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447B1 -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447B1
KR102509447B1 KR1020220122331A KR20220122331A KR102509447B1 KR 102509447 B1 KR102509447 B1 KR 102509447B1 KR 1020220122331 A KR1020220122331 A KR 1020220122331A KR 20220122331 A KR20220122331 A KR 20220122331A KR 102509447 B1 KR102509447 B1 KR 102509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mmon
case
motor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2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광진
양진우
이은택
정은영
김수주
신대건
송은화
신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피엔씨
Priority to KR1020220122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5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subsequent heating, i.e. with the air, given the required humidity in the central station, passing a heating element to achieve the require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Abstract

본 발명은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홀과 같은 공용부의 공기를 센서부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제습, 청정, 냉방, 및 제균하고, 열교환 효율 및 소음저감 효과가 우수한,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Antiviral Dehumidification Cleaning System For Common Part in Building}
본 발명은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홀과 같은 공용부의 공기를 센서부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제습, 청정, 냉방, 및 제균하고, 열교환 효율 및 소음저감 효과가 우수한,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계청 조사결과에 따르면 아파트 등 공동주택은 전체 주택의 약 80%에 해당할 만큼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공동주택이 보편화됨에 따라 로비, 엘리베이터홀 등 공용부에서의 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도 1은 공용부의 공기질 데이터에 관한 사항을 도시한다. 도 1(a)의 공용부별 시간대별 이산화탄소 농도와, 도 1(b)의 공용부별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에 따르면, 주간시간대(12:00)에는 외기 대비 공용부에서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약 9% 높게 나타나고, 공용부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아지는 퇴근시간대(18:30)에는 외기 대비 공용부에서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최대 14% 높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의 경우 외기 대비 1층 로비는 77 내지 82% 수준, 지하층·기준층 엘리베이터홀은 69 내지 76% 수준인 것을 볼 수 있다. 즉 공용부의 공간별 특성을 고려한 공기질 개선 대응이 필요하다. 예를들어, 지하주차장 최하층 엘리베이터홀은 하절기 제습이 중요하며, 1층 엘리베이터홀은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 제거가 중요하다.
공용부의 공간별 특성을 고려한 대응을 위하여 도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공동주택의 제습면적을 검토할 수 있다. 도 2는 서울의 한 아파트의 제습면적을 검토한 예시에 해당하며, 102동의 제습면적을 검토한 결과 지상1층 44m2, 지하3층 39m2, 지하2층 32m2, 지하3층 32m2가 도출된다. 도 3은 한국공기청정협회의 실내용 제습기 표준에 관한 사항으로, 도 3(a)는 서울 기준 정격 제습능력과 제습 적용면적을 나타내고, 도 3(b)는 정격 제습능력에 따른 소음기준을 나타낸다. 도 2에서 도출된 102동의 제습면적은 35L/day의 정격 제습능력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55DB이하의 소음기준이 요구된다.
한편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이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공동주택의 공용부에서의 감염사례가 잇따라 발생되고 있어 공용부의 공기 내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종래에는 엘리베이터홀과 같은 공용부에 제습, 냉방, 청정, 및 제균 장비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 원가 상승이 발생하며 관리 및 설치가 일원화되지 못하였고, 바이러스성 사회 이슈에 대한 공용부 제균 시스템이 전무함에 따라, 상기의 장비들을 모두 통합한 올인원(All-in-one)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홀과 같은 공용부의 공기를 센서부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제습, 청정, 냉방, 및 제균하고, 열교환 효율 및 소음저감 효과가 우수한,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으로서, 공용부에 설치되는 센서부; 및 피트층에 설치되고, 상기 공용부의 공기를 제습, 청정, 냉방, 및 제균하는 청정제습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청정제습장치는, 상기 공용부로부터 공기가 내부로 인입되는 환기구, 내부로 인입된 공기가 상기 공용부로 급기되는 급기구, 및 내부로 인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구가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냉동사이클을 구현하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상기 환기구의 하측에 배치되는 필터부; 상기 급기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환기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지나면서 냉각 및 제습되어 상기 공용부로 급기될 수 있도록 하는 제1모터; 상기 배기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환기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된 공기가 상기 응축기를 지나면서 가열되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모터; 및 사용자의 입력 혹은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청정제습장치가 제습, 냉방, 청정, 및 제균을 포함하는 1 이상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제1모터, 및 제2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청정제습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는 동작하지 않고 상기 제1모터, 및 제2모터는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환기구를 통해 상기 공용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필터부를 지나면서 바이러스가 제거되고, 상기 급기구를 통해 상기 공용부로 급기되고, 상기 환기구를 통해 상기 공용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필터부를 지나면서 부유물 혹은 미립자가 제거되고, 상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기본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청정제습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제1모터, 및 제2모터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환기구를 통해 상기 공용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필터부를 지나면서 바이러스가 제거되고, 상기 증발기를 지나면서 냉각 및 제습되고, 상기 급기구를 통해 상기 공용부로 급기되고, 상기 환기구를 통해 상기 공용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필터부를 지나면서 부유물 혹은 미립자가 제거되고, 상기 압축기 및 응축기를 지나면서 가열되고, 상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운전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정제습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신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공용부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및 초미세먼지농도 중 1 이상의 센싱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싱데이터수신부; 및 상기 입력수신부에서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청정제습장치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센싱데이터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센싱데이터와 기설정된 데이터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제1모터, 및 제2모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청정제습장치가 상기 센싱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운전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증발기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제1격벽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케이스의 측면측 방향 혹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제2격벽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결합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청정제습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하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되는 물을 수집하여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수시키는 드레인타공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타공판은,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타공판본체; 상기 타공판본체의 상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상판; 및 상기 타공판본체와 상기 타공판상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서, 상단은 상기 타공판본체와 상기 타공판상판이 결합되는 일측 지점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타공판본체의 내측 하부면의 일부에 결합되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타공판본체의 내측 하부면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앵글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유니트로 공기청정, 제습, 보조냉방 및 제균이 가능한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어, 설치비용을 절감시키고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주변의 공용부에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이 설치됨으로써, 바이러스의 전파경로를 차단하고 공용부의 공기를 제균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력값에 따른 수동운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청정제습장치에 내장 또는 별도로 설치된 센서를 통해 온도, 습도, 미세먼지 CO2농도를 센싱하여 이에 따른 자동운전이 가능한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은 운전제어부를 통해 상기 청정제습장치의 ON/OFF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입력 혹은 센싱데이터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센싱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의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공용부의 공기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정제습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에 의하여 냉동사이클이 구현됨에 따라, 청정제습장치가 제습 및 청정기능 뿐만 아니라 냉방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정제습장치가 사용자의 입력 혹은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어,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청정제습장치를 수동 혹은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정제습장치의 내부에 항바이러스 헤파필터가 구비되어 있어, 청정제습장치 동작시 공용부의 공기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를 제거하여 공기 중의 바이러스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필터부에 의하여 공용부의 공기 내에 포함되어 있는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공용부의 공기 내에 포함되어 있는 바이러스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공용부의 공기를 냉각 및 제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있어 응축수가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청정제습장치에서의 열교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의 내측 하부면에 상면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드레인타공판이 배치되어 있어, 압축기 혹은 응축기로 인한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레인타공판에 수위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자연배수가 가능한 구조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레인타공판의 내측에 앵글플레이트가 배수홀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됨에 따라, 드레인타공판의 상측에서 떨어지는 물을 배수홀 측으로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여 배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의 일부에 필터부를 점검할 수 있는 필터점검구가 구비됨에 따라, 청정제습장치 고장시 필터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공용부의 공기질 데이터에 관한 사항을 도시한다.
도 2는 공동주택의 제습면적 검토에 관한 사항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한국공기청정협회의 실내용 제습기 표준에 관한 사항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의 설치도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정제습장치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타공판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정제습장치에서의 공기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정제습장치가 기본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일 때의 냉매 및 공기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정제습장치가 운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일 때의 냉매 및 공기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의 중앙제어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종래에는 엘리베이터홀과 같은 공용부에 제습, 냉방, 청정, 및 제균 장비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 원가 상승이 발생하며 관리 및 설치가 일원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이러스성 사회 이슈에 대한 공용부 제균 시스템이 전무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용부의 공기를 제습, 냉방, 청정, 및 제균하기 위한 장비를 하나의 유니트로 통합한 올인원 시스템을 제공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1)으로서, 피트층에 청정제습장치(2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에 필터부(280) 및 냉매에 의한 냉동사이클을 구현할 수 있는 압축기(230), 응축기(240), 및 증발기(250)가 배치되어 있어, 공용부의 공기가 상기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에 제균, 제습, 및 냉각되어 다시 상기 공용부로 공급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1)은 공용부에 센서부(10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공용부의 공기질을 센서부(100)에서 센싱하고 센싱값에 기초하여 청정제습장치(200)를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관련 분야의 원천 기술에 해당하는 것으로, 하나의 유니트로 공기청정, 제습, 보조냉방 및 제균이 가능한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1)을 구현할 수 있어, 설치비용을 절감시키고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주변의 공용부에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1)이 설치됨으로써, 바이러스의 전파경로를 차단하고 공용부의 공기를 제균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공용부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전유부분 외의 건물부분에 해당하며, 예를들어 1층 로비, 엘리베이터홀, 복도, 및 계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1)의 설치도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1)은, 공용부에 설치되는 센서부(100); 및 피트층에 설치되고, 상기 공용부의 공기를 제습, 청정, 냉방, 및 제균하는 청정제습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는 도 4에서와 같이 상측부분에 환기디퓨져(300) 및 급기디퓨져(400)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환기디퓨저를 통해 공용부의 공기를 내부로 인입할 수 있고, 내부로 인입된 공용부의 공기의 일부를 상기 급기디퓨저를 통해 다시 공용부로 급기할 수 있다. 이러한 연통구조에 의하여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는 내부로 인입된 공용부의 공기의 일부를 제습, 냉방, 및 청정시키고 상기 공용부의 공기 내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어, 공용부의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환기디퓨져(300) 및 상기 급기디퓨져(400) 각각은 일단이 피트층의 내부에서 상기 청정제습장치(200)의 상측부분과 결합되고, 상기 피트층으로부터 천정내부까지 배관이 연장되어 타단이 공용부의 천정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공용부 측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환기디퓨져(300)의 일단의 지름은 150 내지 250 밀리미터, 바람직하게는 200 밀리미터이고, 상기 환기디퓨져(300)의 타단의 지름은 100 내지 200 밀리미터, 바람직하게는 150 밀리미터이고, 상기 급기디퓨져(400)의 일단 및 타단의 지름은 100 내지 200 밀리미터, 바람직하게는 150 밀리미터이다.
또한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는 도 4에서와 같이 상측부분에 배기관(500)이 결합되어 있어, 내부로 인입된 공용부의 공기의 다른 일부를 상기 배기관(500)을 통해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이러한 연통구조에 의하여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는 내부로 인입된 공용부의 공기의 다른 일부를 압축기(230) 혹은 응축기(240)를 지나면서 상호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압축기(230) 혹은 응축기(24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배기관(500)은 일단이 피트층의 내부에서 상기 청정제습장치(200)의 상측부분과 결합되고, 천정내부에서 상기 피트층으로부터 외벽까지 배관이 연장되어 타단이 외벽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외부 측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기관(500)의 일단 및 타단의 지름은 100 내지 200 밀리미터, 바람직하게는 150 밀리미터이다.
또한 배수관(600)은 일단이 피트층의 내부에서 상기 청정제습장치(200)의 하측부분과 결합되고, 피트층으로부터 급배수설비(미도시)까지 배관이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급배수설비 측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센서부(100)는 도 4에서와 같이 공용부의 천정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용부의 공기질을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100)는 온습도센서(110), 먼지센서(120), CO2센서(130), 및 초미세먼지센서(140)를 포함하고, 상기 공용부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및 초미세먼지농도 중 1 이상을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00)는 벽부형 센서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0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상기 센서부(100)는 센싱된 상기 공용부의 온도, 습도, 및 초미세먼지농도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센싱데이터를 제어부(290)로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29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청정제습장치(200)가 자동으로 운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는, 상기 공용부로부터 공기가 내부로 인입되는 환기구(211), 내부로 인입된 공기가 상기 공용부로 급기되는 급기구(212), 및 내부로 인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구(213)가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케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0)는 청정제습장치(200)의 외부면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전체적으로 상기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구성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210)는 상측부분에 환기구(211), 급기구(212), 및 배기구(2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기구(211)는 환기디퓨져(300)의 일단과 결합되고, 상기 급기구(212)는 급기디퓨져(400)의 일단과 결합되고, 상기 배기구(213)는 배기관(500)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10)는 일측면의 하측부분에 배수구(21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구(218)는 상기 배수관(600)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환기구(211)의 지름은 150 내지 250 밀리미터이고, 상기 급기구(212) 및 배기구(213) 각각의 지름은 100 내지 200 밀리미터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기구(211)의 지름은 200 밀리미터이고, 상기 급기구(212) 및 배기구(213) 각각의 지름은 150 밀리미터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210)는 내부에 복수의 격벽(215, 216, 217)이 배치되어 있어, 상기 환기구(211)를 통해 인입되는 공용부의 공기의 일부가 상기 급기구(212) 측 공간에 수용되거나, 상기 환기구(211)를 통해 인입되는 공용부의 공기의 다른 일부가 상기 배기구(213) 측 공간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격벽과 제2격벽의 사이, 및 제2격벽과 제3격벽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필터부(28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10)는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정면의 일부에 필터점검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점검구는 후술하는 필터부(280)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터 교체 시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를 전체적으로 분해하지 않더라도 상기 필터점검구를 통해 용이하게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스(210)의 일부에 필터부(280)를 점검할 수 있는 필터점검구가 구비됨에 따라, 청정제습장치(200) 고장시 필터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1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정면의 일부에 제어부(290)가 거치될 수 있는 박스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스홀은 상기 케이스(210)의 외부에서 제어부(290)를 점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어부(290)는 PCB 박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210)는 700 내지 800mm의 가로(W), 400 내지 500mm의 세로(D), 및 300 내지 400mm의 높이(H)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50mm의 가로(W), 470mm의 세로(D), 및 350mm의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는,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서 냉동사이클을 구현하는 압축기(230), 응축기(240), 증발기(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230), 응축기(240), 증발기(250)는 냉매의 흐름에 의하여 냉동사이클을 구현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도 6에서는 상기 압축기(230)의 도시를 편의상 생략했으나, 상기 압축기(230)는 본 발명의 상기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에서 상기 배기구(213)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기(230)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압축기(230)의 구성에 상응한다.
상기 응축기(240)는 상기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에서 상기 환기구(211)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응축기(240)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응축기(240)의 구성에 상응한다.
상기 증발기(250)는 상기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에서 상기 급기구(212)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증발기(250)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증발기(250)의 구성에 상응하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증발기(250)는,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서 상단은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구비된 제1격벽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케이스(210)의 측면측 방향 혹은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구비된 제2격벽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결합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증발기(250)의 상단이 상기 제1격벽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증발기(250)의 하단이 후술하는 드레인타공판(270)의 상측에서 상기 제2격벽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결합되는 형태로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증발기(250)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증발기(250)에서 발생되는 물이 보다 용이하게 하측으로 떨어질 수 있고 냉매와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기 청정제습장치(200)가 별도의 팽창밸브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냉동사이클을 구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발기(250)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있어 응축수가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청정제습장치(200)에서의 열교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는 상기 응축기(240)와 상기 증발기(250)의 사이에 배치되는 모세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모세관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팽창밸브에 상응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즉 본 발명의 청정제습장치(200)는 증발기(250)의 배치 형태에 의하여 별도의 팽창밸브 없이도 냉매에 의한 냉각사이클을 구현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모세관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230), 응축기(240), 및 증발기(250)에 의하여 냉동사이클이 구현됨에 따라, 청정제습장치(200)가 제습 및 청정기능 뿐만 아니라 냉방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는, 상기 환기구(211)의 하측에 배치되는 필터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280)는 본 발명의 청정제습장치(200)가 공용부의 공기 내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서 상기 급기구(212) 측으로 이동하는 공기가 지나는 통로에 배치되는 제1필터(281); 및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서 상기 배기구(213) 측으로 이동하는 공기가 지나는 통로에 배치되는 제2필터(2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281)는 항바이러스 헤파필터를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공용부의 공기를 제균할 수 있는 필터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필터(281)는 프리필터, 카본필터, 및 항바이러스 헤파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로 인입된 공용부의 공기를 제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에 항바이러스 헤파필터가 구비되어 있어, 청정제습장치(200) 동작시 공용부의 공기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를 제거하여 공기 중의 바이러스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282)는 프리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213) 측에 배치되는 후술하는 제2모터(260)를 보호할 수 있는 필터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필터(282)는 프리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로 인입된 공용부의 공기 내에 포함된 부유물 혹은 미립자를 제거하여 제2모터(260)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는, 상기 급기구(212)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환기구(211)를 통해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로 인입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250)를 지나면서 냉각 및 제습되어 상기 공용부로 급기될 수 있도록 하는 제1모터(220); 및 상기 배기구(213)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환기구(211)를 통해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로 인입된 공기가 상기 응축기(240)를 지나면서 가열되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모터(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는 300 내지 400CMH의 풍량을 구현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50CMH의 풍량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는 댐퍼 일체형 모터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220)는 공용부와 청정제습장치(200)의 사이에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제1모터(220)가 동작하는 경우에, 공용부의 공기는 환기디퓨져(300) 및 환기구(211)를 통해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고, 상기 공용부의 공기의 일부는 급기구(212) 측 공간에 수용되어 증발기(250)를 지나면서 냉각 및 제습되고, 급기구(212) 및 급기디퓨져(400)를 통해 다시 공용부로 배기될 수 있다.
상기 제2모터(260)는 상기 제1모터(220)와 상응하게 공용부와 청정제습장치(200)의 사이에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2모터(260)가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제1모터(220)와 상응하게 상기 공용부의 공기가 환기디퓨져(300) 및 환기구(211)를 통해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으나, 상기 제1모터(220)와는 다르게 상기 공용부의 공기의 다른 일부가 배기구(213) 측 공간에 수용되어 응축기(240)를 지나면서 가열되고, 배기구(213) 및 배기관(500)을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는, 사용자의 입력 혹은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청정제습장치(200)가 제습, 냉방, 청정, 및 제균을 포함하는 1 이상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압축기(230), 응축기(240), 증발기(250),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90)는 청정제습장치(20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는 사용자가 동작모드를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된 동작모드에 따라 기본모드 혹은 운전모드로 수동동작할 수 있고, 센서부(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모드가 기본모드 및 운전모드 중 하나로 자동선택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청정제습장치(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청정제습장치(200)가 선택된 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90)의 내부구성 및 상기 청정제습장치(200)의 동작모드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에서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청정제습장치(200)가 사용자의 입력 혹은 센서부(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어,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청정제습장치(200)를 수동 혹은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는, 상기 케이스(210)의 내측 하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250)로부터 발생되는 물을 수집하여 상기 케이스(210)에 구비된 배수구(218)를 통해 외부로 배수시키는 드레인타공판(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타공판(270)은 상기 증발기(250)로부터 발생되는 물을 수집하기 위해서, 상기 증발기(25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드레인타공판(270)은 증발기(250)에서 발생되는 물을 수집하여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로 배수시키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드레인타공판(27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24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축기(240)는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241); 및 상기 프레임(241)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응축배관(2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응축기(240)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을 통해 상기 복수의 응축배관(242) 각각이 복수의 지점에서 접촉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응축기(240)는 상기 복수의 응축배관(242)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가 주변의 공기와 상호 열교환될 수 있는데, 상기 냉매는 비교적 과열된 상태로서 상기 응축기(240)의 주변의 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다. 가열된 응축기(240) 주변의 공기는 상기 제2모터(260)가 동작함에 따라 배기구(213) 측 내부공간으로 수용되는 공용부의 공기의 다른 일부에 의하여 배기구(213)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타공판(27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드레인타공판(270)은,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타공판본체(271); 상기 타공판본체(271)의 상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관통홀(272.1)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상판(272); 및 상기 타공판본체(271)와 상기 타공판상판(272)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서, 상단은 상기 타공판본체(271)와 상기 타공판상판(272)이 결합되는 일측 지점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타공판본체(271)의 내측 하부면의 일부에 결합되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타공판본체(271)의 내측 하부면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앵글플레이트(2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타공판(270)은 청정제습장치(200)의 증발기(250)에서 발생되는 물을 수집하여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로 배수시키는 구성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공판본체(271), 타공판상판(272), 및 앵글플레이트(273)가 결합되어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공판본체(271)는 상측에서 공급되는 물을 실질적으로 수집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타공판본체(271)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드레인타공판(270)이 청정제습장치(200)의 내측 하부면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경우에 청정제습장치(200)의 케이스(210)에 의하여 측면이 막히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물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판본체(27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배수홀(27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측면은 배수구(218)가 형성된 케이스(210)의 일측면과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홀(271.1)은 상기 배수구(218)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공판상판(272)은 드레인타공판(270)의 상면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전체적으로 복수의 제1관통홀(272.1) 및 제2관통홀(272.2)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복수의 제1관통홀(272.1)은 일종의 통로의 역할을 하여, 상측에서 떨어지는 물이 상기 타공판본체(271)의 내측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제2관통홀(272.2)은 상기 복수의 제1관통홀(272.1)과 유사하게 일종의 통로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수위센서가 거치되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타공판본체(271)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센싱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하며, 상기 드레인타공판(270)에 수위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자연배수가 가능한 구조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관통홀(272.1) 및 제2관통홀(272.2)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상판(272)이 상기 드레인타공판(270)의 상면을 이루고 상기 드레인타공판(270)이 청정제습장치(200)의 내측 하부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드레인타공판(270)은 상기 청정제습장치(200)의 하측으로 전달될 수 있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는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230) 혹은 응축기(240)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청정제습장치(200)가 설치된 피트층의 하측으로 상기 소음이 전달되어 공동주택을 이용하는 거주자가 불편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면에 상기 복수의 제1관통홀(272.1) 및 제2관통홀(272.2)이 형성되어 있는 드레인타공판(270)을 청정제습장치(200)의 내측 하부면에 배치하였다. 이러한 배치는 상기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복수의 제1관통홀(272.1) 및 제2관통홀(272.2)을 통해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배치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스(210)의 내측 하부면에 상면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드레인타공판(270)이 배치되어 있어, 압축기(230) 혹은 응축기(240)로 인한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앵글플레이트(27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타공판본체(271)의 내측 하부면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타공판상판(272)의 상측에서 떨어지는 물을 상기 타공판본체(271)의 배수홀(271.1) 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드레인탁오판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드레인타공판(270)의 내측에 앵글플레이트(273)가 배수홀(271.1)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됨에 따라, 드레인타공판(270)의 상측에서 떨어지는 물을 배수홀(271.1) 측으로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여 배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정제습장치(200)에서의 공기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청정제습장치(20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1)이 ON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290)는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부의 공기가 환기구(211)를 통해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고, 상기 공용부의 공기의 일부는 급기구(212)를 통해 다시 공용부로 급기될 수 있고, 상기 공용부의 공기의 다른 일부는 배기구(213)를 통해 외부로 배기됨으로써, 상기 공용부의 공기가 전체적으로 순환되면서 제균되어 다시 공용부로 급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1)이 ON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290)는 제1모터(220) 혹은 제2모터(260) 중 하나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동작되는 모터에 따라 공용부의 공기가 상기 공용부의 공기가 전체적으로 순환되면서 제균되어 다시 공용부로 급기되거나, 상기 공용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9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신부(291);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상기 공용부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및 초미세먼지농도 중 1 이상의 센싱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싱데이터수신부(292); 및 상기 입력수신부(291)에서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청정제습장치(2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센싱데이터수신부(292)에서 수신된 상기 센싱데이터와 기설정된 데이터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압축기(230), 응축기(240), 증발기(250),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청정제습장치(200)가 상기 센싱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운전제어부(2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수신부(291)는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별도로 구비된 컨트롤패널을 통해 상기 청정제습장치(200)의 동작모드(기본모드 혹은 운전모드)를 입력하거나, 운전모드 입력시 운전의 세기를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입력수신부(291)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센싱데이터수신부(292)는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상기 공용부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및 초미세먼지농도 중 1 이상의 센싱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습도센서(110), 먼지센서(120), CO2센서(130), 및 초미세먼지센서(140)를 포함하는 센서부(100)로부터 상기 센싱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운전제어부(293)는 상기 입력수신부(291) 혹은 상기 센싱데이터수신부(292)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를 실질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즉 상기 운전제어부(293)는 상기 입력수신부(291)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청정제습장치(200)를 수동방식으로 제어하거나, 상기 센싱데이터수신부(292)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청정제습장치(200)를 자동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전제어부(293)는 상기 입력수신부(291)에서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청정제습장치(2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1)을 ON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거나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를 기본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에, 상기 운전제어부(293)는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의 동작을 ON하고, 압축기(230), 응축기(240), 및 증발기(250)의 동작을 OFF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를 운전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에, 상기 운전제어부(293)는 제1모터(220), 제2모터(260), 압축기(230), 응축기(240), 및 증발기(250)의 동작을 ON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를 운전모드로 동작하되, 운전의 세기를 입력하는 경우에, 상기 운전제어부(293)는 제1모터(220), 제2모터(260), 압축기(230), 응축기(240), 및 증발기(250) 각각의 운전의 세기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1)은 상기 입력수신부(291)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운전제어부(293)를 통해 상기 청정제습장치(200)의 ON/OFF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운전의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290)를 구비함으로써, 공용부의 공기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전제어부(293)는 상기 센싱데이터수신부(292)에서 수신된 상기 센싱데이터와 기설정된 데이터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압축기(230), 응축기(240), 증발기(250),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청정제습장치(200)가 상기 센싱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전제어부(293)는, 상기 센싱데이터수신부(292)로부터 수신된 상기 센싱데이터와 기설정된 데이터값을 비교하여 현재상태값을 도출하는 현재상태값도출단계; 및 상기 현재상태값에 따라 상기 압축기(230), 응축기(240), 증발기(250),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현재상태값도출단계에서는, 센싱데이터수신부(292)에서 수신된 공용부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및 초미세먼지농도 중 1 이상의 센싱데이터와 기설정된 데이터값을 비교하여 현재상태값을 도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전제어부(293)는 상기 센싱데이터가 700ppm 이하의 이산화탄소농도 혹은 15ug/m3 이하의 초미세먼지농도를 포함하는 경우에 제1상태에 상응하는 현재상태값을 도출하고, 상기 센싱데이터가 701 내지 1000ppm의 이산화탄소농도 혹은 16 내지 35ug/m3의 초미세먼지농도를 포함하는 경우에 제2상태에 상응하는 현재상태값을 도출하고, 상기 센싱데이터가 1001 내지 1500ppm의 이산화탄소농도 혹은 36 내지 75ug/m3의 초미세먼지농도를 포함하는 경우에 제3상태에 상응하는 현재상태값을 도출하고, 상기 센싱데이터가 1501ppm 이상의 이산화탄소농도 혹은 76g/m3 이상의 초미세먼지농도를 포함하는 경우에 제4상태에 상응하는 현재상태값을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상태는 상기 제2상태보다 공기질이 비교적 좋은 상태에 해당하고,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제3상태보다 공기질이 비교적 좋은 상태에 해당하고, 상기 제3상태는 상기 제4상태보다 공기질이 비교적 좋은 상태에 해당한다. 즉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4상태로 갈수록 공기질이 점차 나빠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단계에서는, 상기 현재상태값에 따라 상기 압축기(230), 응축기(240), 증발기(250),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전제어부(293)는 상기 현재상태값도출단계에서 상기 현재상태값이 제1상태로 도출되는 경우에 상기 압축기(230), 응축기(240), 증발기(250),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가 제1강도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상태값도출단계에서 상기 현재상태값이 제2상태로 도출되는 경우에 상기 압축기(230), 응축기(240), 증발기(250),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가 제2강도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상태값도출단계에서 상기 현재상태값이 제3상태로 도출되는 경우에 상기 압축기(230), 응축기(240), 증발기(250),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가 제3강도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상태값도출단계에서 상기 현재상태값이 제4상태로 도출되는 경우에 상기 압축기(230), 응축기(240), 증발기(250),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가 제4강도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강도는 상기 압축기(230), 응축기(240), 증발기(250),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는 강도에 해당하고, 상기 제1강도는 상기 제2강도보다 운전의 세기가 비교적 약한 강도에 해당하고, 상기 제2강도는 상기 제3강도보다 운전의 세기가 비교적 약한 강도에 해당하고, 상기 제3강도는 상기 제4강도보다 운전의 세기가 비교적 약한 강도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강도는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에 의하여 0CMH의 풍량을 구현하는 강도에 해당하고, 상기 제2강도는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에 의하여 250 내지 250CMH의 풍량을 구현하는 강도에 해당하고, 상기 제3강도는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에 의하여 300 내지 400CMH의 풍량을 구현하는 강도에 해당하고, 및 상기 제4강도는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에 의하여 330 내지 430CMH의 풍량을 구현하는 강도에 해당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강도, 제2강도, 제3강도, 및 제4강도 각각은 0CMH, 300CMH, 350CMH, 및 380CMH의 풍량을 구현하는 강도에 해당한다. 즉 상기 제1강도에서 상기 제4강도로 갈수록 운전의 세기 혹은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에 의하여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의 세기가 점차 강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현재상태값은 센싱된 공용부의 이산화탄소농도 혹은 초미세먼지농도에 기초하여 도출된 값에 해당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센싱된 공용부의 온도, 및 습도 중 1이상에 기초하여 도출된 값에 해당할 수도 있다.
상기 현재상태값이 센싱된 공용부의 이산화탄소농도 혹은 초미세먼지농도에 기초하여 도출된 값에 해당하는 실시예에서, 상기 운전제어부(293)는 상기 현재상태값도출단계에서 이산화탄소농도의 현재상태값이 제1상태로 도출되고 초미세먼지농도의 현재상태값이 제4상태로 도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단계에서 비교적 나쁜 공기질에 해당하는 제4상태로 도출된 초미세먼지농도를 기준으로 우선적으로 청정제습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1)은 상기 센싱데이터수신부(292)를 통해 수신된 센싱데이터에 따라 상기 운전제어부(293)를 통해 상기 청정제습장치(200)의 ON/OFF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센싱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의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290)를 구비함으로써, 공용부의 공기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100)가 공용부의 이산화탄소농도를 포함하는 센싱데이터를 제어부(290)로 송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290)는 운전제어부(293)를 통해 상기 센싱데이터와 기설정된 데이터값을 비교하여 현재상태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상기 현재상태값에 상응하는 색상을 구현하는 색상정보를 상기 센서부(100)로 송신하고, 상기 센서부(100)는 상기 색상정보를 수신하여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현재상태값이 제1상태로 도출되는 경우에 상기 센서부(100)는 도 11(a)에서와 같이 파란색을 구현하는 색상정보를 수신하여 외부에 표시할 수 있고, 상기 현재상태값이 제2상태로 도출되는 경우에 상기 센서부(100)는 도 11(b)에서와 같이 초록색을 구현하는 색상정보를 수신하여 외부에 표시할 수 있고, 상기 현재상태값이 제3상태로 도출되는 경우에 상기 센서부(100)는 도 11(c)에서와 같이 노란색을 구현하는 색상정보를 수신하여 외부에 표시할 수 있고, 상기 현재상태값이 제4상태로 도출되는 경우에 상기 센서부(100)는 도 11(d)에서와 같이 빨간색을 구현하는 색상정보를 수신하여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100)가 공용부의 초미세먼지농도를 포함하는 센싱데이터를 제어부(290)로 송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290)는 운전제어부(293)를 통해 상기 센싱데이터와 기설정된 데이터값을 비교하여 현재상태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상기 현재상태값에 상응하는 색상을 구현하는 색상정보를 상기 센서부(100)로 송신하고, 상기 센서부(100)는 상기 색상정보를 수신하여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현재상태값이 제1상태로 도출되는 경우에 상기 센서부(100)는 도 11(a)에서와 같이 파란색을 구현하는 색상정보를 수신하여 외부에 표시할 수 있고, 상기 현재상태값이 제2상태로 도출되는 경우에 상기 센서부(100)는 도 11(b)에서와 같이 초록색을 구현하는 색상정보를 수신하여 외부에 표시할 수 있고, 상기 현재상태값이 제3상태로 도출되는 경우에 상기 센서부(100)는 도 11(c)에서와 같이 노란색을 구현하는 색상정보를 수신하여 외부에 표시할 수 있고, 상기 현재상태값이 제4상태로 도출되는 경우에 상기 센서부(100)는 도 11(d)에서와 같이 빨간색을 구현하는 색상정보를 수신하여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질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센서부(100)가 공용부에 설치됨에 따라, 보다 직관적으로 공용부의 공기질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정제습장치(200)가 기본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일 때의 냉매 및 공기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는 상기 제어부(29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압축기(230), 응축기(240), 및 증발기(250)는 동작하지 않고 상기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는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환기구(211)를 통해 상기 공용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필터부(280)를 지나면서 바이러스가 제거되고, 상기 급기구(212)를 통해 상기 공용부로 급기되고, 상기 환기구(211)를 통해 상기 공용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필터부(280)를 지나면서 부유물 혹은 미립자가 제거되고, 상기 배기구(213)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기본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본모드에서는 압축기(230), 응축기(240), 및 증발기(250)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냉매가 흐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냉매의 흐름에 따라 청정제습장치(200)는 냉방기능 및 제습기능을 구현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290)가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1)이 ON되는 경우에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를 동작시킴에 따라, 상기 기본모드에서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로 공용부의 공기가 인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용부의 공기는 필터부(280)를 지나면서 제균될 수 있다. 상기 공용부의 공기의 일부는 증발기(250)를 지나고 상기 공용부의 공기의 다른 일부는 응축기(240)를 지나기는 하나, 냉매가 흐르지 않아 냉매와의 열교환 없이 각각 급기구(212)를 통해 다시 공용부로 급기되거나 배기구(213)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즉 상기 기본모드에서는 압축기(230), 응축기(240), 및 증발기(250)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냉방 및 제습기능이 구현되지 않으나,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가 동작함에 따라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로 공용부의 공기가 인입될 수 있어 청정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230), 응축기(240), 및 증발기(25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필터부(280)에 의하여 공용부의 공기 내에 포함되어 있는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정제습장치(200)가 운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일 때의 냉매 및 공기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청정제습장치(200)는 상기 제어부(29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압축기(230), 응축기(240), 증발기(250),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환기구(211)를 통해 상기 공용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필터부(280)를 지나면서 바이러스가 제거되고, 상기 증발기(250)를 지나면서 냉각 및 제습되고, 상기 급기구(212)를 통해 상기 공용부로 급기되고, 상기 환기구(211)를 통해 상기 공용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필터부(280)를 지나면서 부유물 혹은 미립자가 제거되고, 상기 압축기(230) 및 응축기(240)를 지나면서 가열되고, 상기 배기구(213)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운전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전모드에서는 압축기(230), 응축기(240), 및 증발기(250)가 동작하여 냉매가 흐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압축기(230)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냉매는 고온고압의 가스상태가 되고,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는 상기 응축기(240)를 지나면서 액체상태가 되고, 액체상태의 냉매가스는 증발기(250)를 지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가스상태로 증발되어 상기 압축기(230)로 다시 인입되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이와 같은 냉매의 흐름에 따라 청정제습장치(200)는 냉방기능 및 제습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습장치는 30 내지 40L/day의 제습능력을 구현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5L/day의 제습능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290)가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1)이 ON되는 경우에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를 동작시킴에 따라, 상기 운전모드에서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로 공용부의 공기가 인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용부의 공기는 필터부(280)를 지나면서 제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용부의 공기의 일부는 증발기(250)를 지나면서 열교환되어 냉각 및 제습되고, 급기구(212)를 통해 다시 공용부로 급기됨으로써 냉각 및 제습 공기를 공용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용부의 공기의 다른 일부는 응축기(240)를 지나면서 열교환되어 가열되고, 배기구(213)를 통해 외부로 배기됨으로써 상기 응축기(240)에서의 열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운전모드에서는 압축기(230), 응축기(240), 및 증발기(250)가 동작함에 따라 냉방 및 제습기능이 구현될 수 있고, 제1모터(220) 및 제2모터(260)가 동작함에 따라 청정제습장치(200)의 내부로 공용부의 공기가 인입될 수 있어 청정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230), 응축기(240), 및 증발기(250)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공용부의 공기 내에 포함되어 있는 바이러스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공용부의 공기를 냉각 및 제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1)의 중앙제어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1)은 복수의 동으로 이루어지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동의 공용부 각각에 설치된 후에, 중계기를 통해 통제실에서 중앙제어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유니트로 공기청정, 제습, 보조냉방 및 제균이 가능한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어, 설치비용을 절감시키고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주변의 공용부에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이 설치됨으로써, 바이러스의 전파경로를 차단하고 공용부의 공기를 제균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력값에 따른 수동운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청정제습장치에 내장 또는 별도로 설치된 센서를 통해 온도, 습도, 미세먼지 CO2농도를 센싱하여 이에 따른 자동운전이 가능한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은 운전제어부를 통해 상기 청정제습장치의 ON/OFF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입력 혹은 센싱데이터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센싱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의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공용부의 공기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정제습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에 의하여 냉동사이클이 구현됨에 따라, 청정제습장치가 제습 및 청정기능 뿐만 아니라 냉방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정제습장치가 사용자의 입력 혹은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어,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청정제습장치를 수동 혹은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정제습장치의 내부에 항바이러스 헤파필터가 구비되어 있어, 청정제습장치 동작시 공용부의 공기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를 제거하여 공기 중의 바이러스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필터부에 의하여 공용부의 공기 내에 포함되어 있는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공용부의 공기 내에 포함되어 있는 바이러스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공용부의 공기를 냉각 및 제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있어 응축수가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청정제습장치에서의 열교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의 내측 하부면에 상면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드레인타공판이 배치되어 있어, 압축기 혹은 응축기로 인한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레인타공판에 수위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자연배수가 가능한 구조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레인타공판의 내측에 앵글플레이트가 배수홀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됨에 따라, 드레인타공판의 상측에서 떨어지는 물을 배수홀 측으로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여 배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의 일부에 필터부를 점검할 수 있는 필터점검구가 구비됨에 따라, 청정제습장치 고장시 필터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 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
100: 센서부
110: 온습도센서 120: 먼지센서
130: CO2센서 140: 초미세먼지센서
200: 청정제습장치
210: 케이스 211: 환기구
212: 급기구 213: 배기구
214: 필터점검구 215: 제1격벽
216: 제2격벽 217: 제3격벽
218: 배수구
220: 제1모터 230: 압축기
240: 응축기 241: 프레임
242: 응축배관 250: 증발기
260: 제2모터 270: 드레인타공판
271: 타공판본체 271.1: 배수홀
272: 타공판상판 272.1: 제1관통홀
272.2: 제2관통홀 273: 앵글플레이트
280: 필터부 281: 제1필터
282: 제2필터 290: 제어부
291: 입력수신부 292: 센싱데이터수신부
293: 운전제어부
300: 환기디퓨져 400: 급기디퓨져
500: 배기관 600: 배수관

Claims (6)

  1.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으로서,
    공용부에 설치되는 센서부;
    피트층에 설치되고, 하나의 유니트로 상기 공용부의 공기를 제습, 청정, 냉방, 및 제균하는 청정제습장치;
    공용부의 공기를 상기 청정제습장치의 내부로 인입할 수 있도록 하는 환기디퓨져; 및
    상기 청정제습장치의 내부로 인입된 공용부의 공기를 다시 공용부로 급기할 수 있도록 하는 급기디퓨져;를 포함하고,
    상기 청정제습장치는,
    상기 공용부로부터 공기가 내부로 인입되는 환기구, 내부로 인입된 공기가 상기 공용부로 급기되는 급기구, 및 내부로 인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구가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냉동사이클을 구현하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상기 환기구의 하측에 배치되는 필터부;
    상기 급기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환기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지나면서 냉각 및 제습되어 상기 공용부로 급기될 수 있도록 하는 제1모터;
    상기 배기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환기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된 공기가 상기 응축기를 지나면서 가열되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모터; 및
    사용자의 입력 혹은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청정제습장치가 제습, 냉방, 청정, 및 제균을 포함하는 1 이상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제1모터, 및 제2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정면에서, 상기 필터부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필터점검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제1격벽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케이스의 측면측 방향 혹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제2격벽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결합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청정제습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하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되는 물을 수집하여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수시키는 드레인타공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타공판은,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타공판본체;
    상기 타공판본체의 상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상판; 및
    상기 타공판본체와 상기 타공판상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서, 상단은 상기 타공판본체와 상기 타공판상판이 결합되는 일측 지점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타공판본체의 내측 하부면의 일부에 결합되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타공판본체의 내측 하부면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앵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공판상판의 제2관통홀은 상기 타공판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센싱하여 자연배수를 가능하도록 하는 수위센서가 거치되는 거치대의 역할을 하는,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청정제습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는 동작하지 않고 상기 제1모터, 및 제2모터는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환기구를 통해 상기 공용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필터부를 지나면서 바이러스가 제거되고, 상기 급기구를 통해 상기 공용부로 급기되고,
    상기 환기구를 통해 상기 공용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필터부를 지나면서 부유물 혹은 미립자가 제거되고, 상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기본모드로 동작하는,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청정제습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제1모터, 및 제2모터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환기구를 통해 상기 공용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필터부를 지나면서 바이러스가 제거되고, 상기 증발기를 지나면서 냉각 및 제습되고, 상기 급기구를 통해 상기 공용부로 급기되고,
    상기 환기구를 통해 상기 공용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필터부를 지나면서 부유물 혹은 미립자가 제거되고, 상기 압축기 및 응축기를 지나면서 가열되고, 상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운전모드로 동작하는,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정제습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신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공용부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및 초미세먼지농도 중 1 이상의 센싱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싱데이터수신부; 및
    상기 입력수신부에서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청정제습장치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센싱데이터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센싱데이터와 기설정된 데이터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제1모터, 및 제2모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청정제습장치가 상기 센싱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운전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220122331A 2022-09-27 2022-09-27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 KR102509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331A KR102509447B1 (ko) 2022-09-27 2022-09-27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331A KR102509447B1 (ko) 2022-09-27 2022-09-27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447B1 true KR102509447B1 (ko) 2023-03-10

Family

ID=85511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331A KR102509447B1 (ko) 2022-09-27 2022-09-27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4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7726U (ja) * 1991-06-10 1992-12-22 博 樋原 除湿機
KR102426021B1 (ko) * 2022-04-07 2022-08-01 (주)엠티이에스 다목적 실내 냉난방 환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7726U (ja) * 1991-06-10 1992-12-22 博 樋原 除湿機
KR102426021B1 (ko) * 2022-04-07 2022-08-01 (주)엠티이에스 다목적 실내 냉난방 환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2006B2 (en) Ventilating and air purifying device
KR101808116B1 (ko) 공기청정 시스템
KR100822384B1 (ko)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
JP4985735B2 (ja) 空気清浄機
KR102074612B1 (ko) 환기형 시스템 공기정화기
KR102008625B1 (ko) 천장 부착 외기 도입형 공기청정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KR102610034B1 (ko)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003321A (ja) 換気システム
KR102188658B1 (ko) 야전형 모듈화 음압격리 병실 시스템
JP6940896B1 (ja) 換気空調システム
JP6466155B6 (ja) 住宅
JP4457774B2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システム並びに建物構造
KR101125802B1 (ko) 복합형 환기,공기 정화장치
KR101808120B1 (ko) 실별 제어가 가능한 공기청정 시스템
KR20180014122A (ko) 환기장치
KR102497520B1 (ko) 환기 기능을 구비한 에어컨
KR102236364B1 (ko) 야전형 모듈화 음압격리 병실 시스템 및 그 야전형 모듈화 음압격리 병실 시스템의 시공방법
KR102509447B1 (ko) 공용부 항바이러스 청정제습시스템
JP2006010186A (ja) 空気清浄機システム
JP4883155B2 (ja) 空気清浄機
JP2006105408A (ja) 空気清浄化システム
JP2004225927A (ja) 空調装置、空調方法
KR102305958B1 (ko) 친환경 냉난방 환기일체형 천정형 공조 유니트
KR102129080B1 (ko) 실내공기 청정 환기장치
KR20190121987A (ko) 헤파필터를 내장한 전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