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514B1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514B1
KR102506514B1 KR1020210009180A KR20210009180A KR102506514B1 KR 102506514 B1 KR102506514 B1 KR 102506514B1 KR 1020210009180 A KR1020210009180 A KR 1020210009180A KR 20210009180 A KR20210009180 A KR 20210009180A KR 102506514 B1 KR102506514 B1 KR 102506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filter member
light source
air purifi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6349A (ko
Inventor
박형호
최지은
홍성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9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514B1/ko
Priority to PCT/KR2021/020363 priority patent/WO2022158752A1/ko
Publication of KR20220106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05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48Optical design with facets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9Multifaceted or polygonal mirrors, e.g. polygonal scanning mirrors; Fresnel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반사판,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판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판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선을 감싸게 형성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상기 필터부재의 내측면으로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필터 전체를 균일하게 재생하기 위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공기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 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공기 청정기에 의하면, 그 용량이 제한되어 실내공간 전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의 공기는 정화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청정기에 구비되는 팬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노력이 있어 왔으나, 팬의 송풍량이 커질수록 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커져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공기 청정기의 제한된 용량에 의하여, 사용자는 공기 청정기를 이동시켜 가면서,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정화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선행문헌에 의하면, 공기 청정기의 본체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 내부에, 팬과 필터와 같은 공기청정 부품이 설치된다. 그리고, 공기 흡입구는 공기청정기의 본체의 측방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는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공기청정기를 기준으로, 제한된 방향, 즉 측방 및 하방으로부터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므로, 흡입용량이 적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의 모서리부는 공기의 흡입을 방해하는 구조적인 저항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는 일방향, 즉 상방으로만 토출됨으로써, 공기 청정기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까지는 상기 정화된 공기를 유동시키지 못하여, 공기청정 기능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공기청정기에는 광을 조사하여 필터를 재생하기 위해 여러 개의 광원을 사용하므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과, 하나의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 필터 전체에 골고루 광이 공급되지 못하여 필터의 재생에 문제점이 존재한다.
KR10-2012-0071992
본 발명은 공기의 흡입량을 개선하기 위해 원통형 케이스와 원통형 필터를 사용하면서, 하나의 광원으로 필터의 전체를 효과적으로 재생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다양한 방향으로 토출되고, 먼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필터의 정화능력 및 수명을 개선하고,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하나의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공급된 광을 필터에서 상기 광원과 먼 영역으로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반사판,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판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판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선을 감싸게 형성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상기 필터부재의 내측면으로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판은,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상기 필터부재의 내측면에서 상기 광원에서 상대적으로 먼 영역으로 반사하는 다수의 반사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반사 세그먼트는 상기 반사판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각 반사 세그먼트의 경사각은 5도 내지 15도 일 수 있다.
상기 각 반사 세그먼트들 중 상기 반사판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된 어느하나의 반사 세그먼트의 경사각은 상기 반사판에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된 다른 하나의 반사 세그먼트의 경사각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각 반사 세그먼트들의 경사각은 상기 반사판의 중심에 가깝게 배치될 수록 클 수 있다.
상기 각 반사 세그먼트는 상기 반사판의 중심을 감싸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중심선을 축으로 하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은 상기 필터부재의 내주 보다 크고 상기 필터 부재의 외주 보다 작은 원형일 수 있다.
상기 광원은, UV 또는 UVC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은 중심 부분이 상기 광원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선이고, 상기 곡률 반경의 중심은 상기 반사판을 기준으로 상기 필터부재의 반대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필터부재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프레임은,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 프레임이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은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는, 상기 필터부재가 인입되는 인입부가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 보다 위에 위치되어,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필터부재 보다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상기 필터부재의 내측면으로 반사하는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선을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광원에서 광이 이동하는 경로를 표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반사판의 단면도,
도 7a는 반사판이 없는 비교 예의 광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광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7c는 도 7a 비교예와 본 발명의 필터의 높이에 따른 조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팬(260)의 회전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수직방향으로 정의하고, 수직방향과 수직인 면을 수평면, 수직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전후 방향, 수직방향 및 전후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정의한다. 특히, 도 3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이 수직방향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200) 및 송풍장치(200)에서 발생된 공기유동의 토출방향을 전환시키는 유동 조절장치(300)가 포함된다.
송풍장치(200)는, 청정공간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점에서, "공기청정모듈(200)"이라 명명할 수 있다.
공기 청정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01)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201)는 송풍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201)는 수직 방향의 축을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201)는 원통형일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20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201)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일 수 있다.
케이스(201)에는,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202)가 형성된다. 흡입부(202)는 케이스(2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흡입부(202)는 다수 개가 형성된다.
다수의 흡입부(202)는, 케이스(2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케이스(201)의 내부 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201)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흡입부(202)가 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와 같이, 모서리부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흡입부(20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케이스(201)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중심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케이스(201)에는, 걸림장치가 구비되는 분리부(201a)를 통하여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파트가 포함된다. 케이스(201)는, 마찬가지로 개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송풍장치(200)에는, 케이스(201)의 하측에 제공되며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430)가 더 포함된다. 베이스(430)는, 케이스(201)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케이스(201)와 베이스(43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베이스흡입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흡입부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베이스(430)의 상방으로 유동되어 케이스(210)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유동 조절장치(300)는 송풍장치(20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송풍장치(200)의 공기유로는, 유동 조절장치(300)의 공기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송풍장치(200)를 통과한 공기는 유동 조절장치(300)의 공기유로를 경유하며,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토출부(305)는 유동 조절장치(30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유동 조절장치(300)의 상부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유동 조절장치(30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유동 조절장치(300)가 생략되고, 송풍장치(200)를 통해 직접 공기가 토출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200)는, 필터부재(220)와, 제 1 팬모터(265)와, 제 1 팬(260)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재(220)는 흡입부(20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 중 이물을 필터링 한다. 필터부재(22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필터부재(220)의 외주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
필터부재(220)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필터부재(22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 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의 필터링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상세히, 필터부재(22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가지는 필터본체 및 필터본체의 상단부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필터공(221)이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필터부재(220)는 다수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부재(220)는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 필터와, 집진 필터의 내주에 위치되어 집진 필터를 통과한 공기의 냄새 입자를 포집하는 탈취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터부재(22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필터프레임(231, 232, 2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필터프레임(231, 232, 236)에는, 필터프레임(231, 232, 236)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231) 및 필터프레임(231, 232, 236)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232)과 하부 프레임(231)으로부터 상부 프레임(232)을 향하여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 프레임(236)이 포함된다.
하부 프레임(231)은 필터부재(220)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부 프레임(231)은 필터부재(2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부 프레임(232)은 필터부재(220)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부 프레임(232)의 중앙 부분이 개구되어 프레임개구부(미도시)를 형성한다. 프레임개구부는 필터부재(220)의 필터공(221)에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터부재(220)의 필터공(122)을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프레임개구부를 통하여 팬하우징(25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필터부재(220)는 제 1 팬(260)의 흡입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232)은 필터부재(220)의 상부를 커버하고, 프레임 개구부에 설치되고, 공기가 유동하는 다수의 공기공이 형성된 프레임 커버(23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프레임 커버(232a)는 상부 프레임(232)과 일체 또는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36)은 하부 프레임(231)과 상부 프레임(232)을 이격시켜서, 필터부재(220)가 위치되는 공간을 확보하고, 필터부재(220)가 프레임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게 한다. 지지 프레임(236)은 복수개가 상부 프레임(232)의 테두리를 따라 배열된다. 지지 프레임(236)들 사이에는 필터부재(220)가 인입하는 인입부(235)가 정의된다.
상부 프레임(232)의 상부에는 제1 팬(260)과 제1 팬모터(265)가 위치된다. 제1 팬(260)과 제1 팬모터(265)는 팬하우징(250)에 수용된다. 상부 프레임(232)의 상부는 팬하우징(250)을 지지할 수 있다. 팬하우징(250)의 하부에는, 팬하우징(25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팬유입부(256)가 형성된다.
그리고, 팬유입부(256)에는 그릴(미도시)이 제공되어, 필터부재(220)가 분리되었을 때, 사용자가 팬하우징(250)의 내부로 손가락 등을 집어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터프레임(231, 232, 236)에는, 센서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센서장치에는, 공기 중 먼지의 양을 감지하는 먼지센서(미도시) 및 공기 중 가스의 양을 감지하는 가스센서(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제 1 팬(260)은 팬유입부(256)의 상측에 놓여지며, 팬하우징(25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일례로, 제 1 팬(260)에는, 축 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반경방향 상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원심팬이 포함된다.
제 1 팬모터(265)는 제 1 팬(26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제 1 팬모터(265)는 제 1 팬(26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송풍장치(200)에는, 제 1 팬(2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제 1 팬(2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디퓨져(270)가 더 포함된다. 디퓨져(270)는 윈주를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가이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270)는 제 1 팬(2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 방향을 상부로 안내한다.
송풍장치(200)는, 디퓨져(270)의 상측에 결합되며 디퓨져(270)를 통과한 공기를 유동 조절장치(300)로 가이드 하는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유동 조절장치(300)는 송풍장치(200)의 상부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유동 조절장치(300)는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유동 조절장치(300)는 송풍장치(200) 또는 케이스(210)와 상대적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된다.
유동 조절장치(300)는 제 2 팬(330)을 포함한다. 제 2 팬(330)은, 디퓨져(270)를 통과한 공기가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제 2 팬(330)에는, 제 2 팬모터(335)가 결합될 수 있다.
제 2 팬(330)에는, 축류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제 2 팬(330)은 디퓨져(270)를 통과하여 축 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축 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 2 팬(330)을 통과한 공기는 제 2 팬(330)의 상측에 위치하는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 1 팬모터(265) 및 제 2 팬모터(335)는 공기 청정기(10)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팬(260) 및 제 2 팬(330)은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동 조절장치(300)는 유동 조절장치(300)의 좌우방향으로의 회전 및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회전가이드 장치(미도시)가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청정 모듈(200)은 광원(400)과 반사판(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400)은 필터부재(220)에 가시광선, 자외선, UVC 중 적어도 하나의 광을 공급한다. 광원(400)은 LED 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을 조사하여 필터를 재생하기 위해 여러 개의 광원(400)을 사용하게 되면,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과, 하나의 광원(400)을 사용하는 경우, 필터 전체에 골고루 광이 공급되지 못하여 필터의 재생이 어렵게 되기 때문에 광원(400) 1개와 반사판(100)을 설치한다.
광원(400)의 위치는 하나의 광원(400)으로 최고의 효율을 내기 위해, 필터부재(220)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선(C)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광원(400)은 필터부재(220)의 필터공(221)의 중심과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필터부재(220)는 중심선과 나란한 축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원통형상이므로, 광원(400)이 필터부재(220)의 중심과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면, 필터부재(220)의 좌우에 균등하게 광이 공급되게 된다.
이 때, 광원(400)은 필터부재(220)의 축과 나란한 방향을 향해 광을 방출한다. 광원(400)에서 방출된 광은 하방을 중심으로 좌우 90도로 퍼지게 된다.
광원(400)은 필터부재(220)의 상단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광원(400)이 필터부재(220)의 상단 보다 낮게 위치되는 경우, 필터부재(220)의 상단에 광이 공급되지 않아서 필터 재생이 어렵게 된다.
필터부재(220)의 상부에 배치된 광원(400)은 필터부재(220)의 중심을 항해 하방으로 광을 방출한다. 광원(400)은 필터부재(220)의 상단에서 필터부재(220)의 반경의 1/2 보다 작은 거리로 위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400)이 너무 높이 위치되면, 광원(400)에서 방출된 광이 필터부재(220)의 위의 공간으로 낭비되기 때문이다.
물론, 광원(400)은 필터부재(220)의 상단 보다 낮게 위치될 수도 있고, 필터부재(220)의 상단과 동일 높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광원(400)은 여러 구성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광원(400)은 상부 프레임(232)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400)은 상부 프레임(232)의 프레임 커버(232a)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부 프레임(232)에는 광원(400)을 수용하는 광원 수용부(232b)가 형성된다. 광원 수용부(232b)는 상부 프레임(232)의 하면이 상부로 함몰되어 형성된 홈일 수 있다. 광원 수용부(232b)를 통해, 상부 프레임(232)과 필터부재(220)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지 않고, 광원(400)을 필터부재(220) 보다 높게 위치시킬 수 있다.
반사판(100)은 광원(400)에서 방출된 광을 필터부재(220)에서 광이 상대적으로 덜 공급되는 영역으로 안내한다. 반사판(100)은 광원(400)에서 방출된 광의 대부분을 필터부재(220)의 하방으로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반사판(100)은 광원(400)에서 방출된 광을 필터부재(220)의 내측면으로 반사할 수 있다.
반사판(100)은 광원(400)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필터부재(220)는 광원(400)과 반사판(100) 사이에 위치되고, 광원(400)과 반사판(100)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선(C)을 감싸게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반사판(100)은 원판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판(100)은 필터부재(220)의 내주 보다 크고 필터 부재의 외주 보다 작은 원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사판(100)의 직경은 필터부재(220)의 내주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반사판(100)은 광원(400)에서 조사된 광을 필터부재(220)의 내측면에서 광원(400)에서 상대적으로 먼 영역으로 반사하는 다수의 반사 세그먼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반사 세그먼트(100)는 반사판(100)의 중심을 감싸는 링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반사 세그먼트(100)는 반사판(10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일 수 있다.
반사 세그먼트(100)는 반사판(100)의 중심선(C)과 일단이 접하는 반사 세그먼트(100)를 제1 반사 세그먼트(110a)로 정의하고, 반사판(100)의 엣지와 일단이 접하는 반사 세그먼트(100)를 제 n 반사 세그먼트(100n)로 정의한다.
제1 반사 세그먼트(110a)는 내주가 반사판(100)의 중심과 접하고, 외주가 제2 반사 세그먼트(110b)의 내주와 접할 수 있다. 제n-1 반사 세그먼트(110n-1)의 외주는 제n 반사 세그먼트(110n)의 내주와 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반사 세그먼트(110a)는 내주가 반사판(100)의 중심과 접하고, 외주가 제2 반사 세그먼트(110b)의 내주와 인접할 수 있다. 즉, 제n-1 반사 세그먼트(110n-1)의 외주는 제n 반사 세그먼트(110n)의 내주와 인접할 수 있다. 즉, 각 반사 세그먼트(100)들은 서로 접하거나 이격될 수 있다.
각 반사 세그먼트(100)의 반경 방향 폭(W)은 반사판(100)의 반경에 비해 매우 작을 수 있다. 각 반사 세그먼트(100)의 반경 방향 폭은 반사판(100)의 반경에 대비 1% 내지 5%일 수 있다. 반사판(100)이 복수의 반사 세그먼트(100)를 포함하면, 반사판(100)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반사 세그먼트(100)의 폭(W)은 반사 세그먼트(100)의 높이(H) 보다 클 수 있다. 반사 세그먼트(100)의 폭(W)은 반사 세그먼트(100)의 높이(H) 대비 7 배 내지 10배 일 수 있다. 각 반사 세그먼트(100)의 폭(W)은 1mm 내지 3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반사 세그먼트(100)의 높이(H)는 0.1mm 내지 0.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각 반사 세그먼트(100)는 반사판(100)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각 반사 세그먼트(100)들 중 반사판(100)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된 어느 하나의 반사 세그먼트(100)의 경사각은 반사판(100)에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된 다른 하나의 반사 세그먼트(100)의 경사각 보다 클 수 있다. 또는, 각 반사 세그먼트(100)들의 경사각은 반사판(100)의 중심에 가깝게 배치될 수록 클 수 있다. 각 반사 세그먼트(100)의 경사각은 제한이 없지만, 각 반사 세그먼트(100)의 경사각은 5도 내지 15도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반사 세그먼트(100)의 경사각은 수직방향(필터부재(220)의 축방향)과 수직한 수평방향에 대한 반사 세그먼튼 상면의 경사각을 의미한다. 또한, 각 반사 세그먼트(100)의 상면은 직선 또는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반사 세그먼트(100)의 상면은 상부로 볼록한 곡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각 반사 세그먼트(100)의 경사각을 반사판(100)에서의 위치에 따라 달리 하여서, 상대적으로 반사판(100)의 중심으로 입사된 광은 필터부재(220)의 상부로 반사하고, 상대적으로 반사판(100)의 테두리로 입사된 광은 필터부재(220)의 하부도 반사된다. 따라서, 광원(400)에서 방출된 광은 필터부재(220)의 내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균등하게 공급될 수 있다.
각 반사 세그먼트(100)의 상면에는 반사물질인 크롬 또는 알루미늄이 코팅될 수 있다.
반사판(100)은 필터부재(220)의 하단 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반사판(100)이 필터부재(220)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되는 경우, 필터부재(220)의 하단에 광이 공급되지 않아서 필터 재생이 어렵게 된다. 반사판(100)은 필터부재(220)의 하단에서 필터부재(220)의 반경의 1/2 보다 작은 거리로 아래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판(100)이 너무 낮게 위치되면, 반사판(100)에서 방출된 광이 필터부재(220)의 아래의 공간으로 낭비되기 때문이다.
물론, 반사판(100)은 필터부재(220)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도 있고, 필터부재(220)의 하단과 동일 높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반사판(100)은 여러 구성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반사판(100)은 하부 프레임(231)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프레임(231)에는 반사판(100)을 수용하는 반사판(100) 수용부(231b)가 형성된다. 반사판(100) 수용부(231b)는 하부 프레임(231)의 상면이 하부로 함몰되어 형성된 홈일 수 있다. 반사판(100) 수용부(231b)를 통해, 하부 프레임(231)과 필터부재(220)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지 않고, 반사판(100)을 필터부재(220) 보다 낮게 위치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반사판(100)은 하부 프레임(231)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판(100)은 하부 프레임(231)의 상면에 반사물질이 코팅되거나, 반사 세그먼트(100)가 음각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 프레임(231)의 상단은 필터부재(220)의 하단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7a 를 참고하면, 반사판(100)이 없는 비교예의 경우, 상부의 광원(400)에서 방출된 광은 대부분 하부 프레임(231)에 흡수되고, 광원(400)에서 방출된 광의 대부분은 필터부재(220)의 상단으로 공급되게 된다. 필터부재(220)의 하단에는 광이 적게 공급되어서 필터의 재생이 어렵게 된다.
도 7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경우, 상부의 광원(400)에서 방출된 광은 대부분 하부 프레임(231)에 흡수되지 않고, 반사판(100)의 각 반사 세그먼트(100)들에 의해 반사되어서, 필터부재(220)의 상단과 하단에 균등하게 광을 공급한다. 따라서, 필터부재(220)의 전체가 골고루 재생되게 된다.
도 7c를 참고하면, 반사판(100)이 없는 경우 보다 반사판(100)이 있는 본 발명에서 필터부재(220)의 내측면의 하부의 조도가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10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100)은 반사 세그먼트(100)들이 생략되고, 반사판(100)의 상면이 상부로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반사판(100)은 중심 부분이 광원(400)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반사판(100)의 상면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선이고, 곡률 반경의 중심은 반사판(100)을 기준으로 필터부재(22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판(100) 상면의 곡률 반경의 중심은 반사판(100)의 중심선(C) 상에 위치되고, 반사판(100) 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반사판(100)의 상면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면, 반사판(100)의 엣지로 공급되는 광은 필터부재(220)의 하부로 반사되고, 반사판(100)의 중심으로 공급되는 광은 필터부재(220)의 상부로 반사되어서, 필터부재(220) 전체에 균등한 광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반사판;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판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판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선을 감싸게 형성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상기 필터부재의 내측면으로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중심선을 축으로 하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필터부재의 내주 보다 크고 상기 필터 부재의 외주 보다 작은 원형인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상기 필터부재의 내측면에서 상기 광원에서 상대적으로 먼 영역으로 반사하는 다수의 반사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반사 세그먼트는,
    상기 반사판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각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반사 세그먼트의 경사각은 5도 내지 15도 인 공기청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반사 세그먼트들 중 상기 반사판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된 어느하나의 반사 세그먼트의 경사각은 상기 반사판에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된 다른 하나의 반사 세그먼트의 경사각 보다 큰 공기청정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반사 세그먼트들의 경사각은 상기 반사판의 중심에 가깝게 배치될 수록 큰 공기청정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반사 세그먼트는,
    상기 반사판의 중심을 감싸는 링 형상인 공기청정기.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UV 또는 UVC 광을 방출하는 공기청정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중심 부분이 상기 광원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인 공기청정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선이고, 상기 곡률 반경의 중심은 상기 반사판을 기준으로 상기 필터부재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공기청정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프레임은,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상부 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 프레임이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위치되는 공기청정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위치되는 공기청정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는, 상기 필터부재가 인입되는 인입부가 정의되는 공기청정기.
  18.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 보다 위에 위치되어, 광을 조사하는 광원; 및
    상기 필터부재 보다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상기 필터부재의 내측면으로 반사하는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재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필터부재의 내주 보다 크고 상기 필터 부재의 외주 보다 작은 원형인 공기청정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면에 광을 상기 필터부재의 내측면의 하부로 반사하는 다수의 반사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반사 세그먼트는,
    상기 반사판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각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KR1020210009180A 2021-01-22 2021-01-22 공기 청정기 KR102506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180A KR102506514B1 (ko) 2021-01-22 2021-01-22 공기 청정기
PCT/KR2021/020363 WO2022158752A1 (ko) 2021-01-22 2021-12-31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180A KR102506514B1 (ko) 2021-01-22 2021-01-22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349A KR20220106349A (ko) 2022-07-29
KR102506514B1 true KR102506514B1 (ko) 2023-03-03

Family

ID=82549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180A KR102506514B1 (ko) 2021-01-22 2021-01-22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06514B1 (ko)
WO (1) WO202215875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8969B1 (ja) * 2016-01-07 2017-08-30 三菱電機株式会社 紫外線殺菌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102132859B1 (ko) * 2019-01-31 2020-07-13 정현종 필터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8097B2 (en) * 2001-05-04 2004-01-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Non-planar fresnel reflector arrays, mold structures and mold patterns for eliminating negative draft during molding
KR100977298B1 (ko) * 2010-01-18 2010-08-23 김주수 태양광을 이용한 친환경의 다목적 채광 및 공조장치
KR101225982B1 (ko) 2010-12-23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00044333A (ko) * 2018-10-19 2020-04-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정화 장치
KR20190095239A (ko) * 2019-08-07 2019-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장치 및 송풍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8969B1 (ja) * 2016-01-07 2017-08-30 三菱電機株式会社 紫外線殺菌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102132859B1 (ko) * 2019-01-31 2020-07-13 정현종 필터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349A (ko) 2022-07-29
WO2022158752A1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11729B2 (ja) 空気清浄機
KR20230128256A (ko) 공기 청정기
CN107567348B (zh) 空气净化器
KR102327971B1 (ko) 공기정화 기능이 구비된 조명장치
KR20180000121A (ko) 공기 청정기
KR101994906B1 (ko) 블루투스 스피커 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170140578A (ko) 공기 청정기
KR20160065389A (ko) 공기 정화기
KR101809410B1 (ko) 공기 청정기
KR101938647B1 (ko) 공기 청정기
KR102506514B1 (ko) 공기 청정기
KR20170140767A (ko) 공기 청정기
KR101975054B1 (ko) 공기 청정기
KR20190058431A (ko) 공기 청정기
KR20190049675A (ko) 공기 청정기
KR101955877B1 (ko) 공기 청정기
KR20190049674A (ko) 공기 청정기
KR102446867B1 (ko) 공기 청정기
KR20160065387A (ko) 공기정화기
KR20220110150A (ko) 공기 청정기
US11867198B2 (en) Blower
KR101809408B1 (ko) 공기 청정기
KR101924470B1 (ko) 공기 청정기
KR101809407B1 (ko) 공기 청정기
JP7227643B2 (ja) 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