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724B1 - Turning center - Google Patents

Turning ce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724B1
KR102504724B1 KR1020180026821A KR20180026821A KR102504724B1 KR 102504724 B1 KR102504724 B1 KR 102504724B1 KR 1020180026821 A KR1020180026821 A KR 1020180026821A KR 20180026821 A KR20180026821 A KR 20180026821A KR 102504724 B1 KR102504724 B1 KR 102504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turret
tool
collision
tool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8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5980A (en
Inventor
전정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180026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724B1/en
Publication of KR20190105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9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7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00General-purpose turning-machines or devices, e.g. centre lathes with feed rod and lead screw; Sets of turning-machines
    • B23B3/16Turret lathes for turning individually-chucked workpieces
    • B23B3/161Turret lathes for turning individually-chucked workpieces lathe with one toolslide carrying one turret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24Tool holders for a plurality of cutting tools, e.g.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7/00Automatic or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e.g. controlled by cams; Equipment therefor; Features common to automatic and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one or more working-spindles
    • B23B7/02Automatic or semi-automatic machines for turning of stock
    • B23B7/04Turret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7/2208Detection or prevention of collis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G05B19/4061Avoiding collision or forbidden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공구홀더별로 충돌방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터닝센터가 개시된다. 터닝센터는 베드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공작물을 고정하는 척을 구비하는 주축 구조물, 베드로부터 연장하는 프레임에 베드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 및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형 몸체의 주변부에 구비된 다수의 공구홀더 및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다수의 작업공구를 구비하는 터렛을 포함하는 터렛 구조물, 및 터렛 구조물 및 주축 구조물과 연결되어 공작물에 대한 가공단계에 따라 터렛을 회전하여 작업공구를 교환하고, 공구홀더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방지 영역을 공구홀더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변경하는 충돌방지 모듈을 구비하는 수치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공구교환시 개별 공구홀더에 대응하여 충돌방지영역을 변경함으로써 터닝센터의 가동효율을 높일 수 있다. A turning center capable of setting an anti-collision area for each tool holder is disclosed. The turning center is disposed on the bed and is coupled to a main shaft structure having a chuck for fixing a rotating workpiece, movably coupled to a frame extending from the bed alo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and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rotatable body A turret structure including a turret having a plurality of tool holders and a plurality of work tools mounted on the tool holder, and connected to the turret structure and the main shaft structure to rotate the turret according to the processing step for the workpiece to exchange the work tools , and a numerical control device having a collision avoidance module that automatically changes an anti-collision area for preventing collision with the tool hold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tool holder. When changing tools,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turning center can be increased by changing the anti-collision area in response to individual tool holders.

Description

터닝 센터{Turning center} Turning center {Turning center}

본 발명은 터닝 센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작업공구가 탑재된 회전 공구대인 터렛(turret)의 회전에 의해 자동으로 작업공구를 교환하는 터렛 터닝센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rning ce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urret turning center in which a work tool is automatically exchanged by rotation of a turret, which is a rotary tool post on which a plurality of work tools are mounted.

회전 공구대인 터렛에 작업공구를 탑재하여 크기가 일정한 제품을 대량으로 가공할 수 있는 터렛 선반을 수치제어 장치에 의해 구동하는 터렛 터닝센터가 기계가공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큰 사이즈를 갖는 공작물을 주축대의 상면에 장착하고 다양한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활용하여 정밀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터닝 센터의 활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A turret turning center that drives a turret lathe capable of mass-processing products of a certain size by mounting work tools on a turret, which is a rotating tool rest, by a numerical control device is widely used in the machining field. Particularly, in recent years, the frequency of utilization of turning centers that can perform precision machining by mounting a large-sized workpie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stock and utilizing various attachments has increased.

종래의 터렛 터닝센터에 의하면, 드릴이나 리이머와 같은 절삭공구들은 터렛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공구홀더에 장착되고 가공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되는 가공순서에 따라 상기 터렛이 회전함으로써 작업공구를 교환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urret turning center, cutting tools such as drills and reamers are mounted on a plurality of tool holder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rret, and the turret rotates according to a processing sequenc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ocessing algorithm. exchange of work tools.

이때, 터렛에 구비된 공구홀더의 형상과 사이즈는 장착되는 공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므로 터렛의 회전으로 작업공구를 교환하는 경우 공구홀더와 터렛에 인접한 척(chuck)이나 조(jaw)가 서로 충돌할 수 있다. 특히, 대형 공작물을 가공하는 터닝 센터나 복합가공 터닝센터의 경우에는 높은 가공 정밀도로 자동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어태치먼트가 주축대와 터렛 사이에서 활용될 수 있는데 터렛이 회전하는 경우 어태치먼트와 공구홀더의 충돌 가능성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shape and size of the tool holder provided in the turret is provid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type of tool to be mounted, when the work tool is exchanged by rotating the turret, the chuck or jaw adjacent to the tool holder and the turret may collide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urning centers processing large workpieces or multi-tasking turning centers, various attachments can be used between the headstock and the turret to perform automated processes with high machining precision. The chances of a collision are further increased.

이에 따라, 대부분의 터렛 터닝센터에는 공구홀더와 주축대의 척이나 조 또는 어태치먼트와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공구홀더를 중심으로 보호영역을 설정하는 충돌 제어기가 제공된다. Accordingly, most turret turning centers are provided with a collision controller that sets a protection area around the tool holder to prevent collision between the tool holder and the chuck, jaw, or attachment of the headstock.

상기 충돌 제어기는 공구홀더를 둘러싸는 일정한 사이즈의 공간을 공구 홀더와의 간섭영역(interference area)으로 설정하고 상기 간섭영역으로 척이나 조 또는 어태치먼트가 진입하는 경우 알람을 발신하고 터렛 축의 운동을 정지시킨다. The collision controller sets a space of a certain size surrounding the tool holder as an interference area with the tool holder, and when a chuck, jaw or attachment enters the interference area, an alarm is issued and the movement of the turret axis is stopped. .

그러나, 종래 터렛 터닝 센터에서 설정되는 간섭영역은 터렛에 구비되는 다수의 공구홀더 중 사이즈가 가장 큰 공구홀더를 기준으로 단일하게 설정하여, 공구홀더와의 물리적인 간섭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간섭 알람을 발신하고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However, the interference area set in the conventional turret turning center is set singularly based on the tool holder with the largest size among a plurality of tool holders provided in the turret, and an interference alarm is generated despite no physical interference with the tool holder. There are frequent cases where it sends out and stops working.

예를 들면, 가장 작은 사이즈를 갖는 공구홀더에 구비된 작업공구로 교환하기 위해 터렛을 회전시키는 경우, 공구홀더와 척/조 또는 어태치먼트와 물리적인 간섭은 일어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설정된 간섭영역의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척이나 조 또는 어태치먼트가 간섭영역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충돌 제어기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 공구홀더와의 간섭은 일어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간섭 알람이 발생하고 터렛의 작업이 중지되어 작업자에 의한 수동 조치를 요구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turret is rotated to change to a work tool provided in a tool holder having the smallest size, although physical interference between the tool holder and the chuck/jaw or attachment does not occur, the size of the set interference area Since is large, the chuck, jaw, or attachment can be evaluated by the collision controller as entering the interference region. Accordingly, although interference with the actual tool holder does not occur, an interference alarm is generated and the operation of the turret is stopped, requiring manual action by the operator.

특히, 이와 같은 간섭오류는 터렛 터닝 센터의 자동운전 모드에서는 치명적인 터닝센터의 동작정지를 초래하여 자동운전 모드의 기능을 유명무실하게 만들어 버린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공구홀더의 충돌방지 기능을 고의적으로 비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자동운전 모드를 수행함으로써 자동운전 모드에서는 공구홀더에 대한 간섭방지 기능이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such an interference error causes a fatal operation stop of the turning center in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of the turret turning center, making the function of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useless.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collision prevention function of the tool holder is intentionally disabled, so that the interference prevention function for the tool holder is not utilized in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이에 따라, 공구홀더의 간섭오류를 방지하여 운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터렛 터닝센터가 요구된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new turret turning center capable of increasing operation efficiency by preventing tool holder interference errors.

본 발명의 목적은 터렛에 구비된 개별적인 공구홀더의 형상과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간섭영역을 설정함으로써 간섭오류에 의한 구동정지를 방지할 수 있는 터닝센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rning center capable of preventing drive stoppage due to an interference error by setting a plurality of interference are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and size of individual tool holders provided in the turre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렛 터닝센터는 베드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공작물을 고정(clamping)하는 척(chuck)을 구비하는 주축 구조물, 상기 베드로부터 연장하는 프레임에 상기 베드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 및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형 몸체의 주변부에 구비된 다수의 공구홀더 및 상기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다수의 작업공구를 구비하는 터렛(turret)을 포함하는 터렛 구조물, 및 상기 터렛 구조물 및 상기 주축 구조물과 연결되어 상기 공작물에 대한 가공단계에 따라 상기 터렛을 회전하여 상기 작업공구를 교환하고, 상기 공구홀더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방지 영역을 상기 공구홀더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변경하는 충돌방지 모듈을 구비하는 수치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Turret turning cent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ain shaft structure having a chuck for clamping a rotating workpiece disposed on a bed, a frame extending from the bed A turret having a plurality of tool holders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rotatable body and a plurality of work tools mounted on the tool holder, coupled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A turret structure including a turret structure, and an anti-collision area for exchanging the work tool by rotating the turret according to the processing step for the workpiece connected to the turret structure and the main shaft structure and preventing collision with the tool holder. and a numerical control device having an anti-collision module that automatically changes in response to the tool holder.

일실시예로서, 상기 충돌방지 모듈은, 상기 다수의 공구홀더에 대하여 개별적인 형상특성에 따라 상기 공구홀더를 둘러싸는 가상공간인 홀더 버퍼영역을 각각 설정하는 홀더버퍼 설정부, 상기 공구홀더 별로 상기 홀더 버퍼영역을 저장하는 버퍼영역 저장부, 상기 버퍼영역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터렛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구홀더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충돌방지 영역을 상기 공작물로 접근하는 상기 공구홀더에 대응하는 홀더 버퍼영역으로 자동으로 설정하는 충돌 제어부, 및 상기 충돌방지 영역이 주변 구조물과 간섭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터렛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터렛 스토퍼(turret stopper)를 구비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the anti-collision module may include a holder buffer setting unit for setting a holder buffer area, which is a virtual space surrounding the tool holders, respectively, according to individual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plurality of tool holders, and the holder for each tool holder. A buffer area storage unit for storing a buffer area, and a holder buffer connected to the buffer area storage unit and corresponding to the tool holder approaching the workpiece in the anti-collision area when the tool holder is changed by rotation of the turret. A collision control unit that automatically sets the collision prevention area to an area, and a turret stopper that automatically stops the operation of the turret when the anti-collision area interferes with a surrounding structure may be provided.

일실시예로서, 상기 홀더버퍼 설정부는 상기 공구홀더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홀더로 선택하는 공구홀더 선택기 및 상기 선택홀더의 형상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공간을 생성하는 홀더버퍼 생성기를 포함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the holder buffer setting unit may include a tool holder selector for selecting one of the tool holders as the selected holder and a holder buffer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virtual space based on the shape of the selected holder.

일실시예로서, 상기 공구홀더 선택기로 상기 공구홀더의 홀더번호를 전송하는 홀더번호 입력부 및 상기 홀더버퍼 생성기로 상기 선택홀더의 형상정보를 전송하는 형상정보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치 제어장치와 사용자를 연결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제어 콘솔을 더 포함활 수 있다. As an embodiment, a holder number input unit for transmitting the holder number of the tool holder to the tool holder selector and a shape information input unit for transmitting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holder to the holder buffer generator, wherein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and the user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console, which is a user interface that connects.

일실시예로서, 상기 충돌방지 모듈은 상기 척의 개별적인 형상특성에 따라 상기 척을 둘러싸는 가상공간인 척 버퍼영역을 설정하는 척 버퍼 설정부 및 어태치먼트의 개별적인 형상특성에 따라 상기 어태치먼트를 둘러싸는 가상공간인 어태치먼트 버퍼영역을 설정하는 어태치먼트 버퍼 설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nti-collision module includes a chuck buffer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chuck buffer area, which is a virtual space surrounding the chuck, according to individual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chuck, and a virtual space surrounding the attachment according to individual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attachment. An attachment buffer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n attachment buffer area may be further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닝센터에 의하면, 척이나 어태치먼트와 같은 주변 구조물이나 터렛에 구비된 각 공구홀더에 관한 버퍼영역을 개별적으로 생성하여 저장하고, 공구교환 전에 자동으로 공구홀더의 충돌방지 영역을 교환되는 작업공구가 수납된 공구홀더의 버퍼영역으로 변경한다. According to the turning cent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buffer area for each tool holder provided in a peripheral structure such as a chuck or attachment or a turret is individually created and stored, and automatically before tool exchange. Changes the anti-collision area of the tool holder to the buffer area of the tool holder where the exchanged work tools are accommodated.

따라서, 공구교환이 일어날 때 마다 각 공구홀더에 최적화된 홀더 버퍼영역으로 충돌방지 영역이 자동으로 갱신됨으로써 공구교환 과정에서 충돌방지 영역을 개별 공구홀더에 대응하여 최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충돌방지 영역은 공구교환 과정에서 자동으로 각 공구홀더의 형상특성에 대응하여 최적하게 설정되므로 주변 구조물과 충돌방지 영역의 간섭에 의한 터렛(240)의 동작중지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닝센터의 가동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erefore, whenever a tool change occurs, the anti-collision area is automatically updated as a holder buffer area optimized for each tool holder, so that the anti-collision area can be optimally maintained for each tool holder in the tool change process. Therefore, since the anti-collision area is automatically optimally set to correspond to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each tool holder during the tool exchange process, the stoppage of operation of the turret 240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anti-collision area and surrounding structures can be minimized. Accordingly,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turning center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터닝센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닝센터의 주축 구조물과 터렛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선택홀더를 선택할 때 제어 콘솔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선택홀더에 관한 홀더 버퍼영역을 설정할 때 제어 콘솔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터닝센터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버퍼영역 데이터 설정단계의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turning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shaft structure and a turret structure of the turning center shown in FIG. 1;
3A to 3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isplay unit of a control console when a selection holder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of a control console when setting a holder buffer area for a selection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s of machining a workpiece using the turning center shown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buffer area data setting step shown in FIG. 1;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Fo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text,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 text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but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are present.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터닝센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닝센터의 주축 구조물과 터렛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서는 예시적으로 터렛을 구비하는 터닝센터를 예시적으로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작업공구를 구비하는 터렛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공작물을 가공한다면 다양한 공작기계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평형 터닝센터나 복합 터닝센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turning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shaft structure and a turret structure of the turning center shown in FIG. 1 exemplarily discloses a turning center having a turret. However, if a rotating workpiece is processed using a turret having a plurality of work tool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machine tools. For example,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horizontal turning center or a complex turning cente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터닝센터(500)는 베드(B)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공작물(MO)을 고정(clamping)하는 척(chuck, 124)을 구비하는 주축 구조물(100), 상기 베드(B)로부터 연장하는 프레임(F)에 수직 및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형 몸체(242)의 주변부에 구비된 다수의 공구홀더(244) 및 상기 공구홀더(244)에 장착되는 다수의 작업공구(T)를 구비하는 터렛(turret, 240)을 포함하는 터렛 구조물(200) 및 상기 터렛 구조물(200) 및 상기 주축 구조물(100)과 연결되어 상기 공작물(MO)에 대한 가공단계에 따라 상기 터렛(240)을 회전하여 상기 작업공구(T)를 교환하고, 상기 공구홀더(244)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방지 영역을 상기 공구홀더(244)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변경하는 충돌방지 모듈을 구비하는 수치 제어장치(300)를 포함한다. 1 and 2, the turning center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huck 124 disposed on a bed B to clamp a rotating workpiece MO A plurality of tool holders 244 disposed movably alo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in the main shaft structure 100, the frame F extending from the bed B, and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rotatable body 242 And a turret structure 200 including a turret 240 having a plurality of work tools T mounted on the tool holder 244 and connected to the turret structure 200 and the main shaft structure 100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ing step for the workpiece MO, the turret 240 is rotated to exchange the work tool T, and an anti-collision area for preventing collision with the tool holder 244 is provided in the tool holder ( 244) includes a numerical control device 300 having an anti-collision module that automatically changes.

예를 들면,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갖는 베드(B)에 상기 공작물을 회전시키는 스핀들(110)이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스핀들(110)의 상부에 회전하는 공작물을 고정하는 척(120)이 결합된다. 상기 척(120)은 스핀들(110)에 고정되어 스핀들(110)과 함께 회전하는 실린더 형상의 척 몸체(122)와 상기 척 몸체(122)의 상면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공작물을 지지하는 결합형 조(jaw, 124)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조(124)는 동일한 척 몸체(122)의 상면에서 동일한 중심각을 갖고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3-4개의 세장부재(slender member)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닝 센터(500)의 기저를 제공하는 베드(B)의 상면에 가공대상 공작물을 회전시키는 주축 구조물(100)이 베드(B)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For example, the spindle 110 for rotating the workpiece is dispos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ed B having sufficient strength and rigidity, and the chuck 120 for fixing the rotating workpiece on top of the spindle 110 is are combined The chuck 120 has a cylinder-shaped chuck body 122 that is fixed to the spindle 11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spindle 110, and is radial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uck body 122 to support the workpiece. It consists of jaws (124). For example, the jaw 124 may be composed of 3-4 slender members radial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ame chuck body 122 with the same central angle. Accordingly, the main shaft structure 100 for rotating the workpiece to be processed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B providing the base of the turning center 5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B.

상기 베드(B)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부재인 수직 프레임(F)이 제공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F)에 상기 공작물(MO)을 가공하는 작업공구(T)가 구비된 터렛(240)이 수직 및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 프레임(F)에 결합된 터렛 구조물(200)이 제공된다. A vertical frame (F), which is a support member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bed (B), is provided, and the work tool (T) for processing the workpiece (MO) is provided on the vertical frame (F) Turret 240 equipped with ) is disposed movably alo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ccordingly, the turret structure 200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F) is provided.

일실시예로서, 상기 프레임(F)에 이송 기저판으로 제공되는 수직 칼럼(210)이 결합되고 상기 수직 칼럼(210)의 일측에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수직 칼럼(210)을 따라 이동하는 수직 이송부(220)가 결합된다. 수직 이송부(220)의 일측에 수직 이송부(220)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운동하는 터렛 구동부(230)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터렛 구동부(230)의 하면으로부터 터렛(240)을 구동하는 터렛 구동축(DS)이 수직 칼럼(21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As one embodiment, the vertical column 210 provided as a transfer base plate is coupled to the frame (F) and extends along one side of the vertical column 210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moves along the vertical column 210. The transfer unit 220 is coupled. A turret driving unit 230 mov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transfer unit 2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vertical transfer unit 220 . In this embodiment, the turret driving shaft DS driving the turret 240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urret driving unit 230 is disposed parallel to the vertical column 210 .

따라서, 상기 터렛(240)은 수직 이송부(220)의 수직방향 이동과 터렛 구동부(230)의 수평방향 이동에 의해 평면좌표로 주어지는 작업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작업위치에서 터렛(240)의 회전에 의해 적절한 작업공구를 선택함으로써 공작물(MO)에 대한 가공을 수행하게 된다. Therefore, the turret 240 is moved to the working position given by plane coordinates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transport unit 220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turret driving unit 230, and by the rotation of the turret 240 at the working position. By selecting an appropriate work tool, machining of the workpiece MO is performed.

상기 터렛(240)은 상기 터렛 구동축(DS)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터렛 몸체(242)와 상기 터렛 몸체(242)의 주변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공구홀더(244)로 구성된다. 상기 공구홀더(244)는 수용하는 작업공구(T)의 형상과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된다. 다수의 작업공구(T)는 각 공구 홀더(244)에 수용되어 상기 터렛(240)에 제공된다. The turret 240 is composed of a turret body 242 that is connected to the turret driving shaft DS and rotates, and a plurality of tool holders 244 disposed around the turret body 242 at regular intervals. The tool holder 244 is provid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work tool T to be accommodated. A plurality of work tools T are accommodated in each tool holder 244 and provided to the turret 240 .

터렛 몸체(242)는 공작물(MO)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직 이송부(220) 및 터렛 구동부(230)에 의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작업위치로 세팅되고, 세팅된 작업위치에서 작업공구(T)는 공작물(MO)에 대한 가공단계에 따라 터렛 몸체(242)의 회전에 의해 적절하게 교환된다. 즉, 터렛 몸체(242)의 회전에 의해 공작물(MO)에 대한 공구교환이 수행된다. The turret body 242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work MO, moves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by the vertical transfer unit 220 and the turret driving unit 230, and is set to a working position, and at the set working position, a working tool (T ) is properly exchanged by the rotation of the turret body 242 according to the processing step for the work MO. That is, tool exchange for the work MO is per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turret body 242 .

주축대(100)에 상기 공작물(MO)의 고정 및 상기 터렛 구조물(200)의 제어에 의한 작업위치 세팅 및 작업공구(T)의 선택은 수치 제어장치(300)에 의해 유기적으로 제어되어 공작물에 대한 정밀가공이 수행된다. Fixation of the work MO on the headstock 100, setting of the work position by control of the turret structure 200, and selection of the work tool T are organically controlled by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300, precision machining is performed.

수치 제어장치(300)는 상기 터렛 구조물(200) 및 주축 구조물(100)과 연결되어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공작물(MO)에 대한 일련의 기계가공을 수행하여 상기 터렛 구조물(200)과 주축 구조물(100)을 구비하는 공작기계를 단일한 터닝 센터(500)로 구성한다.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turret structure 200 and the main shaft structure 100 and performs a series of machining on the workpiece MO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to perform a series of machining on the turret structure 200 and the main shaft structure. A machine tool having (100) is constituted by a single turning center (500).

예를 들면, 상기 수치 제어장치(300)는 소정의 가공 알고리즘에 따라 제어되는 중앙 제어모듈(310)과 상기 주축 구조물(100) 및 터렛 구조물(200)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수단 및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공작물(MO)에 대한 가공단계와 정밀도에 따라 상기 터렛 구조물(200)을 제어하여 적절한 작업위치와 작업공구(T)를 선택하게 된다. For example,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300 includes a central control module 310 controll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ssing algorithm and various control means and dri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main shaft structure 100 and the turret structure 200. provide Accordingly, the turret structure 20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step and precision of the work MO to select an appropriate working position and a working tool T.

특히, 상기 수치 제어장치(300)는 적절한 작업공구(T)를 선택하기 위한 터렛(240)의 회전으로 공구홀더(244)와 주변 구조물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방지 영역을 각 공구홀더(244)의 개별적인 형상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변경하는 충돌방지 모듈(320)을 구비한다. In particular,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300 provides a collision prevention area for preventing collision between the tool holder 244 and surrounding structures due to the rotation of the turret 240 for selecting an appropriate work tool T for each tool holder ( 244) is provided with an anti-collision module 320 that automatically changes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shapes.

예를 들면, 공작물(MO)에 대한 제1 가공이 완료되고 제2 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공구(T)를 교환하는 경우, 제2 작업을 위한 작업공구(T)가 수용된 공구홀더(244)가 공작물(MO)로 접근하도록 상기 터렛(240)을 회전시킨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machining of the work MO is completed and the work tool T is exchanged to perform the second machining, the tool holder 244 accommodating the work tool T for the second work The turret 240 is rotated so that it approaches the work MO.

이때, 터렛(240)이 회전하는 동안 터렛 몸체(242)의 주변부에 배치된 터렛 홀더(244)와 주변 구조물이 충돌하여 장비 손상 및 가동 중지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도록 상기 충돌방지 모듈(320)은 각 터렛 홀더(244)의 주변부에 터렛 홀더(244)를 둘러싸는 가상공간(virtual space)인 충돌방지 영역을 설정하고 주변 구조물과 상기 충돌방지 영역이 부분적으로 간섭하는 경우 터닝 센터의 작동을 정지한다. At this time, while the turret 240 rotates, the turret holder 244 disposed on the periphery of the turret body 242 collides with surrounding structures, which may cause equipment damage and operation stoppage. To prevent this, the anti-collision module 320 sets an anti-collision area, which is a virtual space surrounding the turret holder 244, at the periphery of each turret holder 244, and the anti-collision area is partially stop the operation of the turning center if it interferes with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충돌방지 영역을 각 공구홀더(244)의 형상특성을 반영하여 개별적으로 최적하게 형성함으로써 너무 큰 사이즈를 갖는 충돌방지 영역에 의한 불필요한 가동중지를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collision area is individually and optimally formed by reflecting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each tool holder 244,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operation stoppage due to the anti-collision area having an excessively large size. .

예를 들면, 상기 충돌방지 모듈(320)은 홀더 버퍼 설정부(321), 척 버퍼 설정부(322), 어태치먼트 버퍼 설정부(323), 버퍼영역 저장부(324), 충돌 제어부(325) 및 터렛 스토퍼(326)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nti-collision module 320 includes a holder buffer setting unit 321, a chuck buffer setting unit 322, an attachment buffer setting unit 323, a buffer area storage unit 324, a collision control unit 325, and A turret stopper 326 may be provided.

상기 홀더 버퍼 설정부(321)는 다수의 공구홀더(244)에 대하여 개별적인 형상특성에 따라 상기 공구홀더(244)를 둘러싸는 가상공간인 홀더 버퍼영역을 각각 설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홀더버퍼 설정부(321)는 상기 공구홀더(244)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홀더로 선택하는 공구홀더 선택기(321a) 및 상기 선택홀더의 형상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공간을 생성하는 홀더버퍼 생성기(321b)를 구비한다. The holder buffer setting unit 321 sets holder buffer areas, which are virtual spaces surrounding the tool holders 244, according to individual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plurality of tool holders 244,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holder buffer setting unit 321 includes a tool holder selector 321a that selects one of the tool holders 244 as the selected holder and a holder that creates the virtual space based on the shape of the selected holder. A buffer generator 321b is provided.

상기 공구홀더 선택기(321a)는 터렛 몸체(242)의 주변부에 배치된 다수의 공구홀더(244) 중에서 홀더버퍼를 생성할 대상 공구홀더인 선택홀더를 선택한다. 종래에는 개별적인 공구홀더의 형상특성과 무관하게 가장 큰 공구홀더의 홀더 버퍼평영역을 충돌방지 영역으로 설정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각 공구홀더(244)의 형상특성을 고려하여 최적하게 설정된 홀더 버퍼영역을 최적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구홀더(244) 별로 홀더 버퍼영역을 개별적으로 생성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상기 공구홀더 선택기(321a)는 홀더 버퍼영역을 생성할 대상 홀더를 선택홀더로 선택한다. The tool holder selector 321a selects a selection holder, which is a target tool holder for generating a holder buffer, from among a plurality of tool holders 244 disposed around the turret body 242. Conventionally, regardless of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tool holders, the holder buffer area of the largest tool holder was set as the collision prevention area, but in this embodiment, the holder buffer area is optimal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each tool holder 244. can be set optimally. Accordingly, the holder buffer area may be individually created or modified for each tool holder 244 . The tool holder selector 321a selects a target holder to create a holder buffer area as a selection holder.

상기 홀더버퍼 생성기(321b)는 공구홀더 선택기(321a)에 의해 선택된 선택홀더에 대하여 선택홀더의 형상특성을 반영하여 선택홀더에 최적한 홀더 버퍼영역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선택홀더의 형상정보는 공구홀더의 길이, 폭 및 높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선택홀더의 길이, 폭 및 높이를 기준으로 선택홀더를 둘러싸는 적절한 크기의 가상공간을 설정하고 상기 가상공간을 선택홀더의 홀더 버퍼영역으로 생성할 수 있다. The holder buffer generator 321b reflects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holder selected by the tool holder selector 321a to create a holder buffer area optimal for the holder.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selection holder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length, width, and height of the tool holder. Accordingly, based on the length, width, and height of the selection holder, a virtual space having an appropriate size surrounding the selection holder may be set, and the virtual space may be created as a holder buffer area of the selection holder.

본 실시예의 경우, 공구홀더 선택기(321a) 및 홀더버퍼 생성기(321b)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터닝센터(500)의 작업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ool holder selector 321a and the holder buffer generator 321b may be directly input by an operator of the turning center 500 through a user interface.

예를 들면, 상기 수치 제어장치(300)와 연결되고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하는 제어 콘솔(400)이 터닝 센터(500)에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주축 구조물(100), 터렛 구조물(200) 및 수치 제어장치(300)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밀폐되고, 상기 제어 콘솔(400)은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되어 작업자로부터 운전신호나 설정신호와 같은 제어신호를 수치 제어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행되는 공작물에 대한 가공정보를 하우징의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a control console 400 connected to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300 and having appropriate user interface means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turning center 500. In this embodiment, the main shaft structure 100, the turret structure 200, and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300 are disposed inside a housing (not shown) having a certain shape and sealed from the outside, and the control console 40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such as an operation signal or a setting signal from an operator to a numerical control device or to display processing information on a workpiece performed inside the housing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이에 따라, 상기 제어 콘솔(400)은 상기 가공정보를 표시하거나 수치 제어장치로 전송할 제어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410), 상기 가공정보나 가공단계에 따라 적절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입력유닛(420) 및 운전제어 유닛(430)을 구비한다. Accordingly, the control console 400 includes a display unit 410 for displaying the processing information or displaying a contro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numerical control device, and a signal input unit for inputting an appropriat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processing information or processing step ( 420)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430.

상기 공구홀더 선택기(321a) 및 홀더버퍼 생성기(321b)는 상기 제어 콘솔(400)의 디스플레이 유닛(410) 및 신호 입력유닛(420)과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유닛(410)을 통하여 터렛(240)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선택홀더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홀더에 관한 형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유닛(410)을 통하여 확인하면서 홀더 버퍼영역인 가상공간의 사이즈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The tool holder selector 321a and the holder buffer generator 321b are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410 and the signal input unit 420 of the control console 400 to display the image of the turret 240 through the display unit 410.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selection holder while visually checking the selection holder, and while checking the shape image of the selection holder through the display unit 410, the size of the virtual space, which is the holder buffer area, can be directly input.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선택홀더를 선택할 때 제어 콘솔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A to 3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isplay unit of a control console when a selection holder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 콘솔(400)에 구비된 터렛 세팅모드(401)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10)은 터렛 이미지(TI)와 터렛(240)의 각 공구홀더(244)에 대한 상세내역(Specification, S)이 표시된다. 3A to 3D, when the turret setting mode 401 provided in the control console 400 is selected, the display unit 410 displays the turret image TI and each tool holder of the turret 240. Details (Specification, S) for (244) are displayed.

상세내역(S)에는 공구홀더(244)의 번호와 타입이 표시되고 각 공구홀더(244)의 형상특성이 리스트로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공구홀더(244)의 높이(H)와 폭(W), 제1 및 제2 길이(HL1,HL2)가 형상특성으로서 표시된다. In the details (S), the number and type of the tool holder 244 are displayed, and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each tool holder 244 are displayed as a list. 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H), width (W), and first and second lengths (HL1, HL2) of the tool holder 244 are displayed as shape characteristics.

이때, 상기 공구홀더(244)의 높이(H)와 폭(W)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렛 이미지(TI)에 표시된 터렛(240)의 평면도에서 측정된 공구 홀더의 높이와 폭을 나타내고, 상기 공구홀더(244)의 제1 및 제2 길이(HL1, HL2)는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홀더(244)의 수직방향 단면도인 공구홀더 이미지(THI)에서 중심위치로부터 각각 외측단 및 내측단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At this time, the height (H) and width (W) of the tool holder 244 are the height and width of the tool holder measured in the plan view of the turret 240 shown in the turret image TI as shown in FIGS. 3A and 3B. In the tool holder image THI, which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ol holder 244, as shown in FIGS. 3C and 3D, the first and second lengths HL1 and HL2 of the tool holder 244 are The distances from the center position to the outer and inner ends, respectively, are shown.

형상특성 리스트를 선택하면 대응하는 공구홀더가 선택 홀더(SH)로 선택되어 터렛 이미지(TI)에 표시되고 높이(H)와 폭(W)은 터렛(240)에 대한 평면 이미지로, 제1 및 제2 길이(HL1,HL2)는 공구홀더에 대한 수직단면 이미지(THI)로 디스플레이 유닛(410) 상에 표시된다. When the shape characteristic list is selected, the corresponding tool holder is selected as the selection holder (SH) and displayed on the turret image (TI), and the height (H) and width (W) are planar images for the turret 240, and the first and second The second lengths HL1 and HL2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10 as vertical sectional images THI of the tool holder.

선택홀더(SH)의 선택은 상기 형상특성 리스트 중의 특정 행(row)을 선택하도록 신호입력 유닛(420)의 리턴키를 이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홀더번호 입력부(422)를 신호입력 유닛(420)에 제공할 수도 있다. 공구홀더를 선택하여 선택홀더(SH)가 특정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10)은 자동으로 선택홀드(SH)에 대한 형상특성 편집모드로 변경된다. Selection of the selection holder (SH) may use the return key of the signal input unit 420 to select a specific row in the shape characteristic list, or a separate holder number input unit 422 to the signal input unit 420 may also provide. When the selection holder SH is specified by selecting the tool holder, the display unit 410 automatically changes to the shape characteristic editing mode for the selection hold SH.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선택홀더에 관한 홀더 버퍼영역을 설정할 때 제어 콘솔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unit of a control console when setting a holder buffer area for a selection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410)의 좌측에는 선택홀더(SH)와 홀더번호가 나타난 터렛 이미지(TI)가 표시되고 우측에는 선택홀더의 홀더번호와 형상특성 및 터렛(240)의 각 공구홀더(244)에 관한 홀더타입에 관한 정보 리스트가 표시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unit 410 displays the selected holder SH and the turret image TI showing the holder number, and the right side shows the holder number and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holder and each tool of the turret 240. A list of information about the holder type for the holder 244 is displayed.

이때, 선택홀더(SH)에 관한 홀더타입과 형상특성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 창(editing window, EW)이 표시되고 상기 편집창이 활성화된 경우 형상정보 입력부(424)를 통하여 개별적인 형상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an editing window (EW) for editing the holder type and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holder (SH) is displayed, and when the editing window is activated, individual shape information can be modified through the shape information input unit 424. there is.

상기 홀더번호 입력부(422) 및 형상정보 입력부(424)는 동일한 입력수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10)의 활성모드에 따라 홀더번호 입력부(422) 및 형상정보 입력부(424)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홀더번호 입력부(422) 및 형상정보 입력부(424)는 숫자 키 패드, 마우스 및 터치 스크린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older number input unit 422 and the shape information input unit 424 are formed as the same input means and can be used as the holder number input unit 422 and the shape information input unit 424 according to the active mode of the display unit 410. . For example, the holder number input unit 422 and the shape information input unit 424 may include various data input means such as a numeric keypad, a mouse, and a touch screen.

홀더번호 입력부(422) 및 형상정보 입력부(424)를 통해 입력된 선택홀더(SH)의 공구번호 및 형상특성 데이터는 상기 홀더 버퍼 설정부(321)로 전송되어 형상특성 데이터를 기준으로 형성되는 형상을 둘러싸는 가상공간을 상기 형상특성 데이터를 기준으로 생성하여 선택홀더(SH)에 대한 홀더 버퍼영역으로 생성한다. The tool number and shape characteristic data of the selection holder (SH) input through the holder number input unit 422 and the shape information input unit 424 are transmitted to the holder buffer setting unit 321 and the shape formed based on the shape characteristic data A virtual space surrounding is created as a holder buffer area for the selection holder SH by creating a virtual space based on the shape characteristic data.

이에 따라, 상기 선택홀더(SH)에 대한 홀더 버퍼영역이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나머지 공구홀더(244)에 대해서도 개별적으로 선택한 후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각 공구홀더에 대응하는 홀더 버퍼영역을 설정한다. Accordingly, a holder buffer area for the selection holder SH is set. Similarly, after individually selecting the remaining tool holders 244, the holder buffer area corresponding to each tool holder is set through the same process.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공구홀더(244)에 대해 작업자가 개별적으로 선택한 후 홀더 버퍼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지만, 선택홀더의 홀더번호와 형상정보는 서로 결합된 단일한 파일형태로 제공되어 각 공구홀더에 대한 홀더 버퍼영역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discloses that the holder buffer area is set after the operator individually selects all tool holders 244, the holder number and shap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holder are provided in a single file form combined with each other, so that each tool It is obvious that the holder buffer area for the holder may be automatically set.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공구홀더(244)의 형상특성으로서 높이(H)와 폭(W) 및 길이(HL1,HL2)를 개시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공구홀더(244)의 기능과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상특성이 제공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discloses the height (H), width (W), and lengths (HL1, HL2) as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tool holder 244, these are exemplary and depend on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ool holder 244. It is obvious that various shape characteristics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선택적으로, 상기 충돌방지 모듈(320)은 상기 척(120)의 개별적인 형상특성에 따라 상기 척(120)을 둘러싸는 가상공간인 척 버퍼영역을 설정하는 척 버퍼 설정부(322) 및 어태치먼트의 개별적인 형상특성에 따라 어태치먼트를 둘러싸는 가상공간인 어태치먼트 버퍼영역을 설정하는 어태치먼트 버퍼 설정부(3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anti-collision module 320 includes a chuck buffer setting unit 322 for setting a chuck buffer area, which is a virtual space surrounding the chuck 120, according to individual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chuck 120 and individual attachments. An attachment buffer setting unit 323 configured to set an attachment buffer area, which is a virtual space surrounding the attachment, according to shape characteristics may be further provided.

공구교환을 위해 상기 터렛(240)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공구홀더(244)는 상기 척(120)이나 어태치먼트와 충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충돌방지 영역을 공구홀더(244)에 관한 홀더 버퍼영역뿐 아니라 척 버퍼영역 또는 어태치먼트 버퍼영역까지 확장함으로써 공구교환 과정에서 공구홀더(244)와 주변 구조물 사이의 충돌여지를 더욱 줄일 수 있다. While the turret 240 rotates for tool exchange, the tool holder 244 may collide with the chuck 120 or the attachment. Accordingly, by extending the anti-collision area to the chuck buffer area or the attachment buffer area as well as the holder buffer area related to the tool holder 244,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the tool holder 244 and surrounding structures in the tool change process. there is.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10)을 통하여 척 세팅모드(402)를 선택하는 경우, 도 3a 내지 도 3d와 유사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10)은 상기 스핀들(110)에 결합할 수 있는 대상 척들에 대한 척 이미지와 각 척(120)에 대한 상세내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스핀들(110)에 결합되는 결합용 척을 선택하여 선택 척이 특정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10)은 도 4와 유사하게 자동으로 선택 척에 대한 형상특성 편집모드로 변경된다. 상기 형상특성 편집모드에서 결합용 척의 형상특성을 편집하여 수정할 수 있다. 상기 척 버퍼 설정부(322)는 선택 척에 대한 형상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척을 둘러싸는 가상공간으로 척 버퍼영역을 생성한다. Although not shown, when the chuck setting mode 402 is selected through the display unit 410, similarly to FIGS. 3A to 3D, the display unit 410 displays objects that can be coupled to the spindle 110. Chuck images for chucks and details for each chuck 120 may be displayed. Subsequently, when a chuck for coupling coupled to the spindle 110 is selected and the selected chuck is specified, the display unit 410 automatically changes to a shape characteristic editing mode for the selected chuck similarly to FIG. 4 . In the shape characteristic editing mode,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coupling chuck may be edited and modified. The chuck buffer setting unit 322 creates a chuck buffer area as a virtual space surrounding the selected chuck by using shap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huck.

상기 스핀들(110)과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척에 대해 개별적으로 적정한 척 버퍼영역을 형성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척의 변경시 개별적인 척 버퍼영역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척 버퍼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Chuck buffer areas appropriate for each of the various chuck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spindle 110 are formed and stored in a database so that when a chuck is changed, the chuck buffer area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without setting individual chuck buffer areas.

마찬가지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10)을 통하여 어태치먼트 세팅모드(403)를 선택하는 경우, 도 3a 내지 도 3d와 유사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10)은 상기 터닝센터(500)와 결합할 수 있는 대상 어태치먼트들에 대한 어태치먼트 이미지와 각 어태치먼트에 대한 상세내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터닝센터(500)에 결합되는 결합용 어태치먼트를 선택하여 선택 어태치먼트가 특정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10)은 도 4와 유사하게 자동으로 선택 어태치먼트에 대한 형상특성 편집모드로 변경된다. 상기 형상특성 편집모드에서 결합용 어태치먼트의 형상특성을 편집하여 수정할 수 있다. 상기 어태치먼트 버퍼 설정부(323)는 선택 어태치먼트에 대한 형상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어태치먼트를 둘러싸는 가상공간으로 어태치먼트 버퍼영역을 생성한다. Similarly, when the attachment setting mode 403 is selected through the display unit 410, similarly to FIGS. 3A to 3D, the display unit 410 includes target attachment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turning center 500. Attachment images for and details of each attachment can be displayed. Subsequently, when a coupling attachment coupled to the turning center 500 is selected and the selected attachment is specified, the display unit 410 automatically changes to a shape characteristic editing mode for the selected attachment similarly to FIG. 4 . In the shape characteristic editing mode,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binding attachment can be edited and modified. The attachment buffer setting unit 323 creates an attachment buffer area in a virtual space surrounding the selected attachment by using shap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the selected attachment.

상기 터닝센터(500)와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어태치먼트에 대해 개별적으로 적정한 어태치먼트 버퍼영역을 형성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어태치먼트의 변경시 개별적인 어태치먼트 버퍼영역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어태치먼트 버퍼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For various attachment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turning center 500, individually appropriate attachment buffer areas are formed and databased, so that when an attachment is changed, the attachment buffer area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without setting individual attachment buffer areas.

특히,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척(120)이나 스핀들(110) 또는 상기 공구(T)에 장착되어 상기 공작물에 대한 가공형태와 정밀도는 높일 수 있는 가공 어태치먼트와 상기 터닝센터(500)의 부수장치로 제공되어 터닝센터(500)의 운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치 어태치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attachment is provided as a processing attachment that is mounted on the chuck 120 or the spindle 110 or the tool T to increase the processing form and precision of the workpiece and an auxiliary device of the turning center 500. It may include a device attachment capable of increasing the driving efficiency of the turning center 500.

예를 들면, 상기 가공 어태치먼트는 스핀들(110)에 결합하는 더미 커버(dummy cover), 익스텐션 헤드(extension head), 인덱스 유니버설 헤드(index universal head) 및 앵글 헤드(angle head)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장치 어태치먼트는 상기 주축 구조물(100)로 가공대상 공작물(MO)을 탑재하기 위한 파트 캐처(part catcher) 및 주축 구조물(100)로부터 가공완료 공작물(MO)을 제거하기 위한 파트 언로더(part unloader)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chining attachment may include a dummy cover coupled to the spindle 110, an extension head, an index universal head, an angle head, and the like, , The device attachment is a part catcher for mounting the workpiece (MO) to be processed to the main shaft structure (100) and a part unloader (part unloader) for removing the machined workpiece (MO) from the main shaft structure (100). unloader).

상기 척(120)이나 어태치먼트에 관한 버퍼영역은 제조자에 의해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척 버퍼 설정부(322) 및 어태치먼트 버퍼 설정부(323)를 통하여 필요한 경우 개별적으로 척이나 어태치먼트에 대한 버퍼영역을 재설정할 수 있다. In general, the buffer area for the chuck 120 or the attachment is already set by the manufacturer, but in this embodiment, the chuck buffer setting unit 322 and the attachment buffer setting unit 323 are used to individually chuck if necessary. or the buffer area for attachments can be reset.

상기 버퍼영역 저장부(324)는 상기 홀더 버퍼 설정부(321)에 의해 형성된 홀더 버퍼영역을 각 공구홀더(244)별로 저장한다. 예를 들면, 상기 버퍼영역 저장부(324)는 하드 디스크 장치나 플래시 메모리 소자와 같은 데이터 저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버퍼영역 및 이에 대응하는 공구홀더(244)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베이스 파일로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The buffer area storage unit 324 stores the holder buffer area formed by the holder buffer setting unit 321 for each tool holder 244 . For example, the buffer area storage unit 324 includes a data storage device such as a hard disk device or a flash memory device, and the holder buffer area and the tool holder 244 corresponding thereto are database files converted into digital data. may be stored in the data storage device.

상기 충돌 제어부(325)는 상기 버퍼영역 저장부(324)와 연결되어 상기 터렛(2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구홀더(244)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공작물(MO)로 접근하는 공구홀더(244)에 대응하는 홀더 버퍼영역을 상기 충돌방지 영역으로 자동으로 변경한다. The collision controller 325 is connected to the buffer area storage unit 324 so that when the tool holder 244 is changed by rotation of the turret 240, the tool holder 244 approaches the work MO. ) is automatically changed to the anti-collision area.

공작물(MO)에 대한 가공단계에 따라 자동으로 공구교환이 필요한 경우, 상기 중앙 제어유닛(310)은 일정한 각도만큼 상기 터렛(240)을 회전시켜 필요한 작업공구가 수용된 공구홀더(244)를 공작물(MO)에 접근시킨다. When automatic tool exchange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step for the workpiece (MO), the central control unit 310 rotates the turret 240 by a predetermined angle to move the tool holder 244 containing the required work tool to the workpiece (MO). MO) approach.

이때, 상기 충돌 제어부(325)는 공작물(MO)로 이격되는 공구홀더에 대응하는 홀더 버퍼영역으로 형성된 충돌방지 영역을 해제하고 공작물(MO)로 접근하는 공구홀더에 대응하는 홀더 버퍼영역으로 충돌방지 영역을 설정한다. At this time, the collision control unit 325 releases the anti-collision area formed as the holder buffer area corresponding to the tool holder spaced apart from the work MO and prevents collision with the holder buffer area corresponding to the tool holder approaching the work MO. set the area

따라서, 가공단계에 따라 공구교환이 일어날 때 마다 각 공구홀더에 최적화된 홀더 버퍼영역으로 충돌방지 영역이 자동으로 갱신됨으로써 공구교환 과정에서 충돌방지 영역을 개별 공구홀더(244)에 대응하여 최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anti-collision area is automatically updated to the holder buffer area optimized for each tool holder whenever tool exchange occurs according to the processing step, thereby maintaining the anti-collision area optimally corresponding to the individual tool holder 244 during the tool exchange process. can

상기 터렛 스토퍼(326)는 상기 충돌방지 영역이 주변 구조물과 간섭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터렛(24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이에 따라, 공구홀더(244)와 주변 구조물의 충돌을 방지한다. The turret stopper 326 automatically stops the operation of the turret 240 when the anti-collision area interferes with a surrounding structure. Accordingly, collision between the tool holder 244 and surrounding structures is prevented.

이때, 상기 충돌방지 영역은 공구교환 과정에서 자동으로 각 공구홀더(244)의 형상특성에 대응하여 최적하게 설정되므로 주변 구조물과 충돌방지 영역의 간섭에 의한 터렛(240)의 동작중지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nti-collision area is automatically set optimally in response to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each tool holder 244 during the tool exchange process, so that the stoppage of operation of the turret 240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anti-collision area and surrounding structures can be minimized. there is.

종래의 터닝센터에 의하면, 상기 충돌방지 영역이 가장 큰 사이를 갖는 공구홀더의 홀더 버퍼영역으로 고정되어, 공구홀더의 종류와 타입에 따라 주변 구조물과의 충돌가능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충돌방지 영역이 과다하게 설정되어 주변 구조물과 충돌방지 영역이 간섭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공구홀더와 주변 구조물과의 충돌가능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터렛의 작동이 중지되어 터렛센터의 동작효율을 현저하게 저해하고 있다.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urning center, the anti-collision area is fixed to the holder buffer area of the tool holder having the largest gap, so that the anti-collision area is It is evaluated that the collision prevention area interferes with the surrounding structure because it is set excessively. Accordingly, even though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the tool holder and the surrounding structure, the operation of the turret is stopped, significantly impairing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turret center.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공구교환시 자동으로 공구홀더에 최적한 홀더 버퍼영역으로 충돌방지 영역이 변경되므로 주변 구조물과 충돌방지 영역 사이의 간섭가능성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 구조물과 공구홀더의 충돌을 예방하기 위한 상기 터렛(240)의 과도한 자동정지를 방지함으로써 터닝센터의 동작효율을 높일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nti-collision area is automatically changed to the holder buffer area optimal for the tool holder during tool exchange, the possibility of interference between the surrounding structure and the anti-collision area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ccordingly,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turning center can be increased by preventing excessive automatic stop of the turret 240 to prevent collision between the tool holder and the surrounding structures.

선택적으로, 상기 버퍼영역 저장부(324)는 상기 척 버퍼 설정부(322) 및 어태치먼트 버퍼 설정부(323)에 의해 형성된 척 버퍼영역 및 어태치먼트 버퍼영역을 각 척이나 어태치먼트별로 더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홀더 버퍼영역에 관한 정보와 마찬가지로 척 버퍼영역 및 어태치먼트 버퍼영역을 이에 대응하는 척 또는 어태치먼트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데이터베이스 파일로 데이터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buffer area storage unit 324 may further store the chuck buffer area and attachment buffer area formed by the chuck buffer setting unit 322 and the attachment buffer setting unit 323 for each chuck or attachment. Similar to the information on the holder buffer area, the chuck buffer area and the attachment buffer area may be converted into digital data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huck or attachment and stored in a data storage device as a database file.

상기 충돌 제어부(325)는 공작물(MO)에 대한 가공 전이나 터닝센터의 구동 전에 상기 척 버퍼영역 및/또는 어태치먼트 버퍼영역을 척 및/또는 어태치먼트 충돌방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collision controller 325 may set the chuck buffer area and/or the attachment buffer area as a chuck and/or attachment anti-collision area before machining the work MO or before driving the turning center.

이에 따라, 상기 척(120)이나 어태치먼트와 같은 주변 구조물과 공구홀더(244)의 충돌은 척 및/또는 어태치먼트에 관한 제1 충돌방지 영역과 공구홀더에 관한 제2 충돌방지 영역의 간섭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구홀더(244)와 주변 구조물 사이의 물리적 충돌 가능성을 더욱 낮게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llision between the tool holder 244 and a surrounding structure such as the chuck 120 or the attachment can be evaluated by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anti-collision area for the chuck and/or the attachment and the second anti-collision area for the tool holder. can Accordingly, the possibility of physical collision between the tool holder 244 and the surrounding structure can be set to be lower.

특히, 상기 터닝 센터의 구동특성이나 가공특성에 따라 척 및 어태치먼트에 관한 충돌방지 영역을 개별적으로 수정함으로써 공구홀더(244)와 주변 구조물 사이의 물리적 충돌을 더욱 엄격하게 관리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hysical collision between the tool holder 244 and surrounding structures can be more strictly managed by individually modifying the anti-collision area of the chuck and attachment according to the driving characteristics or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the turning center.

상술한 바와 같은 터닝센터는 아래와 같이 작동되어 공구교환 과정에서 공구홀더와 주변 구조물과의 충돌을 정교하게 방지할 수 있다. The turning center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as follows, so that collision between the tool holder and surrounding structures can be precisely prevented during the tool exchange proces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터닝센터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버퍼영역 데이터 설정단계의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of machining a workpiece using the turning center shown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shows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step of setting buffer area data shown in FIG. It is a flow chart showing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터닝센터(500)의 가동 전에 주변구조물 및 공구홀더에 관한 버퍼영역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고 버퍼영역 데이터를 설정한다(단계 S100). Referring to FIGS. 1 to 6 , before starting the turning center 500, a buffer area database related to a peripheral structure and a tool holder is checked and buffer area data is set (step S100).

주변구조물 및 공구홀더에 관한 버퍼영역 데이터를 새로이 생성하거나 기존의 버퍼영역 데이터를 갱신할 필요성이 있으면 버퍼영역 설정모드를 수행하여 공구홀더 및 주변 구조물에 대한 버퍼영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기존의 버퍼영역 데이터베이스만으로 터닝센터(500) 가동이 충분한 경우에는 운전모드를 수행한다. If there is a need to newly create buffer area data for peripheral structures and tool holders or to update existing buffer area data, perform buffer area setting mode to create buffer area data for tool holders and surrounding structures, and create buffer area data for existing buffer area databases. When the operation of the turning center 500 is sufficient, the operation mode is performed.

버퍼영역 설정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척(120) 및 어태치먼트와 같은 주변 구조물에 관한 버퍼영역을 설정하거나 생성한다(단계 S110). 주변 구조물에 관한 버퍼영역은 제조사에서 미리 설정된 각 버퍼영역을 상기 터닝센터(500)의 주변 구조물 버퍼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상기 척 버퍼 설정부(322) 및 어태치먼트 버퍼 설정부(323)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가공특성과 장비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터닝센터(500)의 구동에 최적화된 주변 구조물 버퍼영역을 새로이 생성할 수도 있다. When the buffer area setting mode is selected, a buffer area for surrounding structures such as the chuck 120 and attachments is set or created (step S110). As for the buffer area related to the surrounding structure, each buffer area preset by the manufacturer may be set as the buffer area of the surrounding structure of the turning center 500, or by using the chuck buffer setting unit 322 and the attachment buffer setting unit 323. An operator may newly create a surrounding structure buffer area optimized for driving the turning center 500 in consideration of processing characteristics and equipment characteristics.

이어서, 공구홀더 선택기(321a) 및 홀더번호 입력부(422)에 의해 터렛(240)에 구비된 다수의 공구홀더(244) 중에서 선택홀더(SH)를 선택(단계 S120)하고, 상기 선택홀더(SH)의 형상특성을 형상정보 입력부(424)를 통해 입력한다(단계 S130). 상기 선택홀더(SH)에 관한 홀더번호와 형상정보는 홀더버퍼 생성기(312b)로 전송되어 상기 선택홀더(SH)를 둘러싸는 가상의 공간인 홀더 버퍼영역을 생성한다(단계 S140). Subsequently, the selected holder SH is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tool holders 244 provided in the turret 240 by the tool holder selector 321a and the holder number input unit 422 (step S120), and the selected holder SH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 are input through the shape information input unit 424 (step S130). The holder number and shap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holder SH is transmitted to the holder buffer generator 312b to create a holder buffer area, which is a virtual space surrounding the selected holder SH (step S140).

이어서, 상기 주변 구조물 버퍼영역 및 홀더 버퍼영역을 주변 구조물 및 선택홀더(SH)의 홀더번호와 연동하여 버퍼영역 저장부(324)에 저장하여 버퍼영역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단계 S150). 예를 들면, 상기 공구홀더(244)의 홀더번호 별로 분류된 홀더 버퍼영역과 각 주변 구조물별로 분류된 주변 구조물 버퍼영역을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한다. 상기 버퍼영역 데이터베이스는 후속하는 공구교환 단계에서 호출하여 자동으로 공구홀더(244)와 주변 구조물의 충돌방지 영역으로 설정된다. Next, the buffer area database is updated by storing the surrounding structure buffer area and holder buffer area in the buffer area storage unit 324 in association with the surrounding structure and the holder number of the selected holder SH (step S150). For example, the holder buffer area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older number of the tool holder 244 and the peripheral structure buffer area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neighboring structure are stored as digital data. The buffer area database is called in a subsequent tool exchange step and is automatically set as an anti-collision area between the tool holder 244 and surrounding structures.

모든 주변 구조물과 공구홀더(244)에 대하여 개별적인 버퍼영역이 생성되면, 버퍼영역 설정모드를 종료하고 터닝센터(500)의 운전모드로 전환한다. When individual buffer areas are created for all surrounding structures and the tool holder 244, the buffer area setting mode is ended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turning center 500 is switched.

운전모드로 전환되면, 먼저 터렛(240)의 공구홀더(244)에 관한 제1 충돌방지 영역 및 척(120)이나 어태치먼트와 같은 주변 구조물에 관한 제2 충돌방지 영역 설정한다(단계 S200).When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a first anti-collision area for the tool holder 244 of the turret 240 and a second anti-collision area for surrounding structures such as the chuck 120 or attachment are set (step S200).

먼저, 버퍼영역 저장부(324)로부터 터닝센터(500)에 결합된 척(120) 및 어태치먼트에 관한 버퍼영역을 호출하여 주변 구조물에 관한 충돌방지 영역인 제2 충돌방지 영역을 설정하고, 공작물(MO)에 대한 최초 가공용 작업공구가 수납된 초기 공구홀더에 관한 홀더 버퍼영역을 호출하여 공구홀더에 관한 충돌방지 영역인 제1 충돌방지 영역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2 충돌방지 영역은 터닝센터(500)의 정밀도와 가공특성에 따라 설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First, the buffer area related to the chuck 120 coupled to the turning center 500 and the attachment is called from the buffer area storage unit 324 to set a second anti-collision area, which is an anti-collision area related to the surrounding structure, and the workpiece ( A first anti-collision area, which is an anti-collision area for the tool holder, is set by calling the holder buffer area related to the initial tool holder in which the first machining tool for the MO) is accommodated. At this time, the second anti-collision area may not be set according to the precision and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the turning center 500 .

이어서, 자동충돌 방지기능을 활성화시켜 상기 충돌 제어부(325)에 의한 상기 터렛(240)의 동작제어를 허용한다(단계 S300). Then, by activating the automatic collision avoidance function,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turret 240 by the collision controller 325 is allowed (step S300).

공구홀더 및 주변 구조물에 관한 충돌방지 영역이 설정되었다 할지라도 터닝센터(500)의 운전조건에 따라 공구홀더(244)와 주변 구조물과의 충돌가능성이 원천적으로 배제된 경우와 같이 선택적으로 충돌방지 기능을 배제함으로써 터닝센터(500)의 조작효율을 높여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동충돌 방지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비활성 모드로 작업자가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돌방지 영역은 자동충돌 방지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이때, 상기 터렛(240)에 관한 운전제어는 상기 충돌 제어부(325)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어된다. Even if the collision prevention area for the tool holder and surrounding structures is set, depending on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turning center 500, the collision prevention function is selective, such as when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the tool holder 244 and the surrounding structures is fundamentally excluded. There may be cases in which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turning center 500 is increased by excluding.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selectively select the automatic collision avoidance function in an active/inactive mode. Therefore, the collision avoidance area is selectively applied only when the automatic collision avoidance function is activated. At this time, operation control of the turret 240 is partially controlled by the collision controller 325 .

상기 터렛(240)의 회전에 의해 제1 공구홀더(244)가 공작물(MO)로 접근하는 동안, 주변 공작물 또는 상기 제2 충돌방지 영역이 제1 충돌방지영역과 간섭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00).While the first tool holder 244 approaches the work MO by the rotation of the turret 240, it is checked whether the surrounding workpiece or the second anti-collision area interferes with the first anti-collision area (step S400).

제1 충돌방지 영역에 대한 간섭이 발생하면 주변 구조물과 공구홀더 사이의 물리적 충돌을 방지하도록 충돌 제어부(325)는 터렛 스토퍼(326)를 구동시켜 상기 터렛(240)의 구동을 정지한다(단계 S500). 공구홀더와 주변 구조물 사이의 물리적 충돌을 초래할 수 있는 간섭인자를 제거(단계 S600)한 후 상기 제1 충돌방지 영역과의 간섭여부를 다시 체크(단계 S400)하고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터렛(240)의 구동을 재개한다. When interference with the first anti-collision area occurs, the collision control unit 325 drives the turret stopper 326 to stop the driving of the turret 240 in order to prevent physical collision between the surrounding structures and the tool holder (step S500 ). After removing interference factors that can cause physical collision between the tool holder and surrounding structures (step S600), whether or not interference with the first anti-collision area is checked again (step S400), and if no interference occurs, the turret 240 resume operation of

제1 충돌방지 영역에 대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면 주변 구조물과 공구홀더 사이의 물리적 충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공작물(MO)에 대한 정상적인 가공이 수행된다(단계 S700). When interference with the first anti-collision region does not occur, since no physical collision occurs between the surrounding structures and the tool holder, normal processing of the workpiece MO is performed (step S700).

제1 공구홀더에 구비된 작업공구를 이용한 가공이 완료되면 터닝센터(500)에 의한 공작물(MO) 가공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단계 S800)하여 터닝센터(500)의 구동을 정지하고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MO)을 반출한다(단계 S900).When the machining using the work tool provided in the first tool holder is complet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machining of the workpiece (MO) by the turning center 500 is completed (step S800), the driving of the turning center 500 is stopped, and the machining begins. The completed work MO is taken out (step S900).

공작물(MO)에 대한 가공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중앙제어유닛(310)은 터렛 구조물(200)로 공구교환 신호를 전송하여 현재공구를 교체공구로 교환한다(단계 S1000). When machining of the work MO is not yet completed, the central control unit 310 transmits a tool exchange signal to the turret structure 200 to exchange the current tool with a replacement tool (step S1000).

예를 들면, 현재공구가 수납된 공구홀더의 번호를 교체공구가 수납된 공구홀더의 번호로 교체하고 상기 교체공구가 공작물(MO)을 향하여 접근하도록 터렛(240)위 회전방향을 결정한다.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tool holder in which the current tool is stored is replaced with the number of the tool holder in which the replacement tool is stored,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urret 240 is determined so that the replacement tool approaches the work MO.

교체공구가 수납된 공구홀더의 번호는 상기 충돌 제어부(325)로 전송된다. 상기 충돌 제어부(325)는 고체공구가 수납된 제2 공구홀더에 대응하는 홀더 버퍼영역을 상기 버퍼영역 저장부(324)로부터 호출하고 제1 공구홀더의 홀더 버퍼영역으로 설정된 상기 충돌방지 영역을 제2 공구홀더의 홀더 버퍼영역으로 변경한다(단계 S1100).The number of the tool holder in which the replacement tool is stored is transmitted to the collision controller 325. The collision control unit 325 calls the holder buffer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ol holder in which the solid tool is stored from the buffer area storage unit 324 and controls the collision prevention area set as the holder buffer area of the first tool holder. 2 Change to the holder buffer area of the tool holder (step S1100).

이어서, 상기 터렛(240)의 회전에 의해 제2 공구홀더가 공작물(MO)로 접근하게 되면 변경된 충돌방지 영역과 주변 구조물의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00). Next, when the second tool holder approaches the work MO due to the rotation of the turret 240, it is checked whether interference between the changed anti-collision area and the surrounding structures occurs (step S400).

상기 공작물(MO)이 가공이 종료될 때까지 공구교환이 발생할 때 마다 충돌방지 영역을 교환되는 공구홀더의 개별적인 형상특성이 반영된 홀더 버퍼영역으로 변경함으로써 충돌가능성에 대한 판단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Whenever tool exchange occurs until the machining of the workpiece MO is finished, the anti-collision area is changed to a holder buffer area reflecting the individual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tool holder to be exchanged, so that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can be precisely determined. .

이에 따라, 과도한 충돌방지 영역 설정으로 인한 빈번한 터렛 가동중지를 방지함으로써 터닝센터의 가동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turning center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by preventing frequent turret operation stoppage due to excessive collision prevention area setting.

상술한 바와 같은 터닝센터에 의하면, 척이나 어태치먼트와 같은 주변 구조물이나 터렛에 구비된 각 공구홀더에 관한 버퍼영역을 개별적으로 생성하여 저장하고, 공구교환 전에 자동으로 공구홀더의 충돌방지 영역을 교환되는 작업공구가 수납된 공구홀더의 버퍼영역으로 변경한다. According to the turning center as described above, a buffer area for each tool holder provided in a peripheral structure such as a chuck or attachment or a turret is individually created and stored, and the anti-collision area of the tool holder is automatically exchanged before tool exchange. Change to the buffer area of the tool holder where the work tool is stored.

따라서, 공구교환이 일어날 때 마다 각 공구홀더에 최적화된 홀더 버퍼영역으로 충돌방지 영역이 자동으로 갱신됨으로써 공구교환 과정에서 충돌방지 영역을 개별 공구홀더에 대응하여 최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충돌방지 영역은 공구교환 과정에서 자동으로 각 공구홀더의 형상특성에 대응하여 최적하게 설정되므로 주변 구조물과 충돌방지 영역의 간섭에 의한 터렛(240)의 동작중지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닝센터의 가동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erefore, whenever a tool change occurs, the anti-collision area is automatically updated as a holder buffer area optimized for each tool holder, so that the anti-collision area can be optimally maintained for each tool holder in the tool change process. Therefore, since the anti-collision area is automatically optimally set to correspond to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each tool holder during the tool exchange process, the stoppage of operation of the turret 240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anti-collision area and surrounding structures can be minimized. Accordingly,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turning center can be increased.

뿐만 아니라, 척 버퍼영역 및 어태치먼트 버퍼영역을 각 척이나 어태치먼트별로 저장하고 공작물(MO)에 대한 가공 전이나 터닝센터의 구동 전에 척 버퍼영역 및/또는 어태치먼트 버퍼영역을 척 및/또는 어태치먼트 충돌방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척이나 어태치먼트와 같은 주변 구조물과 공구홀더의 충돌은 척 및/또는 어태치먼트에 관한 제1 충돌방지 영역과 공구홀더에 관한 제2 충돌방지 영역의 간섭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구홀더와 주변 구조물 사이의 물리적 충돌 가능성을 더욱 낮게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uck buffer area and attachment buffer area are stored for each chuck or attachment, and the chuck buffer area and/or attachment buffer area are stored in the chuck and/or attachment anti-collision area before machining the workpiece (MO) or before driving the turning center. can be set to Accordingly, a collision between the tool holder and a surrounding structure such as the chuck or attachment may be evaluated by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anti-collision area for the chuck and/or the attachment and the second anti-collision area for the tool holder. Accordingly, the possibility of physical collision between the tool holder and the surrounding structures can be set to be lower.

특히, 상기 터닝 센터이 구동특성이나 가공특성에 따라 척 및 어태치먼트에 관한 충돌방지 영역을 개별적으로 수정함으로써 공구홀더와 주변 구조물 사이의 물리적 충돌을 더욱 엄격하게 관리할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turning center individually modifies the anti-collision area of the chuck and attachment according to driving characteristics or processing characteristics, physical collision between the tool holder and surrounding structures can be more strictly manag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5)

베드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공작물을 고정(clamping)하는 척(chuck)을 구비하는 주축 구조물;
상기 베드로부터 연장하는 프레임에 상기 베드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 및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형 몸체의 주변부에 구비된 다수의 공구홀더 및 상기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다수의 작업공구를 구비하는 터렛(turret)을 포함하는 터렛 구조물; 및
상기 터렛 구조물 및 상기 주축 구조물과 연결되어 상기 공작물에 대한 가공단계에 따라 상기 터렛을 회전하여 상기 작업공구를 교환하고, 상기 공구홀더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방지 영역을 상기 공구홀더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변경하는 충돌방지 모듈을 구비하는 수치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충돌방지 모듈은,
상기 다수의 공구홀더에 대하여 개별적인 형상특성에 따라 상기 공구홀더를 둘러싸는 가상공간인 홀더 버퍼영역을 각각 설정하는 홀더버퍼 설정부;
상기 공구홀더 별로 상기 홀더 버퍼영역을 저장하는 버퍼영역 저장부;
상기 버퍼영역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터렛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구홀더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충돌방지 영역을 상기 공작물로 접근하는 상기 공구홀더에 대응하는 홀더 버퍼영역으로 자동으로 설정하는 충돌 제어부; 및
상기 충돌방지 영역이 주변 구조물과 간섭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터렛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터렛 스토퍼(turret stopper)를 구비하는 터닝센터.
A spindle structure having a chuck disposed on the bed to clamp a rotating workpiece;
A plurality of tool holders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rotatable body and a plurality of work tools mounted on the tool holders coupled to a frame extending from the bed to be movable along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A turret structure including a turret to do; and
It is connected to the turret structure and the main axis structure to exchange the work tools by rotating the turret according to the processing step for the workpiece, and to prevent collision with the tool holder by providing an anti-collis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tool holder. Including a numerical control device having an automatically changing anti-collision module,
The anti-collision module,
a holder buffer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holder buffer region, which is a virtual space surrounding the tool holder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ool holders according to individual shape characteristics;
a buffer are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holder buffer area for each tool holder;
a collision control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buffer area storage unit and automatically sets the anti-collision area as a holder buffer area corresponding to the tool holder approaching the workpiece when the tool holder is changed by rotation of the turret; and
A turning center having a turret stopper that automatically stops the operation of the turret when the anti-collision area interferes with a surrounding structur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버퍼 설정부는 상기 공구홀더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홀더로 선택하는 공구홀더 선택기 및 상기 선택홀더의 형상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공간을 생성하는 홀더버퍼 생성기를 포함하는 터닝센터. The turning cen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der buffer setting unit includes a tool holder selector that selects one of the tool holders as the selected holder and a holder buffer generator that creates the virtual space based on the shape of the selected hold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홀더 선택기로 상기 공구홀더의 홀더번호를 전송하는 홀더번호 입력부 및 상기 홀더버퍼 생성기로 상기 선택홀더의 형상정보를 전송하는 형상정보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치 제어장치와 사용자를 연결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제어 콘솔을 더 포함하는 터닝센터.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holder number input unit for transmitting the holder number of the tool holder to the tool holder selector and a shape information input unit for transmitting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holder to the holder buffer generator, A turning center that further includes a control console, which is a user interface that connects us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방지 모듈은 상기 척의 개별적인 형상특성에 따라 상기 척을 둘러싸는 가상공간인 척 버퍼영역을 설정하는 척 버퍼 설정부 및 어태치먼트의 개별적인 형상특성에 따라 상기 어태치먼트를 둘러싸는 가상공간인 어태치먼트 버퍼영역을 설정하는 어태치먼트 버퍼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터닝 센터.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the anti-collision module comprises a chuck buffer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chuck buffer region, which is a virtual space surrounding the chuck, according to individual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chuck, and a virtual space surrounding the attachment according to individual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attachment. A turning center further comprising an attachment buffer setting unit for setting an attachment buffer area which is a space.
KR1020180026821A 2018-03-07 2018-03-07 Turning center KR1025047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821A KR102504724B1 (en) 2018-03-07 2018-03-07 Turning ce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821A KR102504724B1 (en) 2018-03-07 2018-03-07 Turning ce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980A KR20190105980A (en) 2019-09-18
KR102504724B1 true KR102504724B1 (en) 2023-03-02

Family

ID=6807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821A KR102504724B1 (en) 2018-03-07 2018-03-07 Turning ce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72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7880A (en) * 2010-05-06 2011-11-24 Fanuc Ltd Controller of machine tool equipped with tool change position automatic determination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7880A (en) * 2010-05-06 2011-11-24 Fanuc Ltd Controller of machine tool equipped with tool change position automatic determinatio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980A (en)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63453B1 (en) A machine tool
EP0213531B1 (en) Automatic programming system for numerical control program used in cutting machine tool
CN102667650B (en)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JPH0321299B2 (en)
JP5270299B2 (en) Combined lathe
US9962800B2 (en) Tool changer of machine tool
CN111655424B (en) Tool magazine for machine tool
JP3186213B2 (en) Tool breakage detection method
US20200180036A1 (en) Lathe with tool unit mounted thereto
KR102504724B1 (en) Turning center
JP701541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and machine tools
CN110958930A (en) Automatic accessory replacing machine and boring machine with same
JPH0482641A (en) Tool changing device of machine tool
JP5579589B2 (en) Numerical control device with tool management function
JPH0288139A (en) Exchanging device for tool
JPH10232706A (en) Interference check method for nc machine tool
JP4341118B2 (en) Tool changing device and tool changing method
JP2003145379A (en) Method of rearranging tool in tool magazine and method of rearranging tools in a plurality of tool magazines
US20220253036A1 (en) Tool information setting device and machine tool
JP7188346B2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EP4273642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s in a working plane and machining center implementing such method
JP2002346867A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rearranging tool in tool magazine
JP4797583B2 (en) Processing equipment control system with changer
JP2018069400A (en) Processing device,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control device
JP2005288579A (en) Tool replacement method and device of machine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