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893B1 - Esg를 위한 비채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nft에 기반하여 서버 노드가 동작하는 방법 및 그 서버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Esg를 위한 비채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nft에 기반하여 서버 노드가 동작하는 방법 및 그 서버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893B1
KR102514893B1 KR1020220052949A KR20220052949A KR102514893B1 KR 102514893 B1 KR102514893 B1 KR 102514893B1 KR 1020220052949 A KR1020220052949 A KR 1020220052949A KR 20220052949 A KR20220052949 A KR 20220052949A KR 102514893 B1 KR102514893 B1 KR 102514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chain network
server node
nft
nod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카이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카이플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카이플레이
Priority to KR1020220052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7Logical partitioning of resources; Management or configuration of virtualized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Abstract

본 발명은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를 위한 비채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NFT (Non-Fungible Token)에 기반하여 서버 노드가 동작하는 방법 및 그 서버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시한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서버 노드가 NFT (Non-Fungible Token)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서버 노드와 연계된 가상 자산 지갑 정보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한 NFT 해시 (hash)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 노드에 대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접속 승인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접속 승인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ESG를 위한 비채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NFT에 기반하여 서버 노드가 동작하는 방법 및 그 서버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Method for operating of server node based on NFT in non-mining blockchain network system for ESG and blockchain network system including the server node}
본 발명은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를 위한 비채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NFT (Non-Fungible Token)에 기반하여 서버 노드가 동작하는 방법 및 그 서버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 간 또는 서버 노드 간 거래 가능한 NFT에 기반하여, 특정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서버 노드가 동작하는 방법 및 그 서버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 시스템 (blockchain system)은 수많은 노드가 P2P (Peer-to-Peer)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트랜잭션(transaction)을 처리하는 시스템으로서, 트랜잭션에 대한 기록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일종의 분산 원장 (distributed ledgers)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블록체인 시스템에 있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들은 블록 형태로 동일한 데이터를 복사하여 분산 저장하기 때문에 원본과 사본의 구별이 없으며, 통일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권위있는) 중앙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 있어 모든 노드들이 동일한 트랜잭션에 대한 처리 기록을 지속적이며 안정적으로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합의 (consensus) 알고리즘은 매우 필수적인 핵심 요소 기술이다.
이러한 합의 알고리즘의 일 예로, 사토시 나카모토에 의해 개발된 비트코인 시스템은 작업 증명 (Proof of Work; PoW)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있다. 상기 합의 알고리즘은 서버 노드들에 의해 해당 합의 알고리즘 트랜잭션에 참여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서버 노드들에게 채굴 (mining)을 통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다만, 상술한 채굴 작업은 각 서버 노드에게 막대한 물리적 컴퓨팅 자원 (예: GPU (Graphics Processing Units) 자원 등) 및 전력적 자원을 요구하는 바, 이러한 합의 알고리즘에 기초한 블록체인 시스템은 트랜잭션 메시지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으로 인해 비효율적인 에너지-소비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국제화 추세가 요구하는 저탄소 산업을 추구하는 추세에도 역행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시스템에 참여 가능한 서버 노드들의 최대 개수에 대해 별도의 제한 없이 운용됨으로 인해, 이러한 문제점이 악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공개 특허 공보 제 2017/0075941 호 (2017. 03. 16)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ESG를 위한 비채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NFT에 기반하여 서버 노드가 동작하는 방법 및 그 서버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서버 노드가 NFT (Non-Fungible Token)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서버 노드와 연계된 가상 자산 지갑 정보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한 NFT 해시 (hash)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 노드에 대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접속 승인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접속 승인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접속 승인 여부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버 노드와 연계된 가상 자산 지갑 정보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한 NFT 해시 정보의 현재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접속 승인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NFT 해시 정보의 현재 소유자 정보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또는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되며, 별도의 NFT 거래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서버 노드와 연계된 가상 자산 지갑 정보는, 상기 서버 노드의 합의 절차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수료를 지급받는 가상 자산 지갑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위해, 상기 서버 노드가 상기 서버 노드를 운영하는 운영체제 (operation system; OS)의 시스템 레벨에서 인증 (authorization)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 이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른 서버 노드로부터 동화 (assimilation)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상기 동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위한 전용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전용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위한 합의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제1 서버 노드; 및 상기 제1 서버 노드와 연결되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정의된 합의 절차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서버 노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서버 노드 및 상기 제2 서버 노드 각각은, 대응하는 서버 노드와 연계된 가상 자산 지갑 정보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한 NFT 해시 (hash)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응하는 서버 노드에 대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접속 승인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접속 승인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1 서버 노드 및 상기 제2 서버 노드가 각각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접속 승인 여부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제1 서버 노드 및 상기 제2 서버 노드가 각각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대응하는 서버 노드와 연계된 가상 자산 지갑 정보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한 NFT 해시 정보의 현재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접속 승인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FT 해시 정보의 현재 소유자 정보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또는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되며, 별도의 NFT 거래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 노드 (또는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는 보다 안정적인 보안 솔루션인 NFT를 통해 자신의 수익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해당 NFT는 배포 량이 제한되는 바 희소성을 가질 수 있어, 서버 노드 (또는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ESG를 위한 비채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접속 권한을 NFT의 형태로 다른 서버 노드 (또는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서버 노드의 기본 모델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동화 절차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서버 노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NFT 기반 서버 노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ESG를 위한 비채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NFT에 기반하여 서버 노드가 동작하는 방법 및 그 서버 노드를 포함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를 위한 비채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NFT (Non-Fungible Token)에 기반하여 서버 노드가 동작하는 방법 및 그 서버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 간 또는 서버 노드 간 거래 가능한 NFT에 기반하여, 특정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서버 노드가 동작하는 방법 및 그 서버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블록체인 (blockchain), 합의 알고리즘 (Consensus Algorithm), NFT (Non-Fungible Token)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블록체인 (block chain)]
블록체인이란 P2P (Peer to Peer) 네트워크를 통해서 관리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한 형태로, 거래 정보를 담은 장부를 중앙 서버 한 곳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여러 컴퓨터에 저장 및 보관하는 기술이다.
다시 말해, 블록체인 시스템은 트랜잭션 정보를 기록한 일종의 분산 장부로서 각 노드가 각각 자신의 장부를 가지고 있고, 각 장부의 내용은 합의 알고리즘에 의해 동일하게 유지된다. 장부에 기록되는 하나의 엔트리는 트랜잭션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장부에 기록을 원하는 사용자가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P2P 네트워크에 전달하면 블록체인 처리 노드들이 이를 모아 블록을 생성한다.
이때, 블록들은 서로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바, 블록체인 시스템은 트랜잭션의 순서화 된 기록을 가능케 한다. 이때, 개별 노드들은 정의된 합의 알고리즘 (또는 합의 프로토콜)에 따라 블록을 생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모든 노드들은 동일한 정보들을 보유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은 분산 처리와 암호화 기술을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높은 보안성 및 투명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은 거래 장부인 데이터 뿐 아니라 거래 계약도 중간 신뢰 담당자 (Trusted Third Party) 없이 거래를 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 (smart contract)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합의 알고리즘 (Consensus Algorithm)]
블록체인 시스템에 있어, 합의 알고리즘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합의를 달성하는 메커니즘에 대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시스템은 분산화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중앙 권위체에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블록체인 시스템을 위해,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 포함된 분산화된 노드들 간 트랜잭션의 유효성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합의 알고리즘은 블록체인 시스템 내에서 프로토콜 규칙이 준수되고 있는지 확인하며, 모든 트랜잭션이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체 불가능 토큰 (Non-Fungible Token; NFT)]
NFT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서 디지털 자산의 소유주를 증명하는 저장된 데이터 단위 (또는 가상의 토큰)로, 고유하면서 상호 교환할 수 없는 토큰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NFT는 사진, 비디오, 오디오 및 기타 유형의 디지털 파일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NFT는 가상의 진품 증명서 역할을 하여 대체 불가능하며, 복제가 불가능하다. 일 예로, 상기 NFT는 대응하는 디지털 파일을 가리키는 주소를 담음으로서 그 고유한 원본성 및 소유권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NFT는 희소성을 갖고 사용자 간 (또는 서버 노드 간) 거래를 통해 소유권이 이전/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기술 사항들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참여하는 서버 노드의 동작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블록 체인 시스템인 P2P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분산 원장 기술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DLT)을 구현하는 객체들을 서버 노드 또는 노드라 명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 노드는 후술하는 기본 모델에 기초하여 동작한다고 가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서버 노드의 기본 모델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기본 모델을 HSM (Holistic State Machine)이라 명명한다. 다만, 상기 명칭은 하나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상기 기본 모델은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명명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HSM은 기본적으로 운영체제 (Operating System; OS, 1) 기반으로 동작하는 모델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OS (1)는 대응하는 노드의 시스템 하드웨어를 관리할 뿐 아니라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가상화 플랫폼과 공통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OS (1)는 상기 노드의 컴퓨팅 자원 (예: CPU (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특정 프로그램에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객체 (object)/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엔티티(entity) 등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OS (1)은 아파라투스 (apparatus, 10), 호환 펌웨어 (Compliant Firmware, 20), P2P 어플리케이션 (Peer to Peer Application, 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OS (1) 는, 상기 아파라투스 (10), 상기 호환 펌웨어 (20), 상기 P2P 어플리케이션 등을 제어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의 참여 및 합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아파라투스 (1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아파라투스 (10)는 서버 노드에 포함된 CPU, RAM (Random Access Memory), IC (Integrated Circuits) 등의 하드웨어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호환 펌웨어 (20)는 전용 CPU (22), 전용 프로세서(들)(24), 및 전용 IC 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호환 펌웨어 (20)는 노드 내 하드웨어 부품을 초기화하고 검사하며, 부트로더 또는 대용량 저장장치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RAM으로 읽어오는 기능을 수행 가능한 바이오스 (Basic Input Output System; BIOS)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P2P 어플리케이션 (30)은 상술한 아파라투스 (10)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P2P 어플리케이션 (30)은 해당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을 위한 합의 모델 (35)과 관련된 코드 정보 또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합의 모델 (35)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합의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합의 모델 (35)은 PoW 알고리즘, PoS 알고리즘, RAFT 알고리즘 (예: RPC (Remote Procedure Call)이 적용됨), 개량된 RAFT 알고리즘 (예: 노드간 신호 송수신 방법으로 RPC가 아닌 DPC (Distributed Procedure Call)이 적용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SM의 주요 원칙은, 모든 노드에 의해 논리적이고 질서정연한 공동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기 위해, 구체적인 방법들을 취합함으로써 모든 계산적 충돌 (computational conflict)을 해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어떤 조치를 취하기 전에 초기 상태에 도달하는 것이 항상 빠르지는 않을 수 있으나, 일반적인 분산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불필요한 유효성 검사 (validation)를 제거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또한, HSM에 따르면, 해당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들은 하드웨어 사양 (specification)에서 공통된 기반을 공유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노드들이 데이터를 읽고 쓰기에 소비하는 시간과 예측 가능한 네트워크 순회 시간 (predictable network traversal time)을 조화시킬 수 있다.
도 1의 일반화는 실험적인 아이디어 및 사고를 넘어 알고리즘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는 물리적 객체 또는 가상 장치가 실행될 수 있는 모든 하드웨어 장치, 즉 OS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OS (1) (예: 윈도우 OS 등)는 CPU 코어를 특정 프로그램에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OS (1)는 P2P 통신을 위해 전용 CPU (22) 및/또는 전용 프로세서(들) (24) 및 또는 전용 IC를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의 사항들을 방지할 수 있다:
- 서버 응답 시간의 불규칙성 (Irregularity in server response time)
- 프로그램 실행에서 무한 대기-잠금 (Infinite wait-lock in program execu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OS는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한 승인 (admission)을 관리하는 외부 기관 (external authority)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인증 (authentication)이 사전에 수행되는 바 종래의 PoS 모델 등에 비해 큰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왜냐하면, 종래의 PoS 모델 등은 서비스 논리와 시스템 기능들을 분리하는 트랜잭션 시간에 노드 유효성을 인증해야 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HSM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들은 동일한 가상머신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노드들은 OS에 의해 할당된 자원 (예: CPU/프로세서/IC 등) 상에 운영되는 가상머신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머신을 통해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때, 각 노드들은 HSM의 사양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받아 항상 동일한 가상머신의 사양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HSM에 기초하여, 각 노드들은 후술하는 동화 (Assimilation) 절차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대응하는 합의 알고리즘 (예: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정의된 합의 알고리즘 등)에 따른 합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화 절차 (또는 동화된 인증)은 빠르게 이용 가능한 데이터-교환 포맷으로 각 상태를 미러링하기 위해 미지의 (unknown) 장치/노드에 인식 가능하고 (recognizable) 통일된 (unified) 조건을 적용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대 애플리케이션 미러링 (또는 반영 (reflection))은 본 발명에 따른 HSM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동화 절차는 다음의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가상 하드웨어 최적화 (Virtual hardware optimization)
- 예비 노드 인증 (Preliminary node authentication)
가상 하드웨어 최적화는 호스트 노드 (또는 리더 노드)의 복제된 상태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운영 체제는 설치된 장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레지스트리를 가지고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HSM은 상기 시스템 레지스트리로부터 레지스트라 (registrar)를 획득하여 별도의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HSM은 상기 획득된 레지스트라 정보에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상기 식별자 (예: 동화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각 노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며 먼저 근처의 풀 내 자원 관리 노드로 생성된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이후 자원 획득에 성공하면 상기 생성된 식별자를 즉시 전체 네트워크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자원 할당은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가입하려는 노드에 대해 요청 별로 수행되고, 실행 우선 순서 (execution-first order)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동화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동화 절차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단계에 있어, 각 노드들은 서로 다른 하드웨어 사양을 가질 수 있다. 다음의 스테이징 단계에 있어, 각 노드들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참여하는 과정에서 OS 레벨에서 (또는 OS 레이어 상에서) 시스템-레벨 인증 (System-level Authorization) 및/또는 보조 유효성 검사 (Ancillary Valid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각 노드들이 OS 레벨에서 시스템-레벨 인증 등을 수행한다고 함은, 각 노드들이 OS 에 기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참여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상기 OS의 시스템-레벨 인증 등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에 성공한 경우, 각 노드들은 호스트 노드 (또는 리더 노드)의 복제된 상태 정보를 활용하여 동일한 하드웨어 사양을 P2P 네트워크 전용으로 할당하여 해당 블록체인 시스템에 정의된 합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각 노드의 OS의 시스템 레벨 상에서 수행되는 특정 프로그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노드의 OS에는 시스템 레벨 상에서 구동되는 특정 프로그램이 존재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특정 시스템을 감시자 (Watcher)라 명명하나, 상기 명칭은 하나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상기 기본 모델은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명명될 수도 있다.
감시자는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데몬 (daemon) 프로세스/어플리케이션 (예: 화면에 표시되거나 또는 주요하게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아니나, 계속 실행 상태를 유지하는 프로세스/어플리케이션,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없이 스스로 동작하는 프로세스/어플리케이션 등)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시자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상 징후 (abnormality)를 찾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 동화 상태에서의 모든 변화 (Any changes in the assimilated state)
- 노드의 승격 및 강등 사후 검증 (Post-validation of promotion and demotion of a node)
- 새로 가입한 노드를 실격시키기 위한 선제적 시도 (Preemptive attempt to disqualify a newly joined node)
상술한 동화 절차는 합의 알고리즘 내 데이터 복제 (또는 로그 복제) 과정에서 내재되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동화 절차에 기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드들은 다양한 합의 모델에 따른 합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노드들은 RAFT 합의 알고리즘에 DPC 가 적용된 합의 모델에 따른 합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RAFT 합의 알고리즘은 노드들 중 선출된 리더를 통해 합의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리더 선출 (leader election) 단계 및 로그 복제 (log replication)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리더 선출 (leader election) 단계]
리더 선출은 기존의 리더가 실패하거나 합의 알고리즘이 새로 시작할 때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노드들은 다음의 세가지 상태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리더 상태 (leader state), 추종자 상태 (follower state), 또는 후보 상태 (candidate state).
리더 선출이 수행되면 새로운 기간 (Term)이 시작한다. 리더 선출이 성공하는 경우, 해당 Term은 선출된 리더 노드에 의해 조율된 일반적인 명령과 함께 계속될 수 있다. 반면, 리더 선출이 실패하는 경우, 새로운 리더 선출과 함께 새로운 Term이 시작할 수 있다.
추종자 상태에 있는 각 노드 (이하, 추종자 노드)는 선출 타임아웃 (election timeout) 내 리더 노드로부터 아무런 연락을 받지 못할 경우 후보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각 노드 별 선출 타임아웃 값은 임의적으로 (random) 결정될 수 있다.
후보 상태가 된 노드 (이하, 후보 노드)는 새로운 리더 선출을 시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후보 노드는 term 카운트를 증가시키며 자기 자신을 새로운 리더로 투표하고 다른 노드들에게 투표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추종자 노드는 해당 term 내에 투표한 경우가 없다면 상기 요구에 대응한 응답을 상기 후보 노드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추종자 노드는 자신의 선출 타임아웃 값을 초기화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후보 노드가 과반수 이상의 투표를 받으면 상기 후보 노드는 해당 Term 내 리더 노드가 될 수 있다. 반면, 해당 Term 내 리더 노드가 결정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Term이 시작되며 새로운 리더 선출이 시작될 수 있다.
[로그 복제 (log replication) 단계]
로그 복제는 리더 노드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그 복제 과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1) 변경 사항이 있는 노드 (예: 클라이언트)는 이에 대한 요청을 리더 노드에게 송신한다.
(2) 리더 노드는 해당 변경 사항을 상기 리더 노드의 새 엔트리 (예: Log entry)로 저장/연결한다.
(3) 리더 노드는 해당 변경 사항에 대한 요청을 추종자 노드들에게 엔트리 확장 메시지로서 송신한다.
(4) 이에 대응하여, 추종자 노드들은 해당 변경 사항에 대해 새 엔트리 (예: Log entry)로 저장/연결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리더 노드로 송신한다.
(5) 과반수 이상의 추종자 노드들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경우, 리더 노드는 자신의 엔트리를 커밋 (commit)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한다.
(6) 또한, 리더 노드는 추종자 노드들에게 변경 사항이 커밋되었음을 알리고, 이에 대응하여 추종자 노드들은 변경된 엔트리를 커밋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일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노드들은 이러한 RAFT 합의 알고리즘과, 종래의 1:1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상이한 특성을 갖는 P2P 네트워크에 적합한 신호 전달 체계인 DPC가 결합된 합의 모델에 따른 합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에 따른 노드들은 상술한 RAFT 알고리즘과 같이 상이한 상태 (예: 리더 노드 또는 추종자 노드)를 갖고 동작하지 않고, 모두 동일한 상태를 갖고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노드들은 모두 동일한 상태로 합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예로, 상기 노드들은 PoW 합의 알고리즘과 같이 모두 동일한 상태 (또는 동일한 우선 순위 (priority) 등)에 기반한 합의 모델에 따른 합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블록을 생성하는 노드에게는 별도의 보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상으로는 해당 블록체인 시스템과 관련된 코인/토큰이 지급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일 예로, 시스템 설정 또는 관리자의 설정 등에 따라 상기 보상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한 기술 사상들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 참여하는 서버 노드는 아래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서버 노드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P2P 네트워크에 접속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일 예로,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서버 노드들 (예: 제1 서버 노드 및 상기 제1 서버 노드와 연결되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정의된 합의 절차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서버 노드)가 참여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복수의 서버 노드들은 각각 대응하는 서버 노드를 운영하는 운영체제 (operation system; OS)의 시스템 레벨에서 수행된 인증 (authorization)을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위하여 동일한 크기의 전용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전용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위한 합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다른 일 예로, 상술한 복수의 서버 노드들은 동일한 상태 (state)를 갖고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정의된 합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 상술한 복수의 서버 노드들은 제1 상태 (예: 호스트 노드, 리더 노드 등)를 갖는 제1 서버 노드 및 제2 상태 (예: 참여 노드, 추종자 노드 등)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2 서버 노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서버 노드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위한 호스트 노드 또는 리더 노드에 대응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서버 노드는 상기 제1 서버 노드의 운영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정의된 합의 절차를 수행하는 참여 노드 또는 추종자 노드에 대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서버 노드들은 다음과 같이 동작하며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서버 노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노드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위해, 상기 서버 노드가 상기 서버 노드를 운영하는 운영체제 (operation system; OS)의 시스템 레벨에서 인증 (authorization)을 수행한다 (S310). 여기서, 상기 서버 노드가 OS의 시스템 레벨에서 인증을 수행한다고 함은, 상기 서버 노드가 OS 에 기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참여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상기 OS의 시스템 레벨 상에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인증 이후, 서버 노드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른 서버 노드로부터 동화 (assimilation) 정보를 획득한다 (S320). 이때, 상기 서버 노드는 상기 OS에 기반하여 상기 동화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OS와 관계없는 매체를 통해 상기 동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동화 정보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각 서버 노드에게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화 정보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위해 필요한 전용 자원 정보 (예: 하드웨어 사양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동화 정보는 다양한 데이터 포맷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동화 정보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과 같은 데이터 교환 형식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서버 노드는, 획득한 동화 정보에 기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위한 전용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전용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위한 합의 절차를 수행한다 (S330). 이때, 상기 서버 노드의 전용 자원 할당 및 이에 기초한 합의 절차 수행은 상기 서버 노드의 OS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서버 노드는 상기 OS를 이용하여 상술한 전용 자원 할당 및 이에 기초한 합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위한 전용 자원은, 자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위한 전용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위한 전용 프로세서
-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위한 전용 집적 회로 (integrated circuit; IC)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노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위한 전용 자원을 할당하는 것은, 상기 서버 노드의 하드웨어 자원에 대한 가상화를 통해 상기 전용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버 노드는 획득한 동화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화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위한 전용 자원을 할당할 수 있고, 상기 전용 자원은 다른 용도로 활용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서버 노드들은 항상 일정한 하드웨어 사양으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ESG를 위한 비채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 참여하는 서버 노드가 NFT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 NFT는 서버 노드가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접속할 수 있는 권리/권한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NFT는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한 입장권 또는 회원권 등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노드는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보유한 NFT 당 하나의 계정을 인증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버 노드는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자신의 컴퓨팅 및 네트워크 전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른 트랜젝션의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NFT 기반 서버 노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서버 노드는 NFT에 기반하여 다음의 동작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 노드는, 상기 서버 노드와 연계된 가상 자산 지갑 정보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한 NFT 해시 (hash)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 노드에 대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접속 승인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S410).
본 발명에 있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한 NFT 해시 정보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권한을 보유한 NFT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의 인증 시스템/메커니즘을 통해, 상기 서버 노드는 상기 서버 노드와 연계된 가상 자산 지갑 정보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한 NFT 해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 노드에 대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접속 승인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 노드와 연계된 가상 자산 지갑 정보는, 상기 서버 노드의 계정에 대응하여 설정된 가상 자산 지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서버 노드와 연계된 가상 자산 지갑 정보는, 상기 서버 노드의 식별 정보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대응하여 식별되는 가상 자산 지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서버 노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접속 승인 여부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서버 노드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버 노드와 연계된 가상 자산 지갑 정보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한 NFT 해시 정보의 현재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접속 승인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 자산 지갑 정보가 상기 NFT 해시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접속 승인 관련 메시지는 '접속 승인 허용'을 나타내는 메시지에 대응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가상 자산 지갑 정보가 상기 NFT 해시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접속 승인 관련 메시지는 '접속 승인 거절'을 나타내는 메시지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한 NFT 해시 정보는 일정 개수의 NFT 해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정 개수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된 최대 접속 가능한 서버 노드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NFT 해시 정보의 현재 소유자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예: ESG를 위한 비채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또는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예: 이더리움 네트워크, 클레이튼 네트워크 등)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NFT 해시 정보의 현재 소유자 정보는, 상호 간 거래 가능한 NFT의 특성에 따라, 별도의 NFT 거래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때, 서버 노드와 연계된 가상 자산 지갑 정보는 상기 서버 노드의 합의 절차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수료를 지급받는 가상 자산 지갑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서버 노드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 설정한 수수료 입금 가상 자산 지갑 정보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한 NFT 해시 정보의 현재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서버 노드의 접속 승인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S410 단계에 따른 접속 승인 여부에 기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노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420). 일 예로, 상기 서버 노드는, S410 단계를 통해 식별된 접속 승인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S420 단계에 따른 동작은 상술한 S310 내지 S330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일 예로, 상술한 S410 단계는 상술한 S310, S3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와 동시에 또는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 상술한 S410 단계에 이어, 상술한 S310 내지 S330 단계가 수행할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에 참여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노드는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인증하는 NFT 해시 값 및 해당 서버 노드 (또는 참여자)의 지갑 정보의 비교 확인 결과에 따른 접속 승인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후, 해당 블록체인 시스템에 대한 접속 유지 상태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서버 노드는 해당 블록체인 시스템으로부터 접속 유지에 따른 보상 (예: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술한 서버 노드의 동작 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제1 서버 노드; 및 상기 제1 서버 노드와 연결되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정의된 합의 절차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서버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서버 노드 및 상기 제2 서버 노드 각각은 다음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제1 서버 노드 및 제2 서버 노드 각각은, 대응하는 서버 노드와 연계된 가상 자산 지갑 정보와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한 NFT 해시 (hash)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응하는 서버 노드에 대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접속 승인 여부를 식별함
- 제1 서버 노드 및 제2 서버 노드 각각은, 식별된 접속 승인 여부에 기반하여,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접속 절차를 수행함
본 발명에 있어, 제1 서버 노드 및 상기 제2 서버 노드가 각각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접속 승인 여부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제1 서버 노드 및 상기 제2 서버 노드가 각각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대응하는 서버 노드와 연계된 가상 자산 지갑 정보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한 NFT 해시 정보의 현재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접속 승인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NFT 해시 정보의 현재 소유자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또는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되며, 별도의 NFT 거래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술한 서버 노드의 NFT 기반 동작을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은 각 서버 노드의 접속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 서버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증 서버 노드는, 실시예에 따라 풀 노드 (full node), 마스터 노드 (master node) 등에 대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 서버 노드 대신, 상기 인증 서버 노드의 역할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버 노드가 분산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풀 노드 (full node)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수행된 모든 거래 정보를 전부 저장하는 서버 노드에 대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풀 노드는 제네시스 블록부터 시작해서 최근 블록까지 모든 블록체인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노드 (master node)는 풀 노드 중에서 추가적인 권한을 제공받은 서버 노드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마스터 노드는 풀 노드의 의무를 수행하며 트랜잭션의 추가 기능(익명, 즉시 전송 등)을 수행 가능한 서버 노드에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 OS
10: 아파라투스 (apparatus)
20: 호환 펌웨어
22: 전용 CPU
24: 전용 프로세서(들)
30: P2P 어플리케이션
35: 합의 모델

Claims (7)

  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서버 노드가 NFT (Non-Fungible Token)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 노드와 연계된 가상 자산 지갑 정보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한 NFT 해시 (hash)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 노드에 대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접속 승인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접속 승인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노드의 동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접속 승인 여부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버 노드와 연계된 가상 자산 지갑 정보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한 NFT 해시 정보의 현재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접속 승인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노드의 동작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NFT 해시 정보의 현재 소유자 정보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또는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되며, 별도의 NFT 거래를 통해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노드의 동작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노드와 연계된 가상 자산 지갑 정보는,
    상기 서버 노드의 합의 절차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수료를 지급받는 가상 자산 지갑 정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노드의 동작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위해, 상기 서버 노드가 상기 서버 노드를 운영하는 운영체제 (operation system; OS)의 시스템 레벨에서 인증 (authorization)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 이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른 서버 노드로부터 동화 (assimilation)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상기 동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위한 전용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전용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위한 합의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노드의 동작 방법.
  6.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제1 서버 노드; 및
    상기 제1 서버 노드와 연결되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정의된 합의 절차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서버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버 노드 및 상기 제2 서버 노드 각각은,
    대응하는 서버 노드와 연계된 가상 자산 지갑 정보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한 NFT 해시 (hash)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응하는 서버 노드에 대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접속 승인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접속 승인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의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버 노드 및 상기 제2 서버 노드가 각각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접속 승인 여부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제1 서버 노드 및 상기 제2 서버 노드가 각각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대응하는 서버 노드와 연계된 가상 자산 지갑 정보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한 NFT 해시 정보의 현재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접속 승인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NFT 해시 정보의 현재 소유자 정보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또는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되며, 별도의 NFT 거래를 통해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220052949A 2022-04-28 2022-04-28 Esg를 위한 비채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nft에 기반하여 서버 노드가 동작하는 방법 및 그 서버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KR102514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949A KR102514893B1 (ko) 2022-04-28 2022-04-28 Esg를 위한 비채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nft에 기반하여 서버 노드가 동작하는 방법 및 그 서버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949A KR102514893B1 (ko) 2022-04-28 2022-04-28 Esg를 위한 비채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nft에 기반하여 서버 노드가 동작하는 방법 및 그 서버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893B1 true KR102514893B1 (ko) 2023-03-29

Family

ID=8580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949A KR102514893B1 (ko) 2022-04-28 2022-04-28 Esg를 위한 비채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nft에 기반하여 서버 노드가 동작하는 방법 및 그 서버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8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941A (ko) 2015-12-24 2017-07-04 한국전기연구원 오존 발생용 방전관
KR20190115554A (ko) *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지갑 연계 상태 인증 기반 암호화폐 거래 제공 방법
KR20210059589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대체불가능 토큰을 지원하는 허가형 블록체인 시스템
CN114201735A (zh) * 2021-11-30 2022-03-18 中科苏州智能计算技术研究院 基于nft的数字证书发布与验证方法
KR102388233B1 (ko) * 2021-09-02 2022-04-18 김한조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941A (ko) 2015-12-24 2017-07-04 한국전기연구원 오존 발생용 방전관
KR20190115554A (ko) *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지갑 연계 상태 인증 기반 암호화폐 거래 제공 방법
KR20210059589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대체불가능 토큰을 지원하는 허가형 블록체인 시스템
KR102388233B1 (ko) * 2021-09-02 2022-04-18 김한조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CN114201735A (zh) * 2021-11-30 2022-03-18 中科苏州智能计算技术研究院 基于nft的数字证书发布与验证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79371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の分割
US11789767B2 (en) Cooperative cloud infrastructure using blockchains for hardware ownership and access
US11853291B2 (en) Privacy preserving architecture for permissioned blockchains
US20220191026A1 (en) Self-sovereign data access via bot-chain
WO2020015448A1 (zh) 一种区块链网络的账号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00314078A1 (en) Inter-system linking method and node
US20220156725A1 (en) Cross-chain settlement mechanism
Dinh et al. A blueprint for interoperable blockchains
KR20230043800A (ko) 컨텐츠 관리 서버
US11888981B2 (en) Privacy preserving auditable accounts
KR102439351B1 (ko) Esg를 위한 비채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참여하는 서버 노드의 동작 방법
KR102514893B1 (ko) Esg를 위한 비채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nft에 기반하여 서버 노드가 동작하는 방법 및 그 서버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JP7346646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コミュニティ管理方法、装置、機器および記憶媒体
KR20230020468A (ko)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US20230054904A1 (en) Layered-Infrastructure Blockchain-Based System for Software License Distribution
JP2023538497A (ja) 編集可能なブロックチェーン
US11683173B2 (en) Consensus algorithm for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US20230267457A1 (en) Privacy preserving asset transfer between networks
US11755562B2 (en) Score based endorsement in a blockchain network
KR20240055447A (ko) 공유 로그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사용자 트랜잭션 처리 방법
CN115151934A (zh) 平台服务验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