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330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330B1
KR102515330B1 KR1020160112227A KR20160112227A KR102515330B1 KR 102515330 B1 KR102515330 B1 KR 102515330B1 KR 1020160112227 A KR1020160112227 A KR 1020160112227A KR 20160112227 A KR20160112227 A KR 20160112227A KR 102515330 B1 KR102515330 B1 KR 102515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touch screen
state
refrigerato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2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5047A (en
Inventor
채지석
권은경
김영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2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330B1/en
Publication of KR20180025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0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3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5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odori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일 영역이 보이도록 투명한 상태인 제1 상태와, 불투명한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상태로 상호 전환되도록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 상기 저장실 내부의 가스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가스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탈취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취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1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탈취기능을 나타내는 화면정보를 특정시간 동안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first condition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door and being transparent so that one area of the storage compartment is visible, and an opaque In the second state, a touch screen formed to be mutually converted from one state to another state, a sensor unit having at least one gas sensor for detecting gas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based on the gas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executes a deodorizing func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ouch screen to switch the touch screen to a first state and display screen information indicating the deodorizing function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when the deodorizing function is executed. It provides a refrigerator including a control unit to do.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투명도의 조절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이 장착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capable of adjusting transparency.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that freezes or refrigerates food by discharging cool air generated by a refrigeration cycle includ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 evaporator, and the like to lowe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or.

최근에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본래의 기능에서 냉장고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있다. 즉, 냉장고의 도어에 디스펜서를 설치하여 정수와 얼음을 제공하기도 하고, 도어 전면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냉장고의 상태를 보여주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In recent years, the functions of refrigerators have been diversified from their original function of refrigerating or freezing food. That is, a dispenser is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to provide purified water and ice, and a display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door to show and manage the state of the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도어는 불투명하게 제작되어 본체의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도어는 사용자가 냉장실이나 냉동실에 접근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를 열기 전에는 냉장고에 저장된 음식물의 종류와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general,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made opaque and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main body. Such a door may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a user can access a refrigerating or freezing compartment. Therefore, it is common for a user to be unable to determine the type and location of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before opening the door.

이처럼 불투명하게 제작되는 냉장고 도어의 외부에는 화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냉장고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 및 다양한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냉장고의 다양한 기능들이 제어될 수 있다. A display area capable of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may be formed outside the refrigerator door made to be opaque. Accordingly, menus and various information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the refrigerator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area, and various functions of the refrigerator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applied through the display area.

한편 이처럼 냉장고의 도어가 불투명하게 제작되는 경우, 사용자는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 않고서는 고내에 저장된 음식물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는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고내의 음식물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냉장고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처럼 냉장고의 도어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저장된 음식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디스플레이 영역의 부재로 인해 냉장고의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Meanwhile, whe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made opaqu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cannot check the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without opening the refrigerator doo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frigerators having transparent doors have appeared so that users can check food inside the refrigerator without opening the door. However, whe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formed transparen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ate of stored food can be checked without opening the door,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function of the refrigerator due to the absence of a display area.

이에 따라 투명하게 형성되는 도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따른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도어를 통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이점을 모두 가질 수 있는 방안이 현재 활발하게 연구 중인 실정이다.Accordingly, a method that can have all the advantages of the display area provided through the door while maintaining the advantages of using a transparent door is currently being actively research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냉장고의 특정 기능의 실행을 나타내는 화면을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other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with a refrigerator including a touch screen that outputs a screen indicating execution of a specific function of the refrigerator.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일 영역이 보이도록 투명한 상태인 제1 상태와, 불투명한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상태로 상호 전환되도록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 상기 저장실 내부의 가스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가스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탈취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취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1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탈취기능을 나타내는 화면정보를 특정시간 동안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one side of the door. A touch screen dispos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formed to be mutually switched from one state to another among a transparent first state and an opaque second state so that one area of the storage compartment can be seen, and a gas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A sensor unit having at least one gas sensor for detecting gas and a control unit for executing a deodorization function based on a gas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touch screen in a first step when the deodorization function is executed. state and the touch screen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screen information indicating the deodorizing function for a specific tim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취기능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탈취기능의 진행 정도에 따라서 상기 화면정보의 투명도가 변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to change the transparency of the scree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ogress of the deodorizing function while the deodorizing function is being performed.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화면정보는 상기 저장실의 복수의 저장공간 중 상기 가스가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일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cree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an area on the touch scree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storage space in which the gas is sensed among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of the storage compartmen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실 내부에 배치되며 감지된 가스와 관련된 객체의 정보를 상기 화면정보와 함께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to display information on an object dispos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related to the sensed gas together with the screen information based on the gas detection resul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복수의 저장공간을 구획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가스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가스센서에 의한 가스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 중 일부 공간에서 선택적으로 탈취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orage chamber partitions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the senso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gas sensor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and the controller determines a gas detection result by the plurality of gas sensors.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execute a deodorizing function in some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 중 가스가 감지된 일 저장공간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의 일 영역의 투명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one region of the touch screen corresponding to one storage space in which gas is sensed among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가스가 감지되면, 감지된 상기 가스와 관련된 음식물 정보 및/또는 상기 가스가 감지된 상기 저장공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정보를 기 설정된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is further included, and when gas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food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ected gas and/or information about the storage space in which the gas is detect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no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to a preset external devic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복수의 저장공간을 구획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가스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가스센서에 의하여, 각 저장공간에 대응되는 가스감지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가스감지 이미지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각 저장공간의 탈취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orage chamber partitions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the senso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gas sensor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and the control unit uses the plurality of gas sensors for each storage space. The touch screen may be controlled to output a gas detectio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pace, and a deodorizing function of each storage space may be executed based on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gas detection imag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가스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탈취가 필요한 것으로 식별된 저장공간에 대응되는 영역과 나머지 영역의 투명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gas sensor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and the controller divides the touch screen into a plurality of area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Transparency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space identified as requiring deodorization and the remaining area may be differently adjusted.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가스의 농도 및/또는 탈취 필요여부를 나타내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touch screen to indicate the concentration of the ga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or whether or not deodorization is necessary.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의 농도가 기 설정된 기준농도 이상인 경우, 특정 종류의 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특정 시간 이상 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터치 스크린의 투명도를 투명상태에서 불투명 상태로 또는 불투명 상태에서 투명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transparency of the touch screen in at least one of cases where the concentration of the ga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concentration, when a specific type of gas is detected, and when a gas is detected for a specific time or longer. can be changed from a transparent state to an opaque state or from an opaque state to a transparent state.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탈취기능을 실행하는 동안 또는 가스가 감지되는 동안 터치 스크린의 투명도를 변경하거나 화면정보를 출력하므로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으로 기능의 실행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ransparency of the touch screen is changed or screen information is output while the deodorization function is executed or gas is sensed, the user can more intuitively check the execution of the function.

또한, 구획되어 있는 저장공간을 나타내는 제어 이미지를 통하여 각 저장공간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unction of each storage space is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 image representing the partitioned storage spac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in the area desired by the user while reducing power consumption.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도 1d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에 구비되는 도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탈취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터치 스크린의 투명도가 변경되며 탈취기능을 나타내는 특정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동작 과장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c 및 도 3d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탈취기능을 나타내는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 내지 도 도 4c는 복수의 저장공간에서 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이를 리는 알림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감지되는 가스의 알림정보를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 정보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가스감지를 나타내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냉장고 내의 온도 변화의 제어를 표시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이미지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저장실의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제1 상태에서 촬영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A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refrigerato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b and 1c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refrigerato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D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E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door provided in a refrigerato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ggerated operation of displaying specific screen information indicating the deodorization function while the transparency of the touch screen is changed while the deodorization function is performed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method of Figure 3a.
3C and 3D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outputting screen information representing a deodoriz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4A to 4C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outputting a notification image notifying when gas is detected in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feature of transmi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of detected gas to an external device.
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feature of gas detection by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screen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control of a temperature change in a refrigerator.
8A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outputting a photographed image using a camera.
8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method of FIG. 8A.
9A to 9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outputting a photographed image in a first transparent state in which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is vi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이하의 도면들의 설명 순서는, 좌측 상단의 도면을 시작으로, 시계 방향 순서로 설명하며, 좌측 상단의 도면은, '첫번째 도면', 우측 상단의 도면은 '두번째 도면', 우측 하단의 도면은 '세번째 도면', 좌측 하단의 도면은 '네번째 도면'으로 명명하면서, 설명한다.*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drawings is explained in clockwise order, starting with the drawing at the top left, the drawing at the top left is the 'first drawing', the drawing at the top right is the 'second drawing', and the drawing at the bottom right is the 'first drawing'. The 'third drawing' and the lower left drawing are named 'fourth drawing' and described.

우선 도 1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rst, referring to FIG. 1A, FIG. 1A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refrigerator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냉장고(100)는 통신부(130), 센싱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사용자 입력부(160) 및 메모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냉장고(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냉장고(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 display unit 150, a user input unit 160, and a memory 170.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to implement the refrigerator 100, so the refrigerator 100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통신부(130)는, 냉장고(100)와 기 설정된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냉장고(10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사이, 또는 냉장고(100)와 특정 외부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30)는, 냉장고(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mong the components, the communication unit 130 is between the refrigerator 100 and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refrigerator 100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or between the refrigerator 100 and a specific external server.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of Also,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connecting the refrigerator 100 to one or more networks.

센싱부(140)는 냉장고(100) 내 정보, 냉장고(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카메라(141), 냉장고(100)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저장 공간 각각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무게 센서(142), 냉장고(100) 주변에 인접한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143, proximity sensor),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터치 입력을 통해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144), 가스센서(145),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마이크로폰(microphone), 환경 센서(예를 들어, 습도계, 온도계, 냄새 감지 센서 등), 홍채 인식 센서와 같은 생체 인식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냉장고(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within the refrigerator 100,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refrigerator 100,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40 may detect a camera 141, a weight sensor 142 capable of detecting the weight of each of at least one storage space in the refrigerator 100, and a user adjacent to the refrigerator 100. When a user's touch input is detected through a proximity sensor (143) that can detect a touch input, a pressure sensor (144) that can measure pressure applied through the touch input, a gas sensor (145), and an infrared sensor (IR sensor: infrared sensor),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finger scan sensor), ultrasonic sensor (ultrasonic sensor), microphone (microphone), environmental sensor (eg hygrometer, thermometer, odor sensor, etc.), iris recognition sensor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ame biometric sensors. Meanwhile, the refrigerator 100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상기 가스센서(145)는 상기 냉장고의 내부 저장실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00)는 구획된 서로 다른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스센서(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센서(145)는 저장실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가스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가스의 종류와 가스의 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The gas sensor 145 may be disposed in an internal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and the refrigerator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as sensors 145 disposed in different partitioned spaces. The gas sensor 145 can detect various types of gas genera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check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the detected gas.

한편 디스플레이부(150)는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0)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냉장고(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60)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냉장고(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15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he display unit 150 may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or be integrally formed, thereby realizing a touch screen.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60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refrigerator 100 and the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refrigerator 100 and the user.

사용자 입력부(160)는,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키들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60 may include a microphone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 audio input unit, and at least one key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These keys are composed of virtual keys, soft keys, or visual key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rough software processing, or touch keys disposed on a part other than the touch screen. key) can be made. Meanwhile, the virtual key or visual key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ile having various forms, for example, graphic, text, icon, video, or can be made of a combination of

또한, 메모리(170)는 냉장고(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냉장고(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냉장고(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냉장고(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각 저장 영역 별 온도 관리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냉장고(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Also,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refrigerator 100 .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that are driven in the refrigerator 100, data for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100,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refrigerator 1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basic functions of the refrigerator 100 (eg, temperature management function for each storage area).

한편 제어부(180)는 냉장고(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80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refrigerator 100 . The control unit 180 may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or by runn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냉장고(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reviewed in conjunction with FIG. 1A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Furthermore, the controller 180 may combine and operat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refrigerator 100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또한,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일지라도, 상기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시간 또는 상기 터치 입력을 통해 측정되는 압력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서로 다른 입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일 지점에 최초로 터치 입력(제1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인가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그 터치 입력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거나, 그 터치 입력을 통해 인가되는 압력이 변경되는 경우, 그 터치 입력을 제2 터치 입력으로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lso, even if the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same point on the touch screen, the controller 180 may classify the touch input into different inputs based on the duration of the touch input or the pressure measured through the touch input. . That is, when a touch input (first touch input) is applied to a point on the touch screen for the first time, the controller 180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applied touch input, and the touch inpu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When the pressure applied through the touch input is changed, the touch input may be detected as a second touch input. In addition, another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input may be performed.

한편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인가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냉장고(100)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 설정된 터치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인가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터치 입력이 감지된 터치 스크린 상의 지점들이 형성하는 패턴과 일치하는 기 정의된 패턴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 결과,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으로부터 형성되는 패턴에 일치하는 패턴이 있는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에 일치하는 특정 패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실행되도록 상기 냉장고(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a plurality of touch inputs that are continuously appli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re applied,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e plurality of touch inputs as a predetermined touch input for controlling one or more functions of the refrigerator 100. can That is, when a plurality of touch inputs that are continuously applied within a preset time are detected, the controller 180 may detect a predefined pattern that matches a pattern formed by points on the touch screen where the touch inputs are detected.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if there is a pattern matching the pattern formed from the plurality of touch inputs,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refrigerator 100 to execute at least one function according to a specific pattern matching the plurality of touch inputs. You can control each component of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는 정수 시스템 및 정수부(191)를 구비하여, 상기 정수 시스템에서 정수된 물을 토출하는 정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수부(19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정수된 물을 출수할 수 있는 디스펜서(dispenser) 및 토출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정수부(191)는 상기 토출부를 통해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물을 토출하거나, 또는 일정 온도 이하의 액체 상태의 물을 토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정수된 물의 일부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고, 생성된 얼음을 상기 토출부를 통해 토출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efriger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a water purification unit 191 to provide a water purification function of discharging purified water from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The water purification unit 191 may include a dispenser and a discharge unit (not shown) capable of dispensing the purified water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e water purification unit 191 may discharge water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or liquid wate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lower through the discharge unit. Alternatively,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some of the purified water may be cooled to form ice, and the ice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한편 이러한 정수부(191)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정수부(191)를 통해 물 또는 얼음이 토출되는 경우, 토출되는 물 및 얼음의 양에 근거하여 일정 기간(예를 들어 하루) 동안 토출된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토출된 물의 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터치 스크린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정수 기능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에 관련하여 상기 일정 기간 동안 토출된 물의 양을 상기 인식된 사용자가 섭취한 물의 양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물 섭취량 정보는 각각의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개인 정보에 근거하여, 각 사용자에게 권장되는 하루 물 섭취량을 기준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water purification unit 191 may be manag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 For example, when water or ice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unit 191, the controller 180 may measure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g, one day)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and ice discharged. there is. In addition,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amount of discharged water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touch screen. In this case, when the water purification function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may recognize the user and display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in relation to the recognized user as the amount of water consumed by the recognized user. In this case, the water intake amoun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based on a recommended daily water intake amount for each user based on personal information approved by each user.

냉장고(100)에 포함되는 탈취부(192)는 저장실에서 발생한 냄새의 탈취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탈취부(192)는 상기 저장실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경우 상기 탈취부(192)는 각 복수의 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탈취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odorizing unit 192 included in the refrigerator 100 performs a function of deodorizing odors genera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The deodorizing part 192 may be disposed in one area of the storage compartment. When the storage compartmen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the deodorizing unit 192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odorizing devices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냉장고(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 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냉장고(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in ord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lso,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100 may be implemented on the refrigerator 100 by runn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한편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100)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Meanwhile, FIGS. 1B and 1C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frigerator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는 내부에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200)와,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20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100)의 도어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210)에는 상기 정수장치(190)의 정수 기능에 따라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토출하기 위한 정수장치(290)가 형성될 수 있다.The refriger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200 including a storage compartment therein, and at least one doo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can Further, a water purifying device 290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or ice according to the water purifying function of the water purifying device 190 may be formed in one of the doors (for example, 210) of the refrigerator 100.

여기서 상기 도어들 중 어느 하나의 도어(210)는 투명도 조절을 통해 완전 불투명 상태에서 투명 상태까지 투명도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어(210)는 문자,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 다양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영역(2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2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201)이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 the transparency of any one of the doors 210 can be adjusted from a completely opaque state to a transparent state by adjusting the transparency. In addition, the door 210 may have a display area 201 including a transparent display panel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to display various image information such as text, image, or video. As described above,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201 may form a touch screen by forming a mutual layer structure or integrally with the touch senso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assumed that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201 forms a touch screen.

이러한 터치 스크린(201)은 상기 도어(210)의 전면 전부 또는 상기 도어(210)의 전면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터치 스크린(201)이 상기 도어(210)에 복수개의 서로 다른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도어(210)의 전면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터치 스크린(201)이 복수 개로 구획되어 상기 복수개의 서로 다른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도 있다. The touch screen 201 may be formed on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door 210 or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10 . In addition, a plurality of touch screens 201 form a plurality of different touch screens on the door 210, or one touch screen 201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to form the plurality of touch screens 201. Two different touch screens may be formed.

한편 복수개의 터치 스크린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저장실 내부에서 선반 등에 의하여 구획되는 저장 영역 각각의 전면 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터치 스크린 중 어느 하나의 상하 방향 폭은, 일 저장 영역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선반들 간의 높이에 대응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터치 스크린의 좌우 폭은 상기 도어(210)의 프레임 부분을 제외한 도어(210) 폭에 대응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획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어느 하나의 터치 스크린이, 특정 저장 공간의 전면 면적보다 더 작게 형성되거나, 복수의 저장 영역의 전면 면적들을 합친 면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when a plurality of touch screens are formed, the plurality of touch screens may correspond to the front area of each storage area partitioned by a shelf or the like in the storage compartment. That is, the vertical width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ouch screens corresponds to the height between shelv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one storage area, and the left-right width of any one of the touch screens corresponds to the door 210 It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door 210 excluding the frame portion of.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division method, and any one of the touch screens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front area of a specific storage space or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mbined area of the front areas of a plurality of storage areas.

한편 상기 터치 스크린(201)에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러한 터치 입력을 상기 터치 스크린(201)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터치 입력으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란 상기 터치 스크린(201)의 특정 영역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이나,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터치 상태가 유지되는 터치 입력, 또는 인가되는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인 터치 입력일 수도 있다. 또는 기 설정된 패턴으로 인가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일 수도 있다. Meanwhile, when a preset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touch screen 201, the controller 180 can detect this touch input as a touch input for changing the state of the touch screen 201. Here, the preset touch input may be a touch input applied to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screen 201, a touch input in which a touch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a touch input in which an applied pressur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Alternatively, it may be a plurality of touch inputs applied in a preset pattern.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201)에 대해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201)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1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201)이, 대응되는 저장 공간에 저장된 음식물이 식별가능하게 투명한 상태라면, 제어부(180)는 도 1c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스크린(201)이 상기 저장된 음식물의 식별이 불가능하게 불투명하게 표시되는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상기 터치 스크린(201)이 불투명하게 표시되는 상태라면, 제어부(180)는 상기 기 설정된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201)을 투명한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controller 180 can change the state of the touch screen 201 when a preset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touch screen 201 . That is, as shown in FIG. 1B, if the touch screen 201 is in a transparent state in which food stored in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 is identifiable,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touch screen 201 as shown in FIG. 1C. It is possible to switch to a state in which identification of the stored food is impossible and opaquely displayed. Conversely, if the touch screen 201 is opaque, the controller 180 may switch the touch screen 201 to a transparent state based on the preset touch input.

한편 상기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이 특정 패턴을 형성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냉장고(10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복수의 터치 입력으로부터 형성되는 패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이 인가된 특정 도어의 터치 스크린 투명도가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냉장고(100)에 저장된 음식물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 중,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으로부터 형성되는 패턴에 대응되는 특정 정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식물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는, 특정 저장 공간에 저장된 음식물의 잔량을 측정한 정보 또는 음식물의 유효기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잔량 측정 정보 및 유효기간 정보는, 각각 서로 다른 패턴에 대응되는 정보일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et touch input may be a touch input in which a plurality of continuously inputted touch inputs form a specific pattern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f the refrigerator 100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ouch inputs.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change the transparency of a touch screen of a specific door to which the plurality of touch inputs are applied according to a pattern formed from a plurality of touch inputs.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speci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attern formed from the plurality of touch inputs among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related to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100 on the touch screen. For example, th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food may include information measuring the remaining amount of food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space or expiration date information of the food. The remaining amount measurement information and expiration dat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different patterns, respectively.

한편 상기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은, 상기 냉장고(100)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관리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냉장고(100)에서 제공가능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는 관리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 메뉴에 대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다른 입력에 근거하여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preset touch input may be a touch input for displaying a management menu for controlling various functions of the refrigerator 100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a management menu for controlling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refrigerator 100 around a point where the touch input is applied on the touch screen. Further, a specific function may be executed based on other inputs of the user applied to the management menu.

한편 상기 도 1b 내지 도 1c에서는 냉장고(100)에 형성된 도어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터치 스크린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냉장고(100)에 형성된 도어들 각각에 상기 터치 스크린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d는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Meanwhile, in FIGS. 1B to 1C, the touch screen is formed on one of the doors formed in the refrigerator 100 as an example, but unlike this, the touch screen is formed on each of the doors formed in the refrigerator 100. Of course it could be. 1d shows an example of the refrigerato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d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본체(20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 240)를 포함하여 냉장고(100)가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도어(210, 220, 230, 240)에 독립적으로 터치 스크린들(201, 221, 231, 24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각 터치 스크린들(201, 221, 231, 241)을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도 1b에서 보이고 있는 도어(210)와 같이, 다른 도어들(220, 230, 240)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들(221, 231, 241)이 투명한 상태 또는 불투명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각각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도어들(201, 221, 231, 241)에 대응되는 저장 공간의 음식물들과 관련한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상기 각 도어들(201, 221, 231, 241)에 대응되는 저장 공간을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각 도어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에 각각 관리 메뉴를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된 관리 메뉴를 통해 각 저장 공간에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1D, when the refrigerator 100 is formed including a plurality of doors 210, 220, 230, and 240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the respective doors 210, 220, and 230 The touch screens 201, 221, 231, and 241 may be formed independently of the , 240. Also,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each of the touch screens 201, 221, 231, and 241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at is,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touch screens 221, 231, and 241 formed on the other doors 220, 230, and 240 to be converted to a transparent state or an opaque state, as in the door 210 shown in FIG. 1B. each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the storage spaces corresponding to the doors 201, 221, 231, and 241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so that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food in the storage space corresponding to the doors 201, 221, 231, and 241 are performed. You can control i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a management menu on a touch screen formed on each door, and a user may select a function that may be performed in each storage space through the displayed management menu.

한편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100)에서 터치 스크린이 형성되는 도어(210)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Meanwhile, FIGS. 2A to 2E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door 210 on which a touch screen is formed in the refrigerator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전극(211b)과 제2 전극(212b)에 특정 전압(V3)을 인가하였을 때에는 세 개의 광(210a, 210b, 210c) 전부가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극기판(212a)이 평탄하게 구현되는 경우 상기 도어(210)의 터치 스크린(201)은 거울처럼 보여질 수 있다. 특히, 전기장 의존층(217)이 광결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어(210)의 터치 스크린은 보다 높은 반사율을 가질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2A , when a specific voltage V3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11b and the second electrode 212b, all three lights 210a, 210b, and 210c may be reflected. Therefore, when the second electrode substrate 212a is implemented flat, the touch screen 201 of the door 210 can be seen like a mirror. In particular, when the electric field dependent layer 217 is made of a photonic crystal, the touch screen of the door 210 may have a higher reflectance.

한편 전기장 의존층(217)은 전기장 의존성 물질이 각 셀에 충전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ic field dependent layer 217 may be formed by filling each cell with an electric field dependent material.

상기 전기장 의존층(217)에 충전되는 전기장 의존성 물질은, 제1 전극(211b)과 제2 전극(212b)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그 특성이 변화하는 물질로서 액정(Liquid crystal) 물질, 형광 물질, 광결정(photonic crystal) 물질, 전기 영동(electrophoresis) 물질 및 전기 습윤(electrowetting) 물질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electric field dependent material charged in the electric field dependent layer 217 is a material whose characteristics are changed by the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1b and the second electrode 212b, such as a liquid crystal material and a fluorescent material. , photonic crystal (photonic crystal) material,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lectrophoresis (electrophoresis) material and electrowetting (electrowetting) material.

여기서, 전기 영동 물질은 전기 영동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을 의미하고, 전기 습윤 물질은 전기 습윤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을 의미하며, 광전 변색 물질은 광전 변색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몇 가지 전기장 의존성 물질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광결정이란 공간적으로 반복되는 미세한 구조체의 규칙적 배열에 의해 광밴드갭(photonic band gap)이 형성되어 외부 입사 광 중 특정 파장만 반사되는 구조로서, 광결정에 의해 발현되는 색상을 구조색(structure color)이라고 한다.Here, the electrophoretic material may refer to a material exhibiting an electrophoretic phenomenon, the electrowetting material may refer to a material exhibiting an electrowetting phenomenon, and the photoelectric discoloration material may refer to a material exhibiting a photoelectric discoloration phenomenon. Briefly, several electric field-dependent materials are described. A photonic crystal is a structure in which a photonic band gap is formed by a regular arrangement of spatially repeated fine structures to reflect only a specific wavelength of external incident light. The color produced by the color is called the structure color.

광밴드갭의 형성은 광결정을 구성하는 입자의 크기, 간격, 굴절률 차이 등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전기장의 세기나 방향을 조절하여 광결정의 특성을 변화시키면 발현되는 색을 조절할 수 있다.The formation of the photonic bandgap is determined by the size, spacing, and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of the particles constituting the photonic crystal. Therefore, by adjusting the intensity or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to chan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tonic crystal, the color expressed can be controlled.

전기 영동 현상은 대전된 입자들이 두 개의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이동하는 현상이다. 고저항을 가지면서 점성이 낮은 유체에 색을 갖는 대전된 입자를 분산시키고 두 개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대전된 입자가 이동하면서 색을 표시할 수 있다.Electrophoresis is a phenomenon in which charged particles move by an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wo electrodes. When colored charged particles are dispersed in a fluid with high resistance and low viscosity and a voltage is applied to the two electrodes, the charged particles can display colors while moving.

전기 습윤 방식의 디스플레이는 전도성 유체(물)과 비전도성 유체(기름)가 섞이지 않는 원리를 채용한 것으로서, 외부에서 전압을 인가하여 전도성 유체의 표면 장력을 제어하면 전도성 유체의 접촉각과 두 유체의 계면의 형상이 변화되면서 반사되는 광의 파장이 달라진다.The electrowetting display adopts the principle that a conductive fluid (water) and a non-conductive fluid (oil) do not mix. When an external voltage is applied to control the surface tension of the conductive fluid, the contact angle of the conductive fluid and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fluids As the shape of is changed, the wavelength of the reflected light is chang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설명에서는, 상기 전기장 의존성 물질 중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상 이하의 설명에서는 우수한 광 투과율을 구현할 수 있는 액정 물질 중 콜레스테릭 액정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refrigerat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f the electric field dependent materials may be used.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material among liquid crystal materials capable of implementing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한편 도 2b는 호메오트로픽 상태의 액정 배열을 나타낸다. 호메오트로픽 상태의 액정은 나선 구조가 풀어져(untwisted) 액정 분자들이 전기장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호메오트로픽 상태의 액정 분자들의 배열은, 제1 전극(211b)과 제2 전극(212b)의 사이에 고전기장이 형성됐을 때의 배열이며, 광을 투과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도 2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입사되는 광이 그대로 투과되며, 상기 도어(210)의 터치 스크린(201)은 투명하게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도어(210)를 통해 고 내에 저장된 음식물들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Meanwhile, FIG. 2B shows the arrangement of liquid crystals in a homeotropic state. The liquid crystal in the homeotropic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the helical structure is untwisted and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are aligned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The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in the homeotropic state is the arrangement when a high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1b and the second electrode 212b, and has a characteristic of transmitting light. Accordingly, incident light is transmitted as it is, as shown in FIG. 2B, and the touch screen 201 of the door 210 can be seen transparently. Therefore, in this case, the user can identify the food stored in the container through the door 210 .

한편 도 2c는 플래너 상태의 액정 배열을 나타낸다. 플래너 상태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나선축이 기판, 예컨대, 제1전극기판(211a)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열된 상태를 의미한다. 플래너 상태의 액정층(217)은 호메오트로픽 상태의 액정에 인가된 고전기장을 급격하게 낮추었을 때 형성되는 배열이며, 콜레스테릭 액정이 플래너 상태에 있을 때에는 입사되는 광 중 특정 파장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Meanwhile, FIG. 2C shows a liquid crystal arrangement in a planar state. The planar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the helical axis of the cholesteric liquid crystal is align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a substrate,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substrate 211a. The planar liquid crystal layer 217 is an arrangement formed when the high electric field applied to the homeotropic liquid crystal is rapidly lowered, and when the cholesteric liquid crystal is in the planar state,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among incident light can reflect.

이 때, 특정 파장은 콜레스테릭 액정의 나선 구조에서 나선 피치(helical pitch)에 따라 결정된다. 즉, 나선 피치를 조절하면 반사되는 광의 파장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콜레스테릭 액정의 나선 피치를 조절하여 반사되는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컬러 필터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원하는 색을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ecific wavelength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elical pitch in the helical structure of the cholesteric liquid crystal. That is, since the wavelength of the reflected light can be determined by adjusting the helical pitch, the reflected color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helical pitch of the cholesteric liquid crystal. Therefore, a desired color can be displayed without using a separate color filter.

도 2d는 포컬 코닉 상태의 액정 배열을 나타낸다. 포컬 코닉 상태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나선축이 제1 전극기판(211a)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포컬 코닉 상태의 액정 구조는 호메오트로픽 상태의 액정에 인가된 고전기장을 천천히 낮추었을 때 형성되는 배열이며, 광을 산란 또는 난반사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액정이 포컬 코닉 상태일 경우 터치 스크린(201)은 불투명 상태가 될 수 있다. Figure 2d shows the liquid crystal arrangement in the focal conic state. The focal conic state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helical axis of the cholesteric liquid crystal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electrode substrate 211a. The liquid crystal structure in the focal conic state is an arrangement formed when a high electric field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in the homeotropic state is slowly lowered, and has a characteristic of scattering or diffusely reflecting light. Accordingly, when the liquid crystal is in a focal conic state, the touch screen 201 may be in an opaque state.

예를 들어, 플래너 상태의 콜레스테릭 액정에 전기장을 인가하면 제1 전극기판(211a)에 수직이었던 나선축이 제1 전극기판(211a)과 평행한 상태로 변화하여 포컬 코닉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콜레스테릭 액정에 인가되는 전기장은 10-20V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the cholesteric liquid crystal in a planar state, the spiral axis, which was perpendicular to the first electrode substrate 211a, changes to a state parallel to the first electrode substrate 211a, resulting in a focal conic state. . Here, the electric field applied to the cholesteric liquid crystal may be 10-20V.

포컬 코닉 상태의 콜레스테릭 액정에 더 큰 전기장을 인가하는 경우, 나선 구조가 풀어져(untwisted) 액정 분자들이 전기장 방향으로 배열되는 호메오트로픽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콜레스테릭 액정에 인가되는 전기장은 30-50V일 수 있다. 그리고 호메오트로픽 상태에서 전기장을 서서히 제거하면 포컬 코닉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고, 전기장을 급격히 제거하면 플래너 상태가 될 수 있다.When a larger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the cholesteric liquid crystal in the focal conic state, the helical structure is untwisted and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may be in a homeotropic state in which they are aligned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Here, the electric field applied to the cholesteric liquid crystal may be 30-50V. In the homeotropic state, when the electric field is gradually removed, the focal conic state can be returned, and when the electric field is rapidly removed, the planar state can be achieved.

한편, 포컬 코닉 상태의 콜레스테릭 액정을 플래너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콜레스테릭 액정에 더 큰 전기장을 인가하여 호메오트로픽 상태로 만든 후에, 전기장을 급격하게 제거하는 두 단계를 거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convert the cholesteric liquid crystal in the focal conic state into the planar state, as described above, a larger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the cholesteric liquid crystal to make it into the homeotropic state, and then the electric field is rapidly removed. can

따라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 제1 전극(211b)과 제2 전극(212b)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콜레스테릭 액정을 호메오트로픽 상태로 만들 수 있다. 그러면 터치 스크린(201)은 광을 투과하여 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a user applies a preset touch input, the controller 180 may apply a high voltage to the first electrode 211b and the second electrode 212b to make the cholesteric liquid crystal into a homeotropic state. Then, the touch screen 201 may transmit light and be displayed transparently.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다른 터치 입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여기서 다른 터치 입력은, 터치가 유지되는 시간이 다른 터치 입력 또는 인가되는 압력이 다른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이처럼 다른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셀에 형성된 고전기장을 서서히 제거하거나 급격히 제거하여 포컬 코닉 상태 또는 플래너 상태로 만들 수 있다. 그러면 액정은 투명한 상태에서 불투명 상태 또는 그래픽 객체 등의 화상 정보 표시가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controller 180 may receive another touch input from the user. Here, another touch input may be a touch input with a different touch duration or a touch input with a different applied pressure. In this way, when another touch input is applied, the controller 180 may gradually or rapidly remove the high electric field formed in the cell to bring it into a focal conic state or a planar state. Then, the liquid crystal may be converted from a transparent state to an opaque state or a state capable of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such as a graphic object.

한편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210)가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ustal : 고분자 분산형 액정) 및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T-LCD)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경우의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Meanwhile, FIG. 2E shows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the door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minated structure of PDLC (Polymer Dispersed Liquid Crustal) and a transparent display panel (T-LCD).

도 2e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210)는 제1 및 제2 강화유리층(250a, 250b) 사이에 PDLC 층(260)이 적층되고, 상기 제2 강화유리층(250b)과 제3 강화유리층(250c) 사이에 T-LCD층(270) 및 터치 필름(280)이 적층되는 애드-온(add-on) 방식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E , in the door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DLC layer 260 is lamin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mpered glass layers 250a and 250b, and the second tempered glass layer ( 250b) and the third tempered glass layer 250c may have an add-on structure in which the T-LCD layer 270 and the touch film 280 are laminated.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100)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d to a control method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refrigerator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어(210)에 터치 스크린(201)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상기 터치 스크린이 냉장고(100)의 다른 도어들(220, 230, 24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다른 도어들(220, 230, 240) 각각에 상기 터치 스크린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다른 도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다른 도어들 각각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은, 이하의 설명과 유사하게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touch screen 201 is formed on the door 21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touch screen may be formed on any one of the other doors 220, 230, and 240 of the refrigerator 100, or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other doors 220, 230, and 240. Of course. In this case, any one of the other doors or a touch screen formed on each of the other doors can be controlled similarly to the description below.

먼저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에서, 탈취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터치 스크린(201)의 투명도가 변경되며 탈취기능을 나타내는 특정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동작 과장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First, FIG. 3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ggerated operation of displaying specific screen information indicating the deodorization function while the transparency of the touch screen 201 is changed while the deodorization function is performed in the refriger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상기 센서부(140)의 상기 가스센서(145)는 상기 저장실의 가스를 감지한다(S301).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가스센서(145)에 의하여 감지되는 가스에 근거하여 탈취기능을 실행한다(S302).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가스센서(145)에 의하여 감지되는 가스의 농도가 기 설정된 기준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가스의 종류가 인체에 유해한 가스에 해당되는 경우에 탈취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가스센서(145)에 의하여 가스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특정 제어명령 없이 탈취기능을 수행하거나, 탈취기능의 제어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대기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The gas sensor 145 of the sensor unit 140 senses the gas in the storage chamber (S301). The controller 180 executes the deodorizing function based on the gas sensed by the gas sensor 145 (S302). The control unit 180 performs a deodorizing func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gas detected by the gas sensor 145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and when the type of gas corresponds to a gas harmful to the human body. When gas is sensed by the gas sensor 145, the control unit 180 may perform a deodorization function without a user's specific control command, or may switch to a standby mode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or the deodorization function.

상기 탈취기능의 실행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201)을 투명한 상태인 제1 상태로 전환한다(S303).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탈취기능이 실행될 때 아무런 시각 데이터가 출력되지 아니하는 비활성화 상태이거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투명한 제2 상태에서 스크린 정보(40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정보(400)은 현재 날짜와 날씨에 관련된 텍스트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4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날씨 정보는, 현재의 기온 및 습도(Humidity, 'HUM.'), 그리고 현재의 기상 상황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현재 날씨가 비가 오는 날씨라면, 제어부(180)는 상기 현재의 기상 상황, 즉 우천 상황에 관련된 정보로서 강수량(Rainfall, 'RAIN' ) 정보를 포함하는 날씨 정보를 상기 스크린 정보(400)의 일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Based on the execution of the deodorizing function, the touch screen 201 is converted to a transparent first state (S303). Referring to FIG. 3B , screen information 400 may be displayed in an inactive state in which no visual data is output when the deodorizing function is executed, or in an opaque second state as shown in FIG. 3B . The screen information 400 may include an area 410 where text characters related to the current date and weather are displayed. In this case, the weather information may include current temperature and humidity (Humidity, 'HUM.'),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 weather condition. That is, if the current weather is rainy weather, the controller 180 converts weather information including rainfall ('RAIN') information a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 weather situation, that is, the rainy weather situation, to the screen information 400. It can be displayed in one area.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탈취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201)을 제1 상태로 전환하는 바,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201)은 상기 제1 상태에서 탈취기능을 나타내는 제1 화면정보(510)를 출력한다. 상기 제1 화면정보(510)는 투명한 상태로 상기 제1 화면정보(510)를 통해서 상기 저장실의 내부가 확인된다(S304). 상기 제어부(180)는 특정 시간 동안 상기 제1 화면정보(510)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특정 시간은 상기 탈취기능이 수행되는 동안의 시간에 해당되거나, 탈취기능의 실행을 알리기 위하여 짧은 특정 시간 동안에만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deodorization function is executed, the control unit 180 switches the touch screen 201 to a first state, and thus the state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can be checked. The touch screen 201 outputs first screen information 510 indicating a deodorization function in the first state. The first screen information 510 is in a transparent state, and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is confirmed through the first screen information 510 (S304). The controller 180 can output the first screen information 510 for a specific time period. Here, the specific time may correspond to the time during which the deodorizing function is being performed, or may be controlled to be output only for a short specific time to notify the execution of the deodorizing function.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탈취기능이 완료되거나 특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1 화면정보(510)가 사라지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201)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온전히 상기 저장실 내부의 공간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탈취기능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제1 화면정보(510)가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는 탈취기능의 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B ,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touch screen 201 so that the first screen information 510 disappears when the deodorization function is completed or a specific time elapses. Accordingly, the user can fully check the space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When the first screen information 510 is output while the deodorizing function is being performed, the user can confirm the completion of the deodorizing function.

도 3c 및 도 3d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탈취기능을 나타내는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3C and 3D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outputting screen information representing a deodoriz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탈취기능이 실행되면, 불투명한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화면정보(510)를 출력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201)을 제어한다. 즉, 상기 탈취기능이 시작할 때 상기 저장실의 내부를 확인하지 못하는 제1 상태(S1)로 상기 제1 화면정보(510)가 출력된다. Referring to FIG. 3C , when the deodorizing function is executed,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touch screen 201 to output the first screen information 510 in an opaque second state. That is, when the deodorizing function starts, the first screen information 510 is output in a first state S1 in which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cannot be checked.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탈취기능이 진행된 시간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의 투명도를 조절한다. 특정 시간 이상 상기 탈취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저장실의 내부가 일부 파악될 정도로 투명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투명도가 향상된 제2 상태(S2)에서 상기 제1 화면정보(510)를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180 adjusts the transparency of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deodorizing function. When the deodorization function is executed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or longer, the controller 180 improves the transparency to the extent that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can be partially recognized. The touch screen outputs the first screen information 510 in a second state S2 in which transparency is improv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취기능이 종료된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을 투명한 상태로 전환한 제3 상태(S3)에서 상기 상기 제1 화면정보(510)를 출력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201)은 상기 제1 화면정보(510)를 상기 탈취기능이 수행되는 동안 계속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탈취기능의 수행 정도를 상기 터치 스크린의 투명도로 나타낸다. When the deodorization function is terminated,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first screen information 510 in a third state (S3) in which the touch screen is converted to a transparent state. The touch screen 201 continuously outputs the first screen information 510 while the deodorizing function is being performed, and the degree of performing the deodorizing function is indicated by the transparency of the touch screen.

불투명 상태에서 탈취기능이 진행될수록 투명도가 향상되므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의 투명 상태에 따라 탈취기능의 진행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Since transparency improves as the deodorization function proceeds in an opaque state, the user can grasp the progress state of the deodoriz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transparent state of the touch screen.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부(140)에 의하여 가스가 감지된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201)은 투명한 제3 상태(S3)로 전환하고, 제2 화면정보(520)를 출력한다. 상기 제2 화면정보(520)는 상기 터치 스크린(201)의 일 영역에 출력되는 팝업윈도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D , when gas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140, the control unit 180 converts the touch screen 201 to a transparent third state (S3), and displays second screen information 520. ) is output. The second screen information 5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output to one area of the touch screen 201 .

상기 제2 화면정보(520)는 탈취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터치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제2 화면정보(520)는 감지된 가스의 종류, 가스의 농도, 가스의 종류와 관련된 음식물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creen information 520 receives a touch input to execute the deodorization function. The second screen information 520 may include the type of detected gas, the concentration of the gas, and food information related to the type of gas.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가스센서에 의하여 가스가 감지된 경우 및 탈취기능이 실행된 경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the user can check through the touch screen when gas is detected by the gas sensor and when the deodorizing function is executed.

도 4a 내지 도 도 4c는 복수의 저장공간에서 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이를 리는 알림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4A to 4C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outputting a notification image notifying when gas is detected in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도 4a에 따른 상기 냉장고(100)의 저장실은 구획되는 복수의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는 각 저장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스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가스센서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의 개수와 대응될 필요는 없다.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100 according to FIG. 4A includes a plurality of partitioned storage spaces, and the senso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gas sensors disposed in each storage space.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gas sensors need not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가스센서(145)에 의하여 특정 저장공간에 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이를 알리는 제1 알림 이미지(521)를 출력한다. 상기 제1 알림 이미지(521)는 가스가 발생한 영역을 가리키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알림 이미지(521)는 특정 영역을 가리키는 이미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그래픽 이미지는 특정 가스를 감지한 가스센서(145)의 위치를 가리키도록 표시될 수 있다. When gas is detected in a specific storage space by the plurality of gas sensors 145, the control unit 180 outputs a first notification image 521 notifying this. The first notification image 521 is formed to indicate a region where gas is generated. For example, the first notification image 521 may include an image pointing to a specific region. That is, the graphic image may be displayed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gas sensor 145 that senses a specific gas.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알림 이미지(521)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탈취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알림 이미지(521)룰 제1 화면정보(510)로 전환한다.The controller 180 executes a deodorizing function based on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first notification image 521 and converts the first notification image 521 to first screen information 510 .

한편, 상기 터치 스크린(201)은 상기 가스가 감지되는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영역(A1, A2)을 투명한 상태로 전환하고, 나머지 영역(A3)는 불투명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201)의 일 영역에 제2 알림 이미지(522)를 출력한다. Meanwhile, the touch screen 201 may convert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1 and A2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egion where the gas is sensed into a transparent state and the remaining region A3 into an opaque state. there is. In addition, a second notification image 522 is displayed on one area of the touch screen 201 .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냉장고의 저장실 내에서 어떤 위치에서 가스(냄새)가 발생했는지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탈취기능이 수행되기 전후에 모두 냄새의 원인을 제공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잇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the user can determine the location where the gas (smell) is genera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and can take measures to provide the cause of the odor both before and after the deodorizing function is performed.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스크린 정보(400)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가스 센서(145)에 의하여 가스(냄새)가 감지되는 경우, 기 저장된 특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가스(냄새)의 종류 및 이에 대응되는 음식물의 종류를 나타내는 제3 알림 이미지(523)를 출력한다. 상기 제3 알림 이미지(523)는 상기 저장실 내에 기 저장된 음식물의 실제 촬영이미지에 해당되거나, 기 저장된 이미지에 해당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B , when the gas (smell) is detected by the gas sensor 145 in a state in which the screen information 400 is output,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the gas (smell) based on pre-stored specific data. A third notification image 523 indicating the type of food and the type of food corresponding thereto is output. The third notification image 523 may correspond to an actual photographed image of food pre-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or a pre-stored imag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가스(냄새)가 발생하는 출처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ser can more easily identify the source of the gas (smell), and can take measures against it.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201)은 상기 가스센서(145)에 의하여 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복수의 저장공간을 나태 내는 저장공간 이미지(710)을 출력한다. 상기 저장공간 이미지(710)는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며, 가스가 감지된 영역을 표시한다. 도 4c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201)은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1 및 제2 영역(a1, a2)에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나머지 공간과 구별하여 탈취가 필요한 영역임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4C , when gas is sensed by the gas sensor 145, the touch screen 201 outputs a storage space image 710 showing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The storage space image 710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and displays regions where gas is sensed. In FIG. 4C , the touch screen 201 highlights the first and second areas a1 and a2 among the plurality of areas to distinguish them from the rest of the space and indicate that they are areas that need to be deodorized.

상기 저장공간 이미지(710)는 저장실을 바라본 이미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저장공간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저장공간 이미지(710) 상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탈취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탈취부(192)는 상기 복수의 탈취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탈취장치 중 일부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The storage space image 710 may include an image of a storage room, and may receive a touch input applied to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The controller 180 may execute a deodorizing function based on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storage space image 710 . In this case, the deodorizing unit 192 may include the plurality of deodorizing devices, and the controller 180 may activate only some of the plurality of deodorizing devices.

상기 터치 스크린(201)은 상기 특정 영역의 터치입력에 의하여 탈취기능이 실행되면 탈취기능을 나타내는 이미지(511)를 상기 특정 영역에 인접하게 표시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취가 필요한 공간으로 표시되지 아니한 상기 저장공간 이미지(710)의 나머지 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의하여 탈취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201 displays an image 511 representing the deodorizing function adjacent to the specific area when the deodorizing function is executed by a touch input of the specific area.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unit may execute the deodorization function by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remaining area of the storage space image 710 that is not indicated as a space requiring deodorization.

도 5는 감지되는 가스의 알림정보를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feature of transmi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of detected gas to an external devic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140)에 의하여 가스가 감지되면, 알림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201)을 제어한다. 상기 알림정보는 특정 시간 동안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가스에 관한 정보를 외부기기(900)로 송신한다. 상기 외부기기(900)는 기 설정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해당될 수 있다. 설정된 외부기기의 개수는 하나에 한정되지 아니한다.Referring to FIG. 5 , when gas is sensed by the sensor unit 140, the touch screen 201 is controlled to display notification informatio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output for a specific time. The controller 18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detected gas to the external device 900 . The external device 900 may correspond to a preset user's mobile terminal. The number of set external devices is not limited to one.

상기 외부기기(900)의 디스플레이부(951)는 상기 가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저장공간 이미지(710')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스에 관한 정보는 감지된 가스와 관련된 음식물 정보, 상기 가스가 감지된 저장공간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951 of the external device 90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gas and outputs a storage space image 710' accordingly. Here, the information about the gas may include food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ected gas, information about the storage space in which the gas is detected, and the like.

상기 디스플레이부(951)는 상기 저장공간 이미지(710') 상에 가스가 감지된 특정 영역을 표시하고,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탈취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기기(9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탈취기능을 실행한다.The display unit 951 displays a specific area where gas is sensed on the storage space image 710' and receives a touch in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eodorizing function is formed based on the touch input. The controller 180 executes the deodorizing functio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900 .

상기 터치 스크린(201)은 상기 탈취기능이 실행되는 동안 이를 나타내는 제1 화면정보(510)를 출력한다.The touch screen 201 outputs first screen information 510 representing the deodorizing function while it is being executed.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기기를 통하여, 탈취기능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recognize the need for the deodorization function and control it through an external device.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 정보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가스감지를 나타내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feature of gas detection by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screen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한편, 상기 스크린 정보(400)는 현재의 날씨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는 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현재의 기상 상황이 상술한 바와 같이 우천 상황인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빗방울 모양을 모사한 서로 다른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상기 스크린 정보(400)의 일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그래픽 객체들의 수는 현재의 강수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강수량이 적은 경우보다 강수량이 많은 경우에 더 많은 빗방울 모양의 그래픽 객체들을 상기 스크린 정보(400) 상의 일 영역(420)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on the other hand, the screen information 400 may include an area 420 in which at least one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current weather information is displayed. Therefore, if the current weather situation is a rainy weather situ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t least one graphic object having various sizes that mimics the shape of a raindrop on one area of the screen information 400. can do. In this case, the number of graphic object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urrent amount of precipitation. That is, the controller 180 can display more raindrop-shaped graphic objects on one area 420 of the screen information 400 when the amount of precipitation is greater than when the amount of precipitation is small.

한편 상기 스크린 정보(400)는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주제에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4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기 설정된 주제에 관련된 정보를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정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뉴스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경우, 뉴스 방송 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뉴스 정보를 상기 스크린 정보(4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creen information 400 may include an area 430 in which information related to a subject preset by the user is display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t subject through image information such as text, image, or video. Accordingly, the controller 180 can display news information broadcast through a news broadcasting channel through the screen information 400 when news information is selected by the user.

한편 특정 주식의 주가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통신부(130)를 통해 상기 특정 주식의 주가 정보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스크린 정보(400)의 일 영역(43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단순히 주가 정보만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주가 변동량(예 : 전일 대비 주가 변동량)에 대한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Meanwhile, when stock price information of a specific stock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180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ock pri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stock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and convert the received information to one of the screen information 400. It can be displayed through area 430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not only stock price information, but also information on stock price fluctuations (eg, stock price fluctuations compared to the previous day)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가스센서(145)에 의하여 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객체(420)가 출력되는 영역의 투명도를 조절한다. 상기 가스가 감지되는 영역에 가깝게 출력되는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422, 421)가 출력되는 영역을 투명하게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201)을 제어할 수 있다.When gas is sensed by the gas sensor 145, the control unit 180 adjusts the transparency of the area where the graphic object 420 is output. The touch screen 201 may be controlled to transparently display an area where the first and second graphic objects 422 and 421 are output close to the area where the gas is sensed.

또는, 감지되는 가스의 농도에 근거하여 농도가 짙을수록 보다 많은 그래픽 객체(420)가 투명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201)을 제어한다. 투명도가 변경된 복수의 그래픽 객체(420)가 상기 가스가 감지되는 영역과 가깝게 이동하여 출력될 수 있다.Alternatively,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the sensed gas, the touch screen 201 is controlled so that more graphic objects 420 are converted to a transparent state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s. A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420 whose transparency has been changed may move closer to the region where the gas is sensed and be output.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폴트(default)로 출력되며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스크린 화면(400)이 출력되는 동안, 스크린 화면(400)의 출력이 유지되면서 감지되는 가스의 농도, 가스가 감지된 영역 등을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output of the screen screen 400 is maintained while the screen screen 400 is outputted by default and includes specific information, such as the concentration of the detected gas, the area where the gas is detected, etc. can represent

도 7은 냉장고 내의 온도 변화의 제어를 표시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control of a temperature change in a refrigerator.

상기 터치 스크린(201)은 온도 변화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스크린(201)이 투명한 상태에서 냉각 이미지(513)을 출력한다. 상기 냉각 이미지(513)는 냉각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와 설정 온도를 나타내는 숫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냉각 기능에 관련된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201 outputs a cooling image 513 in a transparent state based on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change. The cooling image 513 may include an image indicating a cooling state and a number indicating a set temperature. In addition,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 text related to the cooling function may be included.

상기 제어부(180)는 냉각 기능의 실행에 따라 온도변화가 점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변화된 온도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201)에 전체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는 얼음이 창문에 얼어있는 이미지에 해당될 수 있다. When a temperature change gradually occurs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cooling functio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n image representing the changed temperature to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201 as a whole. The image may correspond to an image in which ice is frozen on a window.

상기 냉각 기능이 실행될 때, 상기 터치 스크린(201)이 투명한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냉각기능의 수행에 따라 온도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면 상기 투명도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한다. 즉, 얼음의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투명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얼음이 점점 두껍게 얼어가는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When the cooling function is executed, if the touch screen 201 is in a transparent state,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touch screen to reduce the transparency when the temperature gradually decreases as the cooling function is performed. .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image of ice is output, the transparency gradually increases, so that the ice becomes thicker and thicker.

이에 따라 사용자는 냉장고를 열어보거나 온도를 텍스트로 확인하지 아니하고도, 시각적으로 냉각기능이 실행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at the cooling function is being executed without opening the refrigerator or checking the temperature by text.

도 8a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이미지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8A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for outputting a photographed image using a camera, and FIG. 8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method of FIG. 8A.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는 구획된 복수의 저장공간의 일 영역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00)는 복수의 카메라(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카메라(141)는 보다 넓은 공간을 촬영하기 위하여 광각렌즈를 구비하는 광각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특정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특정각도의 파노라마뷰를 형성하도록 상기 카메라(141)의 촬영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A camera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mounted in one area of a plurality of partitioned storage spaces, and the refrigerator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meras 141 . The plurality of cameras 141 may be implemented as a wide-angle camera having a wide-angle lens in order to photograph a wider space.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shooting range of the camera 141 to form a panoramic view of a specific angle based on a specific control command.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카메라(141)에 의하여 저장실의 촬영 이미지를 획득한다(S311). 상기 제어부(180)는 특정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실의 촬영 이미지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특정 제어명령은 사용자에 의하여 인가되거나, 상기 도어(210)가 닫히는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80 obtains a photographed image of the storage room by the camera 141 (S311). The control unit 180 forms a captured image of the storage compartment based on a specific control command. Here, the specific control command may be applied by a user or formed when the door 210 is closed.

상기 터치 스크린(201)은 투명한 상태의 제1 상태 또는 불투명한 상태의 제2 상태에서, 인가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한다(S312).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201)이 투명한 제1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저장공간 이미지(710)가 출력된다(S313). 상기 저장공간 이미지(710)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이는 저장실의 구획된 저장공간에 대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공간 이미지(710)는 카메라가 장착된 각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구획된 각 영역은 독립적으로 터치입력을 수신한다. 즉, 상기 저장공간 이미지(710)는 촬영된 이미지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이미지에 해당된다. The touch screen 201 receives a user's touch input in a transparent first state or an opaque second state (S312). Referring to FIG. 8B , when a user's touch input is received in a first state in which the touch screen 201 is transparent, the storage space image 710 is output (S313). The storage space image 7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which may correspond to the partitioned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room,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torage space image 710 may be partitioned into each area where a camera is mounted. Each partitioned area independently receives a touch input. That is, the storage space image 710 corresponds to a control image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 photographed image.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저장공간 이미지(710) 상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기 촬영된 촬영이미지(811)를 불투명 상태인 제2 상태에서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201)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touch screen 201 to display a previously captured image 811 in a second opaque state based on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storage space image 710. .

상기 저장공간 이미지(710) 상에 복수의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촬영이미지(811)를 출력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201)을 제어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710)은 상기 촬영이미지(811)를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공간 이미지(71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areas are selected on the storage space image 710,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ouch screen 201 to output a plurality of captured images 811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reas. The touch screen 710 may change the location of the storage space image 710 to output the captured image 811 .

도 8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촬영이미지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8C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outputting a photographed im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상기 저장공간 이미지(710)는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영역(710a, 710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영역(710a, 710b)은 분할된 제1 및 제2 저장공간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저장공간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The storage space image 710 includes first and second regions 710a and 710b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710a and 710b correspond to the divided first and second storage spaces, and may correspond to a case where the first and second storage space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영역(710a)이 선택된 경우, 이에 대응되는 제1 촬영이미지(811a)를 출력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201)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영역(710a)에서 최초로 인가된 터치입력이 점차적으로 상기 제2 영역(710b)으로 이동하는 경우, 즉 드래깅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촬영된 이미지 중 표시되는 일 영역이 점차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201)을 제어한다. When the first area 710a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touch screen 201 to output a first captured image 811a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710a.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display of the captured image when the first applied touch input in the first area 710a gradually moves to the second area 710b, that is, when a dragging touch input is applied. The touch screen 201 is controlled so that one area is gradually chang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연속적으로 인가되는 터치에 근거하여 기 촬영된 이미지의 일 영역을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user may be continuously provided with one area of a pre-captured image based on continuously applied touches.

도 9a 내지 도 9b는 저장실의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제1 상태에서 촬영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9A to 9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outputting a photographed image in a first transparent state in which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is visible.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201)의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제1 상태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터치입력이 상기 터치 스크린(201)의 가장자리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201)을 불투명 상태인 제2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저장공간 이미지(710)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상기 저장공간 이미지(710) 중 일 영역에 대응되는 촬영 이미지(811)를 출력한다. 상기 일 영역은 상기 터치입력이 인가된 상기 터치 스크린(201)의 가장자리 영역과 인접한 저장공간에 대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A , a touch input is received in a first state in which at least one region of the touch screen 201 is transparent. When the touch input reaches the edge area of the touch screen 201, the controller 180 converts the touch screen 201 to an opaque second state and outputs the storage space image 710. do. The controller 180 outputs a captured image 811 corresponding to one region of the storage space image 710 . The one area may correspond to a storage space adjacent to an edge area of the touch screen 201 to which the touch input is applied.

상기 터치 스크린(201)은 상기 가장자리 영역과 인접한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가장자리에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과 대응되지 아니하는 냉장고 내부의 영역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201 may display an indicator at an edge when a touch input adjacent to the edge area is applied.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area inside the refrigerator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touch screen.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투명상태의 터치 스크린(201)에 인가되는 특정 방식의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촬영 이미지(811)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입력은 핀치 인(pinch-in)방식 또는 핀치 아웃(pinch-out)방식의 터치입력에 해당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B , the controller 201 may output the captured image 811 based on a specific type of touch input applied to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201 . Here, the touch input may correspond to a touch input of a pinch-in method or a pinch-out method.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촬영 이미지를 확대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201)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201 to enlarge and output the photographed image.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냉장고(100)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isk (SSD), Silicon Disk Drive (SDD),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 and also includes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Also, the computer may include the controller 180 of the refrigerator 100. Therefore,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일 영역이 보이도록 투명한 상태인 제1 상태와, 불투명한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상태로 상호 전환되도록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
상기 저장실 내부의 가스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가스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탈취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취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1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탈취기능을 나타내는 화면정보를 특정시간 동안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저장실은 복수의 저장공간을 구획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가스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가스센서에 의한 가스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 중 일부 공간에서 선택적으로 탈취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touch scree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oor and configured to be mutually switched from one state to another among a transparent first state and an opaque second state so that one region of the storage compartment can be seen;
a sensor unit having at least one gas sensor for detecting gas in the storage chamber; and,
Based on the gas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a control unit for executing a deodorization function,
When the deodorizing function is executed,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touch screen to a first state and controls the touch screen to display screen information indicating the deodorizing function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The storage compartmen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The senso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gas sensor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control unit selectively executes a deodorization function in some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based on gas detection results by a plurality of gas sens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취기능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탈취기능의 진행 정도에 따라서 상기 화면정보의 투명도가 변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ouch screen to change the transparency of the scree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deodorizing function while the deodorizing function is being per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정보는 상기 저장실의 복수의 저장공간 중 상기 가스가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일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scree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n area on the touch scree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storage space in which the gas is sensed among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of the storage compart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실 내부에 배치되며 감지된 가스와 관련된 객체의 정보를 상기 화면정보와 함께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ouch screen to display information of an object dispos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related to the sensed gas together with the screen information based on a result of the gas dete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 중 가스가 감지된 일 저장공간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의 일 영역의 투명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transparency of one region of the touch screen corresponding to one storage space in which gas is sensed among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가스가 감지되면, 감지된 상기 가스와 관련된 음식물 정보 및/또는 상기 가스가 감지된 상기 저장공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정보를 기 설정된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hen gas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no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food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ected gas and/or information about the storage space where the gas is detected to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 doing.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일 영역이 보이도록 투명한 상태인 제1 상태와, 불투명한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상태로 상호 전환되도록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
상기 저장실 내부의 가스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가스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탈취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취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1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탈취기능을 나타내는 화면정보를 특정시간 동안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저장실은 복수의 저장공간을 구획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가스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가스센서에 의하여, 각 저장공간에 대응되는 가스감지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가스감지 이미지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각 저장공간의 탈취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touch scree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oor and configured to be mutually switched from one state to another among a transparent first state and an opaque second state so that one region of the storage compartment can be seen;
a sensor unit having at least one gas sensor for detecting gas in the storage chamber; and
Based on the gas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a control unit for executing a deodorization function,
When the deodorizing function is executed,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touch screen to a first state and controls the touch screen to display screen information indicating the deodorizing function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The storage compartmen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The senso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gas sensor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ouch screen to output a gas detection image corresponding to each storage space by the plurality of gas sensors, and executes a deodorization function of each storage space based on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gas detection image.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 do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탈취가 필요한 것으로 식별된 저장공간에 대응되는 영역과 나머지 영역의 투명도를 다르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partitions the touch screen into a plurality of area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arency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space identified as requiring deodorization and the remaining region are differently adjus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가스의 농도 및/또는 탈취 필요여부를 나타내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투명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transparency of the touch screen to indicate the concentration of the ga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or whether or not deodorization is necessar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의 농도가 기 설정된 기준농도 이상인 경우, 특정 종류의 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특정 시간 이상 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터치 스크린의 투명도를 투명상태에서 불투명 상태로 또는 불투명 상태에서 투명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0,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transparency of the touch screen from a transparent state to an opaque state in at least one of cases where the concentration of the ga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concentration, when a specific type of gas is detected, and when a gas is detected over a specific period of time.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hanges from an opaque state to a transparent state.
KR1020160112227A 2016-08-31 2016-08-31 Refrigerator KR1025153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227A KR102515330B1 (en) 2016-08-31 2016-08-31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227A KR102515330B1 (en) 2016-08-31 2016-08-31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047A KR20180025047A (en) 2018-03-08
KR102515330B1 true KR102515330B1 (en) 2023-03-29

Family

ID=61726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227A KR102515330B1 (en) 2016-08-31 2016-08-31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33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493A1 (en) * 2020-11-26 2022-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for same
CN112923653A (en) * 2021-03-01 2021-06-08 合肥美菱物联科技有限公司 Refrigerator intellig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position and distance analysi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549B1 (en) 2000-04-21 2006-08-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Refrigerator
CN203758163U (en) 2014-02-14 2014-08-06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1687A (en) * 2006-12-28 200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813030B1 (en) * 2010-12-29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1786967B1 (en) * 2013-08-01 2017-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Gas sensor module,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refrigerator
KR102174512B1 (en) * 2014-02-12 2020-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57497B1 (en) * 2014-07-21 202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Gas senso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549B1 (en) 2000-04-21 2006-08-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Refrigerator
CN203758163U (en) 2014-02-14 2014-08-06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047A (en)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867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40035739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KR101954749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113686089B (en) Display device
US103118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KR102515330B1 (en) Refrigerator
KR102557816B1 (en) Refrigerator
KR20160117098A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1639806B2 (en) Thermostat control using touch sensor gesture based input
KR102547149B1 (en) Refrigerator
JP2018159889A (en) Display device
US1173679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optical collection
US11360252B2 (en) Partially-reflective cover for a smart home device
KR102557815B1 (en) Refrigerator
JP2007218488A (en) Cabinet
US20110133882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coordinates of an event within interest region, display device, security device and electronic blackboard including the same
CN106228946B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KR102128886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80025045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25862A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98652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CN11075387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still images and video for TIR-based image displays
US10607522B1 (en) Adaptive drive scheme for electrowetting displays
KR20220141182A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