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281B1 - 공기순환기술이 적용된 온도 저감 쿨링조끼 - Google Patents

공기순환기술이 적용된 온도 저감 쿨링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281B1
KR102504281B1 KR1020220146630A KR20220146630A KR102504281B1 KR 102504281 B1 KR102504281 B1 KR 102504281B1 KR 1020220146630 A KR1020220146630 A KR 1020220146630A KR 20220146630 A KR20220146630 A KR 20220146630A KR 102504281 B1 KR102504281 B1 KR 102504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ocket
suction device
endothelium
ben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석
Original Assignee
오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동석 filed Critical 오동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5Pockets adapted to receive a mobile phone or other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공기순환기술이 적용된 온도 저감 쿨링조끼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피(10)와 외피(20)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어깨걸림부(30)가 형성된 쿨링자켓; 상기 내피(10)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공기흐름홀(200); 상기 내피(10) 하단에 포켓(310)이 형성되고 상기 포켓(310)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흡입장치(300); 상기 포켓(310)에는 상기 공기흡입장치(30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내피(10)와 외피(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외부로 리크되지 않고 흐를 수 있도록 상기 포켓(310)을 당길 수 있는 벤딩부재(4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순환기술이 적용된 온도 저감 쿨링조끼{Temperature reduction function cooling vest with air circulation technology}
본 발명은 공기순환기술이 적용된 온도 저감 쿨링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 제철, 조선, 건설 등을 비롯한 여러 산업분야에서는 고온의 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고온의 환경에서 장시간 근무하게 되면 체온이 원활하게 조절되지 못하여 작업 능률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열실신, 열피로, 열경련, 탈수증, 열사병, 땀띠, 피부장해 등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고온의 환경에서 일정한 심부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특히, 하절기 및 더운 열기에 외기와 개방된 무더위에서도 계속적으로 일을 해야하는 작업현장의 작업자들은 별도의 보냉수단이 없으므로 작업하기 매우 힘이 드는 실정이며, 무더위로 땀을 많이 흘리게 되어 체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작업능력도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사람의 몸의 열은 36~37 ℃를 평열(平熱)이라 하고, 37 ℃가 넘을 때를 발열, 또는 열이 있다고 한다. 체온조절 중추는 간뇌에 있는데, 자율신경과 호르몬에 의해서 열발생과 열방산의 평형이 이루어지고 있어 체온이 거의 일정한 수준을 유지한다. 그런데 이 평형이 깨져 열 발생이 높아지고 열방산이 감소 되면 발열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옥외 근무나 중공업, 자동차 등의 업종에서 혹서기 근로자와 온열질환 근로자들에게 체감 온도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공기순환기술이 적용된 온도 저감 쿨링조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고, 클린룸 현장에서 방진복을 착용하는 작업자에게도 제공될 수 있는 등 새로운 방식의 쿨링조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KR 10-1911024 (2018.10.17 등록)
옥외 근무나 중공업, 자동차 등의 업종에서 혹서기 근로자와 온열질환 근로자들에게 체감 온도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공기순환기술이 적용된 온도 저감 쿨링조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클린룸 현장에서 방진복을 착용하는 작업자에게도 제공될 수 있는 등 새로운 방식의 쿨링조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공기순환기술이 적용된 온도 저감 쿨링조끼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피(10)와 외피(20)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어깨걸림부(30)가 형성된 쿨링자켓; 상기 내피(10)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공기흐름홀(200); 상기 내피(10) 하단에 포켓(310)이 형성되고 상기 포켓(310)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흡입장치(300); 상기 포켓(310)에는 상기 공기흡입장치(30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내피(10)와 외피(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외부로 리크되지 않고 흐를 수 있도록 상기 포켓(310)을 당길 수 있는 벤딩부재(4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피(10) 상단에는 상기 내피(10) 상단이 공기 흐름에 의해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 크기의 탄성부재(50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내피(10)의 소재는 외부로 공기가 리크되지 않는 방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벤딩부재(400)는 상기 포켓(3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포켓(310)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흡입장치(300)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메쉬로 형성된 메쉬망(6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포켓(310)의 일측에는 상기 공기흡입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는 외부전력공급원의 전력선이 끼워질 수 있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벤딩부재(400)는 상기 포켓(310)을 당기는 기능 이외에, 상기 포켓(310)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흡입장치(300)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벤딩부재(400)에 의해 상기 포켓(310)이 당겨지면서 상기 공기흡입장치(300)를 통해 상기 내피(10)와 외피(20)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을 좁히게 하여 공기가 외부로 리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켓(310)의 일 지점에는 상기 공기흡입장치(3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별도의 지퍼(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다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목과 머리 뒷부분까지 공기를 보내는 기술과 공기를 효과적으로 보내기 위한 결합 구조가 제공된다.
방진, 방호복과 같은 통기성이 없는 작업복에서 내부의 공기를 자체 순환시켜서 온도를 낮출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된다.
유입되는 공기의 리크가 없도록 포켓을 당기는 새로운 구조가 제공된다.
별도의 탄성부재가 제공되어 목 쪽으로 공기가 충분히 공급되도록 하는 구조가 제공되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착용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공기흡입장치가 내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공기흡입장치가 별도의 배터리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내지 도 12는 실제 본 발명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유량체크 센서와 온도체크 센서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는 구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쿨링 기능이 구비된 자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공기순환기술이 적용된 온도 저감 쿨링조끼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피(10)와 외피(20)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어깨걸림부(30)가 형성된 쿨링자켓, 내피(10)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공기흐름홀(200), 내피(10) 하단에 포켓(310)이 형성되고 포켓(310)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흡입장치(300), 포켓(310)에는 공기흡입장치(30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내피(10)와 외피(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외부로 리크되지 않고 흐를 수 있도록 포켓(310)을 당길 수 있는 벤딩부재(4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도 2 및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10)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공기흐름홀(200)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흡입장치(30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내피(10)와 외피(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흐르다가 내피(10)에 형성된 공기흐름홀(200)을 따라 본 발명의 착용자의 등 쪽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냉각효과를 유도한다.
내피(10) 하단에는 공기흡입장치(300)가 내장될 수 있는 포켓(310)이 형성되어 있으며, 포켓(310)에 위치한 공기흡입장치(300)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다음에 내피(10)와 외피(20) 사이에 형성된 소정 공간으로 공기를 흐르게 할때 충분한 양의 공기가 흐르게 하고, 외부로 리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켓(310) 내에 위치한 공깁흡입장치를 고정시키게 함은 물론이고, 상방으로 향하는 공기의 입구를 좁게 하여 외부로 공기가 리크되지 않도록 포켓(310) 자체의 당겨서 부피를 줄이게 하는 별도의 벤딩부재(400)가 설치되어 있다.
벤딩부재(400)가 없이 공기흡입장치(300)가 포켓(310)에 내장된 경우 공기흡입장치(300)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충분히 내피(10)와 외피(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흐르지 않고 외부로 리크되어 작업자가 원하는 정도의 쿨링 상태를 가지지 못하는바 본 발명은 포켓(310) 자체를 당겨서 공기가 외부로 리크되지 않게 하는 별도의 벤딩부재(400)를 설치하였다.
한편, 도 3,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10) 상단에는 내피(10) 상단이 공기 흐름에 의해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 크기의 탄성부재(50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내피(10)의 소재는 외부로 공기가 리크되지 않는 방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착용자의 목 쪽으로 충분한 공기가 흐르게 하여 쿨링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내피(10) 상단에는 소정 크기의 탄성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내피(10)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내피(10)와 외피(20) 사이로 유입되어 흐르는 공기가 충분히 목 쪽으로 올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탄성부재가 없는 겨우 내피(10)가 공기의 흐름에 의해 굽혀지거나, 내피(10)가 목에 붙게 되어 충분한 공기가 목 쪽으로 흐르지 않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 크기의 탄성부재를 내피(10)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현하였으며, 해당 탄성부재의 재질은 탄성부재의 형상을 변형시키지 않는 것이라면 어떠한 소재도 본 발명에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벤딩부재(400)는 포켓(3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포켓(310)의 하부에는 공기흡입장치(300)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메쉬로 형성된 메쉬망(6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포켓(310)의 일측에는 상기 공기흡입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는 외부전력공급원의 전력선이 끼워질 수 있는 홀(7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메쉬로 형성된 메쉬망(600)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공깁흡입장치로 유입되고, 공기흡입장치(3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와 연결될 수 있는 전력선이 통과되는 별도의 홀(70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벤딩부재(400)는 포켓(310)을 당기는 기능 이외에, 포켓(310)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흡입장치(300)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벤딩부재(400)에 의해 포켓(310)이 당겨지면서 공기흡입장치(300)를 통해 내피(10)와 외피(20)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을 좁히게 하여 공기가 외부로 리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벤딩부재(400)는 포켓(310)을 당기는 기능 이외에 공기흡입장치(300)를 포켓(310) 내부에 일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기능도 수행하여 공기흡입장치(300)가 포켓(310)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게 하여 외부 공기가 효율적으로 내피(10)와 외피(20) 사이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한다.
포켓(310)의 일 지점에는 공기흡입장치(3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별도의 지퍼(40)가 형성되어 공기흡입장치(300)를 작업자가 손쉽게 넣을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10)와 외피(20) 사이에는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체크할 수 있는 유량체크 센서가 부착되어 있고, 해당 센서에 의해 센싱된 유량값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작업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되어 실시간으로 현재 유량값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기흡입장치(300)의 외부 공기 흡입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내피(10)에는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온도 체크센서가 장착되어 있고, 해당 온도 체크센서 역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있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작업자의 온도를 알 수 있고, 공기의 유량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내피(10)와 외피(20)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어깨걸림부(30)가 형성된 쿨링자켓;
    상기 내피(10)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공기흐름홀(200);
    상기 내피(10) 하단에 포켓(310)이 형성되고 상기 포켓(310)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흡입장치(300);
    상기 포켓(310)에는 상기 공기흡입장치(30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내피(10)와 외피(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외부로 리크되지 않고 흐를 수 있도록 상기 포켓(310)을 당길 수 있는 벤딩부재(4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내피(10) 상단에는 상기 내피(10) 상단이 공기 흐름에 의해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 크기의 탄성부재(50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내피(10)의 소재는 외부로 공기가 리크되지 않는 방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기술이 적용된 온도 저감 쿨링조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재(400)는 상기 포켓(3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포켓(310)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흡입장치(300)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메쉬로 형성된 메쉬망(6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포켓(310)의 일측에는 상기 공기흡입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는 외부전력공급원의 전력선이 끼워질 수 있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기술이 적용된 온도 저감 쿨링조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재(400)는 상기 포켓(310)을 당기는 기능 이외에,
    상기 포켓(310)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흡입장치(300)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벤딩부재(400)에 의해 상기 포켓(310)이 당겨지면서 상기 공기흡입장치(300)를 통해 상기 내피(10)와 외피(20)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을 좁히게 하여 공기가 외부로 리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기술이 적용된 온도 저감 쿨링조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포켓(310)의 일 지점에는 상기 공기흡입장치(3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별도의 지퍼(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기술이 적용된 온도 저감 쿨링조끼.
KR1020220146630A 2022-09-17 2022-11-06 공기순환기술이 적용된 온도 저감 쿨링조끼 KR102504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17509 2022-09-17
KR1020220117509 2022-09-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281B1 true KR102504281B1 (ko) 2023-02-28

Family

ID=8532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630A KR102504281B1 (ko) 2022-09-17 2022-11-06 공기순환기술이 적용된 온도 저감 쿨링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2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024B1 (ko) 2018-05-03 2018-10-24 정춘식 쿨링 조끼
KR20210032114A (ko) * 2019-09-16 2021-03-24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KR20210046894A (ko) * 2019-10-18 2021-04-29 (주)에프티글로벌 냉각 및 방풍과 근골격계 보존을 위한 기능성 작업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024B1 (ko) 2018-05-03 2018-10-24 정춘식 쿨링 조끼
KR20210032114A (ko) * 2019-09-16 2021-03-24 엠텍에스티에스 주식회사 냉기채널을 구비한 방호복
KR20210046894A (ko) * 2019-10-18 2021-04-29 (주)에프티글로벌 냉각 및 방풍과 근골격계 보존을 위한 기능성 작업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0292B2 (en) Branched tube network and temperature regulating garment with branched tube network
CN102960871B (zh) 一种智能恒温服
US9635889B1 (en) Cooling garment
KR102504281B1 (ko) 공기순환기술이 적용된 온도 저감 쿨링조끼
KR101175776B1 (ko) 저소음 확산노즐이 구비된 작업복 내부 착용식 에어재킷
JP3196289U (ja) 引掛け式体冷却ファン
JP2017110324A (ja) 衣服用冷暖房ユニット
CN212545640U (zh) 降温衣
CN207613230U (zh) 一种夏天穿着凉爽的工作服
KR102380033B1 (ko) 기능성 의복
CN213663756U (zh) 一种空调式智能调节降温服
CN104839906A (zh) 半导体制冷空调服
CN208242924U (zh) 一种具有散热功能的电工服
CN217242769U (zh) 一种制冷马甲
CN208080599U (zh) 一种工作服
CN215124496U (zh) 一种耐久型防蚊虫夏装校服套装
CN206365513U (zh) 一种制冷服装
CN216668013U (zh) 一种用于智能防护服的制冷系统
CN213404920U (zh) 一种带有调温换气功能的绝缘防护服
CN219660994U (zh) 一种降温衣
CN218650395U (zh) 具有降温功能的防护服
CN215531790U (zh) 一种空调服
CN218942328U (zh) 一种带温度调节功能的防护服
JP6250201B2 (ja) 衣服用冷暖房ユニット
CN213466560U (zh) 降温防护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