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692B1 - 인쇄물 내의 식별 표시를 이용한 인쇄물 식별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물 내의 식별 표시를 이용한 인쇄물 식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692B1
KR102502692B1 KR1020220108277A KR20220108277A KR102502692B1 KR 102502692 B1 KR102502692 B1 KR 102502692B1 KR 1020220108277 A KR1020220108277 A KR 1020220108277A KR 20220108277 A KR20220108277 A KR 20220108277A KR 102502692 B1 KR102502692 B1 KR 102502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basic
dots
identification mark
printed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주)광인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인사 filed Critical (주)광인사
Priority to KR1020220108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41M3/146Security printing using a non human-readable pattern which becomes visible on reproduction, e.g. a void ma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4Multicolour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Abstract

인쇄물 전체 혹은 일정 대상 영역을 일정 크기의 기본 영역으로 나누고, 기본 영역 각각에는 스마트폰 등 정보 단말기의 촬상장치가 구분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식별 표시를 하여, 인쇄물을 촬상장치로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화상처리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여, 기본 영역 각각을 식별 표시별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구분가능한 형태로 표시장치(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인쇄물 내의 식별 표시를 이용한 인쇄물 식별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인쇄물 내의 식별 표시를 이용한 인쇄물 식별 방법{method of identifying printed matter using identification mark in the printed matter}
본 발명은 인쇄물 식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육안으로 구별할 수 없는 식별 표시를 인쇄물에 인쇄하고, 이 식별 표시를 화상인식장치가 있는 전자기기로 판별하여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형태로 바꾸어 전자기기의 표시장치(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인쇄물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인쇄물 식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쇄물은 육안으로 볼 때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인식되나, 인쇄물의 적절한 취급을 위해 일부 권한이 있는 한정된 사람들만 남들이 쉽게 알 수 없는 방법으로 인쇄물의 종류나 속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가령 지폐나 유가증권 통장 등의 인쇄물을 통상의 인쇄용지나 인쇄방법으로 구현하기 어렵게 한다든지, 미세하고 정교한 표시를 하여 돋보기 등으로 확대하여 해당 부분을 보고 위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통적으로 기밀 사항에 대한 매우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문서는 기밀 등급을 분류하여 비표시를 하고, 과거에는 출입자를 일일이 몸수색을 하거나 소지물을 뒤져 검색하기도 하고, 근래에는 도서관에서 흔히 하는 것과 같이 전자 감응 물질로 처리하며, 이를 보관하는 일정 구역의 입출구에 이런 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감지기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 개인용 정보 기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찍어 유출하거나, 복사기나 스캐너로 원본이 아닌 복사물 형태로 유출하면 이를 회피할 수 있어서 문제가 된다. 이런 문제가 되는 행위를 '복사', 결과물을 '복사물', 사용된 기기를 '복사기'라고 주로 통칭을 사용하여 표현하면서 넓은 의미로 단순화하여 표현하기도 한다.
위변조와 관련해서도, 근래에는 스캐닝과 전자 인쇄 등이 발달하여 인쇄물 원본을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재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더욱 엄밀한 위조, 변조 방지 수단이 요청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자 복사 수단으로 인쇄물을 위조나 변조할 수 없도록 비밀취급이 필요한 문서를 만들 때 통상의 전자 복사기로 복사를 하면 그것이 복사본임을 인쇄물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문서 내용을 알 수 없도록 하는 방법을 써서 복사 시도 자체를 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가령,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복사기나 스캐너 등을 이용하여 복사를 할 경우 복사물에 비밀문건임이 나타나도록 하여 이를 반출할 때 검색을 통해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거나, 이런 문서를 유통하기 어렵게 하거나, 아예 복사물에 내용이 나타나지 않아 복사 자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런 경우는 대개 육안으로 대상을 인식하는 것과 카메라나 복사기, 스캐너에 사용되는 전자적 광학적 시각 데이터 감지 및 처리 수단이 대상을 인식하는 것이 서로 다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 것이다.
즉, 복사나 스캐너의 스캔에서 기계가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는 최소 크기의 점이나 선보다 작은 점이나 선을 이용하면 망점 구성을 통해 육안으로는 보이고, 복사 등에서는 보이지 않는 형태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원리를 이용하여 문서 원본을 복사 방지 혹은 복사 표시 용지로 만들면 복사본은 문서에 복사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가령, 복사가 완전히 되는 점 하나의 면적이 0.1 mm2 라고 하고 복사가 전혀 안되는 점의 면적이 0.01 mm2 라고 하더라도, 복사가 되는 점들의 면적의 총합과 복사가 안되는 점들의 면적의 총합이 동일하면 육안으로 동일한 명도 수준, 농도의 원본 지면을 이루게 된다. 통상적으로 같은 크기의 복수의 점들은 균등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단위 면적안에 복사가 되는 0.1 mm2 면적의 점 하나만 넣는다고 가정하면 단위 면적 안의 점의 총 면적의 합은 0.1 mm2 이 되고, 0.01 mm2 면적의 점을 사용하는 경우, 육안으로 같은 바탕색 농도로 인식되기 위해서는 동일한 점 면적의 총합이 같도록 그 숫자를 10개로 하면 된다. (참조식: 0.01 mm2 x 10 = 0.1 mm2). 이후 이들 크기가 다른 두 점 사이에서 각 단계의 점의 크기를 세분화하고, 이를 통해 만들어지는 점들의 면적의 합은 항상 0.1 mm2 이 되도록 한다. 만약 중간 점 하나의 면적이 0.05 mm2 이면 이 점은 정해진 면적 1 mm2 안에 2개꼴로 (2 x 0.05 mm2 = 0.1 mm2) 들어가도록 한다.
복사 표시와 같은 이런 수단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일단 인쇄물을 인쇄를 통해 만들 때 특정한 인쇄 수법을 통해 원본의 망점을 구성함에 있어서 앞서 언급하듯이 육안으로는 구분할 수 없지만 복사를 할 경우 복사물에 비밀문건임이 나타나도록 하거나, 복사물에 원본 내용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0-0014169호에는 바탕부와 문자부로 구성되어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인쇄물 혹은 인쇄구조가 개시된다. 여기서는 육안으로 볼 때는 바탕부와 문자부의 구분이 없이 인식되고,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하면 바탕부와 비교하여 문자부가 밝게 인식되어 위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특히 색조합을 이용하여 이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런 방식은 복사기나 스캐너와 같은 화상 인식 및 구현을 위한 전자기기가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는 최소 크기의 점이나 선보다 작은 점이나 선을 이용하여 망점 구성을 함으로써 육안으로는 보이고(여기서 보인다는 것은 망점 구성이 된 경우와 망점이 없는 경우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다는 의미이며 망점 자체의 형태와 크기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님), 복사 등에서는 보이지 않는 형태를 만들 수 있다는 것에 기반한 것으로, 전자기기가 더욱 인식 및 표현을 위한 해상도가 높아지고, 원래의 망점 표시가 상당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라면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도 대비하여 망점 표시 혹은 식별 표시가 상당한 크기를 가지는 경우라도 문서 원본을 복사 방지 혹은 복사 표시 용지로 만들면 복사본은 문서에 복사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인쇄물의 망점 표시 혹은 식별 표시를 이용하여 원본 인쇄물 상태에서는 육안으로 명확히 구분하여 인식할 수 없지만 전자기기를 이용한 복사나 디스플레이 재현 상태에서는 특정 이용자에게 한정하여 의도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로써 특정의 메시지나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좋을 것이며, 오히려 이를 통해 재미를 주거나 흥미를 유발하는 효과를 거둘 수도 있고, 이런 점을 다양하게 현재의 생활 속에서 이용할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91756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48599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0-0014169호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하듯이 식별 표시가 전자기기 인식을 위한 상당한 크기를 가지는 경우라도 문서 원본을 복사 방지 혹은 복사 표시 용지로 이용할 수 있는 인쇄물 식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물의 식별 표시를 이용하여 오히려 인쇄물의 특정 이용자에게 한정하여 의도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통해 특정의 메시지나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인쇄물 식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쇄물 식별방법은,
인쇄물 전체 혹은 일정 대상 영역을 일정 크기의 기본 영역으로 나누고, 기본 영역 각각에는 스마트폰 등 정보 단말기의 촬상장치가 구분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식별 표시를 하여, 인쇄물을 촬상장치로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화상처리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여, 기본 영역 각각을 식별 표시별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구분가능한 형태로 표시장치(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식별 표시는 일종의 망점과 같이 생각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육안으로 볼 때는 식별 표시 자체가 감각적으로 감지될 수는 있지만, 식별 표시를 통한 각 기본 영역 구분 식별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형태로 표시된다. 따라서 시력 측정표의 1.0 정도의 통상의 시력을 가진 자가 30cm 정도의 통상의 이격거리에서 인쇄물의 구분이 필요한 해당 영역을 주의깊게 자세히, 필요한 경우 확대하여 보지 않으면 차이를 인식하기 어려운 크기, 가령 반경이나 폭 크기 0.1mm, 및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일정 대상 영역에서 대상 영역 전체와 비교할 때 매우 작은 면적을 가지는 기본 영역마다 반복적으로 표시되며 기본 영역보다 더 작은 식별 표시는 마치 배경을 이루는 요소로서 인식될 것이며, 독자적인 의미를 지니는 인식대상으로 파악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촬상장치, 화상처리 프로그램, 표시장치는 스마트폰과 같은 하나의 정보 단말기에 존재하는 것이 가장 편리하고 바람직하지만, 이론적으로 이들은 서로 정보, 이미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각각 별개의 장치에 내장되고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육안으로 구분 식별이 어렵지만 정보 단말기의 촬상장치가 구분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식별 표시는, 각 기본 영역의 식별 표시를 망점으로 생각할 때 전체 망점의 명도(탁도)와 면적을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개별 망점의 면적 및 갯수를 달리하는 방법(면적합을 이용하는 방법), 개별 망점의 갯수 및 색상을 달리하는 방법(점묘와 같은 색상 혼합을 이용하는 방법), 개별 망점의 갯수와 명도를 달리하는 방법(명도합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보 단말기의 앱(처리용 프로그램)은 촬상 장치에서 촬상된 이미지 상에서 대상 영역을 이루는 기본 영역을 어떻게 인식하고, 식별 표시를 인식하는 것에 대한 처리 방법, 수단을 구비한다. 가령 정보 단말기의 앱은 촬상된 이미지의 대상 영역에서 반복적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형태들을 인식하고, 그 형태들이 미리 정해진 식별 표시의 종류들과 같은 것인지를 인식하고, 그 정해진 식별 표시의 크기를 바탕으로 촬상된 이미지 상의 기본 영역 크기를 정하고, 각 기본 영역을 식별 표시 종류에 따라 구분하는 작업을 하는 프로세스를 가진 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육안으로 식별이 어렵지만 정보 단말기의 촬상장치가 구분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식별 표시로는, 같은 형태지만 위상을 달리 표현하여 구분되도록 하는 방법, 식별 표시 종류, 형태 자체를 달리 하는 방법 등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육안으로 볼 때 식별이 어렵지만 스마트폰 등 정보 단말기의 촬상장치는 구분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식별 표시는, 인쇄에 의해 인쇄물에 나타나는 점이나 선 가운데 촬상장치를 통해 전자기기로 복사 혹은 재현할 때 결과물이 복사나 재현 전에 육안으로 볼 때와 같아 보이도록(100% 그레이드) 복사 혹은 재현이 되는 점이나 선의 최소 직경 혹은 너비(선폭)보다는 더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물론 전자기기로 복사 혹은 스캐닝을 통한 촬상 등 방식으로 이미지 획득 및 재현할 때 복사가 전혀 안되는(0% 그레이드) 점이나 선의 최대 직경 혹은 너비보다는 큰 크기가 된다.
이 최소 직경 혹은 너비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경우, 복사나 재현시 전혀 인식되지 않는 것은 아니고, 그레이드(grade) 표현이 될 수 있지만, 인식률이 낮아져 화상처리 프로그램에 의한 처리의 안정성, 재현성이 떨어질 수 있다.
단, 이때 식별 표시로 망점을 구성함에 있어서 이런 점이나 선의 최소 직경 혹은 너비보다 너무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은 육안으로 망점의 형태와 크기를 가늠할 수 있고, 따라서 더이상 망점처럼 인식될 수 없으므로 육안으로 일반적인 거리에서 인쇄물을 볼 때 망점으로 보이는 최대 크기보다는 작게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물의 일정 크기의 기본 영역 각각에 육안으로 볼 때 구분 식별이 어렵지만 스마트폰 등 정보 단말기의 촬상장치는 구분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식별 표시를 하고 이 식별 표시를 미리 정해진 화상처리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여, 이 인쇄물과 다른 매체로 복사 혹은 재현할 때 기본 영역 각각을 식별 표시별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구분가능한 형태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식별 표시가 전자기기 인식을 위한 상당한 크기를 가지는 경우라도 인쇄물인 문서 원본을 복사 방지 혹은 복사 표시 용지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인쇄물의 식별 표시를 망점처럼 이용하여, 일반인은 알 수 없는 메시지나 정보를 특정 촬상장치, 화상처리 프로그램, 재현을 위한 매체를 가진 정보 단말기, 전자기기를 가진 특정 이용자에게 한정하여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인쇄물의 진위 판정, 위조 방지 등에 이용될 수 있고, 일정 수단을 갖춘 범주의 이용자에게 한정하여 인쇄물 작성자의 원하는 화상 형태로 정보, 메시지 등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인쇄용지 전체 혹은 구분을 요하는 대상 영역을 다수의 4각 격자형 기본 영역으로 구분한 상태에서의 하나의 기본 영역을 명시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2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기본 영역에 서로 다른 식별 표시를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식별 표시로서 점의 갯수와 면적을 다르게 하되 기본 영역 내의 점들의 면적을 모두 더한 값이 같도록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비교 도면,
도3은 인쇄물 전체 면적을 복수의 기본 영역으로 나누고 각 기본 영역에 도2와 같은 제1형과 제2형의 망점 형태의 인식표시 가운데 어느 하나를 배당한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도3에서 각 기본 영역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하나의 큰 망점을 가진 제1형 기본 영역을 A로, 두 작은 망점을 가진 제2형 기본 영역을 B로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
도5는 도4에서 제1형 기본 영역 전체를 흑색으로 제2형 기본 영역 전체를 백색으로 구분하여 인쇄물 전체 면적을 나타낸 도면,
도6은 도2와 달리 서로 구분되어야 할 두 개의 기본 영역에 서로 다른 식별 표시로서 점의 갯수와 농도를 다르게 하되 기본 영역 내의 점들을 겹쳐 농도를 모두 더한 농도값이 같도록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비교 도면,
도7은 서로 구분되어야 할 두 개의 기본 영역에 서로 다른 식별 표시로서 점의 갯수와 색상을 다르게 하되 기본 영역 내의 점들을 겹쳐 색상 혼합, 색상 가산을 한 결과가 같은 색상이 되도록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비교 도면,
도8은 서로 구분되어야 할 두 개의 기본 영역에 서로 다른 식별 표시로서 점의 형태를 달리하되 기본 영역 내의 점의 면적이 같도록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비교 도면,
도9는 서로 구분되어야 할 두 개의 기본 영역에 서로 다른 식별 표시로서 동일한 형태를 위상(회전 변위)만 달리하여 식별 표시의 차지하는 면적이 같도록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비교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먼저 인쇄물이 준비된다. 이 인쇄물에는 일정한 크기의 기본 영역마다, 육안으로 볼 때 구분 식별이 어렵지만 스마트폰 등 정보 단말기의 촬상장치는 구분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식별 표시를 가진다.
이런 인쇄물의 준비는 처음에 인쇄용지를 만들 때 먼저 배경 인쇄로 식별 표시를 하고, 이후에 이 식별 표시가 된 인쇄용지에 별도의 인쇄를 통해 대상 인쇄를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원하는 대상 인쇄를 할 때 인쇄 내용에 더하여 식별 표시를 함께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기본 영역은 식별 표시를 하기 위한 임의적이고 가상적인 영역일 수 있으며, 따라서 어떤 색이나 선을 통해 인쇄용지에 명시적으로 표시되어 구분될 필요는 없다.
도1은 인쇄용지 전체를 4각 격자형 기본 영역으로 구분한 형태를 명시적으로 표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본 영역은 가로 세로 각각 1mm 정도의 영역으로 할 수 있다. 기본 영역이 너무 크면 식별 표시에 의해 결과적으로 다른 매체를 통해 나타낼 정보의 양이 제한되고, 전달하고자 하는 화면 표현이 지나치게 제약될 수 있고, 기본 영역이 너무 작으면 식별 표시가 너무 많이 인쇄되어 식별 표시 외의 인쇄 대상을 인쇄로 표현하는 데 상호 간섭으로 방해가 될 수 있다.
도2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기본 영역에 서로 다른 식별 표시를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하나의 제1형 기본 영역에는 제1형 식별 표시로서 하나의 망점이 표시되어 있고, 이와 다른 제2형 기본 영역에는 제2형 식별 표시로서 두 개의 망점이 표시되어 있다. 망점은 원형의 먹색 혹은 흑색으로 표현되고, 제1형 망점은 반경이 0.1mm이다. 제2형 망점은 반경이 0.005의 제곱근mm 이다.
따라서 각 기본 영역에서 망점의 갯수는 다르지만 망점이 차지하는 총 면적은 반올림하여 0.0312mm2가 된다.
이런 인쇄물을 사용자가 일정 거리 떨어져 보면 망점은 개별적으로 인식되지 않고 배경요소처럼 인식되고, 모든 기본 영역에 있는 제1형 및 제2형 망점의 색상, 명도가 같다는 것을 전제로 볼 때, 두 유형의 기본 영역에서의 망점의 총 면적이 같게 되어, 인쇄물 전체 면적을 볼 때에 제1형 기본 영역과 제2형 기본 영역은 육안으로 구분되지 않게 된다.
도3은 인쇄물 전체 면적을 복수의 기본 영역으로 나누고 각 기본 영역에 제1형과 제2형의 망점 형태의 인식표시 가운데 어느 하나를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4는 각 기본 영역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하나의 큰 망점을 가진 제1형 기본 영역을 A로, 두 작은 망점을 가진 제2형 기본 영역을 B로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5는 제1형 기본 영역 전체를 흑색(검은색)으로 제2형 기본 영역 전체를 백색으로 구분하여 인쇄물 전체 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에서 제1형과 제2형의 망점 형태의 인식표시는 점의 개수를 이용하여 각 기본 영역을 구분하고 있다. 인쇄물 작성자는 그 구분을 이용하여 인쇄물 전체 면적에서 특정한 형태를 구성하여 도면을 작성하게 된다.
이렇게 작성된 인쇄물 전체 면적을 가령 스마트폰의 내장 카메라를 통해 스캔하고 스캔으로 획득한 이미지를 스마트폰에 내장된 앱 혹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변환하면 도4와 같은 알파벳으로 구분된 이미지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때 앱은 기본 영역인 픽셀 별로 점의 크기와는 상관없이 점의 개수를 읽어내는 동작을 수행하여 같은 종류의 기본 영역에 하나의 알파벳 문자를 부여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도3의 이미지에서 점이 하나인 픽셀은 카메라로 읽어들인 값을 A이라고 하고 마찬가지로 점이 2개인 픽셀은 카메라로 읽어들인 값을 B라는 정한다. 이렇게 불러들인 총 49(7*7)개의 픽셀의 값을 표현하면 도4와 같이 각 픽셀(기본 영역)을 알파벳 문자로 구분한 이미지 패턴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앱은 이 알파벳 문자를 여기서는 코드라고 명하며 코드 별로 색상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은 먹색, B는 백색이라고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지정된 색을 구현하여 나타내면 도4의 이미지를 도5의 이미지로 변환하여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구현할 수 있다.
좀 더 설명하면, 도2의 제1형의 픽셀(1)의 점 1개와 제2형의 픽셀(2)의 점 2개의 총 면적이 동일하므로 어느 정해진 거리 이상의 이격된 위치에는 육안으로 봤을 때 두 픽셀의 명암 차이를 느낄 수 없게 되고 그런 상태는 육안으로는 동일한 색상으로 인식된다.
이렇게 지정된 점들만 있던 도3과 같은 이미지의 전체 면적을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캔하고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도4와 같은 코드 표시 이미지 혹은 코드 구분 배열을 얻게 되면, 이를 특정 매체(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때 가상 화면을 도5와 같이 구현하여 육안으로 인식 가능하게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의 도1에서와 같이 정의된 각각의 기본 영역(픽셀)의 크기는 인쇄물의 품질과 인쇄물의 특징에 따라서 변형이 가능하다. 다만 기본 픽셀의 크기를 변경하더라도 픽셀 안에 점의 크기는 동일하게 구현되도록 한다. 가령, 이 실시예를 고려하면, 픽셀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픽셀 안에 점의 갯수는 하나 또는 두 개만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망점의 시인성을 고려하고, 본 발명 구현을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위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본 영역을 구분하여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즉,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점의 개수를 이용한 코드 구분을 하여, 큰 점 1개와 작은 점 2개로 코드를 구분, 정의하지만, 물론, 명도차나 기타 구분의 단계를 더 많은 수로 하여 형태를 복잡하게 구성하려면 기본 영역에 부여하는 점의 갯수를 3, 4개나 그 이상으로 많게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스캔을 통해서 카메라가 인식가능한 점이라면 점의 개수는 더 늘릴 수 있다. 서로 구분되는 기본 영역(픽셀)에서 사용하는 점이 일정한 크기 범위에서 갯수와 상관없이 총 면적만 같다면 사용가능한 조합은 아주 많이 만들 수 있다.
다양한 응용과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서, 점의 농도를 이용한 코드 구분도 가능하다.
위에서는 검정색 점의 크기를 이용하여 코드를 생성했지만, 크기가 동일하되 명도가 다른 2개의 점으로도 코드 구분을 만들 수 있다. 가령, 도6에서와 같이 픽셀(1)에서는 검정색 점이 하나 위치하고 픽셀 (2)에서는 회색 점이 2개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일정 이상의 이격 거리에서 볼 때 두 픽셀의 총 명암의 합은 동일하다. 카메라가 스캔을 하면 카메라가 인식할 수 있는 일정 농도 이상이라면 농도와 상관없이 점이 하나인 픽셀과 점이 두 개인 픽셀을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위와 같은 코드 구분을 만들고 측정 모양으로 가상의 이미지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총 명암의 합이 동일하고 카메라로 점을 구별할 수 있다면 픽셀 (2)의 점의 수는 2개 이상으로 만들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점의 색상을 이용한 코드 구분도 가능할 것이다.
색상은 색의 혼합으로 잘 알려진 색의 가산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7에서와 같이 파랑색과 빨간색을 섞으면 보라색이 나타난다. 육안으로 일정 이상의 이격된 거리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때 실제로는 서로 다른 색상 점을 가진 두 픽셀 모두 보라색으로 보인다.
카메라는 색상과 상관없이 점이 하나인 픽셀과 점이 두개인 픽셀을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런 구분을 통해 위의 실시예들과 같은 코드 구분을 하고, 코드 이미지를 추출하고, 구분된 기본 영역에 실제 색상 구분을 적용하여 가상의 이미지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물론, 여기서도 색의 가산 방식의 원리를 점 2개 이상 복수 개의 점을 이용한 표현으로 확대가 가능하다.
더욱 다른 실시예로서, 고유 형태, 문양을 이용한 코드 구분도 가능할 것이다.
카메라가 인식 가능한 고유 문양이나 특수 문자를 이용하여 같은 종류의 코드 구분을 가지는 기본 영역(픽셀)에 먹색(검은색)을 그렇지 않은 부분을 백색을 할당 혹은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로 구현하여 주면 위에 다른 구분을 이용한 가상 이미지 표현과 같은 방식으로 이미지 표현이 가능하다. 단, 도8에서 픽셀(1)의 원의 면적과 픽셀(2) 별의 면적은, 두 형태가 같은 색상, 명도 혹은 농도를 가진다는 전제하에, 동일해야 한다. 이를 통해 육안으로는 구분이 어렵고 카메라만이 이를 구분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기하학적 위상 변화에 따른 형태 변화를 이용한 코드 구분도 가능할 것이다.
도9에서 꺽인 직선을 이용하여 긴 직선의 한 쪽에 달린 작은 직선이 시계방향인지 아니면 반시계방향인지에 따라서 (회전 변위 혹은 위상에 따라서) 카메라는 해당 형태를 가진 기본 영역(픽셀)을 알파벳 코드 A와 B로 각각 인식하고, 이 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코드 구분에 따라 해당 기본 영역에 먹색과 백색을 적용하면 위의 다른 실시예에서처럼 앱에 의한 처리가 이루어져 얻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는 도5와 같은 가상의 'S’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또한 위상을 달리하는 L자 형태의 픽셀당 차지하는 면적이 동일하므로 육안으로는 구분이 안되며 카메라만 인식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를 포괄하여 다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육안으로는 인쇄물(인쇄물의 대상 영역)의 두 종류의 픽셀인 픽셀(1)과 픽셀(2)의 구분이 안되지만 스마트폰의 카메라와 같은 촬상장치로 인식된 이미지를 스마트폰의 앱(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서 각 종류의 픽셀을 식별 표시를 통해 구분하고, 구분된 각 종류의 픽셀에 가령 서로 다른 알파벳 문자와 같은 코드를 부여하여 코드 구분을 하고, 이 코드 구분에 따라 앱에서 미리 주어진 방식으로 색상이나 명도 등을 이용하여 가시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루는 픽셀들을 구분하여 표현함으로써 구분 정보를 가상화면으로 구현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형태, 윤곽선을 미리 지정하여 해당부의 기본 영역에 점이나 고유문양을 인쇄하면 육안으로는 구분이 안되지만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미리 지정한 원하는 형태를 화면으로 도5와 같이 구현할 수 있다. 도5는 여기서 S 문자를 검은색으로 표현했지만 스마트폰의 화면에는 처리 프로그램 즉 앱의 옵션을 통해 다양한 색상을 입혀서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픽셀을 크기를 1 mm 에서 10 mm 이상으로 키워서 그 안의 점이나 고유문양을 넓게 펼쳐서 드문드문하게 위치시키면 기존 인쇄 위에 추가적으로 인쇄하여 기존 인쇄물의 색상과 모양을 방해하지 않고 점이나 고유 문양을 입힐 수 있다. 얘를 들면 화장품 케이스의 한 면에 추가적으로 고유 문양을 인쇄하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그 면에서만 특정 문자나 모양을 관찰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이 제품의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어린이 용품에 이 기술을 이용해 재미난 그림을 삽입하거나 책에도 삽입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한정적 실시예와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인쇄물의 구분 대상 영역을 일정 크기의 기본 영역들로 나누고, 상기 기본 영역 각각에는 정보 단말기의 촬상장치를 통해 구분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식별 표시를 하는 단계,
    상기 구분 대상 영역을 촬상장치로 촬상하는 단계,
    촬상으로 얻은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화상처리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여, 기본 영역 각각을 식별 표시별로 구분하고, 사용자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구분가능한 형태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구현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서로 다른 식별 표시는 각 기본 영역의 식별 표시를 망점으로 생각할 때, 개별 망점의 크기를 같게 한 상태에서 개별 망점의 갯수를 달리하되 하나의 기본 영역 내의 모든 개별 망점을 겹친 상태의 명도(탁도)가 같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내의 식별 표시를 이용한 인쇄물 식별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108277A 2022-08-29 2022-08-29 인쇄물 내의 식별 표시를 이용한 인쇄물 식별 방법 KR102502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277A KR102502692B1 (ko) 2022-08-29 2022-08-29 인쇄물 내의 식별 표시를 이용한 인쇄물 식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277A KR102502692B1 (ko) 2022-08-29 2022-08-29 인쇄물 내의 식별 표시를 이용한 인쇄물 식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692B1 true KR102502692B1 (ko) 2023-02-23

Family

ID=8532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277A KR102502692B1 (ko) 2022-08-29 2022-08-29 인쇄물 내의 식별 표시를 이용한 인쇄물 식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69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496B1 (ko) * 2004-10-15 2010-03-03 켄지 요시다 망점을 이용한 도트패턴의 인쇄 방법 및 인쇄물
KR101164003B1 (ko) * 2012-03-28 2012-07-18 한국조폐공사 위조 방지 및 복사 방해용 인쇄물의 제조방법
KR101348599B1 (ko) 2005-07-20 2014-01-07 제이디에스 유니페이즈 코포레이션 보안인쇄를 위한 2단계 물질 코팅방법
KR101391756B1 (ko) 2013-07-19 201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보안인쇄방법
KR20200014169A (ko) 2018-07-31 2020-02-10 캐논 톡키 가부시키가이샤 성막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KR102350081B1 (ko) * 2020-02-06 2022-01-12 주식회사 광인사 색조합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496B1 (ko) * 2004-10-15 2010-03-03 켄지 요시다 망점을 이용한 도트패턴의 인쇄 방법 및 인쇄물
KR101348599B1 (ko) 2005-07-20 2014-01-07 제이디에스 유니페이즈 코포레이션 보안인쇄를 위한 2단계 물질 코팅방법
KR101164003B1 (ko) * 2012-03-28 2012-07-18 한국조폐공사 위조 방지 및 복사 방해용 인쇄물의 제조방법
KR101391756B1 (ko) 2013-07-19 201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보안인쇄방법
KR20200014169A (ko) 2018-07-31 2020-02-10 캐논 톡키 가부시키가이샤 성막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KR102350081B1 (ko) * 2020-02-06 2022-01-12 주식회사 광인사 색조합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90812B2 (ja) 高速文書確認システム及び確認用文書並びに文書確認方法
RU2681696C2 (ru) Двухмерный штрихкод и способ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штрихкода
JP4103826B2 (ja) 真偽判定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CA2501513C (en) Document containing security images
JP5178925B2 (ja) ボイドパンタグラフ及びボイドパンタグラフを生成する方法
US20070133059A1 (en) Security docu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halftone dots that contain microscopic images
US20100040282A1 (en) Decoding of uv marks using a digital image acquisition device
JP2001024888A (ja) デジタル画像処理方法
WO2006106677A1 (ja) 印刷物、該印刷物の検知方法及び検知装置、並びに認証方法及び認証装置
US20080180751A1 (en) Variable guilloche and method
US9681020B2 (en) Creation and identification of unforgeable printable image information data
KR101535534B1 (ko) 프린터 스테가노그래피 기법을 이용한 위조방지수단이 구비된 문서의 생성 방법 및 그 문서에 대한 위변조 확인 방법
JP2011050055A (ja) 条件等色描画による印刷された基板の磁気透かし
TW201531953A (zh) 包含表面上二個圖案之標記
MX2011006664A (es) Metodo y aparato para la impresion de documentos seguros.
US20140369569A1 (en) Printed Authentication Pattern for Low Resolution Reproductions
CN107578079B (zh) 一种在信息码区域进行高保真藏图的防伪方法
KR102502692B1 (ko) 인쇄물 내의 식별 표시를 이용한 인쇄물 식별 방법
US20070086070A1 (en) Full Color Scanning Protection of a Document
US10582078B1 (en) Distinguishing original from copy using ultraviolet light to reveal hidden security printing features
CN101256371B (zh) 图像形成装置和图形的印刷方法
KR102240840B1 (ko) 위조방지용지 또는 보안 인쇄 구조를 이용한 진위 여부 확인 시스템
CN107590839B (zh) 一种基于高保真藏图的溯源防伪方法
US10999466B1 (en) Identifying original and copy using ultraviolet light to reveal hidden security printing features
EP1102217B1 (en) Verif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