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357B1 - 효율적인 서브 픽처 추출 - Google Patents

효율적인 서브 픽처 추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357B1
KR102515357B1 KR1020207024113A KR20207024113A KR102515357B1 KR 102515357 B1 KR102515357 B1 KR 102515357B1 KR 1020207024113 A KR1020207024113 A KR 1020207024113A KR 20207024113 A KR20207024113 A KR 20207024113A KR 102515357 B1 KR102515357 B1 KR 102515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segment
data stream
encoded
start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0415A (ko
Inventor
로베르트 스쿠핀
코르넬리우스 헤르게
발레리 게오르게
토마스 쉬를
야고 산체스 데 라 푸엔테
카르스텐 쉬링
토마스 비간트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riority to KR1020237010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4333A/ko
Publication of KR20200110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56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adapting media to device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slice, e.g. a line of blocks or a group of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video data packet, e.g. a network abstraction layer [NA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mpressed domain processing techniques other than decoding, e.g. modification of transform coefficients, variable length coding [VLC] data or run-length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1Entropy coding, e.g. variable length coding [VLC] or arithmetic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서브 픽처 추출은 코딩 경로가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시작 위치에 대해 코딩 슬라이스를 따라 픽처가 각각의 슬라이스로 인코딩된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위치 정보를 각각의 슬라이스에 제공함으로써 덜 복잡하게 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서브 픽처 추출 프로세스는 다중 레이어 데이터 스트림에서 하나의 레이어를 선택하는 것처럼 처리된다.

Description

효율적인 서브 픽처 추출
본 출원은 효율적인 서브 픽처 추출을 위한 개념에 관한 것이다.
서브 픽처 추출은 비디오 픽처로 인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이 서브 인코딩 영역에 맞게 재인코딩될 필요가 없는 프로세스이다. 예를 들어, HEVC DAM3 MCTS 추출은 서로 독립적으로 코딩된 타일들로 픽처들을 끊임없이 세분화하고, 모션 보상 예측조차도 타일 세트 경계를 넘지 않도록 제한되는 것과 관련하여 타일을 타일 세트로 그룹화함으로써, 모션 보상 예측 및 잔차 코딩에 관한 한 재인코딩할 필요 없이 원래의 풀 픽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서브 픽처 특정 데이터 스트림을 추출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 MCTS 추출은 반송 슬라이스 헤더의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를 조정하기 위해 슬라이스 데이터를 반송하는 각각의 NAL 유닛의 조정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서브 픽처 추출 프로세스가 공지되어 있지만, 관련된 작업의 복잡성을 감소시키는 개념을 갖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브 픽처 추출을 덜 복잡하게 하는 개념에 따라 데이터 스트림, 디코더, 및/또는 인코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 출원의 독립 청구항의 주제에 의해 달성된다.
본 출원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서브 픽처 추출은 코딩 경로가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시작 위치에 대해 코딩 슬라이스를 따라 픽처가 각각의 슬라이스로 인코딩된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위치 정보를 각각의 슬라이스에 제공함으로써 덜 복잡하게 된다. 픽처는 코딩 경로에 의해 순차적으로 세그먼트별로 세분화되며, 세그먼트마다 세그먼트의 일부 또는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가 완전히 인코딩된 세그먼트로 분할되며, 여기서 픽처는 코딩 상호 의존성이 없이 세그먼트로 인코딩된다. 픽처는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 단위로 코딩 경로를 따라 데이터 스트림으로 코딩된다. 또한, 각각의 슬라이스는 시작 위치가 있는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시작 위치 정보 및 세그먼트 정보는 함께, 각각의 슬라이스의 시작 위치가 어느 세그먼트 내에 있는지, 그리고 이 세그먼트 내의 어디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코딩 상호 의존성이 없이 인코딩된 세그먼트로 인해, 다른 세그먼트의 디코딩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서 하나의 세그먼트에 관한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픽처의 세그먼트가 세그먼트를 섞거나 재배열하거나 픽처의 일부를 버리고, 버려지지 않은 슬라이스를 여전히 올바른 세그먼트로 채택하고, 각각의 세그먼트 내에서 각각의 슬라이스의 시작 위치의 정확한 위치를 나타내는 상대 위치 표시로 인해, 새로운 서브 픽처를 컴파일하는 데 사용되더라도, 서브 픽처를 형성하는 세그먼트가 인코딩되지 않은 슬라이스를 버림으로써 원래의 데이터 스트림에 기초하여 각각의 서브 픽처 특정 데이터 스트림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출원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데이터 스트림은 세그먼트의 재 배열 및/또는 서브 픽처 데이터스트림의 일부 세그먼트의 생략에도 불구하고 시작 위치 정보 및 세그먼트 정보를 수정할 필요 없이 용이한 서브 픽처 추출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해서, 서브 픽처 추출 프로세스는 추출될 서브 픽처에 포함된 임의의 세그먼트에 관련되지 않은 슬라이스를 단순히 남기거나 버릴 기회를 가짐으로써 그리고 시작 위치 정보를 수정하지 않고 나머지 슬라이스를 채택하여 용이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작 위치 정보는 가변 길이 코딩된 시작 주소 구문 요소를 포함한다. 서브 픽처 추출 동안 시작 위치 정보가 어쨌든 반전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서브 길이 추출 동안 가변 길이 코딩이 페널티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스트림은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에 의해 세그먼트의 시작 위치에 대해, 또는 코딩 경로가 픽처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픽처 개시 위치에 대해 절대적으로, 각각의 슬라이스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위치 정보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이 옵션에 따르면, 지금까지 절대 시작 위치 표시를 사용하는 기존의 코덱은 여기에서 논의된 상대 위치 표시를 이용하기 위해 확장될 수 있다. 디코더는 시작 위치 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두 가지 유형의 시작 위치 표시 또는 그 중 하나만 이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스트림은 픽처 세그먼트 위치에 대한 코딩 경로를 따라 개시 위치를 어드레싱하는 각각의 세그먼트의 개시 위치의 베이스 주소를 각각의 세그먼트에 대해 정의하는 베이스 주소 데이터 필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베이스 주소의 전달은 그 자체로 세그먼트들로의 픽처의 세분화에 기초하여 베이스 주소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 오버헤드를 재사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그먼트 정보는 그에 인코딩된 세그먼트 인덱스를 갖는 세그먼트 구문 요소를 포함하고,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인덱싱한다. 구문 요소는 고정 길이 코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될 수 있다. 데이터스트림은 세그먼트 인덱스 값과 각각의 세그먼트의 연관을 정의하는 인덱스 데이터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인덱스 데이터 필드는 태그들, 즉 세그먼트 인덱스 값들을 세그먼트들과 명시적으로 연관시킬 수 있고, 슬라이스의 세그먼트 정보는 각각의 슬라이스의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와 관련된 태그 또는 세그먼트 인덱스 값으로 설정된다. 이 태깅은 서브 픽처 추출 동안 쉽게 수정될 수 있다.
제1 양태와 결합될 수 있는 본 출원의 다른 양태은 멀티-계층 데이터 스트림에서 하나의 층을 선택하는 것과 유사한 서브 픽처 추출 프로세스를 처리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서브 픽처 추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제2 양태에 따르면, 추출 가능한 데이터스트림은 데이터스트림의 픽처의 크기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세트 및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 픽처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1 디코더 능력 레벨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및 이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에 대해, 추출된 버전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서브 픽처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감소된 픽처 크기 및 제2 디코더 능력 레벨의 표시를 포함한다. 이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은 완전한 픽처에 대응하는 상위 계층에 대한 서브 계층처럼 취급된다: 데이터스트림의 추출된 버전은 서브 픽처가 구성되는 세그먼트 클러스터에 공간적으로 오프셋된 인코딩된 세그먼트를 갖는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 슬라이스를 제거하거나 버림으로써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 생성된다. 슬라이스는 제1 양태와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시작 위치 정보 및 세그먼트 정보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슬라이스가 각각의 슬라이스가 커버하는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를 포함한다면 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양태에 따르면, 서브 픽처 추출 프로세스는 다중 계층 데이터스트림의 몇몇 층들 사이의 천이와 유사하며 단지 의도된 계층에 속하지 않는 슬라이스들, 즉 여기서는 추출될 서브 픽처에 포함된 세그먼트를 커버하지 않는 슬라이스들의 생략을 필요로 한다. 추출된 데이터 스트림에 채택될 데이터 스트림의 슬라이스를 "변환"또는 "수정"할 필요는 없다.
유리한 양태는 종속항의 주제이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과 관련하여 하에서 설명되며:
도 1은 서브 픽처 추출 프로세스를 완화시키기 위한 슬라이스들에 대한 상대적인 시작 위치 표시를 사용하는 추출 가능한 데이터 스트림의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도 1은 아직 추출되지 않은 데이터 스트림뿐만 아니라 추출 프로세스 및 추출된 데이터 스트림뿐만 아니라 인코더, 디코더 및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는 참여 엔티티를 도시한다;
도 2는 데이터 슬라이스가 상대 슬라이스 시작 위치 표시와 절대 슬라이스 시작 위치 표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해 데이터스트림의 픽처 및 일부를 도시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HEVC 데이터 스트림의 변형으로서 도 1과 관련하여 제시된 데이터 스트림의 구현을 나타내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도 3의 구현에 사용될 수 있는 파라미터 세트, 여기서는 예시적으로 픽처 파라미터 세트 내에 전달되는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의사 코드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과 관련하여 제공된 구현예와 관련하여 제시된 의사 코드에 사용된 파라미터와 함께 픽처의 개략적인 도면 및 세그먼트로의 분할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3의 구현 예에 따라 슬라이스 헤더로 전달되는 가능한 컨텐츠를 나타내는 의사 코드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3의 코덱 예를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타일링 구문을 나타내는 의사 코드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타일링 구문을 사용하여 파라미터 세트, 여기서는 예시적으로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의 가능한 내용을 나타내는 의사 코드를 도시한다;
도 9는 파라미터 세트, 여기서는 도 7의 타일링 구문을 사용하는 픽처 파라미터 세트의 가능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의사 코드를 도시한다;
도 10은 세그먼트가 하나 이상의 타일의 구성일 수 있다는 점에서도 6과 달리, 도 3의 예를 구현하기 위한 슬라이스 헤더의 컨텐츠의 가능한 컨텐츠를 나타내는 의사 코드를 도시한다;
도 11은 파라미터 세트가 완전한 픽처 디코딩 옵션보다 많지만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해, 픽처 파라미터 세트, 여기서 예시적으로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의 가능한 컨텐츠를 나타내는 의사 코드를 도시한다.
본 출원의 제1 실시예가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1은 서브 픽처 추출(14)에 의해 도출된 데이터스트림(10) 및 서브 픽처 특정 데이터스트림(12)을 도시한다. 데이터스트림(10)은 인코더(16)에 의해 생성되었을 수 있다. 특히, 인코더(16)는 픽처(18)를 데이터스트림(10)으로 인코딩했다. 도 1은 비디오(20)의 하나의 픽처로서 픽처(18)를 도시하지만, 본 출원의 실시예는 비디오 데이터스트림에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오히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픽처 코덱으로 용이하게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다음의 설명은 비디오 코딩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픽처(18)를 데이터스트림(10)으로 인코딩할 시에, 인코더(1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처(18)의 좌측 상단 코너에 위치 될 수 있는 픽처 개시 위치(24)로부터 예를 들어, 비디오의 다른 픽처(20)을 계속 횡단하기 위해 오른쪽 하단과 같은 반대쪽 픽처 코너를 향해 픽처(18)를 횡단하는 코딩 경로(22)를 따르거나 사용한다. 코딩 경로(22)의 준수 또는 사용은 예를 들어, 픽처(18)의 현재 부분을 코딩하기 위한 구문 요소와 같은 인코더(18)에 의해 도출된 샘플 또는 파라미터와 같은 픽처(18)의 공간적으로 인접한 부분의 이용 가능성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인코더(16)는 예측 코딩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코더(16)는 이들 이웃하는 부분이 코딩 경로(22)를 따라 현재 부분보다 우선하는 한, 픽처(18)의 공간적으로 인접한 부분에 기초하여, 샘플 컨텐츠 또는 이를 설명하는 구문 요소와 같은 현재 부분을 예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인코더(16)는 픽처(18)의 이웃 부분들에 기초하여 픽처(18)의 현재 부분을 기술하는 구문 요소를 코딩하기 위한 엔트로피 컨텍스트를 도출하는 것과 같은 현재 부분에 대한 다른 공간 코딩 의존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코더(16)는 픽처(18)가 코딩되는 데이터를 분할 또는 패킷화하기 위해 코딩 경로(22)를 사용한다. 이를 위해, 인코더(16)는 코딩 경로(22)를 따라 코딩된 데이터를 슬라이스들로 세분화한다. 따라서, 픽처(18)의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내부에 인코딩된, 데이터 스트림(10)의 각 슬라이스(26)는 대응하는 부분, 즉 픽처(18)의 슬라이스(28)가 인터리빙 슬라이스(28)없이 순차적으로 코딩 경로(22)에 의해 횡단되는 픽처(18)의 슬라이스(28)를 커버한다. 다시 말해서, 코딩 경로(22)는 픽처(18)가 단지 한 번만 세분화된 각각의 슬라이스(28)를 횡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코더(16)는 픽처(18)를 데이터 스트림(10)으로 코딩함에 있어서, 또한 픽처(18)를 세그먼트(30)로 세분화한다. 도 1은 예시적으로 2x2 어레이로 배열된 4개의 세그먼트(30)로 픽처(18)의 세분화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그러나, 세그먼트 수는 중요하지 않으며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세그먼트(30)에서 픽처(18)의 세분은 세그먼트(30)가 행과 열로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픽처(18)를 세그먼트(30)로 세분화하는 것은 세그먼트(30)가 하나의 세그먼트 행 내의 세그먼트가 동일한 높이이고, 하나의 세그먼트 열 내의 세그먼트가 동일한 폭을 갖는 픽처(18)를 갭없이(gaplessly)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그러나, 직사각형 세그먼트(30)는 세그먼트 열 및/또는 세그먼트 행이 각각 폭과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크기가 변할 수 있다. 픽처(18)의 세그먼트(30) 로의 세분화의 준수는 코딩 상호 의존성에 관련될 수 있다: 인코더(16)는 코딩 상호 의존성이 세그먼트 경계를 가로지르지 않는 방식으로 픽처(18)를 데이터 스트림(10)으로 인코딩한다. 이를 위해, 픽처(18)의 세그먼트(30) 내의 어떤 부분도 이 세그먼트 외부의 픽처(18)의 일부에 의존하여 코딩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인코더(16)는 서로 독립적인 세그먼트(30)를 인코딩한다. 한편으로 슬라이스(28)와 다른 한편으로 세그먼트(30) 사이의 관계에 관한 한, 슬라이스(28)는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30)를 완전히 커버하거나 단지 하나의 세그먼트(30) 내에만 있다.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도 1은 각각의 세그먼트(30)가 2개의 슬라이스(28)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한다. 이는 코딩 경로(22)가 순차적으로 세그먼트(30)를 가로지르는 것을 의미하며, 즉 코딩 경로(30)가 다음 세그먼트(30)를 코딩 순서로 횡단하기 전에 각각의 세그먼트(30)가 코딩 경로(22)에 의해 완전히 횡단된다.
따라서, 인코더(16)는 슬라이스(28)의 단위로 픽처(18)를 데이터 스트림(10)으로 인코딩한다. 따라서, 데이터 스트림(10) 내의 각 슬라이스(26)는 그에 인코딩된 대응하는 픽처 슬라이스(28)를 갖는다. 각각의 슬라이스(26)는 예를 들어, 인트라 또는 인터 코딩 모드, 인트라 예측된 블록들에 대한 모션 파라미터들, 인트라 예측된 블록들에 대한 인트라 예측 서브 모드들, 픽처(18)를 블록들로 세분하기 위한 세분 정보를 구별하는 예측 모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예측 파라미터, 및 예측 잔차를 나타내는 변환 계수와 같은 잔차 데이터의 형태로 픽처(18)의 대응하는 슬라이스 부분(28)의 컨텐츠를 인코딩하는 페이로드 데이터(32)를 포함한다.
슬라이스들(26) 슬라이스 헤더들(34) 및 그 구성 요소들 또는 구문 요소들의 각각의 설명을 진행하기 전에, 인코더(16)가 픽처(18)를 데이터 스트림(10)으로 코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 간략하게 계속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그먼트(30)는 서로 독립적으로 코딩된 세그먼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설명은 픽처(18)의 인코딩에만 초점을 두었다. 그러나, 픽처(18)가 비디오(20)의 픽처인 경우, 인코더(16)는 비디오(20)의 픽처 시퀀스에 대해 픽처의 세분을 세그먼트(30)로 채택하고, 즉 동일한 방식으로 픽처 시퀀스의 픽처를 세분화한다, 즉 다른 픽처는 동일한 수의 세그먼트들(30) 및 동일한 크기의 세그먼트들(30)은 세그먼트 경계들이 픽처들 사이에서 공간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픽처(18)에 대한 선행 및 후속 픽처가 픽처(18)와 동일한 방식으로, 즉 4개의 세그먼트(30)로 세분되는 것으로 도시되는 도 1에 도시된 상황이다. 하나의 픽처 내에서 코딩 세그먼트들(30)의 상호 독립성에 부가하여, 인코더(16)는 픽처(18)의 그러한 각각의 세그먼트(30)의 인코딩이 픽처의 각각의 세그먼트(18)에 배치된 세그먼트에 외부 또는 공간적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참조 픽처라고 하는 다른 픽처의 부분들에 의존하지 않는 방식으로 픽처(18)의 각각의 세그먼트를 인코딩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디오(20)의 픽처 시퀀스 내에서 픽처의 공존된 세그먼트(30)는 인코더(16)가 이들 픽처의 다른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된 시공간 영역과 독립적으로 인코딩을 수행하는 비디오(20) 내에 시공간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된 인터 예측, 즉 모션 보상된 예측은 모션 벡터를 통해, 현재 블록이 위치하는 세그먼트에 배치된 참조 픽처의 세그먼트 외부에 있는 참조 픽처의 일부로, 인터 예측을 사용하여 코딩된 픽처(18)의 세그먼트들(30) 중 하나 내의 블록이 참조하지 않는 방식으로 제한될 것이다. 오히려, 예를 들어, 인코더(16)는 대신에 그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선택할 것이다.
또한,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슬라이스(26) 슬라이스 헤더(34)에 더하여, 데이터 스트림(10)은 이하에서 파라미터 세트라 불리는 상위 레벨 코딩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추가 정보를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파라미터 세트(36)는 데이터스트림(10)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범위의 관점에서 계층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파라미터 세트(36)의 상이한 부분은 상이한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부 코딩 파라미터는 픽처(18)과 같은 하나의 픽처에만 유효할 수 있고, 다른 코딩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픽처(18)를 포함하는 픽처 시퀀스에 유효한 코딩 파라미터를 나타낼 수 있고, 심지어 다른 것들은 전체 비디오에 대해 참일 수 있다(20). 파라미터 세트(36)에 정의된 코딩 파라미터는 또한 다음에서 논의되어 당분간 간단한 논의로 충분할 수 있다: 파라미터 세트(36)에 포함된 코딩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비디오(20)의 픽처의 픽처 크기, 픽처(30)로의 세분화, 데이터 스트림(10) 및/또는 디코딩 타임 스탬프로부터 코딩된 픽처 버퍼 검색 시간으로부터 각각 픽처(18) 및 비디오(20)를 디코딩하기 위해 요구되는 디코더 능력 레벨의 표시, 및/또는 데이터스트림(10) 디코딩에 사용될 버퍼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세부 사항 외에도, 인코더(16)는 픽처(18)와 같은 하나의 픽처에 관한 데이터스트림(10)에 포함된 슬라이스(26)가 비디오(20)의 다른 픽처에 속하는 데이터스트림(10)의 다른 슬라이스(26)와 인터리빙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스트림(10)을 형성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오히려, 이들은 소위 액세스 유닛(36)인 데이터스트림(10)의 인접한 부분을 형성한다. 따라서, 액세스 유닛(36)은 픽처(18)와 같은 하나의 픽처에 관한 슬라이스(26)를 요약한다. 하나의 액세스 유닛(36) 내에, 슬라이스(26) 외에 다른 데이터, 예를 들어 파라미터 세트(36)의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액세스 유닛(36) 내의 데이터는 데이터 스트림(10) 내의 데이터 순서의 감시에 기초하여 순서에 대한 소정의 미리 결정된 순서 또는 처방을 준수할 수 있으며, 디코더(38)와 같은 데이터스트림(10)의 수신자는 데이터 스트림(10)에서 다음 액세스 유닛의 시작을 인식할 수 있다. 하나의 액세스 유닛(36) 내의 슬라이스들(26)조차도 코딩 경로(22)가 픽처(18) 내의 대응하는 슬라이스들(28)을 횡단하는 순서에 따라 상호 정렬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10)의 코딩을 위한 일반적인 프레임워크를 기술한 후에, 설명은 슬라이스 헤더(34) 및 그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진행된다. 특히, 인코더(16)는 픽처(18)가 코딩 경로(22)를 따라 각각의 슬라이스 헤더(34)를 포함하는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40)를 나타내는 시작 위치 정보를 각각의 슬라이스 헤더(34)에 제공한다. 시작 위치(40)에 대한 지식은 디코더(38)가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된 픽처 컨텐츠, 즉 픽처(18)에 관한 임의의 선행 슬라이스가 슬라이스에 관한 경우라도 픽처(18)의 대응 슬라이스 부분(28)에 속하는 픽처 컨텐츠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코딩 경로(22)를 따라 선행하는 부분(28)은 데이터스트림(10)에서 누락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시작 위치 정보(42)는 코딩 경로(22)가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44)에 대해 시작 위치 정보(42)가 포함된 슬라이스 헤더(34) 내에서 슬라이스(26)의 시작 위치(40)를 나타낸다. 세그먼트(30)의 시작 위치(40)는 예시적으로 도 1의 화살표(46)로 표시된 바와 같이 위치된다. 시작 위치(40)의 상대 표시는 아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서브 픽처 추출(14)을 완화시킨다.
시작 위치 정보(42)에 의한 시작 위치(40)의 관련 표시 및 관련 모호성을 보상하기 위해, 슬라이스 헤더(34)는 세그먼트 정보(48)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이는 세그먼트(30)가 세그먼트 정보(48)가 속하는 슬라이스(26)의 시작 위치(40)가 있음을 표시한다. 도 1의 예에서, 예를 들어, 시작 위치(40)가 화살표(46)에 의해 지시된 슬라이스(28)는 도 1의 대문자 "B"에 의해 인덱싱된 세그먼트(30) 내에 위치되고, 따라서 세그먼트 정보 그 슬라이스의 48은 이 슬라이스(26)가 세그먼트 B에 속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시작 위치 정보(42) 및 세그먼트 정보(48)는 픽처(18) 내의 시작 위치(40)의 절대 위치, 즉 원점에 대한 상대 위치 또는 시작 위치(40), 즉 픽처 개시 위치(24)를 결정하기에 충분하다.
데이터스트림(10)을 수신하는 디코더(38)는 데이터스트림(10)으로부터 각각의 슬라이스(26)의 시작 위치 정보(42)를 디코딩하고,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하여 시작 위치(40)가 위치하는 세그먼트의 개시 위치(44)에 대한 각각의 슬라이스의 시작 위치(40)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디코더(38)는 각각의 슬라이스(26)의 대응하는 세그먼트 정보(48)를 데이터스트림(10)으로부터 디코딩하여, 디코더(38)는 시작 위치 정보(42)가 시작 위치(40)를 나타내는 것에 대해 개시 위치(44)가 속하는 세그먼트(30)에 대해 알도록 한다. 따라서, 디코더(38)는 픽처(18)를 세그먼트(30)로 세분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세트(36)에 기초하여 개시 위치(44)를 위치시킬 수 있고, 따라서 시작 위치(40)의 상대 위치 표시를 개시 위치(44), 개시 위치(44)의 개시 위치(44)의 위치와 함께, 시작 위치(24)에 대한 시작 위치(40)의 시작 위치(40)의 절대 위치가 조합된다. 디코더(38)에 대한 계산 오버헤드를 완화시키기 위해, 아래에 더 설명되는 보다 상세한 실시예는 부가적인 향상 정보와 같은 파라미터 세트(36) 또는 데이터스트림(10)의 일부 다른 부분은 디코더(38)가 세그먼트(30) 자체의 개시 위치를 계산하는 대신이 표시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각각의 세그먼트(30)에 대한 개시 위치(44)를 표현 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대응하는 세그먼트(30)의 개시 위치(44)에 대한 시작 위치(40)의 상대 표시는 유리한 환경이라는 것이 이미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것은 이제 더 자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특히, 서브 픽처 추출 프로세스(14)를 검사할 때 유리한 상황이 명확해진다. 후자의 프로세스는 임의의 엔티티 프로세싱 데이터스트림(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 프로세스는 인코더(16)와 추출된 데이터 스트림(12)을 수신하는 디코더(52) 사이의 송신 경로에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디코더(52)는 디코더(38)와 동일 할 수 있는데, 즉 완전한 또는 원래의 데이터 스트림(10)을 디코딩 할 수 있었거나 추출된 데이터 스트림(12)을 디코딩 할 수 있지만 디코딩 할 수 없는 디코더 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디코더(38) 중 하나보다 낮은 디코더 능력 레벨로 인해 완전한 데이터스트림(10)이 제공된다. 그러나, 추출 프로세스(50)는 또한 디코더(52/38) 자체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추출 프로세스(14)는 픽처(18)과 비교하여 픽처(18)의 세그먼트(30)의 적절한 서브 세트로만 구성되고/되거나, 픽처(18 및 54)의 픽처 영역 내에서 세그먼트(30)의 상호 위치가 각각 다른 픽처(54)이 인코딩된 데이터 스트림(12)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 1은 데이터 스트림(12)의 픽처(54)가 원래의 데이터 스트림(10)의 픽처(18)의 픽처(18)의 4개의 세그먼트(30) 중 하나, 즉 세그먼트 B로 구성된 경우를 도시하지만, 이것은 단지 예일 뿐이며 직사각형의 픽처인 한 픽처(54)의 결과 영역에서, 픽처(54)은 대안적으로 픽처(18)의 세그먼트(30)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놀랍게도, 데이터 스트림(10)에 포함된 슬라이스(26)와 관련하여, 추출 프로세스(14)는 단지 픽처(54)에 포함되지 않은 픽처(18)의 세그먼트(30)에 관한 슬라이스(26)의 버림 또는 생략을 포함하는데 반해, 픽처(44)의 구성에 기여하는 임의의 세그먼트(30)에 속하는 슬라이스(26)는 임의의 수정 없이, 특히 시작 위치 정보(42) 및 세그먼트 정보(48)의 수정 없이 추출된 데이터 스트림(12)에 채택되거나 남아있다. 특히, 시작 위치 정보(42)는 슬라이스(26)의 시작 위치(40)를 나타내기 때문에 시작 위치는 픽처(54)에 기여하는 세그먼트(30)로 떨어지며, 세그먼트의 시작 위치에 대해 표시되며, 이 상대적 표시는 감소된 데이터 스트림(12) 내에서 여전히 정확하다. 또한, 세그먼트 정보(48)는 추출된 데이터 스트림(12)에서 채택된 모든 슬라이스(26)에 대해 대응하는 슬라이스(26)가 어느 세그먼트에 속하는지, 즉 어느 세그먼트 내에 시작 위치가 있는지를 나타낸다. 이 세그먼트 정보(48)는 또한 생략되거나 버려질 슬라이스(26)를 식별하기 위해 추출 프로세스(14)에서 사용되었다.
원본 데이터 스트림(10)과 관련하여 아직 논의되지 않은 추출된 데이터 스트림(12)에 존재하는 유일한 정보는 선택된 세그먼트 세트(30)에 기초하여 추출된 데이터 스트림(12)의 픽처(54)의 수정된 구성과 관련된 코딩 파라미터들이다. 이 주제와 관련하여 몇 가지 가능성이 있다. 제1 대안에 따르면, 추출 프로세스(14)는 전술 한 파라미터 세트(36)의 수정을 포함하여, 추출된 데이터 스트림(12)에서 대응하는 파라미터 세트(36')는 추출된 비디오(56)의 픽처(54)의 수정된 픽처 크기, 픽처(54)의 세그먼트로의 세분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완전한 비디오(20) 또는 픽처(18)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디코더 능력 레벨보다 낮을 수 있는 추출된 데이터 스트림(12)을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디코더 능력 레벨, 및/또는 추출된 데이터 스트림(12)을 디코딩하기 위한 수정된 디코딩 타임 스탬프, 코딩된 픽처 버퍼 검색 시간 및/또는 버퍼 크기를 반영하도록 수정된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시작 위치 정보(42) 내에서 상대 시작 위치 표시를 사용하는 양태는 즉 원래의 데이터 스트림(10)의 파라미터 세트(36)에 두 정보 아이템을 제공함으로써, 추출된 데이터 스트림(12)의 파라미터 세트(36')가 변경되지 않은 채 남겨질 수 있는 본 출원의 양태와 결합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파라미터 세트(36)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전체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모든 코딩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데이터스트림(10 또는 12)으로부터 픽처(54)를 디코딩하기 위해 모든 코딩 파라미터를 동시에 나타낸다. 추출된 데이터 스트림(12) 및 그 픽처(54)와 관련하여 파라미터 세트(36)에 의해 지시된 코딩 파라미터는 데이터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의 디코딩을 위한 파라미터 세트(36)에 의해 지시된 코딩 파라미터에 대해 또는 차분적인 방식으로 파라미터 세트(3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에보다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파라미터 세트(36)는 세그먼트(30)의 크기가 파라미터 세트(36)의이 부분으로부터 명확해지도록 픽처(18)의 세그먼트(30) 로의 세분화를 나타낼 수 있다. 픽처(54)와 관련된 파라미터 세트(36)의 코딩 파라미터는 이 지식에 의존할 수 있고, 픽처(54)에 어떤 세그먼트가 기여하는지, 그리고 픽처(54) 내의 이러한 기여 세그먼트의 상호 배치가 적용되는지를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픽처(18) 내의 개시 위치(44)에 대한 전술한 베이스 주소 표시조차도 추출된 데이터스트림(12)의 픽처(54)에 대해 데이터 스트림(36)에서 반복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파라미터 세트(36)는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 스트림(10)에 대한 하나의 추출 옵션 또는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을 나타낼뿐만 아니라, 픽처(18)의 세그먼트(30)에 기초하여 픽처(54)의 구성이 다른 여러 옵션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디코더(52)는, 파라미터 세트(36')가 원래의 데이터 스트림(10)에서 파라미터 세트(36)에 대해 변경되지 않은 대안의 경우에, 예를 들어 픽처 디코딩, 즉 디코딩을 나타내는 디코딩 옵션 표시(58)를 수신할 것이며, 픽처(18)의 픽처(18)는 데이터 스트림(12)에서 수행되거나, 서브 픽처 디코딩, 즉 픽처(54)의 디코딩은 데이터 스트림(12)에 대해 수행된다. 비사용 슬라이스(26)가 이미 수행된 추출 프로세스(14)의 일부로서 이미 제거된 경우, 이 디코딩 옵션 표시는 슬라이스가 누락됨에 따라 픽처 디코딩을 반드시 나타내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추출 프로세스(14)는 디코더(52) 자체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디코더(38)와 동일할 수 있음을 기억한다. 이를 위해, 디코더(52)는 완전한 원본 데이터 스트림(10)을 수신한 후, 디코딩 옵션 표시(58)에 기초하여, 사용되지 않은 슬라이스(26) 자체를 스트리핑 오프(stripping-off), 즉 버리는 것과 관련하여 추출 프로세스(14)를 수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디코딩 옵션 표시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외부 신호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코딩 옵션 표시는 디코더(52) 디코더 성능 레벨의 고유 표시일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데이터 스트림(10)의 디코딩 옵션 중 일부가 디코더(52)에 의해 디코딩 가능한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것을 배제한다. 완전한 픽처(18)에 대한 픽처 디코딩이 수행되는 경우, 디코딩은 디코더(38)에 관해 논의된 바와 같이 발생한다.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이 적용되는 경우, 즉 디코더(52)가 데이터 스트림(12)으로부터 픽처(54)를 디코딩하는 경우, 디코딩 프로세스는 다음의 차이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디코더(52)는 이 서브 픽처 디코딩에 대해, 즉 픽처(54)에 대해 파라미터 세트(36')의 코딩 파라미터를 사용할 것이다. 또한, 디코더(52)는 만약 계산이 디코더(52) 자체에 의해 수행된다면, 픽처(54) 내에서 세그먼트(30)의 개시 위치(44)에 대한 상이한 베이스 주소를 계산할 것이다. 상이한 계산 결과는 픽처(54) 내에서의 세그먼트(30)의 차이 배치의 결과이다. 슬라이스의 시작 위치(40)의 상대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위치 정보(42)는 시작 위치 정보(42)에 의해 세그먼트의 개시 위치(44)에 대해 표시된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세그먼트의 개시 위치(44)가 픽처(54) 내의 세그먼트의 배열을 위해 파라미터 세트(36')에 표시된다면, 디코더(52)는 자체 계산 대신, 픽처(54)를 얻기 위해 서브 픽처 디코딩에 특정한 이들 베이스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인바운드 데이터 스트림(10 또는 12일 수 있음)을 디코딩할 때 디코더(38/52)가 어떻게 동작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도 11과 관련하여 설명의 끝에 준비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술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가 설명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데이터 스트림은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 개시 위치(44)에 대한 슬라이스 시작 위치(40)의 상대적 시작 위치 표시(46)와 한편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처 개시 위치(24)에 대한 슬라이스 시작 위치(40)의 절대 시작 위치 표시(62) 사이를 전환하는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60)를 파라미터 세트(36) 내에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다시 말해서, 플래그(60)는 데이터 스트림(10)의 슬라이스(26)에서 시작 위치 표시(42)가 도 1과 관련하여 개략된 방식으로, 즉 세그먼트의 개시 위치(44)에 대한 상대적인 용어로 또는 또는 픽처 개시 위치 24에 대해 절대적으로 시작 위치(40)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시그널링한다. 플래그(16)는 아래에서 더 논의되는 바와 같이 세그먼트 표시(48)의 존재를 스위치-온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상대적 시작 위치 표시(46)의 경우에, 세그먼트 표시(48)는 슬라이스(26)에 존재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설명되는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해질 다른 세부 사항은 슬라이스 위치 표시(42)가 실제로 플래그와 조건부 시그널링된 슬라이스 주소의 조합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상대 표시 옵션(46)의 경우, 시작 위치 정보(42)에 의해 포함된 플래그는 대응하는 슬라이스가 세그먼트에서 제1인지, 즉 시작 위치(40)가 대응하는 세그먼트의 개시 위치(44)와 일치하는지를 나타낼 것이다. 이 경우, 시작 위치 정보(42)는 시작 주소 구문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렇지 않으면, 주소 구문 요소는 대응하는 세그먼트의 개시 위치(44)로부터 슬라이스의 시작 위치(40)를 가리킨다. 절대 표시 옵션(62)의 경우, 시작 위치 정보(42)의 플래그는 대응하는 슬라이스가 픽처 개시 위치(24)에서 시작하는지의 여부, 즉 픽처의 제1 슬라이스인지를 나타내고, 만약 그렇다면, 슬라이스 위치 정보는 주소 구문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렇지 않으면, 주소 구문 요소는 픽처 개시 위치(24)에 대한 각각의 슬라이스의 시작 위치(40)를 나타낸다. 시작 위치 정보(42)로 구성된 방금 언급된 플래그는 절대 표시 모드의 경우 액세스 유닛 경계 검출, 즉 새로운 액세스 유닛(36)의 검출을 위해 디코더(38/5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상대 표시 모드에서 이러한 검출 성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보상하기 위해, 인코더(16)는 연속 액세스 유닛들 사이의 경계에서 액세스 유닛 구분자, 즉 특정 패킷의 배치와 같은 대안적인 액세스 유닛 보어(borer)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디코더는 상대 표시 모드의 경우 이들 구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들에 대한 후속의보다 상세한 설명으로 시작하기 전에 추가의 메모로서, 시작 위치 정보(42)에 의해 시작 위치(40)를 표시하기 위한 다른 가능성들이 존재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픽처(18)는 도 1의 픽처(18)의 왼쪽 상단에 표시된 것처럼 블록 배열로 정기적으로 세분될 수 있다. 코딩 경로(22)는 인터리빙 없이 이들 코딩 블록(64)을 순차적으로 횡단할 수 있는데, 즉 하나의 코딩 블록(64)은 픽처(18)의 다음 코딩 블록(64)으로 진행하기 전에 완전히 횡단된다. 시작 위치 정보(42)는 코딩 경로(22)를 따라 시작 위치(40)까지 횡단된 코딩 블록(64)의 단위로 측정된 위치(42)를 나타낼 수 있다. 상대적으로 표시되는 경우(46), 시작 위치 정보(42)는 코딩 경로(22)를 따라 개시 위치(44) 및 슬라이스 시작 위치(40)를 분리하는 코딩 블록(64)의 수를 표시할 것이다. 절대 표시 옵션(62)의 경우, 시작 위치 정보(42)는 픽처 개시 위치(24)로부터 시작할 때 코딩 경로(22)를 따라 횡단된 코딩 블록(64)의 단위로 시작 위치(40)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경우 시작 위치 표시(42)는 선형을 사용하고, 전술한 세그먼트의 개시 위치(44)의 1차원 어드레싱 도메인 및 베이스 주소는 또한 픽처 개시 위치(24)로부터 시작하여 각각의 세그먼트 개시 위치(44)로 횡단할 때 횡단되는 코딩 블록(64)의 수로 측정될 수 있다. 베이스 주소(44)와 슬라이스 시작 위치(40)의 합산은 시작 위치(24)부터 측정된 절대 주소를 산출할 것이다. 그러나, 시작 위치 정보(42)에 의해 시작 위치(40)를 시그널링하는 대안적인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대응하는 세그먼트 개시 위치(44)에 대한 시작 위치(40)의 상대 위치는 개시 위치(44)로부터 슬라이스 시작 위치(40)를 가리키는 벡터의 x 및 y 좌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성분 x 및 y는 각각 코딩 블록(64)의 샘플 또는 단위로 측정된다. 또한, 어드레싱은 전술한 코딩 블록(64)의 행 방향 선형 어드레싱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데, 즉 세그먼트(30) 로의 세그먼트 화에 관계없이, 픽처 내 다음 행의 제1 코딩 블록에 의해 주소가 증가하기 전에, 픽처(18)의 하나의 완전한 행 내의 코딩 블록의 주소가 서로 뒤 따르는 방식으로 세그먼트(30)로 분할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내부적으로, 디코더들(38 및 52)은 필요에 따라 상이한 주소 시스템들 또는 도메인들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또 다른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세그먼트(30)는 코딩 상호 의존성이 시공간 영역의 경계를 가로지르지 않는 시공간 영역의 가능한 공간적 단면인 것으로 설명되었다. 이들 세그먼트들(30)은 예를 들어, 픽처들(18)이 세분될 수 있고 하나의 픽처(18)의 코딩에 관한 한 서로 독립적으로 코딩되는 하나 이상의 타일들의 세트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세그먼트(30)는 하나의 세그먼트(30)가 하나의 타일로 구성되는 경우에 타일 일 수 있고, 이후에 설명되는 변형 A에서는 이것이 사실이지만, 변형 B는 세그먼트(30)가 하나 이상의 타일로 구성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따르면, 전술 한 코딩 블록(64)은 CTU(코딩 트리 유닛)이며, 이들 블록(64)은 멀티-트리 세분화에 의해 계층 적으로 더 분할된 트리-루트 블록 인 코딩 블록, 예측 블록 및/또는 인코더(16)가 사용될 코딩 모드를 선택하는 단위의 블록, 즉 대응하는 코딩 블록의 인터 또는 인트라 코딩, 대응하는 선택된 코딩 모드의 예측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단위, 즉 각각의 예측 블록에 대해 코딩 블록의 이탈 노드, 및 예측 잔차의 변환이 발생하는 단위, 즉 코딩 블록의 블록을 남겨 두는 변환 블록의 단위로의 변환을 의미한다. CTU(64)의 코딩 단위, 예측 블록 및 변환 블록으로의 세분화는 대응하는 슬라이스 페이로드(32)의 일부로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의 구현이 HEVC 프레임워크의 가능한 수정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본 출원의 명세서의 서론 부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HEVC DAM3 MCTS 추출에서, 각 슬라이스 헤더의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며, 이는 슬라이스 주소의 가변 길이 코딩으로 인해 각각의 슬라이스 헤더의 바이트 정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HEVC DAM3 MCTS를 사용하는 경우 MCTS 추출 데이터스트림에 채택된 슬라이스의 슬라이스 주소는 절대 표시 옵션으로 인해 수정되어야 하는데, 즉 픽처(54)의 새로운 픽처 개시 위치를 참조하도록 수정되어야 하고, 이는 가변 길이 코딩으로 인해 슬라이스 주소의 길이가 다르고 따라서 바이트 정렬이 달라질 수 있다. 이후에 설명된 HEVC 프레임워크의 수정은 이를 극복할 것이다. 특히, 슬라이스/세그먼트와 타일/세그먼트의 내재적 또는 명시적 연관으로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의 일부를 시그널링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MCTS 서브 스트림 추출 결과가 얻어진다.
이하에서, HEVC 프레임워크의 변형의 제1 변형, 변형 A가 설명된다. 도 1과 관련하여 전술 한 바와 같이, 이 변형에 따르면,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는 각각의 타일 또는 타일의 조성의 제1 CTU, 즉 픽처의 제1 CTU에 대한 신호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와 반대로 현재 세그먼트(30)에 대해 시그널링된다. "제1"은 HEVC 코딩 순서를 사용할 때 가장 왼쪽 및 가장 높은 CTU를 의미한다.
2개의 기준, 즉 현재 세그먼트(30)의 제1 CTU 또는 픽처의 제1 CTU 사이의 차이는 파라미터 세트(36 및 36')로부터의 픽처 및 타일 명령 정보를 각각 조합함으로써, 타일(28) 또는 타일 세트 일 수 있는 슬라이스(28/26)를 이 세그먼트(30)에 연관시키는 것에 의해, 디코더, 즉 디코더(38 또는 52)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CTB에서의 세그먼트 크기 및 세그먼트(30)당 슬라이스 주소 오프셋에 관한 정보를 갖는 어레이는 디코더 측에서 결정될 수 있다. 액세스 유닛(36)은 각각 디코더(38 또는 52)에 의해 수행되는 검출을 시작하며, 이 플래그는 제1 슬라이스를 나타내는 절대 표시 옵션(62)의 경우에 시작 위치 정보(42)에 포함된 플래그에 기초하여 수행 될 수 있다 액세스 유닛(36) 및 픽처(18)의 각각은 데이터 스트림(10)에서 액세스 유닛 구분자 NAL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상대 표시 옵션(46)의 경우에 수행될 수 있는데, 즉 데이터스트림(10)에서 연속 액세스 유닛을 분리하는 특수 패킷은 연속 액세스 유닛 사이의 접합을 시그널링하는 데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first_slice_in_pic_flag는 시작 위치 정보(42)로 구성될 수 있고, 타일 또는 타일의 구성일 수 있는 세그먼트(30)의 시작을 나타내는 플래그로 변환될 수 있다.
도 3은 HEVC 명명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실시예의 평면도를 제공한다. 지시된 바와 같이, 파라미터 세트(36)는 범위가 다른 픽처 파라미터 세트(70),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72) 및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74)에 걸쳐 분포된다. 도 3은 단지 데이터스트림(10) 중 일부, 즉 슬라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NALU 헤더(80)를 포함하는 NACL 헤더(80) 및 슬라이스 헤더(34) 및 슬라이스 페이로드(32)로 구성된 대응 슬라이스(26)를 포함하는 2개의 VCL NAL 유닛(76 및 78) 중 일부를 도시한다. 슬라이스 헤더(34)는 화살표(80)로 표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픽처 파라미터 세트(70)를 참조하고, 픽처 파라미터 세트(70)는 차례로 82로 표시된 대응하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및 차례로 84에 의해 지시된 대응하는 유효한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를 가리키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72)를 가리킨다. 파라미터 세트(36)는 예를 들어 픽처 파라미터 세트(70) 또는 이들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72)가 타일링 구문(86), 즉 하나의 대안에 따라 상기 도 1에서 논의된 세그먼트(30)를 형성하는 타일(88)로 픽처(14)의 세분을 정의하는 구문을 포함한다. 따라서, 타일링 구문(86)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디코더가 화살표(90)로 표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94) 및 오프셋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96)의 합산(92)은 시작 위치 정보(42) 및 슬라이스 헤더(34)의 일부로서 전달되어 해당 슬라이스(26)의 해당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98), 즉 픽처 개시 위치(24)에 대해 절대적으로 측정된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를 산출한다. 도 3은 타일(88)의 하나의 타일, 즉 타일 번호 2에 속하는 도 3에 도시된 2개의 슬라이스(26)를 나타내며, 이는 실제로 이 세그먼트 정보(48)에 기초하여 디코더에 대해 슬라이스 헤더(34)에 의해 구성 될 수 있으며, 이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타일링 구조 또는 타일링 구문(86)은 픽처 파라미터 세트(70)에 포함될 수 있다. 타일링 구문(86)이 예를 들어 픽처 파라미터 세트보다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72)에 존재하는 것에 따라 대안적인 실시예도 실현 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라미터 세트(70)의 일부(100)는 픽처(18)를 세그먼트(30), 여기서는 타일로 세분화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세그먼트 열의 수는 102로 표시되고, 세그먼트 행의 수는 104로 표시되며, 플래그(106)는 선택적으로 세그먼트 열의 폭과 세그먼트 행의 높이가 균일하게 설정되었다는 신호를 신호 스트림에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존재하지 않거나, 플래그(106)가 설정되지 않으면, 세그먼트 열의 폭은 개별적으로 108로 표시되고 세그먼트 행의 높이는 개별적으로 110으로 표시된다.
또한, 플래그 slice_segment_base_addr_per_tile_enable_flag(112)가, 즉 114에서 픽처(18)의 세그먼트 i 30당 세그먼트 인덱스 값 tile_id_in_pps[i]를 명시적으로 시그널링함으로써 설정된 경우, 세그먼트의 명시적인 태깅이 제공된다. 세그먼트 인덱스는 도 1의 116에서 점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행 단위와 같은 세그먼트의 규칙적인 어레이(30) 중 기본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스트림, 즉 파라미터 세트(70)에서 전달된다.
도 4의 구문 요소의 시맨틱(semantic)은 아래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slice_segment_base_addr_per_tile_enable_flag가 0과 같다는 것은 슬라이스 세그먼트의 변수 CtbAddrInRs가 slice_segment_address에서만 파생됨을 지정한다. slice_segment_base_addr_per_tile_enable_flag가 1과 같다는 것은 CtbAddrInRs의 파생이 slice_segment_address 및 타일 종속 베이스 주소를 기반으로 함을 지정한다. slice_segment_base_addr_per_tile_enable_flag가 없으면 0과 같은 것으로 추론된다.
tile_id_in_pps[i]는 비트스트림 순서로 타일 ID를 지정한다. tile_id_in_pps[i]의 값은 0-255 범위에 있어야 하며, tile_id_in_pps[i]는 j와 같지 않은 경우 tile_id_in_pps[j]와 동일한 값을 가져서는 안 된다. tile_id_in_pps가 없으면, 0과 같은 것으로 추론된다.
slice_segment_base_addr_per_tile_enable_flag가 1일 때 액세스 단위 구분 기호 NAL 단위가 비트스트림에 있고 tiles_fixed_structure_flag가 인 것이 비트 스트림 적합성의 제약 일 수 있다.
다음의 의사 코드는 디코더(38 또는 52)와 같은 디코더가 예를 들어 데이터 스트림에서 이용 가능한 정보에 기초하여 세그먼트(30)의 특정 치수 및 세그먼트(30)의 베이스 주소를 어떻게 계산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다음은 코딩 트리 블록 래스터 및 타일 스캐닝 변환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코딩 트리 블록(CTB) 단위로 i번째 타일 열의 폭을 지정하는 0에서 num_tile_columns_minus1까지의 i에 대한 colWidth[i] 목록은 다음과 같이 도출된다(의사 코드 1):
Figure 112020087876248-pct00001
colWidth[i] 코딩 트리 블록 CTB에서 측정된 열 0…num_tile_columns_minus1 중 i번째 세그먼트 열의 폭이다.
num_tile_columns_minus1 숫자 세그먼트 열에서 1을 뺀 값이다.
CTB 단위로 j번째 타일 행의 높이를 지정하여 0에서 num_tile_rows_minus1까지의 j에 대한 rowHeight[j] 목록은 다음과 같이 도출된다(의사 코드 2):
Figure 112020087876248-pct00002
rowHeight[i] 코딩 트리 블록 CTB(64)에서 측정된 행 0…num_tile_rows_minus1 중 i번째 세그먼트 행의 높이이다.
num_tile_rows_minus1 숫자 세그먼트 행에서 1을 뺀 값이다.
타일 스캔의 CTB 주소에서 타일 ID로의 변환을 지정하는 0에서 PicSizeInCtbsY-1 사이의 ctbAddrT에 대한 TileId[ctbAddrTs] 목록은 다음과 같이 도출된다(의사 코드 3):
Figure 112020087876248-pct00003
tileIdxTileIdMap[] 벡터 tile_id_in_pps[]에 포함된 N 세그먼트 인덱스 값을 해당 세그먼트의 tileIdx에 매핑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tile_id_in_pps[] 0 내지 N-1의 엔트리를 포함하는 벡터이고, N은 세그먼트(30)의 개수이고, i번째 엔트리는 래스터 스캔 세그먼트 순서(116)에서 i번째 세그먼트와 관련된 세그먼트 인덱스 값을 나타낸다.
tileIdx 래스터 스캔 세그먼트 순서(116)에서 세그먼트(30)를 인덱싱한다.
TileId[i] 코딩 순서로, 또는 코딩 경로(22)를 따라 측정된 CTB 주소 i, 즉 블록(64)의 주소를 이 CTB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9)의 tileIdx에 매핑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CtbAddrRsToTs[i] 픽처(18)의 블록(64)을 통해 행 방향으로 픽처 래스터 스캔 순서로 픽처 래스터 스캔 순서에서 픽처(18)의 i번째 블록(64)인 블록(64)의 랭크 i를 코딩 순서(22)로 측정된 주소에 매핑하는 함수이다.
colBd[i] 엔트리 0… N을 포함하는 벡터이며, N은 숫자 세그먼트 열에서 1을 뺀 값이고, i번째 엔트리(i<N)는 블록 64에서 측정된 i번째 N의 왼쪽 위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세그먼트 열을 나타내고, N번째 엔트리는 블록 수로 픽처 폭을 나타낸다.
지금까지 의사 코드에서 사용된 모든 파라미터는, 풀 픽처 디코딩의 경우에, 즉 픽처(18)와 관련하여 베이스 주소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베이스 주소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서브 픽처(54)에서의 세그먼트의 시작 위치도 역시 마찬가지임에 유의한다. 여기서, 폭 N, colWidth[i], num_tile_columns_minus1, rowHeight[i], num_tile_rows_minus1, tileIdxTileIdMap[], tile_id_in_pps[], CtbAddrRsToTs[i], colBd[i]은 세그먼트(30)에 의한 이 서브 픽처(54) 및 그 구성 및 그에 대응하는 블록(64)으로의 세분에 대해 특정적이다. 유사하게, 코딩 경로(22) 및 래스터 스캔 세그먼트 순서(116)에 대한 모든 참조는 각각의 서브 픽처에 적용된다. tileIdxTileIdMap[]은 한편으로는 tile_id_in_pps[] 중 하나를 가정하는 세그먼트 인덱스 값 tile_id_in_sh,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서브 픽처(54)의 세그먼트 및 래스터 스캔 세그먼트 순서(116)에서의 인덱스, 즉 tileIdx 사이의 연결 유지를 보장한다. 참고로, 구문 요소 접미사 "_pps"는 PPS에서 세그먼트 인덱스 값을 세그먼트 연관으로 전달하는 예를 반영하기 위해 여기에서 선택되었지만,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것은 단지 예를 들어 신호화는 SPS 또는 VPS와 같은 다른 곳에서도 실현될 수 있다. 후자의 설명에 따라, 대안적으로, 접미사 "_ps"가 사용되었고 대응하는 대체물이 본 실시예에도 당연히 적용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다음 예는 타일과 세그먼트 사이의 1:1 대응이 포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또한 도 1과 관련하여 이미 개괄되었다. 따라서, 대응하는 후속 실시예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대신 명칭 영역 "영역" 또는 "영역_"또는 "_영역"을 사용한다. 또한, 도 1의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들에 태그들 또는 세그먼트 인덱스 값들의 명시적 할당은 세그먼트 정보(48)의 세그먼트 인덱스 값들과 세그먼트들 내의 세그먼트들 사이의 매핑을 유도함으로써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남겨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덱스 도메인 tileIdx를 사용하는 등의 암시적으로 서브 픽처(54)는 그 대신에 픽처(18)에 대한 파라미터 세트(36)에서 이러한 연관의 전송이 중단될 수 있고, 픽처(18)의 세그먼트(30)에 대한 값은 2개의 개별 데이터 스트림의 타일의 혼합을 완화시킨다.
CTB 단위로 픽처 내에서 k번째 타일의 크기를 지정하는, 0에서((num_tile_rows_minus1+1)*(num_tile_columns_minus1+1)-1) 범위의 k에 대한 TileSizeInCtbsY[k] 목록은 다음과 같이 도출된다(의사 코드 4):
Figure 112020087876248-pct00004
TileSizeInCtbsY[i] 엔트리 0…N-1을 포함하는 벡터이며, N은 세그먼트 수(30)이고, i번째 엔트리는 래스터 스캔 세그먼트 순서(116)에서 i번째 세그먼트에 포함된 블록(64)의 수를 나타낸다.
k에서 0부터((num_tile_rows_minus1+1)*(num_tile_columns_minus1+1)-1) 범위의 k에 대한 TileSliceSegBaseAddr[k] 목록(k번째 타일의 제1 슬라이스 세그먼트의 타일 스캔에서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오프셋 지정)은 CTB 단위로 비트스트림 순서로 픽처 내에서 다음과 같이 도출된다(의사 코드 5):
Figure 112020087876248-pct00005
TileSliceSegBaseAddr[i] 엔트리 0…N-1을 포함하는 벡터이며, N은 세그먼트 수(30)이고, i번째 엔트리는 래스터 스캔 세그먼트 순서(116)에서 i번째 세그먼트의 개시 위치(44)의 주소를 나타내고, 픽처 개시 위치(24)로부터 세그먼트 개시 위치(44)까지의 코딩 경로를 따라 블록(64)의 수로서 측정된다.
여기서, "타일 스캔"은 도 1에 도시된 스캔(22)을 나타낸다. TileSliceSegBaseAddr은 본 예에 따라 타일과 동일한 세그먼트의 개시 위치(44)의 전술한 베이스 주소를 나타낸다. 상기 표시된 계산은 각각 베이스 주소를 계산하기 위해 디코더(38 및 52)로 사용될 수 있다. 서브 픽처 디코딩이 적용되는 경우, 세그먼트 수 및 그 배열이 조정되어야 한다.
도 6은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즉 전술한 슬라이스 헤더(34)가 어떻게 보일 수 있는지에 대해 도시한다. 특히, 여기서, 슬라이스 헤더(34)는 구문 요소 slice_segment_address(122)와 함께 시작 위치 정보(42)를 형성하는 플래그(120), 즉 first_slice_segment_in_area_flag를 포함한다. 플래그(120)가 설정되지 않으면, slice_segment_address가 존재하고 대응하는 세그먼트/타일(30)의 개시 위치(44)로부터 슬라이스 시작 위치(40)의 오프셋을 나타낸다. 후자는 단지 하나의 구문 요소(124), 즉 도 4의 파라미터 세트(70)에 정의된 값의 도메인 밖의 값, 즉 구문 요소(114)를 가정하는 tile_id_in_sh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정보(48)로 표시된다.
특히, 시맨틱은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first_slice_segment_in_area_flag가 1과 같다는 것은 slice_segment_base_addr_per_tile_enable_flag가 0인 경우 슬라이스 세그먼트는 디코딩 순서에서 픽처의 제1 슬라이스 세그먼트임을 지정한다. 그렇지 않으면, slice_segment_base_addr_per_tile_enable_flag가 1인 경우, first_slice_segment_in_area_flag가 1과 같은 경우, 슬라이스 세그먼트가 디코딩 순서에서 픽처 타일의 제1 슬라이스 세그먼트임을 지정한다. first_slice_segment_in_pic_flag가 0과 같다는 것은 슬라이스 세그먼트는 디코딩 순서에서 각각 픽처의 제1 슬라이스 세그먼트가 아니고 디코딩 순서에서 타일임을 지정한다. 따라서, slice_segment_base_addr_per_tile_enable_flag는 도 2와 관련하여 논의된 플래그(60)에 대한 예로서 작용한다.
주 1 - 이 구문 요소는 디코딩 순서에서 연속적인 코딩된 픽처들 사이의 경계를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IDR 픽처들이 디코딩 순서에서 연속적이고 동일한 NAL 유닛 타입을 갖는 경우, IDR 픽처의 제1 슬라이스의 손실은 코딩된 픽처들 사이의 경계의 검출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에서 모든 인트라 코딩된 비디오를 송신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이 문제는 연속된 두 개의 IDR 픽처에 대해 두 개의 서로 다른 IDR NAL 유닛 유형(IDR_W_RADL 및 IDR_N_LP)을 번갈아 사용하여 완화할 수 있다. SEI 메시지가 구문 요소 irap_pic_id를 포함하기 때문에 시간 서브 계층 제로 인덱스 SEI 메시지의 사용이 또한 유용할 수 있는데, 그 값은 디코딩 순서에서 연속적인 IRAP 픽처에 대해 다르다. 일부 시스템 환경에는 Rec.에서 프리젠테이션 타임스탬프 사용과 같이 픽처 경계 감지에 도움이 되는 다른 규정이 있다. ITU-T H.222.0 | ISO/IEC 13818-1 시스템, ISO/IEC 14496-12 ISO 기본 미디어 파일 형식의 액세스 장치 프레임 또는 IETF RFC 3550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헤더의 마커 비트.
dependent_slice_segment_flag가 1과 동일하다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 각각의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구문 요소의 값은 슬라이스 헤더에서의 대응하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구문 요소의 값과 동일한 것으로 추론됨을 지정한다. 존재하지 않는 경우 dependent_slice_segment_flag의 값은 0과 같은 것으로 추론된다.
변수 SliceAddrRs는 다음과 같이 파생된다:
- dependent_slice_segment_flag가 0과 같으면, SliceAddrRs는 CtbAddrInRs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 그렇지 않으면 SliceAddrRs는 코딩 트리 블록 주소가 CtbAddrTsToRs[CtbAddrRsToTs[CtbAddrInRs] -1] 인 코딩 트리 블록을 포함하는 이전 슬라이스 세그먼트의 SliceAddrR과 동일하게 설정되며, 여기서 변수 CtbAddrInRs는 slice_segment_address의 시맨틱에 지정된다.
tile_id_in_sh는 슬라이스 세그먼트가 속하는 타일의 인덱스를 지정한다. area_id_in_sh의 값은 0에서 255 사이여야 한다. area_id_in_sh가 없으면, 0과 같은 것으로 추론된다. 한 픽처 내에서 하나 이상의 타일은 tile_id_in_sh의 값이 같아야 한다.
slice_segment_address는 픽처의 코딩 트리 블록 래스터 스캔(slice_segment_base_addr_per_tile_enable_flag가 1인 경우)에서 슬라이스 세그먼트의 제1 코딩 트리 블록의 주소를 지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음과 같이 픽처의 타일 스캔을 지정한다:
변수 maxNumCtbY 은(slice_segment_base_addr_per_tile_enable_flag ? TileSizeInCtbsY[tileIdxTileIdMap[tile_id_in_sh]]: PicSizeInCtbsY)과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tileIdxTileIdMap[tile_id_in_sh]는 세그먼트 정보(48)로 구성된 현재 디코딩/인코딩된 슬라이스의 tile_id_in_sh를 올바른 tileIdx에 매핑하는데, 즉 픽처(18 또는 54)에서 올바른 세그먼트를 참조하고 TileSizeInCtbsY는이 세그먼트에 대해 상대 슬라이스 주소의 최대치, 즉 maxNumCtbsY-1을 시작 위치 정보(42)의 slice_segment_address로 나타내거나 나타낼 수 있다. 디코더 및 인코더는 의사 코드 1 내지 4를 사용하여 이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slice_segment_address 구문 요소의 길이는 Ceil(Log2(maxNumCtbsY)) 비트이다. slice_segment_address의 값은 0에서 maxNumCtbsY-1 사이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slice_segment_base_addr_per_tile_enable_flag가 0과 같은 경우, slice_segment_address의 값은 동일한 코딩된 픽처의 다른 코딩된 슬라이스 세그먼트 NAL 유닛의 slice_segment_address의 값과 같지 않아야 한다. slice_segment_base_addr_per_tile_enable_flag가 1과 같은 경우 slice_segment_address의 값은 동일한 코딩된 픽처 내에서 동일한 타일에 속하는 다른 코딩된 슬라이스 세그먼트 NAL 유닛의 slice_segment_address의 값과 같지 않아야 한다. slice_segment_address가 없으면, 0과 같은 것으로 추론된다.
픽처의 코딩 트리 블록 래스터 스캔에서 코딩 트리 블록 주소를 지정하는 변수 CtbAddrInRs는 CtbAddrTsToRs[slice_segment_address+(slice_segment_base_addr_per_tile_enable_flag ? TileSliceSegBaseAddr[tileidxTileidMap[tile_id_in_sh]]: 0)]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타일 스캔에서 코딩 트리 블록 주소를 지정하는 변수 CtbAddrInTs는 CtbAddrRsToTs[CtbAddrInRs]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cu_qp_delta_abs를 포함하는 코딩 유닛에 대한 루마 양자화 파라미터와 그 예측 간의 차이를 특정하는 변수 CuQpDeltaVal은 0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cu_chroma_qp_offset_flag를 포함하는 코딩 유닛에 대한 Qp'Cb 및 Qp'Cr 양자화 파라미터의 각각의 값을 결정할 때 사용될 값을 지정하는 변수 CuQpOffsetCb 및 CuQpOffsetCr은 모두 0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대 표시 모드(46)의 경우, tileIdxTileIdMap[tile_id_in_sh]는 세그먼트 정보(48)로 구성된 현재 디코딩/인코딩된 슬라이스의 tile_id_in_sh를 올바른 tileIdx에 매핑하는데, 즉 픽처(18 또는 54)에서 올바른 세그먼트를 참조하고, TileSliceSegBaseAddr는이 세그먼트에 대해 베이스 주소를 생성 한 다음이 슬라이스의 주소를 생성하기 위해 시작 위치 정보(42)의 상대 슬라이스 주소 slice_segment_address에 추가될 베이스 주소를 생성한다. CtbAddrTsToRs는 단지 코딩 경로(22)를 따라 측정된 주소를 블록(64) 중 래스터 스캔 블록 순서를 따라 측정된 주소로 변환한다. 디코더 및 인코더는 의사 코드들(5)을 사용하여 세그먼트 개시 위치들(44)의 베이스 주소들을 계산할 수 있거나, 이하에서 예시되는 명시적인 정보의 경우, 단지 인코더일 수 있다.
VCL NAL 유닛의 순서 및 코딩된 픽처와의 관련에 대해서는 다음이 언급될 수 있다.
특히, 다음은 VCL NAL 유닛의 순서 및 코딩된 픽처와의 연관성을 특정한다.
각각의 VCL NAL 유닛은 코딩된 픽처의 일부이다.
코딩된 픽처 내의 VCL NAL 유닛의 순서는 다음과 같이 제한된다:
- 코딩된 픽처의 제1 VCL NAL 유닛은 first_slice_segment_in_pic_flag가 1과 같아야 한다.
- sliceSegAddrA 및 sliceSegAddrB를 동일한 코딩된 픽처 내에서 두 개의 코딩된 슬라이스 세그먼트 NAL 유닛 A 및 B의 CtbAddrTsToRs[slice_segment_address(slice_segment_base_addr_per_tile_enable_flag ? TileSliceSegBaseAddr[tileidxTileidMap[tile_id_in_sh]: 0)]]의 값으로 하자. 다음 조건 중 하나에 해당하면 코딩된 슬라이스 세그먼트 NAL 유닛 A가 코딩된 슬라이스 세그먼트 NAL 유닛 B보다 우선한다:
- TileId[CtbAddrRsToTs[sliceSegAddrA]]가 TileId[CtbAddrRsToTs[sliceSegAddrB]]보다 작다.
- TileId[CtbAddrRsToTs[sliceSegAddrA]]는 TileId[CtbAddrRsToTs[sliceSegAddrB]]와 같고 CtbAddrRsToTs[sliceSegAddrA]는 CtbAddrRsToTs[sliceSegAddrB]보다 작다.
디코더들(38 및 52)은 새로운 액세스 유닛(36)이 인바운드 데이터 스트림(10 또는 12)에서 언제 시작 하는지를 결정하거나 또는 임의의 NAL 유닛이 누락되었다고 결정하기 위해 이러한 조건들을 감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변형 A는 예를 들어보다 쉬운 구현 및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른 용어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 예 A에서,도 1과 관련하여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세그먼트(30)는 정확하게 타일일 필요는 없다. 이를 위해, 슬라이스 세그먼트베이스 주소 계산은 타일 세분성에 독점적으로 일어날 필요는 없지만, 다수의 타일이 영역으로 결합 될 수 있고, 그 이후에 설명된 내용에 따라 세그먼트(30)를 형성 할 수 있고, 슬라이스 세그먼트베이스 주소는 공동으로 정의되는, 즉 슬라이스 헤더에서의 슬라이스 주소는 다수의 타일의 주어진 영역에 속하는 비트 스트림 순서로 제1 CTU에 상대적으로 주어지며, 세그먼트(30)를 형성한다.
또한, 부가 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변형 B에 따르면, 각각의 세그먼트(30)에 대한 슬라이스 세그먼트베이스 주소의 계산으로 클라이언트 측 또는 디코더에 부담을 주는 대신에, 슬라이스 세그먼트베이스 주소의 명시적인 시그널링이 있을 수 있음이 명백해진다 데이터스트림에 제공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slice_segment_base_address_per_tile_enable_flag가 1과 같을 때 tile_fixed_structure가 1과 같다는 것을 보장하면서 비디오 비트 스트림의 각 PPS 내에서 타일 구조 시그널링을 반복하는 부담은 타일링 구문을 허용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고, SPS 또는 PPS로 전달될 수 있고, 여기서 타일링 구문의 PPS 인스턴스는 SPS 내에 전달된 타일링 구문 설정을 무시할 수 있다.
다음 도면은 위에서 설명한 변형 A와 관련된 변경 사항을 강조 표시하여 보여준다. 예를 들어, 도 7은 PPS 또는 SPS에서 사용될 수 있는 타일링 구문 부분을 도시하며, 여기서 도 7의 타일링 구문이 PPS로 전달될 때, 이는 대응하는 SPS에 의해 제공되는 타일링 구문, 즉 그것은 더 높은 전례를 가지고 있다. 도 7은 도 1의 파라미터 세트(36)가베이스 주소 데이터 필드(130)를 통해 세그먼트 개시 위치(44)에 대한 베이스 주소를 전달할 가능성을 도시한다.
시맨틱은 다음과 같다.
slice_segment_base_addr_per_area_enable_flag가 0이라는 것은 슬라이스 세그먼트의 변수 CtbAddrInRs가 slice_segment_address에서만 파생됨을 지정한다. slice_segment_base_addr_per_area_enable_flag가 1이라는 것은 CtbAddrInRs의 파생이 slice_segment_address 및 타일 종속 오프셋을 기반으로 함을 지정한다. slice_segment_base_addr_per_area_enable_flag가 없으면, 0과 같은 것으로 추론된다.
area_id_in_ps[i]는 비트스트림 순서로 타일의 id를 지정한다. area_id_in_ps[i]의 값은 0에서 255의 범위에 있어야 하고, area_id_in_ps[i]는 j와 같지 않은 경우 area_id_in_ps[j]와 동일한 값을 가져서는 안 된다. area_id_in_sh가 존재하지 않으면, 0과 같은 것으로 추론된다.
slice_segment_base_address[i]는 area_id_in_ps[i]의 값이 같은 영역에 속하는 모든 슬라이스 세그먼트에 대해 타일 스캔 순서로 기본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를 지정한다. 존재하지 않는 경우, slice_segment_base_address[i]의 값은 0과 같은 것으로 추론된다.
area_id_enable_flag가 1일 때, 액세스 유닛 구분자 NAL 유닛이 비트스트림에 존재하는 것이 비트스트림 적합성의 요건이다.
area_id_in_ps[i]가 동일한 값을 갖는, i의 두 값이 없는 경우에, 슬라이스 스트림 세그먼트의 값[i-1]이 동일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 비트스트림 적합성의 요구 사항이다.
도 8 및 9는 구문 시그널링을 타일링하기 위한 개별 인에이블 플래그를 갖는 SPS 및 PPS 구문에 대한 예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시맨틱이 사용된다.
tiles_enabled_in_sps_flag가 1인 것은 SPS가 CVS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는 기본 타일링 구문을 전달함을 지정한다.
tiles_enabled_in_pps_flag가 1인 것은 PPS가 PPS를 참조하고 참조된 SPS 내에서 타일링 구문을 덮어 쓰는 CVS의 픽처의 실제 타일링 구조를 설명하는 타일링 구문을 전달하는 것을 지정한다.
코딩 트리 블록 래스터 및 타일링 스캐닝 변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보일 것이다.
코딩 트리 블록(CTB) 단위로 i번째 타일 열의 폭을 지정하는 0에서 num_tile_columns_minus1까지의 i에 대한 colWidth[i] 목록은 다음과 같이 도출된다(의사 코드 1').
Figure 112020087876248-pct00006
CTB 단위로 j번째 타일 행의 높이를 지정하여 0에서 num_tile_rows_minus1까지의 j에 대한 rowHeight[j] 목록은 다음과 같이 도출된다(의사 코드 2'):
Figure 112020087876248-pct00007
타일 스캔의 CTB 주소에서 타일 ID로의 변환을 지정하는 0에서 PicSizeInCtbsY-1 사이의 ctbAddrT에 대한 TileId[ctbAddrTs] 목록은 다음과 같이 도출된다(의사 코드 3'):
Figure 112020087876248-pct00008
변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N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의미를 유지하지만, 세그먼트(30)에 타일을 수집하여 세그먼트(30)의 M보다 클 수 있는 타일의 수를 나타낸다.
CTB 단위로 픽처 내에서 k번째 타일의 크기를 지정하는, 0에서((num_tile_rows_minus1+1)*(num_tile_columns_minus1+1)-1) 범위의 k에 대한 TileSizeInCtbsY[k] 목록은 다음과 같이 도출된다(의사 코드 4'):
Figure 112020087876248-pct00009
area_id_in_ps[] area_id_in_ps[] 엔트리 0…N-1을 포함하는 벡터이고, N은 타일 수이고, i번째 엔트리는 타일 래스터 스캔 세그먼트 순서에서 i번째 타일이 위치하는 세그먼트와 관련된 세그먼트 인덱스 값을 나타낸다; 엔트리에 입력된 값은 세그먼트 정보(48)에서 세그먼트 인덱스에 대한 가능한 값의 도메인에서 0…256 또는 다르게 말하면 값을 가정한다; 픽처 디코딩 옵션/목표에 대한 의존성, 즉 픽처 18 또는 서브 픽처 54 내의 세그먼트의 베이스 주소가 계산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기억하여, N은 픽처(18) 또는 서브 픽처(54) 내의 타일의 수이다.
AreaSizeInCtbsY[] AreaSizeInCtbsY[] 세그먼트 정보(48)에서 세그먼트 인덱스에 대한 가능한 값의 도메인의 각 멤버에 대한 엔트리를 포함하는 벡터로 해석되며, 이는 현재의 디코딩 목표/옵션이 무엇이든, 그에 의해 커버되는 블록(64)의 수에 상관없이, 픽처(18) 또는 서브 픽처(54)에서 발생하는 각각의 세그먼트 인덱스 값을 나타낸다.
AreaId에서 AreaIdx로의 매핑은 다음과 같이 도출된다:
Figure 112020087876248-pct00010
NumTilesInArea[] 세그먼트 정보(48)에서 세그먼트 인덱스에 대한 가능한 값의 도메인의 각 멤버에 대한 엔트리를 포함하는 벡터로 해석되며, 이는 현재의 디코딩 목표/옵션이 무엇이든, 이 세그먼트 인덱스 값을 갖는 각각의 세그먼트에 의해 커버된 타일의 수와 같이, 픽처(18) 또는 서브 픽처(54)에서 발생하는 각각의 세그먼트 인덱스 값에 대해 표시된다.
AreaIdToAreaIdx[] 세그먼트 정보(48)에서 세그먼트 인덱스에 대한 가능한 값의 도메인의 각각의 멤버에 대한 엔트리를 포함하는 벡터로 해석되며, 그것은 현재의 디코딩 목표/옵션이 무엇이든 간에, 픽처(18) 또는 서브 픽처(54)에서 발생하는 각각의 세그먼트 인덱스 값에 대해, 왼쪽에서 아래쪽 오른쪽으로 세그먼트별로 선행하는 래스터 스캔 세그먼트 순서를 따라 할당되거나 측정될 때 그 랭크 또는 인덱스를 나타낸다.
CTB 단위로 비트 스트림 순서로 픽처 내 k번째 영역의 제1 슬라이스 세그먼트의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오프셋을 지정하여 0에서(NumAreas-1)까지의 k에 대한 AreaSliceSegBaseAddr[k] 목록이 다음과 같이 도출된다(의사 코드 5'):
Figure 112020087876248-pct00011
AreaSliceSegBaseAddr[i] 항목 0…M-1을 포함하는 벡터로 해석되며, M은 세그먼트 수 30이며 NumAreas와 같으며, 이는 전술 한 래스터 스캔 세그먼트 순서로 i번째 세그먼트에 대한 베이스 주소, 즉 세그먼트 개시 위치(44)를 i번째 엔트리에 표시하는데, 즉 AreaIdx를 사용하여 디코더 및 인코더에 의해 슬라이스의 세그먼트 정보(48)의 area_id_in_sh와 연관될 수 있고 AreaIdToAreaIdx를 사용한다.
따라서, 픽처(18) 또는 서브 픽처(54)의 제1 세그먼트(30)에 대한 베이스 주소의 명시적 전송은,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들)에 명시적 전송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래스터 스캔 세그먼트 순서로 0과 마찬가지로 생략되었으나, 구문 요소 slice_segment_base_address에 의해 정의된 베이스 주소 데이터 필드(130)는 픽처 개시 위치(24)에 대해 개시 위치(44)를 어드레싱하는 각각의 세그먼트의 개시 위치(44)의베이스 주소를 각 세그먼트(30)에 대해 정의함에 유의한다. 베이스 주소 데이터 필드를 통해 이 베이스 주소가 0이라는 정의는 명시적 베이스 주소 송신이 래스터 스캔 세그먼트 순서로 제2 세그먼트로 시작한다는 규칙의 결과이다. 당연히, 대안적인 실시예가 명시적 베이스 주소 송신이 대신 모든 세그먼트에 사용되는 경우가 평가될 수 있다.
명시적 베이스 주소 신호 화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베이스 주소의 암시 적 도출을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디코더 또는 인코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명시적 베이스 주소 신호화의 경우에도 베이스 주소의 계산을 위한 인코더로 다음 계산이 사용된다.
0에서((num_tile_rows_minus1+1)*(num_tile_columns_minus1+1)-1) 범위의 k에 대한 TileSliceSegBaseAddr[k] 목록(픽처 내 k번째 타일의 제1 슬라이스 세그먼트의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오프셋 지정) CTB 단위로 비트 스트림 순서로, 그리고 0에서(NumAreas-1) 범위의 k에 대한 AreaSliceSegBaseAddr[k] 목록(픽처에서 k번째 영역의 제1 슬라이스 세그먼트의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오프셋을 지정) CTB 단위의 비트스트림 순서는 다음과 같이 도출된다(의사 코드 5"):
Figure 112020087876248-pct00012
또한, 도 10은 변형 헤더에 따라 슬라이스 헤더가 어떻게 보일 수 있는지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은 가능한 시맨틱을 보여준다.
first_slice_segment_in_area_flag가 1이라는 것은 tiles_enabled_flag가 0인 경우 슬라이스 세그먼트는 디코딩 순서에서 픽처의 제1 슬라이스 세그먼트가 됨을 지정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tiles_enabled_flag가 1인 경우, first_slice_segment_in_pic_flag가 1인 경우 슬라이스 세그먼트는 디코딩 순서에서 픽처 타일의 제1 슬라이스 세그먼트임을 지정한다. first_slice_segment_in_pic_flag가 0이라는 것은 슬라이스 세그먼트가 디코딩 순서에서 픽처의 제1 슬라이스 세그먼트가 아님을 지정한다.
주 1 - 이 구문 요소는 디코딩 순서에서 연속적인 코딩된 픽처들 사이의 경계를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IDR 픽처들이 디코딩 순서에서 연속적이고 동일한 NAL 유닛 타입을 갖는 경우, IDR 픽처의 제1 슬라이스의 손실은 코딩된 픽처들 사이의 경계의 검출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에서 모든 인트라 코딩된 비디오를 송신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이 문제는 연속된 두 개의 IDR 픽처에 대해 두 개의 서로 다른 IDR NAL 유닛 유형(IDR_W_RADL 및 IDR_N_LP)을 번갈아 사용하여 완화할 수 있다. SEI 메시지가 구문 요소 irap_pic_id를 포함하기 때문에 시간 서브 계층 제로 인덱스 SEI 메시지의 사용이 또한 유용할 수 있는데, 그 값은 디코딩 순서에서 연속적인 IRAP 픽처에 대해 다르다. 일부 시스템 환경에는 Rec.에서 프리젠테이션 타임스탬프 사용과 같이 픽처 경계 감지에 도움이 되는 다른 규정이 있다. ITU-T H.222.0 | ISO/IEC 13818-1 시스템, ISO/IEC 14496-12 ISO 기본 미디어 파일 형식의 액세스 장치 프레임 또는 IETF RFC 3550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헤더의 마커 비트.
dependent_slice_segment_flag가 1과 동일하다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 각각의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구문 요소의 값은 슬라이스 헤더에서의 대응하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구문 요소의 값과 동일한 것으로 추론됨을 지정한다. 존재하지 않는 경우 dependent_slice_segment_flag의 값은 0과 같은 것으로 추론된다.
변수 SliceAddrRs는 다음과 같이 파생된다:
- dependent_slice_segment_flag가 0과 같으면, SliceAddrRs는 CtbAddrInRs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 그렇지 않으면 SliceAddrRs는 코딩 트리 블록 주소가 CtbAddrTsToRs[CtbAddrRsToTs[CtbAddrInRs] -1] 인 코딩 트리 블록을 포함하는 이전 슬라이스 세그먼트의 SliceAddrR과 동일하게 설정되며, 여기서 변수 CtbAddrInRs는 slice_segment_address의 시맨틱에 지정된다.
area_id_in_sh는 슬라이스 세그먼트가 속하는 타일의 인덱스를 지정한다. area_id_in_sh의 값은 0에서 255 사이여야 한다. area_id_in_sh가 없으면 0과 같은 것으로 추론된다.
slice_segment_address는 픽처의 코딩 트리 블록 래스터 스캔(slice_segment_base_addr_per_tile_enable_flag가 1인 경우)에서 슬라이스 세그먼트의 제1 코딩 트리 블록의 주소를 지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음과 같이 픽처의 타일 스캔을 지정한다:
maxNumCtbY 변수는(slice_segment_addr_offset_per_tile_enable_flag ? AreaSizeInCtbsY[area_id_in_sh]: PicSizeInCtbsY)로 정의된다.
slice_segment_address 구문 요소의 길이는 Ceil(Log2(maxNumCtbsY)) 비트이다. slice_segment_address의 값은 0에서 maxNumCtbsY-1 사이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slice_segment_addr_offset_per_tile_enable_flag가 0인 경우, slice_segment_address의 값은 동일한 코딩된 픽처의 다른 코딩된 슬라이스 세그먼트 NAL 유닛의 slice_segment_address의 값과 같지 않아야 한다. slice_segment_addr_offset_per_tile_enable_flag가 1인 경우, slice_segment_address의 값은 동일한 코딩된 픽처 내에서 동일한 영역의 다른 코딩된 슬라이스 세그먼트 NAL 유닛의 slice_segment_address의 값과 같지 않아야 한다. slice_segment_address가 없으면, 0과 같은 것으로 추론된다.
픽처의 코딩 트리 블록 래스터 스캔에서 코딩 트리 블록 주소를 지정하는 변수 CtbAddrInRs는 CtbAddrTsToRs[slice_segment_address+(slice_segment_addr_offset_per_tile_enable_flag ? TileSliceSegBaseAddr[AreaIdToAreaIdx[area_id_in_sh]]: 0)]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TileSliceSegBaseAddr[AreaIdToAreaIdx[area_id_in_sh]]: 0)]. 타일 스캔에서 코딩 트리 블록 주소를 지정하는 변수 CtbAddrInTs는 CtbAddrRsToTs[CtbAddrInRs]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cu_qp_delta_abs를 포함하는 코딩 유닛에 대한 루마 양자화 파라미터와 그 예측 간의 차이를 특정하는 변수 CuQpDeltaVal은 0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cu_chroma_qp_offset_flag를 포함하는 코딩 유닛에 대한 Qp'Cb 및 Qp'Cr 양자화 파라미터의 각각의 값을 결정할 때 사용될 값을 지정하는 변수 CuQpOffsetCb 및 CuQpOffsetCr은 모두 0으로 설정된다.
VCL NAL 유닛의 순서 및 코딩된 픽처 및 액세스 유닛(36)과의 연관성으로서,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각각의 VCL NAL 유닛은 코딩된 픽처의 일부이다.
코딩된 픽처 내의 VCL NAL 유닛의 순서는 다음과 같이 제한된다:
- 코딩된 픽처의 제1 VCL NAL 유닛은 first_slice_segment_in_pic_flag가 1과 같아야 한다.
- sliceSegAddrA 및 sliceSegAddrB를 동일한 코딩된 픽처 내에서 두 개의 코딩된 슬라이스 세그먼트 NAL 유닛 A 및 B의 CtbAddrTsToRs[slice_segment_address+CtbAddrRsToTs[(slice_segment_base_addr_per_tile_enable_flag ? AreaSliceSegBaseAddr[AreaIdToAreaIdx[area_id_in_sh]]: 0)]]의 값으로 하자. 다음 조건 중 하나에 해당하면 코딩된 슬라이스 세그먼트 NAL 유닛 A가 코딩된 슬라이스 세그먼트 NAL 유닛 B보다 우선한다:
- TileId[CtbAddrRsToTs[sliceSegAddrA]]가 TileId[CtbAddrRsToTs[sliceSegAddrB]]보다 작다.
- TileId[CtbAddrRsToTs[sliceSegAddrA]]는 TileId[CtbAddrRsToTs[sliceSegAddrB]]와 같고 CtbAddrRsToTs[sliceSegAddrA]는 CtbAddrRsToTs[sliceSegAddrB]보다 작다.
위에서 제시된 효율적인 서브 픽처 추출에 대한 가능한 HEVC 코덱 확장의 설명은 도 1과 관련하여 이미 공지된 양태와 관련하여 미리 확장된며, 전체 픽처/비디오의 디코딩과 관련하여, 서브 픽처 추출 프로세스는 현재 세그먼트들의 시작 위치들에 대한 슬라이스들의 시작 위치의 유리한 상대 표시로 인해 완화될뿐만 아니라, 정보를 제공 할뿐만 아니라 데이터 스트림에 파라미터 세트를 제공함으로써 추가로 완화되며,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의 디코딩, 또는 대안적으로, 몇몇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의 디코딩과 관련하여, 추출 프로세스는 실제로 관심 있는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에 따라 필요하지 않은 슬라이스의 생략 또는 버림에 관한 동작으로 제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술 한 HEVC 변형의 이러한 확장에 따르면, 단지 서브 픽처의 디코딩에 대한 관심이 있는데, 즉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의 선택은, 원래의 데이터 스트림의 완전한 픽처 영역의 디코딩에 대응하는 모든 대응하는 계층을 선택함으로써 다중 계층 데이터 스트림의 계층의 생략과 같이 취급된다. 나중에, 후자의 양태는 또한 전술한 상대 슬라이스 시작점 표시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설명된 확장은 이제 파라미터 세트 재기록 없이 보다 쉬운 추출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계층화된 비트 스트림의 추출 프로세스에서와 같이, 슬라이스 데이터 및 파라미터 세트를 운반하는 NAL 유닛의 제거는 적합한 비트 스트림을 생성하기에 충분하며,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디코더는 추출된 비트 스트림에 표현된 실제 동작 포인트를 쉽게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작 포인트는 적어도 타일을 세그먼트로 사용하는 경우 세그먼트 그리드 또는 타일링 그리드의 서브 세트에 의해 소비된 공간 내에 존재하며, 선택적으로 공간 해상도, 시간 해상도, SNR 확장 성과 같은 추가 확장성 차원 기타 등등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VPS 또는 SPS와 같은 파라미터 세트는 이하에 몇몇 특성이 설명되는 출력 타일 세트(OTS)로 지칭되는, 타일링 컨텍스트에서 여러 동작 포인트를 정의한다. 특정 실시예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OTS에 관한 파라미터가 SPS에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예시적으로 SPS 인 파라미터 세트는 완전한 픽처(18)(도 1과 비교하여)의 예시가 도 7에 예시적으로 제시된 타일링 구문(140)을 어떻게 디코딩하는지를 나타내며, 이는 이는 세그먼트(18)의 세그먼트로의 분할 및 선택적으로 세그먼트 인덱스 값과 이들 세그먼트에의 연관성을, 선택적으로 이들 세그먼트의 개시 위치의 베이스 주소뿐만 아니라 픽처(18)의 크기, 즉 예를 들어, 146에서 픽처(18)를 i=0으로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능력 레벨뿐만 아니라 142에서 수평 크기 및 144에서 수직 크기를 나타낸다. num_output_tile_format이 1보다 크고, 구문 요소가 148에서 전송되는 경우, 도 11의 파라미터 세트는 다른 픽처 크기 및 픽처(54)에 대한 관련된 디코더 능력 레벨을 나타내는 추가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에 대한 정보(142 내지 146)를 추가로 시그널링한다. 도 11의 예에 따르면, 출력 포맷들에 대해 142 및 144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픽처 크기를 초래하도록 세그먼트(30)의 다양한 구성이 예시적으로 타일링되며, 개별적으로 시그널링된다. Num_output_tile_sets는 150에서 송신되고 검색 구성의 수를 나타내는 구문 요소에 있다. 각각의 구성은 인덱스(152)에 의해 출력 타일 포맷 중 하나와 관련된다. 각각의 픽처(18) 또는 픽처(54)을 구성하는 타일의 수는 154에서 전송되고 세그먼트 인덱스는 156에서 개별 타일 구성에 대해 송신된다. 마지막으로, 150으로 표시된 수의 각 타일 구성에 대해, 파라미터 세트는 디코딩을 위한 추가 정보, 즉 디코딩 타임 스탬프 및/또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각각의 세그먼트 구성(또는 타일 구성)을 디코딩에 필요한 이동 시간 및/또는 버퍼 크기를 갖는 코딩된 픽처 버퍼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158로 나타낸다.
도 11의 실시예를 사용할 때, 디코더(38 또는 52)에서 발생하는 디코딩 프로세스는 타겟 출력 타일 세트로 지칭될 수 있는 추가 입력 파라미터를 취하는데, 이는 정의된 OTS 중 어느 것이 디코딩을 위해 선택되는지를 표시한다. 입력 파라미터는 도 1과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신호(58)를 나타낸다.
파라미터 TargetOutputTileSet는 다양한 방법으로 판별할 수 있다:
Figure 112020087876248-pct00013
파일 형식, 전송 스트림, SDP 등의 시그널링을 통한 시스템 계층의 표시와 같은 외부 수단.
Figure 112020087876248-pct00014
비트스트림 내에 어떤 타일 또는 OTS가 존재 하는지를 나타내는 SEI 메시지의 존재, 즉 비트스트림이 거친 이전 추출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 따라서, 추출 정보는 하나 이상의 디코딩 가능한 OTS를 나타내는 데이터 스트림에 포함될 수 있다.
Figure 112020087876248-pct00015
액세스 유닛 내의 NAL 유닛의 슬라이스 헤더에서 구문 요소 tile_id_sh의 값을 파싱하여, 정의된 OTS 중 어느 것이 비트스트림의 내용을 갖는 디코더일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다음을 통해 디코딩될 OTS를 결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우선 순위가 정의된 OTS에 할당될 수 있다:
Figure 112020087876248-pct00016
num_output_tile_sets 또는 OTS에 우선 순위를 할당하는 SEI 메시지를 통한 루프의 명시적 신호
Figure 112020087876248-pct00017
num_output_tile_sets 이상의 루프에서 매 순서
Figure 112020087876248-pct00018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모든 OTS를 표시하는 현재 타일/제거된 타일 SEI 메시지
따라서, 파라미터 세트(36)는 148에 의해 시그널링되는 각각의 디코딩 옵션 및 그 디코딩 옵션에 대해, 150 및 158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각각의 세그먼트 수집에 대해, 특정 서브 픽처 구성을 정의하는 이 세그먼트 컬렉션이 디코더(38 및 52)에 의해 디코딩 대상에 대해 각각 선택될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우선 순위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순위 표시는 모든 세그먼트 수집 옵션 중 우선 순위를 표시할 수 있으며, 그 수는 전 세계적으로, 또는 하나의 공통 서브 픽처 옵션에 속하는 그룹들 중, 즉 동일한 서브 픽처 크기 및 대응하는 디코더 능력 레벨에 의해 150으로 시그널링된 수이다.
TileSliceSegBaseAddr 도출은 다음과 같이 변형 A에 대해 조정(청록색으로 강조 표시)되어야 한다:
0에서 PicSizeInCtbsY-1 사이의 ctbAddrT에 대한 TileId[ctbAddrTs] 목록은 타일 스캔의 CTB 주소에서 타일 ID로의 변환을 지정하여 다음과 같이 도출된다:
Figure 112020087876248-pct00019
CTB 단위로 픽처 내에서 k번째 타일의 크기를 지정하는, 0에서((num_tile_rows_minus1+1)*(num_tile_columns_minus1+1)-1) 범위의 k에 대한 TileSizeInCtbsY[k] 목록은 다음과 같이 도출된다:
Figure 112020087876248-pct00020
0부터((num_tile_rows_minus1+1)*(num_tile_columns_minus1+1)-1) 범위의 k에 대한 TileSliceSegBaseAddr[k] 목록(k번째 타일의 제1 슬라이스 세그먼트의 타일 스캔에서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오프셋 지정)은 CTB 단위로 비트스트림 순서로 픽처 내에서 다음과 같이 도출된다:
Figure 112020087876248-pct00021
여기서 tileIdxInTargetOTS는 TargetOutputTileSet에 속하는 모든 타일에 대해 참(true)이고 그렇지 않으면 거짓(false)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TargetOutputTileSet의 디코딩된 픽처 내의 타일 배열은 원래 비트 스트림에서의 타일 배열과 유사하게 유지됨에 유의한다. targetOutputTileSet 내의 타일만 고려하여 래스터에서 타일 스캔으로의 변환을 변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라미터 세트(36) 및 그 픽처 크기의 시그널링 및 원래의 픽처(18)뿐만 아니라 서브 픽처(54)에 대한 대응하는 디코더 능력 레벨에 관한 도 11과 관련하여 방금 설명된 확장이 예를 들어, 전술 한 슬라이스의 시작 위치 정보(42)가 존재하지 않는 프레임워크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슬라이스는 세그먼트(30) 내에서 시작되지 않고 단지 세그먼트 개시 위치에서 시작되도록 제한될 수 있다. 그러면, 세그먼트 정보(48)로 충분할 수 있다. 다른 예도 가능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스트림(10 또는 12)(시작 위치 정보(42)의 유무에 관계없이)을 수신하는 디코더(38 또는 52)는 다음과 같이 36'과 동일한 파라미터 세트(36)의 정보를 사용한다. 특히, 그것은 10 또는 12일 수 있는 인바운드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파라미터 세트(36)를 디코딩하고, 인바운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픽처 디코딩 또는 서브 픽처 디코딩이 수행될 것인지의 디코딩 옵션 표시(58)를 도출한다. 픽처 디코딩은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는 목표, 즉 모든 세그먼트(30) 중 픽처(10)의 구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모든 슬라이스(26)는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데이터 스트림(10)에 있어야 한다. 서브 픽처 디코딩 목표는 데이터 스트림(12)으로부터 픽처(54)를 디코딩하는 것이 타겟이다. "픽처(54)"는 하나 이상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이 픽처 크기 및 형상 및 디코더 성능 레벨이 동일한 파라미터 세트(36)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도 1의 예에서, 상이한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은 2개의 세그먼트(30)로부터 서브 픽처(54)를 나란히 구성하여 형성하거나, 2개의 세그먼트(30)로부터 서브 픽처(54)를 하나씩 구성함으로써 형성 될 수 있다. 하나의 세그먼트(30)로부터 만 서브 픽처(54)를 구성하고, 이들 예는 예를 들어 3개의 세그먼트(30) 중에서 서브 픽처를 구성함으로써 확장 가능하다.
픽처 스트림이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수행되는 경우, 디코더는 파라미터 세트(36)로부터 i=0에 대한 142 및 144와 같은 픽처(18)의 크기 및 픽처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디코더 능력 레벨의 표시를 도출한다.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i=0을 위한 146과 같은 픽처(18)를 참조하고, 그것은 픽처(18)의 세분화에 관한 정보를 파라미터 세트(36)로부터 제1 세그먼트 세트(30), 즉 타일링 구문(140)으로부터와 같은 코딩 상호 의존성이 없이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된 세그먼트의 제1 세트(30)로 도출한다. 또한, 그것은 픽처(18)이 코딩 경로(22)를 따라 분할되는 슬라이스(26) 단위로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한다. 시작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일한 경우에 개별 슬라이스들(26)의 디코딩된 픽처 컨텐츠의 배치에 관해서는 상기 설명을 참조한다. 디코더는 디코더 능력 레벨이 디코더(38)에 의해 충족되는지 여부를 디코더 능력 레벨을 검사할 수 있다.
그러나, 디코딩 옵션 표시(58)가 서브 픽처 디코딩이 인바운드 데이터 스트림 상에서 수행 될 것을 제안하는 경우, 디코더는 파라미터 세트(36)로부터 서브 픽처(54)의 추가 픽처 크기 및 i≠0을 위한 142, 144 및 146과 같은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서브 픽처(54)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디코더 능력 레벨의 표시를 도출하고, 파라미터 세트(36)로부터 서브 픽처(54)의 세분에 대한 정보를 코딩 상호 의존성이 없이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된 세그먼트 및 제2 세트의 픽처(18)의 서브 세트 인 세그먼트의 제2 세트로 도출하고, 서브 픽처(54)가 인코딩된 슬라이스(26)의 단위로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서브 픽처(54)를 디코딩한다. 여기서도 디코더는 코딩 경로(22')를 사용하거나 준수한다. 이번에는 다른 타겟 목표, 즉 서브 픽처(54)를 횡단한다. 코딩 경로(22)는 픽처(18)를 가로지르는 바와 같이, 세그먼트 별 세그먼트로 순차적으로 코딩 경로(22')는 서브 픽처(54)를 가로지르며 서브 픽처(54)의 임의의 분수에 속하는 것 중 각각의 슬라이스(26)는 세그먼트의 부분, 또는 그 안에 서브 픽처(54)의 구성을 형성하는 인코딩된 제2 세그먼트 세트 중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를 갖는다. 코딩 경로 또는 순서(22')는 서브 픽처(54)를 구성하는 순서와 상이한 순서로 서브 픽처(54)를 구성하는 세그먼트(30)의 서브 세트를 횡단할 수 있으며, 원래의 픽처(18) 내의 코딩 경로(22)에 의해 횡단됨에 유의한다. 그러나, 세그먼트 코딩 독립성은 어쨌든 세그먼트 경계에 걸친 코딩 종속성을 금지하기 때문에 이것은 디코딩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각각의 세그먼트(30) 내에서, 경로(22 및 22')는 일치하며, 이는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할 때 디코딩 동기화를 유지하고 슬라이스 컨텐츠의 배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 디코더는 디코더(38/52)에 의해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에 대한 디코더 능력 레벨이 동일한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디코더는 상이한 수단에 의해 디코딩 옵션 표시(58)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더(52)는 인바운드 데이터 스트림에 존재하는 슬라이스, 즉 10 또는 12에 의해 커버된 세그먼트를 분석하여 어느 슬라이스 및 대응 세그먼트가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50)에 의해 생략되어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 1의 58에 도시된 외부 신호 화는 디코더(38 또는 52)에 의해 사용될 디코딩 옵션 또는 타겟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외부 신호 화는 이미 사용될 코딩 옵션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되지 않거나 일부 예를 들어, 중간 추출 프로세스(14)로 인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일부 코딩 옵션을 배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부 신호 화는 네트워크 장치(50)는 디코더가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코딩 옵션 세트를 긍정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아직 디코딩 가능한 옵션들에 대한 명시적 정보와 같은 인바운드 데이터 스트림의 부가 정보는 디코더(38 또는 5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디코딩 옵션 또는 타겟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외부 정보와 마찬가지로, 후자의 정보는 추출 엔티티, 즉 장치(50)에 의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코더는 파라미터 세트(54)에 존재하는 바와 같은 디코딩 옵션과 관련된 디코더 능력 레벨을 검사하여, 가능한 디코딩 옵션 후보의 리스트 중 일부가 디코더의 능력과 충돌할 때 제외할 수 있다. 이들 힌트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이 디코딩 옵션 표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임의의 나머지 모호성이 있는 경우, 디코더는 전술된 우선 순위를 사용하여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나머지 가능한 디코딩 옵션 후보들 중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양태가 장치의 맥락에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양태가 또한 대응하는 방법의 설명을 나타내는 것이 명백하며, 여기서 블록 및 디바이스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대응한다. 유사하게, 방법 단계의 문맥에서 설명된 양태는 또한 대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의 설명 또는 대응하는 장치의 특징을 나타낸다. 방법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 중 하나 이상이 그러한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스트림은 디지털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인터넷과 같은 유선 송신 매체 또는 무선 송신 매체와 같은 송신 매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특정 구현 요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드웨어로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은 각각의 방법이 수행되도록 프로그래밍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과 협력하는(또는 협력할 수 있는) 전기적으로 판독 가능한 제어 신호가 저장된, 디지털 저장 매체,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DVD, 블루 레이, CD, ROM, PROM,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예는 본원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가 수행되도록 프로그래밍 가능 컴퓨터 시스템과 협력할 수 있는 전자적으로 판독 가능한 제어 신호를 갖는 데이터 캐리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예를 들어 머신 판독 가능 캐리어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기계 판독 가능 캐리어 상에 저장된, 본원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는, 따라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본원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그 위에 기록된, 본원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데이터 캐리어(또는 디지털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이다. 데이터 캐리어, 디지털 저장 매체 또는 기록 매체는 통상적으로 유형 및/또는 비일시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본원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의 시퀀스이다.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의 시퀀스는 데이터 통신 접속을 통해,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본원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적응된 프로세싱 수단, 예를 들어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본원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본원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신기에(예를 들어, 전자적으로 또는 광학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수신기는 예를 들어 컴퓨터, 모바일 디바이스, 메모리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장치 또는 시스템은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신기에 전송하기 위한 파일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는 본원에 설명된 방법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는 본원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협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본원에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장치를 사용하거나,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하드웨어 장치와 컴퓨터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장치의 임의의 구성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방법은 하드웨어 장치를 사용하거나,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하드웨어 장치와 컴퓨터의 조합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장치의 임의의 구성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본원에 설명된 구성 및 세부사항의 수정 및 변형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임을 이해한다. 따라서, 곧 있을 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원의 실시예에 대한 기술 및 설명에 의해 제공된 특정 세부사항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88)

  1.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픽처(18)는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26)의 단위들로 코딩 경로(22)를 따라 데이터 스트림으로 코딩되고,
    상기 픽처(18)는 상기 코딩 경로(22)에 의해 순차적으로 세그먼트별로 횡단되는 세그먼트들(30)로 세분화되며, 각각의 슬라이스(26)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30)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26)을 가지며, 상기 픽처(18)는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세그먼트들로 인코딩되고,
    각각의 슬라이스(26)는
    상기 픽처가 상기 코딩 경로(22)를 따라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40)를 나타내는 시작 위치 정보(42) -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는 상기 코딩 경로(22)가 상기 시작 위치(40)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44)에 대한 상기 시작 위치(40)를 나타냄 -, 및
    상기 시작 위치(40)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48)를 포함하며,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는 상기 코딩 경로(22)를 따라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되는 상기 시작 위치(40)를 어드레싱하는 인코딩된 시작 주소를 갖는 제1 구문 요소(122) - 상기 시작 주소는 상기 코딩 경로(22)가 상기 시작 위치(40)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상기 개시 위치(44)에 대해 상기 시작 위치를 어드레싱함 - 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60; 112)를 포함하며,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60; 112)는
    상기 제1 구문 요소(122)로 인코딩된 시작 주소가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상기 개시 위치(44)에 대해 상기 시작 위치(40)를 어드레싱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1 상태와, 상기 제1 구문 요소(122)로 인코딩된 시작 주소가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픽처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픽처 개시 위치(24)에 대해 상기 시작 위치(40)를 어드레싱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제1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는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가 상기 코딩 경로를 따르는 세그먼트(30)의 제1 슬라이스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는, 상기 플래그(120)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가 상기 코딩 경로(22)를 따르는 상기 세그먼트(30)의 제1 슬라이스(26)가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코딩 경로(22)를 따라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되는 상기 시작 위치(40)를 어드레싱하는 인코딩된 시작 주소를 갖는 제1 구문 요소(122) - 상기 시작 주소는 상기 코딩 경로(22)가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44)에 대해 상기 시작 위치(40)를 어드레싱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문 요소(122)는 가변 길이 코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된 시작 주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는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60; 112)가 상기 제1 상태를 가정하는 경우,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가 상기 코딩 경로(22)를 따르는 세그먼트(30)의 제1 슬라이스인지, 그리고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60; 112)가 상기 제2 상태를 가정하는 경우,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가 상기 코딩 경로를 따르는 상기 픽처의 슬라이스(18)의 제1 슬라이스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8.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픽처(18)는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26)의 단위들로 코딩 경로(22)를 따라 데이터 스트림으로 코딩되고,
    상기 픽처(18)는 상기 코딩 경로(22)에 의해 순차적으로 세그먼트별로 횡단되는 세그먼트들(30)로 세분화되며, 각각의 슬라이스(26)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30)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26)을 가지며, 상기 픽처(18)는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세그먼트들로 인코딩되고,
    각각의 슬라이스(26)는
    상기 픽처가 상기 코딩 경로(22)를 따라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40)를 나타내는 시작 위치 정보(42) -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는 상기 코딩 경로(22)가 상기 시작 위치(40)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44)에 대한 상기 시작 위치(40)를 나타냄 -, 및
    상기 시작 위치(40)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48)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60; 112)를 포함하며,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60; 112)는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가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상기 개시 위치(44)에 대해 상기 시작 위치(40)를 나타내는 것을 나타내는 제1 상태와, 상기 시작 위치 정보가 상기 코딩 경로(22)가 상기 픽처(18)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픽처 개시 위치(24)에 대해 상기 시작 위치(40)를 나타내는 것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제1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내부에 인코딩된 비디오(20)를 가지며, 상기 비디오(20)는 상기 픽처(18)를 포함하는 픽처 시퀀스로 구성되고,
    상기 픽처 시퀀스는 상기 픽처(18)의 세그먼트들(30)로의 세분화와 일치하는 방식으로 공간적으로 세분화되고, 상기 픽처 시퀀스는 픽처별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10)으로 픽처 단위로, 그리고 각각의 세그먼트가 공간적으로 상기 세그먼트 외부에 위치한 상기 픽처 시퀀스의 일부들과 독립적으로 코딩되는 방식으로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정보(48)는 상기 시작 위치(40)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인덱싱하는 세그먼트 인덱스가 인코딩된 제2 구문 요소(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문 요소(124)는 고정 길이 코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된 세그먼트 인덱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세그먼트 인덱스 값(114)과 각각의 세그먼트(30)의 연관성을 정의하는 인덱스 데이터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문 요소로 인코딩된 세그먼트 인덱스는 상기 연관성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처 개시 위치(24)에 대한 개시 위치(44)를 어드레싱하는 각각의 세그먼트의 개시 위치(44)의 베이스 주소를 각각의 세그먼트(30)에 대해 정의하는 베이스 주소 데이터 필드(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픽처 범위에서,
    픽처 시퀀스 범위에서, 또는
    전자가 후자를 지배하는 픽처 범위 및 픽처 시퀀스 범위에서
    상기 픽처(18)의 상기 세그먼트들(30)로의 세분화를 시그널링하는 파라미터 세트(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15.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픽처(18)는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26)의 단위들로 코딩 경로(22)를 따라 데이터 스트림으로 코딩되고,
    상기 픽처(18)는 상기 코딩 경로(22)에 의해 순차적으로 세그먼트별로 횡단되는 세그먼트들(30)로 세분화되며, 각각의 슬라이스(26)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30)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26)을 가지며, 상기 픽처(18)는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세그먼트들로 인코딩되고,
    각각의 슬라이스(26)는
    상기 픽처가 상기 코딩 경로(22)를 따라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40)를 나타내는 시작 위치 정보(42) -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는 상기 코딩 경로(22)가 상기 시작 위치(40)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44)에 대한 상기 시작 위치(40)를 나타냄 -, 및
    상기 시작 위치(40)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48)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파라미터 세트(36)를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 세트(36)는
    상기 픽처의 크기;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픽처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1 디코더 능력 레벨의 표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148)에 대한,
    상기 세그먼트들의 서브 세트로 구성된 세그먼트 클러스터에 대응하는 추가 픽처 크기; 및
    상기 세그먼트 클러스터로 공간적으로 오프셋된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들을 갖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슬라이스들을 스트리핑 오프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스트림의 추출된 버전으로부터 상기 세그먼트 클러스터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2 디코더 능력 레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세트(36)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각각에 대해, 상기 추가 픽처 크기의 상기 세그먼트 클러스터의 버전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을 인덱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세트(36)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 각각에 대해, 상기 각각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에 대해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에 의해 인덱싱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이 상기 세그먼트 클러스터를 형성하기 위해 선택되는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우선 순위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표시는
    개별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각각 내에서, 또는
    전역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전부 내에서
    상기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추출된 데이터 스트림(12)이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 스트림(12)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중 미리 결정된 하나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 중 미리 결정된 하나에 의해 인덱싱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로 제한된 내부에 인코딩된 픽처를 가지며, 상기 세그먼트 클러스터에 대해 공간적으로 오프셋된,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들을 갖는 슬라이들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스트리핑 오프되어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추출된 버전을 형성하며,
    상기 추출된 데이터 스트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중 미리 결정된 하나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 중 미리 결정된 하나를 나타내는 추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세트(36)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 각각에 대해, 상기 각각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에 대한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에 의해 인덱싱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로 제한되는 인코딩된 픽처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에 대해 공간적으로 오프셋된 인코딩된 세그먼트들을 갖는 슬라이스들을 스트리핑 오프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버전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타임 스탬프들 및/또는 코딩된 픽처 버퍼 검색 시간들 및/또는 버퍼 크기(1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21.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에 있어서,
    상기 픽처는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30)의 단위들로 코딩 경로(22)를 따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코딩되고,
    상기 픽처(18)는 상기 코딩 경로에 의해 순차적으로 세그먼트별로 횡단되는 세그먼트들(30)로 세분화되며,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30)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30)을 가지고, 상기 픽처는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세그먼트들(30)로 인코딩되며,
    상기 디코더는,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시작 위치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코딩 경로를 따라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44)에 대한 시작 위치를 찾기 위해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하여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 정보(40)의 위치를 찾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48)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는 상기 코딩 경로를 따라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로 인코딩되는 상기 시작 위치를 어드레싱하는 인코딩된 시작 주소를 갖는 제1 구문 요소 - 상기 디코더는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에 대한 상기 시작 주소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시작 위치를 찾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며,

    상기 디코더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60; 112)를 디코딩하고,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에 대해 상기 시작 주소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시작 위치를 찾고,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픽처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픽처 개시 위치에 대해 상기 시작 주소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시작 위치를 찾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22. 삭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시작 위치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가 상기 코딩 경로를 따르는 세그먼트의 제1 슬라이스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120)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플래그(120)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가 상기 코딩 경로를 따르는 상기 세그먼트의 제1 슬라이스가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시작 위치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코딩 경로를 따라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로 인코딩되는 상기 시작 위치를 어드레싱하는 인코딩된 시작 주소를 갖는 제1 구문 요소(120)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하고;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에 대한 오프셋으로서 상기 시작 주소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시작 위치를 찾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25. 제21항에 있어서,
    가변 길이 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제1 구문 요소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26. 삭제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시작 위치 정보로 구성된 플래그를 디코딩하고,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가 상기 제1 상태를 가정하는 경우, 상기 플래그가 설정되면 각각의 각각의 슬라이스가 상기 코딩 경로를 따르는 세그먼트의 제1 슬라이스인지 결정하고,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가 상기 제2 상태를 가정하는 경우, 상기 플래그가 설정되면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가 상기 코딩 경로를 따르는 상기 픽처의 제1 슬라이스라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28.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에 있어서,
    상기 픽처는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30)의 단위들로 코딩 경로(22)를 따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코딩되고,
    상기 픽처(18)는 상기 코딩 경로에 의해 순차적으로 세그먼트별로 횡단되는 세그먼트들(30)로 세분화되며,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30)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30)을 가지고, 상기 픽처는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세그먼트들(30)로 인코딩되며,
    상기 디코더는,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시작 위치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코딩 경로를 따라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44)에 대한 시작 위치를 찾기 위해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하여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 정보(40)의 위치를 찾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48)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코더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를 디코딩하고,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가 제1 상태를 갖는 경우,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에 대한 상기 시작 위치를 찾기 위해 상기 시작 위치 정보를 사용하고,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가 제2 상태를 갖는 경우,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픽처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픽처 개시 위치에 대한 상기 시작 위치를 찾기 위해 상기 시작 위치 정보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내부에 인코딩된 비디오를 가지며, 상기 비디오는 상기 픽처를 포함하는 픽처 시퀀스로 구성되고,
    상기 픽처 시퀀스는 상기 픽처의 세그먼트들로의 세분화와 일치하는 방식으로 공간적으로 세분화되고, 상기 픽처 시퀀스는 픽처별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픽처 단위로, 그리고 각각의 세그먼트가 공간적으로 상기 세그먼트 외부에 위치한 상기 픽처 시퀀스의 일부들과 독립적으로 코딩되는 방식으로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인덱싱하는 세그먼트 인덱스가 인코딩된 세그먼트 정보로 구성되는 제2 구문 요소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31. 제30항에 있어서,
    고정 길이 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구문 요소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세그먼트 인덱스 값과 각각의 세그먼트의 연관성을 정의하는 인덱스 데이터 필드를 디코딩하고,
    상기 세그먼트 인덱스에 의해 인덱싱된 세그먼트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연관성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3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픽처 개시 위치에 대한 상기 코딩 경로를 따라 개시 위치를 어드레싱하는 각각의 세그먼트의 개시 위치의 베이스 주소를 각각의 세그먼트에 대해 정의하는 베이스 주소 데이터 필드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픽처 개시 위치에 대한 상기 코딩 경로를 따라 개시 위치를 어드레싱하는 각각의 세그먼트의 개시 위치의 베이스 주소를 각각의 세그먼트에 대해 계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의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베이스 주소 및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된 시작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한 슬라이스 주소를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해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34. 제21항에 있어서,
    파라미터 세트(36)가
    픽처 범위에서,
    픽처 시퀀스 범위에서, 또는
    전자가 후자를 지배하는 픽처 범위 및 픽처 시퀀스 범위에서
    상기 픽처(18)의 상기 세그먼트들(30)로의 세분화를 시그널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35.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에 있어서,
    상기 픽처는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30)의 단위들로 코딩 경로(22)를 따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코딩되고,
    상기 픽처(18)는 상기 코딩 경로에 의해 순차적으로 세그먼트별로 횡단되는 세그먼트들(30)로 세분화되며,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30)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30)을 가지고, 상기 픽처는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세그먼트들(30)로 인코딩되며,
    상기 디코더는,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시작 위치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코딩 경로를 따라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44)에 대한 시작 위치를 찾기 위해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하여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 정보(40)의 위치를 찾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48)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코더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파라미터 세트를 디코딩하고 - 상기 파라미터 세트는
    상기 픽처의 크기;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픽처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1 디코더 능력 레벨의 표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에 대한,
    상기 세그먼트들의 적절한 서브 세트로 구성된 세그먼트 클러스터에 대응하는 감소된 픽처 크기; 및
    상기 세그먼트 클러스터로 공간적으로 오프셋된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들을 갖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슬라이스들을 스트리핑 오프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스트림의 추출된 버전으로부터 상기 세그먼트 클러스터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2 디코더 능력 레벨;을 나타냄 -,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픽처를 디코딩할 때 상기 제1 디코더 능력 레벨의 준수를 검사하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추출된 버전으로부터 상기 세그먼트 클러스터를 디코딩할 때 상기 제2 디코더 능력 레벨의 준수를 검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각각으로부터, 상기 파라미터 세트로 구성되고 상기 감소된 픽처 크기의 세그먼트 클러스터의 버전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을 인덱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모두의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의 컬렉션의 서브 세트 각각에 대해, 상기 파라미터 세트로 구성된 우선 순위 표시를 디코딩하고,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의 서브 세트 중에서의 우선 순위 표시에 의해 우선시되는 상기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에 의해 인덱스싱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을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서 슬라이스들에 의해 커버된 세그먼트들, 외부 신호화,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 내의 부가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모두의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의 컬렉션의 서브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서브 세트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표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각각 내에서,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전부 내에서 전역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각각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를 우선 순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4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세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 각각에 대해, 상기 각각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에 대한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에 의해 인덱싱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로 제한되는 인코딩된 픽처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에 대해 공간적으로 오프셋된 인코딩된 세그먼트들을 갖는 슬라이스들을 스트리핑 오프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버전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타임 스탬프들 및/또는 코딩된 픽처 버퍼 검색 시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41.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픽처(18)의 세그먼트들의 서브 세트로부터 서브 픽처(54)의 구성요소를 디코딩하고, 상기 세그먼트 인덱스가 세그먼트들의 서브 세트 중 임의의 것을 나타내는 슬라이스들로 제한되고 상기 픽처의 상기 세그먼트들의 서브 세트로의 세분화와 관련하여 디코딩, 위치 결정 및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42. 인코딩된 픽처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에 있어서,
    픽처(18)는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26) 단위들로 코딩 경로(22)를 따라 상기 데이터 스트림(10)으로 코딩되고,
    상기 픽처(18)는 상기 코딩 경로에 의해 순차적으로 횡단되는 세분화되는 세그먼트들(30)로 세분화되며,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30)을 가지며, 상기 픽처는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세그먼트들(30)로 인코딩되며,
    각각의 슬라이스는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40)를 나타내는 시작 위치 정보(42)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시작 위치 정보는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44)에 대한 시작 위치를 나타내고,
    각각의 슬라이스는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48)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시작 위치 정보는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픽처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픽처 개시 위치(24)에 대한 시작 위치를 나타내며, 상기 슬라이스는 상기 세그먼트 정보(48)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위치 정보는 인코딩된 시작 주소를 갖는 제1 구문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시작 주소는 상기 코딩 경로를 따라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로 시작 위치를 어드레싱하고,
    상기 시작 주소는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상기 개시 위치(44)에 대해, 그리고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픽처 개시 위치(24)에 대해
    상기 시작 위치를 어드레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문 요소는 가변 길이 코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된 시작 주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위치 정보는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가 상기 제1 상태를 가정하는 경우,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가 상기 코딩 경로를 따르는 세그먼트의 제1 슬라이스인지, 그리고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가 상기 제2 상태를 가정하는 경우,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가 상기 코딩 경로를 따라 상기 픽처의 제 1 슬라이스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46.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내부에 인코딩된 비디오를 가지며, 상기 비디오는 상기 픽처를 포함하는 픽처 시퀀스로 구성되고,
    상기 픽처 시퀀스는 상기 픽처의 세그먼트들로의 세분화와 일치하는 방식으로 공간적으로 세분화되고, 상기 픽처 시퀀스는 픽처별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픽처 단위로, 그리고 각각의 세그먼트가 공간적으로 상기 세그먼트 외부에 위치한 상기 픽처 시퀀스의 일부들과 독립적으로 코딩되는 방식으로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47.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정보는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인덱싱하는 세그먼트 인덱스가 인코딩된 제2 구문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문 요소는 고정 길이 코드를 사용하여 인코딩된 세그먼트 인덱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49. 제47항에 있어서,
    세그먼트 인덱스 값과 각각의 세그먼트의 연관성을 정의하는 인덱스 데이터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문 요소로 인코딩된 세그먼트 인덱스는 상기 연관성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50.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코딩 경로를 따르는 상기 픽처 개시 위치에 대한 개시 위치를 어드레싱하는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의 개시 위치의 베이스 주소를 각각의 세그먼트에 대해 정의하는 베이스 주소 데이터 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51.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픽처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에 있어서,
    상기 픽처는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의 단위들로 코딩 경로를 따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코딩되고,
    상기 픽처는 세그먼트별로 상기 코딩 경로에 의해 순차적으로 횡단되는 세그먼트들로 세분화되며,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을 가지며, 상기 픽처는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세그먼트들로 인코딩되고,
    상기 디코더는, 미리 결정된 슬라이스에 대해,
    상기 픽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슬라이스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위치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를 디코딩하고;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시작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코딩 경로가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에 대한 상기 시작 위치를 찾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시작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픽처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픽처 개시 위치에 대한 상기 시작 위치를 찾고, 상기 시작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픽처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52.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픽처(18)는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26)의 단위들로 코딩 경로(22)를 따라 상기 데이터 스트림(10)으로 코딩되고,
    상기 픽처(18)는 상기 코딩 경로(22)에 의해 순차적으로 세그먼트별로 횡단되는 세그먼트들(30)로 세분화되며, 각각의 슬라이스(26)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을 가지며, 상기 픽처는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세그먼트들(30)로 인코딩되고,
    각각의 슬라이스는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가 커버하는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48)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파라미터 세트(36)를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 세트(36)는
    상기 픽처의 크기;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픽처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1 디코더 능력 레벨의 표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에 대한,
    상기 세그먼트들의 적절한 서브 세트로 구성된 세그먼트 클러스터에 대응하는 감소된 픽처 크기; 및
    세그먼트 클러스터에 대해 공간적으로 오프셋된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들을 갖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슬라이스들을 스트리핑 오프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스트림의 추출된 버전으로부터 상기 세그먼트 클러스터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2 디코더 능력 레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세트(36)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각각에 대해, 상기 감소된 픽처 크기의 상기 세그먼트 클러스터의 버전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을 인덱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세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 각각에 대해, 상기 각각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에 대해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에 의해 인덱싱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이 상기 세그먼트 클러스터를 형성하기 위해 선택되는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우선 순위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표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각각 내에서,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전부 내에서 전역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각각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를 우선 순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56.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상기 추출된 데이터 스트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중 미리 결정된 하나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 중 미리 결정된 하나에 의해 인덱싱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로 제한된 내부에 인코딩된 픽처를 가지며, 상기 세그먼트 클러스터에 대해 공간적으로 오프셋된,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들을 갖는 슬라이들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스트리핑 오프되어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추출된 버전을 형성하며,
    상기 추출된 데이터 스트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중 상기 미리 결정된 하나에 대항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 중 상기 미리 결정된 하나를 나타내는 추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57.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세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 각각에 대해, 상기 각각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에 대한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에 의해 인덱싱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로 제한되는 인코딩된 픽처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 인덱스 세트에 대해 공간적으로 오프셋된 인코딩된 세그먼트들을 갖는 슬라이스들을 스트리핑 오프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버전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타임 스탬프들 및/또는 코딩된 픽처 버퍼 검색 시간들 및/또는 버퍼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픽처(18)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저장한 디지털 저장 매체.
  58. 디코더에 있어서,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파라미터 세트(36)를 디코딩하고,
    픽처 디코딩 또는 서브 픽처 디코딩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수행될 것인지를 디코딩 옵션 표시(58)를 도출하고,
    상기 픽처 디코딩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수행되는 경우,
    픽처의 크기 및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픽처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1 디코더 능력 레벨의 표시를 상기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도출하고,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로 인코딩되는 상기 픽처(18)의 세그먼트들의 제1 세트로의 세분화에 대한 제1 정보를 상기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픽처가 제1 코딩 경로(22)를 따라 분할되는 슬라이스들(26)의 단위들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픽처를 디코딩하고 - 상기 제1 코딩 경로는 세그먼트별로 순차적으로 픽처를 횡단하며,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상기 세그먼트들의 제1 세트에서 세그먼트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을 가짐 -,
    상기 서브 픽처 디코딩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추가 픽처 크기 및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추가 픽처 크기의 서브 픽처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2 디코더 능력 레벨의 표시를 도출하고,
    상기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상기 서브 픽처의 세그먼트들의 제2 세트로의 세분화에 대한 제2 정보를 도출하고 - 상기 세그먼트들은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로 인코딩되고, 상기 제2 세트는 상기 세그먼트들의 제1 세트의 서브 세트임 -,
    제2 코딩 경로를 따라 상기 서브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의 단위들로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서브 픽처를 디코딩하도록 - 상기 제2 코딩 경로는 세그먼트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서브 픽처를 횡단하고,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상기 세그먼트들의 제2 세트에서 세그먼트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을 가짐 - 구성되고,
    상기 디코더는,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세그먼트들의 제1 세트 중에서의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를 디코딩하도록 - 시작 위치는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가 인코딩되는 곳에 위치됨 -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59. 제58항에 있어서,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시작 위치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픽처 디코딩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1 코딩 경로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의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제1 개시 위치에 대한 시작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픽처에서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의 시작 위치를 찾고,
    상기 서브 픽처 디코딩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2 코딩 경로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의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제2 개시 위치에 대한 시작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서브 픽처에서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의 시작 위치를 찾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위치 정보는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 내에서 상기 제1 코딩 경로 및 상기 제2 코딩 경로의 일부를 따라 시작 위치를 어드레싱하는 시작 주소가 인코딩된 제1 구문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6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시작 위치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가 상기 제1 코딩 경로 및 상기 제2 코딩 경로의 일부를 따르는 세그먼트의 제1 슬라이스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플래그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가 상기 제1 코딩 경로 및 상기 제2 코딩 경로의 일부를 따르는 상기 세그먼트의 제1 슬라이스가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 내에서 상기 제1 코딩 경로 및 상기 제2 코딩 경로의 일부를 따라 시작 위치를 어드레싱하는 시작 주소가 인코딩된 제1 구문 요소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63. 제62항에 있어서,
    가변 길이 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제1 구문 요소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64.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인덱싱하는 세그먼트 인덱스가 인코딩된 세그먼트 정보로 구성되는 제2 구문 요소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65. 제64항에 있어서,
    고정 길이 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구문 요소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66.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픽처의 상기 세그먼트들의 제2 세트로의 세분화를 도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출하는 것은
    상기 제1 정보로부터 상기 세그먼트들의 제1 세트 중 각각의 세그먼트에 대한 세그먼트 인덱스 값의 연관성을 정의하는 제1 인덱스 데이터 필드를 도출하고,
    상기 제2 정보로부터, 상기 연관성을 사용하여, 상기 서브 픽처가 상기 세그먼트들의 제2 세트로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정의하는 제2 인덱스 데이터 필드를 도출함으로써 행해지고,
    상기 디코더는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의 세그먼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의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식별하기 위해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해 상기 연관성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67. 제5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각각에 대해, 상기 추가 픽처 크기의 인스턴스화 및 상기 제2 디코더 능력 레벨의 표시를 상기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도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각각에 대해, 상기 제2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인스턴스화 세트를 상기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도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턴스화 세트 각각에 대해, 우선 순위 표시를 상기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도출하고,
    상기 디코딩 옵션 표시에 의해 표시된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들 중에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수행 될 상기 서브 픽처 디코딩에 대한 기초인 것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우선 순위 표시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70.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턴스화 세트 각각에 대해, 디코딩 타임 스탬프들 및/또는 코딩된 픽처 버퍼 검색 시간들 및/또는 버퍼 크기를 상기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도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71.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있는 슬라이스들에 의해 커버되는 세그먼트들, 또는
    외부 신호화,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 내의 부가 정보
    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디코딩 옵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72.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픽처는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30)의 단위들로 코딩 경로(22)를 따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코딩되고,
    상기 픽처(18)는 상기 코딩 경로에 의해 순차적으로 세그먼트별로 횡단되는 세그먼트들(30)로 세분화되며,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30)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30)을 가지고, 상기 픽처는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세그먼트들(30)로 인코딩되며,
    상기 방법은,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시작 위치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코딩 경로를 따라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따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44)에 대한 시작 위치를 찾기 위해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하여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 정보(40)의 위치를 찾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48)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는 상기 코딩 경로를 따라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로 인코딩되는 상기 시작 위치를 어드레싱하는 인코딩된 시작 주소를 갖는 제1 구문 요소 - 상기 디코더는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에 대한 상기 시작 주소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시작 위치를 찾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60; 112)를 디코딩하고,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에 대해 상기 시작 주소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시작 위치를 찾고,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픽처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픽처 개시 위치에 대해 상기 시작 주소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시작 위치를 찾도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는 방법.
  73.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픽처를 디코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픽처는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의 단위들로 코딩 경로를 따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코딩되고,
    상기 픽처는 세그먼트별로 상기 코딩 경로에 의해 순차적으로 횡단되는 세그먼트들로 세분화되며,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을 가지며, 상기 픽처는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세그먼트들로 인코딩되고,
    상기 방법은, 미리 결정된 슬라이스에 대해,
    상기 픽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슬라이스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위치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시작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코딩 경로가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에 대한 상기 시작 위치를 찾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시작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픽처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픽처 개시 위치에 대한 상기 시작 위치를 찾고, 상기 시작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픽처를 디코딩하는 방법.
  74. 디코딩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파라미터 세트(36)를 디코딩하는 단계;
    픽처 디코딩 또는 서브 픽처 디코딩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수행될 것인지를 디코딩 옵션 표시(58)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픽처 디코딩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수행되는 경우,
    픽처의 크기 및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픽처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1 디코더 능력 레벨의 표시를 상기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도출하는 단계;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로 인코딩되는 상기 픽처(18)의 세그먼트들의 제1 세트로의 세분화에 대한 제1 정보를 상기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도출하는 단계;
    상기 픽처가 제1 코딩 경로(22)를 따라 분할되는 슬라이스들(26)의 단위들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픽처를 디코딩하는 단계 - 상기 제1 코딩 경로는 세그먼트별로 순차적으로 픽처를 횡단하며,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상기 세그먼트들의 제1 세트에서 세그먼트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을 가짐 -;
    상기 서브 픽처 디코딩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추가 픽처 크기 및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추가 픽처 크기의 서브 픽처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2 디코더 능력 레벨의 표시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상기 서브 픽처의 세그먼트들의 제2 세트로의 세분화에 대한 제2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 상기 세그먼트들은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로 인코딩되고, 상기 제2 세트는 상기 세그먼트들의 제1 세트의 서브 세트임 -;
    제2 코딩 경로를 따라 상기 서브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의 단위들로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서브 픽처를 디코딩하는 단계 - 상기 제2 코딩 경로는 세그먼트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서브 픽처를 횡단하고,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상기 세그먼트들의 제2 세트에서 세그먼트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을 가짐 -; 및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세그먼트들의 제1 세트 중에서의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 시작 위치는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가 인코딩되는 곳에 위치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75. 픽처(18)를 데이터 스트림(10)으로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더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는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30)의 단위들로 코딩 경로(22)를 따라 코딩되는 방식으로 상기 픽처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코더는 상기 픽처(18)가 세그먼트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코딩 경로에 의해 횡단되는 세그먼트들(30)로 세분화되도록 상기 픽처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30)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30)을 가지며,
    상기 인코더는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세그먼트들(30)을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코더는,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해,
    시작 위치 정보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여,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하여,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40)가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코딩 경로를 따라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44)에 대한 상기 시작 위치를 찾기 위한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함으로써 찾아지고;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48)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는 상기 코딩 경로(22)를 따라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되는 상기 시작 위치(40)를 어드레싱하는 인코딩된 시작 주소를 갖는 제1 구문 요소(122) - 상기 시작 주소는 상기 코딩 경로(22)가 상기 시작 위치(40)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상기 개시 위치(44)에 대해 상기 시작 위치를 어드레싱함 - 를 포함하며,

    상기 인코더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60; 112)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60; 112)는
    상기 제1 구문 요소(122)로 인코딩된 시작 주소가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상기 개시 위치(44)에 대해 상기 시작 위치(40)를 어드레싱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1 상태와, 상기 제1 구문 요소(122)로 인코딩된 시작 주소가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픽처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픽처 개시 위치(24)에 대해 상기 시작 위치(40)를 어드레싱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제1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처(18)를 데이터 스트림(10)으로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더.
  76. 픽처를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더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는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30)의 단위들로 코딩 경로(22)를 따라 코딩되는 방식으로 상기 픽처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코더는 상기 픽처(18)가 세그먼트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코딩 경로에 의해 횡단되는 세그먼트들(30)로 세분화되도록 상기 픽처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30)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30)을 가지며,
    상기 인코더는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세그먼트들(30)을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코더는, 미리 결정된 슬라이스에 대해,
    상기 픽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슬라이스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위치 정보를 인코딩하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시작 위치 정보는 상기 코딩 경로가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에 대한 상기 시작 위치를 찾고, 상기 인코더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시작 위치 정보는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픽처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픽처 개시 위치에 대한 상기 시작 위치를 찾아, 상기 시작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가 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처를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더.
  77. 인코더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는 파라미터 세트(36)를 데이터 스트림(10)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라미터 세트는
    픽처 디코딩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수행되도록, 픽처의 크기 및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픽처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1 디코더 능력 레벨의 표시, 및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로 인코딩되는 상기 픽처(18)의 세그먼트들의 제1 세트로의 세분화에 대한 제1 정보를 나타내고 - 상기 픽처 디코딩에 따라, 상기 픽처는 상기 픽처가 제1 코딩 경로(22)를 따라 분할되는 슬라이스들(26)의 단위들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픽처가 디코딩 가능하고, 상기 제1 코딩 경로는 세그먼트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픽처를 횡단하고,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상기 세그먼트들의 제1 세트 중에서의 세그먼트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을 가짐 -,
    서브 픽처 디코딩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수행되도록, 추가 픽처 크기 및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추가 픽처 크기의 서브 픽처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2 디코더 능력 레벨의 표시, 및 상기 서브 픽처의 세그먼트들의 제2 세트로의 세분화에 대한 제2 정보를 나타내며 - 상기 세그먼트들은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로 인코딩되고, 상기 제2 세트는 상기 세그먼트들의 제1 세트의 서브 세트이고, 상기 서브 픽처 디코딩에 따라, 상기 서브 픽처는 상기 서브 픽처가 제2 코딩 경로를 따라 분할되는 슬라이스들의 단위들로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 가능하고, 상기 제2 코딩 경로는 세그먼트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서브 픽처를 횡단하고,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상기 세그먼트들의 제2 세트 중에서의 세그먼트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을 가지며,
    상기 인코더는,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상기 세그먼트들의 제1 세트 중에서의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 시작 위치는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가 인코딩되는 곳에 위치됨 -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더.
  78. 픽처(18)를 데이터 스트림(10)으로 인코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30)의 단위들로 코딩 경로(22)를 따라 코딩되는 방식으로 상기 픽처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픽처는 상기 픽처(18)가 세그먼트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코딩 경로에 의해 횡단되는 세그먼트들(30)로 세분화되는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되고,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30)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30)를 가지며,
    상기 세그먼트들(30)은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인코딩되고,
    상기 방법은,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해,
    시작 위치 정보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여,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하여,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40)는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코딩 경로를 따라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횡단하는 개시 위치(44)에 대한 시작 위치를 찾기 위한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함으로써 찾을 수 있는 단계;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48)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는 상기 코딩 경로(22)를 따라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되는 상기 시작 위치(40)를 어드레싱하는 인코딩된 시작 주소를 갖는 제1 구문 요소(122) - 상기 시작 주소는 상기 코딩 경로(22)가 상기 시작 위치(40)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상기 개시 위치(44)에 대해 상기 시작 위치를 어드레싱함 - 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60; 112)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60; 112)는
    상기 제1 구문 요소(122)로 인코딩된 시작 주소가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상기 개시 위치(44)에 대해 상기 시작 위치(40)를 어드레싱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1 상태와, 상기 제1 구문 요소(122)로 인코딩된 시작 주소가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픽처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픽처 개시 위치(24)에 대해 상기 시작 위치(40)를 어드레싱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제1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처(18)를 데이터 스트림(10)으로 인코딩하는 방법.
  79. 픽처를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30)의 단위들로 코딩 경로(22)를 따라 코딩되는 방식으로 상기 픽처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픽처(18)가 세그먼트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코딩 경로에 의해 횡단되는 세그먼트들(30)로 세분화되는 방식으로 상기 픽처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되고,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30)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30)을 가지며,
    상기 세그먼트들(30)은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인코딩되고,
    상기 방법은, 미리 결정된 슬라이스에 대해,
    상기 픽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슬라이스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위치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시작 위치 정보는 상기 코딩 경로가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에 대한 상기 시작 위치를 찾고,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시작 위치 정보는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픽처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픽처 개시 위치에 대한 상기 시작 위치를 찾아, 상기 시작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가 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처를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방법.
  80. 인코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파라미터 세트(36)를 데이터 스트림(10)으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 세트는
    픽처 디코딩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수행되도록, 픽처의 크기 및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픽처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1 디코더 능력 레벨의 표시, 및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로 인코딩되는 상기 픽처(18)의 세그먼트들의 제1 세트로의 세분화에 대한 제1 정보를 나타내고 - 상기 픽처 디코딩에 따라, 상기 픽처는 상기 픽처가 제1 코딩 경로(22)를 따라 분할되는 슬라이스들(26)의 단위들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픽처가 디코딩 가능하고, 상기 제1 코딩 경로는 세그먼트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픽처를 횡단하고,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상기 세그먼트들의 제1 세트 중에서의 세그먼트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을 가짐 -,
    서브 픽처 디코딩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수행되도록, 추가 픽처 크기 및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추가 픽처 크기의 서브 픽처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2 디코더 능력 레벨의 표시, 및 상기 서브 픽처의 세그먼트들의 제2 세트로의 세분화에 대한 제2 정보를 나타내며 - 상기 세그먼트들은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로 인코딩되고, 상기 제2 세트는 상기 세그먼트들의 제1 세트의 서브 세트이고, 상기 서브 픽처 디코딩에 따라, 상기 서브 픽처는 상기 서브 픽처가 제2 코딩 경로를 따라 분할되는 슬라이스들의 단위들로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 가능하고, 상기 제2 코딩 경로는 세그먼트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서브 픽처를 횡단하고,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상기 세그먼트들의 제2 세트 중에서의 세그먼트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을 가지며,
    상기 방법은,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상기 세그먼트들의 제1 세트 중에서의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 - 시작 위치는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가 인코딩되는 곳에 위치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방법.
  81. 삭제
  82.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픽처는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30)의 단위들로 코딩 경로(22)를 따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코딩되고,
    상기 픽처(18)는 상기 코딩 경로에 의해 순차적으로 세그먼트별로 횡단되는 세그먼트들(30)로 세분화되며,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30)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30)을 가지고, 상기 픽처는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세그먼트들(30)로 인코딩되며,
    상기 방법은,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시작 위치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코딩 경로를 따라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따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44)에 대한 시작 위치를 찾기 위해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하여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 정보(40)의 위치를 찾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48)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를 디코딩하고,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가 제1 상태를 갖는 경우,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에 대한 상기 시작 위치를 찾기 위해 상기 시작 위치 정보를 사용하고,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가 제2 상태를 갖는 경우,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픽처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픽처 개시 위치에 대한 상기 시작 위치를 찾기 위해 상기 시작 위치 정보를 사용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는 방법.
  83.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픽처는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30)의 단위들로 코딩 경로(22)를 따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코딩되고,
    상기 픽처(18)는 상기 코딩 경로에 의해 순차적으로 세그먼트별로 횡단되는 세그먼트들(30)로 세분화되며,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30)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30)을 가지고, 상기 픽처는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세그먼트들(30)로 인코딩되며,
    상기 방법은,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해,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시작 위치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코딩 경로를 따라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따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44)에 대한 시작 위치를 찾기 위해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하여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 정보(40)의 위치를 찾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48)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파라미터 세트를 디코딩하고 - 상기 파라미터 세트는
    상기 픽처의 크기;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픽처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1 디코더 능력 레벨의 표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에 대한,
    상기 세그먼트들의 적절한 서브 세트로 구성된 세그먼트 클러스터에 대응하는 감소된 픽처 크기; 및
    상기 세그먼트 클러스터로 공간적으로 오프셋된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들을 갖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슬라이스들을 스트리핑 오프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스트림의 추출된 버전으로부터 상기 세그먼트 클러스터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2 디코더 능력 레벨;을 나타냄 -,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픽처를 디코딩할 때 상기 제1 디코더 능력 레벨의 준수를 검사하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추출된 버전으로부터 상기 세그먼트 클러스터를 디코딩할 때 상기 제2 디코더 능력 레벨의 준수를 검사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스트림(10)으로부터 픽처(18)를 디코딩하는 방법.
  84. 픽처(18)를 데이터 스트림(10)으로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더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는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30)의 단위들로 코딩 경로(22)를 따라 코딩되는 방식으로 상기 픽처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코더는 상기 픽처(18)가 세그먼트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코딩 경로에 의해 횡단되는 세그먼트들(30)로 세분화되도록 상기 픽처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30)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30)을 가지며,
    상기 인코더는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세그먼트들(30)을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코더는,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해,
    시작 위치 정보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여,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하여,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40)가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코딩 경로를 따라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44)에 대한 상기 시작 위치를 찾기 위한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함으로써 찾아지고;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48)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코더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60; 112)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60; 112)는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가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상기 개시 위치(44)에 대해 상기 시작 위치(40)를 나타내는 것을 나타내는 제1 상태와, 상기 시작 위치 정보가 상기 코딩 경로(22)가 상기 픽처(18)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픽처 개시 위치(24)에 대해 상기 시작 위치(40)를 나타내는 것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제1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처(18)를 데이터 스트림(10)으로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더
  85. 픽처(18)를 데이터 스트림(10)으로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더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는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30)의 단위들로 코딩 경로(22)를 따라 코딩되는 방식으로 상기 픽처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코더는 상기 픽처(18)가 세그먼트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코딩 경로에 의해 횡단되는 세그먼트들(30)로 세분화되도록 상기 픽처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30)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30)을 가지며,
    상기 인코더는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상기 세그먼트들(30)을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코더는,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해,
    시작 위치 정보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여,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하여,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40)가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코딩 경로를 따라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개시 위치(44)에 대한 상기 시작 위치를 찾기 위한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함으로써 찾아지고;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48)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코더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파라미터 세트(36)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라미터 세트(36)는
    상기 픽처의 크기;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픽처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1 디코더 능력 레벨의 표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148)에 대한,
    상기 세그먼트들의 서브 세트로 구성된 세그먼트 클러스터에 대응하는 추가 픽처 크기; 및
    상기 세그먼트 클러스터로 공간적으로 오프셋된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들을 갖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슬라이스들을 스트리핑 오프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스트림의 추출된 버전으로부터 상기 세그먼트 클러스터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2 디코더 능력 레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처(18)를 데이터 스트림(10)으로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더.
  86. 픽처(18)를 데이터 스트림(10)으로 인코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30)의 단위들로 코딩 경로(22)를 따라 코딩되는 방식으로 상기 픽처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픽처는 상기 픽처(18)가 세그먼트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코딩 경로에 의해 횡단되는 세그먼트들(30)로 세분화되는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되고,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30)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30)를 가지며,
    상기 세그먼트들(30)은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인코딩되고,
    상기 방법은,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해,
    시작 위치 정보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여,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하여,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40)는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코딩 경로를 따라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횡단하는 개시 위치(44)에 대한 시작 위치를 찾기 위한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함으로써 찾을 수 있는 단계;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48)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60; 112)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작 위치 코딩 모드 플래그(60; 112)는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가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상기 개시 위치(44)에 대해 상기 시작 위치(40)를 나타내는 것을 나타내는 제1 상태와, 상기 시작 위치 정보가 상기 코딩 경로(22)가 상기 픽처(18)를 횡단하기 시작하는 픽처 개시 위치(24)에 대해 상기 시작 위치(40)를 나타내는 것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제1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처(18)를 데이터 스트림(10)으로 인코딩하는 방법.
  87. 픽처(18)를 데이터 스트림(10)으로 인코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픽처가 분할되는 슬라이스들(30)의 단위들로 코딩 경로(22)를 따라 코딩되는 방식으로 상기 픽처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픽처는 상기 픽처(18)가 세그먼트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코딩 경로에 의해 횡단되는 세그먼트들(30)로 세분화되는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되고, 각각의 슬라이스는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30)의 일부 또는 완전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30)를 가지며,
    상기 세그먼트들(30)은 코딩 상호 의존성들이 없이 인코딩되고,
    상기 방법은,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해,
    시작 위치 정보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여, 상기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하여, 상기 픽처가 상기 각각의 슬라이스(26)로 인코딩되는 시작 위치(40)는 상기 코딩 경로가 상기 코딩 경로를 따라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횡단하는 개시 위치(44)에 대한 시작 위치를 찾기 위한 시작 위치 정보(42)를 사용함으로써 찾을 수 있는 단계;
    상기 시작 위치가 위치하는 세그먼트(30)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정보(48)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파라미터 세트(36)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 세트(36)는
    상기 픽처의 크기;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픽처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1 디코더 능력 레벨의 표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처 디코딩 옵션(148)에 대한,
    상기 세그먼트들의 서브 세트로 구성된 세그먼트 클러스터에 대응하는 추가 픽처 크기; 및
    상기 세그먼트 클러스터로 공간적으로 오프셋된 내부에 인코딩된 세그먼트들을 갖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슬라이스들을 스트리핑 오프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스트림의 추출된 버전으로부터 상기 세그먼트 클러스터를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제2 디코더 능력 레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처(18)를 데이터 스트림(10)으로 인코딩하는 방법
  88.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제72항 내지 제74항, 제78항 내지 제80항, 제82, 83, 86, 및 8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7024113A 2018-01-25 2019-01-21 효율적인 서브 픽처 추출 KR102515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0182A KR20230044333A (ko) 2018-01-25 2019-01-21 효율적인 서브 픽처 추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53516 2018-01-25
EP18153516.2 2018-01-25
PCT/EP2019/051394 WO2019145262A1 (en) 2018-01-25 2019-01-21 Efficient sub-picture extrac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182A Division KR20230044333A (ko) 2018-01-25 2019-01-21 효율적인 서브 픽처 추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415A KR20200110415A (ko) 2020-09-23
KR102515357B1 true KR102515357B1 (ko) 2023-03-29

Family

ID=610275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113A KR102515357B1 (ko) 2018-01-25 2019-01-21 효율적인 서브 픽처 추출
KR1020237010182A KR20230044333A (ko) 2018-01-25 2019-01-21 효율적인 서브 픽처 추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182A KR20230044333A (ko) 2018-01-25 2019-01-21 효율적인 서브 픽처 추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245898B2 (ko)
EP (2) EP3744103B1 (ko)
JP (2) JP7220223B6 (ko)
KR (2) KR102515357B1 (ko)
CN (2) CN115967801A (ko)
WO (1) WO20191452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2770B (en) 2018-04-09 2022-11-02 Canon Kk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or decoding video data with frame portions
JP7437374B2 (ja) * 2018-07-02 2024-02-22 ノキア テクノロジーズ オーユー ビデオコーディングでのタイル関連アドレス指定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230128584A (ko) 2018-09-13 2023-09-05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비트 스트림 병합
WO2020034330A1 (en) * 2018-09-28 2020-02-20 Zte Corporation Video encoding and decoding methods and apparatus
WO2020178126A1 (en) * 2019-03-01 2020-09-1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Hypothetical reference decoder
US11212530B2 (en) * 2019-06-24 2021-12-28 Tencent America LLC Method for slice, tile and brick signaling
US11356685B2 (en) 2019-09-23 2022-06-07 Qualcomm Incorproated Signaling number of sub-pictures in high-level syntax for video coding
WO2021061033A1 (en) * 2019-09-23 2021-04-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gment position signalling with subpicture slice position deriving
JP7482220B2 (ja) * 2019-10-18 2024-05-13 北京字節跳動網絡技術有限公司 サブピクチャのパラメータセットシグナリングにおける構文制約
WO2021170058A1 (en) 2020-02-27 2021-09-02 Beijing Bytedance Network Technology Co., Ltd. Transform skip residual coding
EP4140133A4 (en) * 2020-05-27 2023-08-23 ByteDance Inc. USE OF SUBFRAMES AND TILES IN VIDEO ENCODING
WO2021257529A1 (en) * 2020-06-17 2021-12-23 Bytedance Inc. Decoded picture buffer management and subpictures in video coding
WO2022065893A1 (ko) * 2020-09-24 2022-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파일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20230362456A1 (en) * 2020-09-24 2023-11-09 Lg Electronics Inc. Media fil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WO2023237119A1 (en) * 2022-06-10 2023-12-14 Beijing Bytedance Network Technology Co., Ltd.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video processing
US11695965B1 (en) 2022-10-13 2023-07-0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ideo coding using a coded picture buff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8100B2 (en) 2004-10-20 2008-08-26 Cisco Technology, Inc. Enciphering method
JP2007081668A (ja) * 2005-09-13 2007-03-29 Funa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US9584819B2 (en) * 2011-10-24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Grouping of tiles for video coding
CN104170383A (zh) * 2012-03-15 2014-11-26 索尼公司 图像处理装置和方法
US9838684B2 (en) * 2012-04-11 2017-12-05 Qualcomm Incorporated Wavefront parallel processing for video coding
US9621905B2 (en) * 2012-06-29 2017-04-11 Qualcomm Incorporated Tiles and wavefront parallel processing
SG11201501400QA (en) * 2012-09-26 2015-04-29 Panasonic Ip Corp America Image decoding method, image coding method, image decoding apparatus, image coding apparatus, and image 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US20140192899A1 (en) * 2013-01-09 2014-07-10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ferring to bitstream address related information derived from segment of multi-tile picture to determine bitstream start address of tile of multi-tile picture
WO2018123608A1 (ja) 2016-12-27 2018-07-0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415A (ko) 2020-09-23
WO2019145262A1 (en) 2019-08-01
US20220272337A1 (en) 2022-08-25
CN115967801A (zh) 2023-04-14
EP4351138A2 (en) 2024-04-10
KR20230044333A (ko) 2023-04-03
JP2021512534A (ja) 2021-05-13
EP3744103B1 (en) 2024-03-27
CN111771379B (zh) 2022-10-11
EP4351138A3 (en) 2024-06-05
US20200351497A1 (en) 2020-11-05
US11838504B2 (en) 2023-12-05
US20240056573A1 (en) 2024-02-15
EP3744103A1 (en) 2020-12-02
JP7476371B2 (ja) 2024-04-30
CN111771379A (zh) 2020-10-13
JP7220223B2 (ja) 2023-02-09
JP7220223B6 (ja) 2023-03-10
US11245898B2 (en) 2022-02-08
JP2023052759A (ja)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5357B1 (ko) 효율적인 서브 픽처 추출
US11677966B2 (en) Efficient scalable coding concept
JP7485689B2 (ja) エンコーダ、デコーダ及び対応する方法
WO2013106705A2 (en) Coding parameter sets and nal unit headers for video coding
WO2013016610A1 (en) Multiview video coding
CN114787921A (zh) 用于假设参考解码器和用于输出层集的视频数据流、视频编码器、装置和方法
KR20230008812A (ko) 시간적 모션 벡터 예측, 인터계층 참조 및 시간적 서브계층 지시의 비디오 코딩 양태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