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924B1 - Removal method of heavy metals - Google Patents

Removal method of heavy met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924B1
KR102507924B1 KR1020210027315A KR20210027315A KR102507924B1 KR 102507924 B1 KR102507924 B1 KR 102507924B1 KR 1020210027315 A KR1020210027315 A KR 1020210027315A KR 20210027315 A KR20210027315 A KR 20210027315A KR 102507924 B1 KR102507924 B1 KR 102507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heavy metal
removal method
storage tank
metal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3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3858A (en
Inventor
이상호
이경희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7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924B1/en
Publication of KR20220123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38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9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02F1/62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Abstract

중금속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중금속 제거방법은 저장탱크 내에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부산물이 생성되는 단계; 상기 저장탱크 내에 생성된 상기 부산물을 수거 분리하여 획득하는 단계; 및 수거 분리된 상기 부산물내의 수산화마그네슘 순도를 높이도록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heavy metal removal method is provided. The heavy metal removal method includes generating a by-product containing magnesium in a storage tank; collecting and separating the by-products generated in the storage tank; and purifying to increase the purity of the magnesium hydroxide in the collected and separated by-products.

Description

중금속 제거방법{Removal method of heavy metals}Heavy metal removal method {Removal method of heavy metals}

본 발명은 중금속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vy metal removal method.

마그네슘 수산화물은 표면의 양전하 특성으로 인해 수중에서 음이온성 중금속(안티몬, 비소, 크롬 등) 제거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마그네슘 화합물은 인공적으로 합성하기에는 경제성이 떨어져 그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해수를 냉각원으로 사용하는 발전소에서는 냉각설비 내에 여러가지의 부착성 해양생물들의 착생이나 부착을 억제하기 위해서 차아염소산 나트륨을 취수구에 주입한다. 발전소에 주입되는 차아염소산 나트륨은 해수전해설비에서 생산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생산된 차아염소산 나트륨은 차아염소산 나트륨 저장탱크에 저장되다. 여기서 해수 중에 존재하는 마그네슘 등의 염류가 함께 존재하여 차아염소산 나트륨 저장탱크하부에 슬러지로 성장한다. 이러한 슬러지는 주기적으로 제거하여 폐기 처리해야 한다.Magnesium hydroxide can be used to remove anionic heavy metals (antimony, arsenic, chromium, etc.) from water due to the positively charged nature of its surface. However, the magnesium compound has a problem in that its utilization is low due to low economic feasibility to artificially synthesize. On the other hand, in a power plant using seawater as a cooling source, sodium hypochlorite is injected into the water intake in order to suppress the growth or attachment of various adherent marine organisms in the cooling facility. Sodium hypochlorite injected into power plants is produced and used in seawater electrolysis facilities, and produced sodium hypochlorite is stored in sodium hypochlorite storage tanks. Here, salts such as magnesium present in seawater are present together and grow into sludge at the bottom of the sodium hypochlorite storage tank. Such sludge must be periodically removed and disposed of.

한국등록특허 제10-2215869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21586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재활용 없이 버려지고 있는 마그네슘 산업부산물을 이용하여 환경정화소재로 재활용하는 중금속 제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moving heavy metals that is recycled as an environmental cleaning material using magnesium industrial by-products that are discarded without recycling.

또한, 버려지고 있는 마그네슘 산업부산물을 수중에서 음이온성 중금속(크롬, 비소, 안티몬 등)을 효과적인 제거율로 제거할 수 있는 중금속 제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heavy metal removal method capable of removing anionic heavy metals (chromium, arsenic, antimony, etc.)

또한, 수중에서 음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함에 있어 결정화를 통한 제거가 가 가능한 중금속 제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removing anionic heavy metals from water, it is to provide a heavy metal removal method capable of removal through crystallizatio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중금속 제거방법은, 저장탱크 내에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부산물이 생성되는 단계; 상기 저장탱크 내에 생성된 상기 부산물을 수거 분리하여 획득하는 단계; 및 수거 분리된 상기 부산물내의 수산화마그네슘 순도를 높이도록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removing heavy metal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generating a by-product containing magnesium in a storage tank; collecting and separating the by-products generated in the storage tank; and purifying to increase the purity of the magnesium hydroxide in the collected and separated by-products.

또한, 상기 저장탱크는 해수계통의 차아염소산 나트륨 저장탱크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tank may be a sodium hypochlorite storage tank of a seawater system.

또한, 상기 부산물은 알루미늄(Al), 소듐(Na), 칼슘(Ca), 황(S), 염소(C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y-product may include one or more elem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Al), sodium (Na), calcium (Ca), sulfur (S), and chlorine (Cl).

또한, 상기 정제하는 단계는, 상기 부산물을 증류수와 1:1 부피비로 혼합하여 분산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산물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수산화마그네슘 이외의 불순물을 화학적으로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rifying step may include mixing and dispersing the by-product with distilled water in a 1:1 volume ratio, and chemically dissolving impurities other than the magnesium hydroxide in the by-product using ultrasonic waves.

또한, 상기 정제하는 단계는, 원심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부산물과 상기 분리액 내에서 이온상태로 존재하는 원소들을 제거하되, 상기 분리액의 전기전도도가 50 μS/㎝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산물을 설정온도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rifying step is to remove elements present in an ionic state in the by-product and the separation liquid using a centrifugal separator, but repeating the separation until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eparation liquid is 50 μS / cm or less. and drying the by-product at a set temperature.

또한, 상기 부산물은 80℃ 온도에서 24시간 건조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y-product may be dried for 24 hours at a temperature of 80 ℃.

또한, 정제된 상기 부산물은 수산화마그네슘의 함량이 70% 이상 확보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urified by-product may have a magnesium hydroxide content of 70% or more.

또한, 정제된 상기 부산물을 수중에 투입하여, 상기 수중의 음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removing the anionic heavy metal in the water by introducing the purified by-product into water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음이온성 중금속은 크롬(Cr), 비소(As), 안티몬(Sb)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금속을 포함하며, 상기 안티몬은 상기 부산물과 반응하여 선택적으로 결정화를 이루어 Mg-Sb 수산화물 형태를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anionic heavy metal includes at least one heavy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romium (Cr), arsenic (As), and antimony (Sb), and the antimony reacts with the by-product to selectively crystallize to form Mg-Sb hydroxide. shape can be achiev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중금속 제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heavy metal remova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르면 재활용 없이 버려지고 있는 마그네슘 산업부산물을 이용하여 환경정화소재로 재활용하는 중금속 제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removing heavy metals that is recycled as an environmental cleaning material using magnesium industrial by-products that are discarded without recycling.

또한, 버려지고 있는 마그네슘 산업부산물을 수중에서 음이온성 중금속(크롬, 비소, 안티몬 등)을 효과적인 제거율로 제거할 수 있는 중금속 제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eavy metal removal method capable of removing anionic heavy metals (chromium, arsenic, antimony, etc.) in water from discarded magnesium industrial by-products at an effective removal rate.

또한, 수중에서 음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함에 있어 결정화를 통한 제거가 가 가능한 중금속 제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removing anionic heavy metals from wa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eavy metal removal method capable of removal through crystalliz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금속 제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중금속 제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마그네슘 산업부산물의 XRD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마그네슘 산업부산물의 샘플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5는 pH별 마그네슘부산물의 안티몬 제거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방해이온 공존 조건에서 음이온성 중금속 제거량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마그네슘 산업부산물과 안티몬의 선택적 결합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1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heavy metal remova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the heavy metal removal method according to FIG. 1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XRD results of magnesium industrial by-products.
Figure 4 is a photograph showing a sample of magnesium industrial by-products.
5 is a graph showing the antimony removal amount of magnesium by-products for each pH.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amount of anionic heavy metal removal under the coexistence of interfering ions.
7 is a graph showing the selective bonding characteristics of magnesium industrial by-products and antimon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s or components and other element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encompass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elem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shown in the figures. For example, when flipping elements shown in the figures, elements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ther elements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elements.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directions of both below and above. Elem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and/or section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se elements, components and/or section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component or section from another element, component or section.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first element, or first section referred to below may also be a second element, second element, or second section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present in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 not rule out addi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금속 제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heavy metal remova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금속 제거방법(S100)은 부산물이 생성되는 단계(S110), 부산물을 수거 분리하는 단계(S120), 부산물을 정제하는 단계(S130), 중금속을 제거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heavy metal removal method (S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generating by-products (S110), a step of collecting and separating by-products (S120), a step of purifying the by-products (S130), and removing heavy metals. A removing step (S140) may be included.

여기서 상기 S130은 혼합분산 단계(S131), 화학적용해 단계(S132), 원소제거 단계(S133), 건조 단계(S134)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S130 may include a mixing and dispersing step (S131), a chemical dissolution step (S132), an element removal step (S133), and a drying step (S134).

상기 S110은 저장탱크 내에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부산물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탱크는 해수계통의 차아염소산 나트륨 저장탱크에 해당될 수 있다.In the S110, by-products containing magnesium may be generated in the storage tank. Here, the storage tank may correspond to a sodium hypochlorite storage tank of the seawater system.

이러한 상기 부산물은 알루미늄(Al), 소듐(Na), 칼슘(Ca), 황(S), 염소(C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by-product may include one or more elem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Al), sodium (Na), calcium (Ca), sulfur (S), and chlorine (Cl).

상기 S120은 상기 저장탱크 내에 생성된 상기 부산물을 수거 분리하여 획득할 수 있다. 상기 S130은 수거 분리된 상기 부산물내의 수산화마그네슘 순도를 높이도록 정제할 수 있다.The S120 may be obtained by collecting and separating the by-products generated in the storage tank. The S130 may be purified to increase the purity of the magnesium hydroxide in the collected and separated by-product.

상기 S130의 상기 S131은 상기 부산물을 증류수와 1:1 부피비로 혼합하여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S130의 상기 S132는 상기 부산물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수산화마그네슘 이외의 불순물을 화학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다.The S131 of the S130 may be dispersed by mixing the by-product with distilled water at a volume ratio of 1:1. In the step S132 of the step S130, impurities other than the magnesium hydroxide may be chemically dissolved in the by-product by using ultrasonic waves.

상기 S130의 상기 S132는 원심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부산물과 상기 분리액 내에서 이온상태로 존재하는 원소들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과정은 상기 분리액의 전기전도도가 50 μS/㎝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In the step S132 of the step S130, elements present in an ionic state in the by-product and the separated liquid may be removed using a centrifugal separator. At this time, this process may be repeated until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eparation solution is 50 μS / cm or less.

상기 S130의 상기 S133은 원심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부산물과 상기 분리액 내에서 이온상태로 존재하는 원소들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은상기 분리액의 전기전도도가 50 μS/㎝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In the step S133 of the step S130, elements existing in an ionic state in the by-product and the separated liquid may be removed using a centrifugal separator. This process may be repeated until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eparation liquid is 50 μS/cm or less.

상기 S130의 상기 S134는 상기 부산물을 설정온도에서 건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산물은 80℃ 온도에서 24시간 건조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정제된 상기 부산물은 수산화마그네슘의 함량이 70% 이상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134 of the S130 may dry the by-product at a set temperature. Here, the by-product may be dried for 24 hours at a temperature of 80 ° C. It is preferable that the by-product purified through these processes has a magnesium hydroxide content of 70% or more.

상기 S140에서는 전술한 과정들을 거친 정제된 상기 부산물을 수중에 투입하여, 상기 수중의 음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이온성 중금속은 크롬(Cr), 비소(As), 안티몬(Sb)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In S140, the by-products purifi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may be put into water to remove anionic heavy metals in the water. Here, the anionic heavy metal may include one or more heavy met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romium (Cr), arsenic (As), and antimony (Sb).

아울러 상기 안티몬은 상기 부산물과 반응하여 선택적으로 결정화를 이루어 Mg-Sb 수산화물 형태를 이루게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imony may be selectively crystallized by reacting with the by-product to form an Mg-Sb hydroxide.

한편, 추출한 마그네슘 부산물을 이용해 다음과 같이 음이온성 중금속(크롬, 비소, 안티몬 등)을 제거하며, 그 절차는 다음과 같다.Meanwhile, anionic heavy metals (chrome, arsenic, antimony, etc.) are removed using the extracted magnesium by-product as follows, and the procedure is as follows.

1. 건조된 마그네슘 부산물 분말(0.2 5g/L)을 음이온성 중금속 수용액(10 mg/L)과 혼합하여 24시간 교반 후 원소분석장비(ICP-MS)를 이용하여 중금속 제거량 측정.1. After mixing dried magnesium by-product powder (0.2 5 g/L) with anionic heavy metal aqueous solution (10 mg/L) and stirring for 24 hours, heavy metal removal was measured using elemental analysis equipment (ICP-MS).

2. 마그네슘 부산물의 음이온성 중금속 제거량은 하기 표 1과 같음2. The removal amount of anionic heavy metals from magnesium by-products is shown in Table 1 below.

종류type 제거량Removal amount 크롬(Cr) 0.9Chromium (Cr) 0.9 크롬(Cr) 0.9Chromium (Cr) 0.9 비소(As) 13.6Arsenic (As) 13.6 비소(As) 13.6Arsenic (As) 13.6 안티몬(Sb) 9.8Antimony (Sb) 9.8 안티몬(Sb) 9.8Antimony (Sb) 9.8

표 1에서 제거 대상 음이온성 중금속 중 안티몬(Sb)은 마그네슘 부산물과 선택적으로 결정화를 이루며 Mg-Sb 수산화물 형태로 제거 가능 (XRD 결과)..Among the anionic heavy metals to be removed in Table 1, antimony (Sb) selectively crystallizes with magnesium byproducts and can be removed in the form of Mg-Sb hydroxide (XRD result).

도 3은 마그네슘 산업부산물의 XRD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마그네슘 산업부산물의 샘플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5는 pH별 마그네슘부산물의 안티몬 제거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XRD results of magnesium industrial by-products. Figure 4 is a photograph showing a sample of magnesium industrial by-products. 5 is a graph showing the antimony removal amount of magnesium by-products for each pH.

도 6은 방해이온 공존 조건에서 음이온성 중금속 제거량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마그네슘 산업부산물과 안티몬의 선택적 결합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amount of anionic heavy metal removal under the coexistence of interfering ions. 7 is a graph showing the selective bonding characteristics of magnesium industrial by-products and antimony.

전술한 내용과 함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기 중금속 제거방법(S100)은 재활용 없이 버려지고 있는 마그네슘 산업부산물을 이용하여 환경정화소재로 활용가능한 신물질로 적용 가능하며, 수중에서 음이온성 중금속(크롬, 비소, 안티몬 등) 에 대하여 유효한 제거율 및 결정화 제거가 가능 한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S. 3 to 7 together with the above information, the heavy metal removal method (S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s a new material that can be used as an environmental cleaning material by using magnesium industrial by-products that are discarded without recycling, and negative ions in water Effective removal rate and crystallization removal are possible for heavy metals (chromium, arsenic, antimony, etc.).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Claims (7)

저장탱크 내에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부산물이 생성되는 단계;
상기 저장탱크 내에 생성된 상기 부산물을 수거 분리하여 획득하는 단계; 및
수거 분리된 상기 부산물내의 수산화마그네슘 순도를 높이도록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정제하는 단계는,
상기 부산물을 증류수와 1:1 부피비로 혼합하여 분산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산물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수산화마그네슘 이외의 불순물을 화학적으로 용해시키는 단계와,
원심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부산물과 분리액 내에서 이온상태로 존재하는 원소들을 제거하되, 상기 분리액의 전기전도도가 50 μS/㎝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산물을 설정온도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금속 제거방법.
Generating a by-product containing magnesium in a storage tank;
collecting and separating the by-products generated in the storage tank; and
Including the step of purifying to increase the purity of magnesium hydroxide in the collected and separated by-product,
The purification step is
Mixing and dispersing the by-product with distilled water in a 1:1 volume ratio;
chemically dissolving impurities other than the magnesium hydroxide in the by-product using ultrasonic waves;
Using a centrifugal separator to remove elements present in an ionic state in the by-product and the separation liquid, and repeating the separation until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eparation liquid is 50 μS / cm or les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rying the by-product at a set temperature, heavy metal remova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해수계통의 차아염소산 나트륨 저장탱크인, 중금속 제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tank is a sodium hypochlorite storage tank of the seawater system, heavy metal removal meth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은 알루미늄(Al), 소듐(Na), 칼슘(Ca), 황(S), 염소(C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중금속 제거방법.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by-product includes one or more elem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Al), sodium (Na), calcium (Ca), sulfur (S), and chlorine (C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은 80℃ 온도에서 24시간 건조되는 것인, 중금속 제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heavy metal removal method, wherein the by-product is dried for 24 hours at a temperature of 80 ° C.
제1항에 있어서,
정제된 상기 부산물을 수중에 투입하여, 상기 수중의 음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금속 제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heavy metal removal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moving the anionic heavy metal in the water by introducing the purified by-product into water.
KR1020210027315A 2021-03-02 2021-03-02 Removal method of heavy metals KR1025079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315A KR102507924B1 (en) 2021-03-02 2021-03-02 Removal method of heavy met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315A KR102507924B1 (en) 2021-03-02 2021-03-02 Removal method of heavy met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858A KR20220123858A (en) 2022-09-13
KR102507924B1 true KR102507924B1 (en) 2023-03-08

Family

ID=83286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315A KR102507924B1 (en) 2021-03-02 2021-03-02 Removal method of heavy met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92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096B1 (en) * 1996-12-23 2000-10-16 이구택 A method of removing iron from aqueous magnesium
KR101118055B1 (en) * 2011-07-26 2012-02-24 (주)케이티마린 In-line treating apparatus of ballast water
KR101355816B1 (en) * 2012-04-11 2014-01-2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ethod for separation and recovery of silicon from silicon sludg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5281B2 (en) * 1996-10-11 2002-12-09 関西電力株式会社 Treatment agent and treatment method for metal-containing acidic wastewater
KR102215869B1 (en) 2020-07-28 2021-02-16 (주)에코원테크놀로지 A system for generating sodium hypochlorite and containing sodium hypochlorite that improves efficiency through the step-by-step injection of dilute saline through the application of separation plates and tilting plat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096B1 (en) * 1996-12-23 2000-10-16 이구택 A method of removing iron from aqueous magnesium
KR101118055B1 (en) * 2011-07-26 2012-02-24 (주)케이티마린 In-line treating apparatus of ballast water
KR101355816B1 (en) * 2012-04-11 2014-01-2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ethod for separation and recovery of silicon from silicon slu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858A (en)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66328B2 (en) Producing aqueous industrial sodium hydroxide solution
CN102574024B (en) Process for the combined regeneration of soluble salts contained in a residue of an industrial process
JPH10500900A (en)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substances
JP2005537202A (en) Recovery of sodium chloride and other salts from brine
KR101871178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high purity lithium carbonate from solution containing lithium by evaporation concentration
JP2001026418A (en) Recovering method of industrially useful inorganic material and industrially useful inorganic material recovered by the same
JP5336408B2 (en) Recovery of sodium chloride and other salts from brine
JP5290918B2 (en) Process for producing alkali metal chloride and alkali metal hydroxide
TWI383958B (en)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US6893474B2 (en) Purification process
KR102507924B1 (en) Removal method of heavy metals
EP1188717B1 (en) Method for producing an alkali metal hydroxide
JPS62161973A (en) Production of high-purity lithium carbonate
CN113880116A (en) Method for separating and refining fluorine-containing sodium chloride salt
FR2679221A1 (en) PROCESS FOR PRODUCING AQUEOUS SOLUTION OF SODIUM CHLORIDE AND USE THEREOF
EP0058453B1 (en) Method of recovering nickel from a spent fat hardening catalyst
KR20080036093A (en) Method for producing high purity caustic potash
CN87102396A (en) The production of sodium chlorate
JP2005144209A (en) Fluorine-containing waste water treatment method
SE455706B (en) SET FOR PREPARATION OF ALKALIA METAL CHLORATE
US4169776A (en) Method for recovery of metallic zinc from chlorine contaminated skimmings
JP2004521060A (en) Method for removing sodium sulfate from nickel hydroxide waste stream
US4323436A (en) Purification of aqueous solution of potassium chloride
CN103608289A (en) Process of purifying a residue with calcium ions
CN112279276B (en) Agricultural harmless treatment process for industrial byproduct potassium sa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