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084B1 -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 Google Patents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084B1
KR102509084B1 KR1020200129283A KR20200129283A KR102509084B1 KR 102509084 B1 KR102509084 B1 KR 102509084B1 KR 1020200129283 A KR1020200129283 A KR 1020200129283A KR 20200129283 A KR20200129283 A KR 20200129283A KR 102509084 B1 KR102509084 B1 KR 102509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module
ray tube
voltage generating
suppl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6173A (ko
Inventor
이동훈
이병준
진원준
김대규
허시환
김상민
Original Assignee
(주)선재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재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선재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200129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084B1/ko
Publication of KR2022004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4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spark gaps or other discharg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2Constructional details
    • H05G1/04Mounting the X-ray tube within a closed housing
    • H05G1/06X-ray tube and at least part of the power supply apparatus being mounted within the same housing

Landscapes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 X-Ray Techniqu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는 내부 일측에는 전압발생모듈이 삽입되는 전압발생모듈홈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엑스선관모듈이 삽입되는 엑스선관모듈홈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 내에 구비되어 이오나이저를 제어하는 보드부, 상기 바디 내부로 삽입되는 전압발생모듈과 엑스선관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전압발생모듈홈에 형성되는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엑스선관모듈홈에 형성되는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에 결합되도록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부에 결합가능하며 상기 보드부와 전기적이고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전압발생모듈, 및 상기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에 결합되도록 제2 수전측 전원공급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엑스선관모듈홈에 삽입 및 상기 커넥터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압발생모듈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X선을 발생시키는 엑스선관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Ionizer having easy detachable X-ray tube module and voltage generation module}
본 발명은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오나이저를 구성하는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는 이오나이저에 관한 것이다.
LCD, FPD, OLED, 웨이퍼 외 각종 기판 또는 시트 구조나 각종 필름 구조 등 각종 소재 또는 제품 처리 공정에서 미세한 먼지가 부착되거나 정전기에 의해 소자가 훼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정전기 제거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전기 제거 장치는 크게 코로나 방정식 장치와 엑스선 조사식 장치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코로나 방정식 장치가 갖는 고전압 방전에 의한 스퍼터링 현상, 오존가스 방생, 이온 밸런스 조정에 따른 불편 등의 단점을 극복한 엑스선 조사식 장치, 즉 엑스선 이오나이저(X-ray Ionizer)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X선 이오나이저는 X선(X-ray)을 생성하고, X선 조사를 통해 피제전물 부근의 기체 성분을 이온화 함으로써 이에 따른 이온화된 기체 성분이 피제전물 표면의 정전기를 중화하는 장치로, 주로 X선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X선 조사 방식 이오나이저는 미세먼지를 발생시키지 않고 공기를 대류 시킬 필요도 없기 때문에 더욱 각광을 받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되어 왔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38092호 '엑스선관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방전 안전 거리가 확보된 엑스선 이오나이저'는 본 출원인이 2018.10.26. 출원하여 2020.07.21. 등록된 특허로서, 엑스선관의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며 고전압 인가시 연면방전 발생 방지를 위해 충분한 연면거리를 확보한 엑스선 이오나이저 기술에 대해 공지하였으며, 탈부착이 가능한 엑스선관을 갖는 이오나이저는 종래의 정전기 제거 장치와 대비하여 엑스선관의 교체에 있어서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이오나이저 바디 내부에 수용되는 전압발생부의 노후 등의 문제로 인한 교체에 있어서, 이오나이저 내부를 열어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8092호 (2020.07.21.)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압발생모듈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 전압발생모듈 부분만을 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며, 엑스선관모듈과 전압발생모듈의 결합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는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는 내부 일측에는 전압발생모듈이 삽입되는 전압발생모듈홈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엑스선관모듈이 삽입되는 엑스선관모듈홈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 내에 구비되어 이오나이저를 제어하는 보드부, 상기 바디 내부로 삽입되는 전압발생모듈과 엑스선관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전압발생모듈홈에 형성되는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엑스선관모듈홈에 형성되는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에 결합되도록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부에 결합가능하며 상기 보드부와 전기적이고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전압발생모듈, 및 상기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에 결합되도록 제2 수전측 전원공급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엑스선관모듈홈에 삽입 및 상기 커넥터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압발생모듈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X선을 발생시키는 엑스선관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드부는 일단이 상기 보드부와 연결되는 배선과 상기 배선 타단에 형성되는 제3 급전측 공급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전압발생모듈은 제3 급전측 공급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3 수전측 공급단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드부는 상기 전압발생모듈홈 내측을 향해 제3 급전측 전원공급단자가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압발생모듈은 상기 제3 급전측 전원공급단자와 결합되는 제3 수전측 전원공급단자가 상기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엑스선관모듈홈과 상기 전압발생모듈홈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전압발생모듈홈 내측을 향해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가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수평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엑스선관모듈홈 내측을 향해 상기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가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수평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압발생모듈이 상기 전압발생모듈홈 내로 삽입 및 상기 커넥터부 측으로 수평이동하여 상기 커넥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바디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전압발생모듈홈 내측을 향해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가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수직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엑스선관모듈홈 내측을 향해 상기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가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수직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압발생모듈이 상기 전압발생모듈홈 내로 수직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바디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전압발생모듈은 상기 전압발생모듈홈에 삽입 및 결합된 후, 상기 전압발생모듈홈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전압발생모듈 지지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드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결합되는 엑스선과모듈과 전압발생모듈의 사용 시간을 포함하는 동작 상태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는 외면에 상기 엑스선관모듈과 상기 전압발생모듈의 상기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보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는 전압발생모듈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 전압발생모듈 부분만을 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바디 내부에 삽입되는 엑스선관모듈과 전압발생모듈을 물리적이고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커넥트부가 형성되어 엑스선관모듈과 전압발생모듈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를 구성하는 바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의 바디 하부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의 전압발생모듈 및 엑스선관모듈의 상부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참고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급전측 전원공급단자와 수전측 전원공급단자는 단순히 도전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간 결합되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도전체와 그 도전체 주변의 암/수 결합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급전측 전원공급단자와 수전측 전원공급단자는 일 예로서 잭 연결방식을 통해 상호간 물리적이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급전측 전원공급단자를 피메일(female)측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메일(male)측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곧 수전측 전원공급단자와 급전측 전원공급단자 중 어느 하나가 상대측 전원공급단자에 삽입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는 바디(100a), 보드부(200a), 커넥트부(300a), 전압발생모듈(400a) 및 엑스선관모듈(500a)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바디(100a)는 내부 일측에는 전압발생모듈(400a)이 삽입되는 전압발생모듈홈(110)이 형성되고, 내부 타측에는 엑스선관모듈(500a)이 삽입되는 엑스선관모듈홈(1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100a)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커넥터(130)가 구비되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가 외부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도록 측부에 브라켓(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00a)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디(100a)가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는 하기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를 구성하는 바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도 3에서는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바디(100a)의 다른 예시로서, 바디(100a)가 복수 개의 전압발생모듈(400a)과 엑스선관모듈(500a)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는 바 형상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바디(100a)는 단일 전압발생모듈(300)과 단일 엑스선관모듈(400)의 크기에 대응되는 길이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서의 바디(100a)는 바 형상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전압발생모듈홈(110) 및 상기 엑스선관모듈홈(120)이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바디(100a)의 크기, 상기 바디(100a) 내측에 수용가능한 개수에 대응되는 상기 전압발생모듈홈(110) 및 상기 엑스선관모듈홈(120)의 개수는 제전 환경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한 사양으로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앞으로 후술할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도의 바디도 이에 해당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
다음, 상기 보드부(200a)는 상기 바디(100a) 내부에 구비되어, 이오나이저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13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전압을 전압발생모듈(400a)에 전달하도록 하며, 전압발생모듈(400a) 및 엑스선관모듈(500a)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등 전반적인 이오나이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드부(200a)는 외부 전압을 전압발생모듈(400a)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전압발생모듈홈(110) 내측을 향해 제3 급전측 전원공급단자(210a)가 돌출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3 급전측 전원공급단자(210a)는 상기 전압발생모듈(110) 내측을 향해 상기 바디(100a)의 길이방향으로 수평되게 돌출형성된다.
다음, 상기 커넥터부(300a)는 상기 바디(100a) 내부로 삽입되는 전압발생모듈(400a)과 엑스선관모듈(500a)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전압발생모듈홈(110)에 형성되는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a)와, 상기 엑스선관모듈홈(120)에 형성되는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320a)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부(300a)는 상기 전압발생모듈홈(110)과 상기 엑스선관모듈홈(120)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a)가 상기 전압발생모듈홈(110) 내측을 향해 상기 바디(100a)의 길이방향으로 수평되게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320a)는 상기 엑스선관모듈홈(120) 내측을 향해 상기 바디(100a)의 길이방향으로 수평되게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a)와 상기 제3 급전측 전원공급단자(210a)가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a)와 상기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320a)는 후술할 전압발생모듈(400a)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엑스선관모듈(500a)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a)와 상기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320a)가 상호간 물리적이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기회로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전압발생모듈(400a)은 상기 전압발생모듈홈(110)을 통해 상기 바디(100a)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커넥터부(300a) 측으로 수평이동하여 상기 커넥터부(300a)에 결합된다.
이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전압발생모듈(400a)은 내부에 일반적인 이오나이저 장치에서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엑스선관모듈(500a)을 동작시키기에 적합한 전압을 발생하여 제공하는 전압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압발생모듈(400a)은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압발생부에 연결되는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410a)를 포함하되, 이러한,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410a)는 상기 커넥터부(300a)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a)와 상기 바디(100a)의 길이(수평)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0a)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을 참조하면, ①상기 전압발생모듈(400a)은 상기 바디(100a)에 형성된 상기 전압발생모듈홈(110) 내로 수직 삽입되어 ②바디(100a)의 길이방향인 수평방향(커넥터부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커넥터부(300a)와 물리적이고 전기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압발생모듈(400a)은 상기 보드부(200a)를 통해 외부 전압을 전달받기 위한 제3 수전측 전원공급단자(420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 수전측 전원공급단자(420a)는 상기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410a)와 나란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나란하게 형성된 상기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410a)와 상기 제3 수전측 전원공급단자(420a)는 상기 전압발생모듈(400a)이 상기 전압발생모듈홈(110) 내로 수직 삽입되어 수평이동하여,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a) 및 상기 제3 급전측 전원공급단자(210a)와 동시에 물리적이고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전압발생모듈(400a)과 상기 보드부(200a) 및 상기 커넥트부(300a)와의 결합구조를 통해 상기 전압발생모듈(400a)은 상기 보드부(200a)로부터 외부 전원을 전달받아 엑스선관모듈(500a) 구동에 필요한 고압(예: 5kV)으로 변환하여 엑스선관모듈(500a)로 고압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상기 전압발생모듈(400a)이 노후되어 교체가 요구된다면 전압발생모듈(400a)을 상기 바디(100a)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압발생모듈(400a)은 상기 전압발생모듈홈(11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바디(100a)에 형성된 전압발생모듈홈(110)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바디(100a)에 고정결합되는 전압발생모듈 지지덮개(430)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발생모듈 지지덮개(430)는 상기 전압발생모듈(400a)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바디(100a)와 면접촉하는 일측에는 제2 결합홈(43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디(100a)는 상기 전압발생모듈(400a)이 상기 전압발생모듈홈(110) 내부로 완전히 부착되었을 시, 상기 제2 결합홈(431)과 상호 동심일치 되는 위치에 제1 결합홈(10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압발생모듈(400a)이 상기 전압발생모듈홈(110) 내로 삽입 후, 수평이동하여 상기 보드부(200a) 및 상기 커넥터부(300a)에 완전 결합되었을 시, 결합부재(103)를 통해 상기 제2 결합홈(431)과 상기 제1 결합홈(101)을 관통삽입함으로써, 상기 전압발생모듈홈(110)의 개구를 덮고, 상기 바디(100a) 외면에 고정결합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전압발생모듈 지지덮개(430)는 상기 전압발생모듈(400a)이 상기 전압발생모듈홈(110)에 수직 삽입 후, 상기 보드부(200a) 및 상기 커넥터부(300a)측으로 수평이동하여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전압발생모듈홈(110)에 생기는 틈을 막기 위함이다.
다음, 상기 엑스선관모듈(500a)은 상기 바디(100a)의 엑스선관모듈홈(120)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부(300a)와 결합하게 된다. 즉, 상기 엑스선관모듈(500a)은 상기 커넥터부(300a) 및 상기 커넥터부(300a)에 결합된 상기 전압발생모듈(400a)과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압발생모듈(400a)에서 발생한 전압이 상기 엑스선관모듈(500a)에 전달되어 정전기 제거를 위한 엑스선이 조사될 수 있다.
상기 엑스선관모듈(500a)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엑스선관모듈(500a)은 크게 엑스선관 몸체(510), 엑스선관(미도시) 및 엑스선관 지지커버(430)를 포함한다.
상기 엑스선관 몸체(510)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내부에 구비되는 엑스선관(미도시)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엑스선관 몸체(510) 일측에는 후술할 엑스선관에 상기 전압발생모듈(400a)로부터 전달되는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수전측 전원공급단자(520a)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 수전측 전원공급단자(520a)는 상기 커넥터부(300a)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320a)와 상기 바디(100a)의 길이(수평)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0a)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엑스선관은 상기 엑스선관 몸체(51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수전측 전원공급단자(52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압발생모듈(400a)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X선을 포함하는 전자선을 발생시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조사창(511)을 통해 X선을 외부로 조사하는 발생기로써 일반적으로 알려진 이오나이저 장치에서 사용되는 전자선 발생기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엑스선관 지지커버(520)는 상기 조사창(511) 측에 형성되어, 상기 엑스선관모듈(500a)이 상기 바디(100a)에 형성된 엑스선관모듈홈(120)에 삽입 부착 시, 상기 엑스선관모듈홈(120)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바디(100a) 외면에 고정된다.
이는, 상기 엑스선관 지지커버(530)는 상기 바디(100a)와 면접촉되는 일측에 제3 결합홈(531)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100a)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홈(102)과 결합부재(103)를 통해 결합고정된다.
이때, 상기 바디(100a) 일측에는 상기 엑스선관모듈(500a)이 상기 엑스선관모듈홈(120) 내부로 완전히 부착되었을 시, 상기 제3 결합홈(531)과 상호 동심일치 되는 위치에 제1 결합홈(10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엑스선관모듈(500a)이 상기 바디(100a)에 형성된 상기 엑스선관모듈홈(120) 내로 수직 삽입되어 바디(100a)의 길이방향인 수평방향(커넥터부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커넥터부(300a)의 제2 급전측 전압공급단자(320a)와 상기 제2 수전측 전압공급단자(520a)가 결합하여 상기 커넥터부(300a)와 물리적이고 전기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엑스선관모듈(500a)과 상기 커넥터부(300a)의 결합구조를 통해 상기 엑스선관모듈(500a)이 노후되어 교체가 요구된다면 엑스선관모듈(500a)을 상기 바디(100a)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는 바디에 전압발생모듈과 상기 엑스선관모듈의 사용시간을 포함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140)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더불어, 상기 보드부(200a)는 상기 커넥터부(300a)에 결합되는 전압발생모듈(400a)과 엑스선관모듈(500a)의 사용 시간을 체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보드부(200a)에 연결되어 상기 보드부(200a)로부터 동작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압발생모듈(400a)과 상기 엑스선관모듈(500a)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표시부(140)는 일반적으로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램프 및 숫자 및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LED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상기 표시부(140)가 램프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커넥터(130) 하부에 위치할 수 있지만, 상기 바디(100a) 어떠한 일측면에 작업자가 보기 용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전압발생모듈(400a) 및 상기 엑스선관모듈(500a)의 사용 시간을 각각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 시간에 따른 각 모듈의 보증 수명 시간을 계산하여 교체시기를 알려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드부(200a)는 전압발생모듈(400a) 및 엑스선관모듈(500a)을 포함하는 모듈들의 정확한 수명시간을 보증하기 위해서 기설정된 보증시간 내 각 모듈의 사용시간을 초기화할 수 없도록 설정하고, 보증시간이 경과하면 사용시간을 초기화가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반면에, 이상상태를 알리는 알람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초기화가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제품을 판매하거나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정확한 보증 수명 시간을 파악할 수 있으며, 제품을 사용하는 고객의 입장에서는 보증 수명 시간 내 문제가 발생 시 복구 및 배상을 요구할 수 있을뿐더러, 제품의 교체시기를 파악하여 유지보수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의 바디 하부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의 전압발생모듈 및 엑스선관모듈의 상부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20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2000)는 바디(100b), 보드부(미도시), 커넥트부(300b), 전압발생모듈(400b) 및 엑스선관모듈(500b)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바디(100b)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본 실시예에서의 바디(100b)는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의 바디(100a)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 상기 보드부(미도시)는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보드부는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의 보드부(200a)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보드부의 제3 급전측 전원공급단자(210b)는 바디(100b) 상측 내부에 하부측을 향해 상기 바디(100b) 길이방향과 수직되게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커넥터부(300b)와 전압발생모듈(400b)과 같이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 상기 커넥터부(300b)는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의 커넥터부(300a)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커넥터부(300b)는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b)와 상기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320b)가 상기 바디(100b) 상측 내부에 하부측을 향해 상기 바디(100b) 길이방향과 수직되게 돌출형성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b)는 상기 바디(100b) 상부 측에 형성되되, 전압발생모듈홈(110) 내측을 향해 상기 바디(100b)의 길이방향으로 수직되게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b)는 상기 제3 급전측 전원공급단자(210b)와 나란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320b)는 상기 바디(100b) 상부 측에 형성되되, 엑스선관모듈홈(120) 내측을 향해 상기 바디(100b)의 길이방향으로 수직되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b)와 상기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320b)는 전압발생모듈(400b)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엑스선관모듈(500b)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b)와 상기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320b)가 상호간 물리적이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기회로가 구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전압발생모듈(400b)는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의 전압발생모듈(400a)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제1 급전축 전원공급단자(410b)와 제3 수전측 전원공급단자(420b)는 전압발생모듈(400b)의 상부에 전압발생모듈홈(110)에 수직 삽입 및 수직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상기 전압발생모듈(400b)은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b)에 수직 결합되도록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410b)가 상기 전압발생모듈(400b) 상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b)와 나란하게 형성된 상기 제3 급전측 전원공급단자(210b)에 수직 결합되도록 제3 수전측 전원공급단자(420b)가 상기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410b)와 나란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압발생모듈(400b)은 상기 전압발생모듈홈(110)에 수직 삽입 및 수직 결합되어 상기 보드부 및 상기 커넥터부(300b)와 동시에 물리적이고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엑스선관모듈(500b)는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의 엑스선관모듈(500a)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 전압발생모듈(400b)과 마찬가지로, 상기 엑스선관모듈(500a)이 엑스선관모듈홈(120)에 수직 삽입 및 수직 결합되도록, 상기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320b)에 결합되는 제2 수전측 전원공급단자(520b)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엑스선관모듈(500b)에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30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3000)는 바디(100a), 보드부(미도시), 커넥트부(300a), 전압발생모듈(400c) 및 엑스선관모듈(500a)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 6 및 도 7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30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1000)에서 전압발생모듈(400a) 및 엑스선관모듈(500a)가 바디(100a) 내부로 수직 삽입 후 커넥터부(300a) 측으로 각각 수평이동하여 상기 바디(100a) 내부로 결합되는 구조와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보드부(미도시)와 전압발생모듈(400c)의 결합구조, 즉, 제3 급전측 전원공급단자(210c)와 제3 수전측공급단자(420c) 결합구조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보드부(미도시)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의 보드부(200a)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보드부(미도시)는 제3 급전측 전원공급단자(210c)에 추가 배선(201)이 더 부가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본 실시예에서의 전압발생모듈(400c)은 제3 수전측 전원공급단자(420c)가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410c)와 나란하게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410c)가 형성된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수전측 전원공급단자(420c)는 상기 제3 급전측 전원공급단자(210c)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에 따라 상기 전압발생모듈(400c)은 외부전원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의 전압발생모듈(400a)이 전압발생모듈홈(110)에 수직 삽입된 후, 수평 이동하여 바디(100a) 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방식과 구성이 동일하나, 본 실시예의 보드부(미도시)에 추가 배선(201) 및 제3 급전측 전원공급단자(210c)를 더 부가하고, 전압발생모듈(400c)에도 제3 수전측 전원공급단자(420c) 단자가 더 부가된다.
그리고, 상기 배선(201)을 바디(100a) 외부로 인출하여 제3 급전측 전원공급단자(210c)를 바디(100a) 외부로 인출한 다음, 제3 급전측 전원공급단자(210c)와 제3 수전측 전원공급단자(420c)를 먼저 연결 시킨후, 전압발생모듈(400c)을 전압발생모듈홈(110)에 삽입 및 슬라이드 이동하여 커넥터부(300a)와 연결되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2 실시예에서의 전압발생모듈(400b)이 전압발생모듈홈(110)에 수직 삽입 및 수직 결합되는 수직형 구조에도 적용 가능한 점을 배제하지 않도록 한다.
이외, 구성요소인 본 실시예에서의 바디(100a), 커넥트부(300a) 및 엑스선관모듈(500a)은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의 바디(100a), 커넥트부(300a) 및 엑스선관모듈(500a)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40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4000)는 바디(100d), 보드부(미도시), 커넥터부(미도시), 전압발생모듈(400d) 및 엑스선관모듈(미도시)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커넥터부(미도시)는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d)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d)는 전압발생모듈홈(110) 내측에 돌출되어 고정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다른 실시예와 그 차이가 있다.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d)는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전압발생모듈홈(110)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150)은 상기 바디(100d)의 전압발생모듈홈(110)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d)는 상기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해 바디(100d)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d)는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15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은 상기 회전축(15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d)는 상기 회전축(150)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d)의 회전원리는 앞서 힌지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례로 볼 베어링을 이용한 회전방식, 톱니바퀴를 이용한 회전방식, 스프링에 의한 회전방식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
다음, 상기 전압발생모듈(400d)는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d)와 결합되는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410d)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100d) 외측에서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310d)에 상기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410d)가 결합되어,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310d)와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410d)가 전기적으로 접촉한 후, 전압발생모듈(400d)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310d)가 회전하여 상기 전압발생모듈(400d)이 상기 전압발생모듈홈(110) 내측에 수용되고,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전압발생모듈(400d)이 상기 바디(100d)에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전압발생모듈(400d)이 전압발생모듈홈(110)에 삽입되지 않고, 바디(100d)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310d)와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410d)가 바디(100d) 외부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전원공급단자 간의 결합 시, 결합 부위를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탈부착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단, 상기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310d)와 상기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410d)간 결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 결합관계를 통해 외부전원이 전압발생모듈(400d)로 인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선(미도시)으로 상기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310d)와 보드부(미도시)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선은 상기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310d)가 회전이 자유로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보드부(미도시)에는 제3 급전측 전원공급단자가, 상기 전압발생모듈(400d)에는 제3 수전측 전원공급단자의 형성이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또한, 커넥터부는 보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압발생모듈(400d)은 상기 보드부를 통해 외부전원을 전달받을 뿐만 아니라, 제어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0: 제1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2000: 제2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3000: 제3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4000: 제4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100a, 100b, 100c, 100d: 바디
101, 102: 제1 결합홈
103: 결합부재
110: 전압발생모듈홈
120: 엑스선관모듈홈
130: 커넥터
140: 표시부
150: 회전축
200: 보드부
201: 배선
210a, 210b, 210c: 제3 급전측 전원공급단자
300a, 300b: 커넥터부
310a, 310b, 310d: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
320a, 320b: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
400: 전압발생모듈
410a, 410b, 410d: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
420a, 420b, 420c: 제3 수전측 전원공급단자
430: 전압발생모듈 지지덮개
431: 제2 결합홈
500: 엑스선관모듈
510: 엑스선관 몸체
520a, 520b: 제2 수전측 전원공급단자
530: 엑스선관 지지덮개
531: 제3 결합홈

Claims (10)

  1. 내부 일측에는 전압발생모듈이 삽입되는 전압발생모듈홈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엑스선관모듈이 삽입되는 엑스선관모듈홈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 내에 구비되어 이오나이저를 제어하는 보드부;
    상기 바디 내부로 삽입되는 전압발생모듈과 엑스선관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전압발생모듈홈에 형성되는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엑스선관모듈홈에 형성되는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에 결합되도록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부에 결합가능하며, 상기 보드부와 전기적이고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전압발생모듈; 및
    상기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에 결합되도록 제2 수전측 전원공급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엑스선관모듈홈에 삽입 및 상기 커넥터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압발생모듈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X선을 발생시키는 엑스선관모듈;을 포함하는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부는 일단이 상기 보드부와 연결되는 배선과 상기 배선 타단에 형성되는 제3 급전측 공급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전압발생모듈은 제3 급전측 공급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3 수전측 공급단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부는,
    상기 전압발생모듈홈 내측을 향해 제3 급전측 전원공급단자가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압발생모듈은,
    상기 제3 급전측 전원공급단자와 결합되는 제3 수전측 전원공급단자가 상기 제1 급전측 전원공급단자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엑스선관모듈홈과 상기 전압발생모듈홈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전압발생모듈홈 내측을 향해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가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수평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엑스선관모듈홈 내측을 향해 상기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가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수평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압발생모듈이 상기 전압발생모듈홈 내로 삽입 및 상기 커넥터부 측으로 수평이동하여 상기 커넥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바디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전압발생모듈홈 내측을 향해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가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수직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엑스선관모듈홈 내측을 향해 상기 제2 급전측 전원공급단자가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수직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압발생모듈이 상기 전압발생모듈홈 내로 수직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바디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수전측 전원공급단자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발생모듈은,
    상기 전압발생모듈홈에 삽입 및 결합된 후, 상기 전압발생모듈홈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전압발생모듈 지지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결합되는 엑스선과모듈과 전압발생모듈의 사용 시간을 포함하는 동작 상태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외면에 상기 엑스선관모듈과 상기 전압발생모듈의 상기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보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KR1020200129283A 2020-10-07 2020-10-07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KR102509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283A KR102509084B1 (ko) 2020-10-07 2020-10-07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283A KR102509084B1 (ko) 2020-10-07 2020-10-07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173A KR20220046173A (ko) 2022-04-14
KR102509084B1 true KR102509084B1 (ko) 2023-03-09

Family

ID=8121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283A KR102509084B1 (ko) 2020-10-07 2020-10-07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0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8965A (ja) 2005-05-31 2006-12-14 Hamamatsu Photonics Kk X線発生装置及び照射ユニット
KR101656781B1 (ko) 2016-02-05 2016-09-12 (주)선재하이테크 엑스선관의 교체가 용이한 엑스선 이오나이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346B1 (ko) * 2018-02-08 2020-01-13 (주)선재하이테크 X선을 이용한 정전기 제거장치
KR102065655B1 (ko) * 2018-04-24 2020-01-13 주식회사 태영이앤티 X선 발생장치
KR102138092B1 (ko) 2018-10-26 2020-08-13 (주)선재하이테크 엑스선관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방전 안전 거리가 확보된 엑스선 이오나이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8965A (ja) 2005-05-31 2006-12-14 Hamamatsu Photonics Kk X線発生装置及び照射ユニット
KR101656781B1 (ko) 2016-02-05 2016-09-12 (주)선재하이테크 엑스선관의 교체가 용이한 엑스선 이오나이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173A (ko)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35778A1 (ko) 엑스선관의 교체가 용이한 엑스선 이오나이저
KR101836493B1 (ko) 장비 폐쇄체 내의 회로 보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1624726B1 (ko)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식 애자
KR102509084B1 (ko) 엑스선관모듈 및 전압발생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이오나이저
CN109494660A (zh) 一种母线槽系统
KR102138092B1 (ko) 엑스선관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방전 안전 거리가 확보된 엑스선 이오나이저
WO2014171689A1 (ko) X선 발생 장치 및 이를 구성하는 x선 발생부와 고전압 발생부
CN104779473A (zh) 一种分离式开关插座
KR101674902B1 (ko) 관절형 엘보 접속재 조작장치
ATE112102T1 (de) Elektrogerät.
JP4829535B2 (ja) X線発生装置及び照射ユニット
CN112289621B (zh) 用于隔离开关手动操作的装置
TWI589190B (zh) 容易更換x射線管的x射線離子產生器
KR102704194B1 (ko) 다수의 전원케이블에 대한 신속한 통전검사가 가능한 전원케이블의 통전 검사시스템
WO2012090720A1 (ja) 高圧インバータ装置の放電機構
US5039936A (en) Voltage rotation indicator mounting apparatus
CN107180714A (zh) 电弧消除器
WO2021241968A1 (ko) 회전형 모듈 결합형 이오나이저
US1956725A (en) Gaseous electric sign
KR100788186B1 (ko) 송풍형 이온발생장치의 일체형 챔버와 챔버의 탈부착방식구조
CN217823479U (zh) 便携高压接地线快速接头
CN212542332U (zh) 一种断路器灭弧装置
CN217306855U (zh) Agv用充电组件及充电系统
US20220209473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djustable terminals
CN211981286U (zh) 一种配电设备检修提示卡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