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334B1 -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334B1
KR102497334B1 KR1020210109328A KR20210109328A KR102497334B1 KR 102497334 B1 KR102497334 B1 KR 102497334B1 KR 1020210109328 A KR1020210109328 A KR 1020210109328A KR 20210109328 A KR20210109328 A KR 20210109328A KR 102497334 B1 KR102497334 B1 KR 102497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actory site
digital twin
measurement
measur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화에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화에프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화에프티
Priority to KR1020210109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0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analysing gases, e.g. multi-gas analysi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1Preprocessing measurements, e.g. data collection rate adjustment;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s; Time series or signal analysis, e.g. frequency analysis or wavelets; Trustworthiness of measurements; Indexes therefor; Measurements using easily measured parameters to estimate parameters difficult to measure; Virtual sensor creation; De-noising; Sensor fusion; Unconventional preprocessing inherently present in specific fault detection methods like PCA-based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로써, 보다 상세하게 공장부지의 일측에 구비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공장부지 내의 건물정보와 인원정보를 수집하여 디지털트윈 공장부지를 생성하는 디지털트윈부와, 상기 측정부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과, 상기 디지털트윈 공장부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공장부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측정부, 디지털트윈부 및 모니터링부가 상호 정보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중계부와, 상기 공장부지 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경보부와, 상기 측정부, 디지털트윈부, 모니터링부, 중계부 및 경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A unity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써 더욱 자세하게는, 개방된 형태의 공장부지 전역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가스, 대기환경, 악취 및 화재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디지털트윈 기술이 접목된 광대역 지능형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기 중에는 산소를 비롯한 다양한 가스가 발생하고, 유지, 소멸하면서 공존하고 있다.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생명체에 유해한 가스가 발생되고 확산되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따라서, 주변공기의 가스 분포 감지를 통한 공기질의 감시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실내에서는 통상의 가스 계측기를 통하여 가스의 성분과 분포량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대기 중의 공기의 질을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디스플레이로 표시하거나 환기 시스템 등을 연동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공공장소 같은 특수한 공간의 경우, 다른 공간에 비하여 발생된 오염물질이 공간내부에 그대로 정체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대기 중의 공기의 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환기 등으로 공기질을 개선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7561호(2016.08.10.)에서는 공기질 측정장치의 케이스에 대해 게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는 제한된 공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감지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높으나, 제한된 실내 공간이 아니라 개방되어 있고, 바람 등의 영향으로 대기 중에 포함된 공기 및 가스들의 이동이 유동적으로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감지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특히, 각 센서 별 감지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넓은 공간이나 개방된 외부 공간에서의 효율적인 공기질 측정을 위한 장치가 필요하며, 아울러, 대기 오염지역과 같이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에 있어서 대기 중 공기의 질을 효율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7561호(2016.08.1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개방된 형태의 공장부지 전역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가스, 대기환경, 악취 및 화재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디지털트윈 기술이 접목된 광대역 지능형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공장부지의 일측에 구비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공장부지 내의 건물정보와 인원정보를 수집하여 디지털트윈 공장부지를 생성하는 디지털트윈부와, 상기 측정부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과, 상기 디지털트윈 공장부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공장부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측정부, 디지털트윈부 및 모니터링부가 상호 정보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중계부와, 상기 공장부지 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경보부와, 상기 측정부, 디지털트윈부, 모니터링부, 중계부 및 경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측정부는, 상기 공장부지 내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각각 인근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와, 상기 공장부지 내를 이동하면서 공기질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이동식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측정부는, 인근의 가스를 측정하는 가스측정센서와, 인근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와, 인근의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와, 인근의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악취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지털트윈부는, 저장된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생성된 상기 디지털트윈 공장부지를 바탕으로, 복수개의 가상 재난발생 위치가 포함된 재난상황 모델링정보를 적용시켜 대피경로를 시뮬레이션한 후, 상기 디지털트윈 공장부지의 각 위치별 대피경로정보를 도출하여 위기대응 매뉴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개의 경보부가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디지털트윈 기술을 도입하여 유해물질 취급 산업 현장을 실사와 유사한 관제시스템을 구축하여 위험요소를 조기 발견하고 조치 및 대응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을 통한 위험 대응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 분석 및 에이아이(AI) 학습하여 예측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서 관리자의 최적의 대응 조건을 제시하고, 사전 관리 방안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개방된 형태의 공장부지 전역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가스, 대기환경, 악취 및 화재 등을 감지할 수 있는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를 통해 가스누설 또는 화재의 위험성이 높은 영역의 공기질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사고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동식 측정부를 통해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가 측정하기 용이하지 않은 사각지대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사고유무를 이중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고정식 측정부와 이동식 측정부를 통해 두 차례에 걸쳐 공기질을 측정하여 사고발생 유무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더 정확한 사고 발생 유무 및 사고 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해물질 누출의심지역 또는 화재 발생 의심지역에 따라 드론모듈(항공드론) 또는 알씨카모듈(지상드론)이 사전 투입되어 감시 활동을 통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함으로써, 유해물질로부터의 누출사고에 대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사고 유형에 따른 정확하고 신속한 대응 조치로 사고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출된 가스의 종류에 따라 드론모듈 또는 알씨카모듈이 즉각 투입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보다 더 효율적인 공기질 측정 및 보다 더 정확한 가스유출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해물질 누출의심지역에 따라 드론모듈 또는 알씨카모듈이 즉각 투입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인명 안전을 위한 사전 감시활동을 통하여 보다 더 효율적인 공기질 측정 및 보다 더 정확한 사고유무와 사고발생규모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공장부지(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측정부(100)와, 상기 측정부(100)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측정부(100)의 측정값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공장부지(10) 내의 건물정보와 인원정보를 수집하여 디지털트윈 공장부지(11)를 생성하는 디지털트윈부(200)와, 상기 측정부(100)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측정부(100)의 측정값과, 상기 디지털트윈 공장부지(11)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300)와, 상기 공장부지(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측정부(100), 디지털트윈부(200) 및 모니터링부(300)가 상호 정보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중계부(400)와, 상기 공장부지(10) 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경보부(500)와, 상기 측정부(100), 디지털트윈부(200), 모니터링부(300), 중계부(400) 및 경보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측정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측정부(100)는 적외선 방식 센서, 열화상카메라 및 레이저 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공장부지(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장부지(10) 및 공장부지(10) 인근의 공기질을 측정하고 측정값을 상기 중계부(40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측정부(100)는, 인근의 가스를 측정하는 가스측정센서와, 인근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와, 인근의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와, 인근의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악취센서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가스측정센서는 복수개로, 인근 대기 중의 특정 가스를 검출하여 그 측정값을 송신하고, 상기 온습도센서는 인근 대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송신하며, 상기 미세먼지센서는 인근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검출하여 그 측정값을 송신하고, 상기 악취센서는 인근 대기 중의 악취농도를 검출하여 그 측정값을 송신한다. 이와 같이 송신된 측정값들은 상기 중계부(400)로 송신된 후, 상기 중계부(400)에 의해 상기 디지털트윈부(200) 및 제어부(600)로 송신되어 각각 저장된다.
또한, 상기 측정부(100)는, 상기 공장부지(10) 내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각각 인근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110)와, 상기 공장부지(10) 내를 이동하면서 공기질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이동식 측정부(1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식 측정부(110) 및 이동식 측정부(120)는 각각 상기 가스측정센서, 온습도센서, 미세먼지센서 및 악취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110)는 상기 공장부지(10) 내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배열되어 설치되며,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공기질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송신한다. 또한, 상기 이동식 측정부(120)는 주기적으로 상기 공장부지(10) 내를 정해진 루트로 이동하면서 이동 중 공기질을 측정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식 측정부(120)는 상기 고정식 측정부(110)가 측정할 수 없는 사각지대 영역의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식 측정부(120) 또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110)를 통해 가스누설 또는 화재의 위험성이 높은 영역의 공기질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사고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이동식 측정부(120)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110)가 측정하기 용이하지 않은 사각지대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사고유무를 이중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동식 측정부(120)는 공중으로 이동하면서 공기질을 측정하는 드론모듈(121)과, 지상으로 이동하면서 공기질을 측정하는 알씨카모듈(1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드론모듈(121)은 항공드론이고, 상기 알씨카 모듈(122)은 지상드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모듈(121)과 알씨카모듈(122)은 각각 복수개로, 각각 상기 가스측정센서, 온습도센서, 미세먼지센서 및 악취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디지털트윈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디지털트윈부(200)는, 저장된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생성된 상기 디지털트윈 공장부지(11)를 바탕으로, 복수개의 가상 재난발생 위치가 포함된 재난상황 모델링정보를 적용시켜 대피경로를 시뮬레이션한 후, 상기 디지털트윈 공장부지의 각 위치별 대피경로정보를 도출하여 위기대응 매뉴얼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디지털트윈부(200)는 유해물질 취급 산업 현장을 실사화하여 상기 모니터링부(300)에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측정부(100)의 측정값을 수집, 분석 및 학습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한 예측정보 및 그에 따른 대응방안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트윈부(200)는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시계열 데이터 학습에 특화된 순환신경망(RNN) 학습 알고리즘으로 딥러닝을 수행하여 예측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디지털트윈부(200)는 상기 공장부지(10)와, 상기 공장부지(10) 내의 건물정보, 작업인원정보 및 상기 측정부(100)의 측정값을 수집하고 저장하는 수집유닛과, 상기 수집유닛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트윈 공장부지(11)를 생성하는 생성유닛과, 생성된 상기 디지털트윈 생성유닛에 대해 상기 복수개의 가상 재난발생 위치가 포함된 재난상황 모델링정보를 가시화하여 상기 모니터링부(300)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가시화유닛과, 상기 측정부(100)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상기 재난발생 위치로부터 전파되는 양상을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유닛과, 상기 가시화된 상기 디지털트윈 공장부지(11)에서 상기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상기 디지털트윈 공장부지의 각 위치별 대피경로정보를 도출하여 위기대응 매뉴얼정보를 도출하는 도출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트윈부(200)는 기상청 데이터베이스 및 환경부 데이터베이스와 정보통신을 통하여, 상기 측정부(100)의 측정값 데이터,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 위기대응 매뉴얼정보를 송수신한다. 일례로, 상기 가스측정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기상청 및 환경부로 상기 가스측정센서의 측정값과 경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기상청 및 환경부로부터 상기 공장부지(10) 인근의 대기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기 모니터링부(3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디지털트윈부(200)는 수집된 정보를 머신러닝을 통한 빅데이터 학습 및 결과를 시각화하고, 가스 유출의 전파 양상을 시뮬레이션하여 예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모니터링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모니터링부(300)는 상기 공장부지(10) 내의 관리실 또는 상기 공장부지(10)로부터 원격지의 관리실에 마련되어, 상기 측정부(100)의 측정값과 상기 디지털트윈부(200)로부터 생성된 상기 디지털트윈 공장부지(11) 및 시뮬레이션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즉, 관리자는 상기 모니터링부(300)를 통해 상기 공장부지(10) 인근의 공기질 및 사고 발생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중계부(400)가 마련된다. 상기 중계부(400)는 상기 측정부(100)의 측정값이 상기 디지털트윈부(200), 모니터링부(300) 및 제어부(600)로 송신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가 상기 측정부(100) 및 경보부(500)로 송신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원격지에 구비되는 상기 디지털트윈부(200), 모니터링부(300) 및 제어부(600)와 상기 공장부지(10)에 구비되는 상기 측정부(100), 경보부(500) 사이에 상호 무선정보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경보부(500)가 마련된다. 상기 경보부(500)는 상기 중계부(400)를 통해 송신되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공장부지(10)와 인근의 사람이 오감을 통해 경보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경보부(500)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향모듈,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듈,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모듈, 향을 발생시키는 방향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보부(500)는 상기 공장부지(10)와 인근의 단말기 지피에스(GPS)정보를 바탕으로 경보문자를 발송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600)가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측정부(100)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부(300)가 상기 측정부(100)의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개의 경보부(500)가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3을 참조하면, 평시에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110)가 각각 설정된 구역의 공기질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고정식 측정부(110)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고정식 측정부(110)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110)가 각각 설정된 구역의 공기질을 재차 측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고정식 측정부(110)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110) 중 해당 고정식 측정부(110)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모니터링부(300)에 디스플레이되고, 1단계 경보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에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110)의 지피에스(GPS)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 발생위치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단계 경보신호는 일례로, 상기 공장부지(10) 및 상기 공장부지(10) 인근의 단말기로 방호복 착용, 상기 공장부지(10) 내의 안전구역으로 피신 및 상기 공장부지(10) 내 건물의 안전구역으로 피신 문자 송신 또는 상기 경보부(500)를 통한 경보발생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1단계 경보신호가 발생된 후, 상기 발생위치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이동식 측정부(120)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110) 중 해당 고정식 측정부(110) 인근으로 이동하여 인근의 공기질을 측정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이동식 측정부(120)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이동식 측정부(120)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110)가 각각 설정된 구역의 공기질을 재차 측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이동식 측정부(120)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하는 경우, 2단계 경보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디지털트윈부(200)를 통해 생성된 대피경로정보를 송신한다. 일례로, 상기 2단계 경보신호는 상기 대피경로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공장부지(10)로부터 벗어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공장부지(10) 및 상기 공장부지(10) 인근의 단말기로 상기 2단계 경보문자가 발송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식 측정부(110)와 이동식 측정부(120)를 통해 두 차례에 걸쳐 공기질을 측정하여 사고발생 유무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더 정확한 사고 발생 유무 및 사고 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가스유출 상황 시, 상기 1단계 경보신호가 발생된 후, 상기 제어부(600)는 유출된 가스의 비중이 평균비중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평균비중은 표준대기의 비중 또는 상기 공장부지(10) 내의 대기의 평균비중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가 유출된 가스의 비중이 평균비중을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드론모듈(121)이 상기 발생위치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110) 중 해당 고정식 측정부(110) 인근으로 이동하여 인근의 공기질을 측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가 유출된 가스의 비중이 평균비중을 초과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알씨카모듈(122)이 상기 발생위치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110) 중 해당 고정식 측정부(110) 인근으로 이동하여 인근의 공기질을 측정하도록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유출된 가스의 종류에 따라 상기 드론모듈(121) 또는 알씨카모듈(122)이 투입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보다 더 효율적인 공기질 측정 및 보다 더 정확한 가스유출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1단계 경보신호가 발생된 후, 상기 제어부(600)는 사고발생위치가 지상으로부터 기설정된 이격거리 내 인지를 판단한다. 일례로, 상기 열화상카메라를 통해 사고발생위치가 건물의 상층 등으로 지상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가 사고발생위치가 지상으로부터 기설정된 이격거리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드론모듈(121)이 상기 발생위치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110) 중 해당 고정식 측정부(110) 인근으로 이동하여 인근의 공기질을 측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가 사고발생위치가 지상으로부터 기설정된 이격거리 내 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알씨카모듈(122)이 상기 발생위치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110) 중 해당 고정식 측정부(110) 인근으로 이동하여 인근의 공기질을 측정하도록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사고발생위치에 따라 상기 드론모듈(121) 또는 알씨카모듈(122)이 투입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보다 더 효율적인 공기질 측정 및 보다 더 정확한 사고유무 및 사고발생규모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1단계 경보신호가 발생된 후,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발생위치신호 인근의 풍속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일례로, 상기 고정식 측정부(110)는 풍속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상청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인근의 풍속정보를 송신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발생위치신호 인근의 풍속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드론모듈(121)이 상기 발생위치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110) 중 해당 고정식 측정부(110) 인근으로 이동하여 인근의 공기질을 측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발생위치신호 인근의 풍속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알씨카모듈(122)이 상기 발생위치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110) 중 해당 고정식 측정부(110) 인근으로 이동하여 인근의 공기질을 측정하도록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풍속에 따라 상기 드론모듈(121) 또는 알씨카모듈(122)이 투입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드론모듈(121)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가스유출 상황 시, 상기 1단계 경보신호가 발생된 후, 상기 제어부(600)는 유출된 가스의 비중과 상기 평균비중의 차이값, 상기 사고발생위치가 지상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값 및 상기 발생위치신호 인근의 풍속값에 대해 각각 상이하게 부여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도출된 종합데이터 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일례로, 상기 유출된 가스의 비중과 상기 평균비중의 차이값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발생위치신호 인근의 풍속값에 가장 낮은 가중치를 부여한 후 종합하여 상기 종합데이터 값을 도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종합데이터 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드론모듈(121)이 상기 발생위치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110) 중 해당 고정식 측정부(110) 인근으로 이동하여 인근의 공기질을 측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종합데이터 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알씨카모듈(122)이 상기 발생위치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개의 고정식 측정부(110) 중 해당 고정식 측정부(110) 인근으로 이동하여 인근의 공기질을 측정하도록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유출된 가스의 비중과 평균비중의 차이값과, 사고발생위치가 지상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값과, 발생위치신호 인근의 풍속값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여 도출된 상기 종합데이터 값을 바탕으로 상기 드론모듈(121)과 알씨카모듈(122) 중 하나가특정 상황에 적합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순서도는 혼용되어 적용가능하다.
10 : 공장부지
11 : 디지털트윈 공장부지
100 : 측정부
110 : 고정식 측정부
120 : 이동식 측정부
121 : 드론모듈
122 : 알씨카모듈
200 : 디지털트윈부
300 : 모니터링부
400 : 중계부
500 : 경보부
600 : 제어부

Claims (5)

  1. 공장부지의 일측에 구비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공장부지 내의 건물정보와 인원정보를 수집하여 디지털트윈 공장부지를 생성하는 디지털트윈부;
    상기 측정부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과, 상기 디지털트윈 공장부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공장부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측정부, 디지털트윈부 및 모니터링부가 상호 정보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중계부;
    상기 공장부지 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경보부; 및
    상기 측정부, 디지털트윈부, 모니터링부, 중계부 및 경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공장부지 내에 설치되어 인근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고정식 측정부; 및
    상기 공장부지 내를 이동하면서 공기질을 측정하는 이동식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식 측정부로부터 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경보부를 통하여 1단계 경보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식 측정부가 상기 고정식 측정부의 인근으로 이동하여 공기질을 재차 측정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이동식 측정부로부터 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경보부를 통하여 2단계 경보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인근의 가스를 측정하는 가스측정센서;
    인근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
    인근의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 및
    인근의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악취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트윈부는,
    저장된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생성된 상기 디지털트윈 공장부지를 바탕으로, 복수개의 가상 재난발생 위치가 포함된 재난상황 모델링정보를 적용시켜 대피경로를 시뮬레이션한 후, 상기 디지털트윈 공장부지의 각 위치별 대피경로정보를 도출하여 위기대응 매뉴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개의 경보부가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5. 삭제
KR1020210109328A 2021-08-19 2021-08-19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97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328A KR102497334B1 (ko) 2021-08-19 2021-08-19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328A KR102497334B1 (ko) 2021-08-19 2021-08-19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334B1 true KR102497334B1 (ko) 2023-02-07

Family

ID=8522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328A KR102497334B1 (ko) 2021-08-19 2021-08-19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3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561B1 (ko) 2014-11-25 2016-08-10 김영웅 공기질 측정장치의 케이스
KR102192028B1 (ko) * 2020-04-03 2020-12-16 주식회사 커니스 디지털 트윈 기반의 층별 재난대응시스템
KR102240396B1 (ko) * 2019-10-31 2021-04-14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실시간 악취 추적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89219B1 (ko) * 2020-09-29 2021-08-13 주식회사 로제타텍 화재 방호 방법 및 화재 방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561B1 (ko) 2014-11-25 2016-08-10 김영웅 공기질 측정장치의 케이스
KR102240396B1 (ko) * 2019-10-31 2021-04-14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실시간 악취 추적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92028B1 (ko) * 2020-04-03 2020-12-16 주식회사 커니스 디지털 트윈 기반의 층별 재난대응시스템
KR102289219B1 (ko) * 2020-09-29 2021-08-13 주식회사 로제타텍 화재 방호 방법 및 화재 방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162B1 (ko) 디지털sop 및 예측기반 빌딩통합운영시스템 및 방법
KR101771579B1 (ko) 통합형 센서모듈을 이용한 상시 환경제어 및 재난대응 관제시스템
US6590496B2 (en) Rapid threat response for minimizing human casualties within a facility
KR102124067B1 (ko) 사물인터넷 센서를 이용한 연기확산과 피난로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047854A1 (ko) 원전사고 통합 대응 시스템
US20110112660A1 (en) Fire protection device, method for protecting against fire, and computer program
WO2016129715A1 (ko) 환경 재난, 재해 조기감지를 위한 대기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CN102737466B (zh) 一种火灾火源位置及强度估计方法及系统
CN101162545A (zh) 高层建筑火灾光温复合智能监测预报装置
KR20180023665A (ko) 공기질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1342B1 (ko) 소방 안전 점검 방법 및 시스템
Cisek et al. Evacuation route assessment model for optimization of evacuation in buildings with active dynamic signage system
KR20220071880A (ko) 지하공동구 맞춤형 디지털트윈 재난 관리 시스템
KR102095986B1 (ko) 화재 조기 감지 및 안전 대피 유도 시스템과 그 방법
CN113593170B (zh) 一种基于远程感烟探测的智能预警系统
KR102266545B1 (ko)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39691B1 (ko) 산업단지를 위한 지능형 통합 재난 관제 플랫폼 서버
KR102497334B1 (ko)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060755A (ko) 디지털트윈 기술을 적용한 가스 감지기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40068B1 (ko) 테블릿 기반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Sangeetha et al. IoT based smart sensing and alarming system with autonomous guiding robots for efficient fire emergency evacuation
KR101634336B1 (ko) 함정내 손상통제 시스템 및 손상통제 방법
KR102311141B1 (ko) 지능형 가스 및 화염 감지시스템
RU2784687C1 (ru)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пожар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объекта в режиме реального време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