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567B1 - 가공배전용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설비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용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설비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567B1
KR102505567B1 KR1020220072294A KR20220072294A KR102505567B1 KR 102505567 B1 KR102505567 B1 KR 102505567B1 KR 1020220072294 A KR1020220072294 A KR 1020220072294A KR 20220072294 A KR20220072294 A KR 20220072294A KR 102505567 B1 KR102505567 B1 KR 102505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cessed part
buried
fluid
electric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태
Original Assignee
(주)경기전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기전력 filed Critical (주)경기전력
Priority to KR1020220072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용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설비 제공방법으로서, 감전사고 예방설비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감전사고 예방설비가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단계; 상기 감전사고 예방설비가 현장에 하적수단에 의하여 하적되는 단계; 상기 감전사고 예방설비가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감전사고 예방설비는 절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장치는, 상기 배전선, 현수애자, 인류클램프의 외부를 각각의 크기에 따라 감싸면서 절연시키는 절연커버(1100); 상기 철탑의 완철에 고정되며 상기 절연커버(1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폐모터부(1310)가 구동되어 상기 절연커버(11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덮어 폐쇄시키거나 외부에 노출되도록 열어개방시키는 개폐구동장치(1200)를 포함하며,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절연장치의 구성물,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하적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방역용 유체분사를 수행한다.

Description

가공배전용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설비 제공방법{Method of providing an electric shock accident prevention system for workers for processing and distribution}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가공배전용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설비 제공방법에 관하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배선상태를 유지하는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장치를 포함하는 가공배전용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설비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공배전용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설비 제공방법를 제공함에 있어 물리적 연결을 매개하고 감전사고를 방지하면서 연결 구조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며 각종 누전 및 합선 등의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절약하는 한편 가변적인 위치변경을 통하여 필요한 최적의 위치를 확보 및 점유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러한 시스템 설비의 구축과 운용에 있어 안전한 위생환경 조성이 병행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81915000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리적 연결을 매개하고 감전사고를 방지하면서 연결 구조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며 각종 누전 및 합선 등의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절약하는 한편 가변적인 위치변경을 통하여 필요한 최적의 위치를 확보 및 점유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러한 시스템 설비의 구축과 운용에 있어 안전한 위생환경 조성이 병행되도록 하는 가공배전용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설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설비를 설치하기 위하여 작업자 이동과 자재 반입 등 다양한 시공과정에 있어서의 방역을 위한 유체분사수단을 제공하되,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효율적인 탈거와 장착이 가능하여 신혹하고 간편화된 유체분사수단의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안정적인 충격저항구조를 가지도록 하며 가변적인 기능동작을 통해 다양한 조건에서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크기를 다양하게 구현하여 설치 목적과 필요에 적합한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유체분사수단의 장착에 있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장착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가공배전용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설비 제공방법으로서, 감전사고 예방설비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감전사고 예방설비가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단계; 상기 감전사고 예방설비가 현장에 하적수단에 의하여 하적되는 단계; 상기 감전사고 예방설비가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감전사고 예방설비는 절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장치는, 상기 배전선, 현수애자, 인류클램프의 외부를 각각의 크기에 따라 감싸면서 절연시키는 절연커버(1100); 상기 철탑의 완철에 고정되며 상기 절연커버(1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폐모터부(1310)가 구동되어 상기 절연커버(11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덮어 폐쇄시키거나 외부에 노출되도록 열어개방시키는 개폐구동장치(1200)를 포함하며,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절연장치의 구성물,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하적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방역용 유체분사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은 물리적 연결을 매개하고 감전사고를 방지하면서 연결 구조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며 각종 누전 및 합선 등의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절약하는 한편 가변적인 위치변경을 통하여 필요한 최적의 위치를 확보 및 점유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러한 시스템 설비의 구축과 운용에 있어 안전한 위생환경 조성이 병행되도록 하는 가공배전용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설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설비를 설치하기 위하여 작업자 이동과 자재 반입 등 다양한 시공과정에 있어서의 방역을 위한 유체분사수단을 제공하되,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효율적인 탈거와 장착이 가능하여 신혹하고 간편화된 유체분사수단의 운용이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안정적인 충격저항구조를 가지도록 하며 가변적인 기능동작을 통해 다양한 조건에서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크기를 다양하게 구현하여 설치 목적과 필요에 적합한 운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유체분사수단의 장착에 있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장착 고정이 가능하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장치의 기능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 장치에 구성되는 절연커버의 펼쳐진 전개도와 A-A' 절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 장치에 구성되는 개폐구 동장치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 장치에 구성되는 보호회로부의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보호회로부의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가 운용되는 방법의 순서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 장치에 구성되는 절연커버의 펼쳐진 전개도와 A-A' 절단면도 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 장치에 구성되는 개폐구동장치의 구성도 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 으로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 장치에 구성되는 보호회로부의 구성도 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보호회로부의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가 운용되는 방법의 순서도 이다.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장치(1000)는 절연커버(1100), 개폐구동장치(1200), 보호회로부(13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특고압을 전송하는 철탑은 상부에 완철을 설치하고 완철은 다수의 현수애자와 인류클램프를 설치시키며 각 인류클램프에 의하여 특고압을 전송하는 배전선이 인장상태로 고정된다.
완철은 철탑을 통하여 대지와 동일한 전위를 유지하며 인류클램프에 의하여 현수애자에 고정되는 배전선과 절연상태를 형성한다. 높이가 비교적 낮은 전주의 완철에는 변압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철탑의 상측 끝 부분에는 주변환경에 의하여 바람이 비교적 세게 불고 눈비가 오는 경우는 휘몰아치므로 도전성 있는 이물질이 날라 부착될 수 있다.
철탑에 인장상태로 고정되며 특고압을 배송하는 배전선은 나선으로 시설된 경우가 많고 절연전선으로 시설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철탑의 상부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경우 국가 산업의 원동력이 될 수 있는 전기 누전, 합선 등으로 에너지 자원이 비효율적으로 낭비되거나 또는 배전선에 단선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누전과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등에는 인근에서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장치(1000)는 현수애자, 인류클램프, 배전선의 외부를 절연상태로 감싸면서 외부의 물리적 및 화학적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가공 배전선 절연장치(1000)는 누전, 감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감싸면서 허용된 기준값 이상의 바람이 불거나 눈비가 오는 경우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비바람이 적게 부는 경우는 개방하여 환기 및 통풍시키므로 발열을 억제한다.
절연커버(1100)는 철탑에 설치된 배전선, 현수애자, 인류클램프의 외부를 각각의 크기에 적합하게 감싸면서 절연시키고 보호하는 것으로 제 1 커버부(1110), 제 2 커버부(1120), 제 3 절연 고무줄(1130), 제 3 커버부(114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 1 커버부(1110)는 대응되는 형상의 복수로 이루어지고 각각 원호형상과 장방형상을 하므로 합쳐져서 원통형상을 하며 특고압이 전송되는 배전선의 외부를 감싸 절연시키면서 보호한다.
제 2 커버부(1120)는 인류클래프의 외부를 감싸 절연시키는 구성으로 원호형상을 하면서 장방형상을 하는 다수의 조각으로 이루어진다. 각 조각은 복수의 제 1 클램프 커버 조각(1122)과 복수의 제 2 클램프 커버 조각(1124)으로 구분되어 총 4 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제 1 클램프 커버 조각(1122)은 신축성과 절연성이 우수하며 평편한 형한 제 1 절연 고무막(1121)을 통하여 각각의 일측 장변을 연결시키며 일측 끝단에는 제 1 커버부(1110)를 각각 연결된 상태로 형성한다.
복수의 제 1 클램프 커버 조각(1122)은 타측 장변에 다수의 제 2 절연고무줄(1123)을 통하여 제 2 클램프 커버 조각(1124)의 일측 장변과 각각 연결되며, 제 2 절연고무줄(1123)은 신축성과 절연성이 매우 우수한 구성이고 사이사이에 공기의 소통이 원활한 공간을 형성하면서 연결된다.
총 4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클램프 커버 조각(1122)과 제 2 클램프 커버조각(1124)은 각각 원호 형상을 하는 동시에 장방형상을 하므로 합쳐져서 원통형상을 한다. 총 4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클램프 커버 조각(1122)과 제 2 클램프 커버 조각(1124)은 제 1 절연고무막(1121)과 다수의 제 2 절연고무줄(1123)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내부 지름을 크게 확장 또는 늘릴 수 있다.
복수의 제 2 클램프 커버 조각(112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타측 변에는 암형 잠금장치(1125)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타측 변에는 수형 잠금장치(1126)가 형성되어 서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2 커버부(1120)는 인류클램프의 외부 크기에 제한받지 않고 인류클램프의 외부를 감싸면서 절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 1 커버부(1110)가 배전선의 외부를 감싸는 동시에 제 2 커버부(1120)는 인류클램프의 외부가 어떠한 크기 및 형상을 하는 경우에도 관계없이 크면 큰 상태대로 작으면 작은 상태대로 그 외부를 충분히 감쌀 수 있고, 감싼 상태는 암수 잠금장치(1125, 1126)에 의하여 유지된다.
제 3 커버부(1140)는 제 2 커버부(1120)에 대응되는 형상과 구성을 하며 현수애자의 외부를 감싸 절연시키면서 보호하는 것으로 제 4 절연 고무막(1141), 복수의 제 1 애자 커버 조각(1142), 다수의 제 5 절연 고무줄(1143), 복수의 제 2 애자 커버 조각(1144) 및 암수 잠금장치(1125, 1126)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 3 커버부(1140)를 구성하는 제 4 절연 고무막(1141), 복수의 제 1 애자 커버 조각(1142), 다수의 제 5 절연 고무줄(1143), 복수의 제 2 애자 커버 조각(1144) 및 암수 잠금장치(1125, 1126)는 제 2 커버부(1120)를 구성하는 제 1 절연 고무막(1121), 복수의 제 1 클램프 커버 조각(1122), 다수의 제 2 절연 고무줄(1123), 복수의 제 2 클램프 커버 조각(1124) 및 암수 잠금장치(1125, 1126)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과 작용을 하므로 중복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제 2 커버부(1120)의 타측 끝단은 다수의 제 3 절연고무줄(1130)에 의하여 제 3 커버부(1140)의 일측끝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절연고무막(1121)과 제 4 절연고무막(1141)은 평편하게 막혀 있어 비 또는 눈의 내부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각각 다수로 이루어지는 제 2 절연고무줄(1123), 제 3 절연고무줄(1130), 제 5 절연고무줄(1143)은 사이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하여 공기의 유통을 원활하게 하므로 열을 식혀 줄 수 있다.
첨부된 도 2 는 절연커버(1100)를 펼친 전개도이며 오른쪽에 A-A'의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개폐구동장치(1200)는 철탑의 완철에 고정되는 동시에 절연커버(1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폐모터부(1310)가 구동되어 절연커버(1100)를 덮어 폐쇄시키므로 외부로부터 보호하거나 외부에 노출되도록 열어 개방시킨다.
개폐구동장치(1200)는 랙기어부(1210), 피니언기어부(1220), 가변신장부(1230), 제 1 덮개부(1240), 제 2 덮개부(12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랙기어부(1210), 피니언기어부(1220), 가변신장부(1230) 및 개폐모터부(1310)를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과 이물질 등의 유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상자부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자부는 매우 일반적인 구성에 포함되므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는 동시에 구체적인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상자부는 철탑 상부의 완철에 일반적인 방식으로 고정된다. 랙기어부(1210)는 개폐모터부(1310)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것으로 원반형상을 하는 외주연에 일정하게 형성된 외치 기어이며 개폐모터부(1310)의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랙기어부(1210)는 개폐모터부(1310)의 회전축이 좌회전하면 함께 좌회전하고 우회전하면 함께 우회전한다. 피니언기어부(1220)는 랙기어부(1210)의 기어에 대응되는 형상의 기어를 일측면에 형성하며, 랙기어부(1210)에 해당 기어가 맞물린 상태이면서 상하 방향으로 수직 승하강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하단 끝부분에 제 1 힌지부(1222)를 형성한다.
가변신장부(1230)는 피니언기어부(1220)의 하단에 형성된 제 1 힌지부(1222)에 일측 끝단이 회동상태로 연결되어 피니언기어부(1220)가 상승하면 전체 길이가 장하고 피니언기어부(1220)가 하강하면 전체 길이가 축소되는 구성이다. 가변신장부(1230)는 제 1 개폐막대(1231), 제 2 개폐막대(1232), 제 3 개폐막대(1236), 제 4 개폐막대(1237),개폐축(1237)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 1 개폐막대(1231)와 제 2 개폐막대(1232)는 각각의 일측 끝단 부분을 제 1 힌지부(1222)에 회동상태로 설치하고 타측 끝단 부분은 각각 제 2 힌지부(1233)와 제 3 힌지부(1234)를 형성한다. 제 3 개폐막대(1236)는 일측 끝단 부분을 제 2 힌지부(1233)에 회동상태로 설치하고 중간 부분은 개폐축(1235)에 회동상태로 설치된다.
제 4 개폐막대(1237)는 일측 끝단 부분을 제 3 힌지부(1234)에 회동상태로 설치하고 중간 부분은 개폐축(1235)에 회동상태로 설치된다. 즉, 제 3 개폐막대(1236)와 제 4 개폐막대(1237)는 개폐축(1237)에 회동상태로 결합하므로 영어 알파벳의 엑스(X)자 형상으로 설치된다.
개폐축(1235)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개폐모터부(1310), 피니언기어부(1220), 개폐축(1235)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상자부에 설치될 수 있고, 설치되는 방식은 일반적인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해당하지 아니하므로 도면으로 도시 및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제 1 덮개부(1240)는 제 3 개폐막대(1236)의 타측 끝단에 일측부의 상단이 고정되며 타측부의 상단에 형성된 돌기부가 개폐축(1235)의 타측 끝단에 회동상태로 설치되며 원호형상과 장방형상을 한다.
제 1 덮개부(1240)는 개폐축(1235)과 평행한 상태로 설치된다. 제 2 덮개부(1250)는 제 4 개폐막대(1237)의 타측 끝단에 일측부의 상단이 고정되며 타측부의 상단에 형성된 돌기부가 개폐축(1235)의 타측 끝단에 회동상태로 설치되며 원호형상과 장방형상을 하고, 개폐축(1235)과 평행한 상태로 설치된다.
개폐구동장치(1200)는 개폐모터부(1310)의 회전축에 설치된 랙기어부(1210)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에 의하여 피니언기어부(1220)가 상승하거나 하강하고, 피니언기어부(1220)의 상승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덮개부(1240, 1250)가 개폐축(1235)을 중심으로 오므려지며 피니언기어부(1220)의 하강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덮개부(1240, 1250)는 개폐축(1235)을 중심으로 양쪽 방향으로 벌어지므로 펼쳐진다.
제 1 및 제 2 덮개부(1240, 1250)의 사이에는 현수애자, 인류클램프, 배전선의 외부를 감싼 절연커버(1100)가 설치되므로 제 1 및 제 2 덮개부(1240, 1250)가 오므려지면서 절연커버(1100)를 덮어 보호하고 제 1 및 제 2덮개부(1240, 1250)가 펼쳐지면서 절연커버(1100)가 노출되도록 개방시킨다.
보호회로부(1300)는 개폐모터부(1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풍속과 빗물을 검출하는 기준값을 무선인터넷으로 수신하여 기록과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거나 이하로 풍속과 빗물이 검출되면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보호회로부(1300)는 개폐모터부(1310),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1320), 무선인터넷부(1330), 풍속센서부(1340), 빗물 검출부(1350)를 포함한다.
개폐모터부(1310)는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13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정해진 횟수로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는 구성이며, 도시되지 않은 상자부 또는 완철에 일반적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1320)는 개폐모터부(1310)에 접속하고 풍속과 빗물이 설정된 소정의 기준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개폐모터부(1310)를 좌회전시키거나 또는 우회전시키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므로 개폐구동장치(1200)를 개방시키거나 또는 개폐구동장치(1200)를 폐쇄시킨다.
무선인터넷부(1330)는 접속된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1320)로부터 인가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무선인터넷으로 지정된 상대방과 접속하며 풍속 검출의 기준값과 빗물 검출의 기준값과 운용 정보가 포함되는 데이터들을 수신하며, 수신된 데이터들은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1320)에 전달된다.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1320)는 입력된 각종 데이터들을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무선인터넷부(1330)는 고유 번호 또는 주소를 할당받고 있으므로 지정된 상대방을 호출하거나 또는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될 수 있으며, 송신 및 수신에 의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므로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동시에 자가 진단 등으로 검출된 각종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1320)는 풍속센서부(1340)와 빗물검출부(1350)를 감시하여 각각 검출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입력 및 분석하며, 분석된 데이터의 판단 기준은 해당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어 설정된 소정의 기준값을 사용한다.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1320)는 설정된 소정의 기준값과 검출된 각각의 값을 비교하여 개폐모터부(131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개폐모터부(131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은 개폐구동장치(1200)의 개방, 폐쇄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첨부된 도 5 를 참조하여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1320)의 운용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는 풍속센서부와 빗물검출부를 제어하여 풍속을 측정하는 동시에 빗물을 검출하고, 측정과 검출된 해당데이터를 입력받는다(S2100)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는 측정된 풍속값을 분석하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풍속값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하며(S2200), 측정된 풍속값이 기준값 이하이면 빗물을 검출한 값을 분석하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빗물 값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300)
풍속값이 기준값 이상으로 측정되면 바람이 허용한계를 넘어 심하게 부는 것이며, 빗물값이 기준값 이상으로 검출되면 허용한계를 넘어 많은 량의 비가 나리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에 의하여 풍속이 심하거나 또는, 비가 많이 오는 경우로 판단되면 개폐구동장치가 폐쇄상태로 설정되어 비바람으로부터 절연커버를 보호하도록 개폐모터부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2400)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는 풍속이 약한 동시에 빗물이 기준 이하로 검출되는 경우 개폐구동장치를 개방상태로 설정하므로 절연커버에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되어 발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해당 제어신호를 개폐모터부에 출력한다(S2500) 배전선 등에서는 자체 저항에 의하여 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밀폐된 상태가 유지되면 열이 더욱 상승하여 절연커버(1100)의 절연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의 원활한 유통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 제공방법은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가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단계; 상기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가 현장에 하적수단에 의하여 하적되는 단계; 상기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가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는 주차 관리기를 포함한다.
주차 관리기는 일측에 급수호스(12)가 연결되는 급수관(11)의 중심 하부측에 다수의 살수구멍(13)이 천공되어 지지프레임(14)을 매개로 콘크리트블록(60)의 상면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체결구(15)로 고정되는 물세척부재(10)와, 한쪽방향으로 경사기울기를 갖는 경사판(21)의 양쪽 선단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서로 마주하게 대향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물세척부재(10)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일측단부가 콘크리트블록(60)의 상면에 체결구(15)를 매개로 고정 되는 제1쓰레기이송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주차 관리기의 구성물,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하적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방역용 유체분사를 수행하되,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은, 중앙몸체(11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부로 주변의 촬영대상이 기 설정된 대상에 해당되는지 촬영 및 판단하는 판단모듈(114')이 구비되는 상방거치몸체(112')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일측으로 출몰되는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중앙몸체(110')의 타측으로 출몰되는 제2이동패널(118')과,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2묻힘패널(122')과,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탈거에 기반하는 교체형으로 장착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현장(P')에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제1유체와, 소독을 위한 제2유체를 분사한다.
아울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구조체(221')와,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분사구조체(221') 로부터 모터회전방식을 회전구동되는 가변구조체(222')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양측 상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상부이동체(310')와, 양측 하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하부이동체(316')와,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와 대향하는 제1간격유지패널(312')과,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양측으로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와 대향하는 제2간격유지패널(314')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에는 하부에 제1-1함입부와 제1-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부에는 제2-1함입부와 제2-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하부에는 제3-1함입부와 제3-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상부에는 제4-1함입부와 제4-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하부에는 제5-1함입부와 제5-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에는 상부에 제6-1함입부와 제6-2함입부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제1-1함입부와 상기 제2-1함입부 사이 제1-1영역(S1')에 거치 장착되는 제1유체분사모듈(211')과, 상기 제1-2함입부와 상기 제2-2함입부 사이 제1-2영역(S2')에 거치 장착되는 제2유체분사모듈(212')과, 상기 제2-1함입부와 상기 제3-1함입부 사이 제2-1영역(S3')에 거치 장착되는 제3유체분사모듈(213')과, 상기 제2-2함입부와 상기 제3-2함입부 사이 제2-2영역(S4')에 거치 장착되는 제4유체분사모듈(214')과, 상기 제3-1함입부와 상기 제4-1함입부 사이 제3-1영역(S5')에 거치 장착되는 제5유체분사모듈(215')과, 상기 제3-2함입부와 상기 제4-2함입부 사이 제3-2영역(S6')에 거치 장착되는 제6유체분사모듈(216')을 포함한다.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상기 중앙몸체(110')에서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은 하부에 상기 제1묻힘패널(120')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1저면유동체(116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하부에 상기 제2묻힘패널(122')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2저면유동체(1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에서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은 각기 수평방향으로 각기 슬라이딩 유동되어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력에 기반하여 상기 중앙몸체(110')는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하여 연동고정이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 내지 상기 제6유체분사모듈(216')은 상기 거치 장착상태에서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수평방향간에 둘레회전으로 회전힘을 가하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이 상기 상방거치몸체(112'),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에서 장착 고정력이 강화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묻힘패널(120')의 상부에는 제1외측패널(124')이 구비되며, 상기 제1외측패널(124')은 내측으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1가변구동체(1241, 1242')가 구비되며, 상기 제2묻힘패널(122')의 상부에는 제2이동패널(118')이 구비되며,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내측으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2가변구동체(1261',1262')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각각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측으로 슬라이딩형태로 이동되며, 상기 제1가변구동체(1241,1242')는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일측에서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의 상부면과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의 하부면을 눌러 고정하며, 상기 제2가변구동체(1261',1262')는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타측에서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의 상부면과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의 하부면을 눌러 고정한다.
상기 제1이동패널(116') 및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각각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을 상하로 눌러 가압하는 제1접촉모듈(411')과 상기 제3유체분사모듈(213')을 눌러 가압하는 제2접촉모듈(412')과 상기 제5유체분사모듈(215')을 상하로 눌러 가압하는 제3접촉모듈(413')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상기 제1-1영역(S1')과 상기 제1-2영역(S2') 사이로 출몰되는 제1세로몸체(511')와, 상기 제1세로몸체(511')에서 상기 제1-1영역(S1')의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과 상기 제1-2영역(S2')의 제2유체분사모듈(212')을 각각 누르도록 출몰되는 제1가로몸체(52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는, 상기 제2-1영역(S3')과 상기 제2-2영역(S4') 사이로 출몰되는 제2세로몸체(512')와,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에서 상기 제2-1영역(S3')의 상기 제2유체분사모듈(212')과 상기 제2-2영역(S4')의 제3유체분사모듈(213')을 각각 누르도록 출몰되는 제2가로몸체(522')가 구비된다.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는, 상기 제3-1영역(S5')과 상기 제3-2영역(S6') 사이로 출몰되는 제3세로몸체(513')와,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에서 상기 제3-1영역(S5')의 상기 제3유체분사모듈(213')과 상기 제3-2영역(S6')의 제4유체분사모듈(214')을 각각 누르도록 출몰되는 제3가로몸체(523')가 구비된다.
한편 여기서의 현장(P)은 본 발명의 설비가 위치되는 제1현장(P1)과, 상기 제1현장(P1)으로 진입하기 위한 게이트에 해당되는 제3현장(P3)과 상기 제1현장(P1)과 상기 제3현장(P3) 사이에서 위치되는 제2현장(P2)을 포함한다. 여기서의 적어도 상기 제2현장(P2)은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이 배치 혹은 설치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 몸체 11 ; 손잡이
12 ; 발광표시부 13 ; 연결편
14 ; 힌지 15 ; 슬라이드홈

Claims (2)

  1. 가공배전용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설비에 있어서,
    감전사고 예방설비는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고, 상기 감전사고 예방설비가 현장에 하적수단에 의하여 하적되며, 상기 감전사고 예방설비가 상기 현장에 설치되되,
    상기 감전사고 예방설비는 절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장치는,
    배전선, 현수애자, 인류클램프의 외부를 각각의 크기에 따라 감싸면서 절연시키는 절연커버(1100); 철탑의 완철에 고정되며 상기 절연커버(1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폐모터부(1310)가 구동되어 상기 절연커버(11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덮어 폐쇄시키거나 외부에 노출되도록 열어개방시키는 개폐구동장치(1200)를 포함하며,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절연장치의 구성물,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하적수단에 대한 방역용 유체분사를 수행하되,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은,
    중앙몸체(11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부로 주변의 촬영대상이 기 설정된 대상에 해당되는지 촬영 및 판단하는 판단모듈(114')이 구비되는 상방거치몸체(112')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일측으로 출몰되는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중앙몸체(110')의 타측으로 출몰되는 제2이동패널(118')과,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2묻힘패널(122')과,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탈거에 기반하는 교체형으로 장착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을 포함하되,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현장(P')에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제1유체와, 소독을 위한 제2유체를 분사하며,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구조체(221')와,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분사구조체(221') 로부터 모터회전방식을 회전구동되는 가변구조체(222')를 포함하며,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양측 상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상부이동체(310')와,
    양측 하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하부이동체(316')와,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와 대향하는 제1간격유지패널(312')과,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양측으로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와 대향하는 제2간격유지패널(314')을 포함하되,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에는 하부에 제1-1함입부와 제1-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부에는 제2-1함입부와 제2-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하부에는 제3-1함입부와 제3-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상부에는 제4-1함입부와 제4-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하부에는 제5-1함입부와 제5-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에는 상부에 제6-1함입부와 제6-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제1-1함입부와 상기 제2-1함입부 사이 제1-1영역(S1')에 거치 장착되는 제1유체분사모듈(211')과,
    상기 제1-2함입부와 상기 제2-2함입부 사이 제1-2영역(S2')에 거치 장착되는 제2유체분사모듈(212')과,
    상기 제2-1함입부와 상기 제3-1함입부 사이 제2-1영역(S3')에 거치 장착되는 제3유체분사모듈(213')과,
    상기 제2-2함입부와 상기 제3-2함입부 사이 제2-2영역(S4')에 거치 장착되는 제4유체분사모듈(214')과,
    상기 제3-1함입부와 상기 제4-1함입부 사이 제3-1영역(S5')에 거치 장착되는 제5유체분사모듈(215')과,
    상기 제3-2함입부와 상기 제4-2함입부 사이 제3-2영역(S6')에 거치 장착되는 제6유체분사모듈(216')을 포함하되,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상기 중앙몸체(110')에서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은 하부에 상기 제1묻힘패널(120')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1저면유동체(116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하부에 상기 제2묻힘패널(122')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2저면유동체(1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에서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은 각기 수평방향으로 각기 슬라이딩 유동되어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력에 기반하여 상기 중앙몸체(110')는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하여 연동고정이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 내지 상기 제6유체분사모듈(216')은 상기 거치 장착상태에서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수평방향간에 둘레회전으로 회전힘을 가하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이 상기 상방거치몸체(112'),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에서 장착 고정력이 강화되도록 하고,
    상기 제1묻힘패널(120')의 상부에는 제1외측패널(124')이 구비되며, 상기 제1외측패널(124')은 내측으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1가변구동체(1241, 1242')가 구비되며,
    상기 제2묻힘패널(122')의 상부에는 제2이동패널(118')이 구비되며,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내측으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2가변구동체(1261',1262')가 구비되는,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상기 중앙몸체(110')에서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은 하부에 상기 제1묻힘패널(120')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1저면유동체(116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하부에 상기 제2묻힘패널(122')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2저면유동체(1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에서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은 각기 수평방향으로 각기 슬라이딩 유동되어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력에 기반하여 상기 중앙몸체(110')는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하여 연동고정이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 내지 상기 제6유체분사모듈(216')은 상기 거치 장착상태에서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수평방향간에 둘레회전으로 회전힘을 가하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이 상기 상방거치몸체(112'),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에서 장착 고정력이 강화되도록 하고,
    상기 제1묻힘패널(120')의 상부에는 제1외측패널(124')이 구비되며, 상기 제1외측패널(124')은 내측으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1가변구동체(1241, 1242')가 구비되며,
    상기 제2묻힘패널(122')의 상부에는 제2이동패널(118')이 구비되며,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내측으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2가변구동체(1261',1262')가 구비되는, 가공배전용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설비.
  2. 삭제
KR1020220072294A 2022-06-14 2022-06-14 가공배전용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설비 제공방법 KR102505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294A KR102505567B1 (ko) 2022-06-14 2022-06-14 가공배전용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설비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294A KR102505567B1 (ko) 2022-06-14 2022-06-14 가공배전용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설비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567B1 true KR102505567B1 (ko) 2023-03-06

Family

ID=8550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294A KR102505567B1 (ko) 2022-06-14 2022-06-14 가공배전용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설비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5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168B1 (ko) * 2012-03-15 2012-07-11 진우전기감리(주)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 장치
KR20160075199A (ko) * 2014-12-19 2016-06-29 이강훈 광고효과를 갖는 자동이동장치용 핸드레일
KR101781915B1 (ko) 2017-08-02 2017-09-26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공동주택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102277658B1 (ko) * 2020-09-22 2021-07-15 주식회사 양양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168B1 (ko) * 2012-03-15 2012-07-11 진우전기감리(주)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 장치
KR20160075199A (ko) * 2014-12-19 2016-06-29 이강훈 광고효과를 갖는 자동이동장치용 핸드레일
KR101781915B1 (ko) 2017-08-02 2017-09-26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공동주택의 전기 배관 보호장치
KR102277658B1 (ko) * 2020-09-22 2021-07-15 주식회사 양양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17239B2 (en) Cabinet with built-in cooling system
JP4279145B2 (ja) 電流バスを有する風力エネルギープラント
KR101525985B1 (ko) 승하강 방식의 지중 매립형 배전반의 시공구조
KR101256985B1 (ko) 수동형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KR101164168B1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 장치
US7578099B2 (en) Protective enclosure apparatus temporarily attachable to a utility pole base
KR100589641B1 (ko) 애자 청소용 로봇과 그 청소방법
EP3263803B1 (en) Substation
US20080217053A1 (en) Insulation barrier for high voltage power lines and method of installation of same
KR101219137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101995327B1 (ko) 배전용 케이블 단락 보강 장치
JP2005033863A (ja) 乾式高圧負荷システム装置及び同装置の連鎖断線・アーク放電防止方法
KR102505567B1 (ko) 가공배전용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설비 제공방법
KR102296160B1 (ko) 배전선로가 연결된 변압기 설치용 낙뢰방지장치
WO2017046322A1 (en) Mobile access control system
CA2816212A1 (en) Electric mover for swing away conveyor
CN114731036A (zh) 地埋设备
KR101440799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102193397B1 (ko) 배전용 전주의 피뢰접지 구조물
KR101673170B1 (ko) 배전선 안착용 전선라인 절연대
KR100978892B1 (ko) 지상개폐기의 결로방지용 차단장치 및 그 설치방법
CN107635369B (zh) 一种散热与防水性能良好的航空箱
KR20150017946A (ko) 상사점과 하사점이 설정된 승하강식 볼라드
KR102356744B1 (ko) 배전선로의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US5255150A (en) Grounding device for power l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