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844B1 -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 - Google Patents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844B1
KR102505844B1 KR1020200166370A KR20200166370A KR102505844B1 KR 102505844 B1 KR102505844 B1 KR 102505844B1 KR 1020200166370 A KR1020200166370 A KR 1020200166370A KR 20200166370 A KR20200166370 A KR 20200166370A KR 102505844 B1 KR102505844 B1 KR 102505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storage
drawer
base structur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7438A (ko
Inventor
황민규
Original Assignee
황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민규 filed Critical 황민규
Priority to KR1020200166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8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체격에 최적화된 거치형태 구현은 물론 부피축소를 통한 보관성 증대와 아울러 휴대 이동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몸통을 떠받치는 한편, 반려동물 체중에 의한 일방향 곡률변형 작용에 따른 가슴부 및 복부의 포섭으로 몸통의 움직임이 봉쇄되도록 하는 몸통받침대; 및, 상기 몸통받침대의 지지를 위하되, 상기 몸통받침대의 내재수납이 가능한 한편 부피축소를 위한 등분할 및 서랍형 출입구조를 갖는 베이스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DRAWER TYPE PETS CRADLE}
본 발명은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체격에 최적화된 거치형태 구현은 물론 부피축소를 통한 보관성 증대와 아울러 휴대 이동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문화적·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반려동물(伴侶動物, companion animal)을 양육하는 가구가 늘고 있다. 이는, 전세계적 인구고령화와 핵가족화 및 1인가구의 증가로 가족구성원이 감소하면서 과거 단순히 생활의 외로움을 달래기 위한 애완동물(Pet)의 개념을 넘어 동반자 혹은 가족처럼 생각하는 인식변화의 확산으로 점차 확대되었다.
농림축산식품부(農林畜産食品部,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의 「2019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에 따르면, 2019년 국내 반려동물 양육가구가 전체가구(전국 2,238만 가구 환산시)의 26.4%에 해당하는 591만 가구로 추산됐다. 이는, 전년도 대비 80만 가구가 증가한 것으로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반려동물 양육가구는 늘어나고 있으나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반려동물의 청결유지에 대해서는 다소 소홀히 여기는 이들이 의외로 많다. 예컨대, 주거공간에서 사람과 반려동물이 함께 생활하려면 위생적인 측면에서 반려동물을 정기적으로 목욕시켜주어야만 하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번거롭다는 핑계로 또한 반려동물이 싫어한다는 이유로 제때 목욕을 시켜주지 않거나 꺼리는 것이 현실이다.
부연하여, 반려동물은 자주 목욕시켜 악취 및 털에 묻은 오염물질을 제거해주어야만 하나, 목욕과정은 물론 목욕 이후 헤어드라이기 등으로 젖은 털을 말리는 건조과정에서 반려동물이 스스로 몸을 심하게 흔들어 물기를 털어내는 등 가만있지 못하고 움직이는 관계로 건조작업에 상당한 수고와 시간이 소모될 수밖에 없어 이를 소홀히 한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2317호를 통해, 애완동물의 목욕 및 건조작업의 편의를 위해 해당 애완동물을 안착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 목욕용 간이 거치대가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애완동물 목욕용 간이 거치대의 사시도로써, 종래의 상기 애완동물 목욕용 간이 거치대(90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 제1, 2 프레임(901);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 제1, 2 프레임(902); 상기 상부 제1프레임(901)과 하부 제2프레임(902)을 연결하는 제1연결 프레임(903)과, 상기 상부 제2프레임(901)과 하부 제1프레임(902)을 연결하는 제2연결 프레임(903a)과, 상기 제1, 2연결 프레임(903)(903a)이 서로 X자로 교차되는 영역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905)로 구성되는 접철부; 상기 상부 제1, 2 프레임(901) 사이에 연결되어 애완동물이 안착되되 애완동물의 다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격 공간(911)이 형성되는 다수의 탄성 밴드(9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상기 제1,2연결 프레임(903)(903a)을 X자 형태로 교차시켜 상기 탄성 밴드(910)들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그 탄성 밴드(910)들 상에 애완동물을 안정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탄성 밴드(910)들 사이의 이격 공간(911)들로 다리가 삽입되도록 함을 통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애완동물의 목욕작업 및 목욕 이후의 건조작업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 이후 상기 제1,2연결 프레임(903)(903a)을 접어서 거치대(900)의 부피(폭)를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미사용시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보관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탄성 밴드(910)들을 펼치고 단순히 그 위에 애완동물을 올려놓게 된 구조상, 애완동물의 몸통 움직임을 완벽히 봉쇄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애완동물(이하 "반려동물"이라 함)의 목욕작업 및 건조작업에 상당한 수고와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가 여전할 수밖에 없다.
또한, 상기 제1,2연결 프레임(903)(903a)을 접어서 그들을 상호밀착시키는 단순 서랍형 구조상, 제1,2연결 프레임(903)(903a)의 횡폭(가로폭)은 축소시킬 수 있으나 반대로 종폭(세로폭)은 확대되는 문제로 인해 부피축소 달성에 한계가 뒤따랐다.
결국, 반려동물별 체격에 대응한 거치구조 가변으로 반려동물의 몸통 움직임을 보다 완벽하게 봉쇄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획기적인 부피축소로 보관성의 증대 및 휴대 이동성의 향상을 나타낼 수 있는 반려동물 거치대의 연구개발이 절실하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2317호(2019.09.18. 공개)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6327호(2003.12.05. 등록)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6335호(2018.06.04. 등록) (문헌 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10519호(2011.10.07. 공개) (문헌 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60982호(2016.05.31. 공개) (문헌 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04022호(2019.01.11. 공개) (문헌 7)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82898호(2020.07.0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려동물 거치의 몸통받침대를 구비하되, 그 몸통받침대에 의한 반려동물 몸통의 가슴부와 복부의 포섭으로 보다 안정적인 반려동물의 거치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려동물 거치를 위한 상기 몸통받침대의 전폭과 높낮이 가변구조를 달성하여, 소형견·묘나 중형견·묘는 물론 대형견·묘 등 체격이 다양한 반려동물의 거치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몸통받침대의 지지를 위한 베이스구조체의 등분할에 더해 그 베이스구조체 중 수용박스 내측으로의 수납파레트가 인출 및 투입되는 서랍구조를 달성하여, 거치대의 획기적인 부피축소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몸통을 떠받치는 한편, 반려동물 체중에 의한 일방향 곡률변형 작용에 따른 가슴부 및 복부의 포섭으로 몸통의 움직임이 봉쇄되도록 하는 몸통받침대; 및, 상기 몸통받침대의 지지를 위하되, 상기 몸통받침대의 내재수납이 가능한 한편 부피축소를 위한 등분할 및 서랍형 출입구조를 갖는 베이스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통받침대는, 반려동물의 겨드랑이 근접 가슴부와 사타구니 근접 복부를 각각 떠받치도록 상호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구조체 상에 기립배치되는 한 쌍의 제1안착대 및 제2안착대와, 상기 제1,2안착대들을 횡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2안착대들의 유동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대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베이스구조체는, 수용박스 및 상기 수용박스로부터 인출 및 투입 가능한 수납파레트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박스에는, 상기 수납파레트의 인출 및 투입이 이루어지는 공간부가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착대 하말단부 끼워맞춤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이 외측부의 상단 가장자리 중앙부에 내향되고, 상기 수납파레트에는, 상기 제1,2안착대의 수납보관을 위한 제1수납홈 및 제2수납홈이 상단 정해진 위치로부터 내향되며, 상기 고정대의 삽입보관을 위한 수납홀이 외측 단부로 정해진 위치로부터 내향된다.
또한, 상기 제1안착대는, 하말단부가 상기 베이스구조체에 힌지결합된 상태로의 양방향 회전동작으로 상기 베이스구조체에 내재수용되거나 또는 기립상태를 이루는 로우파이프와, 상기 로우파이프에 삽입되고 길이방향을 따르는 진퇴작용으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ㅠ" 형의 제1신장봉으로 조합되고, 상기 제2안착대는, 하말단부가 상기 베이스구조체에 끼워맞춤된 상태로 기립상태를 이루는 로우파이프와, 상기 로우파이프에 삽입되고 길이방향 따르는 진퇴작용으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ㅠ" 형의 제1신장봉으로 조합된다.
더하여, 상기 제1신장봉의 상부는, 반려동물의 체중 부여시 "∪" 형태로 곡률변형의 작용을 일으켜 반려동물의 몸통을 자동으로 둘러 감싸는 반면 하중이 제거되면 변형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탄성변형의 특성을 가진 소재이거나 또는 그 소재가 일체로 내재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는, 반려동물을 떠받치는 몸통받침대의 안착대(제1,2안착대)들이 반려동물의 몸통 중 가슴부와 복부를 각각 떠받치는 동시에 상기 제1,2안착대들의 제1신장봉 상부(수평대)가 곡률변형 작용을 일으켜 반려동물의 가슴부와 복부를 감싸므로, 반려동물의 거치가 보다 안정적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구조물 중 수용박스로부터의 수납파레트 인출정도를 달리함에 의한 제1,2안착대 상호 간의 위치조절과 함께 상기 제1,2안착대들의 길이조절을 통한 제1신장봉의 높낮이조절에 따라 상기 몸통받침대의 규격(전폭과 높이)을 달리할 수 있어, 소형견·묘나 중형견·묘 또는 대형견·묘 등 체격이 다양한 반려동물의 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상술한 바와 같은 수용박스 내부로 수납파레트가 내재수용되는 서랍형 구조 달성으로 거치대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한 거치대의 보관성(공간확보) 증대와 더불어 휴대 이동성(이동편의)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각종 효과 달성으로 인한 소비자 구매욕구 충족의 판매경쟁력 확보 및 그에 따른 기업이익 창출과 더불어 국내 반려동물 연관시장이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는 지금, 관련산업의 발전 및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애완동물 목욕용 간이 거치대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의 수납형태와 거치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에 있어서, 제1,2안착대 중 제1신장봉의 곡률변형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에 있어서, 베이스구조체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도에 있어서, 베이스구조체 중 수납파레트의 인출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의 수납형태와 거치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에 있어서 제1,2안착대 중 제1신장봉의 곡률변형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에 있어서 베이스구조체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도에 있어서 베이스구조체 중 수납파레트의 인출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A)는, 반려동물의 몸통을 떠받치는 한편 반려동물 체중에 의한 일방향(도면상 상방향) 곡률변형(curvature deformation / 또는 "휨변형"이라 함) 작용에 따른 가슴부 및 복부의 포섭(包攝)으로 몸통의 움직임이 봉쇄되도록 하는 몸통받침대(1)와, 상기 몸통받침대(1)의 지지를 위하되 그 몸통받침대(1)의 내재수납이 가능한 한편 부피축소를 위한 등분할(等分割) 및 서랍형 출입구조를 갖는 베이스구조체(2)를 포함한다.
몸통받침대(1)는, 목욕(및 건조)시켜주고자 하는 반려동물의 몸통을 안정적으로 떠받치기 위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동물 몸통의 거치와 더불어 그 몸통 움직임의 봉쇄를 위해 반려동물의 겨드랑이 근접 가슴부와 사타구니 근접 복부를 각각 떠받치도록 상호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구조체(2) 상에 기립배치되는 한 쌍의 제1안착대(11) 및 제2안착대(11')와, 상기 제1,2안착대(11)(11')들을 횡으로 연결하여 그 제1,2안착대(11)(11')들의 유동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대(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안착대(11)는, 하말단부가 베이스구조체(2)에 힌지결합된 상태로의 양방향 회전동작으로 상기 베이스구조체(2)에 내재수용되거나 또는 기립상태를 이루는 로우파이프(111)와, 상기 로우파이프(111)에 삽입되고 길이방향(상방향)을 따르는 진퇴(進退)작용으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ㅠ" 형의 제1신장봉(112)으로 조합된다.
상기 제2안착대(11')는, 하말단부가 베이스구조체(2)에 끼워맞춤된 상태(도 4a 및 도 4b 참조)로 기립상태를 이루는 로우파이프(111)와, 상기 로우파이프(111)에 삽입되고 길이방향(상방향)을 따르는 진퇴작용으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ㅠ" 형의 제1신장봉(112)으로 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신장봉(112)은, 로우파이프(111) 내측으로 하부(수직대)가 삽입되는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수평대)는 반려동물의 체중 부여시 "∪" 형태로 곡률변형의 작용을 일으켜 반려동물의 몸통을 자동으로 둘러 감싸는 반면 하중(반려견의 체중)이 제거되면 변형 전의 상태(일직선 상태)로 되돌아가는 탄성변형(彈性變形, elastic deformation)의 특성을 가진 소재(예컨대 판스프링 등) 자체이거나 또는 그 소재가 일체로 내재된다.
또한, 상기 제1신장봉(112)들 각각의 상호 마주하는 내측 중앙부에는, 차후 설명할 상기 고정대(12)의 제2신장봉들 진출선단으로부터 돌출된 삽입돌기에 대응(끼워맞춤)하는 삽입홈(1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대(12)는, 로우파이프(111)들 사이에 횡으로 배치되는 센터파이프(121)와, 상기 센터파이프(121) 양측에 삽입되고 길이방향(양방향)을 따르는 진퇴작용으로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제1,2안착대(11)(11')들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2신장봉(12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신장봉(122)들의 진출선단에는, 복수의 제1,2안착대(11)(11')와 고정대(12)의 상호연결을 위해 상기 제1신장봉(112)들의 삽입홈(112-1)에 끼워맞춤되는 삽입돌기(122-1)가 돌출되어 있다.
베이스구조체(2)는, 상기 몸통받침대(1)의 지지와 아울러 미사용시의 경우 몸통받침대(1)의 수납을 위한 것으로, 도 4a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피축소를 목적하여 수용박스(21) 및 그 수용박스로부터 인출 및 투입 가능한 수납파레트(22)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박스(21)에는, 수납파레트(22)의 인출 및 투입이 이루어지는 공간부(21a)가 내부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몸통받침대(1)의 제2안착대(11') 하말단부 끼워맞춤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221)이 상기 수납파레트(22)와 대향하는 측부의 상단 가장자리 중앙부에 소정깊이 내향되어 있다.
상기 수납파레트(22)에는, 몸통받침대(1)를 구성하는 상기 제1,2안착대(11)(11')의 수납보관을 위한 제1수납홈(221) 및 제2수납홈(222)이 상단 정해진 위치로부터 소정깊이 내향되어 있고, 외측 단부로 정해진 위치로부터는 상기 고정대(12)의 삽입보관을 위한 수납홀(223)이 내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거공간에서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반려동물은 위생적인 측면에서의 청결유지를 위해 자주 목욕시켜주어야만 하는 바, 이러한 반려동물의 목욕작업과 목욕 이후 젖은 털을 말리는 건조작업(및 털이나 발톱을 깎는 등의 미용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실시할 목적으로 본 발명의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A)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의 사용상태도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A) 상에 반려동물을 올려둔 상태로 앞서 언급한 목욕작업 혹은 목욕 이후의 건조작업 등을 실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구조체(2)의 수용박스(21) 내부(공간부 : 21a)에 수용되어 있는 수납파레트(22)를 외부로 인출시켜 면적이 확장된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상기 수납파레트(22)의 제1수납홈(221)에 수납보관되어 있는 제1안착대(11)를 외측으로 끄집어내면서 회전시켜 상기 베이스구조체(2)의 상측으로 기립상태가 되도록 하고, 수납파레트(22)의 제2수납홈(221)에 수납보관되어 있는 제2안착대(11')를 끄집어낸 후 그 제2안착대(11')의 하말단부를 상기 수용박스(21)의 상단 가장자리 중앙부에 내향된 결합홀(211)에 끼워맞춤하여 베이스구조체(2)의 상측으로 기립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수납파레트(22)의 수납홀(223)에 삽입보관되어 있는 몸통받침대(1)의 고정대(12)를 끄집어낸 후, 그 고정대(12)를 이용하여 제1,2안착대(11)(11')들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바, 이는 상기 고정대(12) 중 센터파이프(121) 양측에 삽입된 제2신장봉(122)들의 진출선단으로부터 돌출된 삽입돌기(122-1)를 제1,2안착대(11)(11')들 각각의 제1신장봉(112) 내측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홈(112-1)에 각각 끼워맞춤하는 것으로 간단히 이룰 수 있다(도 2 및 도 4b 참조).
그리고, 지금까지와 같은 과정으로 거치구조가 완성된 본 발명의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A) 상에 반려동물을 올려서 몸통을 떠받침에 있어, 해당 반려동물의 체중에 의거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몸통받침대(1) 중 제1,2안착대(11)의 제1신방봉(112) 상부(수평대)가 "∪" 형태로 곡률변형의 작용을 일으키는 것에 의하여, 해당 반려동물의 몸통 중 가슴부 및 복부가 자동으로 포섭(둘러 감쌈)되고 그로써 반려동물의 몸통 움직임이 봉쇄되는 것에 따라 반려동물의 거치를 더욱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음이 가능한 것이다.
이로써 결국, 반려동물의 목욕작업은 물론 목욕 이후 헤어드라이기 등으로 젖은 털을 말리는 건조작업에서 해당 반려동물이 스스로 몸을 심하게 흔들어 물기를 털어내는 움직임을 사전봉쇄할 수 있다.
한편, 소형견·묘나 중형견·묘 또는 대형견·묘 등 반려동물의 다양한 체격에 맞춰 상기 몸통받침대(1)의 규격(전폭과 높이)을 달리할 수 있는 바, 이 때의 몸통받침대(1) 전폭조절은 상기 수납파레트(22)의 인출정도를 달리하여 상기 제1,2안착대(11)(11')들의 상호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으로 간단히 이룰 수 있고, 상기 몸통받침대(1)의 높이조절은 제1,2안착대(11)(11')들의 로우파이프(111)로부터 제1신장봉(112)을 상측으로 진출시켜 상기 제1,2안착대(11)(11')들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A)의 사용을 마친 후(미사용시)에는 부피를 축소(도 7 참조)시킬 수 있는 바, 이는 제1,2안착대(11)(11')들을 연결한 고정대(12)와 상기 제2안착대(11')를 베이스구조체(2)로부터 분리 후 수납파레트(22)의 제2수납홈(222)과 수납홀(223)에 끼워넣고, 제1안착대(11)는 아래로 회전시켜 상기 수납파레트(22)의 제1수납홈(221)에 끼워넣는 과정으로 상기 제1,2안착대(11)(11')와 고정대(12)의 수납(및 삽입)보관이 가능하며, 그 상태로 수납파레트(22)를 수용박스(21)의 공간부(21a)로 밀어넣어 상기 베이스구조체(2)의 부피가 축소되게 함으로써 가능하다.
정리하여, 본 발명의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에 의하면, 상기 몸통받침대(1)의 제1,2안착대(11)(11')들이 반려동물의 몸통 중 가슴부와 복부를 각각 떠받치는 동시에 상기 제1,2안착대(11)(11')들의 제1신장봉(112) 상부(수평대)가 곡률변형 작용을 일으켜 반려동물의 가슴부와 복부를 감싸므로, 반려동물의 거치가 보다 안정적이게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파레트(22)의 인출정도를 달리함에 의한 제1,2안착대(11)(11') 상호 간의 간격조절과 함께 상기 안착대(11)(11')들의 길이조절을 통한 제1신장봉(112)의 높낮이조절에 따라 몸통받침대(1)의 규격(전폭과 높이)을 달리할 수 있어, 소형견·묘나 중형견·묘 또는 대형견·묘 등 체격이 다양한 반려동물의 거치가 가능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와 함께, 상술한 바와 같은 수용박스(21) 내부(공간부 : 21a)로 수납파레트(22)가 내재수용되는 서랍형 구조 달성으로 거치대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거치대의 보관성(공간확보) 증대와 더불어 휴대 이동성(이동편의)이 향상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거치대, 1 : 몸통받침대
2 : 베이스구조체, 11 : 제1안착대
11' : 제2안착대, 12 : 고정대
21 : 수용박스, 21a : 공간부
22 : 수납파레트, 111 : 로우파이프
112 : 제1신장봉, 112-1 : 삽입홈
121 : 센터파이프, 122 : 제2신장봉
122-1 : 삽입돌기, 211 : 결합홀
221 : 제1수납홈, 222 : 제2수납홈
223 : 수납홀

Claims (5)

  1. 반려동물의 몸통을 떠받치는 한편, 반려동물 체중에 의한 일방향 곡률변형 작용에 따른 가슴부 및 복부의 포섭으로 몸통의 움직임이 봉쇄되도록 하는 몸통받침대; 및,
    상기 몸통받침대의 지지를 위하되, 상기 몸통받침대의 내재수납이 가능한 한편 부피축소를 위한 등분할 및 서랍형 출입구조를 갖는 베이스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받침대는,
    반려동물의 겨드랑이 근접 가슴부와 사타구니 근접 복부를 각각 떠받치도록 상호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구조체 상에 기립배치되는 한 쌍의 제1안착대 및 제2안착대와,
    상기 제1,2안착대들을 횡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2안착대들의 유동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안착대는, 하말단부가 상기 베이스구조체에 힌지결합된 상태로의 양방향 회전동작으로 상기 베이스구조체에 내재수용되거나 또는 기립상태를 이루는 로우파이프와, 상기 로우파이프에 삽입되고 길이방향을 따르는 진퇴작용으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ㅠ" 형의 제1신장봉으로 조합되고,
    상기 제2안착대는, 하말단부가 상기 베이스구조체에 끼워맞춤된 상태로 기립상태를 이루는 로우파이프와, 상기 로우파이프에 삽입되고 길이방향 따르는 진퇴작용으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ㅠ" 형의 제1신장봉으로 조합되며,
    상기 고정대는, 상기 제1안착대의 로우파이프와 상기 제2안착대의 로우파이프 사이에 횡으로 배치되는 센터파이프와, 상기 센터파이프 양측에 삽입되고 길이방향을 따르는 진퇴작용으로 길이조절이 이루어지고, 진출선단이 상기 제1,2안착대에 끼워져 연결되는 제2신장봉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구조체는,
    수용박스 및 상기 수용박스로부터 인출 및 투입 가능한 수납파레트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박스에는
    상기 수납파레트의 인출 및 투입이 이루어지는 공간부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안착대 하말단부 끼워맞춤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이 외측부의 상단 가장자리 중앙부에 내향되며,
    상기 수납파레트에는,
    상기 제1,2안착대의 수납보관을 위한 제1수납홈 및 제2수납홈이 상단 정해진 위치로부터 내향되고, 상기 고정대의 삽입보관을 위한 수납홀이 외측 단부로 정해진 위치로부터 내향되고,
    상기 수용박스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수납파레트의 인출정도를 달리함에 의해 상기 제1,2안착대 상호 간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장봉의 상부는, 반려동물의 체중 부여시 "∪" 형태로 곡률변형의 작용을 일으켜 반려동물의 몸통을 자동으로 둘러 감싸는 반면 하중이 제거되면 변형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탄성변형의 특성을 가진 소재이거나 또는 그 소재가 일체로 내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
KR1020200166370A 2020-12-02 2020-12-02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 KR102505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370A KR102505844B1 (ko) 2020-12-02 2020-12-02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370A KR102505844B1 (ko) 2020-12-02 2020-12-02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438A KR20220077438A (ko) 2022-06-09
KR102505844B1 true KR102505844B1 (ko) 2023-03-02

Family

ID=81985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370A KR102505844B1 (ko) 2020-12-02 2020-12-02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84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327Y1 (ko) 2003-09-29 2003-12-18 김성수 애완동물 목욕침대
KR200454346Y1 (ko) * 2008-10-28 2011-06-29 테-룽 첸 접철식 테이블 또는 접철식 침대의 프레임 구조
KR101061261B1 (ko) * 2010-02-19 2011-08-31 신장공업주식회사 다용도 의자
KR20110110519A (ko) 2010-04-01 2011-10-07 김주회 애완동물 목욕거치대
KR20150110222A (ko) * 2014-03-20 2015-10-02 조영남 애완견 미용 보조기구(애완견 미용 테이블)
KR20160060982A (ko) 2014-11-21 2016-05-31 주식회사 케이제이엘테크놀러지 접이식 애완동물 목욕장치
KR20190004022A (ko) 2017-07-03 2019-01-11 오성헌 반려동물 미용 및 치료용 전용의자
KR101866335B1 (ko) 2018-02-13 2018-06-11 오성헌 반려동물 미용 및 치료용 전용의자
KR20190002317U (ko) 2018-03-09 2019-09-18 엄명섭 애완동물 목욕용 간이 거치대
KR20190124576A (ko) * 2018-04-26 2019-11-05 배종훈 애완동물용 다용도 보조구
KR20200082898A (ko) 2018-12-31 2020-07-08 이주연 애완동물 움직임 방지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438A (ko)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2126B1 (en) Twelve-device-in-one interchangeable-canopy-patio-balcony-windscreen-chair-awning-perch-tent-sled-stand-basket-hammock-bed pet crate, having multi-pet-containing panel system, multi-pet multi-entrance door system, interchangeable-canopy-patio-balcony-windscreen-chair-awning-perch-tent-sled-stand-basket-hammock-bed system, tick-blocking water-draining wire-clamping cap system, and tray-locking shock-absorbing gusset system
US4286612A (en) Folding tent
US9993088B2 (en) Furniture objects for storing foldable beds
US10966537B1 (en) Hybrid bed foundation assembly
US20170303701A1 (en) Mobile Diaper Changing Station
US2611909A (en) Portable guard
KR102505844B1 (ko) 서랍형 반려동물 거치대
KR102441840B1 (ko) 접이식 반려동물 거치대
KR20130035327A (ko) 캠핑용 간이 야전침대 프레임
KR200446642Y1 (ko) 애완동물용 조립식 거치대
KR20190002317U (ko) 애완동물 목욕용 간이 거치대
US3435469A (en) Collapsible bedspread holder
US1462615A (en) Portable umbrella stand
KR20220112927A (ko) 신체정보 취득이 가능한 반려동물 거치대
RU155984U1 (ru) Кровать с подъёмным механизмом и ящиком для белья
US20150107526A1 (en) Collapsible pet containment apparatus with foldable side walls
US1982165A (en) Bedstead
KR102031072B1 (ko) 반려동물 목욕대
US2579040A (en) Folding leg support for combination commode and high chair
KR20110007722U (ko) 다목적 건조대
KR101770280B1 (ko) 접이식 매트리스 수납장
KR100753111B1 (ko)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200494643Y1 (ko) 휴대가 가능한 가변형 낚시좌대
US20120006271A1 (en) Pet Swing
KR100493715B1 (ko) 애완견용 목욕보조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