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008B1 - 터치 액션을 수행하는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터치 액션을 수행하는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008B1
KR102510008B1 KR1020160085028A KR20160085028A KR102510008B1 KR 102510008 B1 KR102510008 B1 KR 102510008B1 KR 1020160085028 A KR1020160085028 A KR 1020160085028A KR 20160085028 A KR20160085028 A KR 20160085028A KR 102510008 B1 KR102510008 B1 KR 102510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strength
communication device
user terminal
beac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7141A (ko
Inventor
이재승
김영훈
이문식
박재우
신경철
이후성
천익재
최지연
권동승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JP2016136304A priority Critical patent/JP6879685B2/ja
Publication of KR20170007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04B5/0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터치 액션을 수행하는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이 개시된다. 개시된 사용자 단말은 통신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의 예상 수신 세기를 포함하는 비콘을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수신 세기 및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하며, 측정된 수신 세기가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통신 장치로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전송한다.

Description

터치 액션을 수행하는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COMMUNICATION METHOD FOR PERFORMING TOUCH AC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USER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아래의 설명은 터치 액션을 수행하는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웨어러블 장치, 모바일 기기, 태블릿 컴퓨터 등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닐 수 있는 휴대성이 높다. 사용자는 주변에 위치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등의 통신 장치에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켜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신 장치에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주변 통신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를 선택하고, 연결 버튼을 누르는 등 일련의 번거로운 조작이 요구된다. 더욱이, 사용자 단말은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작은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가지는데, 이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을 주변의 통신 장치에 손쉽게 연결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통신 장치의 연결 허용 범위 내로 사용자 단말을 가져가는 것만으로도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 설정(association establishment)를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키고자 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나 키오스크 등의 통신 장치를 선택하는 일련의 조작 없이 사용자 단말을 해당 통신 장치에 근접하게 이동시키는 터치 액션(touch action)만으로도 손쉽게 통신 장치와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근접거리 통신에서 연결 설정 및 종료를 사용자의 개입 없이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 방법은 통신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의 예상 수신 세기를 포함하는 비콘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 및 상기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가 상기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장치로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 전송된 비콘의 전송 세기 및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path loss)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의 송신 전력(TX power), 안테나 이득(antenna gain), 케이블 손실(cable loss) 및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 및 상기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안테나 이득 및 케이블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수신 세기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예상 수신 세기를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와 비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은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가 상기 예상 수신 세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다음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다음 프레임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다음 프레임의 수신 세기 및 상기 다음 프레임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비콘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을 포함하고,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수신된 비콘의 Expected RSSI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비콘에서 1dB의 resolution으로 +30 dBm부터 -226 dBm 사이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연결 요청이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됨에 따라 설정(establish)된 상기 통신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은,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비콘에 포함된 ATP(association timeout period)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종료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가 수행하는 통신 방법은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의 예상 수신 세기를 포함하는 비콘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 및 상기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가 상기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안테나 이득 및 케이블 손실에 기초하여 보정된 예상 수신 세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 전송된 비콘의 전송 세기 및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의 송신 전력, 안테나 이득, 케이블 손실 및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은 상기 비콘에 포함된 ATP(association timeout period)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은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의 예상 수신 세기를 포함하는 비콘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 및 상기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로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측정된 비콘의 수신 세기가 상기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 전송된 비콘의 전송 세기 및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안테나 이득 및 케이블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수신 세기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예상 수신 세기를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와 비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가 상기 예상 수신 세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다음 프레임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다음 프레임의 수신 세기 및 상기 다음 프레임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비콘을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비콘에 통신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의 예상 수신 세기를 포함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을 수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가 상기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통신 장치의 연결 허용 범위 내로 사용자 단말을 가져가는 것만으로도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 설정(association establishment)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키고자 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나 키오스크 등의 통신 장치를 선택하는 일련의 조작 없이 사용자 단말을 해당 통신 장치에 근접하게 이동시키는 터치 액션(touch action)만으로도 손쉽게 통신 장치와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근접거리 통신에서 연결 설정 및 종료를 사용자의 개입 없이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통신 장치에 접근함에 따라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설정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에서 결정된 예상 수신 세기가 사용자 단말에서 보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비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이 종료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전력 절감(power save)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들은 통신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스마트 폰, 웨어러블 장치, 모바일 기기, 태블릿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스마트 가전 기기, 키오스크(kiosk), 지능형 자동차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은 스마트 폰, 모바일 기기, 웨어러블 장치 등에서 통신을 수행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110) 및 통신 장치(110)로부터 다양한 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이 도시되어 있다.
통신 장치(110)는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HRCP PNC(High Rate Close Proximity Coordinator), PPC(Point-to-Point Coordinator) 장치, 키오스크, 지불 단말, 티켓 게이트(ticket gate), 액세스 포인트(A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10)는 P2P(peer to peer)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통신 장치(110)는 통신 가능 범위(111) 및 연결 허용 범위(112)를 가질 수 있다. 통신 가능 범위(111)는 통신 장치(110)로부터 전송된 비콘이 유효하게 사용자 단말로 수신될 수 있는 범위 혹은 물리적으로 통신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이 통신을 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통신 장치(110)로부터 최대 10cm 거리로 이격된 영역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통신 장치(110)는 통신 가능 범위(111)와 별도로 연결 허용 범위(112)를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연결 허용 범위(112)는 통신 장치(110)로의 통신 연결 설정 시작이 허용되는 범위를 의미하고, 통신 가능 범위(111)보다 좁은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연결 허용 범위(112)는 통신 장치(110)에서 설정되고, 예를 들어, 통신 장치(110)로부터 최대 1cm 거리로 이격된 영역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연결 허용 범위(112) 내에서만 연결 설정을 개시하며, 연결이 설정된 이후에는 통신 가능 범위(111) 내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 장치(11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단말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웨어러블 장치, 모바일 기기, 태블릿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은 통신 장치(110)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110)와의 통신이 허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이 통신 장치(110)에 가까워짐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과 통신 장치(110) 간의 통신 연결이 설정되는 과정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20-1)은 통신 가능 범위(111)를 벗어나 위치하는 단말로, 통신 장치(110)로부터의 비콘을 유효하게 수신할 수 없다. 그래서, 사용자 단말(120-1)은 통신 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
사용자 단말(120-2)은 통신 가능 범위(111) 내에 위치하는 단말로, 통신 장치(110)로부터 비콘을 유효하게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120-2)이 연결 허용 범위(112) 내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사용자 단말(120-2) 및 통신 장치(110) 간의 통신 연결이 허용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120-3)은 통신 가능 범위(111) 내에 위치하는 단말로, 통신 장치(110)로부터 비콘을 유효하게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3)은 연결 허용 범위(112) 내에도 위치하므로, 사용자 단말(120-3) 및 통신 장치(110) 간의 통신 연결이 허용될 수 있다.
통신 가능 범위(111)뿐만 아니라 연결 허용 범위(112)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120-3)에 대해서만 통신 연결을 허용하기 위해, 통신 장치(110)는 비콘에 연결 트리거 임계 정보(connection trigger threshold information)를 포함시켜 주변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10)는 연결 허용 범위(112)의 경계에서 수신되는 비콘의 예상 수신 세기를 연결 트리거 임계 정보로 비콘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은 통신 장치(110)로부터 전송된 비콘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수신 세기와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이 연결 허용 범위(112)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해당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이 연결 허용 범위(112)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은 통신 장치(110)로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전송함으로써, 통신 장치(110)와의 연결을 트리거(trigger)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 방식은 터치 액션(touch action)이라고 지칭되고, 연결 허용 범위(112)의 거리를 터치 액션 제한 거리라고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과 통신 장치(110) 간의 연결 설정(association establishment)이 수행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110) 및 사용자 단말(120)에서 수행되는 통신 방법이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10) 및 사용자 단말(120) 각각은 통신부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01)에서, 통신 장치(110)는 통신 장치(110)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의 예상 수신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결정된 거리는 도 1의 통신 장치(110)로부터 연결 허용 범위(112)의 경계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통신 장치(110)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는 도 1의 연결 허용 범위(112)의 경계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통신 장치(110)에서 결정된 예상 수신 세기는 예상 RSSI(Expected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10)는 통신 장치(110)에서 전송되는 비콘의 전송 세기 및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path loss)에 기초하여 예상 수신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장치(110)는 통신 장치(110)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사용자 단말(120)에서 감지되는 비콘의 수신 세기를 실험적으로 측정하고, 실제 실험적으로 측정된 값을 예상 수신 세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예상 수신 세기가 통신 장치(110)에서 전송된 비콘의 전송 세기 및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예시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러한 설명이 실험적인 측정된 값을 예상 수신 세기로 결정하는 예시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단계(202)에서, 통신 장치(110)는 예상 수신 세기를 비콘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한다. 이 때, 통신 장치(110)는 예상 수신 세기가 포함된 비콘을 일정한 주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203)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통신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비콘의 수신 세기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은 수신한 비콘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값을 수신 세기로 측정할 수 있다.
단계(204)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측정된 수신 세기 및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한다. 사용자 단말(120)은 측정된 수신 세기가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가 통신 장치(110)의 연결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120)에서 측정된 비콘의 수신 세기는 예상 수신 세기보다 작게 된다. 이와 같이 측정된 수신 세기가 예상 수신 세기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통신 장치(110)의 연결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통신 장치(110)로부터 다음 비콘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통신 장치(110)로부터 다음 비콘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120)은 단계(203) 및 단계(204)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측정된 수신 세기가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계(205)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통신 장치(11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 통신 장치(110)의 연결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20)에서 측정된 비콘의 수신 세기는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게 되고, 이 때, 사용자 단말(120)은 통신 장치(11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통신 장치(110)와의 연결을 트리거할 수 있다.
단계(206)에서, 통신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전송된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120)로 연결 응답(association response)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전송된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120)로 연결 요청에 대한 ACK(acknowledgement)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된 통신 방법을 통해, 사용자 단말(120)이 통신 장치(110)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하여 비콘을 유효하게 수신하더라도 통신 장치(110)로 연결이 요청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120)이 통신 장치(110)의 연결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할 경우에만 통신 장치(110)로의 연결이 요청될 수 있다. 즉, 통신 장치(110)와 통신 장치(110)의 연결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20) 간의 연결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통신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120) 간의 연결 설정이 수행된 경우, 사용자 단말(120)이 연결 허용 범위를 벗어나더라도 통신 가능 범위 내에만 위치하면, 통신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120) 간의 연결 설정이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통신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120) 간의 연결 설정이 수행되더라도, 해당 사용자 단말(120)이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통신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120) 간의 연결 설정이 종료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통신 장치에 접근함에 따라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설정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110)를 기준으로 다양한 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들(120-1, 120-2, 120-3)이 도시된다.
사용자 단말(120-1)은 통신 장치(110)을 중심으로 설정된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 위치하는 단말을 나타내고, 이 경우, 사용자 단말(120-1)은 통신 장치(110)로부터 비콘을 유효하게 수신하지 못한다. 따라서, 통신 장치(110) 및 사용자 단말(120-1) 간의 연결 설정이 수행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120-2)은 사용자 단말(120-1)이 통신 장치(110)로 접근함에 따라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말을 나타낸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120-2)은 여전히 연결 허용 범위 내에는 위치하지 못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20-2)은 통신 장치(110)로부터 비콘을 유효하게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2)은 측정된 수신 세기와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할 수 있고, 측정된 수신 세기가 예상 수신 세기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2)은 측정된 수신 세기가 예상 수신 세기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통신 장치(110)로부터 다음 비콘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3)은 사용자 단말(120-2)이 통신 장치(110)로 더 접근함에 따라 연결 허용 범위의 경계 또는 연결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말을 나타낸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20-3)은 통신 장치(110)로부터 비콘을 유효하게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3)은 측정된 수신 세기와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할 수 있고, 측정된 수신 세기가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3)은 측정된 수신 세기가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통신 장치(11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3)로부터의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120-3)로 연결 응답을 전송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통신 장치(110) 및 사용자 단말(120-3) 간의 연결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에서 결정된 예상 수신 세기가 사용자 단말에서 보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120)이 도시된다.
통신 장치(110)는 통신 장치(110)에서의 송신 전력(TX power)
Figure 112016065149668-pat00001
, 안테나 이득(antenna gain)
Figure 112016065149668-pat00002
, 케이블 손실(cable loss)
Figure 112016065149668-pat00003
을 이용하여 EIRP(Effective Isotropically Radiated Power)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전력
Figure 112016065149668-pat00004
은 통신 장치(110)의 RF단에서 출력되는 비콘의 전력을 의미한다. 그리고, 통신 장치(110)는 EIRP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
Figure 112016065149668-pat00005
을 뺌으로써 예상 수신 세기
Figure 112016065149668-pat00006
를 계산할 수 있다. 경로 손실
Figure 112016065149668-pat00007
은 비콘의 전송 거리에 따라 발생하는 손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미리 결정된 거리가 증가할수록 해당 전송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
Figure 112016065149668-pat00008
도 함께 증가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통신 장치(110)에서는 예상 수신 세기
Figure 112016065149668-pat00009
를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6065149668-pat00010
즉, 통신 장치(110)는 송신 전력
Figure 112016065149668-pat00011
, 안테나 이득
Figure 112016065149668-pat00012
, 케이블 손실
Figure 112016065149668-pat00013
, 경로 손실
Figure 112016065149668-pat00014
에 기초하여 예상 수신 세기
Figure 112016065149668-pat00015
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에서는 비콘을 수신하고, 수신한 비콘의 수신 세기
Figure 112016065149668-pat00016
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20)에서 측정된 비콘의 수신 세기
Figure 112016065149668-pat00017
는 사용자 단말(120)에서의 안테나 이득
Figure 112016065149668-pat00018
, 케이블 손실
Figure 112016065149668-pat00019
이 포함되어 측정된 결과이다. 따라서, 측정된 비콘의 수신 세기와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할 때, 사용자 단말(120)에서의 안테나 이득
Figure 112016065149668-pat00020
, 케이블 손실
Figure 112016065149668-pat00021
을 고려해야 한다.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20)에서의 안테나 이득
Figure 112016065149668-pat00022
, 케이블 손실
Figure 112016065149668-pat00023
을 고려하여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20)은 예상 수신 세기에서 안테나 이득
Figure 112016065149668-pat00024
을 더하고 케이블 손실
Figure 112016065149668-pat00025
을 뺌으로써, 예상 수신 세기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20)은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보정된 예상 수신 세기를 측정된 비콘의 수신 세기
Figure 112016065149668-pat00026
와 비교할 수 있다.
Figure 112016065149668-pat00027
상술된 방법으로 비콘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120)이 연결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비록, 보정된 예상 수신 세기와 측정된 비콘의 수신 세기와 비교할 때, 안테나 이득 또는 케이블 손실 등에 오차가 존재하고 페이딩 채널(fading channel)로 인한 추정 오차(estimation error)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오차가 존재하더라도 그 영향은 미미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비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비콘(500)이 도시된다.
통신 장치는 예상 수신 세기를 나타내는 Expected RSSI(510)을 비콘(500)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xpected RSSI(510)는 1 dB의 resolution을 가지며, +30 ~ -226 dBm의 범위로 비콘에 나타나도록 설정될 수 있다.
Expected RSSI(510)이 비콘(500)에 포함되어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Expected RSSI(510)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비콘의 Expected RSSI(510)이 특정 값(예를 들어, "0")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비콘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에 상관없이 항상 연결 요청을 통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 액션이 비활성화(disable)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은 통신 장치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는 위치하여야 한다.
또한, 비콘(500)에는 Recommend ATP(association timeout period)(520)가 포함될 수 있다. Recommend ATP는 통신 장치에서 추천된 ATP 길이 값(ATP length value)을 포함하고, 1ms의 resolution을 가지며, 0~65535 ms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ATP는 0~500ms 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Recommend ATP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5의 비콘(500)에서는 Expected RSSI(510)가 1 octet을 가지고, Recommend ATP(520)가 2 octet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비콘(500)에는 연결 트리거 임계 정보에 해당하는 Expected RSSI(510)뿐만 아니라 단선 임계 정보(disconnection threshold information)도 포함될 수 있다. 단선 임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통신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제2 거리보다 멀리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과 통신 장치 간의 연결이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 또는 ack 프레임(예컨대,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 설정이 수행된 후 통신 장치에서 전송되는 제2 비콘)에 단선 임계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해당 프레임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은 해당 프레임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프레임의 수신 세기와 단선 임계 정보에 포함된 제2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측정된 프레임의 수신 세기가 제2 예상 수신 세기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 단말은 통신 장치와 미리 결정된 제2 거리보다 멀리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통신 장치와의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반대로, 측정된 프레임의 수신 세기가 제2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사용자 단말은 통신 장치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이 종료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110)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20-3) 및 통신 불가 범위로 이동한 사용자 단말(120-1)이 도시된다.
사용자 단말(120-3)은 통신 장치(110)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한 단말로서, 사용자 단말(120-3) 및 통신 장치(110) 간의 연결은 유효할 수 있다. 이 때, 통신 장치(110)에서 사용자 단말(120-3)로 전송되는 비콘은 ATP를 포함할 수 있다. ATP는 사용자 단말(120-3)이 통신 장치(110)에 연결될 때 통신 장치(110) 및 사용자 단말(120-3) 간의 협상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통신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3)로부터 ATP에 지정된 시간 동안 아무런 데이터를 전송 받지 못한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120-3)과의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이러한 일례로, 사용자 단말(120-3)이 통신 장치(11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1)은 통신 불가 범위에 위치하게 되고, 이 경우, 사용자 단말(120-1)은 통신 장치(110)로 어떠한 데이터도 전송하지 못하게 되고, 통신 장치(110)는 ATP 동안 사용자 단말(120-1)로부터 데이터를 받지 못하면 사용자 단말(120-1)과의 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1)이 통신 불가 범위 내로 이동한 경우에 해당 사용자 단말(120-1)과의 연결을 신속히 종료하기 위해서는, ATP 값이 작아야 한다. 만약 ATP 값이 충분히 작지 않아 통신 불가 범위 내로 이동한 사용자 단말(120-1)과의 통신이 신속히 종료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120-1)이 통신 불가 범위에 진입한 후에도 해당 사용자 단말(120-1)의 세션이 지속되고, 이 때 다른 단말이 통신 장치(110)과의 연결 설정 후 지속되는 세션을 계속 이용할 수 있는 취약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취약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ATP 값은 충분히 작아야 한다(예를 들어, 0~500ms의 ATP 값).
다른 일례로,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120-3)과 통신 장치(110) 간에 상호 교환되는 프레임이 일시적으로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 단말(120-3)과 통신 장치(11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전력 절감 모드(power save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ATP보다 긴 시간 동안 전력 절감 모드로 동작할 경우, 전력 절감 모드 도중 사용자 단말(120-3)과 통신 장치(110) 간의 연결이 종료되어 버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ATP의 시간 구간보다 전력 절감 모드의 시간 구간이 짧게 설정되어야 한다. 다만, ATP의 시간 구간이 필요 이상으로 짧게 설정되면, 전력 절감 모드의 시간 구간이 더욱 짧아지게 되고, 오히려 전력 절감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ATP 값은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즉, 통신 장치(110) 및 사용자 단말(120-3)은 전력 절감 모드로 동작하더라도 ATP 값이 만료(expire)되기 전에 동시에 웨이크업(wake up) 해야 한다. 사용자 단말(120-3)은 웨이크업한 후 통신 장치(110)로 전송해야 할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 프로브 요청, ACK 등의 프레임을 전송하여, ATP가 만료되지 않고 지속되도록 하여야 한다.
사용자 단말(120-3)은 ATP가 만료되기 전에 주기적으로 프로브 요청, ACK 등의 keep alive frame을 통신 장치(110)로 전송함으로써 ATP를 짧게 설정함에 따라 발생하는 취약점을 방지하면서도 통신 장치(110)와의 세션을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ATP 값을 짧게 설정함으로써, 비콘 내에 ATP를 1 octet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비콘의 프레임 사이즈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사용자 단말(120-3)을 통신 장치(110)로부터 통신 불가 범위까지 이동하는데 소용되는 시간이 0.3 ~ 0.35초이고, 사용자 단말(120-3)을 통신 장치(110)로부터 통신 가능 범위의 경계까지 이동하는데 소용되는 시간이 0.2초라 가정하면, 사용자 단말(120-3)을 통신 장치(110)의 통신 가능 범위의 경계 근처에서 통신 가능 범위 밖으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0.1 ~ 0.15 초가 된다. 이 시간이 경과하면 연결 종료가 발생해야 하며, 상술된 케이스에서는 이를 위해 ATP가 127ms로 설정될 수 있고, 이 때, ATP는 1 octet으로 표현 가능하다. ATP 값은 각 제조사 경우의 서비스 환경이나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맞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연결 설정 이전 혹은 연결 설정 과정 중의 전력 절감(power save)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통신 불가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20-1) 및 연결 허용 범위 내로 이동한 사용자 단말(120-3)이 도시된다.
통신 불가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20-1)이 Touch action을 위해 통신 장치(110)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통신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비콘(710)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110)와의 연결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20-1)은 언제 단말이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될 지 알 수 없으므로 통신 불가 범위에 있을 때에도 항상 통신 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비콘(710)에 대한 수신 시도를 수행해야 한다. 다만, 지속적으로 wake up 상태를 유지하며 비콘(710)에 대한 수신 시도를 할 경우 많은 전력 소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20-1)은 전력 절감 모드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해당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그 구체적인 방법은 하기와 같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20-1)이 통신 가능 범위의 경계에서 통신 장치(110)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0.2초이고, 사용자 단말(120-1)을 연결 허용 범위의 경계에서 통신 장치(110)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0.02초라고 가정하면, 사용자 단말(120-1)이 통신 장치(110)에 도달하기 전까지 비콘(710)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0.2 - 0.02 = 0.18초 중 일회 이상 웨이크업 해야 한다. 즉, 사용자 단말(120-1)은 도 7에 도시된 웨이크업 구간에서 일회 이상 웨이크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번 웨이크업 하면 비콘 인터벌(beacon interval)만큼 웨이크업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1)은 통신 가능 범위 또는 연결 허용 범위 내에서 웨이크업하여 비콘(710)을 수신할 수 있다. 한 번 비콘(710)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20-1)은 웨이크업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비콘(710)을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710)의 수신 세기와 비콘(710)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함으로써 통신 장치(11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비콘 인터벌을 2ms로 가정하면, 사용자 단말(120-1)을 연결 허용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비콘 인터벌의 10배정도 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20-1)은 통신 장치(110)에 도달하기 전에 통신 장치(110)와 연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전력 절감 모드를 통해,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시간의 비율을 98~99%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810)를 기준으로 다양한 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들(820-1, 820-2, 820-3)이 도시된다.
앞서 설명한 통신 방법은 사용자 단말(120)이 통신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비콘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110)와의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패시브 스캐닝(passive scanning) 방식이었다면, 도 8에서는 사용자 단말(810-1, 810-2, 810-3)이 통신 장치(810)로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을 전송함으로써 통신 장치(810)와의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액티브 스캐닝(active scanning) 방식이 도시된다.
사용자 단말(820-1)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 위치하는 단말을 나타내고, 이 경우, 사용자 단말(820-1)은 연결 허용 범위만큼 전송할 수 있는 전력으로 프로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820-1)로부터 전송된 프로브 요청은 통신 장치(810)에 수신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820-2)은 사용자 단말(820-1)이 통신 장치(810)로 이동함에 따라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말을 나타낸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820-2)은 여전히 연결 허용 범위 내에는 위치하지 못한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연결 허용 범위만큼 전송할 수 있는 전력으로 사용자 단말(820-2)로부터 전송된 프로브 요청은 통신 장치(810)에 수신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820-3)은 사용자 단말(820-2)이 통신 장치(810)로 더 이동함에 따라 연결 허용 범위의 경계 또는 연결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말을 나타낸다. 이 경우, 연결 허용 범위만큼 전송할 수 있는 전력으로 사용자 단말(820-3)로부터 전송된 프로브 요청은 통신 장치(810)에 유효하게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장치(810)는 사용자 단말(820-3)로부터 수신한 프로브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820-3)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전송할 있다. 통신 장치(810)로부터 프로브 응답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820-3)은 현재 위치가 연결 허용 범위 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통신 장치(81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810)는 사용자 단말(820-3)로부터 수신한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820-3)로 연결 응답을 전송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통신 장치(810) 및 사용자 단말(820-3) 간의 연결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10: 통신 장치
111: 통신 가능 범위
112: 연결 허용 범위
120-1, 120-2, 120-3: 사용자 단말

Claims (19)

  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통신 장치와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예상 수신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와 상기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가 상기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큰 경우, 상기 통신 장치로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 및 상기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예상 수신 세기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예상 수신 세기 및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수학식 1]
    Figure 112022085446702-pat00036

    상기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22085446702-pat00037
    는 상기 예상 수신 세기이고,
    Figure 112022085446702-pat00038
    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안테나 이득이고,
    Figure 112022085446702-pat00039
    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케이블 손실이고, 상기 [수학식 1]의 결과는 상기 보정된 예상 수신 세기인,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비콘의 전송 파워(EIRP: Effective Isotropically Radiated Power) 및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path loss)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통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의 송신 전력(TX power), 안테나 이득(antenna gain), 케이블 손실(cable loss) 및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통신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가 상기 보정된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다음 비콘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다음 비콘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다음 비콘의 수신 세기 및 상기 다음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비콘에서 1dB의 분해능(resolution)으로 +30 dBm부터 -226 dBm 사이의 값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이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됨에 따라 수립(establish)된 상기 통신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은,
    상기 비콘에 포함된 ATP(association timeout period) 동안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종료되는, 통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으로부터 상기 ATP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을 지속시키기 위해 상기 ATP가 만료하기 전에 상기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TP의 분해능(resolution)은 1ms인, 통신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TP는 0ms 내지 65535ms 이내의 범위인, 통신 방법.
  11.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예상 수신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와 상기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하며,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가 상기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큰 경우,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예상 수신 세기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예상 수신 세기 및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를 비교하고,
    [수학식 1]
    Figure 112022085446702-pat00040

    상기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22085446702-pat00041
    는 상기 예상 수신 세기이고,
    Figure 112022085446702-pat00042
    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안테나 이득이고,
    Figure 112022085446702-pat00043
    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케이블 손실이고, 상기 [수학식 1]의 결과는 상기 보정된 예상 수신 세기이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신 장치로 상기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60085028A 2015-07-09 2016-07-05 터치 액션을 수행하는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 KR102510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36304A JP6879685B2 (ja) 2015-07-09 2016-07-08 タッチアクションを行う通信方法及び前記方法を行う通信装置及びユーザ端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021 2015-07-09
KR20150098021 2015-07-09
KR1020150127270 2015-09-08
KR20150127270 2015-09-08
KR20150147143 2015-10-22
KR1020150147143 2015-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141A KR20170007141A (ko) 2017-01-18
KR102510008B1 true KR102510008B1 (ko) 2023-03-15

Family

ID=5799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028A KR102510008B1 (ko) 2015-07-09 2016-07-05 터치 액션을 수행하는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510B1 (ko) * 2018-11-13 2019-10-23 주식회사 엘핀 단말의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429B1 (ko) * 2003-04-25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피코넷에 대한 디바이스의 결합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05252495A (ja) * 2004-03-02 2005-09-15 Fuji Xerox Co Ltd データ供給装置、データ処理装置、こ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83230B1 (ko) * 2008-08-06 2010-09-20 주식회사 세아네트웍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신호 세기 정보 획득 방법 및이를 구현한 기지국
JP5857756B2 (ja) * 2012-01-24 2016-02-10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近接判断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2193호 (2004.11.03.)*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8296호 (2010.02.17)*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52495호 (2005.09.15.)*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153281호 (2013.08.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141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6327B2 (en) Low energy wireless proximity pairing
US940801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749955B2 (en) Connectivity management for mobile wireless low-power wake-up radios
RU2618000C2 (ru) Совместимость между кбп и тбз
US9635690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proving security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9860680B2 (en) Automatic connection of bluetooth human interface devices
WO2022073155A1 (en) Beam repor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601830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connection latency
KR102209068B1 (ko)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을 재연결하는 방법
JP2015511454A (ja) アクティブ通信モードを用いるピア通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5519208A (zh) 用于估计无线设备的传送功率的方法和装置
KR20150132271A (ko) 소프트웨어-인에이블링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지능형 비커닝
US11785006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US20150098348A1 (en) Wireless communicat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apparatus
EP3130160B1 (en) Wireless docking/undocking using fine time measurement
US11632370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US20240098746A1 (en) Reduced sensing schemes for sidelink enhancement
KR102510008B1 (ko) 터치 액션을 수행하는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
US11785455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US11463958B2 (en) Communication device
JP6879685B2 (ja) タッチアクションを行う通信方法及び前記方法を行う通信装置及びユーザ端末
US20230362920A1 (en) Technologies For Uplink Gap Triggering And Operation
US20240023018A1 (en) Electronic device and integrated control method of time-averaged specific absorption rate and target wake time
EP4287699A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during uwb ranging, and method therefor
JP2021193768A (ja) 通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