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231B1 - 태양광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231B1
KR102518231B1 KR1020220047075A KR20220047075A KR102518231B1 KR 102518231 B1 KR102518231 B1 KR 102518231B1 KR 1020220047075 A KR1020220047075 A KR 1020220047075A KR 20220047075 A KR20220047075 A KR 20220047075A KR 102518231 B1 KR102518231 B1 KR 102518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frame
connection
power generation
sola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규
안현우
Original Assignee
(주)소프트피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프트피브이 filed Critical (주)소프트피브이
Priority to KR1020220047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플렉시블 한 소재를 이용하여 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장치{DEVICE USING PHOTOVOLATIC PARTICLES}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미감이 도모되면서도 효율적으로 광 발전을 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에너지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상 기후 현상, 기후 변화 등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온실가스 배출량,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높아지고 있으며, 화석이나 핵연료를 대체하는 태양광 발전 에너지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무한한 에너지인 태양 빛을 활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변환시키는 발전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은 주택, 지붕 등 넓은 영역에 태양 전지 셀들을 배치한 태양 전지 모듈을 설치한다. 이러한 태양 전지 모듈은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단점은 넓은 영역을 확보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의 태양광 발전은 사각형으로 형성된 프레임에 복수의 태양 전지 셀들을 이용한다. 그러므로 넓은 영역이 단지 태양 전지 셀들의 배치를 위하여 활용되는 문제가 있다.
두 번째 단점은 미감이 좋지 않다는 것이다. 태양 전지 셀들은 대부분 플랫한 형태의 검은색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주변 환경들과 조화되지 못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좋지 않은 미감을 불러일으킨다.
세 번째 단점은 에너지 생산량이 적다는 것이다. 태양 전지는 공간 대비 에너지 생산량이 많지 않다. 따라서 태양 전지 셀들은 넓은 면적에 흉측하게 위치되어 적은 양이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 공개번호 “2021-0125962”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설치에 좁은 영역이 필요하며, 주변 환경들과 조화가 되어 미감이 도모되면서도 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는 플렉시블 한 소재를 이용하여 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태양광 발전부는 설정된 크기를 가지는 파티클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가 배치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가 상기 고정홈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기 연결홀과 연결되며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메인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측과 하측에 연결부가 형성되어, 다른 메인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의 길이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길이홀 중 어느 하나는 복수개의 연결홀과 연통되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된 복수개의 전선이 어느 하나의 길이홀에 위치되어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측에 위치된 제1메인프레임과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된 제2메인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메인프레임의 길이홀 중 어느 하나의 길이홀에 전선이 위치되면, 상기 제2메인프레임의 길이홀 중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결된 복수개의 전선은 상기 제1메인프레임의 길이홀 중 전선이 위치되어 있는 길이홀이 아닌 다른 길이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설정된 길이의 인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인입홀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연결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연결부가 인입홀에 인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인입홀을 폐쇄하는 형태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인입되어 상기 연결부를 상기 인입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인입홀의 주변에 일방향으로 연장된 탄성고정부가 배치되고, 상기 탄성고정부는 상기 연결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프레임은 나무의 가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은 나무의 줄기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프레임은 복수개의 연결돌기가 형성된 제1연결프레임과 복수개의 인입홈이 형성된 제2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일면과 상기 제2연결프레임의 타면이 중첩되어 배치되면 복수개의 연결돌기가 복수개의 인입홈에 인입되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길이를 따라서 이동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홀에는 상기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이동홀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이동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은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연결블록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은 복수개의 피스로 형성되며, 상가 각각의 메인프레임 각각은 자전부와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자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자전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 내측에 위치되는 이동부와 대향하고, 상기 연결블록과 상기 이동부가 대향하여 위치되면 상기 연결블록과 상기 이동부는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홈에 인입되는 형상으로 연결되는 위장프레임이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좁은 영역에 설치가 가능하며, 나무 등 주변 사물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미감이 도모되어 주변 환경들과도 조화가 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 발전 파티클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의한 개량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메인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개량된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제1 변형 예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제2 변형 예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제3 변형 예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제4 변형 예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연결프레임들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의한 연결프레임들의 다양한 변형 예이다.
도 14는 제4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5는 제4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이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제4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구체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제5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제5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제6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제6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 발전 장치의 길이홈의 크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제7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 발전 장치의 연결프레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 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 발전 파티클(2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는 베이스부(100)와 태양 발전 파티클(200)을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플렉시블한 소재(일례로 PP, PET 또는 PI)로 제조되며, 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100)의 설정된 형상은 나뭇잎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태양 발전 시 생성되는 전류가 이동될 수 있도록 회로가 미리 그려져 있을 수 있다.
태양 발전 파티클(200)은 설정된 크기의 구형으로 형성된다. 태양 발전 파티클(200)은 베이스부(100)에 복수개가 실장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태양 발전 파티클(200)은 베이스부(100)의 특정한 위치에서 복수개가 설정된 행과 열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태양 발전 파티클(200)은 코어부(210), 쉘부(220), 제1전극부(230), 제2전극부(240)를 포함한다.
코어부(210)는 P형 또는 N형 실리콘을 포함한다. 코어부(210)는 P형 또는 N형 도펀트(dopa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코어부(210)가 P형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코어부(210)는 그 자체가 실리콘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절연성 볼에 실리콘이 코팅된 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절연성 볼은 유리, 세라믹 또는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코어부(210)는 일례로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코어부(210)는 완전한 구형이 아닐 수 있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코어부(210)는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은 반구형이 될 수 있으며, 하측은 반구형이 수평방향으로 절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쉘부(220)는 코어부(210)와 대응되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쉘부(220)는 코어부(210)가 P형 반도체인 경우, N형 반도체일 수 있다. 쉘부(220)는 확산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쉘부(220)는 코어부(210)에 5족 원소를 포함하는 POCl3, H3PO4 등을 고온에서 확산시켜서 형성될 수 있다. 쉘부(220)는 코어부(210)의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코어부(210)의 하측은 둘러싸지 않을 수 있다.
제1전극부(230)는 코어부(210)와 연결되고, 쉘부(220)와는 연결되지 않으며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전극부(230)는 코어부(210)의 하측, 즉, 개방된 부분에 일측이 맞닿으며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전극부(230)와 쉘부(220) 사이에는 절연부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전극부(230)는 코어부(210)와만 맞닿을 수 있다.
제2전극부(240)는 쉘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전극부(24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쉘부(220)의 우측에서 배치되어 쉘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하여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도 3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형성된 본 발명인 태양 발전 파티클(200)은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베이스부(100)에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 발전 파티클(200)은 크기가 매우 작으므로 생산할 수 있는 에너지의 크기는 매우 작을 수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태양 발전 파티클(200)들이 생성하는 에너지의 총합은 다른 태양 발전 셀이 생성하는 에너지의 총합보다 압도적으로 클 수 있다.
그리고 태양 발전 파티클(200)이 생성한 에너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장치(500)로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의한 개량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는 연결프레임(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300)은 베이스부(100)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300)은 도 4에서 확인될 수 있듯이 일측은 대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타측은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300)은 연결홀(310)(연결프레임(300)의 내부에 형성)과 고정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홀(310)은 연결프레임(300)의 좌측과 우측을 관통하며 연결프레임(30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홀(310)은 연결프레임(300)에 베이스부(100)가 배치되면, 베이스부(100)에서 연장된 전선이 위치될 수 있다.
고정홈(320)은 연결프레임(300)의 형상을 따라서 연결프레임(300)의 상측에서 연결홀(310)과 연통되며 형성된다. 고정홈(320)은 연결프레임(300)에 베이스부(100)가 배치되는 경우, 베이스부(100)가 연결프레임(300) 내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4에서 확인될 수 있듯이, 베이스부(100)는 연결프레임(300) 내로 인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메인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400)은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으로 메인프레임(400)의 둘레에는 연결프레임(300)이 배치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400)은 연결프레임(300)의 연결홀(310)과 연통되어 형성된다. 즉, 메인프레임(400)은 복수개의 연결프레임(300)의 각각의 연결홀(310)과 연통되는 길이홀(4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베이스부(100)에서 연장된 전선은 메인프레임(400)의 각각에 형성된 연결홀(310)을 통하여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전선들은 상호 중첩되지 않고, 연장되어 도 5에서는 미도시된 배터리(5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프레임(400)은 도 5에서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디스플레이(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1참조) 메인프레임(400)의 디스플레이(600)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개량된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400)은 연결부(405)를 포함하여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이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6에서 좌측의 메인프레임(400)을 제1메인프레임(401)이라 명명하고, 우측의 메인프레임(400)을 제2메인프레임(402)이라고 지칭하겠다. 그리고 제1메인프레임(401)에 형성된 길이홀(410)을 제1길이홀(411)이라 지칭하고, 제2메인프레임(402)에 형성된 길이홀(410)을 제2길이홀(412)이라 지칭하겠다.
제1메인프레임(401)과 제2메인프레임(402)은 연결부(405)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메인프레임(401)과 제2메인프레임(402)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405)는 나사산이 형성된 돌기와 나사산이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일례로 제1메인프레임(401)의 상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돌기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메인프레임(402)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따라서 제1메인프레임(401)의 하측에 제2메인프레임(402)의 상측이 나사산으로 결합되며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긴 길이를 가지는 나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메인프레임(400)에는 복수개의 길이홀(410)이 형성되는데 각각의 메인프레임(400)에 연결된 베이스부(100)의 전선, PCB 또는 케이블 등이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400)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됨)
일례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길이홀(411)은 제1메인프레임(401)에 연결된 베이스부(100)에서 연장된 전선들이 합쳐진 채 이동될 수 있도록, 제1메인프레임(401)은 제1메인프레임(401)과 연결된 연결프레임(300)의 연결홀(310)과 연통되도록 길이홀(4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메인프레임(402)도 제1메인프레임(401)과 마찬가지로 제2길이홀(412)이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길이홀(410)에는 각각의 메인프레임(400)과 연통된 베이스부(100)의 전선들만이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각각 구획되어 연결된 전선들은 하측에서 미도시된 배터리(50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길이홀(410)은 내부가 빈 프레임들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제1 변형 예이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은 연결프레임(300)과 메인프레임(400)이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7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300)의 하측에는 방사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고정부(330)가 형성된다. 고정부(330)는 연결프레임(30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도 문제되지 않으나, 알루미늄 및 또는 다른 견고한 금속 등으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메인프레임(400)에는 인입홀(420)이 형성된다. 인입홀(420)은 도 7에서 확인될 수 있듯이 길이홀(410)과 연결되어 형성되되 길이홀(410)의 가로방향보다 긴 가로방향을 가지며 형성된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연결프레임(300)의 연결홀(310)을 생략함)
따라서 연결프레임(300)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부(330)가 메인프레임(400)의 인입홀(420)에 위치되며 연결프레임(300)과 메인프레임(400)은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제2 변형 예이다.
연결프레임(300)의 고정부(330)에는 결합홈(331)이 형성되고, 메인프레임(400)의 인입홀(420)에는 결합돌기(4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서 결합홈(331)과 결합돌기(421)는 과장하여 도시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고정부(330)가 정렬되어 인입홀(420)에 위치되면, 결합홈(331)에는 결합돌기(421)가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프레임(300)과 메인프레임(400)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제3 변형 예이다.
한편, 도 8과 다르게 도 9와 같이 결합돌기(430)는 메인프레임(400)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결합홈(331)도 고정부(330)의 상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결합돌기(430)가 결합홈(331)에 인입되어 고정부(330)가 인입홀(420)에 고정되는 것은 동일하나, 결합돌기(421)와 결합홈(331)의 위치로 인하여 결합이 보다 쉬울 수 있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제4 변형 예이다.
또 다른 변형 예로는 메인프레임(400)의 인입홀(420) 둘레에서 탄성고정부(440)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고정부(440)는 도 10의 (a)에서 확인될 수 있듯이 상측 부분이 개방된 형태로 상측으로 갈수록 중앙 측으로 경사지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프레임(300)이 인입홀(420)로 위치되는 경우, 도 10의 (b)에서 확인될 수 있듯이, 탄성고정부(440)는 연결프레임(300)에 따라 억지로 중앙에서 멀어지는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복원력으로 인하여 연결프레임(300)을 가압한다. 따라서 연결프레임(300)은 메인프레임(4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정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는 실제 나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베이스부(100)와 태양 발전 파티클(200)로 구성되어 형성된 형태가 나뭇잎과 유사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여기서, 베이스부(100)와 파티클(200)은 제1 실시예에 의한 바와 유사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하겠다.
다만, 연결프레임(300)은 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프레임(300)의 일측은 연결홀(310)과 고정홈(320)이 형성된 것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나, 연결프레임(300)은 메인프레임(400)에 연결되지 않고, 나무의 가지에 고정된다. 일례로 연결프레임(300)은 중앙이 빈 공간인 원형으로 형성되어서, 가지가 빈 공간에 인입되어 연결프레임(300)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프레임(400)은 나무의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나무의 줄기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400)의 내측으로 베이스부(100)와 연결된 전선들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전선들은 땅 밑에 배치된 배터리(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400)에는 디스플레이(600)가 배치되어 다양한 환경정보를 디스플레이(600)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00)는 배터리(50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태양 발전 파티클(200)이 생산한 에너지를 통하여 가동될 수 있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연결프레임들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의한 연결프레임들의 다양한 변형 예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다르게 필요에 따라서 연결프레임(300) 간에 상호 결합되어 특유의 조형미를 형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연결프레임(300)들이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2에서 상측에 위치된 연결프레임(300)을 제1연결프레임(301)이라 명명하고, 하측에 위치된 연결프레임(300)을 제2연결프레임(302)이라고 명명하겠다.
제1연결프레임(301)과 제2연결프레임(302)은 전술한 연결프레임(300)들과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제1연결프레임(301)과 제2연결프레임(302)은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미도시되어 있으나, 제1연결프레임(301)과 제2연결프레임(302)은 전선의 이동을 위한 길이홀(410)이 각각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후술할 연결돌기(340)와 인입홈(350)에 각각 연통되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0)의 형상이 나뭇잎 형상이 아닐수도 있다. 즉, 베이스부(100)는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연결프레임(301)의 하측에는 연결돌기(340)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돌기(340)는 하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제2연결프레임(302)의 상측에는 인입홈(35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프레임(301)과 제2연결프레임(302)은 복수개의 연결돌기(340)가 복수개의 인입홈(350)에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일례로 도 12에서 3개의 연결돌기(340)가 3개의 인입홈(350)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1연결프레임(301)과 제2연결프레임(302)이 상호 연결되며 특유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연결프레임(301)과 제2연결프레임(302)의 형상은 육면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일 수 있으며 이외에 원형, 원뿔형, 원추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연결돌기(340)의 배치되는 형상과 인입홈(350)이 배치되는 형상은 그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베이스부(100)와 태양 발전 파티클(200)이 이러한 설정된 형상의 제1연결프레임(301)과 제2연결프레임(302)에 각각 고정되어 배치되는 것과 복수개의 연결돌기(340)에 복수개의 인입홈(350)이 연결되는 것은 유사할 것이다.
한편, 미도시된 제1연결프레임(301)과 제2연결프레임(302)에 형성된 길이홀(410)에는 전선이 배치되지 않은 경우, 평형을 위하여 평형블록이 위치될 수도 있다.
도 14는 제4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15는 제4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이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도 16은 제4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구체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4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는 메인프레임(400)에 이동홀(450)과 이동부(460)가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과 같은 태양광 발전 장치는 나무와 같이 높은 위치에 베이스부(100)와 태양 발전 파티클(200)이 위치되므로, 파손되어 수리가 필요한 경우 수리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장치가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데, 이는 장치를 동작시키는 에너지가 충분하다는 것이므로, 작업자가 상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베이스부(100)와 태양 전지 파티클(200)을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는 메인프레임(400)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이동홀(450)과 이 이동홀(450)을 승강하며 움직이는 이동부(460)로 인하여 가능하다.
즉, 수리, 교체 등이 필요한 베이스부(100), 태양 발전 파티클(200), 연결프레임(300)은 이동부(460)와 연결되어 이동부(460)의 동작에 따라 하강되어 메인프레임(40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460)는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일 수 있으며, (b)와 같이 래크, 피니언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형 승강기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어도 문제되지 않는다.
제4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 장치를 도 16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겠다.
구체적으로 연결프레임(300)은 연결블록(360)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연결블록(360)에는 제1전자석부(370)가 위치되어 있다. 메인프레임(400)은 복수개의 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메인프레임(400)은 도 16에서 상측에 위치된 메인프레임(400)을 제1메인프레임(401)이라 명명하고, 하측에 위치된 메인프레임(400)을 제2메인프레임(402)이라고 명명하겠다. 그리고 이동부(460)에는 제2전자석부(470)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메인프레임(402) 내에는 각 구성들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메인프레임(401)의 내에 배치된 각 구성들이 제2메인프레임(402)에도 형성되어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메인프레임(400)에는 자전부가 배치되어 있다. 자전부는 메인프레임(400)의 내부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제1기어(482) 및 제1기어(482)와 치합되며 고정된 모터(481)의 샤프트에 연결된 제2기어(483)일 수 있다.
자전부는 각각의 메인프레임(400)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메인프레임(400)은 중심 또는 그 부근에 회전축이 위치될 수도 있다. 회전축에는 이동부(460)가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제1메인프레임(401)에 위치된 베이스부(100)와 태양 발전 파티클(200)이 손상되면, 모터(481)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2기어(483)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제1메인프레임(401)은 자전될 수 있다. 제1메인프레임(401)의 자전으로 연결블록(360)과 이동부(460)가 대향하게 되면 제1전자석부(370), 제2전자석부(470)에 전원(여기서 전원은 태양 발전 파티클(200)이 생산한 에너지가 기저장된 것일 수 있음)이 공급되어 연결블록(360)과 이동부(460)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후 제2메인프레임(402) 및 나머지 메인프레임(400)의 각각의 자전부가 동작되어 이동홀(450)이 길이 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동부(460)와 연결된 연결블록(360)에는 하측을 향하는 길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이동부(460)는 하강하여 연결된 연결블록(360)을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므로 연결블록(360)에 연결된 베이스부(100)와 태양 발전 파티클(200)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제1전자석부(370)와 제2전자석부(470)는 전원이 해제될 수 있다.
수리가 종료된 후에는 전술한 동작이 반대로 될 수 있다.
하측에 위치된 이동홀(450)에 연결블록(360)을 배치하고, 제1전자석부(370)와 제2전자석부(470)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1전자석부(370)와 제2전자석부(470)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 후 이동부(460)가 상승한다. 여기서 당연하게도 각각의 메인프레임(400)은 이동홀(450)이 상호 연통되도록 정렬된다. 이후, 연결블록(360)이 목표된 위치에 위치되면, 제1전자석부(370)와 제2전자석부(470)에 전원이 해제된다. 이후, 모터(481)가 회전되어 제1메인프레임(401)이 자전되어 연결블록(360)의 위치를 원래의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7은 제5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18은 제5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5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400)에 반사면(490)이 배치될 수 있다. 반사면(490)은 빛을 반사하여 베이스부(100)에 도달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5실시예에 의한 경우 본 발명은 베이스부(100)에 더 많은 빛이 도달되도록 하여 태양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제6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반사면(490)은 연결프레임(300)에 연결되고, 연결프레임(300)은 틸트부(495)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틸트부(495)의 주변에 메인프레임(400)에는 광센서(496)가 배치될 수 있다. 광센서(496)는 광을 인지할 수 있다. 광센서(496)가 광을 인지하면 틸트부(495)는 동작되어 반사면(49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반사면(490)은 베이스부(100)에 도달되지 않고, 메인프레임(400)으로 도달되는 광을 반사시켜 베이스부(100)로 광이 도달되도록 하여 태양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9는 제6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6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나무의 형상을 보다 유사하게 모사할 수 있다.
제6실시예에 의한 경우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400), 연결프레임(300), 위장프레임(70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400)의 둘레에는 메인프레임(4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길이홈(415)이 형성된다. 길이홈(415)은 메인프레임(4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메인프레임(400)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찰 시 'l'의 단면의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과'l'의 단면을 가지는 프레임이 대향하여 위치되어 'll'자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400)은 제1메인프레임(401)과 제2메인프레임(402)으로 형성되며, 제1메인프레임(401)의 길이홈(415)과 제2메인프레임(402)의 길이홈은 약간 다를 수 있다. 여기서는 제1메인프레임(401)이 하측에 위치되어 제1메인프레임(401)의 연결부(405)가 제2메인프레임(402)의 하측에 인입되는 것을 가정하도록 하겠다.
한편, 제1메인프레임(401)과 제2메인프레임(402)의 내부의 형상은 전술한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즉, 복수의 길이홀(410)이 형성될 수 있음 - 도 19에서 지시번호 없음)
제2메인프레임(402)에 형성된 길이홈(415)은 제1메인프레임(401)의 길이홈(415)과 다르게 제2메인프레임(402)의 상측에서부터 하측까지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메인프레임(402)의 상측에는 서브프레임(406)이 위치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406)은 제2메인프레임(402)과 비교 시 직경과 세로길이가 제2메인프레임(402)보다 작을 수 있다. 서브프레임(406)은 제2메인프레임(402)의 상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프레임(406)의 내부는 미도시 되어 있으나 길이홀(410)이 형성되고 제2메인프레임(402)의 길이홀(410)과 연통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연결프레임(300)에 미도시된 연결홀(310)과 연통되는 길이홀(410)이 서브프레임(406)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300)은 도 1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의 형상을 따라서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300)의 일부면에는 고정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330)는 길이홈(415)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프레임(30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면 고정부(330)가 길이홈(415)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위장프레임(700)은 메인프레임(400)의 길이홈(415)에 인입되어 나무의 형상을 모사할 수 있다. 위장프레임(700)은 연결프레임(300)과 유사한 형상의 위장연결부(710)가 형성된다. 위장연결부(710)는 고정부(330)와 마찬가지로 길이홈(415)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위장프레임(70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며 메인프레임(400)의 길이홈(415)에 인입될 수 있다.
위장프레임(700)은 제1위장프레임(701), 제2위장프레임(702), 제3위장프레임(7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위장프레임(701)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가로방향을 따라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위장프레임(701)은 뿌리의 형상을 모사함과 동시에 안정적인 지지력이 가능할 수 있다.
제1위장프레임(701)은 제1메인프레임(401)의 길이홈(415)에 인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위장프레임(701)의 하측은 지면과 맞닿아 제1메인프레임(401)을 지지할 수 있다.
제2위장프레임(702)은 하측 일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위장프레임(702)의 하측은 단면이 '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위장프레임(702)의 하측에는 다양한 전자장치들이 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위장프레임(702)의 하측의 형상은 각각의 제2위장프레임(702)들이 배치되고, 이들이 조합되어 'ㅁ'와 같은 형상일 수 있다.
제2위장프레임(702)은 제1메인프레임(401)의 길이홈(415)에 인입될 수 있다. 제2위장프레임(702)은 제1메인프레임(40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3위장프레임(703)은 제1, 2위장프레임(701, 702)와 다르게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제3위장프레임(703)은 제2메인프레임(402)에 인입되어 나무 줄기를 모사할 수 있다.
이처럼 제6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제1메인프레임(401)의 길이홈(415)에 제1위장프레임(701), 제2위장프레임(702)이 인입되고, 제1메인프레임(401)에 제2메인프레임(402)이 연결되며, 제3위장프레임(703)이 제2메인프레임(402)의 길이홈(415)에 인입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406)에는 태양 발전 파티클(200)이 배치된 연결프레임(300)이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나무 형상을 모사한 태양 발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은 제6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 발전 장치의 길이홈의 크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길이홈(415)은 하측으로 갈수록 가로길이가 미세하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L1 < L2) 즉, 도 2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4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길이홈(415)은 상측의 가로길이(L2)가 하측의 가로길이(L1)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결프레임(300) 또는 위장프레임(700)을 길이홈(415)에 인입시키면 일정한 가로길이를 가지는 고정부(330) 또는 위장연결부(7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21은 제7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태양 발전 장치의 연결프레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제7실시예에 의한 경우 연결프레임(300)은 제1연결프레임(301)과 제2연결프레임(302)이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프레임(301)은 제6실시예에 의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지 형상을 모사하며 형성되며, 복수개의 연결홀(3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연결프레임(301) 또는 제2연결프레임(302)의 고정부(330)는 연결홀(310)에 인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어느 하나의 제1연결프레임(301)에는 다른 하나의 제1연결프레임(301)의 고정부(330)가 연결홀(310)에 인입되거나 다른 제2연결프레임(302)의 고정부(330)가 연결홀(310)에 인입되어 여러 방향을 향하는 가지의 형상을 모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연결프레임(301) 또는 제2연결프레임(302)의 단부에는 태양 발전 파티클(200)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베이스부
200 : 태양 발전 파티클
210 : 코어부
220 : 쉘부
230 : 제1전극부
240 : 제2전극부
300 : 연결프레임
301 : 제1연결프레임
302 : 제2연결프레임
310 : 연결홀
320 : 고정홈
330 : 고정부
331 : 결합홈
340 : 연결돌기
350 : 인입홈
360 : 연결블록
370 : 제1전자석부
400 : 메인프레임
401 : 제1메인프레임
402 : 제2메인프레임
405 : 연결부
406 : 서브프레임
410 : 길이홀
411 : 제1길이홀
412 : 제2길이홀
415 : 길이홈
420 : 인입홀
421 : 결합돌기
430 :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돌기
440 : 탄성고정부
450 : 이동홀
460 : 이동부
470 : 제2전자석부
481 : 모터
482 : 제1기어
483 : 제2기어
490 : 반사면
495 : 틸트부
496 : 광센서
500 : 배터리
600 : 디스플레이
700 : 위장프레임
701 : 제1위장프레임
702 : 제2위장프레임
703 : 제3위장프레임
710 : 위장연결부

Claims (18)

  1. 플렉시블 한 소재를 이용하여 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된 투명한 베이스부;
    설정된 크기를 가지는 파티클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 위치되는 복수개의 태양광 발전부;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둘레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가 배치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연결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어서, 태양광이 어느 하나의 베이스부를 투과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베이스부보다 하측에 위치된 베이스부에 도달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가 배치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가 상기 고정홈에 위치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기 연결홀과 연결되며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측과 하측에 연결부가 형성되어, 다른 메인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의 길이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길이홀 중 어느 하나는 복수개의 연결홀과 연통되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된 복수개의 전선이 어느 하나의 길이홀에 위치되어 연결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측에 위치된 제1메인프레임과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된 제2메인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메인프레임의 길이홀 중 어느 하나의 길이홀에 전선이 위치되면,
    상기 제2메인프레임의 길이홀 중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결된 복수개의 전선은 상기 제1메인프레임의 길이홀 중 전선이 위치되어 있는 길이홀이 아닌 다른 길이홀에 위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설정된 길이의 인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인입홀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연결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연결부가 인입홀에 인입되어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인입홀을 폐쇄하는 형태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인입되어 상기 연결부를 상기 인입홀에 고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인입홀의 주변에 일방향으로 연장된 탄성고정부가 배치되고,
    상기 탄성고정부는 상기 연결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을 가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길이를 따라서 이동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홀에는 상기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이동홀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이동부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은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며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연결블록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은 복수개의 피스로 형성되며, 상가 각각의 메인프레임 각각은 자전부와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자전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자전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 내측에 위치되는 이동부와 대향하고,
    상기 연결블록과 상기 이동부가 대향하여 위치되면 상기 연결블록과 상기 이동부는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며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홈에 인입되는 형상으로 연결되는 위장프레임이 연결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KR1020220047075A 2022-04-15 2022-04-15 태양광 발전 장치 KR102518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075A KR102518231B1 (ko) 2022-04-15 2022-04-15 태양광 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075A KR102518231B1 (ko) 2022-04-15 2022-04-15 태양광 발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231B1 true KR102518231B1 (ko) 2023-04-05

Family

ID=8588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075A KR102518231B1 (ko) 2022-04-15 2022-04-15 태양광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2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924A (ko) * 2010-08-03 2012-02-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솔라 트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 구조물
KR102254556B1 (ko) * 2020-12-28 2021-05-20 김은성 가로등암의 회전 및 승강이 가능한 가로등주
KR20210125962A (ko) 2020-04-07 2021-10-19 신정훈 태양광 발전용 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924A (ko) * 2010-08-03 2012-02-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솔라 트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 구조물
KR20210125962A (ko) 2020-04-07 2021-10-19 신정훈 태양광 발전용 폴 시스템
KR102254556B1 (ko) * 2020-12-28 2021-05-20 김은성 가로등암의 회전 및 승강이 가능한 가로등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613501U (zh) 聚光型光伏单元、聚光型光伏模块,聚光型光伏面板和聚光型光伏装置
CN106664054B (zh) 光伏模块和光伏面板
CN102159882B (zh) 照明灯
US7459880B1 (en) Solar generator panel for an electric or hybrid vehicle
KR102164582B1 (ko)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US20160325200A1 (en) Light-emitting toy module
US10097135B2 (en) Photovoltaic systems with intermittent and continuous recycling of light
KR20050028007A (ko) 기와형 태양광 발전장치 및 방법
KR101334092B1 (ko) 랙 타입 구조를 가지는 태양광 충전장치
US11935978B2 (en) Electromagnetic energy converter
KR102518231B1 (ko)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781265B1 (ko) 적층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JP7408811B2 (ja) 太陽電池パネルが装着可能なルーバー組立体
KR101232730B1 (ko) 나무 모양의 태양광 발전 장치
KR102373237B1 (ko) 태양광 발전 장치
US20180003353A1 (en) Solar light with wind turbine generator
KR102335150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태양전지 모듈 조립 방법
TWI449196B (zh) 偏折元件及使用此偏折元件的日光準直系統
KR200414631Y1 (ko) 시로코팬 발전구조를 갖는 하이브리드 태양광 가로등
JP2018182773A (ja) 光発電装置
CN214955720U (zh) 一种户外复合式太阳能标识牌
KR101514430B1 (ko) 입사 효율이 우수한 태양광 발전 장치
US20240088827A1 (en) Solar cell array mounting system and method
US11264945B2 (en) Verta solar sun panel
CN207146218U (zh) 照明灯具及高炮广告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