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058B1 - Harq 피드백 및 재송신 수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Harq 피드백 및 재송신 수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058B1
KR102499058B1 KR1020197011499A KR20197011499A KR102499058B1 KR 102499058 B1 KR102499058 B1 KR 102499058B1 KR 1020197011499 A KR1020197011499 A KR 1020197011499A KR 20197011499 A KR20197011499 A KR 20197011499A KR 102499058 B1 KR102499058 B1 KR 102499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data units
bundling
ack
group bun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570A (ko
Inventor
디 수
빈 유
첸 치안
치 시옹
잉지예 장
징싱 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78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21Group acknowledgement, i.e. the acknowledgement message defining a range of identifiers, e.g. of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2001/125Arrangements for preventing errors in the retur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상기 방법은 데이터 유닛들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유닛들에 대해 그룹 번들링(group bundling)을 수행하는 과정,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은 하나 이상의 그룹들로 번들링되며; 상기 그룹들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들의 디코딩 결과들에 따라 해당하는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 및 다른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상기 송신기로 피드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 경우, 본 개시에 따르면, 수신기는 오버랩 번들링의 방식으로 데이터에 대한 그룹핑을 수행하고, 그룹은 ACK/NACK 정보의 피드백을 위한 단위로서 사용되고, 따라서 HARQ 피드백의 피드백 오버헤드는 감소되고, HARQ-송신기 에러 재송신의 데이터 양은 현저하게 감소되고 에러 재송신의 효율성이 개선된다. 또한, 본 개시는 추가적으로 HARQ 재송신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HARQ 피드백 및 재송신 수행 방법 및 장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HARQ 피드백 및 재송신 수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세대(4th-Generation: 4G) 통신 시스템들의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세대(5th-Generation: 5G) 통신 시스템 또는 프리-5G(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또는 'LTE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고 있다.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더 높은 주파수 (mmWave) 대역들(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에서 구현되어 더 높은 데이터율(data rate)을 달성할 수 있다. 전파들의 전파 손실을 감소시키고 송신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들에서는 빔포밍 (beamforming) 기술, 거대 배열 다중 입력 다중 출력(massive multi-input multi-output: massive MIMO) 기술, 전차원 MIMO(full dimensional MIMO: FD-MIMO) 기술,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기술, 아날로그 빔 포밍(analog beam forming) 기술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5G 통신 시스템들에서는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개발이 진화된 소형 셀,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dio access network: RAN)들,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들,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device to device: D2D) 통신,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측 간섭 제거 등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 (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인 하이브리드 FSK 및 QAM(hybrid FSK and QAM: FQAM) 및 슬라이딩 윈도우 중첩 코딩(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 SWSC)과, 진보된 억세스 기술인 필터 뱅크 멀티 캐리어(filter bank multi carrier: FBMC), 비직교 다중 억세스(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및 성긴 코드 다중 억세스(sparse code multiple access: SCMA)가 개발되고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극복하고 재송신 데이터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HARQ 피드백 및 재송신 방법과, 수신기 및 송신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는 HARQ 피드백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HARQ 피드백 방법은: 송신기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유닛들을 수신하는 과정; 데이터 유닛들에 대해 그룹 번들링(group bundling)을 수행하는 과정,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은 하나 이상의 그룹들로 번들링되며; 각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들의 코딩 결과들에 따라 해당하는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 및 각각의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상기 송신기로 피드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데이터 유닛들에 대한 그룹 번들링을 수행하는 과정 전에, 수신 및/혹은 리드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 방식으로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은: 수신되는 공통 시그널링 혹은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그룹 번들링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딩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송신기와 일치하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을 리드하는 과정, 및 상기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에 따라,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 및 리딩의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은: 수신되는 공통 시그널링 혹은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그룹 번들링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획득하는 과정; 상기 송신기와 일치하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을 리드하는 과정; 상기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 및 상기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에 따라,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유닛들에 대한 그룹 번들링을 수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이 하나 이상의 그룹들로 번들링되는 과정은: 데이터 유닛들에 대한 그룹 번들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랭크된 후의 그룹들 중 인접 그룹들은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유닛들에 대한 그룹 번들링을 수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이 하나 이상의 그룹들로 번들링되는 과정은 데이터 유닛들을 랭크 및 인덱스한 후 그룹 번들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하나의 동일한 그룹에 번들링된 데이터 유닛들의 인덱스들은 인접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은 하나 이상의 그룹들로 번들링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접하지 않은 인덱스들을 가지는 데이터 유닛들의 인덱스 구간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번들링된 그룹들의 개수는 N이며, 적어도 N-1개의 그룹들에서 번들링되는 데이터 유닛들의 개수들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들의 디코딩 결과들에 따라, 해당하는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은: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들 모두가 정확하게 디코딩될 경우, 상기 그룹의 ACK/NACK 정보는 ACK이고,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정확하게 디코딩되지 않을 경우, 상기 그룹의 ACK/NACK 정보는 NACK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각의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피드백하는 과정은: 그룹들 각각의 ACK/NACK 정보를 무선 프레임의 명시된 자원 위치에 매핑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다른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상기 송신기로 피드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는 HARQ 재송신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수신기로부터 각각 다른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그룹 번들링의 획득된 방법에 따라, 각 그룹에 번들링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들의 인덱스들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그룹 번들링의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이 하나 이상의 그룹들로 번들링되는 방식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 다른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에 따라, 각 그룹에서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기로 상기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그룹 번들링의 결정된 방법은, 수신 및/리딩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은: 수신되는 공통 시그널링 혹은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그룹 번들링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딩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기와 일치하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을 리드하는 과정; 상기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에 따라,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 및 리딩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은: 수신되는 공통 시그널링 혹은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그룹 번들링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획득하는 과정; 상기 송신기와 일치하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을 리드하는 과정; 상기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 및 상기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에 따라,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각 다른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그룹들에 번들링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들 중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ACK/NACK 정보가 NACK인 그룹들에 대해서, 정확하게 디코딩된 데이터 유닛들과 다른 번들링된 데이터 유닛들을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정확하게 디코딩되는 데이터 유닛들은 ACK/NACK 정보가 ACK인 상기 그룹들에 포함되어 있는 번들링된 데이터 유닛들 모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을 상기 수신기로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을 무선 프레임의 명시되는 자원 위치로 매핑하는 방식으로, 상기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을 상기 수신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기로 상기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을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무선 프레임의 제어 채널 혹은 트래픽 채널에서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의 인덱스 정보를 상기 수신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는 HARQ 피드백을 위한 수신기를 제공하며, 상기 수신기는: 송신기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유닛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수신 모듈; 상기 데이터 유닛들에 대해 그룹 번들링(group bundling)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그룹 번들링 모듈,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은 하나 이상의 그룹들로 번들링되며; 각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들의 디코딩 결과들에 따라 해당하는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에러 결정 모듈; 각각 다른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상기 송신기로 피드백하도록 구성되는 에러 피드백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는 HARQ 재송신을 위한 송신기를 제공하며, 상기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각각 다른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에러 수신 모듈; 그룹 번들링의 결정된 방법에 따라, 대응되는 그룹에서 번들링된 데이터 유닛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그룹 언번들링 모듈, 상기 그룹 번들링의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이 하나 이상의 그룹들로 번들링되는 방식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 다른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에 따라, 각 그룹에서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재송신 데이터 결정 모듈; 상기 수신기로 상기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재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 경우, 본 개시의 기술적 효과들은 다음을 포함하며, 그렇다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수신기는 데이터에 대한 그룹핑을 수행한다. 그룹이 ACK/NACK 정보의 피드백을 위한 단위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HARQ 피드백의 피드백 오버헤드는 현저하게 감소된다.
2. 송신기는 수신기에 의해 피드백된 그룹핑 ACK/NACK 정보에 따라 송신 데이터 유닛들을 결정한다. 인접 그룹들에 번들링되는 오버랩 데이터 유닛들이 존재하고, 상기 송신기에 의해 재송신되는 것이 필요로 되는 데이터 유닛들의 셋(set)은 그룹의 서브셋(subset)이고, HARQ 에러 재송신의 데이터 양은 현저하게 감소되고 에러 재송신의 효율성이 개선된다.
3. 수신기는 분산 방식(discrete way)으로 데이터 유닛들에 대한 그룹 번들링을 수행하고, 이는 그룹 번들링의 더 많은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고 각 그룹의 전체 디코딩 에러 확률을 밸런싱할 수 있고, 따라서 NACK 정보가 단일 그룹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률이 감소되고, 따라서 송신기의 재송신 데이터 양이 추가적으로 감소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의 기술적 해결 방식들을 보다 명백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실시 예들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들이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설명될 것이다. 설명되는 하기의 도면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들뿐이라는 것은 명백하다.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들이 창의적인 능력의 실행 없이도 이들 도면들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종래 기술에 따른 TDD 프레임 구조의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종래 기술에 따른 LTE ACK/NACK 번들링 피드백의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에 따른 HARQ 피드백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 1에 따른 분산 그룹 번들링의 구현 프로세스의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HARQ 피드백을 위한 수신기의 모듈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에 따른 HARQ 재송신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HARQ 재송신을 위한 송신기의 모듈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오버랩 그룹 번들링(overlapping group bundling) 및 논-오버랩 그룹 번들링(non-overlapping group bundling)간의 비교의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구조의 다른 예제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의 다른 예제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해결 방식들은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이 본 개시의 상기 기술적 해결 방식들을 잘 이해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명백하고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과, 청구항들 및 상기와 같은 도면들에서 설명되는 일부 프로세스들에서, 특정 순서로 나타나는 하나 이상의 동작들이 포함된다. 이런 동작들은 문서에서 설명되는 순서대로 실행되지 않을 수도 있고 병렬로 실행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할 것이다. 101 및 102와 같은 동작 일련 번호들은 다른 동작들을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 이런 일련 번호 자체가 특정 실행 순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런 프로세스들은 더 많은 혹은 더 적은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런 동작들은 순서대로 실행될 수 있거나 혹은 병렬로 실행될 수 있다. "제1" 및 "제2"와 같은 설명은 다른 정보, 디바이스들, 및 모듈들 혹은 다른 대상들을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고 일련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는 다른 타입들을 정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해결 방식들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명백하고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술한 설명의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일 뿐이며 모든 실시 예들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기반으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이 창의적인 스킬들을 적용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획득되는 다른 모든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기술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및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의 2개의 듀플렉스 모드들을 지원한다. 2개의 듀플렉스 모드들의 프레임 구조들 둘 다는 무선 프레임을 단위로 사용하며, 각 무선 프레임의 길이는 10ms이고, 각 무선 프레임은 그 길이가 1ms인 10개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한다. TDD에 대해서,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파라미터들에 의해 한개의 무선 프레임 내의 각 서브 프레임이 업링크 송신 혹은 다운링크 송신으로 구성되는 지와, 각 무선 프레임내의 업링크/다운링크를 위한 서브프레임들이 고정적이라는 것이 결정된다. FDD에 대해서, 업링크 송신 및 다운링크 송신은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들에 속해 있고, 따라서 각 서브 프레임은 동시에 업링크 송신 및 다운링크 송신에 대해서 구성될 수 있고, 이는 특히 기지국의 다이나믹 스테이트 스케쥴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1은 TDD 프레임 구조의 개략적 다이아그램을 제공한다.
업링크/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기본 단위는 서브프레임이고, 코딩 및 변조된 후의 송신 블록(Transmission Block: TB)은 스케쥴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에 매핑된다. 무선 통신에 대해서, 특정 확률의 에러가 데이터 송신시 발생할 것이고, 따라서 수신기에서(수신기는 업링크 송신 동안은 기지국이고, 또한 수신기는 다운링크 송신 동안은 단말이다), 송신기(송신기는 업링크 송신 동안은 단말이고, 또한 수신기는 다운링크 송신 동안은 기지국이다)에게 디코딩 모듈의 비트 검사 결과를 알려주는 것이 필요로 된다. 디코딩 결과가 정확할 경우, ACK 정보가 피드백되고; 디코딩 결과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 NACK 정보가 피드백된다. 송신기가 NACK 정보를 수신할 때, 디코딩-실패 데이터를 재송신하는 것이 필요로 되고, 수신기는 재송신된 데이터를 초기 송신 데이터와 결합하여 등가 복조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B)를 향상시키고, 따라서 데이터 블록들이 정확하게 디코딩될 확률이 향상된다. 이런 기술은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이라고 칭해진다.
LTE TDD에 대해서, 업링크/다운링크 송신의 기회는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 분산시 언밸런스될 경우, 이는 데이터 송신 후에 일시적으로 다수의 ACK/NACK 정보가 피드백 될 수 없다는 것을 초래할 수 있고, 따라서 다음 스케쥴링 및 송신이 영향을 받게 된다. 업링크 송신의 다운링크 ACK/NACK 피드백에 대해서, 이런 문제는 다운링크 송신의 업링크 ACK/NACK 피드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는 기지국이 단말기로부터의 ACK/NACK 정보의 피드백을 수신할 수 없을 때 기지국의 무선 자원 스케쥴링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논의된 바와 같은 기술들에서, 다운링크 송신의 업링크 ACK/NACK 피드백에 대해서, LTE TDD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ACK 멀티플렉싱(ACK multiplexing) 및 ACK 번들링(ACK bundling)의 2개의 모드들을 사용하며, 기지국은 단말기에 대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ACK/NACK 멀티플렉싱은 단말기가 동일한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다수의 다운링크 서브플레임들의 업링크 ACK/NACK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다른 ACK/NACK 정보가 다른 업링크 물리 채널을 통해서 발생되거나 혹은 동일한 서브 프레임 내의 다른 시간-주파수 자원 위치들을 사용하여 구분될 수 있다. 특히, ACK/NACK 멀티플렉싱은 다수의 ACK/NACK 정보의 동시 피드백을 보장할 수 있지만, 더 많은 피드백 오버헤드가 필요로 된다.
ACK/NACK 번들링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다수의 서브 프레임들의 ACK/NACK 정보를 결합하고 그리고 나서 송신하는 것이다. 수신된 모든 서브프레임들이 정확하게 디코딩될 때, ACK 정보가 피드백되며; 수신된 모든 서브프레임들이 정확하게 디코딩되지 않을 때, NACK 정보가 피드백되며; 이는 도 2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의 번들링 방식은 몇 개의 연속적인 서브프레임들의 ACK/NACK 피드백이 하나의 그룹으로 번들링되는 것이고, 각 번들링된 그룹은 서로 오버랩되지 않고, 에러 확률은 서로 독립적이다. 송신기가 NACK 정보를 수신한 후, 각 번들링된 그룹에서 다수의 서브프레임들의 각 ACK/NACK 피드백을 구별하지 못할 때, 상기 번들링된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서브프레임들의 데이터는 재송신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ACK/NACK 번들링이 피드백에 의해 필요로 되는 자원을 현저하게 절약할 수 있을지라도, 동시에 에러 확률 및 에러 재송신의 데이터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재송신의 데이터 양을 감소시키는 합리적인 번들링 방식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이런 관점에서, 상술한 기술적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HARQ 피드백 및 재송신 방법, 수신기 및 송신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개시의 데이터 유닛들은 ACK/NACK 정보, 일 예로 송신 블록(Transmission Block: TB) 혹은 코드 블록(Code Block: CB), 등을 독립적으로 결정하는 데이터 블록들을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HARQ 피드백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301a: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함.
단계 302a: 상기 데이터 유닛들에 대한 그룹 번들링을 수행함,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이 한 개 이상의 그룹들로 번들링됨.
단계 303a: 각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들의 디코딩 결과들에 따라 해당하는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결정함.
단계 304a: 상기 송신기로 각각 다른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피드백함.
실시 예 1
하기와 같은 예제로, 다운링크 송신의 업링크 피드백(수신기는 단말기이고, 송신기는 기지국임)을 고려할 경우, 본 개시의 HARQ 피드백 방법의 실시 예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HARQ 피드백 방법은 업링크 송신의 다운링크 피드백 (수신기가 기지국이고, 송신기가 단말기임) 상황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단계 301b: 단말기가 수신되는 공통 시그널링 혹은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그룹 번들링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획득하고, 및/혹은 기지국과 상기 미리 저장되어 있고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을 리드하고, 상기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 및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에 따라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 (혹은 타입)을 결정함.
상기 송신기와 일치하는 규칙이 상기 단말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상기 단말기는 리딩의 방식으로 상기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명시적 통지(explicit notification) 혹은 암묵적 통지(implicit notification)를 통해 상기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명시적 통지는 상기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에 포함되어 있고, 그룹 사이즈(그룹에 번들링되는 데이터 유닛들의 개수), 분산 구간 개수(랭크 및 인덱스된 후 상기 데이터 유닛들 중 인접 데이터 유닛들의 인덱스 구간 개수, 즉 상기 분산 구간 개수가 0일 때는 연속적 번들링이다), 및 오버랩 사이즈(overlapping size)(인접 그룹들의 오버랩 데이터 유닛들의 개수)와 같은 데이터 유닛들의 번들링 방식을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파라미터들을 나타낸다. 일 예로, 상기 기지국은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으로, 각 기지국에 의해 채택되는, 그룹 사이즈, 분산 구간 개수, 및 오버랩 사이즈와 같은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들을 개별적으로 지시한다.
명시적 통지의 상황 하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그룹 번들링의 방법 (혹은 타입)에서의 각 구체적인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해 더 많은 비트들을 필요로 한다. 상기 단말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ACK/NACK 정보의 비트들의 전체 개수가 많아질 수록, 상기 그룹 번들링의 상황은 더 복잡해지며, 명시적 통지를 필요로 하는 비트들의 개수가 더 많아지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들은 더 커진다. 시그널링 오버헤드들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특정한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들이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들 중 일부를 대체하기 위해서 생성될 수 있고, 따라서 그룹 번들링을 위해 알려져 있지 않은 다른 파라미터들만 상기 암시적 통지의 시그널링에 포함될 필요가 있다. 시그널링 오버헤드들이 이런 방식으로 감소될 수 있을 지라도, 그룹 번들링 방법의 선택 자유도는 제한될 것이다. 일 예로, 시스템 규칙은 각 단말기가 균등 분할의 방식으로 데이터 유닛들에 대해 연속적인 번들링을 수행하고, 오버랩 유닛들의 고정된 개수가 인접 그룹들 간에 유지된다는 것을 사이에서 유지된다고 제한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공통 시그널링으로 두 개의 파라미터들: 그룹 사이즈(전체 개수의 데이터 유닛들이 구성된 그룹 사이즈에 따라서 균등하게 분할되지 못하는 상황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마지막 그룹의 사이즈는 그룹 사이즈의 구성 파라미터보다 작거나 같다는 규칙으로 제공될 수 있가) 및 오버랩 사이즈를 브로드캐스트하는 것만 필요로 된다, 여기서 오버랩 사이즈는 상기 전체 셀의 모든 단말기들의 ACK/NACK 정보 피드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표 1: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식들을 도시하는 예제들
그룹 번들링 방법들의 인덱스들 그룹 번들링 방법들 예제들(사용자가 7개의 데이터 유닛들을 가지고 있음)
0 분산 구간 개수는 0이고, 그룹 사이즈는 3이고(마지막 그룹은 3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허락된다), 오버랩 사이즈는 1임 그룹 1: 유닛 1 + 유닛 2 + 유닛 3
그룹 2: 유닛 3 + 유닛 4 + 유닛 5
그룹 3: 유닛 5 + 유닛 6 + 유닛 7
1 분산 구간 개수는 0이고, 그룹 사이즈는 3이고(마지막 그룹은 3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허락된다), 오버랩 사이즈는 0임 그룹 1: 유닛 1 + 유닛 2 + 유닛 3
그룹 2: 유닛 4 + 유닛 5 + 유닛 6
그룹 3: 유닛 7
2 분산 구간 개수는 2이고, 그룹 사이즈는 3이고(마지막 그룹은 3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허락된다), 오버랩 사이즈는 1임 그룹 1: 유닛 1 + 유닛 3 + 유닛 5
그룹 2: 유닛 5 + 유닛 7 + 유닛 2
그룹 3: 유닛 2 + 유닛 4 + 유닛 6
3 분산 구간 개수는 2이고, 그룹 사이즈는 3이고(마지막 그룹은 3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허락된다), 오버랩 사이즈는 0임 그룹 1: 유닛 1 + 유닛 3 + 유닛 5
그룹 2: 유닛 7 + 유닛 2 + 유닛 4
그룹 3: 유닛 6
암묵적 통지는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가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간접적으로 지시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고,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보충하여 지시하는 파라미터만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암묵적 통지의 방식의 상황 하에서는,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특정한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들이 존재해야만 한다. 일 예로, 표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스템 규칙에는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의 미리 결정되어 있는 인덱스 관련성이 존재한다. 기지국은, 공통 시그널링 혹은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로 그룹 번들링의 방법의 인덱스(즉,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보충하여 지시하는 파라미터)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는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여 상기 그룹 번들링의 방법(혹은 타입)을 결정한다.
명시적 통지에 관해서, 상기 암묵적 통지의 채택은 기지국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들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더 큰 자유도를 가지는 그룹 번들링의 방법은 적합한 시스템 규칙을 설계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암묵적 통지의 한 종류는 그룹 번들링의 고유한 방법이 상기 단말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ACK/NACK 정보의 전체 비트 개수 및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전체 개수에 의해 공동 결정되는 것을 허락하며; 상기 기지국은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ACK/NACK 정보의 전체 비트 개수 (즉,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보충하여 지시하는 파라미터)를 구성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유닛들의 비교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결정한다. 표 2는 비교 테이블의 예제이다.
표 2: 암묵적 통지의 그룹 번들링의 방식들의 비교를 도시하는 예제들
ACK/NACK 정보의 비트들의 총 개수가 1임 ACK/NACK 정보의 비트들의 총 개수가 2임 ACK/NACK 정보의 비트들의 총 개수가 3임 ACK/NACK 정보의 비트들의 총 개수가 4임
데이터 유닛들의 총 개수가 4임 그룹 1: 유닛 1+ 유닛 2+ 유닛 3+ 유닛 4 그룹 1: 유닛 1+ 유닛 2;
그룹 2: 유닛 3+ 유닛 4
그룹 1: 유닛 1+ 유닛 2;
그룹 2: 유닛 2+ 유닛 3;
그룹 3: 유닛 4
그룹 1: 유닛 1;
그룹 2: 유닛 2;
그룹 3: 유닛 3;
그룹 4: 유닛 4
데이터 유닛들의 총 개수가 5임 그룹 1: 유닛 1+ 유닛 2+ 유닛 3+ 유닛 4+ 유닛 5 그룹 1: 유닛 1+ 유닛 2 + 유닛 3;
그룹 2: 유닛 3+ 유닛 4 + 유닛 5
그룹 1: 유닛 1+ 유닛 2;
그룹 2: 유닛 2+ 유닛 3;
그룹 3: 유닛 4 + 유닛 5
그룹 1: 유닛 1 + 유닛 2;
그룹 2: 유닛 2 + 유닛 3;
그룹 3: 유닛 4;
그룹 4: 유닛 5
데이터 유닛들의 총 개수가 6임 그룹 1: 유닛 1+ 유닛 2+ 유닛 3+ 유닛 4+ 유닛 5 + 유닛 6 그룹 1: 유닛 1+ 유닛 2 + 유닛 3;
그룹 2: 유닛 4+ 유닛 5 + 유닛 6
그룹 1: 유닛 1+ 유닛 2;
그룹 2: 유닛 3+ 유닛 4;
그룹 3: 유닛 5 + 유닛 6
그룹 1: 유닛 1 + 유닛 2;
그룹 2: 유닛 2 + 유닛 3;
그룹 3: 유닛 4 + 유닛 5;
그룹 4: 유닛 5 + 유닛 6
단계 302b: 단말기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유닛들을 수신함.
단계 303b: 상기 단말기가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혹은 타입)에 따라 상기 수신된 데이터 유닛들에 대한 그룹 번들링을 수행하고, 상응하는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결정함.
단말기는 데이터 유닛들
Figure 112019041007679-pct00001
에 대한 그룹 번들링을 수행하고,
Figure 112019041007679-pct00002
는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의 데이터 유닛들의 개수이다.
Figure 112019041007679-pct00003
i번째 그룹이라고 가정되고,
Figure 112019041007679-pct00004
는 상기 i번째 그룹에 번들링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들의 개수이다. 즉,
Figure 112019041007679-pct00005
는 상기 i번째 그룹의 그룹 사이즈이고, 각 그룹의 그룹 사이즈는 다른 개수의 데이터 유닛들 및 다른 그룹 상황들의 다이버시티를 채택하기 위해 다를 수 있다.
Figure 112019041007679-pct00006
는 상기 i번째 그룹에 번들링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이고,
Figure 112019041007679-pct00007
모두가 정확하게 디코딩될 경우 및
Figure 112019041007679-pct00008
모두가 정확하게 정확하게 디코딩될 경우에만, 상기 단말기는 상기 그룹
Figure 112019041007679-pct00009
의 ACK/NACK 정보가 ACK이라고 결정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그룹
Figure 112019041007679-pct00010
의 ACK/NACK 정보는 NACK이라고 결정한다. 상기 그룹 번들링 결과의 모든 그룹들이
Figure 112019041007679-pct00011
라고 가정되고, 각 그룹의 ACK/NACK 정보가 1비트를 점유하기 때문에,
Figure 112019041007679-pct00012
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ACK/NACK 정보의 비트들의 전체 개수이다. 그룹 번들링은
Figure 112019041007679-pct00013
를 만족시켜야만 하고, 즉 상기 그룹 범위는 모든 데이터 유닛들을 커버한다. 이하, 오버랩 그룹 번들링 및 분산 그룹 번들링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오버랩 그룹 번들링, 즉,
Figure 112019041007679-pct00014
(셋
Figure 112019041007679-pct00015
가 그룹의 오버랩 디그리(overlapping degree)를 특징화할 수 있다)를 가능하게 하는
Figure 112019041007679-pct00016
가 존재하고, 동시에 두 개의 그룹들에 몇몇 개의 동일한 데이터 유닛들이 존재한다. 임의의
Figure 112019041007679-pct00017
에 대해서
Figure 112019041007679-pct00018
가 존재할 경우, 이는 논-오버랩 그룹 번들링이다. 즉, 동일한 데이터 유닛들은 어떤 그룹이라도 둘 다에는 포함되지는 않는다. 이는 최소 오버랩 디그리(degree)를 가지는 오버랩 그룹 번들링의 특정 케이스로서 간주될 수 있다. 논-오버랩 그룹 번들링과 비교할 경우, 오버랩 그룹 번들링은 상기 단말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ACK/NACK 정보간의 상관이 존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런 상관은 상기 기지국이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단일 데이터 유닛의 디코딩의 정확도를 결정하는 것을 도와줄 수 있고, 따라서 상기 기지국의 재송신의 데이터 양이 감소된다. 시그널링 지시에 따라서, 상기 단말기는, 오버랩 그룹 번들링에 관한 파라미터들(일 예로, 오버랩 사이즈)을 획득한 후, 오버랩 그룹 번들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말기에 의해 획득되는 그룹 번들링의 방법의 구성 정보는 "연속적 번들링, 두 개의 데이터 유닛들이 한 개의 그룹으로 번들링되고, 한 개의 데이터 유닛은 인접 그룹들간에 오버랩된다"(상기 구성 정보는 "분산 구간 개수", "그룹 사이즈", 및 "오버랩 사이즈"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가 세 개의 데이터 유닛들에 대해 그룹 번들링을 수행할 때, 상기 그룹 번들링 결과들은 즉
Figure 112019041007679-pct00019
Figure 112019041007679-pct00020
이다.
분산 그룹 번들링에 대해서는, 즉,
Figure 112019041007679-pct00021
,
Figure 112019041007679-pct00022
,
Figure 112019041007679-pct00023
에서, 하나의 그룹에서의 데이터 유닛 인덱스는 불연속적이다. 연속적인 그룹 번들링에 대해서는, 즉
Figure 112019041007679-pct00024
,
Figure 112019041007679-pct00025
,
Figure 112019041007679-pct00026
에서, 하나의 그룹에서 데이터 유닛 인덱스는 연속적이고, 이는 분산 그룹 번들링의 특별한 케이스로서 간주될 수 있다. 연속적/분산 그룹 번들링 및 오버랩 그룹 번들링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고, 둘 다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에 속한다. 상기와 같은 케이스들에 대해서, 분산 그룹 번들링으로서 구성될 때, 한 개의 그룹 결과는
Figure 112019041007679-pct00027
Figure 112019041007679-pct00028
이다. 연속적인 그룹 번들링과 비교할 경우, 분산 그룹 번들링은 그룹 번들링의 더 많은 자유도를 제공하지만, 관련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해 더 많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들이 필요로 된다.
분산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는 명시적 통지로 혹은 암묵적 통지로 상기 단말기에게 송신될 수 있다. 도 4는 명시적 통지 및 암묵적 통지를 각각 사용하여 분산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의 송신을 제공하며, 다섯 개의 데이터 유닛들에 대한 분산 그룹 번들링 및 오버랩 그룹 번들링의 예제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코드 블록은 본 개시의 데이터 유닛이다. 이하, 두 개의 통지 방식들 하의 분산 그룹 번들링의 구현 프로세스가 구체적으로 그리고 도 4와 함께 설명될 것이다. 먼저, 상기 단말기에 의해 획득되는 그룹 번들링의 방법(혹은 타입)의 구성 정보는 "세 개의 코드 블록들이 한 개의 그룹으로 번들링되고 인접 그룹들간에 오버랩되는 한 개의 코드 블록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명시적 통지의 방식 하에서, 상기 기지국은 공통 시그널링 혹은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의 분산 구간 개수가 2라는 것을 통지하고, 구간 지시에 따라 상기 코드 블록들을 서로 오버랩되지 않고 인덱스 구간에서 고정적인 2개의 큐들로 분할한다. 설명 상 편의를 위해서, 각 큐에 포함되어 있는 코드 블록들은 증가 순서로 랭크된다. 먼저, 큐 1에 포함되어 있는 첫 번째 3개의 코드 블록들이 제1 그룹으로 추출되고, 상기 제1 그룹의 마지막 코드 블록이 제2 그룹의 시작 코드 블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큐의 데이터 유닛들은 상기 제1 큐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들이 모두 추출될 때까지 증가 순서로 추출되고, 상기 제2 큐의 이후의 데이터 유닛들은 동일한 순서로 추출된다. 상기 그룹 번들링의 결과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하나 이상의 코드 블록들 혹은 큐들이 존재할 때(큐들의 개수는 상기 구성된 분산 구간 개수와 동일함), 상기 그룹 번들링의 결과는 상기한 바와 같은 프로세스에 따라 유추하여 획득된다.
암묵적 통지의 방식 하에서, 상기 시스템 규칙에서 큐가 코드 길이에 따라 랭크된다는 것이 협력될 수 있다. 더 짧은 코드 길이를 가지는 코드 블록들은 각 그룹의 에러 확률을 밸런스하기 위해서 ACK/NACK 정보를 번들링하고 피드백하기 위한 각 그룹으로 분산된다. 상기 기지국은 공통 시그널링 혹은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의 코드 길이 임계값(즉,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보충하여 지시하는 파라미터)이 1이라는 것을 통지한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코드 길이 임계값에 따라, 코드 블록들을 2개의 큐들로 분할하고, 여기서 상기 코드 길이가 상기 코드 길이 임계값 보다 큰 코드 블록들은 제1 큐로 사용되고, 상기 코드 길이가 상기 코드 길이 임계값 보다 작은 코드 블록들은 제2 큐로 사용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큐에 포함되어 있는 코드 블록들은 증가 순서로 랭크된다. 상기 모든 코드 블록들이 상기 그룹 번들링 동안 추출될 때까지, 그룹 번들링 동안, 다른 큐들에 포함되어 있는 코드 블록들은 1개의 그룹으로 순차적으로 추출되고, 이전 그룹의 마지막 코드 블록은 다음 그룹의 시작 코드 블록으로 사용된다. 상기 그룹 번들링의 결과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유사하게, 1개 이상의 코드 블록들 혹은 큐들이 존재할 때(큐들의 개수는 상기 구성되어 있는 코드 길이 임계값에 의해 결정됨), 상기 그룹 번들링의 결과는 상기한 바와 같은 프로세스에 따라 유추하여 획득된다.
적합한 설계를 통해서, 본 개시는 또한 수신기가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적응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허락하고, 따라서 오버랩 그룹 번들링과 논-오버랩 그룹 번들링간의 적응적 구성 및 분산 그룹 번들링과 연속적 그룹 번들링간의 적응적 구성이 구현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적응적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시스템은 상기 기지국 및 단말기에 대해 적응적으로 구성된 규칙을 제공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자신의 상황들에 따라 그룹 번들링의 고유한 방법을 결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시그널링을 통해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보충하여 지시하는 파라미터)를 통지한다. 여기서, 그룹 번들링의 파라미터는 브로드캐스트 정보 혹은 시스템 정보에서 전달되는 공통 시그널링으로 알 수 있거나 혹은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으로도 알 수 있다. 즉, 다른 단말기들에 대해서는 그룹 번들링의 다른 방식들이 구성되는 것이 허락된다.
상기 오버랩 그룹 번들링 및 논-오버랩 그룹 번들링간의 적응적 구성에 대해서, 일 예로, 상기 시스템은 언제 상기 수신된 데이터 유닛들의 개수가 상기 피드백되는 ACK/NACK 정보의 비트들의 전체 개수에 의해 분할될 수 있는지를 제공할 수 있고, 그룹 번들링은 논-오버랩 방식으로 수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그룹 번들링은 오버랩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시스템의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피드백되는 ACK/NACK 정보의 전체 개수를 알려줄 수 있고, 다운링크 송신의 업링크 피드백에 대해서, 상기 단말기는 다운링크 송신의 데이터 유닛들의 개수에 따라 그룹 번들링의 적합한 방법을 적응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유하사게, 업링크 송신의 다운링크 피드백에 대해서, 상기 기지국은 업링크 송신의 데이터 유닛들의 개수에 따라 그룹 번들링의 적합한 방법을 적응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분산 그룹 번들링과 연속적 그룹 번들링간의 적응적 구성에 대해서, 일 예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등가 코드 레이트들의 최대 차이(데이터 유닛들의 비트들의 개수, 변조의 방식,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송신을 위해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 블록들의 사이즈와 같은 정보에 따라 연산에 의해 획득될 수 있고, 상기 모든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스케쥴되는 프로세스에서 결정될 수 있고,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게 알려줄 수 있다) 가 언제 임계값 미만인지를 제공할 수 있고, 이는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디코딩 성능이 근사치라는 것을 나타내고, 그룹 번들링이 연속적 방식으로 수행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그룹 번들링은 분산 방식으로 수행된다. 다운링크 송신의 업링크 피드백에 대해서, 상기 단말기는 다운링크 송신의 데이터 유닛들의 개수에 따라 그룹 번들링의 적합한 방법을 적응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유사하게, 업링크 송신의 다운링크 피드백에 대해서, 상기 기지국은 업링크 송신의 데이터 유닛들의 개수에 따라 그룹 번들링의 적합한 방법을 적응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알려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시스템이 브로드캐스트하는 임계값이 0.1일 때, 특정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 유닛의 최대 등가 코드 레이트가 0.9이고, 상기 최대 등가 코드 레이트가 0.4일 경우, 상기 코드 레이트들의 최대 차이는 0.5이고, 이는 상기 임계값 미만이며, 따라서 상기 단말기는 분산 그룹 번들링을 적응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단계 304b: 상기 단말기가 무선 프레임의 특정 자원 위치로 그룹들 각각에 대한 ACK/NACK 정보를 매핑하는 방식으로 상기 송신기에게 다른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제공함.
업링크 송신의 다운링크 피드백 상황에서 사용되는, 본 개시의 HARQ 피드백 방법의 예제에서, 수신기인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스템 규칙 및/혹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거나 혹은 구성되는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수신된 업링크 데이터에 대해 그룹 번들링을 수행하고, 각 그룹의 ACK/NACK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상응하는 단말기로 상기 ACK/NACK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HARQ 피드백을 위한 수신기는:
송신기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유닛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수신 모듈(501);
데이터 유닛들에 대해 그룹 번들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그룹 번들링 모듈(502),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은 한 개 이상의 그룹들로 번들링되며;
각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들의 디코딩 결과들에 따라 해당하는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에러 결정 모듈 (503);
상기 송신기로 다른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피드백하도록 구성되는 에러 피드백 모듈(504)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듈, 그룹 번들링 모듈, 에러 결정 모듈, 에러 피드백 모듈 각각의 동작 프로세스들은 본 개시의 HARQ 피드백 방법의 단계들 301a, 302a, 303a 및 304a에 상응하며, 따라서 여기서는 반복되지 않는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HARQ 재송신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601a: 수신기로부터 각각 다른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수신함.
단계 602a: 상기 그룹 번들링의 획득된 방법(혹은 타입)에 따라, 각 그룹에 번들링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들의 인덱스들을 결정함, 여기서 상기 그룹 번들링의 방법 (혹은 타입)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이 한 개 이상의 그룹들로 번들링되는 방식을 포함한다.
단계 603a: 상기 각각 다른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에 따라, 각 그룹에 번들링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들 중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혹은 재송신될 데이터 유닛들)을 결정함.
단계 604a: 상기 수신기로 상기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혹은 재송신될 데이터 유닛들)을 송신함.
실시 예 2
하기와 같은 예제로서 다운링크 송신의 에러 재송신(송신기는 기지국이고, 수신기는 단말기임)을 고려하여, 본 개시의 HARQ 재송신 방법의 일 실시 예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HARQ 재송신 방법은 또한 업링크 송신의 에러 재송신(송신기가 단말기이고, 수신기가 기지국임)의 상황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단계 601b: 기지국은 수신되는 공통 시그널링 혹은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그룹 번들링의 파라미터들을 획득하고, 및/혹은 단말기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을 리드하고, 상기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 및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에 따라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혹은 타입)을 결정한다.
상기 기지국과 일치하는 규칙은 상기 단말기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기지국은 리딩의 방식으로 상기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명시적 통지 혹은 암묵적 통지를 수신하는 것을 통해 상기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명시적 통지, 암묵적 통지, 및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혹은 타입)의 결정의 특정 내용들은 실시 예 1의 단계 201과 동일하고, 따라서 여기서는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단계 602b: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각각 다른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의 피드백을 수신함.
단계 603b: 상기 기지국은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혹은 타입)에 따라 해당하는 그룹들에 번들링되는 데이터 유닛들을 결정함.
상기 기지국이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방법에 따라 상기 해당하는 그룹들에 번들링되는 데이터 유닛들을 결정하는 프로세스는 상기 단말기가 데이터 유닛들에 대해 그룹 번들링을 수행하는 프로세스와 유사하다. 상기 특정 내용들은 실시 예 1의 단계 203에서 나타낸 바 있으며, 따라서 여기서는 반복되지 않는다.
단계 604b: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다른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그룹들에 번들링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들 중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혹은 재송신될 데이터 유닛들)을 결정함.
상기 기지국은 다른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에 따라 각 데이터 유닛들의 ACK/NACK 정보를 획득하고, 따라서 재송신될 데이터 유닛들이 결정되며, 그 구현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각 데이터 유닛은 데이터 유닛을 단위로 사용하여 트래버스(traverse)하여 검색되고, 데이터 유닛이 위치하는 그룹의 ACK/NACK 정보가 ACK일 때, 상기 데이터 유닛은 디코딩-정확 유닛(decoding-correct unit)으로 마킹된다. 데이터 유닛이 위치하는 그룹의 ACK/NACK 정보가 NACK일 때, 상기 데이터 유닛이 상기 마킹된 디코딩-정확 데이터 유닛과 동일한지 여부가 결정되고, 상기 데이터 유닛이 상기 마킹된 디코딩-정확 데이터 유닛과 동일할 경우, 상기 데이터 유닛은 디코딩-정확 유닛으로 마킹되고, 상기 데이터 유닛이 상기 마킹된 디코딩-정확 데이터 유닛과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데이터 유닛은 디코딩-부정확 유닛(decoding-false unit)으로 마킹되고 재송신되어야만 한다. 일 예로,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개수가 3이고, 상기 그룹 번들링의 방법이 오버랩 그룹 번들링일 때, 상기 그룹 번들링의 결과들은
Figure 112019041007679-pct00029
Figure 112019041007679-pct00030
이고, 상기 단말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그룹 ACK/NACK 정보에 상응하는, 기지국에 의해 재송신되는 데이터 양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19041007679-pct00031
Figure 112019041007679-pct00032
의 ACK/NACK 정보가 다를 때,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은 그룹의 서브셋이고, 기지국은 전체 그룹의 데이터 유닛들 모두를 재송신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재송신될 데이터 양은 감소된다.
표 3: 그룹 ACK/NACK 정보에 상응하는 재송신되는 데이터 양의 예제들
그룹 ACK/NACK 정보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
A 1 은 ACK이고 A 2 는 ACK임 없음
A 1 은 ACK이고 A 2 는 NACK임 유닛 2 및 유닛 4
A 1 은 NACK이고 A 2 는 ACK임 유닛 1
A 1 은 NACK이고 A 2 는 NACK임 모든 유닛들
단계 605b: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을 무선 프레임의 명시된 자원 위치로 매핑하는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로 상기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을 송신함.
상기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의 인덱스는 암묵적 통지의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에게 송신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재송신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 유닛들은 제2 데이터 유닛 및 제4 데이터 유닛이고, 송신을 멀티플렉싱하는 것이 다른 시간-주파수 자원들에서 상기 제2 데이터 유닛 및 제4 데이터에서 수행하는 것이 필요로 되고, 시스템 사전 결정 규칙이 데이터 그룹들이 인덱스 증가 순서에 따라 랭크되는 것일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유닛 2 및 데이터 유닛 4의 순서들에 따라 상기 데이터 그룹들을 분리하고 다음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혹은 상기 재송신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 유닛들이 상기 제2 데이터 유닛 및 제4 데이터 유닛이지만, 그 송신이 각각 다른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필요로 되고, 상기 시스템 사전 결정 규칙이 데이터 유닛들이 데이터 인덱스 증가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재송신될 경우, 상기 단말기는 인덱스-더 작은 주파수-도메인 자원 블록에서 혹은 인덱스-더 작은 프레임/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데이터 유닛 2를 수신할 수 있고, 인덱스-더 큰 주파수-도메인 자원 블록에서 혹은 인덱스-더 큰 프레임/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데이터 유닛 4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의 인덱스는 또한 명시적 통지의 방식으로, 일 예로, 재송신 서브 프레임의 제어 채널에서, 혹은 서비스 채널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명시된 비트에서 직접 상기 단말기로 송신될 수 있고, 상기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의 지시를 위한 인덱스는 정보로 전달된다.
업링크 송신의 에러 재송신의 상황에서 사용되는 본 개시의 HARQ 재송신 방법의 예제에서, 송신기인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피드백되는 ACK/NACK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스템 규칙 및/혹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그리고 공통 시그널링 혹은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에 따라 각 데이터 유닛의 디코딩 에러 상황을 결정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디코딩-부정확 데이터 유닛들을 재송신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HARQ 재송신을 위한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다른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에러 수신 모듈 (701);
상기 그룹 번들링의 결정된 방법(혹은 타입)에 따라, 해당하는 그룹들에 번들링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그룹 언번들링 모듈 (702), 상기 그룹 번들링의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유닛이 한 개 이상의 그룹들로 번들링되는 방식을 포함하며;
상기 다른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그룹들에 번들링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들 중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재송신 데이터 결정 모듈 (703);
상기 수신기로 상기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재송신 모듈(704)을 포함한다.
상기 에러 수신 모듈, 그룹 언번들링 모듈, 재송신 데이터 결정 모듈 및 재송신 모듈 각각의 동작 프로세스들은 본 개시에 따른 HARQ 송신을 위한 방법의 단계들 601a, 602a, 603a, 및 604a에 상응하며, 따라서 여기서는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 경우, 본 개시에서는, 그룹 번들링이 오버랩의 방식으로 데이터 유닛들에 대해서 수행되고, 에러에 대해서 송신기에 의해 송신되는 비트들의 개수가 감소되고 시스템 효율성이 더 개선된다. 일 예가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단일 단말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ACK/NACK 정보의 비트들의 주어진 총 개수가 3이고, 특정 단말기는 피드백될 7개의 코드 블록들의 ACK/NACK 정보를 가지고 있다. 각 코드 블록의 데이터 비트, 코드 길이 및 변조 코딩 방식은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되며, 따라서 한 개 이상의 코드 블록들의 비트 에러 확률은 동일하다. 한 개 이상의 코드 블록들의 비트 에러 확률이 동일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그룹 번들링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가정 하에서, 상기 비트 에러 확률은 10% 및 1%로 양자화되고 (10% 및 1%는 공통 비트 에러 확률이다), 오버랩 그룹 번들링 및 논-오버랩 그룹 번들링의 재송신 효율성이 비교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그룹의 사이즈는 3이고, 인접 그룹들간의 한 개의 코드 블록 유닛이 오버랩된다. 논-오버랩 그룹 번들링에 대해서, 코드 블록의 개수 및 ACK/NACK 정보의 피드백을 위한 비트들의 총 개수는 오버사이즈 그룹(oversize group)을 방지하기 위해 주어지며, 사이즈 균형은 번들링 동안 가능한 보장되어야만 할 것이다. 혹은 이와는 다를 경우, 단일 그룹이 더 크고, 상기 단일 그룹의 전체 디코딩-부정확 확률이 더 높으며, 상기 단일 그룹은 보다 쉽게 NACK을 생성하고, 상기 기지국에 의해 재송신되는 데이터 양은 더 크다. 상기와 같은 분석에 따르면, 논-오버랩 그룹 번들링을 위해 선택되는 방식들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 가지 방식들을 가진다.
따라서, 그룹 번들링의 각 방법의 평균 재송신 데이터 양이 획득될 수 있으며, 오버랩 그룹 번들링 및 논-오버랩 그룹 번들링의 상황들 하에서의 재송신 데이터 양의 비교 결과들은 다음과 같이 제공되며, 상기 비교 결과들은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퍼센티지 중 재송신-감소 데이터로 제시된다(즉, (논-오버랩 그룹 번들링의 재송신 데이터 양-오버랩 그룹 번들링의 재송신 데이터 양)/논-오버랩 그룹 번들링의 재송신 데이터 양).
표 4: 오버랩 방식의 재송신되는 데이터 양과 논-오버랩 방식의 재송신되는 데이터 양간의 비교 결과들
단일 코드 블록의 에러 레이트는 10%임 단일 코드 블록의 에러 레이트는 1%임
오버랩 방식 및 논-오버랩 방식 1 16% 21%
오버랩 방식 및 논-오버랩 방식 2 8% 11%
종래의 논-오버랩 그룹 번들링과 비교할 경우의, 상기 비교 결과들은 오버랩 그룹 번들링이 현저하게 재송신되는 데이터 양을 감소시키고 재송신 효율성을 개선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 경우, 본 개시의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설명과 결합할 때, 본 개시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유리한 기술적 효과들을 가진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1. 수신기는 데이터 유닛들에 대한 그룹 번들링을 수행하며, 그룹이 ACK/NACK 정보의 피드백을 위한 단위로 사용되기 때문에, HARQ 피드백의 피드백 오버헤드가 현저하게 감소된다.
2. 송신기는 수신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그룹 ACK/NACK 정보에 따라 송신 데이터 유닛들을 결정하고, 인접된 그룹들에 번들링되어 있는 오버랩 데이터 유닛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송신기에 의해 재송신되는 것이 필요로 되는 데이터 유닛들의 셋은 그룹의 서브셋이고, HARQ 에러 재송신의 데이터 양은 현저하게 감소되고, 에러 재송신의 효율성은 개선된다.
3. 수신기는 분산 방식으로 데이터 유닛들에 대해서 그룹 번들링을 수행하고, 이는 그룹 번들링에 더 큰 자유도를 제공하고 각 그룹의 전체 디코딩 에러 확률을 밸런스할 수 있고, 따라서 단일 그룹에 의해 피드백되는 NACK의 확률이 감소되고, 또한 송신기의 재송신되는 데이터 양 역시 감소된다.
4. 그룹 번들링의 관련 파라미터들은 명시적 통지 혹은 암묵적 통지 방식으로 송신되고, 상기 명시적 통지는 시그널링 오버헤드 측면에서 높지만 자유도 측면에서도 높고, 상기 암묵적 통지는 시그널링 오버헤드 측면에서는 낮지만 자유도 측면에서도 낮다. 상기 명시적 및 암묵적의 선택을 통해 그룹 번들링의 시그널링 오버헤드 및 자유도가 전반적인 고려 후에 적합하게 설계될 수 있고, 따라서 시스템의 전반적인 효율성이 증가된다.
5. 적응적 그룹 번들링 구성이 제공되고, 이는 수신기가 그룹 번들링의 오버랩, 논-오버랩, 분산, 혹은 연속적 방법을 적응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허락하고, 따라서 전달하는 파라미터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는 감소하고 수신기 구성의 유연성이 증가된다.
6. 암묵적 통지 방식의 관련 파라미터의 송신이 제공되고, 따라서 도난되는 데이터 정보가 방지되고, 시스템의 보안성이 증가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구조의 다른 예제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기(900)는 송신기(911)와, 제어기(913)와, 수신기(915) 및 저장 유닛(917)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913) 혹은 수신기(915)는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듈(501), 그룹 번들링 모듈(502), 및 에러 결정 모듈(503), 에러 피드백 모듈(50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913) 혹은 송신기(911)는 상기 에러 수신 모듈(701), 그룹 언번들링 모듈(702), 재송신 데이터 결정 모듈(903) 및 재송신 모듈(70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913)는 상기 단말기(9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기(913)는 상기 단말기(900)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 일 예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송신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관련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송신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관련되는 동작은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되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911)는 상기 제어기(913)의 제어 하에 다양한 신호들, 다양한 메시지들 등을 다른 엔터티, 일 예로 기지국 등으로 송신한다. 상기 송신기(911)에서 송신되는 상기 다양한 신호들, 다양한 메시지들 등은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되었으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수신기(915)는 상기 제어기(913)의 제어 하에 다양한 신호들, 다양한 메시지들 등을 다른 엔터티, 일 예로 기지국 등으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수신기(915)에서 수신되는 상기 다양한 신호들, 다양한 메시지들 등은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되었으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 유닛(917)은 상기 단말기(900)의 동작을 위해 필요로 되는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 상기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송신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관련되는 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저장 유닛(917)은 상기 수신기(915)에서 수신되는 다양한 신호들, 다양한 메시지들 등을 저장한다.
상기 송신기(911)와, 제어기(913)와, 수신기(915) 및 저장 유닛(917)가 별도의 유닛들로 설명되고 있을 지라도, 이는 설명의 편의만을 위한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할 것이다. 즉, 상기 송신기(911)와, 제어기(913)와, 수신기(915) 및 저장 유닛(917) 중 두 개 혹은 그 이상이 단일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900)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의 다른 예제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1000)은 송신기(1011)와, 제어기(1013)와, 수신기(1015) 및 저장 유닛(1017)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1013) 혹은 수신기(1015)는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듈(501), 그룹 번들링 모듈(502), 및 에러 결정 모듈(503), 에러 피드백 모듈(50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1013) 혹은 송신기(1011)는 상기 에러 수신 모듈(701), 그룹 언번들링 모듈(702), 재송신 데이터 결정 모듈(703) 및 재송신 모듈(70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1013)는 상기 기지국(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기(1013)는 상기 기지국(1000)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 일 예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송신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관련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송신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관련되는 동작은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되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1011)는 상기 제어기(1013)의 제어 하에 다양한 신호들, 다양한 메시지들 등을 다른 엔터티, 일 예로 단말기 등으로 송신한다. 상기 송신기(1011)에서 송신되는 상기 다양한 신호들, 다양한 메시지들 등은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되었으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수신기(1015)는 상기 제어기(1013)의 제어 하에 다양한 신호들, 다양한 메시지들 등을 다른 엔터티, 일 예로 단말기 등으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수신기(1015)에서 수신되는 상기 다양한 신호들, 다양한 메시지들 등은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되었으며,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 유닛(1017)은 상기 기지국(1000)의 동작을 위해 필요로 되는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 상기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송신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관련되는 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저장 유닛(1017)은 상기 수신기(1015)에서 수신되는 다양한 신호들, 다양한 메시지들 등을 저장한다.
상기 송신기(1011)와, 제어기(1013)와, 수신기(1015) 및 저장 유닛(1017)가 별도의 유닛들로 설명되고 있을 지라도, 이는 설명의 편의만을 위한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할 것이다. 즉, 상기 송신기(1011)와, 제어기(1013)와, 수신기(1015) 및 저장 유닛(1017) 중 두 개 혹은 그 이상이 단일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1000)은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수의 실시 예들에서 상기 개시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은 다른 방식들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할 것이다. 일 예로,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디바이스 실시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일 예로, 상기 유닛들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 기능 구분일 뿐이며, 상기 유닛들의 구분은 실제로는 다른 방식의 구분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유닛들 혹은 엘리먼트들은 결합될 수 있거나 혹은 다른 시스템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혹은 일부 특징들은 무시될 수 있거나 혹은 구현되지 않는다. 또한, 서로 연결되거나 혹은 직접 연결되거나 혹은 통신하는, 도시되어 있는 혹은 논의되는 다른 아이템들은 전기적으로, 혹은 기계적으로, 혹은 다른 방식으로, 일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혹은 다른 중개 컴포넌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도시되어 있는 구분되어 있는 컴포넌트들인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구분되어 있거나 구분되어 있지 않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하는 유닛인 컴포넌트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혹은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 있으며, 즉 상기 컴포넌트는 한 장소에 위치하고 있거나 혹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유닛들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유닛들 중 일부 혹은 전부는 상기 실시 예의 방식들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각 실시 예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으로 통합도리 수 있고, 각 유닛은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유닛들은 또한 1개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통합된 유닛들은 하드웨어 구현의 형태를 가질 수 있거나 혹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 구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의 모든 방법들의 전체 혹은 일부 단계들은 프로그램에 의해 명령되는 하드웨어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할 것이고,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리드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저장 매체는 리드 온니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랜덤 억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크, CD 혹은 다른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은 상기에서 구체적으로 소개되고 있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 대해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의 아이디어에 따라, 특정 구현 모드 및 응용 범위가 변경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내용으로부터, 상세한 설명의 내용은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5)

  1.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타입을 식별하는 동작;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 유닛들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타입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유닛들에 대해 그룹 번들링(group bundling)을 수행하는 동작, - 상기 데이터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그룹들로 번들링됨-;
    각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들의 디코딩 결과들에 따라 해당하는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해당하는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상기 송신기로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타입을 식별하는 동작은:
    수신되는 공통 시그널링 혹은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그룹 번들링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송신기와 일치하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그룹 번들링에 대한 파라미터들 및 상기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에 따라,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타입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은 상기 그룹 번들링의 인덱스를 구분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번들링에 대한 파라미터들은:
    그룹의 사이즈,
    오버랩 사이즈, 및
    상기 ACK/NACK 정보의 전체 비트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CK/NACK 정보의 전체 비트 개수에 따라 상기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다르게 결정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닛들에 대한 그룹 번들링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데이터 유닛들에 대한 그룹 번들링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랭크된 후의 그룹들 중 인접 그룹들은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닛들에 대한 그룹 번들링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데이터 유닛들을 랭크 및 인덱스한 후 그룹 번들링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하나의 동일한 그룹에 번들링된 데이터 유닛들의 인덱스들은 인접하지 않는 방법.
  7.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재송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타입을 식별하는 동작;
    수신기로부터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그룹 번들링의 타입에 따라, 각 그룹에 번들링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들의 인덱스들을 결정하는 동작, - 상기 데이터 유닛들은 상기 식별된 그룹 번들링의 타입을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그룹들로 번들링됨-;
    상기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에 따라, 각 그룹에서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수신기로 상기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을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타입을 식별하는 동작은:
    공통 시그널링 혹은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그룹 번들링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수신기와 일치하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그룹 번들링에 대한 파라미터들 및 상기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에 따라,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타입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은 상기 그룹 번들링의 인덱스를 구분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번들링에 대한 파라미터들은:
    그룹의 사이즈,
    오버랩 사이즈, 및
    상기 ACK/NACK 정보의 전체 비트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CK/NACK 정보의 전체 비트 개수에 따라 상기 그룹 번들링의 방법을 다르게 결정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에 따라 상기 각 그룹에서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ACK/NACK 정보가 NACK인 그룹들에 대해서, 정확하게 디코딩된 데이터 유닛들과 다른 번들링된 데이터 유닛들을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정확하게 디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은 상기 ACK/NACK 정보가 ACK인 그룹들에 포함되어 있는 번들링된 데이터 유닛들 모두를 포함하는 방법.
  12.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피드백을 수행하기 위한 수신기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수신되는 공통 시그널링 혹은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그룹 번들링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획득하고,
    송신기와 일치하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을 획득하고,
    상기 그룹 번들링에 대한 파라미터들 및 상기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에 따라,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타입을 식별하고;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 유닛들을 수신하고;
    상기 식별된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타입을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유닛들에 대해 그룹 번들링(group bundling)을 수행하고, - 상기 데이터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그룹들로 번들링됨-;
    각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유닛들의 디코딩 결과들에 따라 해당하는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해당하는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상기 송신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13.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재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신기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공통 시그널링 혹은 사용자 특정 시그널링을 통해, 그룹 번들링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획득하고,
    수신기와 일치하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을 획득하고,
    상기 그룹 번들링에 대한 파라미터들 및 상기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에 따라, 데이터 유닛들의 그룹 번들링의 타입을 식별하고;
    수신기로부터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된 그룹 번들링의 타입에 따라, 각 그룹들에 번들링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 유닛들의 인덱스들을 결정하고, - 상기 데이터 유닛들은 상기 식별된 그룹 번들링의 타입을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그룹들로 번들링됨-;
    상기 번들링된 그룹들의 ACK/NACK 정보에 따라, 각 그룹에서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을 결정하고; 및
    상기 수신기로 상기 재송신되는 데이터 유닛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14. 삭제
  15. 삭제
KR1020197011499A 2016-11-25 2017-11-23 Harq 피드백 및 재송신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2499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1063615.4 2016-11-25
CN201611063615.4A CN108111262B (zh) 2016-11-25 2016-11-25 混合自动重传请求反馈和重传的方法及接收机、发射机
PCT/KR2017/013421 WO2018097619A1 (en) 2016-11-25 2017-11-23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harq feedback and re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570A KR20190078570A (ko) 2019-07-04
KR102499058B1 true KR102499058B1 (ko) 2023-02-14

Family

ID=6219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499A KR102499058B1 (ko) 2016-11-25 2017-11-23 Harq 피드백 및 재송신 수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80051B2 (ko)
KR (1) KR102499058B1 (ko)
CN (1) CN108111262B (ko)
WO (1) WO20180976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7607A (zh) * 2018-10-17 2019-02-15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 高效可靠传输控制方法和系统
US11611442B1 (en) 2019-12-18 2023-03-21 Wells Fargo Bank, N.A. Systems and applications for semi-anonymous communication tagging
CN112769527B (zh) * 2020-12-30 2022-05-20 鹏城实验室 基于码块组的harq-ack反馈方法、装置及终端
WO2022160097A1 (zh) * 2021-01-26 2022-08-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发送混合自动重传请求反馈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02657A1 (en) * 2009-03-25 2012-01-05 Fujitsu Limit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140010105A1 (en) * 2011-03-18 2014-01-09 Fujitsu Limited Base station, mobile st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4791A (en) * 1995-11-07 1997-11-04 Nec Usa, Inc. Data link control protocols for wireless ATM access channels
AU2001271609A1 (en) * 2000-06-30 2002-01-14 Kanad Ghose System and method for fast, reliable byte stream transport
CN101034959A (zh) * 2006-03-10 2007-09-12 华为技术有限公司 混合自动重传方法及其装置和系统
CN101795177B (zh) * 2009-02-04 2016-05-1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重传确认信息反馈方法、系统及设备
CN103095433B (zh) * 2011-11-04 2018-06-1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发送harq-ack反馈信息的方法
ES2749680T3 (es) * 2012-09-28 2020-03-23 Ericsson Telefon Ab L M Codificación de acuses de recibo de solicitud de repetición automática híbrida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es inalámbrico con múltiples antenas
CN106664180B (zh) 2014-07-03 2020-07-10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通过非许可带宽传送和接收信号的方法及其设备
US9992004B2 (en) * 2015-02-03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Code block cluster level HARQ
US10270579B2 (en) 2015-02-05 2019-04-23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ACK/NACK transmission
WO2016159230A1 (ja) * 2015-04-02 2016-10-06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02657A1 (en) * 2009-03-25 2012-01-05 Fujitsu Limit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140010105A1 (en) * 2011-03-18 2014-01-09 Fujitsu Limited Base station, mobile st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7619A1 (en) 2018-05-31
CN108111262B (zh) 2022-04-15
KR20190078570A (ko) 2019-07-04
US20190393993A1 (en) 2019-12-26
CN108111262A (zh) 2018-06-01
US10880051B2 (en)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12111B2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corresponding equipment
KR10264278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및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5699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913175B1 (ko) 데이터 수신 상태를 피드백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1597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420082B2 (en) Feedback of control information for multiple carriers
KR102331127B1 (ko) 상향링크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자원할당 및 프리코딩 방법 및 장치
EP35577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porting semi-persistent channel stat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95326A (ko)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7776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77682B2 (en) Base st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99058B1 (ko) Harq 피드백 및 재송신 수행 방법 및 장치
EP3506525A1 (en) Precoding information signa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plurality of array antennas
US201901096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back harq-ack information
EP288224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US100570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back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16057A (ko)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긍정/부정 수신 확인 메시지를 피드백하는 방법
US112023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85122A1 (en) Uplink control for time-division duplex with asymmetric assignment
KR20190129491A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3475009B (zh) 无线通信系统中用于高秩csi报告的方法和装置
CN113891474A (zh) 无线通信系统中的资源分配方法、基于所述方法的数据接收方法以及用于所述方法的装置
KR20180108265A (ko) 복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27523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및 이에 기반한 데이터 수신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CN107113797B (zh) 一种信道状态信息的传输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