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965B1 - Autonomous Parking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Autonomous Parking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965B1
KR102516965B1 KR1020200159667A KR20200159667A KR102516965B1 KR 102516965 B1 KR102516965 B1 KR 102516965B1 KR 1020200159667 A KR1020200159667 A KR 1020200159667A KR 20200159667 A KR20200159667 A KR 20200159667A KR 102516965 B1 KR102516965 B1 KR 102516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wireless
lot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6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72258A (en
Inventor
서재희
이상우
주정민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59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965B1/en
Publication of KR20220072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2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9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25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volving docking at a fixed facility, e.g. base station or loading ba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3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obstacle or wall sens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 주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주차장의 각 주차면에 설치된 주차장 센서들로부터 송신되는 주차장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3개 이상의 무선 센서 - 상기 3개 이상의 무선 센서는 차량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장착됨 - , 그리고 상기 3개 이상의 무선 센서에서 수신한 주차장 무선 신호를 처리하여 각 주차면과 상기 차량의 거리를 구하고, 주차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주차면 중에서 상기 차량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주차면을 목표 주차면으로 선택하여 주차 괘적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가의 라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 탐지와 저가의 무선 센서를 이용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자율 주차를 가능하게 하는 자율 주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nomous parking system and method, and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for receiving parking lot wireless signals transmitted from parking lot sensors installed on each parking surface of a parking lot - the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Mount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of the vehicle - And processing the parking lot radio signals received from the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to obtain the distance between each parking surface and the vehicle, and among the parking surfaces determined to be available for parking, the distance to the vehicle is and a control unit generating a parking trace by selecting the nearest parking surface as a target parking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utonomous parking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autonomous parking while using low-cost lidar sensors for obstacle detection and low-cost wireless sensors.

Description

자율 주차 시스템 및 방법{Autonomous Parking System and Method}Autonomous Parking System and Method {Autonomous Park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자율 주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라이더 이용 장애물 탐지와 TDOA 기반 거리 측정을 연동하여 자율 주차를 수행할 수 있는 자율 주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nomous parking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nomous park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autonomous parking by linking obstacle detection using a rider with TDOA-based distance measurement.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차는 단지 운전자의 시각과 경험에 의해 행하여 졌다. 근래의 주차는 기술 발달로 인해 정확한 거리 측정과 공간 확보가 가능하여, 주차를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 발달에 의해 무인 주차에 관한 연구를 다양한 측면에서 진행되어지고 있다.In general, parking of a vehicle is done only by the driver's vision and experience.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distances and secure spaces for parking, making it possible to park more quickly and safely. Due to such technological development, research on unmanned parking is being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현재까지 대부분의 자율 주차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주차면을 파악하고 주차 궤적을 산출하는 영상 기반 시스템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영상 처리 기반 자율 주차 시스템은 영상 처리를 위한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거나, 다수의 센서를 사용해야 하며 연산량도 큰 문제점이 있었다.Until now, most autonomous parking systems have been image-based systems that identify parking surfaces and calculate parking trajectories by processing images captured by cameras installed in vehicles. However, such a conventional image processing-based autonomous parking system requires expensive equipment for image processing or uses a large number of sensors, and has a large amount of comput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가의 라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 탐지와 저가의 무선 센서를 이용한 TDOA 기반 거리 측정을 연동하여 자율 주차를 수행할 수 있는 자율 주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nomous park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autonomous parking by linking obstacle detection using a low-cost lidar sensor and TDOA-based distance measurement using a low-cost wireless sensor.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율 주차 시스템은 주차장의 각 주차면에 설치된 주차장 센서들로부터 송신되는 주차장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3개 이상의 무선 센서 - 상기 3개 이상의 무선 센서는 차량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장착됨 - , 그리고 상기 3개 이상의 무선 센서에서 수신한 주차장 무선 신호를 처리하여 각 주차면과 상기 차량의 거리를 구하고, 주차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주차면 중에서 상기 차량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주차면을 목표 주차면으로 선택하여 주차 괘적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autonomous par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for receiving parking lot wireless signals transmitted from parking sensors installed on each parking surface of a parking lot - the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are Mount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 And processing the parking lot wireless signals received from the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to obtain the distance between each parking surface and the vehicle, and among the parking surfaces determined to be available for parking, the closest distance to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generating a parking trace by selecting a parking surface as a target parking surface.

상기 주차장 무선 신호는 주차면 식별 정보, 주차면 크기 정보 및 주차면에서 주차장 센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rking lot radio signal may include parking surfa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arking surface siz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parking sensor on the parking surface.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라이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lidar sensor mounted on the vehicle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3개 이상의 무선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목표 주차면에 설치된 주차장 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주차장 무선 신호를 처리하여 주차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a parking trajectory by processing a parking lot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a parking lot sensor installed on the target parking surface received through the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이더 센서를 통해 상기 주차 궤적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주차 궤적을 수정하거나,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 다른 주차면으로 목표 주차면을 수정할 수 있다.When an obstacle is detected on the parking trajectory through the LIDAR sensor, the control unit may correct the parking trajectory or modify a target parking surface to another parking surface determined to be where the vehicle is not parked.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율 주차 방법은, 주차장의 각 주차면에 설치된 주차장 센서들로부터 송신되는 주차장 무선 신호를 3개 이상의 무선 센서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 상기 3개 이상의 무선 센서는 차량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장착됨 - , 상기 3개 이상의 무선 센서에서 수신한 주차장 무선 신호를 처리하여 주차면과 상기 차량의 거리를 구하는 단계, 주차 가능한 것으로 파악된 주차면 중에서, 상기 차량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주차면을 상기 목표 주차면으로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된 목표 주차면에 대한 주차 괘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autonomous par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step of receiving a parking lot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parking sensors installed on each parking surface of a parking lot using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 the above three or more The wireless sensor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of the vehicle - Step of processing the parking lot wireless signals received from the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to ob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parking surface and the vehicle, among the parking surfaces determined to be available for parking, the vehicle and selecting a parking surface having a closest distance to the target parking surface as the target parking surface, and generating a parking trace for the selected target parking surface.

본 발명에 의하면 저가의 라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 탐지와 저가의 무선 센서를 이용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자율 주차를 가능하게 하는 자율 주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utonomous parking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autonomous parking while using low-cost lidar sensors for obstacle detection and low-cost wireless senso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차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차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tonomous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autonomous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autonomous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Th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차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차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tonomous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utonomous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율 주차 시스템은 주차 관리 서버(100), 복수의 주차장 센서(200) 및 차량 시스템(3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autonomous par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arking management server 100, a plurality of parking sensors 200, and a vehicle system 300.

차량 시스템(300)은 복수의 무선 센서(310), 라이더 센서(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ehicle system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wireless sensors 310, lidar sensors 320, and a controller 330.

주차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주차장 센서(200)를 관리하며, 주차장 센서(200)로부터 해당 주차면에 대한 차량 주차 정보 - 예컨대 해당 주차면이 비어 있는지 또는 차량이 주차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 - 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00 manages a plurality of parking lot sensors 200, and vehicle parking information for a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from the parking lot sensor 200 - for example,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is empty or a vehicle is parked - can be provided.

주차장 관리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이나 컴퓨터 등을 통해 주차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주차장 운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운전자 등과 같은 사용자도 자신의 휴대 단말이나 컴퓨터 등을 통해 주차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주차 가능한 주차면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The parking lot manager can check parking management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his/her portable terminal or computer. A user, such as a driver, may also access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his/her portable terminal or computer to check parking surface information available for parking.

주차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주차장 센서(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Parking management server 10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arking sensors 200 and wired or wireless to exchange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복수의 주차장 센서(200)는 주차장의 각 주차면(P1, P2, P3)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주차장 센서(200)는 RF 신호나 BLE(Bluetooth Low Energy) 신호 등을 통해 차량에 설치된 무선 센서(310)와 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구현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arking sensors 200 may be installed on each parking surface (P1, P2, P3) of the parking lot. The plurality of parking sensors 200 may be implement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sensor 310 installed in the vehicle through an RF signal or a Bluetooth Low Energy (BLE) signal.

아울러 복수의 주차장 센서(200)는 실시예에 따라서 자신이 설치된 주차면에 차량 주차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나 초음파 센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arking sensors 200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where they are install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복수의 주차장 센서(200)는 주차장 무선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장 무선 신호는 주차면 식별 정보, 주차면 크기 정보 및 주차면에서 주차장 센서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서 주차장 무선 신호는 해당 주차면의 차량 주차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arking sensors 200 may periodically transmit parking radio signals. Here, the parking lot radio signal may include parking surfa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arking surface siz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parking sensor on the parking surface. 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arking lot wireless signal may also include vehicle park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복수의 주차장 센서(200)는 각 주차면에 미리 정해진 위치, 예컨대 주차면 중심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주차면 크기(폭과 너비)에 대한 정보를 알면 주차장 센서(200)를 중심으로 해당 주차면의 각 모서리의 위치 정보를 구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arking sensors 200 may b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n each parking surface, for example, at the center of the parking surface. Therefore, if information on the parking surface size (width and width) is known,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corner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can be obtained with the parking lot sensor 200 as the center.

복수의 무선 센서(310)는 주차장 센서(200)와 연동하여 RF 신호나 BLE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구현할 수 있다. 차량(1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무선 센서(310)가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센서(310)는 차량 전면 범퍼의 좌우에 1개씩, 그리고 차량 후면 범퍼의 중앙부에 1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차량 전면 범퍼의 좌우에 1개씩, 차량 후면 범퍼의 좌우에 1개씩해서 총 4개의 무선 센서(310)가 차량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여기서 예시한 것 외에도 적절한 위치에 무선 센서(310)를 장착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wireless sensors 310 can be implement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s or BLE signals in conjunction with the parking lot sensor 200. At least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310 may be installed at predetermined locations in the vehicle 10 . For example, one wireless sensor 310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front bumper, and one wireless sensor 310 may be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vehicle rear bumper. Of course, a total of four wireless sensors 310, one each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bumper of the vehicle and one each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bumper of the vehicle, may also be mounted on the vehicle. In addition to what is exemplified here, the wireless sensor 310 may be mounted at an appropriate location.

제어부(330)는 차량의 크기 정보, 차량에 무선 센서(310)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미리 알고 있고, 주차장 신호에서 해당 주차면의 크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30 may know in advance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the vehicle and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where the wireless sensor 31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from a parking lot signal.

제어부(330)는 3개 이상의 무선 센서(310)에서 주차장 신호를 수신한 시간차, 즉 주차장 신호의 도달 시간차(TDOA: Time-Difference-of-Arrival)를 이용하여 해당 주차장 센서(200)가 설치된 주차면의 중심과 차량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30 uses the time difference at which the parking lot signal is received from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310, that is, the arrival time difference of the parking lot signal (TDOA: Time-Difference-of-Arrival) to park the parking lot sensor 200 is installe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ace and the center of the vehicle can be calculated.

제어부(330)는 주차장에 설치된 모든 주차면에 대해서 주차면의 중심과 차량(10)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주차장 무선 신호에 포함된 차량 주차 정보를 참고하여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주차면에 대해서만 주차면의 중심과 차량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330 may calculate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parking surface to the center of the vehicle 10 for all parking surface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referring to the vehicle park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arking lot wireless signal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parking surface and the center of the vehicle may be calculated only for this non-parked parking surface.

제어부(330)는 차량에 가장 가깝고 주차되어 있지 않은 주차면을 목표 주차면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주차면(P2)을 목표 주차면으로 선택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The controller 330 may select a parking surface that is closest to the vehicle and is not parked as a target parking surface.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parking surface P2 is selected as the target parking surface and described.

제어부(330)는 목표 주차면(P2)과 차량 중심까지의 거리(D2), 이웃 주차면(P1, P3)과 차량 중심까지의 거리(D1, D3)를 만족하는 선(L)을 구할 수 있다. 선(L)은 주차면(P2)의 진입 라인(AB)과 방향이 같다. The control unit 330 may obtain a line L that satisfies the distance D2 between the target parking surface P2 and the center of the vehicle, and the distances D1 and D3 between the neighboring parking surfaces P1 and P3 and the center of the vehicle. there is. The line (L) 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ntry line (AB) of the parking surface (P2).

따라서 제어부(330)는 주차면 크기 정보, 거리 정보(D2) 및 진입 라인(AB)의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목표 주차면(P2)과 차량 사이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구할 수 있다. 물론 목표 주차면(P2)의 진입점(A, B)과 차량 사이의 상대적 위치 정보도 구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roller 330 may obtain relative positional information between the target parking surface P2 and the vehicle by using the parking surface size information, the distance information D2, and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line AB. Of course, relative positional information between the entry points A and B of the target parking surface P2 and the vehicle may also be obtained.

한편 제어부(330)는 주차장 센서(200)가 설치된 주차면의 중심과 차량의 각 모서리까지의 거리 정보도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복수 개의 주차면(P1, P2, P3)에 대해서 위와 같은 방식으로 주차면의 중심과 차량의 중심까지의 거리, 주차면의 중심과 차량의 각 모서리까지의 거리 정보를 각각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주차면(P1, P2, P3)과 차량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구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330 may also calculat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center of the parking surface where the parking sensor 200 is installed and each corner of the vehicle. The controller 330 calculates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center of the parking surface and the center of the vehicl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parking surface and each corner of the vehicle in the same manner as above for the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P1, P2, and P3. can The control unit 330 may obtain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parking surface (P1, P2, P3) and the vehicle using this information.

라이더 센서(320)는 차량 주변을 스캔하여 3차원 공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차량 주변 장애물을 탐지할 수 있다. 도 2에서 라이더 센서(320)를 차량의 중심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라이더 센서(320)의 부착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The LIDAR sensor 320 is a device capable of obtaining 3D space information by scanning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and can detect obstacles around the vehicle. Although the lidar sensor 320 is illustrated as being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in FIG. 2 ,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lidar sensor 320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제어부(330)는 3개 이상의 무선 센서(310)에서 수신한 주차장 무선 신호를 처리하여 각 주차면과 차량의 상대적 위치를 추정하고, 라이더 센서(320)를 통해 획득된 장애물 정보를 기초로 차량을 주차할 목표 주차면을 선택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330 processes the parking lot wireless signals received from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310 to estimate the relative position of each parking surface and the vehicle, and detects the vehicle based on the obstacl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lidar sensor 320. You can also select a target parking surface to park on.

구체적으로 제어부(330)는 라이더 센서(320)를 통해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주차면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30)는 주차장 무선 신호에 포함된 차량 주차 정보를 통해 해당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파악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제어부(330)는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주차면에서 차량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주차면을 목표 주차면으로 선택할 수 있다.In detail, the controller 330 may detect a parking surface on which the vehicle is not parked through the lidar sensor 320 .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330 may be implemented to determine whether a vehicle is parked on a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through vehicle parking information included in a parking lot wireless signal. The controller 330 may select, as a target parking surface, a parking surface on which the vehicle is not parked and the closest distance to the vehicle.

제어부(330)는 3개 이상의 무선 센서(310)를 통해 수신되는 목표 주차면에 설치된 주차장 센서(200)로부터 송신되는 주차장 무선 신호를 처리하여 주차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앞서 구한 목표 주차면(P2), 진입점(A, B), 진입 라인(AB)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30 may generate a parking trajectory by processing a parking lot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arking lot sensor 200 installed on the target parking surface received through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310. At this time, information on the previously obtained target parking surface P2, entry points A and B, and entry line AB can be used.

한편 제어부(330)는 라이더 센서(320)를 통해 주차 궤적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주차 궤적을 수정하거나,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 다른 주차면으로 목표 주차면을 수정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on the parking trajectory through the lidar sensor 320, the control unit 330 may correct the parking trajectory or modify the target parking surface to another parking surface determined to be where the vehicle is not parked.

제어부(330)는 차량의 주행 제어 시스템, 예컨대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동하여 주행 궤적에 따라 차량이 목표 주차면에 주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30 may control the vehicle to park on a target parking surface according to a driving trajectory in association with a driving control system of the vehicle, for example,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차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autonomous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주차장에 진입하면, 차량은 주차장의 각 주차면에 설치된 주차장 센서(200)들로부터 송신되는 주차장 무선 신호를 3개 이상의 무선 센서(310)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S310).Referring to Figure 3, when entering the parking lot first, the vehicle can receive parking lot wireles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arking lot sensors 200 installed on each parking surface of the parking lot using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310 ( S310).

이후 차량의 제어부(330)는 3개 이상의 무선 센서(310)에서 수신한 주차장 무선 신호를 처리하여 각 주차면과 차량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S320). 단계(S320)에서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주차면에 대해서는 차량과 거리를 구하는 것을 생략할 수도 있다. 주차면에 차량 주차 여부는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 무선 신호에 포함된 차량 주차 정보 또는 라이더 신호를 통해 획득된 장애물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After that, the control unit 330 of the vehicle may process the parking lot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310 to obtain the distance between each parking surface and the vehicle (S320). In step S320, obtaining a distance from the vehicle may be omitted for the parking surface where the vehicle is parked.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may be determined by using vehicle parking information included in a parking lot wireless signal or obstacl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rider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그리고 제어부(330)는 주차 가능한 것으로 파악된 주차면 중에서, 차량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주차면을 목표 주차면으로 선택할 수 있다(S330).Also, the controller 330 may select, as a target parking surface, a parking surface having the closest distance to the vehicle among parking surfaces determined to be available for parking (S330).

다음으로 제어부(330)는 목표 주차면에 설치된 주차장 센서(200)로부터 송신되는 주차장 무선 신호를 3개 이상의 무선 센서(310)를 통해 수신한 후 처리하여, 차량과 목표 주차면의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면서 주차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S340).Next, the control unit 330 receives and processes the parking lot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arking lot sensor 200 installed on the target parking surface through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310 to determin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 target parking surface. While doing so,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parking trajectory (S340).

한편 라이더 센서(320)를 통해 주차 궤적에 장애물이 감지되면(S350), 제어부(330)는 주차 궤적을 수정하거나,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 다른 주차면으로 목표 주차면을 수정할 수 있다(S360).On the other hand,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on the parking trajectory through the lidar sensor 320 (S350), the controller 330 can correct the parking trajectory or modify the target parking surface to another parking surface determined to be where the vehicle is not parked. (S360).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method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FPGA). array), programmable logic units (PLUs), microprocessors,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A processing device may run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re are cases in which one processing device is us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can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e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The device can be commanded.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tangible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intended to be interpreted by or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n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Claims (9)

삭제delete 주차장의 각 주차면에 설치된 주차장 센서들로부터 송신되는 주차장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3개 이상의 무선 센서 - 상기 3개 이상의 무선 센서는 차량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장착됨 - , 그리고
상기 3개 이상의 무선 센서에서 수신한 주차장 무선 신호를 처리하여 각 주차면과 상기 차량의 거리를 구하고, 주차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주차면 중에서 상기 차량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주차면을 목표 주차면으로 선택하여 주차 괘적을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 무선 신호는 주차면 식별 정보, 주차면 크기 정보 및 주차면에서 주차장 센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자율 주차 시스템.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that receive parking lot wireless signals transmitted from parking sensors installed on each parking surface of the parking lot - the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are mounted at predetermined locations of the vehicle -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parking surface and the vehicle is obtained by processing the parking lot wireless signals received from the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and among the parking surfaces determined to be parkable, the parking surface having the closest distance to the vehicle is selected as the target parking surface Control unit for generating parking traces
including,
The parking lot radio signal includes parking surfa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arking surface size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arking lot sensor on the parking surface.
제 2 항에서,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라이더 센서
를 더 포함하는 자율 주차 시스템.
In paragraph 2,
Lidar sensor mounted on the vehicle
An autonomous park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제 3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개 이상의 무선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목표 주차면에 설치된 주차장 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주차장 무선 신호를 처리하여 주차 궤적을 생성하는 자율 주차 시스템.
In paragraph 3,
The control unit,
An autonomous parking system for generating a parking trajectory by processing a parking lot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a parking lot sensor installed on the target parking surface received through the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제 4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이더 센서를 통해 상기 주차 궤적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주차 궤적을 수정하거나,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 다른 주차면으로 목표 주차면을 수정하는 자율 주차 시스템.
In paragraph 4,
The control unit,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on the parking trajectory through the lidar sensor, the autonomous parking system corrects the parking trajectory or corrects the target parking surface to another parking surface determined to be where the vehicle is not parked.
삭제delete 주차장의 각 주차면에 설치된 주차장 센서들로부터 송신되는 주차장 무선 신호를 3개 이상의 무선 센서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 상기 3개 이상의 무선 센서는 차량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장착됨 - ,
상기 3개 이상의 무선 센서에서 수신한 주차장 무선 신호를 처리하여 주차면과 상기 차량의 거리를 구하는 단계,
주차 가능한 것으로 파악된 주차면 중에서, 상기 차량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주차면을 상기 목표 주차면으로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된 목표 주차면에 대한 주차 괘적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 무선 신호는 주차면 식별 정보, 주차면 크기 정보 및 주차면에서 주차장 센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자율 주차 방법.
Receiving a parking lot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parking sensors installed on each parking surface of the parking lot using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 the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are mount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vehicle -,
Processing the parking lot wireless signals received from the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to obtain a distance between the parking surface and the vehicle;
Selecting, as the target parking surface, a parking surface having the closest distance to the vehicle among parking surfaces determined to be available for parking; and
Generating a parking trajectory for the selected target parking surface
including,
The parking lot radio signal is an autonomous parking method including parking surfa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arking surface size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of a parking lot sensor on a parking surface.
제 7 항에서,
상기 3개 이상의 무선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목표 주차면에 설치된 주차장 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주차장 무선 신호를 처리하여 주차 궤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율 주차 방법.
In paragraph 7,
The autonomous park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a parking trajectory by processing a parking lot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a parking lot sensor installed on the target parking surface received through the three or more wireless sensors.
제 8 항에서,
상기 라이더 센서를 통해 상기 주차 궤적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주차 궤적을 수정하거나,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 다른 주차면으로 목표 주차면을 수정하는 자율 주차 방법.
In paragraph 8,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on the parking trajectory through the lidar sensor, the autonomous parking method of correcting the parking trajectory or modifying a target parking surface to another parking surface determined to be where the vehicle is not parked.
KR1020200159667A 2020-11-25 2020-11-25 Autonomous Parking System and Method KR1025169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667A KR102516965B1 (en) 2020-11-25 2020-11-25 Autonomous Parking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667A KR102516965B1 (en) 2020-11-25 2020-11-25 Autonomous Parking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258A KR20220072258A (en) 2022-06-02
KR102516965B1 true KR102516965B1 (en) 2023-03-31

Family

ID=8198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667A KR102516965B1 (en) 2020-11-25 2020-11-25 Autonomous Parking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96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931B1 (en) * 2010-11-08 2012-11-19 주식회사 만도 Parking Control System of Vehicle
KR102110088B1 (en) * 2019-11-12 2020-05-12 (주)이씨스 System and method for finding position of a parked car based on Ultra Wide Ban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2485A (en) * 2010-09-02 2012-03-12 주식회사 만도 Parking assistant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26058B1 (en) * 2015-08-10 2021-1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931B1 (en) * 2010-11-08 2012-11-19 주식회사 만도 Parking Control System of Vehicle
KR102110088B1 (en) * 2019-11-12 2020-05-12 (주)이씨스 System and method for finding position of a parked car based on Ultra Wide B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258A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3649B1 (en) Vehicle localization method and vehicle localization apparatus
KR102521655B1 (en) Autonomous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201365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vehicles using laser scanner sensors
US9796378B2 (en) Vehicle travel path generating apparatus
US103699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setpoint trajectory to be traveled by a vehicle for being collision free
KR102499398B1 (en) Lane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JP645185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ravel control device and travel control device
US9562777B2 (en) Autonomous vehicle assistance device
CN110969055B (en) Method, apparatus,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vehicle positioning
US11161516B2 (en) Vehicle control device
JP7077910B2 (en) Bound line detection device and lane marking method
CN107571866A (en) Method for analyte sensors data
KR101712399B1 (en) Obstacle display method of vehicle
JP2019536019A (en) Self-calibrating sensor system for wheeled vehicles
WO2019181429A1 (en) Obstacle recognition assistance device, obstacle recognition assistance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3002562A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m
JP6988873B2 (en) Position estimatio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position estimation
KR102516965B1 (en) Autonomous Parking System and Method
KR20230086664A (en) Map matching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6481541A (en) Vehicle autonomous return control method, device and medium without satellite navigation
CN1132610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ensor data fusion for autonomous and autonomous vehicles
JP7326429B2 (en) How to select the sensor image interval
KR2022000561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arking space
KR20230031550A (en) Method for determining camera posture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method
CN112859127A (en) Naviga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