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356B1 - 디지털 티슈보관함 - Google Patents

디지털 티슈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356B1
KR102499356B1 KR1020210155048A KR20210155048A KR102499356B1 KR 102499356 B1 KR102499356 B1 KR 102499356B1 KR 1020210155048 A KR1020210155048 A KR 1020210155048A KR 20210155048 A KR20210155048 A KR 20210155048A KR 102499356 B1 KR102499356 B1 KR 102499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ser
screen
processor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무정
김하람
Original Assignee
조무정
김하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무정, 김하람 filed Critical 조무정
Priority to KR102021015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356B1/ko
Priority to PCT/KR2022/015902 priority patent/WO2023085633A1/ko
Priority to KR1020230016877A priority patent/KR102515140B1/ko
Priority to KR1020230016879A priority patent/KR20230069049A/ko
Priority to KR1020230016878A priority patent/KR102515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2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2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collecting data of us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2010/3668Detection of the presence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47K2010/389Accessories or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e.g. music boxes, clocks, heating devices or shelf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티슈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티슈를 보관하면서 시계, 달력, 액자 등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티슈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티슈보관함은 티슈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티슈를 상기 본체로부터 빼내기 위한 입구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화면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기 설정된 영역에서의 움직임 및 환경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티슈보관함{TISSUE BOX}
본 발명은 디지털 티슈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티슈를 보관하면서 시계, 달력, 액자 등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티슈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슈는 티슈 2장이 각각 반대 방향으로 겹쳐져 적층되고 한 장씩 연이어 인출되도록 상자에 넣어진 케이스 형태로 보관 및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티슈케이스는 주로 가정이나, 호텔, 음식점 등의 실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티슈케이스는 주로 식탁이나, 탁자 등에 놓여진 채 사용되는데, 식탁이나 탁자에는 티슈케이스 뿐만 아니라 달력, 시계, 액자 등 다양한 물건들이 같이 놓여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물건들이 식탁이나 탁자에 놓여져 있어 자리를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번잡해보이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티슈를 보관하면서 시계, 달력, 액자 등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티슈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티슈보관함은 티슈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티슈를 상기 본체로부터 빼내기 위한 입구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화면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기 설정된 영역에서의 움직임 및 환경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화면 구성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메인 화면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메인 화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화면 구성을 서브 화면으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던 메인 화면이 서브 화면으로 변경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메인 디스플레이로 설정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화면 구성을 서브 화면으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상기 서브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디지털 티슈보관함이 위치하는 공간의 조도,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결과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가 감지한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티슈보관함이 위치한 공간의 조도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밝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감지 결과, 감지된 조도 값과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의 밝기 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디스플레이의 밝기 값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제어하고, 감지된 조도가 낮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밝기가 낮아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도가 높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밝기가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기 설정된 영역에서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화면이 출력중인 디스플레이의 영역 내에서 상기 사용자와 가까운 일 영역측으로 상기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중 상기 사용자와 가까운 방향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에 상기 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기 설정된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결과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결과 및 상기 촬영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화면이 출력중인 디스플레이의 영역 내에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일 영역측으로 상기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중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에 상기 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결과 및 상기 촬영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티슈보관함과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비율이 증가되거나, 화면에 출력되는 글씨 크기가 증가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결과 및 상기 촬영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와 매칭되어 저장된 화면 구성 또는 화면 설정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음식의 종류에 따른 영양소 및 효능에 대한 영양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분석하여 촬영된 음식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영양 정보 중 판단된 음식에 해당하는 영양소 및 효능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양소 및 효능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계정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캘린더를 연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각 일정마다 설정된 알람 여부에 따라 알람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구부 인근에 설치되는 라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제스처가 감지되거나, 상기 디지털 티슈보관함에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라이트를 온오프하거나, 상기 라이트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음성 정보 등록 이후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상기 등록된 음성 정보의 내용과 비교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이 상기 등록된 음성 정보의 내용과 대응되는 경우, 상기 등록된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의 속도, 높낮이, 크기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의 사용자를 판단하고, 사용자마다 매칭되어 저장된 화면 설정을 기초로, 판단된 사용자의 화면 설정에 해당하는 화면의 밝기 및 글씨 크기가 적용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 또는 다른 단말과 연결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날씨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날씨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된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표시 순서 및 표시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설정된 표시 시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획득된 메뉴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메뉴 선택 명령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식재료의 원산지 정보, 영양소 성분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영양소 성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메뉴를 섭취 시 필요한 운동량을 산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온오프를 제어하되, 미리 정해진 시간 또는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온 또는 오프하거나, 상기 디지털 티슈보관함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상기 센서에 일정 시간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오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에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슈보관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콘센트와 유선으로 연결될 경우 상기 티슈보관함 및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콘센트와 연결되지 않을 경우 상기 배터리를 통해 상기 티슈보관함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거치대에 상기 단말기가 거치될 경우 상기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티슈를 보관하면서 시계, 달력, 액자 등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티슈보관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티슈보관함의 프로세서가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따른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 및 사용자의 시선에 따른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의 비율 및 글씨 크기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캘린더를 출력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의 종류에 따른 영양소 및 효능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 따른 약복용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 따라 변경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단계의 주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티슈보관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티슈보관함(10)은 티슈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된 본체(100), 본체(100)의 일면에 형성되고, 티슈를 본체(100)로부터 빼내기 위한 입구부(200), 본체(100)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화면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 본체(100)에 구비되어 기 설정된 영역에서의 움직임 및 환경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400) 및 사용자의 입력 또는 센서(400)로부터 감지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500)는 티슈보관함(10)에 내장되는 구성일 수 있다.
티슈보관함(10)은 통용적으로 사용되는 각티슈에 끼우는 형태로, 티슈보관함(10)의 일 면은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티슈보관함(10)의 아랫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티슈보관함(10)은 위에서 아래로 각티슈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티슈보관함(10)은 티슈를 내장하는 형태로, 티슈를 삽입할 수 있는 별도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슈보관함(10)의 아랫면은 뚜껑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아랫면을 열면 티슈를 내장할 수 있는 홀이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티슈보관함(10) 내부에 티슈를 내장한 후, 아랫면을 닫음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티슈보관함(10)이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티슈보관함(1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티슈보관함(10)은 통용적인 각티슈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이에 따라, 4개의 측면 및 아랫면과, 티슈를 빼내기 위한 입구부(200)가 구비된 윗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각티슈의 형태는 주로 직육면체의 형태나, 정육면체의 형태이며, 이에 따라 티슈보관함(10) 또한 직육면체의 형태나 정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300)는 티슈보관함(10)의 4개의 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티슈보관함(10)의 일면을 벽에 붙여 사용하는 경우 벽과 인접하는 일면은 디스플레이(300)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벽과 인접하는 일면을 제외한 3개의 측면에만 디스플레이(3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티슈보관함(10)을 벽에 붙여 사용할 경우, 모든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벽과 대향되는 일 면에만 디스플레이(300)가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300)가 복수개로 구비될 경우, 디스플레이(300)를 통해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많아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원하는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300)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화면을 통해 정보의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300)가 단일개로 구비될 경우, 티슈보관함(10)의 단가가 감소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티슈보관함의 프로세서가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5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300), 센서(400), 통신모듈(600), 라이트(700), 마이크(800), 카메라(90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0)는 사용자로부터 클릭 또는 터치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500)에서 제어되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설정 아이콘을 터치할 수 있고, 프로세서(500)는 각 화면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설정 아이콘을 터치한 경우 설정 화면이 출력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를 일정 시간동안 누르고 있거나, 여러 손가락으로 여러 번 터치를 하는 등 기 설정된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프로세서(500)는 설정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300) 각각에 표시된 설정 아이콘을 터치할 수 있고, 프로세서(500)는 터치 동작이 입력된 해당 디스플레이의 화면만을 설정할 후 있는 설정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메인 화면을 설정하고, 설정된 메인 화면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메인 화면은 별도의 입력이 없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에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디스플레이에는 일정에 대한 화면, 제2디스플레이에는 날씨에 대한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화면 구성으로 설정할 수 있고, 프로세서(50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화면 구성을 기초로, 제1디스플레이에는 일정에 대한 화면, 제2디스플레이에는 날씨에 대한 화면이 계속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메인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중에 다른 화면의 출력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메인 화면이 요청된 화면으로 변경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캘린더 화면을 기본 화면으로 출력하고 있는 디스플레이에서 날씨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싶을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캘린더 화면이 날씨 화면으로 변경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500)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날씨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별도의 종료버튼이 입력될 때까지 날씨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300)의 터치를 통한 입력, 특정 제스처를 통한 입력, 티슈보관함(10)과 연결되는 다른 단말을 통한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세서(500)는 메인 디스플레이를 설정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서브 화면이 메인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메인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중에 다른 화면의 출력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출력 요청된 화면을 메인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캘린더 화면을 기본 화면으로 출력하고 있는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날씨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싶을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캘린더 화면이 날씨 화면으로 변경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특정 제스처를 통한 입력, 티슈보관함(10)과 연결되는 다른 단말을 통한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가 다른 화면의 출력 요청을 위해 특정 제스처를 취한 경우 프로세서(500)는 해당 제스처에 해당하는 화면이 메인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 화면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또는 주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300) 화면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00)는 오전 6시 이후에는 디스플레이(300) 화면을 온하고, 밤 12시 이후에는 디스플레이(300) 화면을 오프할 수 있다. 여기서, 티슈보관함(10)이 복수의 디스플레이(300)를 구비하는 경우 모든 디스플레이(300)가 온 또는 오프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300)가 온 또는 오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500)는 티슈보관함(10)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서의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300) 화면을 오프하고, 디스플레이(300) 화면이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300) 화면을 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티슈보관함(10) 근처에 있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300)의 화면이 온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300)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티슈보관함(10) 근처에 없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300)의 화면이 오프되도록 제어하여, 티슈보관함(10)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움직임은 하기에서 설명할 센서(400) 또는 카메라(900)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500)는 사용자의 입력데 따라 메인 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디스플레이(301)에는 일정에 대한 화면, 제2디스플레이(302)에는 날씨에 대한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고, 프로세서(50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1디스플레이(301)에는 일정에 대한 화면, 제2디스플레이(302)에는 날씨에 대한 화면이 계속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센서(400)는 티슈보관함(10)이 위치하는 공간의 조도,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를 프로세서(5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400)는 조도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500)는 센서(400)가 감지한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현재 집안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프로세서(500)는 센서(400)로부터 티슈보관함(10)이 위치한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한 결과를 획득하여, 감지한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각티슈의 형태를 기초할 때, 티슈보관함(1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300)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300)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고, 인접하는 측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300)와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500)는 디스플레이(300)의 크기에 따라, 티슈보관함(10)이 위치한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출력할 화면의 구성을 변경하고, 디스플레이(300)의 크기에 따라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따른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 및 (b)는 서로 다른 크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동일한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디스플레이(301)는 가로로 긴 형태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고, 제2디스플레이(302)는 세로로 긴 형태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현재 시간, 온도 및 습도가 표시된 화면을 제1디스플레이(301)로 출력하는 경우 제1디스플레이(301)의 가로를 중심으로 3등분했을 때, 3등분된 영역 각각에 현재 시간, 온도, 습도로 구성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00)는 현재 시간, 온도 및 습도가 표시된 화면을 제2디스플레이(302)로 출력하는 경우 제2디스플레이(302)의 세로를 중심으로 2등분했을 때, 상기 영역은 현재 시간, 하기 영역은 가로를 중심으로 다시 2등분했을 때, 2등분된 영역 각각에 온도 및 습도로 구성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500)는 티슈보관함(10)이 위치한 공간의 조도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걸정된 밝기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500)는 조도에 따른 디스플레이(300)의 밝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조도에 따른 디스플레이(300)의 밝기는 세팅값일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00)는 조도에 따라 디스플레이(30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설정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설정하는 조도에 따른 디스플레이(300)의 밝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00)는 티슈보관함(10)을 사용중에 사용자가 설정한 디스플레이(300)의 밝기에 따라 티슈보관함(10)이 위치한 공간의 조도를 감지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500)는 저장되어 있는 조도 중 티슈보관함(10)이 위치한 공간의 조도 감지 결과와 동일한 값을 가지는 조도와 매칭된 디스플레이(300)의 밝기로 디스플레이(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도가 높은 낮 시간대에 디스플레이(300)의 밝기를 100%로 설정하고, 조도가 낮은 밤 시간대에 디스플레이(300)의 밝기를 30%로 설정했을 수 있고, 프로세서(500)는 이러한 조도에 따른 디스플레이(300)의 밝기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500)는 밤 시간대가 되었을 때, 디스플레이(300)의 밝기를 30%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감지된 조도가 낮은 경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의 밝기가 낮아지도록 제어하고, 조도가 높은 경우 적어도 한의 디스플레이(300)의 밝기가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서(400)는 기 설정된 영역에서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를 프로세서(5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센서(400)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화면이 출력중인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사용자와 가까운 일 영역측으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중 사용자와 가까운 방향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에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400)는 기 설정된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프로세서(500)는 센서(400)에서 감지된 결과를 기초로, 감지된 움직임의 대상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건이 떨어지거나, 흔들거리는 경우 센서(400)는 움직임을 감지하게 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이 움직이는 경우에도 센서(400)는 움직임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이에, 프로세서(500)는 움직이는 대상을 판단하여 움직인 대상이 사람인 경우에만 디스플레이(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00)는 센서(400)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결과 및 카메라(900)에서 기 설정된 영역을 촬영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900)는 본체(100)에 구비되어 기 설정된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결과를 프로세서(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영역은 카메라(900)가 촬영가능한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카메라(900)는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고, 프로세서(500)는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과, 센서(400)에서 감지된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사용자의 시선을 판단한 결과에 따라 현재 화면이 출력중인 디스플레이(300)의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일 영역 측으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중 사용자와 가까운 방향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에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 및 사용자의 시선에 따른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티슈보관함(10)의 측면에 위치해 있는 경우 프로세서(500)는 센서(400)에서 감지한 결과 및 카메라(900)에서 촬영한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가 티슈보관함(10)의 측면에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500)는 제1디스플레이(301)에 출력되는 화면이 사용자가 위치한 측면과 가까운 일 영역(A1)에서 출력되도록 화면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정면에서 제1디스플레이(301)를 보았을 때, 제1디스플레이(301)는 일 측으로 치우쳐진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500)는 사용자가 측면에 위치하고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위치한 측면과 가까운 방향에 위치하는 제2디스플레이(302)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디스플레이(301) 또는 제2디스플레이(302)에 출력되는 화면은 메인 화면이거나,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화면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500)는 감지된 결과 및 촬영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티슈보관함(10)과 사용자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00)는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 내의 사용자의 크기, 전체 이미지 내 사용자의 비율, 사용자의 어느 범위까지 촬영되었는지(예컨대, 머리부터 허리까지, 머리부터 다리까지 등)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사용자와의 거리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와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비율이 증가되거나, 화면에 출력되는 글씨 크기가 증가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먼 거리에서 디스플레이(300)를 보고 있는 경우, 프로세서(500)는 디스플레이(300) 화면의 비율을 증가시키거나, 화면에 출력되는 글씨 크기가 커지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는 정보를 좀 더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의 비율 및 글씨 크기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티슈보관함(10)과 사용자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미만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내고, (b)는 티슈보관함(10)과 사용자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500)는 감지된 결과 및 촬영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티슈보관함(10)과 사용자와의 거리를 판단하고, 사용자와의 거리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300)의 화면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비율이 증가되거나, 화면에 출력되는 글씨 크기가 증가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500)는 감지된 결과 및 촬영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와 매칭되어 저장된 화면 구성 또는 화면 설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화면을 설정하는 설정 화면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500)는 저장되어 있는 제스처가 인식된 경우, 해당 제스처와 매칭되어 저장된 화면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제스처를 수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될 화면을 설정하거나,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300)를 변경하는 등 다양한 동작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스처에 따라 제어되는 동작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티슈보관함(10)은 통신 모듈(600)을 통해 네트워크 서버 또는 다른 단말과 연결될 수 있고, 통신 모듈(600)은 네트워크 또는 다른 단말과 연결이 가능한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티슈보관함(10)과 연결되는 다른 단말은 사용자가 사용자는 스마트폰, PC,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300)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프로세서(50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획득되는 명령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300)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00)은 통신 모듈(600)을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날씨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날씨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00)는 통신 모듈(600)을 통해 특정 웹사이트와 연결될 수 있으며, 특정 웹사이트의 사용자 계정을 획득하여 특정 웹사이트와 티슈보관함(10)을 동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웹사이트는 구글, 네이버, 카카오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여러 사용자 각각에 대한 계정을 적어도 하나 이상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슈보관함(10)을 가정에서 사용하는 경우, 가족 구성원들이 티슈보관함(10)을 모두 사용함에 따라 가족 구성원들 각각에 대한 계정을 모두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계정에 저장된 캘린더를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캘린더에 저장된 일정 또한 연동하여,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500)는 지정된 사용자의 일정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복수의 사용자의 일정이 모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의 캘린더에 11월 6일, 11월 10일에 일정이 저장되어 있고, 제2사용자의 캘린더에 11월 8일에 일정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날짜의 순서대로 일정이 나열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각 일정의 사용자가 별도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500)는 각 사용자마다 지정된 색으로 일정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사용자마다 지정된 아이콘이 해당 사용자의 일정 옆에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각 사용자의 일정이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00)는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 해당 사용자의 일정만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500)는 각 일정마다 설정된 알람 여부에 따라 알람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500)는 캘린더를 연동할 때 저장되어 있던 알람에 따라 알람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티슈보관함(10)을 통해 별도로 설정된 알람에 따라 알람을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알람을 출력할 때, 해당 일정을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기 설정된 알람음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00)는 일정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00)의 밝기를 최대로 하거나, 라이트(700) 불을 온하거나, 깜빡거리거나, 색을 변화시키는 등의 제어도 할 수 있다.
한편, 캘린더를 계정에 따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300)에 출력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별도의 계정 입력 없이 프로세서(500)에 저장되어 있는 캘린더를 디스플레이(300)에 출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500)는 날짜에 따라 일정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일정에 따라 사용자를 구분할 수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캘린더를 출력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500)는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계정을 획득하고, 계정에 저장된 캘린더를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연동된 캘린더에 저장된 일정이 같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의 일정이 모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00)에는 딸의 일정으로 6일 내지 9일에 기말고사 일정 및 22일에 교내 과학 탐구대회 발표 일정이 표시되고, 아빠의 일정으로 10일에 조찬회의 일정이 표시되고, 엄마의 일정으로 20일에 교양 심포지엄 발표 일정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일정은 날짜의 순서대로 나열되어 출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각 사용자마다 지정된 색으로 일정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사용자마다 지정된 아이콘이 해당 사용자의 일정 옆에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각 사용자의 일정이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500)는 카메라(900)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분석하여 촬영된 음식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된 음식에 해당하는 영양소 및 효능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음식의 종류에 따른 영양소 및 효능에 대한 영양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영양 정보 중 판단된 음식의 종류에 해당하는 음식의 영양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의 종류에 따른 영양소 및 효능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500)는 카메라(900)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분석하여 촬영된 음식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된 음식에 해당하는 영양소 및 효능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00)는 식단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식단 메뉴에 해당하는 음식의 영양소 및 효능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00)는 식단을 추천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500)는 여러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는 식단을 구성하고, 구성된 식단에 대한 영양소 및 효능 정보가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도 7은 구성된 식단이 출력된 결과일 수 있다. 사용자는 식단을 구성하는 반찬 수를 설정할 수 있고, 프로세서(500)는 설정된 반찬의 수에 해당하는 식단을 구성하고, 구성된 식단이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500)는 사용자에 따른 약복용에 대한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사용자에 따라 복용해야하는 약과, 복용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는 입력 화면을 통해 복용해야하는 약과, 복용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저장하고, 저장된 내용을 기초로, 약을 복용해야 하는 시간에 맞추어 알람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알람은 스피커를 통해 소리나 음성이 출력되거나, 디스플레이(300)의 밝기를 키우거나, 라이트(700)를 온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 따른 약복용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500)는 사용자에 따라 복용해야하는 약과, 복용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는 입력 화면을 통해 복용해야하는 약과, 복용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저장하고, 저장된 내용이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500)는 사용자별, 시간별 약 복용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전체 화면에 약 복용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각 시간별 약 복용 정보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500)는 아침 시간대에는 아침에 복용할 약 복용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점심 시간대에는 점심에 복용할 약 복용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저녁 시간대에는 저녁에 복용할 약 복용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입구부(200) 인근에는 라이트(700)가 설치될 수 있다. 라이트(700)는 입구부(200)의 가장자리에 입구부(20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원형의 라이트(700)가 입구부(200)의 인근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500)는 라이트(70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고, 라이트(700)의 색상 변경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00)는 오후 6시 이후에 라이트(700)를 온하고, 오전 8시 이후에 라이트(700)를 오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00)는 라이트(700)를 오프된 상태로 유지하다가 별도로 마련된 버튼이 눌리거나 사용자의 입력이 획득된 경우 라이트(700)를 온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50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라이트(70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박수를 한번 칠 수 있고, 프로세서는(500)는 사용자의 이러한 동작이 감지되면 오프되어 있던 라이트(700)가 온되도록 제어하거나, 온되어 있는 라이트(700)가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00)는 온되어 있는 라이트(700)를 손가락으로 두번 빠르게 치는 경우 기 설정되어 있는 순서에 따라 색상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빨간색-노란색-초록색-파란색 순으로 색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50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이 입력되면 빨간색으로 온되어 있는 라이트(700)가 노란색으로, 노란색으로 온되어 있는 라이트(700)가 초록색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랜덤으로 색상이 변경되도록 제어하거나, 동작에 따라 색상이 지정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동작에 따른 색상이 켜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라이트(700)를 온오프하고, 라이트(700)의 색상을 변경하는 동작은 미리 설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라이트(700)를 온오프하거나, 색상을 변경하는 사용자의 동작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500)는 티슈보관함(10)에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라이트(700)를 제어할 수 있다. 티슈보관함(10)에는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가 부착될 수 있고, 센서가 충격을 감지한 결과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 프로세서(500)는 라이트(7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슈보관함(10)의 일 부분을 손바닥으로 치거나, 티슈보관함(10)을 들었다가 내려놓는 등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프로세서(500)는 라이트(700)를 온오프하거나 라이트(700)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은 티슈보관함에 무리가 가지 않는 정도의 강도일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본체(100)의 일면에 구비되는 마이크(800)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음성을 등록할 수 있는 화면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마이크(80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마이크(800)를 통해 입력된 음성의 높낮이, 속도, 크기 등을 분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500)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음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각 음성 정보에 대한 사용자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음성 정보 등록 이후에 마이크(80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등록된 음성 정보의 내용과 비교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마이크(80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분석하여 저장되어 있는 음성과 비교하여 대응되는 음성 정보가 있는지 비교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마이크(800)를 통해 입력된 음성과 대응되는 음성 정보가 있는 경우 등록된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명령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의 화면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날씨 알려줘'라고 명령한 경우, 프로세서(500)는 이 명령을 인식하여 날씨에 대한 화면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500)는 사용자가 티슈보관함(10)의 측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티슈보관함(10)의 측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300)에 날씨에 대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티슈보관함(10)은 여러 사용자들이 모이는 식탁, 탁자 등에 주로 놓여질 수 있고, 프로세서(500)가 사용자들끼리의 대화에서 음성을 인식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모든 음성을 분석하는데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게 되며, 사용자가 요청하지 않은 화면을 출력하는 오류가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500)는 특정 단어를 말한 뒤 말하는 음성에 대해서만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00)는 티슈보관함(10)의 제품명을 말한 뒤, 마이크(800)를 통해 획득되는 음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티슈보관함(10)에는 별도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고, 프로세서(500)는 해당 버튼을 눌린 후 마이크(800)를 통해 획득되는 음성을 분석하거나, 해당 버튼이 눌린 상태에서 마이크(800)를 통해 획득되는 음성을 분석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500)는 특정 단어가 포함된 음성을 분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해줘', '보여줘', '알려줘' 등의 단어가 포함된 경우, 해당 음성과 등록된 음성 정보를 비교하고, 음성을 통한 명령을 인식하여 디스플레이(3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마이크(800)를 통해 획득되는 음성을 분석하여 음성의 사용자를 추출하고, 사용자에 따라 디스플레이(300)에 표시되는 화면의 밝기 및 글씨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티슈보관함(10)에는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가 구비될 수 있고, 프로세서(50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음성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 출력되는 음성의 설정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할머니인 경우, 프로레서(500)는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최대가 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대한 답변을 읽어주는 속도가 느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 따라 변경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500)는 마이크(800)를 통해 획득되는 음성의 사용자에 따라 디스플레이(300)에 표시되는 화면의 밝기 및 글씨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날씨를 알려달라고 한 경우, 프로세서(500)는 날씨에 관한 화면이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획득된 음성의 사용자가 할머니인 경우 프로세서(500)는 글씨 및 아이콘 등의 크기가 확대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프로세서(500)는 화면의 밝기를 최대로 제어하거나, 간략한 정보만이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500)는 사용자가 학생인 경우 일주일동안의 날씨 정보가 모두 표시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반면, 사용자가 할머니인 경우 오늘의 날씨만이 큰 아이콘 및 큰 글씨로 표시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화면의 밝기 또한 최대로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500)는 카메라(90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또는 통신 모듈(600)을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디스플레이(300)에 표시할 이미지의 표시 순서와 표시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설정 화면을 통해 이미지의 표시 순서 및 표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을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에 설정한 내용에 따라 이미지들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3개의 사진의 순서를 설정하고, 표시 시간을 10초로 설정한 경우, 프로세서(500)는 순서에 따라 이미지들이 10초씩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a)는 사용자가 설정한 1번 순서의 이미지를 표시한 화면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표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300)에 표시될 수 있다. (b)는 사용자가 설정한 표시 시간 경과한 후, 사용자가 설정한 2번 순서의 이미지로 변경되는 과정을 표시한 화면이다. (c)는 사용자가 설정한 2번 순서의 이미지를 표시한 화면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표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30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미지가 변경되는 것을 연결된 사진이 측면으로 이동하면서 바뀌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500)는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획득된 메뉴판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00)는 매장 단말과 연결되고, 매장 단말로부터 메뉴판을 전송받아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메뉴 선택 명령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식재료의 원산지 정보, 영양소 성분 정보가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300)에 표시된 메뉴판에서 하나의 메뉴를 클릭하는 경우, 프로세서(500)는 해당 메뉴의 식재료의 원산지 정보, 해당 메뉴의 영양소 성분 정보가 표시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00)는 영양소 성분 정보를 기초로 해당 메뉴를 섭취 시 필요한 운동량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500)는 각 메뉴에 대한 운동량을 각각 산출하여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주문한 음식이 모두 나온 후 카메라(900)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를 통해 음식의 종류를 판단하고, 전체 음식을 섭취 시 필요한 운동량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3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500)는 디스플레이(300)를 통해 메뉴를 주문하는 주문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고, 이런 경우, 프로세서(500)는 통신 모듈(600)을 통해 사용자가 주문한 내역을 매장 단말로 전송할 수 있고, 매장 직원은 매장 단말을 통해 주문을 확인할 수 있다.
티슈보관함(10)은 티슈보관함(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티슈보관함(1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사용가능할 수 있다. 즉, 전원부는 콘센트와 유선으로 연결될 경우 티슈보관함 및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고, 콘센트와 연결되지 않을 경우 배터리를 통해 티슈보관함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충전없이 배터리만을 전력을 공급하고, 배터리가 방전되면 배터리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사용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티슈보관함(10)은 본체(100)의 일면에 형성되고,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전원부는 거치대에 단말기가 거치될 경우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티슈보관함 100: 본체
200: 입구부 300: 디스플레이
400: 센서 500: 프로세서
600: 통신모듈 700: 라이트
800: 마이크 900: 카메라

Claims (20)

  1. 티슈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티슈를 상기 본체로부터 빼내기 위한 입구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화면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기 설정된 영역에서의 움직임 및 환경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사용자의 입력 또는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계정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캘린더를 연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각 일정마다 설정된 알람 여부에 따라 알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티슈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화면 구성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메인 화면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메인 화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화면 구성을 서브 화면으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던 메인 화면이 서브 화면으로 변경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티슈보관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메인 디스플레이로 설정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화면 구성을 서브 화면으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상기 서브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티슈보관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디지털 티슈보관함이 위치하는 공간의 조도,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결과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가 감지한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티슈보관함이 위치한 공간의 조도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밝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제어하는, 디지털 티슈보관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감지 결과, 감지된 조도 값과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의 밝기 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디스플레이의 밝기 값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제어하고,
    감지된 조도가 낮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밝기가 낮아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도가 높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밝기가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티슈보관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기 설정된 영역에서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화면이 출력중인 디스플레이의 영역 내에서 상기 사용자와 가까운 일 영역측으로 상기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중 상기 사용자와 가까운 방향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에 상기 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지털 티슈보관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기 설정된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결과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결과 및 상기 촬영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화면이 출력중인 디스플레이의 영역 내에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일 영역측으로 상기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중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에 상기 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지털 티슈보관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결과 및 상기 촬영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티슈보관함과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비율이 증가되거나, 화면에 출력되는 글씨 크기가 증가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지털 티슈보관함.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결과 및 상기 촬영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와 매칭되어 저장된 화면 구성 또는 화면 설정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제어하는, 디지털 티슈보관함.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음식의 종류에 따른 영양소 및 효능에 대한 영양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분석하여 촬영된 음식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영양 정보 중 판단된 음식에 해당하는 영양소 및 효능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양소 및 효능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티슈보관함.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 인근에 설치되는 라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제스처가 감지되거나, 상기 디지털 티슈보관함에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라이트를 온오프하거나, 상기 라이트의 색상을 변경하는 디지털 티슈보관함.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음성 정보 등록 이후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상기 등록된 음성 정보의 내용과 비교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이 상기 등록된 음성 정보의 내용과 대응되는 경우, 상기 등록된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티슈보관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의 속도, 높낮이, 크기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의 사용자를 판단하고,
    사용자마다 매칭되어 저장된 화면 설정을 기초로, 판단된 사용자의 화면 설정에 해당하는 화면의 밝기 및 글씨 크기가 적용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티슈보관함.
  15.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서버 또는 다른 단말과 연결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날씨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날씨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된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제어하는 디지털 티슈보관함.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표시 순서 및 표시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설정된 표시 시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티슈보관함.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획득된 메뉴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메뉴 선택 명령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식재료의 원산지 정보, 영양소 성분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영양소 성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메뉴를 섭취 시 필요한 운동량을 산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티슈보관함.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온오프를 제어하되,
    미리 정해진 시간 또는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온 또는 오프하거나,
    상기 디지털 티슈보관함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상기 센서에 일정 시간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오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에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온하는 디지털 티슈보관함.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슈보관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콘센트와 유선으로 연결될 경우 상기 티슈보관함 및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콘센트와 연결되지 않을 경우 상기 배터리를 통해 상기 티슈보관함에 전력을 공급하는 디지털 티슈보관함.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거치대에 상기 단말기가 거치될 경우 상기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디지털 티슈보관함.
KR1020210155048A 2021-11-11 2021-11-11 디지털 티슈보관함 KR102499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048A KR102499356B1 (ko) 2021-11-11 2021-11-11 디지털 티슈보관함
PCT/KR2022/015902 WO2023085633A1 (ko) 2021-11-11 2022-10-19 디지털 티슈보관함
KR1020230016877A KR102515140B1 (ko) 2021-11-11 2023-02-08 사용자 계정별 캘린더 연동이 가능한 디지털 티슈보관함
KR1020230016879A KR20230069049A (ko) 2021-11-11 2023-02-08 디지털 티슈보관함
KR1020230016878A KR102515141B1 (ko) 2021-11-11 2023-02-08 사용자별 일정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슈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048A KR102499356B1 (ko) 2021-11-11 2021-11-11 디지털 티슈보관함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878A Division KR102515141B1 (ko) 2021-11-11 2023-02-08 사용자별 일정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슈보관함
KR1020230016879A Division KR20230069049A (ko) 2021-11-11 2023-02-08 디지털 티슈보관함
KR1020230016877A Division KR102515140B1 (ko) 2021-11-11 2023-02-08 사용자 계정별 캘린더 연동이 가능한 디지털 티슈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356B1 true KR102499356B1 (ko) 2023-02-13

Family

ID=85202846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048A KR102499356B1 (ko) 2021-11-11 2021-11-11 디지털 티슈보관함
KR1020230016878A KR102515141B1 (ko) 2021-11-11 2023-02-08 사용자별 일정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슈보관함
KR1020230016879A KR20230069049A (ko) 2021-11-11 2023-02-08 디지털 티슈보관함
KR1020230016877A KR102515140B1 (ko) 2021-11-11 2023-02-08 사용자 계정별 캘린더 연동이 가능한 디지털 티슈보관함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878A KR102515141B1 (ko) 2021-11-11 2023-02-08 사용자별 일정 표시가 가능한 디지털 티슈보관함
KR1020230016879A KR20230069049A (ko) 2021-11-11 2023-02-08 디지털 티슈보관함
KR1020230016877A KR102515140B1 (ko) 2021-11-11 2023-02-08 사용자 계정별 캘린더 연동이 가능한 디지털 티슈보관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4) KR102499356B1 (ko)
WO (1) WO202308563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4716A (ko) * 2011-10-24 2013-05-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두루마리 화장지 정량 공급장치
JP2014132747A (ja) * 2012-11-30 2014-07-17 Airbus Operation GmbH 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カバン物品及びカバン物品のための通信システム
KR20140098993A (ko) * 2013-02-01 2014-08-1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휴지걸이
KR20150019169A (ko) * 2013-08-12 2015-02-25 윤기성 휴대전화의 살균, 소취 및 충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415B1 (ko) * 2015-03-09 2016-06-24 주식회사 이시스 타월의 살균건조 및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4716A (ko) * 2011-10-24 2013-05-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두루마리 화장지 정량 공급장치
JP2014132747A (ja) * 2012-11-30 2014-07-17 Airbus Operation GmbH 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カバン物品及びカバン物品のための通信システム
KR20140098993A (ko) * 2013-02-01 2014-08-1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휴지걸이
KR20150019169A (ko) * 2013-08-12 2015-02-25 윤기성 휴대전화의 살균, 소취 및 충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140B1 (ko) 2023-03-29
KR102515141B1 (ko) 2023-03-29
WO2023085633A1 (ko) 2023-05-19
KR20230069049A (ko)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66437A1 (en) Remotely identifying a location of a wearable apparatus
EP2856746B1 (en) Vision assistive devices and user interfaces
US9137878B2 (en) Dynamic lighting based on activity type
CN108924500B (zh) 智能升降桌摄像提醒方法、装置、智能升降桌及存储介质
US20170038892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030435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image
US2016028407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60128017A (ko) 전자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CN112306442B (zh) 跨设备的内容投屏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832360A (zh) 提示信息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KR20190119966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기능 수행 방법
US2020025851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4940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with a display device
CN212679100U (zh) 姿态检测系统、姿态检测装置以及桌子套件
JP6202698B1 (ja) 筐体及びシステム
WO201815075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KR102499356B1 (ko) 디지털 티슈보관함
US1049634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CN109448132B (zh) 显示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086094B (zh) 设备选择方法及相关装置
KR2020010529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CN113660423B (zh) 一种智能摆台和智能摆台系统
CN113568591B (zh) 智能设备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智能设备、智能餐桌
US113078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9461191A (zh) 区域配色方法及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