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631B1 - 포터블 석션기 - Google Patents

포터블 석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631B1
KR102499631B1 KR1020200133952A KR20200133952A KR102499631B1 KR 102499631 B1 KR102499631 B1 KR 102499631B1 KR 1020200133952 A KR1020200133952 A KR 1020200133952A KR 20200133952 A KR20200133952 A KR 20200133952A KR 102499631 B1 KR102499631 B1 KR 102499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unit
battery
cylindrical body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0361A (ko
Inventor
김영경
이규병
Original Assignee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3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6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50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M1/000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8Means for preventing overflow or contamination of the pumping systems
    • A61M1/782Means for preventing overflow or contamination of the pumping systems using valves with freely moving parts, e.g. float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6Connectors between drainage tube and handpiece, e.g. drainage tubes detachable from handpie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7Details of the aspiration tip,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개시되는 포터블 석션기는, 휴대 가능한 몸체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일단부가 장착되면서 타단부가 석션부위에 배치되어 체액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팁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석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석션 전원에 따라 상기 석선팁부를 통해 석션할 수 있는 석션 흡입압력을 제공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석션팁부 및 펌프부를 통해 흡입된 상기 체액 및 이물질을 수집하는 수집부; 전원 온오프신호 및 석션 조작신호를 각각 제공하며, 복수의 단계별 흡입압력에 따른 단계별 조작신호를 제공하는 입력부; 상기 석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 및 펌프부를 제어하며, 상기 단계별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단계별 흡입압력을 발생시켜 석션하도록 상기 배터리부 및 펌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부;를 포함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체액 및 이물질을 석션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터블 석션기{POTABLE SUCTION DEVICE}
본 발명(Disclosure)은, 포터블 석션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휴대 가능한 몸체를 가지면서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진공펌프를 구동하여 환자의 체내 삽입되는 1회용 석션팁을 통해 안전하게 체액 및 이물질을 흡입 및 수거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체액 및 이물질을 석션할 수 있는 포터블 석션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의료용 석션기는 환자를 진료 또는 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체액(예를 들면, 고름, 피, 가래, 타액, 분비물), 절삭물, 세척수 등의 적출물을 저진공압력을 발생시키는 석션펌프를 이용하여 환부로부터 강제로 석션하는 의료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의료용 석션기는 석션 목적에 따라서 일시적 석션과 지속적인 석션으로 구분되며, 목적에 적합한 석션기가 선택되어 사용되어지며, 소아과나 치과 등의 병의원에서 책상이나 테이블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데스크형 석션기와, 적출물을 별도의 하수시설을 통해 처리하는 시설물형 석션기로 대별되며, 이들 석션기 중 데스크형 석션기가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데스크형 의료용 석션기는 크게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흡입압력을 발생시키는 석션펌프와, 이 석션펌프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흡입압력이 작용하되, 환자의 환부에 진입하여 체액이나 이물질로 된 적출물을 흡입하는 흡입기와, 이 흡입기와 관으로 연결되어 흡입한 적출물을 수집하여 보관하는 석션탱크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의료용 석션기는 석션펌프에 연결된 흡입기가 환부로부터 적출물을 흡입하면, 흡입된 적출물은 별도의 석션탱크로 수거되어 보관되고, 이 석션탱크 내에 적출물이 채워지면 이를 분리하여 하수 처리함과 아울러 소독하여 재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의료용 석션기는 병원이나 요양원에서처럼 시설이 갖추어진 장소이외에도 가정에서 유아의 콧물 등을 흡입하거나, 가정에서 보살핌을 받는 환자의 체액이나 이물질을 흡입하는 등의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포터블 석션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1.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9725호(2012.04.03.등록)
본 발명(Disclosure)은, 휴대 가능한 몸체를 가지면서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진공펌프를 구동하여 환자의 체내 삽입되는 1회용 석션팁을 통해 안전하게 체액 및 이물질을 흡입 및 수거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체액 및 이물질을 석션할 수 있는 포터블 석션기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Disclosure)은, 체액 및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진공펌프를 구동하되, 복수의 단계별 흡입압력을 발생시켜 각 단계별 흡입압력에 따라 흡입하면서, 각 단계별로 기 설정된 압력범위 내에서 구동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전력 관리를 통해 배터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포터블 석션기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포터블 석션기는, 휴대 가능한 몸체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일단부가 장착되면서 타단부가 석션부위에 배치되어 체액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팁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석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석션 전원에 따라 상기 석선팁부를 통해 석션할 수 있는 석션 흡입압력을 제공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석션팁부 및 펌프부를 통해 흡입된 상기 체액 및 이물질을 수집하는 수집부; 전원 온오프신호 및 석션 조작신호를 각각 제공하며, 복수의 단계별 흡입압력에 따른 단계별 조작신호를 제공하는 입력부; 상기 석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 및 펌프부를 제어하며, 상기 단계별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단계별 흡입압력을 발생시켜 석션하도록 상기 배터리부 및 펌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부;를 포함한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포터블 석션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단계별 흡입압력에 대응하는 각 단계별 흡입압력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각 단계별 흡입압력에서 최대압력값에 도달한 경우 최소압력값까지 감소할 때까지 전원 공급을 조절하도록 상기 배터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포터블 석션기에서, 상기 펌프부는, 상기 수집부와의 연결부분에 역류 방지를 위한 일방향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포터블 석션기에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일방향밸브의 일단에 결합되는 배관어댑터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포터블 석션기에서, 상기 포터블 석션기는, 상기 석션팁부와 상기 펌프부의 결합부분에 구비되어 펌핑유량을 조절하면서 상기 석션팁부가 연결되는 연결어댑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포터블 석션기에서, 상기 연결어댑터부는, 상기 펌프부에 일단이 결합되면서 타단에 구비된 결합관에 통해 상기 석션팁부가 결합되는 어댑터몸체;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면서 상기 어댑터몸체의 내부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원통몸체; 상기 원통몸체의 상부에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원통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레버; 및 상기 원통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각각 다른 유량을 갖도록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유량조절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포터블 석션기에서, 상기 연결어댑터부는, 상기 원통몸체의 하단부가 탄성을 갖도록 상기 하단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 및 상기 복수의 슬릿을 통해 분할된 상기 원통몸체의 하단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포터블 석션기에서, 상기 연결어댑터부는, 상기 원통몸체 및 회전레버가 상기 어댑터몸체에 결합할 경우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레버의 하부에 구비되는 패킹;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가능한 몸체를 가지면서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진공펌프를 구동하여 환자의 체내 삽입되는 1회용 석션팁을 통해 안전하게 체액 및 이물질을 흡입 및 수거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체액 및 이물질을 석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체액 및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진공펌프를 구동하되, 복의 단계별 흡입압력을 발생시켜 각 단계별 흡입압력에 따라 흡입하면서, 각 단계별로 기 설정된 압력범위 내에서 구동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전력 관리를 통해 배터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석션기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석션기의 외부 및 내부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어댑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석션기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석션기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석션기의 외부 및 내부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어댑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석션기는 몸체부(110), 석션팁부(120), 배터리부(130), 펌프부(140), 수집부(150), 입력부(160), 제어부(170), 발광부(180), 연결어댑터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휴대 가능한 몸체를 구비하는데, 상부에는 석션팁부(120)가 결합될 수 있고, 하부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의 몸체를 가지면서, 수집부(150)가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10)는 상부에 연결어댑터부(190)가 구비되어 내부로는 펌프부(140)와 연결되면서 외부로는 석션팁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석션팁부(120)는 몸체부(110)에 일단부가 장착되면서 타단부가 석션부위에 배치되어 체액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것으로, 일단부에는 삽입 장착식, 회전 결합식 등의 방식으로 장착 가능한 결합구(121)를 구비하여 몸체부(110)에 쉽게 장착 및 탈착될 수 있고, 결합구(121)에서 연장된 석션관(122)이 연장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석션관(122)은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질로 끝단부가 구부러진 형태로 구비되거나, 혹은 플라스틱, 실리콘 등의 플렉서블한 재질로 원하는 형태로 구부러지게 변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석션관(122)의 끝단부에는 석션관(122)을 보호하면서 체액 및 이물질을 원활하게 석션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실리콘 등의 재질로 석션팁(123)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배터리부(130)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석션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12.6V, 200mAh 리튬이온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고, 리튬이온 충전 전용 충전기를 통해 충전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의 용량은 발광부(180)를 통해 그 용량에 따라 Full Battery, Low Battery 등에 대응하는 광(예를 들면, 녹색, 빨간색, 노란색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펌프부(140)는 석션 전원에 따라 석선팁부(120)를 통해 석션할 수 있는 석션 흡입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2V 진공펌프로 구비될 수 있고, DC 모터 컨트롤러인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속도가 제어됨으로써, 복수의 단계별 속도에 대응하는 복수의 단계별 흡입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펌프부(140)에는, 수집부(150)와의 연결부분에 역류 방지를 위한 일방향밸브(14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펌프부(140)에서 수집부(150)로 이동한 체액 및 이물질은 역류하지 않고 수집부(150)에 수집될 수 있다.
이러한 일방향밸브(141)는 종래에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수집부(150)는 펌프부(140)에 연결되어 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석션팁부(120) 및 펌프부(130)를 통해 흡입된 체액 및 이물질을 수집하는 것으로, 몸체부(110)의 내부에 펌프부(130)에 연결되어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집부(150)에는, 수집용기(151)의 입구에 구비되면서 일방향밸브(141)의 일단에 결합되는 배관어댑터(153)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배관어댑터(153)는 일단부가 수집용기(151)의 입구배관(152)에 걸려 결합되면서 타단부가 일방향밸브(141)의 출구부분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맞물려 회전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집용기(151)의 입구배관(152)와 배관어댑터(153)의 내부 사이에 오링(O-ring) 등을 포함하는 제 1 패킹(154)이 구비됨으로써, 배관어댑터(153)의 일단부가 일방향밸브(141)의 출구부분에 결합되면서 수집용기(151)의 입구배관(152)와 배관어댑터(153)의 내부 사이가 제 1 패킹(154)을 통해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집되는 체액 및 이물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전원 온오프신호 및 석션 조작신호를 각각 제공하며, 복수의 단계별 흡입압력에 따른 단계별 조작신호를 제공하는 것으로, 몸체부(110)의 외부에 구비된 전원입력버튼(161), 단계별조작버튼(162) 등을 통해 사용자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7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입력버튼(161)의 1회 입력 시 전원 온(on), 2회 입력 시 전원 오프(off) 등의 전원 조작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단계별조작버튼(162)의 1회 입력 시 1단계 속도, 2회 입력 시 2단계 속도, 3회 입력 시 3단계 속도 등의 단계별 조작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석션 조작신호에 따라 배터리부(130) 및 펌프부(140)를 제어하며, 단계별 조작신호에 따라 복수의 단계별 흡입압력을 발생시켜 석션하도록 배터리부(130) 및 펌프부(140)를 제어하는 것으로, 입력부(160)로부터 제공되는 단계별 조작신호에 따라 펌프부(140)를 단계별 흡입압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부(170)는 복수의 단계별 흡입압력에 대응하는 각 단계별 흡입압력범위를 설정하고, 각 단계별 흡입압력에서 최대압력값에 도달한 경우 최소압력값까지 감소할 때까지 전원 공급을 조절하도록 배터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펌프부(140)가 어느 하나의 단계에 대응하는 흡입압력으로 구동될 경우 펌프부(140)의 압력센서를 통해 진공펌프의 현재압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현재압력이 현재 구동된 단계에 대응하는 흡입압력범위에서 기 설정된 최소압력값보다 낮은 경우 배터리부(130)를 제어하여 진공펌프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추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후, 추가 전원의 공급에 따라 기 설정된 최소압력값보다 증가된 흡입압력에 따라 진공펌프가 체액 및 이물질을 흡입하여 수집부(150)에 수집하게 되는데, 추가 전원의 공급에 따라 현재압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기 설정된 최대압력값보다 높은 경우 배터리부(130)를 제어하여 진공펌프의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각 단계별로 기 설정된 흡입압력범위에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여 유지할 수 있으며, 차단되는 동안에는 배터리 소모가 없기 때문에 배터리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배터리부(130), 펌프부(140), 입력부(160), 제어부(170) 등의 전기적인 연결 및 배치는 몸체부(110)의 내부 공간에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연결 및 배치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발광부(180)는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몸체부(110)의 외부에 구비된 전원광(181), 단계표시광(182) 등을 통해 전원의 온(녹색) 및 오프(없음), 구동되는 단계(노란색, 파란색, 빨간색 등) 등을 서로 다른 광을 통해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연결어댑터부(190)는 석션팁부(120)와 펌프부(140)의 결합부분에 구비되어 펌핑유량을 조절하면서 석션팁부(120)가 연결되는 것으로, 어댑터몸체(191), 결합관(192), 원통몸체(193), 회전레버(194), 복수의 유량조절홀(195), 복수의 슬릿(196), 걸림턱(197), 제 2 패킹(19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어댑터몸체(191)는 펌프부(140)에 일단이 결합되면서 타단에 구비된 결합관(192)에 석션팁부(120)가 결합될 수 있고, 원통몸체(193)는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면서 어댑터몸체(191)의 내부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레버(194)는 원통몸체(193)의 상부에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으로 구비되어 원통몸체(19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어댑터몸체(191)의 내부홀과 석션팁부(120)가 결합되는 결합관(192)의 중공부는 복수의 유량조절홀(195)을 통해 연통될 수 있으며, 회전레버(194)를 회전시킴에 따라 복수의 유량조절홀(195)의 크기를 선택하여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유량조절홀(195)은 원통몸체(193)의 하부에 구비되며, 각각 다른 유량을 갖도록 관통 형성될 수 있는데, 원통몸체(193)의 회전에 따라 각각 다른 유량으로 체액 및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유량조절홀(195a)은 상대적으로 폭이 작은 크기이며, 제 2 유량조절홀(195b)은 상대적으로 폭이 큰 크기이기 때문에, 결합관(192)과 연통되는 위치로 회전될 경우 제 2 유량조절홀(195b)을 통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유량만큼 흡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유량조절홀(195a)과 제 2 유량조절홀(195b)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120도 간격으로 배열되거나, 60도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원통몸체(193)의 외주면에는 수직 길이방향으로 제 2 유량조절홀(195b)에서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유량조절홈(195c)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 2 유량조절홀(195b)은 원통몸체(193)의 내부와 연통되어 중앙부를 통해 흡입된 체액 및 이물질이 이동하는 반면에, 제 2 유량조절홀(195b)의 하부에 형성된 유량조절홈(195c)은 원통몸체(193)의 외주면에 내부로 오목한 홈의 형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원통몸체(193)의 외주면에 형성된 유량조절홈(195c)을 통해 추가로 흡입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슬릿(196)은 원통몸체(193)의 하단부가 탄성을 갖도록 하단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걸림턱(197)은 복수의 슬릿(196)을 통해 분할된 원통몸체(193)의 하단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오링(O-ring) 등을 포함하는 제 2 패킹(198)은 원통몸체(193) 및 회전레버(194)가 어댑터몸체(191)에 결합할 경우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회전레버(194)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197)은 원통몸체(193)가 어댑터몸체(191)에 장착된 상태에서 쉽게 탈착되지 않도록 하며, 복수의 슬릿(196)은 걸림턱(197) 부분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쉽게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제 2 패킹(198)은 원통몸체(193)가 어댑터몸체(191)에 장착된 상태에서 원통몸체(193)와 회전레버(194)의 경계면에서 체액 및 이물질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레버(194)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유량조절홀(195)이 각각 위치하는 지점에 그 유량의 정도를 표시하는 유량표시구(194a)가 구비됨으로써, 회전레버(194)의 회전 정도를 정확하게 맞추어 체액 및 이물질의 흡입 유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유량표시구(194a)가 1개, 2개, 3개 등과 같이 표시되는 것으로 하여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유량 정도를 구분하는 다양한 방식(예를 들면, LED, 숫자 등)으로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가능한 몸체를 가지면서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진공펌프를 구동하여 환자의 체내 삽입되는 1회용 석션팁을 통해 안전하게 체액 및 이물질을 흡입 및 수거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체액 및 이물질을 석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체액 및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진공펌프를 구동하되, 복수의 단계별 흡입압력을 발생시켜 각 단계별 흡입압력에 따라 흡입하면서, 각 단계별로 기 설정된 압력범위 내에서 구동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전력 관리를 통해 배터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8)

  1. 휴대 가능한 몸체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일단부가 장착되면서 타단부가 석션부위에 배치되어 체액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팁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석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석션 전원에 따라 상기 석션팁부를 통해 석션할 수 있는 석션 흡입압력을 제공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석션팁부 및 펌프부를 통해 흡입된 상기 체액 및 이물질을 수집하는 수집부;
    전원 온오프신호 및 석션 조작신호를 각각 제공하며, 복수의 단계별 흡입압력에 따른 단계별 조작신호를 제공하는 입력부;
    상기 석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 및 펌프부를 제어하며, 상기 단계별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단계별 흡입압력을 발생시켜 석션하도록 상기 배터리부 및 펌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단계별 흡입압력에 대응하는 각 단계별 흡입압력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각 단계별 흡입압력에서 최대압력값에 도달한 경우 최소압력값까지 감소할 때까지 전원 공급을 조절하도록 상기 배터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펌프부는, 상기 수집부와의 연결부분에 역류 방지를 위한 일방향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수집부는, 상기 일방향밸브의 일단에 결합되는 배관어댑터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석션팁부와 상기 펌프부의 결합부분에 구비되어 펌핑유량을 조절하면서 상기 석션팁부가 연결되는 연결어댑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어댑터부는,
    상기 펌프부에 일단이 결합되면서 타단에 구비된 결합관을 통해 상기 석션팁부가 결합되는 어댑터몸체;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면서 상기 어댑터몸체의 내부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원통몸체;
    상기 원통몸체의 상부에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원통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레버; 및
    상기 원통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각각 다른 유량을 갖도록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유량조절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어댑터부는,
    상기 원통몸체의 하단부가 탄성을 갖도록 상기 하단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 및
    상기 복수의 슬릿을 통해 분할된 상기 원통몸체의 하단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어댑터부는,
    상기 원통몸체 및 회전레버가 상기 어댑터몸체에 결합할 경우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레버의 하부에 구비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포터블 석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133952A 2020-10-16 2020-10-16 포터블 석션기 KR102499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952A KR102499631B1 (ko) 2020-10-16 2020-10-16 포터블 석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952A KR102499631B1 (ko) 2020-10-16 2020-10-16 포터블 석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361A KR20220050361A (ko) 2022-04-25
KR102499631B1 true KR102499631B1 (ko) 2023-02-13

Family

ID=8145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952A KR102499631B1 (ko) 2020-10-16 2020-10-16 포터블 석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63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725Y1 (ko) 2011-04-19 2012-06-13 김민희 의료용 석션장치
KR101496209B1 (ko) * 2013-05-25 2015-02-26 서현배 전자식 흡인기
KR101672010B1 (ko) * 2015-03-24 2016-11-09 (주)에이치앤비메디텍 의료용 흡인 장치
KR102039558B1 (ko) * 2016-10-17 2019-11-01 이현우 휴대형 의료용 진공 흡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361A (ko) 202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9620B2 (en) Canister status determination
US20110028921A1 (en) Portable wound therapy apparatus and method
CN109789251B (zh) 用于抽吸体液和用于输送物质的装置
US20020151837A1 (en) Surgical irrig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use
CN109715229B (zh) 具有驱动单元和连接件的抽吸和输送装置
WO2009004289A2 (en) Topical negative pressure system with status indication
CN201533924U (zh) 一种医院中央负压系统的微电脑多用途控制器
JP2018531670A (ja) 吸引及び栄養供給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のためのデュアルポートチューブ
JP2013163014A (ja) 医療・介護用吸引装置
KR102499631B1 (ko) 포터블 석션기
CN107158494A (zh) 吸奶器及吸奶器组件
CN201790874U (zh) 简易皮肤分离装置
CN210384500U (zh) 用于呼吸内科护理的吸痰装置
CN105412999A (zh) 一种梭形鳞片状正负压双相手泵
CN209464414U (zh) 输液通道转换装置
CN105250013A (zh) 吸盘式异物取出器
KR101028916B1 (ko) 의료용 흡입장치
CN206700457U (zh) 便携式吸引器
CN206809439U (zh) 一种牙科中央负压抽吸系统用选位阀
CN218979289U (zh) 一种便携式口腔临床吸唾器
CN112169045B (zh) 一种肿瘤内科护理用防堵塞引流管
CN208525510U (zh) 一种支气管镜吸痰装置
CN109876202B (zh) 一种内科护理用吸痰装置
CN213220342U (zh) 一种安全性高的吸痰管
CN219090405U (zh) 一种手术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