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227B1 - Evalu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welling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e - Google Patents

Evalu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welling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227B1
KR102518227B1 KR1020180059490A KR20180059490A KR102518227B1 KR 102518227 B1 KR102518227 B1 KR 102518227B1 KR 1020180059490 A KR1020180059490 A KR 1020180059490A KR 20180059490 A KR20180059490 A KR 20180059490A KR 102518227 B1 KR102518227 B1 KR 102518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cell
electrolyte
chamber
swelling
mo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4179A (en
Inventor
이정민
임영민
이철행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59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227B1/en
Publication of KR20190134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1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2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6Initial charging meas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4Activating, forming or electrochemical attack of the supporting material
    • H01M4/0445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 H01M4/0447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of complete cells or cells st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셀 개발 단계에서 전해액 측면에서의 스웰링 현상의 원인이 되는 내부 가스 발생량 측정방법을 모노셀 단위로 단순화하고, 가스 발생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의 스웰링(Swelling) 특성 평가장치는 내부에 모노셀 안착부가 형성된 챔버; 상기 챔버의 위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에 안착된 모노셀을 펀칭하는 펀칭부; 상기 챔버의 하부 측면으로부터 상기 모노셀 안착부와 연통된 벤트 홀(Vent Hole)을 포함한 벤트부; 및 상기 벤트부와 연결되고, 실시간(in-situ) 가스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internal gas generation amount measurement method, which is the cause of the swelling phenomenon on the side of the electrolyte in the battery cell development stage, in units of monocells, and measures the gas generation amount in real time to effectively evaluate the swelling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lyte. And it relates to providing a method, the swelling (Swelling) characteristic evaluation apparatus of the electroly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mber formed with a mono-cell seating portion therein; a punching unit disposed on the chamber and punching the monocell seated in the chamber; a vent portion including a ven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monocell mounting por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and a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vent unit and including an in-situ gas pressure sensor.

Description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 평가장치 및 평가방법{Evalu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welling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e}Swelling characteristics evaluation device and evaluation method of electrolyte {Evalu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welling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e}

본 발명은 리튬이차전지 모노셀을 이용한 전해액의 스웰링(Swelling) 특성 평가장치 및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swelling characteristics of an electrolyte solution using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onocell.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주목 받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이차전지의 장점으로 인해 매우 다양화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지금보다는 많은 분야와 제품들에 이차전지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Recently, secondary batteries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have been widely used as energy sources for wireless mobile devices. In addition, secondary batteri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n energy source for electric vehicles, hybrid electric vehicles, etc., which are proposed as a solution to air pollution such as existing gasoline vehicles and diesel vehicles using fossil fuels. Therefore, the types of applications using secondary batteries are diversifying due to the advantages of secondary batteries, and it is expected that secondary batteries will be applied to more fields and products than now.

이러한 이차전지는 양극, 분리막,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파우치 내에 수납한 후 내부에 전해액을 주액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구성하는 양극 및 음극은 전극시트 상에 양극재 및 음극재를 도포하여 이루어진다. 이차전지는 적용되는 디바이스에 맞춰 다양한 성능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양극재, 음극재 및 전해액를 사용한 이차전지의 개발이 필요하다.Such a secondary battery is formed by storing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cathode, a separator, and a cathode in a pouch and then injecting an electrolyte into the pouch.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constituting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secondary battery are formed by coating a positive electrode material and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on an electrode sheet. Secondary batteries require various performances according to the device to which they are appli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secondary batteries using various cathode and anode materials and electrolytes.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과충전, 과방전, 과열,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전지가 비정상적인 상태로 작동되면서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열된 전지는 가스를 발생시키고 케이스에서 가압된 가스는 전지요소의 분해반응을 더욱 촉진시켜 계속적인 과열 및 가스 발생을 유발하며, 스웰링(swell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해 이차전지가 서서히 열화되는 과정에서도 나타난다. 이에 제품 개발 전 단계인 소재 개발 단계에서 전해액 측면에서의 스웰링 개선을 위한 신규 물질에 대한 스크리닝 평가 방법이 필요하다.In general, when a secondary battery operates in an abnormal state due to overcharging, overdischarging, overheating, external shock, etc., gas may be generated inside. For example, an overheated battery generates gas, and the gas pressurized in the case further accelerates the decomposition reaction of battery elements, causing continuous overheating and gas generation, and swelling may occur. This phenomenon also appears in the process of gradually deteriorating the secondary battery due to long-term use. Therefore, a screening evaluation method for new materials to improve swelling in terms of electrolyte solution is needed in the material development stage, which is the stage before product development.

일반적으로 이차전지 스웰링 테스트는 양극과, 음극, 분리막으로 전극조립체를 구성한 후, 전극조립체를 파우치에 수납하고 전해액을 주액하여 형성한 소형셀 사용한다. 상기 소형셀을 고온의 환경에 노출시켜 가스가 발생되는 정도를 평가하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스웰링 테스트 시 소형셀의 두께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한 두께 측정기(100)를 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측정기(100)는 소형셀(101)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111)와 소형셀(101)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112)가 안착부(111) 상부에 마련되며, 안착부(111)에 안착된 소형셀(101)에 압력을 일정하게 가하기 위한 추(113)를 포함한다.In general, a secondary battery swelling test uses a small cell formed by configuring an electrode assembly with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stor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a pouch, and injecting an electrolyte solution. Exposing the small cell to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evaluates the degree to which gas is generated.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ickness measuring device 100 for measuring a thickness variation of a small cell during such a swelling test. As shown in Figure 1, the thickness measuring instrument 100 is a small cell 101 is seated portion 111 and the measuring device 112 for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small cell 101 to be seated portion 111 ) Is provided at the top, and includes a weight 113 for constantly applying pressure to the small cell 101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11.

상기 소형셀을 사용한 이차전지 스웰링 테스트는 소형셀의 재료준비에서부터 셀 평가단계까지 1개월 이상이 소요된다. The secondary battery swelling test using the small cell takes one month or more from material preparation of the small cell to the cell evaluation step.

이에 전해액의 모든 후보군을 스웰링 테스트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짧은 기간에 간단히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Therefore, since it takes a lot of time to perform a swelling test for all candidates of the electrolyte, a method for simply checking performance in a short period of time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technical problems that have been requested from the pas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전지셀 개발 단계에서 전해액 측면에서의 스웰링 현상의 원인이 되는 내부 가스 발생량 측정방법을 모노셀 단위로 단순화하고, 가스 발생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valuate the swelling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lyte, and simplify the method of measuring the amount of internal gas generation, which is the cause of the swelling phenomenon on the side of the electrolyte in the battery cell development stage, in units of monocells, and the amount of gas generation It is to provide a device and method for effectively evaluating swelling characteristics of an electrolyte by measuring in real tim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의 스웰링(Swelling) 특성 평가장치는 내부에 모노셀 안착부가 형성된 챔버; 상기 챔버의 위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에 안착된 모노셀을 펀칭하는 펀칭부; 상기 챔버의 하부 측면으로부터 상기 모노셀 안착부와 연통된 벤트 홀(Vent Hole)을 포함한 벤트부; 및 상기 벤트부와 연결되고, 실시간(in-situ) 가스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apparatus for evaluating swelling (Swelling) characteristics of an electroly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ncludes a chamber having a mono-cell seating portion formed therein; a punching unit disposed on the chamber and punching the monocell seated in the chamber; a vent portion including a ven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monocell mounting por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and a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vent unit and including an in-situ gas pressure sensor.

본 발명에서, 상기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 평가장치 외부에 진공펌프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vacuum pump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welling property evaluation device of the electrolyte.

본 발명에서, 상기 진공펌프는 상기 벤트부의 개폐 밸브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pump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of the vent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챔버는 하부와 상부가 O-ring에 의하여 완전 밀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and upper parts are completely hermetically coupled by an O-ring.

본 발명에서, 상기 펀칭부는 펀치, 상기 펀치 상부에 형성된 펀치헤드, 및 상기 펀치둘레에 위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nch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unch, a punch head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punch, and a spring positioned around the punch.

본 발명에서, 상기 펀칭부는 상기 챔버와 밀폐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nching unit is disposed to be sealed with the chamber.

본 발명에서 상기 챔버의 내부온도를 10℃ 내지 100℃ 범위로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hamber in the range of 10 ℃ to 100 ℃.

본 발명에서, 상기 센싱부의 가스 압력 측정범위는 -10 내지 20 Ba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as pressure measurement range of the sens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10 to 20 Bar.

본 발명에서, 상기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 평가장치는 압력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신호에 따른 압력 변화 및 가스 발생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welling property evaluation apparatus of the electroly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pressure change and gas gener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signal from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pressure senso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의 스웰링(Swelling) 특성 평가방법은 상기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 평가장치에 의해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한 개의 양극, 한 개의 분리막 및 한 개의 음극을 포함하는 모노셀을 제조하는 모노셀 제조단계(S10); 상기 모노셀에 평가대상 전해액을 주입하는 전해액 주입단계(S20); 상기 전해액이 주입된 모노셀을 상온에서 숙성(Aging), 포메이션(Formation) 및 디개싱(Degassing)하는 모노셀 준비단계(S30);To achieve this object, the swelling property evaluation method of the electrolyte so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evaluating the swelling property of the electrolyte solution by the swelling property evaluation device of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includes one anode, one separator and A mono-cell manufacturing step of manufacturing a mono-cell including one negative electrode (S10); An electrolyte injection step of injecting an electrolyte to be evaluated into the monocell (S20); A monocell preparation step (S30) of aging, forming, and degassing the monocell injected with the electrolyte at room temperature;

상기 모노셀을 만충하는 모노셀 만충단계(S40); 상기 장치의 모노셀 안착부에 상기 모노셀을 안착시키고 상기 장치의 챔버를 밀폐 결합한 후, 상기 챔버 내부에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모노셀 안착단계(S50); 상기 모노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의 이동을 위한 천공하는 모노셀 펀칭단계(S60); 및 상기 모노셀을 가열, 고온저장 및 하온하고, 각 과정에서 상기 모노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압력센서로 실시간(in-situ) 측정하는 가스 압력 측정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A mono-cell full filling step (S40) of fully filling the mono-cell; A monocell seating step (S50) of seating the monocell on the monocell seating portion of the device, sealingly coupling the chamber of the device, and creating a vacuum environment inside the chamber; A mono-cell punching step (S60) to perforate the movement of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cell; And a gas pressure measuring step (S70) of heating, storing and lowering the monocell at a high temperature, and measuring in-situ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cell in each process with a pressure sensor. .

본 발명에서, 상기 전해액 주입단계(S20)에서 상기 모노셀에 상기 전해액을 500㎕이하 범위로 주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monocell in the range of 500 μl or less in the electrolyte injection step (S20).

본 발명에서, 상기 가스 압력 측정단계(S70) 이전에 상기 모노셀을 0℃ 내지 30℃에서 1시간 이상 안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tabilizing the monocell at 0 ℃ to 30 ℃ for 1 hour or more before the gas pressure measuring step (S70).

본 발명에서, 상기 모노셀 내부에서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모노셀을 가열하는 모노셀 승온단계(S71); 상기 승온 단계를 통하여 도달한 고온의 환경에서 저장하는 모노셀 저장단계(S72); 및 상기 모노셀 저장단계의 상기 모노셀을 냉각하는 모노셀 하온단계(S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o-cell temperature raising step (S71) of heating the mono-cell to generate gas inside the mono-cell; A mono-cell storage step (S72) of storing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reached through the temperature-raising step;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no-cell heating step (S73) of cooling the mono-cell of the mono-cell storage step.

본 발명에서, 상기 모노셀 승온단계(S71)에서는 상기 모노셀을 50℃ 내지 100℃ 범위로 30분 이상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nocell temperature raising step (S7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nocell is heated for 30 minutes or more in the range of 50 ℃ to 100 ℃.

본 발명에서, 상기 모노셀 저장단계(S72)에서는 상기 모노셀을 50℃ 내지 100℃ 범위에서 12시간 내지 48시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nocell storage step (S7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nocell is stored for 12 hours to 48 hours in the range of 50 ℃ to 100 ℃.

본 발명에서, 상기 모노셀 하온단계(S73)에서는 상기 모노셀을 0℃ 내지 30℃ 범위로 30분 이상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ocell heating step (S7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nocell is cooled for 30 minutes or more in the range of 0 ℃ to 30 ℃.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 평가장치 및 평가방법은 실제 전지와 유사한 환경을 구사하기 위하여 양극/음극/분리막 1장씩을 사용하여 간단히 제작할 수 있는 모노셀을 사용하고, 평가방법을 단기간에 단순화하여 전해액 개발을 위한 신규 재료들의 고온에서의 스웰링 특성을 적은 양으로 빠르게 스크리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welling property evaluation device and evaluation method of the electroly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onocell that can be simply manufactured using one anode/cathode/separator sheet in order to achieve an environment similar to that of an actual battery, and simplifies the evaluation metho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us, there is an effect of quickly screening the swelling characteristics at high temperatures of new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an electrolyte solution in a small amou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 평가장치 및 평가방법은 전지 내부에서 고온 하에서 발생된 가스를 압력 센서로써 측정할 목적으로 새롭게 제작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전지의 실제 고온저장 환경에서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welling property evaluation apparatus and evaluation method of the electrolyte so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newly manufactured device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the gas generated under high temperature inside the battery as a pressure sensor, thereby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in an actual high temperature storage environme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reflected.

도 1은 종래 두께 측정기를 이용하여 소형셀의 두께를 측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스웰링 특성 평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스웰링 특성 평가장치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노셀 및 펀치부로 천공이 생성되는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의 챔버 하부, 벤트부, 센싱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 및 도 3의 챔버 하부, 벤트부, 센싱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 및 도 3의 챔버 상부, 펀칭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가대상 전해액들을 주입한 모노셀들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해액 스웰링 특성 평가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how to measure the thickness of a small cell using a conventional thickness met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olyte swelling characteristic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an electrolyte swelling characteristic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position where perforations are created with a monocell and a punch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lower part of the chamber, a vent part, and a sensing part of FIGS. 2 and 3;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lower part of the chamber, a vent part, and a sensing part of FIGS. 2 and 3;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punching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chamber of Figs. 2 and 3;
8 is a graph showing test results of monocells injected with electrolytes to be evalu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showing the sequence of the electrolyte swelling property evalu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drawing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for easi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r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the middl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스웰링(Swelling) 특성 평가장치(200)는 내부에 모노셀 안착부(201)가 형성된 챔버(210); 상기 챔버(210)의 위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210)에 안착된 모노셀을 펀칭하는 펀칭부(220); 상기 챔버(210)의 하부 측면으로부터 상기 모노셀 안착부(201)와 연통된 벤트 홀(Vent Hole, 231)을 포함한 벤트부(230); 및 상기 벤트부(230)와 연결되고, 실시간(in-situ) 가스 압력 센서(241)를 포함하는 센싱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보하면, 상기 챔버는 상부와 하부로 구성되어 있고 챔버의 하부는 모노셀을 수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공간이 만입된 형상으로, 상부는 판상형이다. 이와 달리 상/하부 모두 내부로 만입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electrolyte swelling (Swelling) characteristic evalu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mber 210, the mono-cell mounting portion 201 is formed therein; a punching unit 220 disposed on the chamber 210 and punching the monocell seated in the chamber 210; A vent part 230 including a vent hole (Vent Hole, 231) communicating with the monocell seating part 201 from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210; and a sensing unit 240 connected to the vent unit 230 and including an in-situ gas pressure sensor 241 . 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chamber is composed of an upper and low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has a shape in which a space is recessed inward to accommodate the monocell, and the upper portion is plate-shaped. Unlike this, both the upper and lower parts may have a recessed shape.

상기 전해액 스웰링 특성 평가장치(200)는 상기 장치 외부에 진공펌프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챔버(210)의 내부 공기를 제거하여 상기 모노셀 안착부(201)에 진공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벤트부(230)의 개폐 밸브(232)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상기 개폐 밸브(232)를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swelling property evaluation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a vacuum pump outside the device. Using the vacuum pump, it is possible to create a vacuum environment in the mono-cell mounting portion 201 by removing the air inside the chamber 210. The vacuum pump can be controlled in various ways, and preferably, it can be controlled using the on-off valve 232 by connecting it through the on-off valve 232 of the vent unit 230 .

먼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노셀 안착부(201)는 평가의 대상이 되는 전해액이 주입된 모노셀(1)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노셀 안착부(201)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는 제한되지 않으나, 평면상에서 사각형인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다. 상기 모노셀 안착부(201)는 평가대상이 되는 전해액이 주입된 모노셀(1)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모노셀 안착부(201)는 모노셀(1)을 수납하기 충분한 크기면 족하다. 상기 모노셀(1)은 하나의 양극, 하나의 분리막 및 하나의 음극을 적체하고, 평가대상 전해액을 주입하고 밀봉하여 제작한다.First,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monocell mounting portion 201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accommodate the monocell 1 into which the electrolyte to be evaluated is injected. The planar shape and size of the monocell mounting portion 201 is not limited, but is shown as an example of a rectangle on a plane. The monocell seating portion 201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monocell 1 injected with the electrolyte to be evaluated is seated. At this time, the mono-cell mounting portion 201 is sufficient if it is large enough to accommodate the mono-cell (1). The monocell 1 is manufactured by stacking one anode, one separator, and one cathode, injecting an electrolyte solution to be evaluated, and sealing it.

또한, 도 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노셀 안착부(201)는 후술하는 챔버(210)에 의하여 외부환경으로부터 분리되어 밀폐된다. 상기 모노셀(1)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는 밀폐된 모노셀 안착부에 확산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monocell mounting portion 201 is sealed and separa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by a chamber 210 to be described later.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cell 1 is diffused into the sealed monocell mounting por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챔버(210)는 상호간 분해 조립이 가능한 상부(211)와 하부(2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 하부(212)의 재질은 당해 업계에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전기전도성이 없는 절연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수지, PEEK (Polyetheretherketon)수지, 테프론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챔버의 하부(212)와 상부(211)는 서로 맞닿아 연결되고, 이를 통하여 상기 챔버(210)의 내부를 완전 밀폐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212)와 상부(211)는 O-ring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진공 환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완전 밀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O-ring의 재질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탄성중합체인 바이톤(viton) 또는 테프론 코팅(Teflon coating)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chamber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n upper part 211 and a lower part 212 that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with each other. The material of the lower chamber 21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insulator that is not electrically conductive as used in the industry, but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resin, PEEK (Polyetheretherketone) resin, Teflon resin, and the like can be made of either one. The lower part 212 and the upper part 211 of the chamb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rough this, the inside of the chamber 210 can be completely sealed. At this time, the lower part 212 and the upper part 211 may be mechanically coupled by an O-ring, and may be completely hermetically coupled to form a vacuum environment. The material of the O-r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preferably made of an elastomer such as viton or a Teflon coating.

도 2,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기 펀칭부(220)는 상기 챔버(210)의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모노셀 안착부(201)에 안착된 모노셀(1)의 펀칭 위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칭부에 의하여 상기 모노셀(1)에 생성되는 천공(2)의 위치는, 전지케이스와 전극조립체의 여유공간으로써, 양극 탭과 음극 탭의 사이의 사이의 정중앙부가 될 수 있다. 모노셀의 전지케이스를 천공함에 있어서, 전극조립체가 손상되지 않도록 천공의 위치를 조절해야 함은 물론일 것이다. 2, 3 and 7, the punching portion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above the chamber 210, the monocell 1 seated on the monocell seating portion 201 It can be placed above the punching position of. As shown in FIG. 4, the position of the perforation 2 created in the monocell 1 by the punching unit is the free space between the battery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It can be the central part. In perforating the battery case of the monocell, it will of course be necessar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perforation so as not to damage the electrode assembly.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칭부(210)는 펀치(221), 상기 펀치 상부에 형성된 펀치헤드(222), 및 상기 펀치둘레에 위치되는 스프링(2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펀치부(210)의 상기 펀치헤드(222)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펀치(221)에 의해 상기 모노셀 안착부(201)에 안착된 상기 모노셀(1)에 펀칭을 하고, 상기 스프링(223)은 펀칭 후 상기 펀치헤드(222)를 압력이 가해지기 전 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punching unit 210 may include a punch 221, a punch head 222 formed above the punch, and a spring 223 positioned around the punch. By applying pressure to the punch head 222 of the punch unit 210, punching is performed on the monocell 1 seated on the monocell seating portion 201 by the punch 221, and the spring 223 serves to return the punch head 222 to a state before pressure is applied after punching.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칭부(220)의 펀칭을 통하여, 상기 모노셀(1)에 천공(2)이 생긴다. 상기 천공(2)을 통하여 상기 모노셀(1)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가 상기 모노셀 안착부(201)로 확산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through the punching of the punching unit 220 , a hole 2 is formed in the monocell 1 .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cell 1 diffuses into the monocell mounting portion 201 through the perforation 2 .

또한, 상기 펀칭부(220)는 상기 챔버(210)와 밀폐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칭부(220)의 펀치(221)은 상기 챔버의 상부(211)를 관통하고 있으므로, 상기 펀칭부(220)가 상기 챔버(210)에 밀폐되어 배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챔버(210)와 상기 펀칭부(220) 사이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챔버(220) 내부에 진공환경을 조성하거나 상기 진공환경을 유지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펀칭부(220)가 상기 챔버(210)에 밀폐되어 배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모노셀 안착부(201)에 안착된 모노셀(1) 내부에 발생한 가스가 상기 챔버(210)와 상기 펀칭부(220) 사이 공간을 통해 외부로 확산되어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하다. 상기 펀칭부(220)의 펀치(221)가 펀칭을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상기 펀칭부(220)와 상기 챔버(210)의 밀폐성은 유지된다. 상기 펀칭부(220)가 상기 챔버(210)의 위에 밀폐되어 배치되므로 상기 모노셀 안착부(210) 진공환경을 유지함은 물론, 상기 모노셀(1)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가 상기 펀칭부(220)와 상기 챔버(210)의 결합부를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Also, the punching part 220 may be disposed to be sealed with the chamber 210 . As shown in FIG. 7, since the punch 221 of the punching part 220 penetrates the upper part 211 of the chamber, the punching part 220 is not disposed in the chamber 210 in a closed manner. Otherwise, air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chamber 210 and the punching part 220, so that a vacuum environment cannot be created or maintained inside the chamber 220. In addition, when the punching part 220 is not disposed in the chamber 210 in a sealed manner,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cell 1 seated on the monocell seating part 201 passes through the chamber 210 and the chamber 210. It is diffu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punching parts 220, making accurate measurement impossible. Even if the punch 221 of the punching part 220 moves up and down for punching, airtightness between the punching part 220 and the chamber 210 is maintained. Since the punching part 220 is sealed and disposed above the chamber 210, the vacuum environment of the monocell mounting part 210 is maintained, and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cell 1 passes through the punching part 220 and through the coupling part of the chamber 210 to prevent outflow.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트부(230)은 상기 벤트 홀(231)과 상기 개폐 밸브(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트 홀(232)는 상기 챔버(210)의 하부 측면으로부터 상기 모노셀 안착부(201)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모노셀(1)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는 상기 모노셀 안착부로 확산되고, 그 후 상기 벤트 홀(231)을 통해 상기 밴트부(230)로 확산된다. 상기 개폐 밸브(232)는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챔버(210) 내부의 진공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 3 and 5 , the vent part 230 may include the vent hole 231 and the opening/closing valve 232 . The vent hole 232 may communicate with the monocell mounting portion 201 from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210 .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cell 1 is diffused into the monocell mounting portion, and then diffused into the vent portion 230 through the vent hole 231 . The opening/closing valve 232 is connected to a vacuum pump to adjust the vacuum environment inside the chamber 210 .

도 2, 도 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싱부(240)는 상기 벤트부(2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240)는 상기 벤트부(230)의 상기 벤트 홀(231)과 상기 개폐 밸브(23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모노셀(1)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가 상기 모노셀 안착부(201), 상기 벤트 홀(231) 및 상기 센싱부(240)의 실시간(in-situ) 가스 압력 센서(241)의 순서로 확산됨에 따라 상기 모노셀(1) 내부 발생 가스의 압력을 측정한다.As shown in FIGS. 2 , 3 and 5 , the sensing unit 240 may be connected to the vent unit 230 . The sensing unit 240 is connected between the vent hole 231 of the vent unit 230 and the opening/closing valve 232, so that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cell 1 is transferred to the monocell mounting unit 201. ), the vent hole 231 and the in-situ gas pressure sensor 241 of the sensing unit 240 measure the pressure of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cell 1 as it diffuses in that order.

본 발명의 상기 전해액 스웰링 특성 평가장치(200)는 상기 챔버(210)의 내부온도를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90℃,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범위로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로 상기 챔버(210)에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 모노셀 안착부(201)에 안착된 모노셀(1)에 열이 전달된다. 상기 모노셀(1)이 고온 환경에 노출됨에 따라 과열된 모노셀(1)은 내부에서 가스를 발생시키고, 발생한 가스는 상기 펀칭부(220)에 의하여 생긴 천공(2)으로 통하여 상기 모노셀 안착부(201)로 확산한다. The electrolyte swelling characteristic evaluation apparatu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hamber 210 to 10 ° C to 100 ° C, preferably 15 ° C to 90 ° C, more preferably 20 ° C to 80 ° C, in the range An adjustable thermostat may be included. By applying heat to the chamber 210 with the temperature controller, heat is transferred to the monocell 1 seated on the monocell mounting portion 201 . As the monocell 1 is exposed to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the overheated monocell 1 generates gas inside, and the generated gas is seated in the monocell through the perforation 2 created by the punching part 220 Diffuses to section 201.

본 발명의 상기 센싱부(240)의 압력 센서(241)의 가스 압력 측정범위는 -10 내지 20 Bar,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bar,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bar일 수 있다. The gas pressure measurement range of the pressure sensor 241 of the sensing unit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10 to 20 bar, preferably -5 to 15 bar, more preferably -1 to 10 bar.

본 발명의 상기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 평가장치는 압력 센서(241)로부터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신호에 따른 압력 변화 및 가스 발생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압력 변화 및 가스 발생량을 산출내역을 가시화하여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The swelling characteristic evaluation apparatus of the electrolyt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alculates a pressure change and gas generation amount according to signals from signals received from the pressure sensor 241 . The control unit can effectively measure the swelling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lyte solution by visualizing the calculation details of pressure change and gas generation amount.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평가장치(200)를 이용한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 평가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9, a method for evaluating swelling characteristics of an electrolyte using the evaluation apparatu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스웰링(Swelling) 특성 평가방법은 한 개의 양극, 한 개의 분리막 및 한 개의 음극을 포함하는 모노셀을 제조하는 모노셀 제조단계(S10); 상기 모노셀에 평가대상 전해액을 주입하는 전해액 주입단계(S20); 상기 전해액이 주입된 모노셀을 상온에서 숙성(Aging), 포메이션(Formation) 및 디개싱(Degassing)하는 모노셀 준비단계(S30); 상기 모노셀을 만충하는 모노셀 만충단계(S40); 상기 장치의 모노셀 안착부에 상기 모노셀을 안착시키고 상기 장치의 챔버를 밀폐 결합한 후, 상기 챔버 내부에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모노셀 안착단계(S50); 상기 모노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의 이동을 위한 천공하는 모노셀 펀칭단계(S60); 및 상기 모노셀을 가열, 고온저장 및 하온하고, 각 과정에서 상기 모노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압력센서로 실시간(in-situ) 측정하는 가스 압력 측정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9, the electrolyte swelling property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nocell manufacturing step (S10) of manufacturing a monocell including one anode, one separator and one cathode; An electrolyte injection step of injecting an electrolyte to be evaluated into the monocell (S20); A monocell preparation step (S30) of aging, forming, and degassing the monocell injected with the electrolyte at room temperature; A mono-cell full filling step (S40) of fully filling the mono-cell; A monocell seating step (S50) of seating the monocell on the monocell seating portion of the device, sealingly coupling the chamber of the device, and creating a vacuum environment inside the chamber; A mono-cell punching step (S60) to perforate the movement of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cell; And a gas pressure measurement step (S70) of heating, storing at a high temperature, and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monocell, and in-situ measuring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cell in each process with a pressure sensor.

먼저, 모노셀(1) 제조단계(S10)는 한 개의 양극과 하 개의 분리막 및 한 개의 음극이 적층되는 모노셀(1)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모노셀은 구성하는 양극과 분리막 및 음극의 적층 수가 적고, 작업자가 간단히 수작업으로 적층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종래 대비 간단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웰링 특성 평가 대상이 되는 종래 소형셀은 1개월 가량 요구되는 반면, 모노셀(1)은 1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이에, 모노셀(1)의 준비가 종래 대비 보다 용이하므로, 제작 기간에 대한 부담을 줄여 다양한 리튬이차전지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 평가가 가능하다.First, the monocell 1 manufacturing step (S10) is a step of preparing a monocell 1 in which one anode, one separator, and one cathode are stacked. Since such a monocell has a small number of layers of the positive electrode, the separa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can be manufactured by simply manually stacking the monocell, it can be manufactured in a simpler method than the prior art. Accordingly, while the conventional small cell to be evaluated for swelling characteristics requires about one month, the mono cell 1 can be shortened to one day. Accordingly, since the preparation of the monocell 1 is easier than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swelling characteristics of various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s 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manufacturing period.

그 다음, 본 발명의 전해액 주입단계(S20)은 상기 모노셀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모노셀(1)에 평가 대상 전해액을 주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전해액은 유기용매, 상기 유기용매에 혼합된 리튬염을 포함한다. Next, the electrolyte injection step (S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injecting an electrolyte solution to be evaluated into the monocell 1 prepared in the monocell manufacturing step (S10). The electrolyte solution includes an organic solvent and a lithium salt mixed with the organic solvent.

상기 유기용매는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thyl Methyl Carbonate, EMC),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DMC), 디에틸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DEC), 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Fluoroethylene carbonate, FEC), 메틸프로필카보네이트(Methyl Propyl Carbonate, MPC), 에틸프로필카보네이트(Ethyl Propyl Carbonate, EPC), 메틸에틸 카보네이트(MEC), 부틸렌카보네이트(BC),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아세테이트(Methyl Acetate), 프로필아세테이트(Propyl Acetate), 에틸프로피오네이트(Ethyl Propionate, EP), 메틸프로피오네이트(Methyl Propionate), 프로필프로피오네이트(Propyl Propionate, PP), 비닐렌 카보네이트(Vinylene Varbonate, VC)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organic solvent is ethylene carbonate (EC), propylene carbonate (PC), ethyl methyl carbonate (EMC), dimethyl carbonate (DMC), diethyl carbonate (DEC) ), Fluoroethylene carbonate (FEC), Methyl Propyl Carbonate (MPC), Ethyl Propyl Carbonate (EPC), Methyl Ethyl Carbonate (MEC), Butylene Carbonate (BC), Ethyl Acetate, Methyl Acetate, Propyl Acetate, Ethyl Propionate (EP), Methyl Propionate, Propyl Propionate (PP) , I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nylene carbonate (Vinylene Varbonate, VC) and mixtures thereof.

상기 리튬염은 LiPF6, LiBF4, LiSbF6, LiAsF6, LiClO4, LiCF3SO3, LiN(SO2CF3)2, LiN(SO2C2F5)2, LiC(SO2CF3)3, LiN(SO3CF3)2, LiC4F9SO3, LiAlO4, LiAlCl4, LiCl 및 Li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The lithium salt is LiPF 6 , LiBF 4 , LiSbF 6 , LiAsF 6 , LiClO 4 , LiCF 3 SO 3 , LiN(SO 2 CF 3 ) 2 , LiN(SO 2 C 2 F 5 ) 2 , LiC(SO 2 CF 3 ) 3 , LiN(SO 3 CF 3 ) 2 , LiC 4 F 9 SO 3 , LiAlO 4 , LiAlCl 4 , LiCl and LiI.

그 다음, 본 발명의 상기 모노셀(1)에 상기 전해액을 주입하고 상기 모노셀(1)을 밀봉한다. 이때, 전해액은 500㎕이하, 바람직하게는 450㎕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00㎕이하 범위로 주액한다. Then, the electrolyte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monocell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nocell 1 is sealed. At this time, the electrolyte solution is injected in a range of 500 μl or less, preferably 450 μl or less, and more preferably 400 μl or less.

그 다음, 본 발명의 상기 모노셀 준비단계(30)은 상기 전해액이 주입된 모노셀(1)을 상온에서 숙성(Aging), 포메이션(Formation) 및 디개싱(Degassing)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셀 준비단계(30)의 각 과정은 당해 업계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노셀(1)은 상온에서 하루 동안 1차 숙성을 하고, 상온에서의 포메이션 과정을 거쳐, 다시 상온에서 하루 동안 2차 숙성을 한다. 상기 포메이션 과정은 당해 업계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SOC(State of charge) 16.6 수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monocell preparation step 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ging, formation, and degassing of the monocell 1 injected with the electrolyte at room temperature. . Each process of the monocell preparation step 30 uses a method used in the art,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but preferably, the monocell 1 is first aged at room temperature for one day, and at room temperature After the formation process, the second aging is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for one day. The formation proces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using a method used in the art, but may preferably be made to a state of charge (SOC) 16.6 level.

그 다음, 본 발명의 상기 모노셀 만충단계(S40)에서는 당해 업계에서 사용하는 만충 범위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상기 모노셀을(1) 3V 내지 5V, 바람직하게는 4V 내지 4.5V의 범위로 만충할 수 있다. Then, in the monocell full charging step (S4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as using the full charging range used in the art, but the monocell is (1) 3V to 5V, preferably 4V to 4.5V. range can be filled.

그 다음, 본 발명의 모노셀 안착단계(S50)에서는 상기 모노셀(1)을 상기 챔버(210) 내부의 상기 모노셀 안착부(201)에 안착하고, 상기 챔버(210)의 상부(211)를 완전 밀폐하여 결합한다. 내부 모노셀 안착부(201)에 연통된 밴트부(230)의 개폐 밸브(232)를 열고 상기 진공펌프를 가동하여 상기 챔버(210) 내부에 진공환경을 조성한다. 진공환경이 조성되면 상기 개폐 밸브(232)를 닫아 상기 진공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Then, in the monocell seating step (S5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ocell 1 is seated on the monocell seating portion 201 inside the chamber 210, and the upper portion 211 of the chamber 210 are completely sealed and combined. A vacuum environment is created inside the chamber 210 by opening the opening/closing valve 232 of the vent part 230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monocell seating part 201 and operating the vacuum pump. When a vacuum environment is created, the opening/closing valve 232 may be closed to maintain the vacuum environment.

상기 진공환경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모노셀(1)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가 후술하는 모노셀 펀칭단계에서 생성된 천공(2)을 통해 상기 모노셀 안착부(201)에 확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모노셀 안착부(201)에 확산된 가스가 상기 벤트부(230)를 통하여 상기 센서부(240)의 압력 센서(241)에 이동할 수 있다.By maintaining the vacuum environment,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cell 1 can be diffused into the monocell mounting portion 201 through the perforation 2 created in the monocell punching step described later, and the monocell The gas diffused in the seating part 201 may move to the pressure sensor 241 of the sensor part 240 through the vent part 230 .

그 다음, 본 발명의 상기 모노셀 펀칭단계(S60)에서는 상기 펀칭부(220)의 펀칭을 통하여, 상기 모노셀에 천공(2)을 생성한다. 상기 모노셀(1)의 천공(2)은 모노셀(1)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가 모노셀(1)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천공(2)을 통하여 상기 모노셀(1)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가 상기 모노셀 안착부(201)로 확산한다.Then, in the mono-cell punching step (S60)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punching of the punching unit 220, to create a hole (2) in the mono-cell. The perforation 2 of the mono cell 1 allows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 cell 1 to move to the outside of the mono cell 1.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cell 1 diffuses into the monocell mounting portion 201 through the perforation 2 .

이때, 후술하는 가스 압력 측정단계(S70) 이전에 상기 모노셀(1)을 상기 모노셀 안착부(201)에서 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8℃, 더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7℃에서 1시간 이상 안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before the gas pressure measuring step (S70) to be described later, the monocell 1 is 0 ° C to 30 ° C, preferably 10 ° C to 28 ° C, more preferably 22 ° C in the mono cell seating part 201 to 27° C. for 1 hour or longer.

그 다음, 본 발명의 상기 가스 압력 측정단계(S70)은 상기 모노셀 내부에서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모노셀을 가열하는 모노셀 승온단계(S71); 상기 승온 단계를 통하여 도달한 고온의 환경에서 저장하는 모노셀 저장단계(S72); 및 상기 모노셀 저장단계의 상기 모노셀을 냉각하는 모노셀 하온단계(S73)를 포함하고 각 단계에서 발생한 가스를 압력센서(241)로 실시간(in-situ) 측정한다.Then, the gas pressure measuring step (S7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nocell temperature raising step (S71) of heating the monocell to generate gas in the monocell; A mono-cell storage step (S72) of storing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reached through the temperature-raising step; And a monocell heating step (S73) of cooling the monocell of the monocell storage step, and the gas generated in each step is measured in-situ with the pressure sensor 241.

상기 모노셀 승온단계(S71)는 이차전지를 사용함에 있어서 과열이 되는 상황과 유사한 상황을 제공하여 평가 대상 전해액이 과열되는 과정에서 상기 모노셀 내부에서 발생시키는 가스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The mono-cell temperature raising step (S71) provides a situation similar to an overheating situation in using a secondary battery so that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cell can be measured in the process of overheating the electrolyte to be evaluated.

또한, 상기 모노셀 승온단계(S71)에서는 상기 모노셀을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더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 범위로 가열할 수 있고, 상기 모노셀을 가열하는 시간은 3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45분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시간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ono-cell temperature raising step (S71), the mono-cell may be heated in the range of 50 ° C to 100 ° C, preferably 60 ° C to 90 ° C, more preferably 65 ° C to 75 ° C, and the mono-cell The heating time may be 30 minutes or more, preferably 45 minute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 hour.

상기 모노셀 저장단계(S72)는 과열된 이차전지가 고온에서 유지되는 상황과 유사한 상황을 제공하여 평가 대상 전해액이 고온상태로 유지되는 과정에서 모노셀 내부에서 발생시키는 가스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The monocell storage step (S72) provides a situation similar to a situation in which the overheated secondary battery is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so that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cell can be measured while the electrolyte to be evaluated is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또한, 상기 모노셀 저장단계(S72)에서는 상기 모노셀을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더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 범위에서 고온 저장하고, 상기 모노셀을 고온저장하는 시간은 12시간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18시간 내지 36시간, 더 바람직하게는 20시간 내지 28시간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onocell storage step (S72), the monocell is stored at a high temperature in the range of 50 ° C to 100 ° C, preferably 60 ° C to 90 ° C, more preferably 65 ° C to 75 ° C, and the mono cell is stored at a high temperature The storage time may be 12 hours to 48 hours, preferably 18 hours to 36 hours, and more preferably 20 hours to 28 hours.

또한, 상기 모노셀 하온단계(S73)에서는 상기 모노셀 저장단계의 모노셀을 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9℃,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7℃ 범위로 냉각할 수 있고, 상기 모노셀을 가열하는 시간은 3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45분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시간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onocell heating step (S73), the monocell of the monocell storage step can be cooled to a range of 0 ° C to 30 ° C, preferably 10 ° C to 29 ° C, more preferably 15 ° C to 27 ° C, , The time for heating the monocell may be 30 minutes or more, preferably 45 minute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 hour.

상기 모노셀 하온단계(S73)은 고온 환경에서 상온으로 냉각되는 동안 모노셀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The step of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monocell (S73) makes it possible to measure the change in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cell while being cooled to room temperature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 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Example 1 내지 6 1 to 6

<모노셀 제조><Manufacture of monocell>

LiCoO2 양극 활물질을 준비하였다. 그 후, 양극 활물질 : 도전재용 카본 : 바인더로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트(PVDF)를 96 : 2 : 2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슬러리를 만든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알루미늄(Al) 호일 집전체에 코팅하고,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A LiCoO 2 cathode active material was prepared. Then, a slurry was prepared by mixing cathode active material: carbon for conductive material: polyvinylidene fluorite (PVDF) as a binder in a weight ratio of 96: 2: 2, and then coated on an aluminum (Al) foil current collector in a conventional manner, , and dried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인조 흑연 : SBR계 바인더 : 증점제로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를 98 : 1 : 1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한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구리(Cu) 호일 집전체에 코팅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An anode active material slurry was prepared by mixing artificial graphite:SBR-based binder:carboxymethyl cellulose as a thickener at a weight ratio of 98:1:1, and then coated on a copper (Cu) foil current collector in a conventional manner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

상기 제조된 양극 및 음극의 사이에 폴리에틸렌 다공성 막을 개재시켜 만든 스택형 전극조립체를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에 투입하고, 하기 표 1의 조성에 의한 평가대상 전해액을 주입하여 모노셀을 제조하였다.A monocell was prepared by inserting the stacked electrode assembly made by interposing a polyethylene porous membrane between the prepared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into a pouch-type battery case, and injecting an electrolyte solution to b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able 1 below.

유기 용매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중량 비율에 따라 혼합하고, 여기에 리튬염으로서 리튬 헥사플루오로프스페이트(LiPF6) 1M을 첨가하여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전해액 400㎕를 상기 모노셀에 주입하고 밀봉하였다. An electrolyte solution was prepared by mixing organic solvents according to the weight ratios shown in Table 1 below and adding lithium hexafluorophosphate (LiPF6) 1M as a lithium salt thereto. 400 μl of the electrolyte was injected into the monocell and sealed.

리튬염lithium salt 유기용매organic solvent 중량비weight ratio 실시예 1(EC)Example 1 (EC) LiPF6 1MLiPF 6 1M ECEC 77 EMCEMC 33 실시예 2(FEC)Example 2 (FEC) LiPF6 1MLiPF 6 1M ECEC 22 EMCEMC 33 FECFEC 55 실시예 3(VC)Example 3 (VC) LiPF6 1MLiPF 6 1M ECEC 22 EMCEMC 33 VCVC 55 실시예 4(DEC)Example 4 (DEC) LiPF6 1MLiPF 6 1M ECEC 22 EMCEMC 33 DECDEC 55 실시예 5(PP)Example 5 (PP) LiPF6 1MLiPF 6 1M ECEC 22 EMCEMC 33 PPPP 55 실시예 6(EP)Example 6 (EP) LiPF6 1MLiPF 6 1M ECEC 22 EMCEMC 33 EPEP 55

<모노셀의 준비 및 모노셀 만충><Preparation of monocell and full filling of monocell>

상기 전해액이 주입된 모노셀을 상온에서 하루 동안 1차 숙성(Aging)을 하였다. 그 후, 상기 전해액이 주입된 모노셀을 상온에서 SOC(State of charge) 16.6 수준으로 포메이션(Formation) 과정 진행하였다. 상기 포메이션 과정이 완료된 상기 모노셀을 다시 상온에서 하루 동안 2차 숙성을 하고 디개싱하여 4.45V로 만충하였다.The monocell into which the electrolyte was injected was subjected to primary aging at room temperature for one day. Thereafter, a formation process was performed on the monocell into which the electrolyte solution was injected at room temperature to a state of charge (SOC) of 16.6. After the formation process was completed, the monocell was subjected to secondary aging at room temperature for one day, degassed, and then fully charged to 4.45V.

<모노셀 안착 및 펀칭><Mono cell mounting and punching>

상기 만충된 모노셀을 도 2에 도시된 전해액 스웰링 특성 평가장치의 챔버 내부에 위치한 모노셀 안착부에 안착하고, 상기 챔버의 상부를 완전 밀폐하여 결합하였다. 내부 모노셀 안착부에 연통된 상기 장치 밴트부의 개폐 밸브를 열고 상기 진공펌프를 가동하여 상기 챔버 내부에 진공환경을 조성한 후, 상기 개폐 밸브를 닫아 상기 진공환경을 유지하였다. The fully-filled monocell was seated on the monocell seating part located inside the chamber of the electrolyte swelling characteristic evaluation apparatus shown in FIG. 2, and the upper part of the chamber was completely sealed and coupled. After opening the opening/closing valve of the device vent part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monocell seating part and operating the vacuum pump to create a vacuum environment inside the chamber, the opening/closing valve was closed to maintain the vacuum environment.

상기 진공환경이 조성된 후, 상기 펀칭부의 펀치헤드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모노셀 상부의 양극탭과 음극탭 사이의 중간에 모노셀 밀봉부위를 펀칭하여 천공을 생성하였다.After the vacuum environment was created, a sealing portion of the monocell was punched in the middle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nocell by applying pressure to the punch head of the punching unit to create a hole.

<안정화 및 가스 압력 측정><Stabilization and gas pressure measurement>

상기 천공이 생성된 모노셀을 25에서 1 시간 동안 안정화하였다.The perforated monocell was stabilized at 25 °C for 1 hour.

상기 모노셀의 고온환경에서의 내부 발생 가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모노셀을 1시간 동안 70℃로 승온하고, 이 때 도달한 70℃의 환경을 유지하며 상기 모노셀을 24시간 동안 저장하였다. 그 다음, 상기 모노셀을 1시간 동안 25℃로 하온하였다. 상기 모노셀을 가열, 저장 및 하온하는 동안, 실시간(in-situ) 측정이 가능하고 측정범위가 -1 내지 10bar인 압력 센서로 상기 모노셀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를 측정하였다.In order to measure the internally generated gas in the high-temperature environment of the monocell, the monocell was heated to 70 ° C for 1 hour, and the monocell was stored for 24 hours while maintaining the 70 ° C environment reached at this time. Then, the monocell was warmed to 25° C. for 1 hour. While heating, storing, and warming the monocell,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cell was measured with a pressure sensor capable of in-situ measurement and having a measurement range of -1 to 10 bar.

도 8에는 각 실시예에 따른 모노셀에 주입된 전해액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8 is a graph showing the test results of the electrolyte solution injected into the monocell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점선으로 도시된 선은 시간변화에 따른 온도변화를 나타낸다. 실선으로 도시된 선들은 시간변화에 따른 모노셀 내부 발생 가스에 의한 압력 변화를 나타낸다. 실선으로 도시된 선들은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실시예 1(EC), 실시예 3(VC), 실시예 2(FEC), 실시예 6(EP), 실시예 4(DEC) 및 실시예 5(PP)를 나타내었다.The dotted line represents the temperature change with time. Lines shown as solid lines represent pressure changes due to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cell according to time changes. The lines shown as solid lines are Example 1 (EC), Example 3 (VC), Example 2 (FEC), Example 6 (EP), Example 4 (DEC), and Example 5 (PP) in order from the top. ) was shown.

도 8을 참조하면, 실제로 상기 평가대상 전해액들 중 고온에서 가스발생 반응이 커서 이차전지의 스웰링 현상의 발생을 야기하는 사이클릭 카보네이트(cyclic carbonate)류에 해당하는 EC 및 VC가 다량 포함된 전해액의 가스 발생이 큰 것이 확인되었다.Referring to FIG. 8, among the electrolytes to be evaluated, an electrolyt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EC and VC corresponding to cyclic carbonates that have a large gas generation reaction at a high temperature and cause swelling of a secondary battery It was confirmed that the generation of gas was larg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스웰링 특성 평가장치 및 상기 장치를 사용한 평가방법은 전지셀 개발 단계에서 전해액 측면에서의 스웰링 현상의 원인이 되는 내부 가스 발생량 측정방법을 모노셀 단위로 단순화하고, 가스 발생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효과적으로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을 평가하는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lyte swelling characteristic evaluation device and the evaluation method using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easuring the amount of internal gas generation, which is the cause of the swelling phenomenon on the side of the electrolyte in the battery cell development stage. It is simplified into units, and the amount of gas generated is measured in real time so that the swelling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lyte can be effectively evaluated.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appl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Claims (16)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 평가장치에 의해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한 개의 양극, 한 개의 분리막 및 한 개의 음극을 포함하는 모노셀을 제조하는 모노셀 제조단계(S10);
상기 모노셀에 평가대상 전해액을 주입하는 전해액 주입단계(S20);
상기 전해액이 주입된 모노셀을 상온에서 숙성(Aging), 포메이션(Formation) 및 디개싱(Degassing)하는 모노셀 준비단계(S30);
상기 모노셀을 만충하는 모노셀 만충단계(S40);
상기 장치의 모노셀 안착부에 상기 모노셀을 안착시키고 상기 장치의 챔버를 밀폐 결합한 후, 상기 챔버 내부에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모노셀 안착단계(S50);
상기 모노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의 이동을 위한 천공하는 모노셀 펀칭단계(S60); 및
상기 모노셀을 가열, 고온저장 및 하온하고, 각 과정에서 상기 모노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압력센서로 실시간(in-situ) 측정하는 가스 압력 측정단계(S70)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 평가장치는,
내부에 모노셀 안착부가 형성된 챔버;
상기 챔버의 위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에 안착된 모노셀을 펀칭하는 펀칭부;
상기 챔버의 하부 측면으로부터 상기 모노셀 안착부와 연통된 벤트 홀(Vent Hole)을 포함한 벤트부; 및
상기 벤트부와 연결되고, 실시간(in-situ) 가스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 평가방법.
As a method of evaluating the swelling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lyte by the swelling characteristics evaluation device of the electrolyte,
A monocell manufacturing step (S10) of manufacturing a monocell including one anode, one separator and one cathode;
An electrolyte injection step of injecting an electrolyte to be evaluated into the monocell (S20);
A monocell preparation step (S30) of aging, forming, and degassing the monocell injected with the electrolyte at room temperature;
A mono-cell full filling step (S40) of fully filling the mono-cell;
A monocell seating step (S50) of seating the monocell on the monocell seating portion of the device, sealingly coupling the chamber of the device, and creating a vacuum environment inside the chamber;
A mono-cell punching step (S60) to perforate the movement of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cell; and
A gas pressure measuring step (S70) of heating, storing at a high temperature, and warming the monocell, and in-situ measuring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monocell in each process with a pressure sensor,
The swelling property evaluation device of the electrolyte solution,
A chamber having a monocell mounting portion formed therein;
a punching unit disposed on the chamber and punching the monocell seated in the chamber;
a vent portion including a ven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monocell mounting por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and
The swelling characteristic evaluation method of the electroly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vent unit and including a real-time (in-situ) gas pressur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단계(S20)에서 상기 모노셀에 상기 전해액을 500㎕이하 범위로 주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 평가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electrolyte injection step (S20), the swelling property evaluation method of the electrolyt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lyte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monocell in a range of 500 μl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압력 측정단계(S70) 이전에 상기 모노셀을 0℃ 내지 30℃에서 1시간 이상 안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 평가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welling property evaluation method of the electroly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tabilizing the monocell at 0 ℃ to 30 ℃ for 1 hour or more before the gas pressure measuring step (S7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압력 측정단계(S70)은 상기 모노셀 내부에서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모노셀을 가열하는 모노셀 승온단계(S71); 상기 승온 단계를 통하여 도달한 고온의 환경에서 저장하는 모노셀 저장단계(S72); 및 상기 모노셀 저장단계의 상기 모노셀을 냉각하는 모노셀 하온단계(S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 평가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gas pressure measuring step (S70) includes a monocell temperature raising step (S71) of heating the monocell to generate gas in the monocell; A mono-cell storage step (S72) of storing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reached through the temperature-raising step; and a monocell heating step (S73) of cooling the monocell of the monocell storage ste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셀 승온단계(S71)에서는 상기 모노셀을 50℃ 내지 100℃ 범위로 30분 이상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 평가방법.
According to claim 4,
In the monocell temperature raising step (S71), the swelling property evaluation method of the electrolyte, characterized in that for heating the monocell in the range of 50 ℃ to 100 ℃ for 30 minutes or mo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셀 저장단계(S72)에서는 상기 모노셀을 50℃ 내지 100℃ 범위에서 12시간 내지 48시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 평가방법.
According to claim 4,
In the monocell storage step (S72), the swelling property evaluation method of the electrolyte,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monocell in the range of 50 ℃ to 100 ℃ 12 hours to 48 hou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셀 하온단계(S73)에서는 상기 모노셀을 0℃ 내지 30℃ 범위로 30분 이상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의 스웰링 특성 평가방법.
According to claim 4,
In the monocell warming step (S73), the swelling property evaluation method of the electrolyt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oling the monocell in the range of 0 ℃ to 30 ℃ for 30 minutes or mo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59490A 2018-05-25 2018-05-25 Evalu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welling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e KR1025182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490A KR102518227B1 (en) 2018-05-25 2018-05-25 Evalu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welling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490A KR102518227B1 (en) 2018-05-25 2018-05-25 Evalu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welling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179A KR20190134179A (en) 2019-12-04
KR102518227B1 true KR102518227B1 (en) 2023-04-05

Family

ID=6900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490A KR102518227B1 (en) 2018-05-25 2018-05-25 Evalu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welling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22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342A (en)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Methods of activation for secondary batter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395B1 (en) * 2015-05-26 2016-02-18 이현철 Gas extraction system of medium and large secondary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122A (en) * 2014-07-18 2016-0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Swelling Test Method And Apparatus
KR102130724B1 (en) * 2016-01-08 2020-07-06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for Measuring Generation Amount of Inner Gas Using Coin Cel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395B1 (en) * 2015-05-26 2016-02-18 이현철 Gas extraction system of medium and large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179A (en)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8117B1 (en) Method of improving detection of low voltage in secondary battery activation process
US2022007749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US20160099483A1 (en) Electrode having a dual layer structur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160065965A (en) Method of producing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KR20180100748A (en) Method and apparatus of evaluating a lithium secondary battery
EP2755272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20100043184A (en) Charging a lithium ion battery
EP2933869A1 (en) Method for producing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N10568419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20180081009A (en) Method for detecting a low voltage defective secondary battery
KR102518227B1 (en) Evalu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welling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e
KR102656799B1 (en) Battery internal short circuit inductive device, battery having the same, and battery internal short circuit safety evaluating method
EP3886236A1 (en) Secondary battery formation method
KR20150056944A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pH indicator
EP4060788A1 (en) Secondary battery activation method
JP2023093059A (en) Secondary battery diagnosis system
KR20160088647A (en) Pouch-Type Battery Cell Having Residue Sealing Portion
KR101751011B1 (en) Test Device for Battery Cell
KR102558819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ylindical theree electrode cell and cylindical theree electrode cell manufactured by the same
EP3993134B1 (en) Method for determining degree of wetting by using low current test
EP4224590A1 (en) Secondary battery activation method
US20240047812A1 (en) Asymmetric and symmetric electrochemical arrays
KR20230037780A (en) A method for predicting the capacity of a battery ce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cell
KR20220028270A (en) Method for evaluating a low voltage defective battery cell
JP2023096944A (en) Method for inspecting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