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301B1 -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다기능 콘센트 박스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다기능 콘센트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301B1
KR102511301B1 KR1020220038020A KR20220038020A KR102511301B1 KR 102511301 B1 KR102511301 B1 KR 102511301B1 KR 1020220038020 A KR1020220038020 A KR 1020220038020A KR 20220038020 A KR20220038020 A KR 20220038020A KR 102511301 B1 KR102511301 B1 KR 102511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box
driving
power body
insertion groove
numerica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전기설계감리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전기설계감리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전기설계감리기술단
Priority to KR102022003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다기능 콘센트 박스는 콘센트 박스의 플러그 삽입홈을 가림막으로 가려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벽면에 흐르는 수분을 감지하는 경우, 콘센트 박스를 외부로 돌출시켜 합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센트 박스의 플러그 삽입홈으로 유입되는 먼지나 이물질을 차단하여 접촉 불량의 원인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벽면을 타고 흐르는 빗물로 인하여 플러그 단자나 전극과의 합선이 발생할 위험을 감지하여 콘센트 박스를 외부로 일부 노출시켜 합선의 위험을 감소시키며, 이로 인하여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다기능 콘센트 박스{Multifunctional Outlet box of Indoor Electric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다기능 콘센트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 박스의 플러그 삽입홈을 가림막으로 가려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벽면에 흐르는 수분을 감지하는 경우, 콘센트 박스를 외부로 돌출시켜 합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다기능 콘센트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서 가공전선이나 지중전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배전반을 통하여 각 수용가로 공급되고, 각 수용가에서는 공급되는 전원은 콘센트나 조명용 전원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각 수용가에서 콘센트는 주로 벽에 매립되는 매립형으로 구비되며, 각종 전자기기들과의 접속을 위해서 일정 길이의 전선을 갖는 멀티콘센트를 구비하기도 한다.
매립형 콘센트는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삽입홈이 항상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설치되므로 세탁기가 설치된 베란다, 먼지나 습기가 많이 발생되는 환경 등에 설치되는 경우, 단자 삽입홈으로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되어 접촉 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매립형 콘센트는 장마 등으로 인하여 비가 많이 오는 계절인 경우, 벽면을 타고 흐르는 빗물로 인하여 플러그 단자, 전극과의 합선이 발생되거나, 손으로 플러그 단자에 접촉할 경우, 감전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2326148호(등록일: 2021년 11월 09일), 발명의 명칭: "공동주택용 벽면 내설 조명 콘센트"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센트 박스의 플러그 삽입홈을 가림막으로 가려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벽면에 흐르는 수분을 감지하는 경우, 콘센트 박스를 외부로 돌출시켜 합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다기능 콘센트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다기능 콘센트 박스(100)는,
벽면 내부에 삽입하여 매립되고, 표면(11)에 플러그 삽입홈(13)과 단자홀(12)을 구비한 전원몸체(10);
상기 전원몸체(1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몸체(10)의 표면(11) 쪽으로 하강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홈(13)을 가려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이물질 가림 장치(110);
상기 전원몸체(10)의 하부면에는 상기 전원몸체(10)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평 이동 장치(120)를 결합하고,
상기 수평 이동 장치(120)는 상기 전원몸체(10)의 하부면에 결합한 일정 형상의 이동블록부(121)와, 상기 이동블록부(121)에 길이 방향의 스크류(122)가 관통하고, 상기 스크류(122)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제1 베벨기어(125)를 결합하고, 상기 제1 베벨기어(125)에 수직 방향으로 제2 베벨기어(126)를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고, 상기 제2 베벨기어(126)를 제2 구동모터(128)의 회전축(127)에 결합하며,
벽면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물질 가림 장치(110)와 상기 수평 이동 장치(120)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3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콘센트 박스의 플러그 삽입홈으로 유입되는 먼지나 이물질을 차단하여 접촉 불량의 원인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벽면을 타고 흐르는 빗물로 인하여 플러그 단자나 전극과의 합선이 발생할 위험을 감지하여 콘센트 박스를 외부로 일부 노출시켜 합선의 위험을 감소시키며, 이로 인하여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다기능 콘센트 박스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박스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박스에서 전원몸체가 외부로 돌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다기능 콘센트 박스는 먼지나 습기가 많이 발생되는 환경 등에 설치되는 경우, 단자 삽입홈으로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되어 접촉 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매립형 콘센트는 장마 등으로 인하여 비가 많이 오는 계절인 경우, 벽면을 타고 흐르는 빗물로 인하여 플러그 단자나 전극과의 합선이 발생되거나, 손으로 플러그 단자에 접촉할 경우, 감전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다기능 콘센트 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 건물에서 실내에서 이용되는 전기의 공급을 위하여 설치되는 콘센트 박스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다기능 콘센트 박스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박스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박스에서 전원몸체가 외부로 돌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다기능 콘센트 박스(100)는 크게 전원몸체(10)와 전원몸체(10)의 내부에 전원선과 연결되는 전극(14)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원몸체(10)는 벽면 내부에 삽입하여 매립되고, 표면(11)에 플러그 삽입홈(13)과 단자홀(12)을 구비한다.
전원몸체(10)는 상부면에 형성되어 전원몸체(10)의 표면(11) 쪽으로 하강하여 플러그 삽입홈(13)을 가려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이물질 가림 장치(110)를 설치한다.
이물질 가림 장치(110)는 전원몸체(10)의 상부면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내부의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한 박스본체(101)를 포함한다.
이물질 가림 장치(110)는 박스본체(101)의 내부 공간부에 형성되고, 일정 높이로 수직으로 세워진 일정 길이의 랙기어(111)를 형성하고, 랙기어(111)에 서로 맞물려 기어 치합하는 피니언기어(112)를 결합하고, 피니언기어(112)의 회전축(113)에 제1 구동모터(114)를 결합한다.
본 발명의 피니언기어(112)는 회전축(113)에 제1 구동모터(114)를 직접 결합하는 구성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회전축(113)에 기어박스(미도시)를 결합하고, 기어박스의 일측에 제1 구동모터(114)를 결합하는 구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구동모터(114)의 구동에 따라 피니언기어(112)를 회전하고, 피니언기어(112)에 맞물려 있는 랙기어(111)가 하강하여 전원몸체(10)의 플러그 삽입홈(13)을 가려지도록 한다.
박스본체(101)는 하부면 중에서 랙기어(111)가 하강하는 영역이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다.
전원몸체(10)의 플러그 삽입홈(13)은 랙기어(111)에 의해 막혀서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전원몸체(10)의 하부면에는 전원몸체(10)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평 이동 장치(120)를 결합한다.
수평 이동 장치(120)는 전원몸체(10)의 하부면에 결합한 일정 형상의 이동블록부(121)와, 이동블록부(121)에 길이 방향의 스크류(122)가 관통되어 있다.
스크류(122)는 직선 형상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하고, 이동블록부(121)를 관통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쪽 끝단 부분에 제1 거치대(123)와 제2 거치대(124)에 결합되어 있다.
스크류(122)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제1 베벨기어(125)를 결합하고, 제1 베벨기어(125)에 수직 방향으로 제2 베벨기어(126)를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고, 제2 베벨기어(126)를 제2 구동모터(128)의 회전축(127)에 결합한다.
스크류(122)는 둘레 방향을 따라 나사홈이 전조 또는 연삭 방식으로 가공된다.
이동블록부(121)는 내부에 너트부(미도시)를 형성하고, 스크류(122)가 너트부의 중심 부분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동블록부(121)의 너트부는 중심 부분을 스크류(122)가 결합되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의 내주면에 스크류(1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스크류(122)는 이동블록부(135)의 너트부의 관통공에 끼워져서 나사홈과 나사산이 나사 결합을 한다.
이동블록부(121)는 제2 구동모터(128)의 구동에 따라 스크류(122)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전원몸체(10)은 이동블록부(121)의 수평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어 벽면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모듈(130)은 벽면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전원몸체(10)를 제어하여 전원몸체(10)를 수평 방향으로 돌출시키거나, 이물질 가림 장치(110)를 제어하여 전원몸체(10)의 플러그 삽입홈(13)을 랙기어(111)로 가려지게 한다.
제어부(131)은 제1 구동모터(114), 제2 구동모터(128), 습도센서(132), 먼지센서(133), 통신부(134), 송풍팬 구동부(13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습도센서(132)는 전원몸체(10), 플러그 삽입홈(13), 벽면 등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습기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먼지센서(133)는 전원몸체(10) 또는 플러그 삽입홈(13)의 주변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주변 공기의 먼지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제어부(131)는 먼지센서(133)로부터 수신한 먼지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 수치값 이상인지 판단하고, 제1 기준 수치값 이상인 경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제1 구동모터(114)로 전송한다. 이어서, 제1 구동모터(114)의 구동에 따라 랙기어(111)가 하강하여 전원몸체(10)의 플러그 삽입홈(13)을 가려지도록 한다.
제어부(131)는 습도센서(132)로부터 수신한 습기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 기설정된 제2 기준 수치값 이상인지 판단하고, 제2 기준 수치값 이상인 경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제2 구동모터(128)로 전송한다. 이어서, 제2 구동모터(128)의 구동에 따라 스크류(122)를 회전시키고, 스크류(122)의 회전에 따라 이동블록부(121)가 수평 이동된다. 전원몸체(10)은 이동블록부(121)의 수평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어 벽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물이나 수분이 전원몸체(1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31)는 습도센서(132)로부터 수신한 습기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 기설정된 제2 기준 수치값 이상인 경우, 전극(14)에 물이 유입되어 합선되는 위험성을 감지하고, 전원몸체(10)의 기설정된 ID를 포함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34)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서버, PC, 스마트폰 등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1)는 습도센서(132)로부터 수신한 습기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 기설정된 제2 기준 수치값 이상인 경우, 온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풍팬 구동부(135)로 전송한다. 송풍팬 구동부(135)의 구동에 따라 송풍팬(136)이 구동되어 외부의 공기를 전원몸체(10)의 내부로 흡입하여 수분을 건조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송풍팬(136)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원몸체(10)의 일측이나 전원몸체(10)의 표면(11)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벽면을 뚫어 외부로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전원몸체 11: 표면
12: 단자홀 13: 플러그 삽입홈
100: 콘센트 박스 110: 이물질 가림 장치
120: 수평 이동 장치

Claims (1)

  1. 벽면 내부에 삽입하여 매립되고, 표면(11)에 플러그 삽입홈(13)과 단자홀(12)을 구비한 전원몸체(10);
    상기 전원몸체(1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몸체(10)의 표면(11) 쪽으로 하강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홈(13)을 가려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이물질 가림 장치(110);
    상기 전원몸체(10)의 하부면에는 상기 전원몸체(10)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평 이동 장치(120)를 결합하고,
    상기 수평 이동 장치(120)는 상기 전원몸체(10)의 하부면에 결합한 일정 형상의 이동블록부(121)와, 상기 이동블록부(121)에 길이 방향의 스크류(122)가 관통하고, 상기 스크류(122)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제1 베벨기어(125)를 결합하고, 상기 제1 베벨기어(125)에 수직 방향으로 제2 베벨기어(126)를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고, 상기 제2 베벨기어(126)를 제2 구동모터(128)의 회전축(127)에 결합하며,
    벽면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물질 가림 장치(110)와 상기 수평 이동 장치(120)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30)을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 가림 장치(110)는 상기 전원몸체(10)의 상부면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내부의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한 박스본체(101)와, 일정 높이로 수직으로 세워진 일정 길이의 랙기어(111)를 형성하고, 상기 랙기어(111)에 서로 맞물려 기어 치합하는 피니언기어(112)를 결합하고, 상기 피니언기어(112)의 회전축(113)에 제1 구동모터(114)를 결합하고, 상기 제1 구동모터(114)의 구동에 따라 상기 피니언기어(112)를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기어(112)에 맞물려 있는 상기 랙기어(111)가 하강하여 상기 전원몸체(10)의 플러그 삽입홈(13)을 가려지도록 하고,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제1 구동모터(114), 상기 제2 구동모터(128), 습도센서(132), 먼지센서(133), 통신부(134), 송풍팬 구동부(13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어부(1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31)는 상기 먼지센서(133)로부터 수신한 먼지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 수치값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제1 기준 수치값 이상인 경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구동모터(114)로 전송하고, 상기 제1 구동모터(114)의 구동에 따라 상기 랙기어(111)가 하강하여 전원몸체(10)의 플러그 삽입홈(13)을 가려지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131)는 상기 습도센서(132)로부터 수신한 습기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 기설정된 제2 기준 수치값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제2 기준 수치값 이상인 경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제2 구동모터(128)로 전송하고, 상기 제2 구동모터(128)의 구동에 따라 스크류(122)를 회전시키고, 상기 스크류(1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부(121)가 수평 이동되어 상기 전원몸체(10)가 벽면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어부(131)는 상기 습도센서(132)로부터 수신한 습기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 기설정된 제2 기준 수치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전원몸체(10)에 부착된 전극(14)에 물이 유입되어 합선되는 위험성을 감지하고, 상기 전원몸체(10)의 기설정된 ID를 포함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34)를 통해 무선 통신이 가능한 기기인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131)는 상기 습도센서(132)로부터 수신한 습기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 기설정된 제2 기준 수치값 이상인 경우, 온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풍팬 구동부(135)로 전송하고, 상기 송풍팬 구동부(135)의 구동에 따라 송풍팬(136)이 구동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전원몸체(10)의 내부로 흡입하여 수분을 건조시키는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다기능 콘센트 박스.
KR1020220038020A 2022-03-28 2022-03-28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다기능 콘센트 박스 KR102511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020A KR102511301B1 (ko) 2022-03-28 2022-03-28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다기능 콘센트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020A KR102511301B1 (ko) 2022-03-28 2022-03-28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다기능 콘센트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301B1 true KR102511301B1 (ko) 2023-03-20

Family

ID=8579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020A KR102511301B1 (ko) 2022-03-28 2022-03-28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다기능 콘센트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30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405A (ko) * 2008-03-05 2009-09-09 (주)덕원기술사 공동주택의 가전기기 구동용 전기공급식 멀티탭
KR101028139B1 (ko) * 2010-12-27 2011-04-08 주식회사 명 이에프씨 공동주택 내벽의 전기 콘센트함
KR101254482B1 (ko) * 2012-04-13 2013-04-12 황용규 족장 피스 제거 장치
KR101914432B1 (ko) * 2018-07-12 2018-11-02 (주)퍼맥스 출입형 멀티콘센트
KR102299285B1 (ko) * 2020-09-04 2021-09-08 (주)씨케이에스감리단 배전반
KR102326148B1 (ko) 2021-02-26 2021-11-15 주식회사 리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벽면 내설 조명 콘센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405A (ko) * 2008-03-05 2009-09-09 (주)덕원기술사 공동주택의 가전기기 구동용 전기공급식 멀티탭
KR101028139B1 (ko) * 2010-12-27 2011-04-08 주식회사 명 이에프씨 공동주택 내벽의 전기 콘센트함
KR101254482B1 (ko) * 2012-04-13 2013-04-12 황용규 족장 피스 제거 장치
KR101914432B1 (ko) * 2018-07-12 2018-11-02 (주)퍼맥스 출입형 멀티콘센트
KR102299285B1 (ko) * 2020-09-04 2021-09-08 (주)씨케이에스감리단 배전반
KR102326148B1 (ko) 2021-02-26 2021-11-15 주식회사 리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벽면 내설 조명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1899B2 (en) Outdoor electrical outlet stand with control device
KR102511301B1 (ko)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다기능 콘센트 박스
CN212968564U (zh) 一种具有湿度感应功能的智能配电柜
US20140168905A1 (en) Electric box with wire protection mechanism
US3337778A (en) Relay apparatus
US3813640A (en) Weatherproof enclosure for electrical devices
CN204651710U (zh) 一种户外配变低压综合配电箱
CN206516950U (zh) 防尘除湿的小型配电箱
CN207665337U (zh) 一种电气设备的防潮装置
CN205812568U (zh) 一种基于粮库智能通风的新型控制柜
KR100771211B1 (ko) 다세대 주택의 실내설치형 전기공급단자
CN209710518U (zh) 一种水利工程电气控制箱
CN107086009A (zh) 一种电子显示单元模块的兼着穿线槽的防护槽
CN210490171U (zh) 一种多功能配电箱
KR101352742B1 (ko) 이중 밀폐형 배선연결장치
CN209298655U (zh) 一种分体式组装配电箱装置
CN214477124U (zh) 一种防水耐腐蚀开关
CN220190158U (zh) 一种带有配电箱安装架的配电箱
CN205644430U (zh) 一种附加式可定时的电源控制装置
CN213794943U (zh) 一种纺织点焊机用恒压控制装置
JP3023227U (ja) コンセント及びプラグ
CN208782974U (zh) 一种门铃室外机壳体结构
CN219498252U (zh) 一种方便固定电线的插座
CN205375029U (zh) 一种隐藏式电机控制装置
CN214013611U (zh) 一种电力系统自动化用电力保障控制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