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902B1 -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902B1
KR102517902B1 KR1020210169055A KR20210169055A KR102517902B1 KR 102517902 B1 KR102517902 B1 KR 102517902B1 KR 1020210169055 A KR1020210169055 A KR 1020210169055A KR 20210169055 A KR20210169055 A KR 20210169055A KR 102517902 B1 KR102517902 B1 KR 102517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circle chain
information management
heterogene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호
Original Assignee
(주)가민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민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가민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169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1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providing single-sign-on or fed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2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managing network security; network security policie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87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cross-functional networking aspects
    • H04L67/1091Interfacing with client-server systems or between P2P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블록체인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중앙화 신원증명(Decentralized Identifier) 환경에서 이종 블록체인 간의 인증 정보의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할 수 있는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종 블록체인들의 각기 관리되는 인증 정보를 통합하여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LINKED WITH CIRCLE CHAIN }
본 발명은 이종 블록체인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중앙화 신원증명(Decentralized Identifier) 환경에서 이종 블록체인 간 인증 정보의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할 수 있는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탈중앙화 신원 인증(Decentralized Identifier) 방식은 사용자가 발급 요청한 인증 정보를 발급자가 확인 및 발급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고, 사용자가 제출 및 검증 요청한 인증 정보를 등록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조회하여 검증 처리하는 인증 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발달함에 따라 이종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환경을 사용하는 사용자도 증가하고 있다. 이종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하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확인하거나 검증을 할 수 없으므로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많은 이종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요청에 따라 확인하고 검증할 수 있는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0025호 “이종의 블록체인 플랫폼 간의 연동이 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 생성방법”(등록일자: 2020년 03월 11일)
본 발명은 이종 블록체인을 상호 연동하는 서클 체인을 이용해 복수의 블록체인 환경에서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이종 블록체인 연동 인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종 블록체인 간 통합 인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블록체인 간 통합 인증 관리 시스템은 이종 블록체인의 상호 연동을 지원하는 서클 체인, 하나의 인증 관리 요청에 대해 상기 이종 블록체인의 인증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인증 관리 스테이션 및 인증 관리 스테이션에 인증 정보의 관리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이종 블록체인 간 통합 인증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플랫폼이 전송하는 인증 정보 관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인증 정보 관리 요청에 따른 수행 명령을 서클 체인과 연동하여 이종 블록체인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서클 체인으로부터 각 수행 명령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 플랫폼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종 블록체인들의 각기 관리되는 인증 정보를 통합하여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종 블록체인 상에서 인증 정보의 라이프 사이클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블록체인 연동 인증 관리 시스템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블록체인 연동 인증 관리 시스템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이종 블록체인 연동 인증 관리 시스템(10)은 서클 체인(100),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 및 사용자 플랫폼(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동하는 서클 체인(Circle Chain, 100))을 이용하여 이종 블록체인의 인증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서클 체인(Circle Chain, 100)은 이종 블록체인의 상호 연동을 지원하는 중개 채널로 동작할 수 있다.
서클 체인(100)은 이종 블록체인 간 연동 정보를 포함하는 이종 블록체인 연동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종 블록체인 연동블록은 이종 블록체인들 각각의 대표 노드에서 생성되는 블록들의 고유 해쉬 값을 이용해 상호 참조하도록 한다.
서클 체인(100)은 개인키, 공개키, 아이디(ID), 유효기간 등을 포함하는 각 블록체인의 신원 증명 인증 정보를 상호 연동할 수 있다.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서클 체인(100)을 이종 블록체인들의 인증 정보를 상호 연동 시킬 수 있는 중계 채널로 활용할 수 있다.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하나의 인증 관리 요청에 대해 복수 개의 이종 블록체인의 인증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인증 정보 생성, 인증, 제출, 폐기 등 인증 정보의 라이프 사이클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사용자플랫폼(300)을 통한 요청에 따라 서클 체인(100)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이종 블록체인에 등록된 신원 증명 인증 정보 생성 및 인증 정보 폐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사용자의 고유키(ECDSA)를 이용해 서클 체인(100)으로 상호 연동된 각각의 이종 블록체인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인증 블록체인에 각 이종 블록체인들의 인증 정보를 통합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플랫폼(300)은 사용자에게 인증 처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플랫폼(300)은 오밋(OMIC) 플랫폼이라 칭하고, 컴퓨터, 태블릿, 노트북, 핸드폰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인증 처리 요청을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사용자는 오밋(OMIC) 플랫폼을 통해 인증 정보 생성, 인증, 제출, 폐기 등의 인증 정보 관리 서비스를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에 요청할 수 있다. 인증 관리 스테이션(10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종 블록체인들의 신원 증명 인증 정보를 서클 체인(100)과 연동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단계 S310에서 사용자 플랫폼(100)이 전송하는 인증 정보 관리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 S320에서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수신한 요청에 따른 명령을 서클 체인과 연동된 복수의 이종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수신한 요청에 인증 정보 생성, 인증, 제출 및 폐기 등의 인증 정보 관리에 대한 작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4내지 도 6은 단계 S320에서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 수행하는 인증 정보 생성, 인증, 제출 및 폐기 등 각각의 관리 작업에 대한 설명을 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단계 S410에서 인증 정보 생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요청과 함께 수신한 사용자의 고유키 정보와 함께 인증 정보를 인증 블록체인에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증 정보는 개인키 공유키, 아이디(ID), 시간(TimeStamp) 및 유효기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서클 체인과 연동하여 이종 블록체인의 인증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서클 체인(100)을 통해 어느 하나의 블록체인에 인증 정보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사용자의 고유키를 이용해 서클 체인(100)과 연동될 수 있고, 서클 체인(100)은 각 이종 블록체인의 대표 노드의 고유 해쉬 값을 이용해 블록체인들과 상호 연동할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서클 체인(100)을 통해 요청한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50에서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하나의 블록체인에 인증 정보가 생성되면 생성 정보를 연동된 다른 블록체인들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60에서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이종의 블록체인들과 연동된 서클 체인(100)에서 각 명령의 수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이 수행하는 인증 정보 폐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단계 S510에서 인증 정보 폐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요청과 함께 수신한 사용자의 고유키 정보를 기준으로 인증 블록체인에서 폐기해야 하는 인증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서클 체인(100)을 통해 블록체인에 인증 정보 폐기 요청을 전송하고, 인증 정보의 폐기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서클 체인(100)을 통해 요청한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서클 체인(100)을 통해 하나의 블록체인에 인증 정보에 대한 폐기 정보를 갱신하도록 연동된 다른 블록체인들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60에서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이종의 블록체인들과 연동된 서클 체인(100)에서 각 명령의 수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이 수행하는 인증 정보를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6를 참고하면,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단계 S610에서 인증 정보 목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요청과 함께 수신한 사용자의 고유키 정보를 기준으로 인증 블록체인에서 대응하는 인증 정보 목록을 조회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사용자 플랫폼(300)으로 인증 정보 목록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40에서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전송한 인증 정보 목록 중에 선택된 인증 정보의 상세 조회(검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50에서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서클 체인(100)을 통해 선택된 인증 정보의 상세 조회(검증) 정보를 요청하고 해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이종 블록체인들에 인증 정보의 조회(검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60에서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이종의 블록체인들과 연동된 서클 체인(100)에서 각 명령의 수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인증 정보의 상세 조회(검증) 정보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30에서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이종의 블록체인들과 연동된 서클 체인(100)에서 각 명령의 수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인증 관리 스테이션(200)은 서클 체인(100)으로부터 수신한 명령 수행 결과는 사용자 플랫폼(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 예 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시스템
100: 서클 체인
200: 인증 관리 스테이션
300: 사용자 플랫폼

Claims (6)

  1.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이종 블록체인의 상호 연동을 지원하는 서클 체인;
    하나의 인증 관리 요청에 대해 상기 이종 블록체인의 인증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인증 관리 스테이션; 및
    상기 인증 관리 스테이션에 인증 정보의 관리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플랫폼을 포함하는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관리 스테이션은
    인증 정보 생성, 인증, 제출 또는 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클 체인은
    복수 개의 이종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각각의 인증 정보를 하나씩 선택하여 복수의 이종 네트워크를 상호 연동하는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시스템.
  4.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시스템에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플랫폼이 전송하는 인증 정보 관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정보 관리 요청에 따른 수행 명령을 서클 체인과 연동하여 이종 블록체인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클 체인으로부터 각 수행 명령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 플랫폼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 관리 요청은
    인증 정보 생성, 인증, 제출 또는 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방법.
  6. 제4항의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69055A 2021-11-30 2021-11-30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17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055A KR102517902B1 (ko) 2021-11-30 2021-11-30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055A KR102517902B1 (ko) 2021-11-30 2021-11-30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902B1 true KR102517902B1 (ko) 2023-04-05

Family

ID=85884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055A KR102517902B1 (ko) 2021-11-30 2021-11-30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9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025B1 (ko) 2019-05-29 2020-03-17 (주)가민정보시스템 이종의 블록체인 플랫폼 간의 연동이 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 생성방법
KR102106590B1 (ko) * 2019-07-17 2020-05-04 (주)가민정보시스템 이종의 블록체인 플랫폼 간의 연동이 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에 따른 블록 체이닝 방법
KR102178673B1 (ko) * 2020-05-20 2020-11-13 (주)가민정보시스템 이종의 블록체인 플랫폼의 채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48270B1 (ko) * 2019-05-23 2021-05-03 김성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 장치 및 그 노드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323522B1 (ko) * 2020-11-10 2021-11-09 (주)소프트제국 크리덴셜을 이용하여 브라우저 상에서 검증이 가능한 did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270B1 (ko) * 2019-05-23 2021-05-03 김성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 장치 및 그 노드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90025B1 (ko) 2019-05-29 2020-03-17 (주)가민정보시스템 이종의 블록체인 플랫폼 간의 연동이 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 생성방법
KR102106590B1 (ko) * 2019-07-17 2020-05-04 (주)가민정보시스템 이종의 블록체인 플랫폼 간의 연동이 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에 따른 블록 체이닝 방법
KR102178673B1 (ko) * 2020-05-20 2020-11-13 (주)가민정보시스템 이종의 블록체인 플랫폼의 채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23522B1 (ko) * 2020-11-10 2021-11-09 (주)소프트제국 크리덴셜을 이용하여 브라우저 상에서 검증이 가능한 did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37394A (zh) 离线验证系统、扫码设备和服务器
CN109687959B (zh) 密钥安全管理系统和方法、介质和计算机程序
CN113742782B (zh) 基于隐私保护的区块链访问权限控制方法和区块链系统
AU2007240567B2 (en) Peer-to-peer contact exchange
CN108650082A (zh) 待验证信息的加密和验证方法、相关装置及存储介质
CN102546176B (zh) 在多主体环境中支持dns安全
KR101982237B1 (ko)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속성 기반 암호화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시스템
JP6543743B1 (ja) 管理プログラム
US9219714B2 (en) ID-based encryption and signature method and terminal
CN101218626A (zh) 通过“我附近的人”来捕捉联系人
CN104412273A (zh) 用于进行激活的方法和系统
US200501146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of applications in a non-trusted network environment
CN111953490B (zh) 基于区块链技术的数字签名方法及系统
JP2024505692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に基づくデータ処理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機器
CN111740966A (zh) 一种基于区块链网络的数据处理方法及相关设备
JP4745965B2 (ja) 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システムの多数識別子によるログイン方法
KR20230098755A (ko) 개인정보의 익명성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및 블록체인에서 개인정보의 익명성을 제공하는 방법
CN102099812A (zh) 用于验证远程数据的完整性的协议
CN113392430B (zh) 基于智能合约认证的数字资源管理方法及系统
KR102535322B1 (ko)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17902B1 (ko) 서클 체인과 연동되는 인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0583756C (zh) 实现用户设备和网络业务应用实体安全通讯的方法
JP2006244420A (ja) 識別情報生成管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113497827B (zh) 信息共享方法及设备
KR20210097561A (ko) 블록체인 기반 정보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