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283B1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283B1
KR102514283B1 KR1020150163280A KR20150163280A KR102514283B1 KR 102514283 B1 KR102514283 B1 KR 102514283B1 KR 1020150163280 A KR1020150163280 A KR 1020150163280A KR 20150163280 A KR20150163280 A KR 20150163280A KR 102514283 B1 KR102514283 B1 KR 102514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tate
display device
hing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2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26043A (en
Inventor
신동혁
권석호
윤지훈
장준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6169080.5A priority Critical patent/EP3136714B1/en
Priority to US15/164,547 priority patent/US10034399B2/en
Priority to CN201610546785.1A priority patent/CN106486517B/en
Publication of KR20170026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0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2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위치하는 백 커버, 상기 백 커버 후면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과 적어도 일부가 접하되, 상기 제 1 하우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 상태와, 적어도 일면이 상기 제 1 하우징의 후면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 2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있는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힌지로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연결함으로써, 스탠드 타입 또는 벽걸이 타입으로 쉽게 변환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is disclosed.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a back cover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 first housing loca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cov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in at least one of a first state positio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state in which at least one surface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inge for connec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with a hinge, it can be easily converted into a stand-type or wall-mounted type.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Display devic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힌지를통해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연결함으로써, 스탠드 타입 또는 벽걸이타입으로 쉽게 변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easily converted into a stand-type or wall-mounted type by connecting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through a hing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is also increasing in various forms. Display) has been studied and used for various display devices.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mong them, display devices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have superior luminance characteristics and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nd do not require a backlight unit, so they can be implemented in an ultra-thin typ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스탠드 타입 또는 벽걸이 타입으로 쉽게 변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foregoing and other problems.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easily converted into a stand type or wall mounted type.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위치하는 백 커버, 상기 백 커버 후면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과 적어도 일부가 접하되, 상기 제 1 하우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 상태와, 적어도 일면이 상기 제 1 하우징의 후면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 2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있는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 a display panel, a back cover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 first housing loca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cover, the first housing and at least a part A second housing in at least one of a first state in contact but position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state in which at least one surface is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hinge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상기 힌지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양 측에 결합되는, 제 1 힌지와 제 2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may include a first hinge and a second hing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housing.

상기 힌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 측과 결합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 측에 감싸진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may include a body part, a fixing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art, and an adjustment part wrapped around one side of the fixing part.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일 측으로 함몰된 요부(concave part)와, 상기 요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철부(convex part)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정부를 상기 몸체부에 연결하는 힌지 바와,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힌지 바와 결합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art includes a protruding part protruding from the first housing in the first state, a concave part concave to one side, a convex part protru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ncave part, the fixing part and the adjusting part. It may include a hinge bar connecting the body, and a support plate protruding in an opposite direction to the protrusion and coupled to the hinge bar.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그루브에 삽입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located inside the first housing.

상기 요부는 상기 제 1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The recess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through at least one screw.

상기 힌지 바는 상기 몸체부의 양 측을 연결하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The hinge bar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body.

상기 고정부는 상기 힌지 바를 감싸며 결합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may surround and couple the hinge bar.

상기 고정부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결합부와, 그리고 상기 조정부를 감싸는 형상인 조정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unit may include a connection unit, a housing coupling unit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nection unit, and an adjustment coupling unit having a shape surrounding the adjustment unit.

상기 하우징 결합부는 상기 제 2 하우징과 결합할 수 있다.The housing coupling part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측을 연결해주는 원기둥 형상의 힌지 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의 측면으로 돌출된 레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일부는 상기 힌지 바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cylindrical hinge bar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rail portion protrud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rail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hinge bar.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힌지바의 전면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0도에서 90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groove may be formed between 0 degrees and 90 degre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the front direction of the hinge bar.

상기 조정부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adjustment unit may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ody in the first state, and may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ody in the second state.

상기 조정부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일 단에 돌출된 삽입부와, 그리고 상기 기둥에 삽입된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삽입 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삽입 홀에서 분리될 수 있다.The adjusting part includes a pillar, an insertion part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pillar, and a spring inserted into the pillar, the insertion part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body part in the first state, and the insertion part in the second state. can be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상기 스프링을 수축시켜 상기 삽입부를 상기 삽입 홀에서 분리할 수 있다.When changing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e insertion part may be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by contracting the spring.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힌지를 통해 제 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연결함으로써, 스탠드 타입 또는 벽걸이 타입으로 쉽게 변환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through a hinge, it can be easily converted into a stand-type or wall-mounted type.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 further scope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iven as examples only.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1 to 5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27 are views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에),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인 것도 가능하다.Hereinaft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display panel, but the display panel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liquid crystal panel, and a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a plasma display panel (P), an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아울러,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420)은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hereinafter, the display panel 420 has a first long side (LS1), a second long side (LS2) opposite to the first long side (LS1), a first long side (LS1) and a second long side (LS1). A first short side (SS1) adjacent to the long side (LS2) and a second short side (SS2) opposing the first short side (SS1) may be included.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first short side area SS1 is referred to as a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hort side area SS2 is referred to as a second side area opposing the first side area. One long side area LS1 is referred to as a third side area adjacent to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located between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the second long side area ( LS2) may be referred to as a fourth side area adjacent to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located between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opposite to the third side area. .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s LS1 and LS2 are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longer than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hort sides SS1 and SS2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s LS1, A case in which the length of LS2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hort sides SS1 and SS2 may also be possible.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the first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 side (Long Side, LS1, LS2)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is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100. It may b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hort side (Short Side, SS1, SS2).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R1) and/or the second direction (DR2).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horizontal direction.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referred to as a vertical direction.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들이다.1 to 5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모듈부(100), 제 1 하우징(150) 및 제 2 하우징(19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dule unit 100 , a first housing 150 and a second housing 190 .

모듈부(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몸체를 구성할 수 있다. 모듈부(100)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모듈부(100)는 모서리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모듈부(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후면에 백 커버(130)가 위치할 수 있다. 백 커버(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크기와 같거나 디스플레이 패널(110)보다 클 수 있다. 백 커버(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The module unit 100 may constitute a body of the display device 10 . The module unit 10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odule unit 100 may have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t a corner. In the module unit 100 , the back cover 130 may b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 The size of the back cover 130 may be the same as or larger than the display panel 110 . The back cover 130 may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

모듈부(100)의 자세한 구성과 각 구성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dule unit 100 and functions of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제 1 하우징(150)은 모듈부(100) 후면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150)은 모듈부(100)의 하부를 지지하여 한 방향으로 쏠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150)은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구동하는 구성요소들을 차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150)은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PCB)을 차폐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의 상세한 결합 구조와 결합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first housing 150 may be loca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dule unit 100 . The first housing 150 ma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module unit 100 so as not to tilt in one direction. The first housing 150 may shield components driving the display device 10 . For example, the first housing 150 may shield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PCB). A detailed coupling structure and coupling method of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will be described later.

제 2 하우징(190)은 모듈부(100)와 제 1 하우징(150)의 하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190)은 모듈부(100)와 제 1 하우징(150)이 연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190 may be located on lower surfaces of the module unit 100 and the first housing 150 . The second housing 190 may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dule unit 100 and the first housing 150 extend.

제 2 하우징(190)은 모듈부(100)와 제 1 하우징(150)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190)은 제 1 하우징(150)과 연결되며 모듈부(100)와는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모듈부(100)는 제 1 하우징(150)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를 바닥에 놓을 때 충격이 모듈부(100)로 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부(100)에 크랙이 덜 생길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190 may support the module unit 100 and the first housing 150 so that they do not fall down. The second housing 190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150 and may not contact the module unit 100 . That is, it means that the module unit 10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housing 15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ccordingly, less impact may be transmitted to the module unit 100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placed on the floor. Accordingly, less cracks may occur in the module unit 100 .

제 2 하우징(19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PCB)을 실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PCB는 제 2 하우징(190)의 모듈부(100) 후면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하우징(190)은 모듈부(100)의 전면으로 연장되는 영역이 모듈부(100) 후면으로 연장되는 영역보다 폭이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 2 하우징(190)의 적은 영역만 볼 수 있어 화면을 감상하는데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PCB의 상세한 결합구조와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second housing 190 may mount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PCB) therein. At least one PCB may be located in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190 exte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dule unit 100 . Accordingly, in the second housing 190, an area exte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dule unit 100 may have a smaller width than an area exte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dule unit 100. Accordingly, the user can view only a small area of the second housing 190, and thus, the user may not be disturbed in enjoying the screen. A detailed coupling structure and method of at least one PCB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PCB를 제 1, 2 하우징(150, 190)에 나누어 실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매우 얇다고 느낄 수 있다.In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PCB, which takes up a lot of space, can be separately mounted i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50 and 190. Accordingly, the user may feel that the display device 100 is very thin.

도 2를 참조하면, 모듈부(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열확산판(120) 및 백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module unit 10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10 , a thermal diffusion plate 120 and a back cover 130 .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모듈부(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10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odule unit 100 and can display images. The display panel 110 divides an image into a plurality of pixels and outputs the image by controlling the color, brightness, and saturation of each pixel to emit light.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스스로 빛을 내어 영상을 표시하는 OLED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OLED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얇고 가볍게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구성할 수 있다. 소비자는 얇고 가벼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OLED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자세한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display panel 110 may be an OLED displaying an image by emitting light by itself. When the display panel 110 is made of OLED, the display device 10 can be made relatively thin and light. Consumers tend to prefer a thin and light display device 100, and demand for a display panel to which OLED is applied is increas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panel 110 will be described later.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백 커버(130)가 위치할 수 있다. 백 커버(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백 커버(130)는 스크류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결합할 수 있다. 백 커버(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전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폭과 같거나 더 클 수 있다.A back cover 130 may b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 The back cover 130 may function to protect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by being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 The back cover 130 may be coupled to the display panel 110 by screws. The back cover 130 may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display panel 110 in order to protect the entire display panel 110 .

백 커버(130)는 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커버(130)는 유리 또는 강화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백 커버(130)를 의식하지 않고 얇은 모듈부(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집중할 수 있다.The back cover 130 may include a transparent material. For example, the back cover 130 may include glass or tempered glass. Accordingly, the user can focus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thin module unit 100 without being aware of the back cover 130 .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 커버(130) 사이에 열확산판(120)이 위치할 수 있다. 열확산판(120)은 모듈부(110) 및/또는 백 커버(13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확산판(12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패드 및/또는 자석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열확산판(120)의 폭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위하여 모듈부(110) 및 백 커버(130)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A thermal diffusion plate 1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back cover 130 . The thermal diffusion plate 120 may be attached to the module unit 110 and/or the back cover 130 . For example, an adhesive pad and/or a magnet may be attached to one or both surfaces of the thermal diffusion plate 120 . The width of the thermal diffusion plate 120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module unit 110 and the back cover 13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열확산판(120)은 모듈부(110)에서 발생한 열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특정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지나치게 높은 열분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열확산판(120)은 알루미늄 등 열전도성이 좋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ermal diffusion plate 120 may serve to disperse heat generated from the module unit 110 . That is, it means that a heat distribution that is excessively higher in a specific area than in other area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For example, the thermal diffusion plate 120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good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aluminum.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하측에 소스 PCB(135) 및 소스 COF(Chip on Film, 123)가 위치할 수 있다. 소스 PCB(135)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과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신호 배선들이 위치할 수 잇다. 소스 PCB(135)는 소스 COF(123)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연결될 수 있다.A source PCB 135 and a source COF (Chip on Film, 123) may be positioned below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 The source PCB 135 may include signal wires for transmitting digital video data and timing contro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board. The source PCB 135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10 through the source COF 123 .

백 커버(130)는 소스 PCB(135)가 디스플레이 패널(110) 후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홀(142)이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142)은 백 커버(130)가 모듈부(110)에 결합했을 때 소스 PCB(135)의 위치와 대응할 수 있다. 백 커버(130)는 적어도 하나의 홀(142)에 의하여 소스 PCB(135)에서 방출되는 열을 퍼트릴 수 있다.At least one hole 142 may be position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30 so that the source PCB 135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 At least one hole 142 may correspond to a position of the source PCB 135 when the back cover 130 is coupled to the module unit 110 . The back cover 130 may spread heat emitted from the source PCB 135 through the at least one hole 142 .

백 커버(130)의 적어도 하나의 홀(142)의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홀(142)을 덮을 소스 PCB 커버(145)가 위치할 수 있다. 소스 PCB 커버(145)는 소스 PCB(135)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소스 PCB 커버(145)는 알류미늄 등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PCB 커버(145)는 소스 PCB(135)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확산시킬 수 있다. 소스 PCB 커버(145)는 중심부에 위치한 홀(142)은 덮지 않고 양 옆에 위치한 홀(142)만을 덮을 수 있다. 즉, 소스 PCB 커버(145)는 후술할 제 1 하우징(150)의 양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중심부에 위치한 홀(142)은 제 1 하우징(150)에 의해 덮일 수 있기 때문이다.A source PCB cover 145 to cover the at least one hole 142 may b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at least one hole 142 of the back cover 130 . The source PCB cover 145 may prevent the source PCB 135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 source PCB cover 145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aluminum. Accordingly, the source PCB cover 145 may diffuse heat emitted from the source PCB 135 . The source PCB cover 145 may cover only the holes 142 located on both sides without covering the hole 142 located in the center. That is, the source PCB cover 145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ousing 150 to be described later. This is because the hole 142 located in the center may be covered by the first housing 150 .

제 1 하우징(150)은 강성판(152) 및 제 1,2 티콘 커버(157, 159)를 포함할 수 있다. 백 커버(130)의 후면에 강성판(152)이 결합된 후 제 1,2 티콘 커버(157, 159)가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150 may include a rigid plate 152 and first and second Ti-Con covers 157 and 159. After the rigid plate 152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cover 130, the first and second T-icon covers 157 and 159 may be sequentially coupled.

강성판(152)은 적어도 하나의 PCB가 장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강성판(152)은 적어도 PCB가 장착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적어도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는 해당 영역이 강성판(152)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가해질 수 있는 비틀림 응력 등에 대한 백커버(130)의 저항성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rigid plate 152 may be a part where at least one PCB is mounted. The rigid plate 152 may have at least a groove formed in an area other than an area where the PCB is mounted. At least one groove may have a shape in which a corresponding region protrudes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rigid plate 152 . At least one groove may enhance the rigidity of the display device 10 . That is, it means that the resistance of the back cover 130 against torsional stress that may be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10 can be increased.

강성판(152)의 중심부에 적어도 하나의 PCB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PCB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55)일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55)는 입력되는 신호를 모듈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55)는 소스 PCB(135)를 제어하는 타이밍 신호(CLK, LOAD, SPi)들과, 비디오 신호(R, G,B)를 소스 PCB(135)에 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55)는 영상을 제어해줄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55)는 FFC (Flat Flex Cable)를 통해 소스 PCB(135)와 연결될 수 있다. FFC는 소스 PCB(135)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55)를 연결하기 위해 다수의 신호연결 단자핀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단자핀을 포함할 수 있다. FFC는 다른 케이블에 비해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At least one PCB may be mounted in the center of the rigid plate 152 . For example, at least one PCB may be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55 .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55 may transfer an input signal to the module unit 100 . That is,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55 can transfer the timing signals CLK, LOAD, and SPi that control the source PCB 135 and the video signals R, G, and B to the source PCB 135. do. Also,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55 may control images.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55 may be connected to the source PCB 135 through a flat flex cable (FFC). The FFC may include a plurality of signal connection terminal pins and at least one ground terminal pin to connect the source PCB 135 and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55 . FFC has the advantage of low cost compared to other cables.

강성판(152)의 후면에 제 1,2 티콘 커버(157, 159)가 위치할 수 있다. 제 1,2 티콘 커버(157, 159)는 강성판(152) 및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55)를 덮을 수 있다. 즉, 제 1,2 티콘 커버(157, 159)는 강성판(152) 및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55)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first and second T-icon covers 157 and 159 may b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igid plate 152 . The first and second T-icon covers 157 and 159 may cover the rigid plate 152 and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55 .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T-icon covers 157 and 159 can prevent the rigid plate 152 and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55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제 1 티콘 커버(157)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55)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다. 제 1 티콘 커버(157)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티콘 커버(157)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55)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를 막을 수 있다. 제 1 티콘 커버(157)은 적어도 일부에 개구부가 위치할 수 있다. 개구부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55)로부터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T-CON cover 157 may protect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55 from external impact. The first T-icon cover 157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ccordingly, the first T-icon cover 157 may block electromagnetic waves emitt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55 . An opening may be located i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T-icon cover 157 . The opening may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board 155 to the outside.

제 1 티콘 커버(157)의 후면에 제 2 티콘 커버(159)가 위치할 수 있다. 제 2 티콘 커버(159)는 백 커버(130)의 재질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후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를 볼 때 백커버(130)와 제 1 하우징(150)의 이질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A second T-icon cover 159 may b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T-icon cover 157 . The second T-icon cover 159 may include a material identical to or similar to that of the back cover 130 . Accordingly, the user may not feel a sense of difference between the back cover 130 and the first housing 150 when viewing the display device 10 from the rear side.

도 3을 참조하면, 모듈부(110)은 투명 기판(112), 상부 전극(114), 유기 발광층(116) 및 하부 전극(118)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기판(112), 상부 전극(114), 유기 발광층(116) 및 하부 전극(118)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module unit 110 may include a transparent substrate 112 , an upper electrode 114 , an organic emission layer 116 , and a lower electrode 118 . The transparent substrate 112, the upper electrode 114, the organic emission layer 116, and the lower electrode 118 may be sequentially formed.

투명 기판(112) 및 상부 전극(114)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118)은 투명하지 않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하부 전극(118)은 투명한 물질(예를 들어, ITO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부 전극(118)의 일면으로 빛이 방출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substrate 112 and the upper electrode 114 may include a transparent material. The lower electrode 118 may include a non-transparent material.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ower electrode 118 may include a transparent material (eg, ITO, etc.). In this case, light may be emitted to one side of the lower electrode 118 .

상부 및 하부 전극(114, 118)에 전압이 인가되면 유기 발광층(116)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상부 전극(114)과 투명 기판(112)을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이 때, 하부 전극(118)으로 발출되는 광을 전면으로 출사시키기 위하여 하부 전극(118) 뒤에 차광판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114 and 118 ,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6 may pass through the upper electrode 114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112 and be emitt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a light shielding plate may be further formed behind the lower electrode 118 to emit light emitted from the lower electrode 118 to the front side.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O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응 속도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보다 1000배 이상 빠르기 때문에 영상을 표시할 때 잔상이 남지 않을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OLED display device. Accordingly, a separate light source is not required, and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response speed of an OLED display device is 1000 times faster than tha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re may be no afterimage left when displaying an imag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모듈부(100)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백 커버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백 커버는 유리 또는 강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n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e unit 100 may include a transparent material. That is, it means that the back cover includes a transparent material. For example, the back cover may include glass or tempered glass.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구동될 때에는 모듈부(100)가 표시하는 영상 또는 화면을 감상할 수 있다. 즉, 모듈부(100)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표시하는 화면이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driven, the user can enjoy an image or screen displayed by the module unit 100 . That is, the module unit 100 means that a screen displayed by a display panel may appear.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동이 종료될 때에는 모듈부(100) 후방에 위치한 배경들을 관찰할 수 있다. 즉, 모듈부(100)를 투과하여 외부에 위치한 배경들을 관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Unlike this, when driving of the display device 10 ends, backgrounds located behind the module unit 100 may be observed. That is, it means that backgrounds located outside can be observed through the module unit 100 .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부(250)가 투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외관상 깔끔하다고 느낄 수 있다In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250 may be transparent. Accordingly, the user may feel that the appearance is neat.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 2 하우징(190)은 장착부(MP), 결합부(CP) 및 전면부(FP)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5 , the second housing 190 may include a mounting part MP, a coupling part CP, and a front part FP.

장착부(MP)는 적어도 하나의 PCB가 실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장착부(MP)는 결합부(CP)와 전면부(FP)와 비교하여 더 클 수 있다. 즉, 제 2 하우징(190)에서 장착부(MP)는 결합부(CP)와 전면부(FP)와 비교하여 더 넓은 면적을 차지함을 의미한다. 적어도 하나의 PCB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PCB는 배선전극(231)을 통해 서로가 연결될 수 있다.The mounting part MP may be a part where at least one PCB is mounted. The mounting portion MP may be larger than the coupling portion CP and the front portion FP. That is, in the second housing 190, the mounting portion MP occupies a larger area than the coupling portion CP and the front portion FP. At least one PC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least one PCB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wiring electrode 231 .

각각의 인쇄회로기판은 서로 다른 기능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적어도 하나의 PCB는 메인 보드(215)일 수 있다. 메인 보드(215)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동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보드(215)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부품들의 작동 상태를 점검하고 관리하여 최적의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보드(215)는 장착부(MP)의 적어도 일 측면에 적어도 하나가 실장되며, 장착부(MP)의 중심부에 적어도 다른 하나가 실장될 수 있다.Each printed circuit board can have different functions. For example, at least one PCB may be the main board 215 . The main board 215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operating the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main board 215 can check and manage the operating state of each part of the display device to make it an optimal state. For example, at least one main board 215 may be moun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ounting part MP, and at least one other main board 215 may be mounted on the center of the mounting part MP.

다른 예로,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은 파워 서플라이(107) 일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107)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107)는 AC 주파수를 DC 주파수로 변경해줄 수 있다. 즉, 파워 서플라이(107)는 낮은 주파수를 높은 주파수로 변경하여 전기 효율이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As another example,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the power supply 107 . The power supply 107 may supply power to the display device. The power supply 107 can convert an AC frequency to a DC frequency. That is, the power supply 107 may change a low frequency to a high frequency to increase electrical efficiency.

파워 서플라이(107)는 메인 보드(103)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워 서플라이(107)는 장착부(MP)의 일 측에 위치한 메인 보드(215)와 제 1 방향으로 반대 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107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ard 10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107 may be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main board 215 locat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part MP in the first direction.

전면부(FP)는 제 2 하우징(190)이 모듈부와 결합했을 때 모듈부의 전면에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전면부(FP)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64)가 실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스피커(164)는 전면부(FP)의 양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스피커(164)는 사용자에게 음향을 출력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164)는 전면부(FP)에 위치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64)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달되는 음향에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The front part FP may be a part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dule part when the second housing 190 is coupled to the module part. The front part FP may be a part where at least one speaker 164 is mounted. Speakers 164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art FP. The speaker 164 may output and transmit sound to the user. Accordingly, it may be efficient to position the speaker 164 on the front part FP. At least one speaker 16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user can feel a three-dimensional effect in the transmitted sound.

결합부(CP)는 장착부(MP)와 전면부(FP)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CP)는 제 2 하우징(190)과 제 1 하우징이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결합부(CP)는 제 2 하우징(190)에 실장된 전자장치의 전자신호를 제 1 하우징으로 전달할 수 있다. 결합부(CP)는 연결 바(174)가 실장될 수 있다. 연결바(174)는 제 2 하우징(190)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결합했을 때 제 1 하우징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 바(174)는 제 2 하우징(190)과 제 1 하우징을 연결하는 기구들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190)에서 제 1 하우징으로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전기배선(231)이 내부를 관통할 수 있다. 즉, 연결 바(174)는 제 2 하우징(190)과 제 1 하우징을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기능을 함을 의미한다.The coupling part CP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ounting part MP and the front part FP. The coupling part CP may be a part where the second housing 190 and the first housing are coupled. The coupler CP may transmit electronic signals of electronic devices mounted on the second housing 190 to the first housing. A connection bar 174 may be mounted on the coupling part CP. The connecting bar 174 may be locat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using when the second housing 190 is coupled to the display device. Mechanisms connecting the second housing 190 and the first housing may be installed in the connection bar 174 . In addition, an electric wire 231 may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190 to transmit an electric signal to the first housing. That is, the connecting bar 174 means to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housing 190 and the first housing.

연결 바(174)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하우징(190)과 제 1 하우징이 연결되는 기구가 양 쪽으로 분산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연결되는 기구에 힘이 적게 들어 제 2 하우징(190)과 제 1 하우징이 결합력이 더 강해질 수 있다.The connection bar 174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ly, mechanisms for connecting the second housing 190 and the first housing may be distributed to both sides. In this case, since each connected mechanism requires less force, the second housing 190 and the first housing may have stronger coupling force.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 2 하우징(190) 내부에 메인 보드(215)가 하나만 실장될 수 있다. 즉, 메인 보드(215)는 제 2 하우징(190)의 일 측에 위치하며 파워 서플라이(213)는 메인 보드(215)와 제 1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하우징(190)의 전체 크기가 줄어들어 미관상 향상되었다고 느낄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5 , only one main board 215 may be mounted inside the second housing 190 . That is, the main board 215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190 and the power supply 213 may be positioned facing the main board 215 in the first direction. In this case, since the overall size of the second housing 190 is reduced, it can be felt that the appearance is improved.

도 6 내지 도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6 to 27 are views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 2 하우징(190)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하우징(150)의 후면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 2 하우징(190)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하우징(150)의 후면과 분리된 제 1 상태와, 제 2 하우징(190)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하우징(150)의 후면과 결합된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6 , in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90 may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50 .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 is in a first stat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90 is separat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5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90 is in the first state. This means that it is in any one of the second state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50 .

제 2 하우징(150)은 제 1 방향(R1)으로 회전하여 제 1 하우징(19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150)은 제 2 방향(R2)으로 회전하여 제 1 하우징(190)의 후면과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방향(R1)은 반시계 방향이고, 제 2 방향(R2)은 시계 방향일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150 may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R1 and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90 . Also, the second housing 150 may be separat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90 by rotating in the second direction R2 . For example, the first direction R1 may be counterclockwise, and the second direction R2 may be clockwise.

제 1 상태에서 제 2 하우징(190)은 모듈부(100)와 제 1 하우징(150)을 받칠 수 있다. 즉, 제 1 상태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곳에 제 2 하우징(190)을 위치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을 감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1 상태에서 제 2 하우징(190)은 하부면의 면적이 크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모듈부(100)와 제 1 하우징(150)을 받칠 수 있다.In the first state, the second housing 190 may support the module unit 100 and the first housing 150 . That is, in the first state, the user can position the second housing 190 at a desired location and enjoy the display screen. In the first state,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90 has a large area, it can stably support the module unit 100 and the first housing 150 .

제 2 상태에서 제 2 하우징(190)은 피부착면과 결합될 수 있다. 제 2 상태에서 제 2 하우징(190)의 상부면은 제 1 하우징(150)과 결합되며, 제 2 하우징(190)의 하부면은 피부착면과 결합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190)은 하부면의 면적이 넓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피부착면과 결합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다른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세워 놓거나 벽에 붙일 수 있다. 제 2 하우징(190)이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 및 이의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In the second state, the second housing 190 may be coupled to the attachment surface. In the second state,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9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15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90 may be coupled to the attachment surface. Since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90 is wide, it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attachment surface. Users can stand the display device 10 or attach it to a wall without using other equipment.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econd housing 190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and its stru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피부착면에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제 2 하우징(190)의 하부면에 벽걸이 어셈블리(170)가 위치할 수 있다. 벽걸이 어셈블리(170)는 제 2 하우징(19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wall-mounted assembly 170 may be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90 so that the display device 1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attachment surface in the second state. The wall mounting assembly 170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housing 190 .

벽걸이 어셈블리(170)의 제 2 방향으로의 폭(BW)은 제 2 하우징(190)의 폭(HW)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벽걸이 어셈블리(170)의 상측과 하측이 모두 제 2 하우징(190)과 결합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벽걸이 어셈블리(170)의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하나가 백 커버(130)에 결합하는 경우, 백 커버(130)에 홀이 늘어나 크랙이 형성되기 쉬워질 수 있다.The width BW of the wall mounting assembly 170 i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HW of the second housing 190 . Accordingly,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wall mount assembly 170 may not be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190 . In addi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wall mounting assembly 170 is coupled to the back cover 130, the number of holes in the back cover 130 increases and cracks may easily form.

이에 따라, 벽걸이 어셈블리(170)와 디스플레이 장치(10)가 강성을 유지하며 결합하기 위하여 제 1 하우징(150)은 내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잠금 브라켓(163, locking bracket)가 위치할 수 있다. 벽걸이 어셈블리(170)는 하측이 제 2 하우징(190)과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벽걸이 어셈블리(170)는 상측이 잠금 브라켓(163)에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잠금 브라켓(163)은 제 1 상태에서는 제 1 하우징(150) 내부에 위치하며 제 2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잠금 브라켓(163)의 자세한 구조와 조작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벽걸이 어셈블리(170)는 제 2 하우징(190)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피부착면에 더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Accordingly, a locking bracket 163 protruding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150 may be located in order to couple the wall-mounted assembly 170 and the display device 10 while maintaining rigidity. The lower side of the wall mount assembly 17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190 through at least one screw. The upper side of the wall mount assembly 170 may be coupled to the locking bracket 163 through at least one screw. The locking bracket 163 is located inside the first housing 150 in the first state and may protrude outward in the second state. The detailed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locking bracket 163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wall mount assembly 170 has a larger area than the second housing 190, it can be more stably coupled to the attachment surface.

도 8을 참조하면, 힌지(166)를 통해 제 2 하우징(190)과 제 1 하우징(150)이 결합할 수 있다. 힌지(166)는 연결 바(174)의 양 측에 위치한 제 1 힌지(166a)와 제 2 힌지(166b)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174)가 연결 바(174)의 양측에 위치하여 힌지(166)가 받는 힘이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하우징(150)과 제 2 하우징(190)이 강하게 결합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second housing 190 and the first housing 150 may be coupled through a hinge 166 . The hinge 166 may include a first hinge 166a and a second hinge 166b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ar 174 . Since the hinges 174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ar 174, the force received by the hinge 166 can be dispersed. Accordingly, the first housing 150 and the second housing 190 are strongly coupled and cannot be easily separated.

힌지(166)는 연결 바(174)와 결합된 측의 반대 측에 돌출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25)는 강성판(152)에 형성된 그루브(159)에 삽입될 수 있다. 강성판(152)에 형성된 그루브(159)는 강성판(152)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돌출부(225)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루브(159)는 돌출부(225)가 강성판(152)에 결합되는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The hinge 166 may include a protrusion 225 on a side opposite to the side coupled to the connecting bar 174 . The protrusion 225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159 formed in the rigid plate 152 . Since the groove 159 formed in the rigid plate 152 protrudes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rigid plate 152, a space for inserting the protrusion 225 can be created. The groove 159 may guide a position where the protrusion 225 is coupled to the rigid plate 152 .

힌지(166)는 적어도 일부가 요철부(convexo-concave part)를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힌지(166)에 형성된 요철부는 힌지(166)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가해질 수 있는 비틀림 응력 등에 대한 힌지(166)의 저항성을 높일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hinge 166 may have a shape having a convexo-concave part. The concave-convex portion formed on the hinge 166 may improve the rigidity of the hinge 166 . Accordingly, resistance of the hinge 166 to torsional stress that may be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10 when changing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may be increased.

힌지(166)에 형성된 요철부 중 요부(concave part)에 힌지(166)와 강성판(152)을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24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241)은 두께가 얇은 힌지(166)의 요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성판(152)과 힌지(166)가 더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 강성판(152)과 힌지(166)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243)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홀(241)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At least one hole 241 for coupling the hinge 166 and the rigid plate 152 may be included in a concave part among concavo-convex parts formed in the hinge 166 . At least one hole 241 may be located in a recess of the thin hinge 166 . Accordingly, the rigid plate 152 and the hinge 166 may be more strongly coupled. The rigid plate 152 and the hinge 166 may be coupled through at least one hole 241 using at least one screw 243 .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힌지(166)의 돌출부(225)가 강성판(152)의 그루브(159)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166)의 결합위치가 가이드 되어 제 1 하우징(150)과 제 2 하우징(190)이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할 수 있다.In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portion 225 of the hinge 166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159 of the rigid plate 152 and coupled thereto. Accordingly,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hinge 166 is guided so that the first housing 150 and the second housing 190 can be coupled in an accurate position.

도 9를 참조하면, 힌지(166)는 몸체부(168), 고정부(172) 및 조정부(176)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 1 힌지(166a)에 대해 도시하였지만 제 2 힌지(166b)도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hinge 166 may include a body part 168 , a fixing part 172 and an adjusting part 176 . In the drawings, although the first hinge 166a is shown, the second hinge 166b may also have the same or similar shape.

몸체부(168)는 돌출부(225), 요부(253, concave part), 철부(251, convex part), 지지판(255, support plate) 및 힌지 바(3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68 may include a protrusion 225 , a concave part 253 , a convex part 251 , a support plate 255 , and a hinge bar 312 .

요부(253)는 몸체부(168)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함몰된 부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요부(253)는 힌지(166)가 다른 물질과 결합할 때 결합을 위한 거리가 짧을 수 있다. 즉, 요부(253)는 다른 물질과 더 강한 힘으로 결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요부(253)는 적어도 하나의 홀(241)을 통해 다른 물질과 결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241)은 적어도 다른 하나의 홀(241)과 몸체부(168)를 중심으로 대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166)가 다른 물질과 결합할 때 힘을 잘 분산시킬 수 있다.The concave portion 253 may be a recessed portion compared to other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168 . Accordingly, the concave portion 253 may have a short distance for coupling when the hinge 166 is coupled with another material. That is, the concave portion 253 means that it can be combined with other materials with a stronger force. The concave portion 253 may be coupled to another material through at least one hole 241 . At least one hole 241 may be symmetrical about at least one other hole 241 and the body portion 168 . Accordingly, the force can be well distributed when the hinge 166 is combined with other materials.

철부(251)는 몸체부(168)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즉, 철부(251)는 요부(253)의 함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요부(253)와 철부(251)로 인해 형성된 요철부로 인하여 힌지(166)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convex portion 251 may be a protruding portion compared to other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168 . That is, the convex portion 251 may protru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cessed direction of the concave portion 253 . The stiffness of the hinge 166 may be improved due to the concave-convex portion formed by the concave portion 253 and the convex portion 251 .

지지판(255)은 고정부(172)와 조정부(176)를 몸체부(168)와 결합할 수 있다. 지지판(255)은 돌출부(225)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판(255)은 고정부(172)와 조정부(176)가 결합되는 힌지 바(312)를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243)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255 may combine the fixing part 172 and the adjusting part 176 with the body part 168 . The support plate 255 may protrude to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where the protrusion 225 is formed. The support plate 255 may couple the hinge bar 312 to which the fixing part 172 and the adjusting part 176 are coupled through at least one screw 243 .

힌지 바(312)는 일 측이 지지판(255)에 결합되며 타 측은 몸체부(169)의 측면과 직접 결합할 수 있다. 힌지 바(312)는 몸체부(169)의 양 측을 연결하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힌지 바(312)는 고정부(172)와 조정부(176)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수 있도록 회전 축의 기능을 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hinge bar 312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255 and the other side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69 . The hinge bar 312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69 . The hinge bar 312 may function as a rotation axis so that the fixing part 172 and the adjusting part 176 can change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고정부(172)는 힌지 바(312)를 감싸며 결합할 수 있다. 즉, 고정부(172)는 일 측이 힌지 바(312)의 원기둥 형상을 감싸며 결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고정부(172)는 연결부(268), 하우징 결합부(266) 및 조정 결합부(257)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172 may be coupled while surrounding the hinge bar 312 . That is, it means that one side of the fixing part 172 can be coupled while surrounding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hinge bar 312 . The fixing part 172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268 , a housing coupling part 266 and an adjustment coupling part 257 .

연결부(268)는 고정부(172)의 몸체일 수 있다. 연결부(268)는 고정부(172)의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268 may be the body of the fixing part 172 . The connecting part 268 may be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of the fixing part 172 .

하우징 결합부(266)는 연결부(268)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 결합부(266)는 제 2 하우징과 힌지(166)를 결합해줄 수 있다. 힌지(166)는 적어도 하나의 홀(241)을 통해 제 2 하우징과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 결합부(266)는 제 2 하우징의 내부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2 하우징과 더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 2 상태에서 하우징 결합부(266)와 제 2 하우징의 결합력 만으로 제 2 하우징을 지지해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 결합부(266)는 높은 강도를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coupling part 266 may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nection part 268 . The housing coupling part 266 may couple the second housing and the hinge 166 . The hinge 166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through at least one hole 241 . The housing coupling part 266 may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and more strongly couple with the second housing. In the second state, the second housing may need to be supported only by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housing coupling part 266 and the second housing. Accordingly, the housing coupling part 266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조정 결합부(257)는 조정부(176)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조정 결합부(257)는 원기둥 형상의 기둥부(323)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정 결합부(257)가 위치한 부분은 조정부(176)의 기둥부(323)보다 지름이 더 클 수 있다. 조정 결합부(257)가 위치한 부분의 지름의 차이 때문에 스프링(339)이 조정 결합부(257)에 걸릴 수 있다. 조정 결합부(257)는 스프링(339)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조정부(176)가 힌지 바(31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adjusting coupling part 257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the adjusting part 176 . The adjustment coupling part 257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the cylindrical pillar part 323 . Accordingly, the part where the adjusting coupling part 257 is located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pillar part 323 of the adjusting part 176 .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iameter of the part where the adjusting coupling part 257 is located, the spring 339 may be caught on the adjusting coupling part 257 . The adjustment coupler 257 may fix the adjustment unit 176 to the hinge bar 312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39 .

조정부(176)는 스프링(339)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 1 상태 또는 제 2 상태에서 힌지(166)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조정부(176)는 제 1 상태에서 몸체부(168)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되며, 제 2 상태에서 몸체부(168)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adjustment unit 176 may fix the hinge 166 in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39 . That is, the adjusting part 176 may be fixed to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ody part 168 in the first state, and may be fixed to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ody part 168 in the second state.

조정부(176)는 스프링(339), 기둥(323), 삽입부(317) 및 나비 나사(341, thumb screw)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justment unit 176 may include a spring 339, a post 323, an insertion unit 317, and a thumb screw 341.

스프링(339)은 기둥(323)에 삽입될 수 있다. 상세하게, 조정부(176)와 고정부(172)가 결합했을 때, 조정 결합부(257)와 기둥(323) 끝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스프링(339)은 제 1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해 늘어나 이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링(339)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부(344)가 힌지 바(312)의 삽입 홀(317)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166)가 외력에 의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A spring 339 may be inserted into the post 323 . In detail, when the adjustment unit 176 and the fixing unit 172 are coupled, it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adjustment coupling unit 257 and the end of the pillar 323. The spring 339 may be stretched by an elastic force in the first state and be in a relaxed state. In this case, the insertion part 344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17 of the hinge bar 31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39 . Accordingly, the hinge 166 may be fixed without moving by an external force.

삽입부(344)는 조정부(176)의 일 단에 돌출될 수 있다. 삽입부(344)는 제 1 상태에서 힌지 바(312)의 삽입 홀(317)에 삽입되며 제 2상태로 변화할 때 삽입 홀(317)에서 분리될 수 있다.The insertion part 344 may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adjusting part 176 . The insertion part 34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17 of the hinge bar 312 in the first state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317 when changing to the second state.

나비 나사(341)는 조정부(176)의 타 단에 위치할 수 있다. 나비 나사(341)는 사용자가 쉽게 잡고 조정할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비 나사(341)는 평상시에는 고리 형상이 돌출되지 않도록 옆으로 ?또賤? 있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나비 나사(341)를 조정할 때에는 고리 형상을 옆으로 세워 잡아 당기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나비 나사(341)는 사용자가 조정부(176)에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The thumb screw 341 may be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adjustment unit 176 . The thumb screw 341 may have a ring shap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and adjust it. The thumb screw 341 is usually turned sideways so that the ring shape does not protrude. There may be. Unlike this, when the user adjusts the thumb screw 341, the ring shape can be set sideways so that it can be easily pulled. The thumb screw 341 may help a user apply an external force to the adjusting unit 176 .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하도록, 삽입부(344)를 삽입 홀(317)에서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나비 나사(344)를 잡아당겨 스프링(339)이 수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기둥부(323)에 외력(F1)을 가하여 스프링(339)이 수축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외력(F1)은 스프링(339)의 탄성력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스프링(339)이 수축되면서 삽입부(344)가 기둥부(323)와 같이 당겨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insertion part 344 may be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317 so as to change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e user can pull the thumb screw 344 to cause the spring 339 to contract. That is, the user can cause the spring 339 to contract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F1 to the pillar portion 323 . The external force F1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39 . As the spring 339 contracts, the insertion portion 344 may be pulled like the pillar portion 323 .

삽입부(344)가 삽입 홀(317)에서 분리된 후, 고정부(17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부(172)와 결합된 제 2 하우징이 제 2 상태로 변화하도록 고정부(172)를 회전할 수 있다. 스프링(339)의 탄성력에 의해 방해받지 않기 위하여 사용자는 나비 나사(344)를 잡아당긴 상태로 고정부(17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삽입 홀(317)과 대응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나비 나사(344)를 당기지 않고 고정부(172)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After the insertion part 344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317 , the fixing part 172 may be rotated. The user may rotate the fixing part 172 so that the second housing coupled with the fixing part 172 changes to the second state. In order not to be hinder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39, the user may rotate the fixing part 172 while pulling the thumb screw 344.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xing part 172 may be rotated without pulling the thumb screw 344 at a portion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insertion hole 317 .

고정부(172)를 회전시킬 때 고정부(172)와 결합된 제 2 하우징(190)도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에 많은 힘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비 나사(344)를 잡아당긴 상태로 회전시키는 것이 힌지 바(312)와 삽입부(344)의 마찰력이 없기 때문에 더 바람직할 수 있다.When the fixing part 172 is rotated, since the second housing 190 coupled with the fixing part 172 also rotates, a lot of force may be required for rotation. Accordingly,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rotate the thumbscrew 344 in a pulled state because there is no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hinge bar 312 and the insertion portion 344 .

도 11을 참조하면, 제 2 상태에서 몸체부(168)와 조정부(176), 결합부(172)는 직교할 수 있다. 제 2 상태에서 삽입부(344)는 힌지 바(312)의 삽입 홀과 대응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부(344)가 힌지 바(312)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외부에 접해있을 수 있다. 삽입부(344)는 스프링(339)의 탄성력 때문에 힌지 바(312)를 향해 밀려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in the second state, the body portion 168, the adjusting portion 176, and the coupling portion 172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In the second state, the insertion part 344 may not correspond to the insertion hole of the hinge bar 312 . Accordingly, the insertion portion 344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without being inserted into the hinge bar 312 . The insert 344 may be pushed toward the hinge bar 312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39 .

제 2 상태에서 결합부(172)는 제 2 하우징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상태에서 조정부(176)는 힌지 바(312)에 고정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제 2 하우징을 받쳐줄 힘이 부족하여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제 2 상태에서 조정부(176)가 힌지 바(312)에 고정되는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In the second state, the coupling part 172 may support the entire second housing. Accordingly, in the second state, the adjusting unit 176 may be fixed to the hinge bar 312 . Otherwise, it may return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due to insufficient force to support the second housing. How the adjustment unit 176 is fixed to the hinge bar 312 in the second state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2를 참조하면, 고정부(172)가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이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부(172)의 측면으로 돌출된 레일부(196)가 가이드 홈(199)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홈(199)이 위치한 부분은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직경이 작을 수 있다. 레일부(196)는 가이드 홈(199)이 위치한 부분을 넘어서려고 하면 힌지 바(312)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하우징이 제 1 상태 또는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예상하지 못한 이동을 하여 크랙이 생기거나 파손될 위험이 적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a rail part 196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fixing part 172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99 so that the fixing part 172 can move only within the first and second states. . A portion where the guide groove 199 is located may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other portions. The rail part 196 may be limited by the hinge bar 312 when trying to go beyond the part where the guide groove 199 is located. Accordingly, when the second housing changes to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the risk of cracking or damage due to unexpected movement may be reduced.

도 1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일부(196)가 제 1 상태에 대응되는 전면을 향하는 상태에서 제 2 상태에 대응되는 하부면을 향하는 상태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 홈(199)은 힌지 바(312)의 전면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0도 에서 90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레일부(196)는 제 1 상태에서는 고정부(172)가 반시계 방향으로 0도 이하의 각도로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2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이상의 각도로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12 , the rail unit 196 may be located between a state facing the fro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ate and a state facing the low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tate. To this end, the guide groove 199 may be positioned between 0 degrees and 90 degre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the front direction of the hinge bar 312. In this case, the fixing part 172 of the rail part 196 may not rotate at an angle of 0 degree or les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first state. Also, in the second state, it may not rotate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이와 달리, 도 1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이드 홈(199)이 힌지 바(312)의 전면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0도에서 90도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이드 홈(199)은 힌지 바(312)의 반시계 방향으로 90도의 각도에서 후면으로 일직선으로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레일부(196)는 제 2 상태에서 힌지 바(312)에 걸려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Unlike this, as shown in (b) of FIG. 12 , the guide groove 199 may be positioned in a direction of 0 to 90 degre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the front direction of the hinge bar 312 . In addition, the guide groove 199 may be further formed in a straight line toward the rear at an angle of 90 degre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the hinge bar 312 . In this case, the rail unit 196 may be caught on the hinge bar 312 in the second state and not rotated more than 90 degre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홈(199)은 도 12의(a)에 도시된 가이드 홈(199)과 비교하여 제 2 상태일 때 레일부(196)를 직접적으로 막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 공정이 단순하며 비용이 저렴할 수 있다.Compared to the guide groove 199 shown in FIG. 12(a), the guide groove 199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not directly block the rail unit 196 in the second state. Accordingl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y be simple and the cost may be low.

도 13을 참조하면, 제 1,2 힌지(166a, 166b)가 연결 바(174)에 결합할 수 있다. 연결 바(174) 양 측에 위치한 개구부(375)의 내부로 힌지 바(312)가 삽입되며 결합할 수 있다. 힌지 바(312)는 연결 바(174)에 삽입된 후 결합부(172)를 통해 제 2 하우징과 결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the first and second hinges 166a and 166b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bar 174 . The hinge bar 312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375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ar 174 and coupled thereto. The hinge bar 312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bar 174 and then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through the coupling part 172 .

연결 바(174)는 개구부(375), 적어도 하나의 홀(241), 관통홀(278, through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바(174)는 중심부가 돌출되어 있어 힌지(166) 또는 전기배선이 내부에 삽입되기 쉽도록 할 수 있다.The connection bar 174 may include an opening 375 , at least one hole 241 , and a through hole 278 . The connecting bar 174 has a protruding center, so that the hinge 166 or electric wire can be easily inserted therein.

관통홀(278)은 연결 바(174)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관통홀(278)은 연결 바(174) 돌출부의 측면을 관통할 수 있다. 관통홀(278)은 전기배선이 삽입되어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로일 수 있다.The through hole 278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bar 174 . The through hole 278 may pass through a side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bar 174 . The through hole 278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an electrical wire is insert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적어도 하나의 홀(241)은 연결 바(174)의 돌출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241)은 연결 바(174)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관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241)은 연결 바(174)를 제 2 하우징 내부에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At least one hole 241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bar 174 . At least one hole 241 may pass through the connecting bar 174 from the top to the bottom. At least one hole 241 may couple the connecting bar 174 to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 1 상태에서 관통 볼트(351)가 제 2 하우징(190)을 관통하여 제 1 하우징(150)과 결합될 수 있다. 제 1 상태에서 관통 볼트(351)는 제 2 하우징(190)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241)을 통해 제 1 하우징(150)의 하부면과 결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in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state, the through-bolt 351 may penetrate the second housing 190 and be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150 . In the first state, the through bolt 351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50 through at least one hole 241 penetrating the second housing 190 .

적어도 하나의 홀(241)은 힌지의 나비 볼트가 삽입되는 힌지 홀(194)의 양 옆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 홀(194)이 제 2 하우징(190)의 양 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힌지 홀(194)의 양 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241)은 제 2 하우징(190)의 각 측에 2개씩 4개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 볼트(351)가 제 1 하우징(150)과 제 2 하우징(190)을 양 측에서 결합하기 때문에 힘이 쉽게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하우징(150)과 제 2 하우징에 더 쉽게 결합할 수 있다.At least one hole 241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hinge hole 194 into which the hinge bolt is inserted. Since the hinge holes 194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housing 190, at least one hole 241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hinge hole 194 is two on each side of the second housing 190. 4 can be located. In this case, since the through bolt 351 couples the first housing 150 and the second housing 190 from both sides, the force can be easily dispersed. Accordingly, it can be more easily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150 and the second housing.

도 15를 참조하면, 관통 볼트(351)는 제 1 나사영역(393)과 제 2 나사 영역(39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나사영역(393)는 제 1 직경(SD1)를 가지며, 제 2 나사(395)는 제 2 직경(SD2)을 가질 수 있다. 제 1 직경(SD1)은 제 2 직경(SD2)보다 클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the through bolt 351 may include a first screw area 393 and a second screw area 395 . The first screw area 393 may have a first diameter SD1, and the second screw 395 may have a second diameter SD2. The first diameter SD1 may be larger than the second diameter SD2.

제 2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홀은 제 1 직경(SD1)과 맞물릴 수 있으며, 제 1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홀은 제 2 직경(SD2)과 맞물릴 수 있다. 제 2 나사 영역(395)의 제 2 직경(SD2)은 제 2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홀의 제 1 직경(SD1)보다 작기 때문에 쉽게 홀을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 볼트(351)는 제 1 나사영역(393)만 조이면 제 2 하우징과 결합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을 쉽게 빠져나간 제 2 나사 영역(395)은 제 1 하우징과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관통 볼트(351)는 모든 부분의 직경이 동일할 때보다 제 1,2 하우징(150, 190)과 더 빨리 결합할 수 있다.At least one hole of the second housing may engage with the first diameter SD1 , and at least one hole of the first housing may engage with the second diameter SD2 . Since the second diameter SD2 of the second screw area 395 is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SD1 of the at least one hole of the second housing, it can easily pass through the hole. Accordingly, the through bolt 351 can be combined with the second housing by tightening only the first screw region 393 . The second screw area 395 easily exiting the second housing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Accordingly, when changing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e through-bolt 351 can engag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50 and 190 faster than when all parts have the same diameter.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연결 바(174) 사이에 노출되는 힌지(166)를 차폐하기 위해 힌지 커버(4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inge cover 413 to shield the hinge 166 exposed between the connecting bars 174 .

제 1 하우징(150)과 제 2 하우징(190)이 결합할 때 연결 바(174) 사이에 힌지(166)가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힌지(166)는 연결 바(174)와 다른 물질(예를 들어, 힌지(166)는 금속을 포함하며, 연결 바(174)는 플라스틱을 포함)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외관이 깔끔하지 못하다고 인식할 수 있다.When the first housing 150 and the second housing 190 are coupled, the hinge 166 may be exposed between the connecting bars 174 . In this case, since the hinge 166 is compos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necting bar 174 (for example, the hinge 166 includes metal and the connecting bar 174 includes plastic), the user may want to change the appearance. It can be perceived as not clean.

이에 따라, 힌지 커버(413)가 연결 바(174)의 측면을 감싸며 위치할 수 있다. 도 16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힌지 커버(413)는 노출되는 힌지(166)와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 부재(421)가 위치할 수 있다. 부착 부재(421)는 자성을 띈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166)는 금속을 포함하기 때문에 부착 부재(421)와 더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hinge cover 413 may be positioned while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bar 174 . As shown in (b) of FIG. 16 , the hinge cover 413 may have an attachment member 421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posed hinge 166 . The attachment member 421 may include a magnetic material. Since the hinge 166 includes metal, it can be more strongly coupled to the attachment member 421 .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결 바(174)에 힌지 커버(413)가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관이 깔끔해졌다고 인식할 수 있다.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cover 413 may be attached to the connection bar 174 . Accordingly,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appearance has been improved.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 1 상태와 제 2 상태에서 잠금 브라켓(163)의 위치가 다를 수 있다. 도 17의 (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제 1 상태에서 잠금 브라켓(163)은 일 측이 제 1 하우징(150)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잠금 브라켓(163)의 중심부에 위치한 손잡이(442)를 조절하여 잠금 브라켓(163)을 하부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 the position of the locking bracket 163 i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of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fferent. As shown in (a) of FIG. 17 , in the first state, one side of the locking bracket 163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first housing 150 . The user may position the locking bracket 163 downward by adjusting the handle 442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locking bracket 163 .

도 17의 (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제 2 상태에서 잠금 브라켓(163)은 타 측이 제 1 하우징(15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잠금 브라켓(163)의 중심부에 위치한 손잡이(442)를 조절하여 잠금 브라켓(163)을 상부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17 , in the second state,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bracket 163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first housing 150 . The user may position the locking bracket 163 upward by adjusting the handle 442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locking bracket 163 .

손잡이(442)는 제 1 하우징(150)의 가이드 브라켓(437)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손잡이(442)는 잠금 브라켓(163)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후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handle 44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uide bracket 437 of the first housing 150 . The handle 442 may protrude from the locking bracket 163 toward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10 .

가이드 브라켓(437)은 잠금 브라켓(163)이 상하로 이동할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437)의 제 1 방향으로의 폭은 손잡이(442)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442)가 가이드 브라켓(437) 내부로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The guide bracket 437 may guide a position where the locking bracket 163 moves vertically. A width of the guide bracket 437 in the first direction may be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handle 442 . Accordingly, the handle 442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guide bracket 437.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 1 상태에서 제 1 하우징(150)의 하부에 돌출된 잠금 브라켓(163)이 제 2 하우징(190)에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 in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bracket 163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housing 15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190 in the first state.

잠금 브라켓(163)의 돌출된 부분은 제 2 하우징(190) 내에 위치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홈은 잠금 브라켓(163)의 돌출된 부분과 맞물릴 수 있다. 잠금 브라켓(163)과 제 2 하우징(190)의 결합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 1 상태에서 모듈부(100)는 앞뒤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듈부(100)가 고정되어 있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더 집중할 수 있다.A protruding portion of the locking bracket 163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located in the second housing 190 . The groove may be engaged with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locking bracket 163. A method of coupling the locking bracket 163 and the second housing 190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in the first state, the module unit 100 can be fixed without shaking back and forth. Since the module unit 100 is fixed, the user can focus more on the display screen.

도 19를 참조하면, 잠금 브라켓(163)의 돌출된 부분이 제 2 하우징(190) 내에 위치한 홈(466)에 삽입될 수 있다. 홈(466)은 제 3 방향의 폭(HMW3)이 잠금 브라켓(163)의 두께(BW)와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잠금 브라켓(163)이 홈(466) 내부에서 앞뒤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locking bracket 163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466 located in the second housing 190 . The width HMW3 of the groove 466 in the third direction may be equal to or similar to the thickness BW of the locking bracket 163 . Accordingly, the locking bracket 163 may be fixed without shaking back and forth inside the groove 466 .

또한, 잠금 브라켓(163)의 하부로 돌출된 길이는 제 2 하우징(190)의 두께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442)를 가이드 브라켓(437)의 최하단까지 이동시켜도 잠금 브라켓(163)의 돌출된 부분은 제 2 하우징(190)의 두께를 넘어서지 않을 수 있다.Also, the length protruding downward of the locking bracket 163 may be shor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ousing 190 . Accordingly, even when the handle 442 is moved to the lowest end of the guide bracket 437,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locking bracket 163 may not excee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ousing 190.

도 20을 참조하면, 잠금 브라켓(163)은 제 1 하우징(150)의 후면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243)를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243)는 잠금 브라켓(163)을 관통하여 제 1 하우징(150)의 강성판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243)는 잠금 브라켓(163)을 관통하여 백 커버(130)와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 the locking bracket 163 may be coupled using at least one screw 243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50 . In this case, at least one screw 243 may pass through the locking bracket 163 and be coupled to the rigid plate of the first housing 150 .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t least one screw 243 may pass through the locking bracket 163 and be coupled to the back cover 130 .

또한, 잠금 브라켓(163)과 제 2 하우징(190)을 결합하기 위하여 제 2 하우징(190)은 잠금 브라켓(163)의 하부면과 관통 볼트(351)를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잠금 브라켓(163)의 자세한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couple the locking bracket 163 and the second housing 190, the second housing 19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bracket 163 through a through bolt 351.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locking bracket 163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 1 상태에서 잠금 브라켓(163)이 이동하지 않도록 후면과 하부면에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부(100)가 움직이지 않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집중할 수 있다.In the first state of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bracket 163 may be fastened to the rear and lower surfaces so that it does not move. Accordingly, since the module unit 100 does not move, the user can concentrate on the display screen.

도 21을 참조하면, 잠금 브라켓(163)은 전면부에 스토퍼(441) 및 벽걸이 홈(482)을 포함하며, 하부면에는 제 2 하우징 체결홈(192)이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 the locking bracket 163 includes a stopper 441 and a wall mounting groove 482 on the front side, and a second housing fastening groove 192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스토퍼(441)는 잠금 브라켓(163) 내부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스토퍼(441)는 잠금 브라켓(163)이 상하로 이동할 때 이동 종료 지점을 가이드해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스토퍼(441)는 적어도 하나의 홀(24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241)은 제 1상태 또는 제 2 상태일 때 스크류를 통해 잠금 브라켓(163)을 고정해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스토퍼(441)는 후술할 슬라이딩 부재(411)가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441)의 두께(HMT)는 잠금 브라켓(163)의 두께(HIT)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441)는 잠금 브라켓(163)을 관통하지 않을 수 있다.The stopper 441 may have a shape recessed into the locking bracket 163 . The stopper 441 may function to guide a movement end point when the locking bracket 163 moves up and down. The stopper 441 may include at least one hole 241 . At least one hole 241 may function to fix the locking bracket 163 through a screw in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A sliding member 411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stopper 441 . The thickness HMT of the stopper 441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HIT of the locking bracket 163 . Accordingly, the stopper 441 may not pass through the locking bracket 163 .

벽걸이 홈(482)은 제 2 상태일 때 벽걸이 어셈블리와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상태일 때 벽걸이 어셈블리의 상부와 벽걸이 홈(482)이 스크류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벽걸이 홈(482)은 간격이 떨어져 있는 벽걸이 홈(482)과 결합되는 부분이므로 직경이 다른 홀보다 클 수 있다.The wall-hung groove 482 may be a part coupled to the wall-hung assembly in the second state. As shown in FIG. 7 , in the second state, the upper portion of the wall-mounting assembly and the wall-mounting groove 482 may be coupled through screws. Since the wall hanging groove 482 is a part coupled to the wall hanging groove 48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diameter may be larger than that of other holes.

제 2 하우징 체결홈(192)은 관통 볼트를 통해 잠금 브라켓(163)과 제 2 하우징을 체결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 체결홈(192) 또한 직경이 다른 홀보다 클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fastening groove 192 may fasten the locking bracket 163 and the second housing through a through bolt. The second housing fastening groove 192 may als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other holes.

슬라이딩 부재(411)는 잠금 브라켓(163)의 스토퍼(44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411)는 잠금 브라켓(411)의 이동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411)는 잠금 브라켓(163)이 유동하기 쉽도록 마찰력이 적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부재는 POM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441)는 상측과 하측에 락킹부(436)를 포함하며, 중심부에 판 체결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liding member 411 may be located inside the stopper 441 of the locking bracket 163. The sliding member 411 may guide the moving position of the locking bracket 411 . The sliding member 411 may include a material with low frictional force so that the locking bracket 163 can easily move. For example, the sliding member may include a POM material. The sliding member 441 may include locking parts 436 on upper and lower sides, and may include a plate fastening part 452 in the center.

락킹부(436)는 제 1 상태 또는 제 2 상태에서 잠금 브라켓(163)과 함께 제 1 하우징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441)의 적어도 하나의 홀(241) 사이의 간격(HD)은 락킹부(436) 사이의 간격(SPD)와 동일할 수 있다. 락킹부(436)는 스크류의 길이가 짧아도 체결되기 쉽도록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The locking part 436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housing together with the locking bracket 163 in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Accordingly, the distance HD between the at least one hole 241 of the stopper 441 may be the same as the distance SPD between the locking parts 436 . The locking part 436 may have a protruding shape so that it can be easily fastened even if the length of the screw is short.

판 체결부(452)는 슬라이딩 부재(41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판 체결부(452)는 슬라이딩 부재(411)를 강성판(152)에 스크류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판 체결부(452)는 스크류가 스토퍼(441)에 접하지 않도록 주변이 측벽(474)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The plate fastening part 452 may fix the sliding member 411 . In detail, the plate fastening part 452 may fix the sliding member 411 to the rigid plate 152 using screws. The plate fastening part 452 may be surrounded by a side wall 474 so that the screw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441 .

도 22를 참조하면, 도 2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상태에서, 스토퍼(441)의 상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241)과 락킹부(436)가 스크류(243)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 브라켓(163)의 하부가 제 1 하우징(15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as shown in (a) of FIG. 22, in the first state, at least one hole 241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opper 441 and the locking part 436 are screw 243 can be combined through In this case,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bracket 163 may be exposed outside the first housing 150 .

이와 달리, 도 2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상태에서, 스토퍼(44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241)과 락킹부(436)가 스크류(243)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 브라켓(163)의 상부가 제 1 하우징(15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Unlike this, as shown in (b) of FIG. 22, in the second state, at least one hole 241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opper 441 and the locking part 436 are coupled through the screw 243 can do. In this case, the top of the locking bracket 163 may be exposed outside the first housing 150 .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할 때에 내부에 위치한 슬라이딩 부재(411)는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스토퍼(441)가 슬라이딩 부재(411)의 상측 또는 하측에 접할 때 사용자는 쉽게 제 1 상태 또는 제 2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 1 상태 또는 제 2 상태에서는 락킹부(436)와 적어도 하나의 홀(241)이 겹치기 때문에 상술한 두 상태에 있을 때만 스크류(243)가 쉽게 결합될 수 있다.When changing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e sliding member 411 located inside may not move. When the stopper 441 contacts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sliding member 411,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whether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has been reached. In addition, since the locking part 436 and the at least one hole 241 overlap in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the screw 243 can be easily coupled only in the above two states.

도 23 및 24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부재(411)는 하부에 잠금 브라켓을 더 정확히 가이드할 수 있는 측면 가이드(513)와 가이드 돌출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3 and 24 , the sliding member 411 may include a side guide 513 and a guide protrusion 524 capable of more accurately guiding the locking bracket at a lower portion.

측면 가이드(513)는 슬라이딩 부재(411)로부터 양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양 측면으로 연장된 폭은 잠금 브라켓(163)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측면 가이드(513)의 양 측에는 가이드 돌출부(524)가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돌출부(524)는 슬라이딩 부재(411)의 락킹부(436)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돌출부(524)는 락킹부(436)보다 적게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가이드 돌출부(524)는 락킹부(436)보다 높게 돌출될 수도 있다.Side guides 513 may extend from the sliding member 411 to both sides. The width extending to both sides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locking bracket 163 . Guide protrusions 524 may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side guide 513 . The guide protruding part 524 may protrud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locking part 436 of the sliding member 411 . The guide protrusion 524 may protrude less than the locking portion 436 .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guide protrusion 524 may protrude higher than the locking portion 436 .

가이드 돌출부(524) 사이의 거리(GD)는 잠금 브라켓(163)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잠금 브라켓(163)이 가이드 돌출부(524) 사이에 놓일 수 있다.The distance GD between the guide protrusions 524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locking bracket 163 . Accordingly, the locking bracket 163 may be placed between the guide protrusions 524 .

가이드 돌출부(524)는 락킹 브라켓(163)이 제 1 상태와 제 2 상태중 어느 한 상태에 있도록 이동할 때, 락킹 브라켓(163)이 양 측으로 기울지 않도록 가이드해줄 수 있다.The guide protrusion 524 may guide the locking bracket 163 so as not to tilt to both sides when the locking bracket 163 moves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tates.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 2 상태에서 제 1 하우징(150)과 제 2 하우징(190)을 연결하는 고정 브라켓(534, fixing bracket)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5 ,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xing bracket 534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150 and the second housing 190 in the second state.

고정 브라켓(534)은 제 1,2 하우징(150, 190)의 양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534)은 제 2 상태에서 벽걸이 어셈블리 없이 제 1 하우징(150)의 후면과 제 2 하우징(190)이 접하도록 고정해줄 수 있다. 고정 브라켓(534)은 일 단이 제 1 하우징(150)과 결합하며 타 단이 제 2 하우징(190)과 결합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534)의 일 단과 타단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 제 1 하우징(150)과 제 2 하우징(190)이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브라켓(534)은 강도가 강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브라켓(534)은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brackets 534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50 and 190 . The fixing bracket 534 may fix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50 and the second housing 190 in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the wall mount assembly in the second state. The fixing bracket 534 may have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150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190 . If the gap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xing bracket 534 widens, the first housing 150 and the second housing 190 may not be fixed. Accordingly, the fixing bracket 534 may include a strong material. For example, the fixing bracket 534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고정 브라켓(534)이 제 1 하우징(150)과 제 2 하우징(190)이 제 2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상태에서 제 1 하우징(150)과 제 2 하우징(190)이 분리되어 크랙이 생기거나 파손될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In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bracket 534 may fix the first housing 150 and the second housing 190 to maintain the second state. Accordingly, in the second state, the first housing 150 and the second housing 190 are separated and the risk of cracking or damage may be reduced.

도 26 및 27을 참조하면, 고정 브라켓(534)은 제 1,2 돌출부(539, 547) 및 행어(521, hanger)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6 and 27 , the fixing bracket 534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539 and 547 and a hanger 521 .

제 1 돌출부(547)는 고정 브라켓(534)의 일 단을 구성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547)는 고정 브라켓(534)의 바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밴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할 때 제 1 돌출부(547)는 상부 수직 방향으로 밴딩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547 may constitute one end of the fixing bracket 534 . The first protrusion 547 may be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dy of the fixing bracket 534 . For example, when the body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protrusion 547 may be bent upward in a vertical direction.

제 1 돌출부(547)는 일 단이 제 1 돌출부(547)의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밴딩될 수 있다. 즉, 제 1 돌출부(547)는 일 단이 하부 수직 방향으로 밴딩될 수 있다. 제 1 돌출부(547)는 일 단이 밴딩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하우징(150)의 내부로 삽입되기 편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547 may be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547 . That is, 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547 may be bent in a lower vertical direction. Since 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547 is bent,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150 .

제 1 돌출부(547)는 일 단이 제 1 하우징(150) 상단 양 측에 위치하는 고정 홈(507)에 삽입될 수 있다. 제 2 상태에서 제 1 하우징(150)과 제 2 하우징(190)을 결합하기 위하여 제 1 돌출부(547)는 수직 방향의 힘만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돌출부(547)는 제 1 하우징(150)과 스크류를 통해 결합하지 않아도 제 1 하우징(150)과 제 2 하우징(190)을 고정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547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507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op of the first housing 150 . In order to couple the first housing 150 and the second housing 190 in the second state, only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required by the first protrusion 547 . Accordingly, the first protrusion 547 can fix the first housing 150 and the second housing 190 without being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150 through screws.

제 2 돌출부(539)는 고정 브라켓(534)의 타 단을 구성할 수 있다. 제 2 돌출부(539)는 고정 브라켓(534)의 바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할 때 제 2 돌출부(539)는 하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539 may constitute the other end of the fixing bracket 534 . The second protrusion 539 may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dy of the fixing bracket 534 . For example, when the body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protrusion 539 may extend in a lower vertical direction.

제 2 상태에서 제 2 돌출부(539)는 제 2 하우징(190)의 적어도 일면과 접할 수 있다. 제 2 상태에서 제 2 돌출부(539)는 스크류(243)를 통해 제 2 하우징(190)과 결합할 수 있다. 제 2 돌출부(539)와 제 2 하우징(190)이 스크류(243)를 통해 결합하기 때문에 제 1 하우징(150)과 제 2 하우징(190)이 더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In the second state, the second protrusion 539 may contact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90 . In the second state, the second protrusion 539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190 through the screw 243 . Since the second protrusion 539 and the second housing 190 are coupled through the screw 243, the first housing 150 and the second housing 190 can be more strongly fixed.

걸게(521)는 바디의 상측에서 바디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걸게(521)는 전기 배선 등이 걸쳐지는 부분일 수 있다. 걸게(521)에 전기 배선을 위치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배선 정리하기 편리하며 외관이 더 깔끔해졌다고 느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도 27의 (b)에 나타난 것과 같이, 고정 브라켓(534)은 걸게(521)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정 브라켓(534)의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며,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Hook 521 may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ody from the upper side of the body. The hanger 521 may be a part where an electric wire or the like is strung. When locating electric wiring on the hanger 521, the user can feel that it is convenient to organize the wiring and the appearance is clean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shown in (b) of FIG. 27, the fixing bracket 534 may not include the hook 521.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ixing bracket 534 is simplified and costs can be saved.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위치하는 백 커버;
상기 백 커버 후면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과 적어도 일부가 접하되, 상기 제 1 하우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 상태와, 적어도 일면이 상기 제 1 하우징의 후면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 측과 결합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 측에 감싸진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일 측으로 함몰된 요부(concave part)와,
상기 요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철부(convex part)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정부를 상기 몸체부에 연결하는 힌지 바와,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힌지 바와 결합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panel;
a back cover locat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 first housing loca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cover;
In either state of a first stat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housing and is loca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state in which at least one surface is located in parallel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and
A hinge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the hinge,
body part,
A fixing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art;
Including an adjustment unit wrapped around one side of the fixing unit,
The body part,
a protrusion protruding into the first housing in the first state;
A concave part recessed to one side,
A convex part protru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nvex part;
A hinge bar connecting the fixing part and the adjusting part to the body part,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upport plate protruding in an opposit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and coupled to the hinge ba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양 측에 결합되는,
제 1 힌지와 제 2 힌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ing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hous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hinge and a second hin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그루브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A display device inserted into a groove located inside the first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는,
상기 제 1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통해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aist,
A display device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through at least one scre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바는 상기 몸체부의 양 측을 연결하는 원기둥 형상인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inge bar is a display device having a cylindrical shape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힌지 바를 감싸며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A display device that surrounds and couples the hinge ba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결합부와, 그리고
상기 조정부를 감싸는 형상인 조정 결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connection part,
A housing coupling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n adjusting coupling part having a shape surrounding the adjusting par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결합부는,
상기 제 2 하우징과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housing coupling part,
A display device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측을 연결해주는 원기둥 형상의 힌지 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의 측면으로 돌출된 레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일부는 상기 힌지 바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body part,
It includes a cylindrical hinge bar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body,
The fixing part,
Further comprising a rail portion protruding to the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rail unit is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hinge ba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힌지바의 전면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0도에서 90도 사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guide groove,
Based on the front direction of the hinge bar,
A display device formed between 0 degrees and 90 degre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djustment unit,
It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ody in the first state,
A display device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ody portion in the second s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일 단에 돌출된 삽입부와, 그리고
상기 기둥에 삽입된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삽입 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삽입 홀에서 분리된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djustment unit,
pillars,
An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pillar, and
Including a spring inserted into the pillar,
The insert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body part in the first state,
A display device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in the second stat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상기 스프링을 수축시켜 상기 삽입부를 상기 삽입 홀에서 분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4,
When changing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A display device that separates the insertion part from the insertion hole by contracting the spring.
KR1020150163280A 2015-08-28 2015-11-20 Display apparatus KR1025142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69080.5A EP3136714B1 (en) 2015-08-28 2016-05-11 Display device
US15/164,547 US10034399B2 (en) 2015-08-28 2016-05-25 Display device
CN201610546785.1A CN106486517B (en) 2015-08-28 2016-07-12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11308P 2015-08-28 2015-08-28
US62/211,308 2015-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043A KR20170026043A (en) 2017-03-08
KR102514283B1 true KR102514283B1 (en) 2023-03-27

Family

ID=584038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274A KR102463639B1 (en) 2015-08-28 2015-11-20 Display apparatus
KR1020150163280A KR102514283B1 (en) 2015-08-28 2015-11-20 Display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274A KR102463639B1 (en) 2015-08-28 2015-11-20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6363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503B1 (en) 2017-07-20 2022-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369973B1 (en) * 2017-10-27 2022-03-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Ultra-slim display device
KR102505560B1 (en) * 2018-09-20 2023-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Stan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1116A1 (en) * 2007-12-18 2009-06-18 Chia-Han Lin Hinge structure with changeable frictional faces
JP2014035507A (en) * 2012-08-10 2014-02-24 Sony Corp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940A (en) * 2004-01-05 2005-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Stand for video display can be used as a desk and a wall mount
KR100589792B1 (en) * 2004-11-19 2006-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LCD monitor capable of both standing a floor and mounting a wall
KR20060071052A (en)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Installation structure for stand beam in thin film display device
KR100778217B1 (en) 2006-06-26 2007-11-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 combined wall-mount and stand for video display device
JP3131671U (en) 2007-02-28 2007-05-17 オリオン電機株式会社 A flat-screen TV stand device with a wall-hang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1116A1 (en) * 2007-12-18 2009-06-18 Chia-Han Lin Hinge structure with changeable frictional faces
JP2014035507A (en) * 2012-08-10 2014-02-24 Sony Corp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639B1 (en) 2022-11-07
KR20170026042A (en) 2017-03-08
KR20170026043A (en)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4399B2 (en) Display device
US10304359B2 (en) Display device
US11477898B2 (en) Display device
US11038295B2 (en) Display device
KR102484981B1 (en) Speaker module,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it
KR102560611B1 (en) Display device
US10231349B2 (en) Display device
EP3255624B1 (en) Display device
KR102514283B1 (en) Display apparatus
US9826296B2 (en) Speaker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peaker assembly
EP3125026B1 (en) Display device
EP3125027B1 (en) Display device
KR20230088896A (en) display device
KR102454757B1 (en) Display apparatus
KR102492451B1 (en) Display apparatus
KR102492970B1 (en) Display apparatus
KR102502075B1 (en) Display apparatus
KR102423525B1 (en) Display apparatus
EP3125025B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