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566B1 -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566B1
KR102498566B1 KR1020200061888A KR20200061888A KR102498566B1 KR 102498566 B1 KR102498566 B1 KR 102498566B1 KR 1020200061888 A KR1020200061888 A KR 1020200061888A KR 20200061888 A KR20200061888 A KR 20200061888A KR 102498566 B1 KR102498566 B1 KR 102498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imulator
luminance
transmission device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4468A (ko
Inventor
곽미진
Original Assignee
곽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미진 filed Critical 곽미진
Priority to KR1020200061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566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7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powering off a displa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컨텐츠 또는 효과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컨텐츠 전송 장치,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며, 차량 좌석별로 배치되는 HMD 장치,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상기 HMD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효과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와 동기화 된 효과를 발생시키는 시뮬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시뮬레이터에 포함된 액츄에이터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조절할 수 있어, 구동시 발생하는 마찰을 줄이고 그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 진동을 줄여 가상현실 컨텐츠에 더욱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OF PROVIDING EDUCATIONAL VIRTUAL REALITY CONTENTS TO ENABLE TO REDUCE POWER LOSS IN VEHICLE SUCH AS A BUS AND A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뮬레이션 체어 구동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력에 의해 진동이나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 손실을 줄이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 사회 전반적으로 저출산,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지역의 인구가 수도권과 대도시로 몰리면서 지방은 인구감소로 인해 지역 소멸이라는 위기를 맞고 있다. 특히 지방은 인구감소로 세수가 줄어들고 경쟁력이 낮아지면서 출산, 양육, 보육, 교육, 경제 기반이 무너질 위기에 있다. 교육 측면에서, 도심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육 체험 기회가 부족한 농어촌, 구도심 등의 이른바 소외 지역의 초, 중, 고교 및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따라, 교육 체험 기회격차 해소를 위한 사회 공헌 사업으로 소외 지역의 초, 중, 고교 및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진로체험 버스 등이 운영되고 있으나,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데 컨텐츠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차량과 접목시켜 농어촌 등 소외지역에서도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에, 소외 지역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해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가상현실은 가상 세계 또는 현실 세계의 객체나 배경 등을 컴퓨터를 사용해서 인공적으로 구현해 놓은 인공 세계 또는 그러한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런 가상현실 기술은 가상의 세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과 현실의 세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전자의 경우 컴퓨터에 의해 만들어진 가상의 공간이나 환경에서 사용자가 몰입되는 경우이며, 후자의 경우 현실의 정보가 가상현실 시스템 기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경우로서, 증강현실이나 복합현실이 여기에 속한다.
이러한 가상현실 영상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시점이 변화하여 다양한 시점의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게임·교육·의료·영상·방송·광고·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또한 가상현실은 가상 세계 또는 현실 세계를 인공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그 가상현실 내에서 사용자는 제한 없는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가상현실 기술이 소외 지역의 학생들에게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 대안이 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가상현실 기술을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가 보급화에 따라 HMD 장치는 마치 실제 주변 환경과 상호 작용을 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는 가상현실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화면이 점점 밝아지며 화려해지고 고사양화되며, 인치당 픽셀수(PPI: Pixels per inch)가 높아지고 글자가 작아지면서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HMD 장치를 장시간 이용하면 이러한 밝고 화려한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눈의 거리가 가까워 눈의 피로도가 증가하고 시력이 저하되는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또한, 가상현실 출력 장치들은, 일반적인 시청각 출력 장치와 다르게, 사용자의 시야를 전체적으로 가린 상태에서 출력 화면에 나타나는 영상에 의해서만 사용자의 시각적 인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신체적으로 느끼는 움직임과, 출력 화면에 나타나는 영상의 움직임에 차이가 발생할 경우, 멀미를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멀미 증상은 사이버 멀미(cyber sickness)(또는, 가상 멀미)로 불리기도 하는데, 사이버 멀미가 누적되는 경우, 출력 장치 자체에 대한 사용 편의성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가상현실 장치를 제공하여 소외 지역의 학생들이게 다양한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한편, 눈의 피로감 감소 및 사이버 멀미 증상을 일으키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주변 환경 휘도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휘도 값이 눈부심 현상을 일으키는 임계 휘도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고, HMD 장치를 장시간 이용하지 않도록 컨텐츠의 길이를 제한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6자유도 운동이란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요잉(yawing), x축을 중심으로 y축이 좌우로 회전하는 롤(roll), y축을 중심으로 z축이 상하로 회전하는 피치(pitch), z축 상에서 직선 왕복운동하는 히브(heave), y축상에서 직선 왕복운동하는 서지(surge), x축 상에서 직선 왕복운동하는 스웨이(sway)의 6가지 가상의 모션을 지칭한다.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자유도 운동을 구현하는 구동장치는 훈련장치, 건설장비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게임 시뮬레이터, 놀이동산 등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에 맞는 자유도를 구동하기 위해서 시뮬레이터 체어에 설치된 구동장치가 이를 구현하게 된다.
시뮬레이션 체어는 모든 액츄에이터가 하부 플레이트의 가로방향 중심선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액츄에이터의 구동시에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분력에 의해 스플라인을 중심으로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모멘트에 따라 마찰이 생겨 시뮬레이션 체어 작동시 불규칙한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므로 가상현실 컨텐츠의 몰입에 방해가 되며, 마찰에 의해 생기는 전력 손실이 문제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이 점점 밝아지며 화려해지고 고사양화되며, 인치당 픽셀수(PPI: Pixels per inch)가 높아지므로 HMD 장치에서 고선명 영상을 재생하려면 패널과 칩세트의 전력 소모가 너무 커 무거운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전원을 연결해야만 했다. 더욱이 전원을 연결하기 어려운 차량의 경우에, 이와 같이 전력소모가 큰 여러 대의 HMD 장치를 운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1488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현실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소외 지역의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인간은 어두운 곳에서 밝은 것을 보면 눈의 피로가 더 크게 느껴지는 시각의 특성을 가지는 한편, 컨텐츠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밝은 컨텐츠를 제공해야 선명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어두운 곳에서 밝은, 즉 선명한 화질의 컨텐츠를 보는 것은 사용자의 눈에 큰 피로를 준다. 본 발명의 경우 HMD 장치에 관한 것으로 HMD 장치는 외부의 빛을 차단하기 때문에 착용 후 어두운 상태에서 착용 전 외부의 밝기, 즉 휘도를 반영하여 컨텐츠의 밝기를 조절하는 컨텐츠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밝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점은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쾌한 눈부심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빛은 망막에 손상을 주어 시력 감퇴를 가져오는 황반 퇴화의 발병을 일으키는 주 원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눈부심으로 인해 발생한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줄이고 빛의 세기를 낮춰 시력 감퇴를 막기 위하여, 인간의 시각 특성을 고려하여 주변 환경 휘도에 따라 화면 휘도를 제어할 수 있는 컨텐츠 전송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을 사용자 입력, 컨텐츠 제공 시간 및 사용자의 눈 피로 상태 등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시력보호모드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서 이뤄지는 것이 특징이므로 그 한정된 전력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변 환경 휘도에 따라 눈부심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화면 휘도를 제어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컨텐츠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가상현실을 20분 이상 경험한 사용자의 80% 이상이 시각과 움직임의 부조화에 의해 발생하는 사이버 멀미(Cyber-sickness)를 경험하며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전문적으로 훈련 받은 파일럿이나 운전사들은 훈련 후 적어도 12∼24시간 이내에 실제적인 비행이나 운전을 금하게 하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받는 학생들이 가상현실(VR) 디바이스를 오래 착용할 경우 경험할 수 있는 사이버 멀미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컨텐츠가 사용자들의 80% 이상이 사이버 멀미를 경험하는 20분 이하의 시간에서 제공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HMD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HMD는 고화질의 컨텐츠를 제공하기 때문에 높은 밝기를 유지하므로, 이러한 높은 선명도의 밝은 빛에 학생들의 눈이 노출되면, 성장 중인 학생들의 눈의 시력에 쉽게 악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학생들에 대해선 HMD 장치를 이용하는 시간을 제한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간은 시각과 움직임의 부조화에서 사이버 멀미를 느끼기 때문에, 본 발명은 가상현실의 현실감 및 몰입감을 해치지 않으면서 사이버 멀미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HMD 장치에 화면이 나오는 것과, 시뮬레이터가 움직이는 것이 동시에 일어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의 운동 과정에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력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진동이나 소음으로 사용자는 컨텐츠에 몰입할 수 없으며, 흥미를 잃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발생한 마찰에 의해서 전력손실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한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위치를 변경시켜 안정적인 구동을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시뮬레이터 아래에 축들을 이루는 액츄에이터들에 부하가 상이하고,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몸무게가 클수록 구동시 액츄에이터에 걸리는 부하는 더 크다.
또한 시뮬레이터의 중심축에서 액츄에이터가 구동되어야 적은 상하 운동으로도 시뮬레이터의 큰 움직임을 이끌 수 있다. 예컨대,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액츄에이터가 구동되어도 시뮬레이터의 운동이 작아지므로 시뮬레이터의 액츄에이터를 분산시켜 구비하게 되면 목적하는 구동 범위에 이를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몸무게가 적은 사용자의 경우 넓은 구동범위에서 시뮬레이터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사용자들에 대해선 시뮬레이터 아래 면의 축들을 넓게 분산하도록 액츄에이터의 위치를 변경시켜 시뮬레이터의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고 액츄에이터에 걸리는 부하가 작아 전력 손실도 방지하는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뮬레이션 체어의 액츄에이터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고정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시뮬레이션 체어에 비해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한 시뮬레이션 체어를 포함한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뮬레이션 체어에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때에도, 모바일 디바이스 및 시뮬레이터가 구동하고 있기 때문에 생기는 불필요한 전력 손실이 생기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외 지역의 학생들에게 접근성을 확보하고자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차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컨텐츠 전송 장치를 이용하여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통해 차량 좌석별로 배치된 HMD(Head-Mounted Display)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단계; (c)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주변 환경 휘도를 측정하도록 하고, 상기 측정된 환경 휘도를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 (e)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측정된 환경 휘도와 미리 설정된 눈부심 지수 값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눈부심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임계 화면 휘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임계 화면 휘도에 해당하는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 임계치를 도출하는 단계; (f)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입력되는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픽셀의 휘도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을 계산하고, 계산한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이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휘도가 상기 임계 화면 휘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발광 모듈의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 (g)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 재생 시작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h)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HMD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HMD 장치가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단계; (i)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HMD 장치에 의하여 전송된 상기 컨텐츠 재생에 따른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j)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와 시뮬레이터를 동기화하고, 해당 시간에 발생할 효과 제어 신호를 상기 시뮬레이터에 전송하여 상기 효과 제어 신호에 따른 상기 시뮬레이터의 효과와 상기 컨텐츠를 동기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동시 재생의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HMD 장치에 화면이 나오는 것과, 상기 시뮬레이터가 움직이는 것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텐츠의 길이는 상기 컨텐츠의 특성 또는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컨텐츠의 길이는 상기 HMD 장치에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전송한 상기 효과 제어 신호에 따라 요동되는 시뮬레이션 체어(chair)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또한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데스크톱(desk top), 랩 톱(lap top), 모바일 단말기,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시뮬레이터에 포함된 제어장치에 정지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시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컨텐츠가 교육용 컨텐츠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상기 HMD 장치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컨텐츠 전송 장치를 이용하여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HMD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통신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HMD 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서비스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환경 휘도 측정부가 주변 환경 휘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환경 휘도를 상기 컨텐츠 전송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말기 제어부; 미리 설정된 눈부심 지수 값과 상기 환경 휘도 측정부가 측정한 환경 휘도를 이용하여 눈부심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임계 화면 휘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임계화면 휘도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 임계치를 도출하는 임계치 결정부; 입력되는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픽셀의 휘도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을 계산하는 평균휘도레벨 계산부; 상기 평균휘도레벨 계산부가 계산한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이 상기 임계치 결정부에서 도출한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을 초과할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휘도가 상기 임계 화면 휘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발광 모듈의 발광 휘도를 조절하는 휘도 조절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 재생 시작 신호를 전송하는 시작신호 전송부;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HMD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HMD 장치가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제어부; 상기 컨텐츠 재생에 따른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시간정보 수신부; 및 상기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와 시뮬레이터를 동기화하고, 해당 시간에 발생할 효과 제어 신호를 상기 시뮬레이터에 전송하여, 상기 효과 제어 신호에 따른 상기 시뮬레이터의 효과와 상기 컨텐츠를 동기화하도록 하는 효과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동시 재생의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HMD 장치에 화면이 나오는 것과, 상기 시뮬레이터가 움직이는 것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텐츠의 길이는 상기 컨텐츠의 특성 또는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컨텐츠의 길이는 상기 HMD 장치에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효과 제어 신호에 따라 요동되는 시뮬레이션 체어(chair)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정지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시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컨텐츠가 교육용 컨텐츠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 센서부; 및 측정된 거리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상기 HMD 장치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와 같은 차량은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통해 차량 좌석별로 배치된 HMD(Head-Mounted Display)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단계; (c)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 재생 시작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HMD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HMD 장치가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단계; (f)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HMD 장치에 의하여 전송된 상기 컨텐츠 재생에 따른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g)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와 시뮬레이터를 동기화하고, 해당 시간에 발생할 효과 제어 신호를 상기 시뮬레이터에 전송하여 상기 효과 제어 신호에 따른 상기 시뮬레이터의 효과와 상기 컨텐츠를 동기화하는 단계; (h)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시뮬레이터에 가해진 압력을 센서부에서 측정하도록 하는 단계; (i)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압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j)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시뮬레이터에 포함된 액츄에이터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k)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압력정보에 따라 상기 시뮬레이터에 포함된 상기 액츄에이터의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l)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계산된 각도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의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동시 재생의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HMD 장치에 화면이 나오는 것과, 상기 시뮬레이터가 움직이는 것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텐츠의 길이는 상기 컨텐츠의 특성 또는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컨텐츠의 길이는 상기 HMD 장치에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전송한 상기 효과 제어 신호에 따라 요동되는 시뮬레이션 체어(chair)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상기 시뮬레이터에서 일정 수치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지를 상기 센서부에서 결정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상기 센서부에서 일정 수치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수신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시뮬레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상기 시뮬레이터에 설치된 상기 센서부에서 0.1 내지 20 킬로그램[kg]의 범위 내에서 일정 수치 이상의 무게가 측정될 경우에만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시뮬레이터에 포함된 제어장치에 정지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시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상기 HMD 장치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시뮬레이터는 롤(roll), 피치(pitch), 및 히브(heave)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컨텐츠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HMD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통신부;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HMD 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서비스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 재생 시작 신호를 전송하는 시작신호 전송부;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HMD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HMD 장치가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제어부; 상기 컨텐츠 재생에 따른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시간정보 수신부; 및 상기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와 시뮬레이터를 동기화하고, 해당 시간에 발생할 효과 제어 신호를 상기 시뮬레이터에 전송하여, 상기 효과 제어 신호에 따른 상기 시뮬레이터의 효과와 상기 컨텐츠를 동기화하도록 하는 효과 제어부; 상기 시뮬레이터에 가해진 압력을 센서부에서 측정하도록 하는 센서 제어부;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압력정보를 수신하는 압력정보 수신부; 상기 시뮬레이터에 포함된 액츄에이터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 상기 압력정보에 따라 상기 시뮬레이터에 포함된 상기 액츄에이터의 각도를 계산하는 각도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각도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동시 재생의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HMD 장치에 화면이 나오는 것과, 상기 시뮬레이터가 움직이는 것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텐츠의 길이는 상기 컨텐츠의 특성 또는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컨텐츠의 길이는 상기 HMD 장치에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효과 제어 신호에 따라 요동되는 시뮬레이션 체어(chair)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상기 시뮬레이터에서 일정 수치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지를 센서부에서 결정하도록 하는 센서 제어부; 상기 센서부에서 일정 수치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시뮬레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상기 시뮬레이터에 설치된 상기 센서부에서 0.1 내지 20 킬로그램[kg]의 범위 내에서 일정 수치 이상의 무게가 측정될 경우에만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와 같은 차량은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가상 세계 또는 현실 세계를 인공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환경에 상관없이 그 가상현실 내에서 사용자는 제한 없는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외지역에 구비되지 않아 체험할 수 없었던 경험을 학생들이 체험할 수 있도록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200) 주변 환경 휘도와 눈부심 지수를 이용하여 발광 모듈(270)의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화면 휘도를 눈부심이 발생하지 않는 적정 휘도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200) 주변 환경 휘도와 눈부심 지수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 휘도에 따라 자동으로 발광 모듈(270)이 휘도를 조절하므로 소비 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HMD 장치에 화면이 나오는 것과, 시뮬레이터가 움직이는 것이 동시에 일어나 사용자에게 가상현실의 현실감 및 몰입감을 주는 한편, 이러한 사실적인 컨텐츠 아래에서 현실세계와의 차이로 인해 발생할 사이버 멀미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80% 이상이 사이버 멀미를 경험하는 20분 이하의 시간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므로 가상현실 장치를 오래 착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이버 멀미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로 예상되는 학생들은 시력이 주변 환경에 민감하게 변하므로 컨텐츠의 길이를 제한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므로 가상현실 장치를 오래 착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시력 감퇴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력에 따라 최종적으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진동이나 소음을 방지하여 몰입감 있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한편, 마찰에 의해 생기는 전력손실을 방지하는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뮬레이터에 사용자가 착석할 때, 시뮬레이터에 센서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센서부에 가한 압력, 즉 몸무게가 일정 수치 이상인 경우, 시뮬레이터의 액츄에이터가 안정적인 구동이 어려울 수 있어 액츄에이터의 위치를 조정하여 안정적인 구동을 제공하고, 몸무게가 일정수치 이하인 경우 시뮬레이터의 액츄에이터의 위치를 조정하여 시뮬레이터 중심 축에서 더 큰 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뮬레이터에 사용자가 착석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 및 시뮬레이터가 구동하도록 시뮬레이터에 센서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좌석에 착석할 때에만 모바일 디바이스 및 시뮬레이터가 구동하게 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및 시뮬레이터의 전력 손실을 방지하는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버스와 같은 차량을 이용하여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소외 지역에 거주하여 다양한 경험을 하기 어렵고, 가상현실을 쉽게 접하기 어려운 학생들이 있는 곳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버스가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에 관여하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에 관여하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사용자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컨텐츠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시력보호모드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지 신호가 제어장치에 인가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신호가 시뮬레이터(400)에 인가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신호가 시뮬레이터(400)에 인가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시뮬레이터(400)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시뮬레이터(400)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s)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 모듈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구성요소, 모듈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 모듈 또는 섹션들을 다른 구성요소, 모듈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 제1 모듈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 제2 모듈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모듈 및/또는 섹션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모듈 및/또는 섹션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전송 장치(100)와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HMD 장치(300), 및 시뮬레이터(4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컨텐츠 전송 장치(100)와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HMD 장치(300), 및 시뮬레이터(400)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대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등과 같은 다양한 크기의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고,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컨텐츠 또는 컨텐츠에 따른 효과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효과 제어 신호는 시뮬레이터가 요동되도록, 즉 흔들리어 움직이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효과 제어 신호에 따라 요동되는 시뮬레이터는 롤(roll), 피치(pitch), 및 히브(heave) 구동을 포함하는 운동을 하는 특성을 갖는다.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차량을 운영하는 주체에 의해 관리되며, 컨텐츠에 따라 시뮬레이터(400)의 요동을 제어하기 위한 효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효과 제어 신호를 시뮬레이터(400)에 전송한다. 즉,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HMD 장치(300)로부터 컨텐츠 재생에 따른 시간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터(400)와의 통신을 통해 동기화를 수행하여, 해당 시간에 발생할 효과 제어 신호를 시뮬레이터에 전송한다.
위와 같이 컨텐츠 전송 장치(100)가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컨텐츠는, 예를 들어서 교육용 게임, 교육용 여행 컨텐츠, 교육용 영화/드라마, 교육용 뮤직비디오, 교육용 애니메이션, 새로운 체험, 직업 교육 프로그램, 기술 교육 프로그램, 또는 수학, 과학 등 교과목 관련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안 사용자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체중, 신장, 및 눈의 피로도 같은 사용자 개인의 특성들, 또는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의 해상도, 및 컨텐츠의 채도 같은 컨텐츠의 특성들에 따라 눈의 피로, 또는 사이버 멀미를 다르게 느낄 수 있다. 예컨대, 나이가 어린 사용자는 성인 사용자들에 비해 눈의 피로를 빨리 느끼고, 컨텐츠의 휘도가 높을 경우에 눈의 피로도를 높이고 사이버 멀미를 증폭시킨다.
한편, 컨텐츠의 휘도를 낮추면 해상도가 낮아져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에 몰입하는 것을 방해한다. 따라서 컨텐츠의 해상도를 낮춰 눈의 피로를 경감시키고, 사이버 멀미를 피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컨텐츠에 몰입할 수 있도록 일정 해상도를 유지해야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해상도를 낮춰 컨텐츠를 제공하는 한편, 몰입감을 위해 일정 수준의 해상도 이하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없으므로, 위와 같은 사용자의 특성 또는 컨텐츠의 특성에 따라 그 컨텐츠의 길이를 한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20분 이상 가상현실을 경험한 사용자의 80% 이상이 사이버 멀미를 느낀다는 점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5분 내지 10분에서 컨텐츠의 길이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텐츠의 길이는 HMD 장치(300)에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제어될 수 있다. 즉, HMD 장치(300)를 착용한 사용자의 특성과 컨텐츠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한된 시간을 넘어 컨텐츠가 제공되는 경우, HMD 장치(300)에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컨텐츠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컨텐츠 전송 장치(100)가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컨텐츠를 전송 또는 제공한다는 기재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가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위와 같은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아울러서 차량 내 좌석에 배치된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사용자에게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행위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행위로서 이해될 수 있다.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예를 들어, 데스크톱(desk top), 랩톱(lap top) 등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모바일 단말기, 및 스마트폰(smartphone)일 수 있다.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예시되지 않은 다른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다.
HMD 장치(3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연결되어, 컨텐츠 전송 장치(100)가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전송한 컨텐츠를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한다. HMD 장치(300)는 컨텐츠를 표시할 때, 가상현실 효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롤러코스터라고 가정하면, HMD 장치(300)는 실제 롤러코스터를 타는 느낌을 HMD 장치(300)를 착용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게 된다.
HMD 장치(300)는 컨텐츠 재생에 따른 시간정보를 실시간으로 컨텐츠 전송 장치(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상기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터(400)와의 동기화를 수행한다.
HMD 장치(300)는 차량 내 좌석 별 또는 사람별로 배치되고, HMD 장치 착용이 고지되면, 사용자들이 HMD 장치(300)를 자신의 머리에 착용한다.
이러한 HMD 장치(300)는, 예를 들어,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는 형태(form)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HMD 장치(300)는 화면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HMD 장치(300)는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사이즈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HMD 장치(300)는 안경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HMD 장치(300)는 프레임 등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에 임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HMD 장치(300)는 자체적으로 CPU 및 Display를 가지는 제1타입(type)과 HMD 장치(300)에 모바일 디바이스(device)(20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 2타입이 있다. 제2타입의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HMD 장치(300)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타입은 (a)와 같은 구조로, HMD 장치(300)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제2타입은 (b)와 같은 구조로, HMD 장치(3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연결된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HMD 장치(3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제2타입의 경우, HMD 장치(3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HMD 장치(3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설계된다. 이때, HMD 장치(3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미러캐스트(miracast) 기술 등을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로 표시한다.
HMD 장치(300)와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밴드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처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HMD 장치(300)가 서로 연결된다. HMD 장치(30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0)간 데이터 페어링을 위해 미러캐스트(miracast) 기술이나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기술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시뮬레이터(400)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와 연결되며, 컨텐츠 전송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효과 제어 신호에 따라 컨텐츠와 동기화 된 효과를 발생한다.
이러한 시뮬레이터(400)는 컨텐츠 관람시 사용자가 앉은 시뮬레이션 체어(chair)(410) 또는 컨텐츠와 연동하여 관객에게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 내에 설치된 시뮬레이션 효과 장치(420)를 포함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체어는 컨텐츠가 시작되면 그 컨텐츠에 맞춰서 모션 및 진동을 제공하고, 시뮬레이션 효과 장치(420)는 컨텐츠에 맞춰서 실시간으로 눈, 비, 바람, 이슬, 안개, 폭우, 번개, 향기, 빛 등의 효과들을 발생한다.
또한, 상기 시뮬레이션 효과 장치(420)에는 관객의 발목, 얼굴, 목 부위 등에 에어나 워터 등을 분사할 수 있는 효과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의자의 일측에 레그 티클, 페이스 샷, 넥 샷, 워터 스프레이 샷, 바이브레이션 등과 같은 효과장치가 마련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각 및 청각뿐만 아니라 촉각까지도 자극을 받을 수 있게 되고, 결국 사용자는 영상에 좀더 몰입하면서 관람을 할 수 있게 된다.
시뮬레이터(400)는 내부적으로 실제 특수 효과를 구현하는 장치들, 즉 복수개의 효과장치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기능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기능부에는 효과장치들을 제어하는 데에 필요한 프로그램, 즉 펌웨어(Firmware)가 설치되어 있다. 펌웨어란 통상 기능부 내 저장공간, 구체적으로 ROM에 기록이 되는 것으로서, 시뮬레이터(400)를 구성하는 효과장치들에 대한 제어 명령어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펌웨어가 설치된 기능부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로부터 효과 제어 신호를 수신한 뒤 펌웨어를 통해 효과장치들을 제어하게 된다.
시뮬레이터(400)에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시뮬레이터(400)를 정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제어장치를 작동시키면 시뮬레이터는 정지한다. 제어장치는 스위치, 레버 등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시뮬레이터(400)에는 양 옆과 가운데에 안전벨트 부착용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어, 이곳에 장착되는 안전벨트를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안심하고 영상을 관람할 수 있고, 의자의 요동에 따른 안전사고의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
시뮬레이터(400)는 컨텐츠 상영 중 실시간으로 컨텐츠 전송 장치(100)와 상호 통신을 하기 위해 타임 코드를 동기화 한다. 즉, 컨텐츠 전송 장치(100)와 시뮬레이터(400)는 컨텐츠의 상영이 시작되면 상호 참조하는 시간정보를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타임 코드 동기화를 실시하며, 이로써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컨텐츠 상영 중 시뮬레이터(400)를 별도로 제어하고자 할 때, 갑작스런 오류가 발생하여 초기화를 시키고자 할 때 등 돌발변수가 발생하더라도 시뮬레이터(400)와 공유하는 타임 코드를 참조하여 적절한 시각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시뮬레이션 체어(410)를 이루는 액츄에이터를 설명하면, 액츄에이터(Actuator)란 물체를 움직이거나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기계장치를 말하며, 전기(Electricity), 유압(Oil Pressure), 공압(Air Pressure)등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동식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데, 전동식은 보통 모터식이라 하며, 모터의 종류는 보통 서보모터(Servo Motor) 또는 BLDC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를 사용한다. 의자의 움직임을 만들어 주는 액츄에이터(Actuator)를 작고 가볍게 만드는 작업이 힘들지만, 움직임에 대한 속도와 위치 제어가 우수하다. 각각의 의자 움직임이 거의 동일하고, 다양한 모션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전기만 있으면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체어(410)는, 롤(Roll), 피치(Pitch) 및 히브(Heave) 구동이 가능하다. 액츄에이터를 다수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움직임을 줄 수 있으나, 이 경우 소비 전력이 높을 뿐만 아니라 불특정 다수의 관람객이 관람하는 시뮬레이션 체어(410)의 특성상 심약자에게 무리를 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액츄에이터의 개수를 줄여서 움직임을 제한하면 관람객에게 다양한 모션 의자의 움직임을 제공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는 시뮬레이션 체어(410)가 롤, 피치 및 히브 구동을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이를 위하여 3개의 액츄에이터 및 스플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시뮬레이션 체어(410)가 다양한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한편, 다수의 액츄에이터가 포함되는 것에 비해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비용이 낮고 시뮬레이션 체어가 움직일 때 사용되는 전력이 적어 바람직하다.
액츄에이터는 1개의 중앙 액츄에이터와 2개의 측면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더 많은 액츄에이터를 채택할 수 있으나 3개의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3축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것은 면의 개수에 따라 의자가 꺾일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공간 상 4개의 점은 1개 또는 4개의 면을 갖게 되어 의자가 꺾여 새로운 면은 만들 수 있는 반면에 3개의 점은 공간적으로 하나의 면만 만들 수 있어 의자가 꺾이지 않는다.
하부 플레이트는 차량의 바닥과 접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하부 플레이트는 차량의 바닥구조물에 볼트, 앙카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는 하부 플레이트의 상방으로 이격하여 위치된다. 이러한 상부 플레이트에 의자가 체결된다.
제1 액츄에이터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 사이의 좌측부에 하부플레이트의 가로방향 중심선과 소정의 제1 각도를 갖도록 설치된다. 제1 액츄에이터는 상부 플레이트의 좌측부를 구동시킨다.
제2 액츄에이터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 사이의 우측부에 하부플레이트의 가로방향 중심선과 소정의 제2 각도를 갖도록 설치된다. 제2 액츄에이터는 상부 플레이트의 우측부를 구동시킨다.
제3 액츄에이터는 세로방향 중심선과 동일선상에서 상기 가로방향 중심선에 평행하도록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 사이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제3 액츄에이터는 주로 상부 플레이트의 중앙부를 구동시킨다.
각각의 액츄에이터들은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며 레일이 형성된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각각의 액츄에이터들은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동작한다. 또한, 액츄에이터들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가 더 포함되어 각도를 변경하지 않을 때에는, 각각의 액츄에이터들은 고정된다.
스플라인은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다. 제3 액츄에이터의 인접하여 하부 플레이트의 중앙에 스플라인이 위치한다. 스플라인은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안정된 운동을 지원한다.
4개의 의자가 배열된 방향에 따른 중심 가로축을 x축, 시뮬레이션 체어(410)의 정면 및 후면을 이은 중심 세로축 y축, 시뮬레이션 체어(410)의 상하를 이은 중심축을 z축으로 정의한다.
롤 구동은, y축을 중심으로 모션 의자 조립체의 좌측이 상승하고 동시에 우측이 하강하거나 반대로 좌측이 하강하고 우측이 상승하는 구동을 지칭한다. 피치 구동은, x축을 중심으로 모션 의자 조립체의 정면측이 상승하고 동시에 후면측이 하강하거나 반대로 정면측이 하강하고 후면측이 상승하는 구동을 지칭한다. 히브 구동은, z축을 따라서 모션 의자 조립체 전체가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하는 구동을 지칭한다.
롤 구동시에, 측면 액츄에이터 중 어느 하나가 상승하고 다른 하나의 측면 액츄에이터는 하강한다. 피치 구동시에, 측면 액츄에이터가 모두 상승하고 중앙 액츄에이터가 하강하거나, 또는 측면 액츄에이터가 모두 하강하고 중앙 액츄에이터가 상승한다. 히브 구동시, 모든 액츄에이터들이 상승하거나 또는 모든 액츄에이터들이 하강한다.
상기 액츄에이터가 서보 모터, 감속기, 크랭크로드, 베어링, 및 감속기 축을 포함하고, 상기 서보 모터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감속기는 모터 축으로 연결된 동력 발생 장치로 회전수를 감소시켜 토크를 증가시키고, 상기 크랭크로드는 서보 모터의 동력을 받아 캠 운동으로 상하 병진 운동을 수행하고, 상기 베어링은 서보 모터의 회전 운동을 크랭크로드에 전달 및 지지하며, 감속기 축은 서보 모터로부터 크랭크로드로 동력을 전달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상현실 컨텐츠 상영 시스템은 컨텐츠 전송 장치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가 별도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컨텐츠 전송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HMD 장치(300)로 컨텐츠를 전송하고(S210), HMD 장치(30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S220), 컨텐츠 재생에 따른 시간 정보를 컨텐츠 전송 장치(100)로 전송한다(S230). HMD 장치(300)가 컨텐츠를 표시하면, 가상현실 효과가 제공된다.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HMD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시간 정보를 시뮬레이터(400)와의 통신을 통해 동기화를 수행하고(S240), 해당 시간에 발생할 효과에 대한 효과 제어 신호를 해당 시뮬레이션 장치로 전송한다(S250). 효과 제어 신호는 HMD 장치(300)가 재생하는 컨텐츠에 맞는 효과를 발생하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효과 제어 신호를 수신한 시뮬레이터(400)는 컨텐츠와 동기화된 효과를 발생한다(S260). 즉, 시뮬레이션 체어(410)는 컨텐츠가 시작되면 그 컨텐츠에 맞춰서 모션 또는 진동을 제공한다. 시뮬레이션 효과 장치(420)는 컨텐츠에 맞춰서 실시간으로 눈, 비, 바람, 이슬, 안개, 폭우, 번개, 향기, 빛 등의 시뮬레이션 효과들을 발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컨텐츠를 HMD 장치(300)와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전송하고(S310),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전송된 컨텐츠를 저장한다(S320). 컨텐츠 전송 장치(10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휘도를 조절한다(S330).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컨텐츠 재생 시작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전송하고(S340),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컨텐츠를 HMD 장치(300)로 전송한다(S350).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미러캐스트(miracast) 기술이나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기술 등을 통해 HMD 장치(300)로 컨텐츠를 전송한다.
그러면, HMD 장치(30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S360), 컨텐츠 재생에 따른 시간 정보를 컨텐츠 전송 장치(100)로 전송한다(S370).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HMD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터(400)와 통신을 통해 동기화를 수행하고(S380), 해당 시간에 발생할 효과 제어 신호를 해당 시뮬레이션 장치로 전송한다(S390).
효과 제어 신호를 수신한 시뮬레이션 장치는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와 동기화된 효과를 발생한다(S4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10), 통신부(120), 컨텐츠 서비스부(130), 시작신호 전송부(140), 모바일 디바이스 제어부(150), 시간정보 수신부(160), 및 효과 제어부(170), 및 단말기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10)에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를 모바일 디바이스(200), HMD 장치(300), 시뮬레이터(400),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하는 구성이다.
컨텐츠 서비스부(130)는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추출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 또는 HMD 장치(300)로 전송한다.
컨텐츠 서비스부(130)는 통신부(120)가 컨텐츠 전송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한 컨텐츠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 컨텐츠를 제공한다.
시작신호 전송부(14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 재생 시작 신호를 전송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제어부(150)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HMD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HMD 장치가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
시간정보 수신부(160)에서 상기 컨텐츠 재생에 따른 시간정보를 수신하고, 효과 제어부(170)는 HMD 장치로부터 컨텐츠 재생에 따른 시간정보를 수신하고, 그 시간 정보로 시뮬레이터와의 통신을 통해 동기화를 수행하며, 해당 시간에 발생할 효과 제어 신호를 상기 시뮬레이터에 전송하여, 상기 효과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시뮬레이터에서 상기 컨텐츠와 동기화하도록 한다.
또한, 효과 제어부(170)는 해당 시간에 발생할 효과에 대한 효과제어신호를 해당 시뮬레이터로 전송한다. 여기서, 효과제어신호는 모션, 진동 효과, 눈, 비, 바람, 이슬, 안개, 향기, 및 빛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를 구현하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서비스부(130), 효과 제어부(170) 각각은 컴퓨팅 장치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컨텐츠 서비스부(130), 효과 제어부(170) 각각은 물리적으로 독립된 각각의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프로세서 내에서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제어부(180)는 데이터베이스(110), 통신부(120), 컨텐츠 서비스부(130), 시작신호 전송부(140), 모바일 디바이스 제어부(150), 시간정보 수신부(160), 및 효과 제어부(170)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단말기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80)는 시력보호모드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전송 장치(100) 내부에 기준 시간 길이가 저장되어 컨텐츠의 시간이 이를 초과하면 자동적으로 시력보호모드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 초기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시력보호모드 사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시력보호모드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18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사용자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피곤한 상태임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제어부(180)의 명령에 따라 시력보호모드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180)는 시력보호모드를 종료하고 일반모드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시력보호모드 종료 명령은 종료 아이콘을 클릭 또는 터치하거나 별도의 버튼을 이용하여 종료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프로세서(210), 디스플레이부(220), 통신부(230), 근접 센서부(240), 메모리부(250), 환경 휘도 측정부(260), 및 발광 모듈(27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이외에 다른 전자 부품들 및 USB 단자,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제1타입은 통신부(230)를 통해 컨텐츠 전송 장치(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HMD 장치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이고, 제2타입은 프로세서(210)가 직접 디스플레이부(220)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HMD 장치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이다.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부(220)를 제어한다.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부(220)가 표시할 화면을 결정한다. 프로세서(210)는 HMD 장치(300)와 연결을 식별하면, 디스플레이부(220)에 영상 컨텐츠 목록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HMD 장치(300)와 연결을 식별하면, HMD 장치(300)와 관련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프로세서(210)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컨텐츠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프로세서(210)는 선택된 컨텐츠를 HMD 장치(300)로 전송한다. 컨텐츠는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 받거나, 메모리부(25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부(220)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프로세서(2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20)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HMD 장치(3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근접 센서부(24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HMD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근접 센서부(24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를 프로세서(21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210)는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HMD 장치로 전송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측정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일 때, 컨텐츠를 HMD 장치(300)로 전송한다.
환경 휘도 측정부(26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HMD 장치(300)와 연결된 후에 사용자가 착용한 시점에 화면 부분의 환경 휘도를 측정한다.
발광 모듈(270)은 발광 수단을 포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휘도를 조절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HMD 장치(300)는 통신부(310), 디스플레이부(320), 제어부(330), 및 메모리부(34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10)는 HMD 장치(300)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컨텐츠 전송 장치(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디스플레이부(320)는 HMD 장치(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32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를 통하여 출력되는 컨텐츠는 일반 시야와 오버랩(overlap)되어 보일 수 있다.
메모리부(340)는 HMD 장치(300)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330)는 통상적으로 HMD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30)는 메모리부(34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310) 및 디스플레이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30)는 컨텐츠 재생에 따른 시간정보를 실시간으로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 제공한다.
이러한 HMD 장치(300)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전송 장치(10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함으로써, HMD 장치(300)의 화면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통신부(310), 디스플레이부(320), 및 메모리부(340)를 포함하는 HMD 장치(300)의 다양한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에 관여하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 및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에 관여하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면,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평균휘도레벨 계산부(181), 임계치 결정부(182), 저장부(183), 및 휘도 조절부(184)를 포함하고,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환경 휘도 측정부(260), 및 발광 모듈(270)을 포함한다.
단말기 제어부(18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환경 휘도 측정부(260)가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주변 환경 휘도를 측정하도록 한다. 상기 환경 휘도 측정부(26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HMD 장치(300)와 연결된 후에 사용자가 착용한 시점에 화면 부분의 환경 휘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임계치 결정부(182)는 상기 환경 휘도 측정부(260)가 측정한 환경 휘도와 미리 설정된 눈부심 지수 값을 이용하여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임계 화면 휘도를 계산한다. 상기 눈부심 지수(UGR: Unified Glare Rating)는 CIE 기술위원회 3-31(CIE technical committee 3-31)에 의해 불쾌글레어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매개변수에 기초한 실용적인 글레어 평가시스템으로서 제안된 것이다. 이와 같은 눈부심 지수는 아래 수학식 1을 통해 구해지며, 눈부심 지수와 주관적 느낌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눈부심 지수 값이 "10" 이상일 경우에 눈부심을 느끼기 시작하고, 눈부심 지수 값이 "16" 이상일 경우에 신경이 쓰이기 시작하며, 눈부심 지수 값이 "22" 이상일 경우에 불쾌감을 느끼기 시작하고, 눈부심 지수 값이 "28" 이상일 경우에 너무 심하다고 느끼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눈부심 지수 값이 "10" 이하가 될 수 있도록 발광 모듈(270)의 발광 휘도를 조절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20052063518-pat00001
여기서, Lb는 주변 환경 휘도이고, Ls는 관찰자의 시선 내 광원의 발광부분 휘도이며, ω는 관찰자 시선 내 광원의 발광부분 입체각이고, p는 관찰자의 시선 내 각 광원의 Guth의 위치지수이다. 상기 Lb(주변 휘도)와 Ls(발광 휘도)의 단위는 [cd/㎡]이다.
즉, 임계치 결정부(182)는 상기 수학식 1에 상기 환경 휘도 측정부(260)가 측정한 환경 휘도와 눈부심 지수 값 "10"을 대입하여 Ls를 계산하는데, Ls는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임계 화면 휘도가 된다.
또한, 임계치 결정부(182)는 임계 발광 휘도에 해당하는 임계 평균휘도레벨을 도출하는데, 이는 평균휘도레벨의 각 값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화면 휘도를 측정하여 저장된 값을 통해 도출한다. 이에 따라, 임계치 결정부(182)는 저장부(183)를 더 포함하여 임계 발광휘도와 임계 평균휘도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평균휘도레벨(APL: Average Picture Level) 계산부(181)는 입력되는 컨텐츠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픽셀의 휘도로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을 계산한다. 상기 입력되는 컨텐츠는 컨텐츠 서비스부(130)에서 처리된 컨텐츠 신호이거나 또는 컨텐츠 서비스부(130)로 입력되는 컨텐츠 신호이다.
휘도 조절부(184)는 상기 평균휘도레벨 계산부(181)가 계산한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이 상기 임계치 결정부(182)에서 도출한 컨텐츠의 임계 평균휘도레벨을 초과할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화면 휘도가 임계 화면 휘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발광 모듈(270)의 휘도를 제어한다. 상기 발광 모듈(270)에 구비되는 발광수단은 LED 또는 CCFL이고, 상기 발광 모듈(270)은 액정 표시 장치일 경우에는 백라이트 모듈임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화면 휘도는 임계 화면 휘도를 초과하지 않아야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이 임계 평균휘도레벨을 초과할 경우에 발광 모듈(270)의 발광 휘도를 제어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화면 휘도가 임계화면휘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즉, 휘도 조절부(184)는 상기 평균휘도레벨 계산부(181)가 계산하는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이 상기 임계치 결정부(182)에서 도출한 컨텐츠의 임계 평균휘도레벨을 초과할 경우에 발광 모듈(270)이 발광하는 발광 휘도를 감소시키는데, 예를 들어, 평균휘도레벨에 가까운 값일수록 발광 모듈(270)의 발광 휘도를 감소시키는 정도는 적어진다.
또한, 휘도 조절부(184)는 상기 발광 모듈(270)의 발광 휘도가 발광할 수 있는 최대치에서 일정치 감소된 상태이면서 상기 평균휘도레벨 계산부(181)가 계산하는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이 상기 임계치 결정부(182)에서 도출한 컨텐츠의 임계 평균휘도레벨 미만일 경우에 상기 발광 모듈(270)의 발광 휘도를 증가시킨다. 이를 통해, 선명하고 밝은 화면 휘도를 제공한다.
결국,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환경 휘도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화면 휘도를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정하게 유지해 주면서, 선명하고 밝은 화면 휘도를 제공하여 시청자가 안락하게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화면 휘도가 임계화면휘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 소모되는 전력을 줄이므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전원이 오래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도 조절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주변 환경 휘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환경 휘도를 컨텐츠 전송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하고(S910),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측정된 환경 휘도와 미리 설정된 눈부심 지수 값을 이용하여 눈부심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임계 화면 휘도를 계산한다(S920). 상기 눈부심 지수 값은 CIE 기술위원회 3-31(CIE technical committee 3-31)에 의해 결정된 값으로 눈부심을 느끼기 시작하는 "10"이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계산한 임계 화면 휘도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APL: Average Picture Level) 임계치를 도출한다(S930). 이는 미리 평균휘도레벨의 각 값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화면 휘도를 측정하여 저장된 값을 통해 도출한다.
그리고,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입력되는 컨텐츠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픽셀의 휘도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을 계산하는데(S940), 계산된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이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S950) 발광 모듈(370)의 휘도를 조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화면 휘도가 임계 화면 휘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한다(S960). 상기 입력되는 컨텐츠는 컨텐츠 서비스부(130)에서 처리된 컨텐츠 신호 또는 컨텐츠 서비스부(130)로 입력되는 컨텐츠 신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사용자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컨텐츠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10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HMD 장치(300) 사이의 연결을 식별한다.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HMD 장치(300)가 연결되면,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 S10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HMD 장치(300)가 연결되면, 컨텐츠 목록을 HMD 장치(300)에 표시한다. 목록은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이거나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컨텐츠 일 수 있다.
단계 S10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사용자로부터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 S1040, 및 단계 S105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HMD 장치(300)로 전송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측정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일 때, 컨텐츠를 HMD 장치(300)로 전송한다.
측정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사용자가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HMD 장치(300)를 얼굴에 가져간 경우일 수 있다. 측정된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면, 사용자가 컨텐츠를 시청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컨텐츠를 전송하지 않는다.
단계 S1040, 및 단계 S1050에서, 사용자와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거리 외에도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200) 착용을 인식할 수 있는 수단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주변 밝기가 어두워지는 것, 홍채인식, 안면인식 같은 생체인식 등을 포함한다.
단계 S106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HMD 장치(300)로 컨텐츠를 전송한다.
도 10에서 설명된 각 단계들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메모리부(250)에 저장되거나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시력보호모드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시력보호모드 제공 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시력보호모드 제공방법은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고 단말기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 같은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의 시력보호모드 제공방법은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 초기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시력보호모드 사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시력보호모드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력보호모드 사용 프로그램에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 프로그램,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 전자책 프로그램 등이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이나 전자책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단말기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컨텐츠 전송 장치(100)를 제어하여 시력보호모드로 화면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력보호모드 사용 프로그램 목록은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 초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가 특정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시력보호모드 사용 프로그램 목록에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시력보호모드 사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시력보호모드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다양한 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발명의 휘도 조절에 관여하는 컨텐츠 전송장치(100)가 제공되는 컨텐츠의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와 시력보호모드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 의해 주변 휘도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컨텐츠의 휘도를 조절하는 한편, 컨텐츠의 시간 또는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휘도, 명암비,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시력보호모드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서 전송되는 컨텐츠의 휘도를 180 내지 185 니츠(nits)로 설정하고, 명암비(C/R)를 30:1 내지 32:1로 설정하며, 색온도를 5000 내지 6000K, 바람직하게는 5600K으로 설정한 것일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휘도는 500 니즈, 명암비는 1000:1, 색온도는 6000 내지 7000 K 정도로 컨텐츠를 표시하는 데 비해, 시력보호모드는 휘도, 명암비, 색온도를 낮춰서 사용자의 눈이 피로하지 않게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색역(Color Gamut)은 72% 정도로 화면을 표시하는 데 비해, 시력보호모드는 색역을 25% 정도로 낮게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시력보호모드는 휘도, 명암비, 색온도를 낮춰서 실제 종이와 유사한 화면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편안하게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의 시력보호모드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컨텐츠 전송 장치(100)를 사용한 시간의 길이를 단말기 제어부(180)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1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의 시력보호모드 제공방법은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사용 시간의 길이가 기준 시간 길이보다 큰 값을 갖는 경우, 단말기 제어부(180)의 명령에 따라 시력보호모드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120). 그렇지 않은 경우, 컨텐츠 전송장치(100)가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생체정보 측정부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1130). 상기 기준 시간 길이는 컨텐츠 전송 장치(100) 내부에 초기 값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하여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의 시력보호모드 제공방법에서는, 생체정보 측정부가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포함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단말기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일례로서 사용자의 혈압, 체온, 심박수, 활동량, 심전도, 체지방량, 수분량, 스트레스 반응, 혈당, 혈중 내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의 시력보호모드 제공방법은 컨텐츠 전송 장치(100)가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사용자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피곤한 상태임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제어부(180)의 명령에 따라 시력보호모드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140, S115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장치(100)의 시력보호모드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시력보호모드 종료 명령에 따라 일반모드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컨텐츠 전송 장치(100)에 시력보호모드 종료 명령을 입력하면, 단말기 제어부(180)는 시력보호모드를 종료하고 일반모드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시력보호모드 종료 명령은 종료 아이콘을 클릭 또는 터치하거나 별도의 버튼을 이용하여 종료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지 신호가 제어장치에 인가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하기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체어(410) 외에도 특수 효과를 부여하는 시뮬레이션 효과 장치(420)가 있을 수 있다.
먼저,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라 제어신호를 별도로 설정한다(S1210). 이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자에게 컨텐츠를 제공받는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별도의 기준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다음, 설정된 신호가 시뮬레이터에 입력된다(S1220). 다음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컨텐츠가 제공되고(S1230), 시뮬레이션 체어(410) 및 시뮬레이션 효과 장치(420)가 구동된다(S1240). 제어 신호는 컨텐츠 시간에 따라 시뮬레이션 체어(410) 및 시뮬레이션 효과 장치(420)를 제어하는 신호가 동기화되므로, 상기 S1230 단계와 S1240 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진다. 동기화된 신호에 따라 시뮬레이션 체어(410) 및 시뮬레이션 효과 장치(420)가 제공되는 컨텐츠의 내용에 맞추어 구동하게 된다.
컨텐츠 제공 동안 돌발 상황이 발생하게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받는 자가 컨텐츠 제공 시설 외부로 이동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돌발 상황 발생시 별도의 정지 신호가 제어장치에 인가된다(S1250). 정지 신호가 인가되는 절차는 좌석에 위치한 별도의 운영 인원에 의해 수동으로 인가될 수도 있으며, 또는 좌석에서 컨텐츠를 제공받는 자에 인접하여 스위치가 위치하여 그 자에 의해 인가될 수도 있으며, 또는 그 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인가될 수도 있다.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정지신호가 인가된 경우, 제어 장치는 시뮬레이션 체어(410) 및 시뮬레이션 효과 장치(42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S1251).
이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복귀 신호가 제어 장치에 인가되면(S1252) 시뮬레이션 체어(410) 및 시뮬레이션 효과 장치(420)를 재구동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신호가 시뮬레이터에 인가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100)가 상기 시뮬레이터(400)에 가해진 압력을 센서부에서 측정하도록 한다(S1310). 일정 무게 이상인 경우에 시뮬레이터(400)가 구동시 큰 부하가 걸려 안정적인 구동이 힘들고, 상기 부하에 의해 시뮬레이터(400)에 생기는 마찰, 이로 인한 소음, 진동도 더 크다. 예컨대,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사용자가 시뮬레이터(400)에 탑승한 경우 몸무게가 적게 나가는 사용자가 시뮬레이터(400)에 탑승한 경우보다 시뮬레이터가 구동시 액츄에이터 각각에 걸리는 부하가 크다.
이때 액츄에이터들은 시뮬레이터의 아래에서 더 넓게 분산되어 있을수록 더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뮬레이터의 액츄에이터가 사용자의 무게에 따라 더 넓게 분산되어 안정적인 구동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100)가 상기 시뮬레이터(400)로부터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압력정보를 수신한다(S1320).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상기 시뮬레이터(400)에 포함된 액츄에이터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하고, 해당 위치정보를 수신한다(S1330). 상기 시뮬레이터의 액츄에이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아래 단계에서 상기 압력신호에 따라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100)가 상기 압력정보에 따른 시뮬레이터(400)에 포함된 상기 액츄에이터의 각도를 계산한다(S1340). 사용자의 몸무게에 해당하는 압력정보에 의해 보정이 필요한 각도를 계산한다.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100)가 계산된 각도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의 각도를 조절한다(S1350). 시뮬레이터는 상기 보정된 각도만큼 액츄에이터가 위치를 변경하여 시뮬레이터가 안정적인 구동을 할 수 있는 한편, 액츄에이터의 각도를 축방향의 분력이 최소화되는 각도 내에서 변경하여 시뮬레이터에서 발생될 마찰에 의한 소음, 진동을 줄이고 그에 따른 전력 손실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시뮬레이터(400)는 사용자의 무게에 따라 조정되는 액츄에이터의 위치는 Y축방향의 분력이 최소화되는 각도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무게가 커질수록 시뮬레이터의 안정도가 떨어지므로, 시뮬레이터에 발생하는 마찰보다 시뮬레이터의 안정을 중심에 두고 액츄에이터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들은 각각 연결된 가이드부를 따라 전후 슬라이딩 운동함으로써 상기 하부 플레이트 가로축 방향과 이루게되는 상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액츄에이터와 제2 액츄에이터는 제1 각도와 제2 각도가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한다.
상기 각도 제어 신호에 따라 변경된 각도에서 별도로 구비된 고정부에 의해 각각의 액츄에이터들은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제1 각도와 제2 각도는 10도 내지 25도 사이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10도 미만이거나 25도 초과인 경우에는 Y축방향의 분력이 커져, 스플라인을 중심으로 큰 모멘트가 발생하여, 시뮬레이터에 더 큰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하부 플레이트의 가로방향 중심선과 제1 액츄에이터가 이루는 제1 각도와 하부 플레이트의 가로방향 중심선과 제2 액츄에이터가 이루는 제2 각도는 15도가 되도록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상기 시뮬레이터(400)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액츄에이터와 제2 액츄에이터의 푸시로드의 회전운동에서 직선운동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Y축방향의 분력으로 인한 모멘트를 최소화하여 그로 인한 소음, 진동을 줄이고, 몰입감 있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진동으로 소모되는 불필요한 전력을 절약할 수 있어 전원을 오래 유지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신호가 시뮬레이터(400)에 인가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 신호가 시뮬레이터(400)에 인가되는 시스템은 상기 시뮬레이터(400)에 가해진 압력을 센서부(401)에서 측정하도록 하는 센서 제어부(185); 상기 시뮬레이터(400)로부터 상기 센서부(401)에서 측정된 상기 압력정보를 수신하는 압력정보 수신부(190); 상기 시뮬레이터(400)에 포함된 액츄에이터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191); 상기 압력정보에 따른 상기 시뮬레이터(400)에 포함된 상기 액츄에이터의 각도를 계산하는 각도 계산부(186); 및 상기 계산된 각도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제어부(187);를 포함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시뮬레이터(400)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시뮬레이터(400)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어여부결정단계(S1510), 제어신호수신단계(S1520), 및 제어단계(S1530)의 과정을 통해 이뤄진다.
먼저, 상기 제어여부결정단계(S1510)에서는 센서부가 설치된 다수의 좌석 중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면, 상기 센서부가 해당 좌석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압력이 일정 수치를 넘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제어신호수신단계(S1520)에서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센서부는 0.1 내지 20킬로그램[kg]의 범위 내에서 설정한 일정 수치 이상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만 동작되도록 설정되어, 사용자의 가방이나 옷 등과 같은 물체에 의해 오작동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시뮬레이터(400)를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S1530).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시뮬레이터(400)의 한정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나아가 차량 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로서, 제한된 전력 내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시뮬레이터(400)를 제어함으로써 장시간 영업이 가능하게 된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시뮬레이터(400)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시뮬레이터(400)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차량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좌석에 각각 설치되는 센서부(401), 시뮬레이션 체어에서 일정 수치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지를 센서부에서 결정하도록 하는 센서 제어부(185); 상기 각각의 센서부(401)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각 센서부(401)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192),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시뮬레이터를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401)는 차량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좌석에 각각 설치되어, 좌석의 안착부에 특정 물체가 안착될 시에 그에 따른 압력을 측정한 후 상기 컨텐츠 전송장치(100)에 상기 압력이 일정수치를 넘는 경우 제어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센서부(401)는 사용자가 빈 좌석에 소지품 등을 올려놓을 때, 센서부(401)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0.1 내지 20 킬로그램[kg]의 범위 내에서 설정한 일정 수치 이상의 압력이 인가될 경우에만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401)는 리미트센서나 적외선 센서, 근접센서, 로드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100)는 일정 수치 이상의 압력이 가해진 좌석들의 정보를 모두 수신하여, 좌석의 사용여부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컨텐츠 전송 장치(100), 모바일 디바이스(200), HMD 장치(300), 시뮬레이터(400) 및 좌석들을 포함할 수 있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차량의 운전석을 제외한 좌석을 제거할 수 있으며, 넓은 공간을 형성하거나 활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공간에서 가상현실 영상 시청이 가능하고, 냉난방 시설을 구비하여 쾌적한 휴식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좌석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일측에 편의시설, 냉장고, 싱크대, 화장실, 쇼파 및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가상현실 컨텐츠 제공 수단을 갖추고 있으므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한편, 기동성을 구비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가상현실에 접근성이 떨어지는 수요자가 있는 곳에 직접 찾아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모듈,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에 연결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록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기록 매체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개별 구성 요소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서버나 방법의 구성요소와 단계들을 선택적으로 결합한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은 당연하다.
100: 컨텐츠 전송 장치
110: 데이터 베이스
120: 통신부
130: 컨텐츠 서비스부
140: 시작신호 전송부
150: 모바일 디바이스 제어부
160: 시간정보 수신부
170: 효과 제어부
180: 단말기 제어부
181: 평균휘도레벨 계산부
182: 임계치 결정부
183: 저장부
184: 휘도 조절부
185: 센서 제어부
186: 각도 계산부
187: 각도 제어부
190: 입력정보 수신부
191: 위치정보 수신부
192: 제어신호 수신부
200: 모바일 디바이스
210: 프로세서
220: 디스플레이부
230: 통신부
240: 근접 센서부
250: 메모리부
260: 환경 휘도 측정부
270: 발광 모듈
300: HMD 장치
310: 통신부
320: 디스플레이부
330: 제어부
340: 메모리부
400: 시뮬레이터
410: 시뮬레이션 체어
411: 센서부
420: 시뮬레이션 효과 장치

Claims (10)

  1.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이고,
    상기 방법은,
    (a) 컨텐츠 전송 장치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통해 차량 좌석별로 배치된 HMD(Head-Mounted Display)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단계;
    (c)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컨텐츠 재생 시작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HMD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HMD 장치가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단계;
    (f)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HMD 장치에 의하여 전송된 상기 컨텐츠 재생에 따른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g)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와 시뮬레이터를 동기화하고, 해당 시간에 발생할 효과 제어 신호를 상기 시뮬레이터에 전송하여 상기 효과 제어 신호에 따른 상기 시뮬레이터의 효과와 상기 컨텐츠를 동기화하는 단계;
    (h)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시뮬레이터에 가해진 압력을 센서부에서 측정하도록 하는 단계;
    (i)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압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j)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시뮬레이터에 포함된 액츄에이터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k)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압력정보에 따라 상기 시뮬레이터에 포함된 상기 액츄에이터의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l)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계산된 각도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의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동시 재생의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HMD 장치에 화면이 나오는 것과, 상기 시뮬레이터가 움직이는 것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텐츠의 길이는 상기 컨텐츠의 특성 또는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컨텐츠의 길이는 상기 HMD 장치에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전송한 상기 효과 제어 신호에 따라 요동되는 시뮬레이션 체어(chair)이고,
    상기 방법은 또한,
    (m)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주변 환경 휘도를 측정하도록 하고, 상기 측정된 환경 휘도를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
    (n)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측정된 환경 휘도와 미리 설정된 눈부심 지수 값(URG)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눈부심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임계 화면 휘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임계 화면 휘도에 해당하는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 임계치를 도출하는 단계; 및
    (o)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입력되는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픽셀의 휘도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을 계산하고, 계산한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이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휘도가 상기 임계 화면 휘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발광 모듈의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상기 시뮬레이터에서 일정 수치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지를 상기 센서부에서 결정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상기 센서부에서 일정 수치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수신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시뮬레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상기 시뮬레이터에 설치된 상기 센서부에서 0.1 내지 20 킬로그램[kg]의 범위 내에서 일정 수치 이상의 무게가 측정될 경우에만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시뮬레이터에 포함된 제어장치에 정지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시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상기 HMD 장치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뮬레이터는 롤(roll), 피치(pitch), 및 히브(heave) 구동이 가능하고,
    상기 눈부심 지수 값은 하기 수학식으로 계산되고,
    수학식
    Figure 112022106444377-pat00019

    (여기서, Lb는 주변 환경 휘도이고, Ls는 관찰자의 시선 내 광원의 발광부분 휘도이며, ω는 관찰자 시선 내 광원의 발광부분 입체각이고, p는 관찰자의 시선 내 각 광원의 Guth의 위치지수이다. 상기 Lb(주변 휘도)와 Ls(발광 휘도)의 단위는 [cd/㎡]이다.)
    상기 눈부심 지수 값은 "10" 이하로 제어되도록 상기 수학식의 Ls(발광 휘도)는 10으로 설정되고,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의 컨텐츠 재생 시간의 길이가 기준 시간 길이보다 큰 경우 컨텐츠의 휘도를 180 내지 185 니츠(nits)로 설하고, 명암비(C/R)를 30:1 내지 32:1로 설정하고, 색온도를 5000 내지 6000K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컨텐츠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이고,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HMD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통신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HMD 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서비스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컨텐츠 재생 시작 신호를 전송하는 시작신호 전송부;
    상기 컨텐츠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HMD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HMD 장치가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제어부;
    상기 컨텐츠 재생에 따른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시간정보 수신부; 및
    상기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와 시뮬레이터를 동기화하고, 해당 시간에 발생할 효과 제어 신호를 상기 시뮬레이터에 전송하여, 상기 효과 제어 신호에 따른 상기 시뮬레이터의 효과와 상기 컨텐츠를 동기화하도록 하는 효과 제어부;
    상기 시뮬레이터에 가해진 압력을 센서부에서 측정하도록 하는 센서 제어부;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압력정보를 수신하는 압력정보 수신부;
    상기 시뮬레이터에 포함된 액츄에이터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
    상기 압력정보에 따라 상기 시뮬레이터에 포함된 상기 액츄에이터의 각도를 계산하는 각도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각도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동시 재생의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HMD 장치에 화면이 나오는 것과, 상기 시뮬레이터가 움직이는 것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텐츠의 길이는 상기 컨텐츠의 특성 또는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컨텐츠의 길이는 상기 HMD 장치에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효과 제어 신호에 따라 요동되는 시뮬레이션 체어(chair)이고,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환경 휘도 측정부가 주변 환경 휘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환경 휘도를 상기 컨텐츠 전송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말기 제어부;
    미리 설정된 눈부심 지수 값(URG)과 상기 환경 휘도 측정부가 측정한 환경 휘도를 이용하여 눈부심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임계 화면 휘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임계화면 휘도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 임계치를 도출하는 임계치 결정부;
    입력되는 상기 컨텐츠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픽셀의 휘도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을 계산하는 평균휘도레벨 계산부; 및
    상기 평균휘도레벨 계산부가 계산한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이 상기 임계치 결정부에서 도출한 상기 컨텐츠의 평균휘도레벨을 초과할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휘도가 상기 임계 화면 휘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발광 모듈의 발광 휘도를 조절하는 휘도 조절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또한,
    상기 시뮬레이터에서 일정 수치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지를 센서부에서 결정하도록 하는 센서 제어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일정 수치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시뮬레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는 상기 시뮬레이터에 설치된 상기 센서부에서 0.1 내지 20 킬로그램[kg]의 범위 내에서 일정 수치 이상의 무게가 측정될 경우에만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눈부심 지수 값은 하기 수학식으로 계산되고,
    수학식
    Figure 112022106444377-pat00020

    (여기서, Lb는 주변 환경 휘도이고, Ls는 관찰자의 시선 내 광원의 발광부분 휘도이며, ω는 관찰자 시선 내 광원의 발광부분 입체각이고, p는 관찰자의 시선 내 각 광원의 Guth의 위치지수이다. 상기 Lb(주변 휘도)와 Ls(발광 휘도)의 단위는 [cd/㎡]이다.)
    상기 눈부심 지수 값은 "10" 이하로 제어되도록 상기 수학식의 Ls(발광 휘도)는 10으로 설정되고,
    상기 컨텐츠 전송 장치의 컨텐츠 재생 시간의 길이가 기준 시간 길이보다 큰 경우 컨텐츠의 휘도를 180 내지 185 니츠(nits)로 설정하고, 명암비(C/R)를 30:1 내지 32:1로 설정하고, 색온도를 5000 내지 6000K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따른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KR1020200061888A 2020-05-22 2020-05-22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498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888A KR102498566B1 (ko) 2020-05-22 2020-05-22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888A KR102498566B1 (ko) 2020-05-22 2020-05-22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468A KR20210144468A (ko) 2021-11-30
KR102498566B1 true KR102498566B1 (ko) 2023-02-13

Family

ID=78722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888A KR102498566B1 (ko) 2020-05-22 2020-05-22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56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883B1 (ko) 2015-12-28 2018-01-04 김선호 가상안경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가상 실현 제공 장치
KR101864685B1 (ko) * 2016-10-05 2018-06-05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가상현실 4d 컨텐츠 상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6008B1 (ko) * 2017-05-24 2019-07-03 (주)루쏘팩토리 이동식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468A (ko)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1923B2 (en) Immersive display of motion-synchronized virtual content
KR102306159B1 (ko) 몰입형 가상 디스플레이
Yao et al. Oculus vr best practices guide
JP7397777B2 (ja) 仮想現実、拡張現実、および複合現実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692845B2 (en) Head-mounted display control with image-content analysis
Bos et al. The effect of internal and external fields of view on visually induced motion sickness
US6497649B2 (en) Alleviating motion, simulator, and virtual environmental sickness by presenting visual scene components matched to inner ear vestibular sensations
US20120182206A1 (en) Head-mounted display control with sensory stimulation
JP2019191600A (ja) 仮想および拡張現実システムならびに方法
US10209856B2 (en) Stimulus integration apparatus
US8594381B2 (en) Method of identifying motion sickness
JP2005169063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KR102498566B1 (ko)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0122193A (ja) 臨場感生成装置
CA2217909C (en) Competing opposing stimulus simulator sickness reduction technique
Ke et al. TurnAhead: designing 3-DoF rotational haptic cues to improve first-person viewing (FPV) experiences
KR20210144465A (ko)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교육용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objois et al. The contribution of visual and proprioceptive information to the perception of leaning in a dynamic motorcycle simulator
KR20230015800A (ko)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동기화된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러한 제공 시스템
KR20230015799A (ko) 버스와 같은 차량에서 이동형 홀로그램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러한 제공 시스템
JP2010012290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US11823343B1 (en) Method and device for modifying content according to various simulation characteristics
CN209514901U (zh) 一种基于虚拟现实的翼装训练装置
JP7232765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とシステム
Miller et al.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Displ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