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480B1 - Functional toothbrush - Google Patents

Functional tooth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480B1
KR102517480B1 KR1020210060898A KR20210060898A KR102517480B1 KR 102517480 B1 KR102517480 B1 KR 102517480B1 KR 1020210060898 A KR1020210060898 A KR 1020210060898A KR 20210060898 A KR20210060898 A KR 20210060898A KR 102517480 B1 KR102517480 B1 KR 102517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unit
tunnel
vibration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8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53380A (en
Inventor
김뮤즈
김경수
이상열
Original Assignee
김뮤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뮤즈 filed Critical 김뮤즈
Priority to KR1020210060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480B1/en
Publication of KR20220153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3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4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2Brush body details, e.g. the shape thereof or connection to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5Handles or detail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기능성 칫솔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칫솔은 터널(tunnel) 형식으로 마련되되 치아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터널식 헤드와, 상기 터널식 헤드의 내벽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치아의 전체 벽면에 접촉 지지되면서 해당 치아를 세척하는 복수 개의 칫솔모를 구비하는 헤드 유닛; 상기 헤드 유닛의 일측에 연결되는 손잡이 유닛; 및 상기 헤드 유닛과 상기 손잡이 유닛 사이에서 상기 헤드 유닛과 상기 손잡이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터널식 헤드에 연결되는 네크부, 및 상기 네크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자유 회전볼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 유닛은 비직선형 형상을 이루되 상기 자유 회전볼이 자유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볼 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터널식 헤드는 헤드 몸체부, 상기 헤드 몸체부와의 부품탑재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헤드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헤드 커버부, 및 상기 부품탑재공간에 마련되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때 동작하면서 상기 터널식 헤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발생기를 포함한다. A functional toothbrush is disclosed. The functional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nnel head provided in the form of a tunnel and disposed to surround the teeth, and a plurality of heads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tunnel head and cleaning the teeth while being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entire wall surface of the teeth. a head unit having bristles; a handle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d unit; and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head unit and the handle unit between the head unit and the handle unit. The head unit further includes a neck portion connected to the tunnel head, and a freely rotating ball formed at an end of the neck portion. The connection unit has a non-linear shape and includes a ball pocket in which the freely rotating ball is accommodated, and the tunnel type head has a head body and a component mounting space between the head body and the head body. It includes a head cover part disposed outside the body part, and at least one vibration generator provided in the component mounting space and operating when an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generate vibration in the tunnel head.

Description

기능성 칫솔{Functional toothbrush}Functional toothbrush {Functional toothbrush}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기능성 칫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하더라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치아의 전체 벽면을 고르고 깨끗하게 닦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는 기능성 칫솔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functional toothbrush, in particular, a functional toothbrush that can be used by anyone of any age or gender to easily and effectively evenly and cleanly clean the entire wall of teeth, thereby contributing to maintaining healthy teeth. It is about.

칫솔(toothbrush)은 구강 내부와 치아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매일 사용하는 위생 도구(기구) 중의 하나이다.A toothbrush is one of hygiene tools (instruments) used daily to keep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and teeth clean.

사용자의 연령이나 치아 상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칫솔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는데, 손잡이와 칫솔모가 형성된 헤드부로 구성된 칫솔이 일반적이다.Various types of toothbrushes have been developed and released according to the user's age or dental condition, and a toothbrush composed of a handle and a head portion having bristles is common.

한편,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칫솔질이 중요하다. 즉 칫솔모가 치아의 전체 벽면을 고르게 닦을 수 있게끔 하면서 칫솔질을 해야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proper brushing is important to maintain healthy teeth. In other words, the desired effect can be obtained by brushing while allowing the bristles to evenly clean the entire wall surface of the teeth.

다만, 일반 칫솔을 이용해서는 올바르고 효과적인 칫솔질을 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에서 최근에는 예컨대, 도 1과 같은 형태의 기능성 칫솔이 제안되기도 하였다.However, in that it is not easy to perform correct and effective brushing using a regular toothbrush, a functional toothbrush in the form of, for example, FIG. 1 has recently been proposed.

도 1의 기능성 칫솔은 손잡이(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칫솔모(20)가 동서남북 둘레를 따라 모두 형성된 것으로서, 단위 시간당 칫솔질의 효과가 높아질 수 있게끔 유도한다.In the functional toothbrush of FIG. 1 , the bristles 20 formed at the end of the handle 10 are formed along the north, south, east, west, and circumferences,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 effectiveness of brushing per unit time.

하지만, 도 1의 칫솔 역시, 칫솔모(20)를 치아의 전체 벽면에 일일이 배치한 상태에서 칫솔질해야만 그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칫솔질을 세밀하고 꼼꼼하게 하지 않는 어린아이나 노인에게서 같은 효과를 얻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기능성 칫솔에 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However, the toothbrush of FIG. 1 can also obtain the effect only by brushing while the bristles 20 are placed on the entire wall of the tooth one by one, but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same effect in children or the elderly who do not brush their teeth in detail and meticulously. Considering this, the need for a functional toothbrush of a new concept that has not been previously known emerges.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20-0012976호Republic of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10-2020-001297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하더라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치아의 전체 벽면을 고르고 깨끗하게 닦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는 기능성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al toothbrush that can be used by anyone of any age or gender to simply and effectively clean and clean the entire wall surface of teeth, thereby contributing to maintaining healthy teeth.

상기 목적은, 터널(tunnel) 형식으로 마련되되 치아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터널식 헤드와, 상기 터널식 헤드의 내벽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치아의 전체 벽면에 접촉 지지되면서 해당 치아를 세척하는 복수 개의 칫솔모를 구비하는 헤드 유닛; 상기 헤드 유닛의 일측에 연결되는 손잡이 유닛; 및 상기 헤드 유닛과 상기 손잡이 유닛 사이에서 상기 헤드 유닛과 상기 손잡이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칫솔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to provide a tunnel head provided in a tunnel format and disposed to surround the teeth, and a plurality of bristles that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the tunnel head and ar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entire wall surface of the teeth to clean the teeth. a head unit having; a handle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d unit; and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head unit and the handle unit between the head unit and the handle unit.

상기 터널식 헤드는, 상기 치아의 표면에 배치되는 표면 배치부; 및 상기 표면 배치부에 대칭되게 연결되되 상기 치아의 양측 벽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칫솔모는, 상기 표면 배치부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상기 치아의 표면을 세척하는 표면 세척용 칫솔모; 및 상기 한 쌍의 측면 배치부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상기 치아의 양쪽 측면을 세척하는 측면 세척용 칫솔모를 포함할 수 있다.The tunnel-type head includes a surface arranging unit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tooth; and a pair of side surface arranging parts symmetrically connected to the surface arranging part and disposed on both side walls of the tooth, wherein the bristles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the surface arranging part to clean the surface of the tooth. ; and side cleaning bristles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pair of side mounting portions to clean both sides of the teeth.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터널식 헤드에 연결되는 네크부; 및 상기 네크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자유 회전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유닛은 비직선형 형상을 이루되 상기 자유 회전볼이 자유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볼 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d unit may include a neck portion connected to the tunnel head; And further comprising a free rotation ball formed at an end of the neck portion, wherein the connection unit may include a ball pocket in which the free rotation ball is freely rotatably accommodated while forming a non-linear shape.

상기 터널식 헤드는, 헤드 몸체부; 상기 헤드 몸체부와의 부품탑재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헤드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헤드 커버부; 및 상기 부품탑재공간에 마련되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때 동작하면서 상기 터널식 헤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tunnel head includes a head body; a head cover disposed outside the head body with a component mounting spac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t least one vibration generator provided in the component mounting space and operating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generate vibration in the tunnel head.

상기 진동 발생기는, 진동 모터; 및 상기 진동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진동 캠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헤드 몸체부에 접하게 복수 개가 배열될 수 있다.The vibration generator may include a vibration motor; and a vibration cam connected to a motor shaft of the vibration motor, and a plurality of vibration generators may be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head body.

상기 손잡이 유닛은, 충전 단자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유닛 커버부; 상기 유닛 커버부 내에 마련되며, 상기 충전 단자부를 통해 충전 가능한 내장 배터리; 상기 내장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상기 진동 발생기의 온/오프(on/off)를 위한 온/오프 모드, 상기 진동 발생기의 진동 세기 모드 또는 상기 진동 발생기의 진동 방식 모드를 선택하는 기능성 모드 선택스위치; 상기 기능성 모드 선택스위치의 주변에 배치되되 상기 기능성 모드 선택스위치의 선택신호를 표시하는 모드 표시부; 및 상기 모드 표시부의 주변에 배치되며,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unit includes a unit cover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harging terminal portion; a built-in battery provided within the unit cover unit and capable of being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unit; A functional mode that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uilt-in battery and selects an on/off mode for turning on/off the vibration generator, a vibration intensity mode of the vibration generator, or a vibration method mode of the vibration generator. selection switch; a mode display unit disposed around the functional mode selection switch and displaying a selection signal of the functional mode selection switch; and a charging state display unit disposed around the mode display unit and displaying a charging state.

상기 손잡이 유닛은, 상기 기능성 모드 선택스위치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 발생기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모드 표시부 또는 상기 충전상태 표시부가 동작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or based on a signal of the functional mode selection switch whil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de display unit or the charging status display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하더라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치아의 전체 벽면을 고르고 깨끗하게 닦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used by anyone of any age or gender, it is possible to simply and effectively clean and evenly clean the entire wall surface of teeth, which has an effect that can contribute to maintaining healthy teeth.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칫솔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칫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헤드 유닛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기능성 칫솔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칫솔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기능성 칫솔을 충전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헤드 유닛 영역의 확대 동작 구조도이다.
도 10은 헤드 유닛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1은 헤드 몸체부 영역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7의 기능성 칫솔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칫솔에 적용되는 헤드 유닛의 부분 단면 구조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분해도이다.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toothbrus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head unit area of FIG. 2 .
4 and 5 are use state diagrams for the functional toothbrush of FIG. 2 .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
7 is a front view of a functional toothbrus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of charging the functional toothbrush of FIG. 7 .
9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nlarged operation of a head unit area.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d unit in a state of us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d body region.
1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functional toothbrush of FIG. 7 .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a head unit applied to a functional toothbrus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ploded view of FIG. 13;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are mere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ake various forms. It can be implemented a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ith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o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e.g.,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will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칫솔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헤드 유닛 영역의 확대도, 도 4 및 도 5는 도 2의 기능성 칫솔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toothbrus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head unit area of FIG. 2, FIGS. 4 and 5 are a state of use of the functional toothbrush of FIG. 2, and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5 .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칫솔(100)은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하더라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치아의 전체 벽면을 고르고 깨끗하게 닦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손잡이 유닛(110), 연결 유닛(120) 및 헤드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unctional toothbrush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used by anyone of any age or gender simply and effectively to evenly and cleanly clean the entire wall surface of teeth, thereby contributing to maintaining healthy teeth. , The handle unit 110, the connection unit 120 and the head unit 130 may be included.

손잡이 유닛(1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칫솔(100)을 사용하기 위해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다.The handle unit 110 is a part that is gripped by hand in order to use the functional toothbrush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면에는 손잡이 유닛(110)이 단면 원형 구조로 되어 있지만, 이의 구조 혹은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Although the handle unit 110 has a circular structure in cross section in the drawings, its structure or shape can be changed at will.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s of the drawings.

또한,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으나, 손잡이 유닛(110)의 외벽에 미끄러짐 방지를 위한 요철이나 홈(groove) 등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rregularities or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handle unit 110 to prevent slipping, and all of these matters should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연결 유닛(120)은 헤드 유닛(130)과 손잡이 유닛(110) 사이에서 헤드 유닛(130)과 손잡이 유닛(110)을 연결하는 부분이다.The connection unit 120 is a part connecting the head unit 130 and the handle unit 110 between the head unit 130 and the handle unit 110 .

연결 유닛(120) 역시, 도면에는 단순 직선형 막대 그림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이 역시, 비직선의 플랙시블한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므로 연결 유닛(120)의 형상이 도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onnecting unit 120 is also a simple straight stick figure in the drawing. However, since this may also be provided in a non-straight flexible type, the shape of the connecting unit 120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

한편, 헤드 유닛(130)은 실질적으로 치아를 닦는 부분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헤드 유닛(130)은 기존의 것과 달리 터널(tunnel) 형식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칫솔질에 매우 유리하다. 즉 한 번의 칫솔질로도 치아의 전체 벽면을 고르고 깨끗하게 닦을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Meanwhile, the head unit 130 is a part for substantially brushing teeth. In particular, since the head unit 130 applied to this embodiment is applied in a tunnel type unlike the existing ones, it is very advantageous for brushing. In other words, it is very effective as it can clean the entire wall of the teeth evenly and cleanly with one brushing.

헤드 유닛(1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본 실시예에서 헤드 유닛(130)은 터널식 헤드(140)와 복수 개의 칫솔모(150)를 포함한다.The head unit 130 will be studied in detail. In this embodiment, the head unit 130 includes a tunnel head 140 and a plurality of bristles 150 .

터널식 헤드(140)는 터널(tunnel) 형식으로 마련되되 치아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구조물이다. 인체에 해가 없는 재료의 사출로 제작될 수 있다.The tunnel-type head 140 is a structure provided in a tunnel form and arranged to surround teeth. It can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of materials that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이러한 터널식 헤드(140)는 치아의 표면에 배치되는 표면 배치부(141)와, 표면 배치부(141)에 대칭되게 연결되되 치아의 양측 벽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배치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unnel head 140 includes a surface arranging unit 141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tooth and a pair of side arranging units 142 symmetrically connected to the surface arranging unit 141 and disposed on both side walls of the tooth. can do.

편의상 표면 배치부(141)와 측면 배치부(142)로 나누어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단일 재료에 의한 일체형 사출 구조물일 수 있다.For convenience, the surface arrangement part 141 and the side arrangement part 142 have been described separately, but they may be an integral injection structure made of a single material.

복수 개의 칫솔모(150)는 터널식 헤드(140)의 내벽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치아의 전체 벽면에 접촉 지지되면서 해당 치아를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A plurality of bristles 150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the tunnel head 140 and serve to clean the corresponding teeth while being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entire wall of the tooth.

이러한 칫솔모(150)는 터널식 헤드(140)의 표면 배치부(141) 내벽에서 돌출되어 치아의 표면을 세척하는 표면 세척용 칫솔모(151)와, 한 쌍의 측면 배치부(142)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치아의 양쪽 측면을 세척하는 측면 세척용 칫솔모(152)를 포함할 수 있다.These bristles 150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the surface arranging unit 141 of the tunnel head 140 to clean the surface of the tooth, and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a pair of side arranging units 142. It may include side cleaning bristles 152 for washing both sides of the teeth.

이처럼 터널식 헤드(140)를 기존과 달리 터널(tunnel) 형식으로 제조하는 한편 터널식 헤드(140)의 내벽 모두에 칫솔모(150)들이 배치되게 함으로써 도 4 내지 도 6처럼 치아를 둘러싸는 형태로 칫솔질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way, the tunnel type head 140 is manufactured in a tunnel type unlike the prior art, while the bristles 150 are arranged on all inner walls of the tunnel type head 140, so that brushing is per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teeth as shown in FIGS. 4 to 6. It can be done.

때문에 같은 시간이나 노력을 투입하더라도 좀 더 효과적으로 또한 칫솔모(150)가 닿지 않는 부분이 없을 정도로 깨끗한 칫솔질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어금니처럼 넓은 표면을 갖는 치아를 닦아내는 데 유리하다.Therefore, even if the same time or effort is inves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ean brushing effect more effectively and to the extent that there is no part that the bristles 150 do not reach. In particular, it is advantageous for brushing teeth having a wide surface such as molar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하더라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치아의 전체 벽면을 고르고 깨끗하게 닦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operates based on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anyone of any age or gender can easily and effectively clean and evenly clean the entire wall surface of teeth, thereby contributing to maintaining healthy teeth.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칫솔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기능성 칫솔을 충전하는 도면, 도 9는 헤드 유닛 영역의 확대 동작 구조도, 도 10은 헤드 유닛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11은 헤드 몸체부 영역의 사시도, 도 12는 도 7의 기능성 칫솔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7 is a front view of a functional toothbrus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of charging the functional toothbrush of FIG. 7, FIG. 9 is a structure diagram of an enlarged operation of a head unit area, and FIG. 10 is a use of the head unit. A cross-sectional state,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d body area, and FIG. 1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functional toothbrush of FIG. 7 .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성 칫솔(100)이 수동이었던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칫솔(200)은 전자식, 즉 전동식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기능성 칫솔(200) 역시, 손잡이 유닛(210), 연결 유닛(220) 및 헤드 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While the functional toothbrush 10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as manual, the functional toothbrush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electronically, that is, electrically. This functional toothbrush 200 may also include a handle unit 210 , a connection unit 220 and a head unit 230 .

헤드 유닛(230)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헤드 유닛(230)은 실질적으로 치아를 닦는 부분이다. 헤드 유닛(230)이 터널식 헤드(240)와 복수 개의 칫솔모(250)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Looking at the head unit 230 first, the head unit 230 is a part for substantially brushing teeth. The fact that the head unit 230 is composed of the tunnel head 240 and the plurality of bristles 250 is the sam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다만, 이의 구성 외에 헤드 유닛(230)은 아래의 구조를 더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헤드 유닛(230)은 터널식 헤드(240)에 연결되는 네크부(261)와, 네크부(261)의 단부에 형성되는 자유 회전볼(262)을 더 포함한다.However, in addition to this structure, the head unit 230 further includes the following structure.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head unit 230 further includes a neck portion 261 connected to the tunnel type head 240 and a freely rotating ball 262 formed at an end of the neck portion 261 .

그리고, 이러한 구조에 대응될 수 있게끔 연결 유닛(220)은 비직선형 형상을 이루되 자유 회전볼(262)이 자유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볼 포켓(222)을 포함한다.And, to correspond to this structure, the connection unit 220 has a non-linear shape and includes a ball pocket 222 in which the free rotation ball 262 is freely rotatable.

이처럼 연결 유닛(220)의 단부에 볼 포켓(222)이 형성되고 헤드 유닛(230)에 자유 회전볼(262)이 마련되어 볼 포켓(222)에 결합하는 형태라서, 도 9처럼 헤드 유닛(230)을 임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근이 어려운 치아일지라도 용이하게 접근해서 닦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uch, since the ball pocket 22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unit 220 and the free rotating ball 262 is provided in the head unit 230 and coupled to the ball pocket 222, as shown in FIG. 9, the head unit 230 can be rotated to any angl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even teeth that are difficult to access can be easily accessed and cleaned.

그뿐만 아니라 헤드 유닛(230)의 자유 회전볼(262)이 연결 유닛(220)의 볼 포켓(222)에 삽입되는 형태라서 헤드 유닛(230)의 교체가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eely rotating ball 262 of the head unit 230 is inserted into the ball pocket 222 of the connection unit 220, the replacement of the head unit 230 becomes easy.

한편, 본 실시예에서 헤드 유닛(230)을 이루는 터널식 헤드(240)는 헤드 몸체부(244)와, 헤드 몸체부(244)와의 부품탑재공간(245)을 사이에 두고 헤드 몸체부(244)의 외측에 배치되는 헤드 커버부(246)와, 부품탑재공간(245)에 마련되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때 동작하면서 터널식 헤드(240)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기(24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진동 발생기(248)가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unnel type head 240 constituting the head unit 230 has a head body 244 and a component mounting space 245 between the head body 244 and the head body 244. It includes a head cover part 246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head cover 246 and a vibration generator 248 provided in the component mounting space 245 and operating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generate vibration in the tunnel head 240.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vibration generators 248 may be provided.

전술한 실시예에서 소개한 터널식 헤드(140)가 본 실시예에서의 헤드 몸체부(244)에 대응할 수 있다. 즉 터널식 헤드(240)는 터널 구조라서 치아를 감쌀 수 있고, 이로 인해 그 내벽의 칫솔모(250)들로 하여금 치아를 구석구석 잘 닦을 수 있게끔 유도할 수 있다.The tunnel head 140 introduced in the above embodiment may correspond to the head body 244 in this embodiment. That is, since the tunnel head 240 has a tunnel structure, it can cover the teeth, and as a result, the bristles 250 on the inner wall can guide the teeth to be well cleaned.

진동 발생기(248)는 진동 모터(248a)와, 진동 모터(248a)의 모터축(248b)에 연결되는 진동 캠(218c)을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ion generator 248 may include a vibration motor 248a and a vibration cam 218c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248b of the vibration motor 248a.

앞서 기술한 것처럼 진동 발생기(248)는 헤드 몸체부(244)에 접하게 복수 개가 배열될 수 있는데, 침이나 물, 혹은 치약 등이 닿지 않게 헤드 커버부(246)로 보호되는 형태를 취한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vibration generators 248 may be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head body 244, and are protected by the head cover 246 to prevent contact with saliva, water, or toothpast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 유닛(210)은 충전 단자부(212)가 일측에 형성되는 유닛 커버부(211)와, 유닛 커버부(211) 내에 마련되며, 충전 단자부(212)를 통해 충전 가능한 내장 배터리(213)와, 내장 배터리(213)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진동 발생기(248)의 온/오프(on/off)를 위한 온/오프 모드, 진동 발생기(248)의 진동 세기 모드 또는 진동 발생기(248)의 진동 방식 모드를 선택하는 기능성 모드 선택스위치(214)와, 기능성 모드 선택스위치(214)의 주변에 배치되되 기능성 모드 선택스위치(214)의 선택신호를 표시하는 모드 표시부(215)와, 모드 표시부(215)의 주변에 배치되며,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unit 210 is provided in the unit cover portion 211 on which the charging terminal portion 212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unit cover portion 211, and the built-in chargeable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portion 212 It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213 and the built-in battery 213, and the on/off mode for turning on/off the vibration generator 248, the vibration intensity mode of the vibration generator 248, or A functional mode selection switch 214 for selecting the vibration method mode of the vibration generator 248 and a mode display unit 215 disposed around the functional mode selection switch 214 and displaying a selection signal of the functional mode selection switch 214 ) and a charging state display unit 216 disposed around the mode display unit 215 and displaying the charging state.

단순한 막대 구조물이었던 제1 실시예의 손잡이 유닛(110, 도 2 참조)과 달리,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전자식 혹은 전동식 구조의 헤드 유닛(230)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이 손잡이 유닛(210)에 위치별로 탑재되는 형태를 취한다.Unlike the handle unit 110 (see FIG. 2) of the first embodiment, which was a simple bar structu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means for driving the head unit 230 having an electronic or motorized structure is mounted on the handle unit 210 for each position. take the form of

한편,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칫솔(200)은 전동식이라서 컨트롤러(280)가 더 탑재된다.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컨트롤러(280)는 손잡이 유닛(210) 내의 PCB에 탑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functional toothbrush 2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electric, so the controller 280 is further mounted.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controller 280 may be mounted on a PCB within the handle unit 210 .

이러한 컨트롤러(280)는 기능성 모드 선택스위치(214)의 신호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기(248)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모드 표시부(215) 또는 충전상태 표시부(216)가 동작하게 컨트롤한다.The controller 2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or 248 based on the signal of the functional mode selection switch 214 and controls the mode display unit 215 or the charge status display unit 216 to operate.

앞서 기술한 기능성 모드 선택스위치(214)는 스위치 하나에 여러 기능이 탑재된 것이므로, 이의 동작 상태가 모드 표시부(215)에 표시되게 컨트롤러(280)가 모드 표시부(215)의 동작을 컨트롤한다.Since the functional mode selection switch 214 described above has multiple functions mounted on one switch, the controller 2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de display unit 215 so that its operating state is displayed on the mode display unit 215.

그뿐만 아니라 도 8처럼 충전기(290)를 사용할 경우, 내장 배터리(213)의 충전상태가 표시되게 충전상태 표시부(216)의 동작을 컨트롤러(280)가 컨트롤한다.In addition, when the charger 290 is used as shown in FIG. 8 , the controller 2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harge state display unit 216 so that the charge state of the built-in battery 213 is displayed.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280)는 중앙처리장치(281, CPU), 메모리(2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2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80 performing this role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281 (CPU), a memory 282 (MEMORY), and a support circuit 283 (SUPPORT CIRCUIT).

중앙처리장치(281)는 본 실시예에서 기능성 모드 선택스위치(214)의 신호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기(248)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모드 표시부(215) 또는 충전상태 표시부(216)가 동작하게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28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or 248 based on the signal of the functional mode selection switch 214 in this embodiment, while controlling the mode display unit 215 or the charge status display unit 216 to operate. It may be one of various computer processors that can be applied industrially to do so.

메모리(2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281)와 연결된다. 메모리(2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The memory 282 (MEMORY)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81. Memory 282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installed locally or remotely, and is readily available, such as, for example, random access memory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or any other form of digital storage. It may be at least one memory.

서포트 회로(2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2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2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circuit 283 (SUPPORT CIRCUIT) is coupled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81 to support the typical operation of the processor. This support circuit 283 may include a cache, a power supply, a clock circuit, an input/output circuit, a subsystem,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80)는 기능성 모드 선택스위치(214)의 신호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기(248)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모드 표시부(215) 또는 충전상태 표시부(216)가 동작하게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2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2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2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or 248 based on the signal of the functional mode selection switch 214, while controlling the mode display unit 215 or the charging status display unit 216 to operate, This series of control processes and the lik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82 . Typically software routines may be stored in memory 282 . Software routines may also be stored or executed by other central processing units (not shown).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proce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executed by software routines, it is possible that at least some of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by hardware. As such,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running on a computer system, or in hardware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or in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하더라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치아의 전체 벽면을 고르고 깨끗하게 닦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다.Even if this embodiment is applied, even if it is used by anyone of any age or gender, it is possible to simply and effectively clean and evenly clean the entire wall surface of the teeth, thereby contributing to maintaining healthy teeth.

특히, 본 실시예의 기능성 칫솔(200)은 전자식, 즉 전동식이라서 좀 더 효과적으로 칫솔질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다. 즉 도 10처럼 치아에 대고만 있어도 진동에 의해 치아를 구석구석 효과적으로 닦아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functional toothbrush 200 of this embodiment is electronic, that is, electric, it can contribute to more effective brushing. That is, as shown in FIG. 1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ooth can be effectively wiped from corner to corner by vibration even if it is only applied to the tooth.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칫솔에 적용되는 헤드 유닛의 부분 단면 구조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분해도이다.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a head unit applied to a functional toothbrus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n exploded view of FIG. 13 .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헤드 유닛(330)는 터널식 헤드(340)와, 터널식 헤드(3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교체형 칫솔모 모듈(3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figures, in this embodiment, the head unit 330 includes a tunnel head 340 and a replaceable bristle module 350 detachably coupled to the tunnel head 340 .

터널식 헤드(340)는 앞선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헤드 몸체부(344)와, 헤드 몸체부(344)와의 부품탑재공간(345)을 사이에 두고 헤드 몸체부(344)의 외측에 배치되는 헤드 커버부(346)와, 부품탑재공간(345)에 마련되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때 동작하면서 터널식 헤드(340)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기(348)를 포함하며, 이의 구조와 기능,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Like the previous second embodiment, the tunnel head 340 is disposed outside the head body 344 with a component mounting space 345 between the head body 344 and the head body 344. It includes a head cover part 346 and a vibration generator 348 provided in the component mounting space 345 and operating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generate vibration in the tunnel head 340, and its structure, function and role. is the same as in the foregoing embodiment.

교체형 칫솔모 모듈(350)은 터널식 헤드(340)의 표면 배치부(341) 내벽에서 돌출되어 치아의 표면을 세척하는 표면 세척용 칫솔모(351)와, 한 쌍의 측면 배치부(342)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치아의 양쪽 측면을 세척하는 측면 세척용 칫솔모(352)와, 표면 세척용 칫솔모(351) 및 측면 세척용 칫솔모(352)를 일체로 지지하는 칫솔모 지지대(353)를 포함한다.The replaceable bristle module 350 includes surface-cleaning bristles 351 that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the surface arranging unit 341 of the tunnel head 340 to clean the surface of teeth, and the inner wall of a pair of side arranging units 342. It includes brush bristles for side cleaning 352 that protrude from the teeth to clean both sides of the tooth, and a bristle support 353 that integrally supports the bristles for surface cleaning 351 and the bristles for side cleaning 352.

그리고, 칫솔모 지지대(353)에는 복수 개의 조립 돌기(354)가 형성되고, 상대편인 헤드 몸체부(344)에는 복수 개의 조립 홈부(343)가 형성된다. 이에, 교체형 칫솔모 모듈(350)이 제자리에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물론, 도면과 달리 조립 돌기(354)와 조립 홈부(343)의 위치는 바뀔 수도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assembly protrusions 354 are formed on the bristle support 353, and a plurality of assembly grooves 343 are formed on the head body part 344, which is the opposite side. Thus, the replaceable bristle module 350 can be firmly assembled in place. Of course, unlike the drawing, the positions of the assembly protrusion 354 and the assembly groove 343 may be changed.

본 실시예처럼 교체형 칫솔모 모듈(350)을 분리형으로 만들 경우, 진동 발생기(348) 등이 탑재되어 상대적으로 고비용을 이루는 터널식 헤드(340)는 계속 사용하면서 소모품인 교체형 칫솔모 모듈(350)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the replaceable bristle module 350 is made of a detachable typ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bration generator 348 and the like are mounted to form a relatively expensive tunnel head 340 while continuing to use only the replaceable bristle module 350, which is consumable.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cost burden because it can be replaced.

그뿐만 아니라 형태가 다른 여러 종류의 교체형 칫솔모 모듈(미도시)을 선택해서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칫솔질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several types of replaceable bristle modules (not shown) with different shapes can be selected and used, the effect of brushing can be doubled.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하더라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치아의 전체 벽면을 고르고 깨끗하게 닦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다.Even if this embodiment is applied, even if it is used by anyone of any age or gender, it is possible to simply and effectively clean and evenly clean the entire wall surface of the teeth, thereby contributing to maintaining healthy teeth.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기능성 칫솔 110 : 손잡이 유닛
120 : 연결 유닛 130 : 헤드 유닛
140 : 터널식 헤드 141 : 표면 배치부
142 : 측면 배치부 150 : 칫솔모
151 : 표면 세척용 칫솔모 152 : 측면 세척용 칫솔모
100: functional toothbrush 110: handle unit
120: connection unit 130: head unit
140: tunnel type head 141: surface arrangement unit
142: side placement unit 150: bristles
151: brush head for surface cleaning 152: brush head for side cleaning

Claims (7)

터널(tunnel) 형식으로 마련되되 치아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터널식 헤드와, 상기 터널식 헤드의 내벽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치아의 전체 벽면에 접촉 지지되면서 해당 치아를 세척하는 복수 개의 칫솔모를 구비하는 헤드 유닛;
상기 헤드 유닛의 일측에 연결되는 손잡이 유닛; 및
상기 헤드 유닛과 상기 손잡이 유닛 사이에서 상기 헤드 유닛과 상기 손잡이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터널식 헤드에 연결되는 네크부; 및
상기 네크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자유 회전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유닛은 비직선형 형상을 이루되 상기 자유 회전볼이 자유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볼 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터널식 헤드는,
헤드 몸체부;
상기 헤드 몸체부와의 부품탑재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헤드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헤드 커버부; 및
상기 부품탑재공간에 마련되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때 동작하면서 상기 터널식 헤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발생기를 포함하는 기능성 칫솔.
A head unit including a tunnel-type head provided in a tunnel form and disposed to surround a tooth, and a plurality of bristles protruding from an inner wall of the tunnel-type head and cleaning the tooth while being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entire wall surface of the tooth. ;
a handle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d unit; and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head unit and the handle unit between the head unit and the handle unit;
The head unit,
a neck portion connected to the tunnel head; and
Further comprising a free rotating ball formed at the end of the neck portion,
The connection unit has a non-linear shape and includes a ball pocket in which the free rotation ball is accommodated to be freely rotatable,
The tunnel head,
head body;
a head cover disposed outside the head body with a component mounting spac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functional toothbrush comprising at least one vibration generator provided in the component mounting space and operating when an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generate vibration in the tunnel h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식 헤드는,
상기 치아의 표면에 배치되는 표면 배치부; 및
상기 표면 배치부에 대칭되게 연결되되 상기 치아의 양측 벽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칫솔모는,
상기 표면 배치부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상기 치아의 표면을 세척하는 표면 세척용 칫솔모; 및
상기 한 쌍의 측면 배치부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상기 치아의 양쪽 측면을 세척하는 측면 세척용 칫솔모를 포함하는 기능성 칫솔.
According to claim 1,
The tunnel head,
a surface arranging unit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tooth; and
It includes a pair of side arranging parts symmetrically connected to the surface arranging part and disposed on both side wall surfaces of the teeth,
The bristles of the toothbrush,
Brush bristles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surface arranging unit to clean the surface of the teeth; and
A functional toothbrush comprising bristles for side cleaning that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the pair of side mounting portions to clean both sides of the teeth.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진동 모터; 및
상기 진동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진동 캠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헤드 몸체부에 접하게 복수 개가 배열되는 기능성 칫솔.
According to claim 1,
The vibration generator,
vibration motor; and
A vibration cam connected to a motor shaft of the vibration motor,
The vibration generator is a functional toothbrush in which a plurality of pieces are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head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유닛은,
충전 단자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유닛 커버부;
상기 유닛 커버부 내에 마련되며, 상기 충전 단자부를 통해 충전 가능한 내장 배터리;
상기 내장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상기 진동 발생기의 온/오프(on/off)를 위한 온/오프 모드, 상기 진동 발생기의 진동 세기 모드 또는 상기 진동 발생기의 진동 방식 모드를 선택하는 기능성 모드 선택스위치;
상기 기능성 모드 선택스위치의 주변에 배치되되 상기 기능성 모드 선택스위치의 선택신호를 표시하는 모드 표시부; 및
상기 모드 표시부의 주변에 배치되며,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칫솔.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unit,
A unit cover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harging terminal portion;
a built-in battery provided within the unit cover unit and capable of being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unit;
A functional mode that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uilt-in battery and selects an on/off mode for turning on/off the vibration generator, a vibration intensity mode of the vibration generator, or a vibration method mode of the vibration generator. selection switch;
a mode display unit disposed around the functional mode selection switch and displaying a selection signal of the functional mode selection switch; and
Disposed around the mode display unit, functional toothbrush including a charging stat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harging st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유닛은,
상기 기능성 모드 선택스위치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 발생기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모드 표시부 또는 상기 충전상태 표시부가 동작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칫솔.
According to claim 6,
The handle unit,
Functional toothbrush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or based on the signal of the functional mode selection switch whil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de display unit or the charging status display unit.
KR1020210060898A 2021-05-11 2021-05-11 Functional toothbrush KR1025174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898A KR102517480B1 (en) 2021-05-11 2021-05-11 Functional tooth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898A KR102517480B1 (en) 2021-05-11 2021-05-11 Functional tooth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380A KR20220153380A (en) 2022-11-18
KR102517480B1 true KR102517480B1 (en) 2023-04-03

Family

ID=8423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898A KR102517480B1 (en) 2021-05-11 2021-05-11 Functional toothbru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48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1471A1 (en) * 2009-01-22 2011-11-10 Mordechai Kirsh Toothbrush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92374B2 (en) 2017-06-01 2021-02-25 Lesielle Cosmetics S L FLUID MIX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1471A1 (en) * 2009-01-22 2011-11-10 Mordechai Kirsh Toothbrush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쇼핑몰 아마존닷컴 "Amazon.com : LEYUYO Triple-Side Rechargeable Sonic Travel Toothbrush" (2020.01.14.)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380A (en)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68631B2 (en) Method for brushing an electric toothbrush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JP5292346B2 (en) Brush body and toothbrush
US20030126700A1 (en) Toothbrush with oppositely reciprocating brush heads
US20140352087A1 (en) Mouthpiece for cleaning teeth with an adjustable arc length and/or arc width
CN102793591B (en) Electric toothbrush
KR102517480B1 (en) Functional toothbrush
US3512202A (en) Power toothbrush and guard therefor
TWM519947U (en) Electric toothbrush with linear interleaving type bristle structure
KR100413209B1 (en) Electromotion toothbrush rotatable in positive or reverse direction
KR101057113B1 (en) Rotary Brush Electric Toothbrush
KR101370479B1 (en) Electric toothbrush having cylindrical brushes and protective cap
CN106491231B (en) Toothbrush and toothbrush head
CN112261917B (en) Electric tooth brush
JP2003250636A (en) Toothbrush and hairbrush
KR200426835Y1 (en) Rotary toothbrush
CN210408649U (en) Novel electric toothbrush
KR20120073061A (en) Electrically operating toothbrush which cleans simultaneously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teeth
KR100602988B1 (en) Electric toothbrush with roll type of brush
CN208404939U (en) A kind of Tooth-brushing device of conveniently replaced brush head
KR200391922Y1 (en) Toothbrush for multi side washing
CN200994833Y (en) Electric toothbrush
CN216724837U (en) Brush head device of rotary electric toothbrush
CN220237089U (en) Tongue coating brush head and oral care device
US20220370179A1 (en) Electric Toothbrush
US3008162A (en) Rotary tooth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