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419B1 - System for modeling structure using object - Google Patents

System for modeling structure using obje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419B1
KR102507419B1 KR1020220173570A KR20220173570A KR102507419B1 KR 102507419 B1 KR102507419 B1 KR 102507419B1 KR 1020220173570 A KR1020220173570 A KR 1020220173570A KR 20220173570 A KR20220173570 A KR 20220173570A KR 102507419 B1 KR102507419 B1 KR 102507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information
damage
sub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35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07974A (en
Inventor
이혁진
Original Assignee
(주)지쓰리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쓰리씨 filed Critical (주)지쓰리씨
Priority to KR1020220173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419B1/en
Publication of KR20230007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9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4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6Visual data mining; Browsing structured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9Object oriented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ometry (AREA)
  • Architectu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객체 오브젝트를 이용한 구조물 모델링 시스템은 구조물에 대한 3차원 객체인 오브젝트가 저장된 오브젝트DB부; 복수 개 종류의 손상정보 각각을 개별적으로 형상화하는 심벌객체인 아이콘이 저장되는 아이콘저장부; 손상을 구분하는 아이디정보, 손상의 종류정보, 손상 부위의 위치정보, 손상의 특성정보 및 손상 부위가 발생된 해당 섹션의 명칭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구조화된 데이터객체를 생성하는 객체생성부; 상기 데이터객체의 속성정보에 해당하는 아이콘인 객체아이콘을 상기 오브젝트에 머징한 머징오브젝트를 생성하되, 상기 속성정보에 포함된 손상부위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외부 공간 영역에 상기 객체아이콘이 표출되도록 상기 머징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메인처리부; 및 상기 객체아이콘을 상기 데이터객체에 연계시킨 통합데이터객체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tructure modeling system using an objec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bject DB unit in which an object, which is a three-dimensional object for a structure, is stored; an icon storage unit in which icons, which are symbol objects that individually shape each of a plurality of types of damage information, are stored; An object that creates a structured data object by interlinking attribute information including ID information to classify damage, damage type information,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a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name information of the section where the damage occurs. generating unit; A merging object is created by merging an object icon, which i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data object, with the object. a main processing unit generating the merging object to be displayed; and a data processing unit that creates an integrated data object in which the object icon is linked to the data object.

Description

객체 오브젝트를 이용한 구조물 모델링 시스템{SYSTEM FOR MODELING STRUCTURE USING OBJECT}Structure modeling system using object object {SYSTEM FOR MODELING STRUCTURE USING OBJECT}

본 발명은 교량 등과 같은 구조물을 3차원 데이터 객체로 모델링하는 시스템 및 방법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구조물의 유지 보수와 관련된 복수 개 종류의 손상정보를 이를 표상하는 복수 개 심벌객체인 아이콘으로 유형화시키고 구조물에 대한 3차원 오브젝트와 함께 GUI 환경으로 머징 및 모델링함으로써, 구조물에 대한 전체적인 모니터링은 물론, 세부적 손상 부위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데이터를 더욱 정확하고 신속하게 그리고 더욱 향상된 직관성과 시인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객체 오브젝트를 이용한 구조물 모델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a structure such as a bridge as a 3D data object, and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types of dama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intenance of a structure are typed into a plurality of symbol object icons representing them, and the structure By merging and modeling with the GUI environment along with the 3D object for the object, the overall monitoring of the structure as well as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on the detailed damaged area can be checked more accurately, quickly, and through improved intuition and visibility. It relates to a structure modeling system using objects.

규모가 크지 않고, 부대시설이나 설비 등이 비교적 복잡하지 않은 겅축물 등의 경우, 관리 주체의 육안 검사, 사진 촬영, 2차원 도면 대조 등과 같은 일반화된 방법으로 손상 부위 등의 확인, 유지,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case of buildings that are not large in scale and relatively uncomplicated in auxiliary facilities or equipment, generalized methods such as visual inspection, photographing, and 2D drawing comparison by the management subject are used to check, maintain, manage, etc. the damaged area, etc. can be performed.

그러나 교량이나 대규모 종합 건물 등의 경우, 이러한 전통적인 방법으로 손상 부위 등의 확인, 유지, 관리 등을 수행하는 경우, 수집되는 자료 자체가 방대해지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려움은 물론, 손상 등에 대한 전체적인 상황을 시인성 높게 확인하기가 상당히 곤란하고 나아가 이러한 방법은 기본적으로 인적(人的) 의존적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므로 작거나 큰 다양한 오류(Human errors)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bridges or large-scale comprehensive buildings, when checking, maintaining, and managing damaged areas using these traditional methods, the collected data itself becomes vast, making it difficult to apply it effectively, as well as the overall situation of damage, etc. It is quite difficult to check with high visibility, and furthermore, since this method is basically performed by a human-dependent method, it can be easily exposed to various small or large human errors.

한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건설산업에서 2차원 중심의 정보와 데이터를 3차원 기반으로 전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협업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s a technology that converts 2D-oriented information and data into 3D-based information and induces various collaboration processes based on thi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BIM은 다양한 분야의 참여자들 간 협업을 기반으로 공간, 에너지, 디자인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설계안을 최적화하고 시공에 앞서 가상공간에서 리스크를 확인하고 해소함으로써 최적화된 시공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객체 데이터 모델링에 해당한다.The main purpose of BIM is to implement an optimized construction process by optimizing design plans in various aspects such as space, energy, and design based on collaboration between participants in various fields, and by identifying and resolving risks in virtual space prior to construction. Corresponds to object data modeling.

그러나 이러한 BIM은 주로 기획, 설계, 시공 등의 단계에서 최적화된 모델링을 제공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교량 등의 구조물이 완성된 이후 유지, 관리, 손상 확인 및 보수 등과 관련한 실효성 높은 활용이 거의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is BIM is mainly focused on providing optimized modeling at the stages of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it is almost impossible to use it with high effectiveness related to maintenance, management, damage confirmation, and repair after structures such as bridges are completed. There is a problem with not being able to.

그러므로 특히 교량과 같이 대규모 구조물의 경우, 손상에 관련된 정보와 손상 부위 등을 거시적으로 또는 미시적으로 시인성 높게 확인하는 것이 극히 어려워 유지, 관리 또는 보수 등에 필요한 행정 내지 정책적 처리에 대한 실효성이 상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especially in the case of large-scale structures such as bridges,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check damage-related information and damaged areas macroscopically or microscopically with high visibi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ve or policy processing required for maintenance, management, or repair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 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구조물에 대한 3차원 객체 오브젝트를 기반으로, 손상에 관련된 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구조화된 데이터객체는 물론, 손상정보를 개별적으로 형상화하는 심벌객체인 아이콘을 함께 머징한 3차원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손상 정보와 해당 구조물의 손상부위를 더욱 정확하고 신속하게 추적 및 모니터링할 수 있고, 3차원 객체로 렌더링된 오브젝트의 표출 제어를 통하여 거시적 관점은 물론, 미시적 관점에서 손상에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와 정보를 유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an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object object for the structure, damage information as well as structured data objects in which information related to damage is mutually linked is individually By creating and utilizing a 3D object by merging icons, which are symbol objects that shape it,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and quickly track and monitor the damage information and the damaged part of the structure, and to express the object rendered as a 3D objec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odeling system and method that can organically utilize various data and information related to damage from a macroscopic as well as a microscopic viewpoint through control.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claims and the combination of the configur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객체 오브젝트를 이용한 구조물 모델링 시스템은 구조물에 대한 3차원 객체인 오브젝트가 저장된 오브젝트DB부; 복수 개 종류의 손상정보 각각을 개별적으로 형상화하는 심벌객체인 아이콘이 저장되는 아이콘저장부; 손상을 구분하는 아이디정보, 손상의 종류정보, 손상 부위의 위치정보, 손상의 특성정보 및 손상 부위가 발생된 해당 섹션의 명칭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구조화된 데이터객체를 생성하는 객체생성부; 상기 데이터객체의 속성정보에 해당하는 아이콘인 객체아이콘을 상기 오브젝트에 머징한 머징오브젝트를 생성하되, 상기 속성정보에 포함된 손상부위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외부 공간 영역에 상기 객체아이콘이 표출되도록 상기 머징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메인처리부; 및 상기 객체아이콘을 상기 데이터객체에 연계시킨 통합데이터객체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structure modeling system using an objec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object DB unit in which an object, which is a three-dimensional object for a structure, is stored; an icon storage unit in which icons, which are symbol objects that individually shape each of a plurality of types of damage information, are stored; An object that creates a structured data object by interlinking attribute information including ID information to classify damage, damage type information,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a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name information of the section where the damage occurs. generating unit; A merging object is created by merging an object icon, which i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data object, with the object. a main processing unit generating the merging object to be displayed; and a data processing unit that creates an integrated data object in which the object icon is linked to the data object.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아이콘저장부는 상기 아이콘과 대응되는 서브아이콘을 더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메인처리부는 상기 속성정보에 포함된 손상부위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속성정보에 해당하는 서브아이콘인 객체서브아이콘을 상기 오브젝트의 해당 부위에 머징하여 상기 머징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객체서브아이콘을 더 연계시켜 상기 통합데이터객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icon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store a sub-icon corresponding to the icon, and in this case, the main proces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amaged part included in the attribute information. The merging object may be created by merging an object sub-icon, which is a sub-icon, to a corresponding part of the object,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may further link the object sub-icon to create the integrated data objec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머징오브젝트를 3차원 공간 환경으로 표출하되, 복수 개 아이콘으로 이루어진 인터페이스 환경을 통하여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객체아이콘만이 포함된 머징오브젝트를 표출하는 표출제어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es the merging object in a three-dimensional space environment, but further includes an expression control unit that expresses the merging object including only the corresponding object icon when a specific icon is selected through an interface environm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icons. can be configured to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표출제어부는 상기 객체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객체아이콘에 해당하는 객체서브아이콘인 제1서브아이콘 및 상기 제1서브아이콘이 머징된 상기 오브젝트의 해당 부위가 표출되도록 표출 환경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expression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of the object icons is selected, displays a first sub-icon that is an object sub-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icon and a corresponding part of the object in which the first sub-icon is merged. Can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presentation environment.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제1서브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통합데이터객체 중 상기 제1서브아이콘에 해당하는 속성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formation provision unit providing attrib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icon among the integrated data objects when the first sub-icon is selected.

여기에서, 상기 속성정보는 해당 손상 부위를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더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attribute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image data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damaged portion, and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provide the image data.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통합데이터객체를 스프레드시트용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표출제어부는 상기 스프레드시트의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서브아이콘인 제2서브아이콘 및 상기 제2서브아이콘이 머징된 상기 오브젝트의 해당 부위가 표출되도록 표출 환경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the integrated data object as a spreadsheet program. In this case, the expression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sub-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of the spreadsheet. The display environment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second sub-icon and a corresponding part of the object in which the second sub-icon is merged are display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심벌객체와 계층적 속성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구조물 모델링 방법은 구조물에 대한 3차원 객체인 오브젝트가 저장된 오브젝트저장단계; 손상을 구분하는 아이디정보, 손상의 종류정보, 손상 부위의 위치정보, 손상의 특성정보 및 손상 부위가 발생된 해당 구조물의 명칭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구조화된 데이터객체를 생성하는 객체생성단계; 상기 데이터객체의 속성정보에 해당하는 아이콘인 객체아이콘을 상기 오브젝트에 머징한 머징오브젝트를 생성하되, 상기 속성정보에 포함된 손상부위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수직 상방의 공간에 상기 객체아이콘이 표출되도록 상기 머징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메인처리단계; 상기 객체아이콘을 상기 데이터객체에 연계시킨 통합데이터객체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단계; 및 상기 머징오브젝트를 3차원 공간 환경으로 표출하는 표출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user-oriented structure modeling method using a symbol object and hierarchical attribute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bject storage step in which an object, which is a 3D object for a structure, is stored; An object that creates a structured data object by interlinking attribute information including ID information for classifying damage, damage type information,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a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name information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damaged part occurred creation step; Create a merging object by merging an object icon, which i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data object, with the object, and place the object icon in a space vertically above the object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amaged part included in the attribute information. a main processing step of generating the merging object so that the merging object is expressed; a data processing step of creating an integrated data object in which the object icon is linked to the data object; and an expression control step of expressing the merging object in a 3D space environme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설계 또는 다자간 시공 작업을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BIM 데이터를 구조물의 완공 이후 사후 관리에도 효과적으로 접목시킬 수 있어 BIM 데이터의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IM data, which is mainly used for design or multilateral construction work,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post-management after completion of a structure, so that the utilization of BIM data can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구조물의 손상 부위에 대한 위치정보 등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손상 부위 내지 손상을 표상하는 심벌객체인 아이콘 및 서브아이콘을 구조물에 대한 3차원 객체 오브젝트와 머징시키고 이를 시인성 높은 3차원 렌더링 환경으로 제공할 수 있어, 구조물에 대한 전체적인 모니터링을 더욱 직관적이고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con and a sub-icon, which are symbolic objects representing the damaged area or damage, are merged with a 3D object object for the structure by effectively using location information on the damaged area of the structure, etc. Since it can be provided as a highly visible 3D rendering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more intuitively and clearly grasping the overall monitoring of the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손상 부위에 대한 거시적 관점의 전체적 조망 내지 모니터링은 물론, 구조화된 데이터들의 상호 연계를 통하여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손상 부위가 즉각적으로 인터페이싱되도록 함으로써 미시적 관점에서 특정 손상 부위를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추적 및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손상 부위에 대한 사진 자료를 포함한, 손상 부위에 대한 다양한 속성정보를 사용자 지향적 환경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icon is selected through the interconnection of structured data as well as the overall view or monitoring of the macroscopic view of the damaged area, the damaged area is immediately interfaced, thereby enabling microscopic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track and confirm a specific damaged part more quickly and accurately,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attribute information on the damaged part, including photographic data of the damaged part, through a user-oriented environment.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델링 시스템 및 이와 관련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델링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머징오브젝트 및 이와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구조물에 대한 3차원 오브젝트 및 이와 연계되어 표출되는 아이콘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록도,
도 6은 아이콘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 환경 및 그에 따른 표출 화면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해당 손상 부위에 대한 인터페이스 환경 및 손상에 대한 속성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more effectively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hes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1 is a diagram showing a mode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verall configuration related thereto;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ode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viding a merging object and various data related thereto;
5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3D object for a structure and an icon displayed in association with it, a block diagram;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nterface environment for icon selection and a corresponding display screen;
7 and 8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the interface environment for a corresponding damaged part and attribute information on the damaged p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usu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uses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객체 오브젝트를 이용한 구조물 모델링 시스템(이하 '모델링 시스템'이라 지칭한다)(100) 및 이와 관련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modeling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odeling system') 100 using an object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verall configuration related thereto.

교량(대교), 대형 건물, 플랜트 등(이하 '구조물'이라 지칭한다)은 상당히 많은 세부 부문과 부위, 설비, 시설 등이 복합적으로 집합된 건축물에 해당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손상이나 결함 등이 다양한 위치나 부위에서 발생될 수 있으며 단편적인 데이터 수집만으로는 그 유지 관리 등이 효과적으로 구현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Bridges (bridges), large buildings, plants,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ructures') correspond to buildings in which a large number of detailed parts, parts, facilities, facilities, etc. are complexly assembled, so various types of damages or defects may occur in various locations. It can occur in the affected area,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implement its maintenance and management with only fragmentary data collection.

본 발명의 모델링 시스템(100)은 후술되어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교량 등과 같은 구조물에 대한 3차원 기반의 모델링된 객체(이하 '오브젝트'라 지칭한다)를 베이스로, 손상을 표상하는 다양한 심벌객체인 아이콘 및 해당 손상부위를 특징화하는 서브아이콘 등을 이 오브젝트에 통합적으로 머징(merging)시킨 3차원 모델링 객체(이하 '머징오브젝트'라 지칭한다)를 생성하고 상기 머징오브젝트에 대한 전체 또는 선택된 영역이나 부분 등을 3차원 공간 기반의 GUI 환경으로 사용자 등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다.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model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three-dimensional modeled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object') for a structure such as a bridge, and various symbol objects representing damage. A 3D modeling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erging object') is created by merging an icon and a sub-icon characterizing the corresponding damaged part integrally with this object, and the entire or selected area or area of the merging object is created. It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user with a 3D space-based GUI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의 모델링 시스템(100)은 손상에 관련된 다양한 속성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구조화된 데이터객체를 생성하고 이 데이터객체에 대한 정보 제공이, 머징오브젝트에 대한 전체 또는 선택된 영역이나 부분 등이 3차원 공간 기반의 GUI 환경으로 사용자 등에게 제공되는 과정에 유기적으로 접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더욱 사용자 지향적 환경의 정보 공유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el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structured data object by interlinking various attribute information related to damage,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data object to the whole or selected area or part of the merging object. As a dimensional space-based GUI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information sharing in a more user-oriented environment by configuring it to be organically incorporated into the process provided to users.

본 발명의 모델링 시스템(100)은 PC 또는 이에 준하는 단말 장치에서도 구현될 수 있으나, 하드웨어 리소스의 효과적인 분배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다양한 정보 내지 데이터를 온라인 접속한 복수 유저들에게 사용자 지향적 환경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서버 내지 플랫폼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del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PC or a terminal device equivalent thereto, but implements effective distribution of hardware resources and provides a user-oriented environment to a plurality of users who have online access to various information or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rver or platform so as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모델링 시스템(100)은 모바일 단말 형태의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물론, 노트북, PC 등과 같은 사용자 클라이언트(300)와 유무선 네트워크(50)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model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 user client 300 such as a laptop or PC as well as a user client 200 in the form of a mobile terminal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50 .

데이터 인터페이싱 및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 등을 높이기 위하여 로그인이나 데이터 처리, 데이터 통신 등을 위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App)이나 소프트웨어가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300)에 미리 탑재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모델링 시스템(100)과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ata interfacing and data transmission,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pp) or software for login, data processing, data communication, etc. ) Of course, it can be configured to work with.

또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300)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의 모델링 시스템(100)에서 해당 정보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경우, 정보 공유 및 확인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알림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updated in the model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clients 200 and 300 may include a notification function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sharing and confirma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델링 시스템(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델링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이들 구성에 의하여 수행되는 프로세싱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del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model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cessing performed by these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델링 시스템(100)은 오브젝트DB부(110), 아이콘저장부(120), 객체생성부(130), 메인처리부(140), 데이터처리부(150), 인터페이스부(160), 표출제어부(170) 및 정보제공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model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bject DB unit 110, an icon storage unit 120, an object creation unit 130, a main processing unit 140, a data processing unit 150, an interfac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unit 160, an expression control unit 170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80.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델링 시스템(100)은 서버 내지 플랫폼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모델링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del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rver or a platform, each component of the model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is a physically distinct component. Rather,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logically separated component.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That is, since each configuration corresponds to a logical component for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each component is integrated or separated, if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log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is within the scope, and any component perform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should be construed a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name is identical.

본 발명의 오브젝트DB부(110)는 구조물(예를 들어, 교량/대교)에 대한 3차원 객체 모델인 오브젝트가 저장된다(S300, 도 3 참조). 오브젝트는 Autodesk Revit 등을 포함한 다양한 모델링 툴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적절한 변화와 수정을 적용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설계 또는 시공 단계의 BIM에서 생성된 3차원 객체 모델을 활용하여 생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object DB 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objects that are 3D object models for structures (eg, bridges/bridges) (S300, see FIG. 3). Objects can be produced through various modeling tools, including Autodesk Revit, etc., and can also be created by utilizing a 3D object model created from BIM in the design or construction stage through a method of applying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

본 발명의 아이콘저장부(120)는 복수 개 종류의 손상정보 각각을 개별적으로 형상화하는 심벌객체인 아이콘이 저장된다(S310). 교량 등의 구조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 대표적인 손상은 균열, 백태, 박리, 파손, 누수, 누유, 마모(열화), 체결불량, 이물질(토사)퇴적, 변형, 부식, 공동(펀칭), 백태, 골조(철근)노출, 재료분리 등을 들 수 있다.The icon storage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icons that are symbol objects that individually shape each of a plurality of types of damage information (S310). Typical damages that may occur in structures such as bridges include cracks, efflorescence, peeling, breakage, leaks, leaks, abrasion (deterioration), poor connection, accumulation of foreign substances (soil), deformation, corrosion, voids (punching), efflorescence, and framing. (rebar) exposure, material separation, etc.

본 발명의 아이콘저장부(120)는 직관적 인식이 가능하고 해당 손상을 더욱 시인성 높게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손상 각각을 시각적 내지 형상적으로 특징화(characterizing)한 아이콘을 생성하고 저장한다.The icon storage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d stores an icon visually or figuratively characterizing each of the damages so that intuitive recognition is possible and the corresponding damages can be identified with higher visibility.

본 발명의 객체생성부(130)는 손상을 구분하는 아이디정보, 손상의 종류정보, 손상 부위의 위치정보 내지 부위정보, 손상의 특성정보, 해당 손상 부위를 촬영한 영상데이터 및 손상 부위가 발생된 해당 섹션의 명칭정보 등을 포함하는 속성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구조화된 데이터객체를 생성한다(S320).The object generator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D information for classifying damage, damage typ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r part information of the damaged part,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damage, image data photographing the damaged part, and damage part generated information. Attribute information including nam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ection is interconnected to create a structured data object (S320).

손상 부위의 위치정보는 절대적 또는 상대적 기준에 의한 3차원 공간 좌표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손상이 위치하는 구조물의 부위 내지 섹션의 위치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amaged part may be generated based on 3D spatial coordinates based on an absolute or relative criterion, and may also be genera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art or section of the structure where the damage is located.

손상의 특성정보는 손상의 세부위치(예를 들어, 상판), 손상(결함)의 규모(폭, 너비, 길이 등), 보수일자, 도면 명칭, 도면번호, 진단 기관, 보수 기관 등의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damage is information such as detailed location of damage (for example, top plate), scale of damage (defect) (width, width, length, etc.), repair date, drawing name, drawing number, diagnosis agency, repair agency, etc. It can be done.

본 발명의 메인처리부(140)는 특정 손상에 대한 데이터객체가 생성되면, 아이콘저장부(120)에 저장된 복수 개 아이콘 중 상기 데이터객체에 포함된 속성정보에 해당하는 아이콘(이하 '객체아이콘'이라 지칭한다)을 선별한다(S330).When a data object for a specific damage is created, the main processing unit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a plurality of icons stored in the icon storage unit 120,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object icon'). refer) is selected (S330).

이와 같이 객체아이콘이 선정 내지 선별되면 본 발명의 메인처리부(140)는 속성정보에 포함된 부위정보 또는 위치정보 등을 파싱(parsing)하여(S340) 해당 손상 부위의 3차원 공간상의 좌표 정보 또는 구조체(오브젝트)에서 해당 손상이 발생된 위치를 파악하고, 오브젝트가 점유되지 않는 외부 공간 영역에 해당 객체아이콘이 표출되도록(S355) 해당 객체아이콘을 객체화하는 방식으로 객체아이콘을 상기 오브젝트에 머징한 머징오브젝트(MO, 도 5 등 참조)를 생성한다(S350).In this way, when the object icon is selected or selected, the main processing unit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parses the part information or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ttribute information (S340), and coordinates information or structure of the damaged part in 3D space. A merging object in which the object icon is merged with the object by identifying the location where the damage occurred in (object) and objectifying the corresponding object icon so that the corresponding object icon is expressed in the outer space area where the object is not occupied (S355) (MO, see FIG. 5, etc.) is generated (S350).

3차원 공간 환경을 통하여 상기 객체아이콘이 더욱 시인성 높게 확인될 수 있도록 상기 객체아이콘은 해당 손상이 발생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오브젝트의 수직 상방향 외부 공간에 표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object icon to be expressed in an external space in a vertical upward direction of the object based on a point where the damage occurs so that the object icon can be identified with higher visibility through a three-dimensional space environment.

도 5(a) 및 (b)는 이에 대한 예시로서, 구조물(ex. 교량/대교)에 대한 오브젝트(30) 및 오브젝트(30)에서 발생된 다양한 손상을 표상하는 객체아이콘(60)이 해당 손상 부위를 기준으로 오브젝트(30)의 상방향에 표출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5 (a) and (b) are examples of this, in which an object 30 for a structure (eg, a bridge/bridge) and an object icon 60 representing various damages generated in the object 30 are correspondingly damaged. It shows the form express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object 30 based on the part.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30)와 객체아이콘(60)이 함께 통합된 머징오브젝트(MO)는 축 방향 변화, 크기 변화, 제스처(gesture) 등의 인터페이싱에 따라 view의 크기와 방향, 축척 등이 가변적으로 적용되도록 3차원 공간 객체로 렌더링되어 생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illustrated in FIG. 5, the merging object (MO) in which the object 30 and the object icon 60 are integrated together changes the size and direction of the view according to interfacing such as axial change, size change, and gestu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may be rendered and generated as a 3D space object so that a scale or the like is variably applied.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특정 데이터객체의 속성정보에 해당하는 객체아이콘이 선별되면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부(150)는 3차원 공간상의 위치이동, 손상 부위 추적, 데이터구조로서의 활용 등에 대한 프로세싱 처리가 가능하도록 해당 객체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객체에 연계시킨 통합데이터객체를 생성한다(S360).As described above, when an object icon corresponding to attribute information of a specific data object is selected, the data processing uni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processing such as movement in a 3D space, tracking of a damaged area, and utilization as a data structure. An integrated data object is created in which the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object icon is linked to the data object so as to do so (S360).

이와 같이 머징오브젝트(MO) 및 통합데이터객체의 생성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표출제어부(170)는 머징오브젝트(MO)가 3차원 공간 환경으로 표출되도록 제어하고 본 발명의 정보제공부(180)는 통합데이터객체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를 GUI 환경으로 제공한다(S370).When the creation of the merging object (MO) and the integrated data object are completed in this way, the expression control unit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merging object (MO) to be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environment,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8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tegrated data object to the GUI environment (S370).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아이콘저장부(120)에는 상기 아이콘과 대응(연계)되며 손상 부위 그 자체 내지 손상 부위의 해당 위치를 표상하는 서브아이콘이 더 저장될 수 있다. 이 서브아이콘은 3차원 객체를 기준으로 오브젝트(구조물)(30) 중 손상이 발생된 해당 부위 내지 위치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심벌객체(70, 도 6 내지 도 8 참조)에 해당한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icon storage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store sub-icons corresponding to (linked to) the icon and representing the damaged part itself or the corresponding location of the damaged part. This sub-icon corresponds to a symbol object (70, see FIGS. 6 to 8) that is directly coupled to a corresponding part or position where damage occurs among objects (structures) 30 based on a 3D object.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속성정보에는 손상부위의 위치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메인처리부(140)는 상기 속성정보에 포함된 손상부위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속성정보에 상응하는 서브아이콘인 객체서브아이콘(70)을 상기 오브젝트(30)의 해당 부위에 더 결합시키는 방법으로(S357) 상기 머징오브젝트(MO)를 생성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ttribute information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amaged part, the main processing unit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amaged part included in the attribute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sub-ic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ttribute information. The merging object (MO) is created by further combining the object sub-icon 70 with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object 30 (S357).

즉, 3차원 객체 모델인 오브젝트(30)의 해당 손상 부위에 객체서브아이콘이 머징되며, 이 손상 부위의 직 상방의 공간에 이 객체서브아이콘와 데이터 구조상 내재되어 연계된 객체아이콘이 머징된다.That is, an object sub-icon is merged in the corresponding damaged part of the object 30, which is a 3D object model, and an object icon related to the object sub-icon inherent in the data structure is merged in a space immediately above the damaged part.

이아 같이 객체서브아이콘이 함께 머징되어 머징오브젝트(MO)가 생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부(150)는 객체아이콘, 데이터객체 및 객체서브아이콘 등이 모두 연계되는 통합데이터객체를 생성한다(S360).If object sub-icons are merged together to create a merging object (MO), the data processing uni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n integrated data object in which object icons, data objects, and object sub-icons are all linked (S360). .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머징오브젝트(MO) 및 이에 해당하는 통합데이터객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정보 내지 데이터가 제공되도록 머징오브젝트(MO)를 표출 제어하는 본 발명의 프로세싱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the process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merging object (MO) so that various information or data constituting the merging object (MO) and the corresponding integrated data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출제어부(170)는 객체아이콘(60), 객체서브아이콘(70)이 머징된 3차원 객체인 머징오브젝트(MO)를 3차원 공간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통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300)로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xpression control unit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the merging object (MO), which is a 3D object in which the object icon 60 and the object subicon 70 are merged, through the interface environment of the 3D space to the user client ( 200, 300).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부(16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 아이콘으로 이루어진 인터페이스 환경(A)을 제공하도록(S400)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regard, the interface unit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n interface environment A composed of a plurality of icons (S400) as shown in FIG. 6(a).

도 6(a)에 예시된 인터페이스 환경(A)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기준치 이상의 균열, 기준치 이하의 균열, 균열부 백태, 박리(박락, 파손), 골조(철근)노출, 누수, 백태, 망상균열, 공동(펀칭), 부식, 변형, 이물질(토사) 퇴적, 체결(볼트)불량, 누유, 기타손상을 각각 표상하는 아이콘에 해당한다.The interface environment (A) illustrated in FIG. 6 (a) is, from left to right, cracks above the standard value, cracks below the standard value, efflorescence at cracks, peeling (exfoliation, breakage), exposure of frame (reinforcement), water leakage, efflorescence, and reticularity. Corresponds to icons representing cracks, cavities (punching), corrosion, deformation, accumulation of foreign substances (soil), poor fastening (bolts), oil leaks, and other damages.

이와 같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300)로 인터페이스 환경(A)이 제공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이들 아이콘 중 특정 아이콘(A-1)(예를 들어 기준치 이상의 균열에 해당하는 첫 번째 아이콘)을 선택하면, 특정 종류에 해당하는 손상만을 유형적으로 확인 및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표출제어부(170)는 도 6(b)와 같이 이에 해당하는 객체아이콘(60)만이 포함된 머징오브젝트(MO)가 표출되도록 제어한다(S420). 아이콘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도 6(a)와 같이 전체 객체아이콘이 포함된 머징오브젝트(MO)가 3차원 공간 환경으로 표출될 수 있다(S430).In this way, the interface environment (A) is provided to the user clients (200, 300), and through this,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icon (A-1) among these icons (for example, the first icon corresponding to a crack greater than the standard value), In order to tangibly identify and monitor only damag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type, the expression control unit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merging object (MO) containing only the corresponding object icon 60 as shown in FIG. 6 (b). Control (S420). When an icon is not selected, the merging object (MO) including all object icons can be displayed in a 3D space environment as shown in FIG. 6 (a) (S43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델링 시스템(100)은 최상위 계층의 정보객체를 구성하며 손상의 종류별로 유형화된 객체아이콘을 통하여 구조물(교량)에 대한 전체적인 손상을 손상의 종류별로 시인성 높게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model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the top-level information object and can intuitively check the overall damage to a structure (bridge) with high visibility by type of damage through the object ic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damage.

또한, 본 발명의 표출제어부(170)는 화면을 통하여 제공된 객체아이콘(60)중 하나가 선택되면(S440) 선택된 객체아이콘(60)에 해당하는 객체서브아이콘(70)인 제1서브아이콘(70)을 선별하고(S450) 도 7 및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선별된 제1서브아이콘(70) 및 이 제1서브아이콘(70)이 머징된 상기 오브젝트(30)의 해당 부위가 3차원 공간으로 표출되도록 표출 환경을 제어한다(S460).In addition, when one of the object icons 60 provided through the screen is selected (S440), the expression control unit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sub-icon 70 corresponding to the object icon 6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icon 60. ) is selected (S450), and as illustrated in FIGS. 7 and 8, the selected first sub-icon 70 and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object 30 in which the first sub-icon 70 is merged are 3D The expression environment is controlled so that it is expressed in space (S460).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부(150)에서 생성되는 통합데이터객체는 손상부위에 대한 정보, 손상이 발생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정보, 해당 객체아이콘(60)에 대한 정보 및 해당 객체서브아이콘(70)에 대한 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구조화된 데이터에 해당한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grated data object generat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damaged part, attribute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damage occurs,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object icon 60, and corresponding object Information on the sub-icons 70 corresponds to structured data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모델링 시스템(100)은 이러한 통합데이터객체의 정보 연관성을 통하여 특정 객체아이콘(60)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객체서브아이콘(70)인 제1서브아이콘(70)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도 7 및 도 8에 예시된 화면 표출 설정과 같은 3차원 공간 화면으로 즉각적으로 이동할(S465)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model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check the first sub-icon 70, which is the corresponding object sub-icon 70, when a specific object icon 60 is se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correlation of the integrated data objec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move to a 3D space screen such as the screen display setting illustrated in FIGS. 7 and 8 (S465).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델링 시스템(100)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객체아이콘의 제공 및 선택 등을 통하여 종류별로 유형화된 손상 정보를 최상위 레이어에 해당하는 데이터로 제공하고, 후속적으로 특정 객체아이콘이 선택되면 차순위 레이어에 해당하는 해당 손상 부위에 대한 모델링된 영상데이터가 제공되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odel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damage information typed by type as data corresponding to the top layer through the provision and selection of object icons, etc., and subsequently selects a specific object icon. Then, modeled image data for the corresponding damaged part corresponding to the next layer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서브아이콘(70)이 선택되는 등의 방법으로 리퀘스트 신호가 입력되면(S470) 본 발명의 정보제공부(180)는 상기 통합데이터객체 중 상기 제1서브아이콘(70)에 해당하는 속정정보(90, 도 7 참조)를 제공한다(S480).In this state, if a request signal is input in such a way that the first sub-icon 70 is selected (S470),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8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igned to the first sub-icon 70 among the integrated data objects. Corresponding property information (90, see FIG. 7) is provided (S480).

실시형태에 따라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300)로 제공되는 속성정보에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은 해당 손상 부위를 촬영한 영상데이터(91)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하여 더욱 현장감 있는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ttribut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clients 200 and 30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image data 91 of photographing the damaged part as illustrated in FIG. 8 to provide more realistic information. It is desirable to do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부(150)가 생성하는 통합데이터객체는 다양한 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구조화된 데이터이므로 이를 엑셀 등과 같은 스프레드시트용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300)로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tegrated data object generat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ed data in which various information is interconnected, it is implemented as a spreadsheet program such as Excel and provided to the user clients 200 and 300 can do.

이와 같이 스프레드시트용 프로그램으로 본 발명의 통합데이터객체가 제공되는 경우 본 발명의 표출제어부(170)는 스프레드시트의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서브아이콘인 제2서브아이콘 및 상기 제2서브아이콘이 머징된 상기 오브젝트의 해당 부위가 표출되도록 표출 환경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way, when the integrated data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a spreadsheet program, the expression control unit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item of the spreadsheet is selected, displays a second sub-icon corresponding to this sub-icon and the second sub-icon Of course, it can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expression environment so that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merged object is expressed.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프로세싱은 설정된 종료조건(전원 off, 프로그램 비활성화 등)이 충족되지 않는다면(S490) 순환적으로 적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may be configured to be applied cyclically if set termination conditions (power off, program inactivation, etc.) are not met (S49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델링 시스템(100)은 손상을 표상하는 객체아이콘(60), 객체아이콘에 연계되며 해당 손상부위를 표상하는 객체서브아이콘(70) 및 해당 손상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계층적으로 연계되어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어 거시적 관점의 종합적인 모니터링과 관리는 물론, 세부 손상 부위에 대한 정확한 미시적 관점의 추적과 확인이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As such, in the model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icon 60 representing the damage, the object sub-icon 70 linked to the object icon and representing the damaged part, and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damage are hierarchically linked. It can be provided sequentially to the user, so comprehensive monitoring and management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as well as accurate microscopic tracking and confirmation of the damaged area can be implemented at the same tim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ll be described below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odifier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only terms of instrumental concepts used to relatively distinguish components from each other, so they are used to indicate a specific order, priority, etc.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is not a term that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like for illustration of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mbodiments may be shown in a slightly exaggerated form in order to emphasize or highlight the technical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nd matters shown in the drawings Taking into account,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is obvious that various types of modifications can be applied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상술된 본 발명의 심벌객체와 계층적 속성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구조물 모델링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자기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를 포함하며, 유무선 인터넷 전송을 위한 서버도 포함한다.The user-oriented structure modeling method using the symbol object and hierarchical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CD-ROM, RAM, ROM, floppy disk, magnetic disk,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etc.)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is stored. It also includes a server for transmission.

100 : 본 발명의 모델링 시스템
110 : 오브젝트DB부 120 : 아이콘저장부
130 : 객체생성부 140 : 메인처리부
150 : 데이터처리부 160 : 인터페이스부
170 : 표출제어부 180 : 정보제공부
30 : 오브젝트 60 : 객체아이콘
70 : 객체서브아이콘 MO : 머징오브젝트
90 : 속성정보
100: model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object DB unit 120: icon storage unit
130: object creation unit 140: main processing unit
150: data processing unit 160: interface unit
170: expression control unit 180: information provision unit
30: object 60: object icon
70: object sub icon MO: merging object
90: attribute information

Claims (2)

구조물에 대한 3차원 객체인 오브젝트가 저장된 오브젝트DB부;
복수 개 종류의 손상정보 각각을 개별적으로 형상화하는 심벌객체인 아이콘및 상기 아이콘에 대응되는 서브아이콘이 저장되는 아이콘저장부;
손상을 구분하는 아이디정보, 손상의 종류정보, 손상 부위의 위치정보, 손상의 특성정보 및 손상 부위가 발생된 해당 섹션의 명칭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구조화된 데이터객체를 생성하는 객체생성부;
상기 데이터객체의 속성정보에 해당하는 아이콘인 객체아이콘 및 상기 객체아이콘에 해당하는 서브아이콘인 객체서브아이콘을 상기 오브젝트에 머징한 머징오브젝트를 생성하되, 상기 속성정보에 포함된 손상부위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아이콘은 상기 오브젝트의 외부 공간 영역에 표출되도록 하고, 상기 객체서브아이콘은 상기 오브젝트의 해당 부위에 표출되도록 상기 머징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메인처리부;
상기 객체아이콘 및 상기 객체서브아이콘을 상기 데이터객체에 연계시킨 통합데이터객체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부;
상기 머징오브젝트를 3차원 공간 환경으로 표출하되, 상기 객체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객체아이콘에 해당하는 객체서브아이콘인 제1서브아이콘 및 상기 제1서브아이콘이 머징된 상기 오브젝트의 해당 부위가 표출되도록 표출 환경을 제어하는 표출제어부; 및
상기 제1서브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통합데이터객체 중 상기 제1서브아이콘에 해당하는 속성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처리부는,
상기 속성정보에 포함된 손상부위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손상 부위의 3차원 공간상의 좌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점유되지 않는 외부 공간 영역으로서, 해당 손상 부위의 수직 상방향 외부 공간 영역에 상기 객체아이콘이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링 시스템.
an object DB unit in which an object, which is a 3D object for a structure, is stored;
an icon storage unit storing icons that are symbol objects that individually shape each of a plurality of types of damage information and sub-icons corresponding to the icons;
An object that creates a structured data object by interlinking attribute information including ID information to classify damage, damage type information, damage location information, da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name information of the section where the damage occurs. generating unit;
A merging object is created by merging an object icon, which i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data object, and an object subicon, which is a sub ic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icon, to the object, and a main processing unit generating the merging object so that the object icon is expressed in an external space area of the object and the object sub icon is expressed in a corresponding part of the object;
a data processing unit which creates an integrated data object by linking the object icon and the object sub-icon to the data object;
The merging object is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environment, but when one of the object icons is selected, a first sub-icon that is an object sub-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icon and a corresponding part of the object in which the first sub-icon is merged an expressi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an expression environment to be expressed;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oviding attrib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icon among the integrated data objects when the first sub-icon is selected;
The main processing unit,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amaged part included in the attribute information, coordinate information on the 3D space of the damaged part is checked, and as an outer space area not occupied by the object, an outer space area in the vertical upward direction of the damaged part The model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 icon is controlled to be expres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생성부의 속성정보는,
해당 손상 부위를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object generator,
Further including image data photographing the damaged area,
The model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further provides the image data.
KR1020220173570A 2021-02-03 2022-12-13 System for modeling structure using object KR1025074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3570A KR102507419B1 (en) 2021-02-03 2022-12-13 System for modeling structure using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345A KR102478501B1 (en) 2021-02-03 2021-02-03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structure with user orientation using symbol object and hierarchy attribute information
KR1020220173570A KR102507419B1 (en) 2021-02-03 2022-12-13 System for modeling structure using objec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345A Division KR102478501B1 (en) 2021-02-03 2021-02-03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structure with user orientation using symbol object and hierarchy attribute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974A KR20230007974A (en) 2023-01-13
KR102507419B1 true KR102507419B1 (en) 2023-03-08

Family

ID=8284683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345A KR102478501B1 (en) 2021-02-03 2021-02-03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structure with user orientation using symbol object and hierarchy attribute information
KR1020220173571A KR102516309B1 (en) 2021-02-03 2022-12-13 System for modeling structure using expressing graphic environment
KR1020220173570A KR102507419B1 (en) 2021-02-03 2022-12-13 System for modeling structure using object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345A KR102478501B1 (en) 2021-02-03 2021-02-03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structure with user orientation using symbol object and hierarchy attribute information
KR1020220173571A KR102516309B1 (en) 2021-02-03 2022-12-13 System for modeling structure using expressing graphic environ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7850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501B1 (en) * 2021-02-03 2022-12-19 (주)지쓰리씨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structure with user orientation using symbol object and hierarchy attribute inform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696A (en) 2000-08-04 2002-02-15 Sanko Kogyo Kk Complaint content color display system for city water on map, storage medium, water leakage cause color display system on map, and storage medium
KR101199955B1 (en) 2012-02-03 2012-11-09 주식회사 티엠이앤씨 Method for Input and Look up Damage Information of Facility using 3-Dimension Space Model
KR101621428B1 (en) 2015-11-05 2016-05-16 (주)지오투정보기술 System for displaying urban planning information for land land suitability assessment using order merging
KR102112046B1 (en) 2019-12-04 2020-05-18 (주) 다음기술단 Method for maintenance and safety diagnosis of facilities
KR102478501B1 (en) * 2021-02-03 2022-12-19 (주)지쓰리씨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structure with user orientation using symbol object and hierarchy attribute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967A (en) * 2016-10-26 2018-05-08 사단법인 빌딩스마트협회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BIM Property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696A (en) 2000-08-04 2002-02-15 Sanko Kogyo Kk Complaint content color display system for city water on map, storage medium, water leakage cause color display system on map, and storage medium
KR101199955B1 (en) 2012-02-03 2012-11-09 주식회사 티엠이앤씨 Method for Input and Look up Damage Information of Facility using 3-Dimension Space Model
KR101621428B1 (en) 2015-11-05 2016-05-16 (주)지오투정보기술 System for displaying urban planning information for land land suitability assessment using order merging
KR102112046B1 (en) 2019-12-04 2020-05-18 (주) 다음기술단 Method for maintenance and safety diagnosis of facilities
KR102478501B1 (en) * 2021-02-03 2022-12-19 (주)지쓰리씨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structure with user orientation using symbol object and hierarchy attribute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974A (en) 2023-01-13
KR102516309B1 (en) 2023-03-31
KR20220111931A (en) 2022-08-10
KR20230007975A (en) 2023-01-13
KR102478501B1 (en)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ilutiene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for structural engineering: A bibliometric analysis of the literature
Hu et al. Construction and facility management of large MEP projects using a multi-Scale building information model
Yang et al. Adop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buildings: a review of enabling applications and challenges
Jupp 4D BIM for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Bortoluzzi et al. Automating the cre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s for existing buildings
Kim et al. Interactive modeler for construction equipment oper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McKinney et al. Interactive 4d-cad
Heesom et al. Trends of 4D CAD applications for construction planning
Chen et al. A framework for an automated and integrated project scheduling and management system
Poku et al. Construction scheduling and progress control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Zolfagharian et al. Current trends in construction site layout planning
CN104680588B (en) Event marker method and system based on BIM
Zhang et al.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industry foundation classes‐based graphic information model for virtual construction
Hajirasouli et al. Augmented reality in design and construction: Thematic analysis and conceptual frameworks
Chong et al. Improving quality and performance of facility management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Srivastava et al. Imperative role of technology intervention and implementation for autom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JP2011519438A (en) Method and system for holding a conference in a virtual environment
KR102507419B1 (en) System for modeling structure using object
Tang et al. Developing a BIM GIS–integrated method for urban underground piping management in China: a case study
CN110795848A (en) Large-scale commercial complex logistics intellige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ethod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
CN114004000A (en) System for intelligent pipeline arrangement based on BIM technology
Voss et al. A BPMN-based process map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façades
Fialho et al. BIM and IoT for the AEC Industry: A systematic literature mapping
Andrews GIS and BIM Integration Leads to Smart Communities
Wang et al. Ontology of 3D virtual modeling in digital twin: a review, analysis and thin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