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696B1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696B1
KR102517696B1 KR1020160077523A KR20160077523A KR102517696B1 KR 102517696 B1 KR102517696 B1 KR 102517696B1 KR 1020160077523 A KR1020160077523 A KR 1020160077523A KR 20160077523 A KR20160077523 A KR 20160077523A KR 102517696 B1 KR102517696 B1 KR 102517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hole
insulating
contacts
receptac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392A (ko
Inventor
최정훈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7/00210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46540A1/ko
Priority to CN201780007092.8A priority patent/CN108475878B/zh
Publication of KR20170100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재 및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재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컨택트들이 결합되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가 결합되는 쉘, 및 상기 쉘의 내면 및 상기 절연부의 외면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방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택트들은 상기 실장부재들이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절연부가 상기 컨택트들을 지지하기 위한 절연부재 및 상기 쉘의 내면에 비해 더 큰 크기로 형성된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해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는 이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와의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에 결합된다. 예컨대, 리셉터클 커넥터는 휴대용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충전 기능, 데이터 전송 기능 등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최근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가 생활방수에 비해 더 강화된 완전방수 기능을 갖출 것이 요구되면서, 방수 기능이 강화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는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커버(11),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컨택트(12), 상기 컨택트(12)가 복수개 결합되는 절연부(13), 및 상기 커버(11)에 결합되는 방수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컨택트(12)들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컨택트(1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이 상기 절연부(13)의 후면(13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부(13)에 결합된다.
상기 절연부(13)는 상기 커버(1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11)에 결합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커버(11)에 삽입되어서 상기 절연부(13)에 결합된 컨택트(12)들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컨택트(12)들을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방수부(14)는 수분이 상기 기판 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절연부(13)가 상기 커버(11)에 결합된 후에, 상기 방수부(14)는 상기 절연부(13)의 후면(13a)에 포팅(Potting)액을 도포한 후에 경화함으로써 구현된다. 포팅액은 상기 컨택트(12)에서 상기 절연부(13)의 후면(13a)으로부터 돌출된 부분 중에서 절곡된 부분(12a)을 덮도록 도포된 후에 경화됨으로써, 상기 방수부(14)로 구현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상기 커버(11)의 내면 및 상기 절연부(13)의 외면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므로, 상기 절연부(13)의 후면에 도포된 포팅액이 유동하면서 상기 커버(11)의 내면 및 상기 절연부(13)의 외면 사이로 누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상기 커버(11)의 내면 및 상기 절연부(13)의 외면 사이로 누설된 포팅액으로 인해 방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포팅액이 누설됨에 따라 방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재 및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컨택트들이 결합되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가 결합되는 쉘; 및 상기 쉘의 내면 및 상기 절연부의 외면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방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들은 상기 실장부재들이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컨택트들을 지지하기 위한 절연부재, 및 상기 절연부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쉘의 내측에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쉘의 내면에 비해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수부를 형성하기 위한 포팅액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현됨으로서, 방수부를 이용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쉘 및 절연부의 사이에 대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방수부가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 제2컨택트, 및 제3컨택트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도 8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도 9의 제1컨택트 및 방수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도 11의 Ⅲ-Ⅲ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도 11의 제2컨택트 및 방수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도 5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도 13의 Ⅳ-Ⅳ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도 13의 제3컨택트 및 방수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부 및 쉘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부재 및 차단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부 및 쉘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측면도
도 18은 이음매가 존재하는 쉘본체에 대한 개략적인 일부 저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쉘을 도 19에서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쉘을 성형하는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도 2의 I-I 단면선을 기준으로 쉘에 실링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와의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미도시)에 결합된다.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컨택트(2), 방수부(3), 절연부(4), 및 쉘(5)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컨택트(2)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쉘(5)의 내측으로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도전성(導電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된다. 상기 절연부(4)에는 상기 컨택트(2)가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각각 접속부재(21, 도 3에 도시됨) 및 실장부재(22,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2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일부는,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4)의 일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4)의 타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의 일면 및 타면은 서로 반대되는 면(面)이다. 상기 절연부(4)의 일면은, 상기 절연부(4)의 상면일 수 있다. 상기 절연부(4)의 타면은, 상기 절연부(4)의 하면일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2)들은 각각 상기 실장부재(22)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재(21)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접속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부재(21)에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실장부재(2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실장부재(22)들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실장부재(22)들이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절연부(4)에 수용될 수도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각각 연결부재(23,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4)의 상면에 위치하는 컨택트(2)들은 각각 상기 연결부재(23)가 부분적으로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실장부재(22)들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방수부(3, 도 4에 도시됨)는 방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절연부(4)의 외면 및 상기 쉘(5)의 내면 사이를 밀폐시킴으로써,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컨택트(2)들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컨택트(2)들에 대한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절연부(4)가 상기 쉘(5)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쉘(5)의 내측에 포팅액이 도포된 후에 경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실장부재(22)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쉘(5)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5)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실장부재(22)들이 상기 쉘(5)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5)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쉘(5)의 외측에 위치한 실장부재(22)들이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쉘(5)의 내측에 위치한 접속부재(21)들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절연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41)는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절연부재(41)는 상기 절연부(4)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룬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일부는 상기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절연부재(41)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일부는 상기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절연부재(41)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실장부재(22)들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41) 및 상기 컨택트(2)들은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4)는 제1관통공(42, 도 9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공(42)은 상기 방수부(3)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관통공(42)은 상기 절연부재(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공(42)은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재(41)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절연부재(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제1관통공(42)에는 상기 방수부(3)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1관통공(42)에 위치하여 상기 제1관통공(42)에 위치한 컨택트(2)들에 대한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방수부(3)가 상기 절연부(4)의 후면(4a, 도 5에 도시됨)이 아닌 상기 절연부(4)의 전면(前面)(4b, 도 5에 도시됨) 및 후면(4a) 사이에서 상기 제1관통공(42)에 위치한 컨택트(2)들에 대한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상기 방수부(3)의 위치가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3)를 형성하기 위한 포팅액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체적 등의 변화로 인해 상기 실장부재(22)들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장부재(22)들에 대한 평탄도를 향상시켜서 상기 실장부재(22)들 및 상기 기판 간의 접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 간의 접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관통공(42)을 통해 상기 방수부(3)의 위치가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1관통공(42)에 위치한 컨택트(2)들의 실장부재(22)들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1관통공(42)에 위치한 컨택트(2)들의 연결부재(23)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공(42)에 위치한 컨택트(2)들 중에서 상기 연결부재(23)들이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이 존재하는 컨택트(2)들의 경우,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연결부재(23)들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3)를 형성하기 위한 포팅액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체적 등의 변화로 인해 상기 연결부재(23)들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가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장부재(22)들에 대한 평탄도를 더 향상시켜서 상기 실장부재(22)들 및 상기 기판 간의 접속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 간의 접속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관통공(42)에는 다음과 같은 공정들을 통해 상기 방수부(3)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택트(2)들이 결합된 절연부재(41)가 상기 쉘(5)에 삽입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방수부(3)를 형성하기 위한 포팅액을 상기 쉘(5)의 내측에 도포한다.
다음, 상기 쉘(5)의 내측에 도포된 포팅액은, 상기 쉘(5)의 내측에서 유동함에 따라 상기 쉘(5)의 내측 및 상기 제1관통공(42)의 일부에 채워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쉘(5)은 포팅액이 도포되는 부분이 상측을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이다. 따라서, 포팅액은 중력에 의해 상기 쉘(5)의 내측 및 상기 제1관통공(42)의 일부에 채워지도록 유동할 수 있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팅액이 상기 쉘(5)의 내측 및 상기 제1관통공(42)의 일부에 채워지면, 포팅액을 경화시킨다. 이에 따라, 포팅액은 상기 방수부(3)로 구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들을 거쳐,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쉘(5)의 내측 및 상기 제1관통공(42)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공(42)은 상기 절연부재(41)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공(42)은 상기 절연부(4)의 전면(前面)(4b)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해 상기 절연부(4)의 후면(4a)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더 짧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재(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관통공(42)은 상기 절연부(4)의 후면(4a) 쪽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공(42)은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방수부(3)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관통공(42)이 구비된 경우, 상기 방수부(3)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상기 제1관통공(42)에 위치한 컨택트(2)(이하, '제1컨택트(2a)'라 함)들의 사면(四面)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관통공(4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a)들 각각의 사면(四面)은, 도 10을 기준으로 할 때 상면(21a), 하면(22a), 좌면(23a), 우면(24a)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3)가 상기 제1컨택트(2a)들 각각의 사면(四面)을 둘러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2a)들에 대한 완전방수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2a)들에 대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각각이 갖는 연결부재(23, 도 9에 도시됨)의 사면(四面)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상기 연결부재(23)가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1컨택트(2a)의 연결부재(23)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부분의 사면(四面)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3)를 형성하기 위한 포팅액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체적 등의 변화로 인해 상기 제1컨택트(2a)의 연결부재(23)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가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컨택트(2a)의 실장부재(22)에 대한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관통공(42)의 길이(42L, 도 9에 도시됨)에 비해 더 짧은 길이(3L)로 상기 제1관통공(42)을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2a)들의 실장부재(22)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방수부(3)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1컨택트(2a)들이 갖는 실장부재(22)들을 가리지 않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2a)들에 대한 완전방수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컨택트(3a)들의 실장부재(22)들을 가지리 않도록 구현되어 상기 제1컨택트(3a)들의 실장부재(22)들을 상기 기판에 실장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일부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장부재(22)가 상기 제1관통공(42)에 대해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서 상기 절연부재(41)로부터 돌출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1관통공(42)에만 위치하므로, 상기 절연부재(41)로부터 돌출된 실장부재(22)를 가리지 않는다.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장부재(22)가 제1관통공(42)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관통공(42)의 길이(42L)에 비해 더 짧은 길이(3L)로 상기 제1관통공(42)을 채우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제1관통공(42)에 위치한 실장부재(22)를 가리지 않는다. 상기 제1관통공(42)에 위치한 실장부재(2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방수부(3)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관통공(42)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부재(41)에 상기 제1관통공(42)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방수부(3)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포팅액의 체적 등의 변화로 인해 상기 실장부재(22)들에 대한 평탄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상기 절연부재(41) 및 상기 컨택트(2)들을 인서트 몰딩 등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관통공(42)으로 인해 상기 절연부재(41)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41)에서 상기 제1관통공(42)이 형성된 부분에 대한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절연부재(41)에 변형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실장부재(22)들에 대한 평탄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연부(4)는 보강부재(43, 도 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보강부재(43)는 상기 절연부재(41)가 갖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강부재(43)는 상기 제1관통공(42)을 구획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절연부재(41)에서 상기 제1관통공(42)이 형성된 부분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강부재(43)는 상기 절연부재(41) 및 상기 컨택트(2)들을 인서트 몰딩 등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절연부재(41)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관통공(42)을 통해 포팅액의 체적 등의 변화에 기인하여 상기 실장부재(22)들에 대한 평탄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강부재(43)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부재(41)에 발생한 변형에 기인하여 상기 실장부재(22)들에 대한 평탄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장부재(22)들에 대한 평탄도를 더 향상시켜서 상기 실장부재(22)들 및 상기 기판 간의 접속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 간의 접속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43)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절연부재(41)에서 상기 제1관통공(42)이 형성된 부분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부재(43)는 상기 절연부재(41)가 갖는 제1대향면(411, 도 11에 도시됨) 및 제2대향면(412, 도 11에 도시됨) 각각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절연부재(41)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제1대향면(411) 및 상기 제2대향면(412)은 상기 제1관통공(4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면이다. 상기 제1대향면(411)은 상기 제2대향면(412)에 대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대향면(412)은 상기 제1대향면(411)에 대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43)는 상기 제1대향면(411) 및 상기 제2대향면(412)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대향면(411) 및 상기 제2대향면(412)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강부재(43)는 상기 절연부재(41) 및 상기 컨택트(2)들을 인서트 몰딩 등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대향면(411) 및 상기 제2대향면(412) 간의 간격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절연부재(41)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4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관통공(42)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관통공(42)은 상기 보강부재(43)에 의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로 구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부재(43)는 상기 제1관통공(42)들 각각에 대한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절연부재(41)에서 상기 제1관통공(42)이 형성된 부분에 대한 강도가 저하되는 정도를 줄여서 상기 절연부재(41)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도 8에는 상기 제1관통공(42)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2개로 구획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관통공(42)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3개 이상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절연부(4)는 상기 보강부재(43)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4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4)는 제2관통공(44, 도 11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공(44)은 상기 방수부(3)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관통공(44)은 상기 절연부재(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공(44)은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재(41)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절연부재(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공(44)에는 상기 방수부(3)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2관통공(44)에 위치하여 상기 제2관통공(44)에 위치한 컨택트(2)(이하, '제2컨택트(2b)'라 함)(도 11에 도시됨)에 대한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방수부(3)가 상기 절연부(4)의 후면(4a, 도 5에 도시됨)이 아닌 상기 절연부(4)의 전면(前面)(4b, 도 5에 도시됨) 및 후면(4a) 사이에서 상기 제2컨택트(2b)에 대한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상기 방수부(3)의 위치가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3)를 형성하기 위한 포팅액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체적 등의 변화로 인해 상기 제2컨택트(2b)의 실장부재(22, 도 11에 도시됨)에 대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2b)의 실장부재(22)에 대한 평탄도를 향상시켜서 상기 제2컨택트(2b)의 실장부재(22) 및 상기 기판 간의 접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 간의 접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관통공(44)을 통해 상기 방수부(3)의 위치가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2컨택트(2b)의 실장부재(22)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2컨택트(2b)의 연결부재(23, 도 11에 도시됨)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b)의 연결부재(23)에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연결부재(23)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3)를 형성하기 위한 포팅액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체적 등의 변화로 인해 상기 연결부재(23)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가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2b)의 실장부재(22)에 대한 평탄도를 더 향상시켜서 상기 제2컨택트(2b)의 실장부재(22) 및 상기 기판 간의 접속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 간의 접속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관통공(44)에는 다음과 같은 공정들을 통해 상기 방수부(3)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택트(2)들이 결합된 절연부재(41)가 상기 쉘(5)에 삽입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방수부(3)를 형성하기 위한 포팅액을 상기 쉘(5)의 내측에 도포한다.
다음, 상기 쉘(5)의 내측에 도포된 포팅액은, 상기 쉘(5)의 내측에서 유동함에 따라 상기 쉘(5)의 내측, 상기 제1관통공(42)의 일부, 및 상기 제2관통공(44)에 채워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쉘(5)은 포팅액이 도포되는 부분이 상측을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이다. 따라서, 포팅액은 중력에 의해 상기 쉘(5)의 내측, 상기 제1관통공(42)의 일부, 및 상기 제2관통공(44)에 채워지도록 유동할 수 있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팅액이 상기 쉘(5)의 내측, 상기 제1관통공(42)의 일부, 및 상기 제2관통공(44, 도 11에 도시됨)에 채워지면, 포팅액을 경화시킨다. 이에 따라, 포팅액은 상기 방수부(3)로 구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들을 거쳐,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쉘(5)의 내측, 상기 제1관통공(42)의 일부, 및 상기 제2관통공(44)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공(44)은 상기 절연부재(41)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공(44)은 상기 절연부(4)의 전면(前面)(4b, 도 5에 도시됨)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해 상기 절연부(4)의 후면(4a, 도 5에 도시됨)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더 짧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재(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관통공(44)은 상기 절연부(4)의 후면(4a) 쪽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공(44)은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방수부(3)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관통공(44)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관통공(4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절연부재(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공(44)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재(43)에 대해 중첩(重疊)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관통공(44)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4)의 전면(前面)(4b) 및 상기 보강부재(43)의 사이에서 상기 절연부(4)의 전면(前面)(4b) 및 상기 보강부재(43)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공(44)에는 상기 제2컨택트(2b)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b)는 상기 제2관통공(44)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b)는 상기 보강부재(43)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강부재(4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b)는 상기 실장부재(22)가 상기 절연부(4)의 후면(4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컨택트(2b)는 상기 연결부재(23)의 일부가 상기 제2관통공(44)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재(23)의 일부가 상기 보강부재(43)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실장부재(22)가 상기 절연부(4)의 후면(4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2)가 상기 제2컨택트(2b)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1에는 상기 제2관통공(44)에 2개의 제2컨택트(2b)가 위치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관통공(44)에는 1개 또는 3개 이상의 제2컨택트(2b)가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절연부재(41)에 2개의 제1관통공(42)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컨택트(2b)의 연결부재(2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관통공(42)들 각각에 위치한 제1컨택트(2a)들의 연결부재(23)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컨택트(2b)의 실장부재(2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관통공(42)들 각각에 위치한 제1컨택트(2a)들의 실장부재(22)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공(44)이 구비된 경우, 상기 방수부(3)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2컨택트(2b)의 사면(四面)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2관통공(4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b)의 사면(四面)은, 도 12을 기준으로 할 때 상면(21b), 하면(22b), 좌면(23b), 우면(24b)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3)가 상기 제2컨택트(2b)의 사면(四面)을 둘러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컨택트(2b)에 대한 완전방수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2b)에 대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2컨택트(2b) 각각이 갖는 연결부재(23, 도 11에 도시됨)의 사면(四面)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b) 중에서 상기 연결부재(23)가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2컨택트(2b)의 연결부재(23)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부분의 사면(四面)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3)를 형성하기 위한 포팅액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체적 등의 변화로 인해 상기 제2컨택트(2b)의 연결부재(23)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가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컨택트(2b)의 실장부재(22)에 대한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관통공(44)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재(43)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컨택트(2b)의 양면(23b, 24b)에 위치하는 방수부(3)의 양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2b)에 대한 방수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2관통공(44)의 전부를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공(44)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재(43)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관통공(44)에는 상기 제1컨택트(2a)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1컨택트(2a)에서 상기 제2관통공(44)에 형성된 부분의 사면(四面)을 둘러싸지 못하고 일부 면만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2관통공(44)에 형성되나, 상기 제1컨택트(2a)에서 상기 제1관통공(42)에 형성된 부분의 사면(四面)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관통공(44)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재(43)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제1관통공(42)에 채워진 방수부(3)를 이용하여 상기 제1컨택트(2a)에 대한 완전방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4)는 제3관통공(45, 도 1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관통공(45)은 상기 방수부(3)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3관통공(45)은 상기 절연부재(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관통공(45)은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재(41)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절연부재(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관통공(45)에는 상기 방수부(3)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3관통공(45)에 위치하여 상기 제3관통공(45)에 위치한 컨택트(2)(이하, '제3컨택트(2c)'라 함)(도 13에 도시됨)에 대한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방수부(3)가 상기 절연부(4)의 후면(4a, 도 5에 도시됨)이 아닌 상기 절연부(4)의 전면(前面)(4b, 도 5에 도시됨) 및 후면(4a) 사이에서 상기 제3컨택트(2c)에 대한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상기 방수부(3)의 위치가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3)를 형성하기 위한 포팅액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체적 등의 변화로 인해 상기 제3컨택트(2c)의 실장부재(22, 도 13에 도시됨)에 대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3컨택트(2c)의 실장부재(22)에 대한 평탄도를 향상시켜서 상기 제3컨택트(2c)의 실장부재(22) 및 상기 기판 간의 접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 간의 접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관통공(45)을 통해 상기 방수부(3)의 위치가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3컨택트(2c)의 실장부재(22)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3컨택트(2c)의 연결부재(23, 도 13에 도시됨)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2c)의 연결부재(23)에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연결부재(23)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3)를 형성하기 위한 포팅액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체적 등의 변화로 인해 상기 연결부재(23)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가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3컨택트(2c)의 실장부재(22)에 대한 평탄도를 더 향상시켜서 상기 제3컨택트(2c)의 실장부재(22) 및 상기 기판 간의 접속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 간의 접속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관통공(45)에는 다음과 같은 공정들을 통해 상기 방수부(3)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택트(2)들이 결합된 절연부재(41)가 상기 쉘(5)에 삽입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방수부(3)를 형성하기 위한 포팅액을 상기 쉘(5)의 내측에 도포한다.
다음, 상기 쉘(5)의 내측에 도포된 포팅액은, 상기 쉘(5)의 내측에서 유동함에 따라 상기 쉘(5)의 내측, 상기 제1관통공(42)의 일부, 상기 제2관통공(44, 도 11에 도시됨), 및 상기 제3관통공(45, 도 13에 도시됨)에 채워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쉘(5)은 포팅액이 도포되는 부분이 상측을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이다. 따라서, 포팅액은 중력에 의해 상기 쉘(5)의 내측, 상기 제1관통공(42)의 일부, 상기 제2관통공(44), 및 상기 제3관통공(45)에 채워지도록 유동할 수 있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팅액이 상기 쉘(5)의 내측, 상기 제1관통공(42)의 일부, 상기 제2관통공(44, 도 11에 도시됨), 및 상기 제3관통공(45, 도 13에 도시됨)에 채워지면, 포팅액을 경화시킨다. 이에 따라, 포팅액은 상기 방수부(3)로 구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들을 거쳐,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쉘(5)의 내측, 상기 제1관통공(42)의 일부, 상기 제2관통공(44), 및 상기 제3관통공(45)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관통공(45)은 상기 절연부재(41)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관통공(45)은 상기 절연부(4)의 전면(前面)(4b, 도 5에 도시됨)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해 상기 절연부(4)의 후면(4a, 도 5에 도시됨)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더 짧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재(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관통공(45)은 상기 절연부(4)의 후면(4a) 쪽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관통공(45)은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방수부(3)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관통공(45)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관통공(4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절연부재(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관통공(45)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관통공(44)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관통공(45) 및 상기 제2관통공(44)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관통공(45)에는 상기 제3컨택트(2c)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2c)는 상기 제3관통공(45)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2c)는 상기 연결부재(23)의 일부가 상기 제3관통공(45)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재(23)의 일부가 상기 절연부재(41)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실장부재(22)가 상기 절연부(4)의 후면(4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2)가 상기 제3컨택트(2c)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3에는 상기 제3관통공(45)에 1개의 제3컨택트(2c)가 위치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3관통공(45)에는 2개 이상의 제3컨택트(2c)가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제3관통공(45)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관통공(45)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공(44)은 상기 제3관통공(45)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절연부재(41)에 2개의 제3관통공(45)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절연부재(41)에는 3개 이상의 제3관통공(45)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관통공(45)이 구비된 경우, 상기 방수부(3)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3컨택트(2c)의 사면(四面)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3관통공(4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2c)의 사면(四面)은, 도 14을 기준으로 할 때 상면(21c), 하면(22c), 좌면(23c), 우면(24c)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3)가 상기 제3컨택트(2c)의 사면(四面)을 둘러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3컨택트(2c)에 대한 완전방수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3컨택트(2c)에 대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3컨택트(2c) 각각이 갖는 연결부재(23, 도 13에 도시됨)의 사면(四面)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2c) 중에서 상기 연결부재(23)가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3컨택트(2c)의 연결부재(23)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부분의 사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방수부(3)를 형성하기 위한 포팅액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체적 등의 변화로 인해 상기 제3컨택트(2c)의 연결부재(23)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가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3컨택트(2c)의 실장부재(22)에 대한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관통공(45)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일부가 상기 제1관통공(42)에 대해 중첩(重疊)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3컨택트(2c)의 양면(23c, 24c)에 위치하는 방수부(3)의 양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3컨택트(2c)에 대한 방수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3관통공(45)의 전부를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관통공(45)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관통공(42)에 대해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3관통공(45)에는 상기 제1컨택트(2a)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제1컨택트(2a)에서 상기 제3관통공(45)에 형성된 부분의 사면(四面)을 둘러싸지 못하고 일부 면만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3관통공(45)에 형성되나, 상기 제1컨택트(2a)에서 상기 제1관통공(42)에 형성된 부분의 사면(四面)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3관통공(45)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관통공(42)에 대해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되더라도, 상기 제1관통공(42)에 채워진 방수부(3)를 이용하여 상기 제1컨택트(2a)에 대한 완전방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4)는 차단부재(40, 도 1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쉘(5)의 내면(51a, 도 15에 도시됨) 및 상기 절연부(4)의 외면 사이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쉘(5)의 내면(51a) 및 상기 절연부(4)의 외면 사이를 통해 포팅액이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쉘(5)의 내측에 삽입된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차단부재(40)가 상기 쉘(5)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상기 쉘(5)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절연부재(4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절연부재(41)를 기준으로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절연부재(41)의 상면(41a), 하면(41b), 좌면(41c), 및 우면(41b)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절연부재(41)의 상면(41a), 하면(41b), 좌면(41c), 및 우면(41b)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쉘(5)의 내면(51a)에 대한 크기(52D, 도 15에 도시됨)에 비해 더 큰 크기(40D, 도 15에 도시됨)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부(4)가 상기 쉘(5)의 내측에 삽입되면,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쉘(5)의 내면(51a)에 가압되어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쉘(5)의 내면(51a)을 복원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쉘(5)의 내면(51a) 및 상기 절연부(4)의 외면 사이를 통해 포팅액이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포팅액이 상기 쉘(5)의 내면(51a) 및 상기 절연부(4)의 외면 사이를 통해 누설됨에 따라 방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우수한 방수 성능을 갖출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쉘(5)의 내면(51a)에 접촉되기 위한 외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부재(40)가 상기 쉘(5)의 내측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쉘(5)의 내면(51a)이 상기 차단부재(40)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5)의 내면(51a)이 상기 차단부재(40)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우수한 방수 성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차단부재(40)가 상기 쉘(5)의 내측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차단부재(40) 및 상기 쉘(5)의 내면(51a)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절연부(4)를 상기 쉘(5)의 내측에 삽입시켜서 결합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절연부재(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40) 및 상기 절연부재(41)는 별도로 제조된 후에, 상기 차단부재(40)가 상기 절연부재(41)에 결합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절연부재(4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절연부재(41)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부재(40)는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단부재(40)는 실리콘(Silicone), 우레탄(Urethan)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제1관통공(42)에 대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제2관통공(45)에 대해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4)는 돌출부재(46, 도 1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46)는 상기 절연부재(4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가 상기 돌출부재(46)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돌출부재(46)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돌출부재(46)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차단부재(40) 및 상기 절연부재(41)를 별도로 제조하는 경우, 상기 차단부재(40)에 대한 재료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돌출부재(46)는 상기 쉘(5)의 내면(51a)에 대한 크기(52D, 도 17에 도시됨)에 비해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쉘(5)의 내면(51a)에 대한 크기(52D)에 비해 더 큰 크기(40D, 도 17에 도시됨)를 갖도록 상기 돌출부재(46)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돌출부재(46)를 기준으로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돌출부재(4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돌출부재(46)와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돌출부재(46)에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40) 및 상기 돌출부재(46)는 별도로 제조된 후에, 상기 차단부재(40)가 상기 돌출부재(46)에 결합되어서 상기 돌출부재(46)에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돌출부재(46)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40)는 상기 돌출부재(46)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부재(40)는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단부재(40)는 실리콘, 우레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21을 참고하면, 상기 쉘(5)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컨택트(2)들에 접속되는 접속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쉘(5)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에서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쉘(5)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컨택트(2)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쉘(5)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컨택트(2)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쉘(5)은 상기 절연부(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컨택트(2)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쉘(5)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컨택트(2)들의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쉘(5)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쉘(5)는 상기 방수부(3)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3)는 상기 쉘(5)에 상기 절연부(4)가 결합된 상태에서 포팅액이 상기 쉘(5)의 내측에 도포된 후에 경화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쉘(5)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부분 및 상기 방수부(3)가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차단부재(4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쉘(5)은 쉘본체(51, 도 19에 도시됨), 및 수용공(52, 도 19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본체(51)는 상기 수용공(52)에 위치한 컨택트(2)들, 상기 방수부(3), 및 상기 절연부(4)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쉘본체(2)는 상기 쉘(51)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쉘(51)은 전체적으로 내측가 비어 있는 타원형의 장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컨택트(2)들, 상기 방수부(3), 및 상기 절연부(4)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쉘본체(51)는 이음매(50, 도 18에 도시됨)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쉘(5)의 외면은 이음매(50)로 인한 틈새 없이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쉘(5)이 판재를 절단한 후에 벤딩하는 벤딩공정, 및 벤딩한 판재의 양단을 용접 등의 가공작업을 통해 결합시키는 결합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경우, 상기 쉘(5)에는 상기 결합공정을 통해 이음매(50)가 형성된다. 이러한 이음매(50)는 틈새이기 때문에, 방수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태핑(Tapping) 등과 같은 별도의 추가작업을 통해 메워져야 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쉘(5)은 작업공수 증가로 인한 제조비용 상승 및 제조시간 증대로 인한 생산성 저하가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쉘(5)은 추가작업을 통해 상기 이음매(50)를 메우더라도, 상기 이음매(50)를 통해 수분 등이 침투할 위험이 존재하므로 낮은 방수 성능을 갖추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본체(50)가 상기 이음매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쉘(5)의 외면이 상기 이음매(50)로 인한 틈새 없이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이음매(50)를 메우기 위해 태핑 등과 같은 추가작업 없이도, 상기 쉘(5)이 방수 기능을 갖추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작업공수를 줄이면서도 방수 기능을 갖출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시간 단축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본체(51)가 상기 이음매(50) 없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쉘(5)의 외면이 이음매(50)로 인한 틈새 없이 구현되므로, 상기 이음매(50)를 통해 수분 등이 침투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방수 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쉘본체(51)는 판재를 딥드로잉(Deep Drawing) 공법으로 가공하여 이음매(50)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쉘본체(51)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쳐 이음매(50)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우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100)의 일면에 가공장치(200)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가공장치(200)가 상기 판재(100)의 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하강함으로써, 상기 판재(100)에 가공부(300)를 성형한다. 상기 가공장치(200)는 프레스설비에 구비된 펀치일 수 있다. 상기 가공장치(200)는 상기 쉘본체(51)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판재(100)는 프레스설비의 다이스에 지지된 상태일 수 있다.
다음, 상기 가공장치(200)에 의해 상기 가공부(300)가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형태로 성형되면, 상기 가공부(40)의 일측에 대해 일부를 절단 가공하다. 이에 따라, 상기 가공부(40)는 양단이 개방된 형태로 성형됨으로써, 상기 쉘본체(51)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공부(40)의 타측에 대해 일부를 절단 가공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들을 거쳐 상기 쉘본체(51)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매(50)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작업공수를 줄이면서도 방수 기능을 갖출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시간 단축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이음매(50)를 통해 수분 등이 침투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방수 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52)은 상기 쉘본체(5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52)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컨택트(2)들에 접속되는 접속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쉘(5)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에서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용공(5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수용공(52)에 위치한 컨택트(2)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52)은 상기 방수부(3)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상기 방수부(3)는 포팅액이 상기 쉘(5)의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에서 상기 수용공(52)으로 도포된 후에 경화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52)은 상기 판재(100)를 딥드로잉 공법으로 가공하는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52)은 상기 차단부재(40, 도 17에 도시됨)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수직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차단부재(40)에서 최대 단면적을 갖는 부분은 상기 수용공(52)에 비해 더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부(4)는 상기 차단부재(40)를 이용하여 상기 쉘본체(51)에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본체(51) 및 상기 절연부(4) 사이의 틈새를 통해 포팅액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21을 참고하면, 상기 쉘(5)은 지지부재(53, 도 1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3)는 상기 수용공(52)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53)는 상기 쉘본체(51)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수용공(52)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쉘(5)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에서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용공(5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재(53)에 지지되면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53)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수용공(52)에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과다한 깊이로 상기 수용공(52)에 삽입됨에 따라 손상 내지 파손이 발생하거나 방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3)는 상기 쉘본체(51)의 일부를 굽힘(Bending) 가공함으로써, 상기 수용공(52)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쉘(5)은 상기 지지부재(53)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53)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9에는 상기 쉘본체(51)에 4개의 지지부재(53)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쉘(5)은 1개,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의 지지부재(53)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 도 3 및 도 2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커버(6) 및 실링부재(7, 도 2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6)는 상기 쉘(5)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쉘(5)은 상기 커버(6)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6)는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6)는 표면실장기술(Suface Mount Technology)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6) 및 상기 쉘(5)은 부분적으로 용접이 수행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쉘(5)은 상기 커버(6)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커버(6)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쉘(5)에서 상기 커버(6)로부터 돌출된 부분에는 설치홈(61, 도 2에 도시됨)이 위치한다.
상기 실링부재(7)는 방수기능을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실링부재(7)는 상기 쉘(5)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실링부재(7)는 전자기기의 프레임(미도시)에 밀참됨으로써 수분, 분진 등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전자기기와의 관계에서도 방수기능을 갖추도록 구현됨으로써, 전자기기에 대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7)는 상기 쉘(5)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쉘(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7)는 상기 쉘(5)에서 상기 커버(6)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5)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재(7)는 상기 설치홈(61)에 위치하도록 상기 실링부재(7)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링부재(7)는 상기 설치홈(61)의 길이(61L, 도 22에 도시됨)에 비해 더 짧은 길이(7L, 도 22에 도시됨)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설치홈(61)의 길이(61L)는 상기 실링부재(7)의 길이(7L)에 대해 대략 1.5배 정도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링부재(7)의 길이(7L)가 1.0 mm인 경우, 상기 설치홈(61)의 길이(61L)는 1.5 mm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7)는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상기 설치홈(61)의 일부가 남도록 상기 쉘(5)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재(7)는 상기 커버(6)에 접촉되도록 상기 쉘(5)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링부재(7)는 상기 설치홈(61)의 길이(61L)와 동일한 길이(7L)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링부재(7)의 길이(7L) 및 상기 설치홈(61)의 길이(61L)는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재(7)는 상기 쉘(5)에서 상기 커버(6)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전면(全面)을 덮도록 상기 쉘(5)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전자기기에 대한 방수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부재(7)는 타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재(7)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실링부재(7)는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이면, 타원형의 단면 외에 다른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7)는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이면,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고리 형태 외에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링부재(7)는 상기 쉘(5)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6)의 외면에 비해 더 돌출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7)는 상기 전자기기의 프레임에 밀착됨에 따라 탄성적으로 압축됨으로써,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전자기기의 프레임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더 우수한 방수 성능을 갖추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를 참고하면, 상기 실링부재(7)는 실링본체(71) 및 실링돌기(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본체(71)는 상기 쉘(5)에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실링부재(7)는 상기 실링본체(71)가 상기 쉘(5)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쉘(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본체(71)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본체(71)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실링본체(71)는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이면, 사각형의 단면 외에 다른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본체(71)는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이면,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고리 형태 외에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링돌기(72)는 전자기기의 프레임에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실링돌기(72)는 상기 실링본체(7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실링돌기(72)는 상기 쉘(5)에서 상기 실링본체(71)를 향하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실링본체(71)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링돌기(72)는 상기 실링본체(71)로부터 상기 외측방향으로 0.5mm의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링돌기(72)는 상기 실링본체(71)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돌기(72)는 상기 실링부재(7)가 상기 쉘(5)에 설치되면, 상기 커버(6)의 외면에 비해 더 돌출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돌기(72)는 상기 전자기기의 프레임에 밀착됨에 따라 탄성적으로 압축됨으로써,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전자기기의 프레임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더 우수한 방수 성능을 갖추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돌기(72)는 상기 실링본체(71)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링돌기(72)는 사다리꼴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돌기(72)는 사다리꼴형의 단면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실링돌기(72)는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이면, 사다리꼴형의 단면 외에 다른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돌기(72)는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이면,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고리 형태 외에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링부재(7)는 상기 실링돌기(72)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돌기(72)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실링본체(71)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4에는 상기 실링부재(7)가 2개의 실링돌기(7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링부재(7)는 3개 이상의 실링돌기(72)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리셉터클 커넥터 2 : 컨택트
3 : 방수부 4 : 절연부
5 : 쉘 6 : 커버
7 : 실링부재 21 : 접속부재
22 : 실장부재 23 : 연결부재
40 : 차단부재 41 : 절연부재
42 : 제1관통공 43 : 보강부재
44 : 제2관통공 45 : 제3관통공
46 : 돌출부재 51 : 쉘본체
52 : 수용공 61 : 설치홈
71 : 실링본체 72 : 실링돌기
411 : 제1대향면 412 : 제2대향면

Claims (11)

  1.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재 및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컨택트들이 결합되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가 결합되는 쉘; 및
    상기 쉘의 내면 및 상기 절연부의 외면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절연부가 상기 쉘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쉘의 내측에 배치되는 방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트들은 상기 실장부재들이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며,
    상기 절연부는 상기 컨택트들을 지지하기 위한 절연부재, 상기 절연부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재, 및 상기 돌출부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돌출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쉘의 내측에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쉘의 내면에 비해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쉘의 내면 및 상기 절연부의 외면 사이를 차단하도록 상기 쉘의 내면에 비해 더 큰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쉘의 내면에 가압되어 압축되도록 상기 쉘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쉘의 내면에 접촉되기 위한 외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이음매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된 쉘본체, 및 상기 쉘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수용공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접속부재들이 상기 쉘본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공에 삽입되어서 상기 쉘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쉘본체는 판재를 딥드로잉(Deep Drawing) 공법으로 가공하여 이음매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재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절연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관통공, 및 상기 절연부재가 갖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절연부재에 결합된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부는 상기 쉘의 내측 및 상기 제1관통공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는 상기 컨택트들 중에서 상기 제1관통공에 위치한 컨택트들의 사면(四面)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관통공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관통공의 길이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상기 제1관통공을 채우도록 형성되고,
    상기 컨택트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는 상기 실장부재가 상기 제1관통공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관통공에 위치한 실장부재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방수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관통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관통공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절연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2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재에 대해 중첩(重疊)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방수부는 상기 컨택트들 중에서 상기 제2관통공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의 사면(四面)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2관통공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절연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3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컨택트들 중에서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관통공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절연부재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는, 상기 제3관통공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방수부는 상기 컨택트들 중에서 상기 제3관통공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의 사면(四面)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3관통공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및 상기 쉘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쉘은 상기 커버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쉘에서 상기 커버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60077523A 2016-02-25 2016-06-21 리셉터클 커넥터 KR102517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2102 WO2017146540A1 (ko) 2016-02-25 2017-02-24 리셉터클 커넥터
CN201780007092.8A CN108475878B (zh) 2016-02-25 2017-02-24 插座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869 2016-02-25
KR20160022869 2016-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392A KR20170100392A (ko) 2017-09-04
KR102517696B1 true KR102517696B1 (ko) 2023-04-04

Family

ID=59924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523A KR102517696B1 (ko) 2016-02-25 2016-06-21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7696B1 (ko)
CN (1) CN1084758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956B1 (ko) * 2017-03-23 2023-06-1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102446231B1 (ko) * 2018-01-29 2022-09-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102502421B1 (ko) * 2018-02-12 2023-02-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방법
CN115036743B (zh) * 2018-11-28 2023-12-29 Ls美创有限公司 插座连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5383A (ja) * 2013-06-20 2015-01-08 株式会社エクセル電子 防水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25893U (zh) * 2010-05-21 2011-01-26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防水型通用串行总线连接器
US7922535B1 (en) * 2010-11-05 2011-04-1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103208698B (zh) * 2012-01-12 2015-05-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781991B2 (ja) * 2012-08-07 2015-09-24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4243325U (zh) * 2014-07-30 2015-04-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4538336U (zh) * 2015-04-28 2015-08-05 昆山全方位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设有凹陷槽的USB Type C防水连接器
CN204538373U (zh) * 2015-04-28 2015-08-05 昆山全方位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设有通孔的USB Type C防水连接器
CN204538338U (zh) * 2015-04-28 2015-08-05 昆山全方位电子科技有限公司 设有灌入腔的USB Type C 防水连接器
CN105337093B (zh) * 2015-08-19 2018-11-0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5383A (ja) * 2013-06-20 2015-01-08 株式会社エクセル電子 防水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75878B (zh) 2020-06-26
KR20170100392A (ko) 2017-09-04
CN108475878A (zh)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3956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460726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2517696B1 (ko) 리셉터클 커넥터
JP7175392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KR101301982B1 (ko) 방수형 리셉터클 커넥터
KR20130014504A (ko) 전자기기의 접속 기구 및 접속 장치
KR102552927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654772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180000084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56667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158267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65477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491486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제조방법
KR10223500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44623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502421B1 (ko)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방법
KR102308129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26662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220112B1 (ko) 리셉터클 커넥터
CN211629407U (zh) 插座连接器
KR102337132B1 (ko) 리셉터클 커넥터
CN210430142U (zh) 一种用于连接器的防水结构
JP2015011975A (ja) 充電式電子機器の防水構造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