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283B1 -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283B1
KR102518283B1 KR1020210052848A KR20210052848A KR102518283B1 KR 102518283 B1 KR102518283 B1 KR 102518283B1 KR 1020210052848 A KR1020210052848 A KR 1020210052848A KR 20210052848 A KR20210052848 A KR 20210052848A KR 102518283 B1 KR102518283 B1 KR 102518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al energy
materials
image
material separation
phan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6046A (ko
Inventor
김규범
김규석
이수환
정성호
박정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52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28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01N23/087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using polyenergetic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3Reconstruction from projections, e.g. tomography
    • G06T11/005Specific pre-processing for tomographic reconstruction, e.g. calibration, source positioning, rebinning, scatter correction, retrospective g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40Imaging
    • G01N2223/424Imaging energy substraction image processing (dual energy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1/00Image generation
    • G06T2211/40Computed tomography
    • G06T2211/408Dual ener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1/00Image generation
    • G06T2211/40Computed tomography
    • G06T2211/424Itera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 및 장치는, 대상체의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2개의 물질만이 아닌 3개 이상의 물질을 분리하여 영상화함으로써, 부가적인 정보 제공을 통한 진단 및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 3차원 영상 기반 방법에 비해 빠른 촬영 시간으로 환자의 편의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며, 환자가 받는 피폭선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composing multi-material based on dual-energy technique}
본 발명은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지털 방사선 촬영(digital radiography, DR) 영상의 경우 3차원의 물체 내부를 통과하여 감약된 방사선 정보가 2차원의 디텍터로 감지되어 영상화 하는 작업으로, 감약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성질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 장기 및 물질이 구분된 영상이 나타난다. 이때, 방사선이 통과하는 경로에 다양한 물질이 위치하면서 복합적인 감약이 일어나게 되고, 감약이 작은 물질들(예컨대, 연조직 등)의 경우 낮은 대조도로 인해 다른 물체와 구별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자들은 연부조직만 분리된 영상을 만들고자 하였으며 그중에서 두 가지 다른 에너지를 가지는 방사선의 감약 차이를 이용하여 영상에서 밀도가 높은 물질과 밀도가 낮은 물질의 신호를 감쇄시키거나 증폭시켜 제거함으로써 영상의 물질 구분력을 증가시키는 이중 에너지 기법을 연구 중에 있다.
이중 에너지 기법을 사용한 경우 기존 디지털 방사선 촬영(DR) 영상에 비해 물질 구분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고밀도 물질(예컨대, 뼈 등) 뒤에 숨겨져 식별하기 어려운 병변이나 이물질의 경우 이중 에너지 기법을 사용하여 물질 대조도를 증가시킴으로서 진단 정확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이중 에너지 방법의 경우 이중 촬영 및 양자 노이즈 보상을 위한 과선량 조사에 따른 환자 피폭선량 증가와 이중 촬영 시 발생되는 모션블러로 인한 영상 왜곡은 큰 문제점이다.
최근, 이중 에너지 엑스선 흡수법(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등과 같은 광자 계수 검출기 기반 영상 장치의 보급화를 통해 위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3차원 영상에서 기존 두 가지의 물질을 분리하는 것을 넘어서 세가지 이상의 물질을 분리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중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이중 에너지 기법을 기반으로 대상체의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다중 물질을 분리하여 물질별 영상을 획득하는,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은, 대상체에 대한 이중 에너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물질 분리 알고리즘과 사전에 획득된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체의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복수개의 물질 각각에 대한 물질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에 대응되는 교정용 팬텀을 통해 획득한 이중 에너지 영상과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의 두께를 기반으로,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정용 팬텀은,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이 n개인 경우, n개의 물질의 밀도 순서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제1 물질과 제2 물질의 물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n-1개의 서브 팬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팬텀은, 상기 제1 물질로 이루어지는 계단식 형태의 제1 서브 팬텀; 및 상기 제1 서브 팬텀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물질로 이루어지는 계단식 형태의 제2 서브 팬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 상수값 획득 단계는, 각각의 상기 서브 팬텀에 대하여, 상기 서브 팬텀을 통해 이중 에너지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서브 팬텀의 이중 에너지 영상 및 상기 서브 팬텀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 각각에 대한 두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의 분리에 이용되는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획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 상수값 획득 단계는, 상기 서브 팬텀의 이중 에너지 영상 및 상기 서브 팬텀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 각각에 대한 두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에 대한 두께-강도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획득하고, 상기 두께-강도 룩업 테이블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의 분리에 이용되는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획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질 영상 획득 단계는, 각각의 상기 서브 팬텀으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의 분리에 이용되는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체의 상기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복수개의 물질 각각에 대한 물질 영상을 획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질 영상 획득 단계는, 상기 대상체의 상기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물질의 밀도가 높은 물질에서 낮은 물질의 순서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의 분리에 이용되는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기반으로 상기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물질 분리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물질 분리 영상 중 상기 제1 물질에 대응되는 물질 영상을 상기 이중 에너지 영상에서 제거하며, 상기 제1 물질에 대응되는 물질 영상이 제거된 상기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 다음 물질 분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대상체의 상기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복수개의 물질 각각에 대한 물질 영상을 획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상기한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킨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장치는, 이중 에너지 기법을 기반으로 다중 물질을 분리하는 다중 물질 분리 장치로서, 이중 에너지 기법을 기반으로 다중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따라 이중 에너지 기법을 기반으로 다중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대상체에 대한 이중 에너지 영상을 획득하고, 미리 설정된 물질 분리 알고리즘과 사전에 획득된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체의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복수개의 물질 각각에 대한 물질 영상을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에 대응되는 교정용 팬텀을 통해 획득한 이중 에너지 영상과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의 두께를 기반으로,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정용 팬텀은,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이 n개인 경우, n개의 물질의 밀도 순서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제1 물질과 제2 물질의 물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n-1개의 서브 팬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팬텀은, 상기 제1 물질로 이루어지는 계단식 형태의 제1 서브 팬텀; 및 상기 제1 서브 팬텀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물질로 이루어지는 계단식 형태의 제2 서브 팬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대상체의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2개의 물질만이 아닌 3개 이상의 물질을 분리하여 영상화함으로써, 부가적인 정보 제공을 통한 진단 및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3차원 영상 기반 방법에 비해 빠른 촬영 시간으로 환자의 편의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며, 환자가 받는 피폭선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엑스선 파노라마 촬영 기기, 디지털 단층 영상 합성 기기(digital tomosynthesis), 단일 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 촬영 기기(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기기(positron emission tom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방사선 영상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팬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정용 팬텀을 통해 획득한 이중 에너지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께-강도 룩업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의 실험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실험 환경에서 획득한 이중 에너지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물질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컨대,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컨대,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 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장치(이하 '다중 물질 분리 장치'라 한다)(100)는 이중 에너지 기법을 기반으로 대상체의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다중 물질을 분리하여 물질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이중 에너지 영상은 대상체에 30 KeV ~ 60 KeV의 저 에너지 방사선을 조사하여 획득한 저 에너지 영상과, 대상체에 80 KeV ~ 144 KeV의 고 에너지 방사선을 조사하여 획득한 고 에너지 영상을 말한다.
즉, 본 발명은 엑스선 및 감마선을 이용한 디지털 방사선 촬영(digital radiography, DR) 및 이중 에너지 엑스선 흡수법(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영상 시스템에서, 이중 에너지 기법을 기반으로 다중 물질을 분리함으로써, 기존 이중 에너지 기법과 동일한 조건에서 더 많은 물질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진단 및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중 물질 분리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사전에 획득하고, 사전에 획득한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복수개의 물질 각각에 대한 물질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물질 분리 알고리즘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의 영상과 이중 에너지 영상 간의 관계식을 나타내는 방정식일 수 있다.
Figure 112021047642066-pat00001
Figure 112021047642066-pat00002
여기서, td는 분리하고자 하는 제1 물질의 영상을 나타낸다. ts는 분리하고자 하는 제2 물질의 영상을 나타낸다. PL은 이중 에너지 영상 중 저 에너지 영상을 나타낸다. PH은 이중 에너지 영상 중 고 에너지 영상을 나타낸다.
즉,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은 선형 감약 계수와 두께에 따른 저 에너지 및 고 에너지 강도 산출 식을 이용하여, 위의 [수학식 1]과 같은 방정식을 도출할 수 있다.
Figure 112021047642066-pat00003
Figure 112021047642066-pat00004
그리고, 본 발명은 위의 [수학식 1]과 같은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a0, a1, a2, a3, a4, a5, b0, b1, b2, b3, b4, b5)을 사전에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중 물질 분리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 및 통신 버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다중 물질 분리 장치(1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31)을 실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31)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다중 물질 분리 장치(100)로 하여금 이중 에너지 기법을 기반으로 다중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는 이중 에너지 기법을 기반으로 다중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에 저장된 프로그램(131)은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다중 물질 분리 장치(100)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50)는 프로세서(110),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를 포함하여 다중 물질 분리 장치(100)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다중 물질 분리 장치(1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70) 및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19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70) 및 통신 인터페이스(190)는 통신 버스(150)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도시하지 않음)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70)를 통해 다중 물질 분리 장치(10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팬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정용 팬텀을 통해 획득한 이중 에너지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께-강도 룩업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중 물질 분리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에 대응되는 교정용 팬텀을 통해 획득한 이중 에너지 영상과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의 두께를 기반으로,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획득할 수 있다(S110).
여기서, 교정용 팬텀은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또는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과 유사한 선형 감약 계수값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계단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교정용 팬텀은 두께가 서로 상이한 영역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계단식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교정용 팬텀은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이 n개인 경우, n개의 물질의 밀도 순서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제1 물질과 제2 물질의 물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n-1개의 서브 팬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팬텀은 제1 물질로 이루어지는 계단식 형태의 제1 서브 팬텀 및 제1 서브 팬텀의 일면에 위치하고 제2 물질로 이루어지는 계단식 형태의 제2 서브 팬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 팬텀과 제2 서브 팬텀은 제1 서브 팬텀의 계단 방향(즉, 제1 물질의 두께가 상이해 지는 방향)과 제2 서브 팬텀의 계단 방향(즉, 제2 물질의 두께가 상이해 지는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물질인 "알루미늄(aluminum)"과 제2 물질인 "아크릴(acryl)"을 분리하는 경우, 서브 팬텀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aluminum)"으로 이루어지는 계단식 형태의 제1 서브 팬텀과 "아크릴(acryl)"로 이루어지는 계단식 형태의 제2 서브 팬텀으로 이루어지며, 제1 서브 팬텀의 계단 방향과 제2 서브 팬텀의 계단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브 팬텀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중 에너지 영상(저 에너지 영상, 고 에너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물질(뼈, 지방, 근육)을 분리하는 경우, 3개의 물질 중 가장 밀도가 높은 물질(뼈)을 제1 물질로 하는 계단식 형태의 제1 서브 팬텀과 두번째로 밀도가 높은 물질(근육)을 제2 물질로 하는 계단식 형태의 제2 서브 팬텀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하여 서브 팬텀 1을 제작하고, 제작한 서브 팬텀 1을 통해 이중 에너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두번째로 밀도가 높은 물질(근육)을 제1 물질로 하는 계단식 형태의 제1 서브 팬텀과 세번째로 밀도가 높은 물질(지방)을 제2 물질로 하는 계단식 형태의 제2 서브 팬텀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하여 서브 팬텀 2를 제작하고, 제작한 서브 팬텀 2를 통해 이중 에너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각각의 서브 팬텀에 대하여, 서브 팬텀을 통해 이중 에너지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서브 팬텀의 이중 에너지 영상 및 서브 팬텀에 대응되는 제1 물질과 제2 물질 각각에 대한 두께를 기반으로 제1 물질과 제2 물질의 분리에 이용되는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서브 팬텀의 이중 에너지 영상 및 서브 팬텀에 대응되는 제1 물질과 제2 물질 각각에 대한 두께를 기반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물질과 제2 물질에 대한 두께-강도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획득하고, 두께-강도 룩업 테이블을 기반으로 제1 물질과 제2 물질의 분리에 이용되는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획득할 수도 있다.
예컨대,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교정용 팬텀을 통해 획득한 이중 에너지 영상(PL, PH)과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들의 두께, 즉 교정용 팬텀의 두께(td, ts)를 이용하여 위의 [수학식 1]과 같은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a0, a1, a2, a3, a4, a5, b0, b1, b2, b3, b4, b5)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물질(뼈, 지방, 근육)을 분리하는 경우, 서브 팬텀 1(제1 물질: 뼈 & 제2 물질: 근육)을 통해 획득한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뼈(제1 물질)-근육(제2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획득하고, 서브 팬텀 2(제1 물질: 근육 & 제2 물질: 지방)를 통해 획득한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근육(제1 물질)-지방(제2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획득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서브 팬텀별로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특이값 분해(Singular Value Decomposition, SVD), 신경망(neural network) 등과 같은 딥러닝 기법, 최소 제곱법 등의 다양한 분석법을 통해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10)는 대상체에 대한 이중 에너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130).
즉, 프로세서(110)는 대상체에 대한 이중 에너지 영상을 방사선 영상 기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런 다음, 프로세서(110)는 물질 분리 알고리즘과 사전에 획득된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기반으로, 대상체의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복수개의 물질 각각에 대한 물질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150).
즉, 프로세서(110)는 각각의 서브 팬텀으로부터 획득한 제1 물질과 제2 물질의 분리에 이용되는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기반으로, 대상체의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복수개의 물질 각각에 대한 물질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프로세서(110)는 대상체의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물질의 밀도가 높은 물질에서 낮은 물질의 순서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제1 물질과 제2 물질의 분리에 이용되는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기반으로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물질 분리 영상을 획득하고, 물질 분리 영상 중 제1 물질에 대응되는 물질 영상을 이중 에너지 영상에서 제거하며, 제1 물질에 대응되는 물질 영상이 제거된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 다음 물질 분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대상체의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복수개의 물질 각각에 대한 물질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물질(뼈, 지방, 근육)을 분리하는 경우, 서브 팬텀 1(제1 물질: 뼈 & 제2 물질: 근육)을 통해 획득한 상수값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뼈에 대한 물질 영상과 근육에 대한 물질 영상을 획득하고, 서브 팬텀 2(제1 물질: 근육 & 제2 물질: 지방)를 통해 획득한 상수값을 이용하여 이전 물질 분리 과정에서 획득한 뼈(제1 물질)에 대한 물질 영상이 제거된 대상체의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근육에 대한 물질 영상과 지방에 대한 물질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의 성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의 실험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실험 환경에서 획득한 이중 에너지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물질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방(Fat), 근육(Muscle) 및 뼈(Bone)가 근육과 비슷한 백그라운드 물질(BG)로 이루어진 임의의 구 형상의 내부에 포함된 대상체를 통해 획득한 이중 에너지 영상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사전에 획득한 뼈(제1 물질)-근육(제2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과, 근육(제1 물질)-지방(제2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이용하여, 도 7에 도시된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물질 영상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실행을 위해 프로세서에 명령어를 제공하는데 참여한 임의의 매체를 나타낸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자기 매체, 광기록 매체, 메모리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다중 물질 분리 장치,
110 : 프로세서,
130 :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31 : 프로그램,
150 : 통신 버스,
170 : 입출력 인터페이스,
190 : 통신 인터페이스

Claims (13)

  1. 대상체에 대한 이중 에너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물질 분리 알고리즘과 사전에 획득된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체의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3개 이상의 물질 각각에 대한 물질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에 대응되는 교정용 팬텀을 통해 획득한 이중 에너지 영상과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의 두께를 기반으로,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교정용 팬텀은,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이 n개인 경우, n개의 물질의 밀도 순서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제1 물질과 제2 물질의 물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n-1개의 서브 팬텀을 포함하고,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 상수값 획득 단계는, 각각의 상기 서브 팬텀에 대하여, 상기 서브 팬텀을 통해 이중 에너지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서브 팬텀의 이중 에너지 영상 및 상기 서브 팬텀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 각각에 대한 두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의 분리에 이용되는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획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서브 팬텀은,
    상기 제1 물질로 이루어지는 계단식 형태의 제1 서브 팬텀; 및
    상기 제1 서브 팬텀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물질로 이루어지는 계단식 형태의 제2 서브 팬텀;
    을 포함하는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 상수값 획득 단계는,
    상기 서브 팬텀의 이중 에너지 영상 및 상기 서브 팬텀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 각각에 대한 두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에 대한 두께-강도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획득하고, 상기 두께-강도 룩업 테이블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의 분리에 이용되는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획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물질 영상 획득 단계는,
    각각의 상기 서브 팬텀으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의 분리에 이용되는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체의 상기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3개 이상의 물질 각각에 대한 물질 영상을 획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물질 영상 획득 단계는,
    상기 대상체의 상기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3개 이상의 물질의 밀도가 높은 물질에서 낮은 물질의 순서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의 분리에 이용되는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기반으로 상기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물질 분리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물질 분리 영상 중 상기 제1 물질에 대응되는 물질 영상을 상기 이중 에너지 영상에서 제거하며, 상기 제1 물질에 대응되는 물질 영상이 제거된 상기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 다음 물질 분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대상체의 상기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3개 이상의 물질 각각에 대한 물질 영상을 획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
  9. 제1항, 제4항,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이중 에너지 기법을 기반으로 다중 물질을 분리하는 다중 물질 분리 장치로서,
    이중 에너지 기법을 기반으로 다중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따라 이중 에너지 기법을 기반으로 다중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대상체에 대한 이중 에너지 영상을 획득하고,
    미리 설정된 물질 분리 알고리즘과 사전에 획득된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체의 이중 에너지 영상으로부터 3개 이상의 물질 각각에 대한 물질 영상을 획득하며,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에 대응되는 교정용 팬텀을 통해 획득한 이중 에너지 영상과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의 두께를 기반으로,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획득하고,
    상기 교정용 팬텀은,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이 n개인 경우, n개의 물질의 밀도 순서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제1 물질과 제2 물질의 물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n-1개의 서브 팬텀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각각의 상기 서브 팬텀에 대하여, 상기 서브 팬텀을 통해 이중 에너지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서브 팬텀의 이중 에너지 영상 및 상기 서브 팬텀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 각각에 대한 두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물질과 상기 제2 물질의 분리에 이용되는 상기 물질 분리 알고리즘의 상수값을 획득하는,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서,
    상기 서브 팬텀은,
    상기 제1 물질로 이루어지는 계단식 형태의 제1 서브 팬텀; 및
    상기 제1 서브 팬텀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물질로 이루어지는 계단식 형태의 제2 서브 팬텀;
    을 포함하는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장치.
KR1020210052848A 2021-04-23 2021-04-23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 및 장치 KR102518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848A KR102518283B1 (ko) 2021-04-23 2021-04-23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848A KR102518283B1 (ko) 2021-04-23 2021-04-23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046A KR20220146046A (ko) 2022-11-01
KR102518283B1 true KR102518283B1 (ko) 2023-04-04

Family

ID=84042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848A KR102518283B1 (ko) 2021-04-23 2021-04-23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2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530B1 (ko) * 2013-07-24 2014-08-05 한국과학기술원 X-선 단층 촬영을 이용한 물질 분별 알고리즘 교정 장치
KR101790135B1 (ko) * 2016-08-05 2017-10-26 한국원자력연구원 팬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8665A (ko) * 2013-08-08 2015-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01409B1 (ko) * 2014-09-26 202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530B1 (ko) * 2013-07-24 2014-08-05 한국과학기술원 X-선 단층 촬영을 이용한 물질 분별 알고리즘 교정 장치
KR101790135B1 (ko) * 2016-08-05 2017-10-26 한국원자력연구원 팬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046A (ko)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4646B2 (en) Material decomposition of multi-spectral X-ray projections using neural networks
Dougherty Digital image processing for medical applications
US8532350B2 (en) Dose reduction and image enhancement in tomography through the utilization of the object's surroundings as dynamic constraints
JP5635730B2 (ja) 画像から関心のある特徴部を抽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489940B2 (en) System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WO201609391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pectral ct imaging
CN111684486B (zh) 谱计算机断层摄影成像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Bateman Methods for material discrimination in MARS multi-energy CT
EP2313865A2 (en) System and method for spectral x-ray imaging
US20100310036A1 (en) Computed tomography method and apparatus
CN110636796A (zh) X射线暗场成像中的射束硬化校正
Li et al. Multienerg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reconstruction with a spatial spectral nonlocal means algorithm
KR20180080858A (ko) k 에지 기반의 내부 토모그라피 영상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Stein et al. Photon-counting computed tomography–basic principles, potenzial benefits, and initial clinical experience
JP7370989B2 (ja) スペクトルボリューム画像データを生成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非スペクトル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ct)スキャナ
KR102518283B1 (ko)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 및 장치
KR102590461B1 (ko) 이중 에너지 기법 기반 다중 물질 분리 방법 및 장치
Tadesse et al. Techniques for generating attenuation map using cardiac SPECT emission data only: a systematic review
Assili A Review of Tomographic Reconstruction Techniques for Computed Tomography
US10765393B2 (en) Method and image data system for generating a combined contrast medium and blood vessel representation of breast tissue to be examine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lavic et al. Dual-energy: The GE approach
Nik Optimising the benefits of spectral x-ray imaging in material decomposition
CN116172594B (zh) 用于生成患者的结果图像数据集的方法及装置
US20240104797A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Material Decomposition and Virtual Monoenergetic Imaging from Multi-Energy Computed Tomography Data
Bismark On the application of the polychromatic statistical reconstruction technique to C-arm CT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