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142B1 - 중계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중계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142B1
KR102517142B1 KR1020210076700A KR20210076700A KR102517142B1 KR 102517142 B1 KR102517142 B1 KR 102517142B1 KR 1020210076700 A KR1020210076700 A KR 1020210076700A KR 20210076700 A KR20210076700 A KR 20210076700A KR 102517142 B1 KR102517142 B1 KR 102517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zadoff
chu sequence
tdd
donor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7570A (ko
Inventor
김형우
선장균
Original Assignee
(주) 에이앤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앤티에스 filed Critical (주) 에이앤티에스
Priority to KR1020210076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14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7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3Acquisition of prim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within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55ZCZ [zero correlation zone]
    • H04J13/0059CAZAC [constant-amplitude and zero auto-correlation]
    • H04J13/0062Zadoff-Ch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6Cod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41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 H04L7/042Detectors therefor, e.g. correlators, state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중계기가 도너 안테나를 공유하는 환경에서 중계기가 다른 중계기에 Zadoff-Chu 시퀀스를 전송하여 프레임 동기 정보를 공유하는 중계기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5세대(5G)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도너 안테나(Donor Antenna)를 다른 중계기와 공유하는 중계기가 동작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TDD (Time Division Duplexing) 패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TDD 패턴 정보로부터 계산된 플렉시블(flexible) 구간에 Zadoff-Chu 시퀀스를 매핑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전송 신호를 도너 안테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계기 및 그 동작 방법{Relay and its operation method}
프레임(frame)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기술로서 특히, 복수의 중계기가 도너 안테나를 공유하는 환경에서 중계기가 다른 중계기에 Zadoff-Chu 시퀀스를 전송하여 프레임 동기 정보를 공유하는 중계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5G NR 시스템에서 프레임(Frame) 동기는 무선 프레임에 삽입되어 있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등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획득할 수 있다.
TDD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은 NSA(Non-Standalone) 방식과 SA(Standalone) 방식이 있다. NSA 구조의 경우, 제어 채널은 4G LTE망으로 구성되며, 데이터 채널은 5G NR망으로 구성된다. SA 구조의 경우,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 모두 5G NR망으로 구성되며, 중계기는 5G NR 하향링크 신호에서 TDD 패턴을 검출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097277호
복수의 중계기가 도너 안테나를 공유하는 환경에서 중계기가 다른 중계기에 Zadoff-Chu 시퀀스를 전송하여 프레임 동기 정보를 공유하는 중계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5세대(5G)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도너 안테나(Donor Antenna)를 다른 중계기와 공유하는 중계기가 동작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TDD (Time Division Duplexing) 패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TDD 패턴 정보로부터 계산된 플렉시블(flexible) 구간에 Zadoff-Chu 시퀀스를 매핑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전송 신호를 도너 안테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DD 패턴 정보는 4세대(4G)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제어 신호 또는 5세대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하향링크 신호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플렉시블 구간은 하나 이상의 플렉시블 심볼로 구성되며, Zadoff-Chu 시퀀스는 하나 이상의 플렉시블 심볼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Zadoff-Chu 시퀀스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에 사용되는 Zadoff-Chu 시퀀스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5세대(5G)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도너 안테나(Donor Antenna)를 다른 중계기와 공유하는 중계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프로그램은, 기지국으로부터 TDD (Time Division Duplexing) 패턴 정보를 획득하며, TDD 패턴 정보로부터 계산된 플렉시블(flexible) 구간에 Zadoff-Chu 시퀀스를 매핑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하며, 전송 신호를 도너 안테나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DD 패턴 정보는 4세대(4G)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제어 신호 또는 5세대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하향링크 신호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플렉시블 구간은 하나 이상의 플렉시블 심볼로 구성되며, Zadoff-Chu 시퀀스는 하나 이상의 플렉시블 심볼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Zadoff-Chu 시퀀스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에 사용되는 Zadoff-Chu 시퀀스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5세대(5G)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도너 안테나(Donor Antenna)를 다른 중계기와 공유하는 중계기가 동작하는 방법은 다른 중계기로부터 Zadoff-Chu 시퀀스가 포함된 전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전송 신호를 Zadoff-Chu 시퀀스를 이용하여 자기상관(autocorrelation)을 수행하는 단계; 및 자기상관의 상관값을 기초로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5세대(5G)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도너 안테나(Donor Antenna)를 다른 중계기와 공유하는 중계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프로그램은, 다른 중계기로부터 Zadoff-Chu 시퀀스가 포함된 전송 신호를 수신하며, 전송 신호를 Zadoff-Chu 시퀀스를 이용하여 자기상관(autocorrelation)을 수행하며, 자기상관의 상관값을 기초로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도너 안테나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중계기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TDD 동기 불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설계 자원을 줄여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TDD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중계기 및 중계기 동작 방법의 실시예들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NR에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은 무선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각 무선 프레임은 10ms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각 무선 프레임은 5ms 길이를 가지는 두 개의 하프-프레임(Half-Frame)으로 분할될 수 있다. 각 하프 -프레임은 1ms 길이를 가지는 5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 SF)으로 분할될 수 있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슬롯으로 분할되며, 서브프레임 내 슬롯 개수는 SCS(Subcarrier Spacing)에 의존한다. 각 슬롯은 CP(cyclic prefix)에 따라 12개 또는 14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보통(normal) CP가 사용되 는 경우, 각 슬롯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며, 확장(extended) CP가 사용되는 경우, 각 슬롯은 12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단말에 병합되는 복수의 셀들 간 OFDM 수비학(numerology)(예, SCS)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개수의 심볼로 구성된 시간 자원 구간이 병합된 각각의 셀 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NR은 다양한 5G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numerology(또는 subcarrier spacing(SCS))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SCS가 15kHz인 경우, 전통적인 셀룰러 밴드들에서의 넓은 영역(wide area)를 지원하며, SCS가 30kHz/60kHz인 경우, 밀집한-도시(dense-urban), 더 낮은 지연(lower latency) 및 더 넓은 캐리어 대역폭(wider carrier bandwidth)를 지원하며, SCS가 60kHz 또는 그보다 높은 경우, 위상 잡음 (phase noise)를 극복하기 위해 24.25GHz보다 큰 대역폭을 지원한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TDD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일 예에 따르면, NR 시스템에서 TDD의 슬롯은 RRC signaling을 통한 준-정적(semi-static TDD configuration) 또는 PDCCG DCI를 통한 동적(dynamic TDD configuration)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준-정적으로 TDD 슬롯을 설정하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 자원을 확인할 수 있다. 준-정적 방식의 경우, TDD-UL-DL-ConfigCommon 및 TDD-UL-DL-ConfigDedicated를 포함하는 RRC Information Element(IE)에 의해 슬롯이 구성될 수 있다. TDD-UL-DL-ConfigCommon은 reference SCS와 configuration된 패턴 1 및 패턴 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패턴 정보는 TDD 전송주기(dl-UL-TransmissionPeriodicity, 4bit), Downlink Slot의 수(nrofDownlinkSlots, 9bit), Downlink Symbol의 수(nrofDownlinkSymbols, 4bit), Uplink Slot의 수(nrofUplinkSlots, 9bit) 및 Uplink Symbol의 수(nrofUplinkSymbols, 4bit)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DD 패턴을 구성하는 모든 변수들의 bit 수는 29bit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슬롯을 구성하는 심볼은 하향링크 심볼, 상향링크 심볼 및 플렉시블 심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하향링크 심볼 또는 플렉시블 심볼을 통하여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향링크 심볼 또는 플렉시블 심볼을 통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중계기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중계기(Relay)는 RN(Relay Node), 리피터(repeater) 등의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NR 시스템에서 중계기는 도너(Donor)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여 서비스(Service) 안테나를 통해 서비스 지역으로 하향링크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는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여 도너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NR 시스템에서 RF 중계기는 TDD 동기를 획득하여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중계기는 병렬 또는 직렬로 도너 안테나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모든 중계기가 LTE 모뎀 또는 TDD 패턴 검출 장치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설계 자원이 증가하여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반면, 하나의 중계기가 LTE 모뎀과 TDD 패턴 검출 장치를 구비하고, 해당 중계기가 TDD 패턴을 수신 또는 검출한 후 다른 중계기에 TDD 패턴을 전송하는 경우, 설계 자원을 줄여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중계기가 병렬로 도너 안테나를 공유하는 경우, 각 중계기 마다 TDD 동기 획득 시간이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장 먼저 TDD 동기를 획득한 중계기는 하향링크 동작 뿐 아니라 상향링크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이 경우 상향링크 신호가 증폭되어 하향링크 신호보다 전력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향링크 잡음 전력이 높아 하향링크 신호가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아직 TDD 동기를 획득하지 못하여 하향링크 동작만을 수행하는 중계기는 이미 동기화된 상향링크 신호 전력에 맞춰 이득(gain)을 조절하게 되어 상향링크 신호의 전력 이득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아직 TDD 동기를 획득하지 못한 중계기는 정상적으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여 하향링크 신호로부터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TDD 동기를 먼저 획득한 중계기는 획득한 프레임 동기 및 TDD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도너 안테나를 공유하고 있는 다른 중계기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중계기는 TDD 패턴을 수신 또는 검출한 후, 플렉시블(Flexible) 구간에서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하여 다른 중계기에게 TDD 패턴 및 Frame 동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는 동작 초기에 하향링크 방향으로만 동작하여 하향링크 신호로부터 프레임(Frame)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 동기는 무선 프레임에 삽입되어 있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등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중계기는 프레임 동기 장치가 필요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너 안테나(Donor Antenna)를 다른 중계기와 공유하는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TDD (Time Division Duplexing)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410).
일 예에 따르면, TDD 패턴 정보는 4세대(4G)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제어 신호 또는 5세대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하향링크 신호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TDD 동작을 위한 TDD 패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DD 패턴 획득 방법은 NSA(Non-Standalone) 구조와 SA(Standalone) 구조가 있다. 일 예로, NSA 구조의 경우, 제어 채널은 4G LTE망으로 구성되며, 데이터 채널은 5G NR망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NSA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TDD 패턴은 4G LTE망을 통해 전송되며 중계기는 LTE 모뎀을 통해 TDD 패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중계기는 NSA 구조에 대비하여 LTE 모뎀이 필요하다. 일 예로, SA 구조의 경우,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 모두 5G NR망으로 구성되며, 중계기는 5G NR 하향링크 신호에서 TDD 패턴을 검출한다. 이 경우, 중계기는 TDD 패턴 검출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
일 예에 따르면, 패턴 정보는 TDD 전송주기(dl-UL-TransmissionPeriodicity, 4bit), Downlink Slot의 수(nrofDownlinkSlots, 9bit), Downlink Symbol의 수(nrofDownlinkSymbols, 4bit), Uplink Slot의 수(nrofUplinkSlots, 9bit) 및 Uplink Symbol의 수(nrofUplinkSymbols, 4bit)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DD 패턴을 구성하는 모든 변수들의 bit 수는 29bit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는 TDD 패턴 정보로부터 계산된 플렉시블(flexible) 구간에 Zadoff-Chu 시퀀스를 매핑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420).
일 예로,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TDD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NR 시스템 상에서 플렉시블 구간을 상향링크로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전송주기는 상향링크 구간, 하향링크 구간 및 플렉시블 구간 중 적어도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시블 구간은 하나 이상의 플렉시블 심볼로 구성되며, 중계기는 하나 이상의 플렉시블 심볼을 통해 Zadoff-Chu 시퀀스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에서와 같이, 하나의 슬롯은 14개의 심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심볼은 상향링크, 하향링크 및 플렉시블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계기는 플렉시블로 정의된 심볼에 Zadoff-Chu 시퀀스를 매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Zadoff-Chu 시퀀스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에 사용되는 Zadoff-Chu 시퀀스와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Zadoff-Chu 시퀀스는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주파수 동기를 맞추기 위해 사용되며 대표적으로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PSS)에 사용된다. 이때, PSS로 사용되는 시퀀스는 길이가 63인 Zadoff-Chu 시퀀스를 이용해 만든 것일 수 있다. Zadoff-Chu 시퀀스는 비주기 자기상관이 모두 0으로 자기상관 특성이 매우 우수하나, PSS로 사용되기 위해 변형 후 사용되기 때문에 자기상관 특성의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Zadoff-Chu 시퀀스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1068201846-pat00001
여기서, k는 샘플 인덱스이며, q는 정수이며, u는 베이스 시퀀스를 정의하는 시퀀스 인덱스이며, NG는 Zadoff-Chu 시퀀스의 길이이다.
일 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PSS 신호의 Zadoff-Chu 시퀀스와 중계기에서 플렉시블 구간에 전송하는 Zadoff-Chu 시퀀스는 k, q, u 및 NG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신호를 도너 안테나로 전송할 수 있다(430). 예를 들어, TDD 동기를 획득한 중계기가 도너 안테나로 플렉시블 구간에 Zadoff-Chu 시퀀스를 매핑하여 생성한 전송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도 3에와 같이 도너 안테나를 공유하고 있는 다른 중계기가 해당 전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10)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TDD (Time Division Duplexing)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TDD 패턴 정보는 4세대(4G)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제어 신호 또는 5세대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하향링크 신호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중계기는 TDD 패턴 정보로부터 계산된 플렉시블(flexible) 구간에 Zadoff-Chu 시퀀스를 매핑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TDD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NR 시스템 상에서 플렉시블 구간을 상향링크로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시블 구간은 하나 이상의 플렉시블 심볼로 구성되며, 중계기는 하나 이상의 플렉시블 심볼을 통해 Zadoff-Chu 시퀀스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Zadoff-Chu 시퀀스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에 사용되는 Zadoff-Chu 시퀀스와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중계기는 전송 신호를 도너 안테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 중 위의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5세대(5G)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도너 안테나(Donor Antenna)를 다른 중계기와 공유하는 중계기는 다른 중계기로부터 Zadoff-Chu 시퀀스가 포함된 전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610).
일 예를 들어, TDD 동기를 획득한 다른 중계기가 도너 안테나로 플렉시블 구간에 Zadoff-Chu 시퀀스를 매핑하여 생성한 전송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도 3에와 같이 도너 안테나를 공유하고 있는 중계기가 해당 전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는 전송 신호를 Zadoff-Chu 시퀀스를 이용하여 자기상관(autocorrel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Zadoff-Chu 시퀀스는 비주기 자기상관이 모두 0으로 자기상관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에 따라, 수신한 신호에 자기상관을 수행하는 경우, 정확히 동기가 맞는 시점에 가장 높은 상관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는 자기상관의 상관값을 기초로 프레임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기는 수신한 신호에 대하여 Zadoff-Chu 시퀀스를 이용하여 자기상관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자기상관에 따른 상관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중계기는 복수의 상관값 중 가장 큰 상관값을 가지는 시점을 프레임의 시작점으로 판단하여 프레임 동기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 중 위의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10)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램은 다른 중계기로부터 Zadoff-Chu 시퀀스가 포함된 전송 신호를 수신하며, 전송 신호를 Zadoff-Chu 시퀀스를 이용하여 자기상관(autocorrelation)을 수행하며, 자기상관의 상관값을 기초로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 중 위의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작성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00: 중계기
510: 프로세서
520: 메모리

Claims (10)

  1. 5세대(5G)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도너 안테나(Donor Antenna)를 다른 중계기와 공유하는 중계기가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TDD (Time Division Duplexing) 패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TDD 패턴 정보로부터 계산된 플렉시블(flexible) 구간에 Zadoff-Chu 시퀀스를 매핑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신호를 상기 도너 안테나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Zadoff-Chu 시퀀스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에 사용되는 Zadoff-Chu 시퀀스와 상이한,
    중계기 동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DD 패턴 정보는
    4세대(4G)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제어 신호 또는 5세대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하향링크 신호로부터 획득하는
    중계기 동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구간은 하나 이상의 플렉시블 심볼로 구성되며,
    상기 Zadoff-Chu 시퀀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플렉시블 심볼을 통해 전송되는
    중계기 동작 방법.
  4. 삭제
  5. 5세대(5G)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도너 안테나(Donor Antenna)를 다른 중계기와 공유하는 중계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기지국으로부터 TDD (Time Division Duplexing) 패턴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TDD 패턴 정보로부터 계산된 플렉시블(flexible) 구간에 Zadoff-Chu 시퀀스를 매핑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전송 신호를 상기 도너 안테나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Zadoff-Chu 시퀀스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에 사용되는 Zadoff-Chu 시퀀스와 상이한
    중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TDD 패턴 정보는
    4세대(4G)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제어 신호 또는 5세대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하향링크 신호로부터 획득하는
    중계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구간은 하나 이상의 플렉시블 심볼로 구성되며,
    상기 Zadoff-Chu 시퀀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플렉시블 심볼을 통해 전송되는
    중계기.
  8. 삭제
  9. 5세대(5G)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도너 안테나(Donor Antenna)를 다른 중계기와 공유하는 중계기가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너 안테나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기로부터 Zadoff-Chu 시퀀스가 플렉시블 구간에 맵핑된 전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신호를 상기 Zadoff-Chu 시퀀스를 이용하여 자기상관(autocorrelation)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자기상관의 상관값을 기초로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Zadoff-Chu 시퀀스는 PSS에 사용되는 Zadoff-Chu 시퀀스와 상이한
    중계기 동작 방법.
  10. 5세대(5G)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도너 안테나(Donor Antenna)를 다른 중계기와 공유하는 중계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도너 안테나를 통해 상기 다른 중계기로부터 Zadoff-Chu 시퀀스가 플렉시블 구간에 맵핑된 전송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전송 신호를 상기 Zadoff-Chu 시퀀스를 이용하여 자기상관(autocorrelation)을 수행하며,
    상기 자기상관의 상관값을 기초로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Zadoff-Chu 시퀀스는 PSS에 사용되는 Zadoff-Chu 시퀀스와 상이한
    중계기.
KR1020210076700A 2021-06-14 2021-06-14 중계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517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700A KR102517142B1 (ko) 2021-06-14 2021-06-14 중계기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700A KR102517142B1 (ko) 2021-06-14 2021-06-14 중계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570A KR20220167570A (ko) 2022-12-21
KR102517142B1 true KR102517142B1 (ko) 2023-04-04

Family

ID=8453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700A KR102517142B1 (ko) 2021-06-14 2021-06-14 중계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14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3920B2 (en) * 2017-10-09 2020-12-22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and frame structure in an integrated access backhaul (IAB) network
US11233594B2 (en) 2017-12-19 2022-01-25 Qualcomm Incorporated Time synchroniz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102162133B1 (ko) * 2018-08-09 2020-10-06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5g 중계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570A (ko) 202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266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FDM with flexible sub-carrier spacing and symbol duration
US7558293B2 (en) Method for detecting initial operation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OFDMA scheme
US10917274B2 (en) Transmitting radio equipment, receiving radio equipment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communicating using a reference signal
US87739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076351A1 (zh) 数据传送方法
CN101828370A (zh) 在通信系统中用于发送/接收信号的系统和方法
EP2566081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200032270A (ko) Nrs를 수신하는 방법 및 nb-iot 기기
KR100872417B1 (ko)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8007433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90018522A (ko) Npusch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무선 기기
KR102093421B1 (ko) Nrs를 수신하는 방법 및 nb-iot 기기
KR102517142B1 (ko) 중계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517143B1 (ko) 중계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55095A (ko) 채널 추정을 위한 기준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EP3001624A1 (en) Choice of fourier transformation size, filter length and guard time in 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KR102088220B1 (ko) 심볼 단위 상/하향 링크 신호 동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 중계 장치
CN110971383B (zh) 一种参考信号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
KR102127901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지원 방법
US20210184822A1 (en) Methods and devices operating with fine timing reference signals transmitted occasionally
CN109391396B (zh) 下行载波资源复用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70049379A (ko) 협대역 무선통신 셀률러 시스템을 위한 동기신호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81552B1 (ko) 제어채널 요소를 이용한 중계기의 기준 신호 전송 방법
KR20100131951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10134858A (ko) 기지국, 이동국, 하향링크 방송 제어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하향링크 방송 제어 채널 정보 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