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337B1 -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를 통한 캐리어 통합 - Google Patents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를 통한 캐리어 통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337B1
KR102514337B1 KR1020217019111A KR20217019111A KR102514337B1 KR 102514337 B1 KR102514337 B1 KR 102514337B1 KR 1020217019111 A KR1020217019111 A KR 1020217019111A KR 20217019111 A KR20217019111 A KR 20217019111A KR 102514337 B1 KR102514337 B1 KR 102514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subscriber
request
companion device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9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1310A (ko
Inventor
아몰 툴리
조나탄 곤잘레스
푸냐브라타 레이
더트 칼라파타푸
지 양
사테시 봄마칸티
Original Assignee
구글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글 엘엘씨 filed Critical 구글 엘엘씨
Priority to KR1020237009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508B1/ko
Publication of KR20210091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45Proxies, e.g. for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3Registration or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4Inter-user-equipment sessions transfer or 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9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y using authentication-authorization-accounting [AAA] servers o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6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 H04L63/166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at the transport layer

Abstract

사용자 프록시 인터페이스를 통한 캐리어 네트워크 통합을 위한 방법(300)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링크된 동반 디바이스(120)에 대해 캐리어 제공자와 음성 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해 캐리어 제공자(301)의 가입자(10)와 관련된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요청(130)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요청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입자 식별자(132)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가입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동반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단계와, 가입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증명서(140)를 획득하는 단계와,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200)에 동반 디바이스에 대한 SIP 증명서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는 캐리어 제공자 및 동반 디바이스의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 시스템(IMS)(320)과 통신한다. 방법은 또한 SIP 증명서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를 통해 동반 디바이스와 IMS사이에 음성 서비스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를 통한 캐리어 통합
본 개시는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를 통한 캐리어 통합에 관한 것이다.
역사적으로, 음성 호(voice call) 서비스는 회선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었다. 그러나 네트워크가 발전함에 따라 음성 호 서비스는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활용하도록 진화되었다. 예를 들어, VoIP(Voice over IP)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통신 및 멀티미디어 세션을 제공한다.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음성 호 서비스는 시그널링, 음성 신호의 디지털화 및 멀티미디어 전송(예를 들어, 인코딩 기능 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같은 사용자 디바이스가 지속적으로 혁신함에 따라, 이러한 디바이스에 대한 음성 호 서비스와 캐리어 제공자의 네트워크, 특히 IP 멀티미디어 서브 시스템 네트워크의 통합을 수용하고 및/또는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를 통한 캐리어 통합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에서, 캐리어 제공자의 가입자와 관련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요청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링크된 동반 디바이스에 대해 캐리어 제공자와 음성 서비스를 설정하도록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에 요청한다. 요청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입자 식별자가 포함된다.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방법은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입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동반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단계와;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입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증명서를 획득하는 단계와; 그리고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에 의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에 동반 디바이스에 대한 SIP 증명서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는 캐리어 제공자 및 동반 디바이스의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 시스템(IMS)과 통신한다. 방법은 또한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에 의해, SIP 증명서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를 통해 동반 디바이스와 IMS 사이에 음성 서비스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구현은 다음의 선택적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방법은 SIP 증명서를 동반 디바이스에 등록한 후,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로부터, 전송 계층 보안 연결을 통해 SIP 시그널링에 의해 동반 디바이스로부터 캐리어 제공자의 IMS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는 동반 디바이스로부터 SIP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SIP 시그널링과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을 캐리어 제공자의 IMS로 포워딩한다. 이러한 예에서, RTP는 보안 RTP에 대응할 수 있고 데이터그램 전송 계층 보안(DTLS)에 기초한 키 교환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는 동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를 캐리어 제공자의 IMS를 위한 강화된 음성 서비스(EVS) 또는 적응형 멀티-레이트(AMR)로 트랜스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용 세션 순회 유틸리티(STUN),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또는 대화형 연결 설정(ICE)을 사용하는 미디어 연결에 의해 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동반 디바이스로부터 캐리어 제공자의 IMS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현에서, 방법은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에서, 캐리어 제공자의 가입자와 관련된 제2 요청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요청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입자 식별자를 포함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링크된 하나 이상의 추가 동반 디바이스에 대해 캐리어 제공자와 음성 서비스를 설정하도록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에 요청한다.제2 요청을 수신한 후, 방법은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에 의해, 하나 이상의 추가 동반 디바이스와 동반 디바이스를 결합된 동반 디바이스로 통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된 동반 디바이스는 단일 전송 계층 보안 연결을 통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를 통해 캐리어 제공자의 IMS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에서, 가입자 식별자는 국제 모바일 가입자 ID(IMSI)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가입자에 대한 인증 토큰을 생성함으로써 요청을 생성한다. 이러한 구현에서, 인증 토큰은 가입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된 전화 번호를 동반 디바이스와 링크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는 하나 이상의 동반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을 관리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에 의해 관리되는 등록은 캐리어 제공자의 IMS에 대한 모바일 스테이션(이동국) 국제 가입자 디렉토리 번호(MSISDN) 당 단일 SIP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는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를 통한 캐리어 통합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시스템은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와 그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와 통신하는 메모리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메모리 하드웨어는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에서 실행될 때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로 하여금 캐리어 제공자의 가입자와 관련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한다. 요청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링크된 동반 디바이스에 대해 캐리어 제공자와 음성 서비스를 설정하도록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에 요청한다. 요청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입자 식별자가 포함된다.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들은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입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동반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동작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입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증명서를 획득하는 동작과;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에 동반 디바이스에 대한 SIP 증명서를 등록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는 캐리어 제공자 및 동반 디바이스의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 시스템(IMS)과 통신한다. 동작들은 또한 SIP 증명서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를 통해 동반 디바이스와 IMS사이에 음성 서비스를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구현은 다음의 선택적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동작들은 SIP 증명서를 동반 디바이스에 등록한 후, 전송 계층 보안 연결을 통해 SIP 시그널링에 의해 동반 디바이스로부터 캐리어 제공자의 IMS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는 동반 디바이스로부터 SIP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SIP 시그널링과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을 캐리어 제공자의 IMS로 포워딩한다. 이러한 예에서, RTP는 보안 RTP에 대응할 수 있고 데이터그램 전송 계층 보안(DTLS)에 기초한 키 교환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동작은 동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를 캐리어 제공자의 IMS를 위한 강화된 음성 서비스(EVS) 또는 적응형 멀티-레이트(AMR)로 트랜스코딩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동작은 네트워크 주소 변환용 세션 순회 유틸리티(STUN),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순회 또는 대화형 연결 설정(ICE)을 사용하는 미디어 연결에 의해 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동반 디바이스로부터 캐리어 제공자의 IMS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구현에서, 동작들은 캐리어 제공자의 가입자와 관련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2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요청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입자 식별자를 포함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링크된 하나 이상의 추가 동반 디바이스에 대해 캐리어 제공자와 음성 서비스를 설정하도록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에 요청한다. 제2 요청을 수신한 후, 동작들은 하나 이상의 추가 동반 디바이스 및 동반 디바이스를 결합된 동반 디바이스로 통합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된 덩반 디바이스는 단일 전송 계층 보안 연결을 통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를 통해 캐리어 제공자의 IMS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에서, 가입자 식별자는 국제 모바일 가입자 ID(IMSI)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가입자에 대한 인증 토큰을 생성함으로써 요청을 생성한다. 이러한 구현에서, 인증 토큰은 가입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된 전화 번호를 동반 디바이스와 링크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는 하나 이상의 동반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을 관리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에 의해 관리되는 등록은 캐리어 제공자의 IMS에 대한 모바일 스테이션 국제 가입자 디렉토리 번호(MSISDN) 당 단일 SIP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구현의 세부 사항은 첨부된 도면 및 아래의 설명에서 설명된다. 다른 양태, 특징 및 이점은 설명 및 도면, 그리고 청구 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 환경의 개략도이다.
도 2a 및 2b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 환경 내의 예시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동작들의 예시적인 배열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다양한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기호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 환경(100)의 예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 환경(100)은 음성 호 서비스를 위한 엔드 포인트로서 적어도 하나의 주 디바이스(110) 및 적어도 하나의 동반(companion) 디바이스(120)와 관련된 가입자(예를 들어, 소유자 또는 사용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엔드 포인트(110, 120)는 캐리어(carrier, 통신 사업자)(301)의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10)가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UNI) 프록시(200)를 통해 캐리어(301)의 인프라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엔드 포인트(110, 120)는 일반적으로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상에서 호스팅되는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브라우저)을 지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기, 태블릿, 랩탑 등)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음성 통신 및/또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모바일 디바이스인 주 디바이스(110) 및 (예를 들어, 오디오, 비디오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기능을 갖는) 음성 호 서비스로 구성된 사용자 디바이스인 동반 디바이스(120)를 도시한다. 주 디바이스(110)와 동반 디바이스(120) 각각은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12, 122) 및 메모리 하드웨어(114, 124)를 포함한다. 메모리 하드웨어(114, 124)는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12, 122)와 통신하고,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12, 122)에 의해 실행될 때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12, 122)가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한다. 도 1은 하나 이상의 주 디바이스(110, 110a-n)와 하나의 동반 디바이스(120)를 도시하지만, 가입자(10)는 캐리어(301)의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2a 및 2b의 네트워크(320))와 함께 임의의 수의 주 디바이스(110)와 임의의 수의 동반 디바이스(120)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동반 디바이스(120)의 수는 주 디바이스(110)의 수와 무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주 디바이스(110)는 4개의 동반 디바이스(120)를 가질 수 있다.
엔드 포인트(예를 들어, 주 디바이스(110) 또는 동반 디바이스(120))의 음성 호 서비스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통신)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엔드 포인트는 캡처된 오디오, 비디오, 멀티미디어, 텍스트(예를 들어, 메시징)등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엔드 포인트(예를 들어, 주 디바이스(110) 또는 동반 디바이스(120))는 가입자(10)를 위한 음성 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예를 들어, 마이크) 및/또는 비디오 캡처 디바이스(예를 들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호와 관련된 미디어를 전달하기 위해, 엔드 포인트(110, 120)는 UNI 프록시(200)를 통해 캐리어(301)와 통신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토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토콜은 인증 프로토콜, 신호 프로토콜, 전송 프로토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주 디바이스(110)는 가입자(10)를 대신하여 캐리어(301)에 등록된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가입자(10)가 주 디바이스(110)에 전화를 걸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입자(10)는 주 디바이스(110)이외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캐리어(301)의 네트워크(예를 들어, 네트워크(320))를 통해 전화를 걸기를 선호하거나 원할 수 있다. 이것은 가입자(10)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더 많은 디바이스를 획득함에 따라 점점 더 그럴 수 있다. 주 디바이스(110)이외의 디바이스로 전화를 걸기 위해, 가입자(10)는 캐리어(301)와 음성 서비스를 위한 보조 디바이스로서 동반 디바이스(120)를 통합할 수 있다. 즉, 동반 디바이스(120)는 캐리어(301)의 가입자 계정에서 주 디바이스(110)와 관련된 가입자(10)의 추가 또는 보조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여기서, 캐리어(301)와 디바이스의 통합은 캐리어(301)의 네트워크(예를 들어, 네트워크(320))를 이용하여 음성 호 서비스를 수행하거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호출할 수 있는 캐리어(301)의 승인된 디바이스/사용자로 인식되도록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것을 지칭한다.
일부 구현에서, 가입자(10)는 동반 디바이스(120)를 주 디바이스(110)에 링크한다. 여기서, 링크하는 것은 캐리어(301)가 캐리어(301)의 네트워크(320)(예를 들어, IP 멀티미디어 서브 시스템(IMS) 또는 단순히 캐리어 IMS 코어)를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승인된 것으로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도록 동반 디바이스(120)를 주 디바이스(110)와 연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주 디바이스(110)는 가입자(10)에 대한 인증 절차를 생성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116)(즉,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12)에서 실행/운영)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애플리케이션(116)은 임의의 가입자의 디바이스(110, 120)를 대신하여 캐리어(301)와의 통합을 위한 전화 번호(예를 들어, 모바일 스테이션(이동국) 국제 가입자 디렉토리 번호(MSISDN))를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이, 애플리케이션(116)은 음성 서비스가 캐리어(301)와 통합될 수 있도록 요청(130)을 UNI 프록시(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가입자(10)의 모든 엔드 포인트(110, 120)는 UNI 프록시(200)를 통해 캐리어(301)와 통합하기 위해 동일한 전화 번호를 사용한다.
일부 예에서, 동반 디바이스(120)를 통해 음성 서비스(예를 들어, 음성 호출)를 온보딩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116)은 자격(entitlements) 절차를 트리거할 수 있다. 자격 절차는 엔드 포인트 또는 엔드 포인트의 사용자가 캐리어(301)를 통해 음성 서비스를 받을 자격이 있거나 가입되어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자격 절차는 또한 캐리어(301)로부터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증명서(credentials)(140)을 검색하여 동반 디바이스(120)가 캐리어(301)의 IP 멀티미디어 서브 시스템(IMS) 네트워크(320)(예를 들어, 도 2a 및 2b)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IMS(320)" 및 "IMS 네트워크 (320)"이라는 용어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일단 등록되면, 동반 디바이스(120)는 캐리어(301)와 음성 호 서비스를 발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엔드 포인트(110, 120)는 네트워크(160)를 통한 원격 시스템(150)을 통해 UNI 프록시(200)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UNI 프록시(200)는 가입자(10)가 액세스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예를 들어, 분산 시스템 또는 클라우드)에서 원격으로 호스팅된다. 예를 들어, UNI 프록시(200)는 가입자(10)가 액세스할 수 있는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엔드 포인트(110, 120)에 원격으로 액세스 가능)일 수 있다. 원격 시스템(150)에서 호스팅됨으로써, UNI 프록시(200)는 원격 시스템(150)의 컴퓨팅 리소스들(152)을 사용하여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팅 리소스(152)는 원격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54)(예를 들어, 서버들) 및 원격 메모리 하드웨어(156)(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웨어에서 호스팅되는 원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UNI 프록시(200)는 동반 디바이스(120)상에 위치된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22)가 캐리어(301)의 IMS 네트워크(320)와 동반 디바이스(120)간의 직접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UNI 프록시(200)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동반 디바이스(120)와 통합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성에서, 동반 디바이스(120)는 IMS(즉, IMS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UNI 프록시(200)는 최종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지원되는 전통적인 네트워크(예를 들어, IR.51)를 모방함으로써 캐리어(301)의 네트워크(예를 들어, 네트워크(320))에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전통적인 네트워크를 모방함으로써, UNI 프록시(200)는 캐리어(301)의 가입자(10)에 대한 디바이스 관리를 단순화한다. UNI 프록시(200)를 사용하여, 가입자(10)는 캐리어(301)와의 디바이스 호환성에 대한 우려없이 캐리어(301)의 네트워크(예를 들어, 네트워크(320))를 사용하여 다수의 엔드 포인트(110, 120)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따라서, 엔드 포인트(110, 120)는 캐리어(301)와의 음성 서비스를 위한 엔드 포인트(110, 120)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가입자 수준에서 업데이트, 교체, 재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UNI 프록시(200)는 캐리어(301)가 볼 때 각각의 엔드 포인트(110, 120)를 구별할 수 없게 함으로써 프라이버시 및/또는 엔드 포인트 보안을 개선할 수 있다. 즉, UNI 프록시(200)는 UNI 프록시(200)를 통해 캐리어(301)와 통신하는 각 디바이스를 유사하게 보이게 할 수 있다(예를 들어, 주 디바이스(110)는 동반 디바이스(120)와 동일하게 보인다). 일부 구현에서, 역으로, 캐리어(301)는 가입자(10)의 엔드 포인트에 영향을 주지 않고 UNI 프록시(200)와의 조정(coordination)을 변경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 환경(100) 내에서 UNI 프록시(200) 및 가입자(10)의 엔드 포인트와 캐리어(301) 간의 관계의 예이다. UNI 프록시(200)는 자격 부여기(entitler)(210),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프록시(220) 및 미디어 프록시(230)를 포함한다. UNI 프록시(200)를 사용하여, 엔드 포인트(110, 120)는 캐리어(301)의 네트워크(320)를 사용하여 호를 종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NI 프록시(20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 2a 및 2b는 캐리어(301)에 대한 네트워크(320)를 도시한다. 통신 서비스 제공자(캐리어 제공자라고도 함)는 가입자들(10)에게 음성 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종종 독점 네트워크 인프라가 있는 캐리어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여기서, 캐리어(301)는 자격 시스템(311) 및 IMS 네트워크(320)(캐리어 IMS 코어(320)라고도 함)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IMS 네트워크(320)는 일반적으로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위한 통합 서비스 아키텍처를 제공하도록 의도된 IP 멀티미디어 서브 시스템(IMS)을 지칭한다. 종종, IMS 네트워크(32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통신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 계층, 제어 계층, 액세스 및 전송 계층을 포함하는 여러 계층에서 동작한다. 캐리어301)가 자격 시스템(311)과 IMS 네트워크 (3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다른 컴포넌트 및/또는 인프라가 캐리어(301)와 엔드 포인트(110, 120)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UNI 프록시(200)의 기능을 변경하지 않고 캐리어(301)로부터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자격 부여기(210)는 인증 절차와 자격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자격 부여기(210)는 주 디바이스(110)에 링크된 동반 디바이스(120)에 대해 캐리어(301)와 음성 서비스를 설정(establish)하기 위한 요청(130)을 수신한다. 요청(130)은 예를 들어 MSISDN, IMS 공용 사용자 ID(IMPU) 또는 국제 모바일 가입자 ID(IMSI)과 같은 가입자 식별자(132)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에서, 애플리케이션(116)은 주 디바이스(110)로부터의 가입자 식별자(132)를 갖는 요청(130)을 통신한다. 다른 구현에서, 동반 디바이스(120)는 주 디바이스(110)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요청(130)을 시작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요청(130)은 UNI 프록시(200)에 대한 가입자(10)를 식별하기 위한 인증 증명서(인증 크리덴셜)로서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116)에 의해 생성된) 인증 토큰(134)을 더 포함한다. 인증 토큰(134)은 개방 인증(OAuth) 토큰, 일회용 패스워드로서의 메시지(예를 들어, SMS OPT) 또는 확장형 인증 프로토콜(EAP)(예를 들어, 인증 및 키 계약 메커니즘(EAP-AKA))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인증 토큰(134)은 가입자(10)의 주 디바이스(110)(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된 전화 번호를 동반 디바이스(120)와 링크한다.
요청(130)에 기초하여, 자격 부여기(210)는 캐리어(301)와 통신하는 자격 절차를 수행한다. 자격 절차를 개시하기 위해, 자격 부여기(210)는 요청(130)을 캐리어(301)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도 2a는 요청(130)을 수신하는 자격 서버(312)를 도시한다. 여기서, 자격 서버(312)에서, 캐리어 네트워크(320)는 또한 인증, 승인 및 계정(AAA) 서버(314) 및/또는 정보 기술(IT)/비즈니스 지원 시스템(BSS)(316)을 포함하여 캐리어(301)에서의 자격 절차를 돕는다. 일부 예에서, 자격 부여기(210) 및 캐리어(301)(예를 들어, 자격 서버(312))는 자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통해 통신한다.
자격 부여기(210)로부터의 요청(130)을 이용하여, 자격 서버(312)는 가입자 식별자(132)에 기초하여 인증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자격 서버(312)는 가입자 식별자(132)가 캐리어(301)의 알려진 가입자들에 대한 식별자(예를 들어, 자격 서버(312) 또는 캐리어(301)의 다른 컴포넌트에 저장됨)와 매칭하는지 결정한다. 캐리어(301)가 요청(130)을 인증하는 경우, UNI 프록시(200)는 가입자 식별자(132)(예를 들어, 주 디바이스(110)의 가입자 식별자(132))에 대응하는 SIP 증명서(140)를 수신하거나 획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애플리케이션(116)은 SIP 증명서(140)를 수신하여 SIP 증명서(140)를 UNI 프록시(200)(예를 들어, UNI 프록시(200)의 SIP 프록시(220))로 제공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116) 또는 UNI 프록시(200)는 동반 디바이스(120)가 성공적으로 인증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SIP 증명서(140)를 수신한다. 일부 구성에서, UNI 프록시(200) 또는 애플리케이션(116)은 동반 디바이스(120)가 캐리어(301)에 의해 인증되었다는 표시자로서 그리고 동반 디바이스(120)를 대신하여 SIP 등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동반 디바이스(120)에 대한 액세스 토큰(117)을 생성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SIP 증명서(140)를 이용하여, UNI 프록시(200)는 동반 디바이스(120)를 캐리어(301)에 등록한다. 동반 디바이스(120)를 캐리어(301)에 등록하면 UNI 프록시(200)를 통해 (예를 들어, IMS 네트워크(320)와) 동반 디바이스(120)와 캐리어(301)간의 음성 서비스가 설정된다. 동반 디바이스(120)의 등록은 동반 디바이스(120)가 설정되고 캐리어(301)의 음성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허용되었음을 상기 UNI 프록시(200) 및 캐리어(301) 모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예에서, UNI 프록시(200)는 SIP 프록시(220)가 동반 디바이스(120)와 캐리어(301) 사이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도록 SIP 프록시(220)에 SIP 증명서(140)를 등록한다. 예를 들어, SIP 프록시(220)는 등록을 수행하기 위해 SIP 증명서(140)와 임의의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UNI 프록시(200)는 예를 들어 각각의 고유한 가입자 식별자(132)가 캐리어(301)와 유사하게 보일 수 있고 캐리어(301)에 어떠한 추가적인 영향도 야기하지 않도록 엔드 포인트를 대신하여 캐리어(301)와 관련된 등록을 제어하고 프록시한다. 즉, UNI 프록시(200)(예를 들어, SIP 프록시(220)에서)는 동반 디바이스(120)를 대신하여 등록을 관리한다. 일부 예에서, UNI 프록시(200)는 (예를 들어, 캐리어로의 네트워크 흐름을 제어하거나 최적화하기 위해) 가입자 식별자(132)(예를 들어, MSISDN 또는 IMPU) 당 단 하나의 SIP 레지스터가 한 번에 캐리어(301)의 IMS 네트워크(320)로 중계되도록 등록을 관리한다. 일부 구현에서, 동반 디바이스(120)와 같은 엔드 포인트는 일단 등록되면 연결 해제를 결정할 때까지 캐리어(301)에 등록된 상태로 유지된다. 다른 구현에서, UNI 프록시(200)는 엔드 포인트가 요구에 따라 캐리어(301)와 연결 및/또는 연결 해제되도록 엔드 포인트를 관리한다.
계속해서 도 2b를 참조하면, 동반 디바이스(120)에 대한 SIP 증명서(140)를 등록한 후, UNI 프록시(200)의 SIP 프록시(220)는 (예를 들어, 캐리어 IMS 코어로 도시된) IMS 네트워크(32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에서, SIP 프록시(220)와 캐리어(301)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표준 Gm 인터페이스이다. 전통적으로, Gm 인터페이스는 SIP 사용자 장비(UE) 또는 VoIP 게이트웨이와 프록시-호 세션 제어 기능(P-CSCF) 간의 메시지 교환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지칭한다. 따라서, Gm 인터페이스는 등록, 인증, 암호화 및 세션 제어를 위해 UE와 IMS 네트워크(320)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UNI 프록시(200)의 경우, Gm 인터페이스(222)는 UE가 아닌 IMS 네트워크(320)의 P-CSCF(322)와 SIP 엔드 포인트(예를 들어, 주 디바이스(110) 또는 동반 디바이스(120))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구성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P 프록시(220)는 Gm 인터페이스(222)를 통해 전송 계층 보안(TLS) 연결을 통한 SIP 시그널링(223)에 의해 엔드 포인트로부터 P-CSCF(322)로 전달된다. 대안적으로, 캐리어(301)는 로컬 통신 인터페이스(LCI)를 사용하여 상호 연결 경계 제어 기능(IBCF)으로 SIP 프록시(220)와 인터페이스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어느 구성에서든, IMS 네트워크(320)의 P-CSCF(322) 또는 IBCF는 예를 들어 전화 애플리케이션 서버(TAS)(326) 및 제3자 등록 서버(HSS)(328)와 같은 서빙 호 상태 제어 기능(S-CSCF)(324) 및 서버(326, 328)와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UNI 프록시(200)는 SIP 프록시(220)로 SIP 시그널링(223)을 포워딩하고 미디어 프록시(230)로 미디어 데이터(233)(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워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미디어 프록시(230)는 실시간 전송(RTP) 프로토콜과 같은 네트워크 프로토콜(133)을 통해 동반 디바이스(12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233)(예를 들어,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를 수신하여, 미디어 프록시 연결(232)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233)를 IMS 네트워크(320)로 포워딩한다. 일부 예에서, 미디어 프록시 연결(232)은 IMS 네트워크(320)에서 IMS 액세스 게이트웨이(33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IMS 액세스 게이트웨이 (330)는 인바운드(inbound) 및/또는 아웃 바운드 미디어 스트림(즉, 미디어 데이터)과 관련된 (예를 들어, 시작 및 종료 당사자의) 주소가 정확한지 확인한다(예를 들어,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기능과 매우 유사함). 일부 구현에서, 미디어 프록시(230)는 미디어 프록시 연결(232)을 통한 미디어 데이터의 미디어 암호화를 위해 보안 RTP(sRTP)를 사용한다. 이러한 구현에서, 미디어 암호화는 데이터그램 전송 계층 보안(DLTS)을 사용하는 키 교환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미디어 암호화는 단순화된 데이터 암호화 표준(S-DES)을 사용할 수 있다.
UNI 프록시(200)는 또한 엔드 포인트와 캐리어(301) 사이에서 미디어 데이터(233)를 통신할 때 NAT 순회(NAT traversal)를 지원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UNI 프록시(200)는 캐리어(301)와의 연결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대화형 연결 설정 (ICE)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ICE는 NAT 용 세션 순회 유틸리티(STUN) 또는 STUN 서버를 사용하여 가입자(10)에 대한 미디어 데이터(233)를 통신한다. 일부 예에서, STUN 서버는 엔드 포인트의 가입자(10)가 미디어 연결을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IP 주소 및 NAT의 유형과 관련된 정보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구성에서, UNI 프록시(200)(예를 들어, 미디어 프록시(230)에서)는 엔드 포인트(예를 들어, 주 디바이스(110) 또는 동반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를 트랜스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에서, UNI 프록시(200)는 G.711, G.722 및/또는 Opus와 같은 미디어 옵션을 지원한다. 일부 구현에서, UNI 프록시(200)는 동일한 코덱 내에서 다중 허용 비트 레이트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UNI 프록시(200)는 적응형 멀티-레이트 협 대역(AMR-NB) 또는 적응형 멀티-레이트 광대역(AMR-WB)과 같은 적응형 멀티-레이트를 사용하여 엔드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미디어를 트랜스코딩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UNI 프록시(200)는 강화된 음성 서비스(EVS)와 같은 고화질 음성 코덱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UNI 프록시(200)는 EVS 및 AMR 대역 모두에서 동작한다. 일부 구성에서, UNI 프록시(200)는 프로세싱없이 미디어 데이터를 캐리어(301)로 직접 제공한다.
UNI 프록시(200)가 미디어 데이터 지원 서비스(예를 들어, 트랜스코딩)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UNI 프록시(200)는 엔드 포인트(110, 120)와 캐리어(301) 사이의 코덱 및/또는 코덱 지원의 사용을 단순화할 수 있다. 반대로, 엔드 포인트들이 코덱을 개별적으로 지원(예를 들어, 각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주어진 코덱에 라이선스를 부여)하는 경우, 라이선스 비용은 엔드 포인트별로 비쌀 수 있다. UNI 프록시(200)에서의 라이센스 관리는 가입자(10)가 더 적은 라이센스를 사용하고 및/또는 더 많은 디바이스에 걸쳐 더 많은 코덱을 지원하도록 할 수 있다. 즉, UNI 프록시(200)는 엔드 포인트(또는 각 엔드 포인트)가 아닌 라이센스를 획득 및/또는 구현한다.
일부 예에서, UNI 프록시(200)는 캐리어(301)의 가입자(10)와 관련된 주 디바이스(110)로부터 제2 요청(130)을 수신한다. 여기서, 제2 요청(130)은 주 디바이스(110)에 링크된 하나 이상의 추가 동반 디바이스에 대한 음성 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요청(130)과 마찬가지로, 제2 요청(130)은 주 디바이스(110)의 가입자 식별자(132)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UNI 프록시(200)는 하나 이상의 동반 디바이스들(120) 및 동반 디바이스(120)를 결합된 동반 디바이스로 통합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UNI 프록시(200)는 결합된 동반 디바이스가 단일 TLS 연결(123)을 통해 통신되도록 상기 결합된 동반 디바이스(또는 하나 이상의 동반 디바이스(120))를 관리한다.
일부 구현에서, UNI 프록시(200)는 엔드 포인트에 대한 등록 데이터를 검색한다. 등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UNI 프록시(200)는 가입자(10)에 대해 음성 호 서비스가 여전히 활성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단계는 캐리어(301)의 네트워크(320)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 때 엔드 포인트가 등록되어 있음을 확인한다.
도 3은 UNI 프록시(200)로 음성 서비스를 설정하는 방법(300)에 대한 동작들의 예시적인 배열의 예이다. 동작(302)에서, 방법(300)은 캐리어(301)의 가입자(10)와 관련된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주 디바이스(110))로부터 요청(130)을 수신한다. 여기서, 요청(130)은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링크된 동반 디바이스(120)에 대해 캐리어(301)에 음성 서비스 설정을 요청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입자 식별자(132)를 포함한다. 동작(304)에서, 방법(300)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입자 식별자(132)에 기초하여 동반 디바이스(120)를 인증한다. 동작(306)에서, 방법(300)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입자 식별자(132)에 대응하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증명서(140)를 획득한다. 동작(308)에서, 방법(300)은 UNI 프록시(200)에 동반 디바이스(120)에 대한 SIP 증명서(140)를 등록한다. UNI 프록시(200)는 동반 디바이스(120) 및 캐리어(301)의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 시스템(IMS) 네트워크(320)와 통신한다. 동작(310)에서, 방법(300)은 SIP 증명서(140)를 사용하여 UNI 프록시(200)를 통해 동반 디바이스(120)와 IMS 네트워크(320) 사이에 음성 서비스를 설정한다.
도 4는 본 문서에 기술된 시스템(예를 들어, UNI 프록시(200), 주 디바이스(110) 및/또는 동반 디바이스(120)) 및 방법(예를 들어, 방법(300))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400)의 개략도이다. 컴퓨팅 디바이스(400)는 랩탑, 데스크탑, 워크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어시스턴트, 서버, 블레이드 서버, 메인 프레임 및 다른 적절한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를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표시된 컴포넌트, 이들의 연결 및 관계 및 기능은 예시일 뿐이며 이 문서에서 설명 및/또는 청구된 발명의 구현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400)는 프로세서(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410), 메모리(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웨어)(420),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웨어)(430), 메모리(420)와 고속 확장 포트(450)에 연결되는 고속 인터페이스/컨트롤러(440), 및 저속 버스(470)와 저장 디바이스(430)에 연결되는 저속 인터페이스/컨트롤러(460)를 포함한다. 컴포넌트(410, 420, 430, 440, 450, 460)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사용하여 상호 연결되며, 공통 마더 보드에 또는 적절한 다른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고속 인터페이스(44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480)와 같은 외부 입력/출력 디바이스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에 대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420) 또는 저장 디바이스(430)에 저장된 명령을 포함하여 컴퓨팅 디바이스(400) 내에서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처리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다중 프로세서 및/또는 다중 버스가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유형과 함께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컴퓨팅 디바이스(400)는 필요한 동작들의 일부를 제공하는 각 디바이스(예를 들어, 서버 뱅크, 블레이드 서버 그룹 또는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와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420)는 컴퓨팅 디바이스(400) 내에 비-일시적으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420)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휘발성 메모리 유닛(들)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들)일 수 있다. 비-일시적 메모리(420)는 컴퓨팅 디바이스(400)에 의해 사용하기 위해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프로그램(예를 들어, 명령 시퀀스)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프로그램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물리적 디바이스일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의 예로는 플래시 메모리 및 판독 전용 메모리(ROM)/프로그래밍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PROM)/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전자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밍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부팅 프로그램과 같은 펌웨어에 사용됨)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휘발성 메모리의 예는 RAM, DRAM, SRAM, PCM(Phase Change Memory) 및 디스크 또는 테이프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 디바이스(430)는 컴퓨팅 디바이스(400)에 대용량 저장 장치(storage)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저장 디바이스(430)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이다. 다양한 다른 구현에서, 저장 디바이스(430)는 플로피 디스크 디바이스, 하드 디스크 디바이스, 광 디스크 디바이스 또는 테이프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유사한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 또는 기타 구성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어레이일 수 있다. 추가 구현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정보 매체에 유형적으로 구현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실행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들이 포함되어 있다. 정보 매체는 메모리(420), 저장 디바이스(430) 또는 프로세서(410)상의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또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이다.
고속 컨트롤러(440)는 컴퓨팅 디바이스(400)에 대한 대역폭 집약적 동작들을 관리하는 반면, 저속 컨트롤러(460)는 낮은 대역폭 집약적 동작들을 관리한다. 이러한 업무 할당은 예시일 뿐이다. 일부 구현에서, 고속 컨트롤러(440)는 메모리(420), 디스플레이(480)(예를 들어, 그래픽 프로세서 또는 가속기를 통해) 및 다양한 확장 카드(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는 고속 확장 포트(450)에 결합된다. 일부 구현에서, 저속 컨트롤러(460)는 저장 디바이스(430)와 저속 확장 포트(490)에 결합된다. 다양한 통신 포트(예를 들어, USB, 블루투스, 이더넷, 무선 이더넷)를 포함할 수 있는 저속 확장 포트(49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어댑터를 통해 키보드, 포인팅 디바이스, 스캐너 또는 스위치 또는 라우터와 같은 네트워킹 디바이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4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서버(400a)로서 또는 그러한 서버(400a)의 그룹에 여러 번, 랩탑 컴퓨터(400b)로서 또는 랙 서버 시스템(400c)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시스템 및 기술의 다양한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및/또는 광학 회로, 집적 회로, 특별히 설계된 ASIC(주문형 집적 회로),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은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들을 수신하고 이들로 데이터 및 명령들을 전송하기 위해 결합된 특수 또는 범용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시스템상에서 실행 가능 및/또는 해석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에서의 구현을 포함할 수 있다. 및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에 대한 명령을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코드라고도 함)은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에 대한 기계 명령들을 포함하며, 고급 절차 및/또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및/또는 어셈블리/기계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같이, "기계 판독 가능 매체"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 판독 가능 신호로서 기계 명령을 수신하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여 기계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에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임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장치 및/또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광학 디스크,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로직 디바이스(PLD)를 지칭한다. "기계 판독 가능 신호"라는 용어는 기계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에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임의의 신호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프로세스 및 로직 흐름은 입력 데이터에 대해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 및 로직 흐름은 FPGA(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ASIC(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와 같은 특수 목적 로직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과 데이터를 수신한다. 컴퓨터의 필수 요소는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및 명령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디바이스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또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 예를 들어 자기, 광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둘 모두를 포함하거나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나 컴퓨터에는 이러한 디바이스가 필요하지 않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 및 데이터 저장에 적합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EPROM,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자기 디스크(예를 들어, 내부 하드 디스크 또는 이동식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및 CD 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에 의해 보완되거나 그에 통합될 수 있다.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예를 들어, CRT(음극선 관), LCD(액정 디스플레이) 모니터) 또는 터치 스크린 및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컴퓨터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키보드 및 포인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마우스 또는 트랙볼)를 갖는 컴퓨터에서 구현되루수 있다.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다른 종류의 디바이스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은 예를 들어 시각적 피드백, 청각적 피드백 또는 촉각적 피드백과 같은 모든 형태의 감각 피드백일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은 음향, 음성 또는 촉각 입력을 포함한 모든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로부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웹 브라우저로 웹 페이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는 디바이스로 문서를 전송하고 문서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다수의 구현들이 기술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다른 구현들은 다음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20)

  1. 방법(300)으로서,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54)에서, 캐리어 제공자(301)의 가입자(10)와 관련된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요청(130)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130)은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링크된 동반(companion) 디바이스(120)에 대해 캐리어 제공자(301)와 음성 서비스를 설정하도록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54)에 요청하고, 상기 요청(130)은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가입자 식별자(132)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10)와 동반 디바이스(120)는 동일한 전화 번호를 사용하며;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54)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가입자 식별자(132)에 기초하여 동반 디바이스(120)를 인증하는 단계와;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54)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가입자 식별자(132)에 대응하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증명서(140)를 획득하는 단계와;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54)에 의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200)에 동반 디바이스(120)에 대한 SIP 증명서(140)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200)는 캐리어 제공자(301) 및 동반 디바이스(120)의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 시스템(IMS)(320))과 통신하고; 그리고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54)에 의해, SIP 증명서(140)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200)를 통해 동반 디바이스(120)와 IMS(320)사이에 음성 서비스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300).
  2. 제1항에 있어서,
    SIP 증명서(140)를 동반 디바이스(120)에 등록한 후,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54)로부터, 전송 계층 보안 연결을 통해 SIP 시그널링(223)에 의해 동반 디바이스(120)로부터 캐리어 제공자(301)의 IMS(320)로 미디어 데이터(233)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300).
  3. 제2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200)는,
    동반 디바이스(120)로부터 SIP 시그널링(223)을 수신하고 SIP 시그널링(223)과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133)을 캐리어 제공자(301)의 IMS(320)로 포워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300).
  4. 제3항에 있어서,
    RTP(133)는 보안 RTP에 대응하고 데이터그램 전송 계층 보안(DTLS)에 기초한 키 교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300).
  5. 제2항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54)에서, 캐리어 제공자(301)의 가입자(10)와 관련된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제2 요청(130)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요청(130)은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링크된 하나 이상의 추가 동반 디바이스(120)에 대해 캐리어 제공자(301)와 음성 서비스를 설정하도록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54)에 요청하고, 상기 제2 요청(130)은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가입자 식별자(132)를 포함하며; 및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54)에 의해, 하나 이상의 추가 동반 디바이스(120)와 동반 디바이스(120)를 결합된 동반 디바이스(120)로 통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된 동반 디바이스(120)는 단일 전송 계층 보안 연결(123)을 통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200)를 통해 캐리어 제공자(301)의 IMS(320)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방법(300).
  6. 제2항에 있어서,
    미디어 데이터(233)를 전달하는 단계는,
    동반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233)를 캐리어 제공자(301)의 IMS(320)에 대한 강화된 음성 서비스(EVS) 또는 적응형 멀티-레이트(AMR)로 트랜스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300).
  7. 제2항에 있어서,
    미디어 데이터(233)를 전달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용 세션 순회 유틸리티(STUN),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순회, 또는 대화형 연결 설정(ICE)을 사용하는 미디어 연결에 의해 미디어 데이터(233)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300).
  8. 제1항에 있어서,
    가입자 식별자(132)는 국제 모바일 가입자 ID(IMSI)를 포함하는 방법(300).
  9. 제1항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11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116)은 가입자(10)에 대한 인증 토큰(134)을 생성함으로써 요청(130)을 생성하고, 상기 인증 토큰(134)은 가입자(10)의 모바일 디바이스(110)와 관련된 전화 번호를 동반 디바이스(120)와 링크하도록 구성되는 방법(300).
  10.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200)는 하나 이상의 동반 디바이스(120)에 대한 등록을 관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등록은 캐리어 제공자(301)의 IMS(320)에 대한 모바일 스테이션 국제 가입자 디렉토리 번호(MSISDN) 당 단일 SIP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방법(300).
  11. 시스템(150)으로서,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54); 및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54)와 통신하는 메모리 하드웨어(156)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하드웨어(156)는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54)에서 실행될 때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54)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고, 상기 동작들은:
    캐리어 제공자(301)의 가입자(10)와 관련된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요청(130)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요청(130)은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링크된 동반 디바이스(120)에 대해 캐리어 제공자(301)와 음성 서비스를 설정하도록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54)에 요청하고, 상기 요청(130)은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가입자 식별자(132)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10)와 동반 디바이스(120)는 동일한 전화 번호를 사용하며;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가입자 식별자(132)에 기초하여 동반 디바이스(120)를 인증하는 동작과;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가입자 식별자(132)에 대응하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증명서(140)를 획득하는 동작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200)에 동반 디바이스(120)에 대한 SIP 증명서(140)를 등록하는 동작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200)는 캐리어 제공자(301)와 동반 디바이스(120)의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 시스템 (IMS)(320))과 통신하고; 그리고
    SIP 증명서(140)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200)를 통해 동반 디바이스(120)와 IMS(320)사이에 음성 서비스를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시스템(150).
  12. 제11항에 있어서,
    동작들은,
    SIP 증명서(140)를 동반 디바이스(120)에 등록한 후, 전송 계층 보안 연결을 통해 SIP 시그널링(223)에 의해 동반 디바이스(120)로부터 캐리어 제공자(301)의 IMS(320)로 미디어 데이터(233)를 전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150).
  13. 제12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200)는,
    동반 디바이스(120)로부터 SIP 시그널링(223)을 수신하고 SIP 시그널링(223)과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133)을 캐리어 제공자(301)의 IMS(320)로 포워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50).
  14. 제13항에 있어서,
    RTP(133)는 보안 RTP에 대응하고 데이터그램 전송 계층 보안(DTLS)에 기초한 키 교환을 포함하는 시스템(150).
  15. 제12항에 있어서,
    동작들은,
    캐리어 제공자(301)의 가입자(10)와 관련된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제2 요청(130)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2 요청(130)은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링크된 하나 이상의 추가 동반 디바이스(120)에 대해 캐리어 제공자(301)와 음성 서비스를 설정하도록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154)에 요청하고, 상기 제2 요청(130)은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가입자 식별자(132)를 포함하며; 및
    하나 이상의 추가 동반 디바이스(120)와 동반 디바이스(120)를 결합된 동반 디바이스(120)로 통합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된 동반 디바이스(120)는 단일 전송 계층 보안 연결(123)을 통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200)를 통해 캐리어 제공자(301)의 IMS(320)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150).
  16. 제12항에 있어서,
    미디어 데이터(233)를 전달하는 동작은,
    동반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233)를 캐리어 제공자(301)의 IMS(320)에 대한 강화된 음성 서비스(EVS) 또는 적응형 멀티-레이트(AMR)로 트랜스 코딩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시스템(150).
  17. 제12항에 있어서,
    미디어 데이터(233)를 전달하는 동작은,
    네트워크 주소 변환용 세션 순회 유틸리티(STUN),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순회, 또는 대화형 연결 설정(ICE)을 사용하는 미디어 연결에 의해 미디어 데이터(233)를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시스템(150).
  18. 제11항에 있어서,
    가입자 식별자(132)는 국제 모바일 가입자 ID(IMSI)를 포함하는 시스템(150).
  19. 제11항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11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116)은 가입자(10)에 대한 인증 토큰(134)을 생성함으로써 요청(130)을 생성하고, 상기 인증 토큰(134)은 가입자(10)의 모바일 디바이스(110)와 관련된 전화 번호를 동반 디바이스(120)와 링크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150).
  20. 제1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200)는 하나 이상의 동반 디바이스(120)에 대한 등록을 관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등록은 캐리어 제공자(301)의 IMS(320)에 대한 모바일 스테이션 국제 가입자 디렉토리 번호(MSISDN) 당 단일 SIP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시스템(150).
KR1020217019111A 2018-12-31 2019-09-24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를 통한 캐리어 통합 KR102514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9544A KR102656508B1 (ko) 2018-12-31 2019-09-24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를 통한 캐리어 통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86919P 2018-12-31 2018-12-31
US62/786,919 2018-12-31
PCT/US2019/052684 WO2020142115A1 (en) 2018-12-31 2019-09-24 Carrier integration through user network interface proxy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9544A Division KR102656508B1 (ko) 2018-12-31 2019-09-24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를 통한 캐리어 통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310A KR20210091310A (ko) 2021-07-21
KR102514337B1 true KR102514337B1 (ko) 2023-03-27

Family

ID=682083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9544A KR102656508B1 (ko) 2018-12-31 2019-09-24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를 통한 캐리어 통합
KR1020217019111A KR102514337B1 (ko) 2018-12-31 2019-09-24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를 통한 캐리어 통합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9544A KR102656508B1 (ko) 2018-12-31 2019-09-24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록시를 통한 캐리어 통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20007324A1 (ko)
EP (2) EP3881512B1 (ko)
JP (2) JP7242866B2 (ko)
KR (2) KR102656508B1 (ko)
CN (2) CN116527641A (ko)
WO (1) WO20201421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0502B (zh) * 2022-05-17 2024-02-27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网络注册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2338A (ja) * 2009-04-20 2010-11-04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Ims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ー、imsネットワーク、コンピュータに統合された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30024575A1 (en) * 2011-07-20 2013-01-24 Taylor Richard 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legacy devices access to 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based network
US20180035241A1 (en) * 2016-07-29 2018-02-01 Qualcomm Incorported Techniques for providing ims services to multiple machine-type communication devices using a user equipment as a proxy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02654A4 (en) * 2001-06-14 2009-12-02 Qualcomm Inc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THE SESSION DRAWING AND MOBILITY MANAGE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JP4706317B2 (ja) * 2005-04-19 2011-06-2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端末
US8045568B2 (en) * 2006-09-29 2011-10-25 Genband Us Llc Enterprise mobility
JP5066608B2 (ja) * 2007-07-10 2012-11-07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Imsを用いたオペレータ提供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の発見方法
EP2198560B1 (en) * 2007-09-06 2017-03-29 Tekelec,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service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ing interoperability specification/session initiation protocol (ios/sip) adapter
ES2406065T3 (es) * 2009-07-09 2013-06-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étodos y aparatos para iniciar el aprovisionamiento de datos de abonado en un HSS de una red del subsistema de multimedia sobre IP
JP2013223161A (ja) * 2012-04-18 2013-10-28 Fic Service Co Ltd 電話接続サービスシステム
CN104426854A (zh) * 2013-08-23 2015-03-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代理通话的方法及系统
EP3172880B1 (en) * 2014-07-25 2018-09-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of and communications handl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ession establishment in a multimedia communications network.
JP6008412B1 (ja) * 2015-07-07 2016-10-19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話制御方法及び通話制御プログラム
US10341907B1 (en) * 2018-04-13 2019-07-02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ulti-network wireless management and transport selection
CN108810012B (zh) * 2018-07-02 2020-11-10 北京明朝万达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sip协议的通信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2338A (ja) * 2009-04-20 2010-11-04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Ims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ー、imsネットワーク、コンピュータに統合された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30024575A1 (en) * 2011-07-20 2013-01-24 Taylor Richard 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legacy devices access to 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based network
US20180035241A1 (en) * 2016-07-29 2018-02-01 Qualcomm Incorported Techniques for providing ims services to multiple machine-type communication devices using a user equipment as a prox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310A (ko) 2021-07-21
WO2020142115A1 (en) 2020-07-09
KR20230043241A (ko) 2023-03-30
CN113261257A (zh) 2021-08-13
JP7242866B2 (ja) 2023-03-20
CN116527641A (zh) 2023-08-01
JP2022516529A (ja) 2022-02-28
KR102656508B1 (ko) 2024-04-12
US20220007324A1 (en) 2022-01-06
US20230217402A1 (en) 2023-07-06
EP3881512B1 (en) 2023-09-13
EP3881512A1 (en) 2021-09-22
CN113261257B (zh) 2023-05-12
EP4254902A1 (en) 2023-10-04
JP2023078229A (ja) 202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97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communication by using a client application communication protocol
US113990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ommunication to a client
US8695077B1 (en) Establishing and controlling communication sessions between SIP devices and website application servers
US8725885B1 (en) Securely establishing ice relay connections
JP4938674B2 (ja) Ipマルチメディア・サブシステムにアクセス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96480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client application
US9380030B2 (en) Firewall traversal for web real-time communications
US20090094684A1 (en) Relay server authentication service
US9906568B2 (en) Hybrid cloud media architecture for media communications
WO2022033278A1 (zh) 一种基于ims数据通道的通信方法及设备
CN113632443A (zh) 用于在公共交换电话网络(pstn)端点和web实时通信(webrtc)端点之间建立通信会话的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介质
JP2015111830A (ja) 拡張プロトコル・ヘッダを含む通信の提供
US20230217402A1 (en) Carrier Integration Through User Network Interface Proxy
JP5384445B2 (ja) セッション処理システム、sip処理装置、ポリシ管理装置、セッション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