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942B1 - dual structure balloon catheter - Google Patents

dual structure balloon cathe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942B1
KR102504942B1 KR1020210017515A KR20210017515A KR102504942B1 KR 102504942 B1 KR102504942 B1 KR 102504942B1 KR 1020210017515 A KR1020210017515 A KR 1020210017515A KR 20210017515 A KR20210017515 A KR 20210017515A KR 102504942 B1 KR102504942 B1 KR 102504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conduit
balloon portion
cathete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5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14248A (en
Inventor
김한기
서은하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시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지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시지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017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942B1/en
Publication of KR20220114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2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9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1Multiple 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1Means for forcing inflation fluid into the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4Balloon catheters used for angioplas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01Angioplasty, e.g. PC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 A61B2017/2205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with two 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1Multiple balloon catheters
    • A61M2025/1015Multiple balloon catheters having two or more independently movable balloons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balloons can be adjusted, e.g. two balloon catheters concentric to each other forming an adjustable multiple balloon cathete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86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a special balloon surface topography, e.g. pores, protuberances, spik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9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balloons for removing solid matters, e.g. by grasping or scraping plaque, thrombus or other matters that obstruct the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풍선(Balloon)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이중 구조 풍선 카테터는 튜브 형태를 가지는 도관 유닛, 상기 도관 유닛을 통해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도관 유닛과 통하게 구비되는 제1 벌룬부 및 상기 제1 벌룬부의 팽창과 연동하여 팽창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벌룬부를 감싸게 구비되는 제2 벌룬부를 포함할 수 있다.It relates to a balloon catheter, wherein the balloon catheter has a dual structure: a conduit unit having a tube shape, a first balloon portion provided through the conduit unit to receive fluid through the conduit unit, and expansion of the first balloon portion It may include a second balloon portion provided to surround the first balloon portion so as to be expandable in conjunction with.

Description

이중 구조 풍선 카테터{dual structure balloon catheter}Dual structure balloon catheter

본원은 이중 구조 풍선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dual structure balloon catheter.

인체 내부의 혈관에 협착이 발생하거나 여러 가지 이유로 혈관이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경우, 풍선(Balloon) 및 스텐트(Stent)를 포함하는 혈관 확장을 위한 의료용 부재를 문제가 발생한 혈관 내의 위치에 이동 및 설치하여 시술하게 된다.When stenosis occurs in the blood vessels inside the human body or when there is a problem of narrowing the blood vessels for various reasons, move and install medical members for vascular expansion including balloons and stents to the location in the blood vessel where the problem occurs and get the treatment done.

특히, 혈관이 좁아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중재시술(Intervention)로서 혈관확장술(Angioplasty)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혈관확장술은 가이드 와이어와 도관을 통해 풍선이나 스텐트 또는 풍선과 스텐트 모두를 문제가 발생한 지점(병변 부위)까지 전달한 후, 풍선 또는 스텐트를 팽창시켜 혈관을 확장한다.In particular, angioplasty is widely used as an intervention for treating diseases in which blood vessels are narrowed. In angioplasty, a balloon, a stent, or both a balloon and a stent are delivered through a guide wire and a conduit to the point where the problem occurs (lesion site), and then the balloon or stent is inflated to dilate the blood vessels.

한편, 혈관확장술(Angioplasty)와 관련하여,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풍선(Balloon) 카테터(10)는 병변 주위에 약물을 방출하기 위하여 풍선 외주 부위에 약물을 코팅(20)하여 혈관을 통해 병변 부위로 카테터를 삽입하여 확장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angioplasty,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balloon catheter 10 is coated 20 with a drug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lloon to release the drug around the lesion through the blood vessel. A catheter is inserted and expanded into the lesion site.

다만, 상술한 약물을 코팅하여 병변 부위에 방출하는 것은, 풍선(Balloon) 카테터 자체가 혈관을 통하여 삽입하므로 혈류와 혈관 내벽에 의해 씻겨나감(Wash up)으로 인해 실제 병변 부위에 카테터가 도착했을 경우 약물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약물을 더 많이 코팅하게 되었고 이에 따른 부작용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above-mentioned drug is coated and released to the lesion site, the balloon catheter itself is inserted through the blood vessel, so when the catheter arrives at the actual lesion site due to wash-up by the blood flow and blood vessel inner wall There is a problem with the lack of drugs.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is, more drugs are coat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side effects occur accordingly.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5968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35968.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풍선(Balloon) 카테터를 병변 부위에 삽입 시 약물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중 구조 풍선 카테터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uble-structured balloon catheter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insufficient drug when inserting the balloon catheter into a lesion site.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풍선 카테터는, 튜브 형태를 가지는 도관 유닛, 상기 도관 유닛을 통해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도관 유닛과 통하게 구비되는 제1 벌룬부 및 상기 제1 벌룬부의 팽창과 연동하여 팽창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벌룬부를 감싸게 구비되는 제2 벌룬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dual structure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conduit unit having a tube shape, provided through the conduit unit to receive fluid through the conduit unit It may include a first balloon portion and a second balloon portion provided to surround the first balloon portion so as to be expandable in conjunction with the expansion of the first balloon portion.

또한, 상기 도관 유닛은, 상기 제1 벌룬부에 대하여 유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 벌룬부와 연결되는 제1 도관부 및 상기 제2 벌룬부에 대하여 액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2 벌룬부와 연결되는 제2 도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벌룬부는, 공급받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벌룬부와 통하지 않고 구획되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it unit may include a first condui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balloon portion to supply fluid to the first balloon portion, and a first conduit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balloon portion to supply liquid to the second balloon portion. It may include two conduit parts, and the first balloon part may be partitioned and provided withou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balloon part so that the supplied fluid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제2 벌룬부는, 상기 제2 도관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외부로 통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alloon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to pass the fluid supplied from the second conduit portion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홀은, 병변 부위에 따라서 홀의 크기가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hole may be set according to the lesion site.

또한, 상기 제2 도관부는, 상기 제2 벌룬부에 대하여 액체를 흡입할 수 있어 상기 병변 부위의 혈전을 흡입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duit part may be capable of sucking liqui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alloon part and thus sucking blood clots at the lesion site.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이중 구조 풍선 카테터를 제공함으로써, 풍선(Balloon) 카테터를 병변 부위에 삽입 시 약물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oblem-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double-structured balloon cathet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drug when inserting the balloon (Balloon) catheter into the lesion site.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herei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종래의 풍선(Balloon) 카테터의 약물 방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풍선(Balloon) 카테터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풍선 카테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풍선 카테터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풍선 카테터의 사용 개념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ug release method of a conventional balloon catheter.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balloon catheter.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dual structure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ouble structure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use of a double structure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referred to as being “on,” “above,” “on top of,” “below,” “below,” or “below”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located in relation to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contact but also the case of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specifically defined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finition follows, and when there is no specific defini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종래의 풍선(Balloon) 카테터(10)의 약물 방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ug release method of a conventional balloon catheter (10).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풍선(Balloon) 카테터(10)는 풍선 외주면에 약물을 코팅(20)하여 병변 부위(협착 부위)로 혈관을 따라 삽입되게 된다. 다만, 이 경우 종래의 풍선(Balloon) 카테터(10)는 혈관의 내벽에 코팅한 약물이 씻겨나가, 병변 부위(협착 부위)에 방출할 약물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balloon catheter 10 is inserted along a blood vessel into a lesion site (stenosis site) by coating 20 with a dru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loon. However, in this case, the conventional balloon catheter 10 has a problem in that the drug co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is washed out and the drug to be released to the lesion site (stenosis site) is insufficient.

또한, 종래의 풍선(Balloon) 카테터(10)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약물의 코팅량을 증가시켰는데 이에 따라 약물의 과다 방출로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alloon (Balloon) catheter 10 has increased the coating amount of the drug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there is a problem that side effects occur due to excessive release of the drug accordingly.

도 2는 종래의 풍선(Balloon) 카테터(10)의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balloon catheter (10).

도 2를 참조하면,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풍선(Balloon) 카테터(10)는 샤프트(22)와 풍선(Balloon)(24) 그리고 상기 풍선(Balloon)(24)를 확장시키기 위한 유체(2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more specifically, the conventional balloon catheter 10 includes a shaft 22, a balloon 24, and a fluid 23 for expanding the balloon 24. can include

다시 말하면, 종래의 풍선(Balloon) 카테터(10)는 병변 부위(협착 부위)에 도달하는 경우 유체(23)를 공급함으로써, 풍선(Balloon)(24)을 확장시켜 풍선 외주면에 코팅된 약물을 혈관 내벽과 접촉시킴으로써, 약물을 방출하는 것 이였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balloon catheter 10 expands the balloon 24 by supplying the fluid 23 when it reaches the lesion site (stenosis site) to transfer the drug co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loon into blood vessels. By making contact with the inner wall, it was to release the drug.

한편, 상기 샤프트(22)는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샤프트(22)는 풍선이 부착되는 도관(튜브)를 말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샤프트(샤프트 상에 풍선(Balloon)이 감싸는 제품인 경우, 이하도 같음), 미세도관, 도관, 도관 유닛 등 다양하게 불릴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shaft 22 is not limited to a name. That is, the shaft 22 refers to a conduit (tube) to which a balloon is attached, for example, a shaft (in the case of a product wrapped around a balloon on a shaft, the same applies below), a micro conduit, a conduit, a conduit unit, etc. It can be called variously.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풍선(Balloon) 카테터는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A double structure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imed at solving the above problems.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 풍선(Balloon) 카테터(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중 구조 풍선(Balloon) 카테터를 본 카테터(100)라 하기로 한다.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double structure balloon (Balloon) cathe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ouble structure balloon catheter will be referred to as the present catheter 100.

도 3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카테터(100)는 도관 유닛(110), 제1 벌룬부(120), 제2 벌룬부(130) 및 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present cathe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conduit unit 110, a first balloon portion 120, a second balloon portion 130, and a hole 150. .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관 유닛(110)은 튜브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관 유닛(110)은 내부에 의료용 부재, 제1 도관부, 제2 도관부 등이 내통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형상(형태, 모양 등)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duit unit 110 may have a tube shape. More specifically, the conduit unit 110 may have a shape (shape, shape, etc.) having a space in which a medical member, a first conduit part, a second conduit part, etc. can pass therein.

또한, 도관 유닛(110)는 제1 도관부, 제2 도관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it unit 110 may include a first conduit part, a second conduit part, and the like.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도관부는 후술할 제1 벌룬부(120)에 대하여 유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 벌룬부(120)와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 도관부는 내부에 유체가 내통할 수 있는 튜브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유체를 제1 벌룬부(120)에 대하여 공급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dui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alloon portion 120 to supply fluid to the first balloon portion 12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first conduit may be provided to have a tube shape through which fluid may pass therein, thereby supplying fluid to the first balloon portion 120 .

또한, 제2 도관부는 후술할 제2 벌룬부(130)에 대하여 액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2 벌룬부(130)과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2 도관부는 내부에 액체가 내통할 수 있는 튜브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액체를 제2 벌룬부(130)에 대하여 공급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dui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alloon portion 130 to supply liquid to the second balloon portion 13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second conduit may be provided to have a tube shape through which liquid may pass, so that liquid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balloon part 130 .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도관부 및 제 2도관부는 튜브의 형태(형상, 모양 등)뿐만 아니라, 도관 유닛의 내부를 구획하여 액체 또는 유체를 내통할 수 있으며, 제1 도관부 및 제 2 도관부를 감싸는 아우터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conduit part and the second conduit part may divide the inside of the conduit unit as well as the shape of the tube (shape, shape, etc.) to allow liquid or fluid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outer covering surrounds the first conduit part and the second conduit part. tubes may be included.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벌룬부(120)는 상기 도관 유닛(110)을 통해 유체(기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도관 유닛(110)과 통하게 구비(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관 유닛(110)에 포함된 제1 도관부와 통하게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balloon portion 120 may be provided (provided) through the conduit unit 110 so that fluid (gas) can be supplied through the conduit unit 110 . More specifically, it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conduit included in the conduit unit 110.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벌룬부(130)는 상기 도관 유닛(110)을 통해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도관 유닛(110)과 통하게 구비(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관 유닛(110)에 포함된 제2 도관부와 통하게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cond balloon portion 130 may be provided (provided) through the conduit unit 110 to be supplied with liquid through the conduit unit 110 . More specifically, it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conduit included in the conduit unit 110.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벌룬부(130)는 제1 벌룬부(120)의 팽창과 연동하여 팽창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벌룬부(120)를 감싸게 구비(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도관부로부터 유체(기체)를 공급받는 제1 벌룬부(120)는 그에 따라 팽창(확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벌룬부(120)의 외주면은 제2 벌룬부(130)의 내주면을 원주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 경우 제2 벌룬부(130)는 제1 벌룬부(120)의 밀어내는 힘과 연동하여 팽창이 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cond balloon portion 130 may be provided (provided) to surround the first balloon portion 120 so as to be expandable in conjunction with the expansion of the first balloon portion 120. . More specifically, the first balloon portion 120 receiving the fluid (gas) from the first conduit portion expands (expands) accordingly, and according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alloon portion 120 is the second balloon portion ( 130) is push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second balloon portion 130 may expand in conjunction with the pushing force of the first balloon portion 120 .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벌룬부(120)는 제1 도관부로부터 공급받는 유체(기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제2 벌룬부(130)와 통하지 않고 구획되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balloon portion 120 may be partitioned and provid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cond balloon portion 130 so that the fluid (gas) supplied from the first conduit portion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there i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도관 유닛(110)과 제1 벌룬부(120) 및 제2 벌룬부(130)의 연결이나 배치, 설치 방식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향후 개발될 연결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Various method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applied to connection, arrangement, or installation of the conduit unit 110, the first balloon portion 120,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130.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connection scheme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can be applied.

다른 실시예로, 도관 유닛(110)의 외주(바깥 둘레)를 제1 벌룬부(120)가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제1 벌룬부(120) 내부에 대응하는 제1 도관부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도관부를 통해 스텐트 등과 같은 의료용 부재가 통과하여 지나갈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홀은 의료용 부재가 홀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balloon portion 120 is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duit unit 110, and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condui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first balloon portion 120 are provided. A hole of may be formed. A medical member such as a stent may pass through the first condui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a size that prevents the medical member from escaping through the hole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복수의 홀은 제1 벌룬부(120)를 팽창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유체(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holes may be set to a size through which fluid (gas) supplied to inflate the first balloon portion 120 may pas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다른 실시예로, 도관 유닛(110)은 상기 도관 유닛(110)에 포함되는 제1 도관부 및 제2 도관부와는 구획되어 구분됨으로써, 스텐트 등과 같은 의료용 부재가 내부로 관통하여 이동(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즉, 제1 도관부 및 제2 도관부 외에 도관 유닛의 내부에는 스텐트 등의 의료용 부재가 내통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duit unit 110 is partitioned and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conduit part and the second conduit part included in the conduit unit 110, so that a medical member such as a stent can be moved (inserted) through the inside. It may be that a space is provided. That is, in addition to the first conduit unit and the second conduit unit, a space through which a medical member such as a stent can penetrate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nduit unit.

다른 실시예로, 제1 벌룬부(120)의 일단 개구부를 통해 도관 유닛(110)에 포함된 제1 도관부가 연결되어 제1 벌룬부(120)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벌룬부(120)의 일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개구부에는 도관 유닛에 포함되는 제1 도관부와 구분되는 다른 도관이 연결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conduit part included in the conduit unit 110 is connected through an opening at one end of the first balloon part 120 to supply fluid to the inside of the first balloon part 120 . In this case, an opening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balloon unit 120, and another conduit distinct from the first conduit included in the conduit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opening.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벌룬부(130)는 도관 유닛(110)에 포함된 제2 도관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액체)를 외부로 통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cond balloon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to pass the fluid (liquid) supplied from the second conduit included in the conduit unit 110 to the outside. .

보다 상세하게, 도관 유닛(110)에 포함된 제2 도관부를 통해 액체로 된 약물을 제2 벌룬부(130)로 공급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2 벌룬부(130)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홀(150)들을 포함함으로써, 공급된 액체를 복수개의 홀(150)들을 통해 혈관 내벽으로 방출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supplying liquid medicine to the second balloon part 130 through the second conduit included in the conduit unit 110, the second balloon part 130 has a plurality of holes ( 150), the supplied liquid may be discharged to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150.

또한, 상술한 제2 벌룬부(130)의 복수개의 홀(150)은 약물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holes 150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balloon part 13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drug.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다른 실시예로, 제2 벌룬부(130)의 복수개의 홀(150)은 병변 부위에 따라서 홀의 크기가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홀의 크기는 혈관의 직경, 병변 부위, 병변의 길이, 약물의 필요량 등을 기반으로 크기가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holes 150 of the second balloon part 130 may be set according to the lesion area. More specifically, the size of the hole may be set based on a diameter of a blood vessel, a lesion area, a length of a lesion, a required amount of a drug, and the like.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벌룬부(130)에 포함된 복수개의 홀(150)은 예를 들어, 제1 벌룬부(130)로부터 혈관 내벽으로 위치가 이동함에 따라서, 경사가 있는 것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lurality of holes 150 included in the second balloon portion 130 have an inclination, for example, as the position moves from the first balloon portion 130 to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there may be

다시 말하면, 제2 벌룬부(130)에 포함된 복수개의 홀(150)이 제2 벌룬부(130)의 외주(바깥 둘레)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본 카테터(100)가 혈관 내부로 삽입될 때 혈관의 내벽과 대항되는 부위(부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경사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벌룬부(130)의 복수개의 홀(150)은 웅덩이와 같이 높이가 원주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올라갈수록 직경이 넓게 형성(제공, 구비 등)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holes 150 included in the second balloon portion 130 ar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c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alloon portion 130, the present catheter 100 When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it may be inclined to minimize the portion (portion) that opposes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holes 150 of the second balloon part 130 may be formed (provided, provided, etc.) to have a wider diameter as the height increases from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the vertical direction, like a puddl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도관부는 제2 벌룬부(130)에 대하여 액체를 흡입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2 도관부는 제2 벌룬부(130)에 대하여 액체(보다 상세하게 약물)에 대하여 공급하는 것뿐만 아니라, 액체를 흡입함으로써, 병변 부위(협착 부위) 주위에 혈전과 같은 혈관을 막을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는 부산물들을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 아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cond conduit unit may be capable of sucking liqui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alloon unit 130 .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onduit not only supplies liquid (more specifically, a drug) to the second balloon part 130, but also sucks the liquid, thereby breaking blood vessels such as blood clots around the lesion site (stenosis site). It may be to remove by-products where there is an avoidable risk.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카테터(100)가 확장되기 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before the present catheter 100 is expan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카테터(100)가 확장된 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fter the present catheter 100 is expan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확장 전과 확장 후의 본 카테터(100)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catheter 100 before and after expans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도 4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카테터(100)의 제1 벌룬부(120) 및 제2 벌룬부(130)는 탄성이 있는 소재를 포함함으로써, 제1 도관부 및 제2 도관부를 통하여 유체(기체 또는 액체)를 공급하지 않는 경우, 수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balloon portion 120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130 of the present cathe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first conduit portion and the second conduit portion If fluid (gas or liquid) is not supplied through, it may be able to maintain a contracted state.

보다 상세하게, 도 4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벌룬부(120) 및 제2 벌룬부(130)는 유체 공급이 없는 경우, 도관 유닛(110)의 외주와 제1 벌룬부(120)의 내주는 맞붙어 가부착되어 있으며, 제2 벌룬부(130)의 내주는 제1 벌룬부(120)의 외주와 맞붙어 가부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부착은 예를 들어, 유체(액체 또는 기체)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서, 서로 간의 부착이 떨어질 수 있는 형태의 부착을 의미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본 카테터(100)가 혈관에 대하여 삽입되는 경우 혈관 내벽의 마찰에 의하여 벌어지지 않는 형태의 부착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ure 4,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balloon portion 120 and the second balloon portion 130 when there is no fluid supply,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duit unit 110 and the firs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alloon part 120 may be bonded and temporarily attached,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alloon part 130 may be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balloon part 120 and temporarily attached. The temporary attachment means, for example, an attachment in a form in which attachment between each other can be separated when a fluid (liquid or gas) is supplied, and more preferably, the catheter 100 is inserted into a blood vessel In this case, it may mean an attachment in a form that does not spread due to fric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도 5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카테터(100)에 제1 도관부 및 제2 도관부를 통해 유체(기체 또는 액체)가 공급되어 확장된 형태를 이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cathe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understood in an expanded form in which fluid (gas or liquid)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conduit and the second conduit.

보다 상세하게, 도 5를 참조하면, 제1 벌룬부(120)는 제1 도관부를 통해 유체(기체)(51)가 공급되면, 팽창함으로써 내경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확장되는 제1 영역(160)이 발생되며, 상기 확장되는 제1 영역(160)의 내부에는 유체(기체)(51)가 포함될 수 있다.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5 , when the fluid (gas) 51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conduit, the first balloon portion 120 may expand and increase its inner diameter. Accordingly, an expanded first area 160 is generated, and a fluid (gas) 51 may be included in the expanded first area 160 .

또한, 제2 벌룬부(130)는 제2 도관부를 통해 유체(액체)(52)가 공급되면, 팽창함으로써, 내경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확장되는 제2 영역(170)이 발생되며, 상기 확장되는 제2 영역(170)의 내부에는 유체(액체)(52)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luid (liquid) 52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conduit, the second balloon portion 130 expands, thereby increasing its inner diameter. Accordingly, an expanded second area 170 is generated, and a fluid (liquid) 52 may be included in the expanded second area 170 .

또한,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벌룬부(120)는 유체(기체)(51)가 공급되고, 제2 벌룬부(130)에 유체(액체)(52)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본 카테터(100)는 종래의 벌룬(Balloon) 카테터(10)으로도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5, in the case where the fluid (gas) 51 is supplied to the first balloon portion 120 and the fluid (liquid) 52 is not supplied to the second balloon portion 130 , This catheter 100 may also be utilized as a conventional balloon catheter 10.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다른 실시예로 상술한 경우의 반대 경우에 있어서, 확장되지 않고 유체(액체)(52)를 방출하는 것일 수 있다.In a case opposite to the case described above as another embodiment, the fluid (liquid) 52 may be discharged without expanding.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0: 이중 구조 풍선 카테터
110: 도관 유닛 120: 제1 벌룬부
130: 제2 벌룬부 150: 홀
100: double structure balloon catheter
110: conduit unit 120: first balloon part
130: second balloon part 150: hole

Claims (5)

풍선(Balloon) 카테터에 있어서,
튜브 형태를 가지는 도관 유닛;
상기 도관 유닛을 통해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도관 유닛과 통하게 구비되는 제1 벌룬부; 및
상기 제1 벌룬부의 팽창과 연동하여 팽창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벌룬부를 감싸게 구비되는 제2 벌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관 유닛은,
상기 제1 벌룬부에 대하여 유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 벌룬부와 연결되는 제1 도관부; 및
상기 제2 벌룬부에 대하여 액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2 벌룬부와 연결되는 제2 도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벌룬부는, 공급받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벌룬부와 통하지 않고 구획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 벌룬부는, 상기 제2 도관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외부로 통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의 크기는, 병변 부위에 따라서 설정되고,
상기 제2 벌룬부는, 상기 제2 도관부로 공급된 액체가 상기 복수개의 홀을 통해 혈관 내벽으로 방출되거나, 액체를 흡입할 수 있어 상기 병변 부위의 혈전이 상기 복수개의 홀을 통해 흡입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홀은, 상기 풍선 카테터가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혈관의 내벽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올라갈수록 직경이 넓게 형성되는 경사가 있는 홀인 것인, 이중 구조 풍선 카테터.
In the balloon catheter,
A conduit unit having a tube shape;
a first balloon portion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duit unit so as to be supplied with fluid through the conduit unit; and
A second balloon portion provided to surround the first balloon portion so as to be expandable in conjunction with the expansion of the first balloon portion;
The conduit unit,
a first condui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balloon portion to supply fluid to the first balloon portion; and
A second conduit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balloon portion to supply liquid to the second balloon portion;
The first balloon portion is partitioned and provid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cond balloon portion so that the fluid supplied does not flow out,
The second balloon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so that the fluid supplied from the second conduit part can pass to the outside,
The size of the hole is set according to the lesion site,
In the second balloon part, the liquid supplied to the second conduit part can be discharged to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or the liquid can be sucked in, so that the blood clots at the lesion site can be suctioned and remove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provided so that
The hole, when the balloon catheter is inserted into the inside, as it goes up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will be a slanted hole that is formed wider in diameter, the dual structure balloon cathe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17515A 2021-02-08 2021-02-08 dual structure balloon catheter KR1025049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515A KR102504942B1 (en) 2021-02-08 2021-02-08 dual structure balloon cath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515A KR102504942B1 (en) 2021-02-08 2021-02-08 dual structure balloon cathe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248A KR20220114248A (en) 2022-08-17
KR102504942B1 true KR102504942B1 (en) 2023-03-02

Family

ID=83110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515A KR102504942B1 (en) 2021-02-08 2021-02-08 dual structure balloon cathe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94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9132A (en) 1990-01-08 1991-09-17 Cordis Corporation Balloon catheter for delivering therapeutic agents
WO2012156914A2 (en) 2011-05-15 2012-11-22 By-Pass, Inc. Microporous balloon catheter, delivery system,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20130023802A1 (en) * 2010-01-28 2013-01-24 Mcintosh Charles L Apparatus and method for destruction of vascular thromb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7576A (en) * 1982-02-25 1983-11-29 Baran Ostap E Double-wall surgical cuff
US4994033A (en) * 1989-05-25 1991-02-19 Schneider (Usa) Inc. Intravascular drug delivery dilatation catheter
JPH09509588A (en) * 1993-12-30 1997-09-30 ボストン・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Collection of body specim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9132A (en) 1990-01-08 1991-09-17 Cordis Corporation Balloon catheter for delivering therapeutic agents
US20130023802A1 (en) * 2010-01-28 2013-01-24 Mcintosh Charles L Apparatus and method for destruction of vascular thrombus
WO2012156914A2 (en) 2011-05-15 2012-11-22 By-Pass, Inc. Microporous balloon catheter, delivery system,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248A (en)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0390B2 (en) Impla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210236312A1 (en) Balloon catheters and methods for use
US11547836B2 (en) Stabilizing and sealing catheter for use with a guiding catheter
JP4596332B2 (en) Biological lumen bifurcation treatment device
JP2021104332A (en) Intravascular catheter
JP2022514982A (en) Equipment and methods for scaffolding
US11510797B2 (en) Balloon catheters and methods for use
JP2008519612A (en) Catheter balloon system and method
US20170071770A1 (en) Balloon catheter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stents using such catheters
JP2009066178A (en) Suction catheter
KR20210141944A (en) Tissue restoration devices and methods
US10617851B2 (en) Medical catheter system
KR102504942B1 (en) dual structure balloon catheter
CN100515514C (en) PTCA and/or PTA balloon
KR102348773B1 (en) Catheter system
JP2010029318A (en) Balloon catheter
US10251765B2 (en) Stent delivery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CN109381779A (en) Foley's tube
US20170197063A1 (en) Balloon Inside a Guide Catheter
CN114173697B (en) Catheter system
CN116807698A (en) Sheath tube for interventional operation, sheath tube assembly and interventional conveying device
CN115463322B (en) Medicine saccule catheter
JP2018027166A (en) Balloon catheter
CN208372275U (en) Foley's tube
KR10254646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cal member inser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