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866B1 - A Fastening Tool for Pipe Connecting Nut - Google Patents

A Fastening Tool for Pipe Connecting N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866B1
KR102505866B1 KR1020180031133A KR20180031133A KR102505866B1 KR 102505866 B1 KR102505866 B1 KR 102505866B1 KR 1020180031133 A KR1020180031133 A KR 1020180031133A KR 20180031133 A KR20180031133 A KR 20180031133A KR 102505866 B1 KR102505866 B1 KR 102505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nut
accommodating
extension
exit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1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9145A (en
Inventor
이진석
Original Assignee
이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석 filed Critical 이진석
Priority to KR1020180031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866B1/en
Publication of KR20190109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1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8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50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 B25B13/500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 B25B13/5016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481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in areas having limited access

Abstract

본 발명은 직경보다 높이가 짧은 중공의 기둥 형상의 마운팅부(10), 상기 마운팅부(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배관수용연장부(20) 및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핸들부(30)를 포함하는 배관용 너트의 조임 공구를 제공한다.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는: 상기 너트를 관통하는 배관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마운팅부(10)의 상부벽(15)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본체(21); 상기 상부벽(15)의 배관 수용홈(17)과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본체(21)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하 관통되는 배관 수용 공간(23); 및 상기 마운팅부(10)의 측벽(11)의 배관 입출 슬릿(16)과 동일한 원주 방향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21)의 외주면(211) 외부의 공간과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을 연결하는 통로 형태로 상기 본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배관 입출 슬릿(22);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llow pillar-shaped mounting portion 10 having a height shorter than the diameter, a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portion 20 extending upward from the mounting portion 10, and a later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portion 20. It provides a tightening tool for a pipe nut including a handle portion 30 extending to.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portion 20 includes: a main body 21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wall 15 of the mounting portion 10 in parallel with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pipe penetrating the nut; a pipe accommodating space 23 having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pipe accommodating groove 17 of the upper wall 15 and penetrating vertical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 And it is provided in the sam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the pipe entry/exit slit 16 of the side wall 11 of the mounting part 10, and conne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11 of the main body 21 to the pipe receiving space 23. It includes; a pipe entry and exit slit 22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 in the form of a passage.

Description

배관 고정 너트용 조임 공구{A Fastening Tool for Pipe Connecting Nut}A Fastening Tool for Pipe Connecting Nut}

본 발명은 너트 조임 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의 실내기, 실외기 등의 냉매 배관을 실내기나 실외기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너트를 협소한 공간에서도 매우 편리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는 공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t tightening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ol that can very conveniently tighten or loosen a nut used when fixing a refrigerant pipe such as an indoor unit or a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o an indoor unit or an outdoor unit, even in a narrow space. will be.

에어컨의 실내기와 실외기는 냉매 배관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냉매 배관(5)은 상기 배관이 관통된 너트(6)에 의해 그 길이 방향으로 가압되며 실내기와 실외기의 배관(7)에 연결되어 냉매의 누설이 방지된다.The indoor and outdoor units of the air condition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refrigerant pipes. 1 and 2, the refrigerant pipe 5 is pressurized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by a nut 6 penetrating the pipe, and is connected to the pipe 7 of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to prevent leakage of the refrigerant. .

상기 너트(6)는 배관(5)이 관통된 상태로 준비되므로, 상기 너트(6)를 조이기 위해서는 공구가 배관(5)의 측방에서 끼워진 후 너트(6)를 맞물어야 한다. 에어컨 등의 냉매 배관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공구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Since the nut 6 is prepared in a state in which the pipe 5 is penetrated, in order to tighten the nut 6, a tool must be inserted from the side of the pipe 5 and then engage the nut 6. A tool used for refrigerant pipe work such as an air conditioner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이와 같은 공구는 너트와 맞물리는 뭉치 부분의 측면에 손잡이가 직접 연결되고, 배관이 뭉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홈이 뭉치 측면에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뭉치 측면의 홈을 통해 배관을 수용하며 너트를 뭉치에 맞물릴 수 있었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를 돌려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이 가능했다.In this tool, the handl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bundle part engaged with the nut, and a groove through which the pipe can enter the bundl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undle. Accordingly, the operator could accommodate the pipe through the groove on the side of the bundle and engage the nut with the bundle, and in this state, it was possible to tighten or loosen the nut by turning the handle.

그러나, 에어컨의 실내기나 실외기에 설치된 배관(7)은 실내기나 실외기 본체에 매우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배관(7)에 냉매 배관(5)을 연결하는 작업은 실내기나 실외기가 제 위치에 설치된 이후에 이루어져야 하며, 실내기나 실외기가 주로 건물 외벽 구석이나 건물 실내 구석에 배치되기 때문에, 냉매 배관(5)을 배관(7)에 연결하는 작업은 매우 협소한 공간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However, the pipe 7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or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placed very close to the indoor unit or outdoor unit body, and the work of connecting the refrigerant pipe 5 to the pipe 7 is performed after the indoor unit or outdoor unit is installed in place. Since the indoor unit or the outdoor unit is mainly disposed at a corner of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or an interior corner of a building, the work of connecting the refrigerant pipe 5 to the pipe 7 has to be performed in a very narrow space.

따라서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배관 너트 조임 공구를 실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매우 많았다. 그러면 작업자는 어쩔 수 없이 몽키 스패너나 플라이어 등의 범용 공구를 사용하여, 손이 닿지 않는 좁은 공간에 위치하는 배관용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불편하고 어려운 작업을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Therefore,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a conventional pipe nut tightening tool such as Patent Document 1 cannot be used in the actual field. Then, the worker had no choice but to use a general-purpose tool such as a monkey wrench or pliers to perform an inconvenient and difficult task of tightening or loosening a pipe nut located in a narrow space out of reach.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너트와 체결되는 뭉치 부분에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대를 체결하고, 다시 연결대의 끝부분에 렌치를 연결하는 배관 너트 조임 공구를 발명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conventionally,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a pipe nut tightening tool for fastening a connecting ro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to a bundle portion fastened with a nut and connecting a wrench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again Invented.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너트가 뭉치와 체결되는 부분 외에는 조임 공구가 지지될 만한 어떠한 구조도 없으면서도, 렌치가 뭉치로부터 매우 먼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손은 비좁은 공간을 통해 렌치를 파지할 수 있을지언정, 뭉치와 너트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However, in this structure, there is no structure to support the tightening tool except for the part where the nut is fastened with the bundle, and since the wrench is placed very far from the bundle, the operator's hand cannot hold the wrench through a narrow space. Even if it could be done, it was not easy to keep the bundle and nut fastened.

공개특허공보 제2009-114055호Publication No. 2009-114055 등록특허공보 제1633603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63360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협소하고 작업자의 손이 잘 닿지 않는 좁은 작업 환경에서도 배관용 너트를 매우 간편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는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l that can very easily tighten or loosen a pipe nut even in a narrow working environment where a worker's hand is difficult to reach.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직경보다 높이가 짧은 중공의 기둥 형상의 마운팅부(10), 상기 마운팅부(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배관수용연장부(20) 및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핸들부(30)를 포함하는 배관용 너트의 조임 공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llow columnar mounting portion 10 having a height shorter than the diameter, a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portion 20 extending upward from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Provided is a tightening tool for a pipe nut including a handle portion 30 extending laterally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portion 20.

상기 마운팅부(10)는: 하방으로 개방된 너트 입출구(14)와, 상기 너트 입출구(14)의 상부에 마련된 너트 수용공간(13)의 반경 방향 경계를 규정하는 내주면(112)을 구비하는 측벽(11); 상기 측벽(11)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의 상부 경계를 규정함으로써, 상기 너트 입출구(14)를 통해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에 삽입되는 너트의 삽입 깊이를 규제하는 상부벽(15); 상기 측벽(11)의 내주면(112)에 마련되어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에 수용된 너트와 맞물리는 치형부(12); 상기 상부벽(15)에 마련되고, 상기 측벽(11)의 내주면(115)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가지며, 너트를 관통한 배관이 수용되는 배관 수용홈(17); 및 상기 측벽(11)과 상부벽(15)의 원주방향 일부에 마련되고, 상기 너트를 관통한 배관이 상기 배관 수용홈(17)에 측방으로 인입되는 통로가 되는 배관 입출 슬릿(16);을 포함한다.The mounting part 10 has: a side wall having a nut inlet/outlet 14 opened downward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2 defining a radial boundary of a nut accommodation space 13 provided above the nut inlet/outlet 14 (11);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11 and regulates the insertion depth of the nut inserted into the nut accommodation space 13 through the nut inlet and outlet 14 by defining the upper boundary of the nut accommodation space 13. top wall 15; A tooth portion 12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2 of the side wall 11 and engaged with a nut accommodated in the nut receiving space 13; a pipe receiving groove 17 provided on the upper wall 15, having an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5 of the side wall 11, and accommodating a pipe passing through the nut; and a pipe entrance/exit slit 16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side wall 11 and the upper wall 15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serving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pipe passing through the nut is drawn into the pipe receiving groove 17 in a sideward direction. include

따라서, 배관이 관통된 너트에 마운팅부(10)를 쉽게 체결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fasten the mounting part 10 to the nut through which the pipe passes.

그리고 상기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는: 상기 너트를 관통하는 배관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마운팅부(10)의 상부벽(15)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본체(21); 상기 상부벽(15)의 배관 수용홈(17)과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본체(21)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하 관통되는 배관 수용 공간(23); 및 상기 마운팅부(10)의 측벽(11)의 배관 입출 슬릿(16)과 동일한 원주 방향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21)의 외주면(211) 외부의 공간과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을 연결하는 통로 형태로 상기 본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배관 입출 슬릿(22);을 포함한다.And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portion 20 includes: a main body 21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wall 15 of the mounting portion 10 so as to be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ipe penetrating the nut; a pipe accommodating space 23 having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pipe accommodating groove 17 of the upper wall 15 and penetrating vertical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 And it is provided in the sam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the pipe entry/exit slit 16 of the side wall 11 of the mounting part 10, and conne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11 of the main body 21 to the pipe receiving space 23. It includes; a pipe entry and exit slit 22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 in the form of a passage.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는, 배관(5)의 길이방향과 대응하여 배관을 그 길이방향으로 상당 구간 수용하며 임시 체결하기 때문에, 마운팅부(10)와 핸들부(30)가 상당히 떨어져 위치하고 있어도, 작업자가 핸들부(30)를 단단히 파지하지 않더라도 마운팅부(10)가 너트(6)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한다.Since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20 correspond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5 and accommodates a considerable section of the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emporarily fastens, the mounting part 10 and the handle part 30 are located considerably apart.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grip the handle part 30 firm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unting part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nut 6 in advance,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operation.

특히 배관(5)과 배관수용연장부(20)의 임시 체결 작업은, 종래 특허문헌 1의 공구와 마찬가지로, 단지 배관(5)의 측면에서 배관 입출 슬릿(22)을 통해 배관(5)을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배관 수용 공간(23)에 끼워 넣는 동작만으로 완료된다. 즉 종래의 공구와 대비하여 작업자가 별도의 고정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배관(5)과 조임 공구의 임시 체결이 가능하고, 그러한 체결 상태를 신뢰도 높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temporary fastening work between the pipe 5 and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20 is performed by inserting the pipe 5 through the pipe entry/exit slit 22 on the side of the pipe 5, similarly to the tool of the prior art Patent Document 1.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pipe into the pipe accommodating space 23 of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part 20 is completed. That is,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tool, it is possible to temporarily fasten the pipe 5 and the tightening tool even without a separate fixing operation by the operator,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such fastening state with high reliability.

상기 핸들부(30)는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외주면에서 측방으로 외향 연장되므로, 큰 힘을 주지 않더라도 너트를 원활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다.Since the handle part 30 extends outward sideway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receiving extension part 20, the nut can be smoothly tightened or loosened without applying great force.

이와 같은 조임 공구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Such a tightening tool is used as follows.

먼저 작업자가, 상기 마운팅부(10)의 배관 입출 슬릿(16)과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배관 입출 슬릿(22)을 통해, 상기 너트(6)를 관통하는 배관(5)을, 상기 마운팅부(10)의 배관 수용홈(17)과 배관수용연장부(20)의 배관 수용 공간(23)에 삽입 수용하는 임시 체결 작업을 한다. First, the operator inserts the pipe 5 passing through the nut 6 through the pipe entry/exit slit 16 of the mounting part 10 and the pipe entry/exit slit 22 of the pipe receiving extension 20, A temporary fasten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insert and accommodate the pipe receiving groove 17 of the mounting part 10 and the pipe receiving space 23 of the pipe receiving extension part 20.

이러한 작업은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공구를 사용하는 과정과 전혀 다르지 않지만, 본 발명의 조임 공구는 배관과 상당한 길이 구간만큼 임시 체결되는 점에서, 그 효과의 차이는 현저하다 할 것이다.This operation is not at all different from the process of using a conventional tool such as Patent Document 1, but the tighten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emporarily fastened to a pipe and a considerable length section, and the difference in effect will be remarkable.

다음으로, 상기 조임 공구를 배관(5)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관이 관통된 너트(6)를 상기 마운팅부(10)의 너트 입출구(14)를 통해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에 수용하며 치형부(12)에 맞물리게 한다. Next, by sliding the tightening too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5, the nut 6 through which the pipe passes is passed through the nut inlet/outlet 14 of the mounting part 10 to the nut receiving space 13. It is accommodated in and engaged with the tooth portion 12.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임 공구를 배관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동안 그 슬라이드 동작이 배관(5)과 배관 수용 공간(23)의 내주면에 의해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5)과 상기 너트(6)는 이미 중심이 정렬되어 있고, 상기 조임 공구의 마운팅부(10)와 배관수용연장부(20)도 그 중심이 정렬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비좁은 작업 공간에서도, 단순히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관의 안내를 받으며 조임 공구를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 마운팅부(10)와 너트(6)를 매우 편리하게 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sliding the tightening tool into the pipe, the sliding action is guided by the pipe 5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ccommodating space 23 . Also, the center of the pipe 5 and the nut 6 are already aligned, and the center of the mounting portion 10 of the tightening tool and the extension portion 20 for receiving the pipe are also aligned. Therefore, even in a cramped working space, the operator can very conveniently fasten the mounting part 10 and the nut 6 simply by sliding the tightening too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being guided by the pip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ipe. can

아울러 상기 핸들부(30)를 돌러 상기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동안에도, 상기 너트를 관통하는 배관(5)이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의 내주면(24)에 의해 위치 규제되며 상대적인 회전이 안내되므로, 상기 조임 공구의 마운팅부(10)와 배관수용연장부(20)가 각각 상기 너트와 배관에 안정적으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단순히 핸들부(30)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nut is tightened or loosened by turning the handle part 30, the position of the pipe 5 penetrating the nut is regulat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4 of the pipe receiving space 23 and the relative rotation is guided. In a state where the mounting part 10 of the tightening tool and the extension part 20 for receiving the pipe are stably engaged with the nut and the pipe, respectively, the operator simply rotates the handle part 30 to make the work convenient. can do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에서 상기 핸들부(30)가 외향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배관 입출 슬릿(22)의 형성 방향이,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하면, 배관(5)과 배관수용연장부(20)의 임시 체결 작업 역시 매우 편리할 수 있다.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part 30 extends outward from the pipe-accommodating extension 20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pe-receiving extension 20 forms the pipe entry/exit slit 22 are the pipe-accommodating extension 20 When facing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of, the temporary fastening work of the pipe 5 and the pipe receiving extension 20 can also be very convenient.

그리고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에서 상기 핸들부(30)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의 상단부에는 경사면(26)이 더 마련되면, 상기 경사면(26) 쪽의 배관 입출 슬릿(22)을 통해 배관(5)을 삽입하기 시작할 수 있어, 임시 체결 작업은 더더욱 편리해진다.In addition, when an inclined surface 26 is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ipe receiving extension 2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part 30 extends, the pipe entry/exit slit 22 on the inclined surface 26 side It is possible to start inserting the pipe 5 through the pipe 5, making the temporary fastening work even more convenient.

아울러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은 원통 형태의 내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의 폭(W)은, 상기 배관의 외경과 대응하고,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의 직경(D)보다 더 작도록 하면, 배관(5)과 배관수용연장부(20)의 임시 체결작업을 매우 간단하게 하면서도, 배관 수용 공간(23)에 배관(5)이 여유 있게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pe accommodating space 23 has a cylindrical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width W of the pipe entry/exit slit 22 corresponds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and the diameter D of the pipe accommodating space 23 ), it is possible to allow the pipe 5 to be comfortably accommodated in the pipe accommodating space 23 while making the temporary fastening work between the pipe 5 and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20 very simple.

일반적으로 냉매 배관은 완전한 직선의 형태라기보다, 약간씩 휘어져 있는 형태이므로, 작업자가 배관 입출 슬릿(22)을 통해 배관(5)을 통과시킬 때에는, 배관 입출 슬릿(22)을 배관이 휘어져 있는 방향과 정렬하며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단 배관 수용 공간(23)에 삽입된 뒤에는, 약간 휘어진 배관이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 내에서 자연스럽게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오히려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과는 간섭되어 잘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일단 냉매 배관을 임시 체결한 뒤(임시 체결 뒤에는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을 하게 됨)에는, 조임 공구가 배관으로부터 우연히 빠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고, 작업이 완료된 뒤에는, 작업자가 배관 입출 슬릿(22)을 배관이 휘어져 있는 방향과 정렬하며 배관을 배관수용연장부(20)로부터 탈거하는 것이 가능하다.In general, since refrigerant pipes are slightly curved rather than perfectly straight, when the operator passes the pipe 5 through the pipe entry/exit slit 22, the pipe entry/exit slit 22 is b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pe is bent. It is possible to insert while aligning with, and once inserted into the pipe receiving space 23, the slightly bent pipe can naturally relatively rotate in the pipe receiving space 23, but rather the pipe entry and exit slit 22 It interferes and does not fall well. Therefore, once the refrigerant pipe is temporarily fastened (the nut is tightened or loosened after the temporary fastening),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ccidental detachment of the tightening tool from the pipe, making it very easy to tighten or loosen the nut. After this is completed, it is possible for the operator to align the pipe entry/exit slit 22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pe is bent and remove the pipe from the pipe receiving extension 20 .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협소하고 작업자의 손이 잘 닿지 않는 좁은 작업 환경에서도 배관용 너트를 매우 간편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ipe nut can be tightened or loosened very easily even in a narrow working environment where a worker is narrow and hard to reach.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배관과 배관 결속용 너트가 피 결속 배관에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너트를 통해 배관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너트 조임 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공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공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공구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공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공구를 배관에 임시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배관에 임시 체결된 공구의 마운팅부를 너트와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과 달리 도 3의 공구를 배관에 임시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 pipe and a nut for pipe binding are connected to a pipe to be bound.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ipes are connected through the nut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nut tightening tool for pi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tool of Figure 3;
5 is a plan view of the tool of FIG. 3;
Figure 6 is a bottom view of the tool of Figure 3;
Figure 7 is a front view of the tool of Figure 3;
8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temporarily fastening the tool of FIG. 3 to a pipe.
9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fastening a mounting part of a tool temporarily fastened to a pipe with a nut.
10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temporarily fastening the tool of FIG. 3 to a pipe, unlike FIG. 8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ut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completely cove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본 발명의 배관 체결용 너트의 조임 공구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부(10)와 배관수용연장부(20)와 핸들부(30)를 포함한다.The tightening tool of the nut for fastening pip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portion 10, a pipe receiving extension portion 20, and a handle portion 30, as shown.

마운팅부(10)는 너트(6)와 체결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마운팅부(10)는 직경보다 높이가 짧은 납작한 원기둥 형태의 외형을 가지며, 하방으로 개방된 너트 입출구(14)를 구비한다. 상기 마운팅부(10)는 측벽(11)과 상부벽(15)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11)과 상부벽(15)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 공간은 상기 너트 입출구(14)와 연결되며 통하는 공간인 너트 수용공간(13)을 구성한다.The mounting part 10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with the nut 6 . The mounting part 10 has an external shape of a flat cylinder having a height shorter than a diameter, and has a nut inlet and outlet 14 opened downward. The mounting part 10 has a side wall 11 and an upper wall 15, and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side wall 11 and the upper wall 15 is connected to and communicates with the nut inlet and outlet 14 It constitutes the phosphorus nut accommodating space 13.

상기 측벽(11)의 외주면(111)은, 후술할 배관 입출 슬릿(16) 부분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측벽과 같은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11)의 외주면은 공구를 회전시킬 때 마운팅부(10)의 외주면(111)이 공구 주변에 있을 수도 있는 다른 부품 등과 걸리지 않도록 매끄러운 곡면의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마운팅부의 외주면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11 of the side wall 11 has the same shape as the side wall of a cylinder as a whole, except for a portion of a pipe entry/exit slit 16 to be described lat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wall 11 may have a smooth curved surface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11 of the mounting part 10 does not get caught with other parts that may be around the tool when the tool is rotated. However, it is apparent that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측벽(11)의 내주면(112)은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의 반경방향 경계를 규정한다. 상기 내주면(112)에는, 가령 너트(6)의 6각형 측면과 맞물릴 수 있는 치형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치형부(12)는 6각형 형태와 대응하는 모서리 부분이 12개 방사상으로 등간격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물론 후술할 배관 입출 슬릿(16)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치형부(12)가 삭제되어 있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2 of the side wall 11 defines a radial boundary of the nut receiving space 13 .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2, for example, teeth 12 that can engage with the hexagonal side surface of the nut 6 are formed. The toothed portion 12 may have a hexagonal shape and 12 corresponding corner portions radial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f course, the tooth portion 12 is omitted from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ipe entrance/exit slit 16 to be described later.

6각 너트와 대응하여 6개의 모서리를 가지는 치형부는 너트와 치형부를 끼워 맞추기 위해 최대 60도 상호 회전시켜야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12개의 모서리를 가지는 치형부를 적용하면 최대 30도 상호 회전시키는 것으로 너트와 치형부를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치형부의 개수는 반드시 12개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20도 간격으로 18개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등,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치형부의 모서리의 개수는 너트(6)와 마운팅부(10)의 강도, 너트를 조이기 위해 가해지는 토크, 작업의 편의성 등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Corresponding to the hexagonal nut, the teeth having 6 corners must mutually rotate up to 60 degrees in order to fit the nut and the teeth, but if the teeth having 12 corners are appli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mutually rotated up to 30 degrees, and the nut and The teeth can be tightened. The number of teeth is not necessarily 12,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providing 18 radially at intervals of 20 degrees. The number of corners of the teeth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the strength of the nut 6 and the mounting portion 10, the torque applied to tighten the nut, and the convenience of work.

상기 마운팅부(10)의 상부벽(15)은 상기 측벽(11)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의 상단부를 규정한다. 즉 상기 너트 입출구(14)를 통해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에 삽입되는 너트(6)의 삽입 깊이는 상기 상부벽(15)의 저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The upper wall 15 of the mounting part 1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11 and defines the upper end of the nut accommodating space 13 . That is, the insertion depth of the nut 6 inserted into the nut accommodating space 13 through the nut inlet/outlet 14 may be defin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wall 15 .

상기 마운팅부(10)의 상부벽(15)에는, 너트(6)를 관통하는 냉매 배관(5)이 수용되는 배관 수용홈(17)이 마련된다. 상기 배관 수용홈(17)의 단면은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의 단면 내부에 포함되고, 상기 배관 수용홈(17)의 단면적은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의 단면적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배관 수용홈(17)의 단면은 거기에 수용될 배관의 단면보다는 약간 크다. 이에 따라 상기 너트(6)는 상기 배관 수용홈(17)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게 되는 반면, 상기 배관(5)은 상기 배관 수용홈(17)을 관통할 수 있다.The upper wall 15 of the mounting part 10 is provided with a pipe receiving groove 17 in which the refrigerant pipe 5 penetrating the nut 6 is accommodated. The cross section of the pipe accommodating groove 17 is includ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nut accommodating space 13, and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pipe accommodating groove 17 is smaller tha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nut accommodating space 13.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pipe receiving groove 17 is slightly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pipe to be accommodated therein. Accordingly, while the nut 6 does not pass through the pipe receiving groove 17 and is caught, the pipe 5 may pass through the pipe receiving groove 17 .

상기 배관 수용홈(17)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배관 수용홈(17)의 중심은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의 중심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들이 약간 어긋나 배치되더라도 배관(5)의 직경이 배관 수용홈(17)의 직경보다 약간 작고, 배관(5)과 너트(6) 사이에도 반경 방향으로 약간 유격이 있으므로, 공구를 사용하는 데에 별다른 지장은 없다 할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ipe accommodating groove 17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center of the pipe accommodating groove 17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nut accommodating space 13 . Of course, even if they are slightly misaligned, the diameter of the pipe 5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pe receiving groove 17, and there is a slight play in the radial direction between the pipe 5 and the nut 6, so it is difficult to use the tool. there will be no hindrance whatsoever.

상기 배관 수용홈(17)의 일측에는 상기 측벽(11)을 향해 트여진 형태의 배관 입출 슬릿(16)이 구비된다. 배관 입출 슬릿(16)은 상기 마운팅부(10)의 상부벽(15)과 측벽(11)의 원주방향의 일 위치에서 반경 방향으로 절개된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배관 입출 슬릿(16)의 폭(W)은 상기 배관 수용홈(17)의 직경(D)보다 약간 작다. 가령 배관 입출 슬릿(16)의 폭이 17.5mm 라면, 상기 배관 수용홈(17)의 직경은 20.5mm 일 수 있다.One side of the pipe receiving groove 17 is provided with a pipe entrance/exit slit 16 open toward the side wall 11 . The pipe input/output slit 16 is provided in a form cut in the radial direction at one posi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per wall 15 and the side wall 11 of the mounting part 10 . A width (W) of the pipe input/output slit 16 is slightly smaller than a diameter (D) of the pipe receiving groove 17 . For example, if the width of the pipe entry/exit slit 16 is 17.5 mm, the diameter of the pipe receiving groove 17 may be 20.5 mm.

상기 배관 입출 슬릿(16)은 상기 배관(5)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클 수 있다. 가령 배관 입출 슬릿(16)의 폭이 17.5 mm 라면, 배관의 외경은 17 mm 일 수 있다.The pipe entrance/exit slit 16 may be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5 . For example, if the width of the pipe entry/exit slit 16 is 17.5 mm,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may be 17 mm.

마운팅부(10)의 상부벽은 그 두께가 2mm 정도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마운팅부(10)의 상부벽(15)에 마련된 배관 입출 슬릿(16)과 배관 수용홈(17)은 배관(5)과 마운팅부(10)를 임시 고정하기 부족하다. Since the upper wall of the mounting part 10 has a thickness of only about 2 mm, the pipe entry/exit slit 16 and the pipe receiving groove 17 provided on the upper wall 15 of the mounting par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ipe ( 5) and the mounting part 10 are not temporarily fixed.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벽(15)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배관수용연장부(20)를 더 구비하여 배관이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에 임시 체결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상단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핸들부(30)를 형성하여서 마운팅부(10)와 그 회전축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마련된 핸들부(30)로 상기 마운팅부(10)에 체결된 너트(6)를 조이거나 풀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마운팅부(10)와 핸들부(30)가 떨어져 위치하더라도 공구가 배관(5)에 의해 임시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조임 공구 구조를 제공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20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wall 15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pipe is temporarily fastened to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20, as well as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 Nut 6 fastened to the mounting part 10 by forming the handle part 30 so as to extend laterally from the upper end of 20) and provid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mounting part 10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In addition, a tightening tool structure is provided in which the tool can be temporarily supported by the pipe 5 and stably rotated even when the mounting part 10 and the handle part 30 are located apart.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는, 상기 너트(6)와 마운팅부(10)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6)를 관통하는 배관(5)의 연장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마운팅부(10)의 상부벽(15)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의 본체(21)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21)는, 후술할 배관 입출 슬릿(22) 부분을 제외하고, 외주면(211)이 전체적으로 원통의 측면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체(21)의 외주면(211)의 외경은 상기 마운팅부(10)의 측벽(11)의 외주면(111)의 외경보다는 약간 작다.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part 20, in a state in which the nut 6 and the mounting part 10 are fastened to each other, is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pipe 5 penetrating the nut 6, the mounting part It include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body 21 extending upwardly from the upper wall 15 of (10). The main body 21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11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side surface of a cylinder as a whole, except for a portion of a pipe input/output slit 22 to be described later.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11 of the body 21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11 of the sidewall 11 of the mounting portion 10 .

상기 본체(21)의 중심은 대략 마운팅부(10)의 중심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들의 중심이 약간 편심되어 있다고 하여 공구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21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mounting part 10 . Of course, just because their center is slightly eccentric does not mean that the tool is not functioning properly.

본체(21)의 중심에는, 배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 즉 상기 마운팅부(10)로부터 배관수용연장부(20)가 연장되는 상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관 수용 공간(23)을 구비한다.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21, a pipe receiving space 23 is provi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that i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pipe receiving extension 20 extends from the mounting portion 10. .

배관 수용 공간(23)은 상기 상부벽(15)의 배관 수용홈(17)과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는 중공의 원통형 공간으로서,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배관(5)을 수용함은 물론, 상기 배관(5)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의 내주면은, 원통형의 내벽을 가진다.The pipe accommodating space 23 is a hollow cylindrical space having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pipe accommodating groove 17 of the upper wall 15, and is formed through the top and bottom to accommodate the pipe 5, It is relatively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5. That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ccommodating space 23 has a cylindrical inner wall.

아울러,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의 일측에는, 상기 마운팅부(10)의 배관 입출 슬릿(16)이 형성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본체(2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의 배관 입출 슬릿(22)이 마련된다.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은,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을 통해,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측방향 외측 공간과 통하도록 연결된다.In addition, at one side of the pipe accommodating space 23, at the same position as the position where the pipe entry/exit slit 16 of the mounting part 10 is formed, in a form cu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 A pipe input/output slit 22 is provided. The pipe accommodating space 23 is connected to the outer spac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part 20 through the pipe entry/exit slit 22 .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의 폭(W)은 배관(5)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어서, 배관이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을 통해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의 직경(D)은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의 폭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어서, 배관 수용 공간(23)에 수용된 배관(5)과 배관수용연장부(20)가 비교적 자유롭게 상호 회전 가능하게 된다.The pipe entry/exit slit 22 has a width W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5, so that the pipe can be inserted into the pipe accommodation space 23 through the pipe entry/exit slit 22. The diameter D of the pipe accommodating space 23 is set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pipe entry/exit slit 22, so that the pipe 5 accommodated in the pipe accommodating space 23 and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20 are relatively freely mutually rotatable.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길이는, 발명의 취지 상,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에 상기 배관(5)이 수용됨으로써, 상기 너트 조임 공구가 상기 배관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길이는 대략 5 내지 10 cm 정도일 수 있지만, 권리범위로서 이를 수치적으로 한정할 수는 없는 것임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length of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20 is determined by the pipe 5 being accommodated in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20, so that the nut tightening tool is supported by the pipe and is stably in place. It is desirable to have a length that can maintain the. Although the length may be approximately 5 to 10 cm,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cannot be numerically limited as a scope of rights.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상단부에는, 측방향으로 핸들부(30)가 마련되며, 상기 핸들부(30)의 연장 방향은,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를 중심으로,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이 형성된 방향의 반대 방향이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핸들부(30)를 파지한 상태에서 배관과 배관 입출 슬릿(22)의 방향을 일치시켜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배관(5)을 배관수용공간(23)에 삽입할 수 있다.A handle part 3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part 20 in a lateral direction, and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andle part 30 is centered on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part 20, and the pipe entering and exiting. It become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it 22 was formed.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insert the pipe 5 into the pipe accommodating space 23 only by pushing the pip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ipe entry/exit slit 22 while holding the handle part 30 .

상기 핸들부(30)의 표면에는 널링 등의 처리를 하여 미끄럼을 방지하거나, 고무 패드 등을 덮어 씌우는 등의 방식으로 파지력을 더 높일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handle part 30 may be treated with knurling to prevent slipping, or the gripping force may be further increased by covering the surface with a rubber pad or the like.

상기 배관 입출 슬릿(16, 22)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그 간격이 커지는 모따기나 챔퍼 등의 형상을 두어, 배관(5)을 배관 입출 슬릿(16, 22)에 삽입하는 과정을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이는, 상기 치형부(12)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의 하부에 마련된 너트 입출구(14) 쪽 단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상기 치형부(12)의 하단부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점점 더 너트 수용공간(13)의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챔퍼나 경사면을 두어, 너트가 치형부에 끼워 맞춰지는 것이 자연스럽게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A process of inserting the pipe 5 into the pipe entry/exit slits 16, 22 by placing a shape such as a chamfer or chamfer, the interval of which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outside, at the radially outer ends of the pipe entry/exit slits 16, 22 It is possible to guide Of course, the same applies to the end portion of the toothed portion 12 on the side of the nut inlet/outlet 14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toothed portion 12 also has a chamfer or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nut accommodation space 13 gradually widens as it goes downward, as shown, so that the nut fits into the toothed portion is naturally guided. can

한편,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상단부에서, 상기 핸들부(30)가 마련된 방향의 반대방향에는 라운드 진 경사면(26; 도 10 참조)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26)은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이 형성된 위치와 일부 중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Meanwhile, a rounded inclined surface 26 (see FIG. 10) may be furthe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pipe receiving extension part 2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part 30 is provided. 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 26 is formed in a shape partially overlapping a position where the pipe input/output slit 22 is formed.

상기 경사면(26)이 형성된 부위는, 상기 조임 공구에서 핸들부(30)에 가해지는 조임력을 마운팅부(10)에 전달하는 경로 상에 존재하는 부위가 아니기 때문에, 구조적인 강성을 덜 고려해도 무방한 부위이다.Since the part where the inclined surface 26 is formed is not a part on the path that transmits the clamping force applied to the handle part 30 by the tightening tool to the mounting part 10, there is no need to consider structural rigidity less. is one part

따라서 상기 경사면(26)에 중첩되는 배관 입출 슬릿(22)의 폭을 그 하부에 존재하는 배관 입출 슬릿(22)의 폭(W)보다 더 넓어지는 형태로 제작하면, 상기 경사면(26)의 배관 입출 슬릿의 폭 부분은 배관의 폭보다 더욱 넓게 설정될 수 있다.Therefore, if the width of the pipe entry/exit slit 22 overlapping the inclined surface 26 is made wider than the width W of the pipe entry/exit slit 22 existing below it, the pipe entry/exit slit 22 of the inclined surface 26 The width portion of the entry/exit slit may be set wider than the width of the pipe.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5)에 대해 조임 공구의 경사면(26)이 더 가까워지도록 상기 조임 공구를 약간 기울인 상태에서 배관의 일부를 먼저 상기 경사면(26) 쪽의 배관 입출 슬릿(22) 쪽으로 집어 넣은 후, 조임 공구의 배관수용연장부(20)와 배관(5)이 나란하도록 기울였던 조임 공구를 다시 배관수용연장부(20)의 하부를 배관 쪽으로 밀면, 아직 삽입되지 않았던 배관 부분이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으로 자연스럽게 삽입되면서 배관(5)이 전체적으로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에 수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as shown in FIG. 10, in a state where the tightening tool is slightly inclined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26 of the tightening tool is closer to the pipe 5, a part of the pipe is first moved toward the inclined surface 26. After inserting it into the pipe entry/exit slit 22, if the tightening tool tilted so that the pipe receiving extension 20 and the pipe 5 are in parallel, the lower part of the pipe receiving extension 20 is pushed toward the pipe again, and it is still inserted. The pipe 5 as a whole can be accommodated in the pipe receiving space 23 as the pipe part, which has not been made, is naturally inserted into the pipe entry/exit slit 22 .

일단 배관(5)이 배관 수용공간(23)에 수용되면, 배관수용연장부(20)와 배관(5)이 나란하게 되므로, 경사면(26) 쪽의 배관 입출 슬릿(22)의 폭이 바깥쪽으로 갈수록 더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배관(5)이 이를 통해 빠지지 아니함은 명백하다.Once the pipe 5 is accommodated in the pipe receiving space 23, since the pipe receiving extension 20 and the pipe 5 are aligned, the width of the pipe entry/exit slit 22 on the inclined surface 26 is outward. It is clear that the pipe 5 does not fall through it even though it has a shape that becomes wider and wider.

배관(5)의 직경은 공조기의 용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이는 대략 3~4가지의 규격을 가지는바, 작업자는, 이에 대응하는 3~4가지의 서로 다른 규격을 가지는 조임 공구를 소지하고 다님으로써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충분히 누릴 수 있다. 아울러 필요하다면, 배관수용연장부(20)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조임 공구를 세트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diameter of the pipe 5 may vary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air conditioner, but it has approximately 3 to 4 standards, and the operator carries a tightening tool with 3 to 4 different standards corresponding to this. As a result, the above operational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lly enjoyed. In addition, if necessary, a plurality of tightening tools having different lengths of the pipe receiving extension part 20 may be se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가령,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핸들부(30)가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와 일체로 제작되어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상부에 고정된 형태로 구비된 구조가 예시되었으나, 상기 핸들부(30)가 배관수용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작업 환경에 맞게 핸들부(30)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이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하겠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structure in which the handle part 30 is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pipe receiving extension part 20 and is provided in a fixed form to the upper part of the pipe receiving extension part 20 is illustrated, but the handle Since the portion 30 is coupled to be able to change the posit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handle part 30 to suit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 and effec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bove,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 마운팅부
11: 측벽
111: 외주면
112: 내주면
12: 치형부
13: 너트 수용공간
14: 너트 입출구
15: 상부벽
16: 배관 입출 슬릿
17: 배관 수용홈
20: 배관수용연장부
21: 본체
211: 외주면
22: 배관 입출 슬릿
W: 폭
23: 배관 수용 공간
D: 직경
24: 내주면
26: 경사면
30: 핸들부
5: 냉매 배관
6: 너트
7: 실내기(실외기) 배관
10: mounting part
11: side wall
111: outer surface
112: give me
12: teeth
13: Nut receiving space
14: nut inlet and outlet
15: upper wall
16: pipe entry and exit slit
17: pipe receiving groove
20: Pipe receiving extension
21: body
211: outer circumference
22: pipe entry and exit slit
W: width
23: pipe accommodation space
D: diameter
24: Give me
26: slope
30: handle part
5: refrigerant piping
6: nut
7: Indoor unit (outdoor unit) piping

Claims (3)

직경보다 높이가 짧은 중공의 기둥 형상의 마운팅부(10), 상기 마운팅부(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배관수용연장부(20) 및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핸들부(30)를 포함하는 배관용 너트의 조임 공구로서,
상기 마운팅부(10)는:
하방으로 개방된 너트 입출구(14)와, 상기 너트 입출구(14)의 상부에 마련된 너트 수용공간(13)의 반경 방향 경계를 규정하는 내주면(112)을 구비하는 측벽(11);
상기 측벽(11)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의 상부 경계를 규정함으로써, 상기 너트 입출구(14)를 통해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에 삽입되는 너트의 삽입 깊이를 규제하는 상부벽(15);
상기 측벽(11)의 내주면(112)에 마련되어 상기 너트 수용공간(13)에 수용된 너트와 맞물리는 치형부(12);
상기 상부벽(15)에 마련되고, 상기 측벽(11)의 내주면(115)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가지며, 너트를 관통한 배관이 수용되는 배관 수용홈(17); 및
상기 측벽(11)과 상부벽(15)의 원주방향 일부에 마련되고, 상기 너트를 관통한 배관이 상기 배관 수용홈(17)에 측방으로 인입되는 통로가 되는 배관 입출 슬릿(16);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는:
상기 너트를 관통하는 배관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마운팅부(10)의 상부벽(15)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본체(21);
상기 상부벽(15)의 배관 수용홈(17)과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본체(21)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하 관통되는 배관 수용 공간(23); 및
상기 마운팅부(10)의 측벽(11)의 배관 입출 슬릿(16)과 동일한 원주 방향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21)의 외주면(211) 외부의 공간과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을 연결하는 통로 형태로 상기 본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배관 입출 슬릿(22);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에서 상기 핸들부(30)가 외향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배관 입출 슬릿(22)의 형성 방향은,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고,
상기 배관수용연장부(20)에서 상기 핸들부(30)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의 상단부에는 경사면(26)이 더 마련되고,
상기 경사면(26)은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이 형성된 위치와 일부 중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은 원통 형태의 내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배관 입출 슬릿(22)의 폭(W)은, 상기 배관의 외경과 대응하고, 상기 배관 수용 공간(23)의 직경(D)보다 더 작으며,
상기 경사면(26)에 중첩되는 배관 입출 슬릿(22)의 폭이 그 하부에 존재하는 배관 입출 슬릿(22)의 폭(W)보다 넓은 것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너트 조임 공구.
A hollow pillar-shaped mounting portion 10 having a height shorter than the diameter, a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portion 20 extending upward from the mounting portion 10, and a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portion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top of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portion 20 As a tightening tool for a pipe nut including a handle portion 30,
The mounting part 10 is:
A side wall 11 having a nut inlet/outlet 14 opened downward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2 defining a radial boundary of the nut receiving space 13 provided above the nut inlet/outlet 14;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11 and regulates the insertion depth of the nut inserted into the nut accommodation space 13 through the nut inlet and outlet 14 by defining the upper boundary of the nut accommodation space 13. top wall 15;
A tooth portion 12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2 of the side wall 11 and engaged with a nut accommodated in the nut receiving space 13;
a pipe receiving groove 17 provided on the upper wall 15, having an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5 of the side wall 11, and accommodating a pipe passing through the nut; and
A pipe entrance/exit slit 16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side wall 11 and the upper wall 15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serving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pipe passing through the nut enters the pipe receiving groove 17 laterally. do,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20 is:
a main body 21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wall 15 of the mounting part 10 in parallel with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pipe passing through the nut;
a pipe accommodating space 23 having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pipe accommodating groove 17 of the upper wall 15 and penetrating vertical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 and
It is provided in the sam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the pipe entry and exit slit 16 of the side wall 11 of the mounting part 10, and conne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11 of the main body 21 and the pipe receiving space 23 Including; a pipe entry and exit slit 22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 in the form of a passage,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part 30 extends outward from the pipe-accommodating extension 20 and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pipe entry/exit slit 22 of the pipe-accommodating extension 20 are the pipe-accommodating extension 20 are opposite to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of
An inclined surface 26 is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en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part 30 extends from the pipe accommodating extension part 20,
The inclined surface 26 is formed in a form partially overlapping the position where the pipe entrance and exit slit 22 is formed,
The pipe accommodating space 23 has a cylindrical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width (W) of the pipe entry/exit slit 22 corresponds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and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D) of the pipe receiving space 23,
A pipe nut tighten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pipe entry/exit slit 22 overlapping the inclined surface 26 is wider than the width W of the pipe entry/exit slit 22 existing thereund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31133A 2018-03-16 2018-03-16 A Fastening Tool for Pipe Connecting Nut KR1025058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133A KR102505866B1 (en) 2018-03-16 2018-03-16 A Fastening Tool for Pipe Connecting N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133A KR102505866B1 (en) 2018-03-16 2018-03-16 A Fastening Tool for Pipe Connecting N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145A KR20190109145A (en) 2019-09-25
KR102505866B1 true KR102505866B1 (en) 2023-03-02

Family

ID=6806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133A KR102505866B1 (en) 2018-03-16 2018-03-16 A Fastening Tool for Pipe Connecting N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86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5615B (en) * 2020-08-10 2023-01-03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Fastening tool for glan head of motor train unit trai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324A (en) * 1995-10-08 1997-05-28 박준형 Ratchet Wrench
KR970021177U (en) * 1995-11-01 1997-06-18 Handle length adjustable wrench
KR20090114055A (en) 2008-04-29 2009-11-03 허형만 A wrench for pluming
KR101633603B1 (en) 2014-04-28 2016-06-27 명은상 Unit Tool For Fastening N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145A (en)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6100A (en) Multi-stepped power drill bit having handle chuck adaptor
CN101821067B (en) Attaching arrangement for hand-held motor-driven tools and the hand-held motor-driven tools
US9878429B2 (en) Tube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US4631985A (en) Device for holding a screw or the like
US7246544B1 (en) Rotary wrench
KR102505866B1 (en) A Fastening Tool for Pipe Connecting Nut
US20100192344A1 (en) Mechanical clamping element and clamping system
US6257099B1 (en) Multi-function faucet wrenches
EP1488156B1 (en) Clamp
US20040255727A1 (en) Tub drain wrench
US7878093B1 (en) Rotator socket suitable for the installation of a cup hook
US8256475B2 (en) Adjustable guidebushes
AU2002340628A1 (en) Clamp
US5360188A (en) Threaded insulator clamp
US4732180A (en) Wire tie apparatus
WO2015040606A1 (en) Pipe threadng attachment and adaptor for handheld drill
US7788995B2 (en) Pipe fitting socket for use with an axial drive mechanism
US7628571B2 (en) Tool chucking apparatus
US4848194A (en) Valve wrench
KR101334852B1 (en) Belt type clamp
US20100018358A1 (en) Tool for screws or bolts
CN103481216A (en) Vise apparatus with a bending fixture
WO2003051580A1 (en) A wrench with an eye screw holder
KR200476843Y1 (en) Foldable Rachet Wrench
US20080224424A1 (en) Tool chuck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