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563B1 - 약액의 온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벌룬 인퓨저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약액의 온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벌룬 인퓨저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563B1
KR102498563B1 KR1020220095866A KR20220095866A KR102498563B1 KR 102498563 B1 KR102498563 B1 KR 102498563B1 KR 1020220095866 A KR1020220095866 A KR 1020220095866A KR 20220095866 A KR20220095866 A KR 20220095866A KR 102498563 B1 KR102498563 B1 KR 102498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mixing line
balloon
cas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원
Original Assignee
조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원 filed Critical 조희원
Priority to KR1020220095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 A61M5/1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pressurised by contraction of elastic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07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4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oling or heating the devices or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약액의 온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벌룬 인퓨저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약액의 온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벌룬 인퓨저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CHEMICAL INJECTION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BALLOON INFUSERS CAPABLE OF CONTROLLING TEMPERATURE OF CHEMICAL}
본 발명은 약액의 온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벌룬 인퓨저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벌룬 인퓨전 펌프(balloon infusion pump) 또는 휴대용 주입용 펌프(PIP; portable infusion pump)로도 지칭되는 벌룬 인퓨저(balloon infuser)는, 특히 항암제와 같이 주입량과 주입 속도가 중요한 약물을 일정한 속도로 지속적으로 주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회용 약물 주입기구이다. 별도의 속도 조절기구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벌룬 인퓨저는 외부 요인으로부터 안전하고 위생적이며, 휴대가 간편하고,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지 않으며 일상 생활에 지정을 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어서, 지속적인 약물 주입이 필요한 환자가 입원하지 않고 통원 치료를 가능하게 하기에 그 연구와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벌룬 인퓨저의 경우 팽창 부재에 약물이 저장되고, 팽창 부재가 줄어들면서 탄성변화에 따라 약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하지만, 팽창 부재의 크기에 따라 탄성이 변화하며 약물이 가득 저장되어 있을 때는 약물 주입속도가 빠르나, 약물이 소량만 저장되어 있을 때는 약물 주입속도가 느리게 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893780호는 팽창 부재의 크기에 따른 탄성력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복수의 벌룬 인퓨저를 병렬 배치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주입장치는 각각의 벌룬 인퓨저로부터 배출되는 약물이 출구 측에서 바로 혼합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약물을 혼합하여 주입하는 경우 쉽게 결정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결정화된 약물을 인체에 주입하는 경우 치명적이기 때문에, 결정화 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약액의 온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벌룬 인퓨저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약액 주입 장치는 내부에 서로 상이한 약액이 저장된 팽창 부재(115)를 포함하는 약액 저장부(110)를 가진 복수의 벌룬 인퓨저(100; 100a, 100b); 각각의 벌룬 인퓨저(100; 100a, 100b)에 연결되며, 상기 팽창 부재(111)에 저장된 약액이 배출되는 통로인 복수의 배출 라인(200; 200a, 200b); 상기 복수의 배출 라인(200; 200a, 200b)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배출 라인(200; 200a, 200b)을 통해 배출되는 약액이 혼합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하나의 혼합 라인(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출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나의 약액 주입 장치가 복수의 벌룬 인퓨저를 포함함으로써 팽창 부재의 크기 변화에 의한 탄성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배출 속도의 불균일화 문제를 해결 가능하다.
둘째, 각각의 벌룬 인퓨저를 수용하는 케이스가 하나로 구비되어 사출 제조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셋째, 혼합 라인의 길이가 최소화되어 각각의 벌룬 인퓨저에서 배출되는 약액이 혼합되는 시간이 최소화됨으로써, 약액에 용해된 물질이 석출되는 결정화 현상이 방지된다.
넷째, 배출 라인의 내경보다 혼합 라인의 내경이 더 크게 구비되어, 균일한 속도로 약액 주입이 가능하다.
다섯째, 팽창 부재가 설치되는 내측 샤프트의 말단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팽창 부재의 균일한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눈금 지침선과 눈금선 관찰을 통한 팽창 부재 내에 저장된 약액량 판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섯째, 온도 조절 유닛에 의해 약액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고, 온도 조절 장치의 오작동이나 과부하 시 즉시 약액의 온도를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약액 주입 장치의 일 구성인 벌룬 인퓨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3은 팽창 부재에 약액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팽창 부재에 약액이 주입되어 팽창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조절 유닛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은 의료용 기구인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를 직접적인 대상으로 하는 치료 방법이 아님을 밝혀둔다.
이하에서, 설명을 위하여 도 1을 기준으로 도면의 위쪽을 상측으로 지칭하고 도면의 아래쪽을 하측으로 기술한다. 또한, 설명을 위하여, 본 출원에 따른 벌룬 인퓨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중심을 향한 방향을 내측 방향으로 지칭하고 그 반대 방향을 외측 방향으로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는 복수의 벌룬 인퓨저(100; 100a, 100b)를 포함한다.
벌룬 인퓨저는 종래에 사용되는 모든 벌룬 인퓨저가 이용될 수 있다. 도 2 및 3에 도시된 것은 벌룬 인퓨저의 일 예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인퓨저는 상부 커버(121), 승하강부(111), 상부 커넥터 홀더(112), 상부 커넥터(113), 내측 샤프트(114), 팽창 부재(115), 외측 샤프트(116), 하부 커넥터(117), 하부 커넥터 홀더(118)를 포함하며, 가장 하측에는 하부 커버(122)가 위치한다.
상부 커넥터(113)와 하부 커넥터(117)는 동일한 부재의 사용이 가능하며, 상부 커넥터 홀더(112)와 하부 커넥터 홀더(118) 역시 동일한 부재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상부 커버(121)와 하부 커버(122)는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부 커버(121)에는 눈금선(121a)이 인쇄되어 있으며, 승하강부(111)의 승강에 따라 승하강부(111)의 눈금 지침선(111a)이 승강하여 눈금선(121a)을 지칭함으로써, 정확한 내용량의 안내가 가능하다.
승하강부(111)에는 상부 커넥터 홀더(112)와 상부 커넥터(113)가 결합된다. 접착제 등의 필요 없이 스냅 결합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하부 커버(122)의 하부 개구(123)에도 마찬가지로 접착제 없이 하부 커넥터 홀더(118)와 하부 커넥터(117)가 스냅 결합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부 커넥터(113)와 하부 커넥터(117) 사이에는 내측 샤프트(114), 외측 샤프트(116) 및 팽창 부재(115)가 위치한다.
내측 샤프트(114)는 상부 커넥터(113)에 의하여 승하강부(111)에 고정된다.
외측 샤프트(116)는 하부 커넥터(171)에 의하여 하부 커버(122)에 고정된다.
벌룬 인퓨저에 내용물이 주입됨에 따라, 팽창 부재(115)가 팽창하고 내측 샤프트(114) 및 여기에 결합된 승하강부(111)가 상승한다. 반대로, 내용물이 유출됨에 따라, 팽창 부재(115)가 수축하고, 내측 샤프트(114) 및 여기에 결합된 승하강부(111)가 하강한다.
여기서, 내측 샤프트(114)의 길이 방향 양측 말단에는 팽창 부재(115)의 설치를 위한 걸림턱(114a, 114b)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샤프트(114)의 동일한 위치에 팽창 부재(115)를 설치하기 위함으로써, 이로 인하여 팽창 부재(115)에 저장된 약액의 양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 3 및 4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0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000)는 복수의 벌룬 인퓨저(100; 100a, 100b), 복수의 배출 라인(200; 200a, 200b) 및 하나의 혼합 라인(300)을 포함한다.
벌룬 인퓨저(100)의 구성은 전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부 커버(121)와 하부 커버(122)는 외관을 형성하는데, 이하에서는 상부 커버(121)와 하부 커버(122)를 합쳐 케이스(120)라 정의한다. 또한, 케이스(120)에 수용된 내부 구성을 약액 저장부(110)라 정의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000)는 복수의 벌룬 인퓨저(100)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벌룬 인퓨저가 2개인 것을 도시하나, 3개 이상의 개수를 가지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벌룬 인퓨저(100; 100a, 100b) 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복수의 벌룬 인퓨저(100; 100a, 100b)를 일측면에서 바라보는 것만으로, 각각의 벌룬 인퓨저의 승하강부(111)의 승강에 따라 승하강부(111)의 눈금 지침선(111a)이 승강하여 케이스(120)의 눈금선(121a)을 지칭하는 것을 관찰 가능하다. 즉, 각각의 벌룬 인퓨저에 잔존하는 약액의 양을 쉽게 알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000)는 하나의 케이스(120)가 복수의 벌룬 인퓨저(100; 100a, 100b)의 약액 저장부(110) 각각을 모두 수용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케이스(120)는 사출 방식으로 성형되는데, 하나의 케이스(120)만을 사출하여 약액 저장부(110) 각각을 수용하는 형태이므로, 제조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케이스(120)의 상부에는 하나의 손잡이(130)가 형성된다. 약액 주입 장치(1000)의 일단은 약액 주입 대상에 장착되어 고정되어 있고, 약액 주입 대상이 이동하기 위하여서는 벌룬 인퓨저(100; 100a, 100b)도 함께 이동하여야 한다. 케이스(120) 상부에 손잡이(130)가 형성됨으로써, 이를 파지한 채로 벌룬 인퓨저(100; 100a, 100b)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벌룬 인퓨저(100; 100a, 100b)에는 팽창 부재(115)에 저장된 약액이 배출되는 통로인 배출 라인(200; 200a, 200b)이 연결되어 형성된다. 하나의 벌룬 인퓨저에는 하나의 배출 라인이 연결되어 형성되므로, 배출 라인의 개수는 벌룬 인퓨저의 개수와 동일하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각각의 배출 라인(200a, 200b)은 서로 별개로 구비되어, 각 벌룬 인퓨저에 저장된 약액이 혼합되지 않고 배출된다는 것이다.
배출 라인(200a, 200b)에는 각각 약액 주입구(201a, 201b)가 형성된다. 약액 주입구(201a, 201b)를 통하여 팽창 부재(115)에의 약액 주입이 가능하다.
또한, 배출 라인(200a, 200b)에는 배출 속도 조절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각각의 벌룬 인퓨저(100; 100a, 100b)에 서로 상이한 약액이 저장된 경우 각각의 약액의 배출 속도를 별도로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배출 속도 조절부(미도시)는 수액 주입 세트의 수액 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 속도 조절부와 같이 움직임에 의해 배출 라인(200a, 200b)을 압박하는 강도가 조절됨으로써, 배출 속도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벌룬 인퓨저에 포함된 팽창 부재의 재질을 서로 다르게 하여 각각의 벌룬 인퓨저에서 배출되는 속도를 서로 다르게 가져가는 것도 가능하다. 재질을 다르게 가져가는 경우 팽창 부재의 탄성복원력이 서로 다를 것이므로, 이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복수의 배출 라인(200a, 200b)의 일단은 하나의 혼합 라인(300)에 연결된다. 즉, 복수의 배출 라인(200a, 200b)이 하나의 혼합 라인(300)으로 합쳐지는 구조이며, 각각을 통해 배출되는 약액이 혼합 라인(300)에서 혼합된다.
여기서, 혼합 라인(300)의 내경은 배출 라인(200a, 200b)이 내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약액 주입 장치(1000)는 약액을 원하는 속도로 주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혼합 라인(300)은 배출 라인(200a, 200b)을 통과한 약액이 모두 주입되는 통로이기에, 내경이 배출 라인(200a, 200b)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원하는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약액이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라인(200a, 200b)으로 배출되는 속도로 혼합 라인(300)을 통하여 약액 주입 대상으로 주입되기 위하여서는, 혼합 라인(300)의 내경이 배출 라인(200a, 200b)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혼합 라인(300)의 내경은 배출 라인(200a, 200b)의 개수를 n이라고 할 때, 배출 라인(200a, 200b)의 내경의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n개의 배출 라인을 통과하는 약액의 총량과 1개의 혼합 라인을 통과하는 약액의 양이 일치하는 수치이다. 따라서, 실제로 팽창 부재(115)를 통하여 배출되는 속도만큼 약액 주입 대상에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혼합 라인(300)은 제1 혼합 라인(310), 필터(320) 및 제2 혼합 라인(330)을 포함한다.
필터(320)는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부분으로, 결정화 현상이 일어나 석출되는 부분을 제거하게 된다.
제1 혼합 라인(310)은 필터(320)의 상측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일단은 복수의 배출 라인(200a, 200b)과 연결되어 있다.
제2 혼합 라인(330)은 필터(320)의 하측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일단은 약액 주입 대상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주입 카테터(400)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혼합 라인(310)의 길이는 3cm 내지 5cm 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 혼합 라인(330)의 길이는 15cm 내지 17c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벌룬 인퓨저에 서로 상이한 약물이 저장되는 경우, 배출 라인을 통해 배출된 약액이 혼합 라인(300)에서 혼합될 때, 결정화 현상이 발생한다. 이 결정화 현상이 발생하는 빈도는 서로 다른 약액이 혼합되는 시간과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혼합 라인(300)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혼합 라인(300)의 길이는 18cm 내지 22cm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 라인(300)의 말단에는 주입 카테터(400)가 연결되는데, 주입 카테터(400)는 일단이 혈관 내부에 위치하여 혼합 라인(300)을 통해 전달된 약액을 혈관으로 주입하게 된다.
주입 카테터(400)는 혈관에 삽입된 채로 고정되어야 하기에, 주입 카테터(400)와 연결된 혼합 라인(300) 또한 고정되는 작업이 필요하다. 혼합 라인(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하여 고정되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이 직선형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닌 곡선형으로 약액 주입 대상에 고정된다는 점이다.
직선형으로 고정되는 경우, 혼합 라인(300)의 길이 자체는 더 짧아질 수 있으나, 혼합 라인(300)의 움직임이 고스란히 주입 카테터(400)에 전달되기 때문에 주입 카테터(400)의 움직임에 의해 혈관이 천공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곡선형으로 약액 주입 대상의 손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 라인(300)의 18cm 내지 22cm 길이는 상기 전술한 사항과 평균적인 손 크기를 고려한 길이 설계로서, 혼합 라인(300)의 길이가 18cm보다 짧은 경우, 곡선형으로 부착되더라도 약액 주입 대상에 부착될만큼의 충분한 길이를 갖지 못한다. 따라서, 약액 주입 대상의 움직임이 고스란히 혼합 라인(300)에 전달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곧 주입 카테터(400)에 전달되어 상기한 천공 현상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혼합 라인(300)의 길이가 22cm보다 긴 경우에는 서로 상이한 약물이 혼합되면서 고체 등이 석출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라인 막힘 현상을 유발하며, 혈관에 주입되는 경우 치명적이다.
혼합 라인(300)의 길이가 18cm 내지 22cm로 구비되는 것은, 사람의 평균 손 크기에 상응하여 약액 주입 대상에 부착되어 충분한 고정력을 가지는 길이이면서도, 결정화 현상이 최소화되는 길이인 것이다.
따라서, 안정적인 약액 주입이 가능하면서도 결정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배출 라인(200a, 200b)과 혼합 라인(300)은 연결부(220)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부(220)는 복수의 배출 라인(200a, 200b)이 모여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즉, 복수의 배출 라인(200a, 200b)을 하나의 혼합 라인(300)으로 연결하기 위한 허브 역할을 하게 된다.
연결부(220)의 후단(연결부의 상측 부분)은 배출 라인(200a, 200b)과 연결되기 때문에, 후단에 위치하는 제1 연결 통로(221)는 배출 라인(200a, 200b)이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지고, 전단(연결부의 하측 부분)은 혼합 라인(300)과 연결되기 때문에, 전단에 위치하는 제2 연결 통로(222)는 혼합 라인(300)이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배출 라인(200a, 200b)과 혼합 라인(300) 중 하나에 온도 조절 유닛(500)이 배치될 수 있다. 온도 조절 유닛(500)은 복수의 배출 라인(200a, 200b)과 혼합 라인(300) 중 하나가 관통하여 지나가는 케이스(510)와, 케이스(510) 내부에서는 케이스(510)에 내장된 복수의 배출 라인(200a, 200b)과 혼합 라인(300) 중 하나와 이웃하여 배치되어 열교환이 일어나고 케이스(5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온도가 조절된 유체를 공급받는 유체 라인(520)과, 케이스(5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유체 라인(520)을 따라 흐르며 약액과 열교환하는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고 이동 동력을 제공하는 온도 조절 펌프(530)와, 케이스(510)의 외부에 배치되며 유체 라인(520)의 일부가 감겨있는 풀리(540)와, 케이스(510)의 외부에 배치되며 풀리(54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라인(520)은 케이스(5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입체 나선 형태를 가지며 복수의 배출 라인(200a, 200b)과 혼합 라인(300) 중 하나를 내부에 배치시켜 감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는 제1부분과, 온도 조절 펌프(530)에서 연장되어 제1부분의 일단과 연결되며 온도 조절 펌프(530)에서 배출된 유체를 제1부분으로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2부분과, 제1부분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온도 조절 펌프(530)와 연결되며 제1부분을 통과한 유체가 온도 조절 펌프(530)로 다시 순환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3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풀리(540)는 제3부분에 배치되어 제3부분의 일부는 풀리(540)에 감겨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모터(미도시)가 풀리(540)를 정회전시키면 유체 라인(520)의 제3부분이 풀리고 복수의 배출 라인(200a, 200b)과 혼합 라인(300) 중 하나를 감고 있는 제1부분의 입체 나선도 이에 연동되어 풀리고 유체 라인(520)과 복수의 배출 라인(200a, 200b)과 혼합 라인(300) 중 하나와 접촉 해제되어 열교환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에서는 모터(미도시)가 풀리(540)를 역회전시키면 유체 라인(520)의 제3부분이 감기고 복수의 배출 라인(200a, 200b)과 혼합 라인(300) 중 하나를 감고 있는 제1부분의 입체 나선도 이에 연동되어 쪼여져 복수의 배출 라인(200a, 200b)과 혼합 라인(300) 중 하나와 접촉됨으로써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평상 시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풀리(540)를 역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키고 외부적인 요인이나 온도 조절 펌프(530)의 오작동/과부하 등에 의해 가열된(또는 냉각된) 약액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는 경우(또는 낮아지는 경우) 온도 조절 펌프(530)를 Off시키는 제어 외에(이 경우, 유체 라인에 남아있는 유체에 의해 온도 조절 펌프를 Off시킨다고 하더라도 약액의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지 않음(또는 높아지지 않음),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풀리(540)를 정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킴으로써, 유체 라인(520)과 약액이 공급되는 라인을 완전히 이격시켜 약액의 온도를 급격하게 낮출 수 있다(또는 높임).
상술한 과정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필요 시 의료진은 모터를 제어하여 풀리(540)의 정회전 고정 상태와 역회전 고정 상태를 교번함으로써, 필요한 약액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

  1. 내부에 서로 상이한 약액이 저장된 팽창 부재(115)를 포함하는 약액 저장부(110)를 가진 복수의 벌룬 인퓨저(100; 100a, 100b);
    각각의 벌룬 인퓨저(100; 100a, 100b)에 연결되며, 상기 팽창 부재(115)에 저장된 약액이 배출되는 통로인 복수의 배출 라인(200; 200a, 200b);
    상기 복수의 배출 라인(200; 200a, 200b)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배출 라인(200; 200a, 200b)을 통해 배출되는 약액이 혼합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하나의 혼합 라인(300); 및
    상기 혼합 라인(300)에 배치되는 온도 조절 유닛(500);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 유닛(500)은 상기 혼합 라인(300)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케이스(510)와, 상기 케이스(510)에 내장된 상기 혼합 라인(300)과 이웃하여 배치되어 열교환이 일어나고 상기 케이스(5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온도가 조절된 유체를 공급받는 유체 라인(520)과, 상기 케이스(5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 라인(520)을 따라 흐르며 약액과 열교환하는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고 이동 동력을 제공하는 온도 조절 펌프(530)와, 상기 케이스(510)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 라인(520)의 일부가 감겨있는 풀리(540)와, 상기 케이스(510)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풀리(54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라인(520)은 상기 케이스(5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입체 나선 형태를 가지며 상기 혼합 라인(300)을 내부에 배치시켜 감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는 제1부분과, 상기 온도 조절 펌프(530)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부분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온도 조절 펌프(530)에서 배출된 유체를 상기 제1부분으로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온도 조절 펌프(530)와 연결되며 제1부분을 통과한 유체가 상기 온도 조절 펌프(530)로 다시 순환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3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풀리(540)는 제3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3부분의 일부는 상기 풀리(540)에 감겨있고,
    상기 모터가 상기 풀리(540)를 정회전시키면 상기 제3부분이 풀려 상기 혼합 라인(300)을 감고 있는 상기 제1부분의 입체 나선도 상기 제3부분에 연동되어 풀림으로써, 상기 유체 라인(520)은 상기 혼합 라인(300)과 접촉 해제되어 열교환이 일어나지 않고,
    상기 모터가 상기 풀리(540)를 역회전시키면 상기 제3부분이 감겨 상기 혼합 라인(300)을 감고 있는 제1부분의 입체 나선도 상기 제3부분에 연동되어 쪼여짐으로써, 상기 혼합 라인(300)과 접촉되어 열교환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0220095866A 2022-08-02 2022-08-02 약액의 온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벌룬 인퓨저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498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866A KR102498563B1 (ko) 2022-08-02 2022-08-02 약액의 온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벌룬 인퓨저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866A KR102498563B1 (ko) 2022-08-02 2022-08-02 약액의 온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벌룬 인퓨저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563B1 true KR102498563B1 (ko) 2023-02-09

Family

ID=8522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866A KR102498563B1 (ko) 2022-08-02 2022-08-02 약액의 온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벌룬 인퓨저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5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9623A (ko) * 2006-02-14 2006-03-03 강대기 정맥주사용 순간수액가온장치를 포함한 다기능 조절기
KR20140137769A (ko) * 2013-05-24 2014-12-03 권서원 팔 저림 현상 방지를 위한 충전식 링거 온열기
KR101860883B1 (ko) * 2017-12-19 2018-05-24 주식회사 더블유앤지 복수의 벌룬 인퓨저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9623A (ko) * 2006-02-14 2006-03-03 강대기 정맥주사용 순간수액가온장치를 포함한 다기능 조절기
KR20140137769A (ko) * 2013-05-24 2014-12-03 권서원 팔 저림 현상 방지를 위한 충전식 링거 온열기
KR101860883B1 (ko) * 2017-12-19 2018-05-24 주식회사 더블유앤지 복수의 벌룬 인퓨저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43258B2 (ja) 多数の薬剤の誤送出を防止するための注入システム
JP5506780B2 (ja) 流体を送り出すための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US9233203B2 (en) Medical needles for damping motion
US9764124B2 (en) Vascular access port
US6299599B1 (en) Dual balloon central venous line cathe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EP3007744B1 (en) Portable fluid delivery system
US10130761B2 (en) Infusion systems
ES2719179T3 (es) Dispositivo de inserción de catéter
JP2005514095A (ja) 可変長可撓性導通路フィーダ
CN102573810A (zh) 延长使用的医疗装置
EP3320931B1 (en) Selector
JP2005523397A (ja) 流体投与装置のプランジャ
CN215309140U (zh) 从贮存器移除空气的系统和将药剂送至患者皮肤中的装置
KR102022768B1 (ko) 약액이 추가 주입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102498563B1 (ko) 약액의 온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벌룬 인퓨저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US8403887B2 (en) Fluid dispenser
JP5881299B2 (ja) 医療用ポンプ
WO2008090473A2 (en) Medical flow rate controller with rotary valve
JP7398273B2 (ja) ワイヤ送出装置、及び、薬液注入装置
KR101860883B1 (ko) 복수의 벌룬 인퓨저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0261584B1 (ko) 혈관주사에 사용되는 용약 투여장치 및 구동시스템
KR101581743B1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JP6612087B2 (ja) シリンジポンプ
KR102486266B1 (ko) 의료용 약액 공급량 조절 장치
CA3219892A1 (en) Delivery device with lead screw infusion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