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112B1 -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112B1
KR102507112B1 KR1020220115482A KR20220115482A KR102507112B1 KR 102507112 B1 KR102507112 B1 KR 102507112B1 KR 1020220115482 A KR1020220115482 A KR 1020220115482A KR 20220115482 A KR20220115482 A KR 20220115482A KR 102507112 B1 KR102507112 B1 KR 102507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information
message
recnf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1629A (ko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랙핀
김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랙핀, 김성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랙핀
Priority to KR1020220115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112B1/ko
Publication of KR20230021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8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different R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5Determin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04W36/362Conditional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5Determin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55Determination of target cell based on user equipment [UE] properties, e.g. UE service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컨더리 기지국 변경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마스터 기지국이 타겟 세컨더리 기지국에게 제1 제어메시지를 전송하고, 타겟 세컨더리 기지국으로부터 제2 제어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제어메시지에 조건부 설정 요청 정보가 포함되었으며 제1 제어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조건부 설정 응답 정보가 포함된 제2 제어메시지를 수신하였다면 제1 절차가 진행되어야 함을 판단하고 단말에게 복수의 제2 NR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LTE 하향링크 제어메시지를 전송하고, 단말로부터 제1 LTE 상향링크 제어 메시지와 제2 LTE 상향링크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소스 세컨더리 기지국과 세컨더리 기지국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타겟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secondary base station change i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노드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을 도입하였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 (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사용된다.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을 중앙 유니트와 분산 유니트로 분할해서 확장성을 높인다. 또한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굉장히 높은 데이터 전송률과 굉장히 낮은 전송지연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시된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 변경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컨더리 기지국 변경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마스터 기지국이 타겟 세컨더리 기지국에게 제1 제어메시지를 전송하고, 타겟 세컨더리 기지국으로부터 제2 제어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제어메시지에 조건부 설정 요청 정보가 포함되었으며 제1 제어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조건부 설정 응답 정보가 포함된 제2 제어메시지를 수신하였다면 제1 절차가 진행되어야 함을 판단하고 단말에게 복수의 제2 NR 하향링크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LTE 하향링크 제어메시지를 전송하고, 단말로부터 제1 LTE 상향링크 제어 메시지와 제2 LTE 상향링크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소스 세컨더리 기지국과 세컨더리 기지국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타겟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 변경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LTE 시스템과 E-UTRAN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5G 시스템과 NG-RAN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5G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EN-DC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EN-DC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EN-DC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과 기지국의 또 다른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절차를 위한 LTE 재구성 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스터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을 적용한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기지국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 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현재 존재하는 통신표준 가운데 가장 최신의 표준인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 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 UE와 단말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표 1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약어들을 나열하였다.
Acronym Full name Acronym Full name
5GC 5G Core Network NG-RAN NG Radio Access Network
5GS 5G System NR NR Radio Access
5QI 5G QoS Identifier NR-DC NR-NR Dual Connectivity
ACK Acknowledgement PBR Prioritised Bit Rate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PCC Primary Component Carrier
ARQ Automatic Repeat Request PCell Primary Cell
AS Access Stratum PCI Physical Cell Identifier
ASN.1 Abstract Syntax Notation One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BSR Buffer Status Report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BWP Bandwidth Part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CA Carrier Aggregation PDU Protocol Data Unit
CAG Closed Access Group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CAG-ID Closed Access Group Identifier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CG Cell Group PRB Physical Resource Block
CHO Conditional Handover PSCell Primary SCG Cell
CIF Carrier Indicator Field PSS Primary Synchronisation Signal
CORESET Control Resource Set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CPC Conditional PSCell Change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PWS Public Warning System
C-RNTI Cell RNTI QFI QoS Flow ID
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QoE Quality of Experience
DC Dual Connectivity QoS Quality of Service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RACH Random Access Channel
DRB (user) Data Radio Bearer RAN Radio Access Network
DRX Discontinuous Reception RA-RNTI Random Access RNTI
ECGI E-UTRAN Cell Global Identifier RAT Radio Access Technology
eNB E-UTRAN NodeB RB Radio Bearer
EN-DC E-UTRA-NR Dual Connectivity RLC Radio Link Control
EPC Evolved Packet Core RNA RAN-based Notification Area
EPS Evolved Packet System RNAU RAN-based Notification Area Update
E-RAB E-UTRAN Radio Access Bearer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ETWS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 RRC Radio Resource Control
E-UTRA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GBR Guaranteed Bit Rate SCC Secondary Component Carrier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SCell Secondary Cell
HPLMN 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 SCG Secondary Cell Group
IDC In-Device Coexistence SCS Subcarrier Spacing
IE Information element SDAP 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SDU Service Data Unit
KPAS Korean Public Alert System SeNB Secondary eNB
L1 Layer 1 SFN System Frame Number
L2 Layer 2 S-GW Serving Gateway
L3 Layer 3 SI System Information
LCG Logical Channel Group SIB System Information Block
MAC Medium Access Control (S-/T-) SN (Source/Target) Secondary Node
MBR Maximum Bit Rate SpCell Special Cell
MCG Master Cell Group SRB Signalling Radio Bearer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MeNB Master eNB SSB SS/PBCH block
MIB Master Information Block SSS Secondary Synchronisation Signal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UL Supplementary Uplink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TDD Time Division Duplex
MN Master Node 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MR-DC Multi-Radio Dual Connectivity TRP Transmit/Receive Point
NAS Non-Access Stratum 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
NCGI NR Cell Global Identifier UE User Equipment
NE-DC NR-E-UTRA Dual Connectivity UL-SCH Uplink Shared Channel
NGEN-DC NG-RAN E-UTRA-NR Dual Connectivity UPF User Plane Function
표 2에 본 발명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의하였다.
Terminology Definition
Cell combination of downlink and optionally uplink resources. The linking between the carrier frequency of the downlink resources and the carrier frequency of the uplink resources is indicated in the system information transmitted on the downlink resources.
Global cell identity An identity to uniquely identifying an NR cell. It is consisted of cellIdentity and plmn-Identity of the first PLMN-Identity in plmn-IdentityList in SIB1.
gNB node providing NR user plane and control plane protocol terminations towards the UE, and connected via the NG interface to the 5GC.
Information element A structural element containing single or multiple fields is referred as information element.
NR NR radio access
PCell SpCell of a master cell group.
Primary SCG Cell For dual connectivity operation, the SCG cell in which the UE performs random access when performing the Reconfiguration with Sync procedure.
Serving Cell For a UE in RRC_CONNECTED not configured with CA/DC there is only one serving cell comprising of the primary cell. For a UE in RRC_CONNECTED configured with CA/ DC the term 'serving cells' is used to denote the set of cells comprising of the Special Cell(s) and all secondary cells.
SpCell primary cell of a master or secondary cell group.
Cell Group in dual connectivity, a group of serving cells associated with either the MeNB or the SeNB.
En-gNB node providing NR user plane and control plane protocol terminations towards the UE, and acting as Secondary Node in EN-DC.
Master Cell Group in MR-DC, a group of serving cells associated with the Master Node, comprising of the SpCell (PCell) and optionally one or more SCells.
Master node in MR-DC, the radio access node that provides the control plane connection to the core network. It may be a Master eNB (in EN-DC), a Master ng-eNB (in NGEN-DC) or a Master gNB (in NR-DC and NE-DC).
NG-RAN node either a gNB or an ng-eNB.
PSCell SpCell of a secondary cell group.
Secondary Cell For a UE configured with CA, a cell providing additional radio resources on top of Special Cell.
Secondary Cell Group in MR-DC, a group of serving cells associated with the Secondary Node, comprising of the SpCell (PSCell) and optionally one or more SCells.
Secondary node in MR-DC, the radio access node, with no control plane connection to the core network, providing additional resources to the UE. It may be an en-gNB (in EN-DC), a Secondary ng-eNB (in NE-DC) or a Secondary gNB (in NR-DC and NGEN-DC).
Conditional PSCell Change a PSCell change procedure that is executed only when PSCell execution condition(s) are met.
gNB Central Unit (gNB-CU) a logical node hosting RRC, SDAP and PDCP protocols of the gNB or RRC and PDCP protocols of the en-gNB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one or more gNB-DUs. The gNB-CU terminates the F1 interface connected with the gNB-DU.
gNB Distributed Unit (gNB-DU) a logical node hosting RLC, MAC and PHY layers of the gNB or en-gNB, and its operation is partly controlled by gNB-CU. One gNB-DU supports one or multiple cells. One cell is supported by only one gNB-DU. The gNB-DU terminates the F1 interface connected with the gNB-CU.
E-RAB An E-RAB uniquely identifies the concatenation of an S1 Bearer and the corresponding Data Radio Bearer. When an E-RAB exists, there is a one-to-one mapping between this E-RAB and an EPS bearer of the Non Access Stratum (NAS) as defined in TS 23.401 [3].
표 3은 본 발명의 각 종 메시지, IE, 용어들의 약어 (Abbreviation)이다.
Abbreviation Message/IE/Terminology
LTE RECNF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LTE RECNF CMP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CAPENQ UECapabilityEnquiry
CAPINF UECapabilityInformation
NR RECNF RRCReconfiguration
NR RECNF CMP RRCReconfigurationComplete
ULIT ULInformationTransferMRDC
SGNB ADD REQ SGNB ADDITION REQUEST
SGNB ADD ACK SGNB ADDITION REQUEST ACKNOWLEDGE
SGNB REL REQ SGNB RELEASE REQUEST
SGNB REL REQ ACK SGNB RELEASE REQUEST ACKNOWLEDGE
SGNB RECNF CMP SGNB RECONFIGURATION COMPLETE
Transaction ID rrc-TransactionIdentifier
TCSPCELL Target Candidate SpCell
CRID CondReconfigurationId
표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주요 기술 용어들의 설명이다.
Terminology Definition
PSCell 변경 변경은 현재 PSCell이 새로운 PSCell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하며, 동일한 SN 내에서 PSCell이 변경되는 것과 SN 간에 PSCell이 변경되는 것을 모두 포괄한다. 또한 PSCell이 추가되는 것 역시 PSCell 변경으로 볼 수 있다.
CG-ConfigInfo IE MN이 SN에게, 혹은 CU가 DU에게 전달하며 아래 정보들로 구성된다.l 단말의 성능 정보 (ue-CapabilityInfo)
l 서빙 셀로 추가될 수 있는 후보 셀들의 측정 결과 (MeasResultList2NR)
l MCG의 DRX 정보 등
CG-Config IE SN이 MN에게, 혹은 CU가 DU에게 전달하며 아래 정보들로 구성된다
l SCG 설정 정보를 담고 있는 NR RRCReconfiguration 메시지. MN은 상기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가공하지 않고 단말에게 그대로 전달한다.
l SCG 베어러와 관련된 정보. 상기 베어러에서 사용될 보안 키를 지정하는 정보등을 포함한다.
l SCG의 DRX 설정 정보
l PSCell의 중심 주파수를 지시하는 ARFCN 정보
measConfig MN과 SN이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측정 관련 정보이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 대상 정보 (MeasObject),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고 설정 정보 (ReportConfig),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식별자(MeasId)로 구성된다. 측정 대상 정보와 보고 설정 정보는 각 각 MeasObjectId와 ReportConfigId로 식별되며, MeasId는 하나의 MeasObjectId와 하나의 ReportConfigId로 구성된다. MeasId는 관련된 MeasObject에 대해서 측정한 결과가 ReportConfigId에서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면 정해진 동작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이다.
TCSPCELL 타겟 후보 SpCell을 지칭한다. 제1 절차에서 하나의 타겟 노드에 여러 개의 셀들이 타겟 후보 SpCell들로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TCSPCELL은 단말이 측정해서 기지국에게 측정 결과를 보고한 셀들 중 MN 혹은 S-SN이 선택한 셀일 수 있다. 제1 절차를 통해 TCSPCELL 중 하나가 PSCell이 된다.
도 1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과 E-UTRAN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E-UTRAN (101)은 E-UTRA 사용자 평면 (PDCP/RLC/MAC/PHY) 및 제어 평면 (RRC)을 UE에게 제공하는 ENB (102, 103, 104)로 구성된다. ENB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상호 연결된다. ENB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105)/S-GW (Serving-Gateway) (106)와 연결된다. S1 인터페이스는 MME/S-GW와 ENB 사이에 다대다 관계를 지원한다. MME(105) 및 S-GW(106)는 하나의 물리적 노드 또는 별개의 물리적 노드로 구성될 수 있다.
eNB (102, 103, 104)는 아래에 나열된 기능을 호스팅한다.
라디오 리소스 관리를 위한 기능: 라디오 베어러 제어, 라디오 입학 제어, 연결 이동성 제어, 업링크, 다운 링크 및 사이드 링크 (일정)에서 UEs에게 자원의 동적 할당;
IP 및 이더넷 헤더 압축, 업링크 데이터 감압 및 사용자 데이터 스트림의 암호화
단말이 제공한 정보로 AMF를 선택할 수 없는 경우 AMF 선택, UPF로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라우팅,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AMF또는 O&M에서 유래한) 방송 정보의 스케줄링 및 전송, 이동성 및 스케줄링을 위한 측정 및 측정 보고 구성, 세션 관리,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한 QoS 흐름 관리 및 매핑, RRC_INACTIVE 지원,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공유, NR과 E-UTRA 간의 긴밀한 상호 작용, 네트워크 슬라이싱 지원
MME (105)는 NAS 시그널링, NAS 신호 보안, AS 보안 제어, S-GW 선택, 인증, PWS 메시지 전송 지원 및 위치 관리와 같은 기능을 호스팅한다.
S-GW (106)는 패킷 라우팅 및 전달,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전송 수준 패킷 마킹, eNB 간 핸드오버를 위한 이동성 앵커링 등의 기능을 호스팅한다.
도 2는,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PDCP (201 내지 202), RLC (203 내지 204), MAC (205 내지 206), PHY (207 내지 208)로 구성된다. 제어 평명 프로토콜 스택은 NAS (209 내지 210), RRC (211 내지 212), PDCP, RLC, MAC, PHY로 구성된다.
각 프로토콜 부계층은 표 5에 나열된 동작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
Sublayer Functions
NAS 인증, 모빌리티 관리, 보안 제어 등
RRC 시스템 정보, 페이징, RRC 연결 관리, 보안 기능,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및 데이터 무선 베어러 관리, 모빌리티 관리, QoS 관리, 무선 링크 오류로부터의 복구 감지 및 복구, NAS 메시지 전송 등
PDCP 데이터 전송, 헤더 압축 및 복원, 암호화 및 복호화, 무결성 보호 및 무결성 검증, 중복 전송, 순서 조정 및 순서 맞춤 전달 등
RLC 상위 계층 PDU 전송, ARQ를 통한 오류 수정, RLC SDU의 연접/분할/재조립, RLC data PDU의 재조립, RLC 재설립 등
MAC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 간의 매핑, 물리 계층에서 전달되는 전송 블록(TB)에서 하나 또는 다른 논리 채널에 속하는 MAC SDU들을 다중화/역다중화, 정보 보고 일정, UE 간의 우선 순위 처리, 단일 UE 논리적 채널 간의 우선 순위 처리 등
PHY 채널 코딩, 물리적 계층 하이브리드-ARQ 처리, 레이트 매칭, 스크램블링, 변조, 레이어 매핑, 다운링크 제어 정보, 업링크 제어 정보 등
도 3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5G 시스템과 NG-RAN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5G시스템은 NG-RAN (301)과 5GC (302)로 구성된다. NG-RAN 노드는 아래 둘 중 하나이다.
NR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을 UE쪽으로 제공하는 gNB; 또는
E-UTRA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을 UE쪽으로 제공하는 ng-eNB.
gNB (305 내지 306)와 ng-eNB(303 내지 304)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gNB 및 ng-eNB는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307) 및 UPF (User Plane Function)(308)에 연결된다. AMF (307)와 UPF (308)는 하나의 물리적 노드 또는 별개의 물리적 노드로 구성될 수 있다.
gNB (305 내지 306)와 ng-eNB (303 내지 304)는 아래에 나열된 기능을 호스팅한다.
라디오 리소스 관리를 위한 기능: 라디오 베어러 제어, 라디오 입학 제어, 연결 이동성 제어, 업링크, 다운 링크 및 사이드 링크 (일정)에서 UEs에게 자원의 동적 할당;
IP 및 이더넷 헤더 압축, 업링크 데이터 감압 및 사용자 데이터 스트림의 암호화
단말이 제공한 정보로 AMF를 선택할 수 없는 경우 AMF 선택, UPF로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라우팅,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AMF또는 O&M에서 유래한) 방송 정보의 스케줄링 및 전송, 이동성 및 스케줄링을 위한 측정 및 측정 보고 구성, 세션 관리,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한 QoS 흐름 관리 및 매핑, RRC_INACTIVE 지원,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공유, NR과 E-UTRA 간의 긴밀한 상호 작용, 네트워크 슬라이싱 지원
AMF (307)는 NAS 시그널링, NAS 신호 보안, AS 보안 제어, S-GW 선택, 인증, 이동성 관리 및 위치 관리와 같은 기능을 호스팅한다.
UPF (308)는 패킷 라우팅 및 전달,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전송 수준 패킷 마킹, QoS 관리, 이동성을 위한 이동성 앵커링 등의 기능을 호스팅한다.
도 4는, 5G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SDAP (401 내지 402), PDCP (403 내지 404), RLC (405 내지 406), MAC (407 내지 408), PHY (409 내지 410)로 구성된다. 제어 평명 프로토콜 스택은 NAS (411 내지 412), RRC (413 내지 414), PDCP, RLC, MAC, PHY로 구성된다.
각 프로토콜 부계층은 표 6에 나열된 동작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
Sublayer Functions
NAS 인증, 모빌리티 관리, 보안 제어 등
RRC 시스템 정보, 페이징, RRC 연결 관리, 보안 기능,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및 데이터 무선 베어러 관리, 모빌리티 관리, QoS 관리, 무선 링크 오류로부터의 복구 감지 및 복구, NAS 메시지 전송 등
SDAP QoS 플로우와 데이터 무선 베어러 간의 매핑, DL 및 UL 패킷의 QoS 플로우 ID(QFI) 마킹.
PDCP 데이터 전송, 헤더 압축 및 복원, 암호화 및 복호화, 무결성 보호 및 무결성 검증, 중복 전송, 순서 조정 및 순서 맞춤 전달 등
RLC 상위 계층PDU 전송, ARQ를 통한 오류 수정, RLC SDU의 분할 및 재분할, SDU의 재조립, RLC 재설립 등
MAC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 간의 매핑, 물리 계층에서 전달되는 전송 블록(TB)에서 하나 또는 다른 논리 채널에 속하는 MAC SDU들을 다중화/역다중화, 정보 보고 일정, UE 간의 우선 순위 처리, 단일 UE 논리적 채널 간의 우선 순위 처리 등
PHY 채널 코딩, 물리적 계층 하이브리드-ARQ 처리, 레이트 매칭, 스크램블링, 변조, 레이어 매핑, 다운링크 제어 정보, 업링크 제어 정보 등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EN-DC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E-UTRAN은 E-UTRA-NR 듀얼 커넥티비티 (EN-DC)를 통해 MR-DC를 지원하며, UE는 MN 역할을 하는 하나의 eNB (501 내지 502), SN 역할을 하는 하나의 en-gNB (503 내지 504)에 연결된다. eNB (501 내지 502)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 (505)와 연결되고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en-gNB (503 내지 504)에 연결된다. en-gNB (503 내지 504)는 X2-U 인터페이스를 통해 S1-U 인터페이스 및 다른 en-gNB를 통해 EPC (505)에 연결될 수도 있다.
앞으로 상당 기간 LTE와 NR은 공존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 사업자가 LTE와 NR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경우도 빈번하다. 이 경우 단말이 LTE와 NR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면, 단말은 NR을 통해 높은 전송 속도를 제공받고, LTE를 통해 RRC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EN-DC가 설정되면 단말은 LTE와 NR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EN-DC로 동작할 때, NR의 커버리지가 협소해서 SN의 잦은 교체가 필요하다. SN 변경 절차는 필연적으로 PSCell의 변경을 요하기 때문에 PSCell 변경 절차라고도 한다. PSCell 변경 절차는 일반적으로 MN이나 S-SN이 변경 필요성을 인지하고 T-SN이 새로운 PSCell의 설정 정보를 결정하고, MN이 단말에게 상기 새로운 PSCell의 설정 정보를 알려주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단말의 상황에 따라 PSCell 설정 정보가 주어지면 즉각적으로 PSCell을 변경해야 할 경우도 있고,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면 PSCell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후자를 제1 재구성 (혹은 조건부 재구성), 전자를 제2 재구성 (혹은 즉각적 재구성)으로 명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재구성과 제2 재구성을 수행하는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제시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610 단계에서 MN(602)은 UE(601)의 측정 결과 보고를 토대로 SN을 변경하기로 결정한다. MN(602)은 T-SN(604)으로 SGNB ADD REQ 메시지를 전송해서, T-SN(604)에게 상기 UE의 EN-DC 연결을 위한 자원을 할당할 것을 요청한다 (610). SGNB ADD REQ에는 아래 정보가 포함된다.
제1 정보: SGNB 추가 절차가 제1 재구성을 위한 준비 절차인지 제2 재구성을 위한 준비 절차인지 나타내는 정보.
제2 정보: 제1 재구성을 요청하는 경우에 포함됨. MN이 결정한 제1 재구성 실행 조건과 관련된 정보. 실행 조건과 실행 조건 셀 그룹 IE로 구성된다.
T-SN의 셀들에 대한 측정 결과
데이터 무선 베어러 설정 관련 정보: 설정되어야 할 무선 베어러에 대한 정보. T-SN의 호 수락 제어에 사용될 수 있음.
최대 전송 속도 관련 정보: 해당 호의 예상 최대 데이터 레이트. T-SN의 호 수락 제어에 사용될 수 있음.
제1 정보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SGNB Addition Trigger Indication IE에 새로운 코드 포인트를 도입해서 제1 재구성 절차와 제2 재구성 절차를 구분할 수 있다. 현재 규격에서 SGNB Addition Trigger Indication IE는 SN change, inter-eNB HO, intra-eNB HO 중 하나를 지시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여기에 Conditional PSCell Change라는 새로운 코드 포인트를 도입하고, 상기 정보가 SN change, inter-eNB HO, intra-eNB HO 중 하나를 지시하면 제2 재구성 절차를, 상기 정보가 Conditional PSCell Change를 지시하면 제1 재구성 절차를 지시하도록 정의한다.
혹은, Conditional PSCell Change (CPC) IE를 새롭게 도입해서 제1 재구성 절차를 지시할 수 있다. CPC IE는 해당 절차가, 조건부 PSCell 변경 관련 해당 단말의 현재 조건부 설정을 대체하는 것인지 새로운 조건부 PSCell 변경 절차를 개시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혹은 단말의 측정 결과를 토대로 결정한 소정의 셀들의 리스트 예를 들어 TCSPCELL들의 리스트를 제1 정보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정보는 조건부 설정 요청 정보이다.
615 단계에서 T-SN(604)은 호 승낙 제어를 수행해서 상기 요청을 수락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요청을 수락하기로 결정하였다면, T-SN(604)은 MN(602)에게 SGNB ADD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SGNB ADD ACK 메시지는 EN-DC 연결을 위한 자원 할당 요청에 대한 응답을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에는 단말에게 할당되는 자원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최대 전송 속도와 관련된 정보 요소 (Information Element; IE), 무선 베어러와 관련된 IE, X2 인터페이스 상에서 단말을 식별하는 논리적 식별자, 셀 그룹 설정 (CG-Config) IE 등이 포함된다. 상기 메시지에는 또한 해당 절차가 제1 재구성 절차인지 제2 재구성 절차인지 나타내는 정보 (이하 제3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3 정보는, 한 UE에 대해서 준비될 수 있는, 한 T-SN으로의 제1 재구성 준비 단계의 최대 회수 (maximum number of Conditional PSCell Change/Addition preparations for a UE toward a target GNB)와 소정의 셀의 글로벌 식별자가 될 수 있다. 제3 제어정보는 조건부 설정 응답 정보이다.
MN(602)은 제1 재구성 절차를 수행할지 제2 재구성 절차를 수행할지 판단한다.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전송하였고 제3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제1 재구성 절차를 수행한다.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전송하지 않았고 제3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면 제2 재구성 절차를 수행한다. 제1 재구성 절차를 수행하기로 하였다면 620 단계로 진행한다. 제2 재구성 절차를 수행하기로 하였다면 670 단계로 진행한다. 혹은 SGNB ADD REQ메시지에 조건부 설정 요청 정보가 포함되었으며 SGNB ADD ACK 메시지에 조건부 설정 응답 정보가 포함되었으면 제1 절차가 수락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재구성 절차를 수행한다. SGNB ADD REQ 메시지에 조건부 설정 요청 정보가 포함되지 않았거나 SGNB ADD ACK 메시지에 조건부 설정 응답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면 제2 절차가 수락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재구성 절차를 수행한다.
620 단계에서 MN(602)은 UE(601)에게 제1 LTE RECNF를 전송한다.
EN-DC 동작 중인 UE에게 제1 절차를 설정하는 LTE RECNF의 구조는 도 7에 상술하였다.
625 단계에서 UE는 MN에게 제1 LTE RECNF CMP를 전송한다. 제1 LTE RECNF CMP는 제1 Transaction id를 포함한다.
630 단계에서 UE는 실행 조건 IE와 실행 조건 셀그룹 IE를 이용해서 실행 조건을 판단한다. 실행 조건 IE는 하나 혹은 두 개의 MeasId로 구성되고, 실행 조건 셀그룹 IE는 Master Cell Group (혹은 MN)과 Secondary Cell Group (혹은 SN)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이다. 혹은 상기 IE는 Master Cell Group 여부만 지시하며, 상기 정보가 없으면 Source Secondary Cell이 지시된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UE는 실행 조건의 MeasId는 실행 조건 셀그룹 IE에서 지시된 셀 그룹의 MeasConfig에서 정의된 MeasId로 판단하고 상기 셀 그룹의 MeasConfig의 MeasId를 실행 조건으로 판단한다. UE는 상기 MeasId와 연결된 MeasObject의 각종 파라미터들과 ReportConfig의 각종 파라미터들을 이용해서 어떤 대상을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가 어떤 조건을 충족할 때 제1 재구성을 실행해야 하는지 인지한다.
실행 조건은 MN 혹은 S-SN이 결정한다. MN과 S-SN은 자신이 결정한 실행 조건을 자신의 MeasConfig에 정의된 MeasId를 이용해서 표현한다. 단말은 MN과 SN중 어떤 노드가 실행 조건을 설정하였는지 알아야만 MeasId의 의미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행 조건 셀 그룹 IE를 이용해서 상기 정보를 단말에게 알린다.
LTE에는 1에서 32 사이의 값을 가지는 MeasId와 33에서 64사이의 값을 가지는 MeasId-v1250 라는 2 종류의 MeasId가 있다. 전자를 5 bit MeasId, 후자를 5 bit MeasId-Ext으로 명명한다. NR에는1에서 64 사이의 값을 가지는 MeasId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 6 bit MeasId로 명명한다.
SGNB ADD REQ를 통해 MN은 T-SN에게 자신이 결정한 실행 조건으로 사용할 MeasId를 알려줄 수 있다. MN은 5 bit MeasId 혹은 5 bit MeasId-Ext를 6 bit MeasId로 변경해서 SGNB ADD REQ에 포함시켜서 T-SN에게 알려준다. MN은 실행 조건으로 5 bit MeasId를 선택하였다면, 6 bit MeasId의 Most Significant bit (MSB)를 0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5비트를 5 bit MeasId로 설정한다. MN은 실행 조건으로 5 bit MeasId-Ext를 선택하였다면 6 bit MeasId의 MSB를 1로 설정하고 나머지 5비트를 5 bit MeasId로 설정한다.
단말은 RECNF를 통해서 6 bit MeasId를 실행 조건으로 수신한다. 상기 실행 조건이 S-SN에 의해서 결정된 것이라면, 즉 실행 조건 셀 그룹 IE가 SCG라면, 단말은 상기 수신한 6 bit MeasId를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실행 조건을 판단한다. 상기 실행 조건이 MN에 의해서 결정된 것이라면, 즉 실행 조건 셀 그룹 IE가 MCG라면 단말은 상기 수신한 6 bit MeasId를 5 bit MeasId 혹은 5 bit MeasId-Ext으로 변환해서 실행 조건을 판단한다. 6 bit MeasId의 MSB가 0이면 나머지 5비트를 5 bit MeasId로 해석하고 관련된 ReportConfig와 MeasObject를 선택한다. 6 bit MeasId의 MSB가 1이면 나머지 5비트를 5 bit MeasId-Ext로 해석하고 관련된 ReportConfig와 MeasObject를 선택한다.
630 단계에서 UE는 또한 조건부 재구성 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하기 위해 조건부 재구성 평가 절차를 수행한다. UE는 제3 NR 재구성 메시지에서 지시된 셀 식별자에 해당하는 셀(TCSPCELL)의 측정 결과가 실행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렇다면 실행 조건을 충족하는 셀의 제3 NR 재구성 메시지를 적용해서 조건부 재구성을 실행한다.
635 단계에서 UE는 T-SN과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다. 랜덤 액세스 절차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기지국이 단말에게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말이 기지국에게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전송을 수행하고, 기지국이 단말에게 경쟁 해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640 단계에서 UE는 MN에게 ULIT를 전송한다. ULIT는 NR RECNF CMP와 CRID를 포함한다. MN은 CRID와 대응되는 CG-Config를 식별하고 상기 CG-Config에 맞춰 MN의 설정을 재구성한다. MN은 제1 재구성 절차가 진행 중인 단말로부터 ULIT를 수신하면, 제1 재구성이 실행된 것을 인지하고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ULIT에 포함된 제1 NR RECNF CMP를 T-SN으로 전달하고, S-SN과 SGNB 해제 절차를 개시한다.
645 단계에서 MN은 T-SN으로 SGNB RECNF CMP를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에는 제1 NR RECNF CMP가 포함된다. SN은 제1 NR RECNF CMP에 제3 Transaction id가 포함된 것으로부터 제1 NR RECNF CMP가 제2 NR RECNF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것을 인지한다.
650 단계에서 MN(602)은 S-SN(603)이 필요한 후속조치, 예를 들어 SN STATUS TRANSFER 절차를 취할 수 있도록 S-SN(603)으로 SGNB REL REQ 메시지를 전송한다. SGNB REL REQ 메시지는 데이터 전달을 위한 GTP tunnel 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655 단계에서 S-SN(603)은 SGNB REL REQ 메시지를 수신하면 소정의 타이머를 구동하고 T-SN(604)에게 SGNB REL REQ ACK를 전송한다. S-SN(603)은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단말에게 할당된 자원을 해제하고 관련 정보들을 폐기한다.
660 단계에서 S-SN(603)은 MN(602)에게 상향링크/하향링크 PDCP SN과 HFN 정보를 포함한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를 MN으로 전송하고, MN은 이를 T-SN(604)으로 전송한다.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는 HFN과 PDCP SN을 포함한다.
T-SN(604)은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를 참조해서 단말에게 전송할 하향링크 PDCP 패킷의 HFN과 PDCP SN을 결정하고, 단말에게 재전송을 요청할 상향링크 PDCP 패킷의 PDCP SN을 결정한다.
665 단계에서 S-SN(603)은 MN에게 하향링크 PDCP 패킷들을 전달하고, MN은 이를 T-SN(604)으로 전달한다. T-SN(604)은 상기 하향링크 PDCP 패킷들을 단말에게 전송한다.
제2 재구성 절차를 수행하기로 결정하면, MN은 SGNB ADD ACK 메시지를 수신한 후 670 단계로 진행한다.
670 단계에서 MN(602)은 S-SN(603)이 필요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S-SN(603)으로 SGNB REL REQ 메시지를 전송한다. SGNB REL REQ 메시지는 데이터 전달을 위한 GTP tunnel 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671 단계에서 S-SN(603)은 SGNB REL REQ 메시지를 수신하면 소정의 타이머를 구동하고 T-SN(604)에게 SGNB REL REQ ACK메시지를 전송한다. S-SN(603)은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단말에게 할당된 자원을 해제하고 관련 정보들을 폐기한다.
675 단계에서 MN(602)은 UE(601)에게 제2 LTE RECNF를 전송한다.
제2 LTE 재구성 메시지는 제5 Transaction id와 하나의 제4 NR RECNF로 구성된다. 상기 제4 NR RECNF는 제6 Transaction id와 PSCell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T-SN(604)은 제2 NR RECNF를 생성해서 CG-Config IE에 삽입하고 SGNB ADD ACK 메시지로 MN(602)에게 전달하면, MN(602)는 제2 NR RECNF를 제2 LTE RECNF에 삽입해서 UE(601)에게 전송한다.
676 단계에서 UE(601)는 제2 LTE RECNF를 수신하면 MN(602)으로 제2 LTE RECNF CMP를 전송한다. 제2 LTE RECNF CMP에는 제5 Transaction id와 제2 NR RECNF CMP가 포함된다. 제2 NR RECNF CMP에는 제6 Transaction id가 포함된다. MN은 제5 Transaction id를 기초로 상기 제2 LTE RECNF CMP가 제2 LTE RECNF에 대한 응답임을 인지한다.
677 단계에서 MN(602)은 제3 LTE RECNF CMP에 포함된 제2 NR RECNF CMP를 SGNB RECNF CMP 메시지에 포함시켜서 T-SN(604)으로 전송한다. T-SN은 제6 Transaction id를 기초로 상기 제2 NR RECNF CMP가 제4 NR RECNF에 대한 응답임을 인지한다. 결과적으로 제2 LTE RECNF CMP에는 적어도 2개의 Transaction id가 포함되며, 이 중 하나는 MN이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MN이 T-SN이 전달하고 T-SN이 사용한다.
한편 SGNB REL REQ ACK 메시지를 전송한 S-SN(603)은 685 단계에서 MN(602)에게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를 전송하고, MN은 이를 T-SN(604)으로 전송한다.
S-SN(603)은 MN에게 하향링크 PDCP 패킷들을 전달하고, MN은 이를 T-SN(604)으로 전달한다 (690). T-SN(604)은 상기 하향링크 PDCP 패킷들을 단말에게 전송한다.
한편 제3 LTE RECNF CMP를 전송한 UE(601)는 678 단계에서 제2 NR RECNF에 지시된 PSCell에 대해서 PSCell 변경 절차를 실행한다.
68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PSCell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랜덤 액세스가 완료되면 UE(601)은 PSCell 변경 절차가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고 T-SN(604)과 데이터 송수신을 재개한다.
상기와 같이 제1 절차에서 MN은 단말로부터 UNIT 혹은 제2 상향 링크 LTE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후 SGNB RELEASE 절차를 개시한다. 반면 제2 절차에서 MN은 LTE RECNF CMP 혹은 제1 상향 링크 LTE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 SGNB RELEASE 절차를 개시한다. 이처럼 절차에 따라 MN이 상이한 동작을 취하는 것은 S-SN(603)이 데이터 전달과 관련된 동작을 적절한 시점에 취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해서이다.
도 7는 제1 절차를 위한 LTE 재구성 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LTE RECNF는 MN이 생성한 제1 Transaction id와 T-SN이 생성한 제1NR RECNF를 (702) 포함한다. 제1 RECNF에는 관련 절차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절차 (조건부 재구성)를 위한 것이라면, 제1 NR RECNF는 조건부 재구성 관련 정보(710)를 포함한다. 조건부 재구성 관련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ondReconfigToAddMod IE(혹은 제2 NR 제어정보) (703 내지 720 내지 721)를 포함한다.
각 CondReconfigToAddMod IE는 재구성 식별자(혹은 제2 NR 제어정보 식별자) (704), 실행 조건 (705), 각 종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2 NR RECNF (706), 그리고 실행 조건 셀그룹 IE(722)를 포함한다. 제2 NR 제어정보 식별자는 의무적으로 존재하며, 실행 조건, 제2 NR RECNF 그리고 실행 조건 셀그룹 IE는 선택적으로 존재한다. 만약 제2 NR 제어정보에 포함된 재구성 식별자가 새로운 식별자라면 실행 조건과 제2 NR RECNF는 의무적으로 존재하고 실행 조건 셀그룹 IE는 선택적으로 존재한다.
제2 NR RECNF는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 (708), 보안 키 산출을 위한 카운터 (709), 제3 NR RECNF(707)를 포함한다. 상기 제3 NR RECNF는 secondaryCellGroup IE를 포함하고, 상기 IE는 TCSPCELL의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제1 재구성을 위한 하나의 제1 NR 재구성 메시지는 다수의 TCSPCELL설정 정보를 수납하고, 각 타겟 후보 PSCell/SPCell 설정 정보는 하나의 실행 조건 IE 및 하나의 실행 조건 셀그룹 IE와 관련된다.
제1 NR RECNF는 제2 Transaction ID를, 제2 NR RECNF는 제3 Transaction ID를, 제3 NR RECNF는 제4 Transaction ID를 포함한다.
도 8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지국(MN)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801단계에서 제1 기지국은 제3 기지국(T-SN)으로 SGNB추가와 관련된 제1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에는 제1 정보, 제2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806단계에서 제1 기지국은 제3 기지국으로부터 SGNB추가와 관련된 제2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메시지에는 제3 정보와 PSCell 설정 정보(혹은 target SpCell 설정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811단계에서 제1 기지국은 제1조건 충족 여부를 판단해서, 충족되면 816단계로 진행해서 제1 절차를 수행하고 충족되지 않으면 841단계로 진행해서 제2 절차를 수행한다. 제1 정보가 포함된 제1 제어 메시지를 제3 기지국으로 전송하였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제3 기지국으로부터 제2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면 제1 조건이 충족된다.
제1 제어메시지에 조건부 설정 요청 정보가 포함되었으며 제1 제어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조건부 설정 응답 정보가 포함된 제2 제어메시지를 수신하였다면, 816 단계로 진행해서 제1 절차를 수행한다. 제1 제어메시지에 조건부 설정 요청 정보가 포함되지 않거나 제1 제어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조건부 설정 응답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제2 제어메시지를 수신하였다면 841 단계로 진행해서 제2 절차를 수행한다.
816단계에서 제1 기지국은 단말에게 제1 LTE RECNF를 전송한다. 제1 LTE RECNF는 적어도 제1 Transaction id와 제1 NR RECNF로 구성된다. 제1 Transaction id는 제1 기지국이 결정해서 삽입하고 제1 NR RECNF는 제3 기지국이 생성해서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제1 NR RECNF는 적어도 제2 Transaction id와 CondRecoinfigAddMod IE로 구성된다.
821단계에서 제1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제1 LTE RECNF CMP를 수신한다. 제1 LTE RECNF는 제1 Transaction id로 구성된다.
826단계에서 제1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ULIT를 수신한다. ULIT는 제1 NR RECNF CMP와 CRID로 구성된다. 제1 NR RECNF CMP는 적어도 제3 Transaction id로 구성된다. 제1 기지국은 제3 기지국에게 SGNB RECNF CMP를 전송하며, SGNB RECNF CMP는 적어도 제1 NR RECNF CMP로 구성된다.
831단계에서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과 SGNB 해제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절차에서 제1 기지국이 제2 기지국에게 SGNB REL REQ를 전송하고 제2 기지국이 제1 기지국에게 SGNB REL REQ ACK을 전송한다.
836단계에서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은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를 교환하고 데이터 포워딩을 수행한다.
861단계에서 제1 기지국, 단말, 제2 기지국은 EN-DC 동작을 수행/재개하면서 제1 절차를 완료한다.
841단계에서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과 SGNB 해제 절차를 수행한다.
846단계에서 제1 기지국은 단말에게 제2 LTE RECNF를 전송한다. 제2 LTE RECNF는 적어도 제5 Transaction id와 제4 NR RECNF로 구성된다. 제5 Transaction id는 제1 기지국이 결정해서 삽입하고 제4 NR RECNF는 제3 기지국이 생성해서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제4 NR RECNF는 적어도 제6 Transaction id와 PSCell 설정 정보로 구성된다.
851단계에서 제1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제3 LTE RECNF CMP를 수신한다. 제3 LTE RECNF CMP는 제5 Transaction id와 제4 NR RECNF CMP로 구성된다. 제4 NR RECNF CMP는 적어도 제6 Transaction id로 구성된다. 제1 기지국은 제3 기지국에게 SGNB RECNF CMP를 전송하며, SGNB RECNF CMP는 적어도 제3 NR RECNF CMP로 구성된다.
856단계에서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은 SN STATUS TRANSFER 메시지를 교환하고 데이터 포워딩을 수행한다.
861단계에서 제1 기지국, 단말, 제2 기지국은 EN-DC 동작을 수행/재개하고 제2 절차를 완료한다.
도 9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901 단계에서 단말은 제1 기지국 (MN 또는 MeNB)에게 EN-DC 및 제1 재구성 절차와 관련된 단말의 능력을 보고한다.
제1 성능 정보: EN-DC가 지원되는 밴드 조합 정보 (a list of band combinations supporting EN-DC); 그리고
제2 성능 정보: EN-DC가 지원되는 밴드 조합 중 제1 재구성을 지원하는 밴드 조합의 리스트 (a list of EN-DC band combinations supporting 1st reconfiguration); 그리고
제3 성능 정보: 두 개의 NR 밴드로 구성된 NR 밴드 조합
제2 성능 정보는 제1 성능 정보로 보고된 밴드 조합 중 어떤 밴드 조합의 NR밴드가 제1 재구성을 지원하는지 나타낸다. 제2 성능 정보는 밴드 내 (intra-band) 제1 재구성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제3 성능 정보는 두 개의 NR밴드로 구성된 NR 밴드의 조합이며, 제3 성능 정보에 포함된 NR밴드 조합에서는 밴드 간 (inter-band) 제1 재구성이 지원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3 성능 정보에 (N1, N2) 밴드 조합이 포함되었다면, N1과 N2사이에 제1 재구성이 지원됨을 의미한다. 이 때 제3 성능 정보에 포함된 밴드 조합에 속하는 모든 NR 밴드들 (예를 들어 N1과 N2)는 EN-DC가 지원되는 NR 밴드이다.
단말이 성능을 보고하는 기지국과 단말이 LTE RECNF를 수신하는 기지국과 단말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기지국은 모두 다른 기지국일 수 있다. 단말이 보고한 성능은 핵심망에 저장되기 때문에 단말은 최초 등록 과정에서 성능을 한번 보고하고 이 후에는 성능을 보고하지 않기 때문이다.
906 단계에서 단말은 LTE RECNF를 수신한다. 상기 LTE RECNF는 제1 NR RECNF를 포함한다. 상기 LTE RECNF가 제1 재구성을 지시하는 메시지라면, 상기 제1 NR RECNF는 제1 정보를 포함한다. 제1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정보는 항상 제3 정보와 제4정보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제5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정보 내지 제5 정보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서 정의된 정보이며, MN과 T-SN사이에 정의된 제1 정보 내지 제3 정보와 다른 정보이다.
하나의 제2 정보는 하나의 TCSPCELL에 대응된다. 제3 정보는 하나 혹은 두개의 MeasId로 구성되며, 상기 TCSPCELL로의 재설정을 실행할 실행 조건을 정의한다. 제4 정보는 제2 NR RECNF로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 보안키 관련 정보, TCSPCELL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3 NR RECNF를 포함한다. 제5 정보는 실행 조건이 MCG와 SCG 중 (혹은 MeNB와 SgNB 중, 혹은 MN과 S-SN 중) 어떤 것과 연관된 것인지 나타내는 정보이다.
제3 정보와 제5 정보는 TCSPCELL 별로(혹은 제2 정보 별로) 제1 재구성의 실행 조건을 정의한다. 혹은 하나의 제1 NR 메시지에 포함된 모든 TCSPCELL (혹은 제2 정보)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제3 정보와 제5 정보를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정보의 하위 IE로 공통 제3 정보와 공통 제5 정보를 포함시키고, 제2 정보의 하위 IE로 포함된 개별적인 제3 정보는 무시하도록 단말의 동작을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단말은 공통 제3 정보가 존재하면 하나의 제1 정보에 포함된 모든 TCSPCELL에 대해 상기 공통 제3 정보를 적용하고, 공통 제3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TCSPCELL 별로 지시된 제3 정보를 적용한다.
하나의 LTE RECNF는 하나의 제1 NR RECNF를, 하나의 제1 NR RECNF는 다수의 제2 NR RECNF를, 하나의 제2 NR RECNF는 하나의 제3 NR RECNF를 포함한다. 즉 하나의 LTE RECNF는 다수의 제3 NR RECNF, 동일한 수의 제3 정보와 동일한 수의 제4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다수의 제5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RECNF는 하나의 Transaction id를 포함한다. LTE RECNF는 제1 Transaction id를 포함하고, 제1 NR RECNF는 제2 Transaction id를 포함한다. 제2 NR RECNF와 제3 NR RECNF는 각 각 제3 Transaction id와 제4 Transaction id를 포함한다.
911 단계에서 단말은 제1 기지국으로 LTE RECNF CMP를 전송한다. 상기 LTE RECNF CMP에는 제1 Transaction id가 포함된다.
916 단계에서 단말은 수신한 LTE RECNF에 포함된 제1 NR RECNF에 제1 재구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1 재구성 절차를 개시한다.
921 단계에서 단말은 TCSPCELL별로 설정된 제3 정보와 제5정보를 기초로 제3 정보에서 지시된 MeasId가 어떤 셀그룹(혹은 어떤 노드)과 관련되었는지 판단한다. 제5 정보가 없으면, 해당 TCSPCELL에 대한 실행 조건은 S-SN이 설정하였으며, MeasId는 Source SCG (혹은 S-SN)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MeasId의 의미는 Source SCG (혹은 S-SN)의 MeasConfig에 따라 해석한다. 제5 정보가 있으면, 해당 TCSPCELL에 대한 실행 조건은 MN이 설정하였으며, MeasId는 MCG (혹은 MN)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MeasId의 의미는 MCG (혹은 MN)의 MeasConfig에 따라 해석한다. 혹은, 제5 정보가 있으면, 해당 TCSPCELL에 대한 실행 조건은 MCG와 SCG 중 (혹은 MN과 S-SN중) 제5 정보가 지시하는 CG(혹은 노드)가 설정하였으며, MeasId는 상기 CG (혹은 노드)와 관련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MeasId의 의미는 상기 CG (혹은 노드)의 MeasConfig에 따라 해석한다.
LTE에는 1에서 32 사이의 값을 가지는 MeasId와 33에서 64사이의 값을 가지는 MeasId-v1250 라는 2 종류의 MeasId가 있다. 전자를 5 bit MeasId, 후자를 5 bit MeasId-Ext으로 명명한다. NR에는1에서 64 사이의 값을 가지는 MeasId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 6 bit MeasId로 명명한다.
SGNB ADD REQ에 MN은 T-SN에게 자신이 결정한 실행 조건으로 사용할 MeasId를 알려줄 수 있다. MN은 5 bit MeasId 혹은 5 bit MeasId-Ext를 6 bit MeasId로 변경해서 SGNB ADD REQ에 포함시켜서 T-SN에게 알려준다. MN은 실행 조건으로 5 bit MeasId를 선택하였다면, 6 bit MeasId의 Most Significant Bit (MSB)를 0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5비트를 5 bit MeasId로 설정한다. MN은 실행 조건으로 5 bit MeasId-Ext를 선택하였다면 6 bit MeasId의 MSB를 1로 설정하고 나머지 5비트를 5 bit MeasId로 설정한다.
단말은 RECNF를 통해서 6 bit MeasId를 실행 조건으로 수신한다. 상기 실행 조건이 S-SN에 의해서 결정된 것이라면, 즉 실행 조건 셀 그룹 IE가 SCG라면, 단말은 상기 수신한 6 bit MeasId를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실행 조건을 판단한다. 상기 실행 조건이 MN에 의해서 결정된 것이라면, 즉 실행 조건 셀 그룹 IE가 MCG라면 단말은 상기 수신한 6 bit MeasId를 5 bit MeasId 혹은 5 bit MeasId-Ext으로 변환해서 실행 조건을 판단한다. 6 bit MeasId의 MSB가 0이면 나머지 5비트를 5 bit MeasId로 해석하고 관련된 ReportConfig와 MeasObject를 선택한다. 6 bit MeasId의 MSB가 1이면 나머지 5비트를 5 bit MeasId-Ext로 해석하고 관련된 ReportConfig와 MeasObject를 선택한다.
926 단계에서 단말은 조건부 재설정 평가 동작을 수행한다. 단말은 제1 정보에 포함된 제2 정보 별로, 각 제2 정보의 제3 NR RECNF에서 지시된 서빙 셀(즉 target candidate cell)을 '적용 가능한 셀 (applicable cell)'로 간주하고, 적용 가능한 셀 중 실행 조건과 연관된 이벤트를 만족하는 셀이 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이벤트를 만족한 target candidate cell셀을 트리거드 셀 (triggered cell)로 간주한다.
931 단계에서 단말은 조건부 재설정을 실행한다. 단말은 트리거드 셀에 대해서 대응되는 제2 NRRECNF를 적용한다.
936 단계에서 단말은 제2 기지국으로 ULIT를 전송한다. ULIT는 제1 NR RECNF CMP를 포함한다. 제1 NR RECNF CMP는 제3 Transaction id를 포함한다. ULIT는 또한 트리거드 셀에 대응되는 (혹은 트리거드 셀에 대응되는 제2 NR RECNF에 대응되는) CRID를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제어부 (1001), 저장부 (1002), 트랜시버 (1003), 주프로세서 (1004), 입출력부 (1005)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 (1001)는 이동 통신 관련 상기 UE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1001)는 상기 트랜시버 (1003)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1)는 상기 저장부 (1002)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00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1001)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001)는 도9의 단말 동작이 수행되도록 저장부와 트랜시버를 제어한다.
상기 저장부 (1002)는 상기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 (1002)는 상기 제어부 (1001)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트랜스버 (1003)는 RF처리부, 기저대역처리부, 안테나를 포함한다. RF처리부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상기 RF처리부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mixer), 오실레이터 (oscillator), DAC (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 (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 처리부는 MIMO를 수행할 수 있으며, MIMO 동작 수행 시 여러 개의 레이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 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는 상기 RF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트랜시버는 송수신부이다.
상기 주프로세서(1004)는 이동통신 관련 동작을 제외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주프로세서(1004)는 입출렵부(1005)가 전달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여 필요한 데이터는 저장부(1002)에 저장하고 제어부(1001)를 제어해서 이동통신 관련 동작을 수행하고 입출력부(1005)로 출력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입출력부(1005)는 마이크로폰, 스크린 등 사용자 입력을 받아들이는 장치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 구성되며, 주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의 입출력을 수행한다.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제어부 (1101), 저장부 (1102), 트랜시버(1103), 백홀 인터페이스부 (11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 (1101)는 상기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1101)는 상기 트랜시버 (1103)를 통해 또는 상기 백홀 인터페이스부(1104)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1)는 상기 저장부(1102)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10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101)는 도 6과 도8에 도시된 기지국 동작이 수행되도록 트랜시버. 저장부. 백홀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한다.
상기 저장부 (1102)는 상기 주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 (1102)는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1102)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 (1102)는 상기 제어부(1101)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트랜시버 (1103)는 RF처리부, 기저대역처리부, 안테나를 포함한다. 상기 RF처리부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상기 RF처리부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 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송함으로써 하향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는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은 상기 RF처리부로 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백홀 인터페이스부 (1104)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백홀 통신부 (1104)는 상기 주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보조기지국,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백홀 인터페이스부는 송수신부를 구성한다.

Claims (2)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노드 방법에 있어서,
    제1 SN (Secondary Node)으로 제1 기지국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메시지는 제1 목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목록은 하나 이상의 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셀들은 상기 제1 SN과 관련되고,
    단말에게 제1 하향링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하향링크 메시지는 하나의 제1 식별자와 하나 이상의 CondReconfigToAddMod를 포함하고, 상기 CondReconfigToAddMod 각 각은 하나의 제2 식별자와 하나의 실행 조건과 하나의 재구성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제1 상향링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상향링크 메시지는 상기 제1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제1 하향링크 메시지에 대응되고,
    상기 단말로부터 제2 상향링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상향링크 메시지는 하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조건부 재설정을 위해 선택된 재구성 메시지에 대응되고,
    제2 SN으로 제2 기지국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메시지는 자원의 해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노드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 SN (Secondary Node)으로 제1 기지국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메시지는 제1 목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목록은 하나 이상의 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셀들은 상기 제1 SN과 관련되고,
    단말에게 제1 하향링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하향링크 메시지는 하나의 제1 식별자와 하나 이상의 CondReconfigToAddMod를 포함하고, 상기 CondReconfigToAddMod 각 각은 하나의 제2 식별자와 하나의 실행 조건과 하나의 재구성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제1 상향링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상향링크 메시지는 상기 제1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제1 하향링크 메시지에 대응되고,
    상기 단말로부터 제2 상향링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상향링크 메시지는 하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조건부 재설정을 위해 선택된 재구성 메시지에 대응되고,
    제2 SN으로 제2 기지국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메시지는 자원의 해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노드.
KR1020220115482A 2021-08-05 2022-09-14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07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482A KR102507112B1 (ko) 2021-08-05 2022-09-14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238A KR102445757B1 (ko) 2021-08-05 2021-08-05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20115482A KR102507112B1 (ko) 2021-08-05 2022-09-14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238A Division KR102445757B1 (ko) 2021-08-05 2021-08-05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629A KR20230021629A (ko) 2023-02-14
KR102507112B1 true KR102507112B1 (ko) 2023-03-07

Family

ID=834527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238A KR102445757B1 (ko) 2021-08-05 2021-08-05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20115482A KR102507112B1 (ko) 2021-08-05 2022-09-14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238A KR102445757B1 (ko) 2021-08-05 2021-08-05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52739A1 (ko)
KR (2) KR102445757B1 (ko)
WO (1) WO2023013958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0682B2 (en) * 2019-10-14 2023-01-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ity hand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082293B1 (en) * 2020-01-24 2024-04-03 Google LLC Managing conditional configuration in dual connectivity scenarios
WO2021201758A1 (en) * 2020-03-30 2021-10-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ditional configu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14698042A (zh) * 2020-12-31 2022-07-01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通信节点中的方法和装置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TT, "TP for TS37.340 BLCR Conditional SN Addition&Change Procedure", R3-196727, 2019.11.09
Futurewei, "Discussion on the procedure of SN initiated CPC", R2-2105012, 2021.05.11
Intel Corporation, "Regarding inter MN-SN signaling design for CPAC", R3-210945, 2021.01.15
LG Electronics Inc., "Transaction ID Issue in CPC", R2-2001536, 2020.02.14
Qualcomm Incorporated, "CPA and MN initiated Inter-SN CPC procedures: preparation, execution, and data forwarding", R3-210353, 2021.01.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52739A1 (en) 2023-02-16
WO2023013958A1 (ko) 2023-02-09
KR102445757B1 (ko) 2022-09-21
KR20230021629A (ko)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7112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70541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45758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45759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17301B1 (ko)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위치 기반으로 측정 결과 보고를 트리거하는 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17300B1 (ko)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이벤트와 관련된 다수의 조건이 충족되면 조건부 재설정을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60539B1 (ko)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복수의 측정 시간 설정으로 주변 셀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19369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28660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 유닛이 페이징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95322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중앙 유닛이 분할된 상향링크 무선자원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28661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페이징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2762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a sc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127601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부 셀그룹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27602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부 셀그룹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27606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부 셀그룹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27600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부 셀그룹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27593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부 셀그룹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27603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부 셀그룹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27597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부 셀그룹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27594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부 셀그룹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21425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rrc 연결을 재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27607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부 셀그룹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27604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부 셀그룹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27592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부 셀그룹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27605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부 셀그룹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