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549B1 - Mini icebox for beverages that can create a user-centered balance type table - Google Patents

Mini icebox for beverages that can create a user-centered balance type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549B1
KR102512549B1 KR1020210041126A KR20210041126A KR102512549B1 KR 102512549 B1 KR102512549 B1 KR 102512549B1 KR 1020210041126 A KR1020210041126 A KR 1020210041126A KR 20210041126 A KR20210041126 A KR 20210041126A KR 102512549 B1 KR102512549 B1 KR 102512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everages
mini
unit module
ic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5448A (en
Inventor
조현우
Original Assignee
(주)제이디자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디자인웍스 filed Critical (주)제이디자인웍스
Priority to KR1020210041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549B1/en
Publication of KR20220135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4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5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6Tables convertible otherw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2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disposed in a cold storage element not forming part of a container for products to be cooled, e.g. ice pack or gel accum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중심의 밸런스 타입 테이블 생성이 가능한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에 관한 것으로, 앙증맞은 큐브 타입으로 작고 간단하여 이동 및 취급에 편리하면서도 본체를 중심으로 음료를 올려놓는데 충분한 크기의 확장 테이블을 간단히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본체를 중심으로 둘러앉아 대화를 즐기는 가운데 누구라도 본체 내부에 시원하게 수납된 음료를 즉석에서 자유롭게 꺼내어 마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가지며 단열재로 이루어진 사각 박스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주는 커버; 및 상기 본체의 벽체 상단부를 따라 열을 지어 끼워져 고정되며 서로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밀착되어 조합된 형태로 평탄한 수평면을 갖는 테이블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의 벽체 상단부에서 분리되면 서로 겹쳐져서 적층된 형태로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단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ni ice box for beverages capable of creating a user-centered balance-type table, which is small and simple in a dainty cube type, so that it is convenient to move and handle, and an extension table that is large enough to place beverages on the main body can be easily installed. By allowing users to sit around the main body and enjoy a conversation, anyone can freely take out and drink a drink stored coolly inside the main body on the spo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orage spac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 rectangular box-shaped main body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a cover covering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t is inserted and fixed in rows along the upper end of the wall of the main body,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table having a flat horizontal surface in a combined form, and when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wall of the main body, the stack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modules to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main body in the form.

Description

사용자 중심의 밸런스 타입 테이블 생성이 가능한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Mini icebox for beverages that can create a user-centered balance type table}Mini icebox for beverages that can create a user-centered balance type table}

본 발명은 아이스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앙증맞은 큐브 타입으로 작고 간단하여 이동 및 취급에 편리하면서도 본체를 중심으로 음료를 올려놓는데 충분한 크기의 확장 테이블을 간단히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본체를 중심으로 둘러앉아 대화를 즐기는 가운데 누구라도 본체 내부에 시원하게 수납된 음료를 즉석에서 자유롭게 꺼내어 마실 수 있도록 한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box, and in particular, is a dainty cube type that is small and simple, so it is convenient to move and handle, and it is possible to simply create an extension table that is large enough to place drinks around the main body, so that users can It is about a mini ice box for beverages that allows anyone to freely take out and drink beverages stored coolly inside the body while sitting around and enjoying conversation.

일반적으로, 아이스박스는 여행 또는 낚시 등과 같은 레저 활동시 현지에서 조리를 할 수 있는 음식물 또는 음료와 같은 내용물의 부패를 방지하고, 음식물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하기 위해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아이스박스 본체 내부에 얼음 또는 냉매팩이 함께 투입되어 음식물 등을 보관한다.In general, an icebox is made of a material with excellent insulation properties to prevent decay of contents such as food or beverages that can be cooked locally during leisure activities such as travel or fishing, and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food for a long time. Ice or refrigerant packs are put inside the box body to store food and the like.

이와 같은 아이스박스는 아이스박스 본체 내부에 음식물 또는 음료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덮개에 의해 개폐된다.Such an icebox is opened to accommodate food or beverages inside the body of the icebox and is opened and closed by a cover.

과거 전통적인 아이스박스는 발포 스티롤(styrol)을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내구성이 강한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아이스박스 본체 케이스를 이중으로 형성하고 그 내측에 단열재를 충진시킴으로써 내구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In the past, traditional iceboxes used foamed styrol, but recently, plastics that are easy to carry and have strong durability are used to form a double icebox body case and fill the inside with an insulation material to improve durability and insulation. did

그러나, 전통적인 아이스박스는 등산이나 낙시, 야외 캠핑 시 아이스박스 이외에도 테이블 또는 받침탁자를 별도로 휴대하여야 했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001호(2018.01.02.)에서는 별도의 테이블을 함께 휴대하지 않아도 덮개부를 이중으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한 구성에 의해 상측의 덮개를 펼쳐주면 테이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아이스박스를 개시한 바 있다. However, conventional iceboxes are inconvenient because a table or support table must be separately carried in addition to the icebox during mountain climbing, fishing, or outdoor camping. Accordingly, in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8-000001 (2018.01.02.), the table function is performed by unfolding the upper cover by a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is double-foldable without carrying a separate table together. There is a bar that disclosed an ice box that made it possible.

하지만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001호를 통해 개시된 아이스박스의 경우 덮개를 일측으로 펼치는 방식이기 때문에 상기 덮개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테이블이 본체를 중심으로 한쪽으로 편향된 형태가 되면서 테이블을 중심으로 앉아 있는 각 사용자들과 본체 사이의 거리 차가 생기면서 사용자들 누구나가 동등한 위치에서 자유롭게 본체 내부에 수납된 음료를 꺼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ice box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8-000001, since the cover is spread to one side, the table made using the cover is biased to one side with the main body as the center, and the table is centered. As a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each seated user and the main body occu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ll users cannot freely take out the beverage stored in the main body at an equal position.

또한 덮개를 펼쳐서 만들어진 테이블의 경우 본체에 대하여 일측으로 치우쳐 있는 캔틸레버 타입의 지지구조를 갖기 때문에 복수의 음료들이 놓이게 되면 아이스박스가 일측으로 쓰러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테이블을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able made by spreading the cover, since it has a cantilever-type support structure that is biased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the ice box may collapse to one side when a plurality of drinks are placed. It was necessary to provide the absence of.

더욱이 이처럼 덮개를 펼쳐서 테이블을 만드는 아이스박스의 경우 최소한 중형 이상은 되어야만 복수의 음료를 올려 놓을 수 있는 크기의 테이블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소형의 아이스박스에 적용하기 곤란한 제한이 있었다. Moreover, in the case of an ice box in which a table is formed by spreading the co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is difficult to apply to a small ice box in that the table must be at least medium-sized to make a table large enough to place a plurality of drinks.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001호(2018.01.02.)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8-000001 (2018.01.0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앙증맞은 큐브 타입으로 작고 간단하여 이동 및 취급에 편리하면서도 본체를 중심으로 음료를 올려놓는데 충분한 크기의 확장 테이블을 간단히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본체를 중심으로 둘러앉아 대화를 즐기는 가운데 누구라도 본체 내부에 시원하게 수납된 음료를 즉석에서 자유롭게 꺼내어 마실 수 있도록 한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inty cube type that is small and simple, so that it is convenient to move and handle, and is expandable enough to place a beverage around the main body. It is to provide a mini ice box for beverages in which a table can be simply created so that anyone can freely take out and drink a beverage stored coolly inside the main body while enjoying a conversation while sitting around the main bod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는, 상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가지며 단열재로 이루어진 사각 박스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주는 커버; 및 상기 본체의 벽체 상단부를 따라 열을 지어 끼워져 고정되며 서로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밀착되어 조합된 형태로 평탄한 수평면을 갖는 테이블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의 벽체 상단부에서 분리되면 서로 겹쳐져서 적층된 형태로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단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ini ice box for beverage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tangular box-shaped mai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with an open top and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 cover covering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t is inserted and fixed in rows along the upper end of the wall of the main body,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table having a flat horizontal surface in a combined form, and when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wall of the main body, the stacked It is characterized in its technical configuration to include; a plurality of unit modules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main body in the form of.

여기서, 상기 단위모듈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L자형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면에서 서로 이격을 두고 쌍을 이루어 벽체 형상으로 나란히 형성되되 L자형 라인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벽체 상단부 중 모서리 부위에 대응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한 하부 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unit module is formed side by side in a wall shape by forming an L-shaped upper plate portion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and formed side by side in a wall shape, and is formed along an L-shaped lin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lower fixing part so that it can be fitted to correspond to the corner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wall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단위모듈의 하부 고정부는 상기 상판부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하부 고정부가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단위모듈이 조합된 테이블이 형성되면, 상기 테이블 중앙부에는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과 대응하는 개방 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수납된 음료를 꺼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fixing part of the unit module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op plate, and when the lower fix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to form a table in which the unit modules are combined,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abl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n open area corresponding to is formed so that the beverage stored in the main body can be taken out.

또한, 상기 단위모듈의 일단부 하면에는 끼움돌기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단위모듈의 타단부 하면에는 인접한 단위모듈의 끼움돌기에 끼워져 결합 가능한 끼움공을 구비하는 결합체가 구비되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단위모듈을 하나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fitting protrusion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one end of the unit module, and an assembly having a fitting hole capable of being coup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tting protrusion of an adjacent unit module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unit module, so that two adjacent units are forme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ules can be bound together.

또한, 상기 결합체는 납작한 판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체의 일단부에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그 반대편인 상기 결합체의 타단부는 상기 단위모듈의 타단부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결합체가 단위모듈 간 결속을 위해 사용되지 않을 때는 단위모듈 하측으로 은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ssembly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a fitting hol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assembly, and the other end of the assembly, which is opposite to the assembly,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unit module, so that the assembly is bound between unit modules.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ncea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nit module when not used for the purpose.

또한, 상기 단위모듈의 상판부 상면에는 외측 둘레부를 따라 돌출된 돌기라인이 형성되어 액체가 상판부 상면에서 외측방향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rotrusion line protru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unit module to block liquid from flowing out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또한, 상기 본체는 상단부 양편 외측면에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지지돌기에 대응하여 끼워져 결합되는 지지공을 양단부에 구비한 띠 형상의 손잡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의 양단부는 상기 지지돌기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band-shaped handle provided with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upper end and having support holes fitted and coupled at both ends to correspond to the support protrusions of the main body, the handle Both ends of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e around the support protrusion.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본체의 지지돌기에 지지공이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한 착탈 손잡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dl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s a detachable handle that is detachable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hole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rotrusion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지지돌기와 상하로 나란히 위치하는 한 쌍의 고정돌기를 양편 외측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구비하며, 상기 착탈 손잡이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고정공을 양단부에 각각 구비하여 상기 아이스박스의 이동 시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탈하지 않게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ver has a pair of fixing protrusions positioned vertically parallel to the support protrusions of the main body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main body in a form protruding from both outer surfaces, and the detachable handle is fitted to correspond to the fixing protrusion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fixing holes are provided at both ends to prevent the cov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tate in which the ice box is mounted on the main body when the ice box is moved.

또한,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에서 복수의 음료를 세운 상태에서 거치할 수 있도록 한 음료 거치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료 거치대는 음료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을 구비한 판형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를 본체 수납공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주는 복수의 레그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beverage holder so that a plurality of beverages can be placed in an upright state in the storage space of the main body, and the beverage holder includes a plate-shaped support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into which beverages are inserted, and the support por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leg parts that are formed long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and separate the support part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storage space.

또한, 상기 음료 거치대에 의해 세워져 거치된 음료 위에 놓이어서 본체의 수납공간을 가로지르면서 상측과 하측으로 분리해주는 분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while crossing the storage space of the main body by being placed on the beverage erected by the beverage holder.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는 앙증맞은 큐브 타입으로 작고 간단하여 이동 및 취급에 편리함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본체를 중심으로 사방에 동일한 너비를 갖는 확장 테이블을 간단히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본체를 중심으로 둘러앉아 대화를 즐기는 가운데 누구라도 본체에 수납된 음료를 자유롭게 꺼내어 마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mini icebox for bever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inty cube type and is small and simple, providing convenience in movement and handling. It has the advantage that anyone can freely take out and drink the beverage stored in the main body while sitting around and enjoying convers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에서 테이블이 생성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에서 테이블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에서 단위모듈 하측에 구비된 결합체와 끼움돌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ni ice box for bever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use state diagram in which a table is created in a mini icebox for bever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ini ice box for bever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table creation method in a mini ice box for bever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assembly and fitting protrusion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a unit module in a mini ice box for bever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A mini icebox for beverag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each figur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enlarged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or reduced than actual in order to understand the schematic configuration.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so,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에서 테이블이 생성된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에서 테이블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ni icebox for bever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able is created in the mini icebox for bever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ini ice box for beverages according to an example, FIG. 4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reating a table in a mini ice box for bever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는 수납공간(110a)은 갖는 본체(110), 커버(120), 복수의 단위모듈(130), 착탈 손잡이(140), 음료 거치대(150) 및 분리판(160)을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mini ice box for bever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having a storage space 110a, a cover 120, a plurality of unit modules 130, a detachable handle 140, a beverage It includes the cradle 150 and the separator 160 as main components.

본 발명은 이같은 주요 구성요소들에 의해 앙증맞은 큐브 타입으로 작고 간단하여 이동 및 취급에 편리하면서도 본체(110)를 중심으로 음료를 올려놓는데 충분한 크기의 확장 테이블(130M)을 간단히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사용자들이 본체(110)를 중심으로 둘러앉아 대화를 즐기는 가운데 누구라도 본체(110) 내부에 시원하게 수납된 음료를 즉석에서 자유롭게 꺼내어 마실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such main components to be small and simple in a dainty cube type, so that it is convenient to move and handle, and is configured to easily create an extension table (130M) of sufficient size to place a beverage around the main body (110). do. As a result, while users sit around the main body 110 and enjoy a conversation, anyone can freely take out and drink a beverage stored coolly in the main body 110 on the spot.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ini icebox for bever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상기 본체(110)는 음료, 주로 캔음료를 담을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수납공간(110a)을 가지며 단열재로 이루어진 사각 박스형의 부재이다. 본체(110)의 개방된 상면은 간단히 상기 커버(120)가 덮어준다. The main body 110 is a rectangular box-shaped memb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having a storage space 110a with an open upper surface to contain beverages, mainly canned beverages.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is simply covered by the cover 120.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상단부 양편 외측면에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돌기(111)를 구비하여 지지공(141)을 구비한 손잡이(140)의 양단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돌기(11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커버(120)는 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110)의 지지돌기(111)와 상하로 나란히 위치하는 한 쌍의 고정돌기(121)를 양편 외측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구비한다. Here,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111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upper end, and the support protrusion 111 is centered in a state where both ends of the handle 140 having a support hole 141 are fitted. to be able to rotate. On the other hand, the cover 120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xing protrusions 121 positioned vertically parallel to the support protrusions 111 of the main body 110 in a form protruding from both outer surfaces of the cover 110 in a state mounted on the main body 110. do.

상기 손잡이(140)는 띠 형상의 부재로서 양단부에 지지공(141)을 구비하여 본체(110)의 지지돌기(111)에 지지공(141)이 끼워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써 손잡이(140)를 이용하여 본체(110)를 들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140)는 커버(120)의 고정돌기(121)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고정공(142)을 양단부에 각각 구비한다. 상기 고정공(142)의 경우 지지공(141)에 비해 내측으로 위치한다. 이처럼 손잡이(140)에 커버(120)의 고정돌기(121)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공(142)이 구비되면 상기 커버(120)가 본체(110)의 개방된 상면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붙잡을 수 있게 된다. The handle 140 is a belt-shaped member having support holes 141 at both ends, and the support holes 141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protrusions 111 of the main body 110 to be detachably coupled. As a result, the main body 110 can be lifted and moved using the handle 140 . In addition, the handle 140 has fixing holes 142 inser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xing protrusions 121 of the cover 120 at both end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 fixing hole 142 is located inward compared to the support hole 141. As such, when the handle 140 is provided with a fixing hole 142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xing protrusion 121 of the cover 120, the cover 120 is not separated while covering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You can hold on to it stably.

이같은 구성을 갖는 손잡이(140)는 본체(110)를 지지하는 일반적인 손잡이(140) 역할을 하면서도 커버(120)를 고정하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나아가 본체(110)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편리한 이용이 가능하다. The handle 14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plays a role of fixing the cover 120 while serving as a general handle 140 supporting the main body 110 . Furthermore, convenient use is possible in that it can be freely attached or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10 as needed.

상기 단위모듈(130)은 음료를 위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테이블(130M)을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복수 구비된다. 상기 단위모듈(130)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110)의 벽체 상단부를 따라 열을 지어 끼워져 고정되며 서로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밀착되어 조합된 형태로 평탄한 수평면을 갖는 테이블(130M)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단위모듈(130)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L자형 상판부(131)와, 상기 상판부(131)의 하면에서 서로 이격을 두고 쌍을 이루어 벽체 형상으로 나란히 형성되되 L자형 라인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본체(110)의 벽체 상단부 중 모서리 부위에 대응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한 하부 고정부(132)로 이루어진다. 주목할 점은 단위모듈(130) 모두 본체(110)의 모서리 부위에 끼워져 고정된다는 점이며 이처럼 단위모듈(130) 모두가 본체(110)의 모서리 부위에 끼워진 상태로 조합되면 굉장히 안정적으로 지지가 이루어진 테이블(130M)이 생성된다는 장점이 있다. The unit module 130 serves to create a table 130M to put a beverage on, and is provided in plurality. As shown in FIG. 4, the unit modules 130 are inserted and fixed in rows along the upper end of the wall of the main body 110, and a table 130M having a flat horizontal surface in a form in which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combined. form To this end, the unit module 130 is formed side by side in a wall shape by forming a pair with an L-shaped upper plate part 131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art 131. It is formed along the L-shaped line and consists of a lower fixing part 132 so that it can be fitted to correspond to the corn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wall of the main body 110. A point to note is that all of the unit modules 130 ar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orner of the main body 110, and when all of the unit modules 130 are combined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to the corner of the main body 110, the table is supported very stably. (130M) is created.

나아가 상기 단위모듈(130)의 하부 고정부(132)는 상판부(131)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형성된다. 이로써 테이블(130M) 중앙부에는 본체(110)의 개방된 상면과 대응하는 개방 영역이 형성되어 본체(110)에 수납된 음료를 꺼낼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단위모듈(130)의 하부 고정부(132)가 상판부(131)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형성된 구성에 따르면 본체(110) 둘레를 따라 보다 넓은 크기의 확장 테이블(130M)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체(110)를 중심으로 사용자들이 둘러앉아 대화를 나누는 가운데 누구라도 본체(110)에 수납된 음료를 자유롭게 꺼내어 마실 수 있게 된다. Furthermore, the lower fixing part 132 of the unit module 130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plate part 131 . As a result, an open area corresponding to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able 130M, so that the beverage stored in the main body 110 can be taken out. As such,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wer fixing part 132 of the unit module 130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plate part 131, it is possible to form a wider extension table 130M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main body While users sit around the 110 and have a conversation, anyone can freely take out and drink the beverage stored in the main body 110.

상기 단위모듈(130)의 일단부 하면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끼움돌기가 추가로 형성되고, 단위모듈(130)의 타단부 하면에는 인접한 단위모듈(130)의 끼움돌기에 끼워져 결합 가능한 끼움공을 구비하는 결합체가 구비되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단위모듈(130)을 하나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결합체는 납작한 판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체의 일단부에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그 반대편인 결합체의 타단부는 단위모듈(130)의 타단부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체가 단위모듈(130) 간 결속을 위해 사용되지 않을 때는 단위모듈(130) 하측으로 은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결합체를 구비한 구성에 의해 복수의 단위모듈(130)에 의해 흔들립 없는 견고하고 안정적인 테이블(130M)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A fitting protrusion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one end of the unit module 130, as shown in FIG. An assembly having a is provided so that two unit modules 130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bound into one. At this time, the assembly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a fitting hol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assembly, and the other end of the assembly, which is opposite to the assembly,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unit module 130, so that the assembly is formed between the unit modules 130. When not used for binding, it can be concea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nit module 130. Thus, by the configuration provided with the combination body, it is possible to form a sturdy and stable table 130M without shaking by a plurality of unit modules 130.

한편, 상기 단위모듈(130)의 상판부(131) 상면에는 외측 둘레부를 따라 돌출된 돌기라인이 형성된다. 이로써 소량의 액체가 상판부(131) 상면에서 외측방향으로 흘러내리면서 사용자의 의복을 오염시키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며, 단위모듈(130) 서로의 단부 간에 접촉된 면적이 증가하면서 안정적으로 결속된 상태가 된다. Meanwhile, a protruding line protru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31 of the unit module 130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mall amount of liquid from flowing out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31 and contaminating the user's clothes,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ends of the unit modules 130 increases while stably binding the state do.

이같은 단위모듈(130)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110)의 벽체 상단부에서 분리되면 서로 겹쳐져서 적층된 형태로 상기 본체(110)의 수납공간(110a)에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단위모듈(130)을 두 개씩 상하로 뒤집어 포갠 상태로 적층시키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단위모듈(130)은 본체(110)의 수납공간(110a)에서 최상단, 특히 음료보다는 상측에 수납되어 커버(120)를 열면 바로 테이블(130M)을 생성 가능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unit modules 130 are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wall of the body 110, they can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110a of the body 110 in a stacked form by overlapping each other. At this time, the volume can be minimized by stacking the unit modules 130 in a stacked state by turning them upside down two at a time. The unit module 130 is stored at the top of the storage space 110a of the main body 110, especially above the beverage, so that the table 130M can be created immediately when the cover 120 is opened.

상기 음료 거치대(150)는 본체(110)의 수납공간(110a)에서 음료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음료 거치대(150)는 음료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151a)을 구비한 판형의 지지부(151)와, 상기 지지부(151)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지지부(151)를 본체(110) 수납공간(110a)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주는 복수의 레그부(152)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음료 거치대(150)가 구비되면 본체(110)에 수납할 수 있는 음료의 수는 줄어들 수 있지만 음료를 세운 상태로 거치할 수 있게 되어 본체(110)로부터 커버(120)를 분리하여 상면을 개방하고 단위모듈(130)에 의해 테이블(130M)을 생성한 후 테이블(130M) 주위를 둘러싼 사용자들이 음료를 뒤적이지 않고서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해준다. The beverage holder 150 serves to support beverages in the storage space 110a of the main body 110. To this end, the beverage holder 150 has a plate-shaped support portion 151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51a into which beverages are inserted, and is formed long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51 to form the support portion 151. The body 1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g parts 152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storage space 110a. When such a beverage holder 150 is provided, the number of beverages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10 may be reduced, but the beverage can be placed in an upright state so that the cover 12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to open the upper surface. After the table 130M is created by the unit module 130, users surrounding the table 130M can easily take out the beverage without rummaging through it.

상기 분리판(160)은 상기 음료 거치대(150)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거치된 음료 위에 놓이어서 본체(110)의 수납공간(110a)을 가로지른 상태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리판(160) 위에는 단위모듈(130)이 놓인다. The separation plate 160 is placed on the beverage placed in an upright state by the beverage holder 150 and serves to cross the storage space 110a of the main body 110. A unit module 130 is placed on the separator 160 .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s of the following claims.

110: (아이드박스의) 본체 120: 커버
130: 단위모듈 140: 손잡이
150: 음료 거치대 160: 분리판
110: main body (of the eyebox) 120: cover
130: unit module 140: handle
150: drink holder 160: separator plate

Claims (11)

상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가지며 단열재로 이루어진 사각 박스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주는 커버; 및 상기 본체의 벽체 상단부를 따라 열을 지어 끼워져 고정되며 서로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밀착되어 조합된 형태로 평탄한 수평면을 갖는 테이블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의 벽체 상단부에서 분리되면 서로 겹쳐져서 적층된 형태로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단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모듈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L자형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면에서 서로 이격을 두고 쌍을 이루어 벽체 형상으로 나란히 형성되되 L자형 라인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벽체 상단부 중 모서리 부위에 대응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한 하부 고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모듈의 일단부 하면에는 끼움돌기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단위모듈의 타단부 하면에는 인접한 단위모듈의 끼움돌기에 끼워져 결합 가능한 끼움공을 구비하는 결합체가 구비되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단위모듈을 하나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결합체는 납작한 판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체의 일단부에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그 반대편인 상기 결합체의 타단부는 상기 단위모듈의 타단부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결합체가 단위모듈 간 결속을 위해 사용되지 않을 때는 단위모듈 하측으로 은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
A rectangular box-shaped body having a storage spac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 cover covering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t is inserted and fixed in rows along the upper end of the wall of the main body,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table having a flat horizontal surface in a combined form, and when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wall of the main body, the stacked It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modules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main body in the form of
The unit module is formed side by side in a wall shape with an L-shaped upper plate part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art and formed side by side in a wall shape along an L-shaped line to form the main body. It consists of a lower fixing part that can be fitted to correspond to the corn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wall,
A fitting protrusion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one end of the unit module, and an assembly having a fitting hole capable of being coup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tting protrusion of an adjacent unit module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unit module, so that two unit modules adjacent to each other are provided. However, the assembly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a fitting hol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assembly, and the other end of the assembly, opposite to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unit module, so that the assembly A mini ice box for beverage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ncealed under the unit module when not in use for binding between unit modul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모듈의 하부 고정부는 상기 상판부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하부 고정부가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단위모듈이 조합된 테이블이 형성되면, 상기 테이블 중앙부에는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과 대응하는 개방 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수납된 음료를 꺼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fixing part of the unit module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op plate, and when the lower fix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to form a table in which the unit modules are combined, the central part of the table corresponds to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mini ice box for beverages, characterized in that an open area is formed to take out the beverage stored in the main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모듈의 상판부 상면에는 외측 둘레부를 따라 돌출된 돌기라인이 형성되어 액체가 상판부 상면에서 외측방향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
According to claim 1,
A mini ice box for beverages,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line protru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unit module to block liquid from flowing out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단부 양편 외측면에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지지돌기에 대응하여 끼워져 결합되는 지지공을 양단부에 구비한 띠 형상의 손잡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의 양단부는 상기 지지돌기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band-shaped handle provided with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upper end and having support holes fitted and coupled at both ends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rotrusions of the main body, but both ends of the handle is a mini ice box for beverages,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e around the support protrus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본체의 지지돌기에 지지공이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한 착탈 손잡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
According to claim 7,
The handle is a mini ice box for beverag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s a detachable handle in which a support hole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rotrusion of the main body and is detachable in a coupled sta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지지돌기와 상하로 나란히 위치하는 한 쌍의 고정돌기를 양편 외측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구비하며,
상기 착탈 손잡이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고정공을 양단부에 각각 구비하여 상기 아이스박스의 이동 시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탈하지 않게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
According to claim 8,
The cover includes a pair of fixing protrusions positioned vertically parallel to the support protrusions of the main body in a form protruding from both outer surfaces of the cover when mounted on the main body,
The detachable handle is provided with fix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trusions at both ends to prevent the cov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dy when the ice box is moved. mini ice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에서 복수의 음료를 세운 상태에서 거치할 수 있도록 한 음료 거치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료 거치대는 음료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을 구비한 판형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를 본체 수납공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주는 복수의 레그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everage holder to hold a plurality of drinks in an upright state in the storage space of the main body,
The beverage hold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late-shaped support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into which beverages are inserted, and a plurality of leg portions formed long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to separate the support portion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storage space. Mini icebox for drink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거치대에 의해 세워져 거치된 음료 위에 놓이어서 본체의 수납공간을 가로지르면서 상측과 하측으로 분리해주는 분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미니 아이스박스.

According to claim 10,
The mini ice box for beverag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parating plate that is placed on the beverages standing on the beverage holder and separates the upper and lower sides while crossing the storage space of the main body.

KR1020210041126A 2021-03-30 2021-03-30 Mini icebox for beverages that can create a user-centered balance type table KR1025125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126A KR102512549B1 (en) 2021-03-30 2021-03-30 Mini icebox for beverages that can create a user-centered balance type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126A KR102512549B1 (en) 2021-03-30 2021-03-30 Mini icebox for beverages that can create a user-centered balance type 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448A KR20220135448A (en) 2022-10-07
KR102512549B1 true KR102512549B1 (en) 2023-03-24

Family

ID=8359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126A KR102512549B1 (en) 2021-03-30 2021-03-30 Mini icebox for beverages that can create a user-centered balance type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54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5454B2 (en) * 1995-11-06 2001-04-09 株式会社三共 Gaming machine
JP2004510946A (en) * 2000-10-10 2004-04-08 ペリンズ,ジヨン,グランビル Storage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5454U (en) * 2009-08-19 2009-11-19 長谷川 満 Folding table
KR101487184B1 (en) * 2013-07-04 2015-01-28 이상규 Portable multi-table
KR20180000001U (en) 2016-06-21 2018-01-02 우주보온공업주식회사 Icebox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5454B2 (en) * 1995-11-06 2001-04-09 株式会社三共 Gaming machine
JP2004510946A (en) * 2000-10-10 2004-04-08 ペリンズ,ジヨン,グランビル Storage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448A (en)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0162B1 (en) Portable beverage service device
CA2503473C (en) Container with cover and closure reinforcement
US7766179B2 (en) Portable container and table assembly
US20060196218A1 (en) Insulated container and cushion assembly
US20110220531A1 (en) Stackable portable cooler system
AU2004216674A1 (en) Container with cover
US20110006654A1 (en) Collapsible portable bar
KR102512549B1 (en) Mini icebox for beverages that can create a user-centered balance type table
KR20110005972A (en) Ice box
US20070252328A1 (en) Portable amusement apparatus
CN204483913U (en) A kind of portable outdoor self-service barbecue table
US20090014341A1 (en) Collapsible multi-beverage cup/bottle holder
US20200370820A1 (en) Insulated cooler system
JP3237929U (en) Assembled food and beverage container
AU2009100943A4 (en) Modular Storage Container
US20060180053A1 (en) Decorative TV tray with beverage holder
AU2012216548B2 (en) Container with cover
US8256834B2 (en) Portable chair
KR101409041B1 (en) Food container able to hold
KR102238587B1 (en) Foldable multi-purpose holder
CN218606148U (en) Water kettle with support frame
KR102361591B1 (en) Portable pocket for maintaining temperature of case
CN214085813U (en) Collapsible picnic table containing box
JPS581499Y2 (en) Heat/cold bag
KR20190048559A (en) Icebox having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