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043B1 - Building structure using bracket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Building structure using bracket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043B1
KR102502043B1 KR1020200016331A KR20200016331A KR102502043B1 KR 102502043 B1 KR102502043 B1 KR 102502043B1 KR 1020200016331 A KR1020200016331 A KR 1020200016331A KR 20200016331 A KR20200016331 A KR 20200016331A KR 102502043 B1 KR102502043 B1 KR 102502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rizontal
vertical
gea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01856A (en
Inventor
곽인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스틸
곽인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스틸, 곽인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스틸
Priority to KR1020200016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043B1/en
Publication of KR2021010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8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0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켓 모듈을 이용한 건축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브라켓 모듈을 이용한 건축용 구조체는 건축물에 양단이 고정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윈드빔에 맞닿아 위치하는 제1 브라켓; 수평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와 상기 수평 연장부로부터 상기 수평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 연장부가 제1 브라켓 위에 연결되는 제2 브라켓; 및 일단이 상기 제2 브라켓의 수직 연장부 상에 연결되고, 타단에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이 고정된 대블록 유닛의 하지 철물이 고정되는 제3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수평 방향, 상기 두께 방향 및 상기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structure using a bracket module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 building structure using a bracket modul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racket having both ends fixed to a building and positioned in contact with a wind beam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 second horizontal extension part having a width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a vertical extension part having a width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being connected above the first bracket. Brackets; and a third bracke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extension of the second bracke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he supporting hardware of the large block unit to which a plurality of exterior building panels are fixed. directio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position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ossible.

Description

브라켓 모듈을 이용한 건축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Building structure using bracket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Building structure using bracket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Building structure using bracket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its}

본 발명은 브라켓 모듈을 이용한 건축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structure using a bracket module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을 장식하기 위해 장식패널을 커튼월 형태로 마감시공하는 경우가 많다.In general, in order to decorate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decorative panels are often finished in the form of a curtain wall.

최근에는 장식패널로 화강암이나 대리석 등을 사각 평판의 형상으로 가공하여 사용되고 있다.Recently, granite or marble, etc., has been processed and used as a decorative panel in the shape of a square flat plate.

이러한 장식패널을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이 있으며, 그중 습식공법은 건물외벽과 패널의 후면에 각각 시멘트 몰탈을 발라 패널의 건물외벽에 직접 시공하는 방법으로 시공이 간편하나 시멘트 몰탈의 양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점과 패널이 건물외벽에서 떨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건식공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There are wet method and dry method for constructing these decorative panels. Among them, the wet method is a method of applying cement mortar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back of the panel, respectively, and directly constructing the panel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Due to the fact that it takes a lot of time for curing and the safety accident occurs when the panel falls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dry method has recently been used a lot.

건식공법은 건물외벽에 패널을 시공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패널을 직접 볼트체결로 고정하여 설치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Most of the dry method is to install a support frame for constructing a panel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fix the support frame and the panel directly with bolts.

하지만, 건물외벽에 장식패널과 지지프레임을 볼트체결에 의해 고정하는 경우 볼트가 외부로 돌출되어 외관상 미감을 해칠 수 있으며, 장식패널과 지지프레임을 일일이 볼트체결로 고정하여야 함에 따라 작업의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decorative panel and the support frame are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by bolting, the bolt protrudes to the outside, which can damage the aesthetic appearance, and the decorative panel and the support frame must be fixed by bolting one by one, making it difficult to work. .

하지만, 석재 또는 금속재의 판 구조물은 자체 하중이 무거운 관계로 취급이 까다롭고, 벽면이 완성된 건물의 바깥쪽에서 시공해야 하므로 고층 빌딩의 경우에는 장시간의 고공작업을 수반한다.However, plate structures made of stone or metal are difficult to handle due to their heavy self-load, and must be constructed outside the building where the walls are completed, so in the case of a high-rise building, it entails long-term high-altitude work.

더욱이, 건물의 벽면에 판 구조물을 고정하는 고정구는 벽면의 앵커볼트에 선(先) 고정된 후, 볼트와 너트 등으로 판 구조물이 후(後) 고정되는 단순한 구조를 나타내는 바, 벽면과 판 구조물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서 볼트 및 너트의 체결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까다롭고, 한번 시공된 후에는 외벽 전체를 들어내지 않는 한 부분적인 수선 및 교체가 불가능하다.Moreover, the fixture for fixing the plate structure to the wall of the building represents a simple structure in which the plate structure is then fixed with bolts and nuts after being pre-fixed to the anchor bolts on the wall, such as the wall and the plate structure. Since bolts and nuts are fastened in the narrow space between them, the work is difficult, and once constructed, partial repair or replacement is impossible unless the entire outer wall is removed.

특히, 최근에는 시공을 단순화하기 위해, 건물 외장용 패널을 건물 외벽에 하나씩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외장용 패널을 미리 프레임 유닛에 장착시켜 형성된 대블록 유닛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에 형성시키는 방법이 연구중이다.In particular, recently, in order to simplify construction, a method of forming a plurality of exterior panels on the exterior wall of a building using a large block unit formed by attaching a plurality of exterior panels to a frame unit in advance has been researched instead of forming one by one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to simplify construction. in progress

그러나, 이와 같은 대블록 유닛은 대략적으로, 크기가 매우 크고 무거워, 건물에 설치할 때, 대블록 유닛을 형성하는 하지 철물 자체의 시공 오차 및 대블록 유닛을 고정하기 위해 건물에 설치된 윈드빔의 시공 오차 등으로 인하여, 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However, such a large block unit is approximately large and heavy, so when installed in a building, construction errors of the supporting hardware itself forming the large block unit and construction errors of the wind beam installed in the building to fix the large block unit Due to this,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본 발명은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브라켓 모듈을 이용한 건축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a bracket module that can make construction easier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브라켓 모듈을 이용한 건축용 구조체는 건축물에 양단이 고정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윈드빔에 맞닿아 위치하는 제1 브라켓; 수평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와 상기 수평 연장부로부터 상기 수평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 연장부가 제1 브라켓 위에 연결되는 제2 브라켓; 및 일단이 상기 제2 브라켓의 수직 연장부 상에 연결되고, 타단에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이 고정된 대블록 유닛의 하지 철물이 고정되는 제3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수평 방향, 상기 두께 방향 및 상기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A building structure using a bracket modul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racket having both ends fixed to a building and positioned in contact with a wind beam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 second horizontal extension part having a width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a vertical extension part having a width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being connected above the first bracket. Brackets; and a third bracke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extension of the second bracke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he supporting hardware of the large block unit to which a plurality of exterior building panels are fixed. directio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position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ossible.

상기 제3 브라켓의 타단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함몰된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3 브라켓의 일단과 상기 수용홈 사이에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상기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는 이격홀을 구비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third bracket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rec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spaced hole having a wid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provided between one end of the third bracket and the receiving groove. there is.

구체적인 제1 실시예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브라켓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수평 연장부에 상기 두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수평면 관통홀 및 상기 수직 연장부에 상기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수직면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브라켓 관통홀과 상기 제2 수평면 관통홀을 관통하는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2 브라켓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2 수직면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3 브라켓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3 브라켓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In a first specific embodiment, the first bracket includes a first bracket through-hole extending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bracket has a second horizontal surface through-hole extending lo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and a second vertical surface through-hol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vertical extension part, and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first bracket through-hole and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through-hole. The second and third brackets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vertical surface and fixed to the third bracket.

여기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 관통홀을 따라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수평면 관통홀을 따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제2 수직면 관통홀을 따라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bracket is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first bracket through hole and movab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long the second horizontal plane through hole, and the third bracket is movable in the second vertical plane through hole. It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상기 제1 브라켓 관통홀과 상기 제2 수평면 관통홀은 서로 오버랩되어 교차할 수 있다.The first bracket through-hole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ne through-hole may overlap and cross each other.

제2 실시예로, 상기 제1 브라켓은 제1 하부 브라겟 부분과 상기 제1 하부 브라켓 부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상부 브라켓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상부 브라켓 부분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기어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수평 연장부에 상기 두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기어 관통홀 및 상기 수직 연장부에 상기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수직면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어 관통홀의 내측면에는 제1 기어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하부 브라켓 부분에 고정된 제1 기어가 상기 제1 기어홈에 맞물려 상기 제1 기어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2 기어 관통홀의 내측면에는 제2 기어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상부 브라켓 부분에 고정된 제2 기어가 상기 제2 기어홈에 맞물려 상기 제2 기어 관통홀을 관통할 수 있다.In a second embodiment, the first bracket includes a first lower bracket portion and a first upper bracket portion positioned above the first lower bracket portion, wherein the first upper bracket portion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bracket has a second gear through-hole extending lo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n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and a second vertical plane through-hole extending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vertical extension part. A first gear groove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gear through hole, and a first gear fixed to the first lower bracket part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groove to pass through the first gear through hole. , A second gear groove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gear through hole, and a second gear fixed to the first upper bracket part is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groove to pass through the second gear through hole.

상기 제1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상부 브라켓 부분과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As the first gear rotates, the first upper bracket portion and the second bracket may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s the second gear rotates, the second bracket may mo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제3 실시예로, 상기 제2 브라켓에 구비된 상기 수평 연장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기어홈과 상기 두께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 기어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브라켓에 구비된 상기 수직 연장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3 기어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부에는 제1 기어홈에 맞물리는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홈에 맞물리는 제2 기어가 상기 제1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3 기어홈에 맞물리는 제3 기어가 상기 제3 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다.In a third embodiment, a first gear groov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second gear groove arrang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r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 third gear groov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extension part, and a first gear engaged with the first gear groove and a first gear groove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groove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bracket. Two gears may be fixed to the first bracket, and a third gear meshing with the third gear groove may be fixed to the third bracket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상기 제1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3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As the first gear rotates, the second bracket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the second gear rotates, the second bracket mov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s the third gear rotates, the second bracket mov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3 The bracket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윈드빔은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함몰홈을 구비하고, 상기 윈드빔의 함몰홈에 상기 제1 브라켓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wind beam may have a recessed groove that opens upward, and a portion of the first bracket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recessed groove of the wind beam.

상기 대블록 유닛에 구비된 복수의 하지 철물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하지 철물과 상기 제1 하지 철물의 측면에 볼트 결합되어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하지 철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지 철물은 상기 제3 브라켓의 수용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pporting hardware provided in the large block unit includes a first supporting hardwar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supporting hardware that is bolted to a sid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hardware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 The lower leg hardware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third bracket and coupl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은 받침대로 이용되는 정반 위에 복수의 하지 철물을 배치하여, 상기 정반 위에서 상기 복수의 하지 철물을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조립하여 결합하는 하지 철물 배치 단계; 상기 복수의 하지 철물 상에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을 결합하는 대블록 유닛 형성 단계; 상기 대블록 유닛을 건축물에 설치된 윈드빔에 미리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 모듈에 고정하는 거치 단계; 및 상기 브라켓 모듈에 상기 대블록 유닛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대블록 유닛을 수평 방향, 수직 방향 및 두께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움직여 미세 조정하는 미세 조정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nderlying hardware is placed on a surface plate used as a pedestal, and the plurality of underlying hardware is assembled and combined using a connecting member on the surface plate. step; A large block unit forming step of combining a plurality of building exterior panels on the plurality of supporting hardware; A mounting step of fixing the large block unit to a bracket module pre-fixed to a wind beam installed in a building; and a fine adjustment step of finely adjusting the large block unit by moving the large block unit in at least one of a horizontal direction, a vertical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using the bracket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large block unit is fixed to the bracket module. include

여기서, 상기 브라켓 모듈은 상기 거치 단계 이전에, 상기 윈드빔에 결합 및 고정되는 제1 브라켓; 수평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와 상기 수평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 연장부가 제1 브라켓 위에 연결되되, 상기 수평 방향 및 상기 두께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한 제2 브라켓; 및 일단이 상기 제2 브라켓의 수직 연장부 상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 방향으로 움직인 가능한 제3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브라켓의 타단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함몰된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3 브라켓의 일단과 상기 수용홈 사이에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상기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는 이격홀을 구비하고, 상기 거치 단계에서 상기 제3 브라켓의 수용홈에 상기 대블록 유닛의 하지 철물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bracket module may include a first bracket coupled to and fixed to the wind beam before the mounting step; A horizontal extension having a width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a vertical extension having 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horizontal extension, the horizontal extension being connected on a first bracket, a second bracket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third bracke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extension of the second bracket and capable of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third bracket has a receiving groove rec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spaced hole having a wid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between one end of the third bracket and the receiving groove, and in the mounting step, the supporting hardware of the large block unit is plac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third bracket. It can be inserted and fixed.

상기 미세 조정 단계는 상기 제1 브라켓이 윈드빔에 고정되고, 상기 제3 브라켓에 상기 대블록 유닛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브라켓이 상기 수평 방향 또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움직여 미세 조정되거나, 상기 제3 브라켓이 상기 수직 방향으로 움직여 미세 조정될 수 있다.In the fine adjustment step,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racket is fixed to the wind beam and the large block unit is fixed to the third bracket, the second bracket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thickness direction for fine adjustment, or The third bracket may be finely adjusted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미세 조정 단계 이후, 상기 브라켓 모듈에 구비된 제1, 2, 3 브라켓 모듈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고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fine adjustment step, a fixing step of fix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bracket modules provided in the bracket module so as not to move;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브라켓 모듈을 이용한 건축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은 수평 방향, 수직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각 부분이 움직여 미세조정 될 수 있는 브라켓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이 결합된 대블록 유닛을 건물의 외벽으로 시공할 때,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A building structure using a bracket module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cket module in which each part can be finely adjusted by moving each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 vertical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exterior building panels are combined. When constructing a large block unit as an outer wall of a building, construction can be made easier.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이 결합된 대블록 유닛을 이용하여, 건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하지 철물 배치 단계에 이용되는 정반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정반 위에 복수의 하지 철물이 배치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하지 철물의 시공 오차를 개선하기 위해, 하지 철물을 절단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하지 철물의 시공 오차를 개선하기 위해, 하지 철물에 연결 부재가 결합될 홀을 타공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정반 위에서 복수의 하지 철물을 조립 및 결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8은 서로 결합된 복수의 하지 철물 위에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을 결합시키는 대블록 유닛 형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거치 단계, 미세 조정 단계 및 고정 단계에 이용되는 브라켓 모듈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모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모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6 및 도 17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모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8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모듈(60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모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대한 변경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cept of forming an outer wall of a building using a large block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building exterior panels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struction method using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urface plate used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underlying hardware in FIG. 2,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underlying hardware is disposed on the surface plate shown in FIG. 2, and FIG. In order to improve the construction error of the underlying hardware, it shows an example of cutting the underlying hardware, and FIG. is for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ssembling and combining a plurality of underlying hardware on a surface plate, and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large block unit formation step of combining a plurality of building exterior panels on a plurality of supporting hardware coupled to each other. It is also
9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bracket module used in a mounting step, a fine adjustment step, and a fixing step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4 are views for explaining a bracket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racket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and 17 are views for explaining a bracket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racket module 600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to 22 are views for explaining a bracket modu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d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a technology or configuration already known in the related field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m will be omitt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properly expres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people or customs related to the field.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intended only to refer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ls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or components,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or groups.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아울러, 이하에서 어떤 구성 요소의 두께나 폭 또는 길이가 동일하다는 의미는 공정 상의 오차를 고려하여, 어떤 제1 구성 요소의 두께나 폭 또는 길이가 다른 제2 구성 요소의 두께나 폭 또는 길이와 비교하여, 10%의 오차 범위에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In addition, hereinafter, the meaning that the thickness, width, or length of a certain component is the same means that the thickness, width, or length of a first component is compared with the thickness, width, or length of a different second component in consideration of process errors. So, it means the case in the error range of 10%.

또한, 이하에서, 수평 방향, 수직 방향 및 두께 방향은 지면을 기준으로, 지면과 나란한 방향은 수평 방향 및 두께 방향, 지면과 교차하는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정의하고, 수평 방향은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이 윈드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두께 방향은 지면과 나란한 수평면 상에서 외장 패널의 전면 쪽 또는 배면 쪽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are defined as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direction crossing the ground is defined as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 plurality of building exterior panels The direc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d beam means a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means a direction extending toward the front side or rear side of the exterior panel on a horizontal plane parallel to the ground.

이하, 첨부된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60)이 결합된 대블록 유닛(100)을 이용하여, 건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forming an outer wall of a building using a large block unit 100 to which a plurality of building exterior panels 60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브라켓 모듈(200)을 이용한 건축용 구조체는 대블록 유닛(100)을 이용하여 건물의 외벽을 형성하거나 건물의 외장을 형성할 때 이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bracket module 20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hen forming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or the exterior of a building using the large block unit 100. .

이를 위해, 건물에는 대블록 유닛(100)이 거치되어 고정될 윈드빔(11)이 사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윈드빔(11)은 건물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윈드빔(11)은 건물을 형성하는 기둥(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윈드빔(11)은 강철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H빔 또는 I빔 형태를 가질 수 있다.To this end, a wind beam 11 to which the large block unit 100 is mounted and fixed may be previously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the wind beam 11 may be fixed to the building. Here, as an example, the wind beam 11 may be fixed to a pillar 10 forming a building. Such a wind beam 11 may be formed of a steel material and may have an H-beam or I-beam shape.

대블록 유닛(100)은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60)이 복수의 하지 철물(50)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크기가 수직 방향(y)으로의 길이가 6m~8m, 수평 방향(x)으로의 길이가 9m~11m 사이의 크기를 가지며, 무게는 2ton ~ 5ton 사이를 가질 수 있다.The large block unit 100 may be formed by fixing a plurality of building exterior panels 60 to a plurality of supporting hardware 50, and has a size of 6m to 8m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nd a horizontal direction (x ) with a length of 9m to 11m, and a weight of 2 ton to 5 ton.

이와 같은 대블록 유닛(100)은 매우 크고 무거워 건물에 설치할 때, 대블록 유닛(100)을 형성하는 하지 철물(50) 자체의 시공 오차 및 대블록 유닛(100)을 고정하기 위해 건물에 설치된 윈드빔(11)의 시공 오차 등으로 인하여, 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본 발명은 대블록 유닛(100)을 고정하고, 미세 조정 가능한 브라켓 모듈(200)을 이용하여, 대블록 유닛(100)을 건물에 시공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시공 오차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시공을 훨씬 용이하게 할 수 있다.Such a large block unit 100 is very large and heavy, so when installed in a building, the construction error of the supporting hardware 50 itself forming the large block unit 100 and the wind installed in the building to fix the large block unit 100 Although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due to the construction error of the beam 11,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large block unit 100 and uses the finely adjustable bracket module 200 to build the large block unit 100. By constructing 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construction error as described above and to make construction much easier.

예를 들어, 종래의 경우, 대블록 유닛(100)을 건물에 시공할 때, 대블록 유닛(100)을 고정하기 위해, 윈드빔(11)과 대블록 유닛(100)을 연결하는 화스너라는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윈드빔(11)에 연결된 화스너와 대블록 유닛(100)에 연결된 화스너를 서로 볼트 결합하여, 대블록 유닛(100)을 고정하였다.For example, in the conventional case, when constructing the large block unit 100 in a building, a connection called a fastener connecting the wind beam 11 and the large block unit 100 to fix the large block unit 100. The fastener connected to the wind beam 11 and the fastener connected to the large block unit 100 were bolted together using a member to fix the large block unit 100.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시공 오차로 인하여, 대블록 유닛(100)을 윈드빔(11)에 고정할 때, 크레인(12)으로 대블록 유닛(100)을 거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볼트를 수없이 풀었다 다시 고정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시공 시간이 매우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시공 오차가 예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실질적으로 대블록 유닛의 위치를 조정하는데 한계가 있었다.However, due to construction errors as described above, when fixing the large block unit 100 to the wind beam 11, in a state where the large block unit 100 is supported by the crane 12, numerous bolts are us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loosening and fixing agai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time was very long, and when the construction error was out of the expected range, there was a limit to substantiall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arge block unit.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윈드빔(11)에 브라켓 모듈(200)이 고정된 상태에서, 대블록 유닛(100)을 브라켓 모듈(200)에 고정한 이후, 브라켓 모듈(200)의 각 부분을 수평 방향(x), 수직 방향(y) 및 두께 방향(z)으로 움직여, 미세 조정함으로써, 시공 오차가 통상적인 수준의 예상 오차의 범위를 넘어서더라도, 브라켓 모듈(200)을 이용하여, 대블록 유닛(100)의 위치에 대한 시공 오차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어, 시공을 용이하고 단순화시킬 수 있고, 시공 시간을 보다 절약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ixing the large block unit 100 to the bracket module 200 in a state where the bracket module 200 is fixed to the wind beam 11, each part of the bracket module 200 is horizontally By moving and fine-tuning in the direction (x), vertical direction (y) and thickness direction (z), even if the construction error exceeds the range of expected error of normal level, using the bracket module 200, the large block unit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cover the construction error for the position of (100), so that construction can be easily and simplified, and construction time can be saved more.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struction method using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서 하지 철물 배치 단계(S1)에 이용되는 정반(30)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정반(30) 위에 복수의 하지 철물(50)이 배치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하지 철물(50)의 시공 오차를 개선하기 위해, 하지 철물(50)을 절단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하지 철물(50)의 시공 오차를 개선하기 위해, 하지 철물(50)에 연결 부재가 결합될 홀을 타공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urface plate 30 used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underlying hardware (S1) in FIG. 2, and FIG. 4 is a plurality of underlying hardware 50 on the surface plate 30 shown in FIG. An example of this arrangement is shown, and FIG. 5 shows an example of cutting the underlying hardware 50 in order to improve the construction error of the underlying hardware 50, and FIG. 6 shows a construction error of the underlying hardware 50. It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rilling a hole where a connecting member is to be coupled to the lower hardware 50 in order to improve.

도 7은 정반(30) 위에서 복수의 하지 철물(50)을 조립 및 결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8은 서로 결합된 복수의 하지 철물(50) 위에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60)을 결합시키는 대블록 유닛 형성 단계(S2)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ssembling and combining a plurality of supporting hardware 50 on a surface plate 30, and FIG. 8 shows a plurality of building exterior panels 60 on a plurality of supporting hardware 50 coupled to each other.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large block unit forming step (S2) of combining.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거치 단계(S3), 미세 조정 단계(S4) 및 고정 단계(S5)에 이용되는 브라켓 모듈(200)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9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racket module 200 used in the mounting step (S3), the fine adjustment step (S4) and the fixing step (S5)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은 하지 철물 배치 단계(S1), 대블록 유닛 형성 단계(S2), 거치 단계(S3), 미세 조정 단계(S4) 및 고정 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hardware arrangement step (S1), a large block unit formation step (S2), a mounting step (S3), and a fine adjustment step (S4). and a fixing step (S5).

하지 철물 배치 단계(S1)에서는 받침대로 이용되는 정반(30) 위에 복수의 하지 철물(50)을 배치할 수 있다.In the lowering hardware arranging step (S1), a plurality of lowering hardware 50 may be placed on the surface plate 30 used as a pedestal.

여기서, 정반(30)은 대블록 유닛(100)을 형성하기 위한 받침대를 의미하며, 일례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반(30)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방향바(bar, 31),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방향바(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바(31)와 제2 방향바(32)는 일례로, 서로 용접되어 결합되거나 볼트 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으며, 제1 방향바(31)와 제2 방향바(32)가 서로 연결되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surface plate 30 means a pedestal for forming the large block unit 100, and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A first direction bar 31 and a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bars 32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may be included. For example, the first direction bar 31 and the second direction bar 32 may be assembled by being welded or bolted together, and the first direction bar 31 and the second direction bar 3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an form a rectangular or square structure.

여기서, 정반(30)의 제1 방향바(31) 중에서 양쪽 가장 자리 외측에 위치한 제1 방향바(31)는 H빔 또는 I빔이 이용될 수 있으며, 나머지 제1 방향바(31)와 제2 방향바(32)는 각관이 이용될 수 있다.Here, among the first direction bars 31 of the surface plate 30, the first direction bars 31 located outside both edges may use H-beams or I-beams, and may be used with the rest of the first direction bars 31 and the second direction bars 31. The 2 direction bars 32 may be used in square tubes.

이와 같은 정반(30) 상에서 도 4와 같이, 대블록 유닛(100)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하지 철물(5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하지 철물(50)은 건물의 외벽 상에 형성될 때, 지면에 수직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1 하지 철물(51)과, 제1 하지 철물(51)의 측면에 볼트 결합되어 지면과 나란한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2 하지 철물(52)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on such a surface plate 30, a plurality of supporting hardware 50 for supporting the large block unit 100 may be formed. Here, when the plurality of supporting hardware 50 is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first supporting hardware 51 extending in the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side of the first supporting hardware 51 are bolted together It may include a second supporting hardware 52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x) parallel to the ground.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반(30)에서 제1 방향바(31)의 양쪽 끝단에는 제2 방향바(32)와 나란한 상부 가이드바(33)와 하부 가이드바(34)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가이드바는 정반(30)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하지 철물(50)의 길이가 정확하게 절단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As shown in (a) and (b) of FIG. 3 , upper guide bars 33 and lower guides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bars 32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direction bar 31 in the surface plate 30. A bar 34 may be provided, and the guide bar may guide the plurality of bottom hardware 50 positioned on the surface plate 30 to be precisely cut in length.

여기서, 상부 가이드바(33)는 제1 방향바(31)의 양쪽 끝단에 고정될 수 있으며, 하부 가이드바(34)의 양쪽 끝단에는 유닛 고정용 화스너(35)와 하부 가이드바(34)의 위치가 제1 방향바(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이동식 고정 클립(36)이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upper guide bar 33 may be fixed to both ends of the first direction bar 31, and both ends of the lower guide bar 34 include unit fixing fasteners 35 and lower guide bar 34. A movable fixing clip 36 guiding the position to b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bar 31 may be provided.

여기서, 유닛 고정용 화스너(35)는 제1 면과 제1 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 제1 면은 제1 방향바(31)의 양쪽 끝단에 제1 면이 용접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면의 끝단은 이동식 고정 클립(36)과 제1 방향바(31)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Here, the fastener 35 for fixing the unit may include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that is bent and extend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surface. The first surface may be welded to both ends, and the end of the second surface may be inserted between the movable fixing clip 36 and the first direction bar 31.

이동식 고정 클립(36)은 수용홈을 구비하고, 수용홈에는 제1 방향바(31)의 일부와 유닛 고정용 화스너(35)의 제2 면이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식 고정 클립(36)은 제1 방향바(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제1 하지 철물(51)의 길이를 재단하는데, 기준바로 이용될 수 있다.The movable fixing clip 36 has an accommodating groove, and a part of the first direction bar 31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fastener 35 for fixing the unit can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Such a movable fixing clip 36 is movabl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bar 31 and can be used as a reference bar to cut the length of the first lower leg hardware 51 .

또한, 복수의 제2 방향바(32) 상에는 도 3의 (c)와 같이, 복수의 하지 철물(50)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 고정 부재(35)가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bars 32, as shown in (c) of FIG. 3, position fixing members 35 for fixing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supporting hardware 50 may be positioned.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하지 철물(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가 길게 준비되는 경우, 제1 하지 철물(51)은 하부 가이드바(34)를 기준으로 절단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wh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hardware 51 is prepared to be long, the first hardware 51 is cut based on the lower guide bar 34. It can be.

제1 하지 철물(51)의 일부 길이(51C)가 절단된 이후, 제1 하지 철물(51)의 어느 한쪽 끝단을 기준으로 설정된 위치에 제2 하지 철물(52)을 결합하기 위한 홀(50H)이 타공될 수 있다. 일례로, 시공시의 오차를 원천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제1 하지 철물(51)에서 하부 가이드바(34) 쪽에 위치한 하부 끝단을 기준으로 홀타공 위치(50H)가 설정될 수 있다.After a partial length 51C of the first hardware 51 is cut, a hole 50H for coupling the second hardware 52 to a position set based on either end of the first hardware 51 This can be perforated. For example, in order to fundamentally eliminate errors during construction, the hole punching position 50H may be set based on the lower end located on the lower guide bar 34 side of the first supporting hardware 51.

이에 따라, 제1 하지 철물(51) 사이에 결합되는 제2 하지 철물(52)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하지 철물(50) 상에 결합되는 복수의 외장 패널(60)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set the position of the second hardware hardware 52 coupled between the first hardware hardware 51, and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exterior panels 60 coupled on the plurality of hardware hardware 50 ) can be accurately set.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지 철물(51)의 측면에 타공된 홀(50H)에 제2 하지 철물(52)이 연결 부재(53, 54)에 의해 조립 및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하지 철물(52)은 제1 하지 철물(51)의 홀타공된 위치에서 볼트 결합(53, 54)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a) and (b) of FIG. 7 , the second supporting hardware 5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53, 54) can be assembled and combined. For example, the second hardware hardware 52 may be bolt-coupled (53, 54) at a hole-perforated position of the first hardware hardware 51.

여기서, 만약, 제2 하지 철물(52)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 도 7의 (c)와 같이, 보조 연결 부재(55, 56)를 이용하여, 제2 하지 철물(52)을 제1 하지 철물(51)에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if the length of the second hardware 52 is relatively short, as shown in FIG. It is also possible to assemble to the base hardware 51.

대블록 유닛 형성 단계(S2)는 제1 하지 철물(51)과 제2 하지 철물(52)이 상호 조립 및 결합된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하지 철물(50) 상에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60)을 결합하여 대블록 유닛(100)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large block unit forming step (S2), after the first supporting hardware 51 and the second supporting hardware 52 are assembled and coupl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form a large block unit 100 by combining the building exterior panels 60 of the.

이때,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60) 역시, 복수의 하지 철물(50) 상에 볼트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60)은 수평 방향(x) 또는 수직 방향(y)으로 돌출부 및 함몰부를 구비하여, 어느 하나의 외장 패널(60) 함몰부에 다른 하나의 외장 패널(60)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building exterior panels 60 may also be bolted to the plurality of underlying hardware 50, and the plurality of building exterior panels 60 may have protrusions and protrusions in a horizontal direction (x) or a vertical direction (y). With the recessed portion, the protruding portion of another exterior panel 60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one exterior panel 60 .

일례로, 도 8에서는 복수의 외장 패널(60)이 제1 하지 철물(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제1 하지 철물(51)이 제2 하지 철물(52)의 길이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더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외장 패널(60)이 제2 하지 철물(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더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열로 결합된 외장 패널(60)이 제1 하지 철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및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As an example, FIG. 8 shows that a plurality of exterior panels 60 are installed in a r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ardware 51, but unlike this, the first hardware 51 is installed on the second lower body. It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rdware 52, and a plurality of exterior panels 60 may be further coupled into a plurality of row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ing hardware 52, and the exterior combined into a plurality of columns.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panel 60 is coupled and fix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ing hardware.

이와 같이, 대블록 유닛(100)이 형성된 이후, 거치 단계(S3)에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블록 유닛(100)을 건축물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되는 윈드빔(11)에 미리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 모듈(200)에 고정할 수 있다.In this way, after the large block unit 100 is formed, in the mounting step (S3),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large block unit 100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It can be fixed to the bracket module 200 pre-fixed to the beam 11.

여기서, 브라켓 모듈(200)은 일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210), 제2 브라켓(220) 및 제3 브라켓(2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브라켓 모듈(200)은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되는 윈드빔(11)에 거치 단계(S3) 이전에 미리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Here, the bracket module 200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bracket 210, a second bracket 220, and a third bracket 230, as shown in FIG. 9, and the bracket module 200 may be previously fixed to the wind beam 11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prior to the mounting step (S3).

브라켓 모듈(200)의 제1 브라켓(210)이 윈드빔(11)의 원하는 위치에 맞닿은 상태에서 미리 볼트와 같은 연결 부재로 고정된 상태일 수 있고, 제2, 3 브라켓(220, 230)은 제1 브라켓(210) 상에서 수평 방향(x), 두께 방향(z) 및 수직 방향(y)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미세 조정을 위해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bracket 210 of the bracket module 200 may be fixed in advance with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bolt in a state in contact with a desired position of the wind beam 11, and the second and third brackets 220 and 230 are The first bracket 210 may have a movable structure for fine adjustment in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direction (x), the thickness direction (z), and the vertical direction (y).

이와 같은 브라켓 모듈(200)은 복수의 브라켓이 조립 및 결합된 모듈 구조체일 수 있으며, 각각의 브라켓 모듈(200)은 바람직하게는 강철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수톤의 하중 강도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면, 상대적으로 열전도성이 떨어지는 플라스틱 재질이나 탄소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Such a bracket module 200 may be a modular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rackets are assembled and coupled, and each bracket module 200 may be preferably formed of a steel material, but may sufficiently support a load strength of several tons. If there is,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 plastic material or a carbon material having relatively low thermal conductivity.

더불어, 브라켓 모듈(200)은 복수의 브라켓 각각이 조립 및 결합되어 구비되더라도, 각 브라켓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 2, 3 브라켓(210, 220, 230) 각각이 독립적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even if the bracket module 200 is provided by assembling and combining a plurality of brackets, each bracket may be integrally formed. That is, whi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brackets 210, 220, and 230 can move independently, it is also possible to be integrally formed.

여기서, 윈드빔(11)은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브라켓(210)은 윈드빔(11)에 맞닿아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윈드빔(11)은 H빔 또는 I빔일 수 있으며, 윈드빔(11)으로 H빔이 이용되는 경우, 윈드빔(11)은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함몰홈을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wind beam 11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the first bracket 210 may be located in contact with the wind beam 11 . Here, the wind beam 11 may be an H beam or an I beam, and when the H beam is used as the wind beam 11, the wind beam 11 may have a recessed groove that opens upward.

제1 브라켓(210)은 윈드빔(11)의 함몰된 내부면에 두께 방향(z) 및 수평 방향(x)으로 맞닿아 볼트와 같은 연결 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윈드빔(11)의 상부에 두께 방향(z)으로 연장되는 면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브라켓이 윈드빔(11)의 길이 방향인 수평 방향(x)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first bracket 21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recessed inner surface of the wind beam 11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be fixed by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bolt. A surface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may be provided at the top.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bracket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x), which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d beam 11 .

거치 단계(S3)에서는 이와 같이, 브라켓 모듈(200)이 윈드빔(11)에 고정된 상태에서, 대블록 유닛(100)을 브라켓 모듈(2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브라켓 모듈(200)은 제3 브라켓(230)에 연결 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In the mounting step (S3), the large block unit 100 may be fixed to the bracket module 200 while the bracket module 200 is fixed to the wind beam 11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bracket module 200 may be fixed to the third bracket 230 by a connecting member.

이를 위해, 제2 브라켓(220)은 수평 방향(x)으로 폭을 가지고 윈드빔(11)의 상부에 두께 방향(z)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220a)와 수평 연장부(220a)의 끝단에서 수평 방향(x)으로 폭을 가지고 수직 방향(y)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220b)를 구비하고, 수평 연장부(220a)가 제1 브라켓(210) 위에 연결되되, 수평 방향(x) 및 두께 방향(z)으로 움직임 가능할 수 있다. 즉, 제2 브라켓(220)은 제1 브라켓(210) 상에서 수평 방향(x) 및 두께 방향(z)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econd bracket 220 has 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a horizontal extension part 220a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on the top of the wind beam 11 and an end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220a. has a vertical extension (220b) having 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nd the horizontal extension (220a)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210, b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it may be movab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That is, the position of the second bracket 220 may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the thickness direction (z) on the first bracket 210 .

제3 브라켓(230)은 일단이 제2 브라켓(220)의 수직 연장부(220b) 상에 연결되고, 수직 방향(y)으로 움직인 가능할 수 있다. 즉, 제3 브라켓(230)은 제1 브라켓(210) 상에서 수직 방향(y)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One end of the third bracket 230 may be connected to the vertical extension 220b of the second bracket 220 and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y. That is, the third bracket 230 may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y) on the first bracket 210 .

또한, 제3 브라켓(230)은 타단이 두께 방향(z)으로 함몰된 수용홈(230R)을 구비하고, 제3 브라켓(230)의 일단과 수용홈(230R) 사이에는 두께 방향(z)으로 폭을 가지고 수직 방향(y)으로 관통되는 이격홀(230D)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bracket 230 has an accommodating groove 230R whose other end is de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and between one end of the third bracket 230 and the accommodating groove 230R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A spaced hole 230D having a width and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y) may be provided.

거치 단계에서, 대블록 유닛(100)의 제1 하지 철물(51)이 수용홈(230R)에 삽입되어, 볼트와 같은 연결 부재에 의해 완전히 고정될 수 있으며, 두께 방향(z)으로 폭을 가지는 이격홀(230D)은 대블록 유닛(100)이 두께 방향(z)으로 미세 조정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In the mounting step, the first supporting hardware 51 of the large block unit 1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30R, can be completely fixed by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bolt, and has a wid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The separation hole 230D may secure a space in which the large block unit 100 can be finely adjus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예를 들어, 제3 브라켓(230)에 이격홀(230D)이 없다면, 윈드빔(11)과 제1 하지 철물(51) 사이에 여유 공간이 부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블록 유닛(100)을 두께 방향(z)으로의 시공 오차에 대해 미세 조정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격홀(230D)을 구비하여, 예상 범위를 넘어서는 시공 오차에 대해서까지도 대블록 유닛(100)이 두께 방향(z)으로 미세 조정되도록 하여, 시공 오차에 대한 자유도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f there is no separation hole 230D in the third bracket 230, there may be insufficient space between the wind beam 11 and the first supporting hardware 51, and thus, the large block unit 100 To fine-tune the construction error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there may be limitation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paced hole (230D), so that the large block unit 100 can be used even for construction errors exceeding the expected range. By fine-tun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the degree of freedom for construction error can be further increased.

미세 조정 단계(S4)에서는 브라켓 모듈(200)에 대블록 유닛(100)이 고정된 상태에서, 브라켓 모듈(200)을 이용하여 대블록 유닛(100)을 수평 방향(x), 수직 방향(y) 및 두께 방향(z)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움직여 미세 조정할 수 있다.In the fine adjustment step (S4), in a state where the large block unit 100 is fixed to the bracket module 200, the large block unit 10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vertical direction (y) using the bracket module 200. ) and the thickness direction (z) can be moved in at least one direction for fine adjustment.

보다 구체적으로, 미세 조정 단계(S4)는 제1 브라켓(210)이 윈드빔(11)에 고정되고, 제3 브라켓(230)에 대블록 유닛(1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3 브라켓(230)이 수평 방향(x), 두께 방향(z) 및 수직 방향(y)으로 위치 이동되어 미세 조정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fine adjustment step (S4), in a state where the first bracket 210 is fixed to the wind beam 11 and the large block unit 100 is fixed to the third bracket 230, the third bracket ( 230) may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the thickness direction (z), and the vertical direction (y) for fine adjustment.

일례로, 제3 브라켓(230)을 수평 방향(x), 두께 방향(z) 및 수직 방향(y)으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2 브라켓(220)이 수평 방향(x) 또는 두께 방향(z)으로 움직여 미세 조정되거나, 제3 브라켓(230)이 수직 방향(y)으로 움직여 미세 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position the third bracket 2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the thickness direction (z), and the vertical direction (y), the second bracket 22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or thickness direction (z). ), or the third bracket 230 may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y) for fine adjustment.

이에 따라, 대블록 유닛(100)에서 제3 브라켓(230)이 고정된 부분이 수평 방향(x), 두께 방향(z) 및 수직 방향(y)으로 미세 조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rtion to which the third bracket 230 is fixed in the large block unit 100 can be finely adjus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the thickness direction (z), and the vertical direction (y).

이와 같은 미세 조정 단계(S4)에서는 대블록 유닛(100)이 이미 윈드빔(11)에 고정된 브라켓 모듈(200)에 고정되어 있어, 종래와 다르게 미세 조정 단계에서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작업자가, 대블록 유닛(100)과 브라켓 모듈(200)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풀었다 잠궜다를 반복할 필요 없이, 대블록 유닛(100)이 브라켓 모듈(200)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에서 브라켓 모듈을 구성하는 각 브라켓 모듈만 미세 조정하면 되므로,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In such a fine adjustment step (S4), since the large block unit 100 is already fixed to the bracket module 200 fixed to the wind beam 11, heavy equipment such as a crane is not required in the fine adjustment step unlike the prior art. The large block unit 100 is completely fixed to the bracket module 200 without the operator needing to repeatedly unlock and lock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large block unit 100 and the bracket module 200 to each other. Since only each bracket module constituting the bracket module needs to be fine-tuned in the state, the work is easy, the work time is shorten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이를 위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모듈(200)의 제1 실시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o this end,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racket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9 to 1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제1 브라켓(210)은 건물에 수평 방향(x)으로 설치되는 윈드빔(11)에 맞닿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부에 수평 방향(x)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브라켓 관통홀(210H)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브라켓(220)은 수평 연장부에 두께 방향(z)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수평면 관통홀(220H1) 및 수직 연장부에 수직 방향(y)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수직면 관통홀(220H2)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bracket 210 may have a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wind beam 11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of the building, and has a first bracket through-hole 210H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t the top. can be provided The second bracket 220 includes a second horizontal surface through hole 220H1 extending lo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in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and a second vertical surface through hole 220H2 extending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y in the vertical extension part. can be provided.

여기서, 제1 브라켓 관통홀(210H)과 제2 수평면 관통홀(220H1)을 관통하는 볼트와 같은 연결 부재에 의해 제1, 2 브라켓(210, 220)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수직면 관통홀(220H2)을 관통하고 제3 브라켓(230)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에 의해 제2, 3 브라켓(220, 23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브라켓 관통홀(210H)과 제2 수평면 관통홀(220H1)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교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210 and 2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bolt penetrating the first bracket through hole 210H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ne through hole 220H1, and the second vertical plane through hole 220H1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e second and third brackets 220 and 23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that passes through the hole 220H2 and is fixed to the third bracket 230 . Here, the first bracket through-hole 210H and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through-hole 220H1 may overlap and cross each other in different directions.

이에 따라, 제2 브라켓(220)은 제1 브라켓 관통홀(210H)을 따라 수평 방향(x)으로 이동하고, 제2 수평면 관통홀(220H1)을 따라 두께 방향(z)으로 이동하고, 제3 브라켓(230)은 제2 수직면 관통홀(220H2)을 따라 수직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 모듈(200)이 미세 조정될 때, 별도의 공구나 작기가 이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bracket 22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long the first bracket through-hole 210H, mov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along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through-hole 220H1, and The bracket 230 may move in a vertical direction (y) along the second vertical surface through hole 220H2. Here, when the bracket module 200 is fine-tuned, a separate tool or tool may be used.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미세 조정 단계(S4)에서 브라켓 모듈(200)을 이용하여 대블록 유닛(100)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fine-adjust the position of the large block unit 100 using the bracket module 200 in the fine-adjustment step (S4).

그러나,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브라켓 모듈(200)의 제1 실시예는 일례이고,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모듈(200)은 다양하게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브라켓 모듈(20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12 이하에서 설명한다.Howeve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racket module 200 shown in FIGS. 9 to 11 is an example, and the bracket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forms, and the bracket module 200 as such Various embodiments are described below in FIG. 12 .

미세 조정 단계(S4) 이후, 고정 단계(S5)에서는 브라켓 모듈(200)에 구비된 제1, 2, 3 브라켓(210, 220, 230)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 일례로, 고정 단계(S5)에서는 제1, 2 브라켓(210, 220)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제2, 3 브라켓(220, 230)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완전히 회전시켜, 제1 브라켓(210) 상에서 제2, 3 브라켓(220, 230)의 위치를 완전히 고정할 수 있다.After the fine adjustment step (S4), in the fixing step (S5), the first, second, and third brackets 210, 220, and 230 provided in the bracket module 200 may be fixed so as not to move. As a more specific example, in the fixing step (S5),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210 and 220 and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second and third brackets 220 and 230 are completely rotated to secure the first bracket. The positions of the second and third brackets 220 and 230 on the 210 can be completely fixed.

이와 같은 윈드빔(11)에 제1 브라켓(210)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대블록 유닛(100)의 하지 철물(50)을 제3 브라켓(230)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는 거치 단계(S3)에서 완전히 고정된 상태일 수 있으며, 고정 단계(S5)에서 따로 조작되지 않을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first bracket 210 to the wind beam 11 and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supporting hardware 50 of the large block unit 100 to the third bracket 230 are mounted in step S3. It may be in a completely fixed state, and may not be operated separately in the fixing step (S5).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모듈(200)을 이용한 시공 방법은 브라켓 모듈(200)에 구비된 수용홈(230R)에 대블록 유닛(100)의 하지 철물(50)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대블록 유닛(100)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어, 시공을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As such, in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bracket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hardware 50 of the large block unit 1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30R provided in the bracket module 200, and is fixed. In, the position of the large block unit 100 can be finely adjusted, so that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and safely.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축용 구조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모듈(200)이 이용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다.So far, in explaining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bracket module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모듈(200)은 반드시 제1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브라켓 모듈(200)의 다양한 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owever, the bracket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irst embodiment,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Various examples of the bracket module 200 are described as follows.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모듈(30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12 to 1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bracket modul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모듈(300)은 제1, 2, 3 브라켓(310, 320, 33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 the bracket modul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irst, second, and third brackets 310, 320, and 330.

여기서, 제1 브라켓(310)은 윈드빔(1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브라켓(320)은 수평 방향(x)으로 폭을 가지고 두께 방향(z)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와 수평 연장부의 끝단에서 수평 방향(x)으로 폭을 가지고 수직 방향(y)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를 구비하고, 수평 연장부가 제1 브라켓(210) 위에 연결되되, 수평 방향(x) 및 두께 방향(z)으로 움직임일 수 있다.Here, the first bracket 310 may be fixed to the wind beam 11, and the second bracket 320 has 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a horizontal extension part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and a horizontal extension. A vertical extension portion having 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y)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ortion, and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2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thickness direction (z). can be a movement.

제3 브라켓(330)은 제2 브라켓(320)의 수직 연장부 상에 연결되고, 수직 방향(y)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브라켓(330)은 대블록 유닛(100)의 하지 철물(50)이 삽입되는 수용홈(330R)과 수용홈(330R)의 뒤쪽에 두께 방향(z)으로 폭을 갖는 이격홀(330D)이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bracket 33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extension of the second bracket 320 and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y). Such a third bracket 330 is a spaced hole having a wid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behind the receiving groove 330R and the receiving groove 330R into which the supporting hardware 50 of the large block unit 100 is inserted ( 330D) may be provided.

여기서, 제1 브라켓(310)은 제1 하부 브라켓 부분(310a)과 제1 상부 브라켓 부분(310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하부 브라켓 부분(310a)은 윈드빔(11)으로 사용되는 H빔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고, 제1 상부 브라켓 부분(310b)은 제1 하부 브라켓 부분(310a)의 상부에 위치하고,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1 기어 관통홀(310GH)을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first bracket 310 may include a first lower bracket portion 310a and a first upper bracket portion 310b, and the first lower bracket portion 310a is H used as the wind beam 11. It can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beam, and the first upper bracket portion 310b is located above the first lower bracket portion 310a and has a first gear through-hole 310GH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can

제1 기어 관통홀(310GH)의 내측면에는 제1 기어홈이 구비되고, 제1 하부 브라켓 부분(310a)에 고정된 제1 기어(G1)가 제1 기어홈에 맞물려 제1 기어 관통홀(310GH)을 관통할 수 있다. A first gear groove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gear through hole 310GH, and the first gear G1 fixed to the first lower bracket portion 310a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groove to form the first gear through hole ( 310GH).

아울러, 제1 상부 브라켓 부분(310b)은 제1 하부 브라켓 부분(310a)과 공통으로 관통되는 제1 브라켓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고, 제1 브라켓 관통홀에 볼트와 같은 연결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upper bracket portion 310b may have a first bracket through-hole passing through in common with the first lower bracket portion 310a, and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bolt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bracket through-hole. there is.

제2 브라켓(320)은 수평 연장부에 두께 방향(z)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기어 관통홀(320GH) 및 수직 연장부에 수직 방향(y)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수직면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bracket 320 may have a second gear through-hole 320GH extending lo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on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and a second vertical plane through-hole extending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y on the vertical extension part. can

제2 기어 관통홀(320GH)의 내측면에는 제2 기어홈이 구비되고, 제1 상부 브라켓 부분(310b)에 고정된 제2 기어(G2)가 제2 기어홈에 맞물려 제2 기어 관통홀(320GH)을 관통할 수 있다. A second gear groove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gear through hole 320GH, and the second gear G2 fixed to the first upper bracket portion 310b is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groove to form a second gear through hole ( 320GH).

이에 따라, 제1 기어(G1)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상부 브라켓 부분(310b)과 제2 브라켓(320)은 수평 방향(x)으로 이동되고, 제2 기어(G2)가 회전함에 따라 제2 브라켓(320)은 두께 방향(z)으로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first gear G1 rotates, the first upper bracket portion 310b and the second bracket 320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as the second gear G2 rotates, the second upper bracket portion 310b and the second bracket 320 move. Bracket 320 may be mov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모듈(300)의 기본 원리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3 및 도 14에서 설명되는 구조는 제1 브라켓(310)과 제2 브라켓(320)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basic principle of the bracket modul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structures described in FIGS. 13 and 14 may be commonly applied to the first bracket 310 and the second bracket 320 .

구체적으로 도 13에서, (a)와 같이, 하부 기판(P1) 상에 고정 가이드 부재(P1a)가 위치하고, (b)와 같이, 하부 기판(P1) 위에 위치 이동의 대상이 되는 이동 기판(P2)이 위치할 수 있다. 이동 기판(P1)은 이동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기어 관통홀(GH)이 위치하고, 기어 관통홀(GH)의 내측면에는 기어홈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FIG. 13, as shown in (a), the fixed guide member P1a is positioned on the lower substrate P1, and as shown in (b), the moving substrate P2 that is the object of positional movement on the lower substrate P1 ) can be located. The moving substrate P1 has a gear through hole GH extending long in the moving length direction, and a gear groove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gear through hole GH.

아울러, (c) 및 (d)와 같이, 기어가 기어 관통홀(GH)을 관통하여 하부 기판(P1) 상에 고정될 수 있고, (e)와 같이, 이동 기판의 상부를 덮는 덮개(P3)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c) and (d), the gear may pass through the gear through hole (GH) and be fixed on the lower substrate (P1), and, as in (e), the cover (P3) covering the top of the moving substrate )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제1, 2 브라켓(310, 320)이 도 13과 같은 원리로 구비된 상태에서, 도 14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G)를 회전함에 따라, 하부 기판(P1)과 덮개(P3)는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 기판(P2)만 기어 관통홀(GH)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As such, as the gear G is rotated as shown in (a) to (c) of FIG.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substrate P1 and the cover P3 are fixed, only the movable substrate P2 may b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ear through hole GH.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모듈(300)은 제1, 2 브라켓(310, 320)이 제1, 2 기어(G1, G2)와 제1, 2 기어 관통홀(310GH, 320GH)을 구비하여, 제1 기어(G1)를 회전함에 따라 제1 상부 브라켓 부분(310b)이 수평 방향(x)으로 움직일 때, 제2 브라켓(220)도 함께 제2 브라켓(320)이 수평 방향(x)으로 움직여 미세 조정될 수 있으며, 제2 기어(G2)가 회전함에 따라 제2 브라켓(320)이 두께 방향(z)으로 움직여 미세 조정될 수 있다.As such, in the bracket modul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310 and 320 have the first and second gears G1 and G2 and the first and second gear through holes 310GH, 320GH), when the first upper bracket part 310b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s the first gear G1 rotates, the second bracket 220 also moves the second bracket 320 horizontally. It can be finely adjusted by moving in the direction (x), and as the second gear (G2) rotates, the second bracket 320 can be finely adjusted by mov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이에 따라, 미세 조정 단계(S4)에서, 브라켓 모듈(300)의 제1 브라켓(310)이 윈드빔(11)에 고정되고, 대블록 유닛(100)이 브라켓 모듈(3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대블록 유닛(100)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fine adjustment step (S4), in a state where the first bracket 310 of the bracket module 300 is fixed to the wind beam 11 and the large block unit 100 is fixed to the bracket module 300 , It is possible to fine-tune the position of the large block unit 100 more stably and easily.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모듈(40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racket module 4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모듈(400)은 제1, 2, 3 브라켓(410, 420, 43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 the bracket module 4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irst, second, and third brackets 410, 420, and 430.

여기서, 제1 브라켓(410)은 윈드빔(1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브라켓(420)은 수평 방향(x)으로 폭을 가지고 두께 방향(z)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와 수평 연장부의 끝단에서 수평 방향(x)으로 폭을 가지고 수직 방향(y)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를 구비하고, 수평 연장부가 제1 브라켓(410) 위에 연결되되, 수평 방향(x) 및 두께 방향(z)으로 움직임일 수 있다.Here, the first bracket 410 may be fixed to the wind beam 11, and the second bracket 420 has 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a horizontal extension part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and a horizontal extension. A vertical extension portion having 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y)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ortion, and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4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thickness direction (z). can be a movement.

제3 브라켓(430)은 제2 브라켓(420)의 수직 연장부 상에 연결되고, 수직 방향(y)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브라켓(430)은 대블록 유닛(100)의 하지 철물(50)이 삽입되는 수용홈(430R)과 수용홈(430R)의 뒤쪽에 두께 방향(z)으로 폭을 갖는 이격홀(430D)이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bracket 43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extension of the second bracket 420 and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y). Such a third bracket 430 is a spaced hole having a wid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behind the receiving groove 430R and the receiving groove 430R into which the supporting hardware 50 of the large block unit 100 is inserted ( 430D) may be provided.

여기서, 제2 브라켓(420)에 구비된 수평 연장부의 하부면에는 수평 방향(x)으로 배열되는 제1 기어홈(420x)과 두께 방향(z)으로 배열되는 제2 기어홈(420z)이 구비되고, 제2 브라켓(420)에 구비된 수직 연장부의 외측면에는 수직 방향(y)으로 배열되는 제3 기어홈(420y)이 구비될 수 있다.Here, first gear grooves 420x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second gear grooves 420z arrang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4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extension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420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gear groove (420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y).

더불어, 제2 브라켓(420)의 하부에는 제1 기어홈(420x)에 맞물리는 제1 롤링 기어(R1)와 제2 기어홈(420z)에 맞물리는 제2 롤링 기어(R2)가 제1 브라켓(410)에 고정되고, 제2 브라켓(420)의 외측면에는 제3 기어홈(420y)에 맞물리는 제3 롤링 기어(R3)가 제3 브라켓(430)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rolling gear R1 engaged in the first gear groove 420x and a second rolling gear R2 engaged in the second gear groove 420z are disposed below the second bracket 420. A third rolling gear R3 fixed to 410 and meshed with a third gear groove 420y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420 may be fixed to the third bracket 430 .

이에 따라,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링 기어(R1)가 회전함에 따라 제2 브라켓(420)은 수평 방향(x)으로 이동하고, (c)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제2 롤링 기어(R2)가 회전함에 따라 제2 브라켓(420)은 두께 방향(z)으로 이동하고, (d)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제3 롤링 기어(R3)가 회전함에 따라 제3 브라켓(430)은 수직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b) of FIG. 15, as the first rolling gear (R1) rotates, the second bracket 42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as shown in (c) , As the second rolling gear R2 rotates, the second bracket 420 mov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and as the third rolling gear R3 rotates, the third bracket 420 mov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as shown in (d). 430 ma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y).

이에 따라, 미세 조정 단계(S4)에서, 브라켓 모듈(400)의 제1 브라켓(410)이 윈드빔(11)에 고정되고, 대블록 유닛(100)이 브라켓 모듈(4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대블록 유닛(100)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fine adjustment step (S4),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racket 410 of the bracket module 400 is fixed to the wind beam 11 and the large block unit 100 is fixed to the bracket module 400 , It is possible to fine-tune the position of the large block unit 100 more stably and easily.

도 16 및 도 17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모듈(50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16 and 1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bracket module 50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모듈(500)은 제1, 2, 3 브라켓(510, 520, 530)과 보조 브라켓(Js)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 the bracket module 5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irst, second, and third brackets 510, 520, and 530 and an auxiliary bracket Js.

여기서, 제1, 2 브라켓(510, 520)은 일체화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브라켓(510)은 윈드빔(11)에 수평 방향(x)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브라켓(510)이 윈드빔(11)의 외측면을 감싸고, 맞닿아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510 and 520 may be integrally provided. Specifically,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racket 510 is not fixed to the wind beam 11 so as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the first bracket 510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 beam 11 and comes into contact therewith. can be located

제2 브라켓(520)은 제1 브라켓(510)으로부터 밴딩되어, 수평 방향(x)으로 폭을 가지고 두께 방향(z)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와 수평 연장부의 끝단에서 수평 방향(x)으로 폭을 가지고 수직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연장부와 윈드빔(11)을 가로질러 수직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bracket 520 is bent from the first bracket 510 and has a horizontal extension having 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and 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extension. A first vertical extens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nd a second vertical extens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cross the wind beam 11 may be provided.

제3 브라켓(530)은 제2 브라켓(520)의 제1 수직 연장부 상에 연결되고, 대블록 유닛(100)의 하지 철물(50)이 삽입되는 수용홈(530R)과 수용홈(530R)의 뒤쪽에 두께 방향(z)으로 폭을 갖는 이격홀(530D)이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bracket 530 is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extension of the second bracket 520, and has an accommodation groove 530R and an accommodation groove 530R into which the supporting hardware 50 of the large block unit 100 is inserted. A spaced hole (530D) having a wid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보조 브라켓(Js)은 윈드빔(11)에 맞닿아 고정되되, 도 17의 (a)와 같이, 제1 브라켓(510)과 수평 방향(x)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보조 브라켓(Js)과 제2 브라켓(520) 사이에는 제2 브라켓(520)이 수평 방향(x)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 작기(Jx)가 구비될 수 있다.The auxiliary bracket (Js)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wind beam 11,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racket 5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s shown in (a) of FIG. 17, and the auxiliary bracket (Js) and A first action (Jx)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wo brackets 520 to allow the second bracket 520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또한, 도 17의 (b) 내지 (d)와 같이, 제2 브라켓(520)과 제3 브라켓(530) 사이에는 제3 브라켓(530)을 두께 방향(z)으로 이동시키는 제2 작기(Jz)와 제3 브라켓(530)을 수직 방향(y)으로 이동시키는 제3 작기(Jy)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b) to (d) of FIG. 17, between the second bracket 520 and the third bracket 530, the second step (Jz) for moving the third bracket 530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 and a third action (Jy) for moving the third bracket 530 in the vertical direction (y) may be provided.

이에 따라, 미세 조정 단계(S5)에서, 제1, 2, 3 작기(Jx, Jy, Jz)에 의해, 브라켓 모듈(500)은 수평 방향(x), 수직 방향(y) 및 두께 방향(z)으로 미세 조정될 수 있으며, 브라켓 모듈(500)의 제1 브라켓(510)이 윈드빔(11)에 고정되고, 대블록 유닛(100)이 브라켓 모듈(5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대블록 유닛(100)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fine adjustment step (S5),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sizes (Jx, Jy, and Jz), the bracket module 500 is configu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vertical direction (y), and thickness direction (z). ), and in a state where the first bracket 510 of the bracket module 500 is fixed to the wind beam 11 and the large block unit 100 is fixed to the bracket module 500, it is more stable and The position of the large block unit 100 can be easily finely adjusted.

도 18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모듈(60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racket module 600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모듈(600)은 제1, 2, 3 브라켓(610, 620, 63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 the bracket module 6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irst, second, and third brackets 610, 620, and 630.

여기서, 제1 브라켓(610)은 윈드빔(1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브라켓(620)은 제2 메인 브라켓(620a)과 제2 보조 브라켓(620b)을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first bracket 610 may be fixed to the wind beam 11, and the second bracket 620 may include a second main bracket 620a and a second auxiliary bracket 620b.

제2 메인 브라켓(620a)은 수평 방향(x)으로 폭을 가지고 두께 방향(z)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와 수평 연장부의 끝단에서 수평 방향(x)으로 폭을 가지고 수직 방향(y)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를 구비하고, 제2 보조 브라켓(620b)은 제2 메인 브라켓(620a)의 수직 연장부에 볼트와 같은 연결 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수직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main bracket 620a has a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having 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and 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y) from an end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The second auxiliary bracket 620b may be coupled to the vertical extension of the second main bracket 620a by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bolt and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y.

제3 브라켓(630)은 제2 보조 브라켓(620b)의 수직 연장부 상에 연결되고, 수직 방향(y)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브라켓(630)은 대블록 유닛(100)의 하지 철물(60)이 삽입되는 수용홈(630R)과 수용홈(630R)의 뒤쪽에 두께 방향(z)으로 폭을 갖는 이격홀(630D)이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bracket 63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extension of the second auxiliary bracket 620b and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y). Such a third bracket 630 is a spaced hole having a wid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behind the receiving groove 630R and the receiving groove 630R into which the supporting hardware 60 of the large block unit 100 is inserted ( 630D)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모듈(600)은 제2 브라켓(620)이 제1 브라켓(610) 상에서 수평 방향(x) 및 두께 방향(z)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제3 브라켓(630)이 수직 방향(y)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As such, the bracket module 6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bracket 620 can move on the first bracket 6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third bracket 630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y).

이에 따라, 미세 조정 단계(S6)에서, 브라켓 모듈(600)의 제1 브라켓(610)이 윈드빔(11)에 고정되고, 대블록 유닛(100)이 브라켓 모듈(6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대블록 유닛(100)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fine adjustment step (S6),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racket 610 of the bracket module 600 is fixed to the wind beam 11 and the large block unit 100 is fixed to the bracket module 600 , It is possible to fine-tune the position of the large block unit 100 more stably and easily.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모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대한 변경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19 to 2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bracket modu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모듈(700)은 제1, 2, 3 브라켓(710, 720, 73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9 and 20 , the bracket module 7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irst, second, and third brackets 710, 720, and 730.

제1 브라켓(710)은 윈드빔(11)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bracket 710 may be fixed to the wind beam 11 .

제2 브라켓(720)은 수평 연장부(720a)와 수직 연장부(720b)를 구비하고, 수평 연장부(720a)는 제1 브라켓(710) 위에 연결되되, 수평 방향(x)으로 폭을 가지고 두께 방향(z)으로 연장되고, 수직 연장부(720b)는 수평 연장부(720a)로부터 수평 방향(x)으로 폭을 가지고 수직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bracket 720 includes a horizontal extension 720a and a vertical extension 720b, and the horizontal extension 720a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710 and has 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It extends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and the vertical extension 720b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y with 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from the horizontal extension 720a.

제2 브라켓(720)의 수평 연장부(720a)는 제1 브라켓(710) 상에서 두께 방향(z)으로 움직임일 수 있고, 수직 연장부(720b)는 수평 연장부(720a) 상에서 수평 방향(x)으로 움직일 수 있다.The horizontal extension 720a of the second bracket 720 may mo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on the first bracket 710, and the vertical extension 720b may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on the horizontal extension 720a. ) can be moved.

제3 브라켓(730)은 제2 브라켓(720)의 수직 연장부(720b) 상에 연결되고, 제2 브라켓(720) 상에서 수직 방향(y)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브라켓(330)은 대블록 유닛(100)의 하지 철물(50)이 삽입되는 수용홈(730R)과 수용홈(730R)의 뒤쪽에 두께 방향(z)으로 폭을 갖는 이격홀(730D)이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bracket 73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extension 720b of the second bracket 720 and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y on the second bracket 720 . Such a third bracket 330 is a spaced hole having a wid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behind the receiving groove 730R and the receiving groove 730R into which the supporting hardware 50 of the large block unit 100 is inserted ( 730D) may be provided.

구체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710)은 바디 부분(711), 관통홀(710H), 제1 고정축(710x) 및 제1 가이드 레일(710R)을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1 , the first bracket 710 may include a body portion 711, a through hole 710H, a first fixing shaft 710x, and a first guide rail 710R. .

바디 부분(711)은 윈드빔(11)에 거치되거나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수평 방향(x)으로 폭을 가지고 두께 방향(z)으로 연장되며, 두께 방향(z)의 양끝단에서 수직 방향(y)으로 밴딩되어 연장되어, 윈드빔(11)에 고정되거나 거치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711 may be mounted or fixed to the wind beam 11, and for this purpose, it has 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extends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and has a vertic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thickness direction (z). It is bent and extended in (y), and can be fixed or mounted on the wind beam 11.

이와 같은 바디 부분(711)의 가운데 부분에는 관통홀(710H)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통홀(710H)은 두께 방향(z)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관통홀(710H)의 내부에는 제1 고정축(710x)이 두께 방향(z)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A through hole 710H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711 . The through hole 710H may extend lo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and the first fixing shaft 710x may extend lo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inside the through hole 710H.

제1 고정축(710x)의 길이 방향 양끝단은 바디 부분(71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고정축(710x)은 제2 브라켓(7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고정축(710x)은 외측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스크루 타입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고정축(710x)을 회전시킴에 따라, 제2 브라켓(720)은 두께 방향(z)으로 이동할 수 있다.Both ends of the first fixed shaft 710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ixed to the body portion 711 , and the first fixed shaft 710x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racket 720 . The first fixing shaft 710x may have a screw type shape with a thread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s the first fixing shaft 710x is rotated, the second bracket 720 moves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z). can move to

제1 가이드 레일(710R)은 제1 고정축(710x)으로부터 양쪽 수평 방향(x)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 레일(710R)의 외측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홈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rail 710R may be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ing shaft 710x in both horizontal directions (x), and a recessed groove recessed inward may b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rail 710R. can

제2 브라켓(720)은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연장부(720a)와 수직 연장부(720b)를 포함할 수 있고, 수평 연장부(720a)는 제1 브라켓(7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수평 연장부(720a)의 상부에 수직 연장부(720b)가 위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2 to 24 , the second bracket 720 may include a horizontal extension 720a and a vertical extension 720b, and the horizontal extension 720a is the first bracket 710. , and a vertical extension 720b may be positioned above the horizontal extension 720a.

수평 연장부(720a)는 수평 바디 프레임(720a1), 두께 이동판(720a2), 제2 고정축(720ax), 제2 가이드 레일(720aR), 수평 고정핀(720a4) 및 수평 이동판(720a3)을 구비하고, 수직 연장부(720b)는 수직 바디 프레임(720b1), 고정판(720b6), 제1 수직 이동판(720b3), 제2 수직 이동판(720b2), 제3 고정축(720bx), 제3 가이드 레일(720bR), 수직 고정핀(720b5) 및 가이드 실린더(720b4)를 구비할 수 있다.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720a includes a horizontal body frame 720a1, a thickness moving plate 720a2, a second fixing shaft 720ax, a second guide rail 720aR, a horizontal fixing pin 720a4, and a horizontal moving plate 720a3. , and the vertical extension part 720b includes a vertical body frame 720b1, a fixing plate 720b6, a first vertical moving plate 720b3, a second vertical moving plate 720b2, a third fixing shaft 720bx, and a first vertical moving plate 720b3. 3 guide rails 720bR, vertical fixing pins 720b5 and guide cylinders 720b4 may be provided.

보다 구체적으로, 수평 연장부(720a)는 수평 바디 프레임(720a1), 두께 이동판(720a2), 제2 고정축(720ax), 제2 가이드 레일(720aR), 수평 고정핀(720a4) 및 수평 이동판(720a3)을 구비하여, 수평 연장부(720a)가 제1 브라켓(710) 상에서 두께 방향(z)으로 이동하고, 수직 연장부(720b)가 수평 연장부(720a) 상에서 수평 방향(x)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720a includes a horizontal body frame 720a1, a thickness moving plate 720a2, a second fixing shaft 720ax, a second guide rail 720aR, a horizontal fixing pin 720a4, and a horizontal movement. With the plate 720a3, the horizontal extension 720a mov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on the first bracket 710, and the vertical extension 720b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on the horizontal extension 720a. can be moved to

수평 연장부(720a)의 수평 바디 프레임(720a1)은 수평 연장부(720a)의 본체를 형성하고, 수평 방향(x) 및 두께 방향(z)으로 연장되어,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4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rizontal body frame 720a1 of the horizontal extension 720a forms the main body of the horizontal extension 720a,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and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an open central portion. It can be made into a frame.

두께 이동판(720a2)은 수평 바디 프레임(720a1)의 하단에 4각형의 판형상을 가지고 위치하여 고정되고, 두께 이동판(720a2)의 하부 수평 방향(x) 양쪽 제1 가이드 레일(710R)의 함몰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결합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The thickness moving plate 720a2 is positioned and fixed at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body frame 720a1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guide rail 710R in the lower horizontal direction (x) of the thickness moving plate 720a2. A guide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recessed groove may be provided.

두께 이동판(720a2)의 하부 중앙 부분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두께 이동부재(720a5)가 구비되어, 제1 고정축(710x)이 삽입될 수 있다.A thickness shifting member 720a5 protruding downward is provided at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thickness shifting plate 720a2 so that the first fixing shaft 710x can be inserted therein.

이와 같은 두께 이동부재(720a5)는 제1 고정축(710x)이 삽입되는 내측면에 나사선이 구비되어, 제1 고정축(710x)이 회전함에 따라, 제1 고정축(710x)의 길이 방향인 두께 방향(z)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thickness shifting member 720a5 is provided with a thread on the inner surface into which the first fixing shaft 710x is inserted, and as the first fixing shaft 710x rotat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shaft 710x It can be mov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제2 고정축(720ax)은 수평 바디 프레임(720a1)의 내부에 수평 방향(x)으로 길게 연장되어 구비되고, 수평 방향(x) 양 끝단이 수평 바디 프레임(720a1)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축(720ax)은 외측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스크루 타입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고정축(720ax)을 회전시킴에 따라, 수직 연장부(720b)가 수평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fixed shaft 720ax is provided to exten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inside the horizontal body frame 720a1, and both 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may be fixed to the horizontal body frame 720a1. The second fixed shaft 720ax may have a screw type shape with a thread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s the second fixed shaft 720ax is rotated, the vertical extension 720b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can

제2 가이드 레일(720aR)은 수평 바디 프레임(720a1)의 상부에 위치하되, 제2 고정축(720ax)으로부터 두께 방향(z)으로 이격되어, 수평 방향(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외측면에 함몰홈이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rail 720aR is located above the horizontal body frame 720a1,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ixed shaft 720ax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and may exten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 recessed groove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수평 이동판(720a3)은 제2 가이드 레일(720aR)을 덮도록 구비되고, 수평 이동판(720a3)의 하부에는 제2 고정축(720ax)이 삽입되는 수평 이동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수평 방향(x) 이동 부재에서 제2 고정축(720ax)이 삽입되는 내측면에는 나사선이 구비되어, 제2 고정축(720ax)이 회전함에 따라, 수평 이동 부재는 제2 고정축(720ax)의 길이 방향인 수평 방향(x)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horizontal moving plate 720a3 is provided to cover the second guide rail 720aR, and a horizontal moving member into which the second fixing shaft 720ax is inserted may be provided below the horizontal moving plate 720a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movable member, a screw line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into which the second fixed shaft 720ax is inserted, and as the second fixed shaft 720ax rotates, the horizontally movable member moves along the second fixed shaft 720ax. It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which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수평 이동판(720a3)의 두께 방향(z) 양쪽 하부에는 제2 가이드 레일(720aR)의 함몰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결합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Guide coupling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depressions of the second guide rail 720aR may be provided at both lower portions of the horizontal moving plate 720a3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수평 고정핀(720a4)은 수평 바디 프레임(720a1)을 관통하여 구비되고, 수평 이동판(720a3)이 원하지 않게 수평 방향(x)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작업자가 제2 고정축(720ax)을 회전하여 수직 연장부(720b)를 수평 방향(x)으로 이동하여 미세 조정한 이후, 수평 고정핀(720a4)을 이용하여, 수직 연장부(720b)의 수평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horizontal fixing pin 720a4 is provided through the horizontal body frame 720a1 and can prevent the horizontal moving plate 720a3 from undesirably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For example, after the operator moves the vertical extension 720b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by rotating the second fixing shaft 720ax to make fine adjustments, using the horizontal fixing pin 720a4, the vertical extension 720b ) can be fixed in the horizontal position.

수직 연장부(720b)는 도 22 및 도 24(도 24에서는 제3 고정축(720bx)이 생략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바디 프레임(720b1), 고정판(720b6), 제1 수직 이동판(720b3), 제2 수직 이동판(720b2), 제3 고정축(720bx), 제3 가이드 레일(720bR), 수직 고정핀(720b5) 및 가이드 실린더(720b4)를 구비하여, 제3 가스켓이 수직 연장부(720b) 상에서 수직 방향(y)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2 and 24 (the third fixing shaft 720bx is omitted in FIG. 24), the vertical extension part 720b includes a vertical body frame 720b1, a fixing plate 720b6, and a first vertical moving plate. (720b3), a second vertical moving plate (720b2), a third fixing shaft (720bx), a third guide rail (720bR), a vertical fixing pin (720b5) and a guide cylinder (720b4), so that the third gasket is vertical It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y) on the extension part (720b).

수직 연장부(720b)의 수직 바디 프레임(720b1)은 수직 연장부(720b)의 본체를 형성하고, 수평 방향(x) 및 수직 방향(y)으로 연장되어,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4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vertical body frame 720b1 of the vertical extension 720b forms the main body of the vertical extension 720b,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the vertical direction (y), and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an open central portion. It can be made into a frame.

고정판(720b6)은 수평면을 구비하여, 수평면이 수평 연장부(720a)의 수평 이동판(720a3)에 고정되고, 수직 방향(y)으로 밴딩되어, 수직 방향(y)으로 연장되고, 수직 방향(y)으로 연장된 부분이 수직 바디 프레임(720b1)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plate 720b6 has a horizontal surface, the horizontal surface is fixed to the horizontal moving plate 720a3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720a, is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nd the vertical direction ( A portion extending in y) may b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body frame 720b1.

제3 고정축(720bx)은 수직 바디 프레임(720b1)의 내부에 수직 방향(y)으로 길게 연장되어 구비되고, 수직 방향(y) 양 끝단이 수직 바디 프레임(720b1)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고정축(720bx)은 외측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스크루 타입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3 고정축(720bx)을 회전시킴에 따라, 수직 방향(y) 제1, 2 이동판이 수직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third fixing shaft 720bx is provided to exten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y) inside the vertical body frame 720b1, and both 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y) may be fixed to the vertical body frame 720b1. The third fixed shaft 720bx may have a screw type shape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s the third fixed shaft 720bx is rotated, the first and second moving pl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 y) can be moved.

가이드 실린더(720b4)는 제3 고정축(720bx)에 수평 방향(x) 양쪽으로 이격되어, 수직 바디 프레임(720b1)의 내부에 수직 방향(y)으로 길게 연장되어 구비되고, 수직 방향(y) 양 끝단이 수직 바디 프레임(720b1)에 고정될 수 있다.The guide cylinder 720b4 is spaced apart from the third fixed shaft 720bx i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is provided extending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y) inside the vertical body frame (720b1), and i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y). Both ends may be fixed to the vertical body frame 720b1.

제3 가이드 레일(720bR)은 수직 바디 프레임(720b1)의 전면에 위치하되, 제3 고정축(720bx)으로부터 수평 방향(x) 양쪽으로 이격되어, 수직 방향(y)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외측면에 함몰홈이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guide rail 720bR is located on the front of the vertical body frame 720b1, is spaced apart from the third fixing shaft 720bx in both directio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extends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 recessed groove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제1 수직 이동판(720b3)은 수직 바디 프렝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도 22와 같이, 수직 방향(y)으로 제3 고정축(720bx)과 가이드 실린더(720b4)가 수직 방향(y)으로 관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수직 이동판(720b3)에서 제3 고정축(720bx)이 관통되는 관통홀(710H)의 내부면에는 나사선이 구비되어, 제3 고정축(720bx)이 회전함에 따라, 제1 수직 이동판(720b3)은 제3 고정축(720bx)의 길이 방향인 수직 방향(y)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vertical moving plate 720b3 is installed inside the vertical body frame, and as shown in FIG. 22, the third fixing shaft 720bx and the guide cylinder 720b4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y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nd can be provided. In such a first vertical moving plate 720b3, a thread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710H through which the third fixing shaft 720bx passes, and as the third fixing shaft 720bx rotates, the first vertical moving plate 720bx rotates. The moving plate 720b3 ma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y, which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fixed shaft 720bx.

제2 수직 이동판(720b2)은 제1 수직 이동판(720b3)의 전면에 고정 배치되고, 제3 가이드 레일(720bR)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수직 이동판(720b2)의 수평 방향(x) 양쪽 내측에는 제3 가이드 레일(720bR)의 함몰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결합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vertical movement plate 720b2 may be fixedly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movement plate 720b3 and cover the third guide rail 720bR. Guide coupling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depressions of the third guide rail 720bR may be provid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second vertical moving plate 720b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수직 고정핀(720b5)은 수직 바디 프레임(720b1)을 관통하여 구비되고, 제1, 2 수직 이동판이 원하지 않게 수직 방향(y)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작업자가 제3 고정축(720bx)을 회전하여 제1, 2 수직 이동판(720b3, 720b2)을 수직 방향(y)으로 이동하여 미세 조정한 이후, 수직 고정핀(720b5)을 이용하여, 제1, 2 수직 이동판(720b3, 720b2)의 수직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vertical fixing pin 720b5 is provided through the vertical body frame 720b1 and can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moving plates from undesirabl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y). For example, after a worker finely adjusts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moving plates 720b3 and 720b2 by rotating the third fixing shaft 720bx in the vertical direction (y), using the vertical fixing pin 720b5 , the vertical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moving plates 720b3 and 720b2 may be fixed.

제3 브라켓(730)은 도 24와 같이, 제2 수직 이동판(720b2)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브라켓은 대블록 유닛(100)의 하지 철물(50)이 삽입 및 고정되는 수용홈(730R)과 수용홈(730R)의 뒤쪽에 두께 방향(z)으로 폭을 갖는 이격홀(730D)이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4 , the third bracket 730 may b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moving plate 720b2. Such a third bracket includes an accommodation groove 730R into which the supporting hardware 50 of the large block unit 100 is inserted and fixed and a spaced hole 730D having a wid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behind the accommodation groove 730R. ) may be provide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제2 브라켓(720)의 수평 연장부(720a)와 수직 연장부(720b)를 두께 방향(z), 수평 방향(x) 및 수직 방향(y)으로 움직여, 제3 브라켓의 두께 방향(z), 수평 방향(x) 및 수직 방향(y)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720a and the vertical extension part 720b of the second bracket 72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ov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horizontal direction (x), and vertical direction (y), Positions of the third bracket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horizontal direction (x), and vertical direction (y) can be adjusted.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3 브라켓에 고정되는 하지 철물의 두께 방향(z), 수평 방향(x) 및 수직 방향(y)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thickness direction (z), horizontal direction (x), and vertical direction (y) positions of the supporting hardware fixed to the third bracket.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대한 변경례는 앞선 도 19 내지 도 24에 대한 설명과 다르게, 제1, 2, 3 고정축(810x, 820ax, 820bx)이 스크루 타입의 형태를 갖지 않고,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3 고정축(810x, 820ax, 820bx)이 외측면에 나사선이 없는 실린더 타입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외에 나머지 구성 부분은 도 19 내지 도 24에서 설명한 제6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Unlike the previous description of FIGS. 19 to 24, the modification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xing shafts 810x, 820ax, and 820bx do not have a screw-type shape, and FIG. 25 As shown in ,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xing shafts 810x, 820ax, and 820bx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no thread on the outer surface. Other components may be the same as those of the sixth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to 24 .

이와 같이, 제1, 2, 3 고정축(810x, 820ax, 820bx)이 실린더 타입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외부에서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제1, 2, 3 고정축(810x, 820ax, 820bx) 방향으로 브라켓 모듈의 각 부분을 이동시켜, 제3 브라켓(830)의 위치가 두께 방향(z), 수평 방향(x) 및 수직 방향(y)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xed shafts 810x, 820ax, and 820bx have a cylindrical shape,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xed shafts 810x, 820ax, and 820bx are removed by using a separate external device. )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third bracket 830 can be mov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the horizontal direction (x), and the vertical direction (y).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모듈은 제1 브라켓(710)이 윈드빔(11)에 고정되고, 제3 브라켓이 대블록 유닛(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브라켓 모듈의 각 부분을 미세 조정하여, 대를록 유닛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어, 시공을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As such, in the bracket modul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racket 710 is fixed to the wind beam 11 and the third bracket is fixed to the large block unit 100, the bracket module By fine-tuning each part, the position of the block unit can be fine-tuned, making construction easier and safer.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rresponding embodiment, and unless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may be merged and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refore, in each embodiment, each technical feature is mainly described, but each technical feature may be merged and applied to each other unless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from the viewpoi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of this specification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Claims (15)

건축물에 고정되는 윈드빔에 맞닿아 위치하는 제1 브라켓;
수평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와 상기 수평 연장부로부터 상기 수평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 연장부가 제1 브라켓 위에 연결되는 제2 브라켓; 및
일단이 상기 제2 브라켓의 수직 연장부 상에 연결되고, 타단에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이 고정된 대블록 유닛의 하지 철물이 고정되는 제3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수평 방향, 상기 두께 방향 및 상기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3 브라켓의 타단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함몰된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3 브라켓의 일단과 상기 수용홈 사이에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상기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는 이격홀을 구비하는 브라켓 모듈을 이용한 건축용 구조체.
A first bracket located in contact with the wind beam fixed to the building;
A second horizontal extension part having a width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a vertical extension part having a width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being connected above the first bracket. Brackets; and
A third bracke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vertical extension of the second bracket and the other end to which a plurality of building exterior panels are fixed and supporting hardware of the large block unit is fixed;
The third bracket is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The other end of the third bracket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rec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building structure using a bracket module having a spaced hole having a wid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one end of the third bracket and the receiving groov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브라켓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수평 연장부에 상기 두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수평면 관통홀 및 상기 수직 연장부에 상기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수직면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브라켓 관통홀과 상기 제2 수평면 관통홀을 관통하는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2 브라켓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2 수직면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3 브라켓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3 브라켓이 서로 결합되는 브라켓 모듈을 이용한 건축용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racket has a first bracket through-hole extending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bracket includes a second horizontal surface through-hole extending lo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n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and a second vertical surface through-hole extending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vertical extension part,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first bracket through-hole and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through-hole;
A building structure using a bracket module in which the second and third bracket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vertical plane through-hole and fixed to the third bracke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 관통홀을 따라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수평면 관통홀을 따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제2 수직면 관통홀을 따라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브라켓 모듈을 이용한 건축용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bracket is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first bracket through-hole and movab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long the second horizontal plane through-hole;
The third bracket is a building structure using a bracket modul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econd vertical plane through-hol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 관통홀과 상기 제2 수평면 관통홀은 서로 오버랩되어 교차하는 브라켓 모듈을 이용한 건축용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3,
A building structure using a bracket module in which the first bracket through-hole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ne through-hole overlap and cross each oth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제1 하부 브라겟 부분과 상기 제1 하부 브라켓 부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상부 브라켓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상부 브라켓 부분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기어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수평 연장부에 상기 두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기어 관통홀 및 상기 수직 연장부에 상기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수직면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어 관통홀의 내측면에는 제1 기어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하부 브라켓 부분에 고정된 제1 기어가 상기 제1 기어홈에 맞물려 상기 제1 기어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2 기어 관통홀의 내측면에는 제2 기어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상부 브라켓 부분에 고정된 제2 기어가 상기 제2 기어홈에 맞물려 상기 제2 기어 관통홀을 관통하는 브라켓 모듈을 이용한 건축용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racket includes a first lower bracket portion and a first upper bracket portion positioned above the first lower bracket portion, wherein the first upper bracket portion includes a first gear through-hol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provide,
The second bracket includes a second gear through-hole extending lo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n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and a second vertical plane through-hole extending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vertical extension part,
A first gear groove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gear through hole, and a first gear fixed to the first lower bracket portion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groove to pass through the first gear through hole;
A second gear groove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gear through hole, and a second gear fixed to the first upper bracket part is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groove to pass through the second gear through hole. building structur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상부 브라켓 부분과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이동되는 브라켓 모듈을 이용한 건축용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6,
As the first gear rotates, the first upper bracket portion and the second bracket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building structure using a bracket module in which the second bracket mov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s the second gear rotat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에 구비된 상기 수평 연장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기어홈과 상기 두께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 기어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브라켓에 구비된 상기 수직 연장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3 기어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부에는 제1 기어홈에 맞물리는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홈에 맞물리는 제2 기어가 상기 제1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3 기어홈에 맞물리는 제3 기어가 상기 제3 브라켓에 고정되는 브라켓 모듈을 이용한 건축용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gear groov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second gear groove arrang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r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A third gear groov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extension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A first gear meshing with the first gear groove and a second gear meshing with the second gear groove are fixed to the first bracket at the bottom of the second bracket,
A building structure using a bracket module in which a third gear engaged with the third gear groove is fixed to the third bracket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3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브라켓 모듈을 이용한 건축용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8,
As the first gear rotates, the second bracket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the second gear rotates, the second bracket mov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building structure using a bracket module in which the third bracke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third gear rotat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빔은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함몰홈을 구비하고, 상기 윈드빔의 함몰홈에 상기 제1 브라켓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브라켓 모듈을 이용한 건축용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wind beam has a recessed groove that opens upward, and a structure for building using a bracket module in which a part of the first bracket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recessed groove of the wind bea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블록 유닛에 구비된 복수의 하지 철물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하지 철물과 상기 제1 하지 철물의 측면에 볼트 결합되어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하지 철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지 철물은 상기 제3 브라켓의 수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브라켓 모듈을 이용한 건축용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supporting hardware provided in the large block unit
A first supporting hardwar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supporting hardwar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being bolted to a sid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ing hardware,
A building structure using a bracket module in which the first supporting hardware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third bracket.
받침대로 이용되는 정반 위에 복수의 하지 철물을 배치하여, 상기 정반 위에서 상기 복수의 하지 철물을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조립하여 결합하는 하지 철물 배치 단계;
상기 복수의 하지 철물 상에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을 결합하는 대블록 유닛 형성 단계;
상기 대블록 유닛을 건축물에 설치된 윈드빔에 미리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 모듈에 고정하는 거치 단계; 및
상기 브라켓 모듈에 상기 대블록 유닛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대블록 유닛을 수평 방향, 수직 방향 및 두께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움직여 미세 조정하는 미세 조정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 조정 단계 이후, 상기 브라켓 모듈에 구비된 제1, 2, 3 브라켓 모듈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고정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 모듈은
상기 거치 단계 이전에, 상기 윈드빔에 결합 및 고정되는 제1 브라켓;
수평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와 상기 수평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 연장부가 제1 브라켓 위에 연결되는 제2 브라켓; 및
일단이 상기 제2 브라켓의 수직 연장부 상에 연결되는 제3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브라켓의 타단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함몰된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3 브라켓의 일단과 상기 수용홈 사이에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상기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는 이격홀을 구비하고,
상기 거치 단계에서 상기 제3 브라켓의 수용홈에 상기 대블록 유닛의 하지 철물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건축용 구조체를 이용한 시공 방법.
A foundation hardware arranging step of arranging a plurality of underlying hardware on a surface plate used as a stand, and assembling and combining the plurality of underlying hardware using a connecting member on the surface plate;
A large block unit forming step of combining a plurality of building exterior panels on the plurality of supporting hardware;
A mounting step of fixing the large block unit to a bracket module pre-fixed to a wind beam installed in a building; and
a fine adjustment step of finely adjusting the large block unit by moving the large block unit in at least one of a horizontal direction, a vertical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using the bracket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large block unit is fixed to the bracket module; Including,
After the fine adjustment step, a fixing step of fix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bracket modules provided in the bracket module so that they do not move; further comprising,
The bracket module
Prior to the mounting step, a first bracket coupled to and fixed to the wind beam;
A horizontal extension having a width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a vertical extension having 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horizontal extension, the horizontal extension being connected to a first bracket. 2 brackets; and
A third bracke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vertical extension of the second bracket;
The other end of the third bracket has a receiving groove rec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separation hole having a wid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between one end of the third bracket and the receiving groove,
In the mounting step,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building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ing hardware of the large block uni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third bracket and fixed.
삭제delet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조정 단계는 상기 제1 브라켓이 윈드빔에 고정되고, 상기 제3 브라켓에 상기 대블록 유닛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브라켓을 상기 수평 방향 또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상기 제3 브라켓이 상기 수직 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제3 브라켓에 고정된 상기 대블록 유닛을 수평 방향, 수직 방향 및 두께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움직여 미세 조정하는 건축용 구조체를 이용한 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fine adjustment step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racket is fixed to the wind beam and the large block unit is fixed to the third bracket,
By moving the second bracke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thickness direction, or by moving the third bracke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arge block unit fixed to the third bracket is moved in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A construction method using a building structure that moves in one direction and makes fine adjustments.
삭제delete
KR1020200016331A 2020-02-11 2020-02-11 Building structure using bracket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KR1025020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331A KR102502043B1 (en) 2020-02-11 2020-02-11 Building structure using bracket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331A KR102502043B1 (en) 2020-02-11 2020-02-11 Building structure using bracket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856A KR20210101856A (en) 2021-08-19
KR102502043B1 true KR102502043B1 (en) 2023-02-21

Family

ID=7749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331A KR102502043B1 (en) 2020-02-11 2020-02-11 Building structure using bracket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04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681B1 (en) * 2016-02-18 2018-06-05 김윤상 The structure of metal panel roof-truss supported by double purlin of assembling type
KR101881552B1 (en) * 2016-02-12 2018-07-24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Joint structure with the correction device of construction for the module build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552B1 (en) * 2016-02-12 2018-07-24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Joint structure with the correction device of construction for the module building
KR101864681B1 (en) * 2016-02-18 2018-06-05 김윤상 The structure of metal panel roof-truss supported by double purlin of assembling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856A (en)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9810B2 (en) Groundwork stand for outer wall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CN102333625A (en) Method for producing concrete trestle, concrete trestle, and connecting member
KR101587400B1 (en) For any mold of construction for an extension of Bridge Deck
KR101948307B1 (en)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outer wall
DE1609535B1 (en) Connection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supports made of reinforced concrete
WO2003078849A3 (en) Rapid assembly steel framing
KR20100018378A (en) Member supported post for construction work
KR101926389B1 (en) Framed rebar concrete column
KR102502043B1 (en) Building structure using bracket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US11479929B2 (en) Formwork system and method
JP4669955B2 (en) Anchor frame
JP6124444B2 (en) Structure dismantling system
JP2017137697A (en) Column or beam structure
JP2012207379A (en) Structure demolition system
CN219060904U (en) Support for fixing building engineering templates
CN100535370C (en) Fence construction systems
CN218758739U (en) Supporting mechanism for stand column template
WO2012016268A2 (en) Method for producing prefabricated structural parts
AT513706A1 (en) radio station
CN213087052U (en) Movable assembly type integrated box-type house
US11391034B2 (en)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wall panel
CN215212555U (en) Assembled reinforcing bar processing protection canopy
CN115749262A (en) Supporting mechanism and supporting method for upright column template
CN213773791U (en) Innovative modular house frame
DE10017564A1 (en) Positioning device for supports for floor panels for false floors has frame with stop elements in fixed pattern, and height adjustment device to align supports relative to floor and horizon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