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996B1 -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996B1
KR102496996B1 KR1020220127438A KR20220127438A KR102496996B1 KR 102496996 B1 KR102496996 B1 KR 102496996B1 KR 1020220127438 A KR1020220127438 A KR 1020220127438A KR 20220127438 A KR20220127438 A KR 20220127438A KR 102496996 B1 KR102496996 B1 KR 102496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dvertisement information
user terminal
mobi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황
Original Assignee
큐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큐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큐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7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ore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1/00Apparatus for validating or cancelling issued ticke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권 예매 앱이 설치되어, 복수의 쇼핑 플랫폼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모바일 이용권을 구매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쇼핑 플랫폼에서 구매한 상기 모바일 이용권 및 이와 관련된 광고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Mobile ticket system display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본 발명은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구매자의 의욕을 증진시키는 광고정보를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 전시회, 박람회, 테마파크 등을 방문하고자 하는 이용객들은 신문, 티비, 잡지, 인터넷 등 다양한 광고매체들을 통하여 공연, 전시회, 박람회, 테마파크 등의 정보들을 개별적으로 획득하고, 이들에 대한 예매 또는 예약을 각각의 공연, 전시회, 박람회, 테마파크 등의 운영자가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이들에 대한 이용권을 예매하였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이용권을 예매하는 경우에 이용권의 내부 문화 컨텐츠 또는 지역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직접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개별적으로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한편, 이용권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제공될 수 있고, 이 때 사용자단말기는 공연, 전시회, 박람회, 테마파크 등에 대한 구체적 일정 및 컨텐츠의 내용과 기업체에 제공받은 광고를 함께 표시하는 경우가 있는데, 광고의 내용이 공연, 전시회 등과 동떨어진 내용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아 이용객의 구매 의욕을 증진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이용권을 대체하여 이용객들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이와 동시에 해당 이용권으로부터 제공하는 문화 컨텐츠, 지역 컨텐츠 등의 내용과 관련이 있는 이용객에게 맞춤 광고정보를 제공하여 이용객의 구매의욕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권 예매 앱이 설치되어, 복수의 쇼핑 플랫폼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모바일 이용권을 구매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쇼핑 플랫폼에서 구매한 상기 모바일 이용권 및 이와 관련된 광고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광고정보는 복수의 광고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통신부; 저장부; 상기 복수의 쇼핑 플랫폼의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UI를 생성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UI생성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복수의 쇼핑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의 티켓쇼핑 플랫폼에 접속하는 사용자입력과 상기 쇼핑 플랫폼의 웹주소를 수신하면, API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된 플랫폼에서의 상기 모바일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크롤링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매정보로부터 상기 모바일 이용권의 이용객정보, 상기 모바일 이용권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정보 및 상기 모바일 이용권이 사용되는 장소에 관한 제1위치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컨텐츠정보와 관련된 체험서비스 및 상품에 관한 제1광고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이용객정보에 포함된 이용객의 수가 1명 이상에서 2명 이하이면 복수의 광고정보 중 상기 제1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제2위치반경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숙박시설 중 2인용 숙박시설 및 이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한 제2광고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2인용 숙박시설에 대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제2위치반경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외식업체 중 커플, 친구, 힐링 및 핫플레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로 검색엔진에 검색되는 제1외식업체에 대한 제3광고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이용객정보에 포함된 이용객의 수가 적어도 3명이면, 복수의 광고정보 중 상기 제1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제2위치반경 내에 존재하는 상기 복수의 숙박시설 중 3인용 숙박시설, 가족용 숙박시설 및 이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한 제4광고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3인용 숙박시설 또는 가족용 숙박시설에 대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제2위치반경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외식업체 중 가족, 키즈, 아동, 효도 및 부모님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로 검색엔진에 검색되는 제2외식업체에 대한 제5광고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모바일 이용권을 인식하여, 상기 모바일 이용권의 식별이 완료되면 입장완료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검표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장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광고정보 중 상기 제1광고정보, 제2광고정보, 제3광고정보, 제4광고정보 및 제5광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할인적용 및 포인트적립을 위한 프로모션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UI에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검표단말기는 광센서 및 광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검표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용객정보에 포함된 이용객의 수를 수신하고, 상기 광센서에서의 기 설정된 조도 이하로 감지되는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객의 수에 대응하는 입장이 완료되었는지 식별하고, 상기 광원은 복수의 시간구간 중 검표단말기는 제1구간에는 빛의 강도를 제1강도로 발산하며, 제2구간에는 빛의 강도를 제1강도보다 일정수준 이하 또는 미만으로 설정된 제2강도로 발산하며, 제3구간에는 빛의 강도를 제1강도보다 일정수준 이상 또는 초과하도록 설정된 제3강도를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이용권을 대체하여 이용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이와 동시에 해당 이용권의 공연, 전시회 등의 내용과 관련이 있는 광고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의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와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UI가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표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의 조도감지에 대한 설명을 위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 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또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입장권 시스템의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참조하여, 사용자단말기(100)를 이용한 이용권의 발권 및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은, 이용권 예매 앱이 설치되고, 복수의 쇼핑 플랫폼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모바일 이용권을 구매하는 사용자단말기(100)와 사용자단말기(10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서버(200)를 포함한다.
복수의 쇼핑 플랫폼은 각종 서비스 및 상품을 판매하는 각종 플랫폼을 의미하며, 예컨대, 온라인 상으로 서비스 및 상품의 이용권을 판매하는 쇼핑몰, SNS상에서 서비스 및 상품을 판매하는 개인사업자 또는 소상공인의 개인 계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란, 유무형의 생산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용권을 사용하는 고객에게 무형의 용역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업을 벌이는 행위를 모두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극장, 영화관, 콘서트장, 경기장, 박물관, 미술관, 동물원, 테마파크, 국립공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용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품이란, 유형으로 존재하는 각종 판매 가능한 물품류를 모두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상품을 수령하기 위한 이용권을 의미할 수 있다.
이용권은 사용자단말기(100)를 통해 모바일 앱에서 예매를 할 경우에, 해당 앱 내에서 이용권을 내장하여, 서비스 또는 상품의 수령 시 해당 이용권을 보여주는 모바일 입장권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00)는 예컨대,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0)는 예컨대, 스마트 가전, 태블릿, 스마트워치, 헤드 마운트형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컴퓨터, 멀티미디어 재생기, 셋탑박스 등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입력을 할 수 있는 모든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쇼핑 플랫폼에서 구매한 모바일 이용권 및 이와 관련된 광고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이용권을 구매한 사용자에게 이와 같은 정보를 알리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부(11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r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방식인 경우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부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백라이트유닛 없이, 자발광 소자인 OLED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에 터치를 통해 사용자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0)와 서버(2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10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며,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각각의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외부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의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서버(200)의 제조 시에 제공하는 서버(2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버(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프로그램은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UI생성부(230), 크롤링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사용자단말기(100) 또는 외부의 다른 전자장치 등과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유선 접속을 위한 커넥터 또는 단자를 포함하는 접속부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통신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 Radio Control, UWM(Ultra-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하나 이상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BLE(Bluetooth Low Energy), SPP(Serial Port Profile), Wi-Fi Direct, 적외선 통신,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상기의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통신사별 IoT망을 갖는 IoT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IoT통신모듈은 별개의 통신부(210)를 가진 복수의 사물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다양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하는 모든 IoT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IoT통신모듈을 이용하면 설정된 지역 내에서 보다 원활한 통신망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외부플랫폼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250)에 의해 수신된 수집정보 중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정보와 판매정보를 분류한 정보 또한 수신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후술할 제어부(250)의 처리 및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제어부(250)에 의해 엑세스되어,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서버(200)에 대한 시스템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도록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0)는 제어부(250)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가 임시로 로딩되기 위한 버퍼, 램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서버(20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 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은 서버(200) 외에도 다른 외부의 전자장치에도 저장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서버(200)의 제조 시에 서버(2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버(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은 서버(200)로 다운로드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250)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생성부(230)는 사용자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에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UI(300)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말하며 사용자와 시스템, 프로그램 간 상호 소통이 되도록 하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 접근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물리적 또는 가상적 매개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UI(30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표시된 화면을 전제로 기재하지만, 이는 화면에 표시되는 것뿐만이 아닌 물리적 하드웨어와 논리적 소프트웨어 요소를 모두 포함하며, UI(300)를 통해 사용자는 시스템 또는 제어프로그램 등을 다양한 사용자입력을 통해 조작할 수 있으며, 서버(200) 또는 사용자단말기(100)의 제어부(250)는 사용자입력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롤링부(240)는 복수의 쇼핑 플랫폼의 웹사이트 주소 등을 통해 접속하여, 쇼핑 플랫폼의 웹 상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를 외부플랫폼 또는 서버(200)로부터의 API를 통해 이들을 크롤링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크롤링은 API를 통해 하는 것 외에도 API를 이용하지 않고 쇼핑 플랫폼의 웹사이트 주소를 찾아내고, 해당 웹사이트 주소의 URL을 탐색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현된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플랫폼이란 검색엔진으로 활용되며, 자체적 API를 제공하는 구글, 네이버, 다음, 야후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은 복수의 쇼핑 플랫폼의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도록 UI생성부(230)가 생성한 UI(300)가 사용자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단말기(100)를 통해 복수의 티켓쇼핑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의 티켓쇼핑 플랫폼에 접속하는 사용자입력과 티켓쇼핑 플랫폼의 웹주소를 수신하면, API를 이용하여 접속된 티켓쇼핑 플랫폼에서의 모바일 이용권과 이와 관련된 예매정보를 수집하고, 예매정보로부터 모바일 이용권의 이용객정보와 모바일 이용권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정보 및 모바일 이용권이 사용되는 장소에 관한 제1위치정보를 분류하고, 컨텐츠정보와 관련된 체험서비스 및 상품에 관한 제1광고정보(320)를 사용자단말기(10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용객정보에 포함된 이용객의 수가 1명 내지 2명이라면 복수의 광고정보 중 제1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제2위치반경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숙박시설 중 2인용 숙박시설 및 2인용 숙박시설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제2광고정보(330)를 사용자단말기(100)에 표시하도록 하고, 2인용 숙박시설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제2위치반경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외식업체 중 커플, 친구, 힐링 및 핫플레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로 검색엔진에 검색되는 제1외식업체에 대한 제3광고정보(340)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용객의 수가 1명 내지 2명이라면, 가족단위가 아닌 커플 또는 동성친구 등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타겟팅하는 숙박시설 및 외식업체에 대한 맞춤 광고정보를 제공하여 이용객의 추가정보 서칭에 대한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며, 맞춤 광고정보이기 때문에 구매의욕을 보다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숙박시설은 모텔, 호텔 등 숙박업을 제공하는 사업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비앤비와 같이 공유 주거를 제공하는 렌탈업체에서 제공하는 숙박시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식업체는 식사만이 아닌, 각종 카페, 지역농산물 기반 음식점, 특산품판매점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이용객정보에 포함된 이용객의 수가 적어도 3명 이상이면, 복수의 광고정보 중 제1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제2위치반경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숙박시설 중 3인용 숙박시설, 가족용 숙박시설 및 이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한 제4광고정보(350)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표시하도록 하고, 3인용 숙박시설 또는 가족용 숙박시설에 대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제2위치반경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외식업체 중 가족, 키즈, 아동, 효도 및 부모님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로 검색엔진에 검색되는 제2외식업체에 대한 제5광고정보(360)를 사용자단말기(10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용객정보는 복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용객의 나이, 이용객의 수 및 이용권의 예매개수, 거주지역, 예매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음식에 대한 관심사와 공연, 전시회, 박람회 및 테마파크 등의 각각의 이용횟수와 선호하는 장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위치반경은 사용자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이용객의 교통수단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으며, 각각 자동차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0km에서 30km, 자전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0km에서 5km, 도보인 경우에 0km에서 1km로 생성된 UI(300) 화면 내에서 사용자입력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이용권이 사용되는 장소가 테마파크 또는 놀이동산 중 하나인 XX랜드라면, XX랜드의 주소지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반경 내에서 존재하는 숙박시설 또는 외식업체에 대한 광고정보를 사용자단말기(10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외식업체 또는 숙박시설에 대한 이용권을 사용자단말기(100)를 통해 추가로 구매하였다면, 크롤링부(240)를 통해 해당 이용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이 중 이용권을 구매한 외식업체 또는 숙박시설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반경 내에 존재하는 다른 서비스 또는 상품을 판매하는 장소에 대한 광고정보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정보는 구매한 모바일 이용권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극장, 영화관, 콘서트장, 경기장, 박물관, 미술관, 동물원, 테마파크, 국립공원 등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의 내용 및 구성을 의미하며, 예컨대, 컨텐츠정보는 구매한 모바일 이용권이 공룡체험전시관이라면, 공룡체험전시관 내에서 전시하는 공룡들에 대한 정보와 해당 전시관에서 제공하는 어린이 또는 성인의 공룡체험, 놀이기구 이용권 등에 대한 각종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테마파크와 같은 놀이공원의 경우에 놀이공원 내의 마스코트, 놀이기구의 종류 등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체험서비스 및 상품에 관한 광고정보는 예컨대, 공룡체험전시관에서의 체험서비스는 공룡모형을 제작하는 어린이 체험 이용권이 될 수 있으며, 상품은 공룡인형, 공룡제작키트 등이 될 수 있다.
광고정보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 또는 매매하기 위하여 판매자의 의사를 잠재적 고객 및 이용객들에게 제공하는 모든 의사표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구매된 모바일 이용권의 컨텐츠정보 중 해당 컨텐츠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에 대한 정보를 크롤링부(240)를 통해 획득할 수 있으며, 종료시간을 경과하여 숙박시설에 대한 모바일 이용권이 복수의 티켓쇼핑 플랫폼 중 어느 하나의 플랫폼에서 구매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면, 숙박시설에 대한 광고인 제2광고정보(330)와 제4광고정보(350) 대신 현재 모바일 이용권이 제공되는 장소에서 기 설정된 위치반경 내에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모바일 이용권에 대한 광고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모바일 이용권이 서로 제휴 또는 협력한 사업체라면 추가 이용 시 일정 금액에 대한 할인권 및 프로모션 정보가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생성부(230)가 생성한 UI(300)가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부(110)를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디스플레이부(110)에는 복수의 쇼핑 플랫폼 리스트에서 사용자입력을 통해 선택된 N사 쇼핑 플랫폼에 관한 모바일 이용권(310)과 모바일 이용권을 사용하여 제공되는 컨텐츠정보와 관련된 체험서비스 및 상품에 관한 제1광고정보(320), 이용객의 수에 따라 컨텐츠가 제공되는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위치반경 내에 존재하는 숙박시설에 관한 위치정보를 포함한 제2광고정보(330) 또는 제4광고정보(350) 및 숙박시설에 대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위치반경 내에 존재하는 외식업체 중 이용객의 수에 따라 결정되는 키워드로 검색엔진에 검색되는 외식업체에 대한 제3광고정보(340) 및 제5광고정보(360)가 표시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이용권과 광고정보를 표시하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와 같은 UI 디자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모바일 이용권과 광고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모든 화면배치 구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표단말기(4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은 검표단말기(400)를 포함한다.
검표단말기(400)는 사용자단말기(100) 및 서버(20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모바일 이용권을 인식하여, 모바일 이용권을 식별한다. 이때 식별이 완료되면 입장완료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모바일 이용권을 인식 및 식별하는 것은 화면에 표시된 바코드, QR코드를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를 통해 하거나, 예매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서 모바일 이용권을 인식 및 식별할 수 있다.
서버(200)는 입장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복수의 광고정보 중 제1광고정보(320), 제2광고정보(330), 제3광고정보(340), 제4광고정보(350) 및 제5광고정보(36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할인적용 및 포인트적립을 위한 프로모션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00)의 UI(30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모션 정보를 이용객에게 제공하여, 광고를 통한 구매의욕을 추가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검표단말기(400)는 광센서(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센서(410)란 설치된 부근의 광에너지를 받아 내부에 움직이는 전자가 발생하는 전도율의 변화를 통해 밝기를 측정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410)의 조도감지에 대한 설명을 위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래프는 y축은 광센서(410)를 통해 측정된 밝기의 정도인 조도값을 의미하며 x축은 시간을 의미한다. 그래프 <5-1>을 참조하면, 처음에 조도값이 일정 수준의 오차범위내에서 측정되다가, a1과 a2에서 조도값이 낮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1과 a2는 검표단말기(400)를 통과하는 이용객의 그림자에 의해 광센서(410)를 통해 측정되는 조도값이 일시적으로 낮게 측정된 것을 의미한다. 즉, 광센서(410)를 통해 일시적으로 조도값이 낮게 측정되면, 이용객이 낮게 측정된 횟수마다 각각 모바일 이용권을 사용하여 입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모바일 이용권으로 복수의 이용객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경우에 해당 매수에 맞는 복수의 이용객이 검표단말기(400)를 통해 통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5-1>은 검표단말기(400)가 설치된 장소가 실내에 조명이 있어 일정한 밝기를 유지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며, 그래프 <5-2>는 검표단말기(400)가 설치된 장소가 실외에 위치하여 야간에는 광센서(410)의 활용이 어려운 경우 또는 실내에 위치하더라도 시시각각 조명이 변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5-2>의 경우에는 복수의 이용객의 통과할 때마다 측정되는 조도값이 부정확 할 수 있는데, 이때 광센서(410)는 일정한 강도로 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원으로부터 일정한 강도로 광을 방출하여 광센서(410)에 의해 측정되는 조도값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검표단말기(400)가 실외에 설치되거나, 조명이 시시각각 변하는 실내에 위치하더라도 정확하게 통과하는 이용객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5-2>의 그래프를 설명하면, b1의 경우에는 b1의 이전에 측정되는 조도값이 <5-1>에 비해 낮은 수준이고, 이때 이용객이 지나갈 때 일시적으로 낮게 측정되는 범위가 기존 광센서(410)에서의 오차범위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b2의 구간에서 광원을 활성화시켜, 이용객이 통과하지 않을 때에서의 측정되는 조도값을 높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b3와 b4에서 정상적으로 광센서(41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광원은 각각의 시간구간마다 발산하는 빛의 강도가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구간에는 빛의 강도를 제1강도로 발산하며, 제2구간에는 빛의 강도를 제1강도보다 일정수준 이하 또는 미만으로 설정된 제2강도로 발산하며, 제3구간에는 빛의 강도를 제1강도보다 일정수준 이상 또는 초과하도록 설정된 제3강도를 발산하도록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해진 조도값의 오차범위 내에서 보다 정확하게 광센서(41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태양빛이 감소하거나, 증가할 수 있는데 이 때 검표단말기(4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구간마다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빛의 강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빛의 강도는 오후 2시를 기준으로 하여, 복수의 시간구간에 대하여 1시간의 단위로 각각의 구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때 1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후 3시에는 태양 빛의 양이 감소한 것에 대비하여 이에 대응하도록 광원에서의 발산되는 조도가 100 lux 씩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사용자단말기
110: 디스플레이부
200: 서버
210: 통신부
220: 저장부
230: UI생성부
240: 크롤링부
250: 제어부
300: UI
310: N사 쇼핑 플랫폼에 관한 모바일 이용권
320: 제1광고정보
330: 제2광고정보
340: 제3광고정보
350: 제4광고정보
360: 제5광고정보
400: 검표단말기
410: 광센서

Claims (3)

  1.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권 예매 앱이 설치되어, 복수의 쇼핑 플랫폼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모바일 이용권을 구매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쇼핑 플랫폼에서 구매한 상기 모바일 이용권 및 이와 관련된 광고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광고정보는 복수의 광고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통신부; 저장부;
    상기 복수의 쇼핑 플랫폼의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UI를 생성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UI생성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복수의 쇼핑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의 쇼핑 플랫폼에 접속하는 사용자입력과 상기 쇼핑 플랫폼의 웹주소를 수신하면, API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된 플랫폼에서의 상기 모바일 이용권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크롤링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예매정보로부터 상기 모바일 이용권의 이용객정보, 상기 모바일 이용권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정보 및 상기 모바일 이용권이 사용되는 장소에 관한 제1위치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컨텐츠정보와 관련된 체험서비스 및 상품에 관한 제1광고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이용객정보에 포함된 이용객의 수가 1명 이상에서 2명 이하이면 복수의 광고정보 중 상기 제1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제2위치반경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숙박시설 중 2인용 숙박시설 및 이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한 제2광고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2인용 숙박시설에 대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제2위치반경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외식업체 중 커플, 친구, 힐링 및 핫플레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로 검색엔진에 검색되는 제1외식업체에 대한 제3광고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이용객정보에 포함된 이용객의 수가 적어도 3명이면, 복수의 광고정보 중 상기 제1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제2위치반경 내에 존재하는 상기 복수의 숙박시설 중 3인용 숙박시설, 가족용 숙박시설 및 이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한 제4광고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3인용 숙박시설 또는 가족용 숙박시설에 대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제2위치반경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외식업체 중 가족, 키즈, 아동, 효도 및 부모님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로 검색엔진에 검색되는 제2외식업체에 대한 제5광고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모바일 이용권을 인식하여, 상기 모바일 이용권의 식별이 완료되면 입장완료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검표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장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광고정보 중 상기 제1광고정보, 제2광고정보, 제3광고정보, 제4광고정보 및 제5광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할인적용 및 포인트적립을 위한 프로모션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UI에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검표단말기는 광센서 및 광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검표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용객정보에 포함된 이용객의 수를 수신하고, 상기 광센서에서의 기 설정된 조도 이하로 감지되는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객의 수에 대응하는 입장이 완료되었는지 식별하고,
    상기 광원은 복수의 시간구간 중 검표단말기는 제1구간에는 빛의 강도를 제1강도로 발산하며, 제2구간에는 빛의 강도를 제1강도보다 일정수준 이하 또는 미만으로 설정된 제2강도로 발산하며, 제3구간에는 빛의 강도를 제1강도보다 일정수준 이상 또는 초과하도록 설정된 제3강도를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127438A 2022-10-05 2022-10-05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 KR102496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438A KR102496996B1 (ko) 2022-10-05 2022-10-05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438A KR102496996B1 (ko) 2022-10-05 2022-10-05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996B1 true KR102496996B1 (ko) 2023-02-07

Family

ID=8522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438A KR102496996B1 (ko) 2022-10-05 2022-10-05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9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824A (ko) * 2000-09-07 2002-03-13 이성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383563Y1 (ko) * 2005-02-02 2005-05-06 임영석 출입구용 인원계수장치
KR20080040327A (ko) * 2006-11-03 2008-05-08 주식회사 아이콘랩 모바일 티켓 광고 적용 장치, 모바일 티켓 광고 적용 방법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2013235106A (ja) * 2012-05-08 2013-11-21 Brother Ind Ltd 広告決定装置、広告決定方法、及び、カラオケ装置
KR20200023781A (ko) * 2018-08-27 2020-03-06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숙박시설 예약 정보를 활용한 운송수단의 서비스 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824A (ko) * 2000-09-07 2002-03-13 이성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383563Y1 (ko) * 2005-02-02 2005-05-06 임영석 출입구용 인원계수장치
KR20080040327A (ko) * 2006-11-03 2008-05-08 주식회사 아이콘랩 모바일 티켓 광고 적용 장치, 모바일 티켓 광고 적용 방법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2013235106A (ja) * 2012-05-08 2013-11-21 Brother Ind Ltd 広告決定装置、広告決定方法、及び、カラオケ装置
KR20200023781A (ko) * 2018-08-27 2020-03-06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숙박시설 예약 정보를 활용한 운송수단의 서비스 제공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0401B2 (en) Platform for location and time based advertising
US10740804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of seamless integration of augmented, alternate, virtual, and/or mixed realities with physical realities for enhancement of web, mobile and/or other digital experiences
Krumm Ubiquitous advertising: The killer application for the 21st century
Davies et al. Pervasive displays: understanding the future of digital signage
US9824387B2 (en)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proximity, mapping, indexing, mobile, advertising and/or other features
US201201295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Location-Based Gameplay
Hopkins et al. Go mobile: location-based marketing, apps, mobile optimized ad campaigns, 2D codes and other mobile strategies to grow your business
US20150242525A1 (en) System for referring to and/or embedding posts within other post and posts within any part of another post
US11816599B2 (en) Platform for providing customizable user brand experiences, sponsorship junctions, and conversion attribution
US20150154643A1 (en) Interactive information, wayfinding and message target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05706132A (zh) 基于社交媒体的推荐
CN104156866A (zh) 一种基于二维码、nfc和移动客户端应用平台
Strohbach et al. Toward a platform for pervasive display applications in retail environments
Buhalis et al. Technology-enabled tourism destination management and marketing
Stalder Digital out-of-home media: means and effects of digital media in public space
Harris The fundamentals of digital fashion marketing
CN111724191A (zh) 用于生成广告的系统、方法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13763028A (zh) 媒体信息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Ozdemir-Guzel et al. Gen Z tourists and smart devices
US20030100337A1 (en) Wireless device for broadcast of information and related method for use with mobile wireless devices
KR102496996B1 (ko) 광고정보가 표시되는 모바일 이용권 시스템
US20180101886A1 (en) User actions in a physical space directing presentation of customized virtual environment
Tiwary Know online advertising: All information about online advertising at one place
Burnett et al. " CheckinDJ" using check-ins to crowdsource music preferences
Salvietti et al. Managing online touchpoints for a consistent customer experience: Cases from fashion retai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