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585B1 - 이동식 수도계량기를 이용한 옥내 누수 비교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식 수도계량기를 이용한 옥내 누수 비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585B1
KR102504585B1 KR1020220106168A KR20220106168A KR102504585B1 KR 102504585 B1 KR102504585 B1 KR 102504585B1 KR 1020220106168 A KR1020220106168 A KR 1020220106168A KR 20220106168 A KR20220106168 A KR 20220106168A KR 102504585 B1 KR102504585 B1 KR 102504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eter
water meter
customer
m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영동
Original Assignee
예영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영동 filed Critical 예영동
Priority to KR1020220106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 전원은 배터리(DC 3.6V)이고, 외부의 상시전원(DC 5~24V, AC110~220V) 전기 공급 시 배터리의 전기 공급은 끊어지고 외부 전기 공급으로 수도계량기를 확인하며 본 발명 이동식 수도계량기와 사용자가 사용하는 수용가 수도계량기를 비교 확인하여 문제점 확인할 수 있는 이동식 수도계량기를 이용한 옥내 누수 비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용가 현장의 옥외 수도를 공급받는 마스터 수도배관인 마스터 메타(130); 상기 마스터 메타(130)로부터 공급된 옥외의 수도를 각각의 수용가의 수도배관에 공급하기 위한 슬레이브 수도관(140); 상기 슬레이브 수도관(140)을 통해 각각의 개별 수용가에 공급되는 개별 유량 흐름을 계량하기 위한 복수의 수도계량기(150); 및 상기 마스터 메타(130)와 상기 복수의 수도계량기(150) 각각의 유량과, 실제 수용가에 기존에 설치된 수도미터의 유량을 입력받아 비교하는 HMI 스카다(11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도계량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도계량기를 이용한 옥내 누수 비교 시스템.

Description

이동식 수도계량기를 이용한 옥내 누수 비교 시스템{Indoor leak comparison system using a portable water meter}
본 발명은 이동식 수도계량기를 이용한 옥내 누수 비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 전원은 배터리(DC 3.6V)이고, 외부의 상시전원(DC 5~24V, AC110~220V) 전기 공급시 배터리의 전기 공급은 끊어지고 외부 전기 공급으로 수도계량기를 확인하며 기준용 계량기와 사용자가 사용하는 계량기를 비교 확인하여 문제점 확인할 수 있는 이동식 수도계량기를 이용한 옥내 누수 비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은 정수장에서 정수 처리된 뒤, 시의 경우 각 구별로 큰 관을 통해 공급되고, 각 구에서는 중블록, 소블록 등으로 분류되어 수돗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각 분배점 사이에는 수도 미터기가 설치되어 있어 분배되는 지역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유량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아파트 단지와 같은 대단위 시설에는 큰 관로를 통하여 수돗물을 공급하도록 상수도관이 설치되며, 일반 가정 주택, 상가 건물 밀집 지역 등은 도로 아래 매설된 큰 관로에서 작은 관로에 연결하여 최종 사용처인 수용가로 수돗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관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하며, 옥내 배관 부분은 각 수용가의 책임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각 수용가에서는 옥내 누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아무런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수용가에서는 대부분 누수발생 여부를 인지하기가 곤란하다.
이와 같은 누수의 원인 파악 방법은 주로 사람의 인력에 의지하여 상황을 인지하고 판단하여 시간 및 경제적 비용 손실이 크고, 센서 설치를 통한 위기 상황 판단의 경우에도 센서의 고장 및 오작동으로 인한 혼란이 발생할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의 문제가 추가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각 옥내(댁내)의 수도 미터기를 수시로 점검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현실적으로는 점검 인력의 부족으로 인하여 1개월에서 길게는 3개월 단위로 누수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밖에 없으므로, 수개월 동안 발생하는 누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어렵다. 또한, 각 댁내 사용자가 직접 누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디지털 미터기를 사용하는 수도 미터로부터 실시간으로 사용량의 계측으로서 원격검침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생산하고 수집된 자료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도 사업자에게 전달하며, 원격검침을 이용하여 물 사용량 절감, 누수 관리, 공급과 수요의 조절, 에너지 절감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검침 값을 지속적으로 운영 시스템에 전송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미터기를 이용한 누수 알람으로 이상 징후를 판단하기 위해 디지털 미터기 지시부 펌웨어 기반에 따라, 1시간 동안 1L 이상 누적 사용 유무를 판단하고, 디지털 미터기 지시부 펌웨어 기반 7일 이상 계속해서 물을 사용 유무를 판단하고 2가지 조건의 만족 시 디지털 미터기가 누수 알람을 통보할 수도 있지만, 디지털 미터기의 디지털 지시부가 1시간에 한번 씩 동작하고 계량기 하부 익차(임펠라) 회전 수 누적 카운트를 통한 사용량을 검사하여 사용량을 계산하므로, 1시간 내 물 사용량이 "0"인 경우 누수가 아님에도, 누적 사용량이 1L가 넘으면, 조건을 만족하므로, 누수 판단 여부가 오류로 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미터기 누수 알람 방식은 서울시 상수도사업소 제정 방식을 각 디지털 미터기 제조사가 동일한 방식으로 모든 제품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디지털 미터기의 누수 알람으로 누수 여부 의심은 가능하나 확인 시 오차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누수 발생 시 발생되는 원인 및 문제점으로는 누수는 건물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노후 촉진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 누전이나 크랙을 유발하여 심각한 문제로 발전할 수 있다.
누수 원인은 다음 표 1과 같다.
Figure 112022088773315-pat00001
또한 도 1과 같이 노후 관 스케일 부식으로 인하여 수도관 파손 및 누수 현상이 발생한다. 도 2는 사용연수와 급수 배관의 상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환경부에서는 2010년대 이후 수요관리 및 공급 효율성 정책으로 전환하여 공급중심의 물관리 정책 기조를 수정해 수요관리를 중심으로 한 물절약 종합대책을 추진하기로 결정하였다.
물절약종합대책은 수도요금 현실화, 노후관로 교체등이 있으나, 특히 유수율 제고 등의 정책 수단을 통해 진행하고자 하는데,
(1) 기초조사와 연계하여 물 수요관리 평가시스템 구축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
(2) 국가차원에서 절수기술 연개개발 주도 및 지원강화
(3) 유수율 관리 및 상수도계획의 합리적 수립 유도 등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지자체들 역시 각 지자체별로 수도계량기 원격 검침 시스템에 대해 시범사업 및 운영 계획중인데,
원격 검침 시스템 안정화 작업에 따른 점검사항으로,
- 원격검침 수도계량기 고장률 파악 및 원인분석
- 통신(전송단말기, LoRa 망) 실패율 파악 및 원인분석
- 누수 발생 현황과 알림서비스 정보 비교
- 중구역 유량계 사용량과 원격검침 총사용량 비교 등이 있다.
이를 위하여 IoT기반 원격검침을 이용하는 경우 실시간, 일별, 월별 물 사용량 데이터 수집이 가능함은 물론, 물 소비 정보에 따른 안정적 물 공급이 가능하며, 누수율 감소, 유수율 제고에 이바지할 수 있는데,
현재의 수도계량기는 유량 검침 및 통신(1일 24회)를 기준으로 배터리를 선정을 하여 제품을 생산 및 납품을 하고 있지만, 현재 IoT로 전환이 되면서 수도계량기는 IoT System에 연결이 되는 상황이다. 이에 System 업체는 정해진 1일 24회 통신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공급자의 요청 및 System 업체에서 임의로 통신횟수를 변경하여 사용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와 같은 경우 설계치는 1일 24회 인데 1일 1440회 변경하는 경우 등으로 인하여 최대 6배의 통신을 사용한다. 이러한 경우 수도계량기에 설치된 배터리의 용량을 초과를 하여 배터리가 정해진 사용연한 이전에 Off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1-0126474호(2021. 10. 20 공개)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015954호(2020. 02. 14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주 전원은 배터리(DC 3.6V)이고, 외부의 상시전원(DC 5~24V, AC110~220V) 전기 공급시 배터리의 전기 공급은 끊어지고 외부 전기 공급으로 수도계량기를 확인하며 본 발명 이동식 수도계량기와 사용자가 사용하는 수용가 수도계량기를 비교 확인하여 문제점 확인할 수 있는 이동식 수도계량기를 이용한 옥내 누수 비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용가 현장의 옥외 수도를 공급받는 마스터 수도배관인 마스터 메타(130); 상기 마스터 메타(130)로부터 공급된 옥외의 수도를 각각의 수용가의 수도배관에 공급하기 위한 슬레이브 수도관(140); 상기 슬레이브 수도관(140)을 통해 각각의 개별 수용가에 공급되는 개별 유량 흐름을 계량하기 위한 복수의 수도계량기(150); 및 상기 마스터 메타(130)와 상기 복수의 수도계량기(150) 각각의 유량과, 실제 수용가에 기존에 설치된 수도미터의 유량을 입력받아 비교하는 HMI 스카다(11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도계량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도계량기를 이용한 옥내 누수 비교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이동식 수도계량기(100)는 배터리 또는 상시전원(AC)을 상기 이동식 수도계량기(100)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HMI 스카다(110)는 상기 마스터 메타(130)와는 RS-232로 통신하고, 상기 복수의 수도계량기(150) 각각과는 TTL 통신방식으로 실시간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기 공급으로 인한 수도계량기의 내구연한(8년)보다 더 많이 사용 할 수 있다.
둘째, 실시간 데이터 전송으로 인한 누수 및 유수 관리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셋째, 비교 데이터로 인한 공급자의 누수 하락으로 검사 및 공사 및 교체 비용 절감할 수 있으며, 비교 데이터로 인한 공급자의 유수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은 노후 관 스케일 부식으로 인하여 수도관 파손 및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사용연수와 급수 배관의 상황을 보여주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도계량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도계량기를 이용한 옥내 누수 비교 시스템의 실시예 중 마스터와 슬레이브 통신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도계량기를 이용한 옥내 누수 비교 시스템의 실시예 이동식 수도계량기와 수용가 통신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도계량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도계량기를 이용한 옥내 누수 비교 시스템의 실시예 중 마스터와 슬레이브 통신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도계량기를 이용한 옥내 누수 비교 시스템의 실시예 이동식 수도계량기와 수용가 통신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도계량기(10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HMI(Human Machine Interface) 스카다(SCADA :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110), 지시부(120), 마스터 메타(130), 복수의 수도관(140), 복수의 수도계량기(150) 및 전원공급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HMI 스카다(110)는 이동식 수도계량기(100)를 통해 수용가 현장에서 옥외 공용 수도 공급관인 마스터와 수용자의 개별 수도 공급관인 슬레이브의 유량 비교 검침을 위한 Slave와 수용가의 수도미터의 사용량을 비교하여 누수의 원인이 옥내인지, 옥외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이다.
지시부(120)는 마스터 메타(130)의 유량을 표시한다.
마스터 메타(130)는 이동식 수도계량기(100)의 마스터 수도배관이다. 참고로, 131은 밸브이다.
복수의 수도관(140)은 마스터 메타(120)로부터 유량을 복수의 수도계량기(150) 각각으로 공급한다.
복수의 수도계량기(150)는 수용가에 각각 연결되는 배관의 유량 흐름을 계량한다. 참고로 151은 밸브이다.
전원공급부(160)는 배터리(3.6v) 전원 또는 외부의 상시전원(DC 5~24V, AC110~220V)을 이동식 수도계량기(100)에 공급한다. 이때, 기본적으로 주 전원은 배터리이고, 외부 전기 공급 시 배터리의 전기 공급은 끊어지고 외부 전기 공급으로 수도계량기를 확인하며 본 발명 이동식 수도계량기와 사용자가 사용하는 수용가 수도계량기를 비교 확인하여 문제점
이러한 본 발명 이동식 수도계량기(100)는 최대 30가구의 수용가(slave)의 유량을 검출하게 된다. 즉 복수의 수도관(140)과 복수의 수도계량기(150)가 30개가 구비된 것으로, 이동식 수도계량기(100)는 마스터 메타(Master(FIT))(130)는 0.18 ~ 180 m3/ hr, 복수의 수도관(Slave(FI))(140)은 15A 0.016 ~ 1.6 m3/ hr, 15A 0.016 ~ 1.6 m3/ hr, 25A 0.035 ~ 3.5 m3/ hr의 유량을 소화하게 되고, HMI 스카다(110)는 해당 유량을 측정하여 계산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이동식 수도계량기(100)의 평상시 수도계량기 배터리 소모량 계산 및 1일 24회 통신시 발생되는 소모량 계산식은 다음 표 2와 같다.
Figure 112022088773315-pat00002
수도미터의 평균소모전류 x 9년( 78,840 [hours])
외부 검침기와의 통신기능이 있는 경우, 배터리 1일 소모용량
= A [uA] x 12 [hour] + B [uA] x 12 [hour] + C [uA] x D [1/3600000 hour] x 24
외부 검침기와의 통신기능이 없는 경우, 배터리 1일 소모용량
= A [uA] x 12 [hour] + B [uA] x 12 [hour]
배터리 9년 소모용량 = E mAh x 365 [day/year] x 9 [year] 이다.
한편 소모 전류를 확인하여 1일 소모 용량을 계산하면, 표 3과 같은데,
Figure 112022088773315-pat00003
7.7685692 [uA] x 12 [hour] + 29.213148 [uA] x 12 [hour] + 893.7917 [uA] x 869 [1/3600000 hour] x 24 (회) = 448.95864 [uAh] 이며,
배터리의 9년 예상 소모 용량은
448.95864 [uAh] x 365 [day/year] x 9 [year] = 1474.829 [mAh] 이다.
그러므로, 디지털 수도계량기에 이용되는 배터리 용량은 표 4와 같다.
Figure 112022088773315-pat00004
그에 따라 제작 및 판매하는 제품은 배터리의 9년 소모용량 = 1474.829 [mAh]이고, 배터리의 자가방전을 포함하여 실제로 공급되는 용량 = 2190 [mAh]이므로, 2190 [mAh] 배터리의 경우 9년 동안 전원을 충분히 공급(2190 - 1475 = 715mAh)됨을 알 수 있다.
1일 24회 통신 시 발생되는 소모량은 다음 표 5와 같다.
Figure 112022088773315-pat00005
한편, 수도계량기와 연결되는 시스템 업체에서 행하고 있는 통신 방식은 평상시는 1시간에 1회(1일 24회) 검침을 하지만 누수 의심 지역 발생시 10분 및 1분 통신으로 변경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표 2와 같은 방식으로 배터리 용량을 산출하면,
수도미터의 평균소모전류 x 9년(78,840 [hours])
외부 검침기와의 통신기능이 있는 경우, 배터리 1일 소모용량
= A [uA] x 12 [hour] + B [uA] x 12 [hour] + C [uA] x D [1/3600000 hour] x 144
외부 검침기와의 통신기능이 없는 경우, 배터리 1일 소모용량
= A [uA] x 12 [hour] + B [uA] x 12 [hour]
배터리 9년 소모용량 = E mAh x 365 [day/year] x 9 [year] 이다.
그리고 소모 전류를 확인하여 1일 소모 용량을 계산하면,
7.7685692 [uA] x 12 [hour] + 29.213148 [uA] x 12 [hour] + 893.7917 [uA] x 869 [1/3600000 hour] x 144 (회) = 474.8488059 [uAh] 이며,
배터리의 9년 예상 소모 용량은, 표 6과 같으며,
448.95864 [uAh] x 365 [day/year] x 9 [year] = 1559.878327 [mAh] 이다.
Figure 112022088773315-pat00006
그에 따라 제작 및 판매하는 제품은 배터리의 9년 소모용량 = 1474.829 [mAh]이고, 배터리의 자가방전을 포함하여 실제로 공급되는 용량 = 2190 [mAh]이므로, 2190 [mAh] 배터리의 경우 9년 동안 전원을 충분히 공급(2190 - 1559 = 631mAh)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수도계량기 배터리 소모량 계산 및 1분당 1회 통신시 발생되는 소모량 계산식은 표 2를 기준으로 설정하여 배터리 용량을 산출하면,
수도미터의 평균소모전류 x 9년( 78,840 [hours])
외부 검침기와의 통신기능이 있는 경우, 배터리 1일 소모용량
= A [uA] x 12 [hour] + B [uA] x 12 [hour] + C [uA] x D [1/3600000 hour] x 1440 이고,
외부 검침기와의 통신기능이 없는 경우, 배터리 1일 소모용량
= A [uA] x 12 [hour] + B [uA] x 12 [hour]
배터리 9년 소모용량 = E mAh x 365 [day/year] x 9 [year] 이다.
소모 전류를 확인하여 1일 소모 용량을 계산하면,
7.7685692 [uA] x 12 [hour] + 29.213148 [uA] x 12 [hour] + 893.7917 [uA] x 869 [1/3600000 hour] x 144 (회) = 754.4626013 [uAh] 이며,
배터리의 9년 예상 소모 용량은 표 7과 같으며,
448.95864 [uAh] x 365 [day/year] x 9 [year] = 2478.409645 [mAh] 이다.
Figure 112022088773315-pat00007
그에 따라 제작 및 판매하는 제품은 배터리의 9년 소모용량 = 1474.829 [mAh]이고, 배터리의 자가방전을 포함하여 실제로 공급되는 용량 = 2190 [mAh]이므로, 2190 [mAh] 배터리의 경우 9년 동안 전원을 충분히 공급(2190 - 2478 = -288mAh)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실시간 통신을 할때의 이점은, 기존에 1일 24회에서 최대 1일 1440회로 변경을 할 수가 있어 광범위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5에서와 같이, 마스터와 슬레이브 통신의 실시예와 도 6에서와 같이 이동식 수도계량기와 수용가 통신을 구성할 수 있다.
우선, 도 5에서와 같은 마스터와 슬레이브 통신은 HMI 스카다(110)와 마스터 메타(130)는 RS-232. HMI 스카다(110)와 각각의 수도계량기(150)는 TTL(Real Time) 통신방식을 이용하며, HMI 스카다(110)를 별도의 중계기(200)를 통해 개별 수용가의 수용가 수도계량기(400)에 연결된 원격 검침기(300)와 접속하여 개별 수용가의 유량을 비교 검침할 수도 있다. 이때, 이동식 수도계량기(100)를 갖고 현장에 이동한 경우에는 실시간(Real Time)으로 통신하고, 이동식 수도계량기(100)를 현장에 설치 후 일정시간(하루 내지 한달 등) 옥내누수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1시간에 한번씩 통신(1Hour 1Time)하면서 옥내 누수를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마스터 메타(130)를 통해 복수의 수도계량기(150) 각각의 유량과, 실제 수용가에 기존에 설치된 수도미터인 수용가 수도계량기(400)의 유량을 HMI 스카다(110)에서 입력받아 비교하는 경우 누수의 원인이 수용가 옥내인지 아니면 수용가 옥외에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본 발명 이동식 수도계량기에서는 대쉬보드를 통해 지도기반 수용자 위치 및 상태 표시, 정상 및 장애집계정보, 직전 7, 30일 평균 데이터, 금일 사용량 집계 및 전일 대비 비율(%), 금일 사용량 집계 및 전월 대비 비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 scada는 GIS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수용가 위치를 시각적으로 모너티링 할 수 있도록 하였고, 모니터링 대쉬보드는 사용자가 물 사용량, 장애현황 등 주요 지표 현황들을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그래픽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외에도 고객정보, 성명, 주소 등 수용가 상세정보, 수용가별 월별, 일별, 연도별, 시간대별 사용량 및 장애 이력 상세, 그래프 및 표로 도출, 통신상태 및 성공률(검침률)을 포함하는 수용가 종합정보와,
일별, 전별, 전체 수용가에 대한 총사용량, 일별, 전별, 전체 수용가에 대한 평균 사용량, 일별, 전별, 전체 수용가에 대한 검침율 및 그룹별 필터 집계를 포함하는 검침 데이터 집계와,
수용가, 수도미터, 검침 단말기 관리 기능. 기본정보, 상태정보, 추가, 변경, 삭제, 사용가별 검침 일시 지정, 사용자 할당작업목록 조회 및 등록과, 배터리 잔량 표시를 포함하는 장치(이동식 수도계량기) 및 자료관리와,
당일, 전일, 직전 7, 30일 검침률, 당일, 전일, 일간(이동평균). 직전 7, 39일 검침량, 그룹별(빌라, 아파트 등) 필터 집계, 데이터 다운로드를 포함하는 검침 현황,
과금을 위한 물 사용량 산정, 데이터 처리 및 엑셀파일 출력, 비정상 데이터 보정, 이력조회 및 파일기반 요금프로그램 연계를 포함하는 과금 데이터 산정,
블록, 월간, 년간에 따른 검침 집계 및 그래프 및 표로 도출, 검침집계 조건에 따른 총사용량, 검침수, 전원사용량, 검침율, 데이터 다운로드를 포함하는 표출 및 다운로드와,
로그인, 아이디/패스워드 오류검출, 패스워드 암호화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리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정보는 별도의 이동식 수도계량기(100)를 통신망을 통해 별도의 서버와 연결된 모니터에 표시될 수도 있고, HMI 스카다(110)와 노트북을 통해 노트북 화면 등에 표시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 이동식 수도계량기(100)를 이용하는 경우,
* 각종 리포터 발행 가능
* 월별, 일별, 시간대별 사용량 파악 및 리포트 출력
* 각종 리포트를 통한 에너지 낭비 요서 원인 파악 및 대처 방안
* 실시간 물 사용량을 제공하여 고객이 자체적으로 물 사용계획을 세우고 계획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반 제공
* 고객의 자발적 물 절약 유도를 통한 물 사용량 절감
* 검침 주기로 가변하여 비대면 옥내 누수 검사와 누수 예상량 산출 가능
* 실시간 사용량 확인으로 이상패턴 및 홀몸노인 도출 및 알람 가능
* 도수 관련 이상 패턴 검출 가능
* 관리비용 절감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미 검침 및 교체 비용 감소)
* 다양한 물관리로 IoT 통신망의 효율적 융복합으로 스마트워터그리드 실현을 위한 빅데이터 구축 가능
*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신속 정확한 검침 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이동식 수도계량기 110 : HMI 스카다
120 : 지시부 130 : 마스터 메타
140 : 수도관(slave) 150 : 수도계량기
160 : 전원공급부
200 : 중계기 300 : 원격 검침기
400 : 수용가 수도계량기

Claims (3)

  1. 수용가 현장의 옥외 수도를 공급받는 마스터 수도배관인 마스터 메타(130);
    상기 마스터 메타(130)로부터 공급된 옥외의 수도를 각각의 수용가의 수도배관에 공급하기 위한 슬레이브 수도관(140);
    상기 슬레이브 수도관(140)을 통해 각각의 개별 수용가에 공급되는 개별 유량 흐름을 계량하기 위한 복수의 수도계량기(150);
    배터리 또는 상시전원(AC)을 상기 이동식 수도계량기(100)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60); 및
    상기 마스터 메타(130)와 상기 복수의 수도계량기(150) 각각의 유량과, 실제 수용가에 기존에 설치된 수도미터의 유량을 입력받아 비교하는 HMI 스카다(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식 수도계량기(100)로,
    상기 이동식 수도계량기(100)는 30가구의 수용가(slave)의 유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복수의 상기 수도관(140)과 복수의 상기 수도계량기(150)가 30개가 구비되고,
    상기 HMI 스카다(110)는 상기 마스터 메타(130)와는 RS-232로 통신하고, 상기 복수의 수도계량기(150) 각각과는 TTL 통신방식으로 실시간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동식 수도계량기(100)는 중계기(200)를 통해 개별 수용가의 수용가 수도계량기(400)에 연결된 원격 검침기(300)와 접속하여 개별 수용가의 유량을 비교 검침 시에는 상기 이동식 수도계량기(100)를 갖고 현장에 이동한 경우 실시간(Real Time)으로 통신하고, 일정시간 옥내누수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식 수도계량기(100)를 현장에 설치 후 하루 내지 한달동안 1시간에 한번씩 통신(1Hour 1Time)하면서 옥내 누수를 확인하도록 되어,
    상기 마스터 메타(130)를 통해 복수의 수도계량기(150) 각각의 유량과, 실제 수용가에 기존에 설치된 수도미터인 수용가 수도계량기(400)의 유량을 상기 HMI 스카다(110)에서 입력받아 비교하는 경우 누수의 원인이 수용가 옥내인지 아니면 수용가 옥외에 있는지를 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도계량기를 이용한 옥내 누수 비교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106168A 2022-08-24 2022-08-24 이동식 수도계량기를 이용한 옥내 누수 비교 시스템 KR102504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168A KR102504585B1 (ko) 2022-08-24 2022-08-24 이동식 수도계량기를 이용한 옥내 누수 비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168A KR102504585B1 (ko) 2022-08-24 2022-08-24 이동식 수도계량기를 이용한 옥내 누수 비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585B1 true KR102504585B1 (ko) 2023-02-28

Family

ID=8532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168A KR102504585B1 (ko) 2022-08-24 2022-08-24 이동식 수도계량기를 이용한 옥내 누수 비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5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249Y1 (ko) * 2006-03-29 2006-06-08 김용석 휴대용 수도계량기 검사장치
KR20200015954A (ko) 2018-05-30 2020-02-14 (주)오픈오브젝트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수도계량기 검침 및 누수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26474A (ko) 2020-04-10 2021-10-20 주식회사 케이스마트피아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및 옥내 누수 감지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249Y1 (ko) * 2006-03-29 2006-06-08 김용석 휴대용 수도계량기 검사장치
KR20200015954A (ko) 2018-05-30 2020-02-14 (주)오픈오브젝트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수도계량기 검침 및 누수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26474A (ko) 2020-04-10 2021-10-20 주식회사 케이스마트피아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및 옥내 누수 감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9026C2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теоретически остающегося срока службы обновляемого источника энергии для расходомера в сети трубопроводов
CN102884407B (zh) 用于监控水设施网络中的资源的系统和方法
US7891246B2 (en) Tracking vibrations in a pipeline network
CN107767012A (zh) 一种供水管网漏损管理系统及其建立方法和系统应用
US20150286222A1 (en) Automatic Fluid Flow Control System
Sithole et al. Smart water leakage detection and metering device
GB2507184A (en) Anomaly event classification in a network of pipes for resource distribution
KR102193382B1 (ko)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KR101812589B1 (ko) 상수도 수용가의 검침데이터를 활용한 옥내누수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Spedaletti et al. Improvement of the energy efficiency in water systems through water losses reduction using the district metered area (DMA) approach
Farah et al. Smart water technology for leakage detection: feedback of large-scale experimentation
CN115798155A (zh) 一种天然气计量分析系统
KR20170112465A (ko)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 내에서 재해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2504585B1 (ko) 이동식 수도계량기를 이용한 옥내 누수 비교 시스템
KR102495230B1 (ko) 통신 출력 횟수 확인을 위한 카운터 단말기
KR20090085923A (ko) 원격 검침 데이터를 이용한 누출감시 시스템 및 방법
Mix et al.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Reducing Water Loss, Improving Security and Enhancing Resiliency
KR20020088856A (ko) 수(水) 운영 시스템
US202303975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viewing and Monitoring Precipitation Aware Irrigation
US202304003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Effect of Changes in a Utility Monitoring System
Brueck et al. Water and Electric AMI Differences
Kurita et al. Network Wireless Sensor for Remote Monitoring of Gas Wells
Yehia Non-revenue Water Reduction
Gulsen et al. Smart Water Metering Implementation For The City Of Ankara
Dhake et al. Smart Water Meter: An IoT-based Solution for Efficient Water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