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551B1 -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 - Google Patents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551B1
KR102498551B1 KR1020220077162A KR20220077162A KR102498551B1 KR 102498551 B1 KR102498551 B1 KR 102498551B1 KR 1020220077162 A KR1020220077162 A KR 1020220077162A KR 20220077162 A KR20220077162 A KR 20220077162A KR 102498551 B1 KR102498551 B1 KR 102498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product
sentences
visual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감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감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감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6Display of layout of documents; Preview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작성한 독창적문장을 제공받아 거래 가능한 상품으로 등록하는 상품등록부; 및 등록된 상품 중 사용자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장르키워드와 연관되는 상품들을 검색한 상품리스트를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상품리스트제공부를 포함하는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PLATFORM OPERATING DEVICE FOR TRADING ORIGINAL SENTENCES}
본 발명은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들이 작성한 독창적문장을 상품으로 등록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수요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자신이 의도하는 바가 상대방에게 정확히 전달되도록 하거나 상대방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문장 또는 글을 작성하는 것은 생각보다 쉬운 일이 아니다.
현대사회의 구성원들은 각자의 업무 및 가사노동에 적지 않은 에너지를 쏟아야 하므로, 글 작성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학습과정 등을 이행하기 어려운 상황인 경우가 많은 반면, 삶에서 글로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거나, 남들을 이해시켜야 하는 이벤트들이 다양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이들은 글을 작성하기 위해 다른 이들로부터 적절한 조언을 받거나 자신이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받고 싶을 수 있지만, 글의 사용처 및 표현과 관련된 적절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을 쏟아야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족할만한 정보를 얻기 어려울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본 발명의 선행기술로 '저작물 실시간 중개 서비스 및 법률지원 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84892, 2016. 07. 15)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작성한 독창적문장을 플랫폼에 거래 가능한 상품으로 등록하고, 플랫폼 이용자가 입력하는 장르키워드와 연관되는 상품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를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국면은, 사용자가 작성한 독창적문장을 제공받아 거래 가능한 상품으로 등록하는 상품등록부; 및 등록된 상품 중 사용자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장르키워드와 연관되는 상품들을 검색한 상품리스트를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상품리스트제공부를 포함하고, 상품으로 등록되는 독창적문장은 단독문장 또는 문장집합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작성한 독창적문장에 대한 저작권침해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어문저작물검색결과를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저작물검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등록부는 사용자단말을 통해 저작권등록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해당 저작권등록정보와 대응되는 저작물이 플랫폼에 상품으로 등록 가능한 대상인지 판단하고, 상품등록가능대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거래 가능한 상품으로 자동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리스트제공부는 플랫폼을 통해 조회되는 각 상품에 대한 노출영역을설정하는 상품노출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노출설정부는 상품 검색에 이용된 장르키워드가 포함되는 문장 또는 문장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정하되, 상품을 등록요청한 사용자단말에 의해 별도로 설정된 노출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노출영역이 함께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으로 등록되는 독창적문장이 문장집합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문장 사이의 문맥을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시각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상품에 대한 문해력을 향상시키는 시각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으로 등록되는 독창적문장이 문장집합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문장을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시각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상품에 대한 문해력을 향상시키는 시각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삶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 또는 특정 장르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는 문장 또는 글을 상품으로 등록하여 수요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랫폼에 등록된 문장 상품이 문장집합으로 구성된 글 상품인 경우, 이에 대한 문해력을 향상시켜 상품 이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의 세부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각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치산출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각처리부가 문장을 시각화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시각처리부가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을 서로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공간에 재배열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장에 대한 문해력을 향상시키는 문장구성요소 시각처리장치를 통한 문해력 향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장에 대한 문해력을 향상시키는 문장구성요소 시각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0은 문장성분 및 문장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1은 중심문장구성요소를 도출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2는 중심문장구성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3은 중심문장구성요소를 재배열하여 공간적으로 구분하는 시각적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시스템은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200)(이하, 플랫폼 운영 장치) 및 사용자단말(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플랫폼 운영 장치(200)는 사용자단말(1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용자단말(10)에게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단말(10)은 플랫폼 운영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가 작성한 독창적문장을 플랫폼에 상품으로 등록하기 위한 판매자단말(11) 및 플랫폼에 등록된 상품정보를 제공받아 구매하기 위한 구매자단말들(12-1 내지 12-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단말(10)은 플랫폼 운영 장치(200)에 의해 운영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 관리 또는 조작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운영 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운영 장치(200)의 세부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운영 장치(200)는 상품등록부(210) 및 상품리스트제공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플랫폼 운영 장치(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품노출설정부(221), 저작물검색부(230) 및 시각처리장치(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술한 플랫폼 운영 장치(2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상품등록부(210)는 사용자가 작성한 독창적문장을 제공받아 거래 가능한 상품으로 등록한다. 여기에서, 상품으로 등록되는 독창적문장은 단독문장 또는 문장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글의 머리말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독창적으로 작성한 단락은 문장집합으로서 상품으로 등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등록부(210)는 사용자단말(10)을 통해 저작권등록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해당 저작권등록정보와 대응되는 저작물이 플랫폼에 상품으로 등록 가능한 대상인지 판단하고, 상품등록가능대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거래 가능한 상품으로 자동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저작권등록된 자신의 어문저작물 등록번호 등 저작물을 식별 가능한 정보만을 입력하여, 상품등록부(210)가 해당 저작물을 상품으로 자동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저작물의 저작권자가 사용자와 동일한 인물인지 인증하기 위한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상품리스트제공부(220)는 등록된 상품 중 사용자단말(10)을 통해 입력되는 장르키워드와 연관되는 상품들을 검색한 상품리스트를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장르키워드는 축하, 위로, 공감 등의 감정과 연관된 감정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조사, 발표문, 취임사 등 이벤트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리스트제공부(220)는 사용자단말(10)을 통해 입력할 수 있는 감정키워드 및 이벤트키워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감정키워드 및 이벤트키워드 리스트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상품리스트를 1차적으로 선별하기 위한 상위리스트 및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상품리스트를 2차적으로 선별하기 하위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키워드 리스트의 상위리스트인 경조사를 사용자가 사용자단말(10)을 통해 입력하여 선택한 경우, 하위리스트는 결혼, 승진, 개업, 조문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선택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품리스트제공부(220)는 플랫폼을 통해 조회되는 각 상품에 대한 노출영역을설정하는 상품노출설정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노출설정부(221)는 상품을 구매하려는 플랫폼 이용자에게 상품의 내용이 모두 공개되면, 이를 무단 복사하여 이용할 소지가 없도록 상품을 보호조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품노출설정부(221)는 상품 검색에 이용된 장르키워드가 포함되는 문장 또는 문장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정하되, 상품을 등록요청한 사용자단말(10)에 의해 별도로 설정된 노출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노출영역이 함께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르키워드가 포함되는 문장 또는 문장일부가 노출되도록 기본 설정된 상태에서는, 판매자가 상품의 특징 및 장점이 되는 부분을 구매자에게 노출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 판매자는 상품을 조회하는 잠재구매자들이 상품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영역을 별도로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저작물검색부(230)는 사용자가 작성한 독창적문장에 대한 저작권침해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어문저작물검색결과를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상품으로 등록하려는 상품이 이미 다른 저작권자에 의해 등록된 어문저작물을 침해하게 되는 경우, 추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저작물검색부(230)는 사용자가 작성한 독창적문장의 핵심키워드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도출한 어문저작물검색결과를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문맥파악 시각처리장치 실시예]
플랫폼 운영 장치(200)에 포함되는 시각처리장치(100)는 상품으로 등록되는 독창적문장이 문장집합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문장 사이의 문맥을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시각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상품에 대한 문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시각처리장치(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각처리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시각처리장치(100)는 문맥처리부(110) 및 시각처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문맥처리부(110)는 복수의 문장 사이의 문맥을 분석하여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을 구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문맥처리부(110)는 문장입력부(111), 수치산출부(113), 및 중심문장추출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문장입력부(111)는 복수의 문장을 컴퓨터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입력받는다. 수치산출부(113)는 앞 문장과 뒷 문장의 연관관계를 수치적으로 산출한다. 중심문장추출부(115)는 산출된 수치가 기준치 이상으로 변곡되는 문장을 문맥의 흐름을 주도하는 중심문장으로 추출하고 다음 중심문장이 등장하기 이전의 문장을 중심문장을 뒷받침하는 뒷받침문장으로 구분한다.
시각처리부(120)는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이 서로 구분되도록 시각적으로 처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각처리부(120)는 제1시각처리부(121) 및 제2시각처리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시각처리부(121)는 하나의 중심문장과 이를 뒷받침하는 뒷받침문장을 하나의 조합으로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복수의 조합이 서로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기호 또는 숫자로 표시하여, 문맥의 파악을 용이하도록 시각화한다. 제1시각처리부(121)에서 시각화한 문장의 예는 도 6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제2시각처리부(12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심문장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뒷받침문장을 서로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공간에 재배열하여, 문맥의 파악을 용이하도록 시각화한다. 제2시각처리부(123)에서 시각화한 문장의 예는 도 7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치산출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수치산출부(113)는 주술관계판단부, 인과관계판단부, 가중치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주술관계판단부는 문장의 주어와 술어를 이용하여 수치를 산출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주술관계판단부는 복수의 문장에서 주어 및 서술어를 추출하고, 앞 문장과 뒷 문장의 주어 및 서술어가 서로 연관성이 낮을수록 수치의 변동폭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앞 문장과 뒷 문장의 연관관계를 수치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인과관계판단부는 문장의 원인과 결과를 이용하여 수치를 산출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인과관계판단부는 복수의 문장에서 앞 문장과 뒷 문장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여, 앞 문장과 뒷 문장의 인과관계가 낮을수록 수치의 변동폭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앞 문장과 뒷 문장의 연관관계를 수치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가중치연산부는 주술관계판단부 및 인과관계판단부에서 각각 산출된 문장의 수치 변동폭 중에서 더 큰 변동폭을 갖는 수치를 우선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앞뒤 문장이 서로 인과관계가 없는 경우 인과관계판단부는 문장의 연관관계에 관한 수치의 변동폭을 크게 증가시킨다. 즉 뒷 문장이 새로운 중심문장으로 인정될 가능성을 높힌다. 그런데 주술관계판단부는 앞뒤 문장의 주어와 술어가 유사하여 문장의 연관관계에 관한 수치의 변동폭을 감소시켰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인과관계판단부는 뒷 문장이 새로운 중심문장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 것이나 주술관계판단부는 반대로 판단한 것이다. 가중치연산부는 이런 경우 수치의 변동폭을 더 크게 판단한 인과관계판단부의 수치를 우선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시각처리장치(100)의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시각처리방법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먼저 문장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현하여 문맥파악을 용이하게 하는 시각처리장치가, 복수의 문장을 입력받는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앞 문장과 뒷 문장의 연관관계를 수치적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각 문장에 수치를 산출하여 다음 단계에서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을 구분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산출된 수치가 기준치 이상으로 변곡되는 문장을 문맥의 흐름을 주도하는 중심문장으로 추출하고, 다음 중심문장이 등장하기 이전의 문장을 중심문장을 뒷받침하는 뒷받침문장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그 후 하나의 중심문장과 이를 뒷받침하는 뒷받침문장을 하나의 조합으로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복수의 조합이 서로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기호 또는 숫자로 표시하거나,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을 서로 구분되는 공간에 재배열하여 문맥의 파악을 용이하도록 시각화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각처리부가 문장을 시각화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시각처리부가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을 서로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공간에 재배열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서 원으로 둘러쌓인 숫자는 중심문장을 의미한다. 원으로 둘러쌓인 숫자 뒤에 표시된 숫자는 해당 중심문장에 종속되는 뒷받침문장을 의미한다. 즉,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는 3개의 중심문장이 있고, 각각의 중심문장에는 순서대로 3개, 1개, 2개의 뒷받침문장이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시각처리부는 하나의 중심문장과 이를 뒷받침하는 뒷받침문장을 하나의 조합으로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복수의 조합이 서로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기호 또는 숫자로 표시하여, 문맥의 파악을 용이하도록 시각화할 수 있다.
하나의 그룹에 하나의 중심문장과 이를 뒷받침하는 뒷받침문장이 포함되도록 그룹핑한 결과 a, b, c 그룹이 탄생하였다. 해당 그룹은 서로 구분되되록 시각화될 수 있는데, 예를들어 각각의 그룹은 점선으로 테두리가 쳐지거나, 색상이 변경되거나, 엔터기호와 같은 문장부호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새로운 중심문장과 이에 종속된 뒷받침문장을 시각적으로 구분하면, 문맥의 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시각처리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심문장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뒷받침문장을 서로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공간에 재배열하여 시각화할 수 있다.
예를들어, 3개의 중심문장과 6개의 뒷받침문장을 서로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공간 d, e에 재배열한다. 공간 d, e는 점선으로 테두리가 쳐지거나, 색상이 변경되는 등의 시각적처리가 추가될 수 있다. 문장마다 문장을 표시하는 기호(원문자, 엔터기호 등) 추가될 수도 있다.
공간 d에는 중심문장이 배열되고, 공간 e에는 ?Ⅹ似㏏?장이 배열된다. 가로축을 기준으로는 특정 중심문장에 종속된 뒷받침문장이 차례로 배열된다. 즉,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을 서로 구분되는 공간에 재배열하고, 중심문장의 가로축에 뒷받침문장이 배열되도록 복수의 문장을 재구성한다.
이와 같이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을 서로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공간에 재배열하면 다양한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경계선 지능을 갖춘 자는 중심문장만 읽어 글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특정 중심문장을 뒷받침하는 뒷받침문장을 읽고 싶으면 해당 중심문장의 가로축에 배열된 문장을 읽어 해당 중심문장을 부연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시간이 없는 일반인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속독하거나, 필요한 중심문장의 뒷받침문장만을 선별적으로 읽을 수 있다.
[딥 러닝]
본 발명의 시각처리장치는 딥 러닝을 통해 문맥처리부의 처리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시각처리장치의 딥 러닝은 두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첫번째는 학습데이터를 이용한 성장단계이고, 두번째는 생성적 적대신경망을 이용한 진화단계이다.
성장단계에서 시각처리장치는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을 구분하는 훈련을 시작한다. 학습데이터 세트는 복수의 문장을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으로 구분한 데이터이다. 성장단계를 거치면 아래 진화단계에서 설명할 생성자와 구분자의 기본적인 역량을 갖출 수 있게된다.
진화단계에서 사용할 '생성적 적대 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 GAN)' 이론은 서로 다른 인공지능(AI)이 상호 경쟁을 통해 상호 성능을 개선하는 머신 러닝 방법이다.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을 통해 중심문장을 구분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에는 중심문장을 구출하는 생성자(Generator)와 중심문장의 적합여부를 감별하는 구분자(Discriminator)가 있다. 생성자는 중심문장을 추출하고, 구분자는 생성자의 중심문장이 타당한지 감별한다. 생성자는 구분자를 속이도록, 구분자는 생성자가 추출한 중심문장의 타당성을 더 잘 감별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두 인공지능이 경쟁하는 과정에서 더욱 정확한 중심문장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에는 스스로 중심문장을 추출하는 '생성자(generator)'와 중심문장의 타당성을 감별하는 구분자(discriminator)'가 있고 둘은 경쟁한다.  생성자와 구분자가 경쟁 과정을 거치면 사람이 지도학습을 해주지 않아도 기계 스스로 정답에 가까운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상기의 생성적 적대 신경망 이론에 따라, 본 발명의 시각처리장치는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을 구분한다.
[문장구성요소 시각처리장치 실시예]
플랫폼 운영 장치(200)에 포함되는 시각처리장치(300)는 각 문장이 포함하는 문장성분에 기초하여 정의된 문장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시각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상품에 대한 문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시각처리장치(3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장에 대한 문해력을 향상시키는 문장구성요소 시각처리장치(300)를 통한 문해력 향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각처리장치(300)는 사용자단말(1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용자단말(10)에게 문해력 향상을 위한 시각적처리가 수행된 텍스트 또는 전자책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단말(10)은 문장의 텍스트 등을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 관리 또는 조작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은 온라인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받은 텍스트 또는 전자책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자신이 갖춘 저장장치에 저장된 텍스트 또는 전자책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10)은 시각처리장치(300)에게 시각적처리를 수행하고자 하는 텍스트 또는 전자책을 제공하기 위해서, 텍스트가 포함된 영상파일 또는 전자책데이터파일을 시각처리장치(3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20)은 상술한 시각처리장치(300)가 수행하는 기능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20)은 시각처리장치(300)가 수행하는 기능을 사용자단말(10)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처리장치(3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각처리장치(300)는 문장구성요소정의부(310), 문장구성요소지정부(320) 및 문장구성요소시각처리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문장구성요소지정부(3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중심문장구성요소도출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처리장치(300)가 포함하는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고자 한다.
문장구성요소정의부(310)는 문장성분에 기초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복수의 문장구성요소를 새로 정의한다.
여기에서, 도 10은 문장성분(A) 및 문장구성요소(B)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문장성분(A)은 주성분(A-1), 부속성분(A-2) 및 독립성분(A-3)으로 구성되며, 주성분(A-1)은 주어(a-1), 서술어(a-2), 목적어(a-3) 및 보어(a-4)를 포함하고, 부속성분(A-2)은 관형어(a-5) 및 부사어(a-6)를 포함하며, 독립성분(A-3)은 독립어(a-7)를 포함한다. 또한, 도 10에서 나열된 문장성분(A) 및 문장구성요소(B)는 실제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의 나열 순서와 동일하게 문장성분(A) 및 문장구성요소(B)가 나열된 형태를 나타낸 것은 아니며, 단지 문장이 이와 같은 문장성분(A) 및 문장구성요소(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문장구성요소정의부(310)는 문장성분 중 주성분(A-1)에 해당하는 부분에 기초하여 대상어(B-1), 대상알림어(B-2), 정보어(B-3) 및 정보알림어(B-4)를 새로 정의하고, 문장성분 중 부속성분(A-2)에 해당하는 부분에 기초하여 대상확장어(B-5) 및 정보확장어(B-6)를 새로 정의하며, 문장성분 중 독립성분(A-3)에 해당하는 부분에 기초하여 문장확장어(B-7)를 새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문장부호(B-8)를 별도로 정의하여 문장구성요소에 포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문장구성요소정의부(310)는 문장의 주어(a-1)에 기초하는 문장구성요소로서 대상어 및 대상알림어를 정의하되, 주어(a-1)를 구성하는 체언을 대상어(B-1)로 정의하고 주어(a-1)를 구성하는 주격조사 및 보조사를 대상알림어(B-2)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문장의 서술어(a-2)에 기초하는 문장구성요소로서 정보어 및 정보알림어를 정의하되, 서술어를 구성하는 어간을 정보어(B-3)로 정의하고 서술어를 구성하는 어미를 정보알림어(B-4)로 정의할 수 있다.
문장구성요소지정부(320)는 문장 분석 결과에 따라 문장을 구성하는 각 문장구성요소를 지정한다. 여기에서, 문장구성요소지정부(320)의 문장 분석 및 문장구성요소 지정 처리는 딥 러닝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딥 러닝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문장구성요소지정부(320)는 문장 내에서 지정된 문장구성요소의 조합에 기초하여, 지정된 문장구성요소 중 중심문장구성요소를 도출하는 중심문장구성요소도출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은 중심문장구성요소도출부(321)가 중심문장구성요소를 도출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0과 마찬가지로, 도 11의 각 문장(S-2 내지 S-3)을 구성하는 문장구성요소는 실제 문장과 대응되는 순서로 나열된 것은 아니며, 단지 이러한 문장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중심문장구성요소도출부(321)는 문장구성요소지정부(320)가 지정한 문장구성요소에 따른 문장구성요소 조합에 따라 상이하게 중심문장구성요소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장(S-1)이 새로 정의된 문장구성요소 B-1 내지 B-8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중심문장구성요소도출부(321)는 대상어(B-1), 대상알림어(B-2), 정보어(B-3), 정보알림어(B-4), 문장확장어(B-7) 및 문장부호(B-8)를 중심문장구성요소로 도출할 수 있다.
대상어(B-1), 대상알림어(B-2), 정보어(B-3) 및 정보알림어(B-4)는 경계선 지능을 갖는 사용자가 문장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 요소이며, 추가적으로 문장확장어(B-7) 및 문장부호(B-8)는 문장의 분위기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므로 중심문장구성요소로서 도출된다.
또한, 다른 예로, 문장(S-2)이 새로 정의된 문장구성요소 중 B-3 내지 B-8만을 포함하는 경우, 중심문장구성요소도출부(321)는 정보어(B-3), 정보알림어(B-4), 대상확장어(B-5), 문장확장어(B-7) 및 문장부호(B-8)를 중심문장구성요소로 도출할 수 있다.
문장(S-2)의 경우에는 대상어(B-1) 및 대상알림어(B-2)가 존재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문장의 핵심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대상확장어(B-5)를 함께 확인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대상확장어(B-5)가 중심문장구성요소로서 도출된다.
또한, 다른 예로, 문장(S-3)이 새로 정의된 문장구성요소 중 정보어(B-3), 정보알림어(B-4), 대상확장어(B-5), 정보확장어(B-6) 및 문장부호(B-8)를 포함하는 경우, 정보어(B-3), 정보알림어(B-4), 대상확장어(B-5) 및 문장부호(B-8)를 중심문장구성요소로 도출할 수 있다.
문장(S-3)의 경우에는 문장(S-2)에 포함되는 문장확장어(B-7)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정보확장어(B-6)를 제외한 나머지 문장구성요소가 중심문장구성요소로 도출된다.
도 12는 중심문장구성요소도출부(321)가 중심문장구성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중심문장구성요소도출부(321)는 문장구성요소지정부(320)가 지정한 문장구성요소에 따른 문장구성요소 조합에 따라 상이하게 중심문장구성요소를 도출하되, 대상어(B-1), 대상알림어(B-2) 및 대상확장어(B-5)를 포함하는 대상그룹을 중심문장구성요소로 도출하고, 정보어(B-3), 정보알림어(B-4) 및 정보확장어(B-6)를 포함하는 정보그룹을 중심문장구성요소로 도출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대상그룹 및 정보그룹을 중심문장구성요소로 도출하는 경우 각 문장(S-1 내지 S-3)이 어떤 문장구성요소로 구성되더라도, 대상그룹 및 정보그룹 내에 포함되는 문장구성요소만을 중심문장구성요소로 도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심문장구성요소도출부(321)의 중심문장구성요소 도출 방법은 복수로 구성되어 경계선 지능에 속하는 사용자가 자신에게 더 적합하게 시각처리된 문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는 도 11에 따른 중심문장구성요소를 이용해 시각처리된 문장이 도 12에 따른 중심문장구성요소를 이용해 시각처리된 문장보다 이해하기 용이할 수 있다. 이러한, 중심문장구성요소 도출 방법은 사용자단말을 통해 1차설정옵션으로 제공될 수 있다.
문장구성요소시각처리부(330)는 지정된 각 문장구성요소에 대한 시각적처리를 수행하여 문장에 대한 시용자의 문해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문장구성요소시각처리부(330)는 중심문장구성요소도출부(321)에 의해 도출된 중심문장구성요소를 다른 문장구성요소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도출된 중심문장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문장 내 문장구성요소를 재배열하여, 해당 문장에 대한 사용자의 문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출된 중심문장구성요소의 배경에 중심문장구성요소를 강조하기 위한 색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시각적처리를 수행하거나 또는 중심문장구성요소의 폰트를 조절하여 글자의 크기를 변경하는 시각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문장 내 문장구성요소를 재배열하되, 중심문장구성요소가 우선 순위로 나열되도록 재배열하거나 또는 나머지 문장구성요소를 제외한 중심문장구성요소 만의 재배열을 통해 공간적 구분을 적용하는 시각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3은 중심문장구성요소를 재배열하여 공간적으로 구분하는 시각적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또한, 도 13의 (A)는 도 10 내지 도 12에서 나타낸 것과는 다르게 문장구성요소가 각 문장에서 실제 나열되는 순서와 동일하게 나열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문장구성요소시각처리부(330)는 중심문장구성요소들을 우선 순위로 나열되도록 재배열함으로써, 문장의 핵심을 경계선 지능에 해당하는 사람이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중심문장구성요소로 도출되지 않은 나머지 문장구성요소를 제외시킨 후 중심문장구성요소에 대한 재배열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의 (B)는 문장구성요소가 각 문장에서 실제 나열되는 순서와 동일하게 나열된 모습을 나타낸 것은 아니며, 도 12와 같이 대상그룹 및 정보그룹을 중심문장구성요소로 도출하는 경우에 대한 시각적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문장구성요소시각처리부(330)는 대상그룹 및 정보그룹을 구성하는 문장구성요소끼리 인접하도록 문장을 재배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상그룹의 문장구성요소들을 선행 배치하고, 이어서 정보그룹의 문장구성요소를 배치할 수 있으며, 그 뒤에 이어서 그룹에 속하지 않는 문장구성요소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룹에 속하지 않는 문장구성요소는 문장에서 제외시키고 대상그룹 및 정보그룹에 속하는 중심문장구성요소만을 재배열 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시각적처리 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을 통해 2차설정옵션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문장구성요소시각처리부(330)는 문장구성요소에 대한 시각적처리 강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사용자의 문해력 수준에 기초하는 시각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장구성요소시각처리부(33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시각적처리 강도를 복수의 단계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각적처리 강도가 총 10단계로 설정되고, 5단계에 해당하는 시각적처리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경우, 도출된 중심문장구성요소의 50%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서 강조 색상을 출력하는 시각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출된 중심문장구성요소의 50%에 해당하는 부분을 재배열하는 시각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사용자단말
11: 판매자단말
12: 구매자단말
100: 시각처리장치
110: 문맥처리부
111: 문장입력부
113: 수치산출부
115: 중심문장추출부
120: 시각처리부
121: 제1시각처리부
123: 제2시각처리부
200: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
210: 상품등록부
220: 상품리스트제공부
221: 상품노출설정부
230: 저작물검색부
300: 문장에 대한 문해력을 향상시키는 문장구성요소 시각처리장치
310: 문장구성요소정의부
320: 문장구성요소지정부
321: 중심문장구성요소도출부
330: 문장구성요소시각처리부

Claims (7)

  1. 사용자가 작성한 독창적문장을 제공받아 거래 가능한 상품으로 등록하는 상품등록부; 및
    등록된 상품 중 사용자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장르키워드와 연관되는 상품들을 검색한 상품리스트를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상품리스트제공부를 포함하고,
    상품으로 등록되는 독창적문장은 단독문장 또는 문장집합으로 구성되고,
    상품리스트제공부는
    상품의 내용이 모두 공개되면 상품이 무단 복사되어 이용될 소지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고 상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플랫폼을 통해 조회되는 각 상품에 대한 노출영역을 설정하는 상품노출설정부를 포함하고,
    상품노출설정부는
    상품 검색에 이용된 장르키워드가 포함되는 문장 또는 문장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정하되,
    상품을 등록요청한 사용자단말에 의해 별도로 설정된 노출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노출영역이 함께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작성한 독창적문장에 대한 저작권침해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어문저작물검색결과를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저작물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품등록부는
    사용자단말을 통해 저작권등록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해당 저작권등록정보와 대응되는 저작물이 플랫폼에 상품으로 등록 가능한 대상인지 판단하고,
    상품등록가능대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거래 가능한 상품으로 자동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품으로 등록되는 독창적문장이 문장집합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문장을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시각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상품에 대한 문해력을 향상시키는 시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품으로 등록되는 독창적문장이 문장집합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문장 사이의 문맥을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시각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상품에 대한 문해력을 향상시키는 시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
KR1020220077162A 2022-03-28 2022-06-23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 KR102498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228 2022-03-28
KR20220038228 2022-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551B1 true KR102498551B1 (ko) 2023-02-10

Family

ID=8522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162A KR102498551B1 (ko) 2022-03-28 2022-06-23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5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8589A (ko) * 2006-09-27 2008-04-01 비플라이소프트(주) 온라인 망을 이용한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04759A (ko) * 2009-03-19 2010-09-29 (주)애크리트 저작물 중개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160084892A (ko) * 2015-01-06 2016-07-1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작물 실시간 중개 서비스 및 법률지원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8589A (ko) * 2006-09-27 2008-04-01 비플라이소프트(주) 온라인 망을 이용한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04759A (ko) * 2009-03-19 2010-09-29 (주)애크리트 저작물 중개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160084892A (ko) * 2015-01-06 2016-07-1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작물 실시간 중개 서비스 및 법률지원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ishna et al. Generating question-answer hierarchies
Radovanović et al. Review spam detection using machine learning
Franzoni From black box to glass box: advancing transparency i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for ethical and trustworthy AI
CN114037545A (zh) 客户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ima et al. Using sentiment analysis for stock exchange prediction
CN115374259A (zh) 一种问答数据挖掘方法、装置及电子设备
Lopes et al. EvoDesigner: Towards aiding creativity in graphic design
Griffin Public and private power in social media governance: multistakeholderism, the rule of law and democratic accountability
Hafner et al. Equal accuracy for Andrew and Abubakar—detecting and mitigating bias in name-ethnicity classification algorithms
Jones AI in Education: Some Thoughts about Ethics, Equity, and Social Impact
Goncalves et al. The importance of brand affinity in luxury fashion recommendations
KR102498551B1 (ko)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
Tastle Data mining applications using artificial adaptive systems
KR102562164B1 (ko) 문장에 대한 문해력을 향상시키는 문장구성요소 시각처리장치 및 독창적문장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
Hocutt Interrogating Alexa: Holding voice assistants accountable for their answers
Ling et al. Critical zone recognition of smellscape of a Chinese traditional market based on the sensitivity–coordination matrix
KR102635159B1 (ko) 문장의 시각적처리를 통한 전자책의 문해력 향상 장치 및 전자책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
Vashishtha et al. Performance and Risk Trade-offs for Multi-word Text Prediction at Scale
KR20090126862A (ko) 자연어 처리를 이용한 감성 정보 분석 시스템 및 방법,자연어 처리를 이용한 감성 정보 분석 방법을 컴퓨터에서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Anchiêta et al. Improving opinion summarization by assessing sentence importance in on-line reviews
Kim et al. Evaluation of features to predict the usefulness of online reviews
JP6975118B2 (ja) 抽出装置及びプログラム
Widjaja et al. Text Mining Application With K-Means Clustering to Identify Sentiments and Popular Topics: A Case Study of The Three Largest Online Marketplaces in Indonesia
JP7037778B2 (ja) 検索装置および方法
Fan A Method for Adjusting the Semantic Acceptability of English Corpora Based on the Kano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