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147B1 - 목재 데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목재 데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147B1
KR102500147B1 KR1020210064895A KR20210064895A KR102500147B1 KR 102500147 B1 KR102500147 B1 KR 102500147B1 KR 1020210064895 A KR1020210064895 A KR 1020210064895A KR 20210064895 A KR20210064895 A KR 20210064895A KR 102500147 B1 KR102500147 B1 KR 102500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frame
bracket
support frame
dec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7160A (ko
Inventor
장준호
Original Assignee
(주)태영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영기업 filed Critical (주)태영기업
Priority to KR102021006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147B1/ko
Publication of KR20220157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는, 설치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지지프레임; 적어도 2개의 지지프레임을 받침으로 하여 작어도 2개의 지지프레임의 상부 길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지지프레임과 마주하는 하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형성하는 삽입홈이 마련되는 데크프레임; 하면이 지지프레임의 폭과 상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며, 삽입홈에 끼워 맞춰져 데크프레임과의 고정력을 형성하는 제 2 몸체로 형성되는 제 1 브라켓; 상기 제 1 브라켓과 데크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어, 데크프레임을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 2 브라켓; 상기 제 1 브라켓과 지지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데크프레임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제 1 브라켓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제 1 완충수단 및 데크프레임이 이루는 간격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데크프레임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여, 데크프레임을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고정하면서도 고정력을 수평과 수직으로 동시에 작용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목재 데크 어셈블리 {Wood deck assembly}
본 발명은 목재 데크 어셈블리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데크프레임을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고정하면서도, 데크프레임을 통해 지지프레임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종래의 데크 어셈블리보다 내구성이 향상된 목재 데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하천이나 강변, 공원내의 차도를 따라 설치되는 보도나 산책로 및 경사로 등에 목재 데크가 설치되고 있으며, 목재 데크는 목재라는 자연친화적인 재질로 인해 보행자에게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주고 보행 시 탄력감 및 충격흡수 기능이 우수하여 피로감을 덜 느끼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목재 데크는 인접하여 다수의 목재패널을 배열한 후 목재패널 표면에 못 또는 피스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공되었는데, 목재패널이 고정나사에 의해 관통되어 고정됨에 따라 목재패널이 갈라지거나, 온도 및 습도의 상승에 따라 목재패널이 팽창하면 밀착된 목재패널의 연결부위가 파손되곤 하였고, 또한 배수가 원활하지 못해 목재패널이 썩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고정방식은, 목재패널을 지지대에 단순 수직으로만 압박해서 고정함에 따라, 수평으로 작용하는 응력에 취약할 수 밖에 없었으며, 목재패널의 상면 일부위를 압박하고 있으므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목재의 특성상 압박부위가 수축하게 되므로 고정력이 점차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고안된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2086303호 “체결력이 향상된 연결브라켓을 갖는 데크로드” 및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22146호 “데크조립체”와 같은 결합 방식과 구조를 가지는 목재 데크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어있다.
하지만 종래 고안된 구조로는 여전히 수평으로 작용하는 응력에 취약할 수 밖에 없었으며, 목재패널과 브라켓을 삽입하는 과정이 어려워서 시공에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되는 목재 데크 어셈블리는, 고정홈과 브라켓의 형상이 복잡하게 형성됨에 따라 제조에 필요한 공수가 증가되어 결국,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이 동반 상승하게 문제가 있었으며,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목재 데크 어셈블리에 관한 기술개발이 절실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목재 패널을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고정하면서도, 데크프레임을 통해 지지프레임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종래의 데크 어셈블리보다 내구성이 향상된 목재 데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는, 설치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지지프레임; 적어도 2개의 지지프레임을 받침으로 하여 작어도 2개의 지지프레임의 상부 길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지지프레임과 마주하는 하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형성하는 삽입홈이 마련되는 데크프레임; 하면이 지지프레임의 폭과 상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며, 삽입홈에 끼워 맞춰져 데크프레임과의 고정력을 형성하는 제 2 몸체로 형성되는 제 1 브라켓; 상기 제 1 브라켓과 데크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어, 데크프레임을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 2 브라켓; 상기 제 1 브라켓과 지지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데크프레임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제 1 브라켓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제 1 완충수단 및 데크프레임이 이루는 간격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데크프레임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브라켓은, 상기 삽입홈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삽입홈에 고정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수직 두께와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되며, 지지프레임의 일면에 고정됨으로써 고정력을 형성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브라켓의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는, 힌지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가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2 브라켓과 데크프레임의 사이에 삽입되어, 데크프레임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 2 완충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두께를 가진 상태에서, 지지프레임의 폭과 상응하는 면적을 가지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로는 나사수용홈이 형성되는 제 1 몸체부 및 상기 제 1 몸체부에 삽입된 나사의 단부를 커버하는 제 1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두께를 가진 상태에서, 데크프레임의 두께와 상응하는 높이로 마련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단부로부터 데크프레임의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로 형성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ㅗ'의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내부로는 나사수용홈이 형성되는 제 2 몸체부 및 상기 제 2 몸체부에 삽입된 나사의 단부를 커버하는 제 2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가 데크프레임의 하방과 맞닿는 면에는, 데크프레임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 2 완충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가 제 1 완충수단의 상면과 맞닿는 면에는, 제 1 완충수단과 맞닿아 고정력을 형성함으로써, 데크프레임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고정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는, 상기 데크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데크프레임간의 간격에 상응하는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데크프레임간에 형성된 간격에 삽입되어 간격의 사이로 침습하는 유체를 흡수하고, 데크프레임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 4 완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는, 데크프레임을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고정하면서도, 데크프레임을 통해 지지프레임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종래의 데크 어셈블리보다 내구성이 향상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는, 데크프레임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횡의 방향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 2 완충수단과 함께, 데크프레임에서 수직의 방향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 3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보다 효과적인 충격흡수가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는, 특정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된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간격유지부재로 하여, 보다 효과적인 완충효과를 도출함과 동시에, 간격유지부재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는, 데크프레임 간격 사이에 삽입되어 간격의 사이로 침습하는 유체를 흡수할 수 있는 제 4 완충부재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가 시공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브라켓의 구체적인 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부품의 정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측단면도이며, 도 5 는 도 1 의 정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힌지에 의해 회동하는 제 2 브라켓의 구성과, 제 2 완충수단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정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몸체부와 제 1 커버부로 형성되는 간격유지부재의 예시도이다.
도 9 는 수직부와 수평부로 형성되는 제 2 몸체부를 이용하여 시공한 목재 데크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다.
도 10 은 제 3 완충수단이 구비된 목재 데크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다.
도 11 은 고정돌기가 마련된 목재 데크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다.
도 12 는 제 4 완충수단이 구비된 목재 데크 어셈블리의 분해예시도이다.
도 13 은 흡수부재와 완충부재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제 4 완충수단의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1)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 1 내지 13 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1)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가 시공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브라켓의 구체적인 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부품의 정면도이고, 도 4 는 도 1 의 측단면도이며, 도 5 는 도 1 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1)는, 지지프레임(10), 데크프레임(20), 제 1 브라켓(30), 제 2 브라켓(40), 제 1 완충수단(50) 및 간격유지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본 발명을 시공 하는 작업자에 의해 설치면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단면이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작업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목재 데크 어셈블리(1)의 총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이후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될 구성요소들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본 발명의 목재 데크 어셈블리(1)를 이용하는 보행자(사용자)의 하중을 용이하게 견딜 수 있도록, 강철 또는 탄소가 포함된 합성 금속과 같이 강한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프레임(20)은, 적어도 2개의 지지프레임(10)을 받침으로 하여, 지지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거치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크프레임(20)의 가장 바람직한 구성으로는, 목재패널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는 데크를 형성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소재일 뿐,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데크를 이루기 위해 이용되는 강철 또는 플라스틱과 같이 데크 프레임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소재가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프레임(20)의 하측면에는, 데크프레임(20) 내측의 방향으로 소정 깊이 마련되는 삽입홈(21)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21)은, 전체적인 형상이 'T'의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데크프레임(21)에 삽입홈(21)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밀링 또는 레이저 또는 열압착과 같은 성형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21)은, 데크프레임(20)의 측면에서,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홈(21)이 데크프레임(21)에 복수개 마련될 경우, 상기 삽입홈(21)은,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크프레임(20)의 내부에 삽입홈(21)이 지나치게 많이 구비될 경우, 삽입홈(21)을 형성하기 위한 가공단계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데크프레임(20)의 내부에서 복수개로 형성되는 중공부로 인하여 데크프레임(20)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데크프레임(20)의 형상이 변형될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작업환경 또는 작업자의 설계 방식에 따라 상기 삽입홈(21)은 데크프레임(20)의 내부에서 적당한 개수와 간격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브라켓(30)은,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됨으로써 데크프레임(20)과의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제 1 몸체(31)와 제 2 몸체(32)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브라켓(30)은, 사용자의 하중과 데크프레임(20)의 하중을 용이하게 견딜 수 있도록, 강한 강성을 가지는 강철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 몸체(31)는, 하면이 지지프레임(10)의 폭과 상응하는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몸체(31)의 하면이 지지프레임(10)에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32)는, 상기 제 1 몸체(31)의 표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술되었던 데크프레임(20)에 형성되며, 'T'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삽입홈(21)의 형상과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몸체(32)는, 삽입홈(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워 맞춰짐으로써 데크프레임(20)과의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32)의 외면, 또는 삽입홈(21)의 내면에는, 데크프레임(20)을 통해 하방으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가 삽입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완충재란, 우레탄 고무재의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브라켓(30)과 데크프레임(20)간에는, 지지프레임(1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완화시켜줄 수 있어, 지지프레임(10)의 수명과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 2 브라켓(40)은, 상기 제 1 브라켓(30)과 데크프레임(20)의 일면에 결합됨으로써, 데크프레임(20)을 지지프레임(10)에 일체형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브라켓(40)은, 제 1 결합부(41)와 제 2 결합부(42)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 결합부(41)는, 상기 삽입홈(21)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삽입홈(21)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제 2 브라켓(40)에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되었던 제 1 브라켓(30)의 제 2 몸체(32)는, 데크프레임(20)의 끝단부보다 제 1 결합부(41)가 이루는 두께만큼 데크프레임(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어, 제 1 결합부(41)가 끼워 맞춰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부(42)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수직 두께와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되며, 지지프레임(10)의 일면에 고정됨으로써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부(42)가 지지프레임(10)에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나사(S)를 이용한 고정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S)를 박아넣기 위하여, 제 2 결합부(42)의 표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나사수용홈(SG)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완충수단(50)은, 상기 제 1 브라켓(30)과 지지프레임(10) 사이에 구비되어, 데크프레임(20)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완충수단(50)은, 우레탄 고무재와 같은 완충 효과를 가진 합성 완충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완충수단(50)이 제 1 브라켓(30)과 맞닿게되는 상면에는, 제 1 브라켓(3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 1 완충수단(50)이 지지프레임(10)과 맞닿게 되는 하면에는, 지지프레임(1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계수를 형성하는 합성 조성물 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60)는,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직교되도록 거치되는 데크프레임(20)과 데크프레임(20)의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데크프레임(20)간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격유지부재(60)는, 몸체(61)와, 커버(62) 및 이들을 관통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10)에 수직하게 파고드는 나사(S)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몸체(61)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의 형상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방으로는 접시머리 볼트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로는 나사가 박혀들 수 있는 나사수용홈(SG)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62)는, 상부가 접시머리 볼트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단부에 박혀드는 나사(S)의 단부를 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1)는, 데크프레임(20)을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고정하면서도, 데크프레임(20)을 통해 지지프레임(10)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종래의 데크 어셈블리보다 내구성이 향상된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보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1)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가 지지프레임(10)을 설치면과 평행하게 배열한 이후에, 데크프레임(20)에 마련된 삽입홈(21)에 제 1 브라켓(30)을 끼워넣는다.
다음으로, 지지프레임(10)의 상면에 제 1 완충부재(50)를 적층시킨 이후, 제 1 브라켓(30)이 끼워진 데크프레임(20)을 지지프레임(10)과 직교하도록 배열한다.
다음으로, 간격유지부재(60)를 데크프레임(20)의 간격 사이에 위치시킨 이후, 동일한 과정으로 제작된 데크프레임(20)을 간격유지부재(60)의 방향으로 밀착시킨다.
이후, 제 2 브라켓(40)을 데크프레임(20)의 삽입홈(21)에 끼워 넣은 이후, 제 2 브라켓(40)을 지지프레임(10)의 측면에 볼팅시켜 결합하는 방식으로 고정시켜 목재 데크 어셈블리(1)의 시공을 마무리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1)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며, 간편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구성요소들의 결합으로 인하여, 작업에 익숙하지 않은 작업자도 손쉽게 본 발명을 시공할 수 있으며, 목재 데크 어셈블리(1)에 문제가 발생시, 어셈블리를 이루는 구성들을 쉽게 분해하여, 문제가 발생된 구성을 용이하게 교체시킬 수 있어 시공과 동시에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힌지에 의해 회동하는 제 2 브라켓의 구성과, 제 2 완충수단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 은 도 6 의 정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브라켓(40)의 제 1 결합부(41)와 제 2 결합부(42)는, 이들이 결합되는 중단이 힌지(43)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제 1 결합부(41)와 제 2 결합부(42)가 힌지(43)를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1)는, 제 2 완충수단(7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완충수단(70)은, 제 1 완충수단(50)의 소재와 동일한 우레탄 고무재와 같은 완충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완충수단(70)은, 제 2 브라켓(4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제 2 브라켓(40)과 지지프레임(10)의 사이에서 빈틈없이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완충수단(70)은, 상기 제 2 브라켓(40)과 데크프레임(20)의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데크프레임(20)에서 발생되는 충격, 구체적으로, 데크프레임(20)과 평행한 방향인 횡의 방향(F1)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1)는, 제 1 완충수단(50)과 함께 구비되는 제 2 완충수단(70)으로 하여, 데크프레임(20)에서 수직하게 발생되는 충격 또는 응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음과 동시에, 데크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발생되는 충격 또는 응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몸체부와 제 1 커버부로 형성되는 간격유지부재의 예시도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격유지부재(60)는, 제 1 몸체부(610)와, 제 1 커버부(61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몸체부(610)는, 지지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두께를 가진 상태에서, 지지프레임(10)의 폭과 상응하는 면적을 가짐으로써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몸체부(611)의 중심에는, 나사(S)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수용홈(SG)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커버부(611)는, 상기 제 1 몸체부(610)에 삽입된 나사(S)의 단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격유지부재(60)는, 지지프레임(10)이 이루는 폭과 상응하는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상면에 거치된 제 1 완충부재(50)의 상면을 빈틈없이 가려주는 상태에서 이에 밀착되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맞닿는 표면적을 최대화하여, 간격유지부재(60)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9 는 수직부와 수평부로 형성되는 제 2 몸체부를 이용하여 시공한 목재 데크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고, 도 10 은 제 3 완충수단이 구비된 목재 데크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며, 도 11 은 고정돌기가 마련된 목재 데크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격유지부재(60)는, 지지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제 2 몸체부(620) 와 제 2 몸체부(620)에 삽입된 나사(S)의 단부를 커버하는 제 2 커버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몸체부(620)는, 수직부(621)와, 수평부(622)의 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수직부(621)는, 데크프레임(20)의 두께와 상응하는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622)는, 상기 수직부(621)의 하단부로부터 데크프레임(20)의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간격유지부재(60)가 이루는 전체적인 형상이 'ㅗ'의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0 을 참조하면, 상기 수평부(622)가 데크프레임(20)의 하방과 맞닿는 면에는, 데크프레임(20)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 3 완충수단(8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완충수단(80)은, 상술된 제 1 완충수단(50)과 제 2 완충수단(70)을 형성하기 위한 소재였던 우레탄 고무재가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1)는, 데크프레임(20)에서 수직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제 1 완충수단(50)과 함께 수평부(622)와 데크프레임(20)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 3 완충수단(80)으로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부(622)가 제 1 몸체(31)의 상면과 맞닿는 면에는, 서로 교차되는 형상을 가지는 고정돌기(622a, 32a)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1)는, 수평부(622)와 제 1 몸체(32)의 사이에서 서로 교차 결합되어 고정력을 형성하는 고정돌기(622a, 32a)로 하여, 제 2 브라켓(40)이 고정되기 이전, 거치되었던 다른 객체의 데크프레임(20)을 정해진 위치에 올바르게 위치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결합 이후에도, 보다 강한 체결력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목재 데크 어셈블리(1)의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2 는 제 4 완충수단이 구비된 목재 데크 어셈블리의 분해예시도이고, 도 13 은 흡수부재와 완충부재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제 4 완충수단의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1)는, 제 4 완충수단(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4 완충수단(90)은, 제 1 완충수단(50), 제 2 완충수단(70) 및 제 3 완충수단(80)을 이루기 위해 이용되었던 소재가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완충수단(90)은, 상기 데크프레임(2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완충수단(90)은, 데크프레임(20)간의 간격에 상응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즉, 간격유지부재(60)의 몸체(61)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4 완충수단(90)은, 데크프레임(20)간에 형성되는 간격의 사이 삽입되어, 데크프레임(20)에서 발생되는 충격, 구체적으로, 지지프레임(10)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지지프레임(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F2)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도 1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4 완충수단(90)은, 상단몸체를 이루는 흡수부재(91)와, 하단몸체를 이루는 완충부재(92)의 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수부재(91)는, 고 흡수성 수지를 소재로 형성되며, 헝겊, 천, 스펀지와 같이 수분을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1)는, 데크프레임(20)의 간격 사이에 삽입되어, 데크프레임(10) 간격의 사이로 침습하는 유체를 흡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제 4 완충부재(90)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쾌적하고, 안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 1 내지 1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데크 어셈블리(1)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목재 데크 어셈블리
10 : 지지프레임 20 : 데크프레임
21 : 삽입홈 30 : 제 1 브라켓
31 : 제 1 몸체 32 : 제 2 몸체
40 : 제 2 브라켓 41 : 제 1 결합부
42 : 제 2 결합부 43 : 힌지
50 : 제 1 완충수단 60 : 간격유지부재
61 : 몸체 62 : 커버
610 : 제 1 몸체부 611 : 제 1 커버부
620 : 제 2 몸체부 621 : 수직부
622 : 수평부 623 : 제 2 커버부
70 : 제 2 완충수단 80 : 제 3 완충수단
90 : 제 4 완충수단 91 : 흡수부재
92 : 완충부재 S : 나사
SG : 나사 수용홈 F : 충격의 방향

Claims (8)

  1. 설치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지지프레임;
    적어도 2개의 지지프레임을 받침으로 하여 작어도 2개의 지지프레임의 상부 길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지지프레임과 마주하는 하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형성하는 삽입홈이 마련되는 데크프레임;
    하면이 지지프레임의 폭과 상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며, 삽입홈에 끼워 맞춰져 데크프레임과의 고정력을 형성하는 제 2 몸체로 형성되는 제 1 브라켓;
    상기 제 1 브라켓과 데크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어, 데크프레임을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 2 브라켓;
    상기 제 1 브라켓과 지지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데크프레임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제 1 브라켓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제 1 완충수단 및
    데크프레임이 이루는 간격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데크프레임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목재 데크 어셈블리는,
    상기 데크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데크프레임간의 간격에 상응하는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데크프레임간에 형성된 간격에 삽입되어 간격의 사이로 침습하는 유체를 흡수하고, 데크프레임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 4 완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브라켓은,
    상기 삽입홈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삽입홈에 고정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수직 두께와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되며, 지지프레임의 일면에 고정됨으로써 고정력을 형성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브라켓의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는, 힌지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가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2 브라켓과 데크프레임의 사이에 삽입되어, 데크프레임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 2 완충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두께를 가진 상태에서, 지지프레임의 폭과 상응하는 면적을 가지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로는 나사수용홈이 형성되는 제 1 몸체부 및
    상기 제 1 몸체부에 삽입된 나사의 단부를 커버하는 제 1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두께를 가진 상태에서, 데크프레임의 두께와 상응하는 높이로 마련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단부로부터 데크프레임의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로 형성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ㅗ'의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내부로는 나사수용홈이 형성되는 제 2 몸체부 및
    상기 제 2 몸체부에 삽입된 나사의 단부를 커버하는 제 2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가 데크프레임의 하방과 맞닿는 면에는, 데크프레임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 3 완충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 어셈블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가 제 1 몸체의 상면과 맞닿는 면에는, 교차 형성되는 고정돌기가 마련되어, 데크프레임 또는 간격유지부재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 어셈블리
  8. 삭제
KR1020210064895A 2021-05-20 2021-05-20 목재 데크 어셈블리 KR102500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895A KR102500147B1 (ko) 2021-05-20 2021-05-20 목재 데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895A KR102500147B1 (ko) 2021-05-20 2021-05-20 목재 데크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160A KR20220157160A (ko) 2022-11-29
KR102500147B1 true KR102500147B1 (ko) 2023-02-16

Family

ID=8423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895A KR102500147B1 (ko) 2021-05-20 2021-05-20 목재 데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1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955B1 (ko) * 2013-04-02 2013-10-14 주식회사 누리텍 목재 체결용 티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KR101534651B1 (ko) * 2014-11-11 2015-07-09 (주)태영기업 목재데크의 고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의 시공방법
KR102086303B1 (ko) * 2019-11-07 2020-03-06 조광덕 체결력이 향상된 연결브라켓을 갖는 데크로드
KR102088625B1 (ko) * 2019-08-05 2020-03-13 김상현 목재를 이용한 바닥 데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197A (ko) * 2014-01-27 2015-08-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온 데크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데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955B1 (ko) * 2013-04-02 2013-10-14 주식회사 누리텍 목재 체결용 티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KR101534651B1 (ko) * 2014-11-11 2015-07-09 (주)태영기업 목재데크의 고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의 시공방법
KR102088625B1 (ko) * 2019-08-05 2020-03-13 김상현 목재를 이용한 바닥 데크시스템
KR102086303B1 (ko) * 2019-11-07 2020-03-06 조광덕 체결력이 향상된 연결브라켓을 갖는 데크로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160A (ko)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3824B1 (en) Flooring construction
RU2011147221A (ru) Напольная панель
KR100974494B1 (ko) 미닫이 창호
US8622169B2 (en)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rubber pad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floor using same
KR20150089514A (ko) 충격 진동 흡수 블록
KR102344623B1 (ko) 알루미늄 데크패널
KR102500147B1 (ko) 목재 데크 어셈블리
KR101867933B1 (ko) 고무패드 샌드위치 일체형 탄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US5444195A (en) Sound insulating device
KR101352280B1 (ko) 목재데크 체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체결구조
KR101283010B1 (ko) 변형방지가 가능한 목재 데크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00268A (ko) 건축용 패널의 시공구조
KR20120020891A (ko) 건축용 마감재
KR100863295B1 (ko) 탄성 목재 마루구조
KR101107753B1 (ko) 진동방지 및 내구성이 우수한 마루를 위한 마루틀 및 그것이 구비된 마루
CN210263700U (zh) 一种建筑装修用双凹槽轻质保温墙板
KR100624129B1 (ko) 간편시공이 가능한 마루 바닥재
KR102341131B1 (ko) 경량 석재데크
JP3470552B2 (ja) パネル
CN207110164U (zh) 一种夹置粘弹性层的减振复合木楼盖
KR100980142B1 (ko)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
KR102016720B1 (ko) 바닥 시공용 목재 마루판
US20090031666A1 (en) Reinforcing member for building and construction and reinforced structure using the reinforcing member
KR20120109223A (ko) 레일장선이 구비된 마루틀 및 마루널의 시공방법
KR102625868B1 (ko) 조립식 논슬립 계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