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591B1 - 토크 컨버터 로크업 클러치 구조 - Google Patents

토크 컨버터 로크업 클러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591B1
KR102503591B1 KR1020177025743A KR20177025743A KR102503591B1 KR 102503591 B1 KR102503591 B1 KR 102503591B1 KR 1020177025743 A KR1020177025743 A KR 1020177025743A KR 20177025743 A KR20177025743 A KR 20177025743A KR 102503591 B1 KR102503591 B1 KR 102503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backing plate
clutch
torque convert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135A (ko
Inventor
이즈라 호렌
마이클 리트도르프
Original Assignee
알리손 트랜스미션,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리손 트랜스미션, 인크. filed Critical 알리손 트랜스미션,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118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22Vibration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6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 F16D25/062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 F16D25/063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 F16D25/0635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F16D25/0638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with more than two discs, e.g. multip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1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three chamber system, i.e. comprising a separated, closed chamber specially adapted for actuating a lock-up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21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with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73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friction surface of the lock-up clutch
    • F16H2045/0284Multiple disk type lock-up clu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토크 컨버터 조립체는 노우즈 허브에 커플링된 펌프 조립체, 터빈 허브에 커플링된 터빈 조립체, 터빈 허브에 커플링된 댐퍼 조립체, 노우즈 허브에 커플링된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 및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와 댐퍼 조립체 사이에서 비틀림 부하를 전달할 수 있는 클러치 조립체를 포함한다. 클러치 조립체는 맞물림 위치와 맞물림해제 위치를 갖는다. 클러치 조립체가 맞물릴 때, 펌프 조립체는 터빈 조립체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되고, 클러치 조립체가 맞물리지 않을 때, 펌프 조립체는 터빈 조립체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토크 컨버터 로크업 클러치 구조
관련 출원
본 출원은 그 개시내용 전체가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참조로 통합되어 있는 2015년 2월 1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117,143호의 혜택을 주장한다.
발명의 분야
본 개시내용은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관련하며, 특히, 트랜스미션 시스템용 토크 컨버터의 로크업 클러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토크 컨버터는 기관이나 전기 모터 같은 동력 유닛으로부터 트랜스미션 같은 동력-전달 디바이스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체 커플링 디바이스이다. 토크 컨버터는 토크 컨버터가 클러치 시스템의 맞물림에 따라서 유체 커플링 또는 기계적 커플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클러치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트랜스미션은 차량의 동력 유닛으로부터 구동축 같은 로드-베어링(load-bearing) 디바이스로 동력 및 토크가 전달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통상적인 트랜스미션은 토크를 전송하는 다양한 기어, 샤프트 및 클러치를 포함한다.
첨부 도면과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대한 후속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본 개시내용의 전술한 양태 및 이들을 취득하는 방식을 더 명확히 알 수 있으며, 개시내용 자체는 더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동력식 차량 시스템의 일 예시적 실시예의 예시적 블록도 및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토크 컨버터의 상반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토크 컨버터의 상반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반경방향 립을 구비한 백킹 플레이트의 입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백킹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반경방향 립을 갖지 않는 백킹 플레이트의 입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백킹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단일편 백킹 플레이트의 입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백킹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단일편 굴곡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의 입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백킹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3의 토크 컨버터의 피스톤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다수 도면 전반에 걸쳐 대응 부품을 나타내기 위해 대응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후술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 전부를 설명하거나 후속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다. 대신, 실시예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실시를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선택 및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며, 제한을 의도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단수 형태는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나타나지 않는다면 복수 형태를 마찬가지로 포함하는 것을 의도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복수 형태는 단수 형태가 마찬가지로 적용가능할 수 있는 경우의 특정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포함하다", "포함하는", "내포하는" 및 "갖는"은 포함적이며, 따라서, 선언된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그 그룹의 존재나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단계, 프로세스 및 동작은 구체적으로 수행 순서로서 표시되지 않는 한 특정 설명 또는 예시된 순서로의 그 수행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추가적 또는 대안적 단계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구동 유닛(102) 및 트랜스미션(118)을 구비한 차량 시스템(100)의 일 예시적 실시예의 블록도 및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102)은 내연 기관, 디젤 기관, 전기 모터 또는 다른 동력-생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유닛(102)은 종래의 토크 컨버터(108)의 입력 또는 펌프 샤프트(106)에 커플링된 출력 샤프트(104)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입력 또는 펌프 샤프트(106)는 구동 유닛(102)의 출력 샤프트(10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되는 임펠러 또는 펌프(110)에 커플링된다. 토크 컨버터(108)는 터빈 샤프트(114)에 커플링되는 터빈(112)을 포함하고, 터빈 샤프트(114)는 트랜스미션(118)의 회전가능한 입력 샤프트(124)에 커플링되거나 그와 일체가 된다. 트랜스미션(118)은 또한 트랜스미션(118)의 상이한 흐름 회로(예를 들어, 주 회로, 윤활 회로 등) 내에 압력을 구축하기 위한 내부 펌프(120)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120)는 구동 유닛(102)의 출력 샤프트(104)에 커플링된 샤프트(116)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구동 유닛(102)은 펌프(120)를 구동하고 트랜스미션(118)의 상이한 회로 내에 압력을 구축하기 위해 샤프트(116)에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트랜스미션(118)은 다수의 자동적 선택 기어를 갖는 유성 기어 시스템(122)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스미션(118)의 출력 샤프트(126)는 종래의 유니버셜 조인트(130)에 커플링되는 프로펠러 샤프트(128)에 커플링되거나 그와 일체화되고, 그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한다. 유니버셜 조인트(130)는 각각의 단부에서 그에 장착된 차륜(134A, 134B)을 갖는 액슬(132)에 커플링되어 그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한다. 트랜스미션(118)의 출력 샤프트(126)는 프로펠러 샤프트(128), 유니버셜 조인트(130) 및 액슬(132)을 거쳐 종래의 방식으로 차륜(134A, 134B)을 구동한다.
종래의 로크업 클러치(136)는 토크 컨버터(108)의 터빈(112)과 펌프(110) 사이에 연결된다. 토크 컨버터(108)의 동작은 토크 컨버터(108)가 차량 발진, 저속 및 특정 기어 시프팅 조건 같은 특정 동작 조건 동안 소위 "토크 컨버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통상적인 것이다. 토크 컨버터 모드에서, 로크업 클러치(136)는 맞물림해제되고, 펌프(110)는 구동 유닛 출력 샤프트(104)의 회전 속도로 회전하며, 동시에, 터빈(112)은 펌프(110)와 터빈(112) 사이에 개재된 유체(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펌프(11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작동된다. 이러한 동작 모드에서, 유체 커플링을 통해 토크 증배가 발생하여 터빈 샤프트(114)는 본 기술 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구동 유닛(102)에 의해 공급되는 것보다 많은 토크를 구동하는 상황을 겪게 된다. 토크 컨버터(108)는 대안적으로 트랜스미션(118)의 유성 기어 시스템(122)의 특정 기어가 맞물리지 않는 경우 같은 다른 동작 조건 동안 소위 "로크업"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로크업 모드에서, 로크업 클러치(136)는 가 맞물리고, 펌프(110)는 그에 의해, 터빈(112)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며, 그래서, 구동 유닛 출력 샤프트(104)는 본 기술 분야에 역시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118)의 입력 샤프트(124)에 직접적으로 커플링된다.
트랜스미션(118)은 다수(J)의 유체 경로 1401-140J- J는 임의의 양의 정수일 수 있음 -를 거쳐 유성 기어 시스템(122)에 유체 커플링되는 전자-유압 시스템(138)을 추가로 포함한다. 전자-유압 시스템(138)은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유체 경로 1401-140J를 통해 유체가 선택적으로 유동하여 유성 기어 시스템(122)의 복수의 대응하는 마찰 디바이스의 동작, 즉, 맞물림 및 맞물림해제를 제어하게 한다. 복수의 마찰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종래의 브레이크 디바이스, 하나 이상의 토크 전송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마찰 디바이스의 동작, 즉, 맞물림 및 맞물림해제는 복수의 마찰 디바이스 각각에 의해 인가되는 마찰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예컨대, 마찰 디바이스 각각에 대한 유체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된다. 어떤 방식으로도 제한적인 의도를 갖지 않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복수의 마찰 디바이스는 전자-유압 시스템(138)에 의해 공급되는 유체 압력을 통해 각각 제어가능하게 맞물림 및 맞물림해제될 수 있는 통상적인 클러치 형태의 토크 전송 디바이스 및 복수의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어떤 경우든, 트랜스미션(118)의 다양한 기어 사이에서의 변경 또는 시프팅은 유체 경로의 수 1401-140J 이내의 유체 압력의 제어를 통해 복수의 마찰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 종래의 방식으로 달성된다.
시스템(100)은 메모리 유닛(144)을 포함할 수 있는 트랜스미션 제어 회로(142)를 더 포함한다. 트랜스미션 제어 회로(142)는 예시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이며, 메모리 유닛(144)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고, 이 명령어는 토크 컨버터(108)의 동작 및 트랜스미션(118)의 동작, 즉, 유성 기어 시스템(122)의 다양한 기어 사이에서의 시프팅을 제어하기 위해 트랜스미션 제어 회로(142)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트랜스미션 제어 회로(142)가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이 아니라 하나 이상의 유선 명령어 세트 및/또는 메모리 유닛(144)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기초하여 토크 컨버터(108) 및/또는 트랜스미션(118)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를 고려하고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에 예시된 시스템(100)에서, 토크 컨버터(108) 및 트랜스미션(118)은 토크 컨버터(108) 및 트랜스미션(118)의 하나 이상의 동작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센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로서, 토크 컨버터(108)는 예시적으로 종래의 속도 센서(146)를 포함하며, 이는 구동 유닛(102)의 출력 샤프트(104)와 동일한 회전 속도인 펌프 샤프트(106)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 신호를 생성하도록 위치 및 구성된다. 속도 센서(146)는 신호 경로(152)를 통해 트랜스미션 제어 회로(142)의 펌프 속도 입력(PS)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트랜스미션 제어 회로(142)는 터빈 샤프트(106)/구동 유닛 출력 샤프트(104)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도록 종래의 방식으로 속도 센서(146)에 의해 생성되는 속도 신호를 처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트랜스미션(118)은 예시적으로 터빈 샤프트(114)와 동일한 회전 속도인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124)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 신호를 생성하도록 위치 및 구성된 다른 종래의 속도 센서(148)를 포함한다. 트랜스미션(118)의 입력 샤프트(124)는 터빈 샤프트(114)에 직접적으로 커플링되거나 그와 일체화되며, 속도 센서(148)는 대안적으로 터빈 샤프트(114)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 신호를 생성하도록 위치 및 구성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속도 센서(148)는 신호 경로(154)를 통해 트랜스미션 제어 회로(142)의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 속도 입력(TIS)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트랜스미션 제어 회로(142)는 터빈 샤프트(114)/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124)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종래의 방식으로 속도 센서(148)에 의해 생성되는 속도 신호를 처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트랜스미션(118)은 트랜스미션(118)의 출력 샤프트(126)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 신호를 생성하도록 위치 및 구성되는 또 다른 속도 센서(150)를 더 포함한다. 속도 센서(150)는 통상적인 것일 수 있으며, 신호 경로(156)를 통해 트랜스미션 제어 회로(142)의 트랜스미션 출력 샤프트 속도 입력(TOS)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트랜스미션 제어 회로(142)는 트랜스미션 출력 샤프트(126)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종래의 방식으로 속도 센서(150)에 의해 생성되는 속도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트랜스미션(118)은 트랜스미션(118) 내에서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작동기를 더 포함한다. 예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전자-유압 시스템(138)은 예시적으로 다수의 작동기, 예를 들어, 통상적 솔레노이드 또는 다른 통상적 작동기를 포함하며, 이들은 대응하는 수의 신호 경로 721 - 72J- J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양의 정수일 수 있음 -를 통해 트랜스미션 제어 회로(142)의 다수(J)의 제어 출력 CP1 - CPJ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자-유압 시스템(138) 내의 작동기는 대응하는 신호 경로 721 - 72J 중 하나에서 트랜스미션 제어 회로(142)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 CP1 - CPJ 중 대응하는 하나에 각각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유체 통로 1401 - 140J 내의 유체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마찰 디바이스 각각에 의해 인가된 마찰을 제어하고, 따라서, 다양한 속도 센서(146, 148 및/또는 150)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마찰 디바이스의 동작, 즉, 맞물림 및 맞물림해제를 제어한다.
유성 기어 시스템(122)의 마찰 디바이스는 예시적으로 종래의 방식으로 전자-유압 시스템에 의해 분배되는 유압 유체에 의해 제어된다. 예로서, 전자-유압 시스템(138)은 예시적으로 전자-유압 시스템(138) 내의 하나 이상의 작동기의 제어를 통해 하나 이상의 마찰 디바이스에 유체를 분배하는 종래의 유압 정변위 펌프(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신호 CP1 - CPJ는 예시적으로 하나 이상의 작동기가 하나 이상의 마찰 디바이스에 대한 유압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그에 응답하는 아날로그 마찰 디바이스 압력 명령이다. 그러나, 복수의 마찰 디바이스 각각에 의해 인가된 마찰은 대안적으로 다른 종래의 마찰 디바이스 제어 구조 및 기술에 따라 제어될 수 있으며, 이런 다른 종래의 마찰 디바이스 제어 구조 및 기술은 본 개시내용에 고려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떤 경우든, 마찰 디바이스 각각의 아날로그 동작은 메모리 유닛(144)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제어 회로(142)에 의해 제어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다수(K)의 신호 경로(162)- K는 임의의 양의 정수일 수 있음 -를 통해 구동 유닛(102)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입력/출력 포트(I/O)를 갖는 구동 유닛 제어 회로(160)를 더 포함한다. 구동 유닛 제어 회로(160)는 통상적인 것일 수 있고, 구동 유닛(102)의 전체적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구동 유닛 제어 회로(160)는 추가로 다수(L)의 신호 경로(164)- L은 임의의 양의 정수일 수 있음 -를 통해 트랜스미션 제어 회로(142)의 유사한 통신 포트(COM)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 포트(COM)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신호 경로(164)는 통상적으로 종합적으로 데이터 링크라 지칭된다. 일반적으로, 구동 유닛 제어 회로(160) 및 트랜스미션 제어 회로(142)는 종래의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신호 경로(164)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로서, 구동 유닛 제어 회로(160) 및 트랜스미션 제어 회로(142)는 자동차 공학 협회(SAE) J-1939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하나 이상의 메시지의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신호 경로(164)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도록 동작할 수 있지만, 본 개시내용은 구동 유닛 제어 회로(160) 및 트랜스미션 제어 회로(142)가 (예를 들어, J1587 데이터 버스, J1939 데이터 버스, IESCAN 데이터 버스, GMLAN, 메르세데스(Mercedes) PT-CAN 같은 통상적 데이터 버스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다른 통상적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하나 이상의 신호 경로(164)를 거쳐 정보를 공유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고려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토크 컨버터(200)의 상반부 단면도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토크 컨버터(200)는 커플링된 위치에서 후방 커버(204) 또는 쉘에 고정 부착된 전방 커버 조립체(202)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커플링된 위치는 볼트결합 조인트, 용접 조인트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커플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컨버터(200)는 터빈 블레이드, 쉘 및 코어 링을 갖는 터빈 조립체(206)를 포함한다. 컨버터(200)는 또한 임펠러 또는 펌프 블레이드, 외부 쉘 및 코어 링을 갖는 펌프 조립체(208)를 포함한다.
스테이터 조립체(210)는 펌프 조립체(208)와 터빈 조립체(206)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스테이터 조립체(210)는 하우징, 하나 이상의 스테이터 블레이드, 일방향 클러치(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방향 클러치(212)는 본 기술 분야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은 롤러 또는 스프래그(sprag) 디자인일 수 있다.
토크 컨버터(200)는 전방 커버(202)로부터 터빈 허브(214)로 토크를 전달하는 클러치 조립체(218)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치 조립체(218)는 피스톤 플레이트(216), 백킹 플레이트(226), 복수의 클러치 플레이트(220) 및 복수의 반작용 플레이트(222)를 포함한다. 복수의 클러치 플레이트(220) 및 반작용 플레이트(2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빈 조립체에 볼트결합된 터빈 허브(214)에 스플라인결합될 수 있다. 피스톤 플레이트(216)는 클러치 조립체(218)와 맞물려 클러치 조립체에 적용되도록 유압식으로 작동되며, 그에 의해 터빈 조립체(206) 및 펌프 조립체(208)를 서로 "유압식으로 커플링"한다. 유압 유체는 플레이트(216)를 클러치 조립체(218)를 향해 그리고 맞물림 상태로 압박하도록 피스톤 플레이트(216)의 전방측 상에서 토크 컨버터(200) 내의 전용 유동 통로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유체-커플링 디바이스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디자인이 기관과 트랜스미션을 서로 유체 커플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방식을 알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토크 컨버터(300)의 상반부 단면도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토크 컨버터(300)는 커플링 위치에서 후방 커버(304) 또는 쉘에 커플링된 전방 커버(302)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커플링된 위치는 볼트결합 조인트, 용접 조인트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커플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토크 컨버터(300)는 터빈 블레이드, 쉘 및 코어 링을 갖는 터빈 조립체(306)를 포함한다. 토크 컨버터(300)는 또한 임펠러 또는 펌프 블레이드, 외부 쉘 및 코어 링을 갖는 펌프 조립체(308)를 포함한다.
스테이터 조립체(310)는 펌프 조립체(308)와 터빈 조립체(306)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스테이터 조립체(310)는 하우징, 하나 이상의 스테이터 블레이드, 일방 클러치(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방 클러치(312)는 본 기술 분야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은 롤러 또는 스프래그 디자인일 수 있다.
토크 컨버터(300)는 전방 커버(302)로부터 터빈 허브(314)로 토크를 전달하는 클러치 조립체(318)를 포함할 수 있다. 터빈 허브(314)는 추가로 트랜스미션(도시되지 않음)의 터빈 샤프트에 스플라인결합 또는 다른 방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클러치 조립체(318)는 전방 커버(302)에 의해 생성된 공동 내에 배치된 피스톤(316)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316)은 피스톤(316) 둘레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되고 후방 커버(304)를 향해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반경방향 돌출부(354)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플레이트(320) 및 적어도 하나의 반작용 플레이트(322)는 또한 공동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320) 및 반작용 플레이트(322)는 피스톤(316)의 돌출부(354)에 축방향으로 인접하게 반경방향으로 배치된다. 추가적으로, 백킹 플레이트(326)는 또한 백킹 플레이트(326)가 클러치 플레이트(320) 및/또는 반작용 플레이트(322)에 실질적으로 인접해질 수 있게 하는 위치에서 전방 커버(302)에 의해 생성된 공동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클러치 조립체(318)는 댐퍼(328)를 통해 터빈 허브(314)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댐퍼(328)는 본 기술 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전방 커버(302)와 터빈 허브(314) 사이에서 겪게되는 토크 변동의 감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적 숙련자는 토크 컨버터에서의 토크 부하 분포가 감쇠되는 복수의 방식에 친숙할 수 있으며, 본 개시내용은 임의의 한 가지 유형의 댐퍼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로서, 코일 스프링은 두 개의 구성요소를 서로 회전적으로 커플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틀림 부하가 하나의 구성요소로부터 다른 구성요소로 분배될 때, 스프링은 비틀림 부하의 감쇠된 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임의의 다른 유형의 댐핑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유압 충격 흡수기, 가스 스프링, 클러치 조립체 등 같은 댐핑 시스템이 고려될 수 있으며, 본 개시내용은 임의의 특정 유형의 댐퍼에 한정되지 않는다.
피스톤(316)은 클러치 조립체(318)와 맞물려 적용되도록 유압식으로 작동될 수 있고, 그에 의해, 터빈 조립체(306)와 전방 커버(302)를 서로 기계적으로 커플링할 수 있다. 유체는 피스톤(316)을 클러치 조립체(318)를 향해 그리고 맞물림 상태로 압박하도록 피스톤 플레이트(316)의 전방측 상에서 토크 컨버터(300) 내의 전용 유동 통로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클러치 조립체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디자인들이 두 개의 회전 구성요소를 서로 기계적으로 커플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백킹 플레이트(326)가 제1 부재(332) 및 제2 부재(33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일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제1 부재(332) 및 제2 부재(334)는 클러치 조립체(318)가 맞물림 위치에 있을 때 비틀림 부하를 전방 커버(302)로부터 터빈 허브(314)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 가지 비제한적 예에서, 클러치가 맞물릴 때, 전방 커버(302)에 인가되는 토크가 노우즈 허브(330)로 전달될 수 있다. 노우즈 허브(330)는 제1 및 제2 부재(332, 334)에 고정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고, 인가된 토크를 클러치 조립체(318)를 통해, 댐퍼(328) 아래로, 그리고, 터빈 허브(314) 내로 전달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부재(332)는 백킹 플레이트(326)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서 백킹 플레이트(326)에 커플링될 수 있고, 제2 부재(334)는 백킹 플레이트(326)의 반경방향 내부 위치에서 백킹 플레이트(326)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백킹 플레이트(326)는 제2 부재(334)의 연속부이거나 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332)는 그를 통한 중앙 구멍 또는 보어를 갖는 상태로 형상이 실질적으로 환형일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3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호 형상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원호 형상 단면은 일 단부에서 백킹 플레이트(326)에 커플링될 수 있고, 다른 단부에서 제2 부재(334)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제2 부재(334)도 환형일 수 있고, 도 3의 단면에서 볼 때 복수의 굴곡부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재(334)는 백킹 플레이트(326)를 형성할 수 있고, 백킹 플레이트 립(336)에서 종결할 수 있다. 제2 부재(334)는 또한 클러치 플레이트(320) 또는 반작용 플레이트(322)의 스플라인과 맞물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핑거(338)를 가질 수 있다.
이제, 도 12를 참조하면, 피스톤(1200)의 격리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피스톤(31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조립체(318)의 일 단부를 따라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피스톤(316)은 피스톤(316)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부(354)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354)는 또한 클러치 조립체(318)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돌출부(354)는 피스톤 플레이트(1204)의 평면형 표면(1210)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연장할 수 있고, 그래서, 돌출부(354)의 일부는 피스톤(316)이 맞물림 위치에 배치될 때 클러치 조립체(318)와 접촉할 것이다.
피스톤(316)은 내부 슬리브(1206) 및 외부 슬리브(1208)를 가질 수 있다. 내부 슬리브(120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우즈 허브(330)의 내부 부분(342)의 외부 반경보다 미소하게 더 큰 내부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내부 슬리브(1206)의 반경은 노우즈 허브(330)의 내부 부분(342)을 따라 축방향으로 피스톤(316)이 활주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히 클 수 있고, 동시에, 내부 슬리브(1206)와 노우즈 허브(330) 사이에서 유체가 지나가는 것을 실질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내부 슬리브(1206)를 통한 유체 전달을 추가로 제한하기 위해, 제1 밀봉부(344)가 노우즈 허브(330)의 내부 부분(342)과 내부 슬리브(120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외부 슬리브(120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커버(302)의 내부 부분(346)보다 미소하게 작은 외부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외부 슬리브(1208)의 외부 반경은 전방 커버(302)의 내부 부분(346)을 따라 피스톤(316)이 축방향으로 활주될 수 있게 하도록 적절히 크기설정될 수 있고, 동시에, 외부 슬리브(1208)와 전방 커버(302)의 내부 부분 사이를 유체가 지나가는 것을 실질적으로 규제하기에 충분히 긴밀하다. 외부 슬리브(1208)를 통한 유체 전달을 제한하기 위해, 제2 밀봉부(348)가 전방 커버(302)의 내부 부분(346)과 외부 슬리브(120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내부 슬리브(1206)와 외부 슬리브(1208)는 제1 또는 회전축(406) 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그리고 축방향으로 피스톤(316)이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스톤(316)의 축방향 이동은 하나 이상의 유체 경로 1401-140J를 거쳐 가압된 유체(도시되지 않음)로 피스톤 플레이트 공동(350)을 충전하는 것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피스톤 플레이트 공동(350)이 유체로 채워짐에 따라, 피스톤(316)은 전방 커버(302)로부터 이격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피스톤(316)이 전방 커버(302)로부터 이격방향으로 밀려짐에 따라, 피스톤(316)의 돌출부(354)는 클러치 조립체(318)와 접촉할 수 있다. 차례로, 클러치 플레이트(320)와 반작용 플레이트(322)는 전방 커버(302)와 터빈 허브(314) 사이에서 비틀림 부하를 전달하기에 충분하게 서로 접촉하도록 강제될 수 있다. 또한, 가압된 유체가 피스톤 플레이트 공동(350)에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을 때, 돌출부(354)는 클러치 조립체(318)를 통해 터빈 허브(314)와 전방 커버(302) 사이에서 기계적 커플링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축방향 힘을 클러치 조립체(318)에 더 이상 공급하지 못한다.
일 실시예에서, 피스톤(316)은 클러치 조립체(318)에 어떠한 토크도 전달할 필요가 없다. 본 실시예에서, 전방 커버가 회전함에 따라 제1 및 제2 밀봉부(344, 348)는 피스톤(316), 전방 커버(302) 및 노우즈 허브(330) 사이의 충분한 마찰 특성이 피스톤(316)을 회전시키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밀봉부(344, 348)의 마찰 특성은 피스톤(316)이 전방 커버(302)에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피스톤(316)은 전방 커버(302) 또는 노우즈 허브(330)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반경방향으로 커플링될 수 있고, 그래서, 전방 커버(302)가 회전함에 따라 피스톤(316)이 회전한다.
클러치 조립체(318)가 맞물림 또는 "로크업" 위치에 있을 때, 백킹 플레이트(326)는 피스톤(316)으로부터의 축방향 힘에 적절히 상반작용하여 백킹 플레이트(326)가 후방 커버(304)를 향해 실질적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는 제1 축(406) 둘레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는 도 3에 도시된 립(336), 백킹 플레이트(326), 핑거(338) 및 제2 부재(334)를 가질 수 있다. 제2 부재(334)는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 축(406) 둘레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백킹 플레이트(326)는 제2 부재(33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료편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2 부재(334)가 제1 축(406)으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할 때, 이는 제1 축(406)에 수직인 실질적으로 평면형의 반경방향 표면을 생성함으로써 백킹 플레이트(326)를 한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핑거(338)는 백킹 플레이트(326)의 부분적 절결부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핑거(338)는 백킹 플레이트(326)의 표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90도 굴곡부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축(406)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를 두고 전방 커버(302)를 향해 굴곡되는 백킹 플레이트(326)의 일부의 절결부일 수 있다.
제2 부재(334)는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의 반경방향 최내측 부분 둘레에서 그 제1 단부에 형성된 립(402)을 가질 수 있다. 립(402)은 샤프트가 그를 통해 통과하게 할 수 있는 통로를 부분적으로 한정할 수 있다.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는 허브 부분(404)을 형성하기 위해 립(402)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연장할 수 있다. 허브 부분(404)은 노우즈 허브(330)의 내부 치수에 대응하도록 제1 축(406) 둘레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3). 허브 부분(404)은 노우즈 허브(330)에 의해 생성된 공동에 의해 수용되도록 치수설정될 수 있다. 또한, 노우즈 허브(3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의 나머지 허브 부분(404)과 립(402)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우즈 허브(330)는 제2 부재(334)에 전방 커버(302)를 커플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노우즈 허브(330)는 전방 커버로부터 노우즈 허브(330)로 비틀림 부하를 전달하기에 충분한 방식으로 커플링 지점(352)에서 전방 커버(302)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커버(302)는 커플링 지점(352)에서 노우즈 허브(330)에 용접될 수 있지만, 본 개시내용은 이런 커플링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커플링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체결구, 접착제, 스플라인, 나사부, 가압식 끼워맞춤 등 같은 방법이 노우즈 허브(330)와 전방 커버(302)를 서로 커플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노우즈 허브(330)는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에 커플링될 수 있다.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는 노우즈 허브(330)에 의해 생성된 공동 내에 가압식 끼워맞춤 또는 다른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는 또한 전술한 복수의 커플링 방법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노우즈 허브(330)에 커플링될 수 있다. 토크 컨버터(300)가 완전히 조립되면, 전방 커버(302)로의 비틀림 입력은 노우즈 허브(330)를 통해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는 제2 부재(334)의 반경방향 최내측 부분에 위치된 백킹 플레이트 립(336)에서 종결할 수 있다. 백킹 플레이트 립(336)은 제2 부재(334)의 최외측 직경 또는 에지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립(336)은 백킹 플레이트(326)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백킹 플레이트 립(336)에서 백킹 플레이트(326)를 종결시킴으로써,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의 강성도가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예가 백킹 플레이트(326)에 수직인 백킹 플레이트 립(336)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개시내용은 이런 배향에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정도의 굴곡부를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을 이해할 것이다.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의 절결도(500)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위치(502, 504)는 제1 부재(332)가 제2 부재(334)와 커플링될 수 있는 하나의 비제한적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제1 위치(502)는 제2 부재(334)의 일부와 실질적으로 인접한 제1 부재(332)의 반경방향 내부 부분일 수 있다. 제2 위치(504)는 제2 부재(334)의 일부와 실질적으로 인접한 제1 부재(332)의 반경방향 외부 부분일 수 있다. 제1 부재(332) 및 제2 부재(334)는 용접부, 볼트, 리벳, 화학적 결합제 등 같은 복수의 방식으로 서로 커플링될 수 있다. 한 가지 비제한적 양태에서, 제1 위치(502) 및 제2 위치(504)는 제1 부재(332)와 제2 부재(334)를 서로 실질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두 개의 부재는 서로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백킹 플레이트(326)는 피스톤(316)이 전술한 바와 같이 클러치 조립체(318)와 맞물릴 때 제1 축(406) 둘레에서 축방향 힘을 받을 수 있다. 제1 및 제2 위치(502, 504)에서 제1 부재(332)를 제2 부재(334)에 대해 커플링함으로써,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의 강성은 향상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피스톤(316)이 백킹 플레이트(326)에 축방향 힘을 적용함에 따라, 제1 부재(332)는 제1 및 제2 위치(502, 504) 양자 모두에서 제2 부재(334)에 커플링되는 것에 의해 백킹 플레이트(326)의 임의의 축방향 이동을 실질적으로 금지시킬 수 있다.
축방향 힘(506)(도 5)이 피스톤(316)에 의해 인가될 때, 백킹 플레이트(326)는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를 통해 터빈 허브(314)에 저항력(508)을 전달함으로써 축방향 이동에 저항할 수 있다. 또한,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가 반경방향 내부 부분(510)에서 축방향 이동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백킹 플레이트(326)의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 둘레에서의 축방향 편향에 더 민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위치(504)는 백킹 플레이트(326) 둘레에서의 축방향 편향을 실질적으로 저지하도록 백킹 플레이트(326)의 반경방향 최외측 부분일 수 있다. 이런 제2 위치(504)에서 제2 부재(334)에 제1 부재(332)를 커플링함으로써, 백킹 플레이트(326)는 피스톤(316)에 의해 생성된 축방향 힘(506) 하에서의 편향을 실질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핑거(338)가 또한 더 명료히 도시되어 있다. 핑거(338)는 제2 부재(334)를 위한 제조 프로세스 동안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핑거(338)는 각각의 핑거(338)와 반작용 플레이트(322) 또는 클러치 플레이트(320) 사이의 맞물림을 가능하게 하도록 서로 반경방향으로 등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각각의 핑거(338)는 클러치 조립체(318)가 맞물림 위치에 있을 때 토크 컨버터(108)의 입력 샤프트(106)로부터 댐퍼(328)를 통해 터빈 샤프트(114)로 임의의 반경방향 힘을 전달하기에 충분히 강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가 서로 등거리 이격된 복수의 핑거(338)를 가질 수 있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복수의 오프셋 거리가 동일한 결과를 실질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핑거의 수 및 각각의 핑거의 폭은 각각의 핑거에 의해 전달된 특정 부하에 의존하여 크게 변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핑거(338)의 특정 디자인은 그를 통해 전달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다양한 부하를 수용하도록 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스탬핑/펀칭 프로세스와 용접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조 프로세스의 제1 단계는 재료 시트로부터 제1 부재(332)를 스탬핑 또는 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시트는 임의의 원하는 재료 조성 또는 다른 것일 수 있고, 실질적 변형을 저지하기에 적절한 두께일 수 있다. 스탬핑 또는 펀치 프로세스는 동시적으로 또는 다른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탬핑 또는 펀칭 프로세스가 상이한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부재(332)를 위해 필요한 재료가 블랭크를 생성하기 위해 공급된 재료로부터 펀칭될 수 있다. 블랭크는 원하는 최종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 치수를 생성하기 위해 스탬핑 프로세스와 상관되는 원하는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일 비제한적 예에서, 제1 부재(332)를 위한 블랭크는 제1 부재(332)의 최종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스탬핑 프로세스 동안, 제1 부재(332)를 위한 블랭크는 다이 사이에서 블랭크를 가압함으로써 원하는 최종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다이는 제1 부재(332)에 굴곡부(34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부재(332)를 위해 설명된 전술한 프로세스와 유사하게, 제2 부재(334)는 원하는 최종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펀칭 또는 스탬핑 프로세스를 받을 수 있다.
제1 부재(332)와 제2 부재(334)가 형성된 이후, 적절히 강한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를 생성하기 위해 두 개의 편을 서로 커플링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제1 부재(332)와 제2 부재(334)를 서로 커플링하는 한 가지 방법은 두 개의 구성요소를 서로 용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용접부 또는 용접부들이 제1 위치(502) 및 제2 위치(504) 양자 모두에 위치될 수 있다. 용접부 또는 용접부들은 제1 부재(332)의 제1 위치(502) 및 제2 위치(504) 전반에서 연속적일 수 있다. 용접부 또는 용접부들은 또한 제1 부재(332)의 제1 위치(502) 및 제2 위치(504) 전반에서 세그먼트화될 수 있다.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의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방식으로서 프레스를 사용하는 방법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은 임의의 특정 제조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레이저, 워터제트, CNC 밀, 플라즈마 커터 및/또는 유사한 것이 재료를 원하는 블랭크로 절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의 원하는 형상을 생성하기 위한 한 가지 방식으로서 프레스 및 다이를 설명하였지만, 몰딩, 기계가공, 3-D 인쇄, 첨가 제조, 캐스팅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제조 프로세스 등의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부재(332)를 제2 부재(334)에 커플링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서 용접을 설명하였지만, 다른 커플링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두 개의 플레이트는 볼트결합, 리벳결합, 가압식 끼워맞춤 또는 다른 방식으로 서로 커플링될 수 있고, 어떠한 단일 커플링 방법도 제한적인 것으로 인지되지 않아야 한다.
립이 없는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600)의 다른 실시예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백킹 플레이트(326)는 백킹 플레이트(326)의 표면과 평면적인 반경방향 단부에서 종결할 수 있다.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600)의 단면도(700)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본 실시예는 또한 제1 부재(702) 및 제2 부재(704)를 가질 수 있다. 제1 부재(702) 및 제2 부재(704)는 제거된 백킹 플레이트 립(336)을 제외하면 제1 백킹 플레이트(334) 및 제2 백킹 플레이트(336) 각각과 형상이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백킹 플레이트(326) 표면에 대해 평면적인 방식으로 백킹 플레이트(326)를 종결되게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백킹 플레이트(326)가 다양한 치수의 클러치 조립체와 공존되게 할 수 있다. 예로서, 도 4의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400)에서, 클러치 조립체(318)는 백킹 플레이트 립(336)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이 백킹 플레이트(326) 내에 끼워지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도 6 및 도 7에서, 백킹 플레이트는 백킹 플레이트(326)의 외부 에지를 따라 구속되지 않는다.
상이한 실시예는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함께 커플링된 복수의 편을 갖는 대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편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800)를 가질 수 있다.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800)는 백킹 플레이트(800)의 평면형 표면(804)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향 연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핑거(802)를 가질 수 있다. 핑거(802)는 백킹 플레이트(806)의 내부 반경방향 에지를 한정하는 반경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800)의 절결도(900)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핑거(802)는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800)의 평면형 표면(804)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굴곡되는 것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핑거(802)는 실질적으로 수직 굴곡부를 형성하기 이전에, 백킹 플레이트(806)로부터 핑거(802)의 부분적 프로파일을 절단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 양태는 이것이 단지 하나의 제조 단계만을 필요로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로서, 스탬핑 프로세스는 하나의 단계에서 단일편 백킹 플레이트(80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를 제조하는 한 가지 예는 원하는 두께를 갖는 재료의 시트를 프레스에 먼저 공급하는 것이다. 프레스는 그 후, 재료를 다이 내로 가압함으로써 단일편 백킹 플레이트(800)의 특징부를 형성할 수 있다. 잉여 재료로부터 단일편 백킹 플레이트(800)를 분리할 수 있는 천공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프레싱 단계 및 펀칭 단계는 동시에 또는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본 개시내용은 임의의 하나의 방법이나 특정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한 가지 장점은 단일편 백킹 플레이트(800)가 스탬핑 또는 펀칭 프로세스 이후 완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단일편 백킹 플레이트(800)는 백킹 플레이트(800)를 다수의 편을 서로 용접 또는 다른 방식으로 커플링하지 않고 완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는 비교적 간단하고, 부품은 쉽게 대량 생산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하나의 편으로 이루어진 다른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1000)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1000)는 백킹 플레이트(1002), 적어도 하나의 핑거(1004),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1006), 샤프트 통로 또는 보어(1008) 및 허브 부분(1010) 같은 전술한 특징 중 다수를 포함할 수 있다.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1000)는 이전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절결부(1100)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1000)는 단일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재료는 이를 도 10에 도시된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1000)로 형성될 수 있게 하도록 일련의 굴곡부 및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백킹 플레이트(1002)는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1000)의 최외측 부분에서 180도 굴곡부(1018)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백킹 플레이트 섹션(1012) 각각의 반경방향 최외측 섹션에 대략 180도 굴곡부(1018)가 존재할 수 있다. 각각의 섹션(1012)은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1000)의 재료가 재료의 2겹 층을 생성하도록 백킹 플레이트(1002) 표면 아래에서 절첩되는 백킹 플레이트(1002)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백킹 플레이트 섹션(1012)은 백킹 플레이트 재료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절결부(1014)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 절결부(1014)는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1000) 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백킹 플레이트 섹션(1012)은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1000)의 실질적 직선 외부 에지(1016)를 생성하도록 반경방향 최외측 에지 둘레에서 종결할 수 있다. 직선 외부 에지(1016)는 실질적 360도 총합을 생성하게 조합되도록 서로 각도방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예로서, 그 8개 직선 외부 에지(1016)를 갖는 실질적 팔각형 원주를 생성하는 8개 섹션(1012)이 존재할 수 있다.
절결부(1014)의 일부는 핑거(1004)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핑거(1004)는 백킹 플레이트(1002)의 실질적 90도 굴곡부(110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핑거(1004)의 굴곡부(1006)는 백킹 플레이트(1002)로부터의 핑거(1004)의 원위 부분의 180도 굴곡부일 수 있다. 굴곡부(1006)는 핑거(1004)의 베이스(1108)에서 종결할 수 있다. 180도 굴곡부의 결과로서, 핑거(1004)는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1000) 재료의 2겹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핑거(1004)의 일 실시예에서, 용접부는 핑거(1004)의 베이스(1108)를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용접부는 클러치 조립체(318)로부터 노우즈 허브(330)로 비틀림 부하를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1000)가 적절히 전달될 수 있게 하도록 핑거(1004)에 충분한 강성을 추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용접부는 두 개의 층을 서로 추가로 커플링하기 위해 핑거(1004)의 측부를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이는 역시 핑거(1004)의 부하 지탱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백킹 플레이트(1002)는 또한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1000)의 강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용접부 또는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용접부는 백킹 플레이트 에지 말단(1110)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말단(1110)을 따라 용접부를 위치시킴으로써 백킹 플레이트(1002)의 강성은 서로 평행한 정렬 상태의 백킹 플레이트 재료의 추가적 층 그리고 용접부의 추가된 보강 양자 모두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원리를 포함하는 예시적 실시예를 전술하였지만, 본 개시내용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신, 본 출원은 그 일반적 원리를 사용하는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변형, 사용 또는 적응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또한, 본 출원은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공지된 또는 관습적 관례 내에서 얻어지는, 그리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제한 내에 포함되는 본 개시내용으로부터의 이러한 이탈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20)

  1. 토크 컨버터 조립체이며,
    노우즈 허브에 커플링된 펌프 조립체,
    터빈 허브에 커플링된 터빈 조립체,
    터빈 허브에 커플링된 댐퍼 조립체,
    노우즈 허브에 커플링된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와 댐퍼 조립체 사이에서 비틀림 부하를 전달할 수 있고, 맞물림 위치와 맞물림해제 위치를 갖는 클러치 조립체, 및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의 부분적 절결부의 굴곡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고 클러치 조립체의 일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핑거를 포함하며,
    클러치 조립체가 맞물릴 때, 펌프 조립체는 터빈 조립체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되고, 클러치 조립체가 맞물리지 않을 때, 펌프 조립체는 터빈 조립체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되지 않는, 토크 컨버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조립체가 맞물림 위치에 있을 때 클러치 조립체에 축방향 압력을 인가하는 피스톤을 더 포함하는, 토크 컨버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펌프 조립체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토크 컨버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는 서로 커플링된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는, 토크 컨버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형성하는, 토크 컨버터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는 백킹 플레이트 립에서 종결되고, 백킹 플레이트 립은 제2 부재에서 실질적으로 90도 굴곡되는, 토크 컨버터 조립체.
  7. 로크업 클러치를 위한 토크 컨버터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이며,
    서로 커플링된 제1 부재 및 제2 부재로서, 허브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연장하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제2 부재의 절결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고 클러치 조립체의 일부와 맞물리는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로부터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핑거,
    제1 부재 및 제2 부재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 및
    클러치 조립체와 정렬된 백킹 플레이트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는 클러치 조립체를 위한 축방향 저항을 제공하고, 허브 부분으로부터 클러치 조립체로 비틀림 힘을 전달하는,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는 제2 부재의 일부의 90도 굴곡부인,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의 최외측 반경방향 에지를 따라 백킹 플레이트 립을 더 포함하는,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 플레이트 립은 제2 부재의 실질적 90도 굴곡부인,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
  11. 삭제
  12. 삭제
  13. 로크업 클러치를 갖는 토크 컨버터이며,
    전방 커버 허브로부터 연장하고 후방 커버에 커플링되는 전방 커버,
    후방 커버에 커플링된 펌프 조립체,
    터빈 허브에 커플링된 터빈 조립체,
    터빈 조립체와 펌프 조립체 사이에 위치된 스테이터,
    터빈 허브에 커플링되고 댐퍼 클러치 핑거를 형성하는 댐퍼,
    전방 커버 허브에 커플링되고,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의 절결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백킹 플레이트 클러치 핑거를 형성하는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와 댐퍼 사이에 커플링된 클러치 조립체, 및
    전방 평면과 클러치 조립체 사이의 전방 커버 내에 배치된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백킹 플레이트 클러치 핑거는 클러치 조립체의 제1 부분과 맞물리고, 상기 댐퍼 클러치 핑거는 클러치 조립체의 제2 부분과 맞물리고,
    백킹 플레이트 클러치 핑거는 클러치 조립체의 부분과 접촉하는, 토크 컨버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조립체의 제1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플레이트인, 토크 컨버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조립체의 제2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반작용 플레이트인, 토크 컨버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전방 커버 허브 내의 유체 통로를 통해 가압된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토크 컨버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전방 커버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토크 컨버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전방 평면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토크 컨버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펌프 조립체와 터빈 조립체를 기계적으로 커플링하도록 클러치 조립체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백킹 플레이트를 향해 강제 이동시키는, 토크 컨버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 플레이트 조립체는 서로 커플링된 두 개의 부재를 포함하는, 토크 컨버터.
KR1020177025743A 2015-02-17 2016-02-15 토크 컨버터 로크업 클러치 구조 KR102503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17143P 2015-02-17 2015-02-17
US62/117,143 2015-02-17
PCT/US2016/017955 WO2016133845A1 (en) 2015-02-17 2016-02-15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135A KR20170118135A (ko) 2017-10-24
KR102503591B1 true KR102503591B1 (ko) 2023-02-23

Family

ID=56620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743A KR102503591B1 (ko) 2015-02-17 2016-02-15 토크 컨버터 로크업 클러치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0125853B2 (ko)
EP (1) EP3259502A4 (ko)
JP (1) JP6724026B2 (ko)
KR (1) KR102503591B1 (ko)
WO (1) WO20161338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3010B2 (en) * 2016-09-29 2020-05-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Torque transmitting assembly with damper assembly including two sets of outer springs in seri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6607A1 (en) * 2006-12-18 2008-07-0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Torque transfer device
JP2012057694A (ja) * 2010-09-08 2012-03-22 Aisin Aw Industries Co Ltd ダン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90679B1 (es) * 1997-05-09 2004-11-16 Mannesmann Sachs Ag Embrague de friccion con un sistema de compensacion.
DE60222266T2 (de) * 2002-10-18 2008-05-29 Borgwarner Inc., Auburn Hills Abschlussscheibe für eine Lamellenanordnung
US7059461B2 (en) * 2004-08-05 2006-06-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Torque-transmitting apparatus
US7357233B2 (en) 2005-02-15 2008-04-15 Borgwarner Inc. Torque converter with a lock-up clutch assembly having a floating friction disk
US7392714B2 (en) * 2005-12-02 2008-07-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Torqu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engine torque
WO2007079714A1 (de) * 2006-01-12 2007-07-19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Drehmomentwandler mit überbrückungskupplung zwischen zwei dämpfern
JP4250185B2 (ja) 2006-12-07 2009-04-08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ロ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
WO2008077370A1 (de) 2006-12-22 2008-07-0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Drehmomentwandler mit mehreren funktionen mit einer hebelfeder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 hydraulischen drucks und flusses
US8448763B2 (en) * 2009-02-04 2013-05-28 Zf Friedrichshafen Ag Housing-piston assembly for a coupling device and assembly method
CA2810408C (en) * 2010-09-10 2017-12-19 Allison Transmission, Inc. Hybrid system
US20120298471A1 (en) * 2011-05-23 2012-11-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ealed backing plate drive connection
US9309956B2 (en) * 2011-09-04 2016-04-1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Torque converter clutch with low back pressure
US8919510B2 (en) * 2012-03-30 2014-12-30 Caterpillar Inc. Lock-up clutch assembly having improved torque capacity
DE102013213183A1 (de) * 2013-03-08 2014-09-1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Turbinenkeil-Freilaufkupplung
US9074640B1 (en) * 2013-11-06 2015-07-07 Ron Wolverton Squawk reducing clutch hub assembly
US9297448B1 (en) * 2014-10-23 2016-03-29 Valeo Embrayages Hydrokinetic torque coupling device having turbine-piston lockup clutch, and related methods
US10215237B2 (en) * 2016-07-29 2019-02-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ple-piece backing plate having pa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US10865701B2 (en) * 2018-11-27 2020-12-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oled turbocharger compress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6607A1 (en) * 2006-12-18 2008-07-0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Torque transfer device
JP2012057694A (ja) * 2010-09-08 2012-03-22 Aisin Aw Industries Co Ltd ダン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33845A1 (en) 2016-08-25
US11326677B2 (en) 2022-05-10
KR20170118135A (ko) 2017-10-24
JP6724026B2 (ja) 2020-07-15
US20200200249A1 (en) 2020-06-25
JP2018506006A (ja) 2018-03-01
US10563743B2 (en) 2020-02-18
US10125853B2 (en) 2018-11-13
US20190003566A1 (en) 2019-01-03
EP3259502A4 (en) 2018-10-31
US20220235856A1 (en) 2022-07-28
US11686377B2 (en) 2023-06-27
US20160238117A1 (en) 2016-08-18
EP3259502A1 (en)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3033B2 (en) Torque transmission apparatus
CN102606705A (zh) 具有锁止离合器的扭矩变换器
EP2644941A1 (en) Vehicular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140037098A (ko)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US20210131541A1 (en) Hybrid drive module for a motor vehicle
US200900323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sh prevention using coil springs
US9915330B2 (en) Four pass torque converter
US9206839B2 (en) Slotted bushing for transferring lubrication
US11098768B2 (en) Inner disc-carrier for wet-type friction-clutch
US11686377B2 (en)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 structure
US7958724B2 (en) Torque converter blade
US10704611B2 (en)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 backing plate
US7849985B2 (en) Pilot plate torque transmitting assembly for a torque converter
US20080202879A1 (en) Radially compliant pump hub
US10844940B2 (en) Torque converter with charge pressure compensation
US7770705B2 (en) Forged piston plate drive lugs
JP2018141532A (ja) トルクコンバータ、及び、トルクコンバータの結合構造
EP2776739B1 (en) A transmission system for vehicles
CN115773345A (zh) 变矩器以及设置在变矩器中的电抗器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