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121B1 - Functional pillow - Google Patents

Functional pil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121B1
KR102517121B1 KR1020210045606A KR20210045606A KR102517121B1 KR 102517121 B1 KR102517121 B1 KR 102517121B1 KR 1020210045606 A KR1020210045606 A KR 1020210045606A KR 20210045606 A KR20210045606 A KR 20210045606A KR 102517121 B1 KR102517121 B1 KR 102517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disposed
support
unit
white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6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9536A (en
Inventor
김청수
Original Assignee
김청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청수 filed Critical 김청수
Priority to KR1020210045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121B1/en
Publication of KR20220139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5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1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기능성 베개가 제공된다. 기능성 베개는, 머리 지지부와 경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부분이 구비된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 지지부는 U자형 제1 홈을 포함한다.A functional pillow is provided. The functional pillow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first portion including a head support portion and a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and the head support portion includes a U-shaped first groove.

Description

기능성 베개{Functional pillow}Functional pillow {Functional pillow}

본 발명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pillow.

최근 사람들의 생활 환경 변화에 의해 관절이나 근육 등의 통증 관련 질환이 늘어나면서, 일상 생활에서의 자세 교정에 대한 관심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As pain-related diseases such as joints and muscles increase due to recent changes in people's living environment, interest in posture correction in daily life is rapidly increasing.

이에 따라 제품 생산 업체에서는 일상 생활에서의 바른 자세로의 교정을 위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특히 수면 시의 바른 자세를 위한 매트리스, 베개 등의 제품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Accordingly, product manufacturers are releasing various products for correct posture in daily life, and in particular, products such as mattresses and pillows for correct posture during sleep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특히, 최근 들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목 디스크와 관련하여 수면 자세를 바로잡고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한 기능성 베개에 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다양한 기능이 포함된 기능성 베개에 관한 발명으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6-0120973호와 제2013-0050409호 등이 있다.In particular, interest in functional pillows for correcting sleeping postur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sleep in relation to rapidly increasing neck discs has recently increased rapidly. Patent Nos. 2006-0120973 and 2013-0050409.

한국공개특허 제2006-0120973호 발명의 경우 쿠션을 유지하기 위해 내용물이 내장되는 몸체의 상부 중앙부에는 후두부를 받쳐주는 받침홈이 형성되고, 받침홈의 좌우측으로는 측두부를 받쳐주는 받침목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받침홈과 받침목에는 돌출된 형태의 목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받침홈, 받침목, 목 지지부의 수순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형태의 베개가 개시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6-0120973, a support groove supporting the back of the head is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body in which the contents are embedded to maintain the cushion, and support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groove to support the side head. , A pillow in which a protruding neck support is integrally formed in the support groove and the support is disclosed so as to increase in height in the order of the support groove, the support, and the neck support.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3-0050409호 발명의 경우 메모리폼, 연질폼, 인테그랄 스킨폼, 폴리우레탄폼 등의 소재를 발포기를 통해 발포시킨 베개 본체의 상면 중앙에 사용자의 후두부를 받쳐주기 위해 에어 홀이 포함된 머리 받침부가 형성되어 있고, 머리 받침부 좌우측에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 귀눌림을 방지하기 위한 귀눌림 예방 홀더 및 눈가 피부와 근육이 압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눈주름 예방 홀더가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목의 곡선을 따라 C자형 목 받침부를 포함한 형태의 베개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invention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3-0050409, an air hole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body in which materials such as memory foam, soft foam, integral skin foam, and polyurethane foam are foamed through a foamer to support the back of the user. A headrest included is formed, an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drest, an ear depression prevention holder to prevent ear depression when the user lies sideways and an eye wrinkle prevention holder to prevent squeezing the skin and muscles around the eyes are formed. In addition, there is disclosed a pillow in the form of including a C-shaped neck support along the curve of the neck.

하지만, 개개인마다 체형이 다 다르고, 수면 습관이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기능성 베개들은 다양한 체형과 자세에 따른 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However, since each person has a different body shape and different sleeping habits, it may be difficult for the functional pillows to stably support the body according to various body shapes and postures.

또한, 종래 특허발명은 수면의 질에 있어서 베개의 형상 외에 소음 및 향 등의 요인을 고려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atented invention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consider factors such as noise and scent in addition to the shape of the pillow in the quality of sleep.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수면의 질을 보다 높이기 위한 백색 소음 및 향이 제공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al pillow that stably supports the user's body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white noise and fragrance to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머리 지지부와 경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부분이 구비된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 지지부는 U자형 제1 홈을 포함한다.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first portion including a head support portion and a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and the head support portion includes a U-shaped first groove.

상기 머리 지지부의 두께는 15mm 내지 30mm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추 지지부의 두께는 85mm 내지 95m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의 중량은 800g 내지 1200g일 수 있다.The head support part may have a thickness of 15 mm to 30 mm, the cervical support part may have a thickness of 85 mm to 95 mm, and the body part may have a weight of 800 g to 1200 g.

상기 제1 부분의 일측에 배치된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타측에 배치된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3 부분은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은 귀눌림 방지 홈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A second par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part and a third par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art, wherein the second part, the first part, and the third part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part and the third part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with ear depression prevention grooves.

상기 머리 지지부와 상기 경추 지지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홈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폭은 20mm 내지 30mm이고, 상기 제1 홈의 두께 방향으로의 깊이는 10mm 내지 15mm일 수 있다.The head support part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rt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the width of the first groove in the first direction is 20 mm to 30 mm, and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groove The depth of may be 10 mm to 15 mm.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제2 홈, 제3 홈 및 제4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second grooves, third grooves, and fourth grooves respectively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제2 홈, 제3 홈 및 제4 홈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groove, the third groove, and the fourth groove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바디부는 일면과 타면이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상기 바디부 상부에 배치된 제1 커버 및 상기 바디부 하부에 배치된 제2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의 외면에는 아로마향을 발산하는 방향부 및 백색소음을 출력하는 백색 소음부가 배치될 수 있다.It further includes a first cover disposed above the body and a second cover disposed below the body, and a direction unit emitting aroma and a white noise unit outputting white noise ar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It can be.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의 두께는 각각 110mm 내지 120mm로 이루어질 수 있다.Thicknesses of the second part and the third part may be 110 mm to 120 mm, respectively.

상기 제2 홈, 제3 홈 및 제4 홈 각각은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Each of the second groove, the third groove, and the fourth groove may extend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to the other surface.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embodiment specific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에 의하면, 사용자의 경추 및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user's cervical spine and head.

또한, 베개의 앞면과 뒷면이 동일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양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pillow have the same structure, both sides can be us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나아가, 사용자의 수면 패턴에 맞춤형 백색 소음 및 향을 제공하여 수면의 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by providing customized white noise and scent to the user's sleep pattern.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바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바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 지지부에 무게가 가해질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를 중심을 따라 자른 단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의 폴딩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지지부의 힘의 분산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 지지부의 힘의 분산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ody portion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ody portion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one embodiment.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n weight is applied to a head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ross-section of a body portion cut along the cen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olding state of a body par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ispersion of force of the cervical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tribution of force of a head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or layer, it includes all cases where another element or layer is directly on top of another element or another layer or other element intervenes therebetween.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바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바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 지지부에 무게가 가해질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를 중심을 따라 자른 단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의 폴딩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지지부의 힘의 분산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 지지부의 힘의 분산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dy portion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ody of 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n weight is applied to the head suppo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6 is a bod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ortion cut along the center, Figure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olding shape of the body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distribution of force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diagram, and FIG.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dispersion of force of the head support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FP)는 프레임부(FRP) 및 프레임부(FRP)의 측면에 각각 배치된 방향부(AP) 및 백색 소음부(WNP)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방향부(AP) 및 백색 소음부(WNP)가 동일한 측면에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1 , a functional pillow FP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rame portion FRP and a direction portion AP and a white noise portion WNP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rame portion FRP. there is. In FIG. 1 , it is illustrated that the direction unit AP and the white noise unit WNP are disposed along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on the same side surface, but this is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몇몇 실시예에서 방향부(AP)에서는 수면에 도움이 되는 아로마향이 발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향부(AP)의 내부에는 방향 패치를 포함하는 방향 모듈이 배치될 수 있으며, 방향부(AP)의 외면에는 방향 모듈로부터 발산되는 아로마향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방향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향부(AP)의 다수의 방향 통로 각각의 개폐를 통하여 아로마향의 발산량이 조절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aroma unit AP may emit an aroma conducive to sleep. To this end, a fragrance module including a fragrance patch may be disposed inside the fragrance unit AP, and a plurality of direction passag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grance unit AP so that the aroma emitted from the fragrance module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It can be. In addition, the amount of emission of aroma may be controlled by opening and closing each of the plurality of direction passages of the direction unit AP.

몇몇 실시예에서 다수의 방향 통로는 단계별로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방향 통로 중 1/3이 열리는 1 단계, 다수의 방향 통로 중 2/3가 열리는 2 단계, 다수의 방향 통로 중 3/3이 열리는 3 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수의 방향 통로의 개폐는 다양한 단계로 제어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pening and closing of multiple directional passages may be controlled in stages. For example, it can be divided into step 1 in which 1/3 of the passages in multiple directions are opened, step 2 in which 2/3 of the passages in multiple directions are opened, and step 3 in which 3/3 of the passages in multiple directions are opened. However, opening and closing of multiple directional passages can be controlled in various stages.

몇몇 실시예에서 방향부(AP)의 다수의 방향 통로 각각은 개폐는 슬라이드 버튼 등으로 조절하는 수동식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다수의 방향 통로 각각은 개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개폐가 조절되는 전자식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each of the plurality of directional passages of the direction unit AP may be opened and closed by a manual type controlled by a slide button, and in some embodiments, each of the plurality of directional passages senses a user's movement and thus Correspondingly, it may be made of an electronic type tha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몇몇 실시예에서 프레임부(FRP)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움직임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에는 제어부 및 다수의 압력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압력센서는 기능성 베개(FP)의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의 지지에 의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력센서는 압력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압력센서가 감지한 압력의 변화량을 토대로 기능성 베개(FP) 상에서 사용자의 머리 및 목의 움직임을 단계별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압력의 변화량이 가장 적은 1단계, 압력의 변화량이 중간 단계인 2단계, 압력의 변화량이 가장 큰 3단계로 구분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제1 단계 제어신호, 제2 단계 제어신호, 제3 단계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방향부(AP) 및 백색 소음부(WNP)에 전달할 수 있다. 방향부(AP)는 제어부로부터 제1 단계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다수의 방향 통로 중 1/3를 열 수 있고, 방향부(AP)는 제어부로부터 제2 단계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다수의 방향 통로 중 2/3를 열 수 있으며, 방향부(AP)는 제어부로부터 제3 단계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다수의 방향 통로 중 3/3을 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향부(AP)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rame unit FRP may include a mo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motion. A controller and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may be disposed in the motion sensor.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may detect pressure due to support of the user's head or neck of the functional pillow FP. Such a pressure sensor may sense a change in pressure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ler may sense the movement of the user's head and neck step by step on the functional pillow FP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pressure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classify a first step with the smallest change in pressure, a second step with an intermediate change in pressure, and a third step with the largest change in pressure. A control signal and a third stage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direction unit AP and the white noise unit WNP. The direction unit AP may open one-third of passages in multiple directions when receiving a first-stag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the direction unit AP may open multiple direction passages when receiving a second-stag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3 of the passages may be opened, and the direction unit AP may be configured to open 3/3 of the plurality of directional passages when receiving a third step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In some embodiments, the direction unit AP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몇몇 실시예에서 백색 소음부(WNP)에서는 수면에 도움이 되는 백색소음이 출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백색 소음부(WNP)의 내부에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백색 소음 발생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백색 소음부(WNP)의 외면에는 다수의 소리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백색 소음부(WNP)의 다수의 소음통 로 개폐 또는 스피커의 음량 조절을 통하여 백색소음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white noise helpful for sleep may be output from the white noise unit (WNP). To this end, a white noise generating module including a speaker may be disposed inside the white noise unit WNP, and a plurality of sound passages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white noise unit WNP. In addition, the output of white noise can be adjust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plurality of noise passages of the white noise unit (WNP) 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peaker.

몇몇 실시예에서 백색 소음 발생 모듈은 필름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VDF 필름을 사용한 필름형 압전 스피커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름 스피커의 플렉서블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름 스피커에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PCB)은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역시 플렉서블한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some embodiments, the white noise generating module may consist of a film speaker. For example, it may be a film type piezoelectric speaker using a PVDF film.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flexibility of the film speaker, a printed circuit board (PCB) connected to the film speaker may us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may also use a flexible battery.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백색 소음의 출력이 스피커의 음량으로 조절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면, 백색 소음부(WNP)는 제어부로부터 제1 단계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스피커의 음량을 1단계로 설정할 수 있고, 백색 소음부(WNP)는 제어부로부터 제2 단계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스피커의 음량을 제1 단계보다 큰 제2 단계로 설정할 수 있고 백색 소음부(WNP)는 제어부로부터 제3 단계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스피커의 음량을 제2 단계보다 큰 제3 단계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aking a case in which the output of white noise is adjusted by the volume of the speaker as an example, the white noise unit (WNP) can set the volume of the speaker to step 1 when receiving the first step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and the white noise unit (WNP) can set the volume of the speaker to a second level higher than the first level when receiving the second level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the white noise unit (WNP) can set the speaker volume when receiving the third level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set the volume of the third level higher than the second level.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기능성 베개(FP)의 외측에는 방향부(AP) 및 백색 소음부(WNP)를 ON, OFF 하는 전원부 및 충전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 a power supply unit and a charging terminal for turning on and off the direction unit AP and the white noise unit WNP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unctional pillow FP.

몇몇 실시예에서 프레임부(FRP)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40℃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온도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백색 소음부로 전달할 수 있고, 온도 경고 신호를 전달받은 백색 소음부는 온도 경고 음성을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체온의 이상을 감지함과 동시에 수면 중 실내 화재 발생에 대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frame unit FRP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nd when a temperature of 40° C. or higher is detected, a temperature warning signal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white noise unit, and the white noise unit receiving the temperature warning signal may generate a temperature warning signal and transmit the temperature warning signal to the white noise unit. A warning tone may be generated. This is to detect an abnormality in the user's body temperature and prevent damage caused by an indoor fire during sleep.

몇몇 실시예에서 프레임부(FRP)는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능성 베개(FP)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되어, 기능성 베개(FP)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In some embodiments, the frame part FRP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sensor.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functional pillow FP can be sensed in real tim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unctional pillow FP can be easily identified.

몇몇 실시예에서 프레임부(FRP)는 습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정된 습도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습도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백색 소음부로 전달할 수 있고, 습도 경고 신호를 전달받은 백색 소음부는 습도 경고 음성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some embodiments, the frame part FRP may further include a humidity sensor. Accordingly, when the humidity is out of the set range, a humidity warning signal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white noise unit, and the white noise unit receiving the humidity warning signal may generate a humidity warning voice. Accordingly, the user can maintain a comfortable environment by adjusting the humidity in the room.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FP)는 제1 커버(CV1)와, 제1 커버(CV1) 하부의 제1 패드(PD1)와, 제1 패드(PD1) 하부의 바디부(BP)와, 바디부(BP) 하부의 제2 패드(PD2)와, 제2 패드(PD2) 하부의 제2 커버(CV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 functional pillow FP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ver CV1, a first pad PD1 under the first cover CV1, and a body under the first pad PD1. A portion BP, a second pad PD2 under the body portion BP, and a second cover CV2 under the second pad PD2 may be included.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커버(CV2)는 내부의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2 커버(CV2)의 수용공간에는 제2 패드(PD2), 바디부(BP), 제1 패드(PD1)가 순차적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제1 패드(PD1) 상에 제1 커버(CV1)가 배치되어 덮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CV1)와 제2 커버(CV2)는 연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는 지퍼, 스냅단추, 밸크로 등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cover CV2 includes an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an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second cover CV2, the second pad PD2, the body part BP, and the first pad PD1 are provided. The first cover CV1 may be disposed and covered on the first pad PD1, and the first cover CV1 and the second cover CV2 are fastened by a connecting member. It can be. For example, the connection member may be made of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zippers, snap buttons, and Velcro.

몇몇 실시예에서 방향부(AP) 및 백색 소음부(WNP)는 제2 커버(CV2)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향부(AP) 및 백색 소음부(WNP)는 제1 커버(CV1) 외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direction unit AP and the white noise unit WNP may b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CV2.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rection unit AP and the white noise unit WNP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CV1.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패드(PD1) 및 제2 패드(PD2)는 솜 또는 거위털로 이루어진 패드일 수 있으며, 바디부(BP)는 라텍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패드(PD1) 및 제2 패드(PD2)는 바디부의 모폴로지(Morphology)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pad PD1 and the second pad PD2 may be pads made of cotton or goose down, and the body part BP may be made of latex.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lso, the first pad PD1 and the second pad PD2 may be disposed along the morphology of the body part.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커버(CV1), 제1 패드(PD1), 바디부(BP), 제2 패드(PD2) 및 제2 커버(CV2)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cover CV1 , the first pad PD1 , the body part BP, the second pad PD2 , and the second cover CV2 may overlap each other in a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there is.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바디부(BP)는 머리 지지부(HSP)와 경추 지지부(CSP)가 위치한 제1 부분(P1)과, 제1 부분(P1)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2 부분(P1) 및 제3 부분(P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BP)에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제2 부분(P2), 제1 부분(P1), 제3 부분(P3)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부분(P2) 및 제3 부분(P3) 각각은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 사용되는 부분일 수 있고, 제1 부분(P1)은 사용자가 바로 누웠을 때(상부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누운 경우)에 사용되는 부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to 9 , the body part BP has a first part P1 where the head support part HSP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rt CSP are located,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part P1,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second part P1 and a third part P3. For example, the second part P2, the first part P1, and the third part P3 may be sequentially positioned in the body part BP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Each of the second part (P2) and the third part (P3) may be a part used when the user lies on his side, and the first part (P1) is when the user is lying on his back (when lying in a direction facing upward). It may be a part used for

제1 부분(P1)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270mm 내지 290mm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부분(P2)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175mm 내지 190m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3 부분(P3)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175mm 내지 190mm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portion P1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may be 270 mm to 290 mm,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P2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may be 175 mm to 190 mm. The third portion P3 may have a length of 175 mm to 190 mm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BP) 전체 면적의 크기를 100으로 보았을 때, 제1 부분(P1)의 면적은 40% 일 수 있고, 제2 부분(P2) 및 제3 부분(P3) 각각의 면적은 30%일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when the total area of the body part BP is taken as 100, the area of the first part P1 may be 40%, and the area of each of the second part P2 and the third part P3 may be 40%. may be 30%.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BP) 전체 중량은 1000g 내지 1100g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BP) 전체 중량은 베개 놀림에 맞춰 800g 내지 1200g 사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otal weight of the body part BP may be 1000g to 1100g,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some embodiments, the total weight of the body part BP may be between 800g and 1200g to match the pillow play.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분(P1)은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하는 머리 지지부(HSP)와 사용자의 목 부분과 접촉하는 경추 지지부(CSP)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부분(P1)에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1 홈(H1)이 위치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U자형 제1 홈(H1)에 의해서 사용자의 뒷머리 양쪽의 압박을 최소화하여 뒷머리 부분을 편하게 내려줄 수 있게 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part P1 may include a head support part HSP contacting the user's head and a cervical support part CSP contacting the user's neck part. A first groove H1 may be located in the first part P1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user's head. As shown in FIG. 5, the pressure on both sides of the back of the user is minimized by the first U-shaped groove H1, so that the back of the head can be comfortably lowered.

제1 홈(H1)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폭(a1)은 20mm 내지 30mm일 수 있으며, 제1 홈(H1)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폭(a2)(또는 깊이)은 10mm 내지 15mm일 수 있고, U자형 제1 홈(H1)의 전체 길이는 250mm 내지 280m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와 같이, 머리 지지부(HSP)에 압력이 가해져도 제2 부분(P2) 및 제3 부분(P3)에 변형이 생기 않고, 사용자의 뒷머리 부분을 감쌀 수 있게 된다.The width a1 of the first groove H1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may be 20 mm to 30 mm, and the width a2 of the first groove H1 in the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or depth) may be 10 mm to 15 mm, and the total length of the first U-shaped groove H1 may be 250 mm to 280 mm. Accordingly, as shown in FIG. 5 , even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head support part HSP, deformation does not occur in the second part P2 and the third part P3, and the back of the head of the user can be wrapped.

제1 부분(P1)에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홈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P1)에는 지지부(HSP) 및 경추 지지부(CSP)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지나는 제2 홈(H2), 제3 홈(H3) 제4홈(H4)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홈(H2), 제3 홈(H3) 제4홈(H4)은 사용자의 머리 및 목이 접촉된 상태에서 공기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함을 줌과 도 7과 같이 바디부(BP)의 밴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도 9와 같이 제2 홈(H2), 제3 홈(H3) 제4홈(H4)은 사용자의 머리 및 목에 의한 체압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A plurality of grooves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portion P1. For example, the first portion P1 includes a second groove H2, a third groove H3, and a fourth groove H4 passing through the support part HSP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rt CSP in a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 can be placed. The second groove H2, the third groove H3, and the fourth groove H4 provide comfort to the user by providing a passage of air while the user's head and neck are in contact, and as shown in FIG. 7, the body part BP ) facilitates the bending of Also, as shown in FIG. 9 , the second groove H2, the third groove H3, and the fourth groove H4 serve to effectively distribute body pressure from the user's head and neck.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홈(H2), 제3 홈(H3) 및 제4홈(H4)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groove H2, the third groove H3, and the fourth groove H4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It can be.

제2 부분(P2) 및 제3 부분(P3)에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 귀가 눌리는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함 홈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P2)에는 귀눌림 방지 홈인 제5 홈(H5)이 배치될 수 있고, 제3 부분(P3)에는 귀눌림 방지 홈인 제6 홈(H6)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5 홈(H5) 및 제6 홈(H6)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Grooves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part P2 and the third part P3 to prevent discomfort from being pressed when the user lies on his or her side. For example, a fifth groove H5, which is an ear depression prevention groove,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portion P2, and a sixth groove H6, which is an ear depression prevention groove,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portion P3. In some embodiments,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in the fifth groove H5 and the sixth groove H6.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머리 지지부(HSP)는 경추 지지부(CSP), 제2 부분(P2) 및 제3 부분(P3)에서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The head support part HSP may be disposed in a concave shape in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rt CSP, the second part P2 and the third part P3.

도 4를 참조하면, 바디부(BP) 타면의 구성은 전술한 바디부(BP) 일면의 구성과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바디부(BP)의 일면 및 타면 각각에는 머리 지지부(HSP)와 경추 지지부(CSP)가 위치한 제1 부분(P1)과, 제1 부분(P1)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2 부분(P2) 및 제3 부분(P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디부(BP)의 일면과 타면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art BP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aforementioned one surface of the body part BP. That is, the first part P1 where the head support part HSP and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part CSP are loca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BP, respectively, and the second part disposed on both sides around the first part P1,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part P2 and a third part P3, and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art BP may have the same shape.

도 4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머리 지지부(HSP)와 경추 지지부(CSP) 제2 부분(P2) 및 제3 부분(P3)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추 지지부(CSP)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두께(d1)는 85mm 내지 95mm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부분(P2)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두께(d2)는 110mm 내지 120m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3 부분(P3)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두께(d3)는 110mm 내지 120mm로 이루어질 수 있고, 머리 지지부(HSP)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두께(d4)는 15mm 내지 30m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머리 지지부(HSP)와 경추 지지부(CSP)의 이음부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두께(d4)는 38mm 내지 48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머리 지지부(HSP)와 경추 지지부(CSP)의 이음부는 제1 홀(H1)과 경추 지지부(CSP)가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4 and 6 together, in some embodiment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art P2 and the third part P3 of the head support part HSP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rt CSP in the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may be made differently. For example, the thickness d1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rt CSP in the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may be 85 mm to 95 mm, and the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second part P2 The thickness d2 may be made of 110 mm to 120 mm, the thickness d3 of the third portion P3 in the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may be made of 110 mm to 120 mm, and the head support part HSP The thickness (d4) in three directions (Z-axis direction) may be made of 15 mm to 30 mm, and the thickness (d4) in the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joint between the head support part (HSP)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rt (CSP) May be made of 38mm to 48mm. Here, the joint between the head support part HSP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rt CSP may be a point where the first hole H1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rt CSP meet.

이와 같이, 경추 지지부(CSP)가 머리 지지부(HSP)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도 8과 같이, 사용자가 정자세로 누었을 때 기도가 열리는 효과를 더 크게 하고, 사용자의 경추부를 C자 형상으로 유지시켜주어 일자목이나 거북목을 방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편안한 자세를 만들어 준다.In this way, by forming the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CSP) thicker than the head support portion (HSP), as shown in FIG. It can prevent straight or turtle neck by giving it, and at the same time, it creates a comfortable postur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P: 기능성 베개
CV1: 제1 커버
CV2: 제2 커버
PD1: 제1 패드
PD2: 제2 패드
BP: 바디부
AP: 방향부
WNP: 백색 소음부
FP: functional pillow
CV1: first cover
CV2: second cover
PD1: first pad
PD2: second pad
BP: body part
AP: direction department
WNP: white noise part

Claims (10)

머리 지지부와 경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부분이 구비된 바디부; 및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움직임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 지지부는 U자형으로 연장되는 제1 홈과,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면서 제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2 홈, 제3 홈 및 제4 홈을 포함하며,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의 지지에 의한 압력을 단계별로 감지하고,
상기 머리 지지부의 두께는 15mm 내지 30mm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추 지지부의 두께는 85mm 내지 95mm로 이루어며,
상기 바디부의 중량은 800g 내지 1200g이고,
상기 제1 부분의 일측에 배치된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타측에 배치된 제3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3 부분은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은 귀눌림 방지 홈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머리 지지부와 상기 경추 지지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홈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폭은 20mm 내지 30mm이고,
상기 제1 홈의 두께 방향으로의 깊이는 10mm 내지 15mm이며,
상기 제2 홈, 제3 홈 및 제4 홈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바디부는 일면과 타면이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부 상부에 배치된 제1 커버 및 상기 바디부 하부에 배치된 제2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의 외면에는 아로마향을 발산하는 방향부 및 백색소음을 출력하는 백색 소음부가 배치되며,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의 지지에 의하여 감지된 단계별 압력에 의하여 상기 방향부의 아로마향의 발산 및 상기 백색 소음부의 백색소음의 출력을 제어하는 기능성 베개.
a body portion having a first portion including a head support portion and a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and
Includes a motion detector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motion;
The head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groove extending in a U-shape, a second groove, a third groove, and a fourth groov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and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while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
The motion sensor detects the pressure by the support of the user's head or neck step by step,
The thickness of the head support is made of 15 mm to 30 mm,
The thickness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is made of 85 mm to 95 mm,
The weight of the body portion is 800g to 1200g,
A second par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part and a third par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art,
The second part, the first part, and the third part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The second part and the third part are respectively disposed with ear depression prevention grooves,
The head support part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rt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width of the first groove in the first direction is 20 mm to 30 mm,
The depth of the first groo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10 mm to 15 mm,
The second groove, the third groove, and the fourth groov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The body portion is made of the same shape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Further comprising a first cover disposed above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cover disposed below the body portion,
A direction unit for emitting aroma and a white noise unit for outputting white noise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The motion detection unit controls the emission of the aroma of the direction unit and the output of the white noise of the white noise unit according to the step-by-step pressure detected by the support of the user's head or neck.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의 두께는 각각 110mm 내지 120mm로 이루어진 기능성 베개.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art and the third part is a functional pillow made of 110mm to 120mm, respectively.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 제3 홈 및 제4 홈 각각은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연장되는 기능성 베개.
According to claim 9,
The second groove, the third groove and the fourth groove each functional pillow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to the other side.
KR1020210045606A 2021-04-08 2021-04-08 Functional pillow KR1025171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606A KR102517121B1 (en) 2021-04-08 2021-04-08 Functional pil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606A KR102517121B1 (en) 2021-04-08 2021-04-08 Functional pill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536A KR20220139536A (en) 2022-10-17
KR102517121B1 true KR102517121B1 (en) 2023-03-31

Family

ID=8380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606A KR102517121B1 (en) 2021-04-08 2021-04-08 Functional pill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12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283B1 (en) * 2016-08-08 2017-09-06 배호천 Functional pillow for ergonomic cervical correction
KR101929706B1 (en) * 2018-03-09 2018-12-14 권은진 Pillow assembly of cervical spine supporting type with ceramic roller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8544A (en) * 2006-03-30 2007-10-05 유현우 Elastic pillow body
KR101883182B1 (en) * 2016-07-04 2018-07-30 공재철 Functionality pillow
KR101835988B1 (en) * 2016-08-23 2018-03-08 김지훈 pillow for baby can sound and vibration
KR200488729Y1 (en) * 2017-08-17 2019-03-11 김혜경 Memory foam pillow of high elastic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283B1 (en) * 2016-08-08 2017-09-06 배호천 Functional pillow for ergonomic cervical correction
KR101929706B1 (en) * 2018-03-09 2018-12-14 권은진 Pillow assembly of cervical spine supporting type with ceramic roll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536A (en) 202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57102B2 (en) Nasal seal and respiratory interface
US9764108B2 (en) Headgear strap members with enhanced comfort
KR100935207B1 (en) Air drafting pillow
CN109124160B (en) Music massage mattress with adjustable hardness
US20170325738A1 (en) A headphone
CN202386351U (en) Pillow (Ref. TM.) with a heat-insulating layer
EP3922142A1 (en) Pillow with supporting structure
CN218886312U (en) Head-mounted display system
KR102517121B1 (en) Functional pillow
CN109124162B (en) Hardness adjustable mattress
US4498477A (en) Mattress
KR101914113B1 (en) A pillow having an automatic height adjustment function using magnets
CN213405530U (en) Mattress with adjustable hardness and comfort
KR20190094556A (en) Smart Cervical Cervical Pillow with Bluetooth App Using
KR20090093183A (en) Pillow For Heavy Sleep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CN209769793U (en) Hardness adjustable mattress
JP3101466U (en) Anti-snoring pillow
CN217309779U (en) Travel pillow
CN114668276B (en) Pillow and VR equipment
KR102520310B1 (en) Functional pillow with adjustable cervical vertebrae height
CN218355547U (en) Cold-warm dual-purpose comfortable intelligent sleeping-aid pillow
CN220756997U (en) Neck pillow
KR20230002035U (en) Pillow
KR20220001052A (en) Snoring prevention and variable height functional pillow
KR20230020643A (en) 180 degree back cover cush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