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209B1 -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 - Google Patents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209B1
KR102510209B1 KR1020210108034A KR20210108034A KR102510209B1 KR 102510209 B1 KR102510209 B1 KR 102510209B1 KR 1020210108034 A KR1020210108034 A KR 1020210108034A KR 20210108034 A KR20210108034 A KR 20210108034A KR 102510209 B1 KR102510209 B1 KR 102510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ion
lecture
answer
video
cy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6079A (ko
Inventor
노현철
Original Assignee
노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현철 filed Critical 노현철
Priority to KR1020210108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209B1/ko
Publication of KR20230026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2Query formulation
    • G06F16/7343Query language or query forma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복수의 가상의 페이크 수강생으로 생성하는 회원 생성 모듈과, 상기 페이크 수강생이 참여한 사이버 강의 영상으로 편집 및 저장하고, 상기 페이크 수강생들의 적어도 하나의 질의 응답 영상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영상 편집 모듈 및 접속된 학습자 단말로 상기 사이버 강의 영상을 송출하며, 상기 사이버 강의가 진행되는 중 상기 질의 응답 영상이 생성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 응답 영상을 상기 학습자 단말로 송출하는 강의 진행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OPTIONAL DISCUSSION LECTURE PLATFORM SERVER USING METAVERSE}
본 발명은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버 강의를 수강하려 하는 학습자가 가상의 페이크 수강생들과 함께 강의를 수강할 수 있도록 메타버스 공간에서 사이버 강의실을 개설하고, 강의가 진행되는 중에 페이크 수강생들이 질문하고 강사가 이에 응답하는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오프라인 강의와 같은 생동감 있는 강의가 진행되도록 하며,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페이크 수강생들의 질의 응답의 심화 정도 및 질의 응답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강의의 분량과 심화도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응용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및 혼합현실 (Mixed Reality) 기술이 발달하고 있다. 이 때, 가상현실 기술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현실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가상 공간을 구축한 후 그 가상 공간을 현실처럼 느끼게 하는 기술을 말하고,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 기술은 현실 세계 위에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덧붙여 표현하는 기술, 즉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결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들 중 증강현실과 혼합현실 기술은 다양한 분야의 기술(예컨대, 방송 기술, 의료 기술 및 게임 기술 등)들과 접목되어 활용되고 있다. TV에서 일기 예보를 하는 기상 캐스터 앞의 날씨 지도가 자연스럽게 바뀌는 경우나, 스포츠 중계에서 경기장에 존재하지 않는 광고 이미지를 경기장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 화면에 삽입하여 송출하는 경우가 방송 기술 분야에 증강현실 기술이 접목되어 활용된 대표적인 예이다. 특히, 이러한 증강현실과 혼합현실 기술은 스마트폰(Smart phone)의 등장과 함께 다양한 응용 서비스로 구현되어 제공되고 있다.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대표적인 서비스로서, 메타버스(Meta-verse)가 있다. 이 메타버스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 계를 의미한다. 메타버스는 기존의 가상현실 환경(Virtual reality environment)이라는 용어보다 진보된 개념으로서, 웹과 인터넷 등의 가상세계가 현실세계에 흡수된 증강 현실 환경을 제공한다.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오프라인 강의가 온라인 강의 또는 사이버 강의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온라인 강의 또는 사이버 강의는 수강생이 원하는 시간에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른 수강생들과 함께 듣는 것이 아니고 혼자 강의를 듣는 것이기 때문에 강의의 활력 및 생동감이 저하되어 강의에 대한 집중력이 떨어진다. 예를 들면, 온라인 강의 및 사이버 강의가 녹화되어 진행되는 경우 다른 수강생들에 대한 질의 응답이 제공되지 않고 또한 강의를 수강하고 있는 수강생조차 질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56182호는 강의용 자동 질의 응답 챗봇 서비스 기술이 제공된다. 그러나 선행문헌도 현재 수강하고 있는 수강생의 질문에 대한 응답만 가능할 뿐 다른 수강생의 질의 응답은 제공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56182호(2021.05.2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이버 강의를 수강하려 하는 학습자가 가상의 페이크 수강생들과 함께 강의를 수강할 수 있도록 메타버스 공간에서 사이버 강의실을 개설하고, 강의가 진행되는 중에 페이크 수강생들이 질문하고 강사가 이에 응답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페이크 수강생들의 질의 응답의 심화 정도 및 질의 응답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는 온라인 강의, 오프라인 강의 또는 미리 생성된 사이버를 수강한 수강자들을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복수의 가상의 페이크 수강생으로 생성하는 회원 생성 모듈과, 상기 온라인 강의, 오프라인 강의 또는 이미 생성된 사이버 강의를 녹화하여 상기 페이크 수강생이 참여한 사이버 강의 영상으로 편집 및 저장하고, 상기 페이크 수강생들의 적어도 하나의 질의 응답 영상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영상 편집 모듈 및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서 사이버 강의실을 생성하고, 접속된 학습자 단말로 상기 사이버 강의 영상을 송출하며, 상기 사이버 강의가 진행되는 중 상기 질의 응답 영상이 생성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 응답 영상을 상기 학습자 단말로 송출하는 강의 진행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이크 수강생들에 대한 질의 응답 영상은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구축되고,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질문 내용을 인식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질문에 대응하는 답변을 가지는 상기 질의 응답 영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탐색하며, 응답 영상 부분만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제공하는 답변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질문이 입력되면, 입력된 질문과 유사한 질의를 가지는 상기 질의 응답 영상을 유사 질의 응답 영상 및 심화 질의 응답 영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답변 제공 모듈은, 상기 사이버 강의 중 상기 심화 질의 응답 영상을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답변 제공 모듈은, 상기 유사 질의 응답 영상을 상기 사이버 강의 중 상기 학습자 단말로 송출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답변 제공 모듈은,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질문이 입력되기 전까지 상기 질의 응답 영상을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제공하지 않는다.
상기 답변 제공 모듈은,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질문이 입력된 후부터 미리 허용된 소요 시간을 가지는 상기 심화 질의 응답 영상을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학습자 단말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이버 강의를 수강하려 하는 학습자가 가상의 페이크 수강생들과 함께 강의를 수강할 수 있도록 메타버스 공간에서 사이버 강의실을 개설하고, 강의가 진행되는 중에 페이크 수강생들이 질문하고 강사가 이에 응답하는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오프라인 강의와 같은 생동감 있는 강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페이크 수강생들의 질의 응답의 심화 정도 및 질의 응답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강의의 분량과 심화도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서버에서 제공되는 강의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모듈(Module)" 및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컴포넌트와 등가 혹은 둘 이상의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발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모두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100)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버(100)는 사이버 강의를 수강하려하는 학습자가 가상의 페이크 수강생(2)(아바타)들과 함께 강의를 수강할 수 있도록 메타버스 공간에서 사이버 강의실(C)을 개설하고, 강의가 진행되는 중에 페이크(fake) 수강생(2)들이 질문하고 강사가 이에 응답하는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오프라인 강의와 같은 생동감 있는 강의가 진행되도록 한다. 또한,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페이크 수강생(2)들의 질의 응답의 심화 정도 및 질의 응답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강의의 분량과 심화도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학습자는 현재 사이버 강의를 수강하려는 수강생을 의미하는 것이고, 레이크 수강생은 이전에 실시된 온라인 강의, 오프라인 강의 또는 사이버 강의를 수강한 수강생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아바타이다. 페이크 수강생은 현재 사이버 강의를 수강하려는 수강생과 함께 강의에 참여한다.
본 발명의 메타버스 공간에는 학원 상가, 학교 등이 구현되고 그 안에서 사이버 강의가 진행될 수 있는 강의실(C)이 개설될 수 있다. 페이크 수강생(2)들 및 학습자는 메타버스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아바타(Avatar)로 구현될 수 있다. 아바타로 구현된 학습자는 학교에 출입하여 강의실(C)로 이동하여 사이버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예컨대, 페이크 수강생(2)들은 학교 이곳 저곳에 흩어져 있다가 학습자의 아바타가 학교에 출입하여 강의실(C)로 이동하면 페이크 수강생(2)들 중 일부가 학습자의 아바타를 따라 강의실(C)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자의 아바타를 따라 강의실(C)로 이동하는 페이크 수강생(2)들은 학습자가 수강하려는 강의와 동일하거나 연계된 강의를 이전에 들었던 수강생들 정보로 구현된 아바타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이버 강의는 실제 다른 학습자들이 오프라인 강의 또는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고 그 강의를 녹화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녹화하여 제작된 강의는 이후에 사이버 강의에 활용된다.
본 발명에서 본 실시예에서 학습자 단말(1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및 e-북(e-Book) 중에서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상의 공간을 더욱 생동감 있게 즐기기 위해서 학습자 단말(1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가 채택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버(100)는 회원 생성 모듈(110), 영상 편집 모듈(120), 강의 진행 모듈(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답변 제공 모듈(140)을 더 포함한다.
회원 생성 모듈(110)은 학습자 단말(10)에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메타버스 공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 학습자의 아바타(Avatar)를 생성한다. 회원 생성 모듈(110)은 학습자의 나이, 성별, 지역, 출신 학교, 이름 또는 닉네임, 신체 조건 등을 참고하여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회원 생성 모듈(110)은 사이버 강의를 생성하기 위해 최초 녹화된 온라인 강의 또는 오프라인 강의를 수강한 학습자를 기초로 가상의 페이크 수강생(2)들을 복수의 아바타로 생성한다.
또한, 회원 생성 모듈(110)은 메타공간에서 진행되는 복수의 사이버 강의를 수강한 다른 학습자들의 수강 이력에 기초하여 가상의 페이크 수강생(2)들을 복수의 아바타로 생성한다. 즉, 수강생들이 사이버 강의를 수강할수록 페이크 수강생(2)을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회원 생성 모듈(110)에 의해 생성된 페이크 수강생(2)들은 아바타의 실제 모델(수강생)이 메타버스 공간에 접속하지 않더라도 메타버스의 공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특히 다른 학습자가 사이버 강의를 수강할 때 함께 강의를 수강하여 다른 학습자에게 오프라인 강의의 생동감을 제공한다.
사이버 강의를 수강한 다른 학습자들의 수강 이력에는 해당 실제 학습자가 강의 중 질문하고, 강사가 질문에 응답한 내용이 포함된다. 수강 이력에는 다른 학습자가 강의 중 질문한 시간이 강의의 타임 라인에 기록되고, 질의 응답이 진행된 총 소요시간도 포함된다.
그리고 회원 생성 모듈(110)에 의해 생성된 페이크 수강생(2)들의 수강 이력은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되면서 구축되고, 페이크 수강생(2)들의 생성이 증가될 수록, 질의 응답 내용이 계속해서 증가될 수 있다.
영상 편집 모듈(120)은 온라인 강의, 오프라인 강의 또는 이미 생성된 사이버 강의를 녹화하여 페이크 수강생(2)이 참여한 사이버 강의 영상으로 편집 및 저장한다. 예컨대, 최초 녹화된 온라인 강의 또는 오프라인 강의에는 아바타가 아닌 실제 사람이 참여하기 때문에 영상 편집 모듈(120)은 최초 녹화된 온라인 강의 또는 오프라인 강의에 참여한 실제 사람을 회원 생성 모듈(110)에서 생성된 아바타로 대체하여 편집한다.
또한, 영상 편집 모듈(120)은 강의의 생동감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황별로 카메라의 구도를 다르게 편집한다. 예를 들면, 영상 편집 모듈(120)은 강사가 필기할 경우 칠판을 클로즈업하거나, 수강생들이 질문할 땐 수강생들을 향해 카메라 구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영상 편집 모듈(120)은 페이크 수강생(2)들이 질문하고 이에 강사가 응답한 질의 응답 영상(131)을 별도로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영상 편집 모듈(120)은 질의 응답 영상(131)을 일괄로 저장하거나, 질의 영상 및 응답 영상을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질의 응답 영상(131)은 사이버 강의를 수강하는 학습자에게 제공되며, 또한 질의 응답 영상(131) 중 응답 영상은 사이버 강의 중 학습자가 질문할 경우 해당 질문에 대한 응답 영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에는 질의 응답 영상(131), 질의 영상, 응답 영상의 시간 정보가 같이 저장된다. 시간 정보는 질의 응답 영상(131)의 총 소요시간, 질의 영상의 소요 시간, 응답 영상의 소요 시간을 포함한다. 그리고 시간 정보에는 사이버 강의 중 질의 응답 영상(131)의 질의 응답의 발생 시점, 질의 영상의 발생 시점, 응답 영상의 발생 시점이 포함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에는 저장된 질의 응답 영상(131), 질의 영상, 응답 영상에서의 강사의 음성, 학습자(수강생)의 음성이 텍스트화되어 해당 질의 응답 영상(131), 질의 영상, 응답 영상과 매칭되어 저장된다. 질의 응답 영상(131), 질의 영상, 응답 영상에서 강사의 음성, 학습자(수강생)의 음성이 텍스트화되어 저장되는 이유는 강의 진행 모듈(130)에서 학습자가 질문 할 경우, 관련된 질의 응답 영상(131), 질의 영상, 응답 영상을 데이베이스에서 용이하게 탐색하기 위함이다.
강의 진행 모듈(130)은 메타버스 공간에 학원 상가, 학교 등을 생성한다. 그리고 강의 진행 모듈(130)은 생성된 학원 상가, 학교 등에 사이버 강의가 진행될 수 있는 사이버 강의실을 개설한다. 강의 진행 모듈(130)은 학습자의 아바타에 포함된 정보 중 학습자의 지역에 따라서 상가 명칭 또는 학교 명칭을 변경하거나 실제 학습자가 졸업하거나 재학중인 학교의 명칭으로 변경할 수 있다.
강의 진행 모듈(130)은 사이버 강의실의 입구 앞에 강의 시간표 및 강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게시판을 생성하여 학습자에게 현실감을 제공한다.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아바타를 사이버 강의실에 입장시켜 사이버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강의 진행 모듈(130)은 학습자의 아바타가 입장되면, 접속된 학습자 단말(10)로 사이버 강의 영상을 송출한다. 그리고 강의 진행 모듈(130)은 사이버 강의가 진행되는 도중에 해당 사이버 강의에서 추출된 질의 응답 영상(131)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질의 응답 영상(131)을 학습자 단말(10)로 송출한다. 이로 인해, 학습자는 혼자 강의를 수강하더라도 페이크 수강생(2)들의 질문 및 그에 대한 강사의 응답 영상을 시청할 수 있어 오프라인과 같은 생동감 있는 강의를 체험할 수 있다.
답변 제공 모듈(140)은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질문 내용을 인식한다. 예컨대,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10)을 통해 텍스트로 질문을 입력하거나, 음성을 통해 질문을 입력할 수 있다.
답변 제공 모듈(140)은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질문이 음성으로 입력되면,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한다. 그리고 답변 제공 모듈(140)은 입력된 질문의 텍스트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텍스트화되어 저장된 질의 응답 영상(131), 질의 영상, 응답 영상을 탐색할 수 있다.
답변 제공 모듈(140)은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질문에 대응하는 질의 응답 영상(131)이 데이터베이스에서 탐색되면, 질의 응답 영상(131) 중 질의 영상을 제외한 응답 영상만 학습자 단말(10)로 제공한다. 참고로,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질문이 입력된 경우, 데이터베이스에서 탐색된 응답 영상은 응답 영상이 생성된 시간 정보에 관계없이 즉시 학습자 단말(10)로 송출된다.
답변 제공 모듈(140)은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질문이 입력되면, 그 질문과 유사한 질의를 갖는 질의 응답 영상(131)을 데이터 베이스에서 모두 탐색한다. 그리고 답변 제공 모듈(140)은 탐색된 모든 질의 응답 영상(131)을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질문과 유사한 질의를 갖는 영상인지 심화된 질의를 갖는 영상인지 판단하여 유사 질의 응답 영상(132) 및 심화 질의 응답 영상(133)으로 분류한다.
예컨대, 답변 제공 모듈(140)에서 유사 질의 응답 영상(132) 및 심화 질의 응답 영상(133)으로 분류하는 기준은 동일한 강의 내에서 생성된 복수의 질문 중 시간 정보를 기초로 가장 먼저 생성된 질의 응답 영상(131)을 학습자의 질문과 유사한 질의 응답 영상(131)으로 분류하고, 유사 질의 응답 영상(132)보다 뒤에 생성된 질의 응답 영상(131)을 심화 질의 응답 영상(133)으로 분류한다.
즉, 답변 제공 모듈(140)은 동일한 강의 내에서 생성된 유사한 복수의 질의 응답 영상(131) 중 뒤에 생성된 질의 응답 영상(131)은 이미 앞 질문에서 응답이 된 상태에서 다시 질문된 것에 대한 응답을 가지는 것이기 때문에 앞 질문보다 더 심화된 질문(또는, 후속 질문) 및 심화된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답변 제공 모듈(140)이 3가지 모드로 구현되는 방식을 도면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강의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답변 제공 모듈(140)은 제1 모드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질의 응답 영상(131)을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자 단말(10)로 송출한다. 제1 모드는 모든 질의 응답 영상(131)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질문이 입력되기 전에도 질의 응답 영상(131)을 학습자 단말(10)로 송출한다.
답변 제공 모듈(140)은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질문이 입력되면 응답 영상(131-1)을 즉시 송출하고, 이후에 남은 강의 시간에서 학습자의 질문과 유사 질의 응답 영상(132) 및 심화 질의 응답 영상(133)을 모두 학습자 단말(10)로 송출한다. 뿐만 아니라,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질문이 입력된 이후에, 학습자의 질문과 관련 없는 질의 응답 영상(131)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계속해서 학습자 단말(10)로 송출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답변 제공 모듈(140)은 제2 모드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질의 응답 영상(131)을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자 단말(10)로 송출한다. 제2 모드는 학습자의 질문과 유사한 질의 응답 영상(132)은 학습자 단말(10)로 송출하지 않는다.
즉, 답변 제공 모듈(140)은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질문이 입력되면 응답 영상(131-1)을 즉시 송출하고, 입력된 질문과 유사한 질의 응답 영상(131)은 남은 사이버 강의 시간 중에 송출하지 않으며, 심화 질의 응답 영상(133)만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자 단말(10)로 송출한다.
제2 모드는 심화 질의 응답 영상(133)만 학습자에게 송출하여 제1 모드에 비해 질의 응답보다 강의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답변 제공 모듈(140)은 제3 모드에서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질문이 입력되기 전까지 시간 정보에 기초한 질의 응답 영상(131)을 학습자 단말(10)로 송출하는 것을 제한한다.
그리고 답변 제공 모듈(140)은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질문이 입력되면 응답 영상(131-1)을 즉시 송출하고, 입력된 질문과 유사한 질의 응답 영상(131)은 남은 사이버 강의 시간 중에 송출하지 않으며, 심화 질의 응답 영상(133)만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자 단말(10)로 송출한다.
한편, 제3 모드에서는 학습자의 설정에 따라 조건에 성립하는 심화 질의 응답 영상(133)만 학습자 단말(10)로 송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학습자는 강의 시작 전 또는 강의 진행 중에 심화 질의 응답 영상(133)의 시청을 허용하는 소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답변 제공 모듈(140)은 학습자 단말(10)로부터 미리 허용된 소요 시간을 가지는 심화 질의 응답 영상(133)만 학습자 단말(10)로 송출한다.
예를 들면, 도 5에서 보듯, 학습자 단말(10)로부터 질문이 입력된 이후 소요 시간 5분을 가지는 심화 응답 영상(133-1)과, 소요 시간 10분을 가지는 심화 응답 영상133-2)이 학습자 단말(10)로 송출될 예정이지만, 학습자 단말(10)로부터 미리 허용된 시간이 7분일 경우 7분 보다 적은 소요 시간을 가지는 5분짜리 심화 응답 영상(133-1)만 학습자 단말(10)로 송출될 수 있다.
제3 모드는 학습자가 직접 설정한 허용 시간에 따라 심화 질의 응답 영상(133)의 송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강의의 분량과 심화도를 학습자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도 학습자의 설정에 따라 조건에 성립하는 심화 질의 응답 영상(133)만 학습자 단말(10)로 송출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학습자 단말
100: 서버
110: 회원 생성 모듈
120: 영상 편집 모듈
130: 강의 진행 모듈
140: 답변 제공 모듈

Claims (8)

  1. 이전에 수행된 온라인 강의 또는 오프라인 강의의 녹화 영상에 출연한 실제 수강생들을 가상의 페이크 수강생으로 변환 및 생성하는 회원 생성 모듈;
    동일한 주제로 녹화된 다수의 온라인 강의 또는 오프라인 강의 영상에서 실제 수강생들을 상기 생성한 페이크 수강생으로 대체되도록 편집하여 사이버 강의 영상을 생성 및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사이버 강의 영상들에서 페이크 수강생에 의해 수행되는 질의 및 응답 영상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는 영상 편집 모듈;
    메타버스 공간에서 사이버 강의실을 생성하고, 생성된 사이버 강의실에 접속한 학습자의 단말로 상기 저장된 사이버 강의 영상들 중 하나를 송출하되, 사이버 강의의 진행 중에 상기 페이크 수강생이 질의 및 응답했던 시점인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 및 저장된 질의 응답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삽입하여 출력하는 강의 진행 모듈; 및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질의 내용을 인식하고, 인식된 질의에 대한 답변을 포함하는 질의 응답 영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탐색하며, 검색된 질의 및 응답 영상 중에서 응답 부분만 추출하여 상기 송출중인 사이버 강의에 삽입하여 출력하는 답변 제공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답변 제공 모듈은,
    상기 페이크 수강생의 질의 응답 시점보다 앞서서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페이크 수강생의 질의와 동일 또는 유사한 질의가 입력된 경우, 상기 페이크 수강생의 질의 응답 영상이 존재하더라도 상기 송출중인 사이버 강의에 삽입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 제공 모듈은,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질의와 동일 또는 유사한 질의를 가지는 질의 응답 영상을 유사 질의 응답 영상이라 할 때, 상기 유사 질의 응답 영상보다 뒤에 생성된 유사 질의 응답 영상을 심화 질의 응답 영상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 제공 모듈은,
    상기 사이버 강의 중 상기 심화 질의 응답 영상을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로 송출하는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 제공 모듈은,
    상기 유사 질의 응답 영상을 상기 사이버 강의 중 상기 학습자 단말로 송출하는 것을 제한하는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 제공 모듈은,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질문이 입력된 후부터 미리 허용된 소요 시간을 가지는 상기 심화 질의 응답 영상을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로 송출하는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
KR1020210108034A 2021-08-17 2021-08-17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 KR102510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034A KR102510209B1 (ko) 2021-08-17 2021-08-17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034A KR102510209B1 (ko) 2021-08-17 2021-08-17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079A KR20230026079A (ko) 2023-02-24
KR102510209B1 true KR102510209B1 (ko) 2023-03-14

Family

ID=8533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034A KR102510209B1 (ko) 2021-08-17 2021-08-17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2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688B1 (ko) * 2017-10-23 2018-07-12 넷마블 주식회사 캠페인 노출 여부 판단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82798B1 (ko) * 2019-04-04 2021-07-27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429A (ko) * 2000-06-03 2000-12-05 조철 온라인 실시간 쌍방향 멀티미디어 원격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18353A (ko) * 2017-08-14 2019-02-22 박기홍 동영상을 이용한 다수 사용자 간 인터랙티브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2283779B1 (ko) * 2019-07-18 2021-07-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질의 응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102256182B1 (ko) 2020-07-15 2021-05-2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 원격 강의용 자동 질의응답 챗봇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688B1 (ko) * 2017-10-23 2018-07-12 넷마블 주식회사 캠페인 노출 여부 판단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82798B1 (ko) * 2019-04-04 2021-07-27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079A (ko) 202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llins et al. Rethinking education in the age of technology: The digital revolution and schooling in America
US20190156691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trategic motion video
Carter Digital Humanities
Bruce Visualizing literacy: Building bridges with media
Chen et al. Towards supporting programming education at scale via live streaming
Raw et al. Adaptation Studies and Learning: New Frontiers
Afzali et al. A netnographic exploration of Iranian videogame players translation needs: the case of in-game texts
KR20160137384A (ko) 인터넷을 이용한 외국어 교육 콘텐츠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Taeger et al. Principles and practices of designing narrative distance for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s
Savola Video-based analysis of mathematics classroom practice: Examples from Finland and Iceland
Hooffacker Online Journalism: Copywriting and conception for the internet. A handbook for training and practice
KR102510209B1 (ko) 메타버스를 통한 선택적 토론 강의 플랫폼 서버
Marsh Researching Young Children's Literacy Practices In Online Virtual Worlds: Cyber-ethnography Multi-method Approaches
Hopkyns et al. Using avatars for digital role-playing to enhance fluency in the classroom
O’Shea ‘Something genuinely Norwegian’: cultural identity under the influence of American cinema in the found footage aesthetic of Trolljegeren/Trollhunter (2010)
Brusino ATD's 2020 Trends in Learning Technology
Liu Virtual Policing in English: A Trainee-centered Pedagogy for Web-mediated Curricular Learning and Field Training.
Fogarty 'What ever happened to breakdancing?': transnational b-boy/b-girl networks, underground video magazines and imagined affinities
White Rethinking social studies and history education: Social education through alternative texts
Pencle et al. To Be or Not To Be: The Nature and Extent of Identity Calculus among Accounting Professors from Underrepresented Backgrounds.
Hooffacker Presentation Forms and Multimodal Formats
Cooke et al. ‘Lebanon, The Youth Roll’: Experiencing conflict as a transcultural, transnational film language
Krutkowski The John Oliver effect: using political satire to encourage critical-thinking skills in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ppleford et al. Ubiquitous Learning
Rowe et al. The jounral of media litera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