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230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230B1
KR102507230B1 KR1020210193939A KR20210193939A KR102507230B1 KR 102507230 B1 KR102507230 B1 KR 102507230B1 KR 1020210193939 A KR1020210193939 A KR 1020210193939A KR 20210193939 A KR20210193939 A KR 20210193939A KR 102507230 B1 KR102507230 B1 KR 102507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
comparison
target
reference information
develo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9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승일
Original Assignee
장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승일 filed Critical 장승일
Priority to KR1020210193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2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2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comprise the steps of: collecting, for target land, first reference information linked to land price changes and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linked to land utilization; selecting comparison land to perform a detailed analysis on the target land by inputting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to a pre-traine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mparison model; and calculating an evaluation score for the target land on the basis of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that are collected for the comparison land. Therefore, comparison land that can be meaningfully compared with land to be analyz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land price changes, land utilization, and the like is derived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mparison model, and the land to be analyzed can be indirectly evaluated through analysis of the derived comparison land.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본원은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토지의 이용 및 개발을 위해 국가, 지자체, 법인, 개인 등은 다양한 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이 개발의 효율적인 운용과 토지의 무분별한 개발방지를 위하여 다양한 법규를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토지이용 계획정보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광역도시계획, 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 지구단위계획, 『경관법』에 의한 경관계획, 『농지법』에 의한 농지전용허가, 『산지관리법』에 의한 산지전용허가, 『환경영향평가법』에 의한 환경영향평가, 교통영향평가, 『건축법』에 의한 건축기준, 지자체 각종조례, 『주택법』에 의한 최저주거기준, 『소방기본법』에 의한 소방력의 기준 등과 같은 다양한 계획 또는 기준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개발행위를 규정하거나 제한하고 있다.For the use and development of land, the state, local governments, corporations, and individuals establish and implement various plans, and comply with various laws and regulations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is development and prevention of indiscriminate development of land. Land use planning information includes metropolitan planning under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urban master plan, urban management plan, district unit planning, landscape planning under the 『Landscape Act』, permission for conversion of farmland under the 『Agricultural Land Act』, Mountain district conversion permission under the 『Mountain District Management Ac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under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ct』, traffic impact assessment, building standards under the 『Building Act』, various ordinances of local governments, minimum housing standards under the 『Housing Act』, 『Fire Protection Act』 It includes various plans or standards, such as firefighting power standards by

한편, 현재 대부분의 부동산개발방식은 부동산개발을 진행하는 시행사가 개발부동산을 매입하고, 건설사를 통해 건축하고, 은행을 통해 대출을 일으켜 개발자금을 조달하고 분양회사를 통해 분양을 진행하여 은행으로부터 조달한 개발자금을 상환하는 과정을 거친다.On the other hand, in most real estate development methods, the real estate developer purchases the developed real estate, builds it through a construction company, raises a loan through a bank to raise development funds, and proceeds with sales through a sales company to procure procurement from the bank. Go through the process of repaying a development fund.

그러나 시행사가 토지를 구입하여 판매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구입 및 정보 등에 대한 접근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행사 측에서도 구입한 부동산에 대해서 적합한 개발 용도에 대해 직접 판단을 해야 하는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부동산 개발을 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developer buys and sells the land, access to purchase and information is difficult, and the developer has to make his own judgment on the appropriate development use for the purchased real estate, so that efficient and economical real estate development I had difficulty doing it.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59296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59296.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토지 가격 변화, 토지 활용도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 대상 토지와 유의미한 비교 평가가 가능한 비교 토지를 인공지능 기반의 비교 모델을 통해 도출하고, 도출된 비교 토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간접적으로 분석 대상 토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applica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derives a comparison land that can be compared and evaluated meaningfully with the land to be analyz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land price change and land utilization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mparison model, and the derived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that indirectly evaluates the land to be analyzed through analysis of comparative land.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토지 가격 변화와 연계된 제1기준 정보 및 토지 활용도와 연계된 제2기준 정보를 대상 토지에 대하여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1기준 정보 및 상기 제2기준 정보를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 비교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하여 상세 분석을 수행할 비교 토지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토지에 대하여 수집된 상기 제1기준 정보 및 상기 제2기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한 평가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first standar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land price change and a second standard associated with land utilization.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target land, selecting a comparative land to perform detailed analysis on the target land by inputting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into a pre-learne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mparison model, and Calculating an evaluation score for the target land based on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collected on the comparison land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제1기준 정보는, 소정의 모니터링 기간에 대한 상기 대상 토지 또는 상기 비교 토지의 공시지가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시계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may include time-series data representing a time-series change in the official land price of the target land or the comparison land for a predetermined monitoring period.

또한, 상기 비교 토지를 선정하는 단계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후보 토지에 대한 상기 시계열 데이터와 상기 대상 토지의 상기 시계열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상기 비교 모델에 기초하여 산출하여 상기 비교 토지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selecting the comparison land may determine the comparison land by calculating a similarity between the time series data of the candidate land included in the pre-constructed database and the time series data of the target land based on the comparison model. there is.

또한, 상기 유사도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의 전체 구간에 대응하는 전체 유사도 및 상기 모니터링 기간 중 소정의 구간에 대응하는 부분 유사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milarity may include an overall similarity corresponding to all sections of the monitoring period and a partial similarit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monitoring period.

또한, 상기 비교 토지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유사도 및 상기 부분 유사도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비교 토지를 결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selecting the comparison land, the comparison land may be determine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weight to each of the total similarity and the partial similarity.

또한, 상기 소정의 가중치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할당될 수 있다.Also, the predetermined weight may be assigned considering the size of the monitoring period.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한 개발 용도와 연계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receiving a user input associated with a development purpose for the target land.

또한, 상기 비교 토지를 선정하는 단계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후보 토지 중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개발 용도에 상응하는 상기 제2기준 정보가 할당된 후보 토지 그룹을 선정하고, 상기 후보 토지 그룹 내에서 상기 비교 토지를 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lecting of the comparative land may include selecting a candidate land group to which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purpose is allocated based on the user input from among candidate lands included in a pre-constructed database, and selecting the candidate land group. Within a land group, the comparison land can be selected.

또한, 상기 제1기준 정보 및 상기 제2기준 정보가 수집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대상 토지는 복수의 유형을 포함하는 토지 지목 중 제1지목 범주에 부합하는 토지이고, 상기 비교 토지는 상기 토지 지목 중 상기 제1지목 범주 외의 제2지목 범주에 부합하는 토지일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time when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are collected, the target land is land that meets the first category category among land categories including a plurality of types, and the comparison land is the land Among the land categories, it may be land that meets the second category category other than the first category category.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대상 토지와 상기 비교 토지의 제1기준 정보 및 제2기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비교 인터페이스 및 상기 평가 스코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comparison interface displaying a comparison result of at least one of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of the target land and the comparison land, and The step of outputting the evaluation score may be included.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는, 토지 가격 변화와 연계된 제1기준 정보 및 토지 활용도와 연계된 제2기준 정보를 대상 토지에 대하여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제1기준 정보 및 상기 제2기준 정보를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 비교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하여 상세 분석을 수행할 비교 토지를 선정하는 선정부 및 상기 비교 토지에 대하여 수집된 상기 제1기준 정보 및 상기 제2기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한 평가 스코어를 산출하는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first standar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land price change and second standar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land utilization for target land. ,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comparison land to perform a detailed analysis on the target land by inputting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into a pre-learne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mparison model, and the collected information on the comparison land It may include an evaluation unit that calculates an evaluation score for the target land based on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또한, 상기 선정부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후보 토지에 대한 상기 시계열 데이터와 상기 대상 토지의 상기 시계열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상기 비교 모델에 기초하여 산출하여 상기 비교 토지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lection unit may determine the comparison land by calculating a similarity between the time series data of the candidate land included in the pre-constructed database and the time series data of the target land based on the comparison model.

또한, 상기 선정부는, 상기 전체 유사도 및 상기 부분 유사도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비교 토지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lection unit may determine the comparison lan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weight to each of the total similarity and the partial similarity.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한 개발 용도와 연계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 user input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use of the target land.

또한, 상기 선정부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후보 토지 중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개발 용도에 상응하는 상기 제2기준 정보가 할당된 후보 토지 그룹을 선정하고, 상기 후보 토지 그룹 내에서 상기 비교 토지를 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lection unit selects a candidate land group to which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purpose is allocated based on the user input from among candidate lands included in a pre-constructed database, and within the candidate land group A comparison plot can be selected.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대상 토지와 상기 비교 토지의 제1기준 정보 및 제2기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비교 인터페이스 및 상기 평가 스코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comparison interface displaying a comparison result of at least one of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of the target land and the comparison land,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evaluation score may be included.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토지 가격 변화, 토지 활용도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 대상 토지와 유의미한 비교 평가가 가능한 비교 토지를 인공지능 기반의 비교 모델을 통해 도출하고, 도출된 비교 토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간접적으로 분석 대상 토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task solving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comparison land capable of meaningful comparative evaluation with the land to be analyz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land price change and land utilization is derived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mparison model,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that indirectly evaluates the land to be analyzed through analysis.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herei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토지 개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대상 토지 및 해당 대상 토지에 대하여 선정된 비교 토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LSTM(Long Short Term Memory) 기반의 비교 모델의 네트워크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대상 토지와 비교 토지의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비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cluding an AI-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diagram showing a target land and comparative land selected for the corresponding target land by way of example.
3 is a diagram showing a network structure of a Long Short Term Memory (LSTM) based comparison model by way of example.
4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interface displaying a comparison result between a target land and a comparison land as an example.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ethod for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referred to as being “on,” “above,” “on top of,” “below,” “below,” or “below”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located in relation to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contact but also the case of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원은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토지 개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cluding an AI-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지 개발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100)(이하, '서비스 제공 장치(100)'라 한다.), 사용자 단말(200) 및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rvice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0)'), a user terminal 200 and a database 300 may be included.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및 데이터베이스(300) 상호간은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 the user terminal 200 , and the database 30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network 20 . The network 20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and examples of such a network 20 include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nd a Long LTE (LTE) network. Term Evolution (Term Evolution) network, 5G network,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Network), wifi network, Bluetooth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etc.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is, for example, a smart phone (Smartphone), a smart pad (SmartPad), a tablet PC, etc. and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It may be any kind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데이터베이스(300)는 복수의 토지 각각에 대한 각종 데이터를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미리 구축된 스토리지 서버 등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300)에는 복수의 토지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 주소 정보, 면적 정보, 지형 정보, 경사 정보, 인접 도로 정보, 토지 용도(지목) 정보, 가격(시세)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atabase 300 may refer to a pre-built storage server or the like to classify and store various types of data for each of a plurality of lands. For example, the database 300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ddress information, area information, topographical information, slope information, adjacent road information, land use (region category) information, price (market price) information, etc. for each of a plurality of lands. can

이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개시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등을 통해 인가된 대상 토지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선정된 대상 토지와 유의미한 비교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는 비교 토지를 데이터베이스(300) 내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출하고, 해당 비교 토지에 대한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간접적으로 사용자가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 토지에 대한 평가 결과(평가 스코어)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disclosed herein provides a database (300) of comparative land, which can be subjected to meaningful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target land selected based on the target land selection input authoriz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like. ), and it may be a device that indirectly calculates and provides the evaluation result (evaluation score) for the target land that the user wants to analyze by utiliz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comparative land.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체적인 기능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specific functions and operations of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도 2는 대상 토지 및 해당 대상 토지에 대하여 선정된 비교 토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target land and comparative land selected for the corresponding target land by way of example.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토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소정의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토지를 표시하도록 표출되는 제1지도 인터페이스(A)를 제공하고, 제1지도 인터페이스(A) 상에서 소정의 토지를 대상 토지(1)로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여 대상 토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참고로, 대상 토지는 필지 단위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복수의 필지를 포괄하는 대상 토지에 대한 선택 입력 역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may obtain information on target land.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provides a first map interface (A) displayed to display a plurality of lands located in a predetermined area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on the first map interface (A) A user selection input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land as the target land 1 may b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o receive a user input for the target land. For reference, the target land may be selected in units of parcels, 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lection input for target land covering a plurality of parcels may also be made.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대상 토지(1)에 대응하여 도출되는 비교 토지(2)와 비교 토지 주변의 복수의 토지를 표시하도록 표출되는 제2지도 인터페이스(B)를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is expressed to display a comparison land 2 derived corresponding to the target land 1 and a plurality of lands around the comparison land,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t is operable to provide a second map interface (B).

전술한 바와 같이 대상 토지(1)가 선택되고 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토지(1)에 대한 토지 가격 변화와 연계된 제1기준 정보 및 토지 활용도와 연계된 제2기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once the target land (1) is selected,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collects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land price change for the target land (1) and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land utilization. can do.

한편,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제1기준 정보는 소정의 모니터링 기간에 대한 대상 토지(1) 또는 비교 토지(2)의 가격(예를 들면, 공시지가 등)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시계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기준 정보는 해당 토지의 용도(지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is time-series data representing time-series changes in the price (eg, official land price, etc.) of the target land (1) or comparison land (2) for a predetermined monitoring period. can include In addition, the second standard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use (category) of the corresponding land.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00)에 사용자가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 토지(1)에 대한 식별 정보(예를 들면, 고유 식별자, 주소 등)를 입력하고, 해당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300) 상에 저장된 제1기준 정보 및 제2기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조회하는 방식으로 대상 토지(1)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inpu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unique identifier, address, etc.) of the target land 1 that the user wants to analyze into the pre-built database 300. And, in response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stored on the database 300 may be collected in a manner of inquiring from the database 300 information on the target land (1).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토지(1)에 대한 제1기준 정보 및 제2기준 정보를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 비교 모델에 입력하여 대상 토지(1)에 대하여 상세 분석을 수행할 비교 토지(2)를 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inputs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on the target land 1 to a pre-learne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mparison model to perform a detailed analysis on the target land 1. Land (2) can be selected.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00)에 포함된 후보 토지에 대한 공시지가의 가격 변화를 반영하는 시계열 데이터와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 토지(1)의 공시지가의 가격 변화를 반영하는 시계열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인공지능 기반의 비교 모델에 기초하여 산출하여 후보 토지 중에서 비교 토지(2)를 결정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탑재되는 인공지능 기반의 비교 모델은 각 토지의 가격(공시지가)에 대한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시퀀스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기 위한 모델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provides time-series data reflecting price changes of the publicly announced land price for candidate land included in the pre-built database 300 and time-series data reflecting price changes of the publicly announced land price of the target land 1 selected by the user. Comparative land (2) can be determined among candidate lands by calculating the similarity between time series data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mparison model. In other words,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mparison model loaded i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may be a model for calculating a similarity between sequence data representing a time-series change in the price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of each land.

도 3은 LSTM(Long Short Term Memory) 기반의 비교 모델의 네트워크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 network structure of a Long Short Term Memory (LSTM) based comparison model by way of example.

도 3을 참조하면, 본원에서 개시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탑재되는 인공지능 기반의 유사도 분석 모델은 구체적으로 LSTM(Long-Short Term Memory) 알고리즘 기반의 모델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imilarity analysis model loaded in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disclosed herein may be a model based on a Long-Short Term Memory (LSTM) algorithm.

이러한, LSTM(Long-Short Term Memory) 알고리즘은 딥러닝 분야에서 사용되는 인공 재귀 신경 네트워크(RNN) 아키텍처의 하나로, 피드 포워드 신경망과 달리 피드백 연결이 존재한다. 따라서, LSTM 알고리즘에 의하면 단일 데이터 포인트뿐만 아니라 전체 데이터 시퀀스에 대한 학습 및 처리를 수행 할 수 있다.This LSTM (Long-Short Term Memory) algorithm is one of the artificial recursive neural network (RNN) architectures used in the field of deep learning, and unlike feed-forward neural networks, there is a feedback connect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 LSTM algorithm, learning and processing can be performed not only for a single data point but also for an entire data sequence.

이러한 LSTM 알고리즘은 시계열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을 분류, 처리 및 예측하는데 적합하며, LSTM은 전통적인 RNN을 통한 훈련에서 발생 가능한 Vanishing Gradient 문제를 해소하는 장점이 있다.These LSTM algorithms are suitable for classifying, processing, and predicting predictions based on time series data, and LSTM has the advantage of solving the vanishing gradient problem that can occur in training through traditional RNNs.

다만, 본원에서 개시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시계열 분석(유사도 분석)을 위한 인공지능 모델의 유형은 전술한 LSTM 알고리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LSTM 알고리즘 외에도, Attention 알고리즘, Transformer 알고리즘, BERT(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알고리즘 등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가격 데이터의 변화를 반영하는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의 가격 데이터의 흐름을 예측할 수 있거나 가격 데이터 간의 시계열 흐름을 상호 비교할 수 있는 여러 시계열 데이터 분석 기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원에서는 종래에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시계열 데이터 분석 기반의 알고리즘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However, the type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time series analysis (similarity analysis)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LSTM algorithm, an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LSTM algorithm, attention algorithm , Transformer algorithm, BERT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algorithm, etc. Through analysis of time series data that reflects changes in price data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future price data flow can be predicted or time series flow between price data can be correlated. It can includ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based on the analysis of multiple time series data that can be compared. That is, in the present application, algorithm models based on various time-series data analysis previously known or developed in the future may be applied.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토지에 대한 개발 용도와 연계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토지 개발 목적, 분석 목적 등에 따라 대상 토지(1)에 대하여 해당 시점에 할당(부여)된 토지 지목과 사용자가 입력한 개발 용도에 대응하는 토지 지목은 서로 동일한 유형이거나 상이한 유형일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may receive a user input associated with a development use of the target land. In addition, the land category assigned (granted) at that time for the target land (1) and the land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use entered by the user may be of the same type or different types depending on the user's land development purpose, analysis purpose, etc. .

보다 구체적으로, 대상 토지(1)에 대하여 해당 시점에 할당(부여)된 토지 지목을 '기준 지목'으로 지칭하고,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대상 토지에 대한 개발 용도에 대응하는 토지 지목을 '개발 예정 지목'으로 지칭하면, 본원의 실시예에 따라 기준 지목과 개발 예정 지목을 서로 동일한 지목으로 결정되거나 상이한 지목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준 지목 및 개발 예정 지목의 일치 여부에 따라 전술한 비교 토지(2) 선정 프로세스가 상이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and category allocated (granted) at that time for the target land (1) is referred to as 'standard land category', and the land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use for the target land included in the user input is referred to as 'planned development' If referred to as 'land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tandard land and the land to be developed may be determined as the same land or different lands, and the above-described comparative land (2 ) the selection process can be carried out in different ways.

보다 구체적으로, 인공지능 기반의 비교 모델이 도출하는 유사도는 소정의 모니터링 기간의 전체 구간에 대응하는 전체 유사도 및 모니터링 기간 중 소정의 구간에 대응하는 부분 유사도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imilarity derived by the AI-based comparison model may include total similarity corresponding to an entire period of a predetermined monitoring period and partial similarit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of the monitoring period.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인공지능 기반의 비교 모델은 전술한 전체 유사도 및 부분 유사도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비교 토지(2)를 결정하되, 기준 지목과 개발 예정 지목이 동일한 유형인 경우, 대상 토지(1)와 특정 토지의 모니터링 기간 내에서 전체적인 가격 흐름의 변화가 유사할수록 해당 토지가 비교 토지(2)로 선정될 확률이 높아지도록 전체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가 부분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를 상회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mparison model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determines the comparison land 2 by applying a predetermined weight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total similarity and partial similarity, but the standard land and the development scheduled land are In the case of the same type, the weight for the overall similarity is added to the partial similarity so that the more similar the change in the overall price flow within the monitoring period of the target land (1) and the specific land is, the higher the probability that the corresponding land will be selected as the comparison land (2). It can be set to exceed the weight for

이와 달리, 기준 지목과 개발 예정 지목이 상이한 유형인 경우, 비교 토지(2)는 데이터베이스(300)에 토지 정보가 저장된 복수의 토지 중에서 기준 지목으로부터 개발 예정 지목으로의 지목 변경이 과거에 발생한 이력이 존재하는 토지가 우선적으로 선정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각각의 토지의 지목 변경이 발생한 시점을 포함하는 국부적인 모니터링 구간에 대한 유사도인 부분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가 나머지 구간에 대한 부분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 및 전체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를 상회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standard land and the land to be developed are of different types, the comparative land (2) has a history of a change in land from the standard land to the land to be developed among a plurality of lands for which lan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300 in the past. Existing lands can be selected first, and considering this, the weight for partial similarity, which is the similarity for the local monitoring section including the time when each land category change occurred, is the weight for the partial similarity for the remaining section and It can be set to exceed the weight for total similarity.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유사도 판단을 위한 모니터링 구간을 현재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기준 시점까지의 시간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단말(200) 등을 통해 입력된 구간 선택 입력에 따라 현재 시점 대비 과거 시점인 제1기준 시점으로부터 마찬가지로 현재 시점 대비 과거 시점인 제2기준 시점까지의 시간 구간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monitoring interval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similarity described above may be set as a time interval from a current point in time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in ti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selected section selection input, it may be set as a time interval from the first reference time point, which is a past time point to the current time point, to the second reference point time point, which is a past time point compared to the current time point.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00)에 포함된 후보 토지 중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개발 용도에 상응하는 제2기준 정보가 할당된 후보 토지 그룹(예를 들면, 해당 시점에 부여(할당)된 토지 지목이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개발 용도에 대응하는 토지 지목인 복수의 토지를 포함하는 그룹 등)을 선정하고, 선정된 후보 토지 그룹 내에서 비교 토지(2)를 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is a candidate land group to which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velopment purpose is allocated based on a user input among candidate lands included in the pre-constructed database 300. (For example, a group containing multiple lands where the land category assigned (assigned) at that time is a land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use included in the user input) and compared within the selected candidate land group. Land (2) can be selected.

또한, 전체 유사도 및 부분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는 모니터링 기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기간이 짧은 기간으로 설정될수록 전체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가 상향 조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weights for total similarity and partial similarity may be assigned considering the size of the monitoring period. For example, as the monitoring period is set to a shorter period, a weight for overall similarity may be adjusted upward.

즉,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지목과 개발 예정 지목이 상이한 경우, 제1기준 정보 및 제2기준 정보가 수집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대상 토지(1)는 복수의 유형을 포함하는 토지 지목 중 제1지목 범주에 부합하는 토지이고, 비교 토지(2)는 복수의 유형을 포함하는 토지 지목 중 대상 토지(1)의 해당 시점의 지목에 대응하는 제1지목 범주 외의 제2지목 범주에 부합하는 토지로 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대상 토지(1)에 대한 부동산 개발을 통해 해당 대상 토지(1)를 지목(용도)을 변경하여 활용할 경우의 개발 효용을 동일한 방식으로 지목 변경이 과거에 발생한 이력이 존재하는 비교 토지(2)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간접적으로 판단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standard land and the land to be developed are different, the target land 1 is land including a plurality of types based on the time point when the first standard information and the second standard information are collected It is land that meets the first category category among land categories, and the comparative land (2) belongs to the second category category other than the first category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land category at the time of the target land (1) among land categories containing a plurality of types. Suitable land can be selected. Accordingly,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is the same method for the development utility when the user changes the designation (use) of the target land (1) through real estate development for the target land (1).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or comparative land (2) with a history of occurrence in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선정된 비교 토지(2)에 대하여 수집된 제1기준 정보 및 제2기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상 토지(1)에 대한 평가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비교 토지(2)의 제1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과거의 분석 시점까지를 포함하는 분석 구간의 가격 상승 수준을 산출하고, 가격 상승 수준이 우수할수록 높은 평가 스코어가 산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may calculate an evaluation score for the target land 1 based on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collected on the selected comparison land 2 .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calculates the price increase level of the analysis section including the current time point to the past analysis time point set in advance based on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of the comparison land 2, and the price increase level The higher the evaluation score, the higher the evaluation score can be calculated.

다른 예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선정된 비교 토지(2)에 대하여 수집된 제1기준 정보 및 제2기준 정보를 기초로 하여 현재 시점으로부터 비교 토지(2)에 대하여 부여(할당)된 토지 지목이 변경된 시점까지를 포함하는 분석 구간의 가격 상승 수준을 산출하고, 가격 상승 수준이 우수할수록 높은 평가 스코어가 산출되도록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is based on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collected for the selected comparison land (2), the land granted (allocated) to the comparison land (2) from the current point in time The price increase level of the analysis section including the time point when the category is changed can be calculated, and the higher the price increase level, the higher the evaluation score.

도 4는 대상 토지와 비교 토지의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비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interface displaying a comparison result between a target land and a comparison land as an example.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토지(1)와 비교 토지(2)의 제1기준 정보 및 제2기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비교 인터페이스 및 평가 스코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provides a comparison interface displaying a comparison result of at least one of first standard information and second standard information of a target land 1 and a comparison land 2 and an evaluation score to the user. It can be output through the terminal 200.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입력부(110), 수집부(120), 선정부(130), 평가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 a collection unit 120, a selection unit 130, an evaluation unit 140, and an output unit 150.

입력부(110)는 대상 토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출된 지도 인터페이스에 반영된 복수의 토지 중 적어도 하나의 토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는 방식으로 전술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입력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인가된 토지 식별 정보 내지 토지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는 방식으로 전술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a user input on the target land. Specifically, the input unit 110 receives a user selection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land from among a plurality of lands reflected in the map interface display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above-described user input may be to obtain As another example, the input unit 110 may obtain the above-described user input by receiving a user selection input including l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land address information authoriz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from the user terminal 200 . there is.

또한, 입력부(110)는 대상 토지에 대한 개발 용도와 연계된 사용자 입력을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110 may additionally receive a user input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use of the target land.

수집부(120)는 대상 토지에 대하여, 해당 토지의 토지 가격 변화와 연계된 제1기준 정보 및 토지 활용도와 연계된 제2기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collection unit 120 may collect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change in land price of the target land and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land utilization.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집부(120)는 대상 토지에 대한 제1기준 정보 및 제2기준 정보를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00)에서 조회(검색)함으로써 대상 토지에 대한 제1기준 정보 및 제2기준 정보를 수집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llection unit 120 searches (searches) for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on the target land in the previously constructed database 300, thereby obtaining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on the target l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선정부(130)는 수집된 대상 토지에 대한 제1기준 정보 및 제2기준 정보를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 비교 모델에 입력하여 대상 토지에 대하여 상세 분석을 수행할 비교 토지를 선정할 수 있다.The selection unit 130 may input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on the collected target land to a previously learne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mparison model to select a comparison land to perform a detailed analysis on the target land.

구체적으로, 선정부(130)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00)에 기 저장된 후보 토지에 대한 공시지가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시계열 데이터와 대상 토지에 대한 공시지가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시계열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인공지능 기반의 비교 모델에 기초하여 산출하여 비교 토지를 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lection unit 130 artificially calculat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time series data representing the time-series change of the publicly announced land price for the candidate land previously stored in the pre-constructed database 300 and the time-series data representing the time-series change of the official land price for the target land. Comparison land can be determined by calculation based on an intelligence-based comparison model.

또한, 선정부(130)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00)에 포함된 후보 토지 중에서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개발 용도에 상응하는 제2기준 정보가 할당된 후보 토지 그룹을 선정하고, 해당 후보 토지 그룹 내에서 비교 토지를 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lection unit 130 selects a candidate land group to which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purpose included in the user input is assigned among candidate lands included in the pre-constructed database 300, and within the candidate land group. You can select a comparison plot from

평가부(140)는 선정된 비교 토지에 대하여 수집된 제1기준 정보 및 제2기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 토지에 대한 평가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The evaluation unit 140 may calculate an evaluation score for the target land that the user wants to analyze based on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collected on the selected comparison land.

출력부(150)는 대상 토지와 비교 토지의 제1기준 정보 및 제2기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비교 인터페이스 및 산출된 평가 스코어를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may output a comparison interface displaying a comparison result of at least one of first standard information and second standard information of the target land and the comparison land and the calculated evaluation score.

예를 들어, 출력부(150)는 비교 인터페이스 및 평가 스코어를 표시하는 화면을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put unit 150 may output a screen displaying a comparison interface and an evaluation score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based on the detail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flow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briefly reviewed.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ethod for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에 도시된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shown in FIG. 6 may be performed by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Therefore, even if omitted below, the descrip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입력부(110)는 대상 토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in step S11,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the target land.

예를 들어, 단계 S11에서 입력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출된 지도 인터페이스에 반영된 복수의 토지 중 적어도 하나의 토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는 방식으로 전술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in step S11, the input unit 110 receives a user selection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piece of land from among a plurality of pieces of land reflected in the map interface display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from the user terminal 200. It may be obtaining the aforementioned user input.

다른 예로, 단계 S11에서 입력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인가된 토지 식별 정보 내지 토지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는 방식으로 전술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n step S11, the input unit 110 obtains the above-described user input by receiving a user selection input including l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land address information authoriz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from the user terminal 200. it may b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1에서 입력부(110)는 대상 토지에 대한 개발 용도와 연계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step S11,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a user input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use of the target land.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수집부(120)는 토지 가격 변화와 연계된 제1기준 정보 및 토지 활용도와 연계된 제2기준 정보를 단계 S11에서 결정된 대상 토지에 대하여 수집할 수 있다.Next, in step S12, the collection unit 120 may collect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land price change and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land utilization for the target land determined in step S11.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2에서 수집부(120)는 대상 토지에 대한 제1기준 정보 및 제2기준 정보를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00)에서 조회(검색)함으로써 대상 토지에 대한 제1기준 정보 및 제2기준 정보를 수집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step S12, the collection unit 120 searches (searches) for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on the target land in the previously built database 300, thereby providing first information on the target land. It may be to collect reference information and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다음으로, 단계 S13에서 선정부(130)는 수집된 대상 토지에 대한 제1기준 정보 및 제2기준 정보를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 비교 모델에 입력하여 대상 토지에 대하여 상세 분석을 수행할 비교 토지를 선정할 수 있다.Next, in step S13, the selection unit 130 inputs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on the collected target land to the pre-learne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mparison model to perform a detailed analysis on the target land. can be selected.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3에서 선정부(130)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00)에 기 저장된 후보 토지에 대한 공시지가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시계열 데이터와 대상 토지에 대한 공시지가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시계열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인공지능 기반의 비교 모델에 기초하여 산출하여 비교 토지를 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step S13, the selection unit 130 performs time-series data representing time-series changes in the official land price of the candidate land pre-stored in the pre-constructed database 300 and the time-series of the official land price of the target land. Comparative land can be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similarity between time series data representing positive changes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mparison model.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3에서 선정부(130)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00)에 포함된 후보 토지 중에서 단계 S11을 통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개발 용도에 상응하는 제2기준 정보가 할당된 후보 토지 그룹을 선정하고, 해당 후보 토지 그룹 내에서 비교 토지를 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step S13, the selection unit 130 selects a second area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use included in the user input obtained through step S11 among candidate lands included in the pre-constructed database 300. A candidate land group to which reference information is assigned can be selected, and comparison land can be selected within the candidate land group.

다음으로, 단계 S14에서 평가부(140)는 단계 S13에서 선정된 비교 토지에 대하여 수집된 제1기준 정보 및 제2기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 토지에 대한 평가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Next, in step S14, the evaluation unit 140 calculates an evaluation score for the target land that the user wants to analyze based on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collected for the comparison land selected in step S13. can

다음으로, 단계 S15에서 출력부(150)는 대상 토지와 비교 토지의 제1기준 정보 및 제2기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비교 인터페이스 및 산출된 평가 스코어를 출력할 수 있다.Next, in step S15, the output unit 150 may output a comparison interface displaying a comparison result of at least one of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of the target land and comparison land and the calculated evaluation score.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5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foregoing description, steps S11 to S15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Also,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of steps may be changed.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thos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act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전술한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or application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and executed by a computer.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 토지 개발 정보 제공 시스템
100: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
110: 입력부
120: 수집부
130: 선정부
140: 평가부
150: 출력부
200: 사용자 단말
300: 데이터베이스
20: 네트워크
10: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100: AI-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input unit
120: collection unit
130: selection unit
140: evaluation unit
150: output unit
200: user terminal
300: database
20: network

Claims (16)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 소정의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토지를 표시하도록 표출되는 제1지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지도 인터페이스 상에서 대상 토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을 필지 단위로 수신하는 단계;
소정의 모니터링 기간에 대한 상기 대상 토지 또는 비교 토지의 공시지가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시계열 데이터를 포함하는 토지 가격 변화와 연계된 제1기준 정보 및 토지 활용도와 연계된 제2기준 정보를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하여 수집하는 단계;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한 개발 용도와 연계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기준 정보 및 상기 제2기준 정보를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 비교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하여 상세 분석을 수행할 비교 토지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비교 토지에 대하여 수집된 상기 제1기준 정보 및 상기 제2기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한 평가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토지와 상기 비교 토지의 제1기준 정보 및 제2기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비교 결과와 상기 평가 스코어를 표시하는 비교 인터페이스, 상기 대상 토지를 표시하는 상기 제1지도 인터페이스 및 상기 비교 토지 주변의 복수의 토지를 표시하도록 표출되는 제2지도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토지를 선정하는 단계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후보 토지에 대한 상기 시계열 데이터와 상기 대상 토지의 상기 시계열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상기 비교 모델에 기초하여 산출하여 상기 비교 토지를 결정하되, 상기 모니터링 기간의 전체 구간에 대응하는 전체 유사도 및 상기 모니터링 기간 중 소정의 구간에 대응하는 부분 유사도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비교 토지를 결정하되,
상기 비교 토지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한 상기 제2기준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토지에 할당된 토지 지목인 기준 지목과 상기 개발 용도에 대응하는 토지 지목인 개발 예정 지목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준 지목과 상기 개발 예정 지목이 일치하면, 상기 전체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를 상기 부분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 대비 크게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지목과 상기 개발 예정 지목이 불일치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토지 정보가 저장된 복수의 후보 토지 중에서 상기 기준 지목으로부터 상기 개발 예정 지목으로의 지목 변경이 과거에 발생한 이력이 존재하는 토지를 우선적으로 선정하고, 지목 변경이 발생한 시점을 포함하는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부분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를 나머지 구간에 대한 상기 부분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 및 상기 전체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 대비 크게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는,
현재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과거의 분석 시점까지의 분석 구간 또는 상기 현재 시점으로부터 상기 비교 토지의 토지 지목이 변경된 시점까지의 분석 구간의 가격 상승 수준이 우수할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평가 스코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providing a first map interface displayed to display a plurality of lands located in a predetermined area to a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 user selection input for selecting a target land on the first map interface in units of lots;
First reference information linked to land price change and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linked to land utilization, including time-series data representing time-series changes in the official land price of the target land or comparison land for a predetermined monitoring period, are sent to the target land. Collecting about;
Receiving a user input associated with a development use for the target land;
selecting a comparison land to perform a detailed analysis on the target land by inputting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to a pre-learne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mparison model;
Calculating an evaluation score for the target land based on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collected for the comparison land; and
A comparison interface displaying the evaluation score and a comparison result of at least one of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of the target land and the comparison land, the first map interface displaying the target land, and the comparison land surroundings Outputting a screen including a second map interface displayed to display a plurality of lands through th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step of selecting the comparison land,
Determine the comparison land by calculat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time series data of the candidate land included in the pre-built database and the time series data of the target land based on the comparison model, and The comparison land is determine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weight to each of the similarity and the partial similarit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ection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The step of selecting the comparison land,
Based on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user input for the target land, determining whether a reference land category assigned to the target land and a development scheduled land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purpose match;
setting a weight for the total similarity greater than a weight for the partial similarity if the standard land and the land to be developed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If the standard land and the development scheduled land are inconsistent, among a plurality of candidate lands whose lan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preferentially select a land having a history of a change in land from the standard land to the development scheduled land in the past , setting a weight for the partial similarity corresponding to a section including a time point when a designation change occurs to be greater than a weight for the partial similarity for the remaining sections and a weight for the total similarity;
including,
The step of calculating the evaluation score,
The higher the level of price increase in the analysis section from the current time point to the past analysis time point set in advance or the analysis section from the current time point to the time point when the land designation of the comparative land is changed, the higher the evaluation score. , how to provide the ser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가중치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할당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determined weight is alloca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monitoring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토지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토지 중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개발 용도에 상응하는 상기 제2기준 정보가 할당된 후보 토지 그룹을 선정하고, 상기 후보 토지 그룹 내에서 상기 비교 토지를 선정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selecting the comparison land,
Selecting a candidate land group to which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use is allocated based on the user input from the candidate land, and selecting the comparison land within the candidate land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 정보 및 상기 제2기준 정보가 수집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대상 토지는 복수의 유형을 포함하는 토지 지목 중 제1지목 범주에 부합하는 토지이고, 상기 비교 토지는 상기 토지 지목 중 상기 제1지목 범주 외의 제2지목 범주에 부합하는 토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Based on the time when the first standard information and the second standard information were collected, the target land is land that meets the first category category among land categories including a plurality of types, and the comparison land is among the land categor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nd meets the second category category other than the first category category,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삭제delete 인공지능 기반의 토지 개발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 소정의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토지를 표시하도록 표출되는 제1지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1지도 인터페이스 상에서 대상 토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을 필지 단위로 수신하는 입력부;
소정의 모니터링 기간에 대한 상기 대상 토지 또는 비교 토지의 공시지가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시계열 데이터를 포함하는 토지 가격 변화와 연계된 제1기준 정보 및 토지 활용도와 연계된 제2기준 정보를 대상 토지에 대하여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한 개발 용도와 연계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제1기준 정보 및 상기 제2기준 정보를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 비교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하여 상세 분석을 수행할 비교 토지를 선정하는 선정부;
상기 비교 토지에 대하여 수집된 상기 제1기준 정보 및 상기 제2기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한 평가 스코어를 산출하는 평가부; 및
상기 대상 토지와 상기 비교 토지의 제1기준 정보 및 제2기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비교 결과와 상기 평가 스코어를 표시하는 비교 인터페이스, 상기 대상 토지를 표시하는 상기 제1지도 인터페이스 및 상기 비교 토지 주변의 복수의 토지를 표시하도록 표출되는 제2지도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선정부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후보 토지에 대한 상기 시계열 데이터와 상기 대상 토지의 상기 시계열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상기 비교 모델에 기초하여 산출하여 상기 비교 토지를 결정하되, 상기 모니터링 기간의 전체 구간에 대응하는 전체 유사도 및 상기 모니터링 기간 중 소정의 구간에 대응하는 부분 유사도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비교 토지를 결정하되,
상기 선정부는,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한 상기 제2기준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토지에 할당된 토지 지목인 기준 지목과 상기 개발 용도에 대응하는 토지 지목인 개발 예정 지목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준 지목과 상기 개발 예정 지목이 일치하면, 상기 전체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를 상기 부분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 대비 크게 설정하고,
상기 기준 지목과 상기 개발 예정 지목이 불일치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토지 정보가 저장된 복수의 후보 토지 중에서 상기 기준 지목으로부터 상기 개발 예정 지목으로의 지목 변경이 과거에 발생한 이력이 존재하는 토지를 우선적으로 선정하고, 지목 변경이 발생한 시점을 포함하는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부분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를 나머지 구간에 대한 상기 부분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 및 상기 전체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 대비 크게 설정하는 것이고,
상기 평가부는,
현재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과거의 분석 시점까지의 분석 구간 또는 상기 현재 시점으로부터 상기 비교 토지의 토지 지목이 변경된 시점까지의 분석 구간의 가격 상승 수준이 우수할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평가 스코어를 산출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장치.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an input unit for providing a first map interface displayed to display a plurality of lands located in a predetermined area to a user terminal and receiving a user selection input for selecting a target land on the first map interface in units of parcels;
The first standard information linked to land price change and the second standard information linked to land utilization, including time series data representing the time-series change in the official land price of the target land or comparative land for a predetermined monitoring period, are transmitted to the target land. collection unit to collect;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input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use of the target land;
a selection unit selecting a comparison land to perform a detailed analysis on the target land by inputting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to a pre-learne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mparison model;
an evaluation unit calculating an evaluation score for the target land based on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collected on the comparison land; and
A comparison interface displaying the evaluation score and a comparison result of at least one of first reference information and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of the target land and the comparison land, the first map interface displaying the target land, and the comparison land surroundings An output unit outputting a screen including a second map interface displayed to display a plurality of lands through th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selection department,
Determine the comparison land by calculat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time series data of the candidate land included in the pre-built database and the time series data of the target land based on the comparison model, and The comparison land is determine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weight to each of the similarity and the partial similarit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ection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The selection department,
Based on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user input for the target l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andard land category, which is the land category assigned to the target land, and the development scheduled category, which is the land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use, match,
If the standard category and the development target category match, a weight for the total similarity is set to be greater than a weight for the partial similarity;
If the standard land and the development scheduled land are inconsistent, among a plurality of candidate lands whose lan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preferentially select a land having a history of a change in land from the standard land to the development scheduled land in the past , Set the weight for the partial similarity corresponding to the section including the time when the designation change occurred to be larger than the weight for the partial similarity for the remaining sections and the weight for the total similarity,
The evaluation unit,
The higher the level of price increase in the analysis section from the current time point to the past analysis time point set in advance or the analysis section from the current time point to the time point when the land designation of the comparative land is changed, the higher the evaluation score. Service Provision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가중치는 상기 모니터링 기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할당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predetermined weight is as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monitoring peri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부는,
상기 후보 토지 중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개발 용도에 상응하는 상기 제2기준 정보가 할당된 후보 토지 그룹을 선정하고, 상기 후보 토지 그룹 내에서 상기 비교 토지를 선정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selection department,
Selecting a candidate land group to which the second refer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use is allocated based on the user input from the candidate land, and selecting the comparison land within the candidate land group.
삭제delete 제1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to 7 on a computer.
KR1020210193939A 2021-12-31 2021-12-3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5072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939A KR102507230B1 (en) 2021-12-31 2021-12-3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939A KR102507230B1 (en) 2021-12-31 2021-12-3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230B1 true KR102507230B1 (en) 2023-03-06

Family

ID=85509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939A KR102507230B1 (en) 2021-12-31 2021-12-3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23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561B1 (en) * 2012-11-23 2013-02-06 고종완 Real estate value evaluation system based on computer
KR20190014211A (en) * 2017-07-28 2019-02-12 주식회사 빅밸류 System for estimating market price of real estate using sales cases determined based on similarity score and method thereof
KR102195699B1 (en) * 2020-05-14 2020-12-28 한국부동산원 Estimation System and Estimation Method of Land Price having Final Price Estimation Un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561B1 (en) * 2012-11-23 2013-02-06 고종완 Real estate value evaluation system based on computer
KR20190014211A (en) * 2017-07-28 2019-02-12 주식회사 빅밸류 System for estimating market price of real estate using sales cases determined based on similarity score and method thereof
KR102195699B1 (en) * 2020-05-14 2020-12-28 한국부동산원 Estimation System and Estimation Method of Land Price having Final Price Estimation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kar et al. Agent-based simulation optimization for dynamic disaster relief distribution
US108806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using geo-blocks for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CN105532030A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movements of target entities
Chan et al. A station-level ridership model for the metro network in Montreal, Quebec
Oswald et al. Rating sustainability: Transportation investments in urban corridors as a case study
Wei et al. Continuous space maximal coverage: Insights, advances and challenges
Cheng et al. Optimizing location of car-sharing stations based on potential travel demand and present operation characteristics: the case of Chengdu
US11983203B1 (en) Systems and methods of establishing correlative relationships between geospatial data features in feature vectors representing property locations
CN102256270A (en) Dynamic self configuring overlays
JP2019533842A (en) Electronic device,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building retail store evaluation model
Alswailim et al. A reputation system to evaluate participants for participatory sensing
Yang et al. Predicting commercial activeness over urban big data
Owen et al. Access Across America: Transit 2014 Methodology
Hu et al. Prioritizing disaster mapping tasks for online volunteers based on information value theory
Setturu et al. Modeling landscape dynamics of policy interventions in Karnataka State, India
KR102353818B1 (en) System for providing real estate transaction information and price prediction information, and a method thereof
CN110263250B (en) Recommendation model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Halim et al. On finding optimum commuting path in a road network: a computational approach for smart city traveling
Tayeen et al. Location, location, location! quantifying the true impact of location on business reviews using a yelp dataset
KR1025072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Wang et al. Incentive-based approach to control demands for operation of one-way carsharing system
Kim et al. Spatial diffusion modeling of new residential area for land-use planning of rural villages
KR1025914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 estate information
Sullivan et al. A method for evaluating accessibility in transportation problems considering social vulnerability
Fan et al. A deep reinforcement learning model for resilient road network recovery under earthquake or flooding haz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