쳐 출력 위치를 변경하며 복수 번 출력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defined picture object may be output multiple times while changing the output position throughout the inspection process.

이 때, 아동이 그린 객체 입력부(220)는 별도로 분리된 아동으로부터 입력 받은 그림 영역 정보는 입력 정보 진단부(300)로 전달된다.At this time, the object input unit 220 drawn by the child transfers the picture area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parately separated child to the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300 .

입력 정보 진단부(300)는 기설정된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그림을 평가할 수 있다.The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300 may evaluate the picture according to predetermined evaluation criteria.

입력 정보 진단부(300)는 아동의 그림 영역 정보를 평가기준에 따라 진단할 수 있다. The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300 may diagnose the child's drawing area information according to evaluation criteria.

이 때, 입력 정보 진단부(300)는 객체 상관관계 평가부(310) 및 관심영역 평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300 may include an object correlation evaluation unit 310 and a region of interest evaluation unit 320 .

객체 상관관계 평가부(310)는 아동이 그린 사용자 그림 객체가 상기 시나리오에서 제시된 그림 객체와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The object correlation evaluation unit 310 may evaluate whether a user drawing object drawn by a child has a correlation with a drawing object presented in the scenario.

이 때, 객체 상관관계 평가부(310)는 평가를 위해서 아동이 그린 객체의 형태와 위치를 인식하고, 형태와 위치를 인식한 결과를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치화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bject correlation evaluation unit 310 may recognize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object drawn by the child for evaluation, and digitize the result of recognizing the shape and posi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이 때, 기정의된 그림 객체는 해당 객체와 연관이 있어 나타날 수 있는 후보 객체 목록이 같이 정의될 수 있다.In this case, a list of candidate objects that may appear related to the predefined picture object may be defined together.

예를 들어, 기정의된 그림 객체는 자동차 뼈대그림은 창문, 손잡이, 전조등, 바퀴, 범퍼 등의 연관 객체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predefined drawing objects may include a list of related objects such as windows, handles, headlights, wheels, bumpers, and the like.

이 때, 객체 상관관계 평가부(310)는 아동이 그린 객체의 종류를 영상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인식하여 해당 객체가 연관 객체 목록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수치화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bject correlation evaluation unit 310 may recognize the type of object drawn by the child using an image recognition technique and digitize whether the object is included in the related object list.

이 때, 기정의된 후보 객체 목록에는 해당 연관 객체의 적절한 위치 정보가 정의되어 있고, 객체 상관관계 평가부(310)는 기정의된 적절한 위치와 아동이 그린 객체의 위치간의 거리를 수치화 할 수 있다.At this time, appropri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ssociated object is defined in the predefined candidate object list, and the object correlation evaluation unit 310 may digitize the distance between the predefined appropriate loc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object drawn by the child. .

관심 영역 평가부(320)는 아동의 관심 영역의 이동을 평가할 수 있다.The region of interest evaluation unit 320 may evaluate the movement of the region of interest of the child.

이 때, 관심영역 평가부(320)는 시나리오상 제시되고 있는 객체가 달라질 경우, 아동의 관심 영역이 해당 객체로 잘 따라오는지, 현재 어느 영역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수치화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rea of interest evaluation unit 320 comprehensively evaluates and quantifies whether the area of interest of the child follows well with the object when the object presented in the scenario changes, and which area the child is currently interested in. there is.

이 때, 관심영역 평가부(320)는 전면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 아이의 시선 방향을 추적하는 기술을 추가로 사용하여 평가 신뢰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gion of interest evaluation unit 320 may improve evaluation reliability by additionally using a technique for tracking the eye direction of the child when the front camera is used.

이 때, 관심영역 평가부(320)는 상기 전면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아동이 입력하고 있는 영역(그림을 그리는 영역)을 기반으로 관심 영역을 평가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front camera is not used, the region of interest evaluation unit 320 may evaluate the region of interest based on the region inputted by the child (the region where a picture is drawn).

이 때, 출력된 기정의된 그림 객체는 적절한 유효 객체 공간을 정의하고 있으며, 이 때, 관심영역 평가부(320)는 해당 공간과 아동의 관심영역간의 거리를 수치화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putted predefined picture object defines an appropriate effective object space, and at this time, the region of interest evaluation unit 320 may digitize the distance between the corresponding space and the region of interest of the chil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자폐 스펙트럼 진단을 위해 검사 시스템이 출력한 그림 객체와 그림 객체에 아동이 추가로 그린 사용자 그림 객체(10, 20)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picture objects 10 and 20 additionally drawn by the child are shown in the picture objects and picture objects output by the test system for autism spectrum diagnosis.

입력 정보 진단부(300)는 차례 넘김, 상호 작용, 타인의 객체에 대한 상호작용 및 상호적 유연성에 관한 네 가지 척도를 기반으로 그림 객체를 평가할 수 있다.The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300 may evaluate the picture object based on four criteria related to turning over, interaction,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s objects, and mutual flexibility.

이 때, 입력 정보 진단부(300)는 그림 전체를 평가하여 아동의 자폐 스펙트럼 선별을 위한 최종 평가 점수를 계산에 필요한 정보를 네 가지 척도에 기반하여 평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300 evaluates the entire picture and evaluates information necessary for calculating the final evaluation score for screening the child's autism spectrum based on four criteria.

차례 넘김은 피검사 아동이 본인의 차례에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것인지 평가될 수 있다.Turn-by-turn may be evaluated whether the tested child performs an interaction on his or her turn.

이 때, 입력 정보 진단부(300)는 상호작용 하에서 진행된 검사에 따라 시스템과 아동간의 환경 점유 시간의 비율이 비슷한 정도를 수치화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300 may quantify the degree to which the ratio of the environment occupation time between the system and the child is similar according to the test conducted under the interaction.

상호작용은 그리는 대상을 누가 시작 했는지에 관계없이 연관 있는 그림을 그린 것인지 평가될 수 있다.Interactions can be evaluated to draw relevant pictures regardless of who initiated the object being painted.

이 때, 입력 정보 진단부(300)는 전체 검사 과정에 있어서 아동이 그린 그림객체와 출력된 기정의된 그림객체간의 상관관계를 수치화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300 may digiti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rawing object drawn by the child and the output predefined drawing object in the entire examination process.

타인의 객체에 대한 상호작용은 아동이 그림 객체에 상호작용을 수행하는지 평가될 수 있다.Interactions with other people's objects can be evaluated to see if the child performs interactions with picture objects.

이 때, 입력 정보 진단부(300)는 기정의된 그림객체가 출력되었을 때 해당 그림 객체로 관심영역이 옮겨지는지, 관심영역이 옮겨지기까지 얼마나 시간이 소요되었는지 등의 정보를 수치화 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a predefined picture object is output, the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300 may quantify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area of interest is moved to the corresponding picture object and how long it takes for the area of interest to be moved.

상호적 유연성은 아동이 그림 객체의 개념에 맞는 상호작용을 하는지 평가될 수 있다.Reciprocal flexibility can be assessed if the child interacts with the concept of the picture object.

이 때, 입력 정보 진단부(300)는 전체적으로 제시된 객체와 아동이 그린 객체간의 개념의 유사도를 수치화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300 may numerically quantify the degree of concept similarity between the presented object as a whole and the object drawn by the child.

최종 평가 진단부(400)는 상기 그림을 평가한 최종 결과를 진단할 수 있다.The final evaluation diagnosis unit 400 may diagnose the final result of evaluating the picture.

이 때, 최종 평가 진단부(400)는 입력 정보 진단부(300)에서 평가 된 아동의 그림 영역 정보를 종합하여 최종 진단을 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nal evaluation diagnosis unit 400 may determine a final diagnosis by synthesizing information on the child's picture area evaluated by the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300 .

이 때, 최종 진단부(410)에서는 입력 정보 진단결과를 종합하여 아동의 발달 정도와 상호작용 능력을 수치화 하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 선별 검진 결과를 계산하고 이를 다시 영상입출력부(110)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nal diagnosis unit 410 synthesizes the input information diagnosis results to quantify the child's developmental level and interaction ability, calculates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screening test results, and outputs them again through the image input/output unit 110 can

최종 평가 진단부(400)는 입력 정보 진단부(300)에서 평가한 상기 네 가지 척도에 대한 점수를 종합하여 최종 발달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The final evaluation diagnosis unit 400 may evaluate the final level of development by integrating the scores of the above four scales evaluated by the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300 .

이 때, 최종 평가 진단부(400)는 누적된 검사자들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백분율 및 평균 점수와의 차이 정도에 대한 정보도 제공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nal evaluation diagnosis unit 400 may als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difference from the percentage and average score based on the accumulated data of examiner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5 is an operational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방법은 평가 시험을 진행할수 있다(S510).Referring to FIG. 5 , the method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ceed with an evaluation test (S510).

즉, 단계(S510)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위한 정보를 입력 받고, 사용자에게 상기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위해 기정의된 그림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그림 객체에 대해 상기 사용자 그린 사용자 그림 객체를 입력 받아 평가 시험을 진행할 수 있다.That is, step S510 receives information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outputs a predefined picture object for diagnosing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to the user, and receives the user picture object drawn by the user for the picture object. You can run an evaluation test.

이 때, 단계(S510)는 평가를 진행하기 위한 정보와 최종 진단 정보를 출력하고, 아동의 그리는 행위를 입력 받을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510, information for proceeding with the evaluation and final diagnosis information may be output, and the drawing behavior of the child may be input.

이 때, 단계(S510)는 자폐 스펙트럼 진단을 위한 실제 평가 진행을 담당할 수 있다.At this time, step S510 may be responsible for the actual evaluation for autism spectrum diagnosis.

이 때, 단계(S510)는 사전에 정의된 시나리오에 따라 그림 객체를 출력하고, 이와 관련된 음성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510, a picture object may be output according to a predefined scenario, and a voice guide related thereto may be output.

이 때, 단계(S510)는 출력한 객체에 따라 아동(사용자)이 추가적으로 그린 사용자 그림 객체(사용자가 그린 그림 영역)를 별도의 데이터로 입력 받아 그림 영역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510, a user drawing object (a drawing area drawn by the user) additionally drawn by the child (user) according to the output object may be received as separate data and stored as drawing area information.

이 때, 단계(S510)는 입력 정보 진단부(300)는 기설정된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그림을 평가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510, the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300 may evaluate the picture according to a preset evaluation criter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시나리오에 따라 출력한 그림 객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 그림 객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it can be seen that an example of a picture object output according to the scenario and a user picture object received from the user is shown.

이 때, 단계(S510)는 상기 시나리오에 따라 검정색의 그림 객체를 출력하고, 아동이 그린 사용자 그림 객체는 빨간색으로 그림을 입력 받은 것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510, a black picture object is output according to the above scenario, and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picture object drawn by the child receives a picture in red.

이 때, 기정의된 그림 객체는 검사과정 전반에 거쳐 출력 위치를 변경하며 복수 번 출력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defined picture object may be output multiple times while changing the output position throughout the inspection proces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방법은 입력 정보를 진단할 수 있다(S520).In addition, the method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agnose input information (S520).

즉, 단계(S520)는 아동의 그림 영역 정보를 평가기준에 따라 진단할 수 있다. That is, in step S520, the child's drawing area information can be diagnos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이 때, 단계(S520)는 아동이 그린 사용자 그림 객체가 상기 시나리오에서 제시된 그림 객체와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520, it may be evaluated whether the user drawing object drawn by the child has a correlation with the drawing object presented in the scenario.

이 때, 단계(S520)는 평가를 위해서 아동이 그린 객체의 형태와 위치를 인식하고, 형태와 위치를 인식한 결과를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치화 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520,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object drawn by the child may be recognized for evaluation, and the result of recognizing the shape and position may be digitiz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이 때, 기정의된 그림 객체는 해당 객체와 연관이 있어 나타날 수 있는 후보 객체 목록이 같이 정의될 수 있다.In this case, a list of candidate objects that may appear related to the predefined picture object may be defined together.

예를 들어, 기정의된 그림 객체는 자동차 뼈대그림은 창문, 손잡이, 전조등, 바퀴, 범퍼 등의 연관 객체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predefined drawing objects may include a list of related objects such as windows, handles, headlights, wheels, bumpers, and the like.

이 때, 단계(S520)는 아동이 그린 객체의 종류를 영상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인식하여 해당 객체가 연관 객체 목록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수치화 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520, the type of object drawn by the child may be recognized using an image recognition technique, and whether the object is included in the related object list may be digitized.

이 때, 기정의된 후보 객체 목록에는 해당 연관 객체의 적절한 위치 정보가 정의되어 있고, 단계(S520)는 기정의된 적절한 위치와 아동이 그린 객체의 위치간의 거리를 수치화 할 수 있다.In this case, appropri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levant related object is defined in the predefined candidate object list, and in step S520, the distance between the predefined appropriate loc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object drawn by the child may be digitized.

이 때, 단계(S520)는 아동의 관심 영역의 이동을 평가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520, movement of the child's region of interest may be evaluated.

이 때, 단계(S520)는 시나리오상 제시되고 있는 객체가 달라질 경우, 아동의 관심 영역이 해당 객체로 잘 따라오는지, 현재 어느 영역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수치화 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520, if the object presented in the scenario is different, whether the area of interest of the child follows the corresponding object well, which area the child is currently interested in can be comprehensively evaluated and quantified.

이 때, 단계(S520)는 전면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 아이의 시선 방향을 추적하는 기술을 추가로 사용하여 평가 신뢰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520, if a front camera is used, evaluation reliability may be improved by additionally using a technology for tracking the child's gaze direction.

이 때, 단계(S520)는 상기 전면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아동이 입력하고 있는 영역(그림을 그리는 영역)을 기반으로 관심 영역을 평가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520, when the front camera is not used, the region of interest may be evaluated based on the region inputted by the child (region for drawing).

이 때, 출력된 기정의된 그림 객체는 적절한 유효 객체 공간을 정의하고 있으며, 이 때, 단계(S520)는 해당 공간과 아동의 관심영역간의 거리를 수치화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putted predefined picture object defines an appropriate effective object space, and at this time, in step S520, the distance between the corresponding space and the child's area of interest can be digitiz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자폐 스펙트럼 진단을 위해 검사 시스템이 출력한 그림 객체와 그림 객체에 아동이 추가로 그린 사용자 그림 객체(10, 20)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picture objects 10 and 20 additionally drawn by the child are shown in the picture objects and picture objects output by the test system for autism spectrum diagnosis.

이 때, 단계(S520)는 차례 넘김, 상호 작용, 타인의 객체에 대한 상호작용 및 상호적 유연성에 관한 네 가지 척도를 기반으로 그림 객체를 평가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520, the picture object may be evaluated based on four scales related to turning over, interaction,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s objects, and mutual flexibility.

이 때, 단계(S520)는 그림 전체를 평가하여 아동의 자폐 스펙트럼 선별을 위한 최종 평가 점수를 계산에 필요한 정보를 네 가지 척도에 기반하여 평가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520, the entire picture may be evaluated,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calculating the final evaluation score for screening the child's autism spectrum may be evaluated based on four scales.

차례 넘김은 피검사 아동이 본인의 차례에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것인지 평가될 수 있다.Turn-by-turn may be evaluated whether the tested child performs an interaction on his or her turn.

이 때, 단계(S520)는 상호작용 하에서 진행된 검사에 따라 시스템과 아동간의 환경 점유 시간의 비율이 비슷한 정도를 수치화 할 수 있다.At this time, step S520 may quantify the degree to which the ratio of the environment occupancy time between the system and the child is similar according to the test conducted under the interaction.

상호작용은 그리는 대상을 누가 시작 했는지에 관계없이 연관 있는 그림을 그린 것인지 평가될 수 있다.Interactions can be evaluated to draw relevant pictures regardless of who initiated the object being painted.

이 때, 단계(S520)는 전체 검사 과정에 있어서 아동이 그린 그림객체와 출력된 기정의된 그림객체간의 상관관계를 수치화 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520,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rawing object drawn by the child and the predefined drawing object may be digitized in the entire inspection process.

타인의 객체에 대한 상호작용은 아동이 그림 객체에 상호작용을 수행하는지 평가될 수 있다.Interactions with other people's objects can be evaluated to see if the child performs interactions with picture objects.

이 때, 단계(S520)는 기정의된 그림객체가 출력되었을 때 해당 그림 객체로 관심영역이 옮겨지는지, 관심영역이 옮겨지기까지 얼마나 시간이 소요되었는지 등의 정보를 수치화 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520,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region of interest is moved to the corresponding drawing object when a predefined drawing object is output and how long it takes for the region of interest to be moved may be digitized.

상호적 유연성은 아동이 그림 객체의 개념에 맞는 상호작용을 하는지 평가될 수 있다.Reciprocal flexibility can be assessed if the child interacts with the concept of the picture object.

이 때, 단계(S520)는 전체적으로 제시된 객체와 아동이 그린 객체간의 개념의 유사도를 수치화 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520, the concept similarity between the presented object as a whole and the object drawn by the child may be quantifi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방법은 최종 평가를 진단할 수 있다(S530).In addition, the method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agnose a final evaluation (S530).

즉, 단계(S530)는 상기 그림을 평가한 최종 평가 결과를 진단할 수 있다.That is, in step S530, the final evaluation result of evaluating the picture may be diagnosed.

이 때, 단계(S530)는 평가 된 아동의 그림 영역 정보를 종합하여 최종 진단을 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530, a final diagnosis may be determined by synthesizing information on the evaluated child's picture area.

이 때, 단계(S530)는 입력 정보 진단결과를 종합하여 아동의 발달 정도와 상호작용 능력을 수치화 하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 선별 검진 결과를 계산하고 이를 다시 영상입출력부(110)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step S530 digitizes the child's developmental level and interaction ability by integrating the input information diagnosis results, calculates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screening test results, and outputs them again through the image input/output unit 110 .

단계(S530)는 입력 정보 진단부(300)에서 평가한 상기 네 가지 척도에 대한 점수를 종합하여 최종 발달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In step S530, the final level of development may be evaluated by integrating the scores of the above four scales evaluated by the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300.

이 때, 단계(S530)는 누적된 검사자들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백분율 및 평균 점수와의 차이 정도에 대한 정보도 제공 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530, information on the percentage and the degree of difference from the average score may also be provided based on the accumulated data of examiners.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1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1100)은 버스(11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10), 메모리(11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1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150) 및 스토리지(1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1100)은 네트워크(118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메모리(1130)나 스토리지(1160)에 저장된 프로세싱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130) 및 스토리지(11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1131)이나 RAM(113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apparatus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 system 1100 such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s shown in FIG. 6, the computer system 1100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1110, memory 1130, user interface input device 1140, and user interface output device 1150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a bus 1120. and storage 1160 . In addition, computer system 1100 may further include a network interface 1170 coupled to network 1180 . The processor 111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 semiconductor device that executes processing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130 or the storage 1160 . The memory 1130 and the storage 1160 may be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the memory may include ROM 1131 or RAM 1132 .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so as to be.

110: 영상입출력부
200: 평가 시험 진행부 210: 평가용 객체 출력부
220: 아동이 그린 객체 입력부 300: 입력 정보 진단부
310: 객체 상관관계 평가부 320: 관심영역 평가부
400: 최종 평가 진단부 410: 최종 진단부
1100: 컴퓨터 시스템 1110: 프로세서
1120: 버스 1130: 메모리
1131: 롬 1132: 램
11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
115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
1160: 스토리지 11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180: 네트워크
110: video input and output unit
200: evaluation test progress unit 210: evaluation object output unit
220: object input unit drawn by the child 300: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310: Object correlation evaluation unit 320: Region of interest evaluation unit
400: final evaluation diagnosis unit 410: final diagnosis unit
1100: computer system 1110: processor
1120: bus 1130: memory
1131: Rom 1132: Ram
1140: user interface input device
1150: user interface output device
1160: storage 1170: network interface
1180: network

Claims (10)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의 평가 시험을 위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위한 정보를 입력 받는 영상 입출력부;
사용자에게 상기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위해 기정의된 그림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기정의된 그림 객체를 상기 사용자가 따라 그린 사용자 그림 객체를 입력 받는 상기 평가 시험을 진행하는 평가 시험 진행부;
기설정된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 그림 객체와 상기 기정의된 그림 객체 간의 유사도를 수치화하여 상기 사용자의 그림 객체를 평가하는 입력 정보 진단을 수행하는 입력 정보 진단부; 및
상기 사용자의 그림 객체를 평가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에 필요한 최종 평가 점수를 계산하는 최종 평가 진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장치.
an image input/output unit that outputs information for an evaluation test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n evaluation test progressing unit outputting a predefined picture object for diagnosing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to a user and proceeding with the evaluation test by receiving a user picture object drawn by the user along the predefined picture object;
an input information diagnosing unit which evaluates the user's picture object by digitizing a similarity between the user picture object and the predefined picture objec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valuation criterion; and
a final evaluation diagnosis unit which calculates a final evaluation score necessary for diagnosing the user's autism spectrum disorder based on a result of evaluating the picture object of the user;
An autism spectrum disorder diagnostic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 진단부는
상기 사용자 그림 객체의 형태와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형태와 위치를 인식한 결과를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치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Autism spectrum disorder diagnosis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ognizing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user drawing object, and digitizing the result of recognizing the shape and posi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 진단부는
상기 사용자 그림 객체의 종류를 기정의된 영상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그림 객체와 상기 기정의된 그림 객체와의 위치간의 거리를 수치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diagnosis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recognizing the type of the user drawing object using a predefined image recognition technique, and digitizing a distance between the user drawing object and a position of the predefined drawing objec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 진단부는
상기 수치화한 결과 값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가 그림을 그릴 차례에 상호 작용을 수행하는지 여부, 상기 사용자 그림 객체와 상기 기정의된 그림 객체 사이의 연관 여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정의된 그림 객체에 상호 작용을 수행하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그림 객체에 상응하는 상호 작용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관한 기설정된 네 가지 척도들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그림 객체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input information diagnosis unit
Based on the digitized result value, whether or not the user performs an interaction in the turn to draw a picture, whether or not the user draws an interaction between the drawing object and the predefined drawing object, and the user interacts with the predefined drawing object. The apparatus for diagnosing an autism spectrum diso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picture object is evaluated based on four preset scales regarding whether or not the user performs an action and whether the user performs an intera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picture objec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최종 평가 진단부는
상기 사용자 그림 객체를 평가한 네 가지 척도들에 관한 결과 값들을 종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아동 발달 정도와 상호작용 능력을 수치화 하고, 상기 사용자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에 필요한 최종 평가 점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final evaluation diagnosis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s child development degree and interaction ability are quantified by integrating the resultant values of the four scales for evaluating the user's picture object, and the final evaluation score required for diagnosing the user's autism spectrum disorder is calculated. Autism Spectrum Disorder Diagnosis Device.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방법에 있어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위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사용자에게 상기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위해 기정의된 그림 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기정의된 그림 객체를 상기 사용자가 따라 그린 사용자 그림 객체를 입력 받는 단계;
기설정된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 그림 객체와 상기 기정의된 그림 객체 간의 유사도를 수치화하여 상기 사용자의 그림 객체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그림 객체를 평가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에 필요한 최종 평가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방법.
In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diagnosis method performed by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diagnosis device,
receiving information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outputting a predefined picture object for diagnosing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to a user, and receiving a user picture object drawn by the user along the predefined picture object;
Evaluating the user's picture object by quantifying a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user picture object and the predefined picture objec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valuation criterion; and
calculating a final evaluation score necessary for diagnosing the user's autism spectrum disorder based on a result of evaluating the user's picture object;
An autism spectrum disorder diagnosis method performed by an autism spectrum disorder diagnosis apparatus comprising a.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그림 객체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그림 객체의 형태와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형태와 위치를 인식한 결과를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치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evaluating the user picture object is
A method for diagnosing an autism spectrum disorder performed by an autism spectrum disorder diagnosis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recognizing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user picture object, and digitizing the result of recognizing the shape and posi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그림 객체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그림 객체의 종류를 기정의된 영상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그림 객체와 상기 기정의된 그림 객체와의 위치간의 거리를 수치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of evaluating the user picture object is
Performed by an autism spectrum disorder diagnosis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recognizing the type of the user drawing object using a predefined image recognition technique and digitiz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drawing object and the location of the predefined drawing object How to diagnose Autism Spectrum Disord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그림 객체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수치화한 결과 값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가 그림을 그릴 차례에 상호 작용을 수행하는지 여부, 상기 사용자 그림 객체와 상기 기정의된 그림 객체 사이의 연관 여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정의된 그림 객체에 상호 작용을 수행하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그림 객체에 상응하는 상호 작용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관한 기설정된 네 가지 척도들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그림 객체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evaluating the user's picture object is
Based on the digitized result value, whether or not the user performs an interaction in the turn to draw a picture, whether or not the user draws an interaction between the drawing object and the predefined drawing object, and the user interacts with the predefined drawing object. An autism spectrum disorder diagnosis apparatus characterized by evaluating the user picture object based on four preset scales on whether the user performs an action and whether the user performs an intera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picture object Methods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performed by.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최종 평가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그림 객체를 평가한 네 가지 척도들에 관한 결과 값들을 종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아동 발달 정도와 상호작용 능력을 수치화 하고, 상기 사용자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에 필요한 최종 평가 점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calculating the final evaluation sco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s child development degree and interaction ability are quantified by integrating the resultant values of the four scales for evaluating the user's picture object, and the final evaluation score required for diagnosing the user's autism spectrum disorder is calculated. A method for diagnosing an autism spectrum disorder performed by an autism spectrum disorder diagnosing device.
KR1020190178127A 2019-12-30 2019-12-30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KR1025183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127A KR102518310B1 (en) 2019-12-30 2019-12-30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127A KR102518310B1 (en) 2019-12-30 2019-12-30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264A KR20210085264A (en) 2021-07-08
KR102518310B1 true KR102518310B1 (en) 2023-04-06

Family

ID=7689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127A KR102518310B1 (en) 2019-12-30 2019-12-30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3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9295A (en) * 2022-02-07 2023-08-16 주식회사 히포티앤씨 Autism diagnosis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multi-indicator
KR20240031456A (en) 2022-08-29 2024-03-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developmental disabilities of infant based on joint atten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871B1 (en) 2006-04-28 2007-08-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of psychological symptoms using a drawing
KR101684424B1 (en) 2015-07-01 2016-12-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of Social Language Assessment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070B1 (en) * 2010-02-11 2011-12-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diagnosing psycology, device of user under care, device of therapist, and method for diagnosing psycology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871B1 (en) 2006-04-28 2007-08-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of psychological symptoms using a drawing
KR101684424B1 (en) 2015-07-01 2016-12-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of Social Language Assessment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264A (en)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09941B (en) Emotion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Pogorelov et al. Nerthus: A bowel preparation quality video dataset
KR1025183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US108063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of cognitive and speech impairment based on temporal visual facial feature
JP7279928B2 (en) Argument analysis device and argument analysis method
Neumann et al. Investigating the utility of multimodal conversational technology and audiovisual analytic measures for the assessment and monitoring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t scale
CN109711545A (en) Creation method, device, system an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of network model
Lin et al. Looking at the body: Automatic analysis of body gestures and self-adaptors in psychological distress
CN110909889A (en) Training set generation and model train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feature distribution
Ponce-López et al. Non-verbal communication analysis in victim–offender mediations
CN110888997A (en) Content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6091963A (en) Quality evaluation method and device for clinical test institution,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220207377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ining neural networks and detecting correlated objects
Swamy et al. Voice assistant and facial analysis based approach to screen test clinical depression
Shabbeer et al. Detection of Parkinson's Disease and Its Severity Using Deep Learning
CN115114950B (e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testing decision uncertainty
KR1015549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result of psychology test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N116030385B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I evaluation system
JP2019091260A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time-series analysis
Jafari 3D video tracking technology in the assessment of orofacial impairments in neurological disorders
KR102459076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daptive questionnaire for measuring user experience
US20240104739A1 (en) Computer vision for analyzing handwriting kinematics
Zhou et al. YouTubePD: A Multimodal Benchmark for Parkinson’s Disease Analysis
Naeini Automatic Temporal Segmentation of Orofacial Assessment in Amytrophic Lateral Sclerosis
Xu et al. ADReFV: Face video dataset based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for Alzheimer's disease recog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