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561B1 - 비접촉식 도어록의 사용자접근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도어록의 사용자접근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561B1
KR102498561B1 KR1020220080263A KR20220080263A KR102498561B1 KR 102498561 B1 KR102498561 B1 KR 102498561B1 KR 1020220080263 A KR1020220080263 A KR 1020220080263A KR 20220080263 A KR20220080263 A KR 20220080263A KR 102498561 B1 KR102498561 B1 KR 102498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oor lock
transparent film
pressur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원
김용승
류호평
박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윈
Priority to KR1020220080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복수개의 버튼(12)이 배열된 도어록(10) 위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복수개의 버튼(12) 중 특정 버튼(12)에 해당하는 부분의 표면에 손가락을 근접시키는 경우 정전식으로 해당 표면의 터치를 감지하는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
상기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으로부터 제공되는 표면 터치 감지에 대응하여 특정 버튼(12) 누름에 의거하는 명령어를 받아 처리하는 명령어 처리부(30);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도어록(10) 앞쪽의 바닥에 가로로 설치된 관(60);
상기 관(60)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관(60)의 특정한 부분이 사용자의 접근에 의해 밟혀 눌려질 때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제1 압력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제1 압력센서 및 송신기 모듈(62);
상기 관(60)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관(60)의 특정한 부분이 사용자의 접근에 의해 밟혀 눌려질 때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제2 압력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제2 압력센서 및 송신기 모듈(64);
상기 제1, 제2 압력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40); 및
상기 수신부(40)로부터 제1, 제2 압력감지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을 이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명령어 처리부(3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사용자접근 감지제어부(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접촉식 도어록의 사용자접근 감지장치{User Access Detection Device for Contactless Door Lock}
본 발명은 비접촉식 도어록의 사용자접근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록은 문을 닫았을 때 자동으로 작동되는 잠금장치로, 설정한 번호를 입력하면 문이 열리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도어록은 회사, 관공서, 가정 등에 설치된 문에 구비되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한다.
이와 같은 도어록을 대중이 사용하다보면 COVID-19 등 바이러스 질병의 전염이 확산되기 쉽다. 즉, 도어록을 대중이 사용하도록 하려면 도어록을 비접촉식으로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록을 비접촉식으로 개선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록에 접근하는 것을 명확하게 감지하여 사용자가 도어록에 접근 시 사용자에게 도어록 사용에 대한 유용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어록에 접근하는 것을 적외선센서 등에 의해 감지하는 경우 사용자가 접근하는 영역을 명확하게 특정하기가 애매한 반면, 설정된 영역이 사용자의 접근에 의해 밟혀 눌려질 때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설정된 영역에 사용자가 접근했음을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이 적용된 도어록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명확하게 감지하여 사용자가 비접촉식 도어록에 접근 시 특히 비접촉식 도어록 앞의 설정된 영역에 접근하는 경우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을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접촉식 도어록을 바이러스 질병의 전염에 대해 안전하게 사용하고 사용자가 비접촉식 도어록을 명확하게 이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 정보: 등록특허공보 제10-0440206호(공고일자 2004년07월14일) "디지탈 도어록의 비접촉 감지장치"
이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디지탈 도어록의 비접촉 감지장치"는 디지탈 도어록의 중립기어 및 로테이터의 유동을 무접점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감지토록 함으로서 중립기어 및 로테이터의 정확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등록특허공보 제10-0440206호 "디지탈 도어록의 비접촉 감지장치"는 디지탈 도어록의 중립기어 및 로테이터의 유동을 무접점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감지토록 함으로서 중립기어 및 로테이터의 정확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이 적용된 도어록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명확하게 감지하여 사용자가 비접촉식 도어록에 접근 시 특히 비접촉식 도어록 앞의 설정된 영역에 접근하는 경우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을 활성화하도록 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이 적용된 도어록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명확하게 감지하여 사용자가 비접촉식 도어록에 접근 시 특히 비접촉식 도어록 앞의 설정된 영역에 접근하는 경우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을 활성화하도록 하기 위한 비접촉식 도어록의 사용자접근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표면에 복수개의 버튼(12)이 배열된 도어록(10) 위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복수개의 버튼(12) 중 특정 버튼(12)에 해당하는 부분의 표면에 손가락을 근접시키는 경우 정전식으로 해당 표면의 터치를 감지하는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
상기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으로부터 제공되는 표면 터치 감지에 대응하여 특정 버튼(12) 누름에 의거하는 명령어를 받아 처리하는 명령어 처리부(30);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도어록(10) 앞쪽의 바닥에 가로로 설치된 관(60);
상기 관(60)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관(60)의 특정한 부분이 사용자의 접근에 의해 밟혀 눌려질 때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제1 압력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제1 압력센서 및 송신기 모듈(62);
상기 관(60)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관(60)의 특정한 부분이 사용자의 접근에 의해 밟혀 눌려질 때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제2 압력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제2 압력센서 및 송신기 모듈(64);
상기 제1, 제2 압력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40); 및
상기 수신부(40)로부터 제1, 제2 압력감지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을 이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명령어 처리부(3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사용자접근 감지제어부(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접근 감지제어부(50)는 상기 수신부(4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제2 압력감지신호를 받아 상기 제1, 제2 압력감지신호가 수신된 시각과 상기 1, 제2 압력감지신호가 수신된 시각의 차이, 상기 관(60)의 길이, 및 상기 관(60) 내부에서 상기 관(60)이 특정한 부분이 눌려짐에 의거하는 압력변화 전달속도로부터 상기 관(60)의 눌림위치(66)를 도출하여 상기 눌림위치(66)가 상기 도어록(10) 앞의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을 이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명령어 처리부(3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이 적용된 도어록(10)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명확하게 감지하여 사용자가 비접촉식 도어록(10)에 접근 시 특히 비접촉식 도어록(10) 앞의 설정된 영역에 접근하는 경우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을 활성화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비접촉식 도어록(10)을 바이러스 질병의 전염에 대해 안전하게 사용하고 사용자가 비접촉식 도어록(10)을 명확하게 이용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도어록의 사용자접근 감지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도어록의 사용자접근 감지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어록(10),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 명령어 처리부(30), 수신부(40), 사용자접근 감지제어부(50), 관(60)과, 제1, 제2 압력센서 및 송신기 모듈(62, 64)로 구성된다. 도어록(10) 표면에는 복수개의 버튼(12)이 배열된다.
도 1에 있어서,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은 표면에 복수개의 버튼(12)이 배열된 도어록(10) 위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복수개의 버튼(12) 중 특정 버튼(12)에 해당하는 부분의 표면에 손가락을 근접시키거나 닿게 하는 경우 정전식으로 해당 표면의 터치를 감지한다.
명령어 처리부(30)는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으로부터 제공되는 표면 터치 감지에 대응하여 특정 버튼(12) 누름에 의거하는 명령어를 받아 처리한다.
관(60)은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도어록(10) 앞쪽의 바닥에 가로로 설치된다. 관(60)은 도어록(10) 앞쪽의 바닥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압력센서 및 송신기 모듈(62)은 관(60)의 일단에 설치되어 관(60)의 특정한 부분이 사용자의 접근에 의해 밟혀 눌려질 때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제1 압력감지신호를 송신한다.
제2 압력센서 및 송신기 모듈(64)은 관(60)의 타단에 설치되어 관(60)의 특정한 부분이 사용자의 접근에 의해 밟혀 눌려질 때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제2 압력감지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두 개의 제1, 제2 압력센서 및 송신기 모듈(62, 64) 중 한 개를 선택하여 실시할 수도 있으나 좀 더 확실한 압력변화 감지를 위해 두 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수신부(40)는 제1, 제2 압력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감지제어부(50)로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사용자접근 감지제어부(50)는 수신부(40)로부터 제1, 제2 압력감지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가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을 이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명령어 처리부(3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이 활성화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접근 감지제어부(50)는 수신부(4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제2 압력감지신호를 받아 제1, 제2 압력감지신호가 수신된 시각과 1, 제2 압력감지신호가 수신된 시각의 차이, 관(60)의 길이, 및 관(60) 내부에서 관(60)이 특정한 부분이 눌려짐에 의거하는 압력변화 전달속도로부터 관(60)의 눌림위치(66)를 도출하여 눌림위치(66)가 도어록(10) 앞의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가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을 이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명령어 처리부(3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이 활성화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이 적용된 도어록(10)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명확하게 감지하여 사용자가 비접촉식 도어록(10)에 접근 시 특히 비접촉식 도어록(10) 앞의 설정된 영역에 접근하는 경우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을 활성화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비접촉식 도어록(10)을 바이러스 질병의 전염에 대해 안전하게 사용하고 사용자가 비접촉식 도어록(10)을 명확하게 이용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도어록
12: 버튼
20: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
30: 명령어 처리부
40: 수신부
50: 사용자접근 감지제어부
60: 관
62, 64: 제1, 제2 압력센서 및 송신기 모듈
66: 눌림위치

Claims (2)

  1. 표면에 복수개의 버튼(12)이 배열된 도어록(10) 위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복수개의 버튼(12) 중 특정 버튼(12)에 해당하는 부분의 표면에 손가락을 근접시키는 경우 정전식으로 해당 표면의 터치를 감지하는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
    상기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으로부터 제공되는 표면 터치 감지에 대응하여 특정 버튼(12) 누름에 의거하는 명령어를 받아 처리하는 명령어 처리부(30);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도어록(10) 앞쪽의 바닥에 가로로 설치된 관(60);
    상기 관(60)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관(60)의 특정한 부분이 사용자의 접근에 의해 밟혀 눌려질 때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제1 압력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제1 압력센서 및 송신기 모듈(62);
    상기 관(60)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관(60)의 특정한 부분이 사용자의 접근에 의해 밟혀 눌려질 때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제2 압력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제2 압력센서 및 송신기 모듈(64);
    상기 제1, 제2 압력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40); 및
    상기 수신부(40)로부터 제1, 제2 압력감지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을 이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명령어 처리부(3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사용자접근 감지제어부(50);
    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접근 감지제어부(50)는 상기 수신부(4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제2 압력감지신호를 받아 상기 제1, 제2 압력감지신호가 수신된 시각과 상기 1, 제2 압력감지신호가 수신된 시각의 차이, 상기 관(60)의 길이, 및 상기 관(60) 내부에서 상기 관(60)이 특정한 부분이 눌려짐에 의거하는 압력변화 전달속도로부터 상기 관(60)의 눌림위치(66)를 도출하여 상기 눌림위치(66)가 상기 도어록(10) 앞의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을 이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명령어 처리부(3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근접 정전식 투명필름(20)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도어록의 사용자접근 감지장치.
  2. 삭제
KR1020220080263A 2022-06-30 2022-06-30 비접촉식 도어록의 사용자접근 감지장치 KR102498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263A KR102498561B1 (ko) 2022-06-30 2022-06-30 비접촉식 도어록의 사용자접근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263A KR102498561B1 (ko) 2022-06-30 2022-06-30 비접촉식 도어록의 사용자접근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561B1 true KR102498561B1 (ko) 2023-02-13

Family

ID=8520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263A KR102498561B1 (ko) 2022-06-30 2022-06-30 비접촉식 도어록의 사용자접근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5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7117A (ja) * 2016-05-12 2018-06-28 秀育企業股▲分▼有限公司 圧力検知装置、それを使用する圧力検知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圧力検知スイッチ
KR101952522B1 (ko) * 2017-11-13 2019-05-20 김둘례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 및 상기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를 이용한 도어락 개폐방법
KR20200048418A (ko) * 2018-10-30 2020-05-08 문창훈 스마트 도어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7117A (ja) * 2016-05-12 2018-06-28 秀育企業股▲分▼有限公司 圧力検知装置、それを使用する圧力検知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圧力検知スイッチ
KR101952522B1 (ko) * 2017-11-13 2019-05-20 김둘례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 및 상기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를 이용한 도어락 개폐방법
KR20200048418A (ko) * 2018-10-30 2020-05-08 문창훈 스마트 도어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2928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ouch screen
US20120113051A1 (en) Touch- or proximity -sensitive interface
KR101784969B1 (ko) 신체 또는 물체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및 이 장치를 통합하는 제어 장비
US7651068B2 (en) Dual detection sensor system for a washroom device
KR102425456B1 (ko) 비접촉식 키오스크의 사용자접근 감지장치
WO2000039656A3 (en) Computer input device
WO2005041011A3 (en) Touch input sensing device
WO2007017848A3 (en) Apparatus for object information detection and methods of using same
SE9904039L (sv) Kopplingsanordning för en passagerarbrygga
US9329732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ouch screen
US9715310B2 (en) Touch controller, touch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touch screen
JP2011252881A (ja) セ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移動開閉体
CA25825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lluminating a transmitter
KR102498561B1 (ko) 비접촉식 도어록의 사용자접근 감지장치
KR101542961B1 (ko) 사용자 단말의 터치 검출 방법 및 시스템
WO2019029229A1 (zh) 指纹识别装置、阵列基板、显示装置及指纹识别方法
KR102436795B1 (ko) 비접촉식 승강기버튼의 사용자접근 감지장치
CN113795644B (zh) 认证装置以及程序
US20020080118A1 (en) Manually-operable input device
KR101562355B1 (ko) 서브채널 터치센서를 갖는 차량용 터치도어개폐시스템
TWI807175B (zh) 防夾車窗及車窗防夾方法
US20220135371A1 (en) Control device, method of determining triggering of the control device and elevator system
KR20170108908A (ko) 디스플레이 화면방향 전환모듈 및 이를 이용한 화면방향 전환 방법
US20220135372A1 (en) Control device, method of preventing false triggering of the control device, and elevator system
CN111764747A (zh) 一种根据门把手接触面积控制开合的智能门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