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144B1 - Electrostatic precipitator - Google Patents

Electrostatic precipit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144B1
KR102512144B1 KR1020210025488A KR20210025488A KR102512144B1 KR 102512144 B1 KR102512144 B1 KR 102512144B1 KR 1020210025488 A KR1020210025488 A KR 1020210025488A KR 20210025488 A KR20210025488 A KR 20210025488A KR 102512144 B1 KR102512144 B1 KR 102512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ttern
electrode
voltage
electrod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4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1944A (en
Inventor
한방우
이건희
김상복
박인용
홍기정
김학준
김용진
이예완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25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144B1/en
Publication of KR20220121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9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1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51Catch- space electrodes, e.g. slotted-box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60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 B03C3/64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synthetic res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는 이격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인가되는 전위차에 의한 전기장의 힘으로 하전된 입자를 포집시키는 전기 집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중 먼지가 집진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집진 플레이트는 판상으로 전도성의 판 전극층, 유전체 물질로 상기 판 전극층의 양측에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유전층, 양측의 상기 제 1 유전층 상에 형성되며 전도성의 제 1 전극 패턴과 제 2 전극 패턴이 번갈아가며 사이에 이격 배치되는 패턴 전극층 및 유전체 물질로 양측의 상기 패턴 전극층 상에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유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도록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먼지를 집진시키는 직류 전압 발생부;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전극 패턴 사이에 위상차가 발생하도록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집진된 먼지를 상기 집진 플레이트로부터 이탈시켜 세정하는 교류 전압 발생부; 및 집진 모드 또는 세정 모드에 따라서 상기 직류 전압 발생부와 상기 교류 전압 발생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precipitator, and the electr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charged particles by the force of an electric field due to a potential difference applied between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electric precipitator. , At least on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for collecting dust is a plate-shaped conductive plate electrode layer, a first dielectric layer formed of a dielectric material in the form of a film on both sides of the plate electrode layer, A pattern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first dielectric layer and having a conductiv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a second electrode pattern alternate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econd dielectric layer formed in the form of a film on both sides of the pattern electrode layer as a dielectric material, , DC voltage generator for collecting dust by applying a DC voltage to form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pplying an AC voltage to generate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an alternating current voltage generating unit that separates and cleans the collected dust by applying it to the dust collecting plate; and a control unit selectively operating the DC voltage generator and the AC voltage generator according to a dust collection mode or a cleaning mode.

Description

전기 집진 장치{ELECTROSTATIC PRECIPITATOR}Electrostatic precipitat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본 발명은 전기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진 플레이트에 집진된 먼지를 자동으로 세정시킬 수 있는 전기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dust coll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dust collector capable of automatically cleaning dust collected on a dust collection plate.

전기 집진 장치는 먼지와 같은 공기 중의 입자를 이온으로 하전시킨 후, 대전된 두 플레이트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여 대전에 의한 전위차로 형성되는 전기장의 힘으로 하전된 이온과 반대 극성의 집진 플레이트에 집진시켜 공기를 정화시킨다.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charges particles in the air such as dust into ions, passes them between two charged plates, collects them on a dust collection plate of opposite polarity to the charged ions with the force of an electric field formed by the potential difference caused by the charge, and collects the dust in the air. purify

이때, 집진 플레이트에 집진물이 쌓이면 대전에 의한 집진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집진 플레이트에 집진된 집진물을 제거시킴으로써 집진 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due to charging may decrease when the dust collected on the dust collection plate is removed, th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high by removing the dust collected on the dust collection plate.

집진 플레이트에 집진된 집진물을 제거시키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브러쉬 방식, 진공 흡입 방식, 세정액을 이용한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Conventional methods for removing the dust collected on the dust collection plate include a brush method, a vacuum suction method, and a method using a cleaning solution.

브러쉬 방식은 청소용 브러쉬를 집진물과 물리적으로 접촉시켜 집진물을 분리시키는 방법이다. 브러쉬 방식은 브러쉬를 자동으로 회전 및 이동시키는 물리적 구성이 필요하므로 공간적인 제약이 따르며, 세밀한 세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The brush method is a method of physically contacting a cleaning brush with the collected dust to separate the collected dust. The brush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requires a physical configuration that automatically rotates and moves the brush, so it is subject to spatial limitations and difficult to perform detailed cleaning.

또한, 진공 흡입 방식은 진공 청소기와 같이 진공 흡입에 의해 집진물을 분리시키는 방법인데, 주로 여과 성능이 낮은 필터에 사용이 되고 구조가 복잡하며 하자 요인이 많아서 운영에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vacuum suction method is a method of separating dust collected by vacuum suction, such as a vacuum cleaner, and has disadvantages in that it is mainly used for filters with low filtration performance,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has many defect factors, making it difficult to operate.

또한, 세정액을 이용한 방식은 물과 같은 액체를 이용하므로 겨울철에 동파의 위험이 있고 미생물이 쉽게 증식할 수 있어서 대기 중에 유해 물질을 퍼뜨리는 요인인 될 수 있으며 전기 집진 장치의 절연 파괴를 불러 일으킬 수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ethod using a cleaning solution uses a liquid such as water, there is a risk of freezing in winter, and microorganisms can easily proliferate, which can be a factor in spreading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and can cause insulation breakdown of the electric precipitator.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81690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8169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진 플레이트에 패턴 전극층을 형성하고, 이웃하는 패턴 사이에 위상차를 가지는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standing wave에 의한 힘으로 집진물을 집진 플레이트로부터 이탈시켜 세정시킬 수 있는 전기 집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o form a pattern electrode layer on a dust collecting plate, and to apply an AC voltage having a phase difference between adjacent patterns to collect dust with the power of a standing wa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apabl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plate and clean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격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인가되는 전위차에 의한 전기장의 힘으로 하전된 입자를 포집시키는 전기 집진 장치에 있어서,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중 먼지가 집진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집진 플레이트는 전도성의 제 1 전극 패턴과 제 2 전극 패턴이 교번적으로 사이에 이격 배치되는 패턴 전극층; 및 유전체 물질로 상기 패턴 전극층의 양측에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 유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도록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먼지를 집진시키는 직류 전압 발생부; 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전극 패턴 사이에 위상차가 발생하도록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집진된 먼지를 상기 집진 플레이트로부터 이탈시켜 세정하는 교류 전압 발생부; 및 집진 모드 또는 세정 모드에 따라서 상기 직류 전압 발생부와 상기 교류 전압 발생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lectric precipitator for collecting charged particles by the force of an electric field due to a potential difference applied between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mong the plates, at least on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s includes a pattern electrode layer in which a conductiv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a second electrode pattern are alternate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dielectric layer formed of a dielectric material in the form of a film on both sides of the pattern electrode layer, and applying a DC voltage to form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o collect dust; an AC voltage generator for cleaning the collected dust by separating it from the dust collection plate by applying an AC voltage to generate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rate the DC voltage generator and the AC voltage generator according to a dust collecting mode or a cleaning mode.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격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인가되는 전위차에 의한 전기장의 힘으로 하전된 입자를 포집시키는 전기 집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중 먼지가 집진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집진 플레이트는 판상으로 전도성의 판 전극층, 유전체 물질로 상기 판 전극층의 양측에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유전층, 양측의 상기 제 1 유전층 상에 형성되며 전도성의 제 1 전극 패턴과 제 2 전극 패턴이 번갈아가며 사이에 이격 배치되는 패턴 전극층 및 유전체 물질로 양측의 상기 패턴 전극층 상에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유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도록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먼지를 집진시키는 직류 전압 발생부; 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전극 패턴 사이에 위상차가 발생하도록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집진된 먼지를 상기 집진 플레이트로부터 이탈시켜 세정하는 교류 전압 발생부; 및 집진 모드 또는 세정 모드에 따라서 상기 직류 전압 발생부와 상기 교류 전압 발생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lectric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charged particles by the force of an electric field due to a potential difference applied between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mong the second plates, at least on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s includes a conductive plate electrode layer in a plate shape, a first dielectric layer formed of a dielectric material in the form of a film on both sides of the plate electrode layer, and formed on the first dielectric layer on both sides, A patterned electrode layer in which conductive first electrode patterns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are alternately spaced apart and a second dielectric layer formed of a dielectric material in the form of a film on both sides of the patterned electrode layer, wherein the first plate and the a DC voltage generator for collecting dust by applying a DC voltage to form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plates; an AC voltage generator for cleaning the collected dust by separating it from the dust collection plate by applying an AC voltage to generate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rate the DC voltage generator and the AC voltage generator according to a dust collecting mode or a cleaning mode.

여기서, 상기 패턴 전극층은 전도성 카본 물질, 금속 박막, ITO(Indium Tin Oxide), 나노 와이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patterned electrode layer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conductive carbon material, a metal thin film, indium tin oxide (ITO), and nanowires.

여기서, 상기 유전층은 PS(Polystylen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dielectric layer may be formed of any one of PS (Polystylene), PP (Polypropylene), PE (Polyethylene),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여기서, 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전극 패턴은 각각 선형 전극들이 이격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전극 패턴의 선형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패턴의 선형 전극이 번갈아가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are each formed in a form in which linear electrodes are spaced apart, and the linear electrodes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the linear electrodes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may be alternately spaced apart. there is.

여기서, 상기 패턴 전극층은 제 1 전극 패턴의 선형 전극들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 1 패턴 연결부 및 제 2 전극 패턴의 선형 전극들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 2 패턴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attern electrode layer may include a first pattern connection part connecting one end of the linear electrodes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a second pattern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other ends of the linear electrodes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여기서, 상기 제 1 패턴 연결부 및 상기 제 2 패턴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전극 패턴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first pattern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pattern connection part.

여기서, 상기 판 전극층은 접지되거나 직류 전압이 인가되어 먼지 집진을 위한 전위차를 형성할 수 있다. Here, the plate electrode layer may be grounded or DC voltage may be applied to form a potential difference for dust collection.

여기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되거나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may be disposed vertically or inclined to the groun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 집진 장치에 따르면 집진 플레이트에 집진된 집진물을 자동으로 세정시킬 수 있어서 전기 집진 장치의 성능을 높게 유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electr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ic precipitator can be maintained at a high level because the dust collected on the dust collecting plate can be automatically cleaned.

또한, 세정을 위한 별도의 기구물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전기 집진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다는 장점도 있다. 따라서, 전기 집진 장치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separate appliance for cleaning can be minimiz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simple. Therefore,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can be manufactured compactly.

또한, 집진을 위한 판 전극층과 세정을 위한 패턴 전극층을 별도의 층으로 제작하여 집진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패턴 전극층을 판 전극층의 양측에 형성하여 세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there are advantages in that the plate electrode layer for dust collection and the pattern electrode layer for cleaning can be made as separate layers to increase the dust collection area, and the pattern electrode layer can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electrode layer to increase the cleaning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집진 플레이트의 일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집진 플레이트의 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집진 모드를 위한 전기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서 세정 모드를 위한 전기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세정 모드에서 인가되는 교류 전압에 의한 standing wave가 형성되어 집진된 먼지가 집진 플레이트로부터 이탈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집진 플레이트의 다른 형태의 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를 이용한 세정 효율의 실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ctr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of FIG. 1 .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layer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on plate of FIG. 2;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a dust collection mode in FIG. 1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a cleaning mode in FIG. 1 .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anding wave is formed by an AC voltage applied in a cleaning mode so that collected dust separates from a dust collection plate.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type of layer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ctr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ents of an experiment on cleaning efficiency using an electr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specific details of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전기 집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for explaining an electric precipitat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집진 플레이트의 일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집진 플레이트의 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ctr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of FIG. 1, and FIG. 3 is a layer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of FIG. 2 It is a drawing show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는 제 1 플레이트(110), 제 2 플레이트(120), 직류 전압 발생부(DC), 교류 전압 발생부(AC),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n electr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late 110, a second plate 120, a DC voltage generator (DC), an AC voltage generator (AC), and a controller (not shown). can be configured.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는 평판 형태의 플레이트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격 공간을 통해 하전된 입자가 유입되면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의 힘으로 하전된 입자가 이동하여 집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are plate-shaped plates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charged particles are introduced through the separation space, the charged particles may move and be collected by the force of an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

예를 들어, 제 1 플레이트(110)에는 양(+)의 고전압이 인가되며, 제 2 플레이트(120)는 접지되거나 반대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어 대전되면,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 사이의 전기장의 힘으로 양(+) 이온으로 하전된 입자는 제 2 플레이트(120)를 향하여 이동하여 제 2 플레이트(120)에 집진될 수 있고 음(-) 이온으로 하전된 입자는 제 1 플레이트(110)를 향하여 이동하여 제 1 플레이트(110)에 집진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positive (+)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is grounded or charged by applying a voltage of opposite polarity,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With the force of the electric field between (120), positive (+) ion-charged particles move toward the second plate 120 and can be collected on the second plate 120, and negative (-) ion-charged particles Dust may be collected on the first plate 110 by moving toward the first plate 110 .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두 플레이트(110, 120) 사이에 하전된 입자가 유입되기 전의 전방부에는 공기 중 입자를 하전시키는 하전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하전부는 이온을 발생시켜 공기 중에 분산시키고, 분산된 이온은 공기 중의 입자를 하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전부의 구성은 공지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전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Although not shown,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particles in the air may be formed in the front portion before the charged particles are introduced between the two plates 110 and 120 . The charging unit generates ions and disperses them in the air, and the dispersed ions can charge particles in the air.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e same as that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unit will be omitted.

이때,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는 복수 개로 번갈아가며 이격 배치시킴으로써 집진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may be alternate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expand the dust collecting area.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 중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만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 플레이트가 될 수 있고,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가 모두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 플레이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 사이에 양(+)으로 하전된 입자와 음(-)으로 하전된 입자가 모두 유입된다면 양(+)으로 하전된 입자와 음(-)으로 하전된 입자는 각기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플레이트(110) 및 제 2 플레이트(120)에 집진될 수 있다. Only one of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may be a dust collection plate for collecting dust, and both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collect dust. can be a plate. For example, if both positive (+) charged particles and negative (-) charged particles are introduced between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the positive (+) charged particles and negative (+) charged particles Particles charged with (-) may move in different directions and be collected on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

본 발명에 따른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는 패턴 전극층(111) 및 유전층(118)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패턴 전극층(111)의 양측에는 유전층(118)이 얇은 필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측의 유전층(118)에 패턴 전극층(111)을 코팅시키고, 패턴 전극층(111) 상에 다시 유전층(118)을 코팅시키는 방법으로 제 1 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patterned electrode layer 111 and a dielectric layer 118 . As shown in FIG. 3 , a dielectric layer 118 may be dispos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 both sides of the patterned electrode layer 111 . For example, the first plate may be formed by coating the patterned electrode layer 111 on the dielectric layer 118 on one side and coating the dielectric layer 118 on the patterned electrode layer 111 again.

패턴 전극층(111)은 전도성 물질로서 전도성 카본 물질, 금속 박막, ITO(Indium Tin Oxide), 나노 와이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attern electrode layer 111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carbon material, a metal thin film, indium tin oxide (ITO), a nano wire, or the like as a conductive materia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또한, 유전층(118)은 유전물질로 PS(Polystylen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dielectric layer 118 may be formed of PS (Polystylene), PP (Polypropylene), PE (Polyethylene), 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etc. as a dielectric materia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와 같이 제작되는 플레이트는 얇은 필름 형태의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어, 기존에 금속 플레이트에 비하여 가볍고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plate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a thin film type electrode,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light and flexible compared to conventional metal plates.

패턴 전극층(111)은 제 1 전극 패턴(112)과 제 2 전극 패턴(114)이 교번적으로 사이에 이격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1 전극 패턴(112)은 선형 전극들이 이격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제 2 전극 패턴(114)도 선형 전극들이 이격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 1 전극 패턴(112)의 선형 전극과 제 2 전극 패턴(114)의 선형 전극이 서로 번갈아가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The patterned electrode layer 111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112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114 are alternate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2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linear electrodes are spaced a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14 is also formed in a form in which linear electrodes are spaced apart. At this time, the linear electrodes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2 and the linear electrodes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14 may be alternate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제 1 전극 패턴(112)의 선형 전극들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 1 패턴 연결부(113) 및 제 2 전극 패턴(114)의 선형 전극들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 2 패턴 연결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패턴 연결부(113) 및 제 2 패턴 연결부(115)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전극 패턴(112) 및 제 2 전극 패턴(114)은, 직류 전압 발생부(DC) 또는 교류 전압 발생부(AC)로부터 전압을 인가받거나 접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pattern connection part 113 connecting one end of the linear electrodes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2 and the second pattern connection part 115 connecting the other ends of the linear electrodes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14 are formed. can Therefore,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2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1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first pattern connection part 113 and the second pattern connection part 115, and the direct current voltage generator (DC) or AC voltage A voltage may be applied from the generator AC or may be grounded.

본 발명은 제어부의 동작에 따라서 집진을 위한 집진 모드와 집진된 먼지를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는 세정 모드로 각각 동작할 수 있는데,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각 동작을 위한 전기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in a dust collection mode for dust collection and a cleaning mode for separating and removing collected dust from a pl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Let's explain.

도 4는 도 1에서 집진 모드를 위한 전기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서 세정 모드를 위한 전기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세정 모드에서 인가되는 교류 전압에 의한 standing wave가 형성되어 집진된 먼지가 집진 플레이트로부터 이탈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a dust collecting mode in FIG. 1,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a cleaning mode in FIG. 1, and FIG. 6 is a diagram showing an AC voltage applied in the cleaning mode. It is a diagram expl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standing wave is formed and the collected dust separates from the dust collecting plate.

먼저, 도 4를 참조로 집진 모드를 위한 전기 연결 구조를 설명하면, 제 1 플레이트(110)의 패턴 전극층(111)은 접지 연결되고, 제 2 플레이트(120)의 패턴 전극층(111)은 직류 전압 발생부(DC)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예로 드나 음의 고전압이 인가될 수도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4, referring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the dust collecting mode, the pattern electrode layer 111 of the first plate 110 is grounded, and the pattern electrode layer 111 of the second plate 120 is connected to a DC voltage. It may be connected to the generator (DC). In this embodiment, a positive high voltage is applied as an example, but a negative high voltage may be applied.

이때, 하전부에서 양(+)의 이온을 생성하여 공기 중 입자를 하전시키면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 사이의 전기장의 방향에 따라 하전된 입자는 제 1 플레이트(110)를 향하여 이동하여 제 1 플레이트(110)에 집진될 수 있다. 유전층(118)은 비금속 물질임에도 불구하고 유전체 성질을 가지므로 강력한 전기장 형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전된 입자를 고효율로 제 1 플레이트(110)에 집진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particles in the air are charged by generating positive (+) ions in the charging unit, the charged particles move toward the first plate 110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between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It may move towards and be collected on the first plate 110 . Although the dielectric layer 118 is a non-metallic material, since it has a dielectric property, it is possible to form a strong electric field. Accordingly, the charged particles can be collected on the first plate 110 with high efficiency.

이때, 제 1 플레이트(110)의 제 1 전극 패턴(112) 및 제 2 전극 패턴(114)은 모두 접지되고, 제 2 플레이트(120)의 제 1 전극 패턴(112) 및 제 2 전극 패턴(114) 모두 직류 전압 발생부(DC)에 연결되어 고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의 면적을 넓혀 집진 면적을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both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2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14 of the first plate 110 are grounded, and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2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14 of the second plate 120 ) are all connected to the direct current voltage generating unit (DC) so that a high voltage is applied so that the area of the electrode to which the voltage is applied is widened to widen the dust collecting area.

다음, 도 5를 참조로 세정 모드를 위한 전기 연결 구조를 설명하면, 제 1 전극 패턴(112)과 제 2 전극 패턴(114)은 각각 교류 전압 발생부(A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교류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이때, 도 5의 (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1 전극 패턴(112)과 제 2 전극 패턴(114)에는 위상차가 발생하도록 교류 전압을 인가시킨다. 따라서, 제 1 전극 패턴(112)을 구성하는 선형 전극과 인접하는 제 2 전극 패턴(114)을 구성하는 선형 전극 사이에는 상기 위상차에 의해 일 방향으로 향하는 전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5,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the cleaning mode will be described.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2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1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lternating current voltage generator AC, respectively, to generate an alternating voltage. can be accredited. At this time, as shown in (b) of FIG. 5, an AC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2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14 so that a phase difference occurs. Therefore, an electric field directed in one direction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linear electrode constituting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2 and the linear electrode constituting the adjacent second electrode pattern 114 due to the phase difference.

따라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1 전극 패턴(112)과 제 2 전극 패턴(114)에 위상차를 가지도록 교류 전압이 인가되면 standing wave에 의한 힘으로 특정 극성으로 하전되어 플레이트에 집진된 입자는 집진 플레이트로부터 떨어져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플레이트(110) 및 제 2 플레이트(120)가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되거나 경사지도록 배치되면 이탈된 입자는 중력에 의한 힘으로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아래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집진 플레이트에 다시 집진될 수도 있는데, 다시 집진 플레이트에 집진된 입자는 다시 이탈을 반복하며 아래로 떨어질 수가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6, when an alternating voltage is applied to have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2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14, it is charged with a specific polarity by the force of the standing wave and collected on the plate. Particles fall off the collection plate and become dislodged. Therefore, when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are disposed vertically or inclined on the ground, the separated particles fall downward with the force of gravity. In the process of falling down, it may be collected on the dust collection plate again, and the particles collected on the dust collection plate again may fall down while repeating separation again.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극 패턴을 세 개의 전극 패턴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이격 배치시키고, 세 개의 전극 패턴에 대하여 위상차를 달리하여 교류 전압을 인가시키면 standing wave에 의한 힘뿐만 아니라 travelling wave에 의한 힘도 함께 작용하여 집진 플레이트에 집진된 먼지를 순차적으로 옆으로 이동시키며 세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when the electrode patterns are sequent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ree electrode patterns and an alternating voltage is applied with a different phase difference to the three electrode patterns, not only the force by the standing wave but also the force by the traveling wave acts together. Thus, cleaning may be performed while sequentially moving the dust collected on the dust collection plate to the side.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에 모두 제 1 전극 패턴(112)과 제 2 전극 패턴(114)이 형성되어 있으나, 하전부에서 생성되는 이온의 극성과 제 1 플레이트(110) 및 제 2 플레이트(120)에 인가되는 극성에 의해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에만 집진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집진 플레이트가 아닌 나머지 플레이트는 세정이 불필요하므로 패턴 전극층(111)이 반드시 형성될 필요가 없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2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14 are formed on both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but the polarity of ions generated in the charging unit and the first The polarity applied to the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may be configured to collect dust only on one plate. In this case, the patterned electrode layer 111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formed because the remaining plates other than the dust collection plate do not require cleaning.

예를 들어, 제 1 플레이트(110)에만 집진이 이루어진다면 제 2 플레이트(120)는 집진 모드의 동작을 위해 직류 전압인 인가되거나 접지되어 제 1 플레이트(110)와의 전위차에 의한 전기장만 형성하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집진 플레이트인 제 1 플레이트(110)는 세정이 필요하므로 제 1 전극 패턴(112)과 제 2 전극 패턴(114)으로 구성되는 패턴 전극층(111)이 형성되고, 세정이 불필요한 제 2 플레이트(120)는 패턴 전극층이 형성되지 않고 판상의 전극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세정 모드를 위하여 제 1 플레이트(110)에만 제 1 전극 패턴(112)과 제 2 전극 패턴(114)에 위상차를 가지도록 교류 전압 발생부(AC)를 통해 교류 전압이 인가된다. For example, if dust is collected only on the first plate 110, the second plate 120 only needs to be applied as DC voltage or grounded for operation in the dust collecting mode to form an electric field due to a potential difference with the first plate 110. Because. Therefore, as shown in FIG. 8, since the first plate 110, which is a dust collecting plate, needs cleaning, a pattern electrode layer 111 composed of a first electrode pattern 112 and a second electrode pattern 114 is formed. , The second plate 120, which does not require cleaning, may be formed of a plate-shaped electrode layer without forming a patterned electrode layer. At this time, AC voltage is applied through the AC voltage generator AC so that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12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14 have a phase difference only to the first plate 110 for the cleaning mode.

한편, 도 4 및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을 위해 집진 모드를 위한 전기 연결 구조와 세정 모드를 위한 전기 연결 구조를 각각 도시하였는데, 두 연결 구조는 동시에 구현되어야 하며,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때 다른 모드의 동작이 되지 않도록 배선 사이에 스위치 등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in FIGS. 4 and 5,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a dust collection mode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a cleaning mode are shown, respectively. A switch or the like may be formed between wires to prevent operation in another mode when operating as .

도 7은 집진 플레이트의 다른 형태의 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집진 플레이트는 패턴 전극층(111) 및 유전층(118)으로 구성되나, 본 실시예에서 집진 플레이트는 판 전극층(215), 제 1 유전층(216), 패턴 전극층(211), 및 제 2 유전층(218)으로 형성될 수 있다.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type of layer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The dust collecting plate of FIG. 3 is composed of the patterned electrode layer 111 and the dielectric layer 118, but in this embodiment the dust collecting plate includes the plate electrode layer 215, the first dielectric layer 216, the patterned electrode layer 211, and the second dielectric layer. (218).

판 전극층(215)은 전도성으로 판상의 형태를 가진다. The plate electrode layer 215 is conductive and has a plate shape.

판 전극층(215)의 양측에는 유전체 물질로 필름 형태의 제 1 유전층(216)이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dielectric layer 216 in the form of a film made of a dielectric material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electrode layer 215 .

양측의 제 1 유전층(216) 상에는 패턴 전극층(211)이 형성된다. 패턴 전극층(211)은 도 2 및 도 3를 참조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형태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유전층(216)에 의해 판 전극층(215)과 패턴 전극층(211)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A patterned electrode layer 211 is formed on the first dielectric layer 216 on both sides. The patterned electrode layer 211 may be formed in the same patter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At this time, the plate electrode layer 215 and the pattern electrode layer 211 may be electrically separated by the first dielectric layer 216 .

양측의 패턴 전극층(211) 상에는 유전체 물질로 필름 형태의 제 2 유전층(218)이 형성될 수 있다. A second dielectric layer 218 in the form of a film made of a dielectric material may be formed on the patterned electrode layers 211 on both sides.

제 1 유전층(216)과 제 2 유전층(218)에 사용되는 유전체 물질은 전술한 바와 같이 PS(Polystylen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electric material used for the first dielectric layer 216 and the second dielectric layer 218 is PS (Polystylene), PP (Polypropylene), PE (Polyethylene),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etc. can be formed as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집진 모드를 위한 직류 전압 발생부(DC)와의 전기적 연결 또는 접지 연결은 판 전극층(215)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세정 모드를 위한 교류 전압 발생부(AC)와의 전기적 연결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패턴 전극층(211)의 제 1 전극 패턴과 제 2 전극 패턴을 통해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electrical connection or ground connection with the direct current voltage generator (DC) for the dust collection mode is made through the plate electrode layer 215. In additio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alternating current voltage generator (AC) for the cleaning mode is made through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of the pattern electrode layer 211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따라서, 집진 모드에서는 이웃하는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의 판 전극층(215)을 통해 직류 고전압이 인가되도록 하고 접지되도록 하여 하전된 입자를 집진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판 형태의 판 전극층(215)이 패턴 전극층(111)과 비교하여 단면적이 더 크므로 집진 면적을 더 넓혀 집진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Therefore, in the dust collection mode, DC high voltage is applied through the plate electrode layers 215 of the adjacent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and grounded to collect charged particles.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late electrode layer 215 in the form of a plate is larger than that of the patterned electrode layer 111,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by widening the dust collection area.

또한, 양측에 패턴 전극층(211)이 형성되므로 세정 효율 또한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atterned electrode layers 211 are formed on both sides, cleaning efficiency can also be increased.

도 9에서는 패턴 전극층(111)의 선형 패턴의 선폭 및 선형 패턴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며 세정 효율을 실험한 결과를 보여준다. 9 shows the result of testing the cleaning efficiency while adjusting the line width of the linear pattern of the patterned electrode layer 111 and the gap between the linear patterns.

도 9의 (a)에서와 같이 6개의 case로 패턴 전극층(111)의 형태를 달리하여 세정 효율을 실험하였다. As shown in (a) of FIG. 9, the cleaning efficiency was tested by varying the shape of the patterned electrode layer 111 in six cases.

Case 1Case 1 Case 2Case 2 Case 3Case 3 Case 4Case 4 Case 5Case 5 Case 6Case 6 전극 선폭(w, mm)Electrode line width (w, mm) 1One 1.51.5 22 0.50.5 1One 22 전극 간격(g, mm)Electrode spacing (g, mm) 1.51.5 1.51.5 1.51.5 1.51.5 22 22 w/gw/g 0.6670.667 1.0001.000 1.3331.333 0.3330.333 0.5000.500 1.0001.000

인가되는 전압은 1kV/mm, 파형은 사각파, 위상차는 180도, 주파수는 1Hz이며, 플레이트는 30도 경사지게 배치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입자는 일반 공사장 모래이다. The applied voltage is 1 kV/mm, the waveform is a square wave, the phase difference is 180 degrees, the frequency is 1 Hz, the plate is inclined at 30 degrees, and the particles used in the experiment are general construction site sand.

도 9의 (b)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와 같이 패턴 전극층(111)을 형성하고 교류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세정 효율이 90% 정도로, 세정 효율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9(b), when the patterned electrode layer 111 is formed and an AC voltage is appli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efficiency is about 90%, confirming that the cleaning efficiency is high.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s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extents that can be modified.

110: 제 1 플레이트
111: 패턴 전극층
112: 제 1 전극 패턴
113: 제 1 패턴 연결부
114: 제 2 전극 패턴
115: 제 2 패턴 연결부
118: 유전층
120: 제 2 플레이트
211: 패턴 전극층
215: 판 전극층
216: 제 1 유전층
218: 제 2 유전층
110: first plate
111: pattern electrode layer
112: first electrode pattern
113: first pattern connection part
114: second electrode pattern
115: second pattern connection part
118: dielectric layer
120: second plate
211: pattern electrode layer
215: plate electrode layer
216 first dielectric layer
218 second dielectric layer

Claims (9)

이격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인가되는 전위차에 의한 전기장의 힘으로 하전된 입자를 포집시키는 전기 집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중 하전된 입자가 집진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집진 플레이트는 전도성의 제 1 전극 패턴과 제 2 전극 패턴이 교번적으로 사이에 이격 배치되는 패턴 전극층 및 유전체 물질로 상기 패턴 전극층의 양측에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 유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도록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하전된 입자를 집진시키는 직류 전압 발생부;
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전극 패턴 사이에 위상차가 발생하도록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집진된 입자를 상기 집진 플레이트로부터 이탈시켜 세정하는 교류 전압 발생부; 및
집진 모드 또는 세정 모드에 따라서 상기 직류 전압 발생부와 상기 교류 전압 발생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An electric precipitator for collecting charged particles with the force of an electric field due to a potential difference applied between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on which charged particles are collected, includes a patterned electrode layer and a dielectric material in which conductive first electrode patterns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are alternately spaced apart. Including a dielectric layer formed in the form of a film on both sides of the patterned electrode layer,
a DC voltage generator for collecting charged particles by applying a DC voltage to form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 AC voltage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separate and clean the collected particles from the dust collection plate by applying an AC voltage to generate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and
An electric precipitato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DC voltage generator and the AC voltage generator according to a dust collection mode or a cleaning mode.
이격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인가되는 전위차에 의한 전기장의 힘으로 하전된 입자를 포집시키는 전기 집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중 하전된 입자가 집진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집진 플레이트는 판상으로 전도성의 판 전극층, 유전체 물질로 상기 판 전극층의 양측에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유전층, 양측의 상기 제 1 유전층 상에 형성되며 전도성의 제 1 전극 패턴과 제 2 전극 패턴이 번갈아가며 사이에 이격 배치되는 패턴 전극층 및 유전체 물질로 양측의 상기 패턴 전극층 상에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유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도록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하전된 입자를 집진시키는 직류 전압 발생부;
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전극 패턴 사이에 위상차가 발생하도록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집진된 입자를 상기 집진 플레이트로부터 이탈시켜 세정하는 교류 전압 발생부; 및
집진 모드 또는 세정 모드에 따라서 상기 직류 전압 발생부와 상기 교류 전압 발생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An electric precipitator for collecting charged particles with the force of an electric field due to a potential difference applied between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on which charged particles are collected, includes a conductive plate electrode layer in a plate shape, a first dielectric layer formed in the form of a film on both sides of the plate electrode layer as a dielectric material, and A patterned electrode layer formed on the first dielectric layer and in which conductive first electrode patterns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are alternately spaced apart, and a second dielectric layer formed of a dielectric material in the form of a film on both sides of the patterned electrode layer. do,
a DC voltage generator for collecting charged particles by applying a DC voltage to form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 AC voltage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separate and clean the collected particles from the dust collection plate by applying an AC voltage to generate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and
An electric precipitato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DC voltage generator and the AC voltage generator according to a dust collection mode or a cleaning mod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전극층은 전도성 카본 물질, 금속 박막, ITO(Indium Tin Oxide), 나노 와이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전기 집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attern electrode layer is formed of any one of a conductive carbon material, a metal thin film, ITO (Indium Tin Oxide), and a nano wir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층은 PS(Polystylen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전기 집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ielectric layer is an electric precipitator formed of any one of PS (Polystylene), PP (Polypropylene), PE (Polyethylene), 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and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전극 패턴은 각각 선형 전극들이 이격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전극 패턴의 선형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패턴의 선형 전극이 번갈아가며 이격 배치되는 전기 집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are each formed in a form in which linear electrodes are spaced apart, and the linear electrodes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the linear electrodes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are alternately spaced apart.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전극층은
제 1 전극 패턴의 선형 전극들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 1 패턴 연결부 및
제 2 전극 패턴의 선형 전극들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 2 패턴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patterned electrode layer is
A first pattern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one end of the linear electrodes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An electric precipitator comprising a second pattern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other ends of the linear electrodes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연결부 및 상기 제 2 패턴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상기 제 2 전극 패턴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집진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pattern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pattern connection par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전극층은 접지되거나 직류 전압이 인가되어 하전된 입자의 집진을 위한 전위차를 형성하는 전기 집진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late electrode layer is grounded or a direct current voltage is applied to form a potential difference for collecting charged particle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되거나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전기 집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re disposed vertically or inclined on the ground.
KR1020210025488A 2021-02-25 2021-02-25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5121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488A KR102512144B1 (en) 2021-02-25 2021-02-25 Electrostatic precipit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488A KR102512144B1 (en) 2021-02-25 2021-02-25 Electrostatic precipit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944A KR20220121944A (en) 2022-09-02
KR102512144B1 true KR102512144B1 (en) 2023-03-22

Family

ID=8328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488A KR102512144B1 (en) 2021-02-25 2021-02-25 Electrostatic precipit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14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7989A (en) * 2008-03-04 2009-09-17 Panasonic Corp Dust collection filter and dust collection apparatus
KR101054315B1 (en) * 2011-01-13 2011-08-08 한국기계연구원 Electric precipitation
KR102198109B1 (en) * 2019-02-11 2021-01-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Dry washing type electric dust collec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348B1 (en) 2003-03-15 2006-01-20 황진수 Electro static precipitator with automatic clean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7989A (en) * 2008-03-04 2009-09-17 Panasonic Corp Dust collection filter and dust collection apparatus
KR101054315B1 (en) * 2011-01-13 2011-08-08 한국기계연구원 Electric precipitation
KR102198109B1 (en) * 2019-02-11 2021-01-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Dry washing type electric dust col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944A (en)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489B1 (en) Electric precipitator and air cleaner comprising the same
CA2627856C (en) Single stage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336514B1 (en) Electrical precipit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precipitation unit
JP2013000741A (en) Electric dust collector
KR102047762B1 (en) Electric dust collecting filter and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N103313795A (en) Inductio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multi-cross pin ionizer
CN1223174A (en) Electronic dust-collecting type air purifier
CN108212536A (en) Method and apparatus
WO2017212688A1 (en) Charging device, electric dust collector, ventilation device, and air cleaner
KR102198109B1 (en) Dry washing type electric dust collector
KR102512144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014139B1 (en) Electric precipitator
KR102190076B1 (en) Dust collector of Air Clean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RU2692293C1 (en) Wavy electrical filter
JPH09248489A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216411B1 (en) Electric dust collector
KR20170054674A (en) Electric dust collect device
JP2021102185A (en) Electric dust collecting machine and electric dust collecting machine manufacturing method
KR20210060264A (en) Air cleaning filter and air cleaning apparatus having this
KR100317297B1 (en) electric dust collector
CN210386200U (en) Dust accumulation assembly, electrostatic dust removal module and air purification device
JP2001062343A (en) Electric dust collector element
KR102407748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20120058827A (en) Electric precipitator
KR20150009738A (en) Electric precipit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