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195B1 -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195B1
KR102503195B1 KR1020210152964A KR20210152964A KR102503195B1 KR 102503195 B1 KR102503195 B1 KR 102503195B1 KR 1020210152964 A KR1020210152964 A KR 1020210152964A KR 20210152964 A KR20210152964 A KR 20210152964A KR 102503195 B1 KR102503195 B1 KR 102503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ospital
user
frame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10152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사용자에게 적합한 병원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수행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서버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의 전원 이벤트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광고 노출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속성에 대응되는 제1 프레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프레임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프레임 표시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및 그 장치{APPARATUS FOR EXPOSING HOSPITAL DATAS CORRESPONDING TO PAITIENT'S MOVING DATAS AND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사용자(e.g.,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적합한 병원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노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수행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환자의 전원, 즉 병원의 이동이 발생될 경우,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병원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수행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부에서는 여러 종류의 병원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각 병원들을 1차 병원, 2차 병원 및 3차 병원으로 나누어 분류하고 있다. 병원의 차수를 분류하기 위해 필수 진료 과목의 개수 충족 여부 등의 세부적인 분류 기준이 있으나, 병원의 병상 수를 파악하면 대략적인 분류 기준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 병원은 500개 이상의 병상 수가 있는 병원이고, 2차 병원은 병원의 종류에 따라 30개 이상 혹은 100개 이상의 병상 수가 있는 병원이고, 1차 병원은 30개 미만의 병상 수가 있는 병원이다.
국내의 경우 환자의 상급 병원에 대한 선호도로 인하여, 3차 병원에 대한 환자의 쏠림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쏠림 현상을 해소할 뚜렷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 않았다.
게다가, 이러한 쏠림 현상으로 인해, 3차 병원에서의 치료에 의해 환자의 상태가 어느 정도 호전되면, 상급 병원(e.g., 3차 병원)에서 규모가 더 작은 하급 병원(e.g., 2차 병원, 1차 병원)으로의 전원, 즉 환자의 이동이 필요한데, 환자는 적합한 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하급 병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반대로, 하급 병원에서의 치료만으로 환자의 상태 호전이 어려운 경우, 하급 병원에서 규모가 더 큰 상급 병원으로의 전원이 필요한데, 환자는 적합한 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상급 병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 또한 없었다.
따라서, 환자가 전원하는 경우, 전원에 대응되는 병원에 대한 정보를 환자가 제공받을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기술은, 정보의 비대칭성 및 불투명성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병원 선택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병원 선택에 대한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줌에 따라, 종래 의료 산업의 비효율적인 병원 중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86553호 (2021.07.30 등록)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병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환자에게 맞춤화된 병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환자가 단말을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도중에, 병원에 대한 정보를 자연스럽게 환자에게 노출하는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환자에게 적합한 병원 정보를 노출함에 따라, 상급 병원에 대한 환자의 쏠림 현상을 해소하는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정보의 비대칭성 및 불투명성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병원 선택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환자가 단말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응답 이벤트에 기초하여 정보 제공 비용을 합리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서버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의 전원 이벤트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광고 노출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속성에 대응되는 제1 프레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프레임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프레임 표시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속성은, 상기 제1 사용자의 질병 정보, 질병의 발병 시기 정보 및 상기 질병의 처치 시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프레임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속성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클러스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클러스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프레임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속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를 클러스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를 클러스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일부를 특수 사용자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수 사용자를 제외한 일반 사용자들을 클러스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를 클러스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와 관련하여 업로드된 문서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문서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한 응답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프레임에 대응되는 병원에 대한 비용 청구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답 이벤트는, 스크롤 입력에 의해 상기 표시 영역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이벤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용 청구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는, 프레임의 정렬 순서가 빠를수록 대응되는 비용 청구 템플릿의 가중치를 높게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답 이벤트는,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1 프레임을 선택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프레임이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정보이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 각각은, 상기 전원 이벤트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병원 정보는, 병원의 비용 정보, 병원의 현황 정보, 병원의 전문성 정보, 병원의 의료진 정보, 병원의 리뷰 정보 및 병원의 간병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1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비용 예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용 예측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제1 사용자 클러스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프레임이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정보이고, 상기 프레임 표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복수의 프레임 사이의 매칭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매칭율의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적어도 일부의 프레임이 정렬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프레임 표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표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한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프레임에 대응되는 비용 예측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비용 예측 정보가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프레임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프레임 표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장치는,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로드(load)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사용자의 전원 이벤트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광고 노출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속성에 대응되는 제1 프레임을 식별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및 상기 제1 프레임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인스트럭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병원 정보 노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클러스터링 동작(S1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프레임 표시 정보의 전송 동작(S4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프레임 표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프레임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사용자의 선택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또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트리거"는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시각적 변화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장치의 임의의 반응(reaction) 내지는 피드백(feedback)을 유발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여기서, "트리거"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발생한 다른 이벤트에 기초하여 발생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장치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제스처,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장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 장치에 구비된 센서(예컨대, 카메라, 마이크,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지자기 센서 등)나 장치 외부에서 장치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센서(예컨대, 조도 센서, 온도 센서, 인체감지 센서 등)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에 의해 발생된 "이벤트(e.g., 응답 이벤트)"에 기초하여, "트리거(e.g., 비용 청구 템플릿 생성 트리거)"가 발생될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업데이트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식별하여 발생된 "이벤트(e.g., 전원 이벤트)"에 기초하여, "트리거(e.g., 광고 노출 트리거)"가 발생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레임"은 병원 정보 노출의 대상(e.g., 하급 병원)의 시각적 정보를 담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가상의 틀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표시 영역에 고정되어 표시되거나 본 개시의 몇몇 이벤트에 따라 위치 및 속성 중 적어도 일부를 변형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템플릿"은 사전에 형식이 정의된 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비용 청구 템플릿"은 병원 정보 노출의 대상에 청구할 비용을 안내하는 문서로써, 본 개시의 몇몇 이벤트에 따라 산출되는 "가중치"에 의해 병원 정보 노출의 대상에 청구항 비용이 변환되어 "비용 청구 템플릿"에 반영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가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환경을 도시한다. 도 1은 1개의 사용자 단말(300), 1개의 상급 병원 단말(400) 및 1개의 하급 병원 단말(500)에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가 적용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는 단말(300, 400, 500)의 개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 1은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을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환경의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써, 복수의 구성 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와 계정 DB(200)는 동일한 컴퓨팅 장치 내에 서로 다른 로직(logic)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는 플랫폼 비즈니스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각 단말(300, 400, 5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플랫폼 비즈니스는 공지된 모든 것들이 될 수 있으며, 그 플랫폼 비즈니스가 특정 일례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환자와 병원(또는 간병인) 상호 간을 연결/매칭하는 플랫폼 비즈니스를 기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에는 환자와 병원(또는 간병인) 상호 간을 연결하기 위한 공지된 모든 형태의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는 공지된 모든 형태의 기술들을 이용하여 각 단말(300, 400, 500)에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는 각 단말(300, 400, 500)로부터 각 단말(300, 400, 500)의 주체에 대응되는 속성 정보를 입력 받아 계정 DB(20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는 환자의 기본 인적 정보, 환자의 질병 정보, 질병의 발병 시기 정보 및 질병의 처치 시기 정보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는 병원의 비용 정보, 병원의 현황 정보, 병원의 전문성 정보, 병원의 의료진 정보 및 병원의 간병인 정보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는 각 단말(300, 400, 500)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각 단말(300, 400, 500)의 주체의 로그(log)를 계정 DB(20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장치에 구비된 센서를 통한 다양한 입력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 이력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e.g., 환자 또는 보호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터치한 영역의 좌표 및 터치한 영역에 대응되는 대상(e.g., 프레임) 등을 사용 이력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부여한 병원의 리뷰 정보 및 사용자가 수행한 결제 이력 정보 등을 이력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는 플랫폼 비즈니스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하면서, 애플리케이션의 지정된 영역에 병원 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병원 정보는 병원 풀(pool)에 속한 복수의 병원 중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적어도 일부에 대한 병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병원 정보는 상술한 병원의 속성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는 병원 정보의 노출에 대응되는 비용 청구 템플릿을 생성하여 병원 단말(400, 5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공지된 모든 결제 방식에 따라 비용 청구 템플릿에 상응하는 정보 제공 비용(e.g., 광고 비용)을 결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플랫폼 비즈니스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각 단말(300, 400, 5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추후 도 2 이하의 설명을 통해 구체화될 것이다.
상술한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의 모든 기능은 단일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의 제1 기능은 제1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고, 제2 기능은 제2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컴퓨팅 장치는,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탑(laptop)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컴퓨팅 기능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가 다양한 단말(300, 400, 500)과 연동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해야 되는 환경이라면,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는 고성능의 서버급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의 일례에 대해서는 추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계정 DB(200)는 각 단말(300, 400, 500)의 주체에 대응되는 속성 정보 및 각 단말(300, 400, 500)의 주체의 로그(log)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계정 DB(200)는 각각의 계정과 대응되도록 속성 정보 및 로그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계정 DB(200)에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클러스터링하는 동작,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복수의 병원을 클러스터링하는 동작, 비용 청구 템플릿을 생성하는 동작 및 병원 정보의 노출 시 함께 노출되는 비용 예측 정보의 산출 동작 등 다양한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의 동작에서 참조되거나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300), 상급 병원 단말(400) 및 하급 병원 단말(500)은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0)은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환자 또는 보호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병원과 연결/매칭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병원 주체들은 병원 단말(400, 500)을 통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연결/매칭되거나 병원을 광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0), 상급 병원 단말(400) 및 하급 병원 단말(500)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하여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 상급 병원 단말(400) 및 하급 병원 단말(500)은 데스크탑(Desktop),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랩탑(Laptop), 태블릿(Tablet) 및 스마트폰(Smart Phone)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컴퓨팅 기능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가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환경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 및 관련 예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추후 설명될 방법들의 각 단계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방법들의 각 단계는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방법들에 포함되는 모든 단계는 하나의 물리적인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을 것이나, 방법의 제1 단계들은 제1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고, 방법의 제2 단계들은 제2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방법들의 각 단계가 도 1에 예시된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상기 방법들에 포함되는 각 단계의 동작 주체는 그 기재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100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클러스터링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속성에 기초하여, 클러스터링될 수 있다. 단계 S100과 관련된 클러스터링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공지된 모든 방식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이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의 적용 전에, 사용자의 속성을 벡터(vector)로 변환하고, 변환된 벡터를 표준화하는 등의 전처리 동작이 선행될 수도 있다. 다만, 본 개시의 논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전처리 동작 및 클러스터링 동작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클러스터링함으로써, 속성이 유사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클러스터가 생성되어, 클러스터별 관리가 용이해짐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병원 정보 노출 장치(100)에서 소모되는 컴퓨팅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단계 S100과 관련된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병원이 병원 정보에 기초하여 클러스터링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클러스터링의 대상이 상이한 것 외에 단계 S100과 관련된 모든 기재를 참조하여 해석될 수 있다.
단계 S100과 관련된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클러스터링 동작의 주기는 추후 단계 S200 내지 단계 S400을 통해 설명될 동작들의 주기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200 내지 단계 S400은 추후 설명될 광고 노출 트리거에 기초하여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동작일 수 있으나, 상술한 클러스터링 동작은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수행되는 동작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클러스터링 동작을 반복하면서 소모되는 컴퓨팅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단계 S100과 관련된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클러스터링 동작은 신규 사용자 계정의 가입 이벤트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 사용자 계정이 n(n은 자연수)개 계정일때마다 클러스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 또한, 클러스터링 동작을 반복하면서 소모되는 컴퓨팅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단계 S100과 관련된 몇몇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110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을 참조하여,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가 특수 사용자로 선택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사용 이력 중 적어도 일부의 특징들(features)을 추출하여,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가 클러스터링에 앞서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이력에 참조될 수 있는 것들은, 사용자의 결제 정보 및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체류 정보 등이 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이 독자적으로 고려되거나 사용자의 속성 정보(e.g., 사용자의 질병 정보, 질병의 발병 시기 정보 및 질병의 처치 시기 정보 등)와 함께 고려되어 복수의 사용자 중 일부가 특수 사용자로 선택될 수 있다.
단계 S110과 관련된 몇몇 실시예로써, 추후 설명될 병원 정보 노출의 대상(e.g., 하급 병원, 상급 병원)에 높은 기대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특수 사용자로 일부 사용자가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수 사용자들이 클러스터링에 앞서 사전에 선택됨으로써, 특수 사용자에 대한 프리미엄 서비스의 전환 또는 특수 사용자에 대한 병원 정보 노출에 따른 합리적 정보 제공 비용의 산출 등의 다채로운 플랫폼 비즈니스를 플랫폼 비즈니스 운영자가 운영할 수 있다.
단계 S110과 관련된 특수 사용자의 선택 동작과 관련하여, 공지된 다양한 스코어링 알고리즘이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특징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를 산출하기 위해서, 복수의 특징들을 가중 합산하는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0에서, 선택된 일부를 제외한 일반 사용자가, 클러스터링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단계 S110에서 특수 사용자로 선택된 사용자를 제외한 집단에서 클러스터링 동작을 수행하는 외에는 앞서 설명된 단계 S100과 관련된 설명을 참조하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순서도에 따르면, 사용자 중 일부를 클러스터링 이전에 특수 사용자로 선택함으로써, 플랫폼 비즈니스 운영자가 다채로운 플랫폼 비즈니스를 운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단계 S100과 관련된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130에서, 복수의 사용자 각각과 관련하여 업로드된 적어도 하나의 문서가 얻어질 수 있고, 단계 S140에서, 문서에서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속성이 추출될 수 있다. 사용자와 관련하여 업로드될 수 있는 문서는, 예를 들어, 입원 상담 신청서, 진료 의뢰서 및 소견서 등일 수 있다. 여기서, 문서가 업로드 되면, 문자 추출 알고리즘(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통해 문서에 포함된 사용자의 속성이 동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순서도에 따르면, 사용자가 속성에 대한 직접적인 입력을 하지 않는 경우라도, 간편한 문서의 업로드를 통해 사용자의 속성을 동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가 속성을 직접 입력하거나 문서를 업로드하지 않은 경우라도, 사용자의 동의 하에 제휴를 맺은 병원으로부터 문서를 획득하고, 획득된 문서로부터 사용자의 속성을 추출할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00에서, 광고 노출 트리거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속성에 대응되는 사용자 클러스터가 식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와 유사한 속성을 갖는 다른 사용자들의 집합인 사용자 클러스터가 식별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0에서, 광고 노출 트리거는, 사용자와 관련하여 업데이트된 전원 이벤트에 기초하여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이벤트는, 상급 병원에서 하급 병원으로의 전원, 하급 병원에서 상급 병원으로의 전원, 상급 병원에서 다른 상급 병원으로의 전원 및 하급 병원에서 다른 하급 병원으로의 전원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전원에 대한 업데이트된 정보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이벤트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A 병원의 현황 정보(e.g., 진료 기록 정보)로부터 B 사용자의 전원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이러한 업데이트를 도 1에 도시된 계정 DB(200)에 반영하고, 광고 노출 트리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예시에 따르면, 병원에 대한 적절한 정보의 제공이 요구되는 시점에 B 사용자에 대한 광고 노출 트리거가 발생될 수 있다. B 사용자는 제공되는 병원 정보를 B 사용자 단말의 이용 도중에 자연스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병원에 대한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사용자를 동적으로 탐색하여 광고 노출 트리거를 발생시키는 외에도, 사용자의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광고 노출 트리거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을 통한 정보 제공 요청의 획득 방식이라면, 어떠한 방식이라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300에서, 식별된 사용자 클러스터에 대응되는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은 병원의 병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프레임은 병원 정보 노출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병원의 병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과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프레임(40)의 일례이다. 프레임(40)은 병원을 사용자가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40)은 식별자(41)에 대응되는 병원의 병원 정보(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병원 정보(43)는, 병원의 비용 정보, 병원의 현황 정보, 병원의 전문성 정보, 병원의 의료진 정보, 병원의 리뷰 정보 및 병원의 간병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간병인 정보는, 병원의 간병인 회전률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병원의 전원 시 병원 선택에 사용자가 참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novel factor)인 간병인 회전률이 병원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간병인 회전률이 임계치 보다 낮으면 간병인이 안정적으로 고용되어 있는 병원으로 이해될 수 있고, 반대로 간병인 회전률이 임계치 보다 높으면 간병인의 이직이 잦은 병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간병인 회전률은 외부 서버(e.g., 간병인 공급 업체 단말)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프레임과 관련된 몇몇 실시예에서, 병원 정보는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비용 예측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비용 예측 정보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클러스터에 포함된 다른 사용자의 결제 이력이 참조되어 산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비용 예측 정보의 산출과 관련해서는 추후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단계 S300과 관련된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 클러스터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대응 관계가 사전에 결정되어 테이블의 형태로 관리/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200에서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클러스터가 식별되면, 테이블을 참조하여 식별된 사용자 클러스터와 대응 관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이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300과 관련된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 클러스터와 프레임의 매칭율이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매칭율의 순서에 기초하여,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매칭율은 클러스터의 속성과 프레임에 대응되는 병원의 병원 정보의 유사한 정도(i.e., 유사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이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 클러스터는 속성이 유사한 복수의 사용자의 집합이므로, 예를 들어, 복수의 문자열 중 키워드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 클러스터를 대표하는 대표 속성이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클러스터의 대표 속성과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응되는 병원의 병원 정보 사이의 문자 유사도에 기초하여 매칭율이 산출될 수 있다. 이때, 문자의 유사도를 산출하기 위해 공지된 모든 유사도 산출 알고리즘이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매칭율이 산출되면, 사전에 결정된 m(m은 자연수)개의 프레임이 선택되거나 매칭율이 기준치 이상인 프레임이 적어도 하나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300과 관련된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 클러스터와 병원 클러스터의 매칭율이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매칭율의 순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병원 클러스터가 결정되고, 결정된 병원 클러스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이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클러스터와 클러스터의 매칭율이 산출되는 점을 제외하고 앞서 설명된 클러스터와 프레임의 매칭율에 따른 프레임의 결정 동작과 공통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400에서, 프레임을 애플리케이션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프레임 표시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레임이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표시 영역의 예시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사용자 단말의 일례로 스마트폰이 도시되어 있으나, 예시된 스마트폰 외에도 사용자 단말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화면(10)에 병원 정보가 노출될 수 있는 표시 영역(20a, 20b, 20c, 20d)을 도시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10)은 병원 정보가 노출될 수 있는 표시 영역(20a, 20b, 20c, 20d)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영역(30)과 함께 병원 정보가 노출될 수 있는 표시 영역(20a, 20b, 20c, 20d)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병원 정보가 노출될 수 있는 표시 영역(20a, 20b, 20c, 20d)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영역의 형태 외에도 다양한 영역의 형태로 병원 정보가 노출될 수 있는 표시 영역(20a, 20b, 20c, 20d)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10)에 포함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10은, 도 9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10)이 병원 정보가 노출될 수 있는 표시 영역(20a, 20b, 20c, 20d)만을 포함하고 있는 일례를 도시한다. 여기서, 병원 정보가 노출될 수 있는 표시 영역(20a, 20b, 20c, 20d)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40a, 40b, 40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10)을 통해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사용자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간의 공지된 모든 상호 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10)을 스크롤하는 입력이 사용자 단말에 수신되면, 병원 정보가 노출될 수 있는 지정된 영역(20a, 20b, 20c, 20d)에 표시된 프레임(40a, 40b, 40c) 중 적어도 일부가 정렬의 순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화면(10)에서 어느 하나의 프레임(40a, 40b, 40c)을 선택하는 입력이 사용자 단말에 수신되면, 선택된 프레임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보다 상세히 표시한 팝업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단계 S400과 관련된 몇몇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410에서, 사용자와 복수의 프레임 사이의 매칭율이 산출될 수 있고, 단계 S420에서, 산출된 매칭율의 순서에 기초하여, 지정된 영역에 적어도 일부의 프레임을 정렬하여 표시하는 프레임 표시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단계 S410은, 사용자와 프레임 사이의 매칭율이 산출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앞서 단계 S300과 관련된 실시예를 통해 설명된 매칭율과 공통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420과 관련하여 도 10을 참조하면, 프레임의 매칭율 순서에 따라 프레임의 표시 순서가 결정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율의 순서가 높을수록 영역의 상부에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와 프레임의 매칭율의 순서는 제1 프레임(40a), 제2 프레임(40b) 및 제3 프레임(40c) 순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병원에 대응되는 프레임이 영역의 상부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가장 적합한 병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단계 S400과 관련된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430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한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된 프레임에 대응되는 비용 예측 정보가 산출될 수 있고, 단계 S440에서, 산출된 비용 정보를 선택된 프레임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프레임 표시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선택 입력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이라면 어떠한 입력이라도 포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비용 예측 정보가 프레임에 포함된 병원 정보에 먼저 포함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비용 예측 정보가 산출 및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비용 예측 정보는 선택된 일부 사용자(e.g., 특수 사용자)에게만 제공되거나 비용을 지불한 몇몇 사용자에게만 제공될 수도 있다.
단계 S430과 관련된 몇몇 실시예에서, 비용 예측 정보는 사용자의 속성에 대응되는 것으로 식별된 사용자 클러스터의 사용 이력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스터에 포함된 사용자들의 평균 치료 비용이 고려되거나 평균 치료 기간이 고려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클러스터에 포함된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치료 비용이 고려되거나 치료 기간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클러스터에 포함된 사용자 중 대상 사용자(e.g., 제1 사용자)와 속성 유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된 제2 사용자의 치료 비용 또는 치료 기간이 고려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500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한 응답 이벤트에 기초하여, 병원에 대한 비용 청구 템플릿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응답 이벤트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발생된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이 입력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응답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고, 발생된 응답 이벤트에 기초하여 비용 청구 템플릿 생성 트리거가 발생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되는 병원에 대한 비용 청구 템플릿이 생성/갱신될 수 있다.
단계 S500과 관련된 몇몇 실시예에서, 응답 이벤트는, 스크롤 입력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의 지정된 영역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이벤트일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프레임에 대응되는 병원에 정보 제공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지정된 영역에 정렬된 프레임의 순서가 빠를수록 비용 청구 템플릿의 가중치가 높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에 의해 표시된 화면이 도 10과 같은 경우, 화면(10)에 표시된 제1 프레임(40a)에 가장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어 비용 템플릿이 생성될 수 있고, 제3 프레임(40c)에 가장 낮은 가중치가 부여되어 비용 템플릿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되지 않은 다른 프레임들은 비용 템플릿이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보다 더 직관적으로 인식하기 쉬운 영역에 표시된 프레임에 대응되는 병원에 더 높은 정보 제공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단계 S500과 관련된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응답 이벤트는,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선택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 입력(70)에 응답하여, 선택된 프레임(50)에 대응되는 병원에 대한 비용 청구 템플릿이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프레임에 대응되는 병원의 정보를 상세히 확인한 경우, 선택된 프레임에 대응되는 병원에 정보 제공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단계 S500과 관련된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병원 정보의 열람 대상이 된 사용자의 속성을 반영한 가중치에 따라 비용 청구 템플릿이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병원 정보 열람의 대상이 된 사용자의 속성이 병원에 높은 기대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e.g., 특수 사용자)인 경우, 가중치가 높게 결정되어 비용 청구 템플릿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병원에 높은 기대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는, 사용자의 질병, 수술 필요 여부, 잔여 예상 치료 기간 및 잔여 예상 치료 비용 등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병원에 높은 기대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이른바 고수가 환자에게 병원 정보를 제공한 경우, 더 높은 정보 제공 비용을 병원에 청구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2 내지 도 6 및 관련 예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방법들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병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환자의 전원에 대응하여 병원 정보가 사용자(e.g.,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필요한 시점에, 자연스럽게 환자에게 적합한 병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15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컴퓨팅 장치(1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510), 버스(1550), 통신 인터페이스(1570), 프로세서(15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59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530)와, 컴퓨터 프로그램(1591)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5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3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 요소들 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510)는 컴퓨팅 장치(15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5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10)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5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530)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590)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591)을 로드 할 수 있다. 메모리(153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1550)는 컴퓨팅 장치(15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55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570)는 컴퓨팅 장치(15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57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570)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157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159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591)과 각종 데이터를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59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91)은 메모리(1530)에 로드 될 때 프로세서(1510)로 하여금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경우, 컴퓨팅 장치(1500)를 통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병원 정보 노출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개시가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서버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의 전원 이벤트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광고 노출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속성에 대응되는 제1 프레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프레임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프레임 표시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은 병원의 간병인 회전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간병인 회전률은, 간병인 공급 업체의 외부 서버를 통해 획득된 정보로서, 상기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병인의 이직이 빈번할수록 높은 값을 가지는 것인,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속성은,
    상기 제1 사용자의 질병 정보, 질병의 발병 시기 정보 및 상기 질병의 처치 시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속성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클러스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클러스터에 대응되는 상기 제1 프레임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속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를 클러스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를 클러스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일부를 특수 사용자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수 사용자를 제외한 일반 사용자들을 클러스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를 클러스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와 관련하여 업로드된 문서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문서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한 응답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프레임에 대응되는 병원에 대한 비용 청구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이벤트는, 스크롤 입력에 의해 상기 표시 영역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이벤트인,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청구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는,
    프레임의 정렬 순서가 빠를수록 대응되는 비용 청구 템플릿의 가중치를 높게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이벤트는,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1 프레임을 선택하는 이벤트인,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프레임이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정보이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 각각은,
    상기 전원 이벤트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인,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정보는,
    병원의 비용 정보, 병원의 현황 정보, 병원의 전문성 정보, 병원의 의료진 정보, 병원의 리뷰 정보 및 병원의 간병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비용 예측 정보를 포함하는,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예측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제1 사용자 클러스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프레임이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정보이고,
    상기 프레임 표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복수의 프레임 사이의 매칭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매칭율의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적어도 일부의 프레임이 정렬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프레임 표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표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한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프레임에 대응되는 비용 예측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비용 예측 정보가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프레임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프레임 표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17.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로드(load)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사용자의 전원 이벤트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광고 노출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속성에 대응되는 제1 프레임을 식별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및
    상기 제1 프레임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인스트럭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은 병원의 간병인 회전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간병인 회전률은, 간병인 공급 업체의 외부 서버를 통해 획득된 정보로서, 상기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병인의 이직이 빈번할수록 높은 값을 가지는 것인,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장치.
KR1020210152964A 2021-11-09 2021-11-09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503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964A KR102503195B1 (ko) 2021-11-09 2021-11-09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964A KR102503195B1 (ko) 2021-11-09 2021-11-09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195B1 true KR102503195B1 (ko) 2023-02-23

Family

ID=8532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964A KR102503195B1 (ko) 2021-11-09 2021-11-09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1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6574A (ko) * 2013-10-08 2018-03-12 코타 인코포레이티드 임상 결과 추적 및 분석
KR101882797B1 (ko) * 2017-01-23 2018-08-24 에스와이주식회사 1차 진료 기관들의 협업시스템 및 방법
KR20190027417A (ko) * 2017-09-06 2019-03-15 주식회사 망고소프트랩 병원 사이의 환자 전원을 관리하는 방법
KR20200051290A (ko) * 2018-11-05 2020-05-13 노스타일 주식회사 요양병원추천시스템과 요양병원추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요양병원추천용 어플리케이션
KR102286553B1 (ko) 2020-11-12 2021-08-05 주식회사 세이프닥 기업제휴를 통한 병원 마케팅 플랫폼 서비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6574A (ko) * 2013-10-08 2018-03-12 코타 인코포레이티드 임상 결과 추적 및 분석
KR101882797B1 (ko) * 2017-01-23 2018-08-24 에스와이주식회사 1차 진료 기관들의 협업시스템 및 방법
KR20190027417A (ko) * 2017-09-06 2019-03-15 주식회사 망고소프트랩 병원 사이의 환자 전원을 관리하는 방법
KR20200051290A (ko) * 2018-11-05 2020-05-13 노스타일 주식회사 요양병원추천시스템과 요양병원추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요양병원추천용 어플리케이션
KR102286553B1 (ko) 2020-11-12 2021-08-05 주식회사 세이프닥 기업제휴를 통한 병원 마케팅 플랫폼 서비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3015A (ko)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US10503821B2 (en) Dynamic workflow assistant with shared application context
US20180349446A1 (en) Interactive system employing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o customize user interfaces
Zhang et al. Best practices in the real-world data life cycle
US20180349793A1 (en) Employing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o generate user profiles based on user interface interactions
US20200327189A1 (en) Targeted rewrites
US11120205B2 (en) Reviewing document designs
CN111611514B (zh) 一种基于用户登录信息的页面展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4036118A (zh) 在电子文档之间共享内容
JP2020017197A (ja) 計算機システム及び予測器が出力した予測値の根拠に関連する情報の提示方法
CN111612513A (zh) 一种基于业务项目信息的资源配置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1583018A (zh) 一种基于用户金融表现分析的授信策略管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2021033478A (ja) 情報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
JP2007183796A (ja) 企業評価値算出システム
KR102503195B1 (ko) 환자의 전원 정보에 대응되는 병원 정보를 노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10796551A (zh) 一种资金管理的自动控制方法、装置和系统
CN113780675B (zh) 一种消耗预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3298555B (zh) 推广策略生成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513822B1 (ko) Etl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734306B1 (ko) 멀티 프로그램 코드 자동 개발 시스템
CN113220297A (zh) 网页样式动态生成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3138760A (zh) 一种页面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WO2021024882A1 (ja) 商品売上予測に用いる複数の商品情報を対応付ける判定サーバ及び判定方法
US20180089160A1 (en) Efficient starting points in mobile spreadsheets
KR102658967B1 (ko) 인공지능 기반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전자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