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296B1 - Ai and blockchain-based warehouser user system, and warehouse use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i and blockchain-based warehouser user system, and warehouse use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296B1
KR102505296B1 KR1020220065941A KR20220065941A KR102505296B1 KR 102505296 B1 KR102505296 B1 KR 102505296B1 KR 1020220065941 A KR1020220065941 A KR 1020220065941A KR 20220065941 A KR20220065941 A KR 20220065941A KR 102505296 B1 KR102505296 B1 KR 102505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ehouse
information
blockchain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9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티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티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티인터내셔널
Priority to EP22186213.9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31188A1/en
Priority to US17/876,526 priority patent/US20230267513A1/en
Priority to CN202211083449.XA priority patent/CN1167032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2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 G06Q10/08345Pr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based and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and warehouse use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I-based and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and warehouse use method using the same, which enable a user to identify the use state of warehouses for each region and have greater security. The warehouse use system using a blockchain, in which a plurality of nodes ar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es: a plurality of warehouse owner terminals which are nodes of the blockchain and generate data blocks, including warehouse information, to store the same in the blockchain; and a user terminal which is a node of the blockchain and outputs class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classifying a plurality of pieces of warehouse information stored in the blockchain for each region. At least one of the warehouse owner terminals and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recommendation unit which recommends any one of a plurality of warehouses by using the warehouse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Description

AI와 블록체인 기반 창고 이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창고 이용 방법{AI AND BLOCKCHAIN-BASED WAREHOUSER USER SYSTEM, AND WAREHOUSE USE METHOD USING THE SAME}AI and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and warehouse use method using the same {AI AND BLOCKCHAIN-BASED WAREHOUSER USER SYSTEM, AND WAREHOUSE US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AI와 블록체인 기반 창고 이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창고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지역 별로 창고들의 사용 현황을 파악할 수 있고, 보안이 향상된 AI와 블록체인 기반 창고 이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창고 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 and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and a warehouse use method using the same. It is about how to use the warehouse using it.

창고란 물건이나 자재를 저장하거나 보관하는 건물이다. 일반적으로 화주는 창고의 위치, 크기, 사용시간 등에 의해 결정되는 사용료를 지불하고 상기한 창고를 이용하게 된다.A warehouse is a building in which goods or materials are stored or stored. In general, the shipper pays a usage fee determined by the location, size, usage time, etc. of the warehouse and uses the warehouse.

블록체인이란 거래정보를 기록한 원장 데이터를 중앙 서버가 아닌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모든 공동체가 거래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P2P 거래를 지향하는 탈중앙화를 핵심 개념으로 하는 기술이다.Blockchain is a technology whose core concept is decentralization, which aims for P2P transactions in which all communities participating in the network record and manage transactions, rather than a central server, for ledger data that records transaction information.

블록체인에서 '블록'은 개인과 개인의 거래(P2P)의 데이터가 기록되는 장부가 된다.In a blockchain, a 'block' becomes a ledger in which data of individuals and individuals' transactions (P2P) are recorded.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는 금융회사들이 중앙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해 온 반면, P2P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에서는 거래 정보를 상기한 블록에 담아 차례대로 연결하고 이를 모든 참여자가 공유한다.In the existing financial system, financial companies have kept transaction records in the central server, but in the blockchain based on the P2P method, transac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above blocks and connected in turn, and all participants share them.

기존에는 데이터를 위조 또는 변조하기 위해 중앙 서버들을 공격하면 되었지만,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분산저장하기 때문에 위조 또는 변조가 어려운 장점이 있다,Previously, it was sufficient to attack central servers to forge or falsify data, but blockchain has the advantage of being difficult to falsify or falsify because data is distributed and stored.

한편, 종래의 기술인 공개특허 제10-2015-0066178호(이하 종래기술)는 자재 유통상태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자재 보관 처(예컨대, 창고)에 부착된 근거리 무선통신-칩과 통신하여, 창고 내의 재고내역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prior art Publicatio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6617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relates to a material distribution status support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ttached to each material storage location (eg, warehouse) By communicating with, it is possible to grasp the inventory details in the warehouse.

화주들은 상기한 창고에서 재고 상태를 파악하고, 창고를 사용하기 위해 차주(창고주)에 연락을 하게 되는데, 상기한 종래기술은 한 개의 창고에 재고 상태 유무를 파악할 수는 있지만 본인이 원하는 지역에 존재하는 창고들의 사용 상태 유무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보안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Shippers check the stock status in the warehouse and contact the borrower (warehouse owner) to use the warehouse. The above prior art can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ventory in one warehouse,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existing warehouses were in use,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security was weak.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안이 우수하며, 화주(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의 창고들의 사용 상태 유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AI와 블록체인 기반 창고 이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창고 이용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has excellent security, and an AI and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that enables shippers (users) to grasp the use status of warehouses in a desired area and a warehouse use method using the sam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창고주들 또한 지역별 창고 사용 상태 유무를 파악할 수 있는 AI와 블록체인 기반 창고 이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창고 이용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 and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and a warehouse use method using the same, in which a plurality of warehouse owners can als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rehouse use by region.

또한 화주가 비용을 고려하여 창고 예약을 할 수 있는 AI와 블록체인 기반 창고 이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창고 이용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aims to provide an AI and blockchain-based warehouse usage system that allows shippers to make warehouse reservations in consideration of cost and a warehouse usage method using the same.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복수의 노드들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창고 이용 시스템으로서, 상기 블록체인의 노드이고, 창고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복수의 창고주 단말; 및 상기 블록체인의 노드이고,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된 복수의 창고정보들을 지역 별로 분류하여 생성된 분류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A warehouse use system using a block chain in which a plurality of nodes ar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plurality of warehouse owner terminals that are nodes of the block chain and generate data blocks including warehouse information and store them in the block chain; and a user terminal that is a node of the block chain and outputs class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classifying a plurality of warehouse information stored in the block chain by region.

또한 상기 블록체인의 노드인 운영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창고주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 상기 운영자 단말 중 하나 이상은 다수의 지역이 표시된 지도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지도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지도정보에서 다수의 지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정보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선택정보를 수신하여 다수의 지역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분류정보를 상기 출력부로 전송하는 매칭부, 및 창고 사용에 관한 예약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예약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operator terminal, which is a node of the blockchain, is further included, and at least one of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nd the operator terminal generates a data block including map information displaying a plurality of regions and stores it in the blockchain. The user terminal includes an output unit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map information, an input unit for generating selection information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regions from the map information, and receiving the selection information and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regions. It may include a matching unit that transmits class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utput unit, and a reservation unit that generates and stores a data block including reservation information on warehouse use in the blockchain.

또한 상기 블록체인의 노드인 운영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창고주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영자 단말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출발지 위치정보와 상기 창고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이동거리와 화물차량의 운행비용을 이용하여 운송비용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운송비용과 상기 창고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창고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는 추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n operator terminal that is a node of the blockchain, and at least one of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nd the operator terminal uses the departur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warehous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to move the distance. a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transport cost by using the travel distance and the operating cost of the freight vehicle; and a recommendation unit recommending one of a plurality of warehouses using the transportation cost and the warehouse information.

블록체인 기반 창고 이용 시스템을 이용한 창고 이용 방법으로서, 상기 창고주 단말을 통해 상기 창고장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S1);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복수의 창고정보들을 지역 별로 분류하여 생성된 상기 분류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2);를 포함한다.A warehouse use method using a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comprising: generating a data block including the warehouse information through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and storing the data block in the block chain (S1); and outputting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classifying a plurality of warehouse information by reg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S2).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보안이 우수하며, 화주가 원하는 지역의 창고들의 사용 상태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is excellent in security, and has an effect of being able to determine the use status of warehouses in a desired area by a shipper.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창고주들 또한 지역별 창고 사용 상태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plurality of warehouse owners can also determine whether or not a warehouse is used by region.

또한 화주가 비용을 고려하여 창고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it has an effect that the shipper can perform a warehouse reservation in consideration of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창고 이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블록체인 기반 창고 이용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용자들과 창고 예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창고 이용 시스템을 이용한 창고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지도정보와 분류정보(지역별 창고정보)가 출력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산출부가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A STAR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블록체인의 계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블록체인 내의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가 액세스 장치로 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서 점선들이 출력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서 채움아이콘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예측 기술 구조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2는 예측 모듈을 설명하기 위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warehouse reservation process with users using a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3 is a schematic flowchart for explaining a warehouse use method using a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map information 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warehouse information by region) are output.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movement distance by a calculation unit.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A STAR algorithm.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hierarchy of a block chain.
Figure 8 is a schematic flow chart for explaining data in a block chain and the data going to an access device.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dotted lines are output in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filling icons in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rediction technology structural diagram.
1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rediction modul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the implementation example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spect, aspect, aspect) (or embodiment),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ing~ or ~consisting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First~, ~Second~,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only be referred to to distinguish different components from each other, regardless of the manufacturing order, and the name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may not match.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통신 가능하게 전기적 연결, 기계적 연결 포함)"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통신 가능하게 전기적 연결, 기계적 연결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s not only when it is “directly connected (including communicatively electrical connection and mechanical connection)”, but also when other elements are intervened therebetween. and "indirectly connected (including communicatively electrical connection and mechanical connection)".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 단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컨대,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컨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컨대,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eg, a program or application) includ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memory) readable by a machine (terminal). For example, the processor of the device may call at least one command among one or more commands stored from a storage medium and execute it. This may enable the device to be operated to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in accordance with the at least one command invoked. One or more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or code executable by an interpreter. The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ere, 'non-temporary' only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is a tangible device and does not contain a signal (e.g., electromagnetic wave), and this term refers to the case where data is stored semi-permanently in the storage medium and It does not discriminate when it is temporarily stored.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컨대,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컨대,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컨대,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수 있다.Method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included and provi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uter program products may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as commodities. A computer program product is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or directly between two user devices (eg, smartphones);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online. In the case of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part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created in a storage medium readable by a device such as a manufacturer's server, an application store server, or a relay server's memo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창고 이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블록체인 기반 창고 이용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용자들과 창고 예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창고 이용 시스템을 이용한 창고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지도정보와 분류정보(지역별 창고정보)가 출력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warehouse reservation process with users using a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3 is a schematic flowchart for explaining a warehouse use method using a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map information 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warehouse information by region) are outp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와 블록체인 기반 창고 이용 시스템(S)은 복수의 노드들이 통신망(유선 통신망 및 무선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블록체인과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창고 이용 시스템으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한다.The AI and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chai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which a plurality of nodes ar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t least one of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which will be referred to as 'this system'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분산형 원장 (Distributed Ledger) 기술인 블록체인 기술은, 컴퓨터 디바이스들이 참여하고 완전한 분산형 데이터베이스를 공동으로 유지하는 기술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분산화, 확장성, 투명성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컴퓨터 디바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기록에 참여할 수 있고, 그 사이에서 데이터베이스 동기화가 신속하게 구현될 수 있다.Blockchain technology, a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is a technology in which computer devices participate and jointly maintain a complete distributed database. Blockchain technology is characterized by decentralization, scalability and transparency. Each computer device can participate in a database record, and database synchronization between them can be quickly implemented.

블록체인은 가십 프로토콜(gossip protocol)을 기반으로 하는 P2P 네트워크 계층, 분산 노드간의 공통의 데이터를 합의하는 합의 알고리즘(consensus algorithm), (3) 합의된 상태를 저장하는 머클 트리(Merkle tree) 형태의 자료구조, (4) 계정의 신원과 기록된 정보의 안전함을 보장하기 위한 디지털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어 있다. 블록체인은 위의 네 가지 요소가 결합된, 상태 변화를 위해 트랜잭션을 사용하는, 쓰기만 가능한 무한 상태 기계(append-only infinite statemachine)라고 할 수 있다.Blockchain is a P2P network layer based on the gossip protocol, a consensus algorithm that agrees on common data between distributed nodes, and (3) a Merkle tree type that stores the agreed state. It consists of a data structure, (4) a digital encryption algorithm to ensure the identity of the account and the safety of recorded information. Blockchain can be described as an append-only infinite state machine that uses transactions to change state, combining the above four elements.

블록체인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Blockchain is a well-known technology used in various field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창고 이용 시스템(S))은 복수의 창고주 단말(1), 및 사용자 단말(2)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present system (a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warehouse owner terminals 1 and user terminals 2.

창고주 단말(1)은 상기 블록체인의 노드이고(블록체인의 노드로서 참여하고), 창고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노드들에 저장)하는 것이다(도 3의 (S1) 참조). 상기 창고주 단말(1)은 본 시스템에서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is a node of the blockchain (participating as a node of the blockchain), and generates a data block including warehouse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blockchain (stored in nodes) (see FIG. 3). (see S1)). A plurality of the warehouse owner terminals 1 may be provided in this system.

창고주 단말(1)은 창고주가 사용하는 단말(예시적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고, 상기 창고주 단말(1)은 상기 창고주 단말(1)의 입력 모듈(예시적으로 터치스크린 등)을 통해 상기 창고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창고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한다.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is a terminal (eg, a smartphone, tablet, PC, etc.) used by the warehouse owner, and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is an input module (eg, a touch screen) of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etc.), the warehouse information is received and a data block including the warehouse information is created.

여기에서 창고정보란 창고의 위치, 시간대별 사용 가능 여부, 사용 비용, 창고주 정보, 창고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warehous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location of the warehouse, availability by time zone, usage cost, warehouse owner information, warehouse size, and the like.

상기한 창고주 단말(1),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2) 및 운영자 단말(3) 등은 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제어 구성(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세서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 또는 전자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한 창고주 단말(1),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2) 및 운영자 단말(3) 각각은 그에 포함된 프로그램이나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된 신호나 명령을 상기한 창고주 단말(1),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2) 및 운영자 단말(3) 각각에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창고주 단말(1),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2) 및 운영자 단말(3) 각각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한 창고주 단말(1),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2) 및 운영자 단말(3) 각각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the user terminal 2, and the operator terminal 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applied with various control configurations (eg, various electronic devices or electronic modules such as computers and processor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xemplarily, each of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the user terminal 2, and the operator terminal 3 described later uses a signal or command generated according to a program or algorithm included in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o each of the user terminal 2 and the operator terminal 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the user terminal 2 and the operator terminal 3 described later are provided separately, and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the user terminal 2 and the operator terminal described later are separately provided. (3) It can be connected with each wired or wirelessly.

상술하였듯이 창고주 단말(1)은 상기 블록체인의 노드라고 하였기 때문에, 창고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은 창고주 단말(1)에 저장(등록)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is a node of the blockchain, a data block including warehouse information can be stored (registered) in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2)은 블록체인의 노드(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노드)이고,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된 복수의 창고정보(복수의 창고주 단말(1) 각각으로부터 입력 받은 창고정보)들을 지역 별로 분류하여 생성된 분류정보를 출력한다.1 to 4, the user terminal 2 is a block chain node (a node participating in the block chain), and a plurality of warehouse information stored in the block chain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warehouse owner terminals 1) The input warehouse information) is classified by region and the generated classification information is output.

상기 창고주 단말(1), 사용자 단말(2), 후술하는 운영자 단말(3), 및 기타 노드인 단말(예를 들어 운송자 단말)들을 사용하는 창고주, 사용자, 운영자, 운송자 등은 개인키, 패스코드 등에 의해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 블록의 액세스가 가능하다.The warehouse owner, user, operator, transporter, etc. using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the user terminal 2, the operator terminal 3 to be described later, and terminals that are other nodes (for example, transporter terminals) use a private key, It is possible to access the data block stored in the block chain by using a passcode or the like.

사용자 단말(2)은 창고주 단말(1)과 마찬가지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고, 창고 사용자인 화주가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Like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the user terminal 2 may be a smart phone, a tablet, a PC, or the like, and may be used by a shipper who is a warehouse user.

상기 분류정보는 상기 블록체인 상에 저장된 창고정보들을 지역 별로 분류하여 생성된 것이라고 하였는데, 상기 분류정보는 창고주 단말(1), 사용자 단말(2), 후술하는 운영자 단말(3), 및 후술하는 운송자 단말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된 것일 수 있고, 상기한 분류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은 블록체인 상에 등록 저장될 수 있다.It was said that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was created by classifying warehouse information stored on the block chain by region. One or more of the transporter terminals may be created, and the data block including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may be registered and stored on the blockchain.

상기한 사용자 단말(2)은 상기 분류정보를 수신하여 출력 모듈(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 may receive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output it through an output module (eg, a display devic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시스템은 블록체인의 노드인 운영자 단말(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운영자 단말(3)은 본 시스템에서 운영자(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or terminal 3, which is a node of a block chain, and the operator terminal 3 may be a terminal used by an operator (manager) in the system.

이때 창고주 단말(1), 사용자 단말(2), 운영자 단말(3) 중 하나 이상은 다수의 지역이 표시된 지도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At this time, one or more of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the user terminal 2, and the operator terminal 3 may generate a data block including map information indicating a plurality of regions and store it in the blockchain.

이때 사용자 단말(2)은 상기 지도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출력부(상기 출력 모듈과 상응하는 구성), 상기 지도정보에서 다수의 지역 중 어느 하나(이하 제1지역)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선택정보를 생성하는 입력부(입력 모듈과 상응하는 구성), 상기 선택정보를 수신하여 다수의 지역 중 어느 하나(제1지역)에 해당하는 분류정보를 상기 출력부로 전송하는 매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 inputs an output unit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output modul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map information, and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regions (hereinafter, the first region) from the map information. An input unit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module) that receives and generates selection information, and a matching unit that receives the sel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class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one of a plurality of regions (first region) to the output unit. .

상기한 출력부가 상기 분류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데, 상기 분류정보는 지역별 창고정보들을 포함하므로, 출력정보는 제1지역의 창고정보들을 출력할 수 있다(도 3의 (S2) 및 도 4 참조).The output unit receives and outputs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Since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warehouse information by region, the output information can output warehouse information of the first region (see (S2) and 4 in FIG. 3). .

이와 같이, 본 시스템은 지역별 창고정보들을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2)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역별 창고의 상태와 사용 가능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system has the advantage of including the user terminal 2 that outputs warehous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status and availability of warehouses for each region.

특히 사용자 단말(2)이 상기한 출력부, 입력부 및 매칭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지도상에서 지역을 선택하여 창고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user terminal 2 includes the output unit, the input unit, and the matching un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select a region on the map and grasp warehouse information.

상술하였듯이 분류정보는 창고주 단말(1), 사용자 단말(2), 후술하는 운영자 단말(3), 및 운송자 단말 중 하나 이상이 생성한 것일 수 있다고 하였는데,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되기 때문에 창고주와 운영자 등 또한 지역별 창고정보들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one or more of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the user terminal 2, the operator terminal 3 described later, and the transporter terminal.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grasp warehouse information by region at the same time.

본 시스템은 창고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들이 블록체인의 노드들에 분산 저장되므로 금융 기관과 같이 중앙 서버가 불필요하여 해킹에 의한 데이터의 위/변조가 어려워 보안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This system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security because it is difficult to forge/falsify data by hacking because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warehouse information is distributed and stored in nodes of the blockchain, so a central server such as a financial institution is not required.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2)은 상기 입력부로부터 창고 사용에 관한 예약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예약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예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terminal 2 may further include a reservation unit for receiving reservation information regarding warehouse use from the input unit, generating a data block including the reservation information, and storing it in a block chain.

상기 예약정보는 창고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창고정보, 시간대, 사용자 인적사항, 보관 물품, 결제 여부 등의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serv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warehouse information including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warehouse, time zone, user personal information, stored goods, payment status, and the like.

이와 같이, 본 시스템은 예약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지역별 창고 상태를 파악하여 창고를 예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술하였듯이 예약정보가 블록체인에 저장된다고 하였기 때문에 전국의 창고주들 또한 지역별 창고 예약 여부를 파악할 수 있어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s such, the present system has an advantage in that a user can reserve a warehouse by identifying a warehouse state by region, including a reservation unit.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reserv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block chain, warehouse owners across the country also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tilize this data as they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 warehouse is reserved by region.

또한 운송자가 이용하고, 후술하는 블록체인의 기타 노드(4)인 운송자 단말 또한 상기한 예약정보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운송자가 예약정보와 창고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 또한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ransporter terminal, which is another node (4) of the block chain used by the transporter and described later, can also output the above reservation information,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transporter can grasp reservation information and warehouse information in real time.

도 5는 산출부가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A STAR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movement distance by a calculation unit.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A STAR algorithm.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창고주 단말(1), 상기 사용자 단말(2), 및 상기 운영자 단말(3)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사용자 단말(2)로부터 입력받은 출발지 위치정보와 상기 창고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1 to 6, at least one of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the user terminal 2, and the operator terminal 3 includes the departure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 and the It may include a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moving distance using the warehouse information.

상기 산출부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경로 네트워크를 선형/사각형/타원형 모델을 적용하여 좌표 데이터로 변환 및 ITS(지능형 교통시스템) 개념을 도입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창고 위치)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Th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distance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destination (warehouse location) by converting the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based route network into coordinate data by applying a linear/rectangular/elliptical model and introducing the concept of 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can

상기한 GIS(지리 정보 시스템)는 지리 공간 데이터를 캡쳐, 저장, 쿼리, 분석 및 표시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이다.The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escribed above is a computer system for capturing, storing, querying, analyzing and displaying geospatial data.

상기 산출부는 Stochastic Set-Covering 방법을 사용해 지도를 시각화 할 수 있다.The calculation unit may visualize a map using a stochastic set-covering method.

화주(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2)로부터 요구조건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요구조건 정보를 고려하여 영역을 할당(영역할당 알고리즘)함으로써 창고별로 최적의 차량 경로를 찾아낼 수 있다.The calculation unit can find the optimal vehicle route for each warehouse by receiving requiremen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 used by the shipper (user) and allocating regions (region allocation algorithm) in consideration of the requirement information.

또한 산출부는 A star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출발지에서 목표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lculation unit may search for an optimal path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using the A-star algorithm.

즉, 산출부는 사용자 단말(2)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출발지 위치정보와 창고정보에 포함되는 창고의 위치(목표지)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거리를 산출할 할 수 있다.That is, the calculation unit may calculate the moving distance us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starting point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2 and the location (destination) of the warehouse included in the warehouse information.

또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이동거리와 화물차량의 운행비용을 이용하여 운송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lculation unit may calculate the transport cost using the moving distance and the operating cost of the freight vehicle.

산출부는, GIS, ITS, Stochastic Set-Covering 방법, A star 알고리즘, 영역할당 알고리즘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출발지에서 목표지까지의 이동거리(최적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이동거리와 화물차량의 운행비용을 이용하여 운송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Th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travel distance (optimum travel distanc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through one or more of GIS, ITS, stochastic set-covering method, A-star algorithm, and area allocation algorithm, and calculates the travel distance and the operation of the freight vehicle. Transportation cost can be calculated using cost.

예시적으로 출발지에서 목표지까지의 이동거리는 3km이고, 특정 시간대 1km 당 화물차량의 연비와 인건비 등(운행비용)을 고려하여 상기 운송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Exemplarily, the moving distanc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is 3 km, and the transportation cost can be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fuel efficiency and labor cost (operating cost) of a cargo vehicle per 1 km in a specific time period.

상기 이동거리와 상기 운송비용을 포함하는 정보들은 마찬가지로 블록체인 상에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travel distance and the transportation cost can be stored on the blockchain as well.

창고주 단말(1), 상기 사용자 단말(2), 및 상기 운영자 단말(3)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운송비용과 상기 창고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창고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는 추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은 상기 추천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출력 모듈)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the user terminal 2, and the operator terminal 3 may generate recommendation information recommending one of a plurality of warehouses using the transportation cost and the warehouse information. can The user terminal 2 may receive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output it through an output unit (output module).

상기 추천부는 상기 운송비용과 상기 창고정보에 포함되는 사용 비용을 합산하여 최종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최종비용이 가장 적은 창고를 추천할 수 있다.The recommendation unit may calculate a final cost by summing the transportation cost and the usage cost included in the warehouse information, and recommend a warehouse having the lowest final cost.

이를 통해 사용자(화주)가 비용을 고려하여 창고를 예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rough th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shipper) can reserve the warehouse in consideration of cost.

상기한 기타 노드로 참여하는 운송자 단말 또한 상기한 산출부 및 추천부를 포함할 수 있다.Transporter terminals participating as the other nodes may also include the above calculation unit and recommendation unit.

본 시스템(예시적으로 창고주 단말(1), 사용자 단말(2), 운영자 단말(3) 중 하나 이상)은 서버(블록체인의 노드)를 4중화 고가용성 아키텍처(Scale Out 방식)로 설계하여 다수의 창고정보를 처리함에 따른 높은 트래픽을 대비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가용영역에서 장애가 발생 시 기능 분리로 장애 복구를 최소화 및 운용, 개발, 테스트 영역으로 할당하여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This system (eg, one or more of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user terminal (2), and operator terminal (3)) is designed with a server (blockchain node) as a quadruple high-availability architecture (Scale Out method) You can prepare for high traffic by processing a large number of warehouse information. In other words, when a failure occurs in one availability zone, it is possible to minimize failure recovery by separating functions and increase operational efficiency by allocating them to operation, development, and test zones.

또한 본 시스템(예시적으로 창고주 단말(1), 사용자 단말(2), 운영자 단말(3) 중 하나 이상)은 오토스케일을 이용하여 유저 접속량에 맞추어 자동으로 서버를 확장 및 축소시켜 서버 장애를 사전 예방 할 수 있다.In addition, this system (eg, one or more of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user terminal (2), and operator terminal (3)) automatically expands and contracts the serv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user access using auto scale to prevent server failur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시스템(예시적으로 창고주 단말(1), 사용자 단말(2), 운영자 단말(3) 중 하나 이상)은 유저가 데이터를 접근 시 받아오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영역계층으로 나누어 보다 원활한 구조로 받아 올 수 있도록 규칙화(CloudFront 기능)함으로써, 데이터 접근속도가 빨라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is system (eg, one or more of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user terminal (2), and operator terminal (3)) divides the data received when the user accesses data into network area hierarchies and receives them in a more seamless structure. By regularizing (CloudFront function) so that it can come, you can speed up data access.

또한 본 시스템(예시적으로 창고주 단말(1), 사용자 단말(2), 운영자 단말(3) 중 하나 이상)은 Amazon RDS 설계를 이용하여, 여러 서버에 데이터를 분산하여 백업저장 및 복구 하여 데이터 소실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is system (eg, one or more of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user terminal (2), and operator terminal (3)) uses the Amazon RDS design to distribute data to multiple servers to backup, store, and restore data Loss problems can be prevented.

또한 본 시스템(예시적으로 창고주 단말(1), 사용자 단말(2), 운영자 단말(3) 중 하나 이상)은 Amazon SQS를 이용하여 상기 예약정보 생성 시 알림 및 구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eg, one or more of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the user terminal 2, and the operator terminal 3) may provide notification and subscription services when the reserv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Amazon SQS.

도 7은 블록체인의 계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블록체인 내의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가 액세스 장치로 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hierarchy of a block chain. Figure 8 is a schematic flow chart for explaining data in a block chain and the data going to an access device.

기존의 물료 블록체인은 하이퍼레저 패브릭 기반의 허가형 블록체인으로 제작되어졌다. 해외에서는 패브릭의 개별 서버의 확장성이 낮아 안정적으로 가동되는 노드의 수가 평균적으로 4개에서 최대 8개로 구성된다. 대규모 서비스에서는 고객 규모에 따라 유연하게 수용될 수 없는 것이 문제이다.The existing material blockchain was created as a permissioned blockchain based on Hyperledger Fabric. Overseas, the scalability of individual servers in the fabric is low, and the number of nodes that operate reliably consists of 4 to 8 on average. The problem with large-scale services is that they cannot be flexibly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size of customers.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예시적으로 운영자 단말(3) 등)은 상기한 하이퍼레저 패브릭 기반의 허가형 블록체인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블록체인 구축 엔진으로 텐더민트 코어 엔진을 채택하였다.Referring to FIGS. 1, 7, and 8, this system (eg operator terminal 3, etc.) uses Tendermint Core as a blockchain construction engine to compensate for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Hyperledger Fabric-based permissioned blockchain. engine was adopted.

상기한 텐더민트 코어 엔진은, 초당 수 천개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블록체인의 큰 구조인 네트워킹 및 컨센서스 레이어를 기본엔진으로 제공함으로써 수백시간의 개발 작업을 단축할 수 있다.The Tendermint core engine described above can process thousands of transactions per second. To be more specific, hundreds of hours of development work can be reduced by providing the networking and consensus layer, which is a large block chain structure, as a basic engine. .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텐더민트 코어 엔진은 Application Blockchain interface(ABCI) 소켓 프로토콜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다. 노드가 트랜잭션을 전파하는 것을 도와주며 블록체인에 추가할 새로운 트랜잭션에 대해 검증인들의 유효성을 검사한다. 검증인의 구조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정하게 된다. 본 시스템에서는 미리 정해놓은 몇몇의 검증인들을 사용해 프라이빗 Proof of authority 블록체인을 구축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블록을 허가된 사용자들만 관리할 수 있는 허가형 블록체인으로 구성하였다.More specifically, the Tendermint Core engine is connected to the appli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Blockchain interface (ABCI) socket protocol. It helps nodes propagate transactions and validates validators for new transactions to be added to the blockchain. The structure of the validator is determined by the application. In this system, a private Proof of Authority blockchain is built using several pre-determined validators. In this system, the data block is configured as a permissioned blockchain that can be managed only by authorized users.

본 시스템은 네트워크 계층, 합의 계층, 컨트렉트 계층,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계층인 총 5개 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This system can be composed of a total of five layers: network layer, consensus layer, contract layer, and application layer.

데이터 계층은 기본 데이터 블록과 관련 데이터 암호화 기술을 캡슐화한 계층이다. 각 데이터 블록에는 일반적으로 블록 헤드와 블록 바디가 포함되며, 블록 헤드는 이전 블록의 해시 값을 캡슐화 하여 연결한다. 블록 바디에는 현재 블록의 트랜잭션 정보 쌍이 여러개 포함되어 있다.The data layer is a layer that encapsulates basic data blocks and related data encryption technologies. Each data block usually includes a block head and a block body, and the block head encapsulates and concatenates the hash value of the previous block. The block body contains several pairs of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block.

네트워크 계층은 시스템의 네트워크 모드(P2P 분산 네트워크),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및 검증 메커니즘을 포함한다.The network layer includes the system's network mode (P2P distributed network), data transmission protocol and verification mechanism.

컨센서스 계층은 노드의 컴퓨팅 성능과 워크로드를 입증하기 위한 합의 메커니즘으로 구성된다. 본 시스템에서 블록체인은 PoA 합의 알고리즘으로 워크로드를 입증시킨다.Consensus layer consists of a consensus mechanism to prove a node's computing power and workload. In this system, the blockchain verifies the workload with the PoA consensus algorithm.

스마트 계약 계층은 블록체인 트랜잭션 프로토콜과 데이터 블록을 운영한다. 스마트 계약을 통해 운송사, 사용자, 운송기사, 창고주, 운영자 등의 거래 정보 결과가 공유되어 진다.The smart contract layer operates blockchain transaction protocols and data blocks. Transaction information results of transport companies, users, transport drivers, warehouse owners, and operators are shared through smart contracts.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블록체인과 프로그램(창고주 단말(1), 사용자 단말(2), 운영자 단말(3) 등)을 연동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관리 및 추적한다.The application layer manages and tracks data in real time by linking blockchain and programs (warehouse terminal (1), user terminal (2), operator terminal (3), etc.).

이와 같이, 본 시스템의 블록체인은 텐더민트 코어 엔진을 통해 구축되어 다량의 데이트 블록 처리 효율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In this way, the block chain of this system is built through the Tendermint core engine, which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rocessing large amounts of data blocks.

도 1,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추천부는 기 설정된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창고정보와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창고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는 세부추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1, 11 and 12, the recommender may generate detail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recommending one of a plurality of warehouses using the warehouse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through a preset artificial intelligence (AI) algorithm. there is.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1)은 사용자의 프로필, 텍스트 입력 정보, 구매 내역, 예약 정보, 창고에 대한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 creates a data block contain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user profiles, text input information, purchase details, reservation information, and warehouse evaluation information, and stores the information on the block chain. can be saved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의 프로필은 사용자의 식별정보(이름, 나이, 전화번호 등)를 의미하며, 텍스트 입력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단어(텍스트)들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구매 내역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인터넷 망에 연결하여 상품을 구매한 내역을 의미한다.Here, the user's profile means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name, age, phone number, etc.), and the text input information means words (text)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the purchase details refer to details of purchases of goods by a user connecting to an Internet network through a user terminal.

상기한 창고에 대한 평가정보는 상기 창고를 이용한 후 후기로서 평점, 별점 등을 의미할 수 있다.The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warehouse may mean ratings, star ratings, and the like as reviews after using the warehouse.

상기한 텍스트 입력 정보는 TF-IDF(Term Frequency - Inverse Document Frequency)의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The above text inpu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Equation 1 below of term frequency - inverse document frequency (TF-IDF).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112022056808432-pat00001
Figure 112022056808432-pat00001

위 수학식 1에서 TF는(단어 빈도, term frequency) 특정한 단어가 문서 내에 얼마나 자주 등장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높을수록 문서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고, 아래 수학식 2에 의해 계산된다.In Equation 1 above, TF (term frequency) is a value indicating how often a specific word appears in a document. The higher this value is, the more important it is in the document, and is calculated by Equation 2 below.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112022056808432-pat00002
Figure 112022056808432-pat00002

하지만 단어 자체가 문서군 내에서 자주 사용 되는 경우, 이것은 그 단어가 흔하게 등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을 DF(문서 빈도, document frequency)라고 하며, 이 값의 역수를 IDF(역문서 빈도, inverse document frequency)(수학식 3에 의해 계산됨)라고 한다. TF-IDF는 TF와 IDF를 곱한 값이다.However, if the word itself is frequently used in a document group, this means that the word appears frequently. This is called DF (document frequency), and the reciprocal of this value is called IDF (inverse document frequency) (calculated by Equation 3). TF-IDF is the product of TF and IDF.

[수학식 3][Equation 3]

Figure 112022056808432-pat00003
Figure 112022056808432-pat00003

TF-IDF는 공지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F-IDF is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추천부는 기 설정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사용자정보를 유형 별로 분류하여 구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구분정보,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창고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창고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는 세부추천정보를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The recommendation unit classifies the user information by type through a preset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to generate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recommends one of a plurality of warehouses using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warehouse information. can be created and stored on the blockchain.

예시적으로 추천부는 구매 내역을 유형 별로 분류 하여 사용자정보를 분류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식품을 주로 구매한 사용자들, 의류를 주로 구매한 사용자들을 분류하여 상기한 구분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Exemplarily, the recommendation unit may classify user information by classifying purchase details by type. Exemplarily,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classifying users who mainly purchase food and users who mainly purchase clothing. .

이후에 추천부는 사용자들을 유형 별로 분류한 후 유형별 사용자들의 상기 평가정보를 매치하여 평가정보를 유형별로 분류할 수 있다.Afterwards, the recommendation unit may classify users by type and then match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users by type to classify the evaluation information by type.

따라서 추천부는 이후에 새로운 사용자가 본 시스템을 이용할 때 새로운 사용자의 구매 내역을 이용하여 새로운 사용자를 유형 별로 분류하고 상기 구분정보와 매치되는 평가정보를 추출하여 새로운 사용자의 창고에 대한 평가를 예측함으로써, 다수의 창고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는 세부추천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new user later uses the system, the recommendation unit classifies the new user by type using the purchase history of the new user and extracts evalu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to predict the evaluation of the new user's warehouse, It is possible to generate detail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recommending one of a plurality of warehouses.

예시적으로 추천부는 아래 수학식 4를 통해 사용자의 창고에 대한 평가를 예측하여 상기한 세부추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commendation unit may generate the detail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by predicting the user's evaluation of the warehouse through Equation 4 below.

[수학식 4][Equation 4]

Figure 112022056808432-pat00004
Figure 112022056808432-pat00004

위 수학식 rx는 사용자 x의 평가 벡터이고, N을 항목 i(창고)가 평가한 k개의 유사한 사용자 집합이라 가정하여, 사용자의 창고에 대한 평가를 예측할 수 있다.The above equation rx is the evaluation vector of user x, and assuming that N is a set of k similar users evaluated by item i (warehouse), the user's evaluation of the warehouse can be predicted.

상기한 수학식 4는 공지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above Equation 4 is kn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위 수학식들을 포함하고 추천부가 이용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다양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including the above equations and used by the recommender is commonly used in various fields,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본 시스템은 구분정보, 사용자정보, 창고정보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창고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는 세부추천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다수의 창고 중 사용자에 보다 적합한 창고를 추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system generates detail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recommending one of a plurality of warehouses using classification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warehouse information, etc., and thu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commend a warehouse more suitable for a user among a plurality of warehouses. there i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고 이용 방법(이하 '본 방법'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방법은 상술한 본 시스템을 이용한 창고 이용 방법으로 상술한 본 시스템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므로, 앞서 살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warehouse use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since this method is a warehouse use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system and includes the same or corresponding technical features as the present system described abo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the salpin configuration above,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should be shortened or omitt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방법은 상기 창고주 단말(1)을 통해 창고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S1), 및 상기 사용자 단말(2)을 통해 복수의 창고정보들을 지역 별로 분류하여 생성된 분류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method includes a step (S1) of generating a data block including warehouse information through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1 and storing it in a block chain, and through the user terminal 2 and outputting class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classifying a plurality of warehouse information by region (S2).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방법은 출력부를 통해 상기 지도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21), 입력부를 통해 상기 지도정보에서 다수의 지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2), 매칭부를 통해 상기 선택정보를 수신하여 다수의 지역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분류정보를 출력부로 전송하는 단계(S23), 및 상기 사용자 단말(2)의 출력부를 통해 상기 분류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24)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method includes outputting the map information through an output unit (S21) and generating selection information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regions from the map information through an input unit (S22). ), receiving the selection information through the matching unit and transmitting class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one of a plurality of regions to an output unit (S23), and outputting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2. (S24) may be included.

본 방법은 예약부를 통해 창고 사용에 관한 예약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include generating a data block including reservation information on warehouse use through a reservation unit and storing it in the blockchain (S30).

또한 본 방법은 산출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2)로부터 입력받은 출발지 위치정보와 창고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이동거리와 화물차량의 운행비용을 이용하여 운송비용을 산출하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calculates the travel distance using the starting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warehous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 through the calculation unit, and calculates the transportation cost using the travel distance and the operating cost of the freight vehicle (S40). can include

또한 본 방법은 추천부를 통해 상기 운송비용과 상기 창고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창고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may include a step of recommending one of a plurality of warehouses using the transportation cost and the warehouse information through a recommendation unit (S50).

본 방법은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창고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창고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The method includes a step (S3) of recommending one of a plurality of warehouses us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warehouse information.

상기 (S3) 단계는 상기한 추천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창고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창고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는 세부추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tep (S3) may be performed by the above recommendation unit. Detail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recommending one of a plurality of warehouses may be generated us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warehouse information.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서 점선들이 출력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서 채움아이콘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dotted lines are output in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filling icons in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4,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3)은 단말기 화면(출력 모듈)에서 특정 부분을 확대하여 자세히 보고자 할 상황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출력된 단말기 화면에서 창고정보(예시적으로 도 9에서 "A", 상기 특정 부분)를 더욱 크게 보고자 할 경우 창고정보 부분이 포함되는 영역을 최대한 확대할 필요성이 요구된다.Referring to FIGS. 1, 4, 9, and 10, the user terminal 3 requires a situation in which a specific part of the terminal screen (output module) needs to be enlarged and viewed in detail. For example, when trying to see warehouse information (eg "A" in FIG. 9, the specific part) in a larger size on the output screen of the terminal,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area including the warehouse information part as much as possible.

특히 노안의 노인들에게 특정 영역을 확대할 필요성이 더더욱 필요한 실정이다.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to expand a specific area to the elderly with presbyopia.

상기와 같은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3)은 단말기 화면에서 선택된 영역을 확대하는 확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할 수 있다(클라이언트가 설치될 수 있다).To meet the above needs, the user terminal 3 may include a client including an enlargement interface that enlarges a selected area on the terminal screen (the client may be installed).

종래에는 특정 영역을 확대하고자 할 경우 터치스크린(단말기 화면)을 여러 번 두들기거나 두 개의 손가락(예를 들어 엄지와 검지)으로 터치스크린을 터치한 상태에서 두 개의 손가락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화면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Conventionally, when you want to enlarge a specific area, you tap the touch screen (terminal screen) several times or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fingers while touching the touch screen with two fingers (for example, thumb and index finger) to size the screen. A method of controlling was used.

터치스크린을 여러 번 두들기는 경우 확대하여 보고자 하는 부분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도 확대되기 때문에, 확대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부분을 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화면을 이동시키는 동작이 수반되어야 했다.If you tap the touch screen several times, not only the part you want to see enlarged but also other parts are enlarged, so it was often impossible to check the part you wanted to check on one screen, so moving the screen had to be accompanied. .

또한 두 개의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을 터치한 상태에서 두 개의 손가락의 거리를 조절하는 경우 단말기(예시적으로 스마트폰 등)를 파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hold a terminal (eg, a smartphone, etc.) when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fingers while touching the touch screen with two fingers.

또한 최근에는 큰 크기를 가지는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손 크기가 작은 사용자는 한 손가락만으로 특정부분을 확대하기가 어려워 단말기의 파지가 어렵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In addition, terminals having a large size have recently been used, and in particular, users with small hands have difficulty in gripping the terminal because it is difficult to enlarge a specific part with only one finger.

상기 확대 인터페이스는 종래의 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확대하여 보고자 하는 영역을 한 화면에 출력 가능하도록 하되, 한 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확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이를 통해 원하는 특정 부분을 확대하되, 단말기를 보다 쉽게 파지하도록 하여 단말기의 손상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enlargement interface is intend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ethod, and allows an area to be enlarged to be displayed on one screen, but enlarged using one finger. That is, while enlarging a desired specific par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damage to the terminal by making it easier to hold the terminal.

이하에서 확대 인터페이스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기 화면의 임의 지점을 첫 터치(손가락 등으로 단말기 화면을 터치)하여 기 설정된 시간(예시적으로 3초) 동안 터치 상태를 유지할 경우 시작점(Z1)을 출력하고, 상기 시작점(Z1)의 터치가 해제된 후 기 설정된 시간(예시적으로 3초)을 초과하여 재터치(다시 터치)된 경우 상기 시작점(Z1)을 둘러싸는 내측 점선(Z2)을 출력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magnification interfa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9, when an arbitrary point on the terminal screen is touched for the first time (touching the terminal screen with a finger, etc.) and the touch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set time (eg, 3 seconds), a starting point Z1 is output, and the starting point When the touch (Z1) is released and then touched again (touched again) after a preset time (eg, 3 seconds), an inner dotted line (Z2) surrounding the starting point (Z1) may be output.

반대로 시작점(Z1)의 터치가 해제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이하만큼 재터치가 이뤄지거나 단말기 화면에서 시작점(Z1)이 아닌 다른 지점이 터치될 경우 상기한 시작점(Z1)은 삭제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touch of the starting point Z1 is released and a re-touch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ess, or a point other than the starting point Z1 is touched on the terminal screen, the starting point Z1 may be deleted.

또한 상기한 확대 인터페이스는 상기 내측 점선(Z2)이 출력된 후, 상기 시작점(Z1)의 터치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상기 내측 점선(Z2)을 둘러싸는 외측 점선(Z3)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ouch of the starting point Z1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inner dotted line Z2 is output, the enlarged interface outputs an outer dotted line Z3 surrounding the inner dotted line Z2. can

이때 상기 내측 점선(Z2)이 형성하는 내측 영역(Z21)과 외측 점선(Z3)이 형성하는 외측 영역(Z31)의 형상은 상기 단말기 화면이 축소된 형상과 상응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inner area Z21 formed by the inner dotted line Z2 and the outer area Z31 formed by the outer dotted line Z3 may correspond to a reduced shape of the terminal screen.

도 9의 [B]와 같이, 확대 인터페이스는 상기한 외측 점선(Z3)이 출력 된 후, 상기 시작점(Z1)의 터치가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될 경우, 외측 점선(Z3)을 둘러싸는 최외측 점선(Z4)을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시작점(Z1)의 터치되는 시간에 따라 출력되는 점선들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As shown in [B] of FIG. 9, the enlarged interface surrounds the outer dotted line Z3 when the touch of the starting point Z1 is maintained beyond a preset time after the outer dotted line Z3 is output. Of course, the outermost dotted line Z4 can be output. That is, the number of dotted lines output according to the touch time of the starting point Z1 is not limited.

도 9 및 도 10의 [A]를 참조하면, 확대 인터페이스는 상기 내측 영역(Z21) 내의 제1지점(내측 영역(Z21) 내의 임의 지점)이 기 설정된 시간(예시적으로 3초)을 초과하여 터치된 경우 상기 내측 영역(Z21)을 덮는 제1채움아이콘(Z22)을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S. 9 and 10 , the magnification interface is such that a first point (any point within the inner region Z21) within the inner region Z21 exceeds a preset time (eg, 3 seconds). When touched, a first filling icon Z22 covering the inner region Z21 may be output.

또한 확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내측 점선(Z2)과 외측 점선(Z3) 사이 영역(이하 사이 영역)으로 드래그(터치스크린과 같은 단말기 화면을 터치하는 손가락 등이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 된 경우 상기 외측 영역(Z31)을 덮는 제2채움아이콘(Z32)을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nlargement interface is dragged from the first point to the area between the inner dotted line Z2 and the outer dotted line Z3 (hereafter referred to as an area between) (drag while a finger touching a terminal screen such as a touch screen touches the screen) ), the second filling icon Z32 covering the outer region Z31 may be output.

마찬가지로 확대 인터페이스는 상기 최외측 점선(Z4)이 출력된 경우 상기 내측 점선(Z2)과 외측 점선(Z3) 사이에서 상기 최외측 점선(Z4)과 외측 점선(Z3) 사이로 드래그 되었을 때 제3채움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outermost dotted line (Z4) is output, the enlarged interface is dragged between the inner dotted line (Z2) and the outer dotted line (Z3), and the third fill icon can output

상기한 채움아이콘들(제1채움아이콘(Z22), 제2채움아이콘(Z32) 등)은 예시적으로 반투명한 색상일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fill icons (first fill icon Z22, second fill icon Z32, etc.) may illustratively have translucent colors.

만약 제2채움아이콘(Z32)이 된 후, 즉 상기 내측 점선(Z2)과 외측 점선(Z3) 사이 영역이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영역(Z21)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제2채움아이콘(Z32)은 삭제되고 제1채움아이콘(Z22)이 출력될 수 있다.After becoming the second fill icon Z32, that is, when the area between the inner dotted line Z2 and the outer dotted line Z3 is touched and dragged to the inner area Z21, the second fill icon Z32 It is deleted and the first filling icon Z22 may be output.

확대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채움아이콘(Z22)이 출력된 경우(도 Y의 [A] 참조), 상기 제1채움아이콘(Z22)의 터치가 해제되고 재터치 됨에 따라 상기 내측 영역(Z21)이 기 설정된 배율만큼 확대될 수 있다(도 10의 [C] 참조).When the first fill icon Z22 is output (refer to [A] in FIG. Y), the enlarged interface displays the inner region Z21 as the touch of the first fill icon Z22 is released and touched again. It can be enlarged by a set magnification (see [C] in FIG. 10).

만약 제2채움아이콘(Z32)이 출력(도 10의 [B] 참조)된 경우, 제2채움아이콘(Z32)의 터치가 해제되고 재터치 됨에 따라 외측 영역(Z31)이 기 설정된 배율만큼 확대될 수 있다.If the second fill icon Z32 is output (refer to [B] in FIG. 10 ), the touch of the second fill icon Z32 is released and the outer area Z31 is enlarged by a preset magnification as the second fill icon Z32 is touched again. can

여기에서 기 설정된 배율이란 단말기 화면에서 선택된 영역(내측 영역(Z21) 또는 외측 영역(Z31))이 한 화면에 출력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최대 크기가 되는 배율(예시적으로 각각 2배, 3배)일 수 있다.Here, the preset magnification is a magnification that is the maximum size within the limit that the selected area (inner area (Z21) or outer area (Z31)) on the terminal screen can be displayed on one screen (eg, 2 times and 3 times, respectively). ) can be.

이와 같이, 본 시스템은 확대 인터페이스를 포함함으로써, 단말기가 크고 단말기를 파지하는 손의 크기가 작아도, 한 손으로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한 손가락만으로 특정 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is way, by including the magnification interface, the present system has an advantage in that a specific area can be enlarged with only one finger while holding the terminal with one hand, even if the terminal is large and the size of the hand holding the terminal is small.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 개의 손가락으로 한 개의 시작점(Z1)을 시작점(Z1)의 터치 유지시간을 조절하고 터치/재터치(다시 터치) 하는 동작만으로 점선들을 출력하여 확대하고자 하는 영역을 한 개의 손가락의 움직임만으로 미리 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rea to be enlarged is displayed by adjusting the touch duration of the starting point Z1 with one finger and outputting dotted lines only by touching/re-touching (touching again). You can preview it just by moving your finger.

또한 시작점(Z1)은 사용자가 단말기 화면을 선택하는 임의의 지점이므로,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확대하고자 하는 특정 부분을 한 개의 손가락만으로 터치 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작점(Z1)을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개시 아이콘이 필요치 않아 확대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작이 필요치 않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arting point Z1 is an arbitrary point where the user selects the screen of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touch and set a specific part to be enlarged with only one finger while holding the terminal. Through th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separate operation for operating the enlargement interface is not required because a separate start icon for generating the starting point Z1 is not required.

또한 상술하였듯이 첫 터치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상태를 유지해야 시작점(Z1)을 출력하므로 의도치 않은 동작으로 단말기 화면을 터치하여 일부분이 확대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이용자는 내측 점선(Z2)의 출력 유무를 통해 시작점(Z1)을 다시 터치 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터치 상태를 유지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tarting point (Z1) is output only when the touch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set time after the first touch,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rroneous operation in which a portion is enlarged by touching the terminal screen in an unintentional motion, and the user can use the inner dotted line (Z2) It can be confirmed whether the touch state is maintained beyond a preset time after touching the starting point (Z1) again through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utput of .

또한 사용자는 오동작을 상기한 방식으로 억제한 상태에서, 더 이상 시작점(Z1)의 터치를 해제하고 다시 터치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시작점(Z1)의 터치 시간을 유지하는 것만으로 외측 영역(Z31)을 출력하여 확대하고자 하는 특정 영역을 손쉽게 확장하여 미리 볼 수 있고,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malfunction is suppressed in the above manner, the user does not release the touch of the starting point Z1 and touches it again, but only maintains the touch time of the starting point Z1 to reach the outer region Z31. , you can easily enlarge and preview a specific area to be enlarged by outputting it, and output it.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영역(Z21)과 외측 영역(Z31)이 단말기 화면이 축소된 형상이기 때문에, 내측 영역(Z21) 또는 외측 영역(Z31)이 확대 될 경우 단말기 화면의 형상에 맞춰 최대한 확대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내측 영역(Z21) 또는 외측 영역(Z31)이 확대되기 전에 특정 부분의 어디까지가 확대될 영역(내측 영역(Z21) 또는 외측 영역(Z31))에 포함되는지 사전에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lso,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ner region Z21 and the outer region Z31 have a reduced shape of the terminal screen, when the inner region Z21 or the outer region Z31 is enlarged, it is maximiz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erminal screen. The user can determine in advance how much of a specific part is included in the area to be enlarged (the inner area Z21 or the outer area Z31) before the inner area Z21 or the outer area Z31 is enlarged. There is an advantage to being

즉, 내측 영역(Z21)을 출력 하였을 때 확대하고자 하는 부분이 내측 영역(Z21) 안에 모두 포함되지 않을 수 있고, 이를 단말기 형상이 축소된 내측 영역(Z21)을 통해 사용자는 확인할 수 있어, 시작점(Z1)의 터치를 보다 길게 함으로써, 외측 영역(Z31)의 출력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inner region Z21 is output, the part to be enlarged may not be included in the inner region Z21, and the user can check this through the inner region Z21 in which the terminal shape is reduced, so that the starting point ( By making the touch of Z1) longer, the output of the outer area Z31 can be induced.

또한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사이 영역으로 드래그 하는 동작과, 상기 사이 영역에서 내측 영역(Z21)으로 드래그 하는 동작만으로, 출력될 영역(내측 영역(Z21) 또는 외측 영역(Z31))을 설정 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외측 영역(Z31)과 상기 내측 영역(Z21)이 단말기 화면에 축소된 영역이기 때문에 상기 사이 영역은 단말기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시작점(Z1)이 상기 사이 영역보다 단말기의 둘레에서 멀리 배치되어 있어, 한 손으로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도 상기 사이 영역 중 편한 임의의 지점으로 이동이 가능 하여 한 손가락으로 출력될 영역 선택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rea to be output (the inner area Z21 or the outer area Z31) can be set only by the operation of dragging from the first point to the in-between area and the operation of dragging from the in-between area to the inner area Z21. However, since the outer area Z31 and the inner area Z21 are reduced areas on the terminal screen, the in-between area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erminal, and the starting point Z1 is farther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terminal than the in-between area. As it is arrang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select an area to be output with one finger because it is possible to move to a convenient arbitrary point among the areas between the terminals even when holding the terminal with one hand.

이를 통해 의도치 않게 시작점(Z1)을 보다 오랜 시간 터치 하여 외측 점선(Z3)이 출력되어도, 외측 점선(Z3)을 삭제하기 위한 동작을 하지 않고, 내측 점선(Z2)을 확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rough this, even if the outer dotted line (Z3) is output by unintentionally touching the starting point (Z1) for a longer time, the inner dotted line (Z2) can be set as the enlarged area without the operation for deleting the outer dotted line (Z3).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채움아이콘들(제1채움아이콘(Z22), 제2채움아이콘(Z32))의 색상이 반투명 색상이기 때문에 이들이 출력된 이후에도 확대하고자 하는 상기 특정 부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lors of the fill icons (the first fill icon Z22 and the second fill icon Z32) are translucent,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the specific part to be enlarged even after they are output.

또한 채움아이콘들이 터치가 해제되고 재터치 되는 경우에 내측 영역(Z21) 또는 외측 영역(Z31)을 확대하기 때문에 오동작에 의한 선택된 영역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lling icons enlarge the inner region Z21 or the outer region Z31 when the touch is released and re-touch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expansion of the selected region due to an erroneous operation can be suppressed.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블록체인 기반 창고 이용 시스템: S
창고주 단말: 1 사용자 단말: 2
운영자 단말: 3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S
Warehouse Owner Terminal: 1 User Terminal: 2
Operator terminals: 3

Claims (4)

복수의 노드들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블록체인과 AI를 이용한 창고 이용 시스템으로서,
상기 블록체인의 노드이고, 창고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복수의 창고주 단말; 및
상기 블록체인의 노드이고,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된 복수의 창고정보들을 지역 별로 분류하여 생성된 분류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창고주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창고정보와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창고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는 추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의 노드인 운영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창고주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 상기 운영자 단말 중 하나 이상은 다수의 지역이 표시된 지도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지도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지도정보에서 다수의 지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정보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선택정보를 수신하여 다수의 지역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분류정보를 상기 출력부로 전송하는 매칭부, 및 창고 사용에 관한 예약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예약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의 노드인 운영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프로필, 텍스트 입력 정보, 구매 내역, 상기 예약정보, 창고에 대한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상기 창고주 단말, 및 상기 운영자 단말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추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부는 상기 사용자정보를 유형 별로 분류하여 구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구분정보,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창고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창고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고,
상기 창고주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영자 단말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출발지 위치정보와 상기 창고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이동거리와 화물차량의 운행비용을 이용하여 운송비용을 산출하는 산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천부는 상기 운송비용과 상기 창고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창고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와 블록체인 기반 창고 이용 시스템.
As a warehouse use system using blockchain and AI where multiple nodes ar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plurality of warehouse owner terminals that are nodes of the blockchain and generate and store data blocks including warehouse information in the blockchain; and
A user terminal that is a node of the blockchain and outputs class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classifying a plurality of warehouse information stored in the blockchain by reg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recommendation unit for recommending one of a plurality of warehouses using the warehouse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an operator terminal that is a node of the blockchain,
At least one of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nd the operator terminal generates a data block including map information indicating a plurality of regions and stores it in the blockchain;
The user terminal,
An output unit that receives and outputs the map information, an input unit that generates selection information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regions from the map information, 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one of a plurality of regions by receiving the selection information. A matching unit for transmitting to an output unit, and a reservation unit for generating and storing a data block including reservation information on warehouse use in the blockchain,
Further comprising an operator terminal that is a node of the blockchain,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reate a data block contain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a user's profile, text input information, purchase details, the reservation information, and evaluation information about the warehouse, and store it in the blockchain,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and the operator terminal includes the recommendation unit;
The recommendation unit classifies the user information by type to generate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recommends one of a plurality of warehouses using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warehouse information;
At least one of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nd the operator terminal calculates a travel distan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parture point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warehouse information, and calculates the travel distance and the operating cost of the freight vehicl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transport cost by using;
Including more,
The AI and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mmendation unit recommends one of a plurality of warehouses using the transportation cost and the warehouse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기재된 AI와 블록체인 기반 창고 이용 시스템을 이용한 창고 이용 방법으로서,
상기 창고주 단말을 통해 상기 창고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S1);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복수의 창고정보들을 지역 별로 분류하여 생성된 상기 분류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2); 및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창고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창고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는 단계(S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고 이용 방법.
A warehouse use method using the AI and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generating a data block including the warehouse information through the warehouse owner terminal and storing the data block in the blockchain (S1);
outputting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classifying a plurality of warehouse information by reg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S2); and
recommending one of a plurality of warehouses us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warehouse information (S3);
Warehouse usage method comprising a.
KR1020220065941A 2022-02-22 2022-05-30 Ai and blockchain-based warehouser user system, and warehouse use method using the same KR1025052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186213.9A EP4231188A1 (en) 2022-02-22 2022-07-21 Ai and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and method of using warehouse using the same
US17/876,526 US20230267513A1 (en) 2022-02-22 2022-07-28 Ai and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and method of using warehouse using the same
CN202211083449.XA CN116703293A (en) 2022-02-22 2022-09-06 Warehouse using system based on AI and block chain and warehouse using method us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647 2022-02-22
KR20220022647 2022-02-22
KR1020220042136 2022-04-05
KR20220042136 2022-04-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296B1 true KR102505296B1 (en) 2023-03-06

Family

ID=8550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941A KR102505296B1 (en) 2022-02-22 2022-05-30 Ai and blockchain-based warehouser user system, and warehouse use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29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403A (en) * 2016-11-15 2018-05-24 더본스토리 주식회사 Distribution warehous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403A (en) * 2016-11-15 2018-05-24 더본스토리 주식회사 Distribution warehous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7254B1 (en) Item selection based on user interactions
CN110337647A (en) Visual block chain browser
RU2695051C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generation of multimodal services of cargo transportation in real time
US110190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booking information and ticket
US201803415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workflow
US11995666B2 (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s for order and delivery service recommendations
JP2022110048A (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structuring distributed systems
CN103270520A (en) Importance class based data management
US202203985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ransfers of digital assets
KR102505296B1 (en) Ai and blockchain-based warehouser user system, and warehouse use method using the same
CA2916846A1 (en) Life occurrence handling and resolution
KR102389764B1 (en)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and device therefor
KR20190117857A (en) Method and system forforecasing dynamic trust index
US20230267513A1 (en) Ai and blockchain-based warehouse use system and method of using warehouse using the same
US11741528B1 (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s for vendor recommendations
CN116703293A (en) Warehouse using system based on AI and block chain and warehouse using method using system
US10937063B1 (en) Synchronizing data between data structures for cross-merchant transactions
CN106598987A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Gasmi et al. Blockchain-based manufacturing supply chain management using hyperledger fabric
US202302980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redemption of unique digital asset utility
KR102638940B1 (en) Method of managing delivery fulfillment rate and apparatus thereof
US202304192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ounts with multiple profiles
KR102646483B1 (en) Providing Method of real estate rental recommendations for loading products
Vogelezang et al. Estimation for mobile and cloud environments
Jyoti et al. For personal private use on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