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855B1 -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855B1
KR102516855B1 KR1020220079311A KR20220079311A KR102516855B1 KR 102516855 B1 KR102516855 B1 KR 102516855B1 KR 1020220079311 A KR1020220079311 A KR 1020220079311A KR 20220079311 A KR20220079311 A KR 20220079311A KR 102516855 B1 KR102516855 B1 KR 102516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on information
virtual content
partial
content
specific re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윤
정덕환
채헌주
강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Priority to KR1020220079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제왕절개시술을 받은 복수의 산모의 참조특성데이터, 상기 복수의 산모를 대상으로 수행한 기존 의사들의 복수의 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참조액션정보에 대해 상기 산모의 신체가 반응한 상태에 대응되는 복수의 참조반응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상태에서,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제k 세부 스테이지 -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과정은, 제1 세부 스테이지 내지 제n 세부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k 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임 - 에 대한 컨텐츠로서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할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에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제k 액션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 전체특정참조액션정보 중 상기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k 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반응정보로서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포함하는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에 대응되도록 제(k+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제k+1 액션정보를 입력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METHOD FOR PROVIDING ADAPTIVE CONTENTS FOR CESAREAN SECTION TO USERS BY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을 지원한 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13-2021-0007
[부처명]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연구관리전문기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연구사업명] 중점지원분야 공동연구
[연구과제명] 가상훈련 시뮬레이터를 통한 분만 술기 교육 플랫폼의 개발
[기여율] 1/1
[주관기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연구기간] 2021.03.01~2023.02.28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특히, 2020년 출생아의 합계 출산율은 0.8명으로 한 해 출생아 수는 5년동안 약 40%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산부인과 전공의 중에서 수련이 끝나도 질식분만 또는 제왕절개분만은 물론 그 외 정밀 초음파, 산후혈의 처치 등 산부인과 진료와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경험해 보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현재 전국적으로 분만을 담당하는 산부인과 의사가 매우 크게 감소하고 있다. 이는 산부인과 관련 의료 행위의 수가가 낮고 의료 사고에 대한 불안감이 크기 때문이다. 한국의료조정중재원에 따르면 2020년 산부인과의 조정 신청건수는 120건으로, 특히 분만 중 의료 사고로 산부인과 의사가 징역형을 선고 받으면서 분만과 연관된 의료 행위에 회의를 느끼는 의사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이렇게 산부인과 의사가 부족한 상황에서, 의과 대학 학생 또는 산부인과 의사들이 진료 및 분만 등과 관련된 수련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수련을 하기 위한 교육용 기구 및 기기가 제공되고 있다.
현재 의과대학 학생 또는 산부인과 의사들을 교육하기 위한 실습 모델, 즉 Dummy가 있으나, Dummy는 실리콘 재질로 실제 환자와 차이가 크고, 다양한 의학적 상황에 대한 교육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참고로, 해외에서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분만 과정과 관련된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나, 임산부 인형에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를 연계한 것으로, 분만 상황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보여주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의과 대학 학생 또는 산부인과 의사들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고 인터랙션하는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 세부 스테이지에 대한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고 학습자의 액션정보를 획득하며, 학습자의 제k 액션정보에 대응되는 반응정보를 포함하는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실제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 최적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 유사도가 높은 가상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제3 유저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제왕절개시술을 받은 복수의 산모의 참조특성데이터, 상기 복수의 산모를 대상으로 수행한 기존 의사들의 복수의 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참조액션정보에 대해 상기 산모의 신체가 반응한 상태에 대응되는 복수의 참조반응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상태에서,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제k 세부 스테이지 -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과정은, 제1 세부 스테이지 내지 제n 세부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k 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임 - 에 대한 컨텐츠로서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할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에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제k 액션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 전체특정참조액션정보 중 상기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k 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반응정보로서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포함하는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에 대응되도록 제(k+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제k+1 액션정보를 입력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k 가 1일 때,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k를 1부터 n-1까지 증가시켜가면서 상기 (b) 단계 및 상기 (c)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되, 상기 k 가 n 이 되면, 상기 (b) 단계를 수행하여 제n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제왕절개시술에 대한 최종 결과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는, 상기 산모 각각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액션정보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세부 스테이지 내지 상기 제n 세부 스테이지 각각마다 상기 기존 의사들 각각이 기구를 사용했는지 여부, 상기 기구를 사용하였다면, 사용한 기구의 식별자, 상기 기구가 접촉된 상기 산모의 신체 상의 위치, 상기 기구를 인가한 세기 또는 깊이, 상기 기구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상기 의사들 각각이 취한 행동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반응정보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세부 스테이지 내지 상기 제n 세부 스테이지 각각마다 상기 산모의 바이탈 사인, 상기 태아의 바이탈 사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상기 제k 전체특정참조액션정보 중 상기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가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 중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파라미터와 제1 비율 이상이 일치하는 일부 산모들에 대한 상기 기존 의사들의 집도 과정에서 인가된 상기 참조액션정보의 파라미터가 상기 제k 액션정보와 제2 비율 이상 일치하는 타겟 산모에 대한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획득하여 생성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타겟 산모에 대한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상기 제k 세부 스테이지의 영상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타겟 산모를 가상의 산모로 교체하여 생성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타겟 산모에 대한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상기 제k 세부 스테이지에 대응되는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의 파라미터로서 포함된 상기 타겟 산모의 바이탈 사인 및 타겟 태아의 바이탈 사인 중 적어도 일부를 참조로 하여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상의 산모의 신체의 변화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생성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의 파라미터로서의 산모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로서의 산모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의 비교를 통해 특성데이터 유사도가 임계 유사도 이상인 복수의 타겟 산모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산모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대응되어 있는 제왕절개시술의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생성된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타겟 산모 각각에 대응되어 있는 복수의 제왕절개시술의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각각과 상기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를 참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k 산모만족도가 기설정된 임계만족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 및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는 제k 실제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k 산모만족도가 기설정된 임계만족도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 및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는 제k 실제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k 세부 스테이지에 대해 상기 제k 산모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에 해당되는 제k 최적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제k 최적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는 제k 최적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k 최적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학습자에게 착용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제k 최적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k 최적특정참조액션정보를 모방하도록 유도하고, 제k 모방 유사도가 임계 유사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상기 제k 세부 스테이지에 대한 학습을 종료하여 상기 (c) 단계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k 최적특정참조액션정보에 포함된 의사가 산모의 신체와 인터랙션하는 강도, 속도, 깊이, 길이, 방향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시간별 참조최적수치데이터 각각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학습자의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획득된 시간별 입력수치데이터 각각을 비교하여 상기 제k 모방 유사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제k 모방 유사도를 계산하기 위한 상기 시간별 입력수치데이터는,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기 학습자의 제스처에 대한 인식 데이터 또는 상기 학습자에 의해 파지된 제어 기구를 통해 입력된 제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k+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의 파라미터로서의 상기 산모의 바이탈 사인 및 상기 태아의 바이탈 사인 중 적어도 일부를 참조로 하여 획득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와 매칭되는 초기 상태를 가지는 상기 제(k+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에 없는 경우, 상기 특정 산모 유형의 파라미터로서의 산모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로서의 산모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의 비교를 통해 특성데이터 유사도가 임계 유사도 이상인 적어도 제1 유사 산모 유형 및 제2 유사 산모 유형을 선정하고, 상기 제1 유사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_1 부분 가상컨텐츠 및 이에 대한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3_1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유사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_2 부분 가상컨텐츠 및 이에 대한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3_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특이 유형인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한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학습을 상기 제k_1_1 부분 가상컨텐츠 및 상기 제k_1_2 부분 가상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I) 제왕절개시술을 받은 복수의 산모의 참조특성데이터, 상기 복수의 산모를 대상으로 수행한 기존 의사들의 복수의 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참조액션정보에 대해 상기 산모의 신체가 반응한 상태에 대응되는 복수의 참조반응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상태에서,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제k 세부 스테이지 -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과정은, 제1 세부 스테이지 내지 제n 세부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k 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임 - 에 대한 컨텐츠로서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할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는 프로세스; (II)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에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제k 액션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 전체특정참조액션정보 중 상기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k 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반응정보로서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포함하는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프로세스; 및 (III)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에 대응되도록 제(k+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제k+1 액션정보를 입력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k 가 1일 때, 상기 (I) 프로세스는 상기 제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k를 1부터 n-1까지 증가시켜가면서 상기 (II) 프로세스 및 상기 (III) 프로세스를 반복하여 수행하되, 상기 k 가 n 이 되면, 상기 (II)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제n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제왕절개시술에 대한 최종 결과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는, 상기 산모 각각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액션정보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세부 스테이지 내지 상기 제n 세부 스테이지 각각마다 상기 기존 의사들 각각이 기구를 사용했는지 여부, 상기 기구를 사용하였다면, 사용한 기구의 식별자, 상기 기구가 접촉된 상기 산모의 신체 상의 위치, 상기 기구를 인가한 세기 또는 깊이, 상기 기구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상기 의사들 각각이 취한 행동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반응정보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세부 스테이지 내지 상기 제n 세부 스테이지 각각마다 상기 산모의 바이탈 사인, 상기 태아의 바이탈 사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상기 제k 전체특정참조액션정보 중 상기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가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 중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파라미터와 제1 비율 이상이 일치하는 일부 산모들에 대한 상기 기존 의사들의 집도 과정에서 인가된 상기 참조액션정보의 파라미터가 상기 제k 액션정보와 제2 비율 이상 일치하는 타겟 산모에 대한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획득하여 생성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상기 타겟 산모에 대한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상기 제k 세부 스테이지의 영상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타겟 산모를 가상의 산모로 교체하여 생성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타겟 산모에 대한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상기 제k 세부 스테이지에 대응되는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의 파라미터로서 포함된 상기 타겟 산모의 바이탈 사인 및 타겟 태아의 바이탈 사인 중 적어도 일부를 참조로 하여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상의 산모의 신체의 변화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생성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의 파라미터로서의 산모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로서의 산모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의 비교를 통해 특성데이터 유사도가 임계 유사도 이상인 복수의 타겟 산모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산모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대응되어 있는 제왕절개시술의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생성된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타겟 산모 각각에 대응되어 있는 복수의 제왕절개시술의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각각과 상기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를 참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k 산모만족도가 기설정된 임계만족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 및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는 제k 실제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k 산모만족도가 기설정된 임계만족도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 및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는 제k 실제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k 세부 스테이지에 대해 상기 제k 산모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에 해당되는 제k 최적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제k 최적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는 제k 최적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k 최적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학습자에게 착용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제k 최적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k 최적특정참조액션정보를 모방하도록 유도하고, 제k 모방 유사도가 임계 유사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상기 제k 세부 스테이지에 대한 학습을 종료하여 상기 (III) 프로세스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k 최적특정참조액션정보에 포함된 의사가 산모의 신체와 인터랙션하는 강도, 속도, 깊이, 길이, 방향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시간별 참조최적수치데이터 각각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학습자의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획득된 시간별 입력수치데이터 각각을 비교하여 상기 제k 모방 유사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제k 모방 유사도를 계산하기 위한 상기 시간별 입력수치데이터는,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기 학습자의 제스처에 대한 인식 데이터 또는 상기 학습자에 의해 파지된 제어 기구를 통해 입력된 제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III)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k+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의 파라미터로서의 상기 산모의 바이탈 사인 및 상기 태아의 바이탈 사인 중 적어도 일부를 참조로 하여 획득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와 매칭되는 초기 상태를 가지는 상기 제(k+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에 없는 경우, 상기 특정 산모 유형의 파라미터로서의 산모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로서의 산모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의 비교를 통해 특성데이터 유사도가 임계 유사도 이상인 적어도 제1 유사 산모 유형 및 제2 유사 산모 유형을 선정하고, 상기 제1 유사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_1 부분 가상컨텐츠 및 이에 대한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3_1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유사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_2 부분 가상컨텐츠 및 이에 대한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3_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특이 유형인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한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학습을 상기 제k_1_1 부분 가상컨텐츠 및 상기 제k_1_2 부분 가상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 세부 스테이지에 대한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고 학습자의 액션정보를 획득하며, 학습자의 제k 액션정보에 대응되는 반응정보를 포함하는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실제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 최적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 유사도가 높은 가상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제3 유저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전체적인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겟 산모에 대한 제왕절개시술의 제k 세부 스테이지의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내지 제2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메모리(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메모리(110)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인스트럭션들은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성되는 코드로서, 컴퓨터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인스트럭션들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스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와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미도시)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미도시)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와 분리되어 설치되거나, 이와는 달리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되는 데이터를 기록할 수도 있고, 둘 이상으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는 발명의 실시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전체적인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먼저,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왕절개시술의 제k 세부 스테이지에 대한 컨텐츠로서 학습자에게 제공할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S210).
참고로, 제왕절개시술의 과정은, 제1 세부 스테이지 내지 제n 세부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k 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이다. 가령, k가 1인 경우, 제1 세부 스테이지에 대한 컨텐츠로서, 제1_1 부분 가상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왕절개시술을 받은 복수의 산모의 참조특성데이터, 복수의 산모를 대상으로 수행한 기존 의사들의 복수의 참조액션정보, 참조액션정보에 대해 산모의 신체가 반응한 상태에 대응되는 복수의 참조반응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상태일 수 있다.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는, 산모 각각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산모 각각의 특이사항도 참조특성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특이사항은 의사의 코멘트일 수도 있고, 자녀의 발달 상태일 수도 있다. 특이사항과 관련해서는 다양한 항목을 상정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참조액션정보의 파라미터는, 제1 세부 스테이지 내지 제n 세부 스테이지 각각마다 기존 의사들 각각이 기구를 사용했는지 여부, 기구를 사용하였다면, 사용한 기구의 식별자, 기구가 접촉된 산모의 신체 상의 위치, 기구를 인가한 세기 또는 깊이, 기구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의사들 각각이 취한 행동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의사들 각각이 처방한 약물 정보도 참조액션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참조반응정보의 파라미터는, 제1 세부 스테이지 내지 제n 세부 스테이지 각각마다 산모의 바이탈 사인, 태아의 바이탈 사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이탈 사인은 체온, 호흡, 맥박, 혈압 수치 등을 의미한다.
이후,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에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에 대한 학습자의 제k 액션정보가 획득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 전체특정참조액션정보 중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참조로 하여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획득하고, 제k 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반응정보로서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포함하는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220).
이후,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에 대응되도록 제(k+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제k+1 액션정보를 입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S230).
구체적으로, S230 단계에서,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에 대응되도록 제(k+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함에 있어서,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에 대응되는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의 파라미터로서의 산모의 바이탈 사인 및 태아의 바이탈 사인 중 적어도 일부를 참조로 하여 획득된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를 참조로 하여,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와 매칭되는 초기 상태를 가지는 제(k+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제1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에 대응되는 제2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함에 있어서, 제1_2 부분 가상컨텐츠에 대응되는 산모의 바이탈 사인 및 태아의 바이탈 사인 중 적어도 일부를 참조하여 획득된 제1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를 참조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제1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와 제2_1 부분 가상컨텐츠의 초기 상태가 동일한 것이다.
예를 들어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령, k가 1이고, n이 10인 경우,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1 세부 스테이지에 대한 컨텐츠로서, 제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제1_1 부분 가상 컨텐츠에 대한 학습자의 제1 액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1 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1 반응정보로서 제1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고, 제1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에 대응되도록 제2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제2 액션정보를 입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2_1 부분 가상컨텐츠를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학습자의 제2 액션정보를 획득하고, 제2 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2 반응정보로서, 제2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고, 제2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에 대응되도록 제3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제3 액션정보를 입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결국,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10_1 부분 가상컨텐츠까지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학습자의 제10 액션정보를 획득하고, 제10 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10_2 부분 가상 컨텐츠를 제공하여 제왕절개시술에 대한 최종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왕절개시술에 대한 최종 결과는 분만이 해당될 수 있으며, 또는 분만에 대응되는 다양한 이벤트일 수도 있다.
한편,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학습자의 제k 액션정보가 획득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참조로 하여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는 제k 전체특정참조액션정보 중에서 제k 액션정보와 유사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판단되는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만을 선택하는 것이다. 임계치는 학습자의 설정에 따라 변동 가능하며, 디폴트로 특정 임계치를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다양한 방법으로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학습자의 제k 액션정보가 "수술용 메스를 사용하여 산모의 피부를 10센치미터 절개"한 것이라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액션정보 중에서 "수술용 메스를 사용하여 피부를 절개"한 액션정보를 제k 전체특정참조액션정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피부를 절개한 길이가 8~10 센치미터에 해당"되는 액션정보를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S220 단계를 좀 더 살펴보자. S220 단계에서,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 전체특정참조액션정보 중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 때,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 중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파라미터와 제1 비율 이상이 일치하는 일부 산모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비율 이상 일치하는 일부 산모들에게 기존 의사들의 집도 과정에서 인가된 참조액션정보의 파라미터가 제k 액션정보와 제2 비율 이상 일치하는 타겟 산모에 대하여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참조로 하여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령, 특정 산모 유형이 "한국 국적, 30대, 초산, 키 165 센치미터, 몸무게 60킬로그램, 병력 없음, 태아의 자세 정상, 양수 상태 정상"이라고 가정해보자(파라미터 8개). 즉, "수술용 메스를 사용하여 산모의 피부를 10센치미터 절개"한 것이다.
여기서,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파라미터와 제1 비율 이상 일치하는 일부 산모들은, "한국 국적, 30대, 초산, 병력 없음, 태아의 자세 정상, 양수 상태 정상"에 해당되는 산모들이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상 제1 비율 이상 일치하는 기준을 6개의 파라미터가 중복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즉, 8개의 파라미터 중에서 6개의 파라미터가 동일하여, 이를 제1 비율 이상 일치하는 일부 산모들에 대한 정보로 결정하였다. 제1 비율은 학습자의 설정 또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변동 가능한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위와 같이 6개의 파라미터가 동일하여 선택된 일부 산모들에게 기존 의사들이 집도 과정에서 인가한 참조액션정보의 파라미터가 제 k 액션정보와 제2 비율이상 일치하는 타겟 산모에 대하여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선택하고,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부분특정반응정보를 획득하여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제k 액션정보가 "수술용 메스를 사용하여 산모의 피부를 10센치미터 절개"이므로, "수술용 매스를 사용하여 산모의 피부를 절개"한 참조액션정보를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로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대응되는 산모의 반응정보, 가령 체온 36.4℃, 호흡 20회/분, 맥박 72회/분, 혈압 110/80mmHg 등을 제k 부분특정반응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제k 부분특정반응정보에 따라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타겟 산모에 대한 제왕절개시술의 제k 세부 스테이지의 영상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타겟 산모를 가상의 산모로 교체하여 생성한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산모에 대한 제왕절개시술의 제k 세부 스테이지에 대응되는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의 파라미터로서 포함된 타겟 산모의 바이탈 사인 및 타겟 태아의 바이탈 사인 중 적어도 일부를 참조로 하여 이에 대응되도록, 가상의 산모의 신체의 변화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생성한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겟 산모에 대한 제왕절개시술의 제k 세부 스테이지의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와 같이, 타겟 산모의 바이탈 사인(310)이 제공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겟 산모의 체온, 호흡, 맥박, 혈압 수치 등이 바이탈 사인(31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3b와 같이 가상의 산모(320)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도 3c와 같이 가상의 산모(320)의 신체 변화(330)가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다시 S210 단계를 살펴보자.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함에 있어서,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특정 산모 유형의 파라미터로서의 산모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와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로서의 산모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를 비교할 수 있다.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비교 결과를 통해 특성데이터 유사도가 임계 유사도 이상인 복수의 타겟 산모를 결정하고, 타겟 산모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대응되어 있는 제왕절개시술의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생성된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가령, 특정 산모 유형의 파라미터와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의 유사도가 90% 이상인 복수의 타겟 산모가 10명 있다고 가정해보자. 복수의 타겟 산모로 결정된 10명 중에서 가장 유사도가 높은 타겟 산모 1명에 대응되는 제왕절개시술의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생성된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고, 복수의 타겟 산모로 결정된 10명 중에서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제왕절개시술의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생성된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타겟 산모 각각에 대응되어 있는 복수의 제왕절개시술의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각각과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를 참조하여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다.
즉,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각각과 학습자의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기설정된 임계 유사도 이상인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참조하여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내지 제3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k 산모만족도가 기설정된 임계만족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참고로, 제k 산모만족도는, 산모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만족도를 확인하는 수동적인 방법과, 산모의 바이탈 사인으로부터 만족도를 확인하는 자동적인 방법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 및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는 제k 실제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k 산모만족도가 기설정된 임계만족도 미만인 경우를 생각해보자.
이 경우에,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제k 세부 스테이지에 대해 제k 산모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에 해당되는 제k 최적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제k 최적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는 제k 최적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내지 제2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a와 같이,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 및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면서,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는 제k 실제컨텐츠(410)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k 실제컨텐츠(410)를 보여주는 이유는, 가상의 화면에서 이루어지는 제왕절개시술이 실제적으로 어떻게 진행되는 지를 학습자에게 보여주고 이를 좀 더 자세하게 학습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4b와 같이, 제k 최적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제k 최적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는 제k 최적 컨텐츠(420)를 확인할 수 있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제k 최적컨텐츠(420)를 보여주는 이유는, 제k 산모만족도가 높은 제k 최적컨텐츠를 확인하여 학습자가 수행한 제k액션정보와 제k 최적특정참조액션정보와의 차이점을 숙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제2 유저 인터페이스는 설명의 편의상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팝업창이나 새로운 화면 전환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k 최적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학습자에게 착용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제k 최적컨텐츠에 포함된 제k 최적특정참조액션정보를 모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제k 최적특정참조액션정보를 눈으로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로 하여금 실제적으로 따라하도록 유도하여 학습자의 숙련 실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제k 모방 유사도가 임계 유사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왕절개시술의 제k 세부 스테이지에 대한 학습을 종료하고 다음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참고로,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k 최적특정참조액션정보에 포함된 의사가 산모의 신체와 인터랙션하는 강도, 속도, 깊이, 길이, 방향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시간별 참조최적수치데이터 각각과, 이에 대응하는 학습자의 모션 센서를 통해 획득된 시간별 입력수치데이터 각각을 비교하여 제k 모방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k 모방 유사도를 계산하기 위한 시간별 입력수치데이터는,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학습자의 제스처에 대한 인식 데이터를 통해 획득될 수도 있고, 학습자에 의해 파지된 제어 기구를 통해 입력된 제어 데이터를 통해 획득될 수도 있다.
한편,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가 데이터베이스 내에 없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이 경우에,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특정 산모 유형의 파라미터와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의 비교를 통해 특성데이터 유사도가 임계 유사도 이상인 적어도 제1 유사 산모 유형 및 제2 유사 산모 유형을 선정할 수 있다.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 가상컨텐츠가 없기 때문에 유사 산모 유형을 2개로 선정하였다.
여기서,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제1 유사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_1 부분 가상컨텐츠 및 이에 대한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3_1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고, 제2 유사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_2 부분 가상컨텐츠 및 이에 대한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3_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학습자로 하여금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특이 유형인 특정 산모 유형에 대한 제왕절개시술의 학습을 제k_1_1 부분 가상컨텐츠 및 제k_1_2 부분 가상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산모 유형의 파라미터는 산모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도 산모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특정 산모 유형이 "아프리카 국적, 40대, 초산의 나이 35세, 제왕절개시술 2회, 키 155 센치미터, 몸무게 70킬로그램, 병력 없음, 태아의 자세 역아, 양수 상태 부족"이라고 가정해보자(파라미터 9개).
특정 산모 유형이 위와 같은 상황에서, 이에 대응되는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참조특성데이터 중에서 "아프리카 국적이면서 제왕절개시술이 2회 이상인 40대"와 대응되는 유사 산모 유형을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프리카"국적이 없을 경우에는 그 외 파라미터가 유사한 가령, "키 155 센치미터, 몸무게 70킬로그램, 태아의 자세 역아, 양수 상태 부족"에 대응되는 유사 산모 유형을 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유사 산모 유형 및 제2 유사 산모 유형을 선정하는 것은,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특이 유형인 특정 산모 유형에 대한 제왕절개시술의 학습을 좀 더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6)

  1.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제왕절개시술을 받은 복수의 산모의 참조특성데이터, 상기 복수의 산모를 대상으로 수행한 기존 의사들의 복수의 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참조액션정보에 대해 상기 산모의 신체가 반응한 상태에 대응되는 복수의 참조반응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상태에서,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제k 세부 스테이지 -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과정은, 제1 세부 스테이지 내지 제n 세부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k 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임 - 에 대한 컨텐츠로서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할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에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제k 액션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 전체특정참조액션정보 중 상기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k 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반응정보로서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포함하는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에 대응되도록 제(k+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제k+1 액션정보를 입력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k 산모만족도가 기설정된 임계만족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 및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는 제k 실제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k 가 1일 때,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k를 1부터 n-1까지 증가시켜가면서 상기 (b) 단계 및 상기 (c)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되, 상기 k 가 n 이 되면, 상기 (b) 단계를 수행하여 제n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제왕절개시술에 대한 최종 결과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는, 상기 산모 각각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액션정보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세부 스테이지 내지 상기 제n 세부 스테이지 각각마다 상기 기존 의사들 각각이 기구를 사용했는지 여부, 상기 기구를 사용하였다면, 사용한 기구의 식별자, 상기 기구가 접촉된 상기 산모의 신체 상의 위치, 상기 기구를 인가한 세기 또는 깊이, 상기 기구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상기 의사들 각각이 취한 행동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반응정보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세부 스테이지 내지 상기 제n 세부 스테이지 각각마다 상기 산모의 바이탈 사인, 상기 태아의 바이탈 사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상기 제k 전체특정참조액션정보 중 상기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가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 중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파라미터와 제1 비율 이상이 일치하는 일부 산모들에 대한 상기 기존 의사들의 집도 과정에서 인가된 상기 참조액션정보의 파라미터가 상기 제k 액션정보와 제2 비율 이상 일치하는 타겟 산모에 대한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획득하여 생성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타겟 산모에 대한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상기 제k 세부 스테이지의 영상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타겟 산모를 가상의 산모로 교체하여 생성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타겟 산모에 대한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상기 제k 세부 스테이지에 대응되는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의 파라미터로서 포함된 상기 타겟 산모의 바이탈 사인 및 타겟 태아의 바이탈 사인 중 적어도 일부를 참조로 하여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상의 산모의 신체의 변화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생성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의 파라미터로서의 산모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로서의 산모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의 비교를 통해 특성데이터 유사도가 임계 유사도 이상인 복수의 타겟 산모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산모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대응되어 있는 제왕절개시술의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생성된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타겟 산모 각각에 대응되어 있는 복수의 제왕절개시술의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각각과 상기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를 참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삭제
  9.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제왕절개시술을 받은 복수의 산모의 참조특성데이터, 상기 복수의 산모를 대상으로 수행한 기존 의사들의 복수의 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참조액션정보에 대해 상기 산모의 신체가 반응한 상태에 대응되는 복수의 참조반응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상태에서,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제k 세부 스테이지 -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과정은, 제1 세부 스테이지 내지 제n 세부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k 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임 - 에 대한 컨텐츠로서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할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에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제k 액션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 전체특정참조액션정보 중 상기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k 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반응정보로서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포함하는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에 대응되도록 제(k+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제k+1 액션정보를 입력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k 산모만족도가 기설정된 임계만족도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 및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는 제k 실제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k 세부 스테이지에 대해 상기 제k 산모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에 해당되는 제k 최적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제k 최적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는 제k 최적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
    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k 최적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학습자에게 착용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제k 최적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k 최적특정참조액션정보를 모방하도록 유도하고, 제k 모방 유사도가 임계 유사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상기 제k 세부 스테이지에 대한 학습을 종료하여 상기 (c) 단계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k 최적특정참조액션정보에 포함된 의사가 산모의 신체와 인터랙션하는 강도, 속도, 깊이, 길이, 방향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시간별 참조최적수치데이터 각각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학습자의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획득된 시간별 입력수치데이터 각각을 비교하여 상기 제k 모방 유사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k 모방 유사도를 계산하기 위한 상기 시간별 입력수치데이터는,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기 학습자의 제스처에 대한 인식 데이터 또는 상기 학습자에 의해 파지된 제어 기구를 통해 입력된 제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k+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의 파라미터로서의 상기 산모의 바이탈 사인 및 태아의 바이탈 사인 중 적어도 일부를 참조로 하여 획득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와 매칭되는 초기 상태를 가지는 상기 제(k+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제왕절개시술을 받은 복수의 산모의 참조특성데이터, 상기 복수의 산모를 대상으로 수행한 기존 의사들의 복수의 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참조액션정보에 대해 상기 산모의 신체가 반응한 상태에 대응되는 복수의 참조반응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상태에서,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제k 세부 스테이지 -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과정은, 제1 세부 스테이지 내지 제n 세부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k 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임 - 에 대한 컨텐츠로서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할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에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제k 액션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 전체특정참조액션정보 중 상기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k 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반응정보로서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포함하는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에 대응되도록 제(k+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제k+1 액션정보를 입력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에 없는 경우, 상기 특정 산모 유형의 파라미터로서의 산모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로서의 산모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의 비교를 통해 특성데이터 유사도가 임계 유사도 이상인 적어도 제1 유사 산모 유형 및 제2 유사 산모 유형을 선정하고, 상기 제1 유사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_1 부분 가상컨텐츠 및 이에 대한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3_1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유사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_2 부분 가상컨텐츠 및 이에 대한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3_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특이 유형인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한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학습을 상기 제k_1_1 부분 가상컨텐츠 및 상기 제k_1_2 부분 가상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I) 제왕절개시술을 받은 복수의 산모의 참조특성데이터, 상기 복수의 산모를 대상으로 수행한 기존 의사들의 복수의 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참조액션정보에 대해 상기 산모의 신체가 반응한 상태에 대응되는 복수의 참조반응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상태에서,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제k 세부 스테이지 -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과정은, 제1 세부 스테이지 내지 제n 세부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k 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임 - 에 대한 컨텐츠로서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할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는 프로세스; (II)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에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제k 액션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 전체특정참조액션정보 중 상기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k 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반응정보로서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포함하는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프로세스; 및 (III)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에 대응되도록 제(k+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제k+1 액션정보를 입력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되,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k 산모만족도가 기설정된 임계만족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 및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는 제k 실제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k 가 1일 때, 상기 (I) 프로세스는 상기 제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제공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k를 1부터 n-1까지 증가시켜가면서 상기 (II) 프로세스 및 상기 (III) 프로세스를 반복하여 수행하되, 상기 k 가 n 이 되면, 상기 (II)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제n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제왕절개시술에 대한 최종 결과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는, 상기 산모 각각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액션정보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세부 스테이지 내지 상기 제n 세부 스테이지 각각마다 상기 기존 의사들 각각이 기구를 사용했는지 여부, 상기 기구를 사용하였다면, 사용한 기구의 식별자, 상기 기구가 접촉된 상기 산모의 신체 상의 위치, 상기 기구를 인가한 세기 또는 깊이, 상기 기구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상기 의사들 각각이 취한 행동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반응정보의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세부 스테이지 내지 상기 제n 세부 스테이지 각각마다 상기 산모의 바이탈 사인, 상기 태아의 바이탈 사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상기 제k 전체특정참조액션정보 중 상기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가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 중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파라미터와 제1 비율 이상이 일치하는 일부 산모들에 대한 상기 기존 의사들의 집도 과정에서 인가된 상기 참조액션정보의 파라미터가 상기 제k 액션정보와 제2 비율 이상 일치하는 타겟 산모에 대한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획득하여 생성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상기 타겟 산모에 대한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상기 제k 세부 스테이지의 영상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타겟 산모를 가상의 산모로 교체하여 생성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타겟 산모에 대한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상기 제k 세부 스테이지에 대응되는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의 파라미터로서 포함된 상기 타겟 산모의 바이탈 사인 및 타겟 태아의 바이탈 사인 중 적어도 일부를 참조로 하여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상의 산모의 신체의 변화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생성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의 파라미터로서의 산모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로서의 산모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의 비교를 통해 특성데이터 유사도가 임계 유사도 이상인 복수의 타겟 산모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산모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대응되어 있는 제왕절개시술의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생성된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타겟 산모 각각에 대응되어 있는 복수의 제왕절개시술의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각각과 상기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를 참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
  21. 삭제
  22.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I) 제왕절개시술을 받은 복수의 산모의 참조특성데이터, 상기 복수의 산모를 대상으로 수행한 기존 의사들의 복수의 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참조액션정보에 대해 상기 산모의 신체가 반응한 상태에 대응되는 복수의 참조반응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상태에서,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제k 세부 스테이지 -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과정은, 제1 세부 스테이지 내지 제n 세부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k 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임 - 에 대한 컨텐츠로서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할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는 프로세스; (II)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에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제k 액션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 전체특정참조액션정보 중 상기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k 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반응정보로서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포함하는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프로세스; 및 (III)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에 대응되도록 제(k+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제k+1 액션정보를 입력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되,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k 산모만족도가 기설정된 임계만족도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 및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는 제k 실제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k 세부 스테이지에 대해 상기 제k 산모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에 해당되는 제k 최적특정참조액션정보 및 제k 최적특정참조반응정보에 대응되는 제k 최적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
    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k 최적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학습자에게 착용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제k 최적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k 최적특정참조액션정보를 모방하도록 유도하고, 제k 모방 유사도가 임계 유사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상기 제k 세부 스테이지에 대한 학습을 종료하여 상기 (III) 프로세스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k 최적특정참조액션정보에 포함된 의사가 산모의 신체와 인터랙션하는 강도, 속도, 깊이, 길이, 방향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시간별 참조최적수치데이터 각각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학습자의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획득된 시간별 입력수치데이터 각각을 비교하여 상기 제k 모방 유사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k 모방 유사도를 계산하기 위한 상기 시간별 입력수치데이터는,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기 학습자의 제스처에 대한 인식 데이터 또는 상기 학습자에 의해 파지된 제어 기구를 통해 입력된 제어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III)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k+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의 파라미터로서의 상기 산모의 바이탈 사인 및 태아의 바이탈 사인 중 적어도 일부를 참조로 하여 획득된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와 매칭되는 초기 상태를 가지는 상기 제(k+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
  26.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I) 제왕절개시술을 받은 복수의 산모의 참조특성데이터, 상기 복수의 산모를 대상으로 수행한 기존 의사들의 복수의 참조액션정보 및 상기 참조액션정보에 대해 상기 산모의 신체가 반응한 상태에 대응되는 복수의 참조반응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상태에서,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제k 세부 스테이지 -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과정은, 제1 세부 스테이지 내지 제n 세부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k 는 1 이상 (n-1) 이하의 정수임 - 에 대한 컨텐츠로서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할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는 프로세스; (II)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에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제k 액션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 전체특정참조액션정보 중 상기 제k 액션정보와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k 액션정보에 대응되는 제k 반응정보로서 상기 제k 부분특정참조반응정보를 포함하는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를 제공하는 프로세스; 및 (III) 상기 제k_2 부분 가상컨텐츠의 결과 상태에 대응되도록 제(k+1)_1 부분 가상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제k+1 액션정보를 입력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되,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상기 제k_1 부분 가상컨텐츠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에 없는 경우, 상기 특정 산모 유형의 파라미터로서의 산모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로서의 산모의 나이, 인종, 초산의 나이, 제왕절개시술 이력 여부, 키, 몸무게, 병력, 태아의 자세, 진통의 패턴, 양수의 상태 중 적어도 일부의 비교를 통해 특성데이터 유사도가 임계 유사도 이상인 적어도 제1 유사 산모 유형 및 제2 유사 산모 유형을 선정하고, 상기 제1 유사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_1 부분 가상컨텐츠 및 이에 대한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3_1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유사 산모 유형에 대응되는 제k_1_2 부분 가상컨텐츠 및 이에 대한 상기 참조특성데이터의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3_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특이 유형인 상기 특정 산모 유형에 대한 상기 제왕절개시술의 학습을 상기 제k_1_1 부분 가상컨텐츠 및 상기 제k_1_2 부분 가상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컨텐츠 제공 장치.
KR1020220079311A 2022-06-28 2022-06-28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516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311A KR102516855B1 (ko) 2022-06-28 2022-06-28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311A KR102516855B1 (ko) 2022-06-28 2022-06-28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855B1 true KR102516855B1 (ko) 2023-03-31

Family

ID=86005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311A KR102516855B1 (ko) 2022-06-28 2022-06-28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85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425A (ko) * 2015-01-27 2016-08-0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수술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9512795A (ja) * 2016-03-16 2019-05-1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類似するプロファイルを持つ患者を共に分類する分類モデルの性能を改善するための適合性フィードバック
KR20200081540A (ko) * 2018-12-27 2020-07-08 주식회사 홀로웍스 가상현실 기반의 정형외과 시뮬레이터의 수술 평가 시스템
JP2020182848A (ja) * 2019-05-06 2020-11-12 バイオセンス・ウエブスター・(イスラエル)・リミテッドBiosense Webster (Israel), Ltd. 心臓アブレーション処置を改善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10028370A (ko) * 2019-09-04 2021-03-12 메디팜소프트(주) 가상현실 기반 지능형 표준화환자 훈련 및 평가 시스템
KR20210117650A (ko)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지360 교육 및 실습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가상현실(vr) 3차원 입체 콘텐츠 기반 인터랙티브 기술교육의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425A (ko) * 2015-01-27 2016-08-0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수술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9512795A (ja) * 2016-03-16 2019-05-1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類似するプロファイルを持つ患者を共に分類する分類モデルの性能を改善するための適合性フィードバック
KR20200081540A (ko) * 2018-12-27 2020-07-08 주식회사 홀로웍스 가상현실 기반의 정형외과 시뮬레이터의 수술 평가 시스템
JP2020182848A (ja) * 2019-05-06 2020-11-12 バイオセンス・ウエブスター・(イスラエル)・リミテッドBiosense Webster (Israel), Ltd. 心臓アブレーション処置を改善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10028370A (ko) * 2019-09-04 2021-03-12 메디팜소프트(주) 가상현실 기반 지능형 표준화환자 훈련 및 평가 시스템
KR20210117650A (ko)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지360 교육 및 실습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가상현실(vr) 3차원 입체 콘텐츠 기반 인터랙티브 기술교육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08450A1 (en) Surgical simulator providing labeled data
Basdogan et al. VR-based simulators for training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10026328B2 (en) Dynamic differential diagnosis training and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condition determination
EP0933750A1 (en) Personal patient simulation
CN106844351A (zh) 一种面向多数据源的医疗机构组织类实体识别方法及装置
CN108961885A (zh) 用模拟机器病人进行医疗培训和考试的方法
Tai et al. Intelligent intraoperative haptic-AR navigation for COVID-19 lung biopsy using deep hybrid model
CN116869651A (zh) 提供基于虚拟现实的手术模拟的装置及方法
Perez-Gutierrez et al. Immersive and non-immersive v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simulation f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KR102516855B1 (ko)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왕절개시술용 적응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JPH05257418A (ja) 医療診断教育支援方法及び装置
Nakao et al. Transferring bioelasticity knowledge through haptic interaction
Coles et al. Haptic palpation for the femoral pulse in virtual interventional radiology
CN111863254B (zh) 基于模拟病人的问诊查体评价方法、系统及设备
CN114676236A (zh) 结构化临床思维训练方法、系统、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Tzafestas et al. Pilot evaluation study of a virtual paracentesis simulator for skill training and assessment: The beneficial effect of haptic display
Pereira et al. Digital auscultation: challenges and perspectives
Azhar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in Surgical Education and Train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CN111403042A (zh) 基于ai的虚拟标准病人模拟系统
Hon Medical reality and virtual reality
KR102628325B1 (ko) POI 정의 및 Phase 인식 기반의 실제 수술 영상과 3D 기반의 가상 모의 수술 영상을 정합하는 장치 및 방법
US202300756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physical exam on xr-based simulated patients
Holbrey Virtual suturing for training in vascular surgery
Tzafestas et al. Paracentesis modeling and VR-based interactive simulation with haptic display for clinical skill training and assessment
Tzafestas et al. Haptic interaction in VR-based paracentesis simulation for dexterity enhancement and assess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